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0285A - 어버트먼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어버트먼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0285A
KR20220140285A KR1020210046591A KR20210046591A KR20220140285A KR 20220140285 A KR20220140285 A KR 20220140285A KR 1020210046591 A KR1020210046591 A KR 1020210046591A KR 20210046591 A KR20210046591 A KR 20210046591A KR 20220140285 A KR20220140285 A KR 20220140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utment
washer
crown
screw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6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1331B1 (ko
Inventor
김성로
이영석
허재찬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6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1331B1/ko
Publication of KR20220140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0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3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internal slee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70Tooth crowns; Mak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7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dditional friction enhan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lygonal positional means, e.g. hexagonal or octag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74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xternal thr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75Implant heads specially designed for receiving an upper 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쳐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 상기 어버트먼트의 상부면에 안착되며, 중심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인공치아 형상의 크라운; 상기 관통홀의 위에서 삽입되어, 상기 크라운의 내면과 맞닿는 와셔; 및 상기 와셔를 통과하여 상기 어버트먼트에 결합되는 스크류; 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의 삽입시, 상기 와셔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힘이 가해져 상기 와셔와 상기 크라운은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어버트먼트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어버트먼트 어셈블리{ABUTMENT ASSEMBLY}
본 발명은 어버트먼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과용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어버트먼트에 크라운을 조립가능한 간단한 구조의 어버트먼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란 자연치아와 동일한 형태와 기능을 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인공 대체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치조골에 설치되도록 자연치아의 치근 형태를 본뜬 티타늄 재질의 픽스쳐와, 상기 픽스쳐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고 그 상부에 인공치아가 결합되는 어버트먼트와, 상기 픽스쳐와 어버트먼트를 서로 고정시키는 고정나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임플란트의 시술법은 다양하게 있을 수 있는데, 그 중 일예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드릴링 및 탭핑 과정을 거쳐 픽스쳐 치수에 부합하는 홈을 형성하고, 픽스쳐 상부에 마운트를 체결한다. 그리고 나서 수술용 핸드 피스를 이용하여 픽스쳐와 마운트를 치조골에 매식한 다음 마운트를 픽스쳐에서 제거함으로써, 치조골에 픽스쳐를 매식하게 된다. 그리고 픽스쳐의 상부에 덮개 나사를 체결하여 픽스쳐를 봉합함으로써 1차 수술이 완료된다.
덮개 나사는 픽스쳐의 골융합을 기다리는 동안 구강 내에 존재하는 세균 및 이물질이 픽스쳐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차단한다. 골융합 기간은 환자의 골질과 매식 위치에 따라 다소 상이하지만, 일반적으로 3개월 내지 6개월이 소요된다.
이어서, 2차 수술을 통해 잇몸을 열어 덮개 나사를 노출시킨 후 픽스쳐의 골융합 정도를 확인하고 덮개 나사를 제거한다. 그리고 심미적인 잇몸 형성을 위해 힐링 어버트먼트를 픽스쳐의 상부에 체결하고, 2주 내지 3주 동안 기다린다. 근래에는 이러한 2차 시술법의 복잡성을 개선하기 위해, 덮개 나사를 체결 및 제거하는 과정을 생략하고, 바로 힐링 어버트먼트를 체결하는 1차 시술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다음으로, 심미적인 잇몸 형성을 확인한 후 힐링 어버트먼트를 제거하고, 보철물 제작을 위해 임프레션 코핑을 픽스쳐 상부에 체결한다. 이어서 인상재를 사용하여 구강 내에서 예비 인상을 채득하고 임프레션 코핑을 제거한다. 그런 다음에, 치아 모형을 제작하고 인공치아를 기공한 후 픽스쳐 상부에 어버트먼트를 체결하고, 지대주에 보철물 즉 인공치아를 고정하여 인공치아를 완성한다.
이 때, 어버트먼트에 인공 치아인 보철물을 결합하는 방식으로는 크게 스크류 체결 방식, 시멘트 접착 방식 및 상기 두 방식을 조합하여 쓰는 방식이 있다.
먼저, 스크류 체결 방식의 경우, 어버트먼트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크라운을 치조골에 매식된 픽스쳐에 스크류로 체결하는 방식이지만, 크라운의 주조시 수축으로 인한 변형이 발생 가능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시멘트 접착 방식은, 어버트먼트를 픽스쳐에 먼저 체결하고 나서, 어버트먼트의 상부면에 크라운을 치과용 시멘트로 접착하는 방식이고, 스크류 체결 방식과 시멘트 접착 방식을 조합하여 쓰는 방식은, 크라운을 어버트먼트에 치과용 시멘트로 접착하여 고정한 이후, 픽스쳐에 스크류로 체결하는 방식이다.
다만, 시멘트 접착 방식과 스크류 체결 방식과 시멘트 접착 방식을 조합하여 쓰는 방식에서는 크라운의 외부로 노출된 시멘트를 제거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설령 이를 깨끗하게 제거하더라도, 크라운 내의 시멘트가 녹으면서 환자의 구강 내로 누출되어 치은염증이 유발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임플란트가 탈락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치과용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보철물과 어버트먼트를 고정할 수 있는 어버트먼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쳐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 상기 어버트먼트의 상부면에 안착되며, 중심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인공치아 형상의 크라운; 상기 관통홀의 위에서 삽입되어, 상기 크라운의 내면과 맞닿는 와셔; 및 상기 와셔를 통과하여 상기 어버트먼트에 결합되는 스크류; 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의 삽입 시, 상기 와셔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힘이 가해져 상기 와셔와 상기 크라운은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어버트먼트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는, 어버트먼트 바디; 상기 어버트먼트 바디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픽스쳐에 결합되는 나사부; 및 상기 어버트먼트 바디 상단에 위치하며, 상기 스크류와 결합되는 돌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와 상기 크라운의 상대적인 회전은 방지되도록, 상기 돌출부는, 반경방향에 수직한 면으로 이루어는 회전방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크라운은, 상기 회전방지면에 대응되는 회전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면은 상기 돌출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인접한 회전방지면과 등간격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마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찰홈은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마찰홈은 인접한 마찰홈과 서로 등간격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와셔가 상기 관통홀을 따라 하단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관통홀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단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는, 상부면에 다각형 형상의 렌치홈이 형성되는 머리부; 두께가 점차 감소하도록 연장되는 테이퍼부; 및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연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가 상기 와셔내로 삽입될 때, 상기 테이퍼부에 의해 상기 와셔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힘이 가해져 상기 와셔와 상기 크라운은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와셔에는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탄성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 내면에는 상기 탄성돌기에 대응되는 탄성홈이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돌기는 상기 와셔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에는 힐링 캡 또는 스캔 바디가 체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어버트먼트, 크라운, 스크류 및 와셔 상호간의 결합구조에 의해 치과용 시멘트 없이도 어버트먼트에 크라운을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버트먼트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4(a) 는 도 1을 A-A'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1을 B-B'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크라운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스크류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 은 본 발명의 와셔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 1' 또는 '제 2' 와 같은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나, 해당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은 서수에 의해 한정되지 않아야 한다.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 요소 또는 단계를 다른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용도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버트먼트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 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버트먼트 어셈블리(1)는 픽스쳐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어버트먼트(100), 크라운(200), 스크류(300) 및 와셔(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픽스쳐는 임플란트의 뿌리 역할을 하도록 자연치아의 치근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치조골의 내측으로 삽입 결합된다. 이 때, 픽스쳐의 외주면 나사부는 치조골 내부를 파고들면서 체결될 수 있도록 삼각나사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픽스쳐의 내측벽에는 암나사가 설치되며, 상기 암나사에는 어버트먼트(100)가 결합된다.
어버트먼트(100)는 하단은 픽스쳐에 고정 결합되며, 상단은 크라운(200)과 맞닿는 것으로서, 어버트먼트 바디(110), 나사부(120) 및 돌출부(130)로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어버트먼트 바디(110)는 그 중심축(X)을 기준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어버트먼트(100)의 외주면은 사람의 잇몸이 접촉하는 잇몸접촉부(111)로 이루어진다. 잇몸접촉부(111)는, 치조골에 픽스쳐가 골융합된 후, 절개된 잇몸 부위가 기존의 잇몸과 같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도록 곡률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어버트먼트 바디(110)의 상부면(112)에는 크라운(200)의 하단면이 지지된다.
나사부(120)는 어버트먼트 바디(110)의 하단부 중심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나사부(120)의 외주면에는 전술한 픽스쳐의 내측벽에 형성된 암나사에 대응되는 수나사(121)가 형성된다.
돌출부(130)는 어버트먼트 바디(110)의 상단부 중심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그 상부면에는 크라운(200)의 단턱부(230)가 지지된다. 돌출부(130)의 외주면은 상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좁아지지는 경사면(131)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돌출부(130)의 경사면(131) 하단에는 복수개의 회전방지면(132)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방지면(132)은 크라운(200)이 어버트먼트(10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돌출부(130)의 반경방향에 수직한 면으로 이루어지고, 후술할 바와 같이 크라운(200)에는 상기 회전방지면(132)에 대응되는 회전방지부(221)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크라운(200)이 접촉하는 돌출부(130)의 경사면(131)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1 개 이상의 마찰홈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마찰홈에 의해, 크라운(200)과 어버트먼트(100)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어 크라운(200)이 어버트먼트(100)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찰홈은 인접하는 마찰홈간 등간격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회전방지면(132)은 돌출부(13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인접한 회전방지면(132)간 등간격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 를 참조하면, 회전방지면(132)은 상측에서 관찰 시 육각 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각 홈 또는 팔각 홈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돌출부(130)의 중심부에는 중심축(X)방향으로 함몰되는 함몰홈(133)이 형성되고, 상기 함몰홈(133)의 내면에는 스크류(300)의 수나사(331)에 대응되는 암나사(134)가 형성된다.
한편, 어버트먼트(100)에는 크라운(200)뿐만 아니라 스캔바디 또는 힐링 캡이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캔 바디 또는 힐링 캡은 어버트먼트(100)의 상부면(112)과 돌출부(13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4(a) 는 도 1을 A-A'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1을 B-B'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크라운(200)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5 를 참조하면, 크라운(200)은 인공 치아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서 치과 기공소에서 등록된 라이브러리를 바탕으로 CAD(Computer Aided Design) 또는 CAM(Computer Aided Manufacturing) 시스템을 통해 맞춤형으로 가공될 수 있다. 크라운(200)은 지르코니아(Zircornia)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크라운(200)의 중심부에는 상단과 하단을 관통하는 관통홀(210)이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관통홀(210)은 전술한 어버트먼트(100)의 돌출부(130)에 형성된 함몰홈(133)과 그 중심이 일치하도록 정렬되고, 스크류(300)는 관통홀(210)을 통과하여 함몰홈(133)의 암나사(134)에 결합한다. 이 경우, 종래와 같이 어버트먼트(100)의 외주면에 치과용 접착제를 바르지 않더라도 크라운(200)을 어버트먼트(100)에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크라운(200)과 어버트먼트(100)가 결합되면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크라운(200)에는 전술한 회전방지면(132)의 형상에 대응되는 회전방지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관통홀(210) 하부 내면에는 전술한 돌출부(130)의 경사면(131)에 대응되는 지지면(220)이 형성되고, 지지면(220) 하단부에는, 회전방지면(132)과 마찬가지로 중심축(X)의 반경방향으로부터 수직한 면으로 이루어지는 회전방지부(221)가 형성된다.
이때, 크라운(200)에는 서로 마주하고 있는 여러 쌍의 회전방지면(132) 중 한 쌍의 회전방지면(132)에 대응되는 회전방지부(221)만 형성되어도, 회전방지면(132)과 회전방지부(221)가 접촉하게 되면 어버트먼트(100)과의 상대적인 회전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에, 회전방지부(221)는 돌출부(130)의 모든 회전방지면(132)에 대응되는 개수만큼 형성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도 4(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A-A' 방향에는 회전방지면(132)에 대응되는 회전방지부(221)가 형성되면, 도 4(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B-B' 방향에는 회전방지부(221)는 형성되지 않고 지지면(220)이 그 하단부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회전방지부(221)는 돌출부(130)의 모든 회전방지면(132)에 대응되는 개수만큼 형성되어도 좋고, 아울러 회전방지부(221)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크라운(200)의 관통홀(210) 내면의 중심부에는 중심축(X)을 향해 돌출되는 단턱부(230)가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단턱부(230)는 관통홀(210)에서 내경이 가장 작게 형성되는 부위로서, 와셔(400)가 상기 관통홀(210)로 인입되는 경우, 와셔(400)의 하단부가 상기 단턱부(230)에 걸려 와셔(400)가 관통홀(210) 하단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관통홀(210)의 내면 상측에는, 후술할 와셔(400)의 탄성돌기(431)에 대응되는 탄성홈(240)이 함몰형성되고, 이는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이 때, 탄성홈(240)의 위치는 관통홀(210)의 상측 또는 하측 형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5(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관통홀(210)의 내면중 어느 곳에 형성되어도 좋다.
아울러, 탄성홈(240)은 관통홀(210) 내면에 복수개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서로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 은 본 발명의 스크류(300)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스크류(300)는 크라운(200)의 관통홀(210)을 통과하여 크라운(200)의 하단에 위치하는 어버트먼트(100)의 돌출부(130)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머리부(310), 테이퍼부(320) 및 연장부(330)로 이루어진다.
머리부(310)에는 그 상면에 치과용 렌치를 끼워넣고 회전시킬 수 있도록 렌치홈(31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 에서는 렌치홈(311)은 머리부(310)의 내측벽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함몰형성된 6개의 홈을 구비하여 육각형의 치과용 렌치가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렌치홈(311)은 삼각, 사각 또는 오각 형상의 치과용 렌치에 대응되게 홈의 개수를 달리 형성시킬 수 있을 것이다.
테이퍼부(320)는 머리부(310)와 연장부(330)를 연결하는 부위로서, 하단부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후술할 바와 같이, 크라운(200)의 관통홀(210)에 와셔(400)가 인입되고 나서, 스크류(300)가 와셔(400) 내로 밀어넣어지면, 스크류(300)의 테이퍼부(320)에 의해 와셔(400)의 탄성부(430)의 내주면이 점차적으로 눌려져 탄성부(430) 각각에 대해 반경방향으로의 힘, 즉 크라운(200) 내면을 향하는 힘이 가해져, 와셔(400)와 크라운(200) 사이의 결합이 견고해진다.
연장부(330)는 테이퍼부(320)에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원기둥의 형상으로서, 그 외주면에는 크라운(200)의 관통홀(210)을 통과하여 함몰홈(133)의 암나사(134)와 결합하는 수나사(331)가 형성된다.
한편, 도 6(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스크류(300)의 길이, 테이퍼부(320)의 각도 및 길이 등은 와셔(400) 및 크라운(20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와셔(400)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 을 참조하면, 와셔(400)는 크라운(200)의 관통홀(210) 상측에서 삽입되어 스크류(300)와 크라운(200)을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것으로서, 상기 관통홀(210)에 대응되는 중심홀(410)이 형성되는 고리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와셔(400)의 외주면은 크라운(200)의 관통홀(210) 내주면과 접한다. 바람직하게는, 와셔(400)와 크라운(200)의 접촉면적이 확대되도록 와셔(400)는 중심축(X)방향으로 소정거리 연장될 수 있다.
와셔(400)의 하단면은 전술한 크라운(200)의 단턱부(230)의 상부면에 지지되는 부위로서, 이는 단턱부(230)의 상부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단턱부(230)의 상부면과, 와셔(400)의 하단면에 서로 대응되는 요철이 형성되는 경우, 와셔(400)와 크라운(200)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와셔(400)의 내주면 하단부에는 스크류(300)의 수나사(331)에 대응되는 암나사가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와셔(400)와 스크류(300)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와셔(400)는 세로방향의 절개홈(420) 및 상기 절개홈(420)에 의해 구분되는 탄성부(430)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도 7(a) 및 7(c)에 참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개홈(420, 420'')은 와셔(400, 400'')의 상단부에서 중심부까지 하측 방향으로 함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개의 절개홈(420, 420'')은 와셔(400, 4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인접한 절개홈(420, 420'')간 등간격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7(b)에 참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셔(400')는 와셔(400')의 상단부에서 중심부까지 하측 방향으로 함몰되는 제 1 절개홈(420a') 뿐만 아니라, 와셔(400')의 하단부에서 중심부까지 상측 방향으로 함몰되는 제 2 절개홈(420b')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절개홈(420a')과 제 2 절개홈(420b')은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절개홈(420a')과 인접한 제 2 절개홈(420b')은 와셔(4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인접한 절개홈(420a', 420b')간 등간격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7(d)에 참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개홈(420''')은 와셔(400''')의 하단부에서 중심부까지 상측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와셔(400''')는 도 5(b)의 관통홀(210) 중심부에 탄성홈(240')이 형성되는 크라운(200')과 결합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개의 절개홈(420''')이 와셔(400''')의 둘레방향을 따라 인접한 절개홈(420''')간 등간격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7(e)에 참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개홈(420'''')은 와셔(40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절개홈(420'''')은 와셔(400'''')의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와셔(400)에 하나 이상의 절개홈(420)을 형성하면, 와셔(400)를 관통홀(210)에 인입시 관통홀(210) 내경의 축소에 따라 탄성부(430)가 반경방향으로 축소하여, 와셔(400)의 삽입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고, 아울러 스크류(300)의 삽입시 탄성부(430)는 바깥방향으로 벌어져 크라운(200)의 내면에 압착될 수 있다.
아울러, 탄성부(430)의 외주면에는 전술한 크라운(200)의 탄성홈(240)에 대응되는 탄성돌기(43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7(a) 내지 도 7(c)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탄성부(430) 상단부에는 와셔(400, 400'')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탄성돌기(431, 431'')가 와셔(400, 4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와셔(400)가 크라운(200)의 관통홀(210)에 인입하게 되면, 탄성부(430)는 상대적으로 내경이 좁은 관통홀(210)을 지나며 내측으로 오므려지게되고, 탄성홈(240)을 지날 때 순간적으로 관통홀(210)의 내경이 커지게되면서 오므려졌던 탄성부(430)가 탄성력에 의해 확장되고, 이에 탄성돌기(431)가 탄성홈(240)에 탄성적으로 결합하게 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와셔(400)의 외경이 크라운(20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와셔(400)가 관통홀(210)에 걸리지 않고 삽입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탄성돌기가 와셔(400)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등간격으로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관통홀(210)의 내면에는 상기 탄성돌기에 대응되는 안내홈이 상기 탄성홈(240)까지 연결되도록 세로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와셔(400)의 탄성돌기를 상기 안내홈과 정렬시켜 아래방향으로 삽입하고, 탄성돌기가 안내홈 하단부에 위치하는 탄성홈(240)에 도달시, 와셔(400)를 회전시키면, 탄성돌기가 안내홈으로부터 소정거리 이동되어, 탄성홈(240)에 단단히 고정된다. 추후 탄성홈(240)에서 와셔(400)를 해제하는 경우, 상기 탄성돌기가 상기 안내홈에 위치하도록 상기 와셔(400)를 회전시키고 나서 상기 안내홈을 따라 와셔(400)를 들어올리면 된다.
한편, 도 7(d) 및 도 7(e) 에 나타나는 것처럼, 탄성돌기(431''', 431'''')은 와셔(400''', 400'''')의 외주면 하단부에 형성되어도 무방하고, 이 경우 도 5(b)의 관통홀(210) 중심부에 탄성홈(240')이 형성되는 크라운(200')과 탄성적으로 결합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와셔(400)의 탄성부(430)의 내주면은 그 두께가 상단으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경사면은 스크류(300)의 테이퍼부(320)에 의해 바깥방향으로 확장되도록 탄성 변형되어, 크라운(200)의 탄성홈(240)에 압착되어 고정된다. 상세하게는, 크라운(200)의 관통홀(210)에 와셔(400)가 인입되고 나서, 스크류(300)가 관통홀(210) 내로 밀어넣어지면, 스크류(300)의 테이퍼부(320)에 의해 탄성부(430)의 내주면이 점차적으로 눌려져 탄성부(430) 각각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으로의 힘, 즉 크라운(200) 내면을 향하는 힘이 가해져, 와셔(400)와 크라운(200) 사이의 결합이 견고해진다. 즉, 탄성부(430)를 상단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함으로써, 탄성 변형이 더 쉽게 이루어지고 아울러 고정 강도도 더 커지게 하는 것이다.
이 때, 탄성부(430)의 경사면은 스크류(300)의 테이퍼부(320)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버트먼트 어셈블리(1)의 시술과정에 대해 상세히 서술한다.
먼저, 드릴을 이용해서 치조골에 천공하여 픽스쳐를 식립하여 골융합시킴으로써, 인공치근을 형성한다. 픽스쳐의 골융합이 완료되면 픽스처의 내측벽에 형성된 암나사에 어버트먼트(100) 나사부(120)의 수나사(121)를 결합시켜 끼운다. 이 때, 크라운(200)을 씌우기 전에 잇몸이 잘 아물 수 있도록 모양을 만들어줄 필요가 있다면 어버트먼트(100)에 힐링 캡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이후, 잇몸이 잘 아물게되면, 힐링 캡을 제거하고, 어버트먼트(100)의 돌출부(130)에 형성된 회전방지면(132)과 크라운(200)의 회전방지부(221)가 정렬되도록 하여, 크라운(200)을 어버트먼트(100) 상부면(112)에 안착시킨다.
이어서, 크라운(200)의 관통홀(210)에 와셔(400)를 밀어넣으면, 와셔(400)의 탄성부(430)는 상대적으로 내경이 좁은 관통홀(210)을 지나며 내측으로 오므려지게되고, 탄성홈(240)을 지날 때 순간적으로 관통홀(210)의 내경이 커지게되면서 오므려졌던 탄성부(430)가 탄성력에 의해 펼쳐지게되고, 이에 탄성돌기(431)가 탄성홈(240)에 탄성적으로 결합하게 된다.
아울러, 와셔(400)의 중심홀(410)에 스크류(300)를 삽입하여, 어버트먼트(100)의 함몰홈(133)에 결합하게 되면, 스크류(300)의 테이퍼부(320)에 의해, 와셔(400)의 탄성부(430)가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되면서 와셔(400)와 크라운(200) 사이의 결합이 견고해지게 된다.
상기에서는, 크라운(200)을 어버트먼트(100)에 결합시킨 뒤에, 와셔(400)를 크라운(200) 내로 삽입하는 순서로 서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먼저 크라운(200)과 와셔(400)를 결합시킨 이후에, 와셔(400)와 일체화된 크라운(200)을 어버트먼트(100)에 조립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어셈블리(1)에 따르면, 어버트먼트(100), 크라운(200), 스크류(300) 및 와셔(400) 상호간의 결합구조에 의해 치과용 시멘트 없이도 어버트먼트(100)에 크라운(200)을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어버트먼트 어셈블리
100 어버트먼트
110 어버트먼트 바디
111 잇몸접촉부
112 상부면
120 나사부
121 수나사
130 돌출부
131 경사면
132 회전방지면
133 함몰홈
134 암나사
200, 200' 크라운
210 관통홀
220 지지면
221 회전방지부
230 단턱부
240, 240' 탄성홈
300, 300' 스크류
310 머리부
311 렌치홈
320 테이퍼부
330 연장부
331 수나사
400, 400', 400'', 400''', 400'''' 와셔
410 중심홀
420, 420a', 420b', 420'', 420''', 420'''' 절개홈, 제 1 절개홈, 제 2 절개홈
430 탄성부
431, 431', 431'', 431''', 431'''' 탄성돌기
X 중심축

Claims (12)

  1.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쳐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
    상기 어버트먼트의 상부면에 안착되며, 중심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인공치아 형상의 크라운;
    상기 관통홀의 위에서 삽입되어, 상기 크라운의 내면과 맞닿는 와셔; 및
    상기 와셔를 통과하여 상기 어버트먼트에 결합되는 스크류; 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의 삽입시, 상기 와셔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힘이 가해져 상기 와셔와 상기 크라운은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어버트먼트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는,
    어버트먼트 바디;
    상기 어버트먼트 바디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픽스쳐에 결합되는 나사부; 및
    상기 어버트먼트 바디 상단에 위치하며, 상기 스크류와 결합되는 돌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와 상기 크라운의 상대적인 회전은 방지되도록,
    상기 돌출부는, 반경방향에 수직한 면으로 이루어는 회전방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크라운은, 상기 회전방지면에 대응되는 회전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면은 상기 돌출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인접한 회전방지면과 등간격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어셈블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마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어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홈은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마찰홈은 인접한 마찰홈과 서로 등간격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어셈블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가 상기 관통홀을 따라 하단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관통홀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단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어셈블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는,
    상부면에 다각형 형상의 렌치홈이 형성되는 머리부;
    두께가 점차 감소하도록 연장되는 테이퍼부; 및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연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어셈블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가 상기 와셔내로 삽입될 때, 상기 테이퍼부에 의해 상기 와셔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힘이 가해져 상기 와셔와 상기 크라운은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어셈블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에는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탄성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 내면에는 상기 탄성돌기에 대응되는 탄성홈이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어셈블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돌기는 상기 와셔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어셈블리.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에는 힐링 캡 또는 스캔 바디가 체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어셈블리.
KR1020210046591A 2021-04-09 2021-04-09 어버트먼트 어셈블리 KR102551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591A KR102551331B1 (ko) 2021-04-09 2021-04-09 어버트먼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591A KR102551331B1 (ko) 2021-04-09 2021-04-09 어버트먼트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285A true KR20220140285A (ko) 2022-10-18
KR102551331B1 KR102551331B1 (ko) 2023-07-05

Family

ID=83803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6591A KR102551331B1 (ko) 2021-04-09 2021-04-09 어버트먼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13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2982B1 (ko) * 2022-12-01 2024-03-05 (주)아름덴티스트리 무시멘트 어버트먼트 조립체
KR102665070B1 (ko) * 2023-01-31 2024-05-13 송용준 치과 임플란트 조립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15960A (ja) * 2011-05-16 2014-07-07 バイオメット・3アイ・エルエルシー 仮の補綴物アセンブリ、及びアバットメントを作製する方法
KR101499893B1 (ko) * 2013-12-26 2015-03-06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KR20190136480A (ko) * 2018-05-31 2019-12-10 주식회사 메디덴 치과용 임플란트
KR20200014558A (ko) * 2018-08-01 2020-02-11 (주) 에이앤비바이오메디 어버트먼트 조립체
KR102198237B1 (ko) * 2020-01-14 2021-01-05 (주) 코웰메디 탄성부싱을 이용한 무시멘트 타입 치과용 임플란트
KR102198233B1 (ko) * 2019-12-16 2021-01-05 (주) 코웰메디 무시멘트 타입 치과용 임플란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15960A (ja) * 2011-05-16 2014-07-07 バイオメット・3アイ・エルエルシー 仮の補綴物アセンブリ、及びアバットメントを作製する方法
KR101499893B1 (ko) * 2013-12-26 2015-03-06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KR20190136480A (ko) * 2018-05-31 2019-12-10 주식회사 메디덴 치과용 임플란트
KR20200014558A (ko) * 2018-08-01 2020-02-11 (주) 에이앤비바이오메디 어버트먼트 조립체
KR102198233B1 (ko) * 2019-12-16 2021-01-05 (주) 코웰메디 무시멘트 타입 치과용 임플란트
KR102198237B1 (ko) * 2020-01-14 2021-01-05 (주) 코웰메디 탄성부싱을 이용한 무시멘트 타입 치과용 임플란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2982B1 (ko) * 2022-12-01 2024-03-05 (주)아름덴티스트리 무시멘트 어버트먼트 조립체
KR102665070B1 (ko) * 2023-01-31 2024-05-13 송용준 치과 임플란트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1331B1 (ko) 202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1421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US6217331B1 (en) Single-stage implant system
KR100677870B1 (ko) 치유 지대주 및 그를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US6431866B2 (en) Heal in-place abutment system
US6758672B2 (en) Preparation coping for creating an accurate permanent post to support a final prosthesis and method for creating the same
US5989028A (en) Non-submergible, one-part, root-form endosseous dental implants
KR101966407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KR20190136480A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2551331B1 (ko) 어버트먼트 어셈블리
US20040038179A1 (en) Healing abutment
US20100143869A1 (en) Internal cone dental implant
KR102470652B1 (ko) 향상된 체결구조를 갖는 임플란트용 임프레션 코핑
KR20200014558A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KR20210076401A (ko) 임플란트 크라운의 회전을 방지하는 지대주
US20180177573A1 (en) Dental implant system
KR20220140286A (ko) 어버트먼트 어셈블리의 와셔
JP2012075466A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
JP2010252902A (ja) インプラント
KR102198248B1 (ko) 레진광중합힐링부가 구비된 힐링 어버트먼트
KR102208556B1 (ko) 임플란트 구조체 및 어버트먼트
KR102642982B1 (ko) 무시멘트 어버트먼트 조립체
KR200428093Y1 (ko) 치유 지대주 및 그를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KR20240011480A (ko) 어버트먼트 어셈블리
EP1502558B1 (en) Single-stage implant system
KR20230162851A (ko) 치과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