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9805A - 재구성가능한 스탠드 생태계 - Google Patents

재구성가능한 스탠드 생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9805A
KR20220139805A KR1020220042332A KR20220042332A KR20220139805A KR 20220139805 A KR20220139805 A KR 20220139805A KR 1020220042332 A KR1020220042332 A KR 1020220042332A KR 20220042332 A KR20220042332 A KR 20220042332A KR 20220139805 A KR20220139805 A KR 20220139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bar
housing
electronic devic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2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브레트 더블유. 디그너
케빈 엠. 로빈슨
크리스토프 엠. 피스터
메르다드 후쉬만드
사이먼 제이. 트리베트
브래들리 제이. 하멜
크리스토퍼 피. 로렌트
데이비드 에이치. 나라요프스키
스티븐 브이. 자야나단
로라 엠. 디포레스트
Original Assignee
애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플 인크. filed Critical 애플 인크.
Publication of KR20220139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98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1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constituted of several dependent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10Arrangements for lo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12Pivotal connections incorporating flexible connections, e.g. leaf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21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9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depth adjustment, i.e. forward-backward translation of the head relatively to the undercarri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with approximately constant height, e.g. with constant length of column or of le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2Locking means
    • F16M2200/021Locking means for rotational movement
    • F16M2200/022Locking means for rotational movement by fri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2Locking means
    • F16M2200/021Locking means for rotational movement
    • F16M2200/024Locking means for rotational movement by positive interaction, e.g. male-femal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2Locking means
    • F16M2200/025Locking means for translational movement
    • F16M2200/027Locking means for translational movement by fri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2Locking means
    • F16M2200/025Locking means for translational movement
    • F16M2200/028Locking means for translational movement by positive interaction, e.g. male-femal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4Balancing means
    • F16M2200/041Balancing means for balancing rotational movement of the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4Balancing means
    • F16M2200/044Balancing means for balancing rotational movement of the undercarri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4Balancing means
    • F16M2200/047Balancing means for balancing translational movement of the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6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6Arms
    • F16M2200/063Parallelogram 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전자 디바이스들을 위한 지지 시스템들 및 스탠드들은 틸트 힌지들, 리프트 아암들 및 그들의 구성요소 부품들을 포함한다. 일부 틸트 힌지들은 특히 움직일 때 부품들을 통합하고 조인트들의 흔들림이나 기울어짐(slop)을 감소시키기 위해 수신기 개구부들 내의 바람직한 위치설정으로 바(bar)들 또는 돌출부들을 가이드하고 보유하기 위한 조립체들을 포함한다. 리프트 아암들은 스탠드의 베이스에 대한 전자 디바이스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단순화되고 저비용의 가이드 및 카운터밸런스 메커니즘(counterbalance mechanism)들을 제공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리프트 아암들은 리프트 아암 내의 메커니즘들을 위한 추가의 공간을 허용하면서 메커니즘들을 보호하거나 커버하는 것을 돕는 시스(sheath)들을 갖는다. 다른 상호연결 시스템들은 잠금해제되고 커넥터가 노출된 위치로 이동될 때까지 하우징 내에서 스탠드와 전자 디바이스 사이의 커넥터 인터페이스를 은닉하고 보호한다. 이들 시스템들은 전자 디바이스들 및 그들의 지지체들의 효율, 편안함, 인체공학, 접근성, 및 사용자 만족도를 개선한다.

Description

재구성가능한 스탠드 생태계{RECONFIGURABLE STAND ECOSYSTEM}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발명의 명칭이 "RECONFIGURABLE STAND ECOSYSTEM"으로 2021년 4월 8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3/172,413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로써 그 출원의 전체 개시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기술분야
기술된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전자 디바이스들을 위한 스탠드들, 아암들 및 다른 지지체들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들은 컴퓨팅 디바이스들 및 그들의 지지체들의 틸트, 높이, 및 부착 상태를 조정하기 위한 연결 조립체들에 관한 것이다.
컴퓨팅 디바이스 제조사들은 그들 디바이스들의 조립, 휴대성, 인체 공학, 미학, 및 내구성에 대한 사용자의 경험에 대한 개선들을 지속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컴퓨터 모니터, 디스플레이 스크린, 터치 스크린 또는 "올인원(all-in-one)" 컴퓨터(즉, 프로세서 및 기타 컴퓨팅 컴포넌트들을 또한 포함하는 컴퓨터 모니터)와 같은 일부 디바이스들의 경우, 디바이스의 하우징의 후방 대면 측면은 보기 흉하고 방해가 되는 코드들, 힌지들, 마킹들, 포트들, 라벨들, 패스너(fastener)들 및 기타 컴포넌트들로 덮힐 수 있다. 디바이스 제조사가 이러한 바람직하지 않은 특징부들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 방식들을 찾아낼 수 있겠지만, 재설계된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스탠드와만 호환가능하고 많은 경우들에서 스탠드로부터 전혀 제거할 수 없는 것과 같이 다용도성이 부족하다.
추가적으로, 사용자들은 자신의 디바이스의 스탠드들은, 스탠드가 조정되거나, 틸팅되거나, 들어 올려지거나, 이동되거나, 교체된 때에도 품질이 좋고, 단단하고, 견고한 느낌을 갖기를 종종 선호한다. 이러한 특징부들을 제공하는 것은 높은 부품 복잡성, 제조 또는 운반의 어려움, 고가의 맞춤 부품들 및 재료들 등으로 인해 높은 비용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본 개시내용의 양태들은 전자 디바이스 스탠드를 위한 커넥터들 및 커넥터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서, 커넥터는, 전자 디바이스에 부착가능한 제1 샤프트 - 제1 샤프트는 제1 세트의 가이드 표면들을 가짐 -, 지지 바(bar)에 부착가능한 제2 샤프트 - 제2 샤프트는 제2 세트의 가이드 표면들을 가짐 -, 및 제1 및 제2 샤프트들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개구부에 삽입된 패스너를 포함한다. 제1 세트의 가이드 표면들은 패스너의 개구부 내의 회전에 응답하여 제2 세트의 가이드 표면들 내로 구동될 수 있으며, 제1 세트의 가이드 표면들과 제2 세트의 가이드 표면들 사이의 접촉은 제1 샤프트를 적어도 5 자유도로 제2 샤프트에 고정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패스너는 헤드 부분, 섕크, 및 나사형 부분을 포함하고, 섕크는 나사형 부분에 대해 증가된 직경 부분을 갖고, 나사형 부분은 제1 샤프트와 맞물리고, 증가된 직경 부분은 제2 샤프트와 맞물리고, 제1 세트의 가이드 표면들의 가이드 표면들은 서로에 대해 비직교하게(non-orthogonally) 각을 이루고, 제2 세트의 가이드 표면들의 가이드 표면들은 서로에 대해 비직교하게 각을 이루고 제2 샤프트의 어퍼처(aperture) 내에 위치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세트의 가이드 표면들과 제2 세트의 가이드 표면들 사이의 접촉은 제1 샤프트를 6 자유도로 제2 샤프트에 고정시킬 수 있다. 개구부는 패스너의 회전축에 대해 비직교 각도에 위치된 제1 표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회전축에 평행한 패스너의 이동은 제1 표면을 회전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샤프트 및 제2 샤프트는 패스너의 중심 종축과 동축인 피봇 축을 갖는 피봇가능한 조인트를 형성할 수 있다. 패스너는 개구부 내의 개구 견부와 접촉하고 제2 샤프트에 대한 제1 샤프트의 이동을 방지하는 패스너 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태는 전자 디바이스를 지지 디바이스에 링크시키기 위한 연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시스템은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하우징 내에 위치된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커넥터를 포함하며, 제1 커넥터는 제1 쌍의 테이퍼진 표면들을 갖는다. 시스템은 또한, 아암 구조체 및 전자 디바이스의 제1 커넥터에 부착가능한 제2 커넥터를 포함하는 지지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제2 커넥터는 제2 쌍의 테이퍼진 표면들을 가지며,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는 피봇가능한 아암을 형성한다. 시스템은 또한 제1 및 제2 커넥터들과 접촉하는 패스너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커넥터들에 대한 패스너의 설치에 응답하여, 제1 쌍의 테이퍼진 표면들은 제2 쌍의 테이퍼진 표면들과 접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커넥터는 제1 쌍의 테이퍼진 표면들 사이에 위치된 제1 커넥터 축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커넥터는 제2 쌍의 테이퍼진 표면들에 위치된 제2 커넥터 축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넥터들에 대한 패스너의 설치에 응답하여, 제1 커넥터 축은 제2 커넥터 축과 정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쌍의 테이퍼진 표면들은 패스너의 설치에 응답하여 제2 쌍의 테이퍼진 표면들과 접촉하도록 팽창되거나, 제2 쌍의 테이퍼진 표면들은 패스너의 설치에 응답하여 제1 쌍의 테이퍼진 표면들과 접촉하도록 팽창된다.
패스너는 종축 및 구동 표면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구동 표면은 제1 커넥터 또는 제2 커넥터의 경사진 표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고 경사진 표면은 패스너의 종축에 대해 각을 이룰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패스너의 회전은 제1 및 제2 쌍의 테이퍼진 표면들이 서로 접촉하도록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패스너의 회전은 회전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제1 또는 제2 커넥터를 구동할 수 있다. 패스너는 또한 패스너가 설치됨에 따라 제1 또는 제2 커넥터와 접촉하도록 이동하도록 구성된 캠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태는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지지체에 관한 것으로, 지지체는, 아암 구조체, 전자 디바이스에 결합되거나 그에 연결가능하고 나사형 개구부를 갖는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 아암 구조체에 앵커링된(anchored) 제1 구조체 및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에 앵커링된 제2 구조체를 포함하는 조인트 - 제1 구조체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2 구조체에 대해 회전가능함 -, 및 제2 구조체와 맞물리는 견부 부분, 및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의 나사형 개구부와 맞물리고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의 적어도 2개의 이격된 표면들과 접촉하게 제2 구조체를 유지하는 나사형 부분을 갖는 패스너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구조체의 둥근 표면은 제1 구조체의 적어도 2개의 이격된 표면들과 접촉한다. 제1 구조체의 적어도 2개의 이격된 표면들은 제1 구조체의 개구부 내에 위치될 수 있다. 견부 부분은 제1 구조체의 대향 견부 면과 접촉하는 제1 견부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조인트는 조인트의 회전축과 동축인 중심 축을 갖는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패스너는 조인트의 회전축과 동축인 중심 축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조체의 외부 표면은 조인트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의 회전에 응답하여 제1 구조체의 내부 표면에 대해 접촉 위치와 분리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태는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지지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지지 스탠드는 아암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아암 조립체는, 제1 부착 지점 및 제2 부착 지점을 갖는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 제3 부착 지점 및 제4 부착 지점을 갖는 지지 구조체; 제1 부착 지점과 제3 부착 지점에 피봇식으로 연결된 제1 아암; 및 제2 부착 지점 및 제4 부착 지점에 피봇식으로 연결된 제2 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스탠드는 또한 카운터밸런스 메커니즘(counterbalance mechanism)을 포함할 수 있으며, 카운터밸런스 메커니즘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스프링; 제1 피봇 지점에서 아암 조립체에 피봇식으로 연결되고 스프링의 제1 단부와 맞물리는 리테이너(retainer); 및 제2 피봇 지점에서 스프링의 제2 단부를 아암 조립체에 연결하는 로드(rod)를 포함하고, 제1 피봇 지점은 제2 피봇 지점으로부터 이격된다. 제1 회전 방향으로의 제3 및 제4 부착 지점들을 중심으로 한 아암 조립체의 회전은 리테이너에 대한 로드의 이동을 통해 스프링에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제3 및 제4 부착 지점들은 평행사변형을 형성한다. 아암 조립체는 제1 아암에 그리고 제2 아암에 부착된 리테이너 바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피봇 지점은 리테이너 바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리테이너는 스프링의 제1 단부와 맞물리는 돌출부 또는 레지(ledge)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는 적어도 제1 아암에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 로드는 제3 부착 지점을 중심으로 한 제1 아암의 회전에 응답하여 제1 아암과 상이한 각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아암의 종축과 로드의 종축 사이의 각도는 제3 부착 지점을 중심으로 한 제1 아암의 회전에 응답하여 감소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태는 지지 스탠드를 위한 아암에 관한 것이다. 아암은, 하우징 - 하우징은 중공 내부 및 하우징의 종축과 정렬된 단부 개구부를 가지고, 중공 내부는 내부 표면을 가짐 -; 및 디바이스 커넥터 조립체를 포함하며, 디바이스 커넥터 조립체는, 중공 내부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고, 단부 개구부를 차폐하고, 내부 표면과 접촉하는 단부 부분을 갖는 시스(sheath); 및 시스를 통해 연장되고 하우징의 단부 개구부로부터 돌출하는 디바이스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바이스 커넥터는 제1 회전된 위치와 제2 회전된 위치 사이에서 하우징에 대해 회전가능할 수 있다. 시스의 단부 부분은 디바이스 커넥터가 제1 및 제2 회전된 위치들 사이에서 회전할 때 내부 표면과 접촉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시스는 내부 표면에 대해 반경 방향 외부 지향 압력을 적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스의 단부 부분은 디바이스 커넥터가 회전함에 따라 하우징의 종축에 평행한 내부 표면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단부 부분은 오목할 수 있다. 시스의 단부 부분은 내부 표면에 외향 압력을 적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스는 탄성적으로 가요성일 수 있다. 하우징은 제2 단부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고, 아암은, 중공 내부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고, 제2 단부 개구부를 차폐하고, 내부 표면과 접촉하는 제2 단부 부분을 갖는 제2 시스; 및 제2 시스를 통해 연장되고 제1 회전된 위치와 제2 회전된 위치 사이에서 하우징에 대해 회전가능한 스탠드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태는 리프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리프트 시스템은,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 지지 구조체; 제1 피봇 지점에서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에 피봇식으로 연결되고 제2 피봇 지점에서 지지 구조체에 연결된 하우징; 및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 및 지지 구조체와 맞물리는 벨트를 포함하며,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는 벨트의 장력으로 인해 지지 구조체에 대한 하우징의 회전에 응답하여 하우징에 대해 회전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틸트 조인트가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하우징은 벨트에 내부 지향 힘을 적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벨트는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 및 지지 구조체 중 적어도 하나 상에 제2 세트의 맞물림 특징부들과 맞물리는 제1 세트의 맞물림 특징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이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에 대한 제1 위치에 있는 경우, 벨트는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 상의 제1 지점에서 장력 하에 있을 수 있고, 하우징이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에 대해 제2 위치에 있는 경우, 벨트는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 상의 제2 지점에서 장력 하에 있을 수 있으며,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은 서로 오프셋되어 있을 수 있다. 벨트는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 및 지지 구조체에 대해 슬라이딩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태는 전자 디바이스를 지지 구조체에 결합하기 위한 연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연결 조립체는, 하우징, 하우징 내에 위치된 래치, 및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래치를 이동시키는 조정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하우징은 개구부, 및 돌출부를 포함하는 지지 스탠드를 포함하고, 돌출부는 종축 및 종축에 대해 비직교하게 배향된 잠금 표면을 포함한다. 래치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 돌출부는 래치의 일부분을 초과하는 깊이까지 하우징 내로 삽입가능할 수 있고, 래치가 제2 위치에 있는 경우, 돌출부는 잠금 표면에 대한 래치의 맞물림에 의해 하우징에 대해 제자리에 잠금될 수 있다. 돌출부는 또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래치의 이동에 응답하여 래치와 잠금 표면 사이의 맞물림에 의해 개구부 내로 끌어당겨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돌출부는 테이퍼진 단부 부분을 더 포함하고, 테이퍼진 단부 부분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래치의 이동에 응답하여 전자 디바이스의 테이퍼진 개구부로 끌어당겨진다. 래치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하우징 내에서 병진할 수 있다. 조정 메커니즘은 하우징 내에서 래치를 병진시키도록 회전가능할 수 있다. 래치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하우징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조정 메커니즘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래치 또는 래치를 병진시키도록 구성된 나사형 샤프트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접근가능한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는 잠금 표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된 맞물림 표면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맞물림 표면은 래치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잠금 표면과 맞물린다. 래치는 돌출부의 종축에 대해 비직교하게 배향된 배출 표면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돌출부는 제2 위치로부터 제2 위치에 대해 제1 위치를 향하거나 그를 넘는 래치의 이동에 응답하여 배출 표면과 돌출부 사이의 맞물림에 의해 개구부 밖으로 밀려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돌출부는 종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돌출부를 통해 연장되는 어퍼처를 포함하며, 잠금 표면은 어퍼처 내에 위치된다.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태는 전자 디바이스를 지지 구조체에 결합하기 위한 연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연결 조립체는 인클로저(enclosure), 인클로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바, 및 인클로저에 대해 그리고 바에 대해 피봇가능한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인클로저는 개구부를 가질 수 있고 바는 잠금 리세스(recess)를 가질 수 있다. 조립체는 또한, 개구부 내로 삽입가능하고 부착 인터페이스에서 바에 부착가능한 샤프트를 갖는 지지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잠금 장치가 바의 잠금 리세스에 위치된 경우, 바는 인클로저에 대해 피봇되는 것이 방지되고, 잠금 장치가 바의 잠금 리세스로부터 제거된 경우, 바는 인클로저의 개구부를 통해 부착 인터페이스를 노출시키는 위치로 피봇가능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샤프트는 바가 인클로저의 개구부를 통해 부착 인터페이스를 노출시키는 위치에 있을 때 바로부터 가역적으로 제거가능하다. 부착 인터페이스는 샤프트를 바에 결합시키는 패스너를 포함할 수 있으며, 패스너는 인클로저의 개구부를 통해 부착 인터페이스를 노출시키는 것에 응답하여 제거가능하다. 갭이 인클로저의 개구부와 샤프트 또는 바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잠금 장치는 프로브(probe)가 갭에 삽입되는 것에 응답하여 이동가능하다. 잠금 장치는 부착 인터페이스를 개구부에 대해 인클로저 내로 피봇시킬 때 바를 자동으로 잠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의 제1 회전축 및 잠금 장치의 제2 회전축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태는 디바이스 상호연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디바이스 상호연결 시스템은, 전자 디바이스에 연결가능한 바; 아암 블록을 포함하는 스탠드 구조체 - 바는 아암 블록에 대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함 -; 슬리브; 및 슬리브에 고착된(affixed) 제1 단부를 갖고, 아암 블록에 고착된 제2 단부를 갖는 바이어싱 부재를 포함한다. 슬리브는, 슬리브가 바에 대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제1 구성과,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슬리브의 회전이 바에 대해 고정되는 제2 구성 사이에서 조정가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슬리브는 패스너의 조정에 의해 제1 구성과 제2 구성 사이에서 조정가능할 수 있다. 제1 단부는 슬리브에 대해 미끄러질 수 없게 될 수 있고, 제2 단부는 아암 블록에 대해 미끄러질 수 없게 될 수 있다. 블록 부분은 바에 연결될 수 있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블록 부분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아암 블록의 정지 표면과 접촉하도록 회전가능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며,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유사한 구조적 요소들을 가리킨다.
도 1a, 도 1b 및 도 1c는 3개의 상이한 피봇 구성들에서의 전자 디바이스 및 지지 시스템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전자 디바이스와 지지 시스템 사이의 인터페이스의 부분 분해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a는 전자 디바이스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바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b는 전자 디바이스에 설치된 도 3a의 바의 부분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전자 디바이스와 지지 시스템 사이의 인터페이스의 부분 상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a는 전자 디바이스와 지지 시스템 사이의 다른 인터페이스의 부분 상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b는 도 5a의 인터페이스의 부분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c는 제2 구성에서의 도 5a의 인터페이스의 부분 상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d는 도 5c의 인터페이스의 부분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a는 전자 디바이스와 지지 시스템 사이의 다른 인터페이스의 부분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6b는 제2 구성에서의 도 6a의 인터페이스의 부분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7a는 전자 디바이스를 지지 시스템에 부착하는 바의 개략적인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7b는 전자 디바이스를 지지 시스템에 부착하는 다른 바의 개략적인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전자 디바이스와 지지 스탠드 사이의 연결 시스템의 부분 분해 상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조립된 상태에서의 도 8의 연결 시스템의 부분 상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8의 연결 시스템의 틸트 힌지의 부분들의 분해 상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9의 단면 라인들 11-11을 통해 취해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9의 단면 라인들 12-12를 통해 취해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3a는 전자 디바이스를 지지 스탠드에 연결하는 리프트 아암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3b는 제2 구성에서의 도 13a의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4a는 일부 구성요소들이 생략된, 전자 디바이스를 지지 스탠드에 연결하는 다른 리프트 아암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4b는 추가의 구성요소들이 도시된 도 14a의 리프트 아암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4c는 제2 구성에서의 도 14b의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5a는 전자 디바이스를 지지 스탠드에 연결하는 다른 리프트 아암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5b는 제2 구성에서의 도 15a의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6a는 전자 디바이스와 지지 스탠드 사이의 상호연결 시스템의 부분 분해 상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6b는 도 16a의 단면 라인들 16B-16B를 통해 취해진 도 16a의 시스템의 부분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7a는 조립된 구성에서의 도 16a의 상호연결 시스템의 부분 상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7b는 도 17a의 단면 라인들 17B-17B를 통해 취해진 도 17a의 시스템의 부분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7c는 도 17a의 단면 라인들 17C-17C를 통해 취해진 도 17a의 시스템의 부분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8은 상이한 조립된 구성에서의 도 17a의 상호연결 시스템의 부분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9는 다른 상이한 조립된 구성에서의 도 17a의 상호연결 시스템의 부분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0은 레버에 의해 동작되는 잠금 메커니즘/래치를 사용하는 다른 상호연결 시스템의 부분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1은 회전가능 잠금 메커니즘/래치를 사용하는 다른 상호연결 시스템의 부분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2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의 상호연결 시스템을 위한 돌출부의 단부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3a는 도 23b의 단면 라인들 23A-23A를 통해 취해진 도 22의 돌출부를 사용하는 상호연결 시스템의 부분 사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3b는 잠금해제된 구성에서의 도 22 및 도 23a의 상호연결 시스템의 부분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24a는 도 24b의 섹션 라인들 24A-24A를 통해 취해진 도 22의 돌출부를 사용하는 상호연결 시스템의 부분 사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4b는 잠금 구성에서의 도 22 및 도 23a의 상호연결 시스템의 부분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25a는 잠금 상태에서의 지지 스탠드와 전자 디바이스 사이의 연결 시스템의 부분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5b는 잠금해제 상태에서의 도 25a의 연결 시스템의 부분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5c는 잠금해제 및 사용자 접근가능한 상태에서의 도 25a의 연결 시스템의 부분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6a는 다른 상호연결 시스템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6b는 도 26a의 시스템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7은 틸트 힌지 조립체의 부분 분해 상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8은 도 27의 틸트 힌지 조립체의 조립 상부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9는 도 27의 틸트 힌지 조립체의 내부 구성요소들의 분해 상부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0은 평면(P)을 통해 취해진 도 28의 틸트 힌지 조립체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바 및 핀이 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되어 있다.
도 31은 전자 디바이스, 리프트 아암, 및 스탠드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2a는 틸트 힌지에서의 리프트 아암의 단부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바가 제1 회전된 위치에 있다.
도 32b는 도 32a의 리프트 아암의 단부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바가 제2 회전된 위치에 있다.
도 33은 도 32a의 틸트 힌지의 카운터밸런스 조립체 구성요소들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4는 도 32a의 단면 라인들 34-34를 통해 취해진 틸트 힌지의 사시 단면도를 도시한다.
품질과 인체 공학이 좋지 않은 전자 디바이스 스탠드들은 종종, 디바이스의 수직 또는 수평 틸트가 스탠드에 대해 조정될 때 그들의 힌지들에서 "기울어짐(slop)",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또는 "블로백(blowback)"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조립체들,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은 전자 디바이스 구성 가능성을 개선하고, 신뢰할 수 있는 고품질 조정가능한 지지체를 제공하고, 보기 흉한 요소들, 불만스러운 역학구조들 및 열악한 인체 공학을 통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는 지지 스탠드의 샤프트 또는 수신기 유닛의 개구부 내에 전자 디바이스(예컨대,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로부터 연장되는 바(즉, 텅(tongue), 돌출부 또는 샤프트)를 견고하게 보유함으로써 이러한 "블로백"를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 전자 디바이스 스탠드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예컨대, 바 또는 수신기 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개구부에 삽입되는 샤프트 또는 패스너를 사용함으로써, 바의 적어도 한 쌍의 가이드 표면들을 지지 스탠드 상의 대응하는 한 쌍의 가이드 표면들 내로 구동하기 위한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표면들 사이의 접촉은 바와 개구부가 올바르게 정렬되고 서로 밀접하게 접촉하여 조인트의 흔들림 및 이동을 제거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조인트는, 제자리에 조여질 때, 바의 가이드 표면들(예컨대, 텅의 단부 상의 한 쌍의 경사지거나 만곡된 표면들)을 지지 스탠드의 가이드 표면들(예컨대, 바가 삽입되는 지지 스탠드의 개구부 내에 위치된 한 쌍의 경사지거나 만곡된 표면들) 내로 당기거나 미는 나사형 패스너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표면들을 서로 맞물리게 하면 지지 스탠드에 대한 바의 자유도를 상당히 감소(예컨대, 바를 5 자유도 이상으로 제한)시킬 수 있는 한편, 열악한 패스너의 신뢰성으로 인해 바가 헐거워질 가능성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결합된 바 및 지지 스탠드 샤프트(즉, 개구부를 갖는 조인트의 일부분)는 일단 서로 결합되면 단일 강성 부재로서 효과적으로 이동하고, 이에 의해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체공학, 조인트 신뢰성, 및 인지된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바 및 지지 스탠드 샤프트들은 지지 바(예컨대, 지지 스탠드의 베이스)에 피봇식으로 연결될 수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는 지지 바에 대해 피봇가능하면서 또한 지지 바로부터 제거가능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탠드와 바 사이의 조인트는 조인트의 사용자 조정 안정성(adjustability)을 개선하기 위한 특징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인트의 바는 조인트 내의 가이드 표면들의 위치설정을 조정하거나 가이드 표면들에 대해 바를 이동시키기 위해 (예컨대, 사전에 추가의 조립해제 없이 조인트 외부로부터) 사용자 접근가능할 수 있는 패스너를 포함할 수 있다. 동일한 패스너들이 조인트의 반대편 측면들에 배치되어 (예컨대, 사용자가 양측에 설치된 2개의 패스너들 중 하나를 사용하여 조인트를 조립할 수 있게 함으로써) 조립을 단순화하고, 고유 부품들의 수를 감소시켜 조인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패스너는 지지 스탠드의 회전축을 통해 연장되어 조인트를 컴팩트하고 제조 및 사용이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패스너는 헤드 부분, 섕크, 및 나사형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섕크는 나사형 부분의 직경에 대해 증가된 직경 부분을 갖는다. 따라서, 섕크는 수신기 유닛의 개구부 내의 견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증가된 직경 견부를 한정할 수 있고, 바의 나사산들과 맞물리는 동안, 바의 가이드 표면들을 수신기 유닛의 가이드 표면들과 접촉하도록 당기도록 회전될 수 있다.
일부 구성들에서, 전자 디바이스의 바는 다양한 상이한 스탠드들 또는 지지 어댑터들이 텅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이한 위치들에서 패스너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개구부들 또는 개구부들의 세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텅은 틸트 스탠드, 결합된 틸트와 리프트 스탠드, 디스플레이 지지 아암,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착 어댑터(예컨대, VESA 마운트 또는 다른 플랫 디스플레이 장착 인터페이스(FDMI))와 같은 다양한 유형의 지지체들에 결합하는 데 다기능(versatile)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태는 접지 표면에 대해 수직으로 병진됨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카운터밸런스를 지지하고 제공하도록 구성된 리프트 아암 부분과 같은 지지 스탠드의 구성요소들에 관한 것이다. 리프트 아암 부분은 아암의 일 단부에서의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의, 그 반대편 단부에서의 지지 구조체에 대한 평행 모션을 보존하도록 구성된 4-바 링키지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트 아암은 전자 디바이스가 하향으로 이동할 때 에너지를 저장하고 디바이스가 상향으로 이동할 때 에너지를 방출하는 데 사용되는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예컨대, 스프링)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의 높이를 조정하고 전자 디바이스가 원하는 위치로 조정되면 전자 디바이스의 위치를 안정화하고 보존하는 것을 돕는 것을 더 용이하게 한다. 스프링 디바이스는 4-바 링키지에 피봇식으로 연결된 리테이너 내에 위치될 수 있고, 스프링 디바이스의 단부는 4-바 링키지에 대해 별도로 피봇가능한 로드에 부착되거나 그와 맞물릴 수 있다. 리테이너와 로드 사이의 피봇 연결 지점들은, 스프링 디바이스의 에너지 저장 특성들과 전자 디바이스의 중량에 기초하여, 4-바 링키지의 조인트들의 회전이 스프링 디바이스를 압축하거나 확장하는 로드 및 리테이너의 회전 및 상대 이동을 통해 스프링 디바이스에 카운터밸런싱된 에너지량을 저장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적절하게 이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4-바 링키지들의 세트를 포함하지 않는 리프트 아암에 병렬 모션 인에이블화 링키지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프트 아암은 디바이스 지지체 및 스탠드 지지체가 피봇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은 디바이스 및 지지 스탠드들에 연결된 피봇가능한 링키지와 유사하게 사용되고 작동할 수 있다. 벨트, 체인, 또는 피봇가능한 링키지들의 세트는 디바이스 지지체와 스탠드 지지체를 연결하여 하우징이 회전할 때 전자 디바이스와 스탠드 지지체의 회전을 동기화하고, 이에 의해 지지체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다른 피봇가능한 링키지가 4-바 링키지에서 동작하는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평행 이동을 보존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양태들은 또한 리프트 아암의 내부로의 침입으로부터 보호하면서도, 미학을 개선하고 리프트 아암 내의 메커니즘들에 대한 바람직하지 않은 유형들의 사용자 접근을 제한하기 위한 방식들에 관한 것이다. 리프트 아암은 중공 내부를 갖는 인클로저 또는 하우징 내에 위치된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고, 디바이스 커넥터 조립체는 중공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될 수 있으며, 시스는 하우징의 단부 개구부 내부의 구성요소들을 차폐하고, 은닉하고, 보호하며, 디바이스 커넥터(예컨대, 텅)는 전자 디바이스에 부착하기 위해 시스를 통해 연장된다. 시스는 C자형 측면 프로파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하우징의 종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단부들을 갖고, 디바이스 커넥터가 하우징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슬라이딩 및 굴곡되어 하우징의 단부 개구부 내에 디바이스 커넥터 조립체의 부품들의 차폐 및 은닉을 유지할 수 있다. 시스의 C자형 프로파일로 인해, 그리고 디바이스 커넥터가 하우징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이것이 구부러지거나 펴지는 방식으로 인해, 하우징의 내부가 더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고 따라서 카운터밸런스 스프링 디바이스 또는 유사한 구조체들과 같은 다른 내부 요소들의 배치 및 이동을 수용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의 양태들은 디바이스 스탠드로부터 전자 디바이스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되는 텅 또는 다른 돌출부를 부착하기 위한 구조체들에 관한 것이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잠금 메커니즘(즉, 래치 디바이스) 및 하우징 내에서 래치 디바이스를 이동시키도록 동작가능한 조정 메커니즘(예컨대, 나사 또는 레버)을 포함할 수 있다. 스탠드의 돌출부는 래치 디바이스가 잠금해제 위치에 있을 때 하우징 내의 개구부를 통하고 래치 디바이스의 일부를 지나 삽입될 수 있다. 이어서, 돌출부가 개구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래치 디바이스를 잠금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돌출부는 개구부 내에 잠금될 수 있다. 돌출부의 잠금은 돌출부의 종축에 대해 비직교하게 배향되는 돌출부의 잠금 표면에 대한 래치 디바이스의 맞물림에 의해 야기될 수 있고, 돌출부는, 래치 디바이스가 잠금해제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돌출부가 잠금 표면에 대해 슬라이딩하는 개구부 내로 끌어당겨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돌출부를 하우징 내로 끌어당기면, 스탠드와 하우징 사이의 흔들림 및 기울어짐을 제거하여 그들의 부품들 사이에 단단하고 긴밀한 끼워맞춤을 보장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돌출부는, 돌출부가 전자 디바이스 내로 끌어당겨짐에 따라 하우징 내의 테이퍼진 개구부와 접촉하도록 끌어당겨지는 테이퍼진 단부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테이퍼진 표면들 사이의 접촉은 디바이스들 사이의 상대 모션을 더욱 제한할 수 있고, 최적의 인체공학, 최적의 부품 맞물림, 및 개선된 조인트 강도를 위해 스탠드와 전자 디바이스가 서로에 대해 적절하게 정렬되고 배향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래치 시스템이 제공되고 그에 의해 스탠드 디바이스의 돌출부/샤프트가 하우징 내에 피봇가능하게 위치된 바에 부착가능하다. 잠금 장치(예컨대, 회전가능한 잠금 핀)는 잠금 장치가 바 또는 돌출부에 대해 잠금 위치에 유지되는 동안 돌출부와 바가 하우징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잠금 장치는, 잠금 장치가 잠금해제 위치에 있는 동안 하우징에 대한 바와 돌출부의 회전(예컨대, 바 또는 돌출부와 접촉하지 않도록 회전됨)에 의해, 바 및 돌출부를 잠금해제하고 사용자가 바와 돌출부 사이의 부착 인터페이스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도록 사용자 접근가능할 수 있다. 잠금 장치는 디바이스 외부를 산만하거나 보기 흉한 특징부들이 없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하우징 내에 은닉될 수 있고, 잠금 장치는 하우징의 작은 개구부나 슬롯 내로 또는 하우징의 돌출부와 개구부 사이에 삽입된 도구(예컨대, 가요성 카드, 스퍼저(spudger) 또는 다른 얇은 프로브)를 사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접근가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기술되는 특징들 및 개선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되고 기술된 스탠드 및 지지 디바이스들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사용되고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도면들에 묘사된 실시예들은 상대적으로 분리된 특징들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일 뿐이며, 도시되거나 기술된 다른 실시예들과 조합될 수 있는 다양한 상이한 실시예들의 특성들의 서브세트들을 도시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면들은 본 개시내용의 진보들 및 특징들의 완전한 또는 상호 배타적인 개별 실시예들을 묘사하지 않는다.
이들 및 다른 실시예들이 도 1a 내지 도 26b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논의된다. 그러나, 당업자들은 이러한 도면들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상세한 설명이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일 뿐이며, 제한적인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쉽게 인식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제1 옵션, 제2 옵션, 또는 제3 옵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 방법, 물품, 구성요소, 특징부, 또는 하위 특징부는, 각각의 나열된 옵션의 하나(예컨대, 제1 옵션의 단지 하나, 제2 옵션의 단지 하나, 또는 제3 옵션의 단지 하나), 단일의 나열된 옵션의 배수(예컨대, 제1 옵션의 2개 이상), 동시에 2개의 옵션들(예컨대, 제1 옵션의 하나와 제2 옵션의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예컨대, 제1 옵션의 2개와 제2 옵션의 하나)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 방법, 물품, 구성요소, 특징부, 또는 하위 특징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첨부 도면들에 도시된 대표적인 실시예들에 대한 참조가 상세하게 이루어질 것이다. 다음의 설명들이 실시예들을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반대로,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기술된 실시예들의 사상 및 범주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대안예들, 수정예들 및 등가물들을 포함하고자 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전자 디바이스 지지 시스템(100)의 도식적 측면도들을 도시한다. 지지 시스템(100)은 접지 표면(106)에 의해 지지되는 스탠드(104)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된 전자 디바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100)은 전자 디바이스(102)를 틸트 조인트(110)에 연결하는 바(108)를 포함할 수 있다. 틸트 조인트(110)는 리프트 아암(112)의 단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는 스탠드 베이스 커넥터(118)를 통해 지지 베이스(116)에 리프트 아암(112)을 연결하는 높이 조인트(114)를 갖는다. 리프트 아암(112)은 예를 들어, 그 출원의 전체 개시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되는, 발명의 명칭이 "Display Lift Arm"으로 2019년 9월 25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6/583,222호에 기술된 평행 모션을 위한 메커니즘(예컨대, 4-바 링키지 및 카운터밸런스 조립체)을 포함하는 리프트 아암일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2)는 도 1a에서 제1 위치에 도시되어 있으며, 리프트 아암(112)은 실질적으로 수평이고 접지 표면(106)에 평행하고, 전자 디바이스(102)는 틸트 조인트(110)에서 비스듬히 후방으로 틸팅된다. 도 1b에서, 전자 디바이스(102)는 접지 표면(106)에 대해 동일한 각도로 유지되지만, 리프트 아암(112)이 높이 조인트(114)에서 하향으로 회전되었고, 이에 의해 전자 디바이스(102)를 접지 표면(106)에 더 가깝게 이동시켰다. 도 1c에서, 리프트 아암(112)은 도 1b에서와 동일한 위치에 유지되지만, 틸트 조인트(110)가 전자 디바이스(102)를 수직인 배향으로 전방으로 피봇시키도록 동작되었으며, 전자 디바이스의 전방 또는 후방 표면의 평면은 접지 표면(106)에 실질적으로 수직이고, 지지 베이스(116)의 수직 종축에 평행하게 배향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디바이스 지지 시스템(100)을 통해 달성되는 조정가능한 위치들의 단지 몇 가지 예들로서, 전자 디바이스(102)는 도시된 것보다 더 높은(또는 더 낮은) 위치들로 조정될 수 있고, 도시된 것보다 틸트 조인트(110)를 중심으로 더 회전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2)는 컴퓨팅 디바이스에 대한 디스플레이 스크린(119)(즉, 모니터 또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자 디바이스(102)는 예컨대 프로세싱 구성요소들, 메모리 구성요소들, 네트워킹 디바이스들, 및 당업계에 알려진 다른 컴퓨터 부품들을 포함하는 태블릿 컴퓨터 또는 "올인원" 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전체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2)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다른 전자 구성요소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하우징(120), 인클로저 또는 쉘(shell)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20)은 다른 구성요소들이 위치되는 내부 챔버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우징(120)은 또한 하우징(120)을 틸트 조인트(110)로부터 연장되는 바(108)에 연결하기 위한 래치 또는 다른 메커니즘을 수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119)은 하우징(120)의 후방 벽의 후방 표면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전방 표면 평면(예컨대, 도 1c에서 바(108)가 수평으로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을 가질 수 있다.
스탠드(104)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조인트들(예컨대, 110, 114)을 포함할 수 있고, 일부 경우들에서, 스탠드(104)는 하나의 조인트(예컨대, 단지 틸트 조인트(110)) 또는 2개 초과의 조인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지 틸트 조인트(110)만 포함될 때, 조인트는 베이스 커넥터(118)에서 바(108)를 지지 베이스(116)에 직접 결합할 수 있다. 2개 초과의 조인트들이 포함될 때, 추가의 조인트는 도 1a에 도시된 조인트들(110, 114)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리프트 아암(112)은 2개의 세그먼트들로 분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자 디바이스(102)는 임의의 피봇가능한 조인트들 없이 지지 베이스(116)에 직접 부착된다.
스탠드(104)는 도 1a 내지 도 1c의 측면도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분 또는 받침대(foot) 및 수직 포스트 또는 컬럼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 커넥터(118)는 지지 베이스(116)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베이스 커넥터(118)는 지지 베이스(116)의 상부 단부로부터 수직으로 상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 베이스(116)의 중량은 전자 디바이스(102)의 중량과 스탠드(104)의 나머지 부분을 밸런싱하고 지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지지 베이스(116)는 접지 표면(106)에 클램핑되거나 체결되어 팁핑(tipping)에 대한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지지 베이스(116)는 벽 또는 다른 비-수평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지지 베이스(116)는 리프트 아암(112) 아래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고(예컨대, 베이스(116)의 받침대), 일부 경우들에서 전자 디바이스(102)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접지 표면(106)은 대안적으로 수직이거나 다른 각도로 배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지 표면(106)은 데스크 또는 다른 사무실 가구의 일부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접지 표면(106)은 벽, 포스트,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 다리, 디바이스 하우징, 또는 스탠드(104)가 부착될 필요가 있는 다른 구조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경우들에서, 스탠드(104)는 접지 표면(106)에 부착될 수 있는 한편, 다른 경우들에서, 스탠드(104)는 부착되지 않고 접지 표면(106) 위에 단순히 놓이거나 그 위에 기대질 수 있다.
도 2는 전자 디바이스(102)와 틸트 조인트(110)를 포함하는 스탠드(104) 사이의 인터페이스에서 전자 디바이스(102) 및 스탠드(104) 구성요소들의 도식적 부분 분해 측면도를 도시한다. 바(108)는 전자 디바이스(102)에 고착되고 전자 디바이스(102)의 후방 표면(200)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인 각도로 연장될 수 있다. 바(108)는 그의 단부 부분(204) 근처에 측방향 개구부(202)(즉, 보어(bore) 또는 어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탠드(104)는 바(108)의 측방향 개구부(202)가 수신기(205)의 측방향 개구부(208)와 정렬되기에 충분한 깊이로 바(108)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개구부(206)를 갖는 수신기(205)(즉, 수신기 유닛)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들(202, 208)이 정렬될 경우, 패스너, 바 또는 샤프트가 개구부들(202, 208) 둘 모두에 삽입되어 개구부(206)로부터 바(108)의 인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바(108)(또는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다른 바들, 예컨대, 바(800))는, 예컨대 그 전체 개시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되는, 발명의 명칭이 "Display Support Arm Mount"로 2019년 9월 6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6/563,252호에 개시된 장착 어댑터들의 실시예들 중 하나와 같은, 전자 디바이스(예컨대, 102 또는 802)에 부착가능한 장착 어댑터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바(108)(및 본 명세서에 언급된 다른 바들)는 전자 디바이스(예컨대, 102)에 부착가능한 제1 샤프트 또는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로 지칭될 수 있고, 수신기(205) 및/또는 틸트 조인트(110)(및 본 명세서의 다른 수신기들/틸트 조인트들)는 지지 바(예컨대, 리프트 아암(112) 또는 베이스(116))에 부착가능한 제2 샤프트로 지칭될 수 있다. 틸트 조인트는 리프트 아암(112)에 앵커링된 제1 구조체(예컨대, 리프트 아암(812)에 앵커링된 아암 배럴(842)) 및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에 앵커링된 제2 구조체(예컨대, 바(800)에 앵커링된 수신기 배럴(840))를 포함할 수 있다.
바(108)가 수신기 개구부(206) 내에 위치된 경우, 틸트 조인트(110)는 후술하는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더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리프트 아암(112)에 대해 수신기(205) 및 바(108)를 회전시키도록 동작될 수 있다. 틸트 조인트(110)의 회전은 스탠드(104)의 접지 표면 또는 베이스에 대한 전자 디바이스(102)의 틸트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인터페이스는 스탠드(104)와 전자 디바이스(102) 사이의 틸트 조립체 또는 틸트 조인트 연결부로 지칭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바(108) 및 수신기(205)의 위치설정은 실질적으로 역전될 수 있으며, 전자 디바이스(102)는 예를 들어, 도 16a 내지 도 25c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바가 그 내부로 연장되는 개구부를 포함한다.
도 3a는 예시적인 바(300)의 단순화된 측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바(300)는 도 1a 내지 도 2의 바(108)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바(300)는 전자 디바이스(302)(예컨대, 디바이스(102))의 후방 단부 표면에 부착되고 그로부터 연장된다. 바(300)는 사각형화(squared off) 코너들(304, 306)을 갖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측면 프로파일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바(300)(또는 바(108))는 (예컨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둥글거나, (예컨대, 도 5a 내지 도 6b 및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되거나 모따기되거나, 또는 테이퍼진 형상을 형성하는 코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바(300)가 수신기 개구부(예컨대, 206) 내로 삽입된 경우, 패스너 또는 샤프트(308)는 바(300)의 측방향 개구부(31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측방향 개구부(310)는 코너들(304, 306) 사이의 단부에서 개방되는 바(300)의 종방향으로 배향된 슬롯(312)에 연결될 수 있고, 샤프트(308)는 측방향 개구부(310)의 수직 직경을 초과하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샤프트(308)가 개구부(310) 내로 이동함에 따라, 슬롯(312)은 팽창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도 3b의 측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축(313)(이는 샤프트(308)의 삽입 방향(314)/샤프트(308)의 종축 또는 개구부(310)의 종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임)을 따라 코너들(304, 306)을 서로 이격되게 구동할 수 있다. 샤프트(308)에 의해 야기되는 팽창은 바(300)의 코너들(304, 306) 및/또는 상부 및 하부 표면들(316, 318)이 수신기의 수신기 개구부(320)의 인근 바 대면 표면들과 접촉하게 하고, 이에 의해 샤프트(308)가 측방향 개구부(310)에 위치되는 동안 개구부로부터 바(300)의 인출을 방지하는, 바(300)와 개구부 사이의 마찰 끼워맞춤을 야기할 수 있다. 마찰 끼워맞춤은 먼저 샤프트(308)를 제거하지 않고 개구부(320)로부터 바(300)가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신기 개구부(320)에 대해 바(300)를 밀접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수신기 개구부(320)는 도 3b에서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역방향 테이퍼진 내부 표면들(322)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300)의 팽창은 코너들(304, 306) 및/또는 상부 및 하부 표면들(316, 318)과 역-테이퍼진 표면들(322) 사이의 간섭 끼워맞춤을 야기한다. 다시 말해서, 수신기 개구부는 개구부의 추가 내부 부분의 폭/높이보다 작은 입구 개구부 폭/높이를 가질 수 있고, 입구 개구부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300)의 상부에서 하부까지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 바(300)의 팽창은 바(300)가 수신기 개구부(320) 내에서 흔들리거나 떨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도울 수 있다. 팽창된 코너들(304, 306)과 표면들(322) 사이의 간섭은 바(300)의 부착에 추가의 수준의 견고함을 제공할 수 있다. 샤프트(308)를 제거하면 바(300)가 그의 정상 두께로 복귀할 수 있게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바(300)와 개구부(320) 사이의 마찰 및/또는 간섭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300)는 바(300)의 단부에서 이격된 적어도 2개의 단부 돌출부들(324)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단부 돌출부(324)는 그 자신의 측방향 개구부(310)를 가질 수 있으므로, 2개의 개별 샤프트들(308)이 돌출부들(324)을 팽창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단부 돌출부들(324)이 이격되기 때문에, 바(300)는 바(300)의 전체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단일 개구부(310)와 슬롯(312)을 갖는 바(300)와 비교하여 돌출부들(324)에서 개선된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따라서 수직축(313)을 따라 더 쉽게 팽창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들에서, 바(300)는 2개의 돌출부들(324) 대신에 또는 슬롯들(312)의 개방 단부에 대해 근위(즉, 전자 디바이스에 더 근접하는) 방향으로 바(300)의 일부를 통한 단일의 전체 폭(또는 부분 폭) 개구부(310) 및 슬롯(312)을 가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일부 경우들에서, 바(300)는 바(300)의 각각의 측면에 별개의 개구부들(310)을 가질 수 있고, 돌출부들(324)은 생략될 수 있다(예컨대, 도 8의 바(800)).
샤프트(308)는 바(300)의 개구부(310) 내로 삽입되는 것에 더하여 수신기(예컨대, 208)의 샤프트 또는 패스너 개구부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샤프트(308) 및 (즉, 수신기 및 바의) 개구부(들)는 나사형이고, 샤프트(308)의 종축(314)의 방향을 따라 개구부들 내의 샤프트(308)의 견고한 끼워맞춤을 보장하기 위해 서로 맞물리는 나사산들을 갖는다. 예컨대, 도 4 및 도 9를 참조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드라이버 도구 또는 렌치를 사용하여 개구부(310)로부터 샤프트(308)를 설치 또는 제거할 수 있고, 샤프트(308)의 종축 회전은 나사산들이 샤프트(308)를 개구부(310) 내/외부로 지향시킴에 따라 바(300)의 수직 팽창/수축을 유도할 수 있다.
바-수신기 지지 인터페이스의 다른 실시예가 도 4의 상단면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 바(400)는 수신기(405)의 수신기 개구부(420)에 삽입된 돌출부(424)를 갖고, 샤프트(408)는 수신기(405)의 측방향 개구부(412)를 통해 설치되고, 돌출부(424)의 측방향 개구부(410)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샤프트(408)는 수신기(405)의 측방향 개구부(412)의 나사산들과 맞물리는 나사형 부분(430)을 포함하고, 돌출부(424)의 측방향 개구부(410) 내로 나오는 단부 부분(432)을 갖는다.
단부 부분(432)은 나사형 부분(430)으로부터 그의 원위 단부로 연장됨에 따라 샤프트(408)의 종축(414)을 따라 좁아지는 절두 원추형 테이퍼진 형상을 갖는다. 측방향 개구부(410)는 또한 단부 부분(432)의 반경방향 외부 표면에 의해 맞물리도록 구성된 경사진(즉, 램핑된(ramped)) 내부 표면(434)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진 단부 부분(432)은 샤프트(408)의 구동 표면으로 지칭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샤프트(408)를 개구부(412) 내로 그의 종축(414)을 따라 전진시키면 단부 부분(432)이 측방향 개구부(410) 내로 전진하고 경사진 내부 표면(434)에 대해 슬라이딩하게 되고, 이에 의해 돌출부(424)가 종축(414)에 수직인 방향으로(예컨대, 수직의 제2 축(416)을 따라) 구동 및 이동하게 한다. 따라서, 샤프트(408)의 설치는 바(400)가 수신기 개구부(420)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제한 또는 방지할 뿐만 아니라, 바(400)를 기밀하고 견고한 끼워맞춤으로 (예컨대, 돌출부(424)의 단부가 수신기 개구부(420)의 내부 표면과 접촉할 때까지) 수신기 개구부(420) 내로 가압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수신기 개구부(420)는 돌출부(424)를 개구부(420)와의 바람직한 수직 정렬로(즉, 종축(414) 및 제2 축(416)에 수직인 축을 따라) 가이드하는 램핑된 또는 테이퍼진 표면들(예컨대, 개구 하부 표면(43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5b 및 도 5d를 참조한다. 개구부(420)는 또한 종축(414)의 방향을 따라 측정된 바와 같이 개구부(420) 내의 바람직한 위치로 돌출부를 가이드하기 위해 돌출부(424)의 측부 표면과 접촉하는 개구부의 측면 상에(예컨대, 측부 표면(434)에) 램핑된 또는 테이퍼진 표면(미도시)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5b 및 도 5d를 참조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들로부터의 특징들 및 요소들은 다른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기술된 다른 특징들 및 요소들과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컨대, 도 4의 단부 부분(432) 및 내부 표면(434) 상의) 램핑된 표면들은 도 2,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도 4의 실시예는 도 3a 및 도 3b의 것과 유사한 팽창가능한 바 단부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 사이의 이러한 상호적 특징 관계는 또한 본 개시내용의 검토 후 나중에 알게 될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과 같이, 본 명세서에 기술된 모든 실시예들에 적용된다.
도 5a 내지 도 5d는 바(500)가 수신기 개구부(520)내로 삽입되는 연결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a는 제1 위치에서의 샤프트(508) 및 바(500)의 상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5b는 도 5a의 단면 라인들 5B-5B를 통해 취해진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5c는 제2 위치에서의 샤프트(508) 및 바(500)를 갖는 조립체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5d는 도 5c의 단면 라인들 5D-5D를 통해 취해진 단면도를 도시한다.
바(500)는 바 홈(510)이 수신기(505)의 측방향 개구부(512)와 종방향으로 정렬되고 샤프트(508)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위치 내로 삽입될 수 있는 충분한 깊이로 개구부(520)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샤프트(508)는 측방향 개구부(512) 내에 위치된 제1 부분(530) 및 바 홈(510) 내로 돌출하는 단부 부분(532)을 포함한다. 단부 부분(532)은 캠 부분(535)의 나머지 부분보다 샤프트(508)의 중심 종축(513)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더 연장되는 캠 돌출부(534)를 갖는 캠 부분(535)을 포함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에 캠 돌출부(534)는 바 홈(510)과 접촉하지 않도록 배향되지만, 샤프트(508)가 개구부(512) 내에서 회전될 때, 캠 돌출부(534)는 홈(510)과 접촉하도록 회전되고, 이에 의해 바(500)를 내향 방향으로(즉, 가이드 표면들(550)을 향해 수신기 개구부(520) 내로) 구동하고, 이에 의해 부품들(500, 505) 사이의 임의의 느슨한 수평 끼워맞춤을 제거한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바(500)의 단부 부분은 수신기 개구부(520) 내의 대응하는 테이퍼진, 경사진, 또는 만곡된 가이드 표면들(550)과 접촉하도록 구동되는 하나 이상의 테이퍼진, 경사진 또는 만곡된 가이드 표면들(5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표면들(540, 550)의 각을 이루는 특성은 바(500)를 수신기(505)에 대해 원하는 위치로 가이드하는 것을 돕고, 부품들(500, 505) 사이의 수직의 느슨한 끼워맞춤을 제거한다. 따라서, 표면들(540, 550)과 같은 맞물림 가이드 표면들은, 바(500)의 단부가 다소 비스듬하거나 병진 중심에서 벗어나 삽입되는 경우 도 5c 및 도 5d에 도시된 위치로 바를 가이드하는 데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 "가이드 표면들"로 지칭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바(500)는 제1 커넥터 축을 포함할 수 있고, 수신기는 제2 커넥터 축을 포함할 수 있다. 패스너(예컨대, 508)가 설치되고 가이드 표면들(540, 550)이 서로 대면 접촉하게 될 때(예컨대, 가이드 표면들의 두 쌍들이 서로 대면 접촉하고 각자의 인접 표면들이 서로 평행할 때), 이들 2개의 축들은 정렬될 수 있고 동축이 될 수 있다(예컨대, 축(513)과 정렬될 수 있다).
위치를 벗어난 바(500)가 가이드 표면들(550)과 맞물리고 가이드 표면들(550) 사이에서 내향으로/단부 표면(555)을 향해 가압되면, 바(500)는, 가이드 표면들의 증가된 맞물림(즉, 가이드 표면들(550)과 가이드 표면들(540)의 맞물림)이 바(500)가 수신기 개구부(520)에 끼워지기 위한 이용가능한 공간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킴에 따라 적절한 배향으로 끌어당겨진다. 이는 바(500)가 가이드 표면들(550)에 대해 슬라이딩하고 개구부(520) 내로 더 이동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바(500)가 도 5c 및 도 5d의 위치로 회전하거나 병진하게 하여, 수신기 개구부(520) 내에서 바(500)의 원하는 끼워맞춤 및 배향을 달성한다.
캠 돌출부(534)는 바(500)에 대한 내향 힘이 적용될 수 있는 하나의 메커니즘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바(400)는 도 4와 관련하여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샤프트(408)를 개구부(410) 내로 삽입함으로써 수신기 개구부(420)의 가이드 표면들 내로 유사하게 가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들로부터의 특징들 및 요소들은 다른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기술된 다른 특징들 및 요소들과 조합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다른 종류의 연결 조립체의 예시적인 측단면도들을 도시한다. 이 경우, 샤프트(608)는 바(600)의 홈(610) 내로 연장되고, 바(600)는 샤프트(608)의 회전가능한 텅 부분(654)이 그 내부로 회전가능한 노치(660)를 갖는다. 회전가능한 텅 부분(654)은 샤프트(608)가 회전함에 따라 노치(660)의 내부 표면(665)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램핑된 표면(656)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608)는 텅 부분(654)이 노치(660) 외부에 위치되는(또는 적어도 노치(660)와 접촉하지 않은) 제1 위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고, 도 6b는 텅 부분(654)이 노치(660)와 접촉하는 제2 위치로 샤프트(608)가 회전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내부 표면(656) 및/또는 내부 표면(665)은 샤프트(608)가 그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바(600)를 내향으로(즉, 샤프트(508)의 회전축에 수직임/가이드 표면들(640)은 가이드 표면(들)(650)과 접촉함) 점진적으로 구동하는 방식으로 경사지거나, 만곡되거나, 램핑될 수 있다. 도 6b는 또한 바(600)의 이동으로 인해 샤프트(608)가 회전함에 따라 홈(610)이 샤프트(608)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도시한다. 따라서, 홈(610)은, 가이드 표면들(640/650)이 바(600)를 이동할 때 샤프트(608)에 대한 바(600)의 병진을 수용하기 위해 샤프트(608)의 직경을 초과하는 바(600)를 따른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전자 디바이스(702)와 스탠드(704)를 결합하는 추가 연결 조립체들의 도식적 평면도들을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요소(704)일 수 있고, 스탠드는 요소(702)일 수 있다. 바(700)는 전자 디바이스(702)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고 고정 포스트(705)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스탠드(704)에 앵커링된 제2 병진가능한 포스트(710)는 바(700)에 클램핑력을 적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a의 실시예에서, 바(700)는 고정되고 병진가능한 포스트들(705, 710)과 접촉하고 이들 사이에 마찰식으로 유지되는 그의 측방향 외향 대면 표면들(706)에 의해 클램핑된다. 도 7b의 실시예에서, 바(700)는 포스트들(705, 710)과 접촉하고 이에 의해 이들 표면들(708)에 대해 마찰식으로 유지되는 그의 측방향 내향 대면 표면들(708)에 의해 클램핑된다. 이들 개략도들은 바(700)가 패스너 또는 샤프트 없이, 그리고 바(700)를 제자리에 안착시키는 주요 힘으로서 부품들의 간섭이 아닌 마찰을 이용하여 제자리에 유지될 수 있는 방식을 도시하며, 마찰은 (예컨대, 도 3a 및 도 3b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부 및 하부 표면들보다는 바(700)의 측부 표면들에 적용된다.
도 8은 전자 디바이스(802)에 연결된 바(800) 및 리프트 아암(812)에 연결된 틸트 힌지(809)에 대한 연결 조립체의 상단면도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바(800)는 바(800)의 반대편 측면들 상에 측방향 개구부들(810)을 포함하고, 각각의 측방향 개구부(810)는 나사형이다. 바(800)는 도 9의 위치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트 힌지(809)에서 수신기 개구부(820) 내로 삽입가능하다. 삽입될 때, 측방향 개구부들(810)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틸트 힌지(809)의 측방향 개구부들(813)과 중앙에 정렬될 수 있다. 측방향 개구부들(810, 813)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808)는 단부 부분(834)이 각각의 개구부(810, 813) 내에 끼워지면서 틸트 힌지(809)의 각각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부 부분(834)과 개구부들(810, 813) 사이의 접촉은 바(800)를 틸트 힌지(809)에서 수신기 배럴(840)에 정렬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바(800)는, 예컨대 그 전체 개시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되는, 발명의 명칭이 "Display Support Arm Mount"로 2019년 9월 6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6/563,252호에 개시된 장착 어댑터들의 실시예들 중 하나와 같은, 전자 디바이스(예컨대, 802)에 부착가능한 장착 어댑터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수신기 배럴(840) 및 적어도 하나의 아암 배럴(842)(도 8 및 도 10 참조)은 회전축(848)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회전가능할 수 있다. 도 12 및 아래의 그 관련 설명을 참조한다. 측방향 개구부들(813) 및 수신기 개구부(820)는 수신기 배럴(84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수신기 배럴(840)은 또한 각각의 샤프트(808)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확장된 보어(844)(도 8 및 도 10 참조)를 포함할 수 있고, 확장된 보어(844)는 보어(844)가 측방향 개구부(813)로 전이하는 각각의 측면에 견부 면을 갖는 견부(846)를 형성한다. 헤드 부분은 각각의 샤프트(808)의 단부에 위치될 수 있고, 샤프트(808)의 나머지보다 더 넓을 수 있다. 헤드 부분은 개구부(810) 내의 샤프트(808)를 조이거나 느슨하게 하기 위해 공구 또는 렌치를 사용하여 회전될 수 있다. 헤드 부분은 샤프트(808)를 회전시키기 위해 공구에 의해 맞물리되도록 구성된 리세스, 육각 형상, 또는 다른 조작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견부(846)는 개방된 중심(즉, 측방향 개구부(813))을 갖는 원형의 단부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아암 배럴(842)은 수신기 배럴(840)를 통해 중앙으로 연장되는 회전축(848)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아암 배럴(들)(842) 및 부착된 리프트 아암(812)은 수신기 배럴(840)에 대해 회전축(848)을 중심으로 피봇할 수 있다. 한편, 바(800)는 패스너 샤프트(808)에 의해 수신기 배럴(840)에 고착되고 수신기 배럴(840)과 동기식으로 회전한다. 다시 말해서, 바(800)는 측방향 개구부들(810)을 통해 종방향 및 중앙으로 연장하는 제1 커넥터 축을 갖는 제1 커넥터일 수 있고, 수신기 배럴(840)은 회전축(848)을 따른 제2 커넥터 축을 갖는 제2 커넥터일 수 있고, 제1 커넥터 축과 제2 커넥터 축은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808)가 설치될 때 서로 정렬될 수 있다. 바(800)와 수신기 배럴(840)은 이러한 방식으로 결합되어 단일 유닛으로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는 피봇가능한 아암으로 지칭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이것이 회전축(848)을 중심으로 아암 배럴(들)(842)에 대해 피봇하기 때문이다.
수신기 배럴(840) 및 아암 배럴(들)(842)의 회전은 수신기 배럴(840)의 반대편 단부들 주위에 위치된 선택적인 스프링(예컨대, 토션 스프링)(850) 및/또는 선택적인 세트의 마찰 디스크들(852)로 인해 제한되거나 저항될 수 있다. 도 8 및 도 10을 참조한다. 스프링(850)은 수신기 배럴(840)에 부착된(예컨대, 마찰 끼워맞춤되거나, 용접되거나, 체결된) 제1 단부 및 아암 배럴(842)에 부착된(예컨대, 마찰 끼워맞춤되거나, 용접되거나, 체결된) 제2 단부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프링(850)은 수신기 배럴(840)의 단부와 결합된 제1 직경을 갖는 하나 이상의 코일들, 및 아암 배럴(842)과 결합된 제2 직경(예컨대, 더 큰 직경)을 갖는 하나 이상의 코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부품들(850, 840, 842) 사이의 부착은 회전축(848)을 중심으로 하는 배럴들(840, 842) 사이의 상대 회전이 발생함에 스프링(850)의 포텐셜 에너지가 증가 또는 감소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850)은 스프링(850)의 포텐셜 에너지가 가장 낮은 원하는 "원점(home)"또는 "디폴트"위치를 향해 배럴들(840, 842)의 회전을 바이어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 위치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위치이다.
스프링(850)은, 디바이스의 하단이 전방으로 틸팅될 때(즉, 전자 디바이스(102)의 도 1b의 위치로부터 도 1c에 도시된 위치로의 이동), 디바이스가 틸트 힌지(809)에서 해당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돕는 토크를 배럴들(840, 842)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802)의 틸트를 조정하는 것을 돕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프링(850)은 또한 디바이스가 반대 방향(예컨대, 전자 디바이스의 도 1c의 위치로부터 도 1b의 위치로의 이동에 의해 도시된 방향)으로 회전될 때, 포텐셜 에너지를 저장하고 틸트 힌지(809)에 저항 토크를 적용함으로써 전자 디바이스(802)의 회전에 저항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프링(850)은 전자 디바이스가 전방 또는 후방 방향으로(즉, 그의 측방향 측면에서 볼 때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틸팅되어 있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틸트 힌지(809)에서 피봇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유사한(예컨대, 동일한) 토크를 필요로 하게 함으로써 스탠드(예컨대, 104)의 인체 공학을 개선할 수 있다. 스프링(850)의 저항 및 보조는 전자 디바이스(102)가 틸트 힌지(809)를 지나는 무게 중심으로 인해 과회전하지 않도록 전자 디바이스(102)의 무게 중심이 (예컨대, 도 1c에서 조인트(114)의 수직 레벨에서) 틸트 힌지(809)보다 수직으로 더 높게 위치되는 실시예들에서 특히 유리할 수 있다.
마찰 디스크들(852)은 배럴들(840, 842)의 상대 이동에 마찰 저항을 적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저항은 배럴들(840, 842)의 회전이 양방향에서(즉, 전방 및 후방으로의 틸팅) 더 많은 토크를 필요로 하도록 함으로써 인체 공학을 개선할 수 있다. 증가된 토크는 (예컨대, 디바이스가 부딪치거나 스탠드가 떨리고 디바이스의 회전된 위치가 흔들릴 수 있을 때) 전자 디바이스의 의도하지 않은 틸팅 이동들을 제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마찰 디스크들(852)은 디스크들에 의해 적용되는 마찰이 미리 결정된 수준으로 조정가능하도록 조정가능한 압축 또는 장력을 가질 수 있다. 스프링(850)과 조합하여, 마찰 디스크들(852)은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어느 방향으로든 틸팅하기 위한 단일의, 미리 결정된, 실질적으로 동일한 토크만을 제공할 필요가 있도록 조정될 수 있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바가 적절하게 구속되지 않으면 바는 흔들리거나 수신기 개구부와의 결합이 헐거워질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의 연결 시스템은 수신기 개구부(820)에 대한 바의 이동을 적어도 5(및 잠재적으로 6) 자유도로 제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렇게 하기 위해, 수신기 개구부(820)는, 도 11에 도시된(또한 도 8 및 도 10에 부분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바(800)의 단부 부분(1104)의 만곡된 단부 표면(1102)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한 쌍의 만곡된 돌출부들(11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수신기 개구부(820)는 바(800)의 2개의 가이드 표면들(즉, 1102의 반대편 측면들)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돌출부들(1100) 상의) 2개의 가이드 표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가이드 표면들은 돌출부들(1100)의 일부가 아니라 개구부(820)의 내벽들의 일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표면들의 쌍들 사이의 긴밀한 끼워맞춤을 보장하기 위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샤프트(808-a)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의 나사형 단부 부분(834)은 수신기 배럴(840)의 확장된 보어(844)의 견부(846)와 접촉하여 안착되는 동안 바(800)의 측방향 개구부(810)의 나사산들과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808)는 자체의 견부(837)를 형성하기 위해 자체의 확장된 부분(836)(즉, 섕크)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견부들(837, 846)은 부분(834)에서의 나사산이 조여질 때 서로 접촉하도록 당겨지고 유지된다. 동시에, 바(800)의 단부 부분(1104)은 만곡된 돌출부들(1100) 사이에서 당겨지고 나사산들에 의해 그들과 밀착된다. 이에 의해 바(800)는 수신기 배럴(840)에 고정되고 도 9 및 도 11의 x-, y-, 또는 z-축을 따른 병진과 같은 수신기 배럴(840)에 대한 이동이 제한된다. 만곡된 돌출부들(1100)에서의 접촉은 또한 적어도 x-축 및 z-축을 중심으로 한 배럴(840)에 대한 바(800)의 회전을 방지한다. 샤프트 단부 부분(834) 직경과 수신기 배럴(840)의 측방향 개구부(813)의 적절하게 조여진 끼워맞춤 및 크기 조정은 또한 y-축을 중심으로 한 배럴(840)에 대한 바(80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단부 부분(1104)의 외측 만곡된 표면들은 바(800)의 가이드 표면들로 지칭할 수 있고, 만곡된 돌출부들(1100)은 수신기 배럴(840)의 가이드 표면들로 지칭될 수 있다. 단부 부분(1104)의 외측 만곡된 표면들은 단부 부분(1104)의 폭을 최대 두께로부터 만곡된 돌출부들(1100)의 대응하는 테이퍼링 형상과 맞물리는 보다 좁은 두께로 점진적으로 전이시키는 만곡된 테이퍼링 표면들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틸트 힌지(809)는 비직교하게 각을 이루거나 테이퍼진("V"형과 유사) 가이드 표면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에 대해 바(800)의 만곡된(또는 대안적으로, 유사하게 비직교하게 테이퍼진 "V"형) 표면들이 접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돌출부들(1100)은 바(800)와 접촉하는 볼록한 표면들을 갖지만, 일부 실시예들에서, 바(800)를 수용하기 위해 평평한 테이퍼링 표면들 또는 오목한 표면들을 갖는 돌출부들(1100)이 사용될 수 있다. 개구부(820) 내의 바(800)의 (예컨대, 도 11에서 양의 x-축을 따른) 이동은 가이드 표면들 사이의 접촉에 의해 야기되는 기계적 간섭이 개구부(820)에 대한 바(800)의 임의의 추가의 이동을 방지하는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가이드 표면들이 서로 접하고 슬라이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요소들(1100, 1102) 상의 가이드 표면들의 맞물림은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개략적인 클램핑과 유사한 바(800)의 클램핑 및 도 5d 및 도 6b의 가이드 표면 접촉을 야기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9에 갭(86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808-a)를 수용한 측방향 개구부(810)는 샤프트(808-a)가 개구부(810)의 최내측 단부(858)에서 바닥을 치지 않고 개구부(810)에서 조여지는 것을 허용하는 길이 또는 위치를 갖도록 구성된다. 갭(860)은 단부 부분(834)이 요소들(1100, 1102) 상의 가이드 표면들과 견부들(837, 846) 사이의 접합을 야기하기에 충분히 조여지는 것이 방지되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다. 이 특징부는 최내측 단부(858)와 샤프트(808-a)가 완벽하게 크기설정되고 제조될 필요가 없도록 보장한다. 그렇지 않으면, 샤프트(808-a)는 개구부(810)에 비해 너무 길어서 최내측 단부(858)와의 간섭 접촉으로 인해 인접 표면들을 조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갭(860)은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고 적절한 힌지 조립체를 더 간단하게 만든다.
틸트 힌지(809)의 반대편 측면은 바(800)의 반대편 측방향 개구부(810) 내로 설치되어 바닥을 치고 개구부(810)의 내측 단부 벽과 접촉하는 유사한 샤프트(808-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샤프트(808-b)는 수신기 개구부(820)에 대한 바(800)의 이동을 제한하지 않고 바(800)로부터 연장되는 캔틸레버 또는 핀으로서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두 샤프트들(808)은 상호교환가능하고 따라서 사용자가 설치 및 조정하기 더 쉽도록 동일한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는 틸트 힌지(809)의 각각의 측면에 어떤 패스너가 맞는지 파악할 필요가 없다. 또한 제조업체는 2개의 고유한 부품들이 아닌 한 개의 부품으로 2개를 만들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규모의 경제로 인해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하나의 개구부(810)에는 갭(860)이 있고 다른 하나에는 갭(860)이 없게 하기 위해, 개구부들(810)이 상이한 깊이들을 가질 수 있거나, 수신기 배럴(840)이 수신기 개구부(820)와 각각의 측면의 보어(예컨대, 844)의 견부들(예컨대, 837) 사이에서 상이한 두께들을 가질 수 있다.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단면 라인들 12-12를 통해 취해진 틸트 힌지(809)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800) 및 수신기 배럴(840)은 아암 배럴(842)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암 배럴(842)은 내부에서 바(800) 및 수신기 배럴(840)이 회전축(848)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내부 개구부(12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800)는 상향 회전된 위치(1202)에서 파선으로 도시된다. 개구부(1200)는 아암 배럴(842)에 대한 바(800)의 회전 한계들을 정의하기 위해 바(800)의 상부 및 하부 표면들이 이동하여 접촉할 수 있는 후방 표면들(1204, 1206)을 가질 수 있다. 전방 표면들(1208, 1210)은 바(800)가 회전축(848)을 중심으로 극단적으로 틸팅된 위치들에 있는 경우에도 바(800)가 절대 그들과 접촉하지 않도록(즉, 전방 표면들(1208, 1210) 사이에 갭 또는 간극이 있음)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바(800)의 상부가 후방 상부 표면(1206)과 맞물리고 따라서 더 이상 회전할 수 없을 때, 바(800)는 전방 하부 표면(1208)으로부터 멀리 이격되거나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유사하게, 바(800)의 하부가 후방 하부 표면(1204)과 맞물릴 때, 바(800)의 상부는 전방 상부 표면(1210)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전방 측면에서 접근될 때, 바(800)가 바(800)와 개구부(1200) 사이에 위치된 물체들을 집고 압축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2는 또한 후방 벽(1212)이 아암 배럴(842) 상에 포함되는, 아암 배럴(842)의 선택적 구성을 도시한다. 후방 벽(1212)은 힌지(809)의 후방 측면으로부터 개구부(1200) 내로의 물체들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지지 시스템(1300)의 도식적 측면도들을 도시한다. 지지 시스템(1300)은 리프트 아암(112) 및 관련 조인트들(110, 114) 및 연결 디바이스들(108, 118)을 위한 것과 같은, 지지 시스템(10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지지 시스템(1300)은 전자 디바이스(1304)와 스탠드(1306)(또는 다른 접지 표면/지지 표면) 사이로 연장하고 이들을 연결하는 아암 조립체(1302)를 포함할 수 있다. 아암 조립체(1302)는 스탠드(1306)에 대한 전자 디바이스(1304)의 수직 위치를 관리하고 지지하는 지지 메커니즘들을 포함하는 하우징(1301)을 포함한다.
아암 조립체(1302)는 전자 디바이스(1304)에 고정되고 틸트 힌지(1309)에서 틸트 커넥터(1310)에 대해 피봇가능한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1308)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틸트 힌지(1309)는 그의 피봇 축이 틸트 커넥터(1310) 상의 부착 지점들(1318, 1322) 사이의 중심점과 동축이다. 틸트 힌지들은 도 2 내지 도 12와 관련하여 기술된 구성을 포함할 수 있고, 도 13a 및 그 후로는 개략적으로만 도시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1308) 및 틸트 커넥터(1310)는 (틸트 힌지(1309) 없이) 단일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1308)로서 형성될 수 있거나,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로서 집합적으로 지칭될 수 있다.
지지 구조체(1312)는 스탠드(1306)에 결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지지 구조체(1312)는 스탠드(1306)에 연결된 단일 피스의 강성 구조체이거나 스탠드의 일체형 부분이다. 지지 구조체(1312)는 또한 시스템(1300)에 추가의 관절 및 모션 범위를 제공하기 위해 (예컨대, 도 2 내지 도 12에 기술된 것들과 같이) 틸트 힌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지지 구조체(1312)는 스탠드 베이스 커넥터(예컨대, 118)에 대해 피봇가능할 수 있다.
제1 아암(1314) 및 제2 아암(1316)은 틸트 커넥터(1310) 및 지지 구조체(1312)에 결합된다. 틸트 커넥터(1310)는 제1 및 제2 부착 지점들(1318, 1322)을 각각 포함하고, 지지 구조체(1312)는 제3 및 제4 부착 지점들(1320, 1324)을 각각 포함한다. 제1 및 제2 아암들(1314, 1316)은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 지점들에서 틸트 커넥터(1310) 및 지지 구조체(1312)에 피봇식으로 연결된다. 아암들(1314, 1316)의 길이들은 동일하고, 제1/제2 및 제3/제4 부착 지점들 사이의 거리들은 동일하므로 부착 지점들은 평행사변형 피봇 프로파일의 코너들을 형성한다. 피봇 지점들과 연결 부분들의 이러한 구성을 "4-바" 링키지 또는 메커니즘으로 지칭한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 조립체(1302)는 틸트 커넥터(1310) 및 지지 구조체(1312)가 서로 평행하고 수직이고, 이에 의해 부착 지점들과 직사각형을 형성하는 제1(예컨대, 수평) 위치를 가질 수 있다. 도 13b는 아암 조립체(1302)가 전자 디바이스(1304)가 하향으로 낮아지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지만, 틸트 커넥터(1310) 및 지지 구조체(1312)가 서로 평행하고 수직으로 유지되는 것을 도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아암 조립체(1302)의 조정은 유리하게는 전자 디바이스(1304)의 틸팅된 방향을 자동으로 변경하지 않으며, 아암 조립체(1302)가 조정됨에 따라 상하로만 병진한다(아크 형상 경로를 따르므로 작은 수평방향 병진도 있음).
하우징(1301)은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1308)(및/또는 틸트 커넥터(1310)) 및 지지 구조체(1312)가 각각 연장되는 2개의 단부 개구부들(1326, 1328)을 갖는다. 물체들 및 이물질이 하우징(1301)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스들(1330, 1332)은 4-바 메커니즘 주위의 하우징(1301)의 각각의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시스들(1330, 1332)은 아암 조립체(1302) 및/또는 틸트 힌지(1309)의 임의의 회전된 위치에서 개구부들(1326, 1328)의 내부 둘레들을 완전히 차폐하기에 충분한 크기를 갖는 실질적으로 원형인 형상 또는 부분적으로 원형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틸트 힌지(1309)에서의 전방 시스(1330)는 (예컨대, 원형의 360도 측면 프로파일을 가짐으로써) 더 큰 범위의 각도들을 커버하도록 구성되는데, 그 이유는 아암 조립체(1302)와 틸트 힌지(1309)의 전체 결합된 이동 범위가 시스(1330)의 원주의 180도 이상의 노출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후방 시스(1332)는 지지 구조체(1312)에서의 4-바 메커니즘의 회전 동안 개구부(1328)를 차폐할 필요만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C-형상을 갖거나 180도 차폐/반원 측면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아암 조립체(1302)의 다중 회전 각도들에서 시스들(1330, 1332)이 (부착 지점들(1318, 1320, 1322, 1324) 사이의 중심점들에 대해) 하우징(1301)에 반경방향으로 중첩되는 부분들을 가질 수 있는 방식을 도시한다.
전자 디바이스(1304)의 중량이 스탠드(1306)에 대해 하향으로 처지게 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돕고, 아암 조립체(1302)를 회전시킴으로써 전자 디바이스(1304)를 들어 올리는 데 필요한 힘의 양을 아암 조립체(1302)를 회전시킴으로써 전자 디바이스(1304)를 낮추는 데 필요한 힘의 양과 더 동일하게 만들기 위해, 카운터밸런스 메커니즘이 4-바 메커니즘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카운터밸런스 메커니즘은 제1 및 제2 아암들(1314, 1316) 사이 및 틸트 커넥터(1310)와 지지 구조체(1312) 사이의 위치에서 리테이너(1336) 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34)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 바(1338)는 아암들(1314, 1316)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으며, 피봇 지점들이 4-바 메커니즘의 단부들에 평행한 라인을 따라 아암들(1314, 1316)에 부착된다. 이어서, 리테이너(1336)는 스프링(1334)을 내부에 가지고 리테이너 바(1338)에 피봇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부 구성들에서, 리테이너(1336)는 스프링(1334)의 측면들을 구속하지 않고 스프링 보유 부분(1340)으로 스프링(1334)의 일 단부만을 구속한다.
리테이너(1336)는 스프링(1334)의 단부와 맞물리고 접촉하도록 구성된 스프링 보유 부분(1340)(예컨대, 레지, 리지(ridge) 또는 돌출부)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 보유 부분(1340)은 스프링(1334)이 리테이너(1336)로부터 분리되는 것(예컨대, 당겨지거나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프링 보유 부분(1340)은 리테이너(1336)에 대한 스프링(1334)의 단부의 이동에 기계적 간섭을 제공하는 부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프링 보유 부분(1340)은 스프링(1334)의 단부를 리테이너(1336)에 결합하는 패스너, 용접, 또는 다른 부착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스프링(1334)의 단부가 리테이너(1336)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카운터밸런스 메커니즘은 또한 로드 피봇 지점(1344)에서 제1 또는 제2 아암(1314, 1316)에 피봇식으로 연결된 로드(1342)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1342)의 반대편 단부는 스프링(1334)을 통해 또는 그 주위로 연장될 수 있고 로드 피봇 지점(1344) 반대편에 있는 스프링(1334) 상에 위치된 스프링(1334)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1342)는 스프링(1334)의 단부가 접하고 접촉할 수 있는 플랫폼을 형성하는 나팔모양 단부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로드(1342)의 단부는, 예컨대 로드의 이동을 스프링(1334)의 단부의 이동에 링크시키는 방식으로 체결되거나 용접됨으로써 스프링(1334)의 단부에 고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4-바 메커니즘이 회전함에 따라 카운터밸런스 메커니즘의 로드(1342)는 또한 제1 아암(1314)의 이동 및 (리테이너 바(1338)의 이동을 통한) 리테이너(1336)의 이동으로 인해 회전한다. 로드(1342)는 4-바 메커니즘의 측면들 중 하나와 평행하지 않고 그의 스프링 결합 단부가 다른 아암(즉, 1316)에 결합되어 있지 않으므로, 따라서 로드(1342)는 자신이 연결된 아암(즉, 1314)과 동일한 각속도로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로드(1342)와 아암(1314) 사이의 각도는 도 13a 및 도 13b에서 그들의 상대 각도들(A1, A2)을 비교함으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아암(1314)이 제3 부착 지점(1320)을 중심으로 피봇함에 따라 감소한다.
감소되는 각도(A)(예컨대, A1에서 A2로 이동)는 로드(1342)가 리테이너(1336) 내에서 스프링(1334)을 압축하게 한다. 이것은 스프링(1334)에 압축력(로드(1342)의 길이를 따라 로드 피봇 지점(1344)을 향해 지향됨)을 적용하는 스프링(1334)과 로드(1342)의 단부의 결합에 기인하고, 스프링(1334)이 리테이너(1336)로부터 당겨지는 것을 방지하는(즉, 로드(1342)의 압축력에 저항하는 힘을 제공하는) 스프링 보유 부분(1340)과 스프링(1334)의 결합에 기인한다. 각도(A)가 증가하면(예컨대, A2에서 A1으로 이동), 스프링(1334)은 스프링 유지 부분(1340)과 로드(1342)의 단부를 가압함에 따라 에너지를 방출한다. 따라서, 스프링(1334)은 전자 디바이스(1304)가 하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포텐셜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고, 디바이스(1304)가 상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포텐셜 에너지를 방출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들어올리고, 디바이스가 하향으로 이동할 때 디바이스의 하강을 늦추는 데 도움이 된다. 아암 조립체(1302)가 견고하고 예측가능한 느낌을 갖도록 마찰 디스크들이 부착 지점들(1318, 1320, 1322, 1324)에 추가되어 4-바 메커니즘의 이동에 추가의 마찰 저항을 부가할 수 있다.
따라서, 로드 피봇 지점(1344) 및 리테이너 바(1338)의 서로에 대한 그리고 아암들(1314, 1316)에 대한 위치설정은 아암 조립체(1302)의 회전에 의해 스프링(1334)이 압축(또는 압축해제)되는 속도를 한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프링, 리테이너 및 로드는 아암 조립체(1302)가 회전됨에 따라 미리 결정된 양의 포텐셜 에너지가 저장되거나 방출되게 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스프링(1334)의 에너지 저장이 디바이스(1304)(및 아암)의 포텐셜 에너지의 손실을 밀접하게 따르도록 하기 위해 또는 그 반대로 하기 위해, 전자 디바이스의 질량 및 아암 조립체(1302)의 나머지 부분의 질량에 기초하여 설계될 수 있다. 압축 스프링들, 판 스프링들, 직렬 또는 병렬로 사용되는 다수의 스프링들, 선형 스프링 상수를 갖는 스프링들, 비선형 스프링 상수를 갖는 스프링들, 및 이들의 조합들을 포함하는 매우 다양한 스프링들이 스프링(1334)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전자 디바이스(1304) 및 스탠드(1306)에 연결가능한 아암 조립체(1402)를 갖는 리프트 시스템(1400)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14a는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1404), 지지 구조체(1406), 및 피봇 조인트들(1410, 1412)에서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1404) 및 지지 구조체(1406)에 각각 피봇식으로 연결된 아암 하우징(1408)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1404)는 아암 하우징(1408)의 피봇 조인트(1410)로부터 오프셋된 틸트 조인트(1411)를 가질 수 있거나, 전자 디바이스(1304)가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1404)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피봇하도록 허용하는 피봇 조인트(1410)에서의 틸트 조인트를 가질 수 있다.
아암 하우징(1408)은 피봇 조인트들(1410, 1412) 사이에 강성 링크를 제공함으로써 아암(1314) 또는 아암(1316)과 유사하게 기능할 수 있다. 아암 하우징(1408)은 또한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1404) 및 지지 구조체(1406)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밀봉 및 차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4a에서, 아암 하우징(1408)은 그들의 후방 측면들을 차폐한다. 아암 하우징(1408)은 또한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1404) 및 지지 구조체(1406) 위와 그 주위로 연장될 수 있으므로,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1404) 및 지지 구조체(1406)의 상부 및 하부 표면들을 차폐함으로써 하우징(1301)과 유사한 용도로 쓰일 수 있다. 단부 개구부들(1414, 1416)은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1404) 및 지지 구조체(1406)가 인클로저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아암 하우징(1408)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1400)은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1404)와 지지 구조체(1406) 사이에서 연장되고 그 주위를 감싸는 벨트(14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벨트(1418)는 피봇 조인트들(1410, 1412) 및 피봇 조인트들(1410, 1412)을 링크시키는 축에 대해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되는 일련의 맞물림 특징부들(예컨대, 톱니 또는 리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맞물림 특징부들은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1404) 및 지지 구조체(1406)의 외주 주위로 연장되는 홈들, 기어 톱니들 또는 리세스들과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벨트(1418),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1404), 및 지지 구조체(1406)의 맞물림 특징부들은 이에 의해 벨트(1418)가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벨트(1418)가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1404) 및 지지 구조체(1406)의 외부 표면들 상의 대응하는 맞물림 특징부들과 접촉하는 동안 슬라이딩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벨트(1418)는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1404) 및 지지 구조체(1406)가 피봇 조인트들(1410, 1412)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할 때 이들의 회전을 링크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14b 및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1404) 및 지지 구조체(1406)는 아암 하우징(1408)과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여, 이에 의해 전자 디바이스(1304) 및 스탠드(1306)가 4-바 메커니즘의 동작과 유사하게 서로에 대한 각도 위치들을 유지하는 것을 보장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도면들은 시스템(1400)이 피봇 조인트(1412)를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디바이스(1304)가 수직으로 유지되고 스탠드(1306)의 수직 표면에 평행하게 유지되는 것을 도시한다. 벨트(1418)는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1404)와 지지 구조체(1406) 사이에 인장된 상태로 작용함으로써 이러한 거동에 기여한다.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1404) 또는 지지 구조체(1406)가 회전함에 따라, 벨트(1418)에 의한 영향을 받음(예컨대, 당겨짐)에 의해 다른 구조체도 회전한다. 시스템(1400)이 전자 디바이스(1304)를 하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벨트의 상부 부분(1418-a)의 장력은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1404)를 시계 방향(즉, 조인트(1410)를 중심으로 한 방향(1420))으로 회전시킨다. 하부 부분(1418-b)의 장력은 또한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1404)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시스템(1400)이 디바이스를 상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벨트의 하부 섹션(1418-b)의 장력이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1404)를 조인트(1410)를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부 부분(1418-a)의 장력도 도움이 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벨트(1418)는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1404)와 지지 구조체(1406) 사이에 슬라이딩 방지(non-sliding) 링크를 유연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벨트(1418)는 리프트 시스템(1400)의 이동 방향에 따라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1404)와 지지 구조체(1406)의 상부 측면 및/또는 그 하부 측면들 사이에 장력을 적용한다.
추가적으로, 그 사이로 벨트(1418)에 장력이 가해지는 지점들은 리프트 시스템(1400)이 동작됨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도 14b의 위치에서, 벨트(1418)는 벨트 상의 지점들(B1, B2) 사이에서 장력을 받고 있지만, 도 14c의 위치에서,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1404) 및 지지 구조체(1406)(및 벨트(1418)에 대한 슬라이딩 방지 링크)의 회전으로 인해 장력은 각각 벨트(1418) 상에서 지점들(B1, B2)보다 전자 디바이스(1304)에 더 가까이 위치되는(그리고 구조체들(1404, 1406)의 원주들 주위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위치되는) 지점들(B3, B4) 사이에 각각 있게 된다. 따라서, 리프트 시스템(1400)의 동작은 벨트(1418) 상의 이동 장력 지점들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b 및 도 14c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장력 지점들(예컨대, 지점들(B1 내지 B4))은 벨트(1418)의 길이를 따라 한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지점들(B1 내지 B4)은 리프트 시스템(1400)이 한 방향(예컨대, 하향으로)으로 이동함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1304)를 향해 벨트의 상부 부분(1418-a)을 따라 이동한다. 장력 한계들은 리프트 시스템(1400)이 반대 방향으로(예컨대, 도 14c의 위치로부터 도 14b의 위치로의 이동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304)가 도 14b에 대해 상승된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장력 한계들의 유사한 이동이 (즉,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1404) 및 지지 구조체(1406)의 상부에서 전자 디바이스(1304)로부터 더 멀리) 계속될 것이다.
벨트(1418)는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1404) 및 지지 구조체(1406)의 표면들에 대해 그들의 외부 둘레에 감기고 풀려짐에 따라 자체적으로 재형상화되도록 구성된 고무, 직물, 로프, 스트링, 섬유, 합성물 또는 유사한 가요성 재료를 포함하는 스트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벨트(1418)는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1404) 및 지지 구조체(1406) 상의 톱니들 또는 홈들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체인과 같은 다른 유사한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아암 하우징(1408)은, 벨트(1418)를 인장된 상태로 유지하고 벨트(1418)와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1404) 및 지지 구조체(1406) 사이의 블로백 및 처짐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인장 돌출부들, 핀들 또는 롤러들(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들 또는 롤러들은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향 힘들(1422)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4b 및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 시스템(1400)은 카운터밸런스 메커니즘(1424)을 포함할 수 있다. 카운터밸런스 메커니즘(1424)은 도 13a 및 도 13b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리테이너, 스프링, 및 로드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전자 디바이스(1304) 및 리프트 시스템(1400)의 포텐셜 에너지의 손실 또는 획득에 대응하여 포텐셜 에너지를 저장 및 방출할 수 있다. 카운터밸런스 메커니즘(1424)은 아암 하우징(1408)에 부착된 피봇 지점(1426) 및 지지 구조체(1406)에 부착된 피봇 지점(1428)에 대한 연결들을 가질 수 있다. 시스템(1400)은 또한 1330 및 1332(도 14a 내지 도 14c에 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시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피봇 지점(1426)은 카운터밸런스 메커니즘(1424)의 로드가 통과하는 개구부와 비교하여 리테이너의 반대편 단부에 위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피봇 지점(1426)은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피봇 지점과 같이 리테이너의 개구부에, 또는 리테이너의 단부들 사이의 길이를 따라 위치될 수 있다. 더욱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프링은 연장 스프링일 수 있으며, 스프링은 그 길이의 연장에 의해 에너지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로드는 연장 스프링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고, 리테이너는 연장 스프링의 반대편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어서, 링크 아암의 회전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그리고 본 개시내용 이후 나중에 이해될 것과 같이, 로드 피봇 지점과 리테이너의 피봇 지점(1426)의 위치에 따라 스프링을 연장시키는 방식으로 로드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b는 리프트 시스템(15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는 도 13a 및 도 13b의 시스템과 유사하게 동작하는 구조체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강성 시스들(1330, 1332)을 갖는 것보다, 시스템(1500)은 하우징(1501)의 단부 개구부들(1526, 1528)을 차폐하고 내부 부품들을 은닉하는 가요성 시스들(1530, 1532)을 포함한다. 가요성 시스들(1530, 1532)은 각각 2개의 오목 부분들(1536, 1538) 사이에 위치된 볼록 부분(1534)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볼록 부분(1534)은 중앙 부분으로 지칭될 수 있고, 오목 부분들(1536, 1538)은 단부 부분들로 지칭될 수 있다.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1540)는 전방 가요성 시스(1530)의 중심을 통해 연장되고, 지지 구조체(1542)는 후방 가요성 시스(1532)의 중심을 통해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시스들(1530, 1532)은 각각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1540) 및 지지 구조체(1542)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그들에 부착될 수 있다.
하우징(1501)이 수평이고 전자 디바이스(1304) 및 스탠드(1306)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1 위치에서,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 부분(1534) 및 오목 부분들(1536, 1538)은 수직 대칭(즉, 수평 축을 가로질러 미러링된 형상)이고, 오목 부분들(1536, 1538)은 하우징(1501)의 내부 공동 내로 개구부(1526)에 대해 동일한 깊이들로 연장된다. 볼록 부분(1534)은 전체 단부 개구부(1526)를 차폐하고, 오목 부분들(1536, 1538)의 단부 팁들은 하우징(1501)의 내부 표면과 접촉한다. 하우징(1501)이 회전되고 전자 디바이스(1304) 및 스탠드(1306)에 대해 각을 이루는 제2 위치에서,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및 후방 가요성 시스들(1530, 1532)은 하우징(1501)의 이동을 수용하도록 변형된다. 구체적으로, 전방 가요성 시스(1530)는 그의 상부 오목 부분(1536)이 개구부(1526)에 대해 하우징(1501) 내로 더 깊게 이동하도록 슬라이드되고, 그 하부 오목 부분(1538)이 하우징(1501)에 대해 개구부(1526)에 더 가까운 위치로 슬라이드된다.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가요성 시스(1532)의 경우에는 그 반대가 해당된다. 따라서, 하우징(1501)(및 하우징(1501) 내의 지지 메커니즘들)이 회전하고 이동함에 따라, 가요성 시스들(1530, 1532)은 이동들에 적응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전방 및 후방 가요성 시스들(1530, 1532)의 길이들은 오목 부분들(1536, 1538)의 단부들에 있는 팁들이 하우징(1501)의 종축에 평행한 내부 표면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1540) 및 지지 구조체(1542)가 하우징(1501)에 대해 가장 극도로 회전된 위치들에 있는 경우에도 개구부들(1526, 1528) 밖으로 나오지 않는 것을 보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가요성 시스들(1530, 1532)은 하우징(1501)의 내부 표면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하우징(1501)과 시스들(1530, 1532) 사이의 공간에서 이물질 또는 기타 물체들을 쓸어내고 물질이 시스들(1530, 1532) 내부의 하우징(1501) 내로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가요성 시스들(1530, 1532)은 그들 각자의 개구부(1526 또는 1528)의 내부 립(lip)과 맞물릴 수 있고, 침입하는 물체들을 차단하기 위해 내부 립과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가요성 시스들(1530, 1532)은 하우징(1501)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종축에 수직으로 배향된 화살표(D)로 표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501)에 외향 압력을 적용한다. 따라서, 가요성 시스들(1530, 1532)은 하우징(1501)의 회전으로 인해 하우징(1501)의 내부 표면을 따라 슬라이딩됨에 따라 하우징(1501)의 내부 표면과의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내부 표면과의 접촉은 하우징(1501)과 가요성 시스들(1530, 1532) 사이에서 하우징(1501) 내로의 이물질 또는 물체들의 침입을 방지하는 시일(seal) 및 장벽을 보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가요성 시스들(1530, 1532)은 각각 금속 시트, 플라스틱, 합성물, 고무 또는 탄성적으로 굽힘 및 굽힘해제되도록 구성된 유사한 재료와 같은 단일 피스의 가요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시스들(1530, 1532)은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1540) 및 지지 구조체(1542)에 대한 하우징(1501)의 이동에 적응하도록 굽힘 또는 절첩될 수 있는 굽힘가능하게 링크되거나 힌지 링크된 세그먼트들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구성들은 강성이지만 힌지된 부품들로 구성된 "차고 문(garage door)" 배열을 갖는 것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시스들(1530, 1532)의 단부들은 시스들의 단부들이 바람직하지 않게 떨어지거나 미끄러져 하우징(1501) 내의 아암 조립체 또는 카운터밸런스 메커니즘들과 간섭 또는 접촉하지 않도록 보장하는 레일들, 트랙들 또는 다른 지지 표면들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가요성 시스들(1530, 1532)을 사용하면 유리하게는 하우징(1501)의 내부를 실질적으로 개방되게 둘 수 있고, 이에 의해 아암 지지 조립체 및 카운터밸런스 메커니즘들이 그 공간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디바이스 제조사는 하우징(예컨대, 1301)의 종축에 대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시스(예컨대 1330)가 필요하지 않은 부품들로 인해 하우징(1501) 내에서 더 크고 더 긴 부품들을 사용할 수 있거나, 아암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비용을 절감하고 제조 및 조립을 단순화하며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태는 지지 스탠드를 전자 디바이스에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에 관한 것으로, 지지 스탠드는 전자 디바이스의 수신기 또는 잠금 메커니즘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돌출부 또는 바를 포함한다. 도 16a 내지 도 19는 지지 스탠드(1602)의 돌출부(1600)가 전자 디바이스(1604)에 견고하게 연결가능한 시스템의 실시예의 다양한 도면들을 도시한다. 디바이스(1604)는 돌출부(1600)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1608) 및 개구부(1608) 내부(즉, 디바이스(1602) 내에 형성된 공동(1612) 내부)에 위치된 잠금 메커니즘(1610)(즉, 래치)를 갖는 하우징(160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a는 돌출부(1600)와 전자 디바이스(1604) 사이의 인터페이스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돌출부(1600)와 스탠드(1602)는 개구부(1608)로부터 이격되어(즉, 연결되지 않은 위치에) 위치된다. 도 16b는 도 16a의 단면 라인들 16B-16B를 통해 취해진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7a는 하우징(1606)에 대한 제2 위치에 있는 돌출부(1600)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돌출부(1600)는 개구부(1608) 내로 삽입되지만 잠금 메커니즘(1610)에 의해 제자리에 고정되지는 않는다. 도 17b는 도 17a의 단면 라인들 17B-17B를 통해 취해진 측단면도이다. 도 17c는 도 17a의 단면 라인들 17C-17C를 통해 취해진 인터페이스의 측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b의 위치와 유사한 위치에서의 측단면도를 도시하지만, 잠금 메커니즘(1610)이 돌출부(1600)를 하우징(1606) 내의 위치에 잠그고 있다. 도 19는 잠금 메커니즘(1610)이 하우징(1606)으로부터 돌출부(1600)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위치에 있는 유사한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돌출부(1600)는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좁은 부분(1614) 및 넓은 부분(161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부분들(1614, 1616)은 전자 디바이스(1604)에 대해 실질적으로 외측을 향하는 그들의 수렴부에서 견부 표면(1618)을 형성할 수 있다. 잠금 메커니즘(1610)은 돌출부가 잠금 메커니즘(1610)(도 16a 및 도 16b)에 대한 외부 위치로부터, 삽입된 내부 위치(도 17a 및 도 17b)로 이동됨에 따라 적어도 돌출부(1600)의 넓은 부분(1616)이 삽입되는 통로(1620)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600)는 견부 표면(1618)이 통로(1620)를 통해 완전히 위치설정되기에 충분한 깊이로 잠금 메커니즘(161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돌출부(1600)가 도 17b에 도시된 위치에 있는 경우, 잠금 메커니즘(1610)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조정 메커니즘/나사(1622)를 통해) 통로(1620)를 하향으로 병진시키고 견부 표면(1618)과 전방 대면 표면(1624) 사이의 기계적 간섭 접촉으로 인해 돌출부가 통로(1620) 또는 개구부(1608) 밖으로 더 이상 후퇴할 수 없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동작될 수 있다. 잠금 메커니즘(1610)은, 조정 메커니즘(1622)의 회전이 잠금 메커니즘(1610)을 조정 메커니즘(1622)의 회전축을 따라 병진시키도록 잠금 메커니즘(1610) 상의 나사산들을 구동하기 때문에 이러한 방식으로 하향 이동할 수 있다. 잠금 메커니즘(1610)은 도 16b 및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600)의 넓은 부분(1616)으로부터 수직으로 오프셋된 위치로부터,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넓은 부분(1616)을 폐색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조정 메커니즘(1622)은 하우징(1606)의 하부 표면, 하우징의 측방향 측부 표면, 또는 하우징의 상부 표면을 통해 연장되어 위치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잠금 메커니즘(1610)의 전방 대면 표면(1624)은 돌출부(1600)에 대한 최근접 단부에서 하우징(1606)에 더 가깝고 그 단부 위에서 하우징(1606)으로부터 더 먼 램핑되거나 경사진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잠금 메커니즘(1610)이 하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견부 표면(1618)과 접촉하게 될 수 있고 견부 표면(1618)을 내향으로(즉, 개구부(1608)를 통해 전자 디바이스 내로 더 깊숙이, 잠금 메커니즘(1610)의 이동 방향에 수직으로) 끌어당길 수 있고, 이에 의해 돌출부와 잠금 메커니즘(1610) 사이의 기울어짐 또는 흔들림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다. 잠금 메커니즘(1610)의 하향 이동은 임의의 갭들이 제거될 때까지 돌출부(1600)의 추가의 내향 이동을 비례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600)는 공동(1612) 내의 중앙 블록(1634)의 개구부(1633)에서 가이드 표면들(1630, 1632)과 접촉하게 되는 가이드 표면들(1626, 1628)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1600)의 점진적인 내향 이동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가이드 표면들과 유사하게, 돌출부(1600)를 하우징(1606)의 중앙 블록(1634)에 대해 원하는 위치 및 각도로 배향하기 위해 가이드 표면들이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하게 할 수 있다. 가이드 표면들 사이의 접촉, 및 그들의 경사진 후퇴된 램프(ramp) 배향은 블록(1634)에 대한 6 자유도의 돌출부(1600)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블록(1634)은 하우징(1606)에 대해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거나, 하우징(1606)에 내장되거나 그의 일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 메커니즘(1622)은 또한 잠금 메커니즘(1610)을 상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다른 방향으로 동작될 수 있다(예컨대, 도 18에서 구동되는 방향과 비교하여 반대 방향으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됨). 잠금 메커니즘(1610)을 상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전방 대면 표면(1624)이 견부 표면(1618)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이동시키고, 이에 의해 돌출부(1600)가 통로(1620) 및 개구부(1608) 밖으로 다시 이동하도록 허용한다.
추가적으로, 잠금 메커니즘(1610)이 도 19에 도시된 위치와 같이 충분히 상향으로 충분히 이동되면, 잠금 메커니즘(1610)의 후방 대면 표면(1636)(즉, 배출 표면)은 돌출부(1600)의 넓은 부분(1616)에 대항하여 위로 구동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돌출부(1600)를 개구부(1608) 밖으로(즉, 잠금 메커니즘(1610)의 이동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는 힘을 이에 적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넓은 부분(1616)의 전방 대면 단부는 돌출부(1600)가 배출됨에 따라 후방 대면 표면(1636)을 따른 돌출부(1600)의 원활한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후방 대면 표면(1636)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경사진 또는 램핑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후방 대면 표면은 또한 돌출부(1600)의 종축에 대해 비직교하게 배향될 수 있어서, 그것이 이동할 때, 돌출부(1600)에 적용되는 토출력이 증가할 수 있다. 통로(1620)는 또한 돌출부(1600)의 수직 높이를 초과하는 수직 치수를 가질 수 있어, 도 17b(돌출부(1600) 아래에 여분의 공간을 갖는 통로(1620)를 도시함) 및 도 19(돌출부(1600) 위에 여분의 공간을 갖는 통로(1620)를 도시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메커니즘(1610)이 돌출부를 배출하기 위해 상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돌출부(1600)가 통로(1620)에 남아 있기에 충분한 간극이 있다.
따라서, 도 16a 내지 도 19의 시스템은, 스탠드의 돌출부와 전자 디바이스 내의 잠금 장치 사이에 강건한 가역적 링크를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외부 디바이스들의 위치설정을 반대로 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스탠드(1602)는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고, 전자 디바이스(1604)는 스탠드 또는 다른 부착 베이스일 수 있다.
나사형 조정 메커니즘들(1622)에 더하여, 또는 그 대신에 다양한 다른 종류들의 조정 메커니즘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메커니즘(2010)의 수직 병진은 잠금 메커니즘(2010)에 부착되거나 그에 접하는 단부(2024)를 갖는 피봇 레버(2022)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하우징(2006) 외부에서) 레버(2022)의 하향 회전은 잠금 메커니즘(2010)을 상향으로 구동할 수 있고, (하우징(2006) 외부에서) 레버(2022)의 상향 회전은 잠금 메커니즘(2010)을 하향으로 구동할 수 있다. 레버(2022)의 구현은 조정 메커니즘을 동작하기 위한 도구의 필요성을 제거할 수 있고, 다른 조정 메커니즘(예컨대, 1622)과 비교하여 요구되는 힘 및 토크의 양을 변경할 수 있다. 이는 또한 조정이 상이한 방향으로부터(즉, 하우징(1606)의 상이한 표면을 통해) 상부 또는 하부 표면을 통하지 않고 후면 측부 표면을 통해 달성되도록 한다.
도 21은 하우징(2106)의 외부로부터 접근가능한 조정 부분(2122)을 사용하여 잠금 메커니즘(2110)이 하우징(2106)에 대해 회전가능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회전축(2125)을 중심으로 하는 조정 부분(2122)의 회전은 잠금 메커니즘(2110)이 잠금해제 위치(2110-a, 도 21에서 실선으로 도시됨)로부터 잠금 위치(2110-b, 도 21에서 파선으로 도시됨)로 회전하게 할 수 있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전방 대면 표면(2124)은 그것이 견부 표면(1618)과 맞물림에 도달할 때까지 회전함에 따라 하향으로 이동하며, 이에 의해 하우징(2106)으로부터 돌출부(1600)의 인출을 방지한다. 잠금 메커니즘(2110)의 추가 회전은 전방 대면 표면(2124)의 경사를 따른 돌출부 이동으로 인해 돌출부(1600)를 더 내향으로 구동한다. 결과적으로, 잠금 메커니즘(2110)의 회전은 잠금 메커니즘(2110)의 선형 병진 대신에 하우징(2106) 내의 제자리에 돌출부(1600)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조정 부분(2122)의 회전은 하우징(2106)의 후방 표면으로부터 조정 부분(2122)에 접근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인체 공학을 개선하고 하우징(2106)의 에지들 주위에 다른 특징부들(또는 특징부가 전혀 없음)이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2는 전자 디바이스(예컨대, 디바이스(1604))와 맞물리고 그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돌출부(2200)의 말단 단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좁은 부분과 넓은 부분을 가지고 그 부분들 사이의 전환부에 견부 표면이 위치하는 것보다, 돌출부(2200)는 그의 길이를 따라 일정한 폭을 포함하고, 돌출부(2200)의 측면들 사이, 예컨대 그의 중심에 위치된 어퍼처(2202)를 포함한다. 돌출부(2200)는 또한 어퍼처(2202)와 정렬된(예컨대, 돌출부(2200)의 중심에 있는) 단부 리세스(2204)를 가질 수 있다. 어퍼처(2202) 및 리세스(2204)는 리세스(2204) 내에 위치된 외부 표면(2206)과 같은 경사진 표면들(예컨대, 그들의 실질적으로 수직인 측면들), 및 도 2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처(2202) 내에 위치된 내부 표면(2208)을 가질 수 있다. 어퍼처(2202)는 어퍼처(2202) 및 리세스(2204)와 교차하는 돌출부의 종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돌출부(2200)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돌출부(2200)는 전자 디바이스의 하우징(2212) 내의 개구부(2210)를 통해 그리고 중앙 블록(1634)의 가이드 표면들과 유사한 가이드 표면들을 갖는 개구부(2216)를 갖는 리테이너 블록(2214)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2200)의 단부는 도 17c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기술된 위치와 유사한 개구부(2216)와 맞물리는 단단하고 꼭 맞는 위치로 가이드될 수 있다.
도 23a는 도 23b의 단면 라인들 23A-23A를 통해 취해진 사시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24a는 도 24b의 단면 라인들 24A-24A를 통해 취해진 사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3b 및 도 24b는 리테이너 블록(2214) 및 하우징(2212)에 삽입된 돌출부(2200)의 조립체의 정면도들을 도시한 것으로, 래치(2218)가 상이한 잠금 위치들에 있다.
도 23a 및 도 23b의 잠금해제 위치에서, 돌출부(2200)는 래치(2218)의 쐐기형(또는 후크형) 부분(2220)을 지나 리테이너 블록(2214) 내로 삽입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어퍼처(2202)가 래치(2218)의 쐐기형 부분(2220) 위에 위치된다. 개구부(2208)를 하우징(2212) 내에서 폐색되지 않게 두는 하강 위치에 쐐기형 부분(2220)이 있기 때문에, 돌출부(2200)가 개구부(2208)를 통해 이 위치에 삽입가능하다. 도 24a 및 도 24b의 잠금 위치에서, 쐐기형 부분(2220)이 상향으로, 어퍼처(2202) 내로, 그리고 그 내부 표면(2208)에 대해 이동하는 것으로 인해 돌출부(2200)가 래치(2218)에 의해 하우징(2212) 내에 고정된다. 쐐기형 부분(2220)은 내부 표면(2208)과 맞물리는 전방 대면 표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이전에 기술된 실시예에서 전방 대면 표면(1624)의 수직 운동이 돌출부(1600)를 내향으로 구동하는 방식과 유사하게, 래치(2218)가 상향으로 이동할 때 돌출부(2200)를 개구부(2210)를 통해 내향으로 이동시키는 램프, 곡률 또는 경사를 갖는다.
래치(2218)는 또한, 잠금 위치에서 리세스(2204)와 접촉하지 않는 이젝터 부분(2222)을 가질 수 있지만, 잠금해제 위치에서, 리세스(2204)의 외부 표면(2206)과 맞물리는 후방 대면 표면을 갖고, 돌출부를 개구부(2210) 밖으로 다시 지향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사진 표면 각도를 갖는다. 그 후방 대면 표면에 의해 적용된 힘은 래치(2218)가 하향으로 이동할수록 크기가 증가할 수 있다.
링크(2224) 및 핀들(2226, 2228)의 세트(도 24a 및 도 24b 참조)는 잠금해제 위치와 잠금 위치 사이에서 래치(2218)를 이동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링크(2224)는 예컨대 크랭크를 통하거나 핀(2226)의 외부 접근가능한 리세스 내로 삽입된 도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회전축 핀(2226)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할 수 있다. 도 24a를 참조한다. 따라서, 링크(2224)의 나머지는 도 23b에 도시된 위치와 도 24a 및 도 24b에 도시된 위치 사이에서 회전축 핀(2226)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팔로워 핀(follower pin)(2228)이 래치(2218)의 하부 단부에 있는 캠 개구부(2230) 내에 위치되고 그에 의해 수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팔로워 핀(2228)이 회전축 핀(2226)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래치(2218)는 핀(2228)이 캠 개구부(2230)를 통해 래치(2218)에 상향 또는 하향 압력을 적용하는 것으로 인해 상향 또는 하향으로 가이드되고 슬라이딩한다. 이에 따라, 도 23b 내지 도 24b는 래치(2218)가 하우징 내의 잠금 장치의 선형 병진으로 변환되는 회전 입력에 의해 구동되는 대안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이 회전 구동 입력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른 래치들/잠금 메커니즘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 16a 내지 도 24b와 관련하여 기술된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에서, 다양한 유형들의 잠금 메커니즘들, 조정 메커니즘들, 래치들 및 핀들이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래치(2218)는 레버(2022) 또는 나사형 조정 메커니즘(1622)을 사용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잠금 메커니즘(1610)은 조정되기 위해 회전가능한 링크(2224), 핀들(2226, 2228), 및 캠 개구부(2230)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들의 다양한 조합들 및 수정들이 설계자 또는 사용자의 요구에 맞춤화되는 방식들로 상호연결 시스템들 및 조립체들을 적응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5a 내지 도 25c는 스탠드-전자 디바이스 상호연결 시스템(2500)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다. 이들 도면들은 전자 디바이스(2510)의 하우징(2508) 내의 바(2506)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샤프트(2504)를 갖는 스탠드(2502)의 우측면도를 도시한다. 패스너(2512)는 부착 인터페이스에서 샤프트(2504)를 바(2506)에 결합하고 부착할 수 있다. 도 25a에 도시된 위치에 있을 때, 샤프트(2504)는 개구부(2514)를 통해 하우징(2508) 내로 삽입되고(패스너(2512)를 접근 불가능하게 함), 잠금 장치(2516)는 바(2506)에 형성된 리세스(2518) 내에 위치된다. 바(2506)는 피봇 축(2520)에서 하우징(2508)에 대한 피봇 연결부를 갖지만, 잠금 장치(2516)의 단부가 리세스(2518) 내에 있으므로, 잠금 장치(2516)와의 기계적 간섭으로 인해 개구부(2514) 외부로의 바(2506)의 회전이 방지된다. 따라서, 샤프트(2504)는 하우징(2508) 내에 잠겨 있고, 패스너(2512)의 존재 및 바(2506)의 회전 고정으로 인해 바(2506)로부터 인출 및 제거될 수 없다. 따라서, 도 25a는 시스템(2500)의 잠금 구성인 것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이 구성은 유리하게는 패스너(2512)를 정상 시야 또는 하우징(2508)의 후면으로부터의 접근으로부터 숨길 수 있고, 이에 의해 시스템(2500)에 강화된 보안을 줄 수 있고, 디바이스의 어느 부품들이 컴퓨팅 포트들이고 어느 부품들이 전자 디바이스에 구조적인지에 관한 소비자 혼란을 감소시키는 더 깔끔하고 패스너가 없는 외관을 줄 수 있다.
사용자가 상호연결 시스템(2500)을 잠금해제하고 바(2506)로부터 샤프트(2504)를 제거하기를 원할 때, 패스너(2512)는 제거되어야 한다. 패스너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자는 얇은 도구(2522)(예컨대, 신용 카드, 스퍼저, 가요성 로드, 프로브 또는 기타 좁고/좁거나 가요성 재료의 다른 피스)를 하우징(2508)의 개구부(2514)와 바(2506) 사이의 갭에 삽입하여 도구(2522)가 도 2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장치(2516)의 후방 대면 표면과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는 또한 잠금 장치(2516)의 하부 단부가 리세스(2518)로부터 제거되도록 이것의 피봇 회전을 지원하도록 샤프트(2504)에 내부 지향 힘을 적용한다. 잠금 장치(2516) 및 바(2506)는 평행한 회전축들을 가질 수 있다. 잠금 장치(2516)가 리세스(2518)로부터 멀어지게 회전함에 따라, 도구(2522)는 잠금 장치(2516)의 단부가 리세스(2518)에 재진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도 2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2506)는 개구부(2514)를 통해 패스너(2512)를 노출시키기에 충분하게 바(2506)의 단부를 노출시키는 위치까지 피봇 축(2520)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바(2506)는 도 25c에 도시된 노출되고 잠금해제된 위치를 향해 회전하도록 바이어싱될 수 있다. 도 25c의 노출되고 잠금해제된 위치에서, 패스너(2512)는 접근되고 제거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샤프트(2504)와 바(2506)가 서로 분리되게 할 수 있다.
바(2506)가 도 25c에 도시된 위치에 있는 동안 바(2506)의 단부에 내부 지향 힘을 적용하는 것은 잠금 장치(2516)의 단부가 중력에 의해 리세스(2518) 내로 다시 끌어당겨지는 위치까지 피봇 축(252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하며 이에 의해 바(2506)를 도 25a의 위치에 다시 자동으로 잠글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잠금 장치(2516)는 디바이스에 작용하는 중력 방향의 변경으로 인해 잠금 장치(2516)가 리세스(2518)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잠금 장치의 단부가 하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바이어싱 토크를 잠금 장치(2516)에 적용하도록 구성된 바이어싱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250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2508)은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지지 스탠드의 일부일 수 있고, 스탠드(2502)는 대신에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다. 스탠드(2502)는 도 13a 내지 도 15b와 관련하여 기술된 아암 시스템들 중 하나와 같은 리프트 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제공된 다양한 실시예들의 요소들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른 실시예들과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6a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상호연결 시스템(2600)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다. 시스템(2600)은 후방 돌출부(2604)를 갖는 전자 디바이스(2602)를 장착 어댑터(2606)에 연결할 수 있다. 도 26b는 장착 어댑터(2606)가 후방 돌출부(2604)에 조립되고 패스너들(2607)이 장착 어댑터(2606)를 후방 돌출부(2604)에 고정하는 시스템(2600)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6b의 단면도는 장착 어댑터(2606)의 중앙 개구부들(2605)을 통해 취해진 것이다.
후방 돌출부(2604)는 전자 디바이스(2602)에 견고하게 앵커링되고 연결되며(이는 도 16a 내지 도 25c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기술된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한 부착을 포함할 수 있음), 이에 의해 돌출부(2604)가 전자 디바이스(2602)에 대해 실질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후방 돌출부(2604)는 전자 디바이스(2602)를 다양한 힌지 및 지지 디바이스들에 연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후방 돌출부(2604)는 돌출부(2604)를 수신기 배럴(예컨대, 840) 또는 수신기 개구부(예컨대, 320)에 장착하는 데 사용되는 샤프트 또는 패스너(예컨대, 408, 808 등)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정렬된 측방향 개구부들(2608)을 사용하여 틸트 힌지에 장착가능한 바 또는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예컨대, 108, 300, 400, 500, 600, 700, 800, 1308 또는 1404)로 사용될 수 있다. 후방 돌출부(2604)는 다른 틸트 힌지들(예컨대, 개구부들(2608)과 정렬될 보어들에 대해 상이한 깊이의 측방향 개구부들 또는 보어들을 갖는 힌지들)의 측방향 삽입 패스너들 또는 샤프트들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추가의 정렬된 측방향 개구부들(2610)을 포함할 수 있다. 측방향 개구부들(2608, 2610)은 후방 돌출부(2604)의 후방 연장 돌출부들(2612) 상에 위치될 수 있다. 후방 돌출부(2604)는 또한 후방 대면 개구부들(2616)의 세트를 갖는 중간 부분(261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들은 또한 전술된 바 및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들과 같은 측방향 개구부들(2608, 2610) 및 후방 대면 개구부들(2616)의 세트들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예에서, 한 세트의 측방향 개구부들(2608)은 틸트 메커니즘과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는 반면, 다른 세트의 측방향 개구부들(2610)은 리프트 메커니즘과의 연결에 사용될 수 있다(또는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후방 돌출부(2604)는 후방 돌출부(2604)를 수정할 필요 없이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시스템들 또는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과의 커플링을 포함하여, 틸트 메커니즘에 대한 커플링, 리프트 메커니즘에 대한 커플링, 강성 또는 고정 마운트에 대한 커플링, 장착 어댑터 또는 일부 다른 마운트 또는 연결 시스템에 대한 커플링을 포함하는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사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착 어댑터(2606)는 패스너들(2607)이 어댑터(2606)를 후방 돌출부(2604)에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중앙 개구부들(2605)을 후방 대면 개구부들(2616)과 정렬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장착 어댑터(2606)는 또한 후방 접근가능한 개구부들(2618)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후방 접근가능한 개구부들(2618)은 후방 접근가능한 개구부들(2618)에 부착가능한 패스너들을 사용하여 지지 스탠드에 장착 어댑터(2606)(및, 돌출부(2604)를 통해, 전자 디바이스(2602))를 부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후방 접근가능한 개구부들(2618)의 크기 및 간격은, 후방 접근가능한 개구부들(2618)을 VESA 호환가능하도록 또는 다른 유형의 모니터/컴퓨팅 디바이스 지원 표준을 준수하도록 배열하는 것과 같이, 표준화된 크기 및 간격 메트릭들을 따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후방 접근가능한 개구부들(2618)은 독특한 스탠드 설계에 연결하도록 배열 및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장착 어댑터(2606)는 장착 어댑터(2606)가 사용 중일 때 전자 디바이스(2602)의 후방 대면 표면(2622)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전방 대면 표면(2620)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 대면 표면(2620)은 어댑터(2606)를 안정화하는 것을 도울 수 있고 (패스너들(2607)을 통해) 장착 어댑터(2606)와 전자 디바이스(2602) 사이의 견고하고 흔들리지 않는 연결을 보장할 수 있다.
도 27은 전자 디바이스(2702)에 연결가능한 바(2700) 및 지지 스탠드(2712)에 연결되는 틸트 힌지(2709)를 위한 연결 조립체의 부분 분해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8은 바(2700)가 틸트 힌지(2709)에 통합된 조립된 상부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9는 틸트 힌지(2709)의 내부 부품들의 분해된 상부 단면도를 도시한다. 바(2700)는 외부 배럴(2740) 내에서 리프트 아암(2712)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핀(2701) 상의 대응하는 축방향 개구부들(2711)과 정렬하도록 구성된 축방향으로 평행한 개구부들(2710)의 세트를 포함한다. 개구부들(2710, 2711)의 세트들은 대응하는 패스너들(2715)의 세트를 수용할 수 있다. 패스너들(2715)은 바(2700)를 핀(2701)에 고정적으로 장착하고 그의 구조체들을 단일 피스로 작동하도록 효과적으로 결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핀(2701) 및 바(2700)는 도 8 내지 도 12의 관련 실시예의 바(800), 샤프트들(808-a, 808-b), 및 수신기 배럴(840)의 기능들을 집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바(2700), 핀(2701), 및 전자 디바이스(2702)는 리프트 아암(2712)에 대해 틸트 힌지(2709)에서 틸팅되는 조립체의 디스플레이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패스너들(2715)을 사용하면 외부에서 접근가능한 패스너들(예컨대, 샤프트들(808))이 외부 배럴(1240)의 측면들로부터 노출되지 않고 틸트 힌지(2709)가 조립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패스너들(2715)은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2702)의 하우징의 내부, 즉 디바이스(2702)와 리프트 아암(2712)이 조립된 상태에 있을 때 시야로부터 은닉되는 영역에 접근할 수 있는 경우에만 보여지고 접근되거나 조정될 수 있다.
외부 배럴(1240)은 틸트 힌지(2709)의 내부 이동 부품들이 위치되는 내부 공동(2742)을 한정할 수 있고, 내부 공동(2742)은 예컨대 최종 사용자들 또는 오염 물질들의 틸트 힌지(2709)에 대한 접근을 방지하는 캡들(2744)에 의해 그의 단말 단부들에서 폐쇄될 수 있다. 바(2700) 및 전자 디바이스(2702)는 핀(2701)의 종축에 수직인 축을 따라(즉, 도 27의 점선을 따라) 틸트 힌지(2709)에 설치될 수 있다. 패스너들(2715)은 전자 디바이스(2702) 및 스탠드의 최종 사용자 또는 관찰자로부터 은닉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전체 조립체에 깔끔한 외관 및 리프트 아암(2712)으로부터의 전자 디바이스(2702)의 원치 않는 제거(예컨대, 도난) 또는 패스너들 상의 먼지 및 이물질이 쌓이는 것에 저항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핀(2701)은 내부 공동(2742) 내의 외부 배럴(2740)에 대해 제자리에 고착되는(예컨대, 고착되는, 제자리에 용접되는, 압입되는, 패스너들을 사용하여 부착되는 등) 베어링들 또는 부싱들(2750, 2752) 내에 핀(2701)의 한 쌍의 외부 표면들(2746, 2748)을 위치시킴으로써 내부 공동(2742)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베어링들 또는 부싱들(2750, 2752)은 핀(2701)이 그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동안 외부 배럴(2740)에 대해 고정될 수 있고, 베어링들 또는 부싱들(2750, 2752)은 부싱들(2750, 2752)의 중심들과 정렬된 핀(2701)의 종축이 외부 배럴(2740)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2700)와 핀(2701)의 조합은 유리하게는 베어링들 또는 부싱들(2750, 2752)과 핀(2701) 사이의 긴밀한 끼워맞춤 및 패스너들(2715)에 의한 핀(2701)에 대한 바(2700)의 견고한 끼워맞춤으로 인해 바(2700)를 적절하게 구속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2712)의 후방 벽(2719)과 바(2700)의 조립체 개구부(2721) 사이에 추가의 패스너(2717)가 설치될 수 있다. 이 패스너(2717)는 다른 핀 부착 패스너들(2715)이 설치되기 전에 바(2700)를 후방 벽(2719)에 조립하는 데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조립 패스너 또는 가이드 패스너로 불릴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패스너(2717)는 조립 중에 개구부들(2710, 2711)이 정렬되고 핀 부착 패스너들(2715)에 의해 채워지는 동안 후면 벽(2719)에 대해 제자리에 바(2700)를 유지함으로써 핀 부착 패스너들(2715)의 조립을 용이하게 돕도록 설치될 수 있다.
마찰 디스크 구성요소들(2754)의 세트는 핀(2701)의 단부에서 나사산들에 장착된 단부 너트(2756)와 부싱(2750) 사이에서 제자리에 유지될 수 있다. 도 29는 분해된 상태의 이들 구성요소들을 도시하고, 도 28은 이들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다. 마찰 디스크 구성요소들(2754)은 예컨대 배럴들(840, 842)의 상대 이동에 마찰 저항을 적용하기 위해 마찰 디스크들(852)로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마찰 디스크 구성요소들(2754)에도 적용되는 도 8 내지 도 12의 실시예의 설명들을 참조한다. 마찰 디스크 구성요소들(2754)에 의해 적용되는 마찰의 양은 단부 너트(2756)에 의해 그의 구성요소들(2754)의 압축을 조정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틸트 힌지(2709)의 틸트각을 변경하는 데 필요한 힘의 양의 조정을 허용할 수 있다.
핀(2701)의 반대편 단부는 선택적인 스프링(2760)(예컨대, 토션 스프링 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되거나 개시된 다른 탄성 구조체들과 같은 다른 탄성 탄성 부재)이 장착되는 단부 부분(2758)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2760)은 핀(2701)에 부착되는(예컨대, 마찰 끼워맞춤되거나, 용접되거나 체결되는) 제1 단부, 및 베어링 또는 부싱(2752)에 부착되는(예컨대, 마찰 끼워맞춤되거나, 용접되거나 체결되는) 제2 단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도 8 내지 도 12의 실시예의 스프링(850)과 공통의 특징들 및 기능들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850)에 대한 설명들은 스프링(2760)에 적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프링(2760)은 핀(2701)의 단부와 결합된 제1 직경을 갖는 하나 이상의 코일들 또는 루프들 및 베어링 또는 부싱(2752)과 결합된 제2 직경(예컨대, 더 큰 직경)을 갖는 하나 이상의 코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부품들(2701, 2760, 2752) 사이의 부착은 핀(2701)과 외부 배럴(2740) 사이의 상대 회전이 발생함에 따라 스프링(2760)의 포텐셜 에너지가 증가하거나 감소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2760)은 스프링(2760)의 포텐셜 에너지가 가장 낮은 원하는 "원점" 또는 "디폴트" 위치를 향해 핀(2701)의 회전을 바이어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 위치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위치이다. 스프링(2760)의 단부들 상의 코일들 또는 루프들의 수는 특히 스프링(2760)이 압입 또는 마찰 끼워맞춤에 의해 제자리에 유지될 때 스프링(2760)을 슬라이딩 없이 핀(2701)과 베어링 또는 부싱(2752)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데 필요한 마찰의 양에 대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프링(2760)의 코일들 또는 루프들은 틸트 힌지(2709)가 회전할 때 스프링(2760)이 핀(2701) 또는 부싱(2752)에 대해 미끄러지지 않도록, 그들이 맞물리고 접촉하는 그들의 대응하는 핀(2701) 외부 원주 또는 부싱(2752) 외부 원주의 적어도 3개의 원주들의 길이를 갖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코일 또는 루프에 대해 하나의 원주 길이 이하가 제공되고, 스프링(2760)의 단부들은 핀(2701) 및 부싱(2752)의 외부 표면들에 체결되거나 용접되며, 이에 의해 스프링(2760)의 전체 종방향 길이를 최소화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도 31 내지 도 35의 실시예를 참조한다.
스프링(2760)은 디바이스의 하단이 전방으로 틸팅될 때(즉, 도 1b의 위치로부터 도 1c에 도시된 위치로의 전자 디바이스(102)의 이동), 핀(2701) 및 외부 배럴(2740)에 디바이스가 틸트 힌지(2709)에서 해당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돕는 토크를 적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2702)의 틸트를 조정하는 것을 돕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프링(2760)은 또한 디바이스가 반대 방향(예컨대, 도 1c의 위치로부터 도 1b의 위치로의 전자 디바이스의 이동에 의해 도시된 방향)으로 회전될 때, 포텐셜 에너지를 저장하고 틸트 힌지(2709)에 저항 토크를 적용함으로써 전자 디바이스(2702)의 회전에 저항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프링(2760)은 전자 디바이스가 전방 또는 후방 방향으로(즉, 그의 측방향 측면에서 볼 때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회전축에 평행하게) 틸팅되어 있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틸트 힌지(2709)에서 피봇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유사한(예컨대, 동일한) 토크를 필요로 하게 함으로써 스탠드(예컨대, 104)의 인체 공학을 개선할 수 있다. 스프링(2760)의 저항 및 보조는 전자 디바이스(2702)가 틸트 힌지(2709)를 지나는 무게 중심으로 인해 과회전하지 않도록 전자 디바이스(2702)의 무게 중심이 (예컨대, 도 1c에서 조인트(114)의 수직 레벨에서) 틸트 힌지(2709)보다 수직으로 더 높게 위치되는 실시예들에서 특히 유리할 수 있다.
도 30은 바(2700)가 핀(2701)을 통해 완전히 삽입되고 전자 디바이스(2702)의 상부 단부가 후방으로 틸팅된 상태(도 1b에 도시된 위치와 유사)일 때 도 28에 도시된 평면(P)을 통해 취한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바(2700)는 핀(2709)의 어퍼처(2707) 내로 삽입가능한 돌출부(2705)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2705)는, 회전축(3001)을 통해 연장되기에 충분한, 어퍼처(2707)를 통해 연장되기에 충분한, 그리고 개구부들(2710)의 세트를 지지하는 바(2700)의 플랜지(들)에 대해 어퍼처(2702)의 반대편 측면으로부터 돌출하기에 충분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는 도 12의 상향 회전된 위치(1202)에 도시된 바(800)의 위치에 대응한다. 도 30의 도면은 핀(2701)의 후방 측으로부터의 바(2700)의 돌출부(2705)가 어떻게 바(2700)가 바(2700)의 측부 표면(3002)에서 접합 정지 표면(3000)과 맞물리도록 할 수 있는지를 도시한다. 전자 디바이스(2702)는 회전축(300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돌출부(2705)가 제1 정지 표면(3000) 위에서, 그리고 측부 표면(3002)에 대해 반대편 측면에서 제2 접합 정지 표면(3004)과 접촉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정지 표면들(3000, 3004)은 틸트 힌지(2709)의 회전의 한계들을 한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극도로 회전된 위치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서, 외부 배럴(2740)의 전면 개구부(3008)의 측벽과 바(2700) 사이에 갭(3006) 또는 소량의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 갭(3006)은 최종 사용자가 볼 수 있는 바(2700)의 표면의 마모 또는 변형을 제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고, 외부 배럴(2740)과 바(2700) 사이에 집힐 수 있는 물품들의 양을 제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외부 배럴(2740)은 틸트 힌지(2709)의 후방 측면으로부터 개구부(3008) 내로의 물체들의 침입을 방지하는 후방 벽(3010)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12에 대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벽(3010)은 생략될 수 있고, 정지 표면들(3000, 3004) 사이의 외부 배럴(2740)의 후방 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7 내지 도 30과 관련하여 논의된 실시예들은 본 개시와 관련하여 논의된 다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도록 상호 호환가능하고 적응가능한 특징들 및 요소들을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틸트 힌지(2709)는 틸트 조인트(110), 높이 조인트(114), 틸트 힌지(1309), 틸트 힌지(1411), 리프트 시스템(1500), 스탠드(1602), 스탠드(2502) 등에서 틸트를 제어하고 지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논의된 특징들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적용되고 사용될 수 있다.
도 31 내지 도 34는 특히 힌지가 그의 회전축(F)을 따라 제한된 폭을 갖는 경우 스탠드 및 리프트 구조체들에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소형 틸트 힌지(3100)의 양태들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소형 틸트 힌지(3100)가 (예컨대, 틸트 조인트(110), 높이 조인트(114), 틸트 힌지(1309), 틸트 힌지(1411), 리프트 시스템(1500), 스탠드(1602), 스탠드(2502) 등에서) 리프트 아암의 단부에 사용될 수 있다. 틸트 힌지(3100)는 전자 디바이스(3103)를 스탠드(3107)에 연결하는 도 31의 리프트 아암(3101)의 전방 단부에 도시되어 있다. 틸트 힌지(3100)는 회전축(F)을 교차하는 2개의 단부 블록들(3102, 3104) 사이에 측방향으로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중앙 핀(3105)(도 32a의 단면 라인들 34-34를 통해 취해진 도 34의 사시 단면도 참조)은 단부 블록들(3102, 3104)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고 회전축(F)을 중심으로 단부 블록들(3102, 3104)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중앙 핀(3105)은 단부 블록들(3102, 3104)에 대해 고정되고 정지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부 블록들(3102, 3104)은 4-바 링키지의 부분들일 수 있으며, 예컨대, 예를 들어 틸트 커넥터(1310)의 단부들 또는 2개의 평행한 링키지 아암들(예컨대, 1314, 1316)이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유사한 링키지 구성요소의 단부들일 수 있다.
바(3106)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른 바들과 유사하게 전자 디바이스(3103)에 장착될 수 있고/장착가능하다. 바(3106)는 또한 단부 블록들(3102, 3104)에 대해 회전축(F)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한 쌍의 이동가능한 블록들(3108, 3110)에 장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바(3106) 및 블록들(3108, 3110) 중 적어도 하나는 단일 피스로서 형성될 수 있거나 조립되는 동안 단일 피스로서 동작하는 바 조립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블록들(3108, 311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때, 바(3106)는 하나 이상의 블록들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블록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단부 블록들(3102, 3104)은 이동가능한 블록들(3108, 3110) 중 적어도 하나가 접하여 힌지(3100)에 적어도 하나의 회전 제한을 제공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정지 표면들(예컨대, 도 32a, 도 32b, 도 34의 31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2a는 제1 회전된 위치에서의(리프트 아암(3101)의 종축과 정렬된, 즉, 도 31에 도시된 위치에서의) 바(3106)를 도시하고, 도 32b는 제1 회전된 위치에 대해 약 15 내지 25도만큼 회전축(F)을 중심으로 각지게 변위된 제2 회전된 위치에 있는 바(3106)를 도시한다. 제2 위치에서, 정지 표면(3112)은 제1 블록(3108)과 맞물린다.
틸트 힌지(3100)는 회전축(F) 및 중앙 핀(3105) 주위에 감겨 있는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3114)(예컨대, 스프링/비틀림 스프링, 코일들의 세트 또는 다른 탄성적으로 탄력적인 바이어싱 부재)를 사용하여 전자 디바이스(3103)와 리프트 아암(3101) 사이에 카운터밸런스 힘들을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3114)는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다른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들과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에너지를 저장 및 방출하여 회전축(F)을 중심으로 전자 디바이스(3103)의 원활하고 용이한 회전을 돕는 한편, 또한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선택된 틸팅된 위치로 이동시키면 전자 디바이스(3103)를 제자리에 유지하도록 도울 수 있다. 그렇게 하기 위해,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3114)는 제1 슬리브(3118)에 장착된 제1 단부(3116) 및 제2 슬리브(3122)에 장착된 제2 단부(3120)를 포함한다. 제1 단부(3116)는 (예컨대, 마찰 끼워맞춤, 용접, 접착제 등에 의해) 제1 슬리브(3118)에 고착된 하나 이상의 코일들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단부(3120)는 (예컨대, 마찰 끼워맞춤, 용접, 접착제 등에 의해) 제2 슬리브(3122)에 고착된 하나 이상의 코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3 및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슬리브들(3118, 3120)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중앙 핀(3105)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축방향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슬리브(3118)는 중앙 핀(3105)에 장착가능하고 종축/틸트 회전축(F)을 중심으로 중앙 핀(3105)과 함께 회전되며,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슬리브(3118)는 제1 블록(3108)에 장착가능하고 그의 회전이 축(F)을 중심으로 하여 중앙 핀(3105)과 반드시 동기화될 필요는 없다. 제2 슬리브(3122)는 예컨대 단부 블록(예컨대, 3102, 3104)의 일체형 부분이 되거나(또는 그에 영구적으로 장착됨), 또는 조인트가 동작될 때 그의 모션이 단부 블록(들)에 대해 동기화되고 정지되게 함으로써 중앙 개구부를 갖지 않을 수 있는 아암 블록일 수 있다. 제2 슬리브(3122)는 하나 이상의 단부 블록들(3102, 3104) 및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임의의 개재 블록들을 갖는 단일 피스이거나 단일 피스로서 작용하는 아암 블록 또는 아암 블록 조립체의 일부로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카운터밸런스 조립체 구성요소들이 도 33의 분해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1 단부(3116) 및 제2 단부(3120)는 제1 슬리브(3118) 및 제2 슬리브(3122)의 서로 상이한 크기의 외경들과 맞물리는 것을 수용하기 위해 서로 상이한 내경들을 가질 수 있다. 제2 슬리브(3122)는 단부 블록들(3102, 3104)에 대해 정지 상태를 유지하는 방식으로 리프트 아암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바(3106)의 회전은 제2 슬리브(3122) 및 2개의 단부 블록들(3102, 3104)에 대해 회전축(F)을 중심으로 제1 블록(3108), 중앙 핀(3105) 및 제1 슬리브(3118)를 회전시킨다. 슬리브들(3118, 3120)의 이러한 상대 회전은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3114)로부터 에너지를 저장하거나 방출하여 리프트 아암(3101)에 대한 전자 디바이스(3103)의 이동을 카운터밸런싱한다. 도 32a 및 도 32b는 부품들이 서로에 대해 그리고 회전축(F)에 대해 어떻게 이동하는지를 도시한다.
제1 슬리브(3118)는 제1 블록(3108) 및/또는 중앙 핀(3105)에 제1 슬리브(3118)를 조정가능하게 고착시키기 위해 고정 나사(3124), 다른 패스너, 또는 유사한 제거가능하거나 조정가능한 클램핑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나사(3124)는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3114)의 중립 위치를 튜닝하고 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이는 전자 디바이스(3103)의 무게 중심이 틸트 힌지(3100)의 회전축(F)의 하나의 측면(예컨대, 전방 측면)으로부터 반대편 측면(예컨대, 후방 측면)으로 이동하는 실시예들에서 특히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3103)는, 전자 디바이스(3103)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회전축(F)의 전방 측면에 무게 중심(G1)을 가질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3103)는 무게 중심이 지점(G2)(축(F) 바로 위) 또는 지점(G3)(축(F)의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축(F)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틸팅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3103)가 축(F)의 전방 측면에 있고 무게 중심이 G1에 있는 동안, 카운터밸런스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3114)는 전자 디바이스의 중량을 지지하는 제1 방향의 모멘트(예컨대, 도 31의 각도에서 볼 때 시계 방향 모멘트)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무게 중심이 지점(G2)으로 이동할 때, 전자 디바이스(3103)의 중량은 축(F)을 중심으로 하기 때문에 카운터밸런스 조립체는 모멘트를 가할 필요가 없다. 무게 중심이 지점(G3)으로 이동할 때, 카운터밸런스 조립체는 전자 디바이스(3103)가 자동으로 계속 회전하여 스탠드(3107)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 방향의 모멘트(예컨대, 도 31의 각도에서 본 반시계방향 모멘트)를 적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3114)는 전자 디바이스(3103)가 제1 위치(G1에 대응)에 있을 때 제1 방향의 제1 카운터밸런스 모멘트를 제공할 필요가 있고, 전자 디바이스(3103)가 제2 위치(G2에 대응)에 있을 때 모멘트를 제공할 필요가 없고, 전자 디바이스(3103)가 제3 위치(G3에 대응)에 있을 때 제2 방향의 제2 카운터밸런스 모멘트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전자 디바이스(3103), 스탠드(3107), 리프트 아암(3101), 및 틸트 힌지(3100)의 구성 및 조립에 있어서의 제조 공차들, 조립 편차들, 및 유사한 편차로 인해, 틸트 힌지(3100)에 대한 중립 각도(에너지 저장 디바이스(3114)의 중립 위치 기준)가 바람직하지 않게 변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슬리브(3118) 및 고정 나사(3124)는 틸트 힌지(3100)의 조립 동안 또는 그 후에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3114)의 중립 위치의 조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완성된 제품은 전자 디바이스(3103)가 사용자가 선택한 위치설정으로부터 흔들려 멀어지도록 바이어싱되게 하지 않는 정확히 조정된(또는, 필요한 경우, 조정가능하게 튜닝가능한) 중립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는 틸트 힌지를 구성 또는 조립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틸트 힌지(3100)는 고정 나사(3124)가 느슨한 상태로 조립되고, 이어서 전자 디바이스(3103)는 회전축(F) 위에 무게 중심(G2)이 놓이는 위치로(또는 어디든지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3114)의 중립 각도가 위치설정될 필요가 있는 곳으로) 이동되고, 이어서, 고정 나사(3124)는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3114)의 중립 각도를 고정하기 위해 제자리에 고정되어 그 이후부터 계속 하여서 전자 디바이스(3103) 또는 틸트 힌지(3100)의 부품들의 중량, 크기, 모양 등의 임의의 변화를 고려한 전자 디바이스(3103)의 정확한 모멘트-전이 위치로 튜닝된 위치로 향한다.
또한,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3114)의 중립 각도로 G2의 위치를 정확하게 구성하면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3114)가 그의 제로-모멘트 중립 위치를 통해 불규칙하게 전이하여 발생하는 흔들림, 떨림 또는 튀어오름을 제거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틸트 힌지(3100)의 원활함 및 전자 디바이스(3103)의 이동을 개선한다. 추가적으로, 틸트 힌지에서의 전자 디바이스의 흔들림 및 불규칙한 이동은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가 그의 중립 위치에 접근하거나 도달할 때 그의 코일들이 느슨해짐으로써 야기될 수 있다. 힌지 구성요소들의 샤프트 상의 코일들의 그립(예컨대, 핀(2701) 및 부싱(2752) 상의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2760)의 단부들의 그립)은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에 의해 힌지에 적용되는 토크의 양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느슨하게 하고 불안정하게 변경할 수 있거나 틸트 힌지의 모션 범위의 일부분에 대해 원하는 토크보다 낮은 데드 존(dead zone)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의 코일들의 단부들(예컨대, 디바이스(3114)의 단부들(3116, 3120))은 용접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가 토크를 적용하도록 구성된 구조체들에 영구적으로 고착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는 하나의 방향(예컨대, 시계 방향)에서 제로 토크(순간적으로)를 통해, 제2 반대 방향(예컨대, 반시계 방향)으로 그 사이에서 꾸준히, 연속적으로, 그리고 예측가능하게 전이하는 토크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토크 프로파일 전이의 원활함 및 연속성은 틸트 힌지(3100)의 모션에서 저킹(jerking) 또는 데드 존들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기술에 적용가능한 범위까지, 초청 콘텐츠 또는 사용자들이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콘텐츠의 사용자들에게로의 전달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소스들로부터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수집 및 사용이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이러한 수집된 데이터가 특정 개인을 고유하게 식별하거나 또는 그와 연락하거나 그의 위치를 확인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개인 정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음을 고려한다.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는 인구통계 데이터, 위치-기반 데이터, 전화 번호들, 이메일 주소들, TWITTER® ID들, 집 주소들, 사용자의 건강 또는 피트니스 레벨에 관한 데이터 또는 기록들(예컨대, 바이탈 사인(vital sign) 측정치들, 약물 정보, 운동 정보), 생년월일, 또는 임의의 다른 식별 또는 개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본 기술에서의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의 사용이 사용자들에게 이득을 주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음을 인식한다. 예를 들어, 개인 정보 데이터는 더 큰 관심이 있는 타겟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의 사용은 사용자들이 전달된 콘텐츠의 계산된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추가로, 사용자에게 이득을 주는 개인 정보 데이터에 대한 다른 사용들이 또한 본 개시내용에 의해 고려된다. 예를 들어, 건강 및 피트니스 데이터는 사용자의 일반적인 웰니스(wellness)에 대한 식견들을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웰니스 목표들을 추구하는 기술을 이용하는 개인들에게 긍정적인 피드백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의 수집, 분석, 공개, 전달, 저장, 또는 다른 사용을 담당하는 엔티티들이 잘 확립된 프라이버시 정책들 및/또는 프라이버시 관례들을 준수할 것임을 고려한다. 특히, 그러한 엔티티들은, 대체로 개인 정보 데이터를 사적이고 안전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산업적 또는 행정적 요건들을 충족시키거나 넘어서는 것으로 인식되는 프라이버시 정책들 및 관례들을 구현하고 지속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그러한 정책들은 사용자들에 의해 용이하게 접근가능해야 하고, 데이터의 수집 및/또는 사용이 변화됨에 따라 업데이트되어야 한다. 사용자들로부터의 개인 정보는 엔티티의 적법하며 적정한 사용들을 위해 수집되어야 하고, 이들 적법한 사용들을 벗어나서 공유되거나 판매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그러한 수집/공유는 사용자들의 사전 동의를 수신한 후에 발생해야 한다. 추가적으로, 그러한 엔티티들은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보호하고 안전하게 하며 개인 정보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갖는 다른 사람들이 그들의 프라이버시 정책들 및 절차들을 고수한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임의의 필요한 단계들을 취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추가로, 그러한 엔티티들은 널리 인정된 프라이버시 정책들 및 관례들에 대한 그들의 고수를 증명하기 위해 제3자들에 의해 그들 자신들이 평가를 받을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정책들 및 관례들은 수집 및/또는 접근되고 있는 특정 유형들의 개인 정보 데이터에 대해 적응되어야 하고, 관할권 특정적 고려사항들을 포함하는 적용가능한 법률들 및 표준들에 적응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 소정 건강 데이터의 수집 또는 그에 대한 접근은 HIPAA(Health Insurance Portability and Accountability Act)와 같은 연방법 및/또는 주법에 의해 통제될 수 있는 반면; 다른 국가들에서의 건강 데이터는 다른 법령들 및 정책들의 대상이 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처리되어야 한다. 따라서, 각각의 국가에서의 상이한 개인 데이터 유형들에 대해 상이한 프라이버시 관례들이 유지되어야 한다.
전술한 것에도 불구하고, 본 개시내용은 또한 사용자들이 개인 정보 데이터의 사용, 또는 그에 대한 접근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실시예들을 고려한다. 즉, 본 개시내용은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방지하거나 차단하기 위해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한다. 예를 들어, 광고 전달 서비스들의 경우에, 본 기술은 사용자들이 서비스를 위한 등록 중 또는 이후 임의의 시간에 개인 정보 데이터의 수집 시의 참여의 "동의함" 또는 "동의하지 않음"을 선택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사용자들은 타겟 콘텐츠 전달 서비스들을 위한 분위기-연관된 데이터를 제공하지 않도록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사용자들은 분위기-연관된 데이터가 유지되는 시간의 길이를 제한하거나 또는 베이스라인 분위기 프로파일의 개발을 전적으로 금지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동의함" 및 "동의하지 않음" 옵션들을 제공하는 것에 부가하여, 본 개시내용은 개인 정보의 접근 또는 사용에 관한 통지들을 제공하는 것을 고려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앱을 다운로드할 시, 그의 개인 정보 데이터가 접근될 것임을 통지받을 수 있고, 이어서, 개인 정보 데이터가 앱에 의해 접근되기 직전에 다시 상기하게 될 수 있다.
게다가, 의도하지 않은 또는 적용되지 않은 접근 또는 사용의 위험들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식으로 개인 정보 데이터가 관리되고 처리되어야 한다는 것이 본 개시내용의 의도이다. 위험요소는, 데이터의 수집을 제한하고 데이터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면 그것을 삭제함으로써 최소화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그리고 소정의 건강 관련 애플리케이션들에 적용가능한 것을 포함하여 적용가능할 때,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해 데이터 식별해제가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경우, 특정 식별자들(예컨대, 생년월일 등)을 제거함으로써, 저장된 데이터의 양 또는 특이성을 제어함으로써(예컨대, 주소 레벨이라기보다는 오히려 도시 레벨에서 위치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데이터가 저장되는 방식을 제어함으로써(예컨대, 사용자들에 걸쳐 데이터를 집계함으로써), 그리고/또는 다른 방법들에 의해, 식별해제가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이 하나 이상의 다양한 개시된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해 개인 정보 데이터의 사용을 광범위하게 커버하지만, 본 개시내용은 다양한 실시예들이 또한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에 접근할 필요 없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또한 고려한다. 즉, 본 기술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의 결여로 인해 동작불가능하게 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콘텐츠는, 사용자와 연관된 디바이스에 의해 요청되는 콘텐츠, 콘텐츠 전달 서비스들에 대해 이용가능한 다른 비-개인 정보, 또는 공개적으로 입수가능한 정보와 같은 비-개인 정보 데이터 또는 최소량의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선호도를 추론함으로써 선택되고 사용자들에게 전달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은, 설명의 목적들을 위해, 기술된 실시예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명명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특정 세부사항들은 기술된 실시예들을 실시하기 위해 요구되지는 않는다는 것이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 실시예들의 전술한 설명들은 예시 및 설명의 목적들을 위해 제시된다. 이들은 망라하고자 하거나 실시예들을 개시된 정확한 형태들로 제한하려고 하는 것은 아니다. 많은 수정들 및 변형들이 상기 교시 내용들에 비추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20)

  1.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지지 스탠드로서, 상기 지지 스탠드는,
    아암 조립체 - 상기 아암 조립체는,
    제1 부착 지점 및 제2 부착 지점을 갖는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
    제3 부착 지점 및 제4 부착 지점을 갖는 지지 구조체;
    상기 제1 부착 지점과 상기 제3 부착 지점에 피봇식으로 연결된 제1 아암;
    상기 제2 부착 지점 및 상기 제4 부착 지점에 피봇식으로 연결된 제2 아암을 포함함 -; 및
    카운터밸런스 메커니즘(counterbalance mechanism)을 포함하며, 상기 카운터밸런스 메커니즘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스프링;
    제1 피봇 지점에서 상기 아암 조립체에 피봇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스프링의 상기 제1 단부와 맞물리는 리테이너(retainer);
    제2 피봇 지점에서 상기 스프링의 상기 제2 단부를 상기 아암 조립체에 연결하는 로드(rod)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피봇 지점은 상기 제2 피봇 지점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제1 회전 방향으로의 상기 제3 및 제4 부착 지점들을 중심으로 한 상기 아암 조립체의 회전은 상기 리테이너에 대한 상기 로드의 이동을 통해 상기 스프링에 에너지를 저장하는, 지지 스탠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부착 지점들은 평행사변형을 형성하는, 지지 스탠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 조립체는 상기 제1 아암에 그리고 상기 제2 아암에 부착된 리테이너 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피봇 지점은 상기 리테이너 바 상에 위치되는, 지지 스탠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스프링의 상기 제1 단부와 맞물리는 돌출부 또는 레지(ledge)를 포함하는, 지지 스탠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적어도 상기 제1 아암에 평행하지 않은, 지지 스탠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상기 제3 부착 지점을 중심으로 한 상기 제1 아암의 회전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아암과 상이한 각속도로 회전하는, 지지 스탠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암의 종축과 상기 로드의 종축 사이의 각도는 상기 제3 부착 지점을 중심으로 한 상기 제1 아암의 회전에 응답하여 감소하는, 지지 스탠드.
  8. 지지 스탠드를 위한 아암으로서, 상기 아암은,
    하우징 - 상기 하우징은 중공 내부 및 상기 하우징의 종축과 정렬된 단부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중공 내부는 내부 표면을 가짐 -; 및
    디바이스 커넥터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디바이스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 중공 내부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고, 상기 단부 개구부를 차폐하고, 상기 내부 표면과 접촉하는 단부 부분을 갖는 시스(sheath); 및
    상기 시스를 통해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단부 개구부로부터 돌출하는 디바이스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디바이스 커넥터는 제1 회전된 위치와 제2 회전된 위치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가능하고,
    상기 시스의 상기 단부 부분은 상기 디바이스 커넥터가 상기 제1 회전된 위치와 상기 제2 회전된 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때 상기 내부 표면과 접촉한 상태로 유지되는, 아암.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는 상기 내부 표면에 대해 반경 방향 외부 지향 압력을 적용하도록 구성되는, 아암.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의 상기 단부 부분은 상기 디바이스 커넥터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종축에 평행한 상기 내부 표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아암.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부분은 오목한, 아암.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의 상기 단부 부분은 상기 내부 표면에 외향 압력을 적용하도록 구성되는, 아암.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는 탄성적으로 가요성인, 아암.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2 단부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아암은,
    상기 중공 내부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고, 상기 제2 단부 개구부를 차폐하고, 상기 내부 표면과 접촉하는 제2 단부 부분을 갖는 제2 시스; 및
    상기 제2 시스를 통해 연장되고, 제1 회전된 위치와 제2 회전된 위치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가능한 스탠드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아암.
  15. 리프트 시스템으로서,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
    지지 구조체;
    제1 피봇 지점에서 상기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에 피봇식으로 연결되고 제2 피봇 지점에서 상기 지지 구조체에 연결되는 하우징; 및
    상기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 및 상기 지지 구조체와 맞물리는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는 상기 벨트의 장력으로 인해 상기 지지 구조체에 대한 상기 하우징의 회전에 응답하여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하는, 리프트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 상에 위치된 틸트 조인트를 더 포함하는, 리프트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벨트에 내부 지향 힘을 적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리프트 시스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상기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 및 상기 지지 구조체 중 적어도 하나 상에 제2 세트의 맞물림 특징부들과 맞물리는 제1 세트의 맞물림 특징부들을 포함하는, 리프트 시스템.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에 대한 제1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벨트는 상기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 상의 제1 지점에서 장력 하에 있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에 대한 제2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벨트는 상기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 상의 제2 지점에서 장력 하에 있으며,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2 지점은 서로 오프셋되는, 리프트 시스템.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상기 디바이스 부착 구조체 및 상기 지지 구조체에 대해 슬라이딩하는 것이 방지되는, 리프트 시스템.
KR1020220042332A 2021-04-08 2022-04-05 재구성가능한 스탠드 생태계 KR202201398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172413P 2021-04-08 2021-04-08
US63/172,413 2021-04-08
US17/653,854 2022-03-07
US17/653,854 US11971130B2 (en) 2021-04-08 2022-03-07 Reconfigurable stand eco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805A true KR20220139805A (ko) 2022-10-17

Family

ID=81326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2332A KR20220139805A (ko) 2021-04-08 2022-04-05 재구성가능한 스탠드 생태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971130B2 (ko)
EP (1) EP4075046A1 (ko)
KR (1) KR20220139805A (ko)
CN (1) CN11519987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6060A (ko) * 2020-12-30 2022-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장치
US11934230B2 (en) 2021-04-08 2024-03-19 Apple Inc. Reconfigurable stand ecosystem
TWI829553B (zh) * 2023-03-10 2024-01-11 英業達股份有限公司 快速鎖固結構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314Y2 (ko) 1986-02-25 1990-01-31
DE3810510A1 (de) * 1988-03-28 1989-10-19 Thomas R & L Kg Haltevorrichtung fuer friseurgeraete
DE4318659A1 (de) * 1993-06-04 1994-12-08 Kreuzer Gmbh & Co Ohg Stativ mit Massenausgleich
KR100364732B1 (ko) 2000-07-08 2002-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Lcd 모니터용 힌지 어셈블리
US7188812B2 (en) * 2004-03-19 2007-03-13 Sallas Industrial Co., Ltd. Self-locking support arm
DE102005017487A1 (de) * 2005-04-15 2006-10-19 Sachtler Gmbh & Co. Kg Federarm und Körperstativ
US20070001076A1 (en) * 2005-06-29 2007-01-04 Saeb Asamarai Support arm and method with variable counterbalance
WO2009012379A2 (en) * 2007-07-17 2009-01-22 Milestone Av Technologies, Inc Mount and electronic display system
CN201206704Y (zh) 2008-06-05 2009-03-11 新日兴股份有限公司 屏幕支撑架
DE202008015942U1 (de) 2008-12-02 2009-04-02 Camera Dynamics Gmbh Feststellbremse für einen Stativkopf
GB2481047A (en) * 2010-06-09 2011-12-14 Colebrook Bosson & Saunders Products Ltd A mounting system for pivotally mounting a flat screen display
JP5808001B2 (ja) 2011-07-22 2015-11-10 株式会社ワコム 表示装置用スタンド
US8937815B2 (en) * 2012-04-11 2015-01-20 Volcano Corporation Multifunction monitor support
TWM438098U (en) * 2012-04-30 2012-09-21 ming-xian Huang Supporting apparatus
GB2525781B (en) 2013-03-14 2017-02-01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Lp Electronic display system with a support stand
US20160003270A1 (en) 2013-03-15 2016-01-07 L. Christopher Franklin Mounting apparatus
US9657889B1 (en) * 2013-03-15 2017-05-23 Humanscale Corporation Adjustable support arm
US10353165B2 (en) * 2013-05-24 2019-07-16 Koh Young Technology Inc. Stand equipped with counterbalance unit
WO2015054013A1 (en) 2013-10-07 2015-04-16 Ergotron, Inc. Bi-directional tilt mechanisms and methods
US20160120720A1 (en) 2014-10-31 2016-05-05 Children's Hospital Medical Center Patient support coupled medical accessory support
US10996710B2 (en) 2016-04-14 2021-05-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vice with a rotatable display
US10754391B2 (en) 2016-08-08 2020-08-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xial cam hinge
US11118729B2 (en) * 2017-06-09 2021-09-14 Teknion Limited Adjustable counterbalancing display support
US10851938B2 (en) * 2018-04-02 2020-12-01 Humanscale Corporation Adjustable support arm
NL1043148B1 (en) * 2019-02-11 2020-08-19 Vlaar Innovations B V Balancing arm
US11692845B2 (en) 2019-05-30 2023-07-04 Speedgauge, Inc. Predictive annotation of relevant road information based on vehicle location and identity
CN112013210B (zh) 2019-05-31 2022-05-24 苹果公司 显示器支撑臂安装架
CN112013235B (zh) * 2019-05-31 2022-04-05 苹果公司 显示器升降臂
US11415201B2 (en) * 2019-05-31 2022-08-16 Apple Inc. Display lift arm
US11934230B2 (en) 2021-04-08 2024-03-19 Apple Inc. Reconfigurable stand ecosystem
US20220325845A1 (en) 2021-04-08 2022-10-13 Apple Inc. Reconfigurable stand eco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71130B2 (en) 2024-04-30
US20220325848A1 (en) 2022-10-13
CN115199873A (zh) 2022-10-18
EP4075046A1 (en) 202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39805A (ko) 재구성가능한 스탠드 생태계
KR20220139804A (ko) 재구성가능한 스탠드 생태계
US10107447B2 (en) Pull-out swivel mount
CA2497543C (en) Support for one or more flat panel displays
US6801426B2 (en) Display device with pivotable base
US20220290798A1 (en) Dual display stand
US8390996B2 (en) Display device
JP2002533777A (ja) コンピュータディスプレイ画面システムと調節式ディスプレイ画面取付台およびそのディスプレイ画面システム用旋回式ディスプレイ画面
WO2005081887A2 (en) Friction hinge assembly and display tilt device
KR20220139806A (ko) 재구성가능한 스탠드 생태계
US20050207101A1 (en) Display device having an adjustable display screen
TWI334510B (en) Angle adjusting assembly and angle adjusting mechanism thereof
EP4089311A1 (en) Reconfigurable stand ecosystem
CN102088832B (zh) 支撑装置
CN109686265A (zh) 调节组件以及应用该调节组件的led显示屏
CN210344874U (zh) 一种远程会诊视讯车
KR200236300Y1 (ko) 모니터 일체형 컴퓨터의 힌지연결구
KR20060018584A (ko) 영상표시장치용 힌지어셈블리
US20060114651A1 (en) Laptop computer housing
GB2406665A (en) Assembly of computer and monitor
GB2409111A (en) Laptop computer housing with vertical orientation
KR20110090798A (ko) 슬라이드형 전자장치
TW201525340A (zh) 支撐臂的多自由度鎖固裝置
KR20110090797A (ko) 슬라이드형 전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