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8425A - 사용자 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8425A
KR20220138425A KR1020210020360A KR20210020360A KR20220138425A KR 20220138425 A KR20220138425 A KR 20220138425A KR 1020210020360 A KR1020210020360 A KR 1020210020360A KR 20210020360 A KR20210020360 A KR 20210020360A KR 20220138425 A KR20220138425 A KR 20220138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device
information
counting
smart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0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1612B1 (ko
Inventor
변재영
김대호
Original Assignee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20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612B1/ko
Priority to PCT/KR2022/002308 priority patent/WO2022177301A1/ko
Publication of KR20220138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8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612B1/ko
Priority to US18/180,617 priority patent/US2023022485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6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with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e.g. for direction or speed deter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04B17/327Received signal code power [RSC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6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orientation information, e.g. comp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0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broadcasted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구비한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기반의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특정 범위에서의 사용자 계수 정보 및 사용자들의 이동 동향 탐지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생성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기기 계수장치로부터 임의의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기기가 발송한 신호를 이용하여 생성한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에 1인당 스마트기기 평균 보유 개수를 적용하여 범위 내에서의 사용자 수를 산출한 결과로서의 사용자 계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를 기반으로 스마트기기의 위치 추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스마트기기의 위치 추정 정보와, 사용자 계수 정보와, 지도 정보를 결합하여 사용자들의 이동 동향 탐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USER INFORMATION}
본 발명은 사용자가 구비한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기반의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특정 범위에서의 사용자 계수 정보 및 사용자들의 이동 동향 탐지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는 휴대폰이나 PDA와 같은 스마트기기 이동통신망과 IT 기술을 종합적으로 활용한 위치 정보 기반의 시스템 및 서비스로서, 최근에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기술이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품 정보뿐만 아니라 교통정보, 위치추적정보 등 생활 전반에 걸쳐 적용되고 있다. 위치 기반 서비스에는 교통 관련 정보로 운전 편의 정보, 대중 교통 정보, 경로 탐색 및 설정 등이 있으며, 위치추적 정보로는 위치 추적, 개인 위치 정보, 분실된 단말기 추적 등이 있다.
위치기반 서비스의 요구사항은 단일 또는 다수 대상의 정밀한 위치뿐만 아니라 일정 범위 또는 범위에 대하여 접근, 이탈, 머무름 등과 같이 근사화 되어 있는 정보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을 수 있다. 이러한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스마트기기에 탑재된 GPS를 이용하거나 연결된 유무선 네트워크 또는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위치를 근사화할 수 있다.
GPS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흐름 및 동선을 추적하는 시스템은 사용자의 동의를 통해 GPS 장치에 접근, 데이터를 획득하고 그것을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하므로 개인정보 활용 동의와 같은 법적 책임이 따르고 실내 공간에서 GPS 신호 약화로 제한 사항이 존재할 수 있다. WiFi나 Ethernet과 같은 유무선 네트워크는 접속된 IP에 대해 범위를 특정하므로 위치 정보 정확도가 비교적 낮으며, WiFi의 경우 연결된 커버리지로 특정할 수 있으나 이 역시 GPS와 같이 사용자의 동의를 요구할 수 있다. 3G 또는 4G와 같은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시스템은 이동통신의 안전한 보안 성능과 함께 접속된 셀을 기반으로 비교적 정확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나, GPS에 비해 정확하지 못하며 통신 사업자만이 서비스할 수 있는 제한 사항이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0348호(2015.01.02)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사용자 계수 및 사용자들의 이동 동향 탐지 시에 사용자의 개인정보 활용 동의와 같은 제한 사항이 존재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GPS 신호가 닿지 않는 실내 또는 터널과 같은 서비스 공간에 대한 사용자 계수 및 사용자들의 이동 동향 탐지 제한을 개선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사용자 계수 및 사용자들의 이동 동향 탐지 시에 저비용으로 구축할 수 있고 적용이 간편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수 m 내 비교적 좁은 범위를 대상으로 사용자 계수 및 사용자들의 이동 동향 탐지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과제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생성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기기 계수장치로부터 임의의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기기가 발송한 신호를 이용하여 생성한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에 1인당 스마트기기 평균 보유 개수를 적용하여 범위 내에서의 사용자 수를 산출한 결과로서의 사용자 계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를 기반으로 스마트기기의 위치 추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스마트기기의 위치 추정 정보와, 사용자 계수 정보와, 지도 정보를 결합하여 사용자들의 이동 동향 탐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고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메모리는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가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기기 계수장치로부터 임의의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기기가 발송한 신호를 이용하여 생성한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를 수집하고,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에 1인당 스마트기기 평균 보유 개수를 적용하여 범위 내에서의 사용자 수를 산출한 결과로서의 사용자 계수 정보를 생성하고,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를 기반으로 스마트기기의 위치 추정 정보를 생성하고, 스마트기기의 위치 추정 정보와, 사용자 계수 정보와, 지도 정보를 결합하여 사용자들의 이동 동향 탐지 정보를 생성하도록 야기하는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위치기반 서비스에 적용되는 GPS 위치나 신용카드 결제 정보와 같은 민감한 개인정보를 기반으로 동작하지 않아 관련 서비스 제공에 대하여 기존 방법보다 유연할 수 있다.
또한, 저비용, 저전력의 BLE 기반 스마트기기 계수장치는 GPS 신호가 닿지 않는 실내나 터널 등에서 활용 가능하며 비교적 좁은 범위를 특정하여 사용할 수 있고, 다수 기기를 통해 전반적인 사용자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사용자, 스마트기기 계수장치,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 및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생성 환경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 중 스마트기기 계수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 중 스마트기기 계수장치의 계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1 중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에 의한 사용자 계수 정보 생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에 의한 사용자 위치 추정 정보 생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1 중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는 프로세서 또는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hardware component), 및/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구성(software component)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사용자, 스마트기기 계수장치,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 및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정보 생성 환경의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정보 생성 환경(1)은 스마트기기 사용자들,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200) 및 네트워크(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생성 환경에서는 복수의 스마트기기 계수장치(예를 들어, 100_1, 100_2, 100_3)가 있고, 각각의 스마트기기마다 커버하기로 되어있는 임의의 범위가 있을 수 있다.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는 임의의 범위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기기가 발송한 신호를 이용하여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를 생성하고, 스마트 기기 계수 결과를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스마트기기는 임의의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가 구비하고, 컴퓨팅 장치(미도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조작하는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은 모바일 컴퓨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기기는 통신 기능 및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을 구비한 시계, 안경, 헤어 밴드 및 반지, 이어폰 등의 웨어러블 단말기 일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기기는 상술한 내용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웹 브라우징이 가능한 단말기는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스마트기기는 BLE(bluetooth low energy. 블루투스 저전력) 통신 기능을 구비한 전자장치일 수 있다. BLE는 저속 근거리 통신 기술 중의 하나로 저전력 프로토콜 설계로 인해 스마트기기에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저전력 달성을 위해 비연결/비암호화 전송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는 BLE 통신 기반 스마트기기로부터 수신한 BLE 광고 패킷(advertising packet)을 이용하여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BLE 통신 기반의 스마트기기는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 범위에 접근하거나, 머물거나, 이탈할 수 있다. BLE 통신 기반의 스마트기기는 비연결/비암호화 BLE 광고 패킷을 수시로 송신하므로,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는 이러한 BLE 광고 패킷을 수신하여 신호 수신 범위 내에서 스마트기기를 인식하고 계수할 수 있다.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가 BLE 통신 기반 스마트기기로부터 수신하는 BLE 광고 패킷은 헤더 데이터(스마트기기 정보)에 31 바이트 데이터 페이로드(사용자 지정 데이터)를 결합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헤더 데이터는 6 바이트 맥 어드레스(MAC(media access control) address, 블루투스 어드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6 바이트 맥 어드레스는 BLE 통신 기반의 스마트기기를 구분하는 고유한 주소값을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200)는 단일 또는 3개 이상의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로부터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 수를 산출하고, 동선을 추적하며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200)는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로부터 수집한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에 1인당 스마트기기 평균 보유 개수를 적용하여 범위 내에서의 사용자 수를 산출한 결과로서의 사용자 계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200)는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를 기반으로 스마트기기의 위치 추정 정보를 생성하고, 스마트기기의 위치 추정 정보와, 사용자 계수 정보와, 지도 정보를 결합하여 사용자들의 이동 동향 탐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사용자들의 이동 동향 탐지 정보는, 사용자들의 동선 탐지 정보와, 시간대별 사용자들의 분포를 포함하는 흐름 탐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300)는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와,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2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300)는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네트워크(300)는 근거리 통신 및/또는 원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wideband), ZigBee, Wi-Fi (wireless fidelity) 기술을 포함할 수 있고, 원거리 통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300)는 허브, 브리지, 라우터, 스위치와 같은 네트워크 요소들의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300)는 인터넷과 같은 공용 네트워크 및 안전한 기업 사설 네트워크와 같은 사설 네트워크를 비롯한 하나 이상의 연결된 네트워크들, 예컨대 다중 네트워크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300)에의 액세스는 하나 이상의 유선 또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들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네트워크(300)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V2I(vehicle to infrastructure, 차량 대 도로 인프라) 통신, V2X(vehicle to everything) 통신, 웨이브(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 통신 기술과,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 및/또는 5G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도 2는 도 1 중 스마트기기 계수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는 통신 장치와 이를 제어하는 통신 및 제어 장치(110), 통신 및 제어 장치(110)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처리하고 저장하는 데이터 처리 및 저장 장치(120) 및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전원 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로부터 통신 및 제어 장치(110)는 GPS 칩셋(111) 및 GPS 제어부(112)와, BLE 칩셋(113) 및 BLE 제어부(114)와, WiFi 칩셋(115) 및 WiFi 제어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GPS 칩셋(111) 및 GPS 제어부(112)는 GPS를 통해 스마트기기와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 사이의 시간 동기화를 처리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GPS 칩셋(111) 및 GPS 제어부(112)는 3G-5G와 같은 이동통신 칩셋 및 이동통신 제어부로 대체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이동통신망은 시간동기화 및 인터넷 통신 모두가 가능하다.
BLE 칩셋(113) 및 BLE 제어부(114)는 스마트기기로부터 BLE 광고 패킷을 수신하여 스마트기기를 감지할 수 있다.
WiFi 칩셋(115) 및 WiFi 제어부(116)는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2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WiFi 칩셋(115) 및 WiFi 제어부(116)는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200)와 통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로 이더넷 칩셋과 이더넷 제어부와 같은 유선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도 2로부터 데이터 처리 및 저장 장치(120)는 시간 동기화부(121), 스마트기기 계수부(122), 데이터 처리부(123) 및 메모리(124)를 포함할 수 있다.
시간 동기화부(121)는 GPS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스마트기기의 시간을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200)와 동기화시킬 수 있다. 스마트기기 계수부(122)는 BLE 통신을 통해 검출된 스마트기기의 수를 계수하여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23)는 스마트기기 계수정보와 동기화된 시간정보를 결합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메모리(124)는 데이터 처리부(123)가 생성한 정보를 저장하고, WiFi 칩셋(115) 및 WiFi 제어부(116)를 통해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도 1 중 스마트기기 계수장치의 계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및 도 2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계수 방법은 스마트기기 계수부(122)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상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에서 수행하다고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S310단계 및 S320단계에서,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는 유휴(sleep)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유휴 상태에서 깨어날 경우 인터럽트를 발생할 수 있다.
S330단계에서,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는 인터럽트가 발생되면, 기설정된 시간(t), 동안 스마트기기가 발송하는 BLE 광고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는 스마트기기로부터 BLE 광고 패킷 수신 시에 관측된 수신신호세기지표(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와 시간소인(time stamp)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수신신호세기지표(RSSI)는 BLE 제어부(114)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시간소인은 시간 동기화부(121)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S340단계에서,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는 수신한 BLE 광고 패킷을 필터링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BLE 광고 패킷의 필터링은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200)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로,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기기가 발송한 BLE 광고 패킷들을 취합한 BLE 광고 패킷 리스트로부터 BLE 광고 패킷에 포함된 맥 어드레스(MAC address)를 기반으로 중복되는 BLE 광고 패킷을 제거하는 제1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는 제1 필터링 결과로부터 수신신호세기지표(RSSI)가 기설정된 세기(예를 들어, -80dBm) 미만인 BLE 광고 패킷을 제거하는 제2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는 제1 필터링 결과로부터, BLE 광고 패킷에 포함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널리 알려진 위치가 고정된 스마트기기(예를 들어, iBeacon, Eddystone 등)를 식별하고, 위치가 고정된 스마트기기를 제거하는 제3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S350단계에서,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는 BLE 광고 패킷의 필터링 결과로부터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기기가 발송한 BLE 광고 패킷들을 취합한 BLE 광고 패킷 리스트로부터 BLE 광고 패킷에 포함된 맥 어드레스(MAC address)를 기반으로 중복되는 BLE 광고 패킷을 제거하는 제1 필터링 결과에 포함된 BLE 광고 패킷의 합산 수를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는 제1 필터링 결과로부터 수신신호세기지표(RSSI)가 기설정된 세기(예를 들어, -80dBm) 미만인 BLE 광고 패킷을 제거하는 제2 필터링을 결과에 포함된 BLE 광고 패킷의 합산 수를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는 제1 필터링 결과로부터, BLE 광고 패킷에 포함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널리 알려진 위치가 고정된 스마트기기(예를 들어, iBeacon, Eddystone 등)를 식별하고, 위치가 고정된 스마트기기를 제거하는 제3 필터링 결과에 포함된 BLE 광고 패킷의 합산 수를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필터링 결과 내지 제3 필터링 결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링 결과에 포함된 BLE 광고 패킷의 합산 수를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가 생성하여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200)로 전송하는 스마트기기 계수정보는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를 생성한 스마트기기의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는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와, 수신신호세기지표(RSSI)와 시간소인(timestamp)을 함께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는 수신신호세기지표(RSSI)와 시간소인(timestamp)이 포함된 스마트기기 계수정보를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도 1 중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200)는 수집부(210), 제1 생성부(220), 제2 생성부(230), 제3 생성부(240), 제4 생성부(250), 데이터 처리부(260) 및 데이터베이스(27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집부(210)는 3개 이상의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1, 100_2, 100_3)로부터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수집부(210)는 3개 이상의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1, 100_2, 100_3)로부터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를 수집 시에,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기기가 발송한 BLE 광고 패킷들을 취합한 BLE 광고 패킷 리스트로부터 BLE 광고 패킷에 포함된 맥 어드레스를 기반으로 중복되는 BLE 광고 패킷을 제거한 제1 필터링 결과에 포함된 BLE 광고 패킷의 합산 수를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로 수집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수집부(210)는 3개 이상의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1, 100_2, 100_3)로부터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를 수집 시에, 제1 필터링 결과로부터 수신신호세기지표(RSSI)가 기설정된 세기 미만인 BLE 광고 패킷을 제거한 제2 필터링 결과에 포함된 BLE 광고 패킷의 합산 수를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로 수집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수집부(210)는 3개 이상의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1, 100_2, 100_3)로부터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를 수집 시에, 제1 필터링 결과로부터, BLE 광고 패킷에 포함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위치가 고정된 스마트기기를 식별하고, 위치가 고정된 스마트기기를 제거한 제3 필터링 결과에 포함된 BLE 광고 패킷의 합산 수를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로 수집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수집부(210)는 3개 이상의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1, 100_2, 100_3)로부터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를 수집 시에,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필터링 내지 제3 필터링을 거치지 않은 BLE 광고 패킷들을 취합한 BLE 광고 패킷 리스트를 수집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수집부(210)는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로부터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를 생성한 스마트기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스마트기기 계수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제1 생성부(220)는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에 1인당 스마트기기 평균 보유 개수를 적용하여 범위 내에서의 사용자 수를 산출한 결과로서의 사용자 계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생성부(220)는 미리 조사된 확률 및 통계를 통해 범위 내 사용자 수를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산출하고, 사용자 계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
Figure pat00002
는 범위 내의 사용자 수를 나타내고,
Figure pat00003
는 1인당 스마트기기 평균 보유 개수를 나타내고,
Figure pat00004
는 범위 내의 스마트기기 수를 나타낼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제1 생성부(220)는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가 생성된 스마트기기 계수 장치(100)의 위치 정보에 따라, 해당 위치의 인구 정보(demographic information)를 추출하고, 인구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위치의 1인당 스마트기기 평균 보유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인구 정보는 해당 위치를 방문하는 사용자의 나이 및 성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계수 정보는,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 및 사용자의 나이 및 성별에 따른 1인당 스마트기기 평균 보유 개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여기서, 위치별 인구 정보는 미리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200)에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200)가 위치별 인구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예를 들어, 공공 서버)에 접속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제2 생성부(230)는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를 기반으로 스마트기기의 위치 추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스마트기기의 위치 추정 정보는 사용자의 위치 추정 정보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제2 생성부(230)는 삼변측량 방법을 이용하여 스마트기기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제2 생성부(230)는 스마트기기의 계수정보에 포함된 수신신호세기지표(RSSI)를 이용하여 스마트기기로부터 제1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1) 내지 제3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3)까지 각각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제2 생성부(230)는 송신세기(미리 결정되어 있음)와 수신세기(수신신호세기지표(RSSI))의 차이를 나타내는 경로손실을 이용하여 산출한 스마트기기로부터 제1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1) 내지 제3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3)까지 각각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제2 생성부(230)는 이미 알고 있는 제1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1) 내지 제3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3)의 위치와, 스마트기기로부터 제1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1) 내지 제3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3)까지 각각의 거리를 원의 방정식에 대입하여 스마트기기의 위치 추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삼변측량 방법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도 8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른 실시 예로, 제2 생성부(230)는 TDOA 방법을 이용하여 스마트기기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제2 생성부(230)는 스마트기기의 계수 정보에 포함된 시간소인(timestamp)의 차이와 전파의 속도를 이용하여 스마트기기로부터 제3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3)까지의 거리 및 스마트기기로부터 제2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2)까지의 거리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1 거리차이와, 스마트기기로부터 제3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3)까지의 거리 및 스마트기기로부터 제2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2)까지의 거리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2 거리차이를 산출할 수 있다. 제2 생성부(230)는 이미 알고 있는 제1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1) 내지 제3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3)의 위치와, 제1 거리차이 및 제2 거리차이를 쌍곡선 방정식에 대입하여 스마트기기의 위치 추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TDOA 방법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도 9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3 생성부(240)는 제1 생성부(220)가 생성한 사용자 계수 정보와, 제2 생성부(230)가 생성한 스마트기기의 위치 추정 정보와 지도 정보를 결합하여 사용자들의 동선 탐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4 생성부(250)는 제3 생성부(240)는 제1 생성부(220)가 생성한 사용자 계수 정보와, 제2 생성부(230)가 생성한 스마트기기의 위치 추정 정보와 지도 정보를 결합하여 시간대별 사용자들의 분포를 포함하는 흐름 탐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260)는 제1 생성부(220)가 생성한 사용자 계수 정보와, 제2 생성부(230)가 생성상 스마트기기의 위치 추정 정보와, 제3 생성부(240)가 생성한 사용자들의 동선 탐지 정보와, 제4 생성부(250)가 생성한 흐름 탐지 정보를 취합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70)는 수집부(210)가 수집한 데이터와, 데이터 처리부(260)가 취합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위치 기반 서비스에 제공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에 의한 사용자 계수 정보 생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사용자 계수 정보 생성은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200) 내의 제1 생성부(2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가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200)가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로부터 수집한 BLE 광고 패킷 수신 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서 No.는 수신한 BLE 광고 패킷의 수를 나타내고, MAC address는 수신한 BLE 광고 패킷의 주소를 나타내고, Type은 수신한 BLE 광고 패킷의 종류(connectable, scanable, directable)를 나타내고, RSSI는 수신신호세기지표를 나타낼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BLE 광고 패킷 수신 결과로부터 맥 어드레스(MAC address)를 기반으로 중복되는 광고 패킷을 제거한 제1 필터링 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도 5의 제1 필터링 결과로부터 수신신호세기지표(RSSI)가 기설정된 세기 미만인 광고 패킷을 제거한 필터링 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도 5 내지 도 7로부터 스마트기기의 개수가 6개로 산출되고, 1인당 스마트기기 보유 개수가 예를 들어, 0.7개라면, 범위 내 사용자의 수는 약 4명으로 산출될 수 있다.
도 8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에 의한 사용자 위치 추정 정보 생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7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사용자 위치 추정 정보 생성은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200) 내의 제2 생성부(2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200)는 제1 원(801)과, 제2 원(802)과, 제3 원(803)의 공통 교점을 스마트기기의 위치(
Figure pat00005
,
Figure pat00006
)로 추정하는 삼변측량 방법을 이용하여 스마트기기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제1 원(801)은 제1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1)의 위치(
Figure pat00007
,
Figure pat00008
)를 중심으로 하고, 스마트기기로부터 제1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1)까지의 거리(
Figure pat00009
)을 반지름으로 하는 원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원(802)은 제2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2)의 위치(
Figure pat00010
,
Figure pat00011
)를 중심으로 하고, 스마트기기로부터 제2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2)까지의 거리(
Figure pat00012
)을 반지름으로 하는 원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원(803)은 제3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3)의 위치(
Figure pat00013
,
Figure pat00014
)를 중심으로 하고, 스마트기기로부터 제3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3)까지의 거리(
Figure pat00015
)을 반지름으로 하는 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1) 내지 제3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3)는 위치가 고정된 장치로서,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200)는 제1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1)의 위치(
Figure pat00016
,
Figure pat00017
), 제2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2)의 위치(
Figure pat00018
,
Figure pat00019
), 제3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3)의 위치(
Figure pat00020
,
Figure pat00021
)를 이미 알고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200)는 하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스마트기기로부터 제1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1)까지의 거리(
Figure pat00022
)와, 스마트기기로부터 제2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2)까지의 거리(
Figure pat00023
)와, 스마트기기로부터 제3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3)까지의 거리(
Figure pat00024
)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25
수학식 2에서, 경로손실 L(loss)은 송신세기와 수신세기의 차이값으로, 송신세기는 제1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1) 내지 제3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3) 설계 시 미리 결정되므로, 수신세기에 해당하는 수신신호세기지표(RSSI)만 있으면, 거리(d)를 계산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수신신호세기지표(RSSI)는 제1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1) 내지 제3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3) 내부의 BLE 제어부(도 2의 114)에서 관측할 수 있고,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Figure pat00026
는 사용주파수의 파장으로 알고 있는 값일 수 있다.
이로부터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200)은 하기 수학식 3의 원의 방정식을 이용하여 제1 원(801) 내지 제3 원(803)의 공통 교점으로서의 스마트기기의 위치추정 정보(
Figure pat00027
,
Figure pat00028
)를 생성할 수 있다.
Figure pat00029
Figure pat00030
Figure pat00031
도 9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에 의한 사용자 위치 추정 정보 생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8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사용자 위치 추정 정보 생성은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200) 내의 제2 생성부(2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200)는 시간소인의 차이를 이용하여 스마트기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TDOA(time of difference arrival) 방법을 이용하여 스마트기기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1) 내지 제3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3)는 위치가 고정된 장치로서,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200)는 제1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1)의 위치(
Figure pat00032
,
Figure pat00033
), 제2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2)의 위치(
Figure pat00034
,
Figure pat00035
), 제3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3)의 위치(
Figure pat00036
,
Figure pat00037
)를 이미 알고 있다.
또한, 제1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1) 내지 제3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3)는 스마트기기로부터 광고 패킷을 수신한 시간 정보로써의 시간소인(timestamp)을 저장하고 있으며,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에 시간소인이 포함될 수 있다.
TDOA 방법의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기기로부터 제1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1)까지의 거리(
Figure pat00038
)와, 스마트기기로부터 제2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2)까지의 거리(
Figure pat00039
)와, 스마트기기로부터 제3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3)까지의 거리(
Figure pat00040
)를 알 수는 없지만, 시간소인의 차이로 제1 거리차이(
Figure pat00041
) 및 제2 거리차이(
Figure pat00042
)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제1 거리차이(
Figure pat00043
)는 스마트기기로부터 제3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3)까지의 거리 및 스마트기기로부터 제2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2)까지의 거리의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제2 거리차이(
Figure pat00044
)는 스마트기기로부터 제3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3)까지의 거리 및 스마트기기로부터 제2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2)까지의 거리의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
거리는 광속도(본 실시 예에서 전파의 속도)와 시간의 곱이므로, 거리의 차이는 광속도와 시간차이의 곱일 수 있다. 여기서 시간차이가 시간소인의 차이일 수 있으며, 시간소인의 차이로 제1 거리차이(
Figure pat00045
) 및 제2 거리차이(
Figure pat00046
)를 산출할 수 있다.
이렇게 산출된 제1 거리차이(
Figure pat00047
) 및 제2 거리차이(
Figure pat00048
)와 이미 알고 있는 제1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1)의 위치(
Figure pat00049
,
Figure pat00050
), 제2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2)의 위치(
Figure pat00051
,
Figure pat00052
), 제3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3)의 위치(
Figure pat00053
,
Figure pat00054
)를 하기 수학식 4에 대입하여 제1 쌍곡선(901) 및 제2 쌍곡선(902)의 공통 교점으로서의 스마트기기의 위치추정 정보(
Figure pat00055
,
Figure pat00056
)를 생성할 수 있다.
Figure pat00057
Figure pat00058
Figure pat00059
수학식 4는 쌍곡선 이론에 따라, 2차원 위치 F와 F'를 초점하는 하는 쌍곡선이 존재할 때, 쌍곡선 위의 임의의 점 P에 대하여, 각 초점간 거리의 차이는 일정하다는 쌍곡선 방정식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쌍곡선 이론의 특징을 이용하여, 제1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1)의 (
Figure pat00060
,
Figure pat00061
), 제2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2)의 위치(
Figure pat00062
,
Figure pat00063
), 제3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3)의 위치(
Figure pat00064
,
Figure pat00065
) 각각을 초점으로 하고, 제3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3)와 제2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2)의 제1 쌍곡선(901)과, 제3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3)와 제1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1)의 제2 쌍곡선(902) 상에서의 공통 교점으로서의 스마트기기의 위치추정 정보(
Figure pat00066
,
Figure pat00067
)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0은 도 1 중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9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에 다른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200)는 프로세서(280)와 메모리(2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80)는 도 4의 수집부(210), 제1 생성부(220), 제2 생성부(230), 제3 생성부(240), 제4 생성부(250) 및 데이터 처리부(260)가 수행하는 기능을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280)는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20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어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모리(290)는 프로세서(280)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고, 프로세서(280)에서 수행되는 동작과 연관하여 적어도 하나의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90)는 프로세서(28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일 실시 예로 도 4의 데이터베이스(270)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29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메모리(290)는 내장 메모리 및/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DRAM, SRAM, 또는 SDRAM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 EPROM, EEPROM, mask ROM, flash ROM, NAND 플래시 메모리, 또는 NOR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SSD, CF(compact flash) 카드, SD 카드, Micro-SD 카드, Mini-SD 카드, Xd 카드,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과 같은 플래시 드라이브, 또는 HDD와 같은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10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S1110단계에서,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로부터 임의의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기기가 발송한 신호를 이용하여 생성한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200)는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로부터 BLE 통신 기반의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기기가 발송한 BLE 광고 패킷을 이용하여 산출한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200)는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를 수집 시에,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기기가 발송한 BLE 광고 패킷들을 취합한 BLE 광고 패킷 리스트로부터 BLE 광고 패킷에 포함된 맥 어드레스(MAC address)를 기반으로 중복되는 BLE 광고 패킷을 제거한 제1 필터링 결과에 포함된 BLE 광고 패킷의 합산 수를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로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200)는 광고 패킷 수신 시에 관측된 수신신호세기지표(RSSI)와, 광고 패킷을 수신한 시간소인을 더 포함하는 광고 패킷 리스트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200)는 제1 필터링 결과로부터 수신신호세기지표(RSSI)가 기설정된 세기 미만인 BLE 광고 패킷을 제거한 제2 필터링 결과에 포함된 BLE 광고 패킷의 합산 수를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로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200)는 제1 필터링 결과로부터, BLE 광고 패킷에 포함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위치가 고정된 스마트기기를 식별하고, 위치가 고정된 스마트기기를 제거한 제3 필터링 결과에 포함된 BLE 광고 패킷의 합산 수를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로 수집할 수 있다.
S1120단계에서,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200)는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에 1인당 스마트기기 평균 보유 개수를 적용하여 범위 내에서의 사용자 수를 산출한 결과로서의 사용자 계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200)는 상술한 수학식 1을 통하여 사용자 계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200)는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가 생성된 스마트기기 계수 장치(100)의 위치 정보에 따라, 해당 위치의 인구 정보(demographic information)를 추출하고, 인구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위치의 1인당 스마트기기 평균 보유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인구 정보는 해당 위치를 방문하는 사용자의 나이 및 성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계수 정보는,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 및 사용자의 나이 및 성별에 따른 1인당 스마트기기 평균 보유 개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S1130단게에서,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200)는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를 기반으로 스마트기기의 위치 추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200)는 삼변측량 방법을 이용하여 스마트기기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200)는 스마트기기의 계수정보에 포함된 수신신호세기지표(RSSI)를 이용하여 스마트기기로부터 제1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1) 내지 제3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3)까지 각각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제2 생성부(230)는 송신세기(미리 결정되어 있음)와 수신세기(수신신호세기지표(RSSI))의 차이를 나타내는 경로손실을 이용하여 산출한 스마트기기로부터 제1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1) 내지 제3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3)까지 각각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200)는 이미 알고 있는 제1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1) 내지 제3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3)의 위치와, 스마트기기로부터 제1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1) 내지 제3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3)까지 각각의 거리를 원의 방정식에 대입하여 스마트기기의 위치 추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200)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는 TDOA 방법을 이용하여 스마트기기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200)는 스마트기기의 계수 정보에 포함된 시간소인(timestamp)의 차이와 전파의 속도를 이용하여 스마트기기로부터 제3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3)까지의 거리 및 스마트기기로부터 제2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2)까지의 거리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1 거리차이와, 스마트기기로부터 제3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3)까지의 거리 및 스마트기기로부터 제2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2)까지의 거리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2 거리차이를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200)는 이미 알고 있는 제1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1) 내지 제3 스마트기기 계수장치(100_3)의 위치와, 제1 거리차이 및 제2 거리차이를 쌍곡선 방정식에 대입하여 스마트기기의 위치 추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S1140단계에서,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200)는 스마트기기의 위치 추정 정보와, 사용자 계수 정보와, 지도 정보를 결합하여 사용자들의 이동 동향 탐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200)는 스마트기기의 위치 추정 정보(동선 탐지 정보 및 시간대별 사용자들의 분포를 포함하는 흐름 탐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스마트기기 계수장치
200: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
300: 네트워크

Claims (20)

  1. 사용자 정보 생성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기기 계수장치로부터 임의의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기기가 발송한 신호를 이용하여 생성한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에 1인당 스마트기기 평균 보유 개수를 적용하여 상기 범위 내에서의 사용자 수를 산출한 결과로서의 사용자 계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기기의 위치 추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기기의 위치 추정 정보와, 상기 사용자 계수 정보와, 지도 정보를 결합하여 사용자들의 이동 동향 탐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생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기기 계수장치로부터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기반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기기가 발송한 광고 패킷(advertising packet)을 이용하여 산출한 상기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생성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를 수집 시에,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기기가 발송한 광고 패킷들을 취합한 광고 패킷 리스트로부터 상기 광고 패킷에 포함된 맥 어드레스(MAC address)를 기반으로 중복되는 광고 패킷을 제거한 제1 필터링 결과에 포함된 광고 패킷의 합산 수를 상기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로 수집하는,
    사용자 정보 생성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패킷의 수신 시에 관측된 수신신호세기지표(RSSI)와, 상기 광고 패킷을 수신한 시간소인을 더 포함하는 상기 광고 패킷 리스트를 수집하는,
    사용자 정보 생성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를 수집 시에,
    상기 제1 필터링 결과로부터 상기 수신신호세기지표(RSSI)가 기설정된 세기 미만인 광고 패킷을 제거한 제2 필터링 결과에 포함된 광고 패킷의 합산 수를 상기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로 수집하는,
    사용자 정보 생성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를 수집 시에,
    상기 제1 필터링 결과로부터, 상기 광고 패킷에 포함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위치가 고정된 스마트기기를 식별하고, 상기 위치가 고정된 스마트기기를 제거한 제3 필터링 결과에 포함된 광고 패킷의 합산 수를 상기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로 수집하는,
    사용자 정보 생성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의 위치 추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적어도 세 개의 상기 스마트기기 계수장치로부터 상기 스마트기기의 계수 정보들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기기의 계수 정보에 포함된 상기 수신신호세기지표(RSSI)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상기 적어도 세 개의 스마트기기 계수장치까지 각각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및
    기지의 상기 적어도 세 개의 스마트기기 계수장치 각각의 위치와,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상기 적어도 세 개의 스마트기기 계수장치까지 각각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기기의 위치 추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생성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의 위치 추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적어도 세 개의 상기 스마트기기 계수장치로부터 상기 스마트기기의 계수 정보들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기기의 계수 정보에 포함된 시간소인(timestamp)의 차이와 전파의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제3 스마트기기 계수장치까지의 거리 및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제2 스마트기기 계수장치까지의 거리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1 거리차이와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제3 스마트기기 계수장치까지의 거리 및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제2 스마트기기 계수장치까지의 거리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2 거리차이를 산출하는 단계;
    기지의 상기 적어도 세 개의 스마트기기 계수장치 각각의 위치와, 상기 제1 거리차이 및 상기 제2 거리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기기의 위치 추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생성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동향 탐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기기의 위치 추정 정보와, 상기 사용자 계수 정보와, 지도 정보를 결합하여 상기 사용자들의 동선 탐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기기의 위치 추정 정보와, 상기 사용자 계수 정보와, 지도 정보를 결합하여 시간대별 상기 사용자들의 분포를 포함하는 흐름 탐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생성 방법.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는 상기 광고 패킷을 발송한 스마트기기의 맥 어드레스(MAC address), 상기 광고 패킷의 수신 시에 관측된 수신신호세기지표(RSSI)와, 상기 광고 패킷을 수신한 시간소인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로부터 상기 맥 어드레스를 기반으로 중복되는 광고 패킷을 제거하여 제1 필터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필터링 결과로부터, 상기 수신신호세기지표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개수 범위 밖의 광고 패킷을 제거한 제2 필터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생성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는 상기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를 생성한 스마트기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계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가 생성된 스마트기기 계수 장치의 위치 정보에 따라, 해당 위치의 인구 정보(demographic information)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인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해당 위치의 1인당 스마트기기 평균 보유 개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생성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구 정보는 상기 해당 위치를 방문하는 사용자의 나이 및 성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계수 정보는, 상기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 및 사용자의 나이 및 성별에 따른 1인당 스마트기기 평균 보유 개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사용자 정보 생성 방법.
  13.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 1 항 내지 제 12 항의 방법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4.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가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기기 계수장치로부터 임의의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기기가 발송한 신호를 이용하여 생성한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에 1인당 스마트기기 평균 보유 개수를 적용하여 상기 범위 내에서의 사용자 수를 산출한 결과로서의 사용자 계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기기의 위치 추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스마트기기의 위치 추정 정보와, 상기 사용자 계수 정보와, 지도 정보를 결합하여 사용자들의 이동 동향 탐지 정보를 생성하도록 야기하는 코드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를 수집 시에, 상기 스마트기기 계수장치로부터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기반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기기가 발송한 광고 패킷(advertising packet)을 이용하여 산출한 상기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를 수집하도록 야기하는 코드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를 수집 시에,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기기가 발송한 광고 패킷들을 취합한 광고 패킷 리스트로부터 상기 광고 패킷에 포함된 맥 어드레스(MAC address)를 기반으로 중복되는 광고 패킷을 제거한 제1 필터링 결과에 포함된 광고 패킷의 합산 수를 상기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로 수집하도록 야기하는 코드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광고 패킷의 수신 시에 관측된 수신신호세기지표(RSSI)와, 상기 광고 패킷을 수신한 시간소인을 더 포함하는 상기 광고 패킷 리스트를 수집하도록 야기하는 코드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를 수집 시에, 상기 제1 필터링 결과로부터 상기 수신신호세기지표(RSSI)가 기설정된 세기 미만인 광고 패킷을 제거한 제2 필터링 결과에 포함된 광고 패킷의 합산 수를 상기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로 수집하도록 야기하는 코드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를 수집 시에, 상기 제1 필터링 결과로부터, 상기 광고 패킷에 포함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위치가 고정된 스마트기기를 식별하고, 상기 위치가 고정된 스마트기기를 제거한 제3 필터링 결과에 포함된 광고 패킷의 합산 수를 상기 스마트기기 계수 정보로 수집하도록 야기하는 코드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적어도 세 개의 상기 스마트기기 계수장치로부터 상기 스마트기기의 계수 정보들을 수집하고,
    상기 스마트기기의 계수 정보에 포함된 상기 수신신호세기지표(RSSI)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상기 적어도 세 개의 스마트기기 계수장치까지 각각의 거리를 산출하고,
    기지의 상기 적어도 세 개의 스마트기기 계수장치 각각의 위치와,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상기 적어도 세 개의 스마트기기 계수장치까지 각각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기기의 위치 추정 정보를 생성하도록 야기하는 코드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생성 장치.
KR1020210020360A 2021-02-16 2021-02-16 사용자 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471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360A KR102471612B1 (ko) 2021-02-16 2021-02-16 사용자 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PCT/KR2022/002308 WO2022177301A1 (ko) 2021-02-16 2022-02-16 사용자 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US18/180,617 US20230224852A1 (en) 2021-02-16 2023-03-08 User information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360A KR102471612B1 (ko) 2021-02-16 2021-02-16 사용자 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425A true KR20220138425A (ko) 2022-10-13
KR102471612B1 KR102471612B1 (ko) 2022-11-25

Family

ID=82930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360A KR102471612B1 (ko) 2021-02-16 2021-02-16 사용자 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224852A1 (ko)
KR (1) KR102471612B1 (ko)
WO (1) WO2022177301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2170A (ko) * 2010-12-23 2012-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서비스 이용 이력 기반 서비스 이동 단말 결정 장치 및 방법
KR20140056828A (ko) * 2012-11-01 2014-05-12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유동 인구 분석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417922B1 (ko) * 2013-01-07 2014-07-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단말기 위치 측위 방법 및 장치
KR101480348B1 (ko) 2013-05-31 2015-01-0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사람 검출 장치 및 방법과 사람 계수 장치 및 방법
KR20160085065A (ko) * 2015-01-07 2016-07-15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Ble 기술 기반 실내 공간에서의 경로 검색 장치 및 방법
KR20180067784A (ko) * 2016-12-12 2018-06-21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저전력 블루투스를 이용한 위치 인식 방법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KR20190018129A (ko) * 2017-08-10 2019-02-21 이종천 유동인구계수장치 및 유동인구분석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86703B2 (en) * 2012-11-08 2018-02-06 xAd, Inc.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mobile device location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2170A (ko) * 2010-12-23 2012-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서비스 이용 이력 기반 서비스 이동 단말 결정 장치 및 방법
KR20140056828A (ko) * 2012-11-01 2014-05-12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유동 인구 분석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417922B1 (ko) * 2013-01-07 2014-07-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단말기 위치 측위 방법 및 장치
KR101480348B1 (ko) 2013-05-31 2015-01-0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사람 검출 장치 및 방법과 사람 계수 장치 및 방법
KR20160085065A (ko) * 2015-01-07 2016-07-15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Ble 기술 기반 실내 공간에서의 경로 검색 장치 및 방법
KR20180067784A (ko) * 2016-12-12 2018-06-21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저전력 블루투스를 이용한 위치 인식 방법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KR20190018129A (ko) * 2017-08-10 2019-02-21 이종천 유동인구계수장치 및 유동인구분석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24852A1 (en) 2023-07-13
WO2022177301A1 (ko) 2022-08-25
KR102471612B1 (ko) 2022-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9200B2 (en) Centralized beacon management service
US9420424B2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crowdedness of people at a place
US8185135B2 (en) WiFi and GSM landmarks and neighborhoods for location based services
US20170188188A1 (en) 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radio fingerprint map construction and location tracking
Nunes et al. Beanstalk: a community based passive wi-fi tracking system for analysing tourism dynamics
JP2016105620A (ja) 所定の領域内のユーザトラフィックを分析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1453317B1 (ko) 와이파이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WO2013184383A2 (en) App recommendation using crowd-sourced localized app usage data
CN104239453B (zh) 数据处理方法及装置
CN108427679B (zh) 一种人流分布处理方法及其设备
CN106465175A (zh) 用于收集和汇总网络质量数据的方法
CN105282844A (zh) 定位方法、系统、终端与定位服务器
JP6736160B2 (ja) 移動端末装置、センサデータ送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514593B1 (ko) Rf 핑거프린트 구축 방법 및 장치
US10028092B2 (en) Reducing client-side chatter for beacon-level events
US94330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 based positioning (NBP)
KR102471612B1 (ko) 사용자 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JP6379305B1 (ja) ワイヤレス信号特性に基づくモバイルデバイスを使用したユーザコンテキストの検出
JP2017004177A (ja) センサデータ収集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230109089A1 (en) Approximating population density and post-incident scenario analysis
CN111881242B (zh) 一种轨迹点的基础语义识别方法及相关设备
US9581458B2 (en) Navigation system with landmark recognition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9644988B2 (en) Navigation system with data gathering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Cheng et al. Extend your journey: Introducing signal strength into location-based applications
Perri et al. BLENDER-Bluetooth Low Energy discovery and fingerprinting in I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