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9337A - 동적 슈퍼프레임 슬롯 - Google Patents

동적 슈퍼프레임 슬롯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9337A
KR20220139337A KR1020227029008A KR20227029008A KR20220139337A KR 20220139337 A KR20220139337 A KR 20220139337A KR 1020227029008 A KR1020227029008 A KR 1020227029008A KR 20227029008 A KR20227029008 A KR 20227029008A KR 20220139337 A KR20220139337 A KR 20220139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ocol
superframe
slot
mode
blue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9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가라즈 치크마갈루르 락쉬미나라얀
아룬 한다니커 세샤기리
라지브 란잔
쉬탈 알. 카담
로버트 디. 운투넨
Original Assignee
아뎀코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뎀코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아뎀코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220139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93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43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 H04B7/265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for structure of frame, bur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2Interconnection of the control functionalities between home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장치는 복수의 슈퍼프레임 모드 중 초기 슈퍼프레임 모드로 구성된 초기 슈퍼프레임을 복수의 디바이스에 출력하도록 구성된 처리 회로를 포함한다. 복수의 슈퍼프레임 모드의 각각의 슈퍼프레임 모드는 무선 통신을 위한 복수의 슬롯의 각각의 슬롯을 제1 프로토콜, 제2 프로토콜 또는 제3 프로토콜에 할당한다. 대역폭의 변화를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처리 회로는 복수의 슈퍼프레임 모드로부터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처리 회로는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 모드로 구성된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을 복수의 디바이스에 출력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동적 슈퍼프레임 슬롯
본 출원은 2020년 2월 7일에 출원된 미국 출원 번호 16/785,047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 원용된다.
기술분야
본 개시내용은 네트워크, 특히 예를 들어, 가정 모니터링 시스템, 안락 시스템 및 보안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다.
홈 네트워크는 무선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가정 내의 디바이스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브 디바이스는 IEEE 802.15.4를 사용하여, 가정에 있는 100개 초과의 센서 장치를 허브 디바이스에 연결할 수 있다. 그런 다음, 허브 디바이스는 가정의 센서 디바이스에 의해 수집된 센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브 디바이스는 집 안에 배열된 다중 온도 센서로부터 온도 판독값을 수집하고, 온도 판독값을 사용하여 HVAC 시스템을 제어하는 서모스탯에 온도 판독값을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허브 디바이스는 도어/창문 센서 판독값을 수집하고, 도어/창문 센서 판독값을 홈 보안 센서로 출력할 수 있다.
요약
일반적으로, 본 개시내용은 예를 들어, 시-분할 다중 액세스 (TDMA)와 같은 시-분할 듀플렉싱을 사용하는 다중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디바이스를 무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 디바이스 및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시-분할 듀플렉싱은 특정 주파수 (예컨대, 2.4 GHz 대역)에서 다중 통신의 각각의 통신을 반복 "슈퍼프레임"의 시간 "슬롯"에 할당하는 프로세스를 지칭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주파수-분할 다중화는 다중 통신의 각각의 통신을 고유한 주파수에 부여할 수 있다.
처리 회로는 슈퍼프레임 모드에 따라 각각의 슬롯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브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을 위한 특정 슬롯을 제1 프로토콜 (예컨대, IEEE 802.15.4)에 할당하는 초기 슈퍼프레임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브 디바이스는 BLUETOOTH 통신에 대해 상대적으로 낮은 대역폭 및 IEEE 802.15.4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은 대역폭으로 구성된 초기 슈퍼프레임 모드에서 초기 슈퍼프레임을 출력할 수 있다. 이 예에서, 허브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을 위한 특정 슬롯을 제2 프로토콜 (예컨대, BLUETOOTH)에 할당하는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브 디바이스는 BLUETOOTH 통신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은 대역폭 및 IEEE 802.15.4에 대해 상대적으로 낮은 대역폭으로 구성된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 모드에서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허브 디바이스는 센서 디바이스와 주고받는 데이터에 기반하여 슈퍼프레임의 슬롯을 동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기술은 네트워크의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적 슈퍼프레임 슬롯팅을 수행하는 허브 디바이스는 상이한 프로토콜에 보다 효율적으로 슬롯을 할당할 수 있으며, 이는 네트워크의 대역폭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키고 네트워크의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예에서, TDMA를 사용하여 복수의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장치는 각각의 슈퍼프레임 모드가 무선 통신을 위한 복수의 슬롯의 각각의 슬롯을 제1 프로토콜, 제2 프로토콜 또는 제3 프로토콜에 할당하는 복수의 슈퍼프레임 모드 중 초기 슈퍼프레임 모드로 구성된 초기 슈퍼프레임을 복수의 디바이스에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1 프로토콜, 제2 프로토콜 및 제3 프로토콜은 서로 상이하고; 제1 프로토콜, 제2 프로토콜 또는 제3 프로토콜 중 하나 이상에 할당된 대역폭의 변화를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초기 슈퍼프레임 모드와 상이한 복수의 슈퍼프레임 모드로부터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되고;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 모드에서 구성된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을 복수의 장치에 출력하도록 구성된 처리 회로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방법은 처리 회로에 의해, 복수의 슈퍼프레임 모드 중 초기 슈퍼프레임 모드로 구성된 초기 슈퍼프레임을 복수의 디바이스에 출력하는 단계이되, 복수의 슈퍼프레임 모드의 각각의 슈퍼프레임 모드는 무선 통신을 위한 복수의 슬롯의 각각의 슬롯을 제1 프로토콜, 제2 프로토콜 또는 제3 프로토콜에 할당하고, 제1 프로토콜, 제2 프로토콜 및 제3 프로토콜은 서로 상이한, 단계; 제1 프로토콜, 제2 프로토콜 또는 제3 프로토콜 중 하나 이상에 할당된 대역폭의 변화를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처리 회로에 의해, 초기 슈퍼프레임 모드와 상이한 복수의 슈퍼프레임 모드로부터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처리 회로에 의해,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 모드로 구성된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을 복수의 디바이스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시스템은 복수의 센서 디바이스; 및 TDMA를 사용하여 복수의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허브 디바이스이되, 허브 디바이스가 각각의 슈퍼프레임 모드가 무선 통신을 위한 복수의 슬롯의 각각의 슬롯을 제1 프로토콜, 제2 프로토콜 또는 제3 프로토콜에 할당하는 복수의 슈퍼프레임 모드 중 초기 슈퍼프레임 모드로 구성된 초기 슈퍼프레임을 복수의 디바이스에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제1 프로토콜, 제2 프로토콜 및 제3 프로토콜은 서로 상이하고; 제1 프로토콜, 제2 프로토콜 또는 제3 프로토콜 중 하나 이상에 할당된 대역폭의 변화를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초기 슈퍼프레임 모드와 상이한 복수의 슈퍼프레임 모드로부터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되고;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 모드에서 구성된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을 복수의 장치에 출력하도록 구성된 처리 회로를 포함하는 것인, 허브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 및 하기 설명에서 제시된다. 다른 특징, 목적 및 이점은 상세한 설명, 도면 및 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에 따른, 초기 슈퍼프레임 모드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디바이스를 예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b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에 따른,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 모드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디바이스를 예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의 예를 예시하는 개념적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에 따른, 허브 디바이스 및 센서 디바이스의 개념적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에 따른, 슈퍼프레임 모드를 위한 슬롯의 제1 예의 개념적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에 따른, 예시적인 제1 슈퍼프레임 모드의 개념적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에 따른, 예시적인 제2 슈퍼프레임 모드의 개념적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에 따른, 예시적인 제3 슈퍼프레임 모드의 개념적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에 따른, 예시적인 제4 슈퍼프레임 모드의 개념적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에 따른, 예시적인 제5 슈퍼프레임 모드의 개념적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에 따른, 슈퍼프레임 모드를 위한 확장 슬롯의 개념적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에 따른, 슈퍼프레임 모드를 위한 슬롯의 제2 예의 개념적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에 따른, 슈퍼프레임 모드를 위한 슬롯의 제3 예의 개념적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에 따른, 예시적인 제6 슈퍼프레임 모드의 개념적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에 따른, 예시적인 제7 슈퍼프레임 모드의 개념적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에 따른, TDMA를 사용하여 디바이스를 무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예시적인 기술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현대 주거용 건물 또는 기타 건물은 모니터링 시스템, 안락 시스템 또는 기타 보안 시스템과 같은 건물 내의 하나 이상의 시스템을 관리하도록 구성된 중앙 "허브"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허브 디바이스는 건물 전체에 배치된 다수의 다른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허브 디바이스는 모션 센서, 공기 품질 및/또는 온도 센서, 적외선 센서, 도어 및/또는 창문 접촉 센서, 및/또는 기타 센서 디바이스와 같은 임의의 수의 상이한 센서 디바이스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허브 디바이스는 명령어 또는 지시어를 하나 이상의 제어가능한 센서 디바이스에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브 디바이스는 건물 내의 온도를 조정하도록 서모스탯에 지시할 수 있거나, 다른 예에서 댐퍼에 에어벤트를 개폐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건물 내에서 하나 이상의 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한 일부 애플리케이션에서, BLUETOOTH 무선 통신 기술은 예를 들어, IEEE 802.15.4 무선 통신 기술과 같은 다른 무선 연결 기술보다 이점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BLUETOOTH 무선 통신 기술은 IEEE 802.15.4 무선 통신 기술과 비교하여 높은 데이터 속도 및 처리량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LUETOOTH는 500 초당 킬로비트 (kbps)보다 큰 (예컨대, 1 Mbps의) 대역폭을 가질 수 있고, IEEE 802.15.4는 500 kbps 미만 (예컨대, 250 kbps)의 대역폭을 가질 수 있다. 범위 관점에서, BLUETOOTH 무선 기술 및 IEEE 802.15.4 무선 통신 기술은 거의 동일한 링크 버드겟을 가질 수 있다. BLUETOOTH는 80미터보다 큰 (예컨대, 100미터의) 범위를 가질 수 있고, IEEE 802.15.4는 80미터 미만 (예컨대, 70미터)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예에서, BLUETOOTH는 1초보다 긴 (예컨대, 3초의) 결합 시간 (예컨대, 대기 시간)을 가질 수 있고, IEEE 802.15.4는 1초 미만 (예컨대, 30밀리초 (ms))의 결합 시간을 가질 수 있다. BLUETOOTH는 100 kb보다 큰 (예컨대, 250 kb의) 스택 크기를 가질 수 있고, IEEE 802.15.4는 100 kb 미만 (예컨대, 28 ms)의 스택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본원에서 간단히 "Wi-Fi™"로서 또한 지칭되는 IEEE 802.11은 BLUETOOTH보다 훨씬 더 높은 데이터 속도를 제공하지만 에너지 비용은 더 높을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BLUETOOTH는 BLUETOOTH의 현재 및 미래 버전을 지칭할 수 있다. BLUETOOTH의 예는 클래식 BLUETOOTH (예컨대, 버전 1.0, 1.0B, 1.1, 1.2, 2.0, 2.1, 3.0, 4.0, 4.1, 4.2, 5, 5.1 등), BLUETOOTH-저 에너지 (예컨대, 버전 4.0, 4.1, 4.2, 5, 5.1 등) 및 기타 유형의 BLUETOOTH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원의 "BLUETOOTH"의 모든 경우는 클래식 BLUETOOTH 및/또는 BLUETOOTH-저 에너지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BLUETOOTH는 2 MHz의 넓은 가드 대역 및 3.5 MHz의 넓은 가드 대역 또는 다른 주파수 범위를 포함하여 2.402 내지 2.480 GHz, 2.400 내지 2.4835 GHz의 주파수에서 작동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BLUETOOTH 채널의 각각의 주파수 채널은 1 MHz 미만만큼 이웃 채널의 중심 주파수와 상이한 중심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무선 채널 (예컨대, IEEE 802.15.4 채널)의 각각의 주파수 채널은 1 MHz (예컨대, 2 MHz, 5 MHz 등)보다 큰 이웃 채널의 중심 주파수와 상이한 중심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BLUETOOTH는 다른 무선 통신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주파수-호핑 확산 스펙트럼과 같은 주파수 호핑을 사용하는 통신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LUETOOTH 채널을 사용하는 디바이스는 광고 채널을 사용할 때의 37 주파수 채널 및 광고 채널 없이 작동할 때의 40 주파수 채널 사이를 호핑하는 BLUETOOTH 채널을 운영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IEEE 802.15.4는 대신 직접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무선 채널에 대한 신호를 외부 디바이스로부터의 수신기에 의해 추출된 슈도-랜덤 코드와 혼합함으로써 IEEE 802.15.4를 사용하여 무선 채널을 확립할 수 있다. 직접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은 송신된 신호를 광대역에 걸쳐 확산시킴으로써 신호-대-잡음비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IEEE 802.15.4를 사용하여 무선 채널을 확립하는 디바이스는 클리어 스펙트럼을 스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마트 홈 디바이스는 스마트 홈에 대한 요구를 처리하기 위해 많은 상이한 무선 프로토콜을 배포할 수 있다. 표준 기반 프로토콜 (Wi-Fi™, Zigbee™, Thread™, Zwave™, BLUETOOTH, DECT™ 등) 및 독점 제조 특이적 프로토콜이 있다. 이 프로토콜 어레이의 문제는 각각의 프로토콜이 특이적 어플리케이션에 맞게 조정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Wi-Fi™는 긴 배터리 수명이 필요하지 않은 고 대역폭 데이터 애플리케이션에 특히 유용할 수 있다. Zigbee™는 배터리 수명을 최대화하기 위해 저 대역폭 데이터 애플리케이션에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모든 무선 프로토콜이 전 세계적으로 호환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Zwave™는 다양한 작동 영역에 대해 상이한 하드웨어 설계를 가질 수 있다.
스마트 홈 시스템은 홈 네트워크에 적합한 공통 주파수에서 작동하는 상이한 네트워크의 집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시스템의 Wi-Fi™ 네트워크, 스마트 홈 시스템의 BLUETOOTH 네트워크, 스마트 홈 시스템의 IEEE 802.15.4 네트워크는 각각 2.4 GHz의 주파수에서 작동할 수 있다. 허브 디바이스는 등록 프로세스 동안 슈퍼프레임의, 간단히 "슬롯"으로서 본원에 또한 지칭된 타임 슬롯에 각각의 디바이스를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브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에 Wi-Fi™ 슬롯을 할당하고, 하나 이상의 제2 디바이스에 BLUETOOTH 슬롯을 할당하고, 하나 이상의 제3 디바이스에 IEEE 802.15.4 슬롯을 할당할 수 있다. 이 예에서, 허브 디바이스는 슈퍼프레임의 시작을 지정하는 비콘을 사용하여 슈퍼프레임을 출력할 수 있다. 네트워크의 모든 디바이스는 슈퍼프레임의 할당된 슬롯에 따라 2.4 GHz의 주파수에서 비콘과 동기화하여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제1 디바이스는 Wi-Fi™ 슬롯 동안 Wi-Fi™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출력하고, 하나 이상의 제2 디바이스는 BLUETOOTH 슬롯 동안 BLUETOOTH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출력하고, 하나 이상의 제3 디바이스는 802.15.4 슬롯 동안 IEEE 802.15.4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출력한다.
본 개시내용의 기술에 따르면, 고정된 슈퍼프레임 모드를 사용하기 보다는, 허브 디바이스는 슈퍼프레임 모드를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브 디바이스는 북미에서 작동하는 디바이스에 대해 제1 슈퍼프레임 모드를 사용하고 유럽에서 작동하는 디바이스에 대해 제2 슈퍼프레임 모드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허브 디바이스는 안락 디바이스 (예컨대, 서모스탯)에 대한 제1 슈퍼프레임 모드 및 보안 디바이스에 대한 제2 슈퍼프레임 모드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허브 디바이스는 장치가 낮은 대역폭 데이터 (예컨대, 원격측정 정보)를 출력할 때 제1 슈퍼프레임 모드를 사용하고, 장치가 고 대역폭 데이터 (예컨대,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콘텐츠)를 출력할 때 제2 슈퍼프레임 모드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슈퍼프레임 모드를 동적으로 조정하는 허브 디바이스는 고정된 슈퍼프레임 모드를 사용하는 허브 디바이스와 비교하여 네트워크의 대역폭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a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에 따른, 초기 슈퍼프레임 모드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디바이스를 예시하는 개념도이다. 일부 예에서, 초기 슈퍼프레임 모드는 시분할 다중 액세스 (TDMA) 슈퍼프레임 모드이다. 시스템 (10)은 허브 디바이스 (12) 및 센서 디바이스 (14A-14N)(집합적으로, "센서 디바이스 (14)" 또는 간단히 "디바이스 (14)")만을 예시하지만, 시스템 (10)은 추가적인 디바이스 (예컨대, 서로 무선 통신하는 디바이스) 또는 더 적은 수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10)은 건물 및 주변 가옥 (집합적으로, "가옥") 내에 설치될 수 있다.
허브 디바이스 (12)는 안락, 보안 및/또는 안전 시스템과 같은 건물 내의 하나 이상의 시스템을 작동하도록 구성된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기에서 추가로 기재되는 바와 같이, 허브 디바이스 (12)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로부터 및/또는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수신된 것과 같은 데이터를 수신하고, 건물 내에서 하나 이상의 시스템을 자동화하기 위해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된 처리 회로 (1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브 디바이스 (12)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난방 및 냉방, 환기, 조명, 또는 개별 방 또는 다른 영역에 대한 승인된 액세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자동화, 제어 또는 달리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브 디바이스 (12)는 텍사스 오스틴 소재의 Resideo Technologies, Inc.®의 "Life and Property Safety Hub®"를 포함할 수 있다. 허브 디바이스 (12)는 전력 그리드에 대한 유선 연결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일부 예에서 배터리, 슈퍼커패시터 또는 다른 내부 전원과 같은 내부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디바이스 (14)는 허브 디바이스 (12)에 등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디바이스 (14)는 센서 데이터를 허브 디바이스 (12)와 교환하고/하거나, 허브 디바이스 (12)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센서 디바이스 (14)는 센서 데이터를 수집 또는 생성하고, 처리를 위해 센서 데이터를 허브 디바이스 (12)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센서 디바이스 (14)는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는 제어가능한 디바이스가 허브 디바이스 (12)로부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지시어 (예컨대, 명령어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을 수신할 때 지정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이한 유형의 센서 디바이스 (14)의 예는 하기의 도 2의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센서 디바이스 (14)는 배터리, 슈퍼커패시터 또는 다른 내부 전원과 같은 내부 전원 또는 전력 그리드에 대한 유선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 회로 (15)는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센서 디바이스 (14)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 프로토콜의 예는 저-전력 무선 연결 프로토콜, 고-대역폭 연결 프로토콜 또는 근거리 네트워킹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저-전력 연결 프로토콜의 예는 IEEE 802.15.4, 900 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저 전력 프로토콜, 또는 다른 저-전력 연결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IEEE 802.15.4는 IEEE 802.15.4와 호환되는 임의의 표준 또는 사양, 예를 들어, Zigbee™, ISA100.11a™, WirelessHART™, MiWi™, 6LoWPAN™, Thread™, SNAP™, 및 IEEE 802.15.4를 준수하는 기타 표준 또는 사양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IEEE 802.15.4는 IEEE 802.15.4 표준에만 의존하는 구현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Zigbee™와 같은 추가적인 사양이 있는 IEEE 802.15.4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구현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고-대역폭 연결 프로토콜의 예는 예를 들어, BLUETOOTH (예컨대, 클래식 BLUETOOTH, BLUETOOTH 저 에너지 등)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네트워킹 프로토콜의 예는, 예를 들어, Wi-Fi™ (예컨대, IEEE 802.11 a/b/g/n/ac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비록 도 1a는 센서 디바이스 (14)에 직접 연결된 허브 디바이스 (12)를 도시하지만, 일부 예에서, 시스템 (10)은 각각이 중개 또는 "중계기" 디바이스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중계기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디바이스 (14A)는 제1 데이터를 허브 디바이스 (12)로 출력하는 제1 중계기 디바이스에 Wi-Fi™에 따른 제1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센서 디바이스 (14B)는 제2 데이터를 허브 디바이스 (12)로 출력하는 제2 중계기 디바이스에 BLUETOOTH에 따른 제2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중계기 디바이스 및 제2 중계기 디바이스는 동일한 디바이스 (예컨대, BLUETOOTH 및 Wi-Fi™에 따라 통신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별도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처리 회로 (15)는 시스템 (10)에서의 통신을 위해 TDMA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시스템의 Wi-Fi™ 네트워크, 스마트 홈 시스템의 BLUETOOTH 네트워크, 스마트 홈 시스템의 IEEE 802.15.4 네트워크는 2.4 GHz 주파수에서 (예컨대, 2.4 GHz를 포함하는 주파수 대역 내에서) 작동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처리 회로 (15)는 슈퍼프레임의 슬롯에 디바이스 (14) 각각을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회로 (15)는 센서 디바이스 (14A)를 디바이스 그룹에 대해 간단히 "슈퍼프레임 (16)"으로서 본원에 또한 지칭된 슈퍼프레임 (16)의 제1 슬롯에 할당할 수 있으며, 센서 디바이스 (14N)를 디바이스 그룹의 슈퍼프레임 (16)의 제2 슬롯에 할당할 수 있다. 처리 회로 (15)는 슈퍼프레임의 시작을 시그널링하는 비콘을 출력함으로써 슈퍼프레임 (16)을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디바이스 (14) 각각은 슈퍼프레임에 의해 정의된 슬롯에 따라 비콘 및 출력 데이터와 동기화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처리 회로 (15)는 센서 디바이스 (14)가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도록 슈퍼프레임 (16)을 주기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허브 디바이스 (12)는 다중 디바이스를 슈퍼프레임의 단일 슬롯에 할당할 수 있지만, 가능하면 단일 슬롯의 상이한 부분에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브 디바이스 (12)는 센서 디바이스 (14A)를 IEEE 802.15.4 슬롯의 제1 4 ms 부분에 할당하고, 센서 디바이스 (14N)를 IEEE 802.15.4 슬롯의 제1 4 ms 부분과 상이한 IEEE 802.15.4 슬롯의 제2 4 ms 부분에 할당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허브 디바이스 (12)는 센서 디바이스 (14A)를 BLUETOOTH 슬롯의 제1 채널 (예컨대, 2.402 GHz)에 할당하고, 센서 디바이스 (14N)를 제1 채널과 상이한 BLUETOOTH 슬롯의 제2 채널 (예컨대, 2.479 GHz)에 할당할 수 있다.
처리 회로 (15)는 다중 슈퍼프레임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회로 (15)는 센서 디바이스 (14A)를 제1 그룹의 디바이스에 대한 제1 슈퍼프레임의 슬롯에 를 할당하고, 센서 디바이스 (14N)를 제2 그룹의 디바이스에 대한 제2 슈퍼프레임의 슬롯에 할당할 수 있다. 처리 회로 (15)는 제1 슈퍼프레임의 시작을 시그널링하는 제1 비콘을 출력함으로써 제1 슈퍼프레임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비콘에 응답하여, 센서 디바이스 (14A)는 제1 슈퍼프레임에 의해 정의된 슬롯에 따라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반면, 센서 디바이스 (14N)는 제1 슈퍼프레임 동안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억제한다. 이 예에서, 프로세싱은 제2 슈퍼프레임의 시작을 시그널링하는 제2 비콘을 출력함으로써 제2 슈퍼프레임을 출력한다. 제2 슈퍼프레임에 응답하여, 센서 디바이스 (14A)는 데이터 출력을 억제할 수 있고, 센서 디바이스 (14B)는 제2 슈퍼프레임에 의해 정의된 슬롯에 따라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처리 회로 (15)는 센서 디바이스 (14)가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도록 제1 슈퍼프레임 및 제2 슈퍼프레임을 주기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일부 시스템에서, 허브 디바이스는 각각의 슈퍼프레임에 대해 단일 슈퍼프레임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브 디바이스는 시스템이 BLUETOOTH를 통해 통신할 비디오 데이터를 갖는 경우 Wi-FI™ 및 IEEE 802.15.4 통신을 위한 시간을 할당할 수 있다. 이 예에서, Wi-Fi™ 및/또는 IEEE 802.15.4에 할당된 시간을 유지하면 시스템이 BLUETOOTH를 통해 통신할 비디오 데이터를 갖는 경우 BLUETOOTH 통신을 위한 시간을 동적으로 늘리는 시스템과 비교하여 네트워크 대역폭이 줄어들 수 있다.
단일 슈퍼프레임 모드를 사용하는 대신에, 허브 디바이스 (12)는 다중 슈퍼프레임 모드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각각의 슈퍼프레임 모드는 무선 통신을 위해 복수의 슬롯의 각각의 슬롯을 제1 프로토콜, 제2 프로토콜 또는 제3 프로토콜에 할당한다. 일부 예에서, 제1 프로토콜, 제2 프로토콜 및 제3 프로토콜은 서로 상이하다. 예를 들어, 제1 프로토콜은 근거리 네트워킹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고/있거나, 제2 프로토콜은 저-전력 무선 연결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고/있거나, 제3 프로토콜은 고-대역폭 연결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로토콜은 Wi-Fi™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2 프로토콜은 IEEE 802.1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프로토콜은 BLUETOOTH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브 디바이스 (12)는 4 ms 경보 슬롯이 있는 64 디바이스를 지원하는 컴포트 일반 슈퍼프레임 모드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허브 디바이스 (12)는 BLUETOOTH 페어링을 위해 추가 시간 (예컨대, 40 ms)을 할당하는 컴포트 BLUETOOTH 페어링 슈퍼프레임 모드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허브 디바이스 (12)는 BLUETOOTH 페어링을 위해 추가 시간 (예컨대, 72 ms)을 할당하는 상호 배타적인 컴포트 BLUETOOTH 페어링 슈퍼프레임 모드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허브 디바이스 (12)는 BLUETOOTH 통신을 위해 추가 시간 (예컨대, 40 ms)을 할당하는 BLUETOOTH 고 대역폭 슈퍼프레임 모드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허브 디바이스 (12)는 Wi-Fi™ 통신을 위해 추가 시간 (예컨대, 101 ms)을 할당하는 Wi-Fi™ 페어링 슈퍼프레임 모드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허브 디바이스 (12)는 2 ms의 경보 슬롯을 갖는 128개의 디바이스를 지원하는 보안 일반 슈퍼프레임 모드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허브 디바이스 (12)는 BLUETOOTH 페어링을 위해 추가 시간을 할당하는 보안 BLUETOOTH 페어링 슈퍼프레임 모드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허브 디바이스 (12)는 임의의 수의 슈퍼프레임 모드 (예컨대, 6, 6 초과 등)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슈퍼프레임 모드의 전술한 예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허브 디바이스 (12)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다른 슈퍼프레임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기술에 따르면, 처리 디바이스 (15)는 초기 슈퍼프레임 모드에서 구성된 초기 슈퍼프레임 (16)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회로 (15)는 초기 슈퍼프레임 (16)의 시작을 시그널링하는 제1 비콘을 출력함으로써 초기 슈퍼프레임 (16)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비콘에 응답하여, 센서 디바이스 (14A)는 초기 슈퍼프레임 (16)에 의해 정의된 슬롯에 따라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으며, 센서 디바이스 (14B)는 초기 슈퍼프레임 (16)에 의해 정의된 슬롯에 따라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초기 슈퍼프레임 (16)은 임의의 슈퍼프레임 모드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 슈퍼프레임 (16)은 4 ms 경보 슬롯이 있는 64 디바이스를 지원하는 컴포트 일반 슈퍼프레임 모드일 수 있다.
도 1b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에 따른,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 모드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디바이스를 예시하는 개념도이다. 처리 회로 (15)는 초기 슈퍼프레임 (16)에 할당된 대역폭의 변화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LUETOOTH 페어링 요청에 응답하여, 처리 회로 (15)는 초기 슈퍼프레임 (16)에서 제1 프로토콜, 제2 프로토콜 또는 제3 프로토콜 중 하나 이상에 할당된 대역폭을 바꾸도록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회로 (15)는 초기 슈퍼프레임 (16)에서 BLUETOOTH 통신에 할당된 대역폭의 양과 비교하여 BLUETOOTH 통신에 할당된 대역폭을 증가시키도록 결정할 수 있다.
제1 프로토콜, 제2 프로토콜 또는 제3 프로토콜 중 하나 이상에 할당된 대역폭의 변화를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처리 회로 (15)는 초기 슈퍼프레임 (16)의 초기 슈퍼프레임 모드와 상이한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 모드 (18)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회로 (15)는 컴포트 일반 슈퍼프레임 모드에서 초기 슈퍼프레임 (16)을 출력하였을 수 있다. 이 예에서, 처리 회로 (15)는 컴포트 BLUETOOTH 페어링 슈퍼프레임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처리 회로 (15)는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 모드에 대해 구성된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 (18)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처리 회로 (15)는 컴포트 BLUETOOTH 페어링 슈퍼프레임 모드에서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 (18)을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에 따른, 도 1의 네트워킹된 시스템 (10)의 일 예일 수 있는 네트워킹된 시스템 (20)을 예시하는 개념적 블록도이다. 시스템 (20)은 허브 디바이스 (12), 서모스탯 (24A), 서모스탯(24B)(집합적으로, 서모스탯 (24)), 실내 모션 센서 (26A), 실외 모션 센서 (26B)(집합적으로, 모션 센서(26)), 도어/창문 접촉 센서 (28), 에어벤트 댐퍼 (36A, 36B, 36C)(집합적으로, 에어벤트 댐퍼 (36)), 스마트 초인종 (37), 실외 공기 센서 (38), 실외 적외선 센서 (40A), 실내 적외선 센서 (40B)(집합적으로, 적외선 센서 (40)), 라우터 (33) 및 모바일 디바이스 (32)를 포함한다. 허브 디바이스 (12)가 별개의 컴포넌트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허브 디바이스 (12)는 서모스탯 (24), 모션 센서 (26), 도어/창문 접촉 센서 (28), 에어벤트 댐퍼 (36), 스마트 초인종 (37), 실외 공기 센서 (38), 및 적외선 센서 (40) 중 하나 이상에 통합될 수 있다. 시스템 (20)의 다양한 디바이스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추가적인 디바이스가 시스템 (20)에 추가될 수 있고/있거나, 시스템 (20)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가 생략될 수 있다.
시스템 (20)은 본 개시내용의 기술의 비-제한적인 예이다. 다른 예시적인 시스템은 더 많거나 더 적거나 상이한 컴포넌트 및/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모바일 폰을 예시하지만, 모바일 디바이스 (32)는 일부 예에서, 태블릿 컴퓨터, 랩탑 또는 개인용 컴퓨터, 스마트 워치, 무선 네트워크-가능 키팝, e-리더, 또는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32) 및/또는 라우터 (33)는 예를 들어, 인터넷(34)과 같은 광역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인터넷 (34)은 예를 들어, 디지털 가입자 회선 (DSL), 전화-접속 액세스, 케이블 인터넷 액세스, 광-섬유 액세스, 무선 광대역 액세스, 하이브리드 액세스 네트워크, 또는 다른 인터페이스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인터페이스를 통한 인터넷 연결을 나타낼 수 있다. 무선 광대역 액세스의 예는 예를 들어, 위성 액세스, WiMax™, 셀룰러 (예컨대, 1X, 2G, 3G™, 4G™, 5G™ 등), 또는 다른 무선 광대역 액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 허브 디바이스 (12)는 서모스탯 (24), 모션 센서 (26), 도어/창문 접촉 센서 (28), 에어벤트 댐퍼 (36), 스마트 초인종 (37), 실외 공기 센서 (38) 및 적외선 센서 (40)와 무선 데이터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모스탯 (24), 모션 센서 (26), 도어/창문 접촉 센서 (28), 에어벤트 댐퍼 (36), 스마트 초인종 (37), 실외 공기 센서 (38) 및 적외선 센서 (40)는 연결 프로토콜, 예컨대, 비제한적으로 IEEE 802.15.4, BLUETOOTH 또는 다른 연결 프로토콜에 따라 하나 이상의 무선 채널을 사용하여 허브 디바이스 (12)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서모스탯 (24), 모션 센서 (26), 도어/창문 접촉 센서 (28), 에어벤트 댐퍼 (36), 스마트 초인종 (37), 실외 공기 센서 (38) 및 적외선 센서 (40) 각각은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센서 디바이스 (예컨대, 센서 데이터를 수집 및/또는 생성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 제어가능한 디바이스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모스탯 (24)은 공기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온도계와 같은 센서를 갖는 안락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에어벤트 댐퍼 (36)는 허브 디바이스 (12)로부터의 지시어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에어벤트의 셔터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에어벤트 또는 에어 덕트 내에 위치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예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중앙 허브 디바이스 (12)는 서모스탯 (24), 모션 센서 (26), 도어/창문 접촉 센서 (28), 에어벤트 댐퍼 (36), 스마트 초인종 (37), 실외 공기 센서 (38) 및 적외선 센서 (40) 중 하나 이상과 간접적으로 무선 데이터 통신 (예컨대, 중계기 노드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외 공기 센서 (38)는 연결 프로토콜, 예컨대, 비제한적으로 IEEE 802.15.4, BLUETOOTH 또는 다른 연결 프로토콜에 따라 무선 채널을 사용하여 허브 디바이스 (12)에 서모스탯을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외 공기 센서 (38)는 서모스탯 (24A)을 통해 허브 디바이스 (12)에 연결될 수 있고, 실외 적외선 센서 (40A)는 실외 모션 센서 (26B) 등을 통해 허브 디바이스 (12)에 연결될 수 있다.
서모스탯 (24)은 온도 (예컨대, 센서 데이터)를 허브 디바이스 (12)에 직접 무선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서모스탯 (24)은 허브 디바이스 (12)로부터의 지시어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난방, 냉방 또는 환기 시스템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모스탯 (24A)은 온도 데이터를 수집하고, 데이터를 허브 디바이스 (12)에 송신할 수 있다. 허브 디바이스 (12)는 온도 데이터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온도 데이터에 기반하여 각자의 방이 너무 덥거나 너무 춥다고 결정할 수 있으며, 난방 또는 냉방 시스템을 적절하게 활성화하기 위해 서모스탯 (24A)에 명령어를 송신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서모스탯 (24) 각각은 단일 별개의 유닛 내에 센서 디바이스 및 제어가능한 디바이스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 및 실외 모션 센서 (26)는 전자기 신호, 음향 신호, 자기 신호, 진동, 또는 기타 신호와 같은 신호 감지에 기반하여 근처의 모바일 물체의 존재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보안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된 신호는 동일한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신호의 반사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각자의 신호를 감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모션 센서 (26)는 물체의 존재를 나타내는 센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센서 데이터를 허브 디바이스 (12)에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 허브 디바이스 (12)는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 (32)로의 알림과 같은 경보를 출력하거나, 각자의 모션 센서 (26)가 청각적 또는 시각적 경보를 출력하기 위해 명령어를 출력하는 것과 같은 작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예에서, 모션 센서 (26) 각각은 단일 유닛 내에 센서 디바이스 및 제어가능한 디바이스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및/또는 창문 접촉 센서 (28)는 도어 및/또는 창문 접촉 센서 (28)가 설치된 도어 또는 창문의 개방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보안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 센서 (28)는 도어 또는 창문에 설치된 제1 컴포넌트 및 각자의 도어 또는 창문의 프레임에 설치된 제2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컴포넌트가 제2 컴포넌트를 향하거나, 지나거나, 멀어질 때, 접촉 센서 (28)는 도어 또는 창문의 모션을 나타내는 센서 데이터를 생성하고, 센서 데이터를 허브 디바이스 (12)에 무선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허브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 (32)로의 알림과 같은 경보를 출력하거나, 각자의 접촉 센서 (28)가 청각적 또는 시각적 경보를 출력하기 위해 명령어를 출력하는 것과 같은 작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접촉 센서 (28)는 단일 유닛 내에 센서 디바이스 및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벤트 댐퍼 (36)는 덕트 내부의 공기 유동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모스탯 (24)은 에어벤트 댐퍼 (36A)를 닫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방이 점유되어 있지 않을 때). 이 예에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에어벤트 댐퍼 (36)는 에어벤트 댐퍼 (36A)로부터 유동하는 공기를 방지하기 위해 닫힐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에어벤트 댐퍼 (36)는 각자의 에어벤트 댐퍼의 상태(예컨대, 개폐)를 나타내는 센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벤트 댐퍼 (36)는 에어벤트 댐퍼 (36)가 개방 상태에 있다는 표시를 서모스탯 (24)에 출력할 수 있다.
스마트 초인종 (37)은 허브 디바이스 (12)에 알림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초인종 (37)은 스마트 초인종 (37)의 버튼 (예컨대, 초인종)이 활성화될 때 알림 (예컨대, 메시지)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스마트 초인종 (37)은 스마트 초인종 (37) 근처에서 감지된 모션에 응답하여 알림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모션 센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스마트 초인종 (37)은 스마트 초인종 (37) 근처에서 감지된 모션에 응답하여 비디오 콘텐츠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스마트 초인종 (37)은 스마트 초인종 (37) 근처에서 감지된 모션에 응답하여 오디오 콘텐츠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초인종 (37) 근처에서 감지된 모션에 응답하여, 스마트 초인종 (37)은 카메라를 사용하는 비디오 콘텐츠 및/또는 마이크를 사용하는 오디오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스마트 초인종 (37)은 비디오 콘텐츠 및 오디오 콘텐츠를 허브 디바이스 (12)에 출력할 수 있고, 이는 비디오 콘텐츠 및/또는 오디오 콘텐츠를 모바일 디바이스 (32)로 전송할 수 있다.
실외 공기 센서 (38)는 예를 들어, 주변 공기의 온도, 습도 및/또는 품질 (예컨대, 일산화탄소, 입자상 물질, 또는 다른 위험요소)을 나타내는 센서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실외 공기 센서 (38)는 센서 데이터를 허브 디바이스 (12)에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외 공기 센서 (38)는 허브 디바이스 (12)를 통해 서모스탯 (24)에 현재 또는 평균 온도를 주기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실외 수동 적외선 센서 (40)은 물체에서 방출되는 적외선 파장의 전자기파를 감지하는 것에 기반하여 사람과 같은 주변 물체의 존재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보안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파장을 감지한 것에 응답하여, 수동 적외선 센서 (40)는 물체의 존재를 나타내는 센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센서 데이터를 허브 디바이스 (12)에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 허브 디바이스 (12)는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 (32)로의 알림과 같은 경보를 출력하거나, 각자의 수동 적외선 센서 (40)가 청각적 또는 시각적 경보를 출력하기 위해 명령어를 출력하는 것과 같은 작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스템 (20)은 예를 들어, 보안 디바이스, 온수기, 물 유동 컨트롤러, 차고 문 컨트롤러 또는 기타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 (20)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접촉 센서, 모션 수동 적외선 (PIR) 센서, 미니 접촉 센서, 키팝, 연기 감지기, 유리 파손 감지기, 사이렌, 복합 연기 감지기 및 일산화탄소 (CO) 감지기, 실내 사이렌, 홍수 감지기, 충격 감지기, 실외 사이렌, CO 감지기, 웨어러블 의료 펜던트, 웨어러블 패닉 디바이스, 점유 센서, 키패드 및/또는 기타 디바이스.
본 개시내용의 기술에 따르면, 허브 디바이스 (12), 및 서모스탯 (24), 모션 센서 (26), 도어/창문 접촉 센서 (28), 에어벤트 댐퍼 (36), 스마트 초인종 (37), 실외 공기 센서 (38) 및 적외선 센서 (40) 각각이 슈퍼프레임을 사용하여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다양한 예는 제1 프로토콜의 예로서 Wi-Fi™를 사용하고, 제2 프로토콜의 예로서 IEEE 802.15.4를 사용하고, 제3 프로토콜의 예로서 BLUETOOTH를 사용하지만, 일부 예에서는 다른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다. 스마트 초인종 (37)은 단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한 예시적인 센서 디바이스로서 사용되며, 도 2에 예시된 다른 디바이스는 동일한 방식을 포함하여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1 프로토콜, 제2 프로토콜 및 제3 프로토콜은 서로 상이하다. 예를 들어, 제1 프로토콜은 근거리 네트워킹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고/있거나, 제2 프로토콜은 저-전력 무선 연결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고/있거나, 제3 프로토콜은 고-대역폭 연결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로토콜은 Wi-Fi™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2 프로토콜은 IEEE 802.1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프로토콜은 BLUETOOTH를 포함할 수 있다.
허브 디바이스 (12)는 스마트 초인종 (37)을 제1 그룹에 부여할 수 있다. 이 예에서, 허브 디바이스 (12)는 초기 슈퍼프레임 모드에 대해 구성된 초기 슈퍼프레임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 슈퍼프레임 모드는 245 ms 중 101 ms의 제1 BLUETOOTH 시간 슬롯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브 디바이스 (12)는 초기 슈퍼프레임의 시작을 표시하는 비콘을 출력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스마트 초인종 (37)은 BLUETOOTH 프로토콜에 따라 제1 BLUETOOTH 시간 슬롯 동안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스마트 초인종 (37) 근처의 움직임 감지에 응답하여, 스마트 초인종 (37)은 BLUETOOTH 프로토콜에 따라 비디오 콘텐츠가 허브 디바이스 (12)로 전송될 것이라는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 비디오 콘텐츠가 BLUETOOTH 프로토콜에 따라 허브 디바이스 (12)로 전송될 것이라는 표시에 응답하여, 허브 디바이스 (12)는 BLUETOOTH 통신에 141 ms를 할당하는 BLUETOOTH 스트리밍 슈퍼프레임을 선택할 수 있다. 허브 디바이스 (12)는 BLUETOOTH 스트리밍 슈퍼프레임 모드로 구성된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을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에 따른, 허브 디바이스 (12) 및 센서 디바이스 (14)의 개념적 블록도이다. 시스템 (30)은 이전 시스템 (10, 20) 중 임의의 것 또는 다른 시스템의 예일 수 있다. 시스템 (30)은 허브 디바이스(12) 및 센서 디바이스 (14)를 포함한다.
허브 디바이스 (12)는 적어도 사용자 인터페이스 (UI)(320), 메모리 (322), 처리 회로 (PC)(313), 통신 회로 (326)("COMM. CIRCUITRY") 및 전원 (328)을 포함한다. UI (320)는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입력을 수신하거나,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UI (320)는 터치스크린, 키보드, 버튼, 마이크, 스피커, 카메라, 또는 임의의 다른 사용자 입력/출력 디바이스와 같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UI (320)의 다른 예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초기 설정 프로세스 동안, 허브 디바이스 (12)는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 (예컨대, 인식가능한 무선 통신 역량을 갖는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해 로컬 근접성을 "스캔"한 다음, 사용자에 의한 선택을 위해 발견된 디바이스의 목록을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표시하기 위해 출력할 수 있다. UI (320)를 통해, 사용자는 또한 건물 및 주변 가옥 내의 안락 및/또는 보안 시스템을 제어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관리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매개변수를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UI (320)를 통해 액세스 코드 및/또는 승인된 사용자와 같은 하나 이상의 공기 온도 설정 또는 보안 설정을 지정할 수 있다.
허브 디바이스 (12)는 처리 회로 (313)에 의해 실행될 때 허브 디바이스 (12)가 본 개시내용에 따른 하나 이상의 기술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어뿐만 아니라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322)를 포함한다. 통신 회로 (326)는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 안테나와 같은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회로 (326)는 각자의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의 하나 이상의 제약 (예컨대, 통신 범위, 에너지 요구사항 등)에 따라 적절한 경우 IEEE 802.15.4 프로토콜, Wi-Fi™, 및/또는 BLUETOOTH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원 (328)은 허브 디바이스 (12)에 의해 수행되는 에너지-집약적 작동으로 인해 전력 그리드에 대한 유선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예에서, 전원 (328)은 배터리 또는 슈퍼커패시터와 같은 내부 전원을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예에서, 허브 디바이스 (12)는 센서를 생략하지만, 일부 예에서 허브 디바이스 (12)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허브 디바이스 (12)는 중계기 노드로서 구성될 수 있다.
센서 디바이스 (14)는 허브 디바이스 (12)와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센서 디바이스 (14)는 통합된 센서 (330), UI (332), 메모리 (334), 처리 회로 (PC)(315), 통신 회로 (340) 및 전원 (342)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센서 디바이스 (14)는 통합된 센서 디바이스, 예컨대, 비-제한적인 예로서, 모션 센서; 수동 적외선 (PIR) 센서; 공기 온도 및/또는 습도 센서; 공기 품질 (예컨대, 일산화탄소 또는 입자상 물질) 센서; 또는 도어 또는 창문 접촉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 회로 (313)는 무선 연결을 확립하기 위해 제1 무선 프로토콜 또는 제2 무선 프로토콜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무선 프로토콜 선택 모듈 (339)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무선 프로토콜 선택 모듈 (339)은 무선 연결을 확립하기 위해 3개 이상의 무선 프로토콜 중에서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UI (330)는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입력을 수신하거나,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UI (330)는 터치스크린, 키보드, 버튼, 마이크, 스피커, 카메라, 또는 임의의 다른 사용자 입력/출력 디바이스와 같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UI (330)의 다른 예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초기 설정 프로세스 동안, 센서 디바이스 (14)는 하나 이상의 허브 디바이스 및/또는 다른 디바이스 (예컨대, 인식가능한 무선 통신 역량을 갖는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해 로컬 근접성을 "스캔"한 다음, 사용자에 의한 선택을 위해 발견된 디바이스의 목록을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표시하기 위해 출력할 수 있다. UI (330)를 통해, 사용자는 또한 건물 및 주변 가옥 내의 안락 및/또는 보안 시스템을 제어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관리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매개변수를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I (330)를 통해,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공기 온도 설정 (예컨대, 서모스탯에 대한) 또는 보안 설정, 예컨대, 액세스 코드 및/또는 승인된 사용자를 지정할 수 있다. 센서 디바이스 (14)는 처리 회로 (315)에 의해 실행될 때 센서 디바이스 (14)가 본 개시내용에 따른 하나 이상의 기술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어뿐만 아니라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334)를 포함한다.
처리 회로 (315) 및 허브 디바이스 (12)는 BLUETOOTH 채널을 페어링하기 위해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회로 (315)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을 결정 (예컨대, 허브 디바이스 (12)로부터 수신하거나, 허브 디바이스 (12)로의 출력을 위해 생성)할 수 있다: (1) 호스트 디바이스 (22)의 매체 액세스 제어 (MAC) 주소 및 서모스탯 (24A)의 MAC 주소; (2) 전송이 시작되는 실시간 시점 (또는 802.15.4 시작 명령으로부터의 오프셋); (3) 시작 주파수의 표시; (4) 홉 세트의 표시; (5) 연결 간격; 또는 (6) 연결 대기 시간.
예를 들어, 처리 회로 (315) 및 허브 디바이스 (12)는 디바이스 (12)에 대한 MAC 주소 및 센서 디바이스 (14)에 대한 MAC 주소를 교환할 수 있다. 이 예에서, 통신 회로 (326) 및 통신 회로 (340)는 허브 디바이스 (12)에 대한 MAC 주소 및 센서 디바이스 (14)에 대한 MAC 주소 사이에 BLUETOOTH 채널을 확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프로세싱 회로 (315) 및 허브 디바이스 (12)는 BLUETOOTH 채널을 확립하기 위해 특정 시간의 표시를 교환할 수 있다. 이 예에서, 통신 회로 (326) 및 통신 회로 (340)는 특정 시간에서 허브 디바이스 (12) 및 센서 디바이스 (14) 사이에 BLUETOOTH 채널을 확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회로 (315) 및 허브 디바이스 (12)는 BLUETOOTH 채널을 확립하기 위해 시작 주파수의 표시를 교환할 수 있다. 이 예에서, 통신 회로 (326) 및 통신 회로 (340)는 시작 주파수에서 허브 디바이스 (12) 및 센서 디바이스 (14) 사이에 BLUETOOTH 채널을 확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브 디바이스 (12) 및 센서 디바이스 (14) 사이의 BLUETOOTH 채널은 2 MHz로 분리된 40개의 1 MHz 광역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시작 주파수는 특정 1 MHz 광역 채널 (예컨대, 채널 0, 1, . . . 39)의 표시일 수 있고, 통신 회로 (326) 및 통신 회로 (340)는 특정 1 MHz 폭 채널에서 허브 디바이스 (12) 및 센서 디바이스 (14) 사이에 BLUETOOTH 채널을 확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BLUETOOTH 채널의 BLUETOOTH 채널의 다양한 주파수는 서로 약간 상이하지만, 모두 슈퍼프레임 (예컨대, 2.4 GHz)에 대한 주파수에 상응할 수 있다.
처리 회로 (315) 및 허브 디바이스 (12)는 BLUETOOTH 채널에 대한 홉 세트의 표시를 교환할 수 있고, 홉 세트는 주파수의 시퀀스를 표시한다. 이 예에서, 통신 회로 (326) 및 통신 회로 (340)는 주파수 시퀀스에서 작동하도록 허브 디바이스 (12) 및 센서 디바이스 (14) 사이에 BLUETOOTH 채널을 확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브 디바이스 (12) 및 센서 디바이스 (14) 사이의 BLUETOOTH 채널은 2 MHz로 분리된 40개의 1 MHz 광역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주파수의 시퀀스는 1 MHz의 광역 채널 (예컨대, 채널 0, 1, . . . 39) 사이를 스위칭하기 위한 순서의 표시일 수 있으며, 통신 회로 (326) 및 통신 회로 (340)는 1 MHz 광역 채널 간의 스위칭 순서에 따라 1 MHz 광역 채널을 선택하는 센서 디바이스 (14) 및 허브 디바이스 (12) 사이에 BLUETOOTH 채널을 확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처리 회로 (315) 및 허브 디바이스 (12)는 BLUETOOTH 채널에 대한 연결 간격의 표시를 교환할 수 있다. 이 예에서, 통신 회로 (326) 및 통신 회로 (340)는 허브 디바이스(12) 및 센서 디바이스 (14) 사이에 BLUETOOTH 채널을 확립하여 연결 간격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브 디바이스 (12) 및 센서 디바이스 (14) 사이의 BLUETOOTH 채널에서 임의의 시간으로 데이터를 교환하는 대신, 허브 디바이스 (12) 및 센서 디바이스 (14) 사이의 BLUETOOTH 채널은 연결 간격으로 허브 디바이스 (12) 및 센서 디바이스 (14) 사이의 BLUETOOTH 채널에서 데이터 전달을 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처리 회로 (315) 및 허브 디바이스 (12)는 BLUETOOTH 채널에 대한 연결 대기 시간의 표시를 교환할 수 있다. 이 예에서, 통신 회로 (326) 및 통신 회로 (340)는 허브 디바이스(12) 및 센서 디바이스 (14) 사이에 BLUETOOTH 채널을 확립하여 연결 대기 시간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브 디바이스 (12) 및 센서 디바이스 (14) 사이의 BLUETOOTH 채널에서 임의의 시간 또는 연결 간격으로 데이터를 교환하는 대신, 허브 디바이스 (12) 및 센서 디바이스 (14) 사이의 BLUETOOTH 채널은 센서 디바이스 (14) 또는 허브 디바이스 (12)의 대기 시간 간격으로 허브 디바이스 (12) 및 센서 디바이스 (14) 사이의 BLUETOOTH 채널에서 데이터 전달을 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대기 시간 간격은 센서 디바이스 (14) 및/또는 허브 디바이스 (12)의 무선 장치가 (연결 간격에서 더 나아가) 데이터를 청취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 선택될 수 있으며, 이는 대기 시간 간격을 생략하거나 제로 대기 시간 간격을 사용하는 시스템과 비교하여 센서 디바이스 (14) 및/또는 허브 디바이스 (12)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처리 회로 (315) 및 허브 디바이스 (12)는 센서 디바이스 (14)에서 복수의 안테나에 대한 안테나 정보의 표시를 교환할 수 있다. 이 예에서, 통신 회로 (326) 및 통신 회로 (340)는 안테나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특정 안테나를 선택하고 특정 안테나를 사용하여 허브 디바이스 (12) 및 센서 디바이스 (14) 사이에 BLUETOOTH 채널을 확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허브 디바이스 (12) 및 센서 디바이스 (14)는 슈퍼프레임을 사용하여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디바이스 (14)는 등록 신호를 허브 디바이스 (12)에 출력할 수 있다. 허브 디바이스 (12)는 센서 디바이스 (14)에 그룹 번호를 부여하고, 그룹 번호의 표시를 센서 디바이스 (14)에 출력할 수 있다. 이어서, 허브 디바이스 (12)는 슈퍼프레임을 사용하여 통신의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브 디바이스 (12)는 비콘을 사용하여 슈퍼프레임의 시작을 지정할 수 있고, 슈퍼프레임에 부여된 그룹을 지정함으로써 통신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식별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센서 디바이스 (14)는 데이터를 출력할 때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디바이스 (14)는 센서 디바이스 (14)에 부여된 그룹 번호를 나타내는 허브 디바이스 (12)에 의해 출력된 비콘에 응답하여, 슈퍼프레임에 따라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슈퍼프레임 선택 모듈 (339)은 슈퍼프레임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슈퍼프레임 선택 모듈 (339)은 허브 디바이스 (12)에 의해 수신된 구성 데이터에 기반하여 슈퍼프레임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슈퍼프레임 선택 모듈 (339)은 슈퍼프레임 선택 모듈 (339)이 허브 디바이스 (12)가 북미 지역에 배열되어 있다고 결정할 때 북미 지역에 대한 슈퍼프레임 모드의 세트를 선택할 수 있다. 유사하게, 슈퍼프레임 선택 모듈 (339)은 슈퍼프레임 선택 모듈(339)이 허브 디바이스 (12)가 유럽 지역에 배열되어 있다고 결정할 때 유럽 지역에 대한 슈퍼프레임 모드의 세트를 선택할 수 있다.
슈퍼프레임 선택 모듈 (339)은 시스템 (30)의 작동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슈퍼프레임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슈퍼프레임 선택 모듈 (339)은 센서 디바이스 (14)가 BLUETOOTH를 사용하여 허브 디바이스 (12)와 페어링 (예컨대, MAC 주소, 채널 홉 세트 등을 교환)하려고 시도하고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슈퍼프레임 선택 모듈 (339)은 BLUETOOTH 통신에 추가적인 시간을 할당하는 슈퍼프레임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페어링을 위해 BLUETOOTH에 추가적인 시간을 할당하면 페어링 작동이 성공할 가능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슈퍼프레임 선택 모듈 (339)은 시스템 (30)의 신뢰성 및 작동을 개선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슈퍼프레임 선택 모듈 (339)은 센서 디바이스 (14)가 BLUETOOTH를 사용하여 고 대역폭 데이터 (예컨대,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콘텐츠)를 허브 디바이스 (12)에 전송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슈퍼프레임 선택 모듈 (339)은 BLUETOOTH 통신에 추가적인 시간을 할당하는 슈퍼프레임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콘텐츠를 위해 BLUETOOTH에 추가적인 시간을 할당하면 시스템 (30)의 대역폭이 개선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에 따른, 슈퍼프레임 모드에 대한 슬롯의 제1 예의 개념적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슈퍼프레임 (400)은 비콘 슬롯 (450A)("BCN 450A") 및 재송신 슬롯 (450B)("ReTx")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비콘 슬롯 A (450)로서 본원에서 집합적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슬롯의 순서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타이밍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슈퍼프레임 (400)은 245 ms보다 짧거나 245 ms보다 길 수 있다. 슈퍼프레임 (400)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슈퍼프레임은 상이한 슬롯들을 포함할 수 있고/있거나 (예컨대, 하나 이상의 슬롯이 제거될 수 있고/있거나 하나 이상의 슬롯이 추가될 수 있음), 슈퍼프레임 (400)과 상이한 폭 (예컨대, 상이한 지속기간)의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비콘 슬롯 (450A)은 슈퍼프레임 (400)의 시작을 표시할 수 있다. 비콘 슬롯 (450A)은 조정자 (예컨대, 허브 디바이스 (12))에 동기화하기 위해 모든 엔드 디바이스 (예컨대, 센서 디바이스 (14))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스템의 모든 디바이스는 조정자 (예컨대, 허브 디바이스 (12))의 마스터 클록에 동기화하여, 시간 동기화된 네트워킹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다. 비콘 슬롯 (450A)은 시스템 상태를 이해하고, 명령어에 응답하기 위해 엔드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정보, 또는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비콘 슬롯 (450A)의 지속기간은 5 ms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비콘 슬롯 (450A) 및 재송신 슬롯 (450B)의 순서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다. 비콘 슬롯 A (450)는 추가적인 또는 더 적은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비콘 슬롯 (450A)의 타이밍은 5 ms 미만 또는 5 ms 초과일 수 있다.
재송신 슬롯 (450B)은 조정자 (예컨대, 허브 디바이스 (12))와 연관되어 시스템 (10), 시스템 (20), 시스템 (30) 또는 다른 시스템과 같은 개인 영역 네트워크 (PAN)의 일부가 되는 새로운 (예컨대, 미-등록된) 디바이스에 사용될 수 있다. 등록 모드가 손상되면, 이전 슈퍼프레임 그룹의 엔드 디바이스는 재송신을 시도하기 위해 재송신 (450B)을 사용할 수 있습다. 재송신 슬롯 (450B)의 지속기간은 5 ms일 수 있다.
15.4 슬롯 (452 및 456)은 IEEE 802.15.4와 호환되는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예에서, 슈퍼프레임에는 최대 2 또는 4개의 15.4 슬롯이 있을 수 있지만, 다른 예에서는 다른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각각의 슬롯은 예를 들어, 2 ms, 4 ms, 5, ms 등의 지속기간을 포함하는 서브-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엔드 디바이스 (예컨대, 센서 디바이스 (14))는 경보 메시지, 상태 메시지, Redlink™ 네트워크 프로토콜 (RNP) 메시지, 감독 메시지 또는 기타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15.4 슬롯 (452 및 456)을 사용할 수 있다. 15.4 슬롯 (452) 및 15.4 슬롯 (456) 시간 세그먼트 각각의 총 지속기간은 예를 들어, 32 ms 또는 64 ms일 수 있다. 사용되는 15.4 슬롯 (452, 456)에 대한 매체 액세스 프로토콜은 TDMA일 수 있다. 센서 디바이스가 15.4 슬롯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 허브 디바이스 (12)는 15.4 슬롯을 Wi-Fi™ 또는 BLUETOOTH에 할당할 수 있다.
동적 Wi-Fi™ BLUETOOTH 슬롯 (454)("DYNAMIC Wi-FI™/BT 454") 및 동적 Wi-Fi™ BLUETOOTH 슬롯 (458)("DYNAMIC Wi-FI™/BT 458")은 Wi-Fi™ 공존 시간 세그먼트로서 본원에 지칭될 수 있다. Wi-Fi™ 시간 세그먼트는 상이한 유형의 네트워크 패킷을 송신하기 위해 서모스탯 디바이스에 장착된 Wi-Fi™ 모듈에서 사용할 수 있다. 동적 Wi-Fi™ BLUETOOTH 슬롯 (454, 458)은 서모스탯 디바이스에서 중앙 모니터링 스테이션으로의 경보 메시지, 하나의 Wi-Fi™ 클라이언트 (예컨대, 카메라 또는 비디오 지원 센서 비디오/이미지)에서 다른 클라이언트 (예컨대, GUI 기반 터치 스크린/클라우드 등)로의 비디오 스트리밍 패킷을 포함할 수 있다. Wi-Fi™는 (a) Wi-Fi™ 클라이언트, (b) Wi-Fi™ -AP, (c) Wi-Fi™-하이브리드와 같은 상이한 모드에서 작동할 수 있다. Wi-Fi™ 슬롯은 동적일 수 있으며, 이러한 슬롯은 슈퍼프레임의 상이한 모드에 따라 BLUETOOTH 또는 Wi-Fi™에 공유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동적 Wi-Fi™ BLUETOOTH 슬롯 (454) 및 동적 Wi-Fi™ BLUETOOTH 슬롯 (458)은 40 ms일 수 있다.
빅 TX/RX 슬롯 (460A)("빅 Tx 460A"), 상태 슬롯 (460B), 중계기 슬롯 (460C)("REP 460C") 및 트윈 비콘 슬롯 (460D)("TW BCN 460D")은 비콘 슬롯 B (460)로서 본원에 집합적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빅 TX/RX 슬롯 (460A), 상태 슬롯 (460B), 중계기 슬롯 (460C) 및 트윈 비콘 슬롯 (460D)의 순서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다. 비콘 슬롯 B (460)는 추가적인 또는 더 적은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빅 TX/RX 슬롯 (460A)은 각각 10바이트 초과이고 최대 96바이트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대형 데이터 송신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 (예컨대, 허브 디바이스 (12))는 이 슬롯을 사용하여 임의의 디바이스에 임의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는 요청 유형에 따라 유니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또는 그룹캐스트가 될 수 있다. 이 통신 모드는 비콘 A 슬롯 (450)에 표시될 수 있다. 빅 TX/RX 슬롯 (460A)을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한 다운로드 (OND) 블록을 센서 디바이스로 전송하거나 센서 디바이스 구성을 설정할 수 있다. TX/RX 슬롯 (460A)이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 허브 디바이스 (12)는 Wi-Fi™ 통신을 위한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해 TX/RX 슬롯 (460A)에 대한 시간을 Wi-Fi™에 할당할 수 있다.
상태 슬롯 (450B)은 센서 디바이스 (14)의 일부 또는 전부와 상태를 공유할 수 있다. 상태 슬롯 (450B)은 슈퍼프레임의 모든 경우에서 활성화되지 않을 수 있다. 상태 슬롯 (450B)은 요청의 유형에 따라 유니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또는 그룹캐스트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통신 모드는 비컨 A 슬롯 (450)에 표시될 수 있다.
중계기 슬롯 (460C)은 대형/소형 데이터의 중계기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 (예컨대, 허브 디바이스 (12))는 중계기 슬롯 (460C)을 사용하여 임의의 데이터를 임의의 중계기로 전송할 수 있다. 중계기 슬롯 (460C)에 포함된 데이터는 요청 유형에 따라 유니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또는 그룹캐스트가 될 수 있다. 이 통신 모드는 비컨 A 슬롯 (450)에 표시될 수 있다.
트윈 비콘 슬롯 (460D)은 정보 비콘/트윈 비콘으로 불릴 수 있다. 트윈 비콘 (460D)의 페이로드는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는 비콘 슬롯 (450A)과 거의 동일할 수 있지만, 정보 채널로서 본원에 지칭된 상이한 채널에서 작동할 수 있다. 트윈 비콘 슬롯 (460D)은 작동 모드에 관계없이 모든 슈퍼프레임에 존재할 수 있다. 트윈 비콘 슬롯 (460D)은 비콘 슬롯 (450A)을 사용하는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결이 끊어진 경우에만 조정자와 동기화하기 위해 모든 엔드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트윈 비콘 슬롯 (460D)은 시간 동기화를 위해 사용되지 않을 수 있지만, 작동 채널 또는 주파수 호핑 시퀀스 또는 통신의 다음 채널이 무엇인지와 같은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트윈 비콘 슬롯 (460D)의 지속기간은 5 ms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트윈 비콘 슬롯 (460D)의 타이밍은 5 ms 미만 또는 5 ms 초과일 수 있다.
동적 BLUETOOTH 슬롯 (462)은 액세스 포인트 (예컨대, 허브 장치 (12))에 의해 BLUETOOTH 전용일 수 있다. 동적 BLUETOOTH 슬롯 (462)은 모바일 및 센서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동적 BLUETOOTH 슬롯 (462)의 할당은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안락/보안 슈퍼프레임의 상이한 모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동적 BLUETOOTH 슬롯 (462)은 101 ms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동적 BLUETOOTH 슬롯 (462)의 타이밍은 101 ms 미만 또는 101 ms 초과일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에 따른, 예시적인 제1 슈퍼프레임 모드의 개념적 블록도이다. 슈퍼프레임 (470)은 컴포트 슈퍼프레임 모드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슈퍼프레임 (470)은 최대 64개의 디바이스를 지원하고 4 ms의 슬롯으로 각각의 802.15.4 디바이스 (예컨대, 경보)를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의 예에서, 컴포트 슈퍼프레임 모드는 15.4 슬롯 (452 및 456)을 IEEE 802.15.4에 할당하고, 동적 Wi-Fi™ BLUETOOTH 슬롯 (454, 458)을 Wi-Fi™에, 동적 BLUETOOTH 슬롯 (462)을 BLUETOOTH에 할당한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에 따른, 예시적인 제2 슈퍼프레임 모드의 개념적 블록도이다. 슈퍼프레임 (472)은 BLUETOOTH 고 대역폭 슈퍼프레임 모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예에서, BLUETOOTH 고 대역폭 슈퍼프레임 모드로 구성된 슈퍼프레임 (472)은 동적 Wi-Fi™ BLUETOOTH 슬롯 (454)을 사용하여 Wi-Fi™로부터 BLUETOOTH로 추가 40 ms 시간 슬롯을 할당하여, 고 대역폭 날짜 (예컨대,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더 많은 시간을 BLUETOOTH에 제공하여, BLUETOOTH의 대역폭을 개선할 수 있다. IEEE 802.15.4에는 영향이 없을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BLUETOOTH 고 대역폭 슈퍼프레임 모드는 15.4 슬롯 (452 및 456)을 IEEE 802.15.4에 할당하고, 동적 Wi-Fi™ BLUETOOTH 슬롯 (454)을 Wi-FI™에 할당하고, 동적 Wi-Fi™ BLUETOOTH 슬롯 (454)을 BLUETOOTH에 할당하고, BLUETOOTH 슬롯 (462)을 BLUETOOTH에 할당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허브 디바이스 (12)는 최대 10초 동안 BLUETOOTH 고 대역폭 슈퍼프레임 모드에 대해 구성된 슈퍼프레임 (472)을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처리 회로 (15)는 도 5의 컴포트 슈퍼프레임 모드에 대해 구성된 슈퍼프레임 (470)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처리 회로 (15)는 센서 디바이스 (14)의 디바이스가 제3 프로토콜 (예컨대, BLUETOOTH)을 사용하여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콘텐츠를 출력할 것이라는 결정에 응답하여 대역폭의 변화를 결정할 수 있다. 대역폭의 변화를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처리 회로 (15)는 BLUETOOTH 고 대역폭 슈퍼프레임 모드로 구성된 슈퍼프레임 (472)을 선택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슈퍼프레임 (470)은 동적 슬롯 (예컨대, 동적 Wi-Fi™ BLUETOOTH 슬롯 (458))을 제1 프로토콜 (예컨대, Wi-Fi™)에 할당할 수 있고 슈퍼프레임 (472)은 동적 슬롯 (예컨대, 동적 Wi-Fi™ BLUETOOTH 슬롯 (458))을 제3 프로토콜 (예컨대, BLUETOOTH)에 할당한다. 슈퍼프레임 (470)은 제2 프로토콜 (예컨대, IEEE 802.15.4)보다 제1 프로토콜 (예컨대, Wi-Fi™)에 더 많은 대역폭을 할당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슈퍼프레임 (472)은 제1 프로토콜 (예컨대, Wi-Fi™)보다 제2 프로토콜 (예컨대, IEEE 802.15.4)에 더 많은 대역폭을 할당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에 따른, 예시적인 제3 슈퍼프레임 모드의 개념적 블록도이다. 슈퍼프레임 (474)은 컴포트 상호 배타적인 BLUETOOTH 페어링 슈퍼프레임 모드로 구성될 수 있다. 컴포트 상호 배타적인 BLUETOOTH 페어링 슈퍼프레임 모드는 동적 Wi-Fi™ BLUETOOTH 슬롯 (454) 및 15.4 슬롯 (452 및 456)을 사용하여 Wi-Fi™ 및 15.4로부터 BLUETOOTH로 추가 72 ms (12 ms + 20 ms + 40 ms)를 할당하여, BLUETOOTH에 더 많은 시간을 제공하여, BLUETOOTH 페어링의 성공률을 개선할 수 있다. 이 슈퍼프레임 모드는 15.4 센서 수신 슬롯이 BLUETOOTH에 따라 활성화되지 않기 때문에 "상호 배타적"으로서 본원에 지칭될 수 있다. 대부분의 시간 동안 BLUETOOTH만 활성화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컴포트 상호 배타적인 BLUETOOTH 페어링 슈퍼프레임 모드는 15.4 슬롯 (452 및 456)을 BLUETOOTH에, 동적 Wi-Fi™ BLUETOOTH 슬롯 (454)을 Wi-FI™에, 동적 Wi-Fi™ BLUETOOTH 슬롯 (458)을 BLUETOOTH에, 동적 BLUETOOTH 슬롯 (462)을 BLUETOOTH에 할당한다. 일부 예에서, 허브 디바이스 (12)는 최대 3 내지 4초 (예컨대, 12개의 슈퍼프레임, 슈퍼프레임당 204 ms) 동안 컴포트 상호 배타적인 BLUETOOTH 페어링 슈퍼프레임 모드를 위해 구성된 슈퍼프레임 (474)을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처리 회로 (15)는 도 5의 컴포트 슈퍼프레임 모드에 대해 구성된 슈퍼프레임 (470)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처리 회로 (15)는 센서 디바이스 (14)의 디바이스가 제3 프로토콜 (예컨대, BLUETOOTH)을 사용하여 허브 디바이스 (12)와 페어링되어야 한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대역폭의 변화를 결정할 수 있다. 대역폭의 변화를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처리 회로 (15)는 상호 배타적인 BLUETOOTH 페어링 슈퍼프레임 모드로 구성된 슈퍼프레임 (474)을 선택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슈퍼프레임 (470)은 동적 슬롯 (예컨대, 동적 Wi-Fi™ BLUETOOTH 슬롯 (458))을 제1 프로토콜 (예컨대, Wi-Fi™)에 할당하고, 하나 이상의 제2 프로토콜 슬롯 (예컨대, 15.4 슬롯 (452 및 456))을 제2 프로토콜 (예컨대, IEEE 802.15.4)에 할당한다. 이 예에서, 슈퍼프레임 (476)은 동적 슬롯 (예컨대, 동적 Wi-Fi™ BLUETOOTH 슬롯 (458))을 제3 프로토콜 (예컨대, BLUETOOTH)에 할당하고, 하나 이상의 제2 프로토콜 슬롯 (예컨대, 15.4 슬롯 (452 및 456))을 제3 프로토콜 (예컨대, BLUETOOTH)에 할당한다. 이 예에서, 슈퍼프레임 (474)은 제2 프로토콜 (예컨대, IEEE 802.15.4)에 대역폭을 할당하지 않는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에 따른, 예시적인 제4 슈퍼프레임 모드의 개념적 블록도이다. 슈퍼프레임 (476)은 컴포트 비-상호 배타적인 BLUETOOTH 페어링 슈퍼프레임 모드로 구성될 수 있다. 컴포트 비-상호 배타적인 BLUETOOTH 페어링 슈퍼프레임 모드는 동적 Wi-Fi™ BLUETOOTH 슬롯 (454)을 사용하여 Wi-Fi™로부터 BLUETOOTH로 추가 40 ms를 할당하여, 페어링하는 동안 BLUETOOTH에 더 많은 시간을 제공하여, BLUETOOTH 페어링의 성공률을 개선할 수 있다. 이 슈퍼프레임 모드는 15.4 센서 수신 슬롯이 BLUETOOTH에 따라 활성화되기 때문에 "비-상호 배타적"으로서 본원에 지칭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컴포트 상호 배타적인 BLUETOOTH 페어링 슈퍼프레임 모드는 15.4 슬롯 (452 및 456)을 IEEE 802.15.4에 할당하고, 동적 Wi-Fi™ BLUETOOTH 슬롯 (454)을 Wi-FI™에 할당하고, 동적 Wi-Fi™ BLUETOOTH 슬롯 (454)을 BLUETOOTH에 할당하고, 동적 BLUETOOTH 슬롯 (462)을 BLUETOOTH에 할당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허브 디바이스 (12)는 최대 3 내지 4초 (예컨대, 12개의 슈퍼프레임, 슈퍼프레임당 204 ms) 동안 컴포트 비-상호 배타적인 BLUETOOTH 페어링 슈퍼프레임 모드에 대해 구성된 슈퍼프레임 (476)을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처리 회로 (15)는 도 5의 컴포트 슈퍼프레임 모드에 대해 구성된 슈퍼프레임 (470)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처리 회로 (15)는 센서 디바이스 (14)의 디바이스가 제3 프로토콜 (예컨대, BLUETOOTH)을 사용하여 허브 디바이스 (12)와 페어링되어야 한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대역폭의 변화를 결정할 수 있다. 대역폭의 변화를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처리 회로 (15)는 BLUETOOTH 고 대역폭 슈퍼프레임 모드로 구성된 슈퍼프레임 (476)을 선택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슈퍼프레임 (470)은 동적 슬롯 (예컨대, 동적 Wi-Fi™ BLUETOOTH 슬롯 (458))을 제1 프로토콜 (예컨대, Wi-Fi™)에 할당하고, 슈퍼프레임 (476)은 동적 슬롯 (예컨대, 동적 Wi-Fi™ BLUETOOTH 슬롯 (458))을 제3 프로토콜 (예컨대, BLUETOOTH)에 할당한다. 슈퍼프레임 (470)은 제2 프로토콜 (예컨대, IEEE 802.15.4)보다 제1 프로토콜 (예컨대, Wi-Fi™)에 더 많은 대역폭을 할당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슈퍼프레임 (476)은 제1 프로토콜 (예컨대, Wi-Fi™)보다 제2 프로토콜 (예컨대, IEEE 802.15.4)에 더 많은 대역폭을 할당한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에 따른, 예시적인 제5 슈퍼프레임 모드의 개념적 블록도이다. 슈퍼프레임 (478)은 Wi-Fi™ 고 대역폭 슈퍼프레임 모드로 구성될 수 있다. Wi-Fi™ 고 대역폭 슈퍼프레임 모드는 BLUETOOTH에서 추가로 101 ms를 할당할 수 있다. 허브 디바이스 (12)는 큰 Wi-Fi™ 데이터 교환을 수용하기 위해 Wi-Fi™ 고 대역폭 슈퍼프레임 모드로 구성된 슈퍼프레임 (478)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브 디바이스 (12)는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최신 시스템 이미지를 얻고 BLUETOOTH 통신보다 더 중요한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수용하기 위해 Wi-Fi™ 고 대역폭 슈퍼프레임 모드로 구성된 슈퍼프레임 (478)을 사용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Wi-Fi™ 고 대역폭 슈퍼프레임 모드는 15.4 슬롯 (452 및 456)을 IEEE 802.15.4에 할당하고, 동적 Wi-Fi™ BLUETOOTH 슬롯 (454, 458)을 Wi-FI™에 할당하고, 동적 BLUETOOTH 슬롯 (462)을 Wi-FI™에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처리 회로 (15)는 도 5의 컴포트 슈퍼프레임 모드에 대해 구성된 슈퍼프레임 (470)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처리 회로 (15)는 제1 프로토콜 (예컨대, Wi-Fi™)을 사용한 데이터 송신에 응답하여 대역폭의 변화가 임계치 (예컨대, 미리구성된 임계치, 미리결정된 임계치 등)을 초과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대역폭의 변화를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처리 회로 (15)는 Wi-Fi™ 고 대역폭 슈퍼프레임 모드로 구성된 슈퍼프레임 (478)을 선택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슈퍼프레임 (470)은 제3 프로토콜 슬롯 (예컨대, 동적 BLUETOOTH 슬롯 (462))을 제3 프로토콜 (예컨대, BLUETOOTH)에 할당하고, 슈퍼프레임 (478)은 제3 프로토콜 슬롯 (예컨대, 동적 BLUETOOTH 슬롯 (462))을 제1 프로토콜 (예컨대, Wi-Fi™)에 할당한다. 슈퍼프레임 (470)은 제1 프로토콜 (예컨대, Wi-Fi™)보다 제3 프로토콜 (예컨대, BLUETOOTH)에 더 많은 대역폭을 할당할 수 있고, 슈퍼프레임 (478)은 제2 프로토콜보다 제3 프로토콜에 더 많은 대역폭을 할당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슈퍼프레임 (470)은 제1 프로토콜보다 제3 프로토콜에 더 적은 대역폭을 할당할 수 있고, 슈퍼프레임 (478)은 제2 프로토콜보다 제3 프로토콜에 더 적은 대역폭을 할당할 수 있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표 1
표 1은 도 5-9의 예에 대한 대역폭 할당을 예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에 따른, 슈퍼프레임 모드를 위한 확장 슬롯 (582)의 개념적 블록도이다. 이 예에서, 슈퍼프레임 (580)의 BLUETOOTH 슬롯은 15.4 비콘으로부터 동기화될 수 있다. 15.4 비콘으로부터의 144 ms에서, BLUETOOTH 슬롯은 다음 비콘 슬롯 바로 전에 시작하고 끝날 수 있다. BLUETOOTH 슬롯팅은 고정된 BLUETOOTH 슬롯 (586) 및 확장 BLUETOOTH 슬롯 (582)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된 BLUETOOTH 슬롯 (586)(예컨대, 101 ms 너비)은 BLUETOOTH에 대한 모든 슈퍼프레임에 할당될 수 있다. 고정된 BLUETOOTH 슬롯 (586)은 연결 이벤트, 데이터 교환, 이동 통신, BLUETOOTH 중계기 모드 통신, 확장된 광고 모드를 사용하는 보안 시스템 통신에 대한 컴포트 시스템, 또는 다른 프로세스에 사용될 수 있다. 연결 이벤트 시간 초과, 감독 시간 초과의 상이한 조합으로 인해 다중 슈퍼프레임에 걸쳐 다중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스템 (예컨대, 시스템 (10, 20, 30) 등)은 BLUETOOTH를 통해 최대 6개의 주변기기, 2개의 모바일 디바이스 및 하나의 상이한 시스템 통신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확장 BLUETOOTH 슬롯 (582)(예컨대, 40 ms 너비)은 예를 들어, 오디오/비디오 송신과 같이 고 데이터 송신이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에만 BLUETOOTH 통신에 추가될 수 있다. 센서 디바이스 (예컨대, 센서 장치 (14))가 확장 BLUETOOTH 슬롯 (582)을 인식하면, 센서 디바이스는 확장 BLUETOOTH 슬롯 (582)을 사용하여 오디오/비디오 전송을 시작할 것이다.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에 따른, 슈퍼프레임 모드를 위한 슬롯의 제2 예의 개념적 블록도이다. 이 예에서, 슈퍼프레임 (1100)은 빅 TX/RX 슬롯 (460A)("빅 Tx 460A")이 비콘 슬롯 B (460)의 시작 부분에 배열되고, 트윈 비콘 슬롯 (460D)이 뒤따르고, 중계기 슬롯 (460C)이 뒤따르고, 상태 슬롯 (460B)이 뒤따르는 슈퍼프레임 모드로 구성된다. 도 11에 도시된 슬롯의 순서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타이밍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슈퍼프레임 (1100)은 245 ms보다 짧거나 245 ms보다 길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에 따른, 슈퍼프레임 모드를 위한 슬롯의 제3 예의 개념적 블록도이다. 이 예에서, 슈퍼프레임 (1200)은 트윈 비콘 슬롯 (460D)이 비콘 슬롯 B (460)의 시작 부분에 배열되고, 빅 TX/RX 슬롯 (460A)(빅 Rx 슬롯 (460E) 및 빅 Tx 슬롯 (460A)으로 분할됨)이 뒤따르고, 중계기 슬롯 (460C)이 뒤따르고, 상태 슬롯 (460B)(상태 Rx 슬롯 (460F) 및 상태 Tx 슬롯 (460G)으로 분할됨)이 뒤따르는 슈퍼프레임 모드로 구성된다. 도 12에 도시된 슬롯의 순서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다. 도 12에 도시된 타이밍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슈퍼프레임 (1200)은 245 ms보다 짧거나 245 ms보다 길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에 따른, 예시적인 제6 슈퍼프레임 모드의 개념적 블록도이다. 슈퍼프레임 (1300)은 일반 보안 슈퍼프레임 모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예에서, Wi-Fi™, BLUETOOTH 및 IEEE 802.15.4를 할당하여 최대 128개의 디바이스 및 경보 슬롯을 지원하는 일반 보안 슈퍼프레임 모드로 구성된 슈퍼프레임 (1300)은 2 ms만큼 작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보안 슈퍼프레임 모드는 15.4 슬롯 (452, 456 및 457)을 IEEE 802.15.4에 할당하고, 동적 Wi-Fi™ BLUETOOTH 슬롯 (454, 458)을 Wi-FI™에 할당하고, 동적 BLUETOOTH 슬롯 (467, 468)을 Wi-FI™에 할당한다.
일부 예에서, 허브 디바이스 (12)는 보안 OFF 칩 BLUETOOTH 페어링 모드에 대해 구성될 수 있다. 이 모드에서, BLUETOOTH 및 IEEE 802.15.4는 상이한 칩 상에 있고, Wi-Fi™는 외부 칩에서 구현될 수 있다. BLUETOOTH 페어링 모드 동안, 허브 디바이스 (12)는 공존 라인을 통해 표시하는 다목적 입력/출력 (GPIO) 인터페이스를 통해 Wi-Fi™ 슬롯을 BLUETOOTH에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처리 회로 (15)는 도 5의 컴포트 슈퍼프레임 모드에 대해 구성된 슈퍼프레임 (470)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처리 회로 (15)는 64개 초과의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경보 시스템의 등록에 응답하여, 대역폭의 변화를 결정할 수 있다. 대역폭의 변화를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처리 회로 (15)는 정상 보안 슈퍼프레임 모드로 구성된 슈퍼프레임 (1300)을 선택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슈퍼프레임 (470)은 동적 슬롯 (예컨대, 동적 BLUETOOTH 슬롯 (462))을 제3 프로토콜 (예컨대, BLUETOOTH)을 할당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슈퍼프레임 (1300)은 동적 슬롯을 제1 프로토콜 (예컨대, Wi-Fi™)에 할당된 제1 서브-슬롯 (예컨대, 동적 BLUETOOTH 슬롯 (467) 및/또는동적 BLUETOOTH 슬롯 (468)) 및 제2 프로토콜에 할당된 제2 서브-슬롯 (예컨대, 15.4 슬롯 (457))으로 분할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에 따른, 예시적인 제7 슈퍼프레임 모드의 개념적 블록도이다. 이 예에서, Wi-Fi™, BLUETOOTH 및 IEEE 802.15.4를 할당하여 최대 128개의 디바이스 및 경보 슬롯을 지원하는 보안 ON 칩 Bluetooth 페어링 슈퍼프레임 모드로 구성된 슈퍼프레임 (1400)은 2 ms만큼 작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안 ON 칩 Bluetooth 페어링 슈퍼프레임 모드는 15.4 슬롯 (452, 456 및 457)을 IEEE 802.15.4에 할당하고, 동적 Wi-Fi™ BLUETOOTH 슬롯 (454, 458)을 Wi-FI™에 할당하고, 동적 BLUETOOTH 슬롯 (467, 468)을 BLUETOOTH에 할당한다.
예를 들어, 도 1의 처리 회로 (15)는 도 5의 컴포트 슈퍼프레임 모드에 대해 구성된 슈퍼프레임 (470)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처리 회로 (15)는 64개 초과의 장치 및 BLUETOOTH 페어링을 포함하는 경보 시스템의 등록에 응답하여 대역폭의 변화를 결정할 수 있다. 대역폭의 변화를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처리 회로 (15)는 보안 ON 칩 블루투스 페어링 슈퍼프레임 모드로 구성된 슈퍼프레임 (1400)을 선택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슈퍼프레임 (470)은 동적 슬롯 (예컨대, 동적 BLUETOOTH 슬롯 (462))을 제3 프로토콜 (예컨대, BLUETOOTH)을 할당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슈퍼프레임 (1400)은 동적 슬롯을 제3 프로토콜 (예컨대, BLUETOOTH)에 할당된 제1 서브-슬롯 (예컨대,동적 BLUETOOTH 슬롯 (467) 및/또는동적 BLUETOOTH 슬롯 (468)) 및 제2 프로토콜 (예컨대, IEEE 802.15.4)에 할당된 제2 서브-슬롯 (예컨대, 15.4 슬롯 (457))으로 분할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에 따른, TDMA를 사용하여 디바이스를 무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예시적인 기술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a, 1b 및 2-14의 예는 단지 예시 목적으로만 언급된다.
본 개시내용의 기술에 따르면, 처리 회로 (15)는 복수의 슈퍼프레임 모드 중 초기 슈퍼프레임 모드로 구성된 초기 슈퍼프레임 (16)을 센서 디바이스 (14)에 출력할 수 있다 (1502). 일부 예에서, 복수의 슈퍼프레임 모드의 각각의 슈퍼프레임 모드는 무선 통신을 위한 복수의 슬롯의 각각의 슬롯을 제1 프로토콜, 제2 프로토콜 또는 제3 프로토콜에 할당하며, 제1 프로토콜, 제2 프로토콜 및 제3 프로토콜은 서로 상이하다. 제1 프로토콜은 Wi-Fi™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프로토콜은 IEEE 802.15.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프로토콜은 BLUETOOTH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로토콜, 제2 프로토콜 또는 제3 프로토콜 중 하나 이상에 할당된 대역폭의 변화를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처리 회로 (15)는 초기 슈퍼프레임 모드와 상이한 복수의 슈퍼프레임 모드로부터의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1504). 처리 회로 (15)는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 모드로 구성된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을 센서 디바이스 (14)에 출력할 수 있다 (1506).
다음의 번호가 매겨진 실시예는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양태를 입증한다.
실시예 1. 시분할 다중 액세스 (TDMA)를 사용하여 복수의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각각의 슈퍼프레임 모드가 무선 통신을 위한 복수의 슬롯의 각각의 슬롯을 제1 프로토콜, 제2 프로토콜 또는 제3 프로토콜에 할당하는 복수의 슈퍼프레임 모드 중 초기 슈퍼프레임 모드로 구성된 초기 슈퍼프레임을 복수의 디바이스에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1 프로토콜, 제2 프로토콜 및 제3 프로토콜은 서로 상이하고; 제1 프로토콜, 제2 프로토콜 또는 제3 프로토콜 중 하나 이상에 할당된 대역폭의 변화를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초기 슈퍼프레임 모드와 상이한 복수의 슈퍼프레임 모드로부터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되고;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 모드에서 구성된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을 복수의 장치에 출력하도록 구성된 처리 회로를 포함하는, 장치.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초기 슈퍼프레임을 출력하기 위해, 처리 회로가 초기 슈퍼프레임의 시작을 나타내고 복수의 디바이스의 각각의 디바이스에 부여된 그룹 번호를 나타내는 비콘을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을 출력하기 위해, 처리 회로가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의 시작을 나타내고 복수의 디바이스 중 각각의 디바이스에 부여된 그룹 번호를 나타내는 제2 비콘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실시예 3. 실시예 1 또는 2에 있어서, 초기 슈퍼프레임 모드가 무선 통신을 위한 복수의 슬롯 중 동적 슬롯을 제1 프로토콜에 할당하며;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이 동적 슬롯을 제3 프로토콜에 할당하는, 장치.
실시예 4. 실시예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대역폭의 변화를 결정하기 위해, 처리 회로가 복수의 디바이스 중 디바이스가 제3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콘텐츠를 출력할 것인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실시예 5. 실시예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대역폭의 변화를 결정하기 위해, 처리 회로가 복수의 디바이스 중 디바이스가 제3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장치와 페어링될 것인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실시예 6. 실시예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초기 슈퍼프레임이 제2 프로토콜보다 제1 프로토콜에 더 많은 대역폭을 할당하고;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이 제1 프로토콜보다 제2 프로토콜에 더 많은 대역폭을 할당하는, 장치.
실시예 7. 실시예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초기 슈퍼프레임 모드가 무선 통신을 위한 복수의 슬롯 중 동적 슬롯을 제1 프로토콜에 할당하고, 무선 통신을 위한 복수의 슬롯 중 하나 이상의 제2 프로토콜 슬롯을 제2 프로토콜에 할당하며;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이 동적 슬롯을 제3 프로토콜에 할당하고, 하나 이상의 제2 프로토콜 슬롯을 제3 프로토콜에 할당하는, 장치.
실시예 8. 실시예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대역폭의 변화를 결정하기 위해, 처리 회로가 복수의 디바이스 중 디바이스가 제3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장치와 페어링될 것인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실시예 9. 실시예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이 제2 프로토콜에 대역폭을 할당하지 않는, 장치.
실시예 10. 실시예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초기 슈퍼프레임 모드가 무선 통신을 위한 복수의 슬롯 중 제3 프로토콜 슬롯을 제3 프로토콜에 할당하며;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이 제3 프로토콜 슬롯을 제1 프로토콜에 할당하는, 장치.
실시예 11. 실시예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대역폭의 변화를 결정하기 위해, 처리 회로가 제1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데이터 송신이 임계치를 초과한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실시예 12. 실시예 1-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초기 슈퍼프레임이 제1 프로토콜보다 제3 프로토콜에 더 많은 대역폭을 할당하고, 초기 슈퍼프레임이 제2 프로토콜보다 제3 프로토콜에 더 많은 대역폭을 할당하며;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이 제1 프로토콜보다 제3 프로토콜에 더 적은 대역폭을 할당하고,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이 제2 프로토콜보다 제3 프로토콜에 더 적은 대역폭을 할당하는, 장치.
실시예 13. 실시예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초기 슈퍼프레임 모드가 무선 통신을 위한 복수의 슬롯 중 동적 슬롯을 제3 프로토콜에 할당하며;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이 동적 슬롯을 제1 프로토콜에 할당된 제1 서브-슬롯 및 제2 프로토콜에 할당된 제2 서브-슬롯으로 분할하는, 장치.
실시예 14. 실시예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초기 슈퍼프레임 모드가 무선 통신을 위한 복수의 슬롯 중 동적 슬롯을 제3 프로토콜에 할당하며;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이 동적 슬롯을 제3 프로토콜에 할당된 제1 서브-슬롯 및 제2 프로토콜에 할당된 제2 서브-슬롯으로 분할하는, 장치.
실시예 15. 실시예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프로토콜이 근거리 네트워킹 프로토콜을 포함하고; 제2 프로토콜이 저-전력 무선 연결 프로토콜을 포함하며; 제3 프로토콜이 고-대역폭 연결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장치.
실시예 16. 실시예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프로토콜이 WI-FI™를 포함하고; 제2 프로토콜이 IEEE 802.15.4를 포함하며; 제3 프로토콜이 BLUETOOTH를 포함하는, 장치.
실시예 17. 실시예 1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슈퍼프레임이 2.4 GHz 대역에 대해 구성되는, 장치.
실시예 18. 실시예 1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복수의 디바이스가 서모스탯, 보안 디바이스, 온수기, 물 유동 컨트롤러, 또는 차고 도어 컨트롤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장치.
실시예 19. 방법으로서, 처리 회로에 의해, 복수의 슈퍼프레임 모드 중 초기 슈퍼프레임 모드로 구성된 초기 슈퍼프레임을 복수의 디바이스에 출력하는 단계이되, 복수의 슈퍼프레임 모드의 각각의 슈퍼프레임 모드는 무선 통신을 위한 복수의 슬롯의 각각의 슬롯을 제1 프로토콜, 제2 프로토콜 또는 제3 프로토콜에 할당하고, 제1 프로토콜, 제2 프로토콜 및 제3 프로토콜은 서로 상이한, 단계; 제1 프로토콜, 제2 프로토콜 또는 제3 프로토콜 중 하나 이상에 할당된 대역폭의 변화를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처리 회로에 의해, 초기 슈퍼프레임 모드와 상이한 복수의 슈퍼프레임 모드로부터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처리 회로에 의해,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 모드로 구성된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을 복수의 디바이스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실시예 20.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센서 디바이스; 및 시분할 다중 액세스 (TDMA)를 사용하여 복수의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허브 디바이스이되, 허브 디바이스가 각각의 슈퍼프레임 모드가 무선 통신을 위한 복수의 슬롯의 각각의 슬롯을 제1 프로토콜, 제2 프로토콜 또는 제3 프로토콜에 할당하는 복수의 슈퍼프레임 모드 중 초기 슈퍼프레임 모드로 구성된 초기 슈퍼프레임을 복수의 디바이스에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제1 프로토콜, 제2 프로토콜 및 제3 프로토콜은 서로 상이하고; 제1 프로토콜, 제2 프로토콜 또는 제3 프로토콜 중 하나 이상에 할당된 대역폭의 변화를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초기 슈퍼프레임 모드와 상이한 복수의 슈퍼프레임 모드로부터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되고;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 모드에서 구성된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을 복수의 장치에 출력하도록 구성된 처리 회로를 포함하는 것인, 허브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
본 개시내용은 프로세서가 본원에 기재된 기능 및 기술 중 임의의 것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어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는 RAM, ROM, NVRA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임의의 휘발성, 비-휘발성, 자기적, 광학적 또는 전기적 매체의 예시적인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는 손쉬운 데이터 전송 또는 오프라인 데이터 분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보다 휴대가능한 이동식 메모리 유형을 또한 함유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기재된 기술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술의 다양한 양태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DSP, ASIC, FPGA, 또는 임의의 기타 등가의 집적 또는 이산 논리 회로,뿐만 아니라 이러한 컴포넌트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용어 "프로세서" 또는 "처리 회로"는 일반적으로 전술한 논리 회로 중 임의의 것을 단독으로 또는 다른 논리 회로와 조합하여 지칭하거나, 임의의 다른 등가 회로를 지칭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회로"는 ASIC, 전자 회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공유, 전용 또는 그룹) 및 메모리, 조합 논리 회로, 또는 기재된 기능성을 제공하는 다른 적합한 컴포넌트를 지칭한다. 용어 "처리 회로"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에 걸쳐 분산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처리 회로"는 디바이스 상의 단일 프로세서 또는 다중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 회로"는 또한 다중 디바이스 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원에 기재된 작동은 프로세서 및 디바이스에 걸쳐 분산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는 본 개시내용에 기재된 다양한 작동 및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동일한 디바이스 내에서 또는 별도의 디바이스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에 기재된 기술 또는 프로세스 중 임의의 것은 하나의 디바이스 내에서 수행되거나 2개 이상의 디바이스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산될 수 있다. 게다가, 기재된 유닛, 모듈 또는 컴포넌트 중 임의의 것은 개별적이지만 상호운용가능한 논리 디바이스로서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이한 특징부들을 모듈 또는 유닛으로 묘사하는 것은 상이한 기능적 측면들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지, 반드시 그러한 모듈 또는 유닛이 별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에 의해 실현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하나 이상의 모듈 또는 유닛과 연관된 기능성은 별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에 의해 수행되거나, 공통 또는 별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내에 통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기재된 기술은 또한 지시어로 인코딩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제조 물품으로 구현되거나 인코딩될 수도 있다. 인코딩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제조 물품에 임베딩되거나 인코딩된 지시어는 예를 들어,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포함되거나 인코딩된 지시어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와 같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가능한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세서가 본원에 기재된 기술 중 하나 이상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예시적인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는 RAM, ROM, 프로그램가능한 ROM (PROM), EP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컴팩트 디스크 ROM (CD-ROM), 플로피 디스크, 카세트, 자기 매체, 광학 매체, 또는 임의의 기타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디바이스 또는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 매체를 포함한다. 용어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반송파 또는 전파된 신호로 구현되지 않음을 나타낼 수 있다. 특정 예에서, 비-일시적 저장 매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예컨대, RAM 또는 캐시에서) 바뀔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디바이스 및 회로의 요소는 다양한 형태의 소프트웨어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실행가능한 애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 모듈, 라이브러리, 클래스, 방법, 객체, 루틴, 서브루틴, 펌웨어 및/또는 임베디드 코드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되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예가 설명되었다. 기재된 시스템, 작동 또는 기능의 임의의 조합이 고려된다. 이들 및 다른 실시예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있다.

Claims (20)

  1. 시분할 다중 액세스 (TDMA)를 사용하여 복수의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각각의 슈퍼프레임 모드가 무선 통신을 위한 복수의 슬롯의 각각의 슬롯을 제1 프로토콜, 제2 프로토콜 또는 제3 프로토콜에 할당하는 복수의 슈퍼프레임 모드 중 초기 슈퍼프레임 모드로 구성된 초기 슈퍼프레임을 복수의 디바이스에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제1 프로토콜, 제2 프로토콜 및 제3 프로토콜은 서로 상이하고;
    제1 프로토콜, 제2 프로토콜 또는 제3 프로토콜 중 하나 이상에 할당된 대역폭의 변화를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초기 슈퍼프레임 모드와 상이한 복수의 슈퍼프레임 모드로부터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되고;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 모드에서 구성된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을 복수의 장치에 출력하도록 구성된 처리 회로를 포함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슈퍼프레임을 출력하기 위해, 처리 회로가 초기 슈퍼프레임의 시작을 나타내고 복수의 디바이스 중 각각의 디바이스에 부여된 그룹 번호를 나타내는 비콘을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을 출력하기 위해, 처리 회로가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의 시작을 나타내고 복수의 디바이스 중 각각의 디바이스에 부여된 그룹 번호를 나타내는 제2 비콘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3.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슈퍼프레임 모드가 무선 통신을 위한 복수의 슬롯 중 동적 슬롯을 제1 프로토콜에 할당하며;
    상기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이 동적 슬롯을 제3 프로토콜에 할당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의 변화를 결정하기 위해, 처리 회로가 복수의 디바이스 중 디바이스가 제3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콘텐츠를 출력할 것인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5. 제3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의 변화를 결정하기 위해, 처리 회로가 복수의 디바이스 중 디바이스가 제3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장치와 페어링될 것인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슈퍼프레임이 제2 프로토콜보다 제1 프로토콜에 더 많은 대역폭을 할당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이 제1 프로토콜보다 제2 프로토콜에 더 많은 대역폭을 할당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슈퍼프레임 모드가 무선 통신을 위한 복수의 슬롯 중 동적 슬롯을 제1 프로토콜에 할당하고, 무선 통신을 위한 복수의 슬롯 중 하나 이상의 제2 프로토콜 슬롯을 제2 프로토콜에 할당하며;
    상기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이 동적 슬롯을 제3 프로토콜에 할당하고, 하나 이상의 제2 프로토콜 슬롯을 제3 프로토콜에 할당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의 변화를 결정하기 위해, 처리 회로가 복수의 디바이스 중 디바이스가 제3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장치와 페어링될 것인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9. 제7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이 제2 프로토콜에 대역폭을 할당하지 않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슈퍼프레임 모드가 무선 통신을 위한 복수의 슬롯 중 제3 프로토콜 슬롯을 제3 프로토콜에 할당하며;
    상기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이 제3 프로토콜 슬롯을 제1 프로토콜에 할당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의 변화를 결정하기 위해, 처리 회로가 제1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데이터 송신이 임계치를 초과한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2. 제10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슈퍼프레임이 제1 프로토콜보다 제3 프로토콜에 더 많은 대역폭을 할당하고, 초기 슈퍼프레임이 제2 프로토콜보다 제3 프로토콜에 더 많은 대역폭을 할당하며;
    상기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이 제1 프로토콜보다 제3 프로토콜에 더 적은 대역폭을 할당하고,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이 제2 프로토콜보다 제3 프로토콜에 더 적은 대역폭을 할당하는,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슈퍼프레임 모드가 무선 통신을 위한 복수의 슬롯 중 동적 슬롯을 제3 프로토콜에 할당하며;
    상기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이 동적 슬롯을 제1 프로토콜에 할당된 제1 서브-슬롯 및 제2 프로토콜에 할당된 제2 서브-슬롯으로 분할하는,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슈퍼프레임 모드가 무선 통신을 위한 복수의 슬롯 중 동적 슬롯을 제3 프로토콜에 할당하며;
    상기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이 동적 슬롯을 제3 프로토콜에 할당된 제1 서브-슬롯 및 제2 프로토콜에 할당된 제2 서브-슬롯으로 분할하는,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토콜이 근거리 네트워킹 프로토콜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로토콜이 저-전력 무선 연결 프로토콜을 포함하며;
    상기 제3 프로토콜이 고-대역폭 연결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토콜이 WI-FI™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로토콜이 IEEE 802.15.4를 포함하며;
    상기 제3 프로토콜이 BLUETOOTH를 포함하는, 장치.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슈퍼프레임이 2.4 GHz 대역에 대해 구성되는, 장치.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가 서모스탯, 보안 디바이스, 온수기, 물 유동 컨트롤러, 또는 차고 도어 컨트롤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장치.
  19. 방법으로서,
    처리 회로에 의해, 복수의 슈퍼프레임 모드 중 초기 슈퍼프레임 모드로 구성된 초기 슈퍼프레임을 복수의 디바이스에 출력하는 단계이되, 상기 복수의 슈퍼프레임 모드의 각각의 슈퍼프레임 모드는 무선 통신을 위한 복수의 슬롯의 각각의 슬롯을 제1 프로토콜, 제2 프로토콜 또는 제3 프로토콜에 할당하고, 상기 제1 프로토콜, 제2 프로토콜 및 상기 제3 프로토콜은 서로 상이한, 단계;
    상기 제1 프로토콜, 제2 프로토콜 또는 제3 프로토콜 중 하나 이상에 할당된 대역폭의 변화를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처리 회로에 의해, 초기 슈퍼프레임 모드와 상이한 복수의 슈퍼프레임 모드로부터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 회로에 의해,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 모드로 구성된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을 복수의 디바이스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20.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센서 디바이스; 및
    시분할 다중 액세스 (TDMA)를 사용하여 복수의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허브 디바이스이되,
    상기 허브 디바이스가 각각의 슈퍼프레임 모드가 무선 통신을 위한 복수의 슬롯의 각각의 슬롯을 제1 프로토콜, 제2 프로토콜 또는 제3 프로토콜에 할당하는 복수의 슈퍼프레임 모드 중 초기 슈퍼프레임 모드로 구성된 초기 슈퍼프레임을 복수의 디바이스에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프로토콜, 제2 프로토콜 및 제3 프로토콜은 서로 상이하고;
    제1 프로토콜, 제2 프로토콜 또는 제3 프로토콜 중 하나 이상에 할당된 대역폭의 변화를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초기 슈퍼프레임 모드와 상이한 복수의 슈퍼프레임 모드로부터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되고;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 모드에서 구성된 업데이트된 슈퍼프레임을 복수의 장치에 출력하도록 구성된 처리 회로를 포함하는, 장치.
KR1020227029008A 2020-02-07 2021-02-02 동적 슈퍼프레임 슬롯 KR202201393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785,047 US11329842B2 (en) 2020-02-07 2020-02-07 Dynamic superframe slotting
US16/785,047 2020-02-07
PCT/US2021/016221 WO2021158553A1 (en) 2020-02-07 2021-02-02 Dynamic superframe slott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337A true KR20220139337A (ko) 2022-10-14

Family

ID=74673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9008A KR20220139337A (ko) 2020-02-07 2021-02-02 동적 슈퍼프레임 슬롯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329842B2 (ko)
EP (1) EP4101229A1 (ko)
JP (1) JP2023513230A (ko)
KR (1) KR20220139337A (ko)
CN (1) CN115299154A (ko)
WO (1) WO20211585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29842B2 (en) 2020-02-07 2022-05-10 Ademco Inc. Dynamic superframe slotting
US11658736B2 (en) * 2021-07-13 2023-05-23 Ademco Inc. Keypad with repeater mode
WO2023059545A1 (en) * 2021-10-07 2023-04-13 Ademco Inc. Synchronization of alarm notifications across multiple hub devices
US20240106592A1 (en) * 2022-09-22 2024-03-28 Ademco Inc. Superframe extension mode

Family Cites Families (6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04142B1 (fi) 1996-10-25 1999-11-15 Nokia Mobile Phones Ltd Radioresurssien käytön ohjausmenetelmä
US5875179A (en) 1996-10-29 1999-02-23 Proxi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ed communication over wireless backbone architecture
US20050058149A1 (en) 1998-08-19 2005-03-17 Howe Wayne Richard Time-scheduled and time-reservation packet switching
US6690657B1 (en) 2000-02-25 2004-02-10 Berkeley Concept Research Corporation Multichannel distributed wireless repeater network
US20080032738A1 (en) 2001-03-07 2008-02-07 Palm, Inc. Portable wireless network
US7593422B2 (en) * 2002-01-03 2009-09-22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ethod of operating a media access controller having pseudo-static guaranteed time slots
AU2003212813A1 (en) * 2002-01-22 2003-09-02 Xtremespectrum, Inc. Method of managing time slots in a wireless network through the use of contention groups
JP4333413B2 (ja) 2004-03-04 2009-09-16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237237B2 (en) 2007-06-12 2019-03-19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7630736B2 (en) 2005-10-11 2009-12-08 Mobitru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patial data input, manipulation and distribution via an adaptive wireless transceiver
US20090103488A1 (en) 2007-06-28 2009-04-23 University Of Maryland Practical method for resource allocation for qos in ofdma-based wireless systems
TWI482456B (zh) * 2007-12-07 2015-04-2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彈性媒體存取控制(mac)超框結構及信標方法
CA2719913C (en) 2008-04-01 2016-10-11 Sensus Spectrum Llc Universal software defined home gateway
CN101369884B (zh) 2008-09-11 2011-04-13 重庆邮电大学 一种基于时隙内自适应跳信道的工业无线通信方法
US20110038356A1 (en) 2009-08-13 2011-02-17 Yuval Bachrach VBR interference mitigation in an mmwave network
IT1395175B1 (it) 2009-08-18 2012-09-05 Nfc Alias S R L Metodo e sistema per applicativo universale per procedure transazionali con tecnologia nfc
US9285988B2 (en) 2010-04-20 2016-03-15 Blackberry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touch-sensitive display with variable repeat rate
WO2013067668A1 (en) 2011-11-07 2013-05-16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Tdma-based self-adaptive channel-switching
US8947239B1 (en) 2012-03-05 2015-02-03 Fitbit, Inc. Near fiel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11109244B2 (en) 2012-04-06 2021-08-31 Plume Design, Inc. Optimization of distributed Wi-Fi networks
US9736703B2 (en) 2012-04-06 2017-08-15 Plume Design, Inc. Interference management and network performance optimization in dense WiFi networks
US9286561B2 (en) 2012-05-29 2016-03-15 Stratos Technologies, Inc. Payment card and methods
CN103596191B (zh) 2012-08-16 2016-12-21 中国科学院计算技术研究所 一种无线传感器网络智能配置系统及其方法
KR102166184B1 (ko) 2012-11-30 2020-10-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자원 할당 방법, 무선랜 시스템
US9066197B2 (en) 2013-01-22 2015-06-23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ower save control for tethering connections
EP2975792B1 (en) 2013-03-11 2020-02-2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ceiving synchronization information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user equipment and apparatus for same
US9922580B2 (en) 2013-04-30 2018-03-20 Google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virtual demonstration of a smart phone controlled smart home using a website
CN105766067B (zh) 2013-10-23 2019-06-18 鲍尔卡斯特公司 用于照明控制的自动系统
DE112015002651B4 (de) 2014-06-05 2023-02-16 Zebra Technologies Corporation System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Ratenvariablen Ultrabreitbandkommunikation
US9814038B2 (en) 2014-07-14 2017-11-0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6lowpan based multidisciplinary wireless sensor protocol for connected home security systems
US9565657B2 (en) 2014-07-22 2017-02-0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IOT enabled wireless one-go/all-go platform sensor network solution for connected home security systems
WO2016017909A1 (ko) 2014-07-31 2016-02-04 엘지전자(주) 블루투스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9743402B2 (en) * 2014-08-06 2017-08-2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Polymorphism and priority inversion to handle different types of life style and life safety traffic in wireless sensor network for a connected home
US9728074B2 (en) 2014-09-09 2017-08-08 Tyco Fire & Security Gmbh Modular wireless mass evacuation notification system
US9503842B2 (en) 2015-03-27 2016-11-22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to support integrated bluetooth/3GPP radio access technologies
US10039052B2 (en) 2015-05-15 2018-07-31 Qualcomm Incorporated Anchor assisted communication channel hopping
US9978237B2 (en) 2015-07-03 2018-05-22 Afero, Inc. System and method for a single-piece internet of things (IOT) security sensor
US9930641B2 (en) 2015-07-09 2018-03-2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utomated and adaptive channel selection algorithm based on least noise and least density of wireless sensors network in neighborhood
US20170055199A1 (en) 2015-08-21 2017-02-23 Terranet Ab Enhanced power reduction in mesh networks
US10355767B2 (en) 2016-02-02 2019-07-16 Ethertronics, Inc. Network repeater system
US20170230810A1 (en) 2016-02-05 2017-08-10 Qualcomm Technologies International, Ltd. Establishing and communicating data over a wireless connection
US10091786B2 (en) 2016-02-19 2018-10-0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Wideband beacon channel for frequency hopping systems
JP6794474B2 (ja) 2016-03-18 2020-12-02 プリューム デザイ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Plume Design, Inc. 分散Wi−Fiネットワークの最適化
US10554733B2 (en) 2016-03-18 2020-02-04 Plume Design, Inc. Controlling clients in distributed Wi-Fi networks
US9867009B2 (en) 2016-03-22 2018-01-09 Estimote Polska Sp. Z O. O. System and method for multi-beacon interaction and management
US20170332049A1 (en) 2016-05-13 2017-11-16 Tijee Corporation Intelligent sensor network
US10687184B2 (en) 2016-05-13 2020-06-16 Google Ll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utilizing radar-based touch interfaces
US10462740B2 (en) 2016-08-03 2019-10-29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waking up a radio communications module of a device
US10913094B2 (en) 2016-09-27 2021-02-09 Northeastern University Multi-unit rotary system and method for storage, intelligent sorting and picking of express parcels
JP7200095B2 (ja) 2016-09-30 2023-01-06 インプレイ、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無線通信方法および階層低遅延ネットワーク
US20180242100A1 (en) 2017-02-20 2018-08-2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a multi-protocol wireless sensor network
US10405309B2 (en) * 2017-02-20 2019-09-0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of distinct duty cycle support for distinct multi-network protocol networks for industrial wireless sensor networks
CN106936987B (zh) 2017-02-24 2019-12-20 田力 一种可识别蓝牙耳机语音来源的方法及设备
US10412663B2 (en) 2017-03-21 2019-09-10 Ademc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avoiding radio interference in a wireless sensor network
US10129916B1 (en) 2017-05-11 2018-11-1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network parameters for a plurality of home security/home system control panels
US10939430B2 (en) 2017-10-31 2021-03-02 Cth Lending Company, Llc Communication protocol overlay
US10916106B2 (en) 2017-12-26 2021-02-09 Ademc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 utilization of wireless bandwidth
US10637718B2 (en) 2017-12-27 2020-04-28 Ademc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operative network management
US10838705B2 (en) 2018-02-12 2020-11-17 Afero, Inc. System and method for service-initiated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 updates
US11095960B2 (en) 2018-03-07 2021-08-17 Michael Edward Klicpera Water meter and leak detection system having communication with a intelligent central hub listening and speaking apparatus, wireless thermostat and/or home automation system
US20190281608A1 (en) 2018-03-09 2019-09-12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 access point channel planning
CN112770662A (zh) 2018-09-28 2021-05-07 富士胶片株式会社 医用图像处理装置、医用图像处理方法、及程序、诊断辅助装置以及内窥镜系统
WO2020096969A1 (en) 2018-11-05 2020-05-14 Frontpoint Secuiruty Solutions, Llc System and apparatus for a home security system
US11265725B2 (en) 2019-02-15 2022-03-01 Ademc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llocating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s
US10999789B2 (en) 2019-03-13 2021-05-04 Ademc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interference in a TDMA based wireless network
JP7486067B2 (ja) 2019-03-27 2024-05-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検知システム、中継器、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329842B2 (en) 2020-02-07 2022-05-10 Ademco Inc. Dynamic superframe slotting
US11425199B2 (en) 2020-03-26 2022-08-23 Ademco Inc. Home network using multiple wireless networking protoco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01229A1 (en) 2022-12-14
US11706046B2 (en) 2023-07-18
US20220224560A1 (en) 2022-07-14
WO2021158553A1 (en) 2021-08-12
US20210250197A1 (en) 2021-08-12
JP2023513230A (ja) 2023-03-30
US11329842B2 (en) 2022-05-10
CN115299154A (zh) 2022-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06046B2 (en) Dynamic superframe slotting
CN109257725B (zh) 用于自适应扫描和/或广播的系统和方法
US1053690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mmunications within wireless sensor networks based on a periodic beacon signal
US11425199B2 (en) Home network using multiple wireless networking protocols
EP350671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 utilization of wireless bandwidth
EP366959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mmunications with an improved network frame structure architecture within wireless sensor networks
US2017012741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mmunications within wireless sensor networks based on at least one periodic guaranteed time slot for sensor nodes
JP6074852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US11582746B2 (en) Dynamic, multi-frequency superframe slotting
US11190920B2 (en) Bluetooth using secondary channel
US20240106592A1 (en) Superframe extension mode
US11658736B2 (en) Keypad with repeater mode
WO2022260703A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on and avoidance of interference
WO2023059545A1 (en) Synchronization of alarm notifications across multiple hub devices
EP4352994A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on and avoidance of interference
JP6260889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WO2023107856A1 (en) Multiple communication protocol sensor
WO2023126307A1 (en) Intruder localisation
EP3841839A1 (en) A security monitoring system, a node and a central unit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