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9790A -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9790A
KR20220139790A KR1020220030338A KR20220030338A KR20220139790A KR 20220139790 A KR20220139790 A KR 20220139790A KR 1020220030338 A KR1020220030338 A KR 1020220030338A KR 20220030338 A KR20220030338 A KR 20220030338A KR 20220139790 A KR20220139790 A KR 20220139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rlay
operating system
display
signal processing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03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재영
노영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22166804.9A priority Critical patent/EP4071608A1/en
Priority to US17/714,414 priority patent/US20220327986A1/en
Priority to CN202210369004.1A priority patent/CN115195621A/en
Publication of KR20220139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979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06F9/45554Instruction set architectures of guest OS and hypervisor or native processor differ, e.g. Bochs or VirtualPC on PowerPC MacO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06F9/452Remote windowing, e.g. X-Window System, desktop virtu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06F9/45537Provision of facilities of other operating environments, e.g. WI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9Textured surface identifying touch areas, e.g. overlay structure for a virtual key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a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the same. The display device for the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isplay mounted on the vehicle; and a signal processing device that outputs an image signal to the display, wherein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performs control to display a second overlay based on a second operation system overlapping at least a partial area of a first overlay based on a first operation system while outputting the first overlay based on the first operation system.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seamlessly display the overlay based on heterogeneous operation systems.

Description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Signal processing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including the same}Signal processing device, and a vehicl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오버레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는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a vehicl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ignal processing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different types of operating system-based overlays together, and a vehicl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차량은 탑승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대표적으로 자동차를 예를 들 수 있다.A vehicle is a device that moves a user in a desired direction. A typical example is a car.

한편, 차량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차량 내부에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탑재되고 있다.Meanwhile, for the convenience of a user using a vehicle, a vehicle display device is mounted inside the vehicle.

예를 들어, 클러스터 디스플레이, AVN(Audio Video Navigation) 디스플레이 등에 디스플레이가 배치되어, 차량 주행 정보, 지도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표시한다.For example, a display is disposed on a cluster display or an AVN (Audio Video Navigation) display to display various information such as vehicle driving information and map information.

한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다양항 정보 표시를 위해, 신호 처리 장치 내에서 운영 체제를 구동하고, 운영 체제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정보에 대응하는 오버레이를 생성하여, 클러스터 디스플레이 또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디스플레이 등에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vehicle display device, in order to display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an operating system is driven in a signal processing device, an overlay corresponding to information is generated through an application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and a cluster display or AVN (Audio Video) Navigation) display, etc.

한편, 최근의 개발 동향에 따라,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1 운영 체제 기반 하에 오버레이가 생성되어 표시되다가, 신규의 애플리케이션 구동 등을 위해, 제1 운영 체제와 다른 제2 운영 체제가 동작하여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 recent development trend, there is a case where an overlay is generated and displayed on the basis of the first operating system in the vehicle display device, and a second operating system different from the first operating system needs to be operated in order to drive a new application. is occurring

이와 관련하여, 미국 등록특허공보 US10019274(이하, '선행 문헌'이라 함)는, 호스트 운영 체제와 게스트 운영 체제 중 호스트 운영 체제 기반의 메뉴를 표시하는 것이 개시된다.In this regard, US Patent No. US10019274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literature') discloses displaying a host operating system-based menu among a host operating system and a guest operating system.

그러나, 선행 문헌에 의하면, 호스트 운영 체제 기반의 제1 오버레이를 표시하다가, 호스트 운영 체제 상에서 실행되는 게스트 운영 체제 기반의 제2 오버레이를, 제1 오버레이를 대체하여, 화면 전환하여 표시하므로, 신속하고 심리스(seamless)한 오버레이 표시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제1 오버레이와 제2 오버레이를 함께 표시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나아가, 제1 오버레이와 제2 오버레이 표시시, 유기적인 동작이 수행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prior literature, while displaying the first overlay based on the host operating system, the second overlay based on the guest operating system that is executed on the host operating system is replaced with the first overlay and displayed by changing the screen, so that it is quick and convenien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display a seamless overlay.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display the first overlay and the second overlay together. Furthermor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an organic operation cannot be performed when the first overlay and the second overlay are displayed.

본 발명의 목적은,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오버레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는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gnal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displaying different types of operating system-based overlays together, and a vehicl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오버레이를 심리스(seamless)하게 표시할 수 있는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Meanwhil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gnal processing device capable of seamlessly displaying heterogeneous operating system-based overlays, and a vehicl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이퍼바이저 상의 가상화 머신을 실행하여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거나 공유할 수 있는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Meanwhil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gnal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efficiently transmitting or sharing data by executing a virtual machine on a hypervisor, and a vehicl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에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운영 체제 기반의 제1 오버레이를 출력하다가,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제2 오버레이를, 제1 오버레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A vehicl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display mounted on a vehicle and a signal processing apparatus outputting an image signal to the display, wherein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is based on a first operating system while outputting the first overlay of , the second overlay bas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is controlled to be displayed by overlapping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first overlay.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오버레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블렌딩 처리를 수행하고, 블렌딩 처리된 영역에,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제2 오버레이를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may perform a blending process on at least a partial region of the first overlay, and control the blended region to display a second overlay based on a second operating system in an overlapping manner.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하이퍼바이저를 실행하고, 하이퍼바이저 상에서 제1 운영 체제 기반의 제1 오버레이를 생성하고, 하이퍼바이저 상에서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제2 오버레이를 생성하고, 제1 오버레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executes a hypervisor, generates a first overlay based on a first operating system on the hypervisor, generates a second overlay based on a second operating system on the hypervisor, and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first overlays. You can control to overlap and display in some areas.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하이퍼바이저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하이퍼바이저 상에서 제1 운영 체제 기반의 제1 오버레이를 생성하고, 하이퍼바이저 상에서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제2 오버레이를 생성하고, 제1 오버레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processor executing a hypervisor, wherein the processor generates a first overlay based on a first operating system on the hypervisor and generates a second overlay based on a second operating system on the hypervisor and overlapping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first overlay to be displayed.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운영 체제 기반의 복수개의 제1 오버레이를 출력하다가,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제2 오버레이를, 복수개의 제1 오버레이 중 어느 하나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may control to display a plurality of first overlays based on a first operating system while overlapping a second overlay based on a second operating system o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overlays. .

한편, 제1 오버레이는, 제1 운영 체제 기반의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포함하며, 제2 오버레이는,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overlay may include at least one application item based on a first operating system, and the second overlay may include at least one application item based on a second operating system.

한편, 제1 오버레이는, 제1 운영 체제 기반의 메뉴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포함하며, 제2 오버레이는,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overlay may include a menu and a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based on a first operating system, and the second overlay may include at least one application item based on a second operating system.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제1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제1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포함하는 오버레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first application item bas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is selected,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may control to output an overlay including the screen of the first application bas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운영 체제 기반의 제1 오버레이를 출력하다가, 제1 오버레이 내의 애플리케이션 보기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포함하는 제2 오버레이를, 제1 오버레이 내의 일부 영역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while outputting the first overlay based on the first operating system, when an application view item in the first overlay is selected, a second overlay includ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bas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It can be controlled to overlap and display a partial area in the first overlay.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 중 제1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제1 오버레이 내의 일부 영역에 제1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오버레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first application item from among the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is selected,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may control an overlay related to the first application to be displayed on a partial area within the first overlay.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운영 체제 기반의 제1 오버레이를 출력하다가, 제1 오버레이 내의 애플리케이션 보기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포함하는 제2 오버레이를, 제1 오버레이 영역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 중 제1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제1 오버레이 내의 일부 영역에 제1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오버레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while outputting the first overlay based on the first operating system, when an application view item in the first overlay is selected, a second overlay includ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bas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It is controlled to overlap and display on the first overlay area, and when the first application item from among a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is selected, an overlay related to the first application can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on a partial area within the first overlay.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운영 체제 기반의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포함하는 제1 오버레이를 출력하다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 중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제1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제1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포함하는 제2 오버레이를, 제1 오버레이 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outputs a first overlay includ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based on a first operating system, and when a first application item based on a second operating system is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the second operation The second overlay including the system-based first application screen may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overlaid on at least a partial area within the first overlay.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프리뷰 정보 또는 메세지를 제1 운영 체제 기반의 제1 오버레이의 일부 영역에 포함되도록 제어하고, 프리뷰 정보 또는 메세지가 선택되는 경우, 프리뷰 정보 또는 메세지에 대응하는 화면을 포함하는 제2 오버레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controls the second operating system-based preview information or message to be included in a partial area of the first overlay based on the first operating system, and when the preview information or message is selected, the preview information or message A second overlay including a corresponding screen may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프리뷰 정보 또는 메세지에 대응하는 화면을 포함하는 제2 오버레이를, 제1 오버레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may control to display a second overlay including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preview information or message bas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to overlap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first overlay.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프로세서 내의 하이퍼바이저 상에서, 제1 운영 체제 기반의 서버 가상화 머신과,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동작하는 게스트 가상화 머신을 실행할 수 있다.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processor that performs signal processing for a display, and the processor operates on a hypervisor in the processor for a server virtualization machine based on a first operating system and a display based on a second operating system can run a guest virtual machine.

한편, 서버 가상화 머신은,제1 운영 체제 기반의 제1 오버레이를 출력하며, 게스트 가상화 머신은,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제1 오버레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rver virtualization machine may output a first overlay based on a first operating system, and the guest virtual machine may control to overlap and display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first overlay based on a second operating system.

한편, 프로세서는, 서버 가상화 머신으로부터의 제1 오버레이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게스트 가상화 머신으로 전달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may deliver the first overlay from the server virtualization machine to the guest virtualization machine through the interface.

한편, 프로세서는, 하이퍼바이저를 실행하고, 하이퍼바이저 내의 공유 메모리를 통해, 서버 가상화 머신으로부터의 제1 오버레이를, 게스트 가상화 머신으로 전달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may execute the hypervisor and transfer the first overlay from the server virtualization machine to the guest virtualization machine through the shared memory in the hypervis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는, 차량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에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프로세서는, 제1 운영 체제 기반의 제1 오버레이를 출력하다가,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제2 오버레이를, 제1 오버레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A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cessor that outputs an image signal to a display mounted on a vehicle, wherein the processor outputs a first overlay based on a first operating system and then based on a second operating system Controls to display the second overlay of , overlapping at least a partial region of the first overlay.

한편, 프로세서는, 하이퍼바이저를 실행하고, 하이퍼바이저 상에서 제1 운영 체제 기반의 제1 오버레이를 생성하고, 하이퍼바이저 상에서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제2 오버레이를 생성하고, 제1 오버레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executes the hypervisor, generates a first overlay based on a first operating system on the hypervisor, generates a second overlay based on a second operating system on the hypervisor,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overlay You can control it to be displayed overlaid on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에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운영 체제 기반의 제1 오버레이를 출력하다가,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제2 오버레이를, 제1 오버레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오버레이를 함께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오버레이를 심리스(seamless)하게 표시할 수 있게 된다.A vehicl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mounted on a vehicle and a signal processing apparatus outputting an image signal to the display, wherein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outputs a first overlay based on a first operating system In the meantime, the control is performed to overlap and display the second overlay bas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n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first overlay.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isplay overlays based on different operating systems togeth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amlessly display overlays based on heterogeneous operating systems.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오버레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블렌딩 처리를 수행하고, 블렌딩 처리된 영역에,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제2 오버레이를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오버레이를 함께 표시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may perform a blending process on at least a partial region of the first overlay, and control the blended region to display a second overlay based on a second operating system in an overlapping manne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isplay overlays based on different operating systems together.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하이퍼바이저를 실행하고, 하이퍼바이저 상에서 제1 운영 체제 기반의 제1 오버레이를 생성하고, 하이퍼바이저 상에서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제2 오버레이를 생성하고, 제1 오버레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오버레이를 함께 표시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executes a hypervisor, generates a first overlay based on a first operating system on the hypervisor, generates a second overlay based on a second operating system on the hypervisor, and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first overlays. You can control to overlap and display in some area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isplay overlays based on different operating systems together.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하이퍼바이저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하이퍼바이저 상에서 제1 운영 체제 기반의 제1 오버레이를 생성하고, 하이퍼바이저 상에서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제2 오버레이를 생성하고, 제1 오버레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오버레이를 함께 표시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processor executing a hypervisor, wherein the processor generates a first overlay based on a first operating system on the hypervisor and generates a second overlay based on a second operating system on the hypervisor and overlapping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first overlay to be display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isplay overlays based on different operating systems together.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운영 체제 기반의 복수개의 제1 오버레이를 출력하다가,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제2 오버레이를, 복수개의 제1 오버레이 중 어느 하나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오버레이를 함께 표시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may control to display a plurality of first overlays based on a first operating system while overlapping a second overlay based on a second operating system o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overlays.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isplay overlays based on different operating systems together.

한편, 제1 오버레이는, 제1 운영 체제 기반의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포함하며, 제2 오버레이는,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함께 표시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the first overlay may include at least one application item based on a first operating system, and the second overlay may include at least one application item based on a second operating system. Accordingly, application items based on different operating systems can be displayed together.

한편, 제1 오버레이는, 제1 운영 체제 기반의 메뉴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포함하며, 제2 오버레이는,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함께 표시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the first overlay may include a menu and a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based on a first operating system, and the second overlay may include at least one application item based on a second operating system. Accordingly, a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based on different operating systems can be displayed together.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제1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제1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포함하는 오버레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오버레이를 신속하게 표시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when the first application item bas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is selected,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may control to output an overlay including the screen of the first application bas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quickly display an overlay based on a heterogeneous operating system.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운영 체제 기반의 제1 오버레이를 출력하다가, 제1 오버레이 내의 애플리케이션 보기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포함하는 제2 오버레이를, 제1 오버레이 내의 일부 영역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오버레이를 함께 표시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while outputting the first overlay based on the first operating system, when an application view item in the first overlay is selected, a second overlay includ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bas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It can be controlled to overlap and display a partial area in the first overlay.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isplay overlays based on different operating systems together.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 중 제1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제1 오버레이 내의 일부 영역에 제1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오버레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오버레이를 신속하게 표시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when the first application item from among the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is selected,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may control an overlay related to the first application to be displayed on a partial area within the first overlay.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quickly display an overlay based on a heterogeneous operating system.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운영 체제 기반의 제1 오버레이를 출력하다가, 제1 오버레이 내의 애플리케이션 보기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포함하는 제2 오버레이를, 제1 오버레이 영역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 중 제1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제1 오버레이 내의 일부 영역에 제1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오버레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오버레이를 신속하게 표시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while outputting the first overlay based on the first operating system, when an application view item in the first overlay is selected, a second overlay includ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bas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It is controlled to overlap and display on the first overlay area, and when the first application item from among a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is selected, an overlay related to the first application can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on a partial area within the first overlay.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quickly display an overlay based on a heterogeneous operating system.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운영 체제 기반의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포함하는 제1 오버레이를 출력하다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 중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제1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제1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포함하는 제2 오버레이를, 제1 오버레이 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오버레이를 함께 표시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outputs a first overlay includ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based on a first operating system, and when a first application item based on a second operating system is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the second operation The second overlay including the system-based first application screen may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overlaid on at least a partial area within the first overlay.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isplay overlays based on different operating systems together.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프리뷰 정보 또는 메세지를 제1 운영 체제 기반의 제1 오버레이의 일부 영역에 포함되도록 제어하고, 프리뷰 정보 또는 메세지가 선택되는 경우, 프리뷰 정보 또는 메세지에 대응하는 화면을 포함하는 제2 오버레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오버레이를 신속하게 표시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controls the second operating system-based preview information or message to be included in a partial area of the first overlay based on the first operating system, and when the preview information or message is selected, the preview information or message A second overlay including a corresponding screen may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quickly display an overlay based on a heterogeneous operating system.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프리뷰 정보 또는 메세지에 대응하는 화면을 포함하는 제2 오버레이를, 제1 오버레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오버레이를 신속하게 표시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may control to display a second overlay including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preview information or message bas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to overlap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first overlay.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quickly display an overlay based on a heterogeneous operating system.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프로세서 내의 하이퍼바이저 상에서, 제1 운영 체제 기반의 서버 가상화 머신과,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동작하는 게스트 가상화 머신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가상화 머신을 안정적으로 실행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processor that performs signal processing for a display, and the processor operates on a hypervisor in the processor for a server virtualization machine based on a first operating system and a display based on a second operating system can run a guest virtual machin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tably run a virtual machine based on a heterogeneous operating system.

한편, 서버 가상화 머신은,제1 운영 체제 기반의 제1 오버레이를 출력하며, 게스트 가상화 머신은,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제1 오버레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오버레이를 함께 표시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the server virtualization machine may output a first overlay based on a first operating system, and the guest virtual machine may control to overlap and display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first overlay based on a second operating system.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isplay overlays based on different operating systems together.

한편, 프로세서는, 서버 가상화 머신으로부터의 제1 오버레이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게스트 가상화 머신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오버레이를 함께 표시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the processor may deliver the first overlay from the server virtualization machine to the guest virtualization machine through the interfac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isplay overlays based on different operating systems together.

한편, 프로세서는, 하이퍼바이저를 실행하고, 하이퍼바이저 내의 공유 메모리를 통해, 서버 가상화 머신으로부터의 제1 오버레이를, 게스트 가상화 머신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이퍼바이저 상의 가상화 머신을 실행하여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거나 공유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the processor may execute the hypervisor and transfer the first overlay from the server virtualization machine to the guest virtualization machine through the shared memory in the hyperviso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transfer or share data by running a virtual machine on the hypervis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는, 차량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에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프로세서는, 제1 운영 체제 기반의 제1 오버레이를 출력하다가,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제2 오버레이를, 제1 오버레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오버레이를 함께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오버레이를 심리스(seamless)하게 표시할 수 있게 된다.A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cessor that outputs an image signal to a display mounted on a vehicle, wherein the processor outputs a first overlay based on a first operating system and then based on a second operating system Controls to display the second overlay of , overlapping at least a partial region of the first overlay.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isplay overlays based on different operating systems togeth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amlessly display overlays based on heterogeneous operating systems.

한편, 프로세서는, 하이퍼바이저를 실행하고, 하이퍼바이저 상에서 제1 운영 체제 기반의 제1 오버레이를 생성하고, 하이퍼바이저 상에서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제2 오버레이를 생성하고, 제1 오버레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오버레이를 함께 표시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the processor executes the hypervisor, generates a first overlay based on a first operating system on the hypervisor, generates a second overlay based on a second operating system on the hypervisor,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overlay You can control it to be displayed overlaid on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isplay overlays based on different operating systems together.

도 1a는 차량 외부 및 차량 내부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차량 내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를 예시한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과 관련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구동되는 시스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실시예에 따른 차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구동되는 시스템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9c는 도 5 내지 도 6c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신호 처리 장치에서 구동되는 시스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신호 처리 장치에서 구동되는 시스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신호 처리 장치에서 구동되는 시스템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4b는 도 10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1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exterior of a vehicle and the interior of the vehicle.
1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interior of a vehicle.
2 is a view illustrating an exterior of a vehi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vehicle display device of FIG. 2 .
4A to 4B are diagrams referenced in the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for a vehic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ystem driven in a vehi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C are diagrams illustrating various examples of a system driven in a vehi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to 9C are diagrams referred to in the description of FIGS. 5 to 6C.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ystem driven in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system driven in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system driven in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13 to 14B are diagrams referred to in the description of FIG. 10 .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simply in consideration of the ease of writing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o not impart a particularly important meaning or role by themselves. Accordingly, the terms “module” and “unit” may be used interchangeably.

도 1a는 차량 외부 및 차량 내부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exterior of a vehicle and the interior of the vehicle.

도면을 참조하면, 차량(200)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는 복수의 바퀴(103FR,103FL,103RL,..), 차량(200)의 진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스티어링휠(150)에 의해 동작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vehicle 200 is operated by a plurality of wheels 103FR, 103FL, 103RL,... .

한편, 차량(200)은, 차량 전방의 영상 획득을 위한 카메라(195)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the vehicle 200 may further include a camera 195 for acquiring an image in front of the vehicle.

한편, 차량(200)은, 내부에 영상, 정보 등의 표시를 위한 복수의 디스플레이(180a,180b)를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the vehicle 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displays 180a and 180b for displaying images and information therein.

도 1a에서는, 복수의 디스플레이(180a,180b)로, 클러스터 디스플레이(180a), AVN(Audio Video Navigation) 디스플레이(180b)를 예시한다. 그 외, HUD(Head Up Display) 등도 가능하다.In FIG. 1A , a cluster display 180a and an Audio Video Navigation (AVN) display 180b are exemplified as a plurality of displays 180a and 180b. In addition, a Head Up Display (HUD) or the like is also possible.

한편, AVN(Audio Video Navigation) 디스플레이(180b)는, 센터 정보 디스플레이(Center Information Dislpay)라 명명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AVN (Audio Video Navigation) display 180b may be referred to as a center information display (Center Information Dislpay).

본 발명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180a,180b)를 구비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오버레이를 함께 표시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5 이하를 참조하여 기술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of displaying different types of operating system-based overlays together in the vehicle display device 100 including the displays 180a and 180b.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and below.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200)은, 동력원으로서 엔진을 구비하는 차량, 동력원으로서 엔진과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동력원으로서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전기 차량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Meanwhile, the vehicle 200 described herein may be a concept including all of a vehicle having an engine as a power source, a hybrid vehicle having an engine and an electric motor as a power source, and an electric vehicle having an electric motor as a power source. have.

도 1b는 차량 내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interior of a vehicle.

도면을 참조하면, 차량 내부에는, 클러스터 디스플레이(180a), AVN(Audio Video Navigation) 디스플레이(180b), 뒷 좌석 엔터네인먼트(Rear Seat Entertainment) 디스플레이(180c,180d), 룸미러 디스플레이(미도시) 등이 장착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inside the vehicle, a cluster display 180a, an AVN (Audio Video Navigation) display 180b, a rear seat entertainment display 180c, 180d, a rearview mirror display (not shown) etc. may be installed.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수의 디스플레이(180a~180d)를 구비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오버레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5 이하를 참조하여 기술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for displaying different types of operating system-based overlays together in the vehicle display apparatus 100 having a plurality of displays 180a to 180d.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and below.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illustrating an exterior of a vehi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a~180b), 및 디스플레이(180a~180b)에 영상, 정보 등을 표시하기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신호 처리 장치(170)를 구비할 수 있다.The vehicl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displays 180a to 180b and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70 for performing signal processing for displaying images, information, etc. on the displays 180a to 180b. can be provided

디스플레이(180a~180b) 중 제1 디스플레이(180a)는, 주행 상태, 동작 정보 등의 표시를 위한 클러스터 디스플레이(180a)이고, 제2 디스플레이(180b)는, 챠량 운행 정보, 네비게이션 지도, 다양한 엔테테인먼트 정보 또는 영상의 표시를 위한 AVN(Audio Video Navigation) 디스플레이(180b)일 수 있다. Among the displays 180a to 180b, the first display 180a is a cluster display 180a for displaying driving state and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display 180b is vehicle driving information, navigation map, and various entertainment information. Alternatively, it may be an AVN (Audio Video Navigation) display 180b for displaying an image.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내부에 프로세서(175)를 구비하며, 프로세서(175) 내에서 하이퍼바이저(도 5의 505)를 실행할 수 있다.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includes a processor 175 therein, and may execute a hypervisor ( 505 in FIG. 5 ) in the processor 175 .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프로세서(175)는, 하이퍼바이저(505) 상에서, 제1 가상화 머신 내지 제3 가상화 머신(도 10의 520~540)을 실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ocessor 175 in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on the hypervisor 505, the first virtual machine to the third virtual machine (520 to 540 in FIG. 10) may be executed.

제2 가상화 머신(530)은 제1 디스플레이(180a)를 위해 동작하며, 제3 가상화 머신(540)은, 제2 디스플레이(180b)를 위해 동작할 수 있다.The second virtual machine 530 may operate for the first display 180a, and the third virtual machine 540 may operate for the second display 180b.

한편, 프로세서(175) 내의 제1 가상화 머신(520)은, 제2 가상화 머신(530) 및 제3 가상화 머신(540)으로, 동일한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하이퍼바이저(505) 기반의 공유 메모리(도 13의 508)가 설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내의 제1 디스플레이(180a)와 제2 디스플레이(180b)에 동일한 정보 또는 동일한 영상을 동기화하여 표시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in the processor 175, the second virtual machine 530 and the third virtual machine 540, for the same data transfer, a hypervisor 505 based shared memory (Fig. 508 of 13) can be controlled to be se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ynchronize and display the same information or the same image on the first display 180a and the second display 180b in the vehicle.

한편, 프로세서(175) 내의 제1 가상화 머신(520)은, 데이터 분담 처리를 위해, 제2 가상화 머신(530)과 제3 가상화 머신(540)에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공유한다. 이에 따라, 차량 내의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복수의 가상화 머신에서 데이터를 분담하여 처리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in the processor 175 shares at least a portion of data with the second virtual machine 530 and the third virtual machine 540 for data sharing processing. Accordingly, data can be shared and processed by a plurality of virtual machines for a plurality of displays in the vehicle.

한편, 프로세서(175) 내의 제1 가상화 머신(520)은, 차량의 휠 속도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처리하여, 제2 가상화 머신(530) 또는 제3 가상화 머신(540) 중 적어도 하나로, 처리된 휠 속도 센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의 휠 속도 센서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가상화 머신 등에 공유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in the processor 175 receives and processes the wheel speed sensor data of the vehicle, at least one of the second virtual machine 530 or the third virtual machine 540, It can transmit wheel speed sensor data. Accordingly, the vehicle wheel speed sensor data can be shared with at least one virtual machine or the lik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행 상태 정보, 간이 네비게이션 정보, 다양한 엔테테인먼트 정보 또는 영상의 표시를 위한 뒷 좌석 엔터네인먼트(Rear Seat Entertainment) 디스플레이(180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vehicl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ar seat entertainment (Rear Seat Entertainment) display 180c for displaying driving state information, simple navigation information, various entertainment information or images is further added. can be provided

신호 처리 장치(170)는, 프로세서(175) 내의 하이퍼바이저(505) 상에서, 제1 가상화 머신 내지 제3 가상화 머신(520~540) 외에 추가로 제4 가상화 머신(미도시)를 실행하여, RSE 디스플레이(180c)를 제어할 수 있다.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on the hypervisor 505 in the processor 175, in addition to the first virtual machine to the third virtual machine (520 to 540) in addition to executing a fourth virtual machine (not shown), RSE The display 180c may be controlled.

이에 따라, 하나의 신호 처리 장치(170)를 이용하여, 다양한 디스플레이(180a~180c)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various displays 180a to 180c can be controlled using on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

한편, 복수의 디스플레이(180a~180c) 중 일부는, 제1 운영 체제(OS) 기반 하에 동작하며, 다른 일부는 제1 운영 체제(OS)와 다른 제2 운영 체제(OS) 기반 하에 동작할 수 있다. Meanwhile, some of the plurality of displays 180a to 180c may operate based on a first operating system (OS), and others may operate under a second operating system (OS) tha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operating system (OS). have.

예를 들어, 복수의 디스플레이(180a~180c) 중 일부는, QNX OS 또는 리눅스 OS 기반 하에 동작하며, 다른 일부는 안드로이드 OS 또는 웹 OS 기반 하에 동작할 수 있다. For example, some of the plurality of displays 180a to 180c may operate under the QNX OS or Linux OS, and others may operate under the Android OS or Web O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170)는, 다양한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OS) 하에 동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180a~180b 또는 180a~180c) 중 어느 하나에서 터치 입력(Touch)이 있는 경우, 터치 입력에 대한 처리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ouch input in any one of a plurality of displays 180a to 180b or 180a to 180c operating under various operating systems (OS).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rocessing for the touch input to be performed quickly and accurately.

한편, 도 2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180a)에, 차량 속도 인디케이터(212a), 차량 내부 온도 인디케이터(213a)가 표시되고, 제2 디스플레이(180b)에, 복수의 애플리케이션과 차량 속도 인디케이터(212b)와 차량 내부 온도 인디케이터(213b)를 포함하는 홈 화면(222)이 표시되고, 제3 디스플레이(180c)에, 복수의 애플리케이션과 차량 내부 온도 인디케이터(213c)를 포함하는 제2 홈 화면(222b)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Meanwhile, in FIG. 2 , the vehicle speed indicator 212a and the vehicle internal temperature indicator 213a ar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180a, and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nd the vehicle speed indicator 212b are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180b. and a home screen 222 including a vehicle interior temperature indicator 213b is displayed, and a second home screen 222b includ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nd a vehicle interior temperature indicator 213c is displayed on the third display 180c. exemplifies what is display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를 예시한다.3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vehicl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부(110), 통신부(120), 인터페이스(130), 메모리(140), 신호 처리 장치(170), 복수의 디스플레이(180a~180c),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 공급부(190)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vehicl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110 , a communication unit 120 , an interface 130 , a memory 140 , a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 and a plurality of displays. (180a to 180c), an audio output unit 185, and a power supply unit 190 may be provided.

입력부(110)는, 버튼 입력, 터치 입력 등을 위한 물리적인 버튼, 패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110 may include a physical button, a pad, and the like for button input, touch input, and the like.

한편, 입력부(110)는, 디스플레이(180a,180b,180c)의 터치 입력을 센싱하기 위한 터치 센서(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the input unit 110 may include a touch sensor (not shown) for sensing a touch input of the displays 180a, 180b, and 180c.

한편, 입력부(110)는, 사용자 음성 입력을 위한 마이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the input unit 110 may include a microphone (not shown) for inputting a user's voice.

통신부(120)는, 이동 단말기(800) 또는 서버(900)와 무선(wireless) 방식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exchange data with the mobile terminal 800 or the server 900 in a wireless manner.

특히, 통신부(120)는, 차량 운전자의 이동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무선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는, 블루투스(Bluetooth), WiFi, WiFi Direct, APiX 등 다양한 데이터 통신 방식이 가능하다.In particular,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wirelessly exchange data with the mobile terminal of the vehicle driver. As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method, various data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Bluetooth, WiFi, WiFi Direct, and APiX are possible.

통신부(120)는, 이동 단말기(800) 또는 서버(900)로부터, 날씨 정보, 도로의 교통 상황 정보, 예를 들어,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20)는, 이동 통신 모듈(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receive weather information, road traffic condition information, for example, 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TPEG)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800 or the server 900 . To this end,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인터페이스(130)는, ECU(770) 또는 센서 장치(760)로부터, 센서 정보 등을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신호 처리 장치(170)로 전송할 수 있다.The interface 130 may receive sensor information or the like from the ECU 770 or the sensor device 760 , and transmit the received information to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

여기서, 센서 정보는,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GPS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가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차량 전진/후진 정보, 배터리 정보, 연료 정보, 타이어 정보, 차량 램프 정보, 차량 내부 온도 정보, 차량 내부 습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ensor information includes vehicle direction information,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GPS information), vehicle angle information, vehicle speed information, vehicle acceleration information, vehicle inclination information, vehicle forward/reverse information, battery information, fuel information, tire information, vehicl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lamp information, vehicle internal temperature information, and vehicle internal humidity information.

이러한 센서 정보는,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차량 속도 센서, 차체 경사 감지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등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한편, 포지션 모듈은, GPS 정보 수신을 위한 GPS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Such sensor information includes a heading sensor, a yaw sensor, a gyro sensor, a position module, a vehicle forward/reverse sensor, a wheel sensor, a vehicle speed sensor, It may be obtained from a vehicle body inclination sensor, a battery sensor, a fuel sensor, a tire sensor, a steering sensor based on steering wheel rotation, a vehicle interior temperature sensor, a vehicle interior humidity sensor, and the like. Meanwhile, the position module may include a GPS module for receiving GPS information.

한편, 인터페이스(130)는, 카메라(195) 또는 라이더(미도시) 등으로부터 차량 전방 영상 데이터, 차량 측방 영상 데이터, 차량 후방 영상 데이터, 차량 주변 장애물 거리 정보 등을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신호 처리 장치(170)로 전송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terface 130 receives the vehicle front image data, the vehicle side image data, the vehicle rear image data, the obstacle distance information around the vehicle, etc. from the camera 195 or the rider (not shown), and signals the received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processing device 170 .

메모리(140)는, 신호 처리 장치(1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The memory 140 may store various data for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vehicle display apparatus 100 , such as a program for processing or controlling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70 .

예를 들어,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75) 내에서 실행하기 위한, 하이퍼바이저, 제1 가상화 머신 내지 제3 가상화 머신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emory 140 may store data related to the hypervisor, the first virtual machine to the third virtual machine, for execution in the processor 175 .

오디오 출력부(185)는, 신호 처리 장치(170)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스피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The audio output unit 185 converts the electrical signal from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into an audio signal and outputs it. For this, a speaker or the like may be provided.

전원 공급부(190)는, 신호 처리 장치(170)의 제어에 의해,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 공급부(190)는, 차량 내부의 배터리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supply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under the control of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 In particular,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receive power from a battery inside the vehicle.

신호 처리 장치(170)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7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each unit in the vehicle display apparatus 100 .

예를 들어, 차량용 디스플레이(180a,180b)를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프로세서(175)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175 for performing signal processing for the vehicle displays 180a and 180b may be included.

프로세서(175)는, 프로세서(175) 내의 하이퍼바이저(도 10의 505) 상에서, 제1 가상화 머신 내지 제3 가상화 머신(520~540)을 실행할 수 있다.The processor 175 may execute the first to third virtualization machines 520 to 540 on a hypervisor ( 505 in FIG. 10 ) in the processor 175 .

한편, 프로세서(175)는, 이더넷 데이터를 수신하고 처리하는 레가시 가상화 머신을 더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가시 가상화 머신은, 도 10과 같이, 프로세서(175) 내의 제1 가상화 머신(520)에서 실행될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175 may further execute a legacy virtualization machine that receives and processes Ethernet data. For example, the legacy virtual machine may be executed in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in the processor 175 , as shown in FIG. 10 .

제1 가상화 머신 내지 제3 가상화 머신(도 10의 520~540) 중 제1 가상화 머신(520)은, 서버 가상화 머신(Server Virtual Maschine)이라 명명할 수 있으며, 제2 가상화 머신 내지 제3 가상화 머신(530~540)은 게스트 가상화 머신(Guest Virtual Maschine)이라 명명할 수 있다.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among the first to third virtual machines (520 to 540 in FIG. 10 ) may be called a Server Virtual Machine, and the second to third virtual machines Reference numerals 530 to 540 may be referred to as guest virtual machines.

이때, 제2 가상화 머신(530)인 제1 게스트 가상화 머신은 제1 디스플레이(180a)를 위해 동작하며, 제3 가상화 머신(540)인 제2 게스트 가상화 머신은, 제2 디스플레이(180b)를 위해 동작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guest virtual machine that is the second virtual machine 530 operates for the first display 180a, and the second guest virtual machine that is the third virtual machine 540 operates for the second display 180b. can work

예를 들어, 프로세서(175) 내의 제1 가상화 머신(520)은, 차량 센서 데이터, 위치 정보 데이터, 카메라 영상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또는 터치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처리 또는 가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레가시 가상화 머신에서만 처리하는 데이터와, 제1 가상화 머신(52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구분함으로써, 데이터 처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1 가상화 머신(520)에서 대부분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1:N 방식의 데이터의 공유가 가능하게 된다.For example,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in the processor 175 may receive, process or process and output vehicle sensor data, location information data, camera image data, audio data, or touch input data. By separating data processed only by the legacy virtual machine and data processed by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 data processing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In particular, by performing most of the data processing in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it is possible to share data in a 1:N manner.

다른 예로, 제1 가상화 머신(520)은, 제2 가상화 머신 내지 제3 가상화 머신(530~540)을 위해, CAN 통신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라디오 데이터, USB 데이터, 무선 통신 데이터를 직접 수신하고 처리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directly receives and processes CAN communication data, audio data, radio data, USB data, and wireless communication data for the second virtual machine to the third virtual machine 530 to 540 . can do.

그리고, 제1 가상화 머신(520)은, 처리된 데이터를 제2 가상화 머신 내지 제3 가상화 머신(530~540)으로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may transmit the processed data to the second to third virtual machines 530 to 540 .

이에 따라, 제1 가상화 머신 내지 제3 가상화 머신(520~540) 중 제1 가상화 머신(520)만, 통신 데이터, 외부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신호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다른 가상화 머신에서의 신호 처리 부담이 경감되며, 1:N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되어, 데이터 공유시의 동기화가 가능하게 된다.Accordingly, only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of the first to third virtual machines 520 to 540 receives communication data and external input data and performs signal processing, thereby processing signals in other virtual machines. The burden is reduced, and 1:N data communication becomes possible, and synchronization at the time of data sharing becomes possible.

한편, 제1 가상화 머신(520)은, 데이터의 일부를 제2 가상화 머신(530)으로 전달되도록 제1 공유 메모리(미도시)에 기록하고, 데이터의 다른 일부를 제3 가상화 머신으로 전달되도록 제1 공유 메모리(미도시)에 기록하며, 제2 가상화 머신(530)과 제3 가상화 머신(540)은, 각각 전달받은 데이터를 처리하여, 처리된 데이터가 제2 공유 메모리(미도시)에 기록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오버레이를 함께 표시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writes a portion of the data to the first shared memory (not shown) to be transferred to the second virtual machine 530, and the second to transfer the other part of the data to the third virtual machine. 1 is recorded in the shared memory (not shown), and the second virtual machine 530 and the third virtual machine 540 process the received data, respectively, and the processed data is recorded in the second shared memory (not shown). control as much as possibl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isplay different types of operating system-based overlays together.

이때의 데이터는, 영상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네비게이션 데이터, 또는 음성 인식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data may be any one of image data, audio data, navigation data, and voice recognition data.

한편, 제1 가상화 머신(520)은, 데이터의 또 다른 일부를 처리하여, 제2 공유 메모리(미도시)에 처리된 데이터가 기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2 가상화 머신(530)과 제3 가상화 머신 외에 추가로 제1 가상화 머신(520)이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by processing another portion of the data, the second shared memory (not shown)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processed data is written. That is, in addition to the second virtual machine 530 and the third virtual machine,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may perform data processing.

한편, 프로세서(175) 내에 제3 디스플레이(180c)를 위해 동작하는 제4 가상화 머신(550)이 실행되는 경우, 제1 가상화 머신(520)은, 데이터의 또 다른 일부를 제1 공유 메모리(미도시)에 기록하며, 제4 가상화 머신(550)은, 각각 전달받은 데이터를 처리하여, 처리된 데이터가 제2 공유 메모리(미도시)에 기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ourth virtual machine 550 operating for the third display 180c is executed in the processor 175,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stores another portion of the data in the first shared memory (not shown). time), and the fourth virtual machine 550 processes the received data, respectively, and may control the processed data to be recorded in the second shared memory (not shown).

한편, 제1 가상화 머신(520)은, 제2 가상화 머신 내지 제3 가상화 머신(530,540)에서의 데이터의 분산 처리를 위한 각각의 커맨드 큐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가상화 머신에서 데이터를 분담하여 처리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the second virtual machine to the third virtual machine (530, 540) may generate each command queue for the distributed processing of the data. Accordingly, data can be shared and processed by a plurality of virtual machines.

한편, 프로세서(175) 내의 제1 가상화 머신(520)은, 제2 가상화 머신 내지 제3 가상화 머신(530,540)에서 동일한 데이터를 공유하는 경우, 1개의 동일한 커맨드 큐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공유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in the processor 175, when the same data is shared by the second virtual machine to the third virtual machine 530 and 540, may generate one identical command queue. Accordingly, the same data can be synchronized and shared.

한편, 제1 가상화 머신(520)은, 데이터의 분산 처리를 위한 가상화 머신의 개수에 대응하는 커맨드 큐를 생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may generate a command queu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virtual machines for distributed processing of data.

한편, 제1 가상화 머신(520)은, 데이터 분산 처리를 위해,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제2 가상화 머신(530) 또는 제3 가상화 머신(54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may control at least a portion of data to be transmitted to at least one of the second virtual machine 530 and the third virtual machine 540 for data distribution processing.

예를 들어, 제1 가상화 머신(520)은,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제2 가상화 머신(530) 또는 제3 가상화 머신(54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기 위한 제1 공유 메모리(미도시)를 할당하고, 제2 가상화 머신(530) 또는 제3 가상화 머신(540)에서 처리된 영상 데이터는 제2 공유 메모리(미도시)에 기록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allocates a first shared memory (not shown) for transferr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data to at least one of the second virtual machine 530 or the third virtual machine 540 . and image data processed by the second virtual machine 530 or the third virtual machine 540 may be recorded in a second shared memory (not shown).

한편, 제1 가상화 머신(520)은, 데이터를 공유 메모리(508)에 기록하여, 제2 가상화 머신(530) 및 제3 가상화 머신(540)으로 동일한 데이터를 공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by writing the data to the shared memory 508, the second virtual machine 530 and the third virtual machine 540 can be controlled to share the same data.

예를 들어, 제1 가상화 머신(520)은, 라디오 데이터 또는 무선 통신 데이터를 공유 메모리(508)에 기록하여, 제2 가상화 머신(530) 및 제3 가상화 머신(540)으로 동일한 데이터를 공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1:N 방식의 데이터의 공유가 가능하게 된다.For example,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writes radio data or wireless communication data to the shared memory 508 so as to share the same data with the second virtual machine 530 and the third virtual machine 540 . can be controll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hare data in a 1:N scheme.

결국, 제1 가상화 머신(520)에서 대부분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1:N 방식의 데이터의 공유가 가능하게 된다.As a result, by performing most of the data processing in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it is possible to share data in a 1:N manner.

한편, 프로세서(175) 내의 제1 가상화 머신(520)은, 제2 가상화 머신(530) 및 제3 가상화 머신(540)으로, 동일한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하이퍼바이저(505) 기반의 공유 메모리(508)가 설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in the processor 175, the second virtual machine 530 and the third virtual machine 540, for the same data transfer, the hypervisor 505 based shared memory 508 ) can be controlled to be set.

즉, 프로세서(175) 내의 제1 가상화 머신(520)은, 하이퍼바이저(505) 기반의 공유 메모리(508)를 이용하여, 제2 가상화 머신(530) 및 제3 가상화 머신(540)으로, 동일한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내의 복수의 디스플레이(180a~180b)에서 동일한 영상을 동기화하여 표시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in the processor 175 is the same as the second virtual machine 530 and the third virtual machine 540 using the hypervisor 505-based shared memory 508 . Data can be synchronized and transmitt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ynchronize and display the same image on the plurality of displays 180a to 180b in the vehicle.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오디오 신호,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 다양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신호 처리 장치(170)는,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70 may process various signals such as an audio signal, an image signal, and a data signal. To this end,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7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ystem on chip (SOC).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과 관련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4A to 4B are diagrams referenced in the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for a vehic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본 발명과 관련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내의 신호 처리 장치에서 제1 오버레이(OVLxa)를 출력하다가 화면 전환하여 제2 오버레이(OVLaxb)를 출력하는 것을 예시한다.FIG. 4A illustrates an example of outputting the first overlay OVLxa in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in the vehicle display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n switching the screen to output the second overlay OVLxb.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과 관련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내의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시점에, 제1 운영 체제 기반하에 실행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 오버레이(OVLxa)를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in the vehi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output a first overlay OVLxa corresponding to a first application executed based on a first operating system at a first time point.

제1 오버레이(OVLxa)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보기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1 메뉴 영역(MUx), 차량 진행에 따른 맵(map)이 표시되는 지도 영역(Arax), 연결되는 전자 기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외부 기기 표시 영역(Arbx), 라디오 정보를 표시하는 라디오 표시 영역(Arcx), 설정 항목 및 시간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2 메뉴 영역(Ardx)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overlay OVLxa includes a first menu area MUx includ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 view items, a map area Arax in which a map according to vehicle progress is displayed, and information on a connected electronic device. It may include an external device display area Arbx to display, a radio display area Arcx to display radio information, and a second menu area Ardx including setting items and time items.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내의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시점 이후의 제2 시점에, 제2 운영 체제 기반하에 실행되는 제2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2 오버레이(OVLxb)를 출력할 수 있다..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in the vehi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output the second overlay OVLxb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pplication executed under the second operating system at a second time point after the first time point. ..

제2 오버레이(OVLxb)는, 차량 진행에 따른 맵(map)이 표시되는 지도 영역(MPx), 외부 온도 등의 날씨 정보와 스트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영역(Wex)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overlay OVLxb may include a map area MPx in which a map according to vehicle progress is displayed, and an information area Wex including weather information such as external temperature and appli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 stream service. can

도 4b는 도 4a의 제1 오버레이(OVLxa)와 제2 오버레이(OVLxb)를 출력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4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outputting the first overlay OVLxa and the second overlay OVLxb of FIG. 4A .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과 관련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내의 신호 처리 장치(175x)에서 구동되는 시스템(400x)은, 프로세서(175x) 내에서 하이퍼바이저(505x)를 실행하고, 하이퍼바이저(505x) 상에서, 제1 운영 체제(OSh)를 실행하고, 제1 운영 체제(OSh) 상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APxa)을 실행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ystem 400x driven in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5x in the vehicle display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executes the hypervisor 505x in the processor 175x, and on the hypervisor 505x, The first operating system OSh is executed, and the first application APxa is executed on the first operating system OSh.

그리고, 제1 어플리케이션(APxa)의 실행에 따라, 제1 운영 체제(OSh) 기반하에 실행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APxa)에 대응하는 제1 오버레이(OVLxa)를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first application APxa, the first overlay OVLxa corresponding to the first application APxa executed based on the first operating system OSh may be output.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내의 신호 처리 장치(175x)에서 구동되는 시스템(400x)은, 프로세서(175x) 내에서 하이퍼바이저(505x)를 실행하고, 하이퍼바이저(505x) 상에서, 제1 운영 체제(OSh)와 다른 이종의 제2 운영 체제(OSg)를 실행하고, 제2 운영 체제(OSg) 상에서 제2 어플리케이션(APxb)을 실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system 400x driven in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5x in the vehicle display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executes the hypervisor 505x in the processor 175x, and on the hypervisor 505x, the first operation A second operating system OSg different from the system OSh is executed, and a second application APxb is execut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Sg.

그리고, 제2 어플리케이션(APxb)의 실행에 따라, 제2 운영 체제(OSg) 기반하에 실행되는 제2 애플리케이션(APxb)에 대응하는 제2 오버레이(OVLxb)를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second application APxb, the second overlay OVLxb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pplication APxb executed bas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Sg may be output.

한편, 도 4a와 같이 제1 오버레이(OVLxa)를 AVN 디스플레이(180b)에 표시하다가, 제1 오버레이(OVLxa)를 대체하여, 제2 운영 체제 기반하에 실행되는 제2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2 오버레이(OVLxb)를 AVN 디스플레이(180b)에 출력하는 경우, 발명과 관련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내의 신호 처리 장치(175x)는, 제1 시점에, 제1 어플리케이션(APxa)의 실행에 따라, 제1 운영 체제(OSh) 기반하에 실행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APxa)에 대응하는 제1 오버레이(OVLxa)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제1 시점 이후의 제2 시점에, 제2 어플리케이션(APxb)의 실행에 따라, 제2 운영 체제(OSg) 기반하에 실행되는 제2 애플리케이션(APxb)에 대응하는 제2 오버레이(OVLxb)를 생성하여 출력하여야 한다.Meanwhile, while displaying the first overlay OVLxa on the AVN display 180b as shown in FIG. 4A , the first overlay OVLxa is replaced with a second overlay corresponding to a second application executed under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S). When outputting the OVLxb) to the AVN display 180b,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5x in the in-vehicle display device related to the invention, at a first time point,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first application APxa, the first operating system OSh ) generates and outputs a first overlay (OVLxa) corresponding to the first application (APxa) executed under the A second overlay OVLxb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pplication APxb executed under the system OSg should be generated and output.

이에 따라, 도 4a와 도 4b에 의하면,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제1 오버레이(OVLxa) 표시 이후의 제2 오버레이(OVLxb) 표시시, 신속하고 심리스(seamless)한 오버레이 표시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Accordingly, according to FIGS. 4A and 4B , when displaying the second overlay OVLxb after displaying the first overlay OVLxa based on different operating systems, it is difficult to display the overlay quickly and seamlessly.

또한, 제1 오버레이(OVLxa)와 제2 오버레이(OVLxb)를 함께 표시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나아가, 제1 오버레이(OVLxa)와 제2 오버레이(OVLxb) 표시시, 유기적인 동작이 수행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display the first overlay OVLxa and the second overlay OVLxb together. Furthermor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an organic operation is not performed when the first overlay OVLxa and the second overlay OVLxb are displayed.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오버레이를 함께 표시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특히,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오버레이를 심리스(seamless)하게 표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5 이하를 참조하여 기술한다.According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of displaying heterogeneous operating system-based overlays together. In particular, a method for seamlessly displaying heterogeneous operating system-based overlays is proposed.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or less.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구동되는 시스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ystem driven in a vehi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신호 처리 장치(170)에서 실행되는 시스템(600)은, 프로세서(175) 내에서 하이퍼바이저(505)를 실행하고, 하이퍼바이저(505) 상에서, 제1 운영 체제(OSh)를 실행하고, 제1 운영 체제(OSh) 상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APa)을 실행하고, 하이퍼바이저(505) 상에서, 제1 운영 체제(OSh)와 다른 이종의 제2 운영 체제(OSg)를 실행하고, 제2 운영 체제(OSg) 상에서 제2 어플리케이션(APb)을 실행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ystem 600 executed in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in the vehicl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ecutes the hypervisor 505 in the processor 175, and the hypervisor on the visor 505 , running a first operating system (OSh), running a first application (APa) on the first operating system (OSh), on the hypervisor 505 , with the first operating system (OSh) A different heterogeneous second operating system OSg is executed, and a second application APb is execut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Sg.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제1 운영 체제(OSh) 기반의 제1 오버레이(OVLa)를 출력하다가,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제2 오버레이(OVLb)를, 제1 오버레이(OVLa)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오버레이를 함께 디스플레이(180b)에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오버레이를 심리스(seamless)하게 표시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70 in the vehicl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the first overlay OVLa based on the first operating system OSh, and then displays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Sg. Controlled so that the base second overlay OVLb is overlapped and displayed on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first overlay OVLa.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isplay different types of operating system-based overlays on the display 180b togeth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amlessly display overlays based on heterogeneous operating systems.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제1 운영 체제(OSh)와 제2 운영 체제(OSg) 사이에서 하나의 실행 환경 기반의 심리스한 동작 구현을 위해, 제1 운영 체제(OSh)와 제2 운영 체제(OSg) 사이에, 설정값 동기화, 알림 정보 동기화 등을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to implement a seamless operation based on one execution environment between the first operating system (OSh) and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Sg), the first operating system (OSh) and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Sg) Between operating systems (OSg), setting value synchroniza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synchronization, and the like may be performed.

한편, 설정값 동기화는, 제1 운영 체제(OSh)와 제2 운영 체제(OSg) 사이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동기화, 화면 밝기 동기화, 언어 동기화 등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setting value synchronization may include synchronization of an installed application list, screen brightness synchronization, language synchronization, and the like, between the first operating system OSh and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Sg.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제1 운영 체제(OSh)와 제2 운영 체제(OSg) 사이에서, 특화 정보 공유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70 may control the sharing of specialized information between the first operating system OSh and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Sg.

이때의 특허 정보 공유는, 차량 모델, 차량 번호, 속도 정보, 센서 정보 등의 차량 정보 공유, 전원 상태 정보 공유, 운전자 정보 공유 등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atent information sharing may be controlled such that vehicle information sharing such as vehicle model, vehicle number, speed information, sensor information, etc., power state information sharing, driver information sharing, etc. are performed.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하이퍼바이저(505)를 실행하고, 하이퍼바이저(505) 상에서 제1 운영 체제(OSh) 기반의 제1 오버레이(OVLa)를 생성하고, 하이퍼바이저(505) 상에서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제2 오버레이(OVLb)를 생성하고, 제1 오버레이(OVLa)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오버레이를 함께 표시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70 executes the hypervisor 505 , generates a first operating system (OSh)-based first overlay OVLa on the hypervisor 505 , and operates on the hypervisor 505 .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second overlay OVLb bas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Sg and control the display to overlap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first overlay OVLa.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isplay overlays based on different operating systems together.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하이퍼바이저(505)를 실행하는 프로세서(175)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75)는, 하이퍼바이저(505) 상에서 제1 운영 체제(OSh) 기반의 제1 오버레이(OVLa)를 생성하고, 하이퍼바이저(505) 상에서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제2 오버레이(OVLb)를 생성하고, 제1 오버레이(OVLa)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오버레이를 함께 표시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includes a processor 175 executing a hypervisor 505 , and the processor 175 is a first overlay based on a first operating system (OSh) on the hypervisor 505 . (OVLa), generate a second overlay (OVLb) based on a second operating system (OSg) on the hypervisor 505, and control to overlap and display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overlay (OVLa) hav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isplay overlays based on different operating systems together.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디스플레이(180b)를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프로세서(175)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75)는, 프로세서(175) 내의 하이퍼바이저(505) 상에서, 제1 운영 체제(OSh) 기반의 서버 가상화 머신(520)과,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디스플레이(180b)를 위해 동작하는 게스트 가상화 머신(540)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가상화 머신을 안정적으로 실행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includes a processor 175 that performs signal processing for the display 180b, and the processor 175 is, on the hypervisor 505 in the processor 175, a first operation A system (OSh)-based server virtualization machine 520 and a guest virtualization machine 540 operating for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Sg)-based display 180b may be execut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tably run a virtual machine based on a heterogeneous operating system.

도면에서는, 서버 가상화 머신(520)이, 제1 운영 체제(OSh) 기반하에 실행되며, 게스트 가상화 머신(540)이, 제2 운영 체제(OSg) 기반하에 실행되는 것을 예시한다.In the figure, it is exemplified that the server virtualization machine 520 runs under a first operating system (OSh) and the guest virtual machine 540 runs under a second operating system (OSg).

한편, 서버 가상화 머신(520)은, 차량 내 마이컴 제어를 위한 마이컴 매니저(582)와, 가상화 머신 제어를 위한 가상화 머신 제어기(584)와, 제1 운영 체제(OSh) 기반의 어플리케이션(583) 등을 실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rver virtualization machine 520 includes a microcomputer manager 582 for controlling the microcomputer in the vehicle, a virtual machine controller 584 for controlling the virtual machine, and a first operating system (OSh)-based application 583 , etc. can run

한편, 게스트 가상화 머신(540)은, 후술하는 도 10의 제2 게스트 가상화 머신(540)에 대응할 수 있다.Meanwhile, the guest virtual machine 540 may correspond to the second guest virtual machine 540 of FIG. 10 to be described later.

한편, 게스트 가상화 머신(540)은, 차량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하드웨어 추상화 계층(hardware abstraction layer;HAL)(589), 가상화 머신의 관리를 위한 가상화 머신 매니저(588),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어플리케이션(587) 등을 실행할 수 있다.Meanwhile, the guest virtual machine 540 includes a hardware abstraction layer (HAL) 589 for processing vehicle data or audio data, a virtual machine manager 588 for management of a virtual machine, and a second operating system. (OSg) based applications 587 and the like may be executed.

한편, 서버 가상화 머신(520)은, 제1 운영 체제(OSh) 기반의 제1 오버레이(OVLa)를 출력하며, 게스트 가상화 머신(540)은,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제1 오버레이(OVLa)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오버레이를 함께 표시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the server virtualization machine 520 outputs a first overlay (OVLa) based on a first operating system (OSh), and the guest virtual machine 540 includes a first overlay (OSg) based on a second operating system (OSg). OVLa) can be controlled to overlap at least a partial area.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isplay overlays based on different operating systems together.

한편, 프로세서(175)는, 서버 가상화 머신(520)으로부터의 제1 오버레이(OVLa)를, 인터페이스(586)를 통해, 게스트 가상화 머신(54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오버레이를 함께 표시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the processor 175 may transmit the first overlay OVLa from the server virtualization machine 520 to the guest virtualization machine 540 through the interface 586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isplay overlays based on different operating systems together.

한편, 인터페이스(586)는, 서버 가상화 머신(520)과 게스트 가상화 머신(540) 사이의 데이터 전송 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interface 586 may be used for data transfer between the server virtualization machine 520 and the guest virtualization machine 540 , and the like.

한편, 제1 운영 체제(OSh)는, QNX OS 또는 리눅스 OS 일 수 있으며, 제2 운영 체제(OSg)는, 안드로이드 OS 또는 웹 OS일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operating system OSh may be a QNX OS or a Linux OS, and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Sg may be an Android OS or a web OS.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실시예에 따른 차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구동되는 시스템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6A to 6C are diagrams illustrating various examples of a system driven in a vehi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6a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신호 처리 장치(170)에서 실행되는 시스템(600b)은, 프로세서(175) 내에서 하이퍼바이저(505)를 실행하고, 하이퍼바이저(505) 상에서, 제1 운영 체제(OSh)를 실행하고, 제1 운영 체제(OSh) 상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APa)을 실행하고, 하이퍼바이저(505) 상에서, 제1 운영 체제(OSh)와 다른 이종의 제2 운영 체제(OSg)를 실행하고, 제2 운영 체제(OSg) 상에서 제2 어플리케이션(APb)을 실행한다.First, referring to FIG. 6A , the system 600b executed in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70 in the vehicl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ypervisor 505 in the processor 175 . running, on the hypervisor 505 , running a first operating system (OSh), running a first application (APa) on the first operating system (OSh), on the hypervisor 505 , a first operating system A second operating system OSg different from (OSh) is executed, and a second application APb is execut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Sg.

한편, 도 6a의 시스템(600b)은, 도 5의 시스템(600)과 유사하게,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프로세서(175)가, 제1 운영 체제(OSh) 상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APa)을 실행하고, 제1 어플리케이션(APa)에 대응하는 제1 오버레이(OVLa)를 생성하여 출력하며, 제2 운영 체제(OSg) 상에서 제2 어플리케이션(APb)을 실행하고, 제2 어플리케이션(APb)에 대응하는 제2 오버레이(OVLb)를 생성하여 출력한다.Meanwhile, in the system 600b of FIG. 6A , similarly to the system 600 of FIG. 5 , the processor 175 in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executes the first application APa on the first operating system OSh. Execute, generate and output the first overlay OVLa corresponding to the first application APa, execute the second application APb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Sg, and respond to the second application APb A second overlay OVLb is generated and output.

특히, 프로세서(175)는, 제1 어플리케이션(APa)으로부터의 제1 오버레이(OVLa)를, 인터페이스(586)를 통해, 제2 어플리케이션(APb)으로부터의 제2 오버레이(OVLb)로 전달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rocessor 175 may transmit the first overlay OVLa from the first application APa to the second overlay OVLb from the second application APb through the interface 586 .

이에 따라,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제1 운영 체제(OSh) 기반의 제1 오버레이(OVLa)를 출력하다가,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제2 오버레이(OVLb)를, 제1 오버레이(OVLa)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70 outputs the first overlay OVLa based on the first operating system OSh, and then outputs the second overlay OVLb bas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Sg, the first overlay It becomes possible to control the display to overlap at least a partial area of (OVLa).

다음,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신호 처리 장치(170)에서 실행되는 시스템(600c)은, 도 6a와 같이, 프로세서(175) 내에서 하이퍼바이저(505)를 실행하고, 하이퍼바이저(505) 상에서, 제1 운영 체제(OSh)를 실행하고, 제1 운영 체제(OSh) 상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APa)을 실행하고, 하이퍼바이저(505) 상에서, 제1 운영 체제(OSh)와 다른 이종의 제2 운영 체제(OSg)를 실행하고, 제2 운영 체제(OSg) 상에서 제2 어플리케이션(APb)을 실행한다.Next, referring to FIG. 6B , a system 600c executed in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70 in the vehicl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A , in the processor 175 . running hypervisor 505 , running on hypervisor 505 , a first operating system (OSh), running a first application (APa) on first operating system (OSh), hypervisor 505 , a second operating system OSg different from the first operating system OSh is executed, and a second application APb is execut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Sg.

도 6b의 시스템(600c)은, 도 5의 시스템(600a)과 유사하게,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프로세서(175)가, 제1 운영 체제(OSh) 상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APa)을 실행하고, 제1 어플리케이션(APa)에 대응하는 제1 오버레이(OVLa)를 생성하여 출력하며, 제2 운영 체제(OSg) 상에서 제2 어플리케이션(APb)을 실행하고, 제2 어플리케이션(APb)에 대응하는 제2 오버레이(OVLb)를 생성하여 출력한다.The system 600c of FIG. 6B , similar to the system 600a of FIG. 5 , the processor 175 in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executes the first application APa on the first operating system OSh and , generates and outputs the first overlay OVLa corresponding to the first application APa, executes the second application APb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Sg, and executes the second application APb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pplication APb. 2 Create and output an overlay (OVLb).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디스플레이(180b)를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프로세서(175)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75)는, 프로세서(175) 내의 하이퍼바이저(505) 상에서, 제1 운영 체제(OSh) 기반의 서버 가상화 머신(520)과,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디스플레이(180b)를 위해 동작하는 게스트 가상화 머신(540)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가상화 머신을 안정적으로 실행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includes a processor 175 that performs signal processing for the display 180b, and the processor 175 is, on the hypervisor 505 in the processor 175, a first operation A system (OSh)-based server virtualization machine 520 and a guest virtualization machine 540 operating for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Sg)-based display 180b may be execut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tably run a virtual machine based on a heterogeneous operating system.

한편, 프로세서(175)는, 하이퍼바이저(505)를 실행하고, 하이퍼바이저(505) 내의 공유 메모리(508)를 통해, 서버 가상화 머신(520)으로부터의 제1 오버레이(OVLa)를, 게스트 가상화 머신(540)으로 전달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ocessor 175 executes the hypervisor 505 , and through the shared memory 508 in the hypervisor 505 , transfers the first overlay (OVLa) from the server virtualization machine 520 to the guest virtualization machine. It can be passed to (540).

이에 따라, 하이퍼바이저(505) 상의 가상화 머신을 실행하여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거나 공유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transfer or share data by executing a virtual machine on the hypervisor 505 .

결국,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제1 운영 체제(OSh) 기반의 제1 오버레이(OVLa)를 출력하다가,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제2 오버레이(OVLb)를, 제1 오버레이(OVLa)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outputs the first overlay OVLa based on the first operating system OSh, and then outputs the second overlay OVLb bas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Sg, the first overlay ( OVLa) can be controlled to overlap at least a partial area.

다음, 도 6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신호 처리 장치(170)에서 실행되는 시스템(600d)은, 도 6c의 시스템(600c)와 유사하게, 프로세서(175) 내의 하이퍼바이저(505) 상에서, 제1 운영 체제(OSh) 기반의 서버 가상화 머신(520)과,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디스플레이(180b)를 위해 동작하는 게스트 가상화 머신(540)을 실행한다.Next, referring to FIG. 6C , a system 600d executed in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70 in the vehicl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e system 600c of FIG. 6C , On the hypervisor 505 in the processor 175 , a first operating system (OSh) based server virtualization machine 520 and a guest virtualization machine operating for a second operating system (OSg) based display 180b ( 540) is executed.

한편, 서버 가상화 머신(520)은, 제1 운영 체제(OSh) 기반의 제1 어플리케이션(APa)을 실행하고, 제1 어플리케이션(APa)을 통해 제1 오버레이(OVLa)를 출력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erver virtualization machine 520 may execute the first application APa based on the first operating system OSh and output the first overlay OVLa through the first application APa.

한편, 게스트 가상화 머신(540)은,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제2 어플리케이션(APb)을 실행하고, 제2 어플리케이션(APb)을 통해 제2 오버레이(OVLb)를 출력할 수 있다.Meanwhile, the guest virtual machine 540 may execute the second application APb bas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Sg and output the second overlay OVLb through the second application APb.

한편, 게스트 가상화 머신(540)은, 제2 오버레이(OVLb)를, 제1 오버레이(OVLa)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중첩하여 표시하기 위해,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제2 어플리케이션(APb) 외에, 제1 어플리케이션(APaa)을 더 실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guest virtual machine 540, in order to display the second overlay (OVLb) overlapping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first overlay (OVLa),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Sg)-based second application (APb) In addition, the first application APaa may be further executed.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제1 어플리케이션(APaa)을 통해, 제1 오버레이(OVLa)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한 블렌딩 처리를 수행하고, 블렌딩 처리된 영역에,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제2 오버레이(OVLb)를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오버레이를 함께 표시할 수 있게 된다.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performs blending processing on at least a partial region of the first overlay OVLa through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Sg)-based first application APaa, and on the blended region, A second operating system (OSg)-based second overlay (OVLb) may be controlled to be overlapped and display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isplay overlays based on different operating systems together.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제1 운영 체제(OSh) 기반의 복수개의 제1 오버레이(OVLa1,OVLa2,OVLa3)를 출력하다가,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제2 오버레이(OVLb)를, 복수개의 제1 오버레이(OVLa1,OVLa2,OVLa3) 중 어느 하나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오버레이를 함께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7a를 참조하여 기술한다.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70 outputs a plurality of first overlays OVLa1 , OVLa2 , and OVLa3 based on a first operating system OSh while performing a second overlay OVLb based on a second operating system OSg. , may be controlled to overlap and be displayed o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overlays OVLa1 , OVLa2 , and OVLa3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isplay overlays based on different operating systems together.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A.

도 7a는 제1 오버레이외 제2 오버레이의 블렌딩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며, 도 7b 내지 도 7d는 도 7a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7A is a diagram referenced to explain blending of a second overlay other than the first overlay, and FIGS. 7B to 7D are diagrams referenced in the description of FIG. 7A .

도면을 참조하면, 도 7a의 (a)는, 제1 운영 체제(OSh) 기반의 복수의 제1 오버레이(OVLa1,OVLa2,OVLa3)를 예시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of FIG. 7A illustrates a plurality of first overlays OVLa1, OVLa2, and OVLa3 based on a first operating system OSh.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제1 기간 동안, 제1 운영 체제(OSh) 기반의 복수의 제1 오버레이(OVLa1,OVLa2,OVLa3)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70 may generate and output the plurality of first overlays OVLa1 , OVLa2 , and OVLa3 based on the first operating system OSh during the first period.

도 7a의 제1 오버레이(OVLa1,OVLa2,OVLa3)의 좌측 영역(OVLa1)은, 도 7b의 제1 메뉴 영역(MU)에 대응하며, 도 7a의 제1 오버레이(OVLa1,OVLa2,OVLa3)의 우측 영역(OVLa2)은, 도 7b의 제2 메뉴 영역(Ard)에 대응하며, 도 7a의 제1 오버레이(OVLa1,OVLa2,OVLa3)의 중앙 영역(OVLa3)은, 도 7b의 지도 영역(Ara), 외부 기기 표시 영역(Arb), 라디오 표시 영역(Arc)을 포함할 수 있다.The left area OVLa1 of the first overlays OVLa1, OVLa2, OVLa3 of FIG. 7A corresponds to the first menu area MU of FIG. 7B and the right side of the first overlays OVLa1, OVLa2, OVLa3 of FIG. 7A . The area OVLa2 corresponds to the second menu area Ard of FIG. 7B, and the central area OVLa3 of the first overlays OVLa1, OVLa2, OVLa3 of FIG. 7A is the map area Ara of FIG. 7B; It may include an external device display area Arb and a radio display area Arc.

한편, 입력 신호 등에 따라,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제2 오버레이(OVLb)의 표시가 필요한 경우,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제1 기간 이후에,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제2 오버레이(OVLb)를 생성하며 출력할 수 있다.Meanwhile, when it is necessary to display the second overlay OVLb bas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Sg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may, after the first period, perform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Sg based display. A second overlay (OVLb) of can be generated and output.

이때, 신호 처리 장치(170)는, 도 7a의 (b)와 같이, 제1 오버레이(OVLa1,OVLa2,OVLa3)의 중앙 영역(OVLa3)에 대해 블렌딩 처리를 수행하고, 블렌딩 처리된 영역(OVLa3b)에,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제2 오버레이(OVLb)를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70 performs a blending process on the center area OVLa3 of the first overlays OVLa1 , OVLa2 , and OVLa3 as shown in FIG. 7A ( b ), and the blended area OVLa3b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display the second overlay OVLb bas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Sg in an overlapping manner.

특히,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제1 오버레이(OVLa1,OVLa2,OVLa3)의 중앙 영역(OVLa3)에 대해 알파 블렌딩(alpha blending) 처리를 수행하고, 블렌딩 처리된 영역에,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제2 오버레이(OVLb)를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오버레이를 함께 표시할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performs alpha blending on the central region OVLa3 of the first overlays OVLa1, OVLa2, and OVLa3, and on the blended regi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 OSg)-based second overlay (OVLb) may be controlled to be overlapped and display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isplay overlays based on different operating systems together.

도 7b는 제1 운영 체제(OSh) 기반의 제1 오버레이(OVLan)를 출력하다가,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제2 오버레이(OVLbn)를 출력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FIG. 7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outputting a second overlay OVLbn based on a second operating system OSg while outputting a first overlay OVLan based on a first operating system OSh.

도면을 참조하면,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제1 시점에, 제1 운영 체제(OSh) 기반의 제1 오버레이(OVLan)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AVN 디스플레이(180b)에, 제1 오버레이(OVLan)가 표시되게 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70 may generate and output the first overlay OVLan based on the first operating system OSh at a first time point. Accordingly, the first overlay OVLan is displayed on the AVN display 180b.

한편, 제1 오버레이(OVLa)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보기 항목(810) 등을 포함하는 제1 메뉴 영역(MU), 차량 진행에 따른 맵(map)이 표시되는 지도 영역(Ara), 연결되는 전자 기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외부 기기 표시 영역(Arb), 라디오 정보를 표시하는 라디오 표시 영역(Arc), 설정 항목 및 시간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2 메뉴 영역(Ard)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overlay OVLa includes a first menu area MU includ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 view items 810 and the like, a map area Ara in which a map according to vehicle progress is displayed, and a connected electronic area. It may include an external device display area Arb for displaying device information, a radio display area Arc for displaying radio information, and a second menu area Ard including setting items and time items.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제1 운영 체제(OSh) 기반의 제1 오버레이(OVLan)를 출력하다가, 제1 오버레이(OVLan) 내의 애플리케이션 보기 항목(810)이 선택되는 경우,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포함하는 제2 오버레이(OVLbn)를, 제1 오버레이(OVLa) 내의 일부 영역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70 outputs the first overlay OVLan based on the first operating system OSh, and when the application view item 810 in the first overlay OVLan is selected, the second operation The second overlay OVLbn includ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based on the system OSg may be controlled to overlap and be displayed on a partial area within the first overlay OVLa.

구체적으로, 제1 메뉴 영역(MU) 내의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보기 항목(810)이 선택되는 경우,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제1 오버레이(OVLa)의 일부 영역인 지도 영역(Ara), 외부 기기 표시 영역(Arb), 라디오 표시 영역(Arc)을 블렌딩 처리하며, 블렌딩 처리된 영역에,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제2 오버레이(OVLbn)를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a plurality of application view items 810 in the first menu area MU are selected,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70 may display a map area Ara that is a partial area of the first overlay OVLa, and an external device. The display area Arb and the radio display area Arc may be blended, and a second overlay OVLbn based on a second operating system OSg may be overlapped and displayed on the blended area.

이때, 제2 오버레이(OVLbn)의 좌측에는 제1 메뉴 영역(MU)이 그대로 표시되고, 제2 오버레이(OVLbn)의 우측에는 제2 메뉴 영역(Ard)이 그대로 표시되게 된다. 이에 따라,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오버레이를 함께 표시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the first menu area MU is displayed on the left side of the second overlay OVLbn, and the second menu area Ard is displayed on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overlay OVLbn as it i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isplay overlays based on different operating systems together.

한편,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제2 오버레이(OVLbn)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일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overlay OVLbn bas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Sg may be an application screen includ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한편,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제2 오버레이(OVLbn) 내의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 중 지도 관련 애플리케이션 항목(820)이 선택되는 경우,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제3 오버레이(OVLc)를 생성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ap-related application item 820 is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in the second overlay OVLbn bas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Sg,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performs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Sg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generate and display the base third overlay OVLc.

도면에서는, 제3 오버레이(OVLc) 표시시, 제1 메뉴 영역(MU), 및 제2 메뉴 영역(Ard)에도 중첩되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하나, 이와 달리 변형이 가능하다.In the drawings, when the third overlay OVLc is displayed, it is exemplified that the third overlay OVLc is also overlapped and displayed on the first menu area MU and the second menu area Ard.

한편, 도 7b에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 중 일부는 제1 운영 체제(OSh)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이고,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 중 다른 일부는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일 수 있다. 이때, 지도 관련 애플리케이션 항목(820)은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일 수 있다.Meanwhile, in FIG. 7B , some of the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may be application items based on a first operating system (OSh), and other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may be application items based on a second operating system (OSg). In this case, the map-related application item 820 may be an application item bas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Sg).

도 7c는 제1 운영 체제(OSh) 기반의 제1 오버레이(OVLan)를 출력하다가,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제2 오버레이(OVLbp)를 출력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FIG. 7C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outputting a second overlay OVLbp based on a second operating system OSg while outputting a first overlay OVLan based on a first operating system OSh.

도면을 참조하면,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제1 시점에, 제1 운영 체제(OSh) 기반의 제1 오버레이(OVLan)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AVN 디스플레이(180b)에, 제1 오버레이(OVLan)가 표시되게 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70 may generate and output the first overlay OVLan based on the first operating system OSh at a first time point. Accordingly, the first overlay OVLan is displayed on the AVN display 180b.

한편, 제1 오버레이(OVLa)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보기 항목(810) 등을 포함하는 제1 메뉴 영역(MU), 차량 진행에 따른 맵(map)이 표시되는 지도 영역(Ara), 연결되는 전자 기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외부 기기 표시 영역(Arb), 라디오 정보를 표시하는 라디오 표시 영역(Arc), 설정 항목 및 시간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2 메뉴 영역(Ard)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overlay OVLa includes a first menu area MU includ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 view items 810 and the like, a map area Ara in which a map according to vehicle progress is displayed, and a connected electronic area. It may include an external device display area Arb for displaying device information, a radio display area Arc for displaying radio information, and a second menu area Ard including setting items and time items.

한편, 제1 메뉴 영역(MU) 내의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보기 항목(810)이 선택되는 경우,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제2 오버레이(OVLbp)를 제1 오버레이(OVLa)의 전 영역에 중첩되어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 plurality of application view items 810 in the first menu area MU are selected,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performs a first overlay with a second overlay OVLbp based on a second operating system OSg. It can be controlled to overlap the entire area of (OVLa).

한편,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제2 오버레이(OVLbp)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일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overlay OVLbp bas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Sg may be an application screen includ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 중 제1 애플리케이션 항목(820)이 선택되는 경우, 제1 오버레이(OVLann) 내의 일부 영역에 제1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오버레이(OVbo)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오버레이를 신속하게 표시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when the first application item 820 is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70 controls the overlay OVbo related to the first application to be displayed on a partial area within the first overlay OVLann. can do.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quickly display an overlay based on a heterogeneous operating system.

예를 들어,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제2 오버레이(OVLbp) 내의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 중 지도 관련 애플리케이션 항목(825)이 선택되는 경우,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제3 오버레이(OVbo)를 생성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map-related application item 825 is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in the second overlay (OVLbp) bas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Sg),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the second operating system ( OSg)-based third overlay (OVbo) can be generated and controlled to be displayed.

도면에서는, 제3 오버레이(OVLbo) 표시시, 제3 오버레이(OVLbo)의 좌측에 제1 메뉴 영역(MU)이 표시되고, 제3 오버레이(OVLbo)의 우측에 제2 메뉴 영역(Ard)이 표시될 수 있다.In the drawing, when the third overlay OVLbo is displayed, the first menu area MU is displayed to the left of the third overlay OVLbo, and the second menu area Ard is displayed to the right of the third overlay OVLbo. can be

즉,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제3 오버레이(OVbo)는, 제1 오버레이(OVLa)를 기준으로, 제1 오버레이(OVLa)의 일부 영역인 지도 영역(Ara), 외부 기기 표시 영역(Arb), 라디오 표시 영역(Arc) 상에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에 따라,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오버레이를 함께 표시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third overlay OVbo bas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Sg, based on the first overlay OVLa, includes a map area Ara that is a partial area of the first overlay OVLa, and an external device display area ( Arb) and may be displayed overlaid on the radio display area Arc.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isplay different types of operating system-based overlays together.

한편, 도 7c에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 중 일부는 제1 운영 체제(OSh)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이고,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 중 다른 일부는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일 수 있다. 이때, 지도 관련 애플리케이션 항목(825)은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일 수 있다.Meanwhile, in FIG. 7C , some of the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may be application items based on a first operating system (OSh), and other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may be application items based on a second operating system (OSg). In this case, the map-related application item 825 may be an application item bas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Sg).

도 7d는 도 7b와 유사하게, 제1 운영 체제(OSh) 기반의 제1 오버레이(OVLan)를 출력하다가,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제2 오버레이(OVLbn)를 출력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FIG. 7D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outputting a second overlay OVLbn based on a second operating system OSg while outputting a first overlay OVLan based on a first operating system OSh, similar to FIG. 7B to be.

도면을 참조하면,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제1 시점에, 제1 운영 체제(OSh) 기반의 제1 오버레이(OVLan)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AVN 디스플레이(180b)에, 제1 오버레이(OVLan)가 표시되게 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70 may generate and output the first overlay OVLan based on the first operating system OSh at a first time point. Accordingly, the first overlay OVLan is displayed on the AVN display 180b.

한편, 제1 메뉴 영역(MU) 내의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보기 항목(810)이 선택되는 경우,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제1 오버레이(OVLa)의 일부 영역인 지도 영역(Ara), 외부 기기 표시 영역(Arb), 라디오 표시 영역(Arc)을 블렌딩 처리하며, 블렌딩 처리된 영역에,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제2 오버레이(OVLbn)를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when a plurality of application view items 810 in the first menu area MU are selected,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displays the map area Ara that is a partial area of the first overlay OVLa and an external device. The area Arb and the radio display area Arc may be blended, and a second overlay OVLbn based on a second operating system OSg may be overlapped and displayed on the blended area.

이때, 제2 오버레이(OVLbn)의 좌측에는 제1 메뉴 영역(MU)이 그대로 표시되고, 제2 오버레이(OVLbn)의 우측에는 제2 메뉴 영역(Ard)이 그대로 표시되게 된다. 이에 따라,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오버레이를 함께 표시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the first menu area MU is displayed on the left side of the second overlay OVLbn, and the second menu area Ard is displayed on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overlay OVLbn as it i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isplay overlays based on different operating systems together.

한편,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제2 오버레이(OVLbn)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일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overlay OVLbn bas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Sg may be an application screen includ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한편,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제2 오버레이(OVLbn) 내의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 중 지도 관련 애플리케이션 항목(820)이 선택되는 경우,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제3 오버레이(OVLsc)를 생성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ap-related application item 820 is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in the second overlay OVLbn bas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Sg,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performs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Sg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generate and display the base third overlay OVLsc.

도면에서는, 제3 오버레이(OVLsc) 표시시, 지도 영역(Ara), 외부 기기 표시 영역(Arb), 라디오 표시 영역(Arc), 제2 메뉴 영역(Ard)에 중첩되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In the drawings, when the third overlay OVLsc is displayed, it is exemplified that the display area is overlapped with the map area Ara, the external device display area Arb, the radio display area Arc, and the second menu area Ard.

즉,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제3 오버레이(OVLsc)가, 제1 오버레이(OVLan)를 기준으로, 지도 영역(Ara), 외부 기기 표시 영역(Arb), 라디오 표시 영역(Arc), 제2 메뉴 영역(Ard)에 중첩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at is, in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70 , the third overlay OVLsc bas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Sg is the map area Ara and the external device display area Arb based on the first overlay OVLan. , the radio display area Arc, and the second menu area Ard can be controlled to be overlapped and displayed.

이에 따라,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제3 오버레이(OVLsc)의 좌측에는 수의 애플리케이션 보기 항목(810) 등을 포함하는 제1 메뉴 영역(MU)이 그대로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오버레이를 함께 표시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first menu area MU including the number of application view items 810 and the like may be displayed on the left side of the third overlay OVLsc bas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Sg.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isplay overlays based on different operating systems together.

결국, 도 7d에 따르면,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제1 운영 체제(OSh) 기반의 제1 오버레이(OVLan)를 출력하다가, 제1 오버레이(OVLa) 내의 애플리케이션 보기 항목(810)이 선택되는 경우,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포함하는 제2 오버레이(OVLbn)를, 제1 오버레이(OVLa) 영역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 중 제1 애플리케이션 항목(820)이 선택되는 경우, 제1 오버레이(OVLa) 내의 일부 영역에 제1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오버레이(OVLc)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오버레이를 신속하게 표시할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according to FIG. 7D ,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outputs the first overlay OVLan based on the first operating system OSh, and the application view item 810 in the first overlay OVLa is selected. In this case, the second overlay OVLbn includ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bas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Sg is controlled to be displayed while being superimposed on the first overlay OVLa area, and a first application item among the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is controlled to be displayed. When 820 is selecte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verlay OVLc related to the first application to be displayed on a partial area within the first overlay OVLa.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quickly display an overlay based on a heterogeneous operating system.

한편, 도 7d에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 중 일부는 제1 운영 체제(OSh)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이고,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 중 다른 일부는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일 수 있다. 이때, 지도 관련 애플리케이션 항목(820)은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일 수 있다.Meanwhile, in FIG. 7D , some of the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may be application items based on a first operating system (OSh), and other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may be application items based on a second operating system (OSg). In this case, the map-related application item 820 may be an application item bas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Sg).

도 7e는 제1 운영 체제(OSh) 기반의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과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함께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7E illustrates that at least one application item based on a first operating system (OSh) and at least one application item based on a second operating system (OSg) are displayed together.

도면을 참조하면, 신호 처리 장치(170)는, 하이퍼바이저(505)를 실행하고, 하이퍼바이저(505) 상에서 제1 운영 체제(OSh) 기반의 제1 오버레이(OVLam)를 생성하고, 하이퍼바이저(505) 상에서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제2 오버레이(OVLbm)를 생성하고, 제1 오버레이(OVLam)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70 executes a hypervisor 505, generates a first operating system (OSh)-based first overlay (OVLam) on the hypervisor 505, and the hypervisor ( 505 ), a second overlay OVLbm bas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Sg may be generated and controlled to overlap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first overlay OVLam.

한편, 제1 오버레이(OVLam)는, 제1 운영 체제(OSh) 기반의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포함하며, 제2 오버레이(OVLbm)는,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first overlay OVLam includes at least one application item based on a first operating system OSh, and the second overlay OVLbm includes at least one application item based on a second operating system OSg. may include

도면에서는, 제1 오버레이(OVLam) 내의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제1 영역인 상측과 좌측에 배치되며, 제2 오버레이(OVLbm) 내의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제2 영역인 하측과 우측에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In the draw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in the first overlay OVLam are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left side of the first area, and the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within the second overlay OVLbm are disposed on the lower side and right side of the second area. exemplify that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제1 오버레이(OVLam) 내의 일부 영역인 제2 영역에 대해, 투명 블렌딩 처리를 수행하고, 투명 블렌딩 처리된 영역에,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제2 오버레이(OVLbm)를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OLVt)을 함께 표시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performs transparent blending processing on a second region that is a partial region within the first overlay OVLam, and performs second operating system (OSg)-based second operating system (OSg)-based second operation on the transparent blending region. 2 Overlay (OVLbm) can be controlled to overlap and display.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isplay application items (OLVt) based on different operating systems together.

도 8a는 이종의 운영체제 기반의 메뉴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함께 표시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8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isplaying a heterogeneous operating system-based menu and a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together.

도면을 참조하면,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제1 운영 체제(OSh) 기반의 제1 오버레이(Overlay #1)를 생성하고,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제2 오버레이(Overlay #2)를 생성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generates a first overlay (Overlay #1) based on a first operating system (OSh), and a second overlay (Overlay #2) based on a second operating system (OSg) ) is created.

도면에서는, 제1 오버레이(Overlay #1)가, 제1 운영 체제(OSh) 기반의 메뉴(1010)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포함하며, 제2 오버레이(Overlay #2)가,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제1 애플리케이션 화면(1020)을 포함하는 것을 에시한다.In the drawing, a first overlay (Overlay #1) includes a menu 1010 based on a first operating system (OSh) and a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and a second overlay (Overlay #2) includes a second operating system ( It is exemplified that the OSg)-based first application screen 1020 is included.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제1 오버레이(Overlay #1)의 일부 영역에 대해 알파 블렌딩 처리를 수행하고, 블랜딩 처리된 영역에,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1040)을 포함하는 제3 오버레이(Overlay #3)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180b)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70 performs alpha blending processing on a partial area of the first overlay (Overlay #1), and on the blended area, a second operating system (OSg) based application item 1040 . By creating a third overlay (Overlay #3) including

도면에서는, 제3 오버레이(Overlay #3)가, 제1 운영 체제(OSh) 기반의 메뉴(1010)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과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제1 애플리케이션 항목(1040)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1010m)를 구비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함께 표시할 수 있게 된다. In the drawing, the third overlay (Overlay #3) includes a menu 1010 based on a first operating system (OSh), a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and a first application item 1040 based on a second operating system (OSg). It exemplifies the provision of an application list 1010m. Accordingly, application items based on different operating systems can be displayed together.

한편,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함께 표시된 상태에서,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제1 애플리케이션 항목(1040)이 선택되는 경우,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제1 오버레이(Overlay #1)의 일부 영역에 대해 알파 블렌딩 처리를 수행하고, 블랜딩 처리된 영역에,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제1 애플리케이션 화면(1060)을 포함하는 제4 오버레이(Overlay #4)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오버레이를 신속하게 표시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application item 1040 based on a second operating system (OSg) is selected in a state in which different types of operating system-based application items are displayed together,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performs a first overlay Alpha blending is performed on a partial area of #1), and a fourth overlay (Overlay #4) including the first application screen 1060 based on a second operating system (OSg) is output to the blended area. can be controlled to do so.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quickly display an overlay based on a heterogeneous operating system.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제1 애플리케이션 실행시,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제1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제1 운영 체제(OSh)로 전달하여, 제1 운영 체제(OSh)을 통해 실행한다.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transmits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Sg)-based first application information to the first operating system (OSh) whe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Sg)-based first application is executed, It runs through the first operating system (OSh).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설정 동기화를 위해, 제1 운영 체제(OSh)의 설정 정보를 제2 운영 체제(OSg)로 전달하여 매칭되는 설정 정보를 제2 운영 체제(OSg)를 설정할 수 있다.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transmits the setting information of the first operating system OSh to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Sg for setting synchronization and sets the matching setting information to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Sg. can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알람 동기화를 위해, 제2 운영 체제(OSg)의 알람을 제1 운영 체제(OSh)의 알람 시스템을 통해 표시하고, 이후 알람 표시, 알람 제거 등의 후속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for alarm synchronization,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displays an alarm of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Sg through the alarm system of the first operating system OSh, and then performs subsequent operations such as alarm display and alarm removal. can be performed.

도 8b는 동일한 운영체제 기반의 메뉴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함께 표시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8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isplaying the same operating system-based menu and a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together.

도면을 참조하면,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제1 운영 체제(OSh) 기반의 제1 오버레이(Overlay #1)와 제2 오버레이(Overlay #2)를 각각 생성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70 generates a first overlay (Overlay #1) and a second overlay (Overlay #2) based on a first operating system (OSh), respectively.

도면에서는, 제1 오버레이(Overlay #1)가, 메뉴(1010b)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포함하며, 제2 오버레이(Overlay #2)가, 제1 애플리케이션 화면(1020b)을 포함하는 것을 에시한다.In the drawing, it is exemplified that the first overlay (Overlay #1) includes the menu 1010b and a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and the second overlay (Overlay #2) includes the first application screen 1020b.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제1 오버레이(Overlay #1)의 일부 영역에 대해 알파 블렌딩 처리를 수행하고, 블랜딩 처리된 영역에, 애플리케이션 항목(1040b)을 포함하는 제3 오버레이(Overlay #3)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180b)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70 performs alpha blending on a partial area of the first overlay (Overlay #1), and in the blended area, a third overlay including the application item 1040b (Overlay # 3) can be generated and controlled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80b.

도면에서는, 제3 오버레이(Overlay #3)가, 메뉴(1010)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과, 제1 애플리케이션 항목(1040)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1010ma)를 구비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동일한 운영 체제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함께 표시할 수 있게 된다. In the drawing, it is exemplified that the third overlay (Overlay #3) includes a menu 1010 , a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and an application list 1010ma including the first application item 1040 . Accordingly, application items based on the same operating system can be displayed together.

한편, 동일한 운영 체제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함께 표시된 상태에서, 제1 애플리케이션 항목(1040)이 선택되는 경우,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제1 오버레이(Overlay #1)의 일부 영역에 대해 알파 블렌딩 처리를 수행하고, 블랜딩 처리된 영역에, 제1 애플리케이션 화면(1060b)을 포함하는 제4 오버레이(Overlay #4)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운영 체제 기반의 오버레이를 신속하게 표시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when the first application item 1040 is selected while the same operating system-based application item is displayed together,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70 performs alpha blending on a partial area of the first overlay (Overlay #1). The process may be performed, and a fourth overlay (Overlay #4) including the first application screen 1060b may be output to the blended area.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quickly display an overlay based on the same operating system.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제1 운영 체제(OSh) 기반의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포함하는 제1 오버레이(OVLbp)를 출력하다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 중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제1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제1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포함하는 제2 오버레이(OVLbe)를, 제1 오버레이(OVLae) 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9a를 참조하여 기술한다.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outputs a first overlay (OVLbp) includ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based on a first operating system (OSh), and a second operating system (OSg) based on the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When the first application item is selected, a second overlay (OVLbe) including a first application screen based on a second operating system (OSg) is displayed overlaid on at least a partial area within the first overlay (OVLae). can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A.

도 9a는 제1 운영 체제(OSh) 기반의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포함하는 제1 오버레이(OVLbp)에서 화면 전환하여, 제2 오버레이(OVLbe)를, 제1 오버레이(OVLae) 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것을 예시한다.FIG. 9A shows a screen transition from a first overlay (OVLbp) includ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based on a first operating system (OSh) to overlap a second overlay (OVLbe) on at least a partial area within the first overlay (OVLae) to exemplify display.

도면을 참조하면, 제1 운영 체제(OSh)는, QNX 또는 리눅스일 수 있으며, 제1 오버레이(OVLbp)는, QNX 또는 리눅스 기반의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first operating system OSh may be QNX or Linux, and the first overlay OVLbp may include a plurality of QNX or Linux-based application items.

QNX 또는 리눅스 기반의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 중 제1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제1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포함하는 제2 오버레이(OVLbe)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2 오버레이(OVLbe)를 제1 오버레이(OVLae) 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인 중앙 영역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오버레이를 함께 표시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first application item is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QNX or Linux-based application items,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performs a second overlay (OVLbe) including a first application screen based on a second operating system (OSg).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isplay overlays based on different operating systems together.

이때의 제2 운영 체제(OSg)는 안드로이드 OS 또는 웹 OS 또는 iOS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Sg may be Android OS, Web OS, or iOS.

한편, 제1 애플리케이션 항목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항목에 대응할 수 있으며, 제1 애플리케이션 화면은,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대응할 수 있다. Meanwhile, the first application item may correspond to an application store item, and the first application screen may correspond to a messenger application screen.

한편, 제2 오버레이(OVLbe)가, 제1 오버레이(OVLae) 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인 중앙 영역에 중첩되어, 디스플레이(180b)에 표시된 상태에서,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신호 처리 장치(170)는, 메신저 애플리케이션를 수신하고 설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n installation item of a messenger application is selected while the second overlay OVLbe is superimposed on a central area that is at least a partial area within the first overlay OVLae an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180b,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 170) may receive and install the messenger application.

설치 완료 후, 신호 처리 장치(170)는, 도 9a의 (c)와 같이,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항목(910)이 추가된, 제1 운영 체제(OSh) 기반의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포함하는 오버레이(OVLbf)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fter the installation is completed,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as shown in (c) of FIG. 9a , an overlay (OVLbf) includ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based on a first operating system (OSh) to which a messenger application item 910 is added. ) can be controlled to display.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프리뷰 정보 또는 메세지를 제1 운영 체제(OSh) 기반의 제1 오버레이의 일부 영역에 포함되도록 제어하고, 프리뷰 정보 또는 메세지가 선택되는 경우, 프리뷰 정보 또는 메세지에 대응하는 화면을 포함하는 제2 오버레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70 controls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Sg)-based preview information or message to be included in a partial area of the first operating system (OSh)-based first overlay, and the preview information or message When selected, a second overlay including a screen corresponding to preview information or a message may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프리뷰 정보 또는 메세지에 대응하는 화면을 포함하는 제2 오버레이(OVLb)를, 제1 오버레이(OVLa)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9b와 도 9c를 참조하여 기술한다.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70 superimposes the second overlay OVLb including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preview information or message bas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Sg on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first overlay OVLa. can be controlled to display.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B and 9C.

도 9b는 제1 운영 체제(OSh) 기반의 제1 오버레이(OVLan1)의 일부 영역(925)에 메세지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9B illustrates that a message is displayed in a partial area 925 of the first overlay OVLan1 based on the first operating system OSh.

이때의 메시지는,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메세지로서, 제1 운영 체제(OSh) 기반의 제1 오버레이(OVLan1)의 일부 영역(925)에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essage is a message bas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Sg, and may be displayed while being overlapped with the partial area 925 of the first overlay OVLan1 based on the first operating system OSh.

한편, 일부 영역(925)에 표시되는 메세지가 선택되는 경우, 신호 처리 장치(170)는, 도 9b의 (b)와 같이, 제1 운영 체제(OSh) 기반의 제1 오버레이(OVLan2)의 일부 영역에, 메세지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항목(928)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오버레이를 함께 표시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a message displayed on the partial area 925 is selected,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70 , as shown in FIG. In the area, an application item 928 corresponding to the message may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isplay overlays based on different operating systems together.

한편, 메세지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항목(928)은,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일 수 있다.Meanwhile, the application item 928 corresponding to the message may be an application item based on a second operating system (OSg).

한편, 애플리케이션 항목(928)이 선택되는 경우, 신호 처리 장치(170)는, 도 9b의 (c)와 같이, 제1 운영 체제(OSh) 기반의 제1 오버레이(OVLan3)의 일부 영역에,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메세지 애플리케이션 화면(OVLbn3)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application item 928 is selected,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as shown in (c) of FIG. 9b, in a partial area of the first overlay (OVLan3) based on the first operating system (OSh), 2 The operating system (OSg)-based message application screen (OVLbn3) can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도면에서는, 메세지 애플리케이션 화면(OVLbn3)의 좌측에, 제1 운영 체제(OSh) 기반의 제1 메뉴 영역(MU)이 표시되며, 메세지 애플리케이션 화면(OVLbn3)의 우측에, 제1 운영 체제(OSh) 기반의 제2 메뉴 영역(Ard)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오버레이를 함께 표시할 수 있게 된다. In the drawing, on the left side of the message application screen (OVLbn3), the first menu area (MU) based on the first operating system (OSh) is displayed, and on the right side of the message application screen (OVLbn3), the first operating system (OSh) It is exemplified that the base second menu area Ard is display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isplay different types of operating system-based overlays together.

도 9c는, 도 9b와 유사하게, 제1 운영 체제(OSh) 기반의 제1 오버레이(OVLan1)의 일부 영역(Ard)에 메세지 프리뷰 항목(928)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FIG. 9C exemplifies that a message preview item 928 is displayed in a partial area Ard of the first overlay OVLan1 based on the first operating system OSh, similar to FIG. 9B .

한편, 메세지 프리뷰 항목(928)이 선택되는 경우, 신호 처리 장치(170)는, 도 9c의 (b)와 같이, 제1 운영 체제(OSh) 기반의 제1 오버레이(OVLan2)의 일부 영역에, 메세지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항목(928)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오버레이를 함께 표시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message preview item 928 is selected,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as shown in FIG. An application item 928 corresponding to the message may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isplay overlays based on different operating systems together.

한편, 메세지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항목(928)은,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일 수 있다.Meanwhile, the application item 928 corresponding to the message may be an application item based on a second operating system (OSg).

한편, 애플리케이션 항목(928)이 선택되는 경우, 신호 처리 장치(170)는, 도 9c의 (c)와 같이, 제1 운영 체제(OSh) 기반의 제1 오버레이(OVLan3)의 일부 영역에, 제2 운영 체제(OSg) 기반의 메세지 애플리케이션 화면(OVLbn3)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application item 928 is selected,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as shown in FIG. 2 The operating system (OSg)-based message application screen (OVLbn3) can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도면에서는, 메세지 애플리케이션 화면(OVLbn3)의 좌측에, 제1 운영 체제(OSh) 기반의 제1 메뉴 영역(MU)이 표시되며, 메세지 애플리케이션 화면(OVLbn3)의 우측에, 제1 운영 체제(OSh) 기반의 제2 메뉴 영역(Ard)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이종의 운영 체제 기반의 오버레이를 함께 표시할 수 있게 된다. In the drawing, on the left side of the message application screen (OVLbn3), the first menu area (MU) based on the first operating system (OSh) is displayed, and on the right side of the message application screen (OVLbn3), the first operating system (OSh) It is exemplified that the base second menu area Ard is display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isplay different types of operating system-based overlays together.

도 10은 본 발명의 신호 처리 장치에서 구동되는 시스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ystem driven in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도 10의 시스템(500)은,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프로세서(175) 내의 하이퍼바이저(505) 상에서, 서버 가상화 머신인 제1 가상화 머신(520), 게스트 가상화 머신인 제2 가상화 머신(530), 게스트 가상화 머신은 제3 가상화 머신(540)이 실행되는 것을 예시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ystem 500 of FIG. 10 is a first virtual machine 520 that is a server virtualization machine, and a second virtual machine that is a guest virtual machine, on a hypervisor 505 in a processor 175 in a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 The second virtual machine 530 and the guest virtual machine exemplifies that the third virtual machine 540 is executed.

제2 가상화 머신(530)은, 클러스터 디스플레이(180a)를 위한 가상화 머신이고, 제3 가상화 머신(540)은 AVN 디스플레이(180b)를 위한 가상화 머신일 수 있다.The second virtual machine 530 may be a virtual machine for the cluster display 180a, and the third virtual machine 540 may be a virtual machine for the AVN display 180b.

즉, 제2 가상화 머신(530)과, 제3 가상화 머신(540)은, 각각 클러스터 디스플레이(180a)과 AVN 디스플레이(180b)의 영상 렌더링을 위해 동작할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virtual machine 530 and the third virtual machine 540 may operate for image rendering of the cluster display 180a and the AVN display 180b, respectively.

한편, 도 10의 신호 처리 장치(170)에서 구동되는 시스템(500)은, 프로세서(175) 내의 하이퍼바이저(505) 상에서, 레가시(legacy) 가상화 머신(510)도 실행되는 것을 예시한다.Meanwhile, the system 500 driven by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of FIG. 10 exemplifies that the legacy virtualization machine 510 is also executed on the hypervisor 505 in the processor 175 .

레가시(legacy) 가상화 머신(510)은, 메모리(140)와의 데이터 통신, 및 이더넷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511)을 구비한다.The legacy virtual machine 510 includes an interface 511 for data communication with the memory 140 and Ethernet communication.

도면에서는, 인터페이스(511)가, 피지컬 디바이스 드라이버(physical device driver)인 것을 예시하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In the drawings, the interface 511 is exemplified as a physical device driver,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한편, 레가시(legacy) 가상화 머신(510)은, 제2 내지 제3 가상화 머신(530,540)과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virtio-backend interface)(512)를 더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the legacy virtual machine 510 may further include an interface (virtio-backend interface) 512 for data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to third virtual machines 530 and 540 .

제1 가상화 머신(520)은, 오디오 데이터, 라디오 데이터, USB 데이터, 무선 통신 데이터의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521), 게스트 가상화 머신과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입출력 서버 인터페이스(522)를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may include an interface 521 for input/output of audio data, radio data, USB data, and wireless communication data, and an input/output server interface 522 for data communication with the guest virtual machine. .

즉, 서버 가상화 머신인 제1 가상화 머신(520)은, 표준가상화기술(VirtIO)에 의해 가상화되기 힘든 I/O 들을 다수의 게스트 가상화 머신, 예를 들어, 제2 내지 제3 가상화 머신(530,540) 등에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which is a server virtualization machine, uses I/O that is difficult to be virtualized by standard virtualization technology (VirtIO) to a plurality of guest virtual machines, for example, the second to third virtual machines 530 and 540. etc. can be provided.

한편, 서버 가상화 머신인 제1 가상화 머신(520)은, 라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등을 슈퍼바이저(Supervisor) 수준에서 제어하고, 다수의 게스트 가상화 머신, 예를 들어, 제2 내지 제3 가상화 머신(530,540) 등에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which is a server virtual machine, controls radio data, audio data, etc. at a supervisor level, and a plurality of guest virtual machines, for example, second to third virtual machines ( 530,540) and the like.

한편, 서버 가상화 머신인 제1 가상화 머신(520)은, 차량 데이터, 센서 데이터, 차량 주변 정보 등을 처리하고, 처리된 데이터 또는 정보 등을 다수의 게스트 가상화 머신, 예를 들어, 제2 내지 제3 가상화 머신(530,540) 등에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which is a server virtualization machine, processes vehicle data, sensor data, vehicle surrounding information, and the like, and transfers the processed data or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guest virtual machines, for example, the second to second 3 may be provided to virtual machines (530, 540) and the like.

한편, 제1 가상화 머신(520)은, 차량 데이터(vehicle data)의 처리, 오디오 라우팅(Audio routing) 관리 등과 같은, 서비스(Supervisory Services)를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may provide services (Supervisory Services), such as vehicle data processing and audio routing management.

다음, 제2 가상화 머신(530)은, 제1 가상화 머신(520)과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입출력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532)와, 입출력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532)를 제어하는 APIs(533)를 구비할 수 있다.Next, the second virtual machine 530 may include an input/output client interface 532 for data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and APIs 533 for controlling the input/output client interface 532 . .

또한, 제2 가상화 머신(530)은, 레가시 가상화 머신(510)과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virtio-backend interface)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virtual machine 530 may include an interface (virtio-backend interface) for data communication with the legacy virtual machine 510 .

제2 가상화 머신(530)은, 인터페이스(virtio-backend interface)를 통해, 레가시(legacy) 가상화 머신(510)의 인터페이스(virtio-backend interface)(512)로부터 메모리(140)와의 통신에 의한 메모리 데이터 또는 이더넷 통신에 의한 이더넷 데이터 등을 수신할 수 있다.The second virtual machine 530 is, through an interface (virtio-backend interface), memory data by communication with the memory 140 from the interface (virtio-backend interface) 512 of the legacy virtual machine 510 (virtio-backend interface) Alternatively, Ethernet data by Ethernet communication may be received.

다음, 제3 가상화 머신(540)은, 제1 가상화 머신(520)과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입출력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542)와 입출력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542)를 제어하는 APIs(543)를 구비할 수 있다.Next, the third virtual machine 540 may include an input/output client interface 542 for data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and APIs 543 for controlling the input/output client interface 542 .

또한, 제3 가상화 머신(540)은, 레가시 가상화 머신(510)과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virtio-backend interface)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virtual machine 540 may include an interface (virtio-backend interface) for data communication with the legacy virtual machine 510 .

제3 가상화 머신(540)은, 인터페이스(virtio-backend interface)를 통해, 레가시(legacy) 가상화 머신(510)의 인터페이스(virtio-backend interface)(512)로부터 메모리(140)와의 통신에 의한 메모리 데이터 또는 이더넷 통신에 의한 이더넷 데이터 등을 수신할 수 있다.The third virtual machine 540 is, through an interface (virtio-backend interface), memory data by communication with the memory 140 from the interface (virtio-backend interface) 512 of the legacy virtual machine 510 (virtio-backend interface) Alternatively, Ethernet data or the like through Ethernet communication may be received.

한편, 레가시(legacy) 가상화 머신(510)은, 도 10과 달리, 제1 가상화 머신(520) 내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legacy virtual machine 510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 unlike FIG. 10 .

이러한 시스템(500)에 의하면, CAN 통신 데이터는, 제1 가상화 머신(520)에서만 입출력되나, 제1 가상화 머신(520)에서의 데이터 처리를 통해, 다수의 게스트 가상화 머신, 예를 들어, 제2 내지 제3 가상화 머신(530,540) 등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가상화 머신(520)의 처리에 의한 1:N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According to this system 500, CAN communication data is input and output only in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but through data processing in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a plurality of guest virtual machines, for example, the second to third virtual machines 530 and 540 may be provided. Accordingly, 1:N data communication by the processing of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is enabled.

또한, 도 10의 시스템(500)에 의하면, 오디오 데이터, 라디오 데이터, USB 데이터, 무선 통신 데이터는, 제1 가상화 머신(520)에서만 입출력되나, 제1 가상화 머신(520)에서의 데이터 처리를 통해, 다수의 게스트 가상화 머신, 예를 들어, 제2 내지 제3 가상화 머신(530,540) 등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가상화 머신(520)의 처리에 의한 1:N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ystem 500 of FIG. 10 , audio data, radio data, USB data, and wireless communication data are input and output only in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 but through data processing in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 , a plurality of guest virtualization machines, for example, the second to third virtualization machines 530 and 540, etc. may be provided. Accordingly, 1:N data communication by the processing of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is enabled.

또한, 도 10의 시스템(500)에 의하면, 제1 디스플레이(180a) 또는 제2 디스플레이(180b)에 대한 터치 입력(Touch)은, 제1 가상화 머신(520)에만 입력되고, 제2 내지 제3 가상화 머신(530,540)에는 입력되지 않는다. 터치 입력(Touch)에 대한 정보를 제2 가상화 머신(530) 또는 제3 가상화 머신(540)으로 전송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ystem 500 of FIG. 10 , a touch input (Touch) for the first display 180a or the second display 180b is input only to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and the second to third It is not input to the virtual machine (530,540). Information on the touch input (Touch)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virtual machine 530 or the third virtual machine 540 .

이에 따라, 터치 입력(Touch)에 대한 처리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동되는 가상화 머신의 개수가 증가되더라도, 터치 입력(Touch)에 대한 처리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accurately process a touch input (Touch). In addition, even if the number of virtual machines to be driven increases,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accurately perform a process for a touch input (Touch).

한편, 도 10의 시스템(500)에서 제2 내지 제3 가상화 머신(530,540)은 서로 다른 OS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system 500 of FIG. 10 , the second to third virtual machines 530 and 540 may operate based on different OSs.

예를 들어, 제2 가상화 머신(540)은 리눅스 OS 기반 하에 동작하며, 제3 가상화 머신(540)은 웹 OS 기반 하에 동작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cond virtual machine 540 may operate under a Linux OS, and the third virtual machine 540 may operate under a web OS.

제1 가상화 머신(520)은, 제2 내지 제3 가상화 머신(530,540)은 서로 다른 OS 기반 하에 동작하더라도, 데이터 공유를 위해, 하이퍼바이저(505) 기반의 공유 메모리(508)가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내지 제3 가상화 머신(530,540)이, 서로 다른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OS) 하에 동작하더라도, 동일한 데이터 또는 동일한 영상을 동기화하여 공유할 수 있게 된다. 결국, 복수의 디스플레이(180a,180b)에 동일한 데이터 또는 동일한 영상을 동기화하여 표시할 수 있게된다.Although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the second to third virtual machines 530 and 540 operate under different OS bases, the shared memory 508 based on the hypervisor 505 may set for data sharing. Accordingly, even if the second to third virtual machines 530 and 540 operate under different operating systems (OS), the same data or the same image can be synchronized and shared. As a result, the same data or the same image can be synchronized and displayed on the plurality of displays 180a and 180b.

한편, 제1 가상화 머신(520)은, 제2 내지 제3 가상화 머신(530,540)은 서로 다른 OS 기반 하에 동작하더라도, 터치 입력(Touch)에 대한 정보를 제2 가상화 머신(530) 또는 제3 가상화 머신(540)으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2 내지 제3 가상화 머신(530,540)이, 서로 다른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OS) 하에 동작하더라도, 터치 입력(Touch)에 대한 처리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even if the second to third virtual machines 530 and 540 operate under different OS bases, information about the touch input (Touch) to the second virtual machine 530 or the third virtualization to machine 540 . Accordingly, even if the second to third virtual machines 530 and 540 operate under different operating systems (OS),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accurately process a touch input.

한편, 제1 가상화 머신(520)은, 제2 내지 제3 가상화 머신(530,540)을 통해, 제1 디스플레이(180a)와 제2 디스플레이(180b)에 표시되는 오버레이의 제어를 위한 디스플레이 매니저(527)와, 디스플레이 레이어 서버(529)와, 버츄얼 오버레이(virtual overlay)를 생성하는 버츄얼 오버레이 생성기(523)를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through the second to third virtual machines 530 and 540, the display manager 527 for controlling the overlay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180a and the second display 180b. and a display layer server 529 and a virtual overlay generator 523 that generates a virtual overlay.

디스플레이 레이어 서버(529)는, 제2 가상화 머신(530)이 제공하는 제1 오버레이와, 제3 가상화 머신(540)이 제공하는 제2 오버레이를 수신할 수 있다.The display layer server 529 may receive the first overlay provided by the second virtual machine 530 and the second overlay provided by the third virtual machine 540 .

한편, 디스플레이 레이어 서버(529)는, 버츄얼 오버레이 생성기(523)에서 생성된 버츄얼 오버레이(virtual overlay)를, 제2 가상화 머신(530) 또는 제3 가상화 머신(54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할 수 있다.Meanwhile, the display layer server 529 may transmit the virtual overlay generated by the virtual overlay generator 523 to at least one of the second virtual machine 530 and the third virtual machine 540 .

한편, 제1 가상화 머신(520) 내의 디스플레이 매니저(527)는, 제2 가상화 머신(530)이 제공하는 제1 오버레이와, 제3 가상화 머신(540)이 제공하는 제2 오버레이를, 디스플레이 레이어 서버(529)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manager 527 in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the first overlay provided by the second virtual machine 530 and the second overlay provided by the third virtual machine 540, the display layer server It can be received via (529).

그리고, 제1 가상화 머신(520) 내의 디스플레이 매니저(527)는, 제1 오버레이 또는 제2 오버레이와 별도의 버츄얼 오버레이(virtual overlay)를, 디스플레이 레이어 서버(529)를 통해, 제2 가상화 머신(530) 또는 제3 가상화 머신(54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nd, the display manager 527 in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the first overlay or a virtual overlay separate from the second overlay, through the display layer server 529, the second virtual machine 530 ) or the third virtual machine 540 can be controlled to be transmitted to at least one.

이에 대응하여, 제2 가상화 머신(530)은, 제1 오버레이와 버츄얼 오버레이(virtual overlay)를 합성하여, 제1 디스플레이(180a)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Correspondingly, the second virtual machine 530 may synthesize the first overlay and the virtual overlay and control the first overlay to b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180a.

또한, 제3 가상화 머신(540)은, 제2 오버레이와 버츄얼 오버레이(virtual overlay)를 합성하여, 제2 디스플레이(180b)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virtual machine 540 may synthesize the second overlay and the virtual overlay, and control it to be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180b.

한편, 제1 가상화 머신(520)은, 외부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 매니저(52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의 입력 신호는, 차량 내의 소정 버튼(시동 버튼 등)의 입력 신호, 터치 입력 신호, 또는 음성 입력 신호 등일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may include an input manager 524 that receives an input signal from the outside. In this case, the input signal may be an input signal of a predetermined button (such as a start button) in the vehicle, a touch input signal, or a voice input signal.

예를 들어, 제1 가상화 머신(520) 내의 입력 매니저(524)는, 제1 디스플레이(180a) 또는 제2 디스플레이(180b)로부터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put manager 524 in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may receive a touch input from the first display 180a or the second display 180b.

한편, 제1 가상화 머신(520)은, 제1 디스플레이(180a) 또는 제2 디스플레이(180b)로부터의 터치 입력과 관련한 터치 입력(Touch)에 대한 정보를 제2 가상화 머신(530) 또는 제3 가상화 머신(540)으로 전송하는 터치 서버(528)를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the second virtual machine 530 or the third virtualization information about the touch input (Touch) related to the touch input from the first display (180a) or the second display (180b) It may have a touch server 528 that transmits to the machine 540 .

예를 들어, 제1 가상화 머신(520) 내의 터치 서버(528)는, 제1 디스플레이(180a)에 대응하는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터치 입력(Touch)에 대한 정보를, 제2 가상화 머신(530)으로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touch server 528 in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when there is a touch input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180a, information about the touch input (Touch), the second virtual machine 530 ) can be transmitted.

한편, 제1 가상화 머신(520) 내의 터치 서버(528)는, 제1 디스플레이(180a) 또는 제2 디스플레이(180b)로부터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touch server 528 in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may receive a touch input from the first display 180a or the second display 180b.

도 11은 본 발명의 신호 처리 장치에서 구동되는 시스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system driven in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도 11의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프로세서(175)에서 구동되는 시스템(500b)에 의하면,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프로세서(175)는, 프로세서(175) 내의 하이퍼바이저(505) 상에서, 제1 가상화 머신 내지 제3 가상화 머신(520~540)을 실행하며, 프로세서(175) 내의 제1 가상화 머신(520)은, 제2 가상화 머신(530) 및 제3 가상화 머신(540)으로,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하이퍼바이저(505) 기반의 공유 메모리(508)가 설정되도록 제어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according to the system 500b driven by the processor 175 in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70 of FIG. 11 , the processor 175 in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70 is the hypervisor ( On 505 , the first virtual machine to third virtual machine 520 to 540 are executed, and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in the processor 175 , the second virtual machine 530 and the third virtual machine 540 . ), for data transmission, the hypervisor 505-based shared memory 508 is controlled to be set.

예를 들어, 데이터로, 터치 입력(Touch)에 대한 정보가 예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치 입력(Touch)에 대한 정보를 제2 가상화 머신(530) 또는 제3 가상화 머신(540)으로 전송되며, 결국, 제1 디스플레이(180a) 또는 제2 디스플레이(180b)에 대한 터치 입력(Touch)에 대한 처리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동되는 가상화 머신의 개수가 증가되더라도, 터치 입력(Touch)에 대한 처리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information on a touch input may be exemplified as data. Accordingly, information on the touch input (Touch)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virtual machine 530 or the third virtual machine 540, and eventually, the touch input for the first display 180a or the second display 180b. (Touch) can be processed quickly and accurately. In addition, even if the number of driven virtual machines is increased,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accurately perform a process for a touch input (Touch).

다른 예로, 데이터로, 영상 데이터가 예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180a) 또는 제2 디스플레이(180b)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As another example, image data may be exemplified as data. Accordingly, an image can b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180a or the second display 180b.

한편, 공유 메모리(508)에 동일한 영상 데이터가 공유되는 경우, 차량 내의 복수의 디스플레이(180a~180b)에서 동일한 영상을 동기화하여 표시할 수도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ame image data is shared in the shared memory 508, the same image may be displayed in synchronization on the plurality of displays 180a to 180b in the vehicle.

또 다른 예로, 데이터로, CAN 통신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라디오 데이터, USB 데이터, 무선 통신 데이터, 위치 정보 데이터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180a) 또는 제2 디스플레이(180b)에, 해당하는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As another example, CAN communication data, audio data, radio data, USB data, wireless communication data, location information data, etc. may be exemplified as data. Accordingly, information on corresponding data can b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180a or the second display 180b.

한편, 도 11에는 표시되지 않았지만, 레가시 가상화 머신(510)은, 메모리(140)로부터의 메모리 데이터, 또는 이더넷 통신에 의해 이더넷 데이터를, 하이퍼바이저(505) 기반의 공유 메모리(508)를 이용하여, 제2 가상화 머신(530) 및 제3 가상화 머신(54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모리 데이터 또는 이더넷 데이터에 대응하는 정보가, 제1 디스플레이(180a) 또는 제2 디스플레이(180b)에 표시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FIG. 11 , the legacy virtualization machine 510 uses the memory data from the memory 140 , or Ethernet data by Ethernet communication, using the shared memory 508 based on the hypervisor 505 . , to the second virtual machine 530 and the third virtual machine 540 . Accordingl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memory data or Ethernet data may b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180a or the second display 180b.

한편, 도 11의 시스템(500b) 내의 제1 가상화 머신(520)은, 도 10의 시스템(500) 내의 제1 가상화 머신과 유사하게, 디스플레이 매니저(527)와, 디스플레이 레이어 서버(529), 버츄얼 오버레이 생성기(523), 입력 매니저(524), 터치 서버(528)를 구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in the system 500b of FIG. 11 , similarly to the first virtual machine in the system 500 of FIG. 10 , the display manager 527, the display layer server 529, and the virtual It may include an overlay generator 523 , an input manager 524 , and a touch server 528 .

한편, 도 11의 시스템(500b) 내의 제1 가상화 머신(520) 내의 입출력 서버 인터페이스(522)는, 도 10과 달리, 디스플레이 레이어 서버(529)와, 터치 서버(528)를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put/output server interface 522 in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in the system 500b of FIG. 11 may include a display layer server 529 and a touch server 528, unlike FIG. 10 .

디스플레이 매니저(527)와, 디스플레이 레이어 서버(529), 입력 매니저(524), 버츄얼 오버레이 생성기(523), 터치 서버(528)의 동작은, 도 10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Operations of the display manager 527 , the display layer server 529 , the input manager 524 , the virtual overlay generator 523 , and the touch server 528 are the same as those of FIG. 10 , and thus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도 11의 제1 가상화 머신(520)은, 전체 시스템 제어를 위한 시스템 매니저(system manager), 차량 정보 관리를 위한 차량 정보 매니저(vehicle information manager), 오디오 제어를 위한 오디오 매니저(audio manager), 라디오 제어를 위한 라디오 매니저(radio manager)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of FIG. 11 includes a system manager for overall system control, a vehicle information manager for vehicle information management, and an audio manager for audio control. , a radio manager for controlling the radio may be further provided.

한편, 도 11의 시스템(500b) 내의 제1 가상화 머신(520) 내의 입출력 서버 인터페이스(522)는, GPS 정보의 입출력을 위한 GNSS 서버, 블루투스 입출력을 위한 블루투스 서버, 와이파이 입출력을 위한 와이파이 서버, 카메라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카메라 서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put/output server interface 522 in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in the system 500b of FIG. 11 is a GNSS server for input/output of GPS information, a Bluetooth server for Bluetooth input/output, a Wi-Fi server for Wi-Fi input/output, a camera It may further include a camera server for data input and output.

도 12는 본 발명의 신호 처리 장치에서 구동되는 시스템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system driven in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도 12의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프로세서(175)에서 구동되는 시스템(500c)은, 도 11의 시스템(500b)과 거의 유사하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system 500c driven by the processor 175 in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70 of FIG. 12 is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system 500b of FIG. 11 .

즉, 도 11과 같이, 도 12의 프로세서(175)는, 프로세서(175) 내의 하이퍼바이저(505) 상에서, 제1 가상화 머신 내지 제3 가상화 머신(520~540)을 실행한다.That is, as shown in FIG. 11 , the processor 175 of FIG. 12 executes the first to third virtualization machines 520 to 540 on the hypervisor 505 in the processor 175 .

다만, 도 12에서는 도 11과 달리, 디스플레이 레이어 서버(529)와, 터치 서버(528)가, 입출력 서버 인터페이스(522)의 외부에, 제1 가상화 머신(520) 내에서 구비되어 실행될 수 있다.However, in FIG. 12 , unlike FIG. 11 , the display layer server 529 and the touch server 528 may be provided and executed outside the input/output server interface 522 in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

또한, 도 11과 달리, GPS 정보의 입출력을 위한 GNSS 서버, 블루투스 입출력을 위한 블루투스 서버, 와이파이 입출력을 위한 와이파이 서버, 카메라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카메라 서버 등이, 입출력 서버 인터페이스(522)의 외부에, 제1 가상화 머신(520) 내에서 구비되어 실행될 수 있다.In addition, unlike FIG. 11, a GNSS server for input/output of GPS information, a Bluetooth server for Bluetooth input/output, a Wi-Fi server for Wi-Fi input/output, a camera server for camera data input/output, etc. are provided outside the input/output server interface 522, It may be provided and executed in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

즉, 제1 가상화 머신(520) 내에, 디스플레이 매니저(527)와, 디스플레이 레이어 서버(529), 버츄얼 오버레이 생성기(523), 입력 매니저(524), 터치 서버(528)가 구비되어 실행될 수 있다. That is, in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 a display manager 527 , a display layer server 529 , a virtual overlay generator 523 , an input manager 524 , and a touch server 528 may be provided and executed.

디스플레이 매니저(527)와, 디스플레이 레이어 서버(529), 버츄얼 오버레이 생성기(523), 입력 매니저(524), 터치 서버(528)의 동작은, 도 10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Operations of the display manager 527 , the display layer server 529 , the virtual overlay generator 523 , the input manager 524 , and the touch server 528 are the same as those of FIG. 10 , and thus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3 내지 도 14b는 도 10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13 to 14B are diagrams referred to in the description of FIG. 10 .

먼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500) 내의 프로세서(175) 내의 하이퍼바이저(505) 상에서, 제1 가상화 머신 내지 제3 가상화 머신(520~540)을 실행하며, 프로세서(175) 내의 제1 가상화 머신(520)이, 제2 가상화 머신(530) 및 제3 가상화 머신(540)으로, 동일한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하이퍼바이저(505) 기반의 공유 메모리(508)가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예시한다.First, in FIG. 13 , on a hypervisor 505 in a processor 175 in a system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o third virtualization machines 520 to 540 are executed, and the processor ( So that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in the 175, the second virtual machine 530 and the third virtual machine 540, for the same data transfer, the hypervisor 505 based shared memory 508 is set control is exemplified.

이에 따라, 차량 내의 복수의 디스플레이(180a~180b)에서 동일한 영상을 동기화하여 표시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ynchronize and display the same image on the plurality of displays 180a to 180b in the vehicle.

한편, 복수의 가상화 머신 사이의 고속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복수의 가상화 머신이 서로 다른 운영체제에 의해 구동되더라도 고속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perform high-speed data communication between a plurality of virtual machines. Furthermore, even if a plurality of virtual machines are driven by different operating systems, it is possible to perform high-speed data communication.

한편, 프로세서(175) 내의 제1 가상화 머신(520)은, 제1 가상화 머신(520)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다른 가상화 머신으로 전송하는 경우, 가상화 머신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의 메모리 할당이 아닌, 하나의 공유 메모리(508)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상화 머신들 사이에서의 1:1 방식의 데이터 통신이 아니라, 공유 메모리(508)를 이용하여, 1:N 방식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in the processor 175 transmits data processed in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to another virtual machine, it is not allocated a number of memory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virtual machines. , one shared memory 508 may be used. Accordingly, using the shared memory 508 instead of 1:1 data communication between virtual machines, 1:N data communication is possible.

한편, 프로세서(175) 내의 제1 가상화 머신(520)은, 입출력 서버 인터페이스(522)와 보안 매니저(526)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in the processor 175 may include an input/output server interface 522 and a security manager 526 .

한편, 제2 가상화 머신(530) 및 제3 가상화 머신(540)은, 각각 입출력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532, 5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출력 서버 인터페이스(522)와, 입출력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532, 542)를 이용하여, 복수의 가상화 머신 사이의 고속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the second virtual machine 530 and the third virtual machine 540 may include input/output client interfaces 532 and 542, respectively. Accordingly, using the input/output server interface 522 and the input/output client interfaces 532 and 542, it is possible to perform high-speed data communication between a plurality of virtual machines.

제1 가상화 머신(520) 내의 입출력 서버 인터페이스(522)는, 제2 가상화 머신(530) 및 제3 가상화 머신(540) 내의 각 입출력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532, 542)로부터 동일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공유 데이터를 보안 매니저(526)를 통해, 공유 메모리(508)로 전송할 수 있다.The input/output server interface 522 in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receives the same data transfer request from the respective input/output client interfaces 532 and 542 in the second virtual machine 530 and the third virtual machine 540, Based on this, the shared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shared memory 508 through the security manager 526 .

도 14a는 공유 데이터 전송에 대한 보다 상세한 도면을 예시한다.14A illustrates a more detailed diagram for shared data transmission.

도면을 참조하면, 공유 데이터 전송을 위해, 제1 가상화 머신(520) 내의 입출력 서버 인터페이스(522)는, 보안 매니저(526)로 공유 메모리(508)의 할당 요청을 전송한다(S1).Referring to the drawing, for shared data transmission, the input/output server interface 522 in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transmits an allocation request of the shared memory 508 to the security manager 526 (S1).

다음, 보안 매니저(526)는, 하이퍼바이저(505)를 이용하여 공유 메모리(508)를 할당하고(S2), 공유 메모리(508)에 공유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Next, the security manager 526 may allocate the shared memory 508 using the hypervisor 505 ( S2 ), and write the shared data to the shared memory 508 .

한편, 입출력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532, 542)는, 공유 메모리(508) 할당 이후, 입출력 서버 인터페이스(522)로 연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3). Meanwhile, the input/output client interfaces 532 and 542 may transmit a connection request to the input/output server interface 522 after allocation of the shared memory 508 ( S3 ).

한편, 입출력 서버 인터페이스(522)는, 공유 메모리(508) 할당 이후, 입출력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532, 542)로, 키 데이터를 포함하는 공유 메모리(508)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S4). 이때의 키 데이터는, private key 데이터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put/output server interface 522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shared memory 508 including key data to the input/output client interfaces 532 and 542 after the shared memory 508 is allocated (S4). At this time, the key data may be private key data.

즉, 한편, 프로세서(175) 내의 제1 가상화 머신(520)은, 공유 메모리(508)의 설정 이후, 공유 메모리(508)에 대한 정보를, 제2 가상화 머신(530) 및 제3 가상화 머신(540)으로 전송할 수 있다. That is, on the other hand,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in the processor 175, after the setting of the shared memory 508, information about the shared memory 508, the second virtual machine 530 and the third virtual machine ( 540) can be transmitted.

다음, 제1 가상화 머신(520) 내의 입출력 서버 인터페이스(522)는, 가상화 머신 사이의 분산 처리 제어를 위해, 데이터와 별도의, 커맨드 또는 이벤트 처리를 위한 커맨드 큐(command queue)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S5).Next, the input/output server interface 522 in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controls to create a command queue for processing commands or events, separate from data, for controlling distributed processing between virtual machines. (S5).

도면에서는, 입출력 서버 인터페이스(522)의 제어에 의해, 하이퍼바이저(505) 내의 커맨드 큐 버퍼(504)에서, 커맨드 큐가 생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입출력 서버 인터페이스(522)의 제어에 의해, 하이퍼바이저(505) 내가 아닌, 제1 가상화 머신(520) 내에서 생성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figure, it is exemplified that a command queue is generated in the command queue buffer 504 in the hypervisor 505 under the control of the input/output server interface 522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by the control of the input/output server interface 522 , it is also possible to create within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 not within the hypervisor 505 .

다음, 각 입출력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532, 542)는, 커맨드 큐 버퍼(504)에 억세스 하여, 생성된 커맨드 큐 또는 커맨드 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S6).Next, each of the input/output client interfaces 532 and 542 accesses the command queue buffer 504 to receive the generated command queue or information on the command queue (S6).

예를 들어, 각 입출력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532, 542)로의 커맨드가 동일한 경우, 생성된 커맨드 큐는 동일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commands to the input/output client interfaces 532 and 542 are the same, the generated command queues may be the same.

다른 예로, 각 입출력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532, 542)로의 커맨드가 서로 다른 경우, 서로 다른 커맨드 큐가, 각 입출력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532, 542)로 전달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commands to the input/output client interfaces 532 and 54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different command queues may be delivered to the input/output client interfaces 532 and 542 respectively.

다음, 각 입출력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532, 542)는, 입출력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532, 542)는, 수신한 키 데이터에 기초하여 공유 메모리(508)에 접근하고(S5), 공유 데이터를 공유 메모리(508)로부터 카피(copy) 또는 독출할 수 있다(S7).Next, each input/output client interface 532, 542, the input/output client interface 532, 542 accesses the shared memory 508 based on the received key data (S5), and transfers the shared data to the shared memory 508 It can be copied or read from (S7).

특히, 각 입출력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532, 542)가 동일한 공유 데이터를 전달받는 경우, 입출력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532, 542)는, 동일한 커맨드 큐 및 동일한 키 데이터에 기초하여 공유 메모리(508)에 접근하고(S5), 공유 데이터를 공유 메모리(508)로부터 카피(copy) 또는 독출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input/output client interfaces 532 and 542 receive the same shared data, the input/output client interfaces 532 and 542 access the shared memory 508 based on the same command queue and the same key data (S5). ), the shared data may be copied or read from the shared memory 508 .

이에 따라, 제2 가상화 머신(530) 및 제3 가상화 머신(540)에서 공유 메모리(508)에 억세스 가능하게 되며, 결국, 공유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second virtual machine 530 and the third virtual machine 540 may access the shared memory 508 , and eventually, the shared data may be shared.

예를 들어, 공유 데이터가, 영상 데이터인 경우, 제2 가상화 머신(530) 및 제3 가상화 머신(540)에서 영상 데이터를 공유하게 되며, 결국 차량 내의 복수의 디스플레이(180a~180b)에서 동일한 공유 영상을 동기화하여 표시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shared data is image data, the second virtual machine 530 and the third virtual machine 540 share the image data, and eventually share the same in the plurality of displays 180a to 180b in the vehicle. The video can be displayed in synchronization.

도 14b는, 도 14a의 시스템(500)에 의해, 제2 가상화 머신(530)이 공유 메모리(508)를 통해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제1 디스플레이(180a)에 표시하고, 제3 가상화 머신(540)이 공유 메모리(508)를 통해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제2 디스플레이(180b)에 표시하는 것을 예시한다.14B shows, by the system 500 of FIG. 14A , the second virtual machine 530 displays the image data received through the shared memory 508 on the first display 180a, and the third virtual machine 540 ) illustrates displaying the image data received through the shared memory 508 on the second display 180b.

도 14b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180a)에 표시되는 영상(905a)과 제2 디스플레이(180b)에 표시되는 영상(905b)의 동기화 수행되어, T1 시점에, 동일한 영상(905a,905b)이 각각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In FIG. 14B , synchronization of the image 905a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180a and the image 905b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180b is performed, and the same images 905a and 905b are respectively displayed at a time T1. foreshadows to be

즉, 프로세서(175) 내의 제1 가상화 머신(520)에서 처리된 영상 데이터는, 공유 메모리(508)를 통해, 제2 가상화 머신(530) 및 제3 가상화 머신(540)으로 전송되며,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디스플레이(180a)에 표시되는 제1 영상(905a)과, 제2 디스플레이(180b)에 표시되는 제2 영상(905b)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내의 복수의 디스플레이(180a~180b)에서 동일한 영상을 동기화하여 표시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image data processed by the first virtual machine 520 in the processor 175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virtual machine 530 and the third virtual machine 540 through the shared memory 508 , and the image data Based on , the first image 905a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180a and the second image 905b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180b may be identical to each othe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ynchronize and display the same image on the plurality of displays 180a to 180b in the vehicle.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In additio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0)

차량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운영 체제 기반의 제1 오버레이를 출력하다가,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제2 오버레이를, 상기 제1 오버레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a display mounted on a vehicle;
and a signal processing device for outputting an image signal to the display;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A display apparatus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while outputting a first overlay based on a first operating system, controlling the display to overlap and display a second overlay based on a second operating system on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first overl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오버레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블렌딩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블렌딩 처리된 영역에, 상기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제2 오버레이를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performing a blending process on at least a partial region of the first overlay, and controlling to display the second overlay bas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in an overlapping manner on the blended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하이퍼바이저를 실행하고, 상기 하이퍼바이저 상에서 상기 제1 운영 체제 기반의 제1 오버레이를 생성하고,
상기 하이퍼바이저 상에서 상기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제2 오버레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오버레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execute a hypervisor, and create a first overlay based on the first operating system on the hypervisor;
create a second overlay bas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n the hypervisor;
The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device is controlled to overlap at least a partial region of the first overl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하이퍼바이저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이퍼바이저 상에서 상기 제1 운영 체제 기반의 제1 오버레이를 생성하고,
상기 하이퍼바이저 상에서 상기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제2 오버레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오버레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a processor running a hypervisor;
The processor is
create a first overlay based on the first operating system on the hypervisor;
create a second overlay bas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n the hypervisor;
The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device is controlled to overlap at least a partial region of the first overl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운영 체제 기반의 복수개의 제1 오버레이를 출력하다가, 상기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제2 오버레이를, 상기 복수개의 제1 오버레이 중 어느 하나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In-vehicle display, characterized in that while outputting the plurality of first overlays based on the first operating system, controlling the second overlay bas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to be displayed by overlappi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overlays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버레이는, 상기 제1 운영 체제 기반의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오버레이는, 상기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overlay includes at least one application item based on the first operating system,
The second overlay includes at least one application item bas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버레이는, 상기 제1 운영 체제 기반의 메뉴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오버레이는, 상기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overlay includes a menu based on the first operating system and a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The second overlay includes at least one application item bas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제1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제1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포함하는 오버레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ling to output an overlay including the first application screen bas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when the first application item bas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is sele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운영 체제 기반의 상기 제1 오버레이를 출력하다가, 상기 제1 오버레이 내의 애플리케이션 보기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포함하는 제2 오버레이를, 상기 제1 오버레이 내의 일부 영역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While outputting the first overlay based on the first operating system, when an application view item in the first overlay is selected,
and controlling to display a second overlay includ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bas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to overlap a partial region within the first overla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 중 제1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1 오버레이 내의 상기 일부 영역에 제1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오버레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When a first application item from among the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is selected, the display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overlay related to a first application is displayed on the partial area within the first overl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운영 체제 기반의 상기 제1 오버레이를 출력하다가, 상기 제1 오버레이 내의 애플리케이션 보기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포함하는 제2 오버레이를, 상기 제1 오버레이 영역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 중 제1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1 오버레이 내의 일부 영역에 제1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오버레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While outputting the first overlay based on the first operating system, when an application view item in the first overlay is selected,
controlling to display a second overlay includ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bas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to be overlapped with the first overlay area,
When a first application item from among the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is selected, the display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overlay related to the first application is displayed on a partial area within the first overl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운영 체제 기반의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포함하는 제1 오버레이를 출력하다가, 상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 중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제1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제1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포함하는 제2 오버레이를, 상기 제1 오버레이 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When a second operating system-based first application item is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while outputting a first overlay includ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based on the first operating system,
and controlling to display a second overlay including the screen of the first application bas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verlapping at least a partial area within the first overl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프리뷰 정보 또는 메세지를 상기 제1 운영 체제 기반의 제1 오버레이의 일부 영역에 포함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프리뷰 정보 또는 메세지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프리뷰 정보 또는 메세지에 대응하는 화면을 포함하는 상기 제2 오버레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controlling the preview information or message bas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to be included in a partial area of the first overlay based on the first operating system;
and controlling to display the second overlay including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preview information or message when the preview information or message is selecte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상기 프리뷰 정보 또는 메세지에 대응하는 화면을 포함하는 상기 제2 오버레이를, 상기 제1 오버레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ling the second overlay including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preview information or message bas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to be displayed while being superimposed on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first overl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세서 내의 하이퍼바이저 상에서, 상기 제1 운영 체제 기반의 서버 가상화 머신과, 상기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상기 디스플레이를 위해 동작하는 게스트 가상화 머신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A processor for performing signal processing for display;
The processor is
On the hypervisor in the processor, the first operating system-based server virtualization machine and the second operating system-based guest virtualization machine operating for the display are executed.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가상화 머신은,
제1 운영 체제 기반의 제1 오버레이를 출력하며,
상기 게스트 가상화 머신은,
상기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상기 제1 오버레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server virtualization machine,
output a first overlay based on a first operating system,
The guest virtual machine,
and controlling the display to overlap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first overlay bas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버 가상화 머신으로부터의 상기 제1 오버레이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게스트 가상화 머신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processor is
The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ransferring the first overlay from the server virtualization machine to the guest virtualization machine through an interfac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이퍼바이저를 실행하고, 상기 하이퍼바이저 내의 공유 메모리를 통해, 상기 서버 가상화 머신으로부터의 상기 제1 오버레이를, 상기 게스트 가상화 머신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processor is
and executing the hypervisor and transferring the first overlay from the server virtualization machine to the guest virtualization machine through a shared memory in the hypervisor.
차량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에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운영 체제 기반의 제1 오버레이를 출력하다가,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제2 오버레이를, 상기 제1 오버레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A processor for outputting an image signal to a display mounted on a vehicle,
The processor is
A signal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while outputting a first overlay based on a first operating system, controlling the display to overlap and display a second overlay based on a second operating system on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first overlay.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하이퍼바이저를 실행하고, 상기 하이퍼바이저 상에서 상기 제1 운영 체제 기반의 제1 오버레이를 생성하고,
상기 하이퍼바이저 상에서 상기 제2 운영 체제 기반의 제2 오버레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오버레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processor is
execute a hypervisor, and create a first overlay based on the first operating system on the hypervisor;
create a second overlay based on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n the hypervisor;
and controlling the display to overlap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first overlay.


KR1020220030338A 2021-04-08 2022-03-10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20220139790A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2166804.9A EP4071608A1 (en) 2021-04-08 2022-04-05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vehicl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7/714,414 US20220327986A1 (en) 2021-04-08 2022-04-06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vehicl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202210369004.1A CN115195621A (en) 2021-04-08 2022-04-08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vehicl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45782 2021-04-08
KR1020210045782 2021-04-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790A true KR20220139790A (en) 2022-10-17

Family

ID=83809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0338A KR20220139790A (en) 2021-04-08 2022-03-10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9790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5284A1 (en) * 2022-10-21 2024-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comprising same
WO2024085283A1 (en) * 2022-10-21 2024-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vehicle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5284A1 (en) * 2022-10-21 2024-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comprising same
WO2024085283A1 (en) * 2022-10-21 2024-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vehicle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03362B2 (en) DISPLAY CONTROL SYSTEM, DISPLAY SYSTEM, MOVING OBJECT,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20220139790A (en)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including the same
EP4075272A1 (en)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vehicle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US20220327986A1 (en)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vehicl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581600B1 (en)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vehicl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CN206734224U (en) A kind of advanced drive assistance function upgrade-system
US20240037999A1 (en) Vehicle system
US20240036856A1 (en) Vehicle system
US20240140334A1 (en)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102625290B1 (en)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vehicl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JP7484746B2 (en) Vehicle device, vehicle system
JP7363851B2 (en) vehicle system
US20240100949A1 (en) Vehicle display device
KR20230110760A (en) Vehicle display device
CN117687384A (en) Intelligent cabin system, vehicle control system and method
CN116039377A (en) Intelligent cabin and vehicle-mounted system
KR20190071906A (en) Vehicle, navig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navig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