KR20220140318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0318A
KR20220140318A KR1020210046675A KR20210046675A KR20220140318A KR 20220140318 A KR20220140318 A KR 20220140318A KR 1020210046675 A KR1020210046675 A KR 1020210046675A KR 20210046675 A KR20210046675 A KR 20210046675A KR 20220140318 A KR20220140318 A KR 20220140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nsacf
slice
nssai
am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6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연
정상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6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0318A/ko
Priority to US17/716,709 priority patent/US20220330139A1/en
Priority to EP22785031.0A priority patent/EP4316188A1/en
Priority to PCT/KR2022/005157 priority patent/WO2022216123A1/en
Priority to CN202280027013.0A priority patent/CN117121629A/zh
Publication of KR20220140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03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2Release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4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using triggered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0Upper layer protocols adapted for application session management, e.g.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Abstract

본 개시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기술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네트워크 엔티티는 단말로부터 PDU 세션 릴리즈 요청을 수신하고, PDU 세션 릴리즈 요청에 기초하여, 수립된 PDU 세션의 종료를 결정하며, 제 2 네트워크 엔티티에 슬라이스 이용 가능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제 2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슬라이스 이용 가능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단말에 PDU 세션 릴리즈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NETWORK SL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disclosure)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세대를 거듭하면서 발전한 과정을 돌아보면 음성, 멀티미디어, 데이터 등 주로 인간 대상의 서비스를 위한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5G (5th-generation)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폭발적인 증가 추세에 있는 커넥티드 기기들이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네트워크에 연결된 사물의 예로는 차량, 로봇, 드론, 가전제품, 디스플레이, 각종 인프라에 설치된 스마트 센서, 건설기계, 공장 장비 등이 있을 수 있다. 모바일 기기는 증강현실 안경, 가상현실 헤드셋, 홀로그램 기기 등 다양한 폼팩터로 진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6G (6th-generation) 시대에는 수천억 개의 기기 및 사물을 연결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선된 6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6G 통신 시스템은 5G 통신 이후 (beyond 5G)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2030년쯤 실현될 것으로 예측되는 6G 통신 시스템에서 최대 전송 속도는 테라 (즉, 1,000기가) bps, 무선 지연시간은 100마이크로초(μsec) 이다. 즉, 5G 통신 시스템대비 6G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 속도는 50배 빨라지고 무선 지연시간은 10분의 1로 줄어든다.
이러한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 및 초저(ultra low) 지연시간을 달성하기 위해, 6G 통신 시스템은 테라헤르츠(terahertz) 대역 (예를 들어, 95기가헤르츠(95GHz)에서 3테라헤르츠(3THz)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테라헤르츠 대역에서는 5G에서 도입된 밀리미터파(mmWave) 대역에 비해 더 심각한 경로손실 및 대기흡수 현상으로 인해서 신호 도달거리, 즉 커버리지를 보장할 수 있는 기술의 중요성이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커버리지를 보장하기 위한 주요 기술로서 RF(radio frequency) 소자, 안테나,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보다 커버리지 측면에서 더 우수한 신규 파형(waveform), 빔포밍(beamforming) 및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massive MIMO), 전차원 다중 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와 같은 다중 안테나 전송 기술 등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 외에도 테라헤르츠 대역 신호의 커버리지를 개선하기 위해 메타물질(metamaterial) 기반 렌즈 및 안테나, OAM(orbital angular momentum)을 이용한 고차원 공간 다중화 기술, RIS(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 등 새로운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주파수 효율 향상 및 시스템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6G 통신 시스템에서는 상향링크(uplink)와 하향링크(downlink)가 동일 시간에 동일 주파수 자원을 동시에 활용하는 전이중화(full duplex) 기술, 위성(satellite) 및 HAPS(high-altitude platform stations)등을 통합적으로 활용하는 네트워크 기술, 이동 기지국 등을 지원하고 네트워크 운영 최적화 및 자동화 등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구조 혁신 기술, 스펙트럼 사용 예측에 기초한 충돌 회피를 통한 동적 주파수 공유 (dynamic spectrum sharing) 기술, AI (artificial intelligence)를 설계 단계에서부터 활용하고 종단간(end-to-end) AI 지원 기능을 내재화하여 시스템 최적화를 실현하는 AI 기반 통신 기술, 단말 연산 능력의 한계를 넘어서는 복잡도의 서비스를 초고성능 통신과 컴퓨팅 자원(mobile edge computing (MEC), 클라우드 등)을 활용하여 실현하는 차세대 분산 컴퓨팅 기술 등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6G 통신 시스템에서 이용될 새로운 프로토콜의 설계, 하드웨어 기반의 보안 환경의 구현 및 데이터의 안전 활용을 위한 메커니즘 개발 및 프라이버시 유지 방법에 관한 기술 개발을 통해 디바이스 간의 연결성을 더 강화하고, 네트워크를 더 최적화하고, 네트워크 엔티티의 소프트웨어화를 촉진하며, 무선 통신의 개방성을 높이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6G 통신 시스템의 연구 및 개발로 인해, 사물 간의 연결뿐만 아니라 사람과사물 간의 연결까지 모두 포함하는 6G 통신 시스템의 초연결성(hyper-connectivity)을 통해 새로운 차원의 초연결 경험(the next hyper-connected experience)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구체적으로 6G 통신 시스템을 통해 초실감 확장 현실(truly immersive extended reality; truly immersive XR), 고정밀 모바일 홀로그램(high-fidelity mobile hologram), 디지털 복제(digital replica) 등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보안 및 신뢰도 증진을 통한 원격 수술(remote surgery), 산업 자동화(industrial automation) 및 비상 응답(emergency response)과 같은 서비스가 6G 통신 시스템을 통해 제공됨으로써 산업, 의료, 자동차, 가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될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 또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세션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제 1 네트워크 엔티티가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관리하는 방법은, 단말로부터 PDU 세션 릴리즈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PDU 세션 릴리즈 요청에 기초하여, 수립된 PDU 세션의 종료를 결정하는 단계; 제 2 네트워크 엔티티에 슬라이스 이용 가능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제 2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슬라이스 이용 가능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단말에 PDU 세션 릴리즈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또는 네트워크 슬라이싱)를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와 관련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IE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슬라이스 별 수립된 세션 수에 따른 이용 가능성 확인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슬라이스 별 수립된 세션 수에 따른 이용 가능성 여부를 업데이트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엔티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등록 절차(Registration procedure) 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등록 수 감소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대량(bulk)의 단말 등록 업데이트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스 업데이트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등록 수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스 이용 가능성 업데이트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기술적 사상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또는 네트워크 슬라이싱)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를 통해 네트워크 슬라이스 기능을 제공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관리하는 기술을 설명한다.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과 단말 간의 상호 연동 기술을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신호를 지칭하는 용어, 채널을 지칭하는 용어, 제어 정보를 지칭하는 용어, 네트워크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장치의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가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일부 통신 규격(예: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지만, 이는 설명을 위한 예시일 뿐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다른 통신 시스템에서도, 용이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3GPP 표준에서는 5G 네트워크 시스템 구조(architecture) 및 절차를 표준화하였다. 이동통신 사업자는 5G 네트워크에서 여러가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각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이동통신 사업자는 서비스 별 서로 다른 서비스 요구 사항(예를 들면, 지연시간, 통신 범위, 데이터 레이트, 대역폭, 신뢰성(reliability) 등)을 만족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이동통신 사업자는 네트워크 슬라이스(network slice)를 구성하고, 네트워크 슬라이스 별로 또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셋트(set) 별로 특정 서비스에 적합한 네트워크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네트워크 자원이라 함은 NF(Network Function) 또는 NF가 제공하는 논리적 자원 또는 기지국의 무선 자원 할당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통신 사업자는 모바일 광대역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A를 구성하고, 차량 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B를 구성하고, IoT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C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이 5G 네트워크에서는 각 서비스의 특성에 맞게 특화된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통해 단말에게 효율적으로 해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5G 시스템(5GS, 5G System)은 단말(UE), 기지국(RAN) 및 5G 코어 네트워크(5GC, 5G Core Network)로 구성될 수 있다.
5G 코어 네트워크는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 UPF(User Plane Function), PCF(Policy Control Function), UDM(Unified Data Management), NSSF(Network Slice Selection Function), NSACF(Network Slice Admission Control Function), AUSF(Authentication Server Function), UDR(Unified Data Repository)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말(UE)은 기지국((R)AN)을 통해 5G 코어 네트워크로 접속할 수 있다. 이하 UE는 단말로, (R)AN은 기지국으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5G 코어 네트워크는 AF(Application Function) 및 DN(Data Network)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AMF는 단말에 대한 무선망 접속(Access) 및 이동성(Mobility)을 관리하는 NF(Network Function)이다.
SMF는 단말에 대한 세션(Session)을 관리하는 NF이며, 세션 정보에는 QoS(Quality of Service) 정보, 과금(charging) 정보, 패킷 처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UPF는 사용자 트래픽(예: User Plane 트래픽)을 처리하는 NF이며, SMF에 의해 제어를 받는다.
PCF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업자 정책(Operator policy, PLMN policy)을 관리하는 NF이다. 추가로 PCF는 AM(Access and Mobility) 정책 및 UE 정책을 담당하는 PCF와 SM(Session Management) 정책을 담당하는 PCF로 나뉠 수 있다. AM/UE 정책 담당 PCF와 SM 정책 담당PCF는 논리적 내지 물리적으로 분리된 NF이거나 또는 논리적 내지 물리적으로 하나의 NF일 수 있다.
UDM은 단말의 가입자 정보(UE subscription)를 저장 및 관리하는 NF이다.
UDR은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NF 또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이다. UDR은 단말의 가입 정보를 저장하고, UDM에게 단말의 가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UDR은 사업자 정책 정보를 저장하고, PCF에게 사업자 정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NSSF는 단말을 서비스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network slice instances)를 선택하거나, NSSAI(Network Slice Selection Assistance Information)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NF일 수 있다.
NSACF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이용 상황(예를 들어, 네트워크 슬라이스 별 등록 단말 수, 세션 수립 수 등)을 관리하고, 단말의 등록 및 세션 수립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NF일 수 있다.
AUSF는 3GPP 엑세스 및 non-3GPP 엑세스를 위한 인증을 지원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NF일 수 있다.
AF는 본 개시에 따른 서비스를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NF일 수 있다.
DN는 사업자 서비스, 인터넷 엑세스 또는 제3자(3rd party)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 네트워크를 지칭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와 관련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IE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구분하는 구분자로 3GPP에서 정의한 S-NSSAI(Single-Network Slice Selection Assistance Information)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이러한 S-NSSAI IE(Information Element) 구성의 예를 나타낸다. 하나의 S-NSSAI는 HPLMN(Home PLMN: Home Public Land Mobile Network)에서 사용하는 SST(Slice/Service Type, 116), HPLMN에서 사용하는 SD(Slice Differentiator, 118), serving PLMN에서 사용하는 SST(112), serving PLMN에서 사용하는 SD(11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S-NSSAI IE는 S-NSSAI IE에 포함되는 컨텐츠의 길이를 나타내는 필드(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로밍이 아닌 (non-roaming) 상황에서, serving PLMN에서 사용하는 SST(112)는 HPLMN에서 사용하는 SST(116)와 같을 수 있으며, 또한 serving PLMN에서 사용하는 SD(114)는 HPLMN에서 사용하는 SD(118)와 같을 수 있다.
로밍 (roaming) 상황에서, serving PLMN에서 사용하는 SST(112)는 VPLMN(Visited PLMN)에서 사용하는 SST일 수 있으며, 또한 serving PLMN에서 사용하는 SD(114)는 VPLMN에서 사용하는 SD일 수 있다.
하나의 S-NSSAI를 구성하고 있는 각 SST 및 SD 값은 상황에 따라 값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NSSAI(network slice selection assistance information)는 하나 이상의 S-NSSAI로 구성될 수 있다. NSSAI의 예로는,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configured NSSAI(또는 configured S-NSSAIs), 단말이 요청하는 requested NSSAI(또는 requested S-NSSAIs), 단말이 이용할 수 있도록 허락된 allowed NSSAI(또는 allowed S-NSSAIs), 단말의 이용이 거절된 rejected NSSAI(또는 rejected S-NSSAIs), 단말의 이용 가능 여부(허락 또는 거절)를 처리중인 pending NSSAI(또는 pending S-NSSAIs), 단말의 가입 정보로 UDM에 저장되어 있는 subscribed NSSAI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예일 뿐, NSSAI의 예시가 전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별 세션 수립 수 관리 방법의 일 예시를 제안한다.
NSACF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승인 제어(Network Slice Admission Control, NSAC)의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S-NSSAI로 식별 가능)(S-NSSAI subject to NSAC) 별 최대 세션 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NSAC 대상이 되는 S-NSSAI 정보는, 해당 슬라이스가 최대 단말 수 제어의 대상이 되는지 여부, 해당 슬라이스가 최대 세션 수 제어의 대상이 되는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슬라이스가 NSAC 대상일 경우 (또는, 특정 슬라이스가 최대 세션 수 제어와 관련된 NSAC 대상일 경우), NSACF는 해당 슬라이스의 슬라이스 별 최대 세션 수 정보를 다른 5G NF (예를 들어, AMF, SMF, PCF, UDM, UDR 등)으로부터 수신하고 저장할 수 있다. 또는, NSACF는 OAM(O&M)을 통해 슬라이스 별 최대 세션 수 정보를 설정 받을 수 있다.
NSACF는 슬라이스 별 현재 수립된 세션 수를 제어할 수 있다. 현재 수립된 세션 수를 제어하는 동작은, 신규 세션 수립 시, 현재 수립된 세션 수를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수 만큼 증가시키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NSACF는 현재 수립된 세션 수가 최대 세션 수를 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수립된 세션 수를 제어하는 동작은, 수립된 세션 릴리즈 시, 현재 수립된 세션 수를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수 만큼 감소시키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NSACF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연계되어 수립된 PDU 세션(들)의 PDU 세션 ID 리스트(a list of PDU Session IDs)를 관리할 수 있다. NSACF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연계되어 수립된 PDU 세션(들)의 단말 ID(a list of UE IDs)와 PDU 세션 ID 리스트(a list of PDU Session IDs)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SACF는 하나의 PDU 세션을 단말 ID와 PDU 세션 ID의 조합(a combination of UE ID and PDU Session ID)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는, NSACF는 단말 ID로 지칭되는 단말 별 (per UE, per UE ID) 수립한 PDU 세션 ID 리스트(a list of PDU session IDs)를 관리할 수 있다. 하나의 PDU 세션 ID는 하나의 단말 내에서 고유한(unique) 세션 식별자로 이용될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단말이 수립한 서로 다른 PDU 세션이 동일한 PDU 세션 ID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복수개의 단말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내에서는 PDU 세션 ID만으로는 하나의 PDU 세션을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다. 그에 따라, NSACF는 PDU 세션 ID와 함께 UE ID를 이용하여 하나의 PDU 세션을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다.
현재 수립 세션 수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NSACF는 요청받은 PDU 세션 ID와 단말 ID로 지칭되는 PDU 세션이 NSACF 가 관리하는 리스트에 이미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NSACF가 관리하는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NSACF는 요청받은 PDU 세션 ID와 단말 ID를 NSACF가 관리하는 리스트에 추가하고, 현재 수립 세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SMF는 NSAC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S-NSSAI subject to NSAC) (또는, 최대 세션 수 제어와 관련된 NSAC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PDU 세션 수립을 수행할 수 있다. SMF는 특정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NSAC 대상이 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다른 5G NF (예를 들어, AMF, PCF, UDM, UDR, NSACF 등)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는, SMF는 OAM(O&M)을 통해 특정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NSAC 대상이 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설정 받을 수 있다.
SMF는 NSAC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PDU 세션 수립을 진행하기 위하여, 현재 해당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결정에 따라, SMF는 해당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최대 세션 수 관련 네트워크 슬라이스 승인 제어(Network Slice Admission Control)를 담당하는 NSACF를 발견 및 선택(discovery and selection)할 수 있다.
SMF는 NRF에게 NF(NSACF) 발견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NF(NSACF) 발견 요청 메시지에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S-NSSAI), 발견하길 원하는 NSACF(target NF, target NSACF)가 세션 수 제어와 관련된 NSAC 기능을 제공해야 함을 나타내는 지시자가 포함될 수 있다. NRF는 SMF가 요구한 조건에 부합하는 NSACF를 찾을 수 있다. NRF는 SMF에게 NF(NSACF) 발견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NF(NSACF) 발견 응답 메시지에는 NRF가 발견한 NSACF 관련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NSACF 정보가 SMF에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SMF는 설정된 NSACF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SMF는 NRF로부터 수신한 또는 SMF에 설정되어 있는 NSACF에게 최대 세션 수 제어 요청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본 개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SMF 동작으로 작성되었으나,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일 실시예는 AMF가 수행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슬라이스 별 수립된 세션 수에 따른 이용 가능성 확인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NF(301) 동작으로 SMF를 기술하였으나, 본 개시에 따른 NF(301)는 AMF일 수도 있다.
310 단계에서 단말(300)은 AMF를 거쳐 SMF(301)에게 PDU 세션 수립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PDU 세션 수립 요청 메시지에는 PDU 세션 ID, 단말 ID, S-NSSAI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315 단계에서 SMF(301)는, SMF(301)에 설정된 정책, 다른 5G NF(예를 들어, AMF, PCF, UDM, UDR, NSACF 등)로부터 수신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단말이 요청한 S-NSSAI (또는 AMF로부터 수신한 S-NSSAI)가 NSAC 대상이 되는지 (또는 세션 수립 수 제어 관련 NSAC 대상이 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NF(301)의 기능을 AMF가 수행하고, 310 단계에서의 PDU 세션 수립 요청 메시지에 S-NSSAI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 AMF(301)는, AMF(301)에 설정된 정책에 기초하여, 하나의 S-NSSAI를 선택할 수 있다. AMF(301)는, AMF(301)에 설정된 정책, 다른 5G NF(예를 들어, PCF, UDM, UDR, NSACF 등)로부터 수신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단말이 요청한 S-NSSAI (또는 AMF가 선택한 S-NSSAI)가 NSAC 대상이 되는지 (또는 세션 수립 수 제어 관련 NSAC 대상이 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320 단계에서 SMF(301)는 NRF(303)에게 NF 발견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NF 발견 요청 메시지에는 S-NSSAI, 요구되는 target NSACF의 능력(capability)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요구되는 target NSACF의 능력은 세션 수 제어 관련 NSAC 기능을 target NSACF 가 지원해야 함을 나타낼 수 있다.
NRF(303)는 요구되는 target NSACF를 발견하고 선택할 수 있다.
325 단계에서 NRF(303)는 SMF(301)에게 NF 발견 요청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NF 발견 요청 메시지에는 NRF가 선택한 target NSACF 관련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330 단계에서 SMF(301)는 NSACF(302)에게 슬라이스 이용 가능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NSACF(302)는 SMF(301)가 325 단계에서 NRF(303)로부터 수신한 정보 및/내지 SMF(301)에 설정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NSACF(302)일 수 있다. SMF(301)는 선택된 NSACF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 후 필요에 따라 NSACF 와의 동작(interaction)을(예를 들어, 도 4에 기술된 PDU 세션 릴리즈 절차) 수행할 수 있다.
슬라이스 이용 가능 요청 메시지에는 하나의 PDU 세션을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DU 세션 ID와 단말 ID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스 이용 가능 요청 메시지에는 S-NSSAI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335 단계에서 NSACF(302)는 S-NSSAI 로 식별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세션 수립 수를 확인할 수 있다. NSACF(302)는 수신한 PDU 세션 ID와 단말 ID로 지칭되는 PDU 세션이 NSACF 가 관리하는 리스트에 이미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NSACF(302)가 관리하는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NSACF(302)는 수신한 PDU 세션 ID와 단말 ID를 NSACF가 관리하는 리스트에 추가하고, 현재 수립 세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NSACF(302)는, NSACF(302)에 설정된 또는 다른 5G NF (예를 들어, AMF, SMF, PCF, UDM, UDR 등)으로부터 수신한 최대 세션 수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수립된 세션 수를 제어/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SACF(302)가 관리하는 현재 수립된 세션 수와 최대 세션 수를 비교하고, 현재 수립된 세션 수와 최대 세션 수를 넘지 않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340 단계에서 NSACF(302)는 SMF(301)에게 슬라이스 이용 가능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만약, 330 단계에서 수신한 PDU 세션 ID와 단말 ID로 지칭되는 PDU 세션이 NSACF 가 관리하는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고, 현재 수립된 세션 수가 최대 세션 수를 넘지 않을 경우, NSACF(302)는 슬라이스 이용 가능 응답 메시지에 S-NSSAI가 이용 가능함을 나타내는 정보 (S-NSSAI를 위한 PDU 세션 수립이 허용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330 단계에서 수신한 PDU 세션 ID와 단말 ID로 지칭되는 PDU 세션이 NSACF 가 관리하는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나, 현재 수립된 세션 수가 최대 세션 수를 넘을 경우, NSACF(302)는 슬라이스 이용 가능 응답 메시지에 S-NSSAI가 이용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정보 (S-NSSAI를 위한 PDU 세션 수립이 허용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330 단계에서 수신한 PDU 세션 ID와 단말 ID로 지칭되는 PDU 세션이 NSACF 가 관리하는 리스트에 이미 포함되어 있다면, NSACF(302)는 슬라이스 이용 가능 응답 메시지에 330 단계에서 요청한 PDU 세션이 이미 카운팅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 또는 S-NSSAI가 이용 가능함을 나타내는 정보 (S-NSSAI를 위한 PDU 세션 수립이 허용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345 단계에서 SMF(301)는 단말(300)에게 PDU 세션 수립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만약, SMF(301)가 340 단계에서 NSACF(302)로부터 S-NSSAI가 이용 가능함을 나타내는 정보 (S-NSSAI를 위한 PDU 세션 수립이 허용됨을 나타내는 정보) 또는 요청한 PDU 세션이 이미 카운팅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했을 경우, SMF(301)는 해당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이용 가능함을 판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SMF(301)는 PDU 세션 수립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PDU 세션 수립 절차가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을 경우, SMF(301)는 345 단계에서 단말(300)에게 PDU 세션 수립 승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만약, SMF(301)가 340 단계에서 NSACF(302)로부터 S-NSSAI가 이용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정보 (S-NSSAI를 위한 PDU 세션 수립이 허용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했을 경우, SMF(301)는 해당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현재 이용할 수 없음을 판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SMF(301)는 PDU 세션 수립을 진행하지 않고, 거절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SMF(301)는 345 단계에서 단말(300)에게 PDU 세션 수립 거절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슬라이스 별 수립된 세션 수에 따른 이용 가능성 여부를 업데이트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NF(301) 동작으로 SMF를 기술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일 뿐, 다른 실시예에 따라 NF(301)는 AMF일 수도 있다.
415 단계에서 SMF(301)는 수립된 PDU 세션을 종료(release)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결정은 410 단계에서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PDU 세션 릴리즈 요청 또는 다른 5G NF(예를 들어, AMF, PCF, UDM, UDR 등)로부터 수신한 요청 (PDU 세션 릴리즈 요청, SM(Session management) 정책 종료 요청 등)에 기초할 수 있다.
SMF(301)는 본 개시에서 기술한 방법에 따라 해당 PDU 세션과 연계된 S-NSSAI가 NSAC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또는 세션 수립 수 제어 관련 NSAC 대상이 되는지)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해당 PDU 세션과 연계된 S-NSSAI가 NSAC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일 경우, SMF(301)는 420 단계를 트리거 할 수 있다.
420 단계에서 SMF(301)는 NSACF(302)에게 슬라이스 이용 가능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슬라이스 이용 가능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에는 릴리즈의 대상이 되는 PDU 세션을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DU 세션 ID와 단말 ID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스 이용 가능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에는 S-NSSAI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425 단계에서 NSACF(302)는 S-NSSAI 로 식별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세션 수립 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NSACF(302)는 수신한 PDU 세션 ID와 단말 ID로 지칭되는 PDU 세션이 NSACF(302)가 관리하는 리스트에 이미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NSACF(302)가 관리하는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다면, NSACF(302)는 수신한 PDU 세션 ID와 단말 ID를 NSACF가 관리하는 리스트에서 삭제하고, 현재 수립 세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430 단계에서 NSACF(302)는 SMF(301)에게 슬라이스 이용 가능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슬라이스 이용 가능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에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세션 수립 수 업데이트와 관련된 결과 정보(예를 들어, 성공, 실패 등)가 포함될 수 있다.
SMF(301)는 PDU 세션 릴리즈 절차를 계속 진행할 수 있다.
만약, PDU 세션 릴리즈가 단말(300)의 요청(410 단계)으로부터 시작되었을 경우, 435 단계에서 SMF(301)는 단말(300)에게 PDU 세션 릴리즈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단말은 송수신부(510), 제어부(520), 저장부(5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어부(520)는, 회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통합 회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라고 정의될 수 있다. 다만, 단말의 구성 요소가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송수신부(510)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부(510)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동기 신호 또는 기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520)는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530)는 상기 송수신부(51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및 제어부(520)을 통해 생성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엔티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네트워크 엔티티는 송수신부(610), 제어부(620), 저장부(6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어부(620)는, 회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통합 회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라고 정의될 수 있다. 다만, 네트워크 엔티티의 구성 요소가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송수신부(610)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부(610)는 예를 들어, 단말로부터 등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620)는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엔티티 또는 네트워크 기능(network function, NF)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630)는 상기 송수신부(61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및 제어부(620)을 통해 생성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등록 절차(Registration procedure) 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300)은 제1 기지국(700) 및 제2 기지국(701)에 접속하여 AMF(702)와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기지국(700)은 3GPP 접속(access)을 지원하는 장치일 수 있다. 제2 기지국(701)은 N3GPP 접속(access)을 지원하는 장치일 수 있다. 제1 기지국(700)이 연결된 AMF(702)와 제2 기지국(701)이 연결된 AMF(702)는 동일한 장치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일 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기지국(700)과 제2 기지국(701)은 서로 다른 AMF에 연결될 수 있다.
710 단계에서, 단말(300)은 제1 기지국(700)에 접속하여 등록 요청 (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등록 요청 (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에는 단말이 이용하고자 하는 요청 슬라이스(Requested NSSAI, 예: S-NSSAI A)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712 단계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한 제1 기지국(700)은,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Requested NSSAI에 기초하여, Registration Request를 전송할 AMF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지국(700)은 상기 Requested NSSAI를 지원 가능한 AMF를 선택할 수 있다.
714 단계에서, 제1 기지국(700)은 712 단계에서 선택한 AMF(702)에게 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AMF(702)는 단말의 요청 슬라이스(Requested NSSAI), 단말 가입 슬라이스(subscribed S-NSSAI), 단말 접속 네트워크(3GPP Access Network (Access Type)), 사업자 정책(operator policy)에 기초하여, 허용 슬라이스(Allowed NSSAI)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MF(702)는 단말의 요청 슬라이스(예: S-NSSAI A)를 허용 슬라이스(예: S-NSSAI A)에 포함시킬 수 있다.
716 단계에서, AMF(702)는 단말(300)에게 허용 슬라이스를 허용할 것을 확정하기 전에, 5G 핵심망의 NSACF(302)에게 슬라이스 이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AMF(702)는 NSACF(302)에게 Slice Availability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Slice Availability 요청 메시지에는, 대상이 되는 슬라이스 정보(예: S-NSSAI, Requested NSSAI, Allowed NSSAI, subscribed S-NSSAI 등), 단말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예: 3GPP access), 단말 위치 정보(예: TA 등), 단말 정보(예: SUPI, 5G-GUTI 등)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718 단계에서, NSACF(302)는, AMF(702)로부터 수신한 대상이 되는 슬라이스(예: S-NSSAI, Requested NSSAI, Allowed NSSAI, subscribed S-NSSAI 등)의 슬라이스 정책 및 대상이 되는 슬라이스의 현재 접속 단말 수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SACF(302)는 단말 ID(예: SUPI, 5G-GUTI 등)가 S-NSSAI 단말 등록 수 모니터링을 위해 NSACF(302)가 관리하는 단말 ID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추가로, NSACF(302)는 접속 네트워크 정보가 S-NSSAI 단말 등록 수 모니터링을 위해 NSACF(302)가 관리하는 단말 ID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단말 ID 리스트에 단말 ID 및/또는 접속 네트워크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NSACF(302)는 상기 단말 ID 및/또는 접속 네트워크를 단말 ID 리스트에 포함시킬 수 있으며, 단말 수 카운팅을 증가시킬 수 있다.
720 단계에서, NSACF(302)는 AMF(702)에게 Slice Availability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Slice Availability 응답 메시지에는, 대상이 되는 슬라이스 정보(예: S-NSSAI, Requested NSSAI, Allowed NSSAI, subscribed S-NSSAI 등), 대상이 되는 슬라이스의 이용 가능 여부(예: 이용 가능 또는 이용 불가능을 나타내는 지시자(indication), 원인 값(cause value) 등)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AMF(702)는, NSACF(302)로부터 수신한 슬라이스의 이용 가능 여부에 따라 허용 슬라이스를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SACF(302)로부터 슬라이스(S-NSSAI)가 이용 가능함을 회신했을 경우, AMF(702)는 상기 슬라이스(S-NSSAI)를 허용 슬라이스에 포함시킬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예를 들어, NSACF(302)가 슬라이스(S-NSSAI)가 이용 불가능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 경우, AMF(702)는 슬라이스(S-NSSAI)를 허용 슬라이스에 포함시키지 않고, 상기 슬라이스(S-NSSAI)를 거절 슬라이스(rejected NSSAI)에 포함시킬 수 있다.
722 단계에서, AMF(702)는, 714 단계에서 수신한 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Registration Accept 또는 Registration Reject 메시지)를 단말(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에는, 허용 슬라이스(Allowed NSSAI), 거절 슬라이스(rejected NSSAI)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만약, 단말이 이용 가능한 슬라이스가 없다면, AMF(702)는 Registration Rejec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724 단계에서, 제1 기지국(700)은 AMF(702)로부터 수신한 Registration Accept 내지 Registration Reject 메시지를 단말(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740 단계에서, 단말(300)은 제2 기지국(701)에 접속하여 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에는 단말이 이용하고자 하는 요청 슬라이스(Requested NSSAI, 예: S-NSSAI A)가 포함될 수 있다.
742 단계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한 제2 기지국(701)은,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Requested NSSAI 및/내지 단말 ID(예: 5G-GUTI 등)에 기초하여, Registration Request를 전송할 AMF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지국(701)은 단말 ID(예: 5G-GUTI 등)로 지칭될 수 있는 AMF를 선택할 수 있다.
744 단계에서, 제2 기지국(701)은 742 단계에서 선택한 AMF(702)에게 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AMF(702)는 단말의 요청 슬라이스(Requested NSSAI), 단말 가입 슬라이스(subscribed S-NSSAI), 단말 접속 네트워크(non-3GPP AN), 사업자 정책(operator policy)에 기초하여, 허용 슬라이스(Allowed NSSAI)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허용 슬라이스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AMF(120)는 710 단계 내지 724 단계에서 결정한 허용 슬라이스 및/내지 거절 슬라이스를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MF(702)는 단말의 요청 슬라이스(예: S-NSSAI A)를 허용 슬라이스(예: S-NSSAI A)에 포함시킬 수 있다.
746 단계에서 AMF(702)는 단말(300)에게 허용 슬라이스를 허용할 것을 확정하기 전에, 5G 핵심망의 NSACF(302)에게 슬라이스 이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AMF(702)는 NSACF(302)에게 Slice Availability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Slice Availability 요청 메시지에는, 대상이 되는 슬라이스 정보(예: S-NSSAI, Requested NSSAI, Allowed NSSAI, subscribed S-NSSAI 등), 단말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예: non-3GPP access), 단말 위치 정보(예: TA 등), 단말 정보(예: SUPI, 5G-GUTI 등)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748 단계에서, NSACF(302)는, AMF(702)로부터 수신한 대상이 되는 슬라이스(예: S-NSSAI, Requested NSSAI, Allowed NSSAI, subscribed S-NSSAI 등)의 슬라이스 정책 및 대상이 되는 슬라이스의 현재 접속 단말 수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SACF(302)는 단말 ID(예: SUPI, 5G-GUTI 등)가 S-NSSAI 단말 등록 수 모니터링을 위해 NSACF(302)가 관리하는 단말 ID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추가로, NSACF(302)는 접속 네트워크 정보가 S-NSSAI 단말 등록 수 모니터링을 위해 NSACF(302)가 관리하는 단말 ID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단말 ID 리스트에 단말 ID 및/또는 접속 네트워크가 포함되어 있다면, NSACF(302)는 상기 단말이 이미 단말 등록 수에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단말 수 카운팅을 증가시키지 않을 수 있다.
즉, 단말 수를 기준으로 단말 등록 수를 카운팅할 경우, NSACF(302)는 746 단계에서 수신한 단말 ID가, NSACF(302)가 관리하는 단말 ID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718 단계에서 단말 ID가 리스트에 포함됨), 상기 단말이 이미 단말 등록 수에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그에 따라 단말 수 카운팅을 증가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단말이 이미 등록되어 있으므로, 750 단계의 메시지에 대상이 되는 슬라이스의 이용 가능하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등록 수를 기준으로 단말 등록 수를 카운팅할 경우, NSACF(302)는 746 단계에서 수신한 단말 ID가, NSACF(302)가 관리하는 단말 ID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만(718 단계에서 단말 ID가 리스트에 포함됨), 746 단계에서 수신한 접속 네트워크(non-3gpp access)가 NSACF(302)가 관리하는 단말 ID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718 단계에서는 3GPP access 가 포함됨), 상기 단말이 단말 등록 수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고, 그에 따라 NSACF(302)는 상기 접속 네트워크를 단말 ID 리스트에 포함시킬 수 있으며, 단말 수 카운팅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만약, 현재 단말 수가 최대 단말 수를 넘겼을 경우, 단말 수 카운팅을 증가시킬 수 없고, 접속 네트워크를 단말 ID 리스트에 포함시킬 수 있으며, 750 단계의 메시지에는 대상이 되는 슬라이스의 이용 불가능하다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750 단계에서, NSACF(302)는 AMF(702)에게 Slice Availability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Slice Availability 응답 메시지에는, 대상이 되는 슬라이스 정보(예: S-NSSAI, Requested NSSAI, Allowed NSSAI, subscribed S-NSSAI 등), 대상이 되는 슬라이스의 이용 가능 여부(예: 이용 가능 또는 이용 불가능을 나타내는 지시자(indication), 원인 값(cause value) 등)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AMF(702)는, NSACF(302)로부터 수신한 슬라이스의 이용 가능 여부에 따라 허용 슬라이스를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SACF(302)로부터 슬라이스(S-NSSAI)가 이용 가능함을 회신했을 경우, AMF(702)는 상기 슬라이스(S-NSSAI)를 허용 슬라이스에 포함시킬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예를 들어, NSACF(302)로부터 슬라이스(S-NSSAI)가 이용 불가능함을 회신했을 경우, AMF(702)는 상기 슬라이스(S-NSSAI)를 허용 슬라이스에 포함시키지 않고, 상기 슬라이스(S-NSSAI)를 거절 슬라이스(rejected NSSAI)에 포함시킬 수 있다.
752 단계에서, AMF(702)는, 744 단계에서 수신한 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Registration Accept 또는 Registration Reject 메시지)를 단말(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에는, 허용 슬라이스(Allowed NSSAI), 거절 슬라이스(rejected NSSAI)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만약, 단말이 이용 가능한 슬라이스가 없다면, AMF(702)는 Registration Rejec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754 단계에서, 제2 기지국(701)은 AMF(702)로부터 수신한 Registration Accept 내지 Registration Reject 메시지를 단말(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NSACF(302)는 단말의 등록 별 슬라이스 이용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단말(300)이 710 단계 및 740 단계에서 동일한 슬라이스(예: S-NSSAI A)를 요청했다고 하더라도, 718 단계 내지 748 단계의 발생 시점에 따라, 해당 슬라이스의 이용 가능성이 달라질 수 있다. 즉, 718 단계의 NSACF(302)는 해당 슬라이스(예: S-NSSAI A)가 이용 가능하다고 판단하였으나, 748 단계의 NF(302)는 해당 슬라이스(예: S-NSSAI A)가 이용 불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AMF(702)는 722 단계에서 전송하는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에 해당 슬라이스(예: S-NSSAI A)를 Allowed NSSAI로 포함하여 단말(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반면, AMF(702)는 752 단계에서 전송하는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에 해당 슬라이스(예: S-NSSAI A)를 rejected NSSAI로 포함하여 단말(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설명을 위해 3GPP 접속 네트워크의 등록 절차와 non-3GPP 접속 네트워크의 등록 절차를 순차적으로 기술하였으나, non-3GPP 접속 네트워크의 등록 절차가 있은 후 3GPP 접속 네트워크의 등록 절차가 발생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등록 수 감소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810 단계에서 AMF(702)는 도 7의 절차에서 단말에게 제공한 S-NSSAI를 Allowed NSSAI 에서 삭제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812 단계에서, AMF(702)는 810 단계에서 Allowed NSSAI 에서 삭제하기로 결정한 S-NSSAI 가 단말 등록 수 카운팅 대상이 되는지 (S-NSSAI subject to Network Slice Admission Control)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Allowed NSSAI 에서 삭제하기로 결정한 S-NSSAI 가 단말 등록 수 카운팅 대상이 되는 경우, AMF(702)는 NSACF(302) 와 단말 등록 수 업데이트 절차를 수행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814 단계에서 AMF(702)는 NSACF(302)에게 슬라이스 이용 가능성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슬라이스 이용 가능성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에는, S-NSSAI, 단말 ID, 단말의 현재 접속 네트워크 정보(예: 3GPP, Non-3GPP 등)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스 이용 가능성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에는 단말 등록 수를 줄여야 한다는 지시자가 포함될 수 있다.
816 단계에서 NSACF(302)는, 수신한 S-NSSAI의 현재 접속 단말 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록 수를 기준으로 단말 등록 수를 카운팅할 경우, NF(302)는 814 단계에서 수신한 단말 ID 및 접속 네트워크가, NF(302)가 관리하는 단말 ID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포함되어 있다면, NF(302)는 해당 단말 ID 및 접속 네트워크를 NF(302)가 관리하는 단말 ID 리스트에서 삭제하고, 단말 등록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동일한 단말 ID로 3GPP 접속 네트워크와 Non-3GPP 접속 네트워크로 동시 접속했을 경우, NSACF(302)는 814 단계에서 수신한 접속 네트워크를 NSACF(302)가 관리하는 단말 ID리스트에서 삭제할 수 있다.
또는, 단말 수를 기준으로 단말 등록 수를 카운팅할 경우, NSACF(302)는 746 단계에서 수신한 단말 ID 및 접속 네트워크가, NSACF(302)가 관리하는 단말 ID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포함되어 있다면, NSACF(302)는 해당 접속 네트워크를 NFSAC (302)가 관리하는 단말 ID 리스트에서 삭제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동일한 단말 ID로 다른 접속 네트워크가 등록되어 있다면, NSACF(302)는 단말 등록 수를 감소시키지 않고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즉, 동일한 단말 ID로 3GPP 접속 네트워크와 Non-3GPP 접속 네트워크로 동시 접속했을 경우, NSACF(302)는 814 단계에서 수신한 접속 네트워크를 NSACF(302)가 관리하는 단말 ID리스트에서 삭제시킬 수 있지만, 상기 단말은 다른 접속 네트워크로 여전히 네트워크에 접속해 있으므로 단말 ID는 단말 ID 리스트에서 삭제시키지 않으며, 단말 등록 수를 감소시키지 않고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대량(bulk)의 단말 등록 업데이트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910 단계에서 NSACF(302)는 AMF(702)에게 슬라이스 이용 가능성 확인을 늦게 해도 된다는 (일찍 하지 않아도 된다는) 지시자를 포함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SACF(302)는 현재 접속 등록 단말 수가 최대 등록 단말 수보다 현저히 낮을 경우, 이러한 지시자를 포함한 정보를 AMF(702)에게 전송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AMF(702)는 NSACF(302)로부터 수신한 정보로부터 획득된 지시자를 저장할 수 있다.
912 단계에서 AMF(702)는 제1 단말(900)의 등록 절차를 처리할 수 있다. 등록 절차 중, AMF(702)는 910 단계에서 획득된 지시자에 기초하여, 슬라이스 이용 가능성 확인 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716 단계 내지 720 단계를 724 단계 이후에 수행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914 단계에서 AMF(702)는 제2 단말(901)의 등록 절차를 처리할 수 있다. 등록 절차 중, AMF(702)는 910 단계에서 수신한 지시자에 기초하여, 슬라이스 이용 가능성 확인 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
AMF(702)는, 912 단계 내지 914 단계를 완료한 후, 916 단계에서 NSACF(302)에게 등록 단말을 업데이트하기 위하여 슬라이스 이용 가능성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슬라이스 이용 가능성 업데이트 메시지에는 S-NSSAI, 등록된 하나 이상의 단말 ID (a list of UE IDs), 즉 UE(900)의 UE ID 및 UE(901)의 UD ID, 각 단말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918 단계에서 NSACF(702)는 916 단계에서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NSACF(702)가 관리하는 단말 ID 리스트 및 현재 등록 단말 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SACF(702)는 단말 ID 리스트에 UE(900)의 UE ID, UD(901)의 UE ID를 추가할 수 있다. 또한, NSACF(702)는 단말 ID 리스트에 UE(900)의 접속 네트워크, UE(901)의 접속 네트워크를 추가할 수 있다. NSACF(702)는 현재 접속 단말 수를 등록 절차를 수행한 단말 수 만큼(도 9의 실시예의 경우, 2) 증가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916 단계의 메시지에는 S-NSSAI, 등록된 단말 ID, 단말이 접속한 복수개의 접속 네트워크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NSACF(702)는 916 단계에서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NSACF(702)가 관리하는 단말 ID 리스트 및 현재 등록 단말 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SACF(702)는 단말 ID 리스트에 UE ID를 추가할 수 있다. 또한, NSACF(702)는 단말 ID 리스트에 UE의 복수개의 접속 네트워크(3GPP 접속 및 non-3GPP 접속)를 추가할 수 있다. NSACF(702)는 현재 접속 단말 수를 등록 절차를 수행한 단말의 접속 네트워크 수 만큼 (도 9의 실시예의 경우, 2)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스 업데이트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1000)은 1010 단계 내지 1018 단계를 통해 네트워크에 등록되고, NSACF(302)는 제1 AMF(1001)의 요청에 기초하여, 단말(1000)을 현재 등록 단말 수에 포함시킬 수 있다. 1010단계 내지 1018 단계의 설명은 도 7 및 도 8에서 전술한 등록 절차와 대응될 수 있다.
1020 단계에서, 단말(1000)은 제2 AMF(1002)에게 등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AMF(1002)는 등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단말 ID(5G-GUTI)에 기초하여 단말이 이전에 접속했던 old AMF, 즉 제1 AMF(1001)를 식별할 수 있다.
1022 단계에서 제2 AMF(1002)는 제1 AMF(1001)에게 단말 ID(SUPI 또는 5G-GUTI)로 식별되는 단말의 UE context 를 요청할 수 있다.
1024 단계에서 제1 AMF(1001)는 제2 AMF(1002)에게 단말의 UE context 를 전송할 수 있다. UE context 에는, 1018 단계에서 제1 AMF(1001)가 단말(1000)에게 할당한 제1 Allowed NSSAI 정보(old Allowed NSSAI)가 포함될 수 있다.
1026 단계에서 제2 AMF(1002)는 단말(1000)에게 제2 Allowed NSSAI(new Allowed NSSAI)를 할당할 수 있으며, 1026 단계의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에는 제2 Allowed NSSAI가 포함될 수 있다.
제2 AMF(1002)는 1024 단계에서 수신한 제1 Allowed NSSAI와, 제2 AMF(1002)가 할당한 제1 Allowed NSSAI를 비교할 수 있다. 만약, 제1 Allowed NSSAI에 포함되어 있지만, 제2 Allowed NSSAI 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S-NSSAI가 있고, 해당 S-NSSAI가 NSAC 의 대상이 되는 S-NSSAI 일 경우, 제2 AMF(1002)는 1028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제2 AMF(1002)는 단말(1000)이 상기 S-NSSAI를 이전에 이용하였으나, 이제 더 이상 상기 S-NSSAI를 이용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 AMF(1002)는 단말을 상기 S-NSSAI를 위한 현재 등록 단말 수 리스트에서 제외시키고, 현재 등록 단말 수를 줄여야 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1028 단계에서, 제2 AMF(1002)는 NSACF(302)에게 슬라이스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슬라이스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에는, S-NSSAI, 단말 ID, 단말의 접속 네트워크, 단말 등록 수를 줄여야 한다는 지시자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1030단계에서 NSACF(302)는 1028 단계에서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등록 단말 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SACF(302)는 단말이 S-NSSAI를 더 이상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S-NSSAI를 위한 현재 등록 단말 ID 리스트에서 해당 단말 ID를 삭제하고, 현재 단말 수를 하나 줄일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등록 수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NSACF(1103, 1104)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NSACF(1103)와 제2 NSACF(1104)는 서로 다른 serving area 를 담당할 수 있다. Serving area는 a list of TAIs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말(1100)은 1110 단계 내지 1118 단계를 통해 네트워크에 등록하고, NSACF(302)는 제1 AMF(1001)의 요청에 기초하여, 단말(1000)을 현재 등록 단말 수에 포함시킬 수 있다. 1112단계 내지 1116 단계의 설명은 도 7 및 도 8과 유사하다. AMF(1101)는 단말(1100)의 현재 위치(단말의 TAI), 단말(1100)에게 할당한 Registration Area, NSACF 의 serving area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1112 단계 내지 1116 단계를 수행하는 NSACF를 선택할 수 있다. Registration Area에 관한 정보는 a list of TAIs로 구성될 수 있으며, Registration Area에 관한 정보는 단말의 현재 TAI를 포함할 수 있다. Registration Area에 관한 정보는 1118 단계의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에 포함되어 단말(1100)에게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MF(1101)는 단말의 현재 TAI가 NSACF의 serving area(a list of TAIs)에 포함된 NSACF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AMF(1101)는 단말의 Registration Area(a list of TAIs)가 NSACF의 serving area(a list of TAIs)에 포함된 NSACF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에는 S-NSSAI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S-NSSAI는 단말이 이용 가능하며, NSAC 대상이 되어 제1 NSACF(1103)에게 등록 단말 수로 카운팅된 S-NSSAI일 수 있다.
1120 단계에서 단말(1100)은 예를 들어, 이동/위치 변경 등으로 인해 AMF(1101)에게 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1120 단계에서 단말(1100)의 위치(TAI)는 1118 단계에서 수신한 Registration Area에 포함되지 않은 TAI일 수 있다. 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에는 S-NSSAI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S-NSSAI는 1118 단계의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에 포함된 S-NSSAI일 수 있다.
1122 단계에서, AMF(1101)는 수신한 S-NSSAI가 NSAC 대상임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AMF(1101)는 현재 단말의 위치(TAI)가 제1 NSACF(1103)의 serving area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현재 단말의 위치(TAI)가 제1 NSACF(1103)의 serving area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AMF(1101)는 단말(1100)의 현재 위치(단말의 TAI), 단말(1100)에게 신규로 할당한 Registration Area, NSACF 의 serving area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1122 단계 내지 1126 단계를 수행한 NSACF를 선택할 수 있다. 신규 Registration Area에 관한 정보는 1128 단계의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에 포함되어 단말(1100)에게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MF(1101)는 단말의 현재 TAI가 NSACF의 serving area(a list of TAIs)에 포함된 NSACF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AMF(1101)는 단말의 신규 Registration Area(a list of TAIs)가 NSACF의 serving area(a list of TAIs)에 포함된 NSACF를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1122 단계에서 선택된 NSACF(1104)는 1112 단계에서 선택된 NSACF(1103)와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단말의 위치(TAI) 변경으로 인해 이전의 NSACF(1103)의 serving area가 단말의 현재 위치(TAI)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단말의 현재 위치(TAI)를 포함하는 다른 NSACF(1104)로의 변경이 필요할 수 있다. AMF(1101)는 선택한 NSACF(1104)에게 슬라이스 이용 가능성 요청 메시지 또는 슬라이스 이용 가능성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NSACF(302)는 제1 AMF(1001)의 요청에 기초하여, 단말(1000)을 현재 등록 단말 수에 포함시킬 수 있다. 1122단계 내지 1126 단계의 설명은 도 7 및 도 8과 유사하다.
1128 단계에서 AMF(1101)는 단말(1000)에게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에는 S-NSSAI 및 신규로 할당된 Registration Area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S-NSSAI는 단말이 이용 가능하며, NSAC 대상이 되어 제2 NSACF(1104)에게 등록 단말 수로 카운팅된 S-NSSAI일 수 있다.
동일한 단말(1100)에 대한 S-NSSAI 를 이용중인 단말 수 카운팅을 담당하는 NF가 NSACF(1103)에서 NSACF(1104)로 변경되었으므로, NSACF(1103)에 저장되어 있는 단말(1100)관련 정보를 삭제하고, NSACF(1103)가 관리하는 현재 단말 등록 수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이는 두 개의 방법 중 하나(A 또는 B)로 수행될 수 있다. 방법 A는 AMF(1101)가 트리거하는 방법이다. 방법 B는 NSACF(1104)가 트리거하는 방법이다.
방법 A에 따르면, AMF(1101)는 1130 단계 내지 1134 단계를 수행하여, NSACF(1103)에 저장되어 있는 단말(1100)관련 정보를 삭제하고, NSACF(1103)가 관리하는 현재 단말 등록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1130 단계 내지 1134 단계는 도 8에서 설명한 단말 등록 수 감소 절차와 대응될 수 있다.
방법 B에 따르면, NSACF(1104)는 1140 단계에서 NSACF(1103)에게 슬라이스 이용 가능성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NSACF(1104)는, NSACF(1104)에 저장된 지역 설정 정보(local configuration)에 기초하여 NSACF(1103)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NSACF(1104)는 1122 단계에서 AMF(1101)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NSACF(1103)를 결정할 수 있다. 즉, 1122 단계의 메시지에는 NSACF(1103)관련 정보(NSACF의 NF ID 등)가 포함될 수 있다.
슬라이스 이용 가능성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에는, S-NSSAI, 단말 ID, 단말의 현재 접속 네트워크 정보(예: 3GPP, Non-3GPP 등)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스 이용 가능성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에는, 단말 등록 수를 줄여야 한다는 지시자가 포함될 수 있다.
1142 단계에서 NSACF(1103)는, 수신한 S-NSSAI의 현재 접속 단말 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1142 단계에서 NSACF(1103)가 현재 접속 단말 수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은 도 8에서 전술한 접속 단말 수를 업데이트 하는 방법과 대응될 수 있다.
현재 접속 단말 수를 업데이트한 NSACF(1103)는, 1144 단계에서 NSACF(1104)에게 슬라이스 이용 가능성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스 이용 가능성 업데이트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을 참조하면, 단말(1200)은 1210 단계 내지 1218 단계를 통해 네트워크에 등록하고, NSACF(1203)는 제1 AMF(1201)의 요청에 기초하여, 단말(1200)을 현재 등록 단말 수에 포함시킬 수 있다. 1210단계 내지 1218 단계는 도 11의 1110 단계 내지 1118 단계와 대응될 수 있다.
1220 단계에서 단말(1200)은 예를 들어 이동/위치 변경 등으로 인해 제2 AMF(1002)에게 등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1220 단계에서 단말(1200)의 위치(TAI)는 1218 단계에서 수신한 Registration Area에 포함되지 않은 TAI일 수 있다. 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에는 S-NSSAI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S-NSSAI는 1218 단계의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에 포함된 S-NSSAI일 수 있다. 제2 AMF(1202)는 등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단말 ID(5G-GUTI)에 기초하여 단말이 이전에 접속했던 old AMF, 즉 제1 AMF(1201)를 식별할 수 있다.
1222 단계에서 제2 AMF(1202)는 제1 AMF(1201)에게 단말 ID(SUPI 또는 5G-GUTI)로 식별되는 단말의 UE context 를 요청할 수 있다. 요청 메시지에는 단말의 현재 위치(TAI)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요청 메시지에는 제2 AMF(1202)가 지원 가능한 서비스 영역 (a list of TAIs)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1224 단계에서 제1 AMF(1201)는 제2 AMF(1202)에게 단말의 UE context 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AMF(1201)는 1212 단계 내지 1216 단계에서 단말(1200)의 등록 수를 관리하고 있는 NSACF(1203)의 serving area와 1222 단계에서 수신한 단말(1200)의 현재 TAI 정보 및/또는 제2 AMF(1202)가 지원 가능한 서비스 영역 (a list of TAIs)를 비교할 수 있다. 만약, 단말(1200)의 현재 TAI 정보 또는 제2 AMF(1202)가 지원 가능한 서비스 영역 (a list of TAIs)가 NSACF(1203)의 serving area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제1 AMF(1201)는 NSACF(1203)의 현재 등록 단말 수를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1 AMF(1201)는 단말(1200)이 NSACF(1203)의 serving area 영역 밖으로 이동했다고 판단하여, NSACF(1203)가 저장하고 있는 단말(1200) 정보를 삭제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1226 단계에서 제1 AMF(1201)는 NSACF(1203)에게 슬라이스 이용 가능성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1226 단계 내지 1228 단계는 도 8에서 전술한 814 단계 내지 818 단계와 대응될 수 있다. 1228 단계에서 NSACF(1203)는 NSACF(1203)의 serving area 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된 단말(1200)의 정보를 삭제하고, 현재 등록 단말 수를 줄일 수 있다.
1224 단계의 UE context 를 수신한 제2 AMF(1202)는, 1230 단계 내지 1232 단계를 통해 등록 절차를 계속 수행할 수 있다.
제2 AMF(1202)는 수신한 S-NSSAI가 NSAC 대상임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2 AMF(1202)는 현재 단말의 위치(TAI) 및/내지 제2 AMF(1202)가 할당한 Registration Area에 기초하여 NSACF를 선택할 수 있다. 1230 단계에서, 제2 AMF(1202)는 선택한 NSACF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업데이트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선택된 NSACF는 1214 단계를 수행한 NSACF와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1230 단계는 도 7에서 전술한 네트워크 슬라이스 업데이트 절차와 대응될 수 있다.
1232 단계에서 제2 AMF(1202)는 단말(1200)에게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에는 S-NSSAI가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개시의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개시를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

  1.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제 1 네트워크 엔티티가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PDU 세션 릴리즈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PDU 세션 릴리즈 요청에 기초하여, 수립된 PDU 세션의 종료를 결정하는 단계;
    제 2 네트워크 엔티티에 슬라이스 이용 가능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슬라이스 이용 가능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단말에 PDU 세션 릴리즈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10046675A 2021-04-09 2021-04-0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140318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675A KR20220140318A (ko) 2021-04-09 2021-04-0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17/716,709 US20220330139A1 (en) 2021-04-09 2022-04-08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network sl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2785031.0A EP4316188A1 (en) 2021-04-09 2022-04-08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network sl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KR2022/005157 WO2022216123A1 (en) 2021-04-09 2022-04-08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network sl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202280027013.0A CN117121629A (zh) 2021-04-09 2022-04-08 无线通信系统中用于网络切片管理的方法及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675A KR20220140318A (ko) 2021-04-09 2021-04-0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318A true KR20220140318A (ko) 2022-10-18

Family

ID=83509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6675A KR20220140318A (ko) 2021-04-09 2021-04-0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330139A1 (ko)
EP (1) EP4316188A1 (ko)
KR (1) KR20220140318A (ko)
CN (1) CN117121629A (ko)
WO (1) WO20222161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11727B1 (en) * 2021-03-16 2023-07-25 Amazon Technologies, Inc. Provisioning radio-based networks on demand
WO2024077582A1 (en) * 2022-10-14 2024-04-18 Nokia Shanghai Bell Co., Ltd. Security counter measure for distributed network slice admission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59605A1 (en) * 2019-03-13 2022-05-19 Convida Wireless, Llc Dynamic network capability configuration
US20220256439A1 (en) * 2019-06-10 2022-08-11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enforcement of maximum number of user equipments per network slice in a communication system
EP3989637A4 (en) * 2019-09-20 2022-08-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ATA RAT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4039050A1 (en) * 2019-10-03 2022-08-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slice bit rate enforc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16123A1 (en) 2022-10-13
CN117121629A (zh) 2023-11-24
US20220330139A1 (en) 2022-10-13
EP4316188A1 (en) 2024-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4506961A (ja) エッジアプリケーションサーバディスカバリ方法及び装置
KR20200143134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203301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network sl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10136486A (ko)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이용하여 에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20042796A (ko) 망 연동 시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3025420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dge computing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2031230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ssion manag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2013513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세션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7280754A (zh) 用于支持在网络之间的ue移动性的方法和设备
KR20220020658A (ko) Mbs 서비스 영역에서의 mbs 서비스 지원 방법 및 장치
US202301334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etwork slices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US202202644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network sl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1098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registration of network sl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14551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session connection mode using network data analytics fun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2023005101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등록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30199484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 plane-based registration and remote provisioning in communication system
EP4266816A1 (en) Session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2401475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network sl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3075522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할당 방법 및 장치
KR20230116359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에지 컴퓨팅 트래픽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09649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간 인터워킹 지원 방법 및 장치
KR2024004720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에지 컴퓨팅 리소스를 공유 및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40035155A (ko)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In-Network Computing을 지원하기 위한 메세지 전달 방법
KR2024002105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연합 학습 서비스 지원 방법 및 장치
KR2023011669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과금 서비스를 위한 upf 이벤트 노출 서비스를 이용하는 통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