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9262A -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9262A
KR20220139262A KR1020220124382A KR20220124382A KR20220139262A KR 20220139262 A KR20220139262 A KR 20220139262A KR 1020220124382 A KR1020220124382 A KR 1020220124382A KR 20220124382 A KR20220124382 A KR 20220124382A KR 20220139262 A KR20220139262 A KR 20220139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battery
terminal cover
rechargeabl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4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춘길
Original Assignee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Priority to KR1020220124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9262A/ko
Publication of KR20220139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92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H04B5/003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8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3Arrangements for mounting batteries or battery chargers
    • H04B5/007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2차 코일; 상기 2차 코일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전력 신호를 정류하는 정류부; 배터리; 이동 통신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 및 상기 정류된 무선 전력 신호를 우선적으로 상기 커넥터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로 보내 이동 통신 단말기를 동작하기 위한 전원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이용하고, 그 다음,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MOBILE TERMINAL COVER HAVING BATTERY WHICH ENABLES TO BE CHARGED BY NON-CONTACT METHOD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시간을 연장하고, 충전을 편리하게 하는,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 예로 들어,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핸드헬드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장소, 시간에 구애됨이 없이 사용할 수 있어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였다.
근래 휴대용 단말기는 통신기능, 멀티미디어 기능, 무선인터넷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면서 그 사용 분야도 날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근래에는 스마트 폰 예로, 애플사의 아이폰이 출시되면서 웹서핑, 동영상 재생 등의 기능을 활용하는 것은 물론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비디오 녹화, 음성명령, 3차원 그래픽의 게임, 문서 읽기, 전자사전, 지도, MP3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활용함으로써 업무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지만, 이를 위해 CPU 및 디스플레이부에서 사용하는 전력량이 커지게 됨에 따라, 배터리가 방전되는 현상이 잦아지게 되었다.
이를 위해 보조 배터리등의 기술이 개발되어 왔으나, 이들의 경우, 방전이 되면, 재사용이 불가능하고, 또한 이동 단말기 자체의 두께를 두껍게 하기 때문에 사용성이 낮아지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충전의 편리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시간을 연장할 수 있는,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는, 무선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2차 코일; 상기 2차 코일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전력 신호를 정류하는 정류부; 보조 배터리; 이동 통신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 및 상기 정류된 무선 전력 신호를 우선적으로 상기 커넥터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로 보내 이동 통신 단말기를 동작하기 위한 전원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이용하고, 그 다음,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는, 상기 2차 코일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을 차폐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자 부품을 보호하기 위한 차폐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2차 코일을 NFC 통신부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연결되어 있으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상기 보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표시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연결되는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류된 무선 전력 신호가 제 1 기준 전압보다 높으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및 상기 보조 배터리를 동시에 충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류된 무선 전력 신호가 제 1 기준 전압보다 낮고, 제 2 기준 전압보다 높으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를 우선 충전한 후, 이에 대한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보조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는, 외부 전원과 접속하기 위한 연결 소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 소켓에 외부 전원이 유선 인가되면, 이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보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술한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배터리를 내장한 커버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커버에 설치된 2차 코일을 통해 배터리 충전이 가능하게 되므로, 소켓을 이용한 배터리 충전 방식에 비해 충전이 편리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2차 코일을 NFC 안테나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점수를 줄이고,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가 장착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의 다른 실시예가 장착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1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가 무선 전력전송 장치에 충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의 전자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에 사용되는 2차 코일의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가 장착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0)의 내부에는 배터리(20: 주배터리라고도 함)를 장착하기 위한 리세스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유선으로 데이터 통신을 하거나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 소켓(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세스부(11)에 배터리(20)가 장착된 후, 이 배터리(20)를 덮고, 이 배터리(20)에 대한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 배터리의 용량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배터리(배터리)(120: 도 2 참조)가 장착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100)가 덮혀진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100)의 내측면에는 배터리(20)의 주면에 설치된 커넥터(21)에 대응하는 커넥터(101)가 형성되어서,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100)의 2차 코일(110)에 의해 수신되는 무선 전력 신호를 정류하여 생성되는 충전 전력을 이동 통신 단말기(10)의 배터리(20)에 충전을 시키거나, 이동 통신 단말기(10)를 동작시키는 전원으로 이용하게 된다.
도 1a에서는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100)의 커넥터(101)가, 주배터리(20)에 형성된 커넥터(21)에 연결된 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1b에서는 상기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100)에 5pin 표준 소켓(101': 연결 소켓)이 설치되고, 이것이 이동 통신 단말기(10)의 5pin 표준 소켓(13')과 연결잭(13")를 통해 연결되어서 주배터리(20)를 충전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단말기 커버(100)는 무선 충전 방식 또는 유선 충전 방식으로 커버에 설치되는 보조 배터리 및 주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100)가 장착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 팩(100)에 설치된 2차 코일(110)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0)에 무접점 충전 기능이 부여됨과 더불어서, 보조 배터리(120)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0)의 사용 기한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서, 이 2차 코일(110)을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의 안테나(도 4 참조)로 사용하게 되어서, 전자 결제 등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100)가 무선 전력전송 장치(200)에 충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100)가 무선 전력 전송 장치(200)의 충전 위치에 놓이면 충전이 개시되게 된다. 도 1c에서는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100)만이 충전 위치에 놓인 것이 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100)가 이동 통신 단말기(10)에 장착된 상태에서 무선 충전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c에서와 같이,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100)만으로 충전이 되는 경우,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100)의 내측에 설치된 표시부(130)(LED)를 통해 현재의 충전상태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만약,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100)가 이동 통신 단말기(10)에 장착되는 경우, 이 이동 통신 단말기(10)에서 충전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커버(100)에 설치된 2차 코일(110)로부터 획득되는 충전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의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에 현재의 충전상태를 주기적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현재의 충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의 구조 및 전자적인 동작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의 전자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100)는, 2차 코일(110)과, (보조) 배터리(120), 표시부(130), 메모리(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2차 코일(110)은 무선 전력 전송 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발생되는 아이디 정보 및 충전 상태 정보를 1차 코일로 PWM 방식 또는 펄스 신호를 통해 전송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 2차 코일(110)은 NFC 모듈의 안테나로 이용될 수 있는 바, 이에 대하여 도 4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보조 배터리(12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의 주배터리(20)와 동일한 전압출력을 갖는 것으로서, 배터리 커버로서의 두께에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박형 배터리(리튬-폴리머 박형 배터리)가 이용되게 된다.
표시부(130)는,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100)가 이동 통신 단말기(10)와 분리되어서 충전되는 경우,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100)에 내장된 2차 코일(110)을 통해 배터리(120)를 충전할 때 이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기능을 한다. 본 예에서는 제조비용을 고려하여 LED로 표시하는 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LCD 디스플레이부, 또는 음성출력부등을 통해 현재의 충전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100)에 포함되는 메모리(140)는 코일(110)이 NFC 안테나로 이용되는 경우,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NFC는 무선태그(RFID) 기술 중 하나로 13.56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통신 기술이다. 통신거리가 짧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보안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해 주목받는 차세대 근거리 통신 기술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에 최근 스마트 폰에 NFC를 장착하여 이를 통해 전자 결제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에 따른 일예인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100)의 2차 코일(110)을 NFC 안테나로 이용하고,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100)에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140)를 더 포함하게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100)를 이동 통신 단말기(10)에 부착하게 되면, NFC 결제 기능을 가지게 된다.
한편, 기기 보호를 위하여 차폐 쉴드(160)가 도 2에서와 같이 설치될 수 있다. 자기장은 전자 부품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2차 코일(110)을 통해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이 무선 전력 신호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기(10) 및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100)의 기판(제어부:150) 및 이동 통신 단말기(10)의 전자 부품에 악영향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하면,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100)의 2차 코일(110) 위에 차폐 쉴드(160)를 부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커버(100)의 제어부(150)는, 상기 2차 코일(110)을 통해 획득된 무선 전력 신호를 정류부를 통해 정류한 후, 우선적으로 상기 커넥터(101)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0)로 보내 이동 통신 단말기(10)를 동작하기 위한 전원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10)의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이용하고, 그 다음, 상기 보조 배터리(120)를 충전하도록 제어한다. 즉, 커넥터(101)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0)가 연결되어 있으면, 이동 통신 단말기(10)를 위해 무선 전력 신호를 이용하게 하고, 커넥터(101)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0)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보조 배터리(120)를 충전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150)는, 상기 커넥터(101)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가 연결되어 있으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로 상기 보조 배터리(120)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가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표시부(130)를 통해 상기 보조 배터리(120)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정류된 무선 전력 신호의 전압에 따라 최적의 전력 배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정류된 무선 전력 신호가 제 1 기준 전압(예컨대 이동 통신 단말기(10)의 표준 충전 전압인 5.5V)보다 높으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의 배터리 및 상기 보조 배터리(120)를 동시에 충전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정류된 무선 전력 신호가 제 1 기준 전압보다 낮고, 제 2 기준 전압(예컨대, 최저 충전 전압인 3.7V)보다 높으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의 배터리를 우선 충전한 후, 이에 대한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보조 배터리(120)를 충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통해, NFC 기능을 구비하는 2차 코일의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에 사용되는 2차 코일의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에 사용되는 2차 코일은,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원형 코일(111)과 이 원형 코일의 둘레에 배치되어서, NFC 안테나로 사용되는 사각형 코일(112)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무선 전력 전송 장치로부터의 전력 신호는 상기 원형 코일(111)을 통해 수신하게 되며, NFC기능을 실행할 때의 데이터 송수신은 사각형 코일(112)을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배터리를 내장한 커버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커버에 설치된 2차 코일을 통해 배터리 충전이 가능하게 되므로, 소켓을 이용한 배터리 충전 방식에 비해 충전이 편리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2차 코일을 NFC 안테나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점수를 줄이고,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 이동 통신 단말기
20 : 배터리
100 :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
101 : 커넥터
110 : 2차 코일
120 : 배터리
130 : 표시부(LED)
140 : 메모리
150 : 기판 (제어부)
160 : 차폐쉴드
200 : 무선 전력 전송 장치

Claims (7)

  1.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무선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원형 코일을 포함하는 2차 코일;
    상기 2차 코일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전력 신호를 정류하는 정류부;
    보조 배터리;
    이동 통신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의 충전 및 상기 보조 배터리의 충전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에 상기 정류된 무선전력 신호를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2차 코일은 상기 원형 코일의 둘레에 배치되는 사각형 코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각형 코일은 사용자 정보 기반의 NFC 기능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인,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코일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을 차폐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자 부품을 보호하기 위한 차폐쉴드를 더 포함하는,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연결되어 있으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상기 보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보조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연결되는 내측에 설치되는,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류된 무선 전력 신호가 제 1 기준 전압보다 낮고, 제 2 기준 전압보다 높으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를 우선 충전한 후, 이에 대한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보조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제어하는,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
  6.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 전원과 접속하기 위한 연결 소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 소켓에 외부 전원이 유선 인가되면, 이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보조 배터리를 충전하는,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가 장착되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로부터 전송되는 전력 신호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가 내장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1020220124382A 2020-12-22 2022-09-29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202201392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382A KR20220139262A (ko) 2020-12-22 2022-09-29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312A KR102258966B1 (ko) 2019-12-20 2020-12-22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1020210066819A KR102648521B1 (ko) 2020-12-22 2021-05-25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1020220124382A KR20220139262A (ko) 2020-12-22 2022-09-29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819A Division KR102648521B1 (ko) 2020-12-22 2021-05-25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262A true KR20220139262A (ko) 2022-10-14

Family

ID=7414064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1312A KR102258966B1 (ko) 2019-12-20 2020-12-22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1020210066819A KR102648521B1 (ko) 2020-12-22 2021-05-25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1020220124382A KR20220139262A (ko) 2020-12-22 2022-09-29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1312A KR102258966B1 (ko) 2019-12-20 2020-12-22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1020210066819A KR102648521B1 (ko) 2020-12-22 2021-05-25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258966B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555Y1 (ko) 2005-07-12 2005-09-22 주식회사 이랜텍 휴대용 보조 배터리
EP2302560B1 (en) * 2009-09-24 2016-06-22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associated nfc tag using plurality of nfc tags associated with location or devices to communicate with communications device
KR101198940B1 (ko) * 2010-08-05 2012-11-07 에이큐 주식회사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폰 보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19780A (ko) * 2010-08-27 2012-03-0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사용자 식별 카드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216567B1 (ko) * 2011-01-14 2012-12-31 쓰리에이로직스(주) 무선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그리고 무선 통신 시스템
KR101188808B1 (ko) * 2011-03-03 2012-10-09 (주)엠에이피테크 단말기의 무선 충전장치
KR20120110662A (ko) * 2011-03-30 2012-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968615B1 (ko) * 2011-05-17 2019-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및 무선 전력 전송을 사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163574B1 (ko) * 2012-03-13 2012-07-06 주식회사 나노맥 무선인식 및 무선충전 겸용 전자파흡수체와 이를 포함하는 무선인식 및 무선충전 겸용 무선안테나, 그것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8521B1 (ko) 2024-03-15
KR20210065081A (ko) 2021-06-03
KR20210000702A (ko) 2021-01-05
KR102258966B1 (ko)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8515B2 (en) Dual mode RFID communication device operating as a reader or tag
US8901875B2 (en) Bi-directional wireless charger
KR101554605B1 (ko)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
US201200712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mart Phone Charger
US20140308995A1 (en) Portabl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system
KR101811611B1 (ko) 무선 충전 가능한 전자 기기
CN107863800B (zh) 无线充电电池
US20140197784A1 (en) Wireless side charging
CN103915879A (zh) 在电子装置中显示关于无线充电板的信息的方法和设备
US20220393498A1 (en) Portabl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system
US20120169275A1 (en) Wireless charging receiv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725905B1 (ko) 보조배터리가 내장된 유무선충전기
KR102061350B1 (ko)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US1103838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e device recognition and elimination of cross-talk between multiple magnetic resonance chargers
CN109547593A (zh) 电子设备
KR102196543B1 (ko)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US20130169058A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KR102258966B1 (ko)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50002047A (ko) 무선 충전 장치
US20160261138A1 (en) Wireless charging receiver
CN105186638A (zh) 腕戴式电子设备
KR102149528B1 (ko) 다기능 무선충전 장치
KR20110033836A (ko) 휴대단말기기 비접촉식 데이터통신 및 배터리충전 접속장치
US11695288B2 (en) Portable wireless charging system
CN211266517U (zh) 一种基于nfc功能的可反向充电手机配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