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8194A - Apparatus for laundry treatmen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laundry treat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8194A
KR20220138194A KR1020210044023A KR20210044023A KR20220138194A KR 20220138194 A KR20220138194 A KR 20220138194A KR 1020210044023 A KR1020210044023 A KR 1020210044023A KR 20210044023 A KR20210044023 A KR 20210044023A KR 20220138194 A KR20220138194 A KR 20220138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laundry treatment
fan
hea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40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05504B1 (en
Inventor
김영종
김재상
박현익
최인용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4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504B1/en
Publication of KR20220138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81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5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aundry treatment device comprising: a cabinet having a laundry treatment room formed therein to accommodate laundry; an air inlet for withdrawing air inside the laundry treatment room and an air outlet for re-supplying, into the laundry treatment room,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which are arranged inside the laundry treatment room; a heat pump device for heating air in a circulating flow path for allowing the air inlet and the air outlet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 fan operating to circulate the air inside the laundry treatment room along the circulating flow path; and a board housing having a circuit board accommodated therein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heat pump device. The fan includes a fan housing having an intake hole and an exhaust hole arranged thereon. The fan housing includes at least one suffocation preventing device arranged on any one surface to introduce outside air inside. The board housing includes a heat dissipation hole formed on any one surface, wherein heat generated from the circuit board is introduced into the suffocation preventing devices through the heat dissipation hole. Therefore, deterioration in thermal efficiency caused when introducing outside air to prevent a suffocation accident in a laundry treatment room can be compensated for.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APPARATUS FOR LAUNDRY TREATMENT}Clothes processing equipment {APPARATUS FOR LAUNDRY TREATMEN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의류에 대하여 세탁, 건조, 탈취, 구김제거 등의 각종 처리를 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various treatments such as washing, drying, deodorizing, and wrinkle removal on clothing.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거나, 젖은 의류를 건조하거나, 의류에 배인 냄새를 제거하거나, 의류의 주름을 개선하는 등 의류에 대한 각종 처리를 하기 위한 장치이다.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is an apparatus for washing clothes, drying wet clothes, removing odors from clothes, or improving wrinkles on clothes.

최근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을 위한 세탁기, 의류의 건조를 위한 건조기, 의류의 리프레쉬를 위한 리프레셔(refresher), 의류의 불필요한 구김을 개선시키는 스티머(steamer) 등이 하나의 장치에서 구현되도록 개발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Recently, a clothes treatment apparatus has been developed such that a washing machine for washing clothes, a dryer for drying clothes, a refresher for refreshing clothes, a steamer for improving unnecessary wrinkles of clothes, etc. are implemented in one device. there is a trend

여기서, 리프레셔는 의류의 상태를 쾌적하고 신선하게 하기 위한 장치로서, 의류를 건조시키거나, 의류에 향을 공급하거나, 의류의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거나, 의류의 구김을 개선시키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가리키고, 스티머는 의류에 스팀을 공급하여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다리미와 다르게 의류에 직접 열을 가하지 않으면서 의류의 구김을 개선 및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가리킬 수 있다.Here, the refresher is a device for making clothes comfortable and fresh, and performs functions such as drying clothes, supplying fragrance to clothes, preventing static electricity generation of clothes, or improving wrinkling of clothes. It refers to a device, and a steamer is a device for removing wrinkles from clothes by supplying steam to clothes. Unlike an iron, it may refer to a device that performs a function of improving and removing wrinkles from clothes without directly applying heat to the clothes. .

또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수용된 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함으로써 의류를 건조시키는데 통상 히트펌프장치를 이용하며, 이때 히프펌프장치는 주변 공기와 열교환하여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 냉매를 응축시켜 주변 공기를 가열하는 응축기, 증발기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압축하여 응축기로 공급하는 압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othes treatment device generally uses a heat pump device to dry clothes by supplying hot air to the space in which the clothes are accommodated. It may include a condenser that heats, a compressor that compresses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evaporator and supplies it to the condenser.

이때,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처리실 내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를 제습 및 가열하여 다시 의류처리실로 재공급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시키기 위해, 열교환장치인 증발기 및 응축기의 전단 또는 후단, 즉 공기 흐름 기준으로 상류측단 또는 하류측단에는 팬이 마련될 수 있다.At this time, air is introduced into the clothes treatment chamber in which the clothes are accommodated, and in order to form a flow of air that is dehumidified and heated and re-supplied to the laundry treatment room, the front or rear ends of the evaporator and the condenser, that is, air A fan may be provided at an upstream end or a downstream end based on the flow.

한편, 통상적으로 의류처리실은 내부에 어린아이나 반려동물이 들어갈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가질 수 있어, 도어가 닫힌 상태의 의류처리실 내부는 밀폐되기 때문에, 어린아이나 반려동물이 의류처리실 내부에 갇혔을 때, 의류처리실 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져 산소 부족 등으로 인한 질식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general, the laundry treatment room may have sufficient space for a child or companion animal to enter, so that the inside of the laundry treatment room with the door closed is sealed. As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n the treatment chamber increases, there is a risk of suffocation due to lack of oxygen.

이러한 질식사고 발생 위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외기를 의류처리실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는데, 통상적으로 외기의 온도가 히트펌프장치에 의해 가열되어 의류처리실로 공급되는 공기보다 낮기 때문에, 이러한 온도차로 인하여 발생하는 열 효율 저하 문제를 보상해줄 수 있는 필요 기술의 제시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As one method to solve the problem of the risk of suffocation, outside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laundry treatment room, and since the temperature of outside air is usually lower than the air heated by the heat pump device and supplied to the laundry treatment room, There is an urgent need to present a necessary technology capable of compensating for a problem of a decrease in thermal efficiency caused by such a temperature difference.

KR 10-2010-0092764 AKR 10-2010-0092764 A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의류처리실 내에 어린아이나 반려동물이 갇혔을 때, 의류처리실 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져 산소 부족으로 인한 질식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외기를 도입할 때 발생하는 열 효율 저하 문제를 보상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hild or a companion animal is trapped in a clothes treatment room,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clothes treatment room increases to prevent a suffocation accident due to lack of oxygen. can do.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처리실을 형성하는 캐비넷, 상기 의류처리실 내 마련되어, 상기 의류처리실 내부의 공기가 인출되는 공기유입구와,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의류처리실 내부로 재공급되는 공기토출구, 상기 공기유입구와 상기 공기토출구를 상호 연통시키는 순환유로 내 공기를 가열하는 히트펌프장치,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상기 의류처리실 내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구동하는 팬, 및 상기 히트펌프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회로기판이 수용된 기판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팬은, 흡기구와 배기구가 마련된 팬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팬하우징은, 어느 일 면에 마련되어 외기를 내부로 도입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질식방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하우징은, 어느 일 면에 형성된 방열구를 포함하여, 상기 회로기판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방열구를 통해 상기 질식방지장치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binet for forming a clothes treatment room in which clothes are accommodated, an air inlet provided in the clothes treatment room through which air from the inside of the clothes treatment room is drawn out, and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is provided. an air outlet re-supplied into the laundry treatment chamber, a heat pump device for heating air in a circulation passage that communicates the air inlet and the air outlet to each other, a fan driven to circulate air in the laundry treatment chamber along the circulation passage; and a substrate housing accommodating a circuit boar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eat pump device, wherein the fan includes a fan housing provided with an intake port and an exhaust port, wherein the fan housing is provided on one surface to introduce outside air into the interior and at least one anti-suffocation device for cooling, wherein the substrate housing includes a heat sink formed on one side, so that the heat generated on the circuit board flows into the asphyxiation device through the heat sink It provides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기판하우징은, 상기 히트펌프장치의 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ubstrate housing may be rotatably coupled to a base plate forming a bottom surface of the heat pump device.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기판하우징이 접혀진 경우, 상기 방열구는 상기 질식방지장치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기판하우징이 펼져져 전개된 경우, 상기 질식방지장치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substrate housing is folded, the heat sink is located in front of the suffocation preventing device, and when the substrate housing is unfolded and deployed, the suffocation preventing device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회로기판은, 적어도 하나의 회로소자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방사하는 방열판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ircuit board may include a heat sink that radiates heat generated from at least one circuit element.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방열판은, 상기 방열구 주변에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heat sink may be located around the heat sink.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방열구에는 열이 상기 질식방지장치로 가이드되도록, 상기 질식방지장치를 향하여 마련된 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heat sink may include a guide member provided toward the suffocation preventing device so that heat is guided to the suffocation preventing device.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팬하우징의 어느 일 면에 일부 영역이 개구 형성된 개구부에 상기 질식방지장치가 마련되되, 상기 질식방지장치는, 상기 개구부를 중심으로 외측 및 내측 각각에서 상기 개구부를 차단하도록 외기도입판 및 외기도입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외기도입판 및 상기 외기도입커버의 상측단은 자유단으로 상기 팬하우징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외기가 상기 팬하우징 내부로 도입될 수 있는 틈을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uffocation prevention device is provided in an opening in which a partial area is opened on one surface of the fan housing, and the suffocation prevention device blocks the opening at each of the outside and the inside with respect to the opening. It includes an outside introduction plate and an outside introduction cover, and the upper ends of the outside introduction plate and the outside introduction cover are free ends and are spaced apart from the fan housing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form a gap through which outside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fan housing. can be formed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방열구의 높이는 상기 질식방지장치의 높이보다 높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전방으로 소정 각도만큼 하향 경사지게 마련된 복수의 가이드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가이드판은, 서로 이격 배치되어 이웃한 두 상기 가이드판 사이에는 가열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height of the heat sink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suffocation prevention device, and the guide member includes a plurality of guide plates inclined downward by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front, and the plurality of guide plat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slit through which heated air can flow may be formed between the two adjacent guide plates.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팬은, 회전축을 따라 상기 흡기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회전축의 반경방향으로 배출되어 상기 팬하우징의 내면을 따라 회전한 이후 상기 팬하우징의 상부에 마련된 상기 배기구로 배기되는 제1 유로를 갖고, 상기 질식방지장치는, 상기 팬하우징의 일 측면에 마련되되, 상기 제1 유로 중 상기 배기구를 향하여 상승하는 기류 상에 마련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an,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take port along a rotational shaft is discharged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rotational shaft, rotate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fan housing, and then exhausts through the exhaust hole provided on the top of the fan housing and a first flow path, wherein the suffocation prevention devic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an housing, and may be provided on an airflow rising toward the exhaust port among the first flow paths.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팬의 구동으로 상기 질식방지장치 주변에 음압을 형성하여, 상기 방열구에서 상기 질식방지장치로 열을 유도하고, 상기 공기토출구를 통해 상기 의류처리실로 열을 공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by driving the fan to form a negative pressure around the suffocation preventing device, heat may be induced from the heat sink to the suffocation preventing device, and heat may be supplied to the laundry treatment room through the air outlet.

본 발명에 따르면, 의류처리실 내에 어린아이나 반려동물이 갇혔을 때, 의류처리실 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져 산소 부족으로 인한 질식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질식사고 발생 위험 방지를 위해 외기를 도입함으로써 발생하는 열 효율 저하 문제를 보상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hild or a companion animal is trapped in the clothing treatment room,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n the clothing treatment room increases to prevent suffocation accidents due to lack of oxygen, and thermal efficiency generated by introducing outside air to prevent the risk of suffocation accidents The degradation problem can be compensated.

상기 열 효율 저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질식방지장치를 통해 의류처리실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높일 수 있으며, 공기의 온도를 높일 때, 추가적인 전력 소비를 요구하지 않는다.In order to prevent the thermal efficiency degradation problem, the temperature of the air flowing into the laundry treatment room may be increased through the suffocation prevention device, and additional power consumption is not require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air is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실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 내 공기유로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덕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튐방지커버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a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튐방지커버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의 종단면도이다.
도 13a 및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의 공기 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식방지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기도입커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기도입커버가 팬하우징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에 기판하우징이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b는 도 17a의 기판하우징이 젖혀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a 및 1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하우징이 분해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식방지장치와 기판하우징의 종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식방지장치 주변의 공기 및 열 흐름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22는 도 21의 공기 및 열 유동을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laundry treatment 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external appearance of a heat pum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eat pum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heat pum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specifically illustrating an air flow path in a heat pum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a is a view showing an intermediate 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splash prevention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Fig. 8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7A;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unction of the water splash prevention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are views showing the appearance of a f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f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A and 13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air flow path of a f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suffocation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showing an external introduction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utside introduction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fan housing.
17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bstrate housing is folded in the heat pum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bstrate housing of FIG. 17A is tilted.
18A and 18B are views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the substrate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A is a view showing a guid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B is a view showing a guide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ffocation prevention device and the substrate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flow of air and heat around the suffocation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2 is a view showing a result of simulating the air and heat flow of FIG. 21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유닛"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unit" and "uni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only, and do not have a meaning or role distinct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herei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is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처리실(11)과, 의류처리실(11)의 하부에 분리되어 의류처리실(11) 내부의 공기를 제습, 가열 또는 순환시켜, 의류에 잔류하는 먼지, 냄새, 구김 또는 습기 등을 제거하기 위한 각종 장치가 구비되는 기계실(2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undry treatment chamber 11 in which clothes are accommodated, and the laundry treatment chamber 11 are separat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laundry treatment chamber 11 inside the laundry treatment chamber 11 . It may include a machine room 20 provided with various devices for dehumidifying, heating, or circulating the air of the garment to remove dust, odor, wrinkles, or moisture remaining on the clothes.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의류처리실(11)과 기계실(20)은 하나의 캐비넷(10)에 구비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의류처리실(11)의 전방에는 의류처리실(11) 개폐를 위한 도어(40)가 마련될 수 있다.Although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and the machine room 20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provided in one cabinet 10, and a door ( 40) can be provided.

캐비넷(10)이나 도어(40)의 외면에는 의류처리장치(1)의 각 구성요소의 작동상태를 외부로 알려주기 위한 표시부 및/또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작동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outer surface of the cabinet 10 or the door 40 may include a display unit for informing the outside of the operating state of each component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and/or an input unit for receiving various operation inputs from a user. .

의류처리실(11)은 내부에 의류를 수용 또는 거치하기 위한 공간을 갖되, 의류처리실(11)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의류처리실(11) 내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유입구(12a)과, 공기유입구(12a)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다시 의류처리실(11) 내부로 재공급하기 위한 공기토출구(12b)가 의류처리실(11)에 마련될 수 있다.The clothes treatment chamber 11 has a space for receiving or mounting clothes therein. In order to circulate the air inside the clothes treatment chamber 11, an air inlet 12a through which the air inside the clothes treatment chamber 11 is sucked; An air outlet 12b for re-supplying the air sucked from the air inlet 12a back into the laundry treatment chamber 11 may be provided in the laundry treatment chamber 11 .

이때, 공기유입구(12a)와 공기토출구(12b)는 기계실(20)과 근접한 의류처리실(11)의 바닥면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바닥면은 의류처리실(11)과 기계실(20)을 구분하는 가로면으로서 반드시 수평의 편평한 형태만을 가리키진 않는다.In this case, the air inlet 12a and the air outlet 12b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adjacent to the machine room 20 . Here, the floor surface is a horizontal surface that separates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and the machine room 20 and does not necessarily indicate only a horizontal flat shape.

공기유입구(12a)와 공기토출구(12b)의 의류처리실(11) 내 위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유입구(12a)는 의류처리실(11)의 전방 도어(40)측에 위치할 수 있고, 공기배출구(12b)는 의류처리실(11)의 후방 배면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positions of the air inlet 12a and the air outlet 12b in the laundry treatment chamber 11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shown in FIG. 2 , the air inlet 12a is located in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 It may be located on the front door 40 side, and the air outlet 12b may be located on the rear rear side of the laundry treatment chamber 11 .

한편, 의류처리실(11) 내부, 구체적으로 의류처리실(11)의 내측 후면에는 기계실(20) 내부에 마련된 스팀발생장치(미도시)에 의해 발생된 스팀을 분사하기 위한 스팀분사부(13)가 위치하여, 의류처리실(11) 내 수용된 의류를 향하여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side the laundry treatment chamber 11 , specifically, on the inner rear side of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 there is a steam spraying unit 13 for spraying steam generated by a steam generator (not shown) provided in the machine room 20 . positioned to spray steam toward the clothes accommodated in the clothes treatment chamber 11 .

스팀발생장치와 스팀분사부(13)는 호스로 서로 연결되어, 스팀발생장치에 의해 발생된 스팀은 호스를 따라 형성되는 유로를 통해 스팀분사부(13)에 공급될 수 있다.The steam generator and the steam spraying unit 1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hose, and the steam generated by the steam generator may be supplied to the steam spraying part 13 through a flow path formed along the hose.

한편, 의류처리실(11)의 하부, 그리고 기계실(20)의 전방에는 스팀발생장치가 스팀을 발생할 수 있도록 스팀발생장치에 공급되는 물을 수용하는 급수통(31)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급수통(31)은 대략 사각의 상자형태로 의류처리장치(1)에 장·탈착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사용자가 물채움알림시 급수통(31)을 탈착 분리하여 물을 보충한 후 케이싱에 다시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a water supply tank 31 accommodating water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and in front of the machine room 20 so that the steam generator can generate steam. At this time, the water supply container 31 is implemented to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1 in the shape of a substantially rectangular box, and the water supply container 31 is detached and detached at the time of a water filling notification to replenish water and then the casing.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mount it back to the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의류처리장치(1)는 급수통(31)에서 스팀발생장치의 급수구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펌프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급수펌프장치는 급수통(31)의 일면에 연결된 급수호스를 통해 스팀발생장치에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1 may include a water supply pump device for supplying water from the water supply tank 31 to the water supply port of the steam generator, and the water supply pump device is one surface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31 .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through a water supply hose connected to the .

이때, 급수통(31)에는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센서가 마련되어, 제어부(미도시)는 급수통(31)에 마련된 수위감지센서를 이용하여 급수통(31) 내 물이 소정높이 이상 채워져 있는지 여부를 감지 또는 판단하고, 저수위인 경우 외부로 물채움알림을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water supply tank 31 is provided with a water level sensor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and the control unit (not shown) uses the water level sensor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tank 31 to fill the water in the water tank 31 to a predetermined height or more. It is preferable to detect or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water level and output a water filling notification to the outside when the water level is low.

한편, 의류처리실(11)의 하부, 그리고 기계실(20)의 전방에는 상기 급수통(31) 이외에 응축수가 집수되는 배수통(32)이 마련될 수 있다. 의류처리실(11) 내부나 기계실(20) 내부에 스팀공급 등으로 발생된 응축수를 섬프에 집수하고, 섬프에 집수된 응축수는 응축수펌프장치에 의해 배수통(32)으로 유도될 수 있다.Meanwhile, in addition to the water supply tank 31 , a drain container 32 through which condensed water is collected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and in front of the machine room 20 .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by the steam supply inside the laundry treatment chamber 11 or the machine room 20 may be collected in the sump, and the condensed water collected in the sump may be guided to the drain tube 32 by the condensate pump device.

배수통(32)은 급수통(31)과 마찬가지로, 대략 사각의 상자형태로 의류처리장치(1)에 장·탈착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사용자가 응축수배출알림시 배수통(32)을 탈착 분리하여 물을 버린 후 케이싱에 다시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Like the water supply tank 31, the drain tube 32 is implemented in a rectangular box shape so that it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so that the user can detach and detach the drain tube 32 when a condensate discharge notification is issued.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put it back into the casing after draining the water.

또한, 배수통(32) 역시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센서가 마련되어, 제어부는 배수통(32)에 마련된 수위감지센서를 이용하여 배수통(32) 내 물이 소정 높이 이상 채워져 있는지 여부를 감지 또는 판단하고, 고수위인 경우 외부로 응축수배출알림을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rain tube 32 is also provided with a water level sensor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and the control unit detects whether the water in the drain tube 32 is filled with more than a predetermined height using the water level sensor provided in the drain tube 32 . Alternatively, it is preferable to output a condensate discharge notification to the outside when the water level is high.

한편, 기계실(20)의 내부에는 의류처리실(11)에 공기 또는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히트펌프장치(100)(또는 공기공급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는 히트펌프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side of the machine room 20 may include a heat pump device 100 (or an ai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air or heated air to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 and the control unit is the heat pump device 100 . You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n external appearance of a heat pum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eat pum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히트펌프장치(100)는 공기조화장치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히트펌프장치와 유사하게 증발기(110), 응축기(120), 압축기(130), 및 유량조절밸브(140)를 포함하여, 의류처리실(11) 내부에서 인출된 공기를 제습 및 가열하여 의류처리실(11)로 재공급할 수 있다.3 and 4, the heat pump device 100 is similar to a heat pump device used in an air conditioner, etc., an evaporator 110, a condenser 120, a compressor 130, and a flow control valve ( 140 , the air drawn out from the inside of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may be dehumidified and heated to be re-supplied to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

냉매는 증발기(110), 응축기(120), 압축기(130) 및 유량조절밸브(140)를 순환하고, 의류처리실(11) 내부에서 인출된 공기는 증발기(110) 및 응축기(120)를 통과하여 의류처리실(11)로 재공급되는 순환유로를 따라 순환함으로써, 의류처리실(11) 내부에서 인출된 공기 내 습기는 제거되고 가열될 수 있다. 이때, 공기가 히트펌프장치(100) 내 열교환장치인 증발기(110) 및 응축기(120)를 통과하는 흐름을 갖도록 증발기(110) 또는 응축기(120) 주변, 구체적으로 열교환장치인 증발기(110) 및 응축기(120)의 전단 또는 후단, 즉 공기 흐름 기준으로 상류측단 또는 하류측단에 팬(105)이 마련될 수 있다.The refrigerant circulates through the evaporator 110 , the condenser 120 , the compressor 130 , and the flow control valve 140 , and the air drawn from the inside of the laundry treatment chamber 11 passes through the evaporator 110 and the condenser 120 , By circulating along the circulation path that is re-supplied to the laundry treatment chamber 11 , moisture in the air drawn out from the inside of the laundry treatment chamber 11 may be removed and heated. At this time, around the evaporator 110 or the condenser 120 so that the air has a flow through the evaporator 110 and the condenser 120, which are heat exchange devices in the heat pump device 100, specifically, the evaporator 110, which is a heat exchange device, and The fan 105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or rear end of the condenser 120 , that is, at an upstream end or a downstream end based on the air flow.

증발기(110)는 순환공기유로(101)로 유입된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수단으로, 증발기(110)를 통과하는 공기는 냉각되고, 증발기(110)를 통과하는 냉매는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증발된다. 따라서, 공기가 증발기(110)를 통과할 때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은 제거된다.The evaporator 110 is a means for exchanging heat with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circulation air flow path 101, an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110 is cooled, and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110 absorbs heat from the air. evaporated Therefore, when the air passes through the evaporator 110,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is removed.

압축기(130)는 증발기(110)와 응축기(120) 사이에 위치하여 냉매가 순환냉매유로(102)를 따라 순환할 수 있도록 냉매를 가압할 수 있다. 압축기(130)는 순환냉매유로(102)를 통해 증발기(110)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압축하여 응축기(120)로 이송시킬 수 있다.The compressor 13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evaporator 110 and the condenser 120 to pressurize the refrigerant so that the refrigerant circulates along the circulating refrigerant passage 102 . The compressor 130 may compress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evaporator 110 through the circulating refrigerant passage 102 and transfer it to the condenser 120 .

응축기(120)는 증발기(110)를 통과한 공기와 냉매 간 열교환시키는 수단으로, 응축기(120)를 통과한 공기는 가열되고 응축기(120)를 통과하는 냉매는 공기로 열을 방출하여 응축될 수 있다.The condenser 120 is a means for heat exchange between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evaporator 110 and the refrigeran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120 is heated, and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120 can be condensed by releasing heat into the air. have.

압축기(130)를 거쳐 응축기(120)에서 냉매가 응축되는 경우에 주변 공기를 향해 잠열을 방출함으로써 주변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증발기(110)와 응축기(120)는 주변 공기에 대한 열교환장치의 기능을 하게 되어, 의류처리실(11)의 공기유입구(12a)로부터 인출되어 히트펌프장치(100)의 공기유입구(101a)로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110)와 응축기(120)를 거침으로써 제습 및 가열되어 공기배출구(101b)를 통해 의류처리실(11) 내부로 재공급될 수 있다.When the refrigerant is condensed in the condenser 120 via the compressor 130, latent heat is emitted toward the surrounding air to heat the surrounding air. The evaporator 110 and the condenser 120 function as a heat exchange device for ambient air, and are drawn out from the air inlet 12a of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and introduced into the air inlet 101a of the heat pump device 100 . The dehumidified air may be dehumidified and heated by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110 and the condenser 120 , and may be re-supplied into the laundry treatment chamber 11 through the air outlet 101b.

유량조절밸브(140)는 순환냉매유로(102)를 통해 응축기(120)에서 증발기(110)로 이송되는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는 수단으로서, 개도율(開度率)을 조절하여 이송되는 냉매의 유량이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The flow rate control valve 140 is a means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transferred from the condenser 120 to the evaporator 110 through the circulating refrigerant passage 102, The flow rate and pressure can be adjusted.

히트펌프장치(100)는 의류처리실(11) 내 공기를 가열함과 동시에 공기 내 습도를 제거함으로써, 의류처리실(11) 내 의류를 건조하거나 리프레쉬할 수 있다.The heat pump apparatus 100 may dry or refresh clothes in the clothes treatment chamber 11 by heating the air in the clothes treatment chamber 11 and simultaneously removing humidity in the air.

구체적으로, 의류처리실(11) 내의 공기는 기계실(20)의 전단 상부에 위치한 공기유입구(12a)를 통해 기계실(20) 내 흡입덕트(151)를 통해 공기유입구(101a)로 유입되고, 공기유입구(101a)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110) 및 응축기(120)를 거쳐, 배기덕트(153)를 통해 공기배출구(101b) 및 이와 연통되는 공기토출구(12b)로 배출되는 유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공기 흐름은 공기유로 상에 마련된 팬(105)의 구동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ir in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flows into the air inlet 101a through the suction duct 151 in the machine room 20 through the air inlet 12a located at the upper front end of the machine room 20, and the air inlet The air introduced through 101a passes through the evaporator 110 and the condenser 120,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duct 153 to the air outlet 101b and the air outlet 12b communicating therewith. It may have a flow path. . This air flow may be formed by driving the fan 105 provided on the air flow path.

상기 의류처리실(11)로부터 인출되어 다시 의류처리실(11)로 공급되는 공기 유로 상, 특히 의류처리실(11)에서 기계실(20)로 유입되는 흡입덕트(151) 상에는 필터(미도시)가 적어도 하나가 마련되어, 의류처리실(11) 내 공기 중 포함된 각종 이물질이 기계실(20)로 유입되지 않도록 여과함으로써, 정화된 공기가 의류처리실(11)로 재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least one filter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air flow path drawn out from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and supplied back to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 in particular, on the suction duct 151 flowing from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into the machine room 20 . It is preferable that a filter is provided so that various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in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are filtered so that they do not flow into the machine room 20 so that the purified air is re-supplied to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

결국, 사용자가 도어 등에 마련된 입력부를 통해 의류처리장치(1)에 건조코스나 실내제습코스 등과 같은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는 팬(105)을 구동시켜, 의류처리실(11) 내 공기를 순환공기유로(101)(또는 순환유로)를 따라 순환케하되, 이때 순환공기유로(101)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증발기(110) 및 응축기(120)를 거쳐 열교환됨으로써 제습 및 가열될 수 있다.As a result, when a user inputs a control command such as a drying course or an indoor dehumidification course to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through an input unit provided on the door, the controller drives the fan 105 to circulate the air in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 It is allowed to circulate along the air flow path 101 (or the circulation flow path), and at this time, the air flowing along the circulation air flow path 101 may be dehumidified and heated by heat exchange through the evaporator 110 and the condenser 120 .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의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 내 공기유로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Meanwhile, FIG.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heat pum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view specifically showing an air flow path in the heat pum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100)는, 팬(105)의 구동으로 형성되는 공기 흐름에 따라 상류측에서 하류측 방향으로 흡입덕트(151)와, 증발기(110) 및 응축기(120)를 포함한 열교환기하우징(115)과, 중간덕트(152)와, 팬(105)과, 배기덕트(153)가 순차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5 and 6 , in the heat pump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ction duct 151 from the upstream side to the downstream side according to the air flow formed by the driving of the fan 105 . ), a heat exchanger housing 115 including an evaporator 110 and a condenser 120 , an intermediate duct 152 , a fan 105 , and an exhaust duct 153 may be sequentially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100)는, 팬(105)이 흡입덕트(151)가 마련된 상류측단이 아닌 배기덕트(153)가 마련된 하류측단, 즉 배기덕트(153)의 하부에 마련되어, 공기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In the heat pump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n 105 is not at the upstream end at which the suction duct 151 is provided, but at the downstream end at which the exhaust duct 153 is provided, that is, the lower part of the exhaust duct 153 . Provided in the air flow can be generated.

흡입덕트(151)는 양단이 개구된 관로를 형성함으로써, 일단에 마련된 공기유입구(101a)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타단에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된 열교환기하우징(115)으로 유도할 수 있다.The suction duct 151 can guide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101a provided at one end to the heat exchanger housing 115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other end by forming a conduit having both ends open.

흡입덕트(151)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단이 의류처리실(11) 저면의 공기유입구(12a)와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되되, 팬(105)을 향하여 굽어진 형상을 가져, 흡입덕트(151)의 타단은 열교환기하우징(115)에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The suction duct 15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one end of the suction duct 151 is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air inlet 12a on the bottom of the laundry treatment chamber 11, and has a curved shape toward the fan 105.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heat exchanger housing 115 to be in communication.

열교환기하우징(115)은 양단이 개구된 관로를 형성함으로써, 일단은 흡입덕트(151)의 타단에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중간덕트(152)의 일단에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The heat exchanger housing 115 may form a conduit having both ends open, so that one end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uction duct 151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end,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intermediate duct 152 to be in communication with it.

이때, 열교환기하우징(115)은 사각 단면을 가진 관로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heat exchanger housing 115 may have a pipe shape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열교환기하우징(115)의 내부에는 증발기(110) 및 응축기(12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열교환기하우징(115)의 저면(115b)에는 증발기(110)를 바닥으로부터 이격하여 지지하기 위해 돌출형성된 제1 지지돌기(1151)와, 응축기(120)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기 위해 돌출형성된 제2 지지돌기(1152)가 마련될 수 있다.An evaporator 110 and a condenser 120 may be provided inside the heat exchanger housing 115, and the bottom surface 115b of the heat exchanger housing 115 is spaced apart from the floor to support the evaporator 110. A first support protrusion 1151 and a second support protrusion 1152 protruding to support the condenser 120 apart from the floor may be provided.

이때, 제1 및 제2 지지돌기(1151, 1152)는 각각 증발기(110) 및 응축기(120)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그 개수나 형상 등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흡입덕트(151)를 통해 유입되거나 열교환기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경사진 열교환기하우징(115)의 저면(115b)을 따라 열교환기하우징(115)의 하류측단으로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지지돌기(1151, 1152)는 유로를 확보하기 위한 개구부(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number or shape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rotrusions 1151 and 115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y can support the evaporator 110 and the condenser 120, respectively, but they are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duct 151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rotrusions 1151 and 1152 so that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heat exchanger can flow to the downstream end of the heat exchanger housing 115 along the bottom surface 115b of the inclined heat exchanger housing 115. may have an opening (not shown) for securing a flow path.

전술한 바와 같이, 열교환기하우징(115)의 저면은, 타단, 즉 하류측단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질 수 있다(도 6 참조). 사각 단면을 가진 열교환기하우징(115)의 상면이 수평선과 나란하다고 가정하면, 열교환기하우징(115)의 저면은 수평선과 소정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housing 115 may be inclined so that its height decreases toward the other end, that is, the downstream end (refer to FIG. 6 ). Assuming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housing 115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is parallel to the horizontal line,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housing 115 may be formed to be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horizontal line.

이에 따라, 공기유입구(101a)를 통해 유입되거나 열교환기하우징(115) 내에서 발생된 응축수는, 경사진 저면(115b)을 따라 열교환기하우징(115)의 타단, 즉 하류측단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densed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101a or generated in the heat exchanger housing 115 may flow along the inclined bottom surface 115b to the other end of the heat exchanger housing 115, that is, the downstream end direction. have.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열교환기하우징(115)의 저면(115b)에는 천공된 배수구(미도시)를 가질 수 있고, 열교환기하우징(115)의 저면(115b)에 잔류된 응축수는 경사진 저면(115b)을 따라 흘러 상기 배수구로 유도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bottom surface 115b of the heat exchanger housing 115 may have a perforated drain hole (not shown), and the condensate remaining on the bottom surface 115b of the heat exchanger housing 115 is inclined on the bottom surface ( 115b) and may be led to the drain.

여기서, 상기 배수구는 열교환기하우징(115)의 타단, 즉 하류측단의 저면(115b)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배수구로 응축수가 모일 수 있도록 열교환기하우징(115)의 저면(115b)은 상기 배수구를 중심 저점으로 한 경사면일 수 있다.Here, the drain hole may be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heat exchanger housing 115, that is, on the bottom surface 115b of the downstream end, and the bottom surface 115b of the heat exchanger housing 115 may be configured to collect condensed water through the drain hole. It may be a slope with a central trough.

이렇게 열교환기하우징(115)의 저면(115b)에 형성된 배수구로 유도된 응축수는 배수구를 통해 빠져나가 섬프에 집수될 수 있으며, 섬프에 집수된 응축수는 응축수펌프장치에 의해 배수통(32)으로 유도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condensed water induced to the drain hol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115b of the heat exchanger housing 115 can escape through the drain hole and be collected in the sump, and the condensed water collected in the sump is guided to the drain tube 32 by the condensate pump device. can be

한편, 중간덕트(152)는 양단이 개구된 관로를 형성함으로써, 일단은 열교환기하우징(115)의 타단에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팬(105)의 흡기구(160a)에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termediate duct 152 forms a conduit with both ends open, so that one end is connected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end of the heat exchanger housing 115,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intake port 160a of the fan 105 so as to be in communication with it. can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덕트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7a is a view showing an intermediate 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덕트(152)는 열교환기하우징(115) 보다 길이가 짧을 수 있으나, 열교환기하우징(115)을 통과하는 기류의 방향을 하향시킬 수 있다. 즉, 중간덕트(152) 일단에 형성되는 중간덕트유입구(152a)의 높이와, 중간덕트(152) 타단에 형성되는 중간덕트배출구(152b)의 높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As shown in FIG. 7A , the intermediate duct 152 may have a shorter length than the heat exchanger housing 115 , but may decrease the direction of the airflow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housing 115 . That is, the height of the intermediate duct inlet 152a formed at one end of the intermediate duct 152 and the height of the intermediate duct outlet 152b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intermediate duct 152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도 7a의 종단도를 나타낸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 형성된 중간덕트유입구(152a)의 중간 높이(C1)와 개구 형성된 중간덕트배출구(152b)의 중간 높이(C2)를 비교해 보면, 중간덕트유입구(152a)의 중간 높이(C1)는 중간덕트배출구(152b)의 중간 높이(C2)보다 Δh 만큼 높게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showing the longitudinal view of Fig. 7a, comparing the intermediate height C1 of the intermediate duct inlet 152a with the opening and the intermediate height C2 of the intermediate duct outlet 152b with the opening, the intermediate duct The intermediate height C1 of the inlet 152a may be formed higher by Δh than the intermediate height C2 of the intermediate duct outlet 152b.

이에 따라 중간덕트유입구(152a)를 통해 중간덕트(152)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중간덕트유입구(152a)보다 밑에 위치한 중간덕트배출구(152b)를 통해 배출되도록 기류를 하향 유도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termediate duct 152 through the intermediate duct inlet 152a can be guided downward so that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intermediate duct outlet 152b located below the intermediate duct inlet 152a.

다만, 중간덕트(152)를 통과하는 기류가 하향 유도되더라도, 전체 순환공기유로(101)의 유속 및/또는 유량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중간덕트유입구(152a)와 중간덕트배출구(152b)는 일부분이 서로 대향하여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even if the air flow passing through the intermediate duct 152 is directed downward, in order not to significantly affect the flow rate and/or flow rate of the entire circulation air passage 101, the intermediate duct inlet 152a and the intermediate duct outlet 152b ) is preferably formed so that a portion is overlapped with each other facing each other.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덕트배출구(152b)의 중간 높이(C2)가 중간덕트유입구(152a)의 개구된 범위 내에 속하도록, 즉 단면 기준으로 중간덕트배출구(152b)의 절반 이상이 중간덕트유입구(152a)의 개구된 부분과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as shown in FIG. 8, the intermediate height C2 of the intermediate duct outlet 152b falls within the open range of the intermediate duct inlet 152a, that is, the intermediate duct outlet 152b on a cross-sectional basis. More than half of the intermediate duct inlet (152a) may be formed to overlap the open portion.

이렇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100)는 기류를 하향 유도케 하는 중간덕트(152)를 포함함으로써, 팬(105) 또는 팬하우징(161)의 설치 위치는 전체적으로 낮아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연쇄적으로 히트펌프장치(100)의 높이와, 기계실(20) 전체의 높이를 낮춤으로써, 의류처리실(11)의 공간을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heat pump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intermediate duct 152 for inducing the airflow downward, so tha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fan 105 or the fan housing 161 can be lowered as a whole, Accordingly, by sequentially lowering the height of the heat pump device 100 and the overall height of the machine room 20 ,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secure the space of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열교환기하우징(115)의 형상이 사각 단면을 가진 관로인 경우, 열교환기하우징(115)과 연결되는 중간덕트(152)의 일단은 열교환기하우징(115)의 타단과 연결하기 위해 사각 형상으로 개구된 중간덕트유입구(152a)가 마련될 수 있고, 또 팬(105)의 흡기구(160a)가 원형인 경우, 중간덕트(152)의 타단은 팬(105)의 흡기구(160a)와 연결하기 위해 원형으로 개구된 중간덕트배출구(152b)가 마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hape of the heat exchanger housing 115 is a conduit having a square cross section, one end of the intermediate duct 152 connected to the heat exchanger housing 115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heat exchanger housing 115 . An intermediate duct inlet 152a opened in a rectangular shape for connection may be provided, and when the intake port 160a of the fan 105 is circular, the other end of the intermediate duct 152 is the intake port of the fan 105 ( 160a) and a circularly opened intermediate duct outlet (152b) may be provided.

이와 같이, 중간덕트유입구(152a)와 중간덕트배출구(152b)의 형상이 다른 경우, 중간덕트(152)를 통과하는 기류 중 일부가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중간덕트(152)의 일단에는 공기차단판(171)이 마련될 수 있다. As such, when the shapes of the intermediate duct inlet 152a and the intermediate duct outlet 152b are different, in order to block some of the airflow passing through the intermediate duct 152 from leaking to the outside, one end of the intermediate duct 152 is The air blocking plate 171 may be provided.

여기서, 공기차단판(171)은 중간덕트유입구(152a)와 중간덕트배출구(152b) 중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넓은 중간덕트배출구(152b)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원형인 중간덕트배출구(152b)의 일부를 차단할 수 있다.Here, the air blocking plate 171 is a portion of the circular intermediate duct outlet (152b)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intermediate duct outlet (152b) having a relatively wide cross-sectional area among the intermediate duct inlet (152a) and the intermediate duct outlet (152b). can be blocked.

이에 따라, 공기차단판(171)은, 중간덕트(152)의 일단에 마련되되,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덕트배출구(152b)의 하측 일부를 차단할 수 있도록 중간덕트배출구(152b)의 일부 형상과 상응하는 대략 반원의 판상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air blocking plate 171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intermediate duct 152, as shown in FIG. 7b, so as to block a portion of the lower side of the intermediate duct outlet 152b of the intermediate duct outlet 152b. It may be approximately semicircular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some shape.

결국, 사각 형상으로 개구된 중간덕트유입구(152a)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원형으로 개구된 중간덕트배출구(152b)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향 유도되되, 그 과정에서 공기차단판(171)은, 대향하고 있는 중간덕트유입구(152a)와 중간덕트배출구(152b)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는 중간덕트배출구(152b)와 대향하는 중간덕트(152)의 일단에 마련됨으로써, 공기 중 일부가 새지 않도록 차단하여 기류를 하향 유도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termediate duct inlet 152a opened in a square shape is guided downward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intermediate duct outlet 152b opened in a circular shape, and in the process, the air blocking plate 171 faces and By being provided at one end of the intermediate duct 152 opposite to the intermediate duct outlet 152b that does not overlap with each other at the intermediate duct inlet 152a and the intermediate duct outlet 152b, some of the air is blocked from leaking to lower the airflow. can induce

한편,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튐방지커버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7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splash prevention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차단판(171)의 상측에는 사각 형상으로 개구된 중간덕트유입구(152a)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결합틀(172)이 마련될 수 있다. 중간덕트(152)의 일단에 마련된 결합틀(172)을 매개로 중간덕트(152)는 열교환기하우징(115)과 연통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B , a coupling frame 172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intermediate duct inlet 152a opened in a square shape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air blocking plate 171 . The intermediate duct 152 may be coupled to communicate with the heat exchanger housing 115 via a coupling frame 172 provided at one end of the intermediate duct 152 .

즉, 물튐방지커버(170)는 공기차단판(171)과 결합틀(172)를 포함할 수 있고, 이때 공기차단판(171)과 결합틀(172)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water splash prevention cover 170 may include an air blocking plate 171 and a coupling frame 172 , in which case the air blocking plate 171 and the coupling frame 172 may be integrally formed.

이러한 물튐방지커버(170)는 열교환기를 포함한 열교환기하우징(115)과 팬(160) 사이, 구체적으로 열교환기하우징(115)의 하류측 후단 가장자리에 결합틀(172)이 결합되어, 열교환기 측의 응축수가 팬(160)의 구동으로 팬(160)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This water splash prevention cover 170 is between the heat exchanger housing 115 including the heat exchanger and the fan 160, specifically, the coupling frame 172 is coupled to the downstream edge of the heat exchanger housing 115, the heat exchanger side It is possible to block the condensed water from flowing into the fan 160 by driving the fan 160 .

이를 위해, 결합틀(172)은 내측 하단부에 응축수가 중간덕트유입구(152a)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차수판(173)이 마련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coupling frame 172 may be provided with a water-blocking plate 173 at the inner lower end portion to block the condensed water from flowing in through the intermediate duct inlet 152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100)는 팬(105)이 기류의 상류측단이 아닌 하류측단에 마련되기 때문에, 열교환기하우징(115)의 저면에 저류된 응축수는, 후단에 위치한 팬(105)의 구동으로 형성되는 음압에 의하여 공기와 함께 중간덕트(152) 및 팬(105)으로 유입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In the heat pump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an 105 is provided at the downstream end rather than the upstream end of the airflow, the condensed water stored on the bottom of the heat exchanger housing 115 is located at the rear e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termediate duct 152 and the fan 105 together with the air by the negative pressure formed by the driving of the fan 105 .

이렇게 팬(105)으로 응축수가 유입되는 경우, 팬(105)의 구동에 의해 소음 및 악취가 발생할 수 있고, 나아가 응축수가 공기토출구(12b)를 통해 의류처리실(11) 내로 토출될 수 있기 때문에, 차수판(173)은 응축수가 중간덕트(152) 및 팬(105)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condensed water flows into the fan 105 in this way, noise and odor may be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fan 105, and furthermore, the condensed water may be discharged into the laundry treatment chamber 11 through the air outlet 12b. It is preferable that the water blocking plate 173 blocks the condensed water from flowing into the intermediate duct 152 and the fan 105 .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튐방지커버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unction of the water splash prevention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덕트유입구(152a)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결합틀(172)의 내측 하단부에는 소정 높이의 차수판(173)이 마련되어, 열교환기하우징(115)의 저면에 저류된 응축수가 중간덕트(152) 및 팬(105)으로 튀거나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9, the inner lower end of the coupling frame 172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intermediate duct inlet 152a is provided with an order plate 173 of a predetermined height, and is stor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housing 115. It is possible to block the condensed water from splashing or flowing into the intermediate duct 152 and the fan 105 .

다만, 차수판(173)에 의해 기류가 함께 차단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차수판(173)은 소정 크기로 다수 타공된 망(mesh)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에 따른 차수판(173)은 응축수에 대한 차수 기능은 갖되, 통기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좋다.However, in order to prevent the airflow from being blocked together by the water-blocking plate 173, the water-blocking plate 173 preferably has a mesh shape perforated to a predetermined size. That is, the water blocking plate 173 according to this has a function to block condensed water, but it is good to have air permeability.

본 발명에 따른 차수판(173)에 타공된 구멍은 그 형상, 크기 또는 개수 등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The hole perforated in the water-blocking plate 17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shape, size, or number.

한편, 중간덕트(152)의 타단에는 기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팬(105), 구체적으로 흡기구(160a)가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팬을 가리키는 도면부호 105와 160을 혼용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other end of the intermediate duct 152 may be connected to a fan 105 for generating an air flow, specifically, the intake port 160a to be able to communicate. Hereinafter, reference numerals 105 and 160 indicating a fan will be used interchangeably.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의 종단면도이며, 도 13a 및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의 공기 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0 and 11 are views show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a f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f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3A and 13B ar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ir flow path of the fan.

도 10 내지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160)은 원심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160)은 흡기구(160a)와 배기구(160b)가 마련된 팬하우징(161)과, 흡기구(160a)에 마련된 회전축(165)과, 회전축(165)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회전축(16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다수의 블레이드(166)를 포함할 수 있다.10 to 13B, the fan 1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entrifugal fan. Specifically, the fan 1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an housing 161 provided with an intake port 160a and an exhaust port 160b, a rotation shaft 165 provided in the intake port 160a, and a rotation shaft 165 from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blades 166 elongated in the axial direction provided to be rotatably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round the rotation shaft 165 .

이때, 다수의 블레이드(166)는 회전축(165)의 어느 한 회전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굽어진 형상을 갖되, 익현의 길이는 짧고 깃의 폭은 넓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blades 166 may have a curved shape to be inclined in any on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tation shaft 165 , and the length of the wing string may be short and the width of the blade may be wide.

다수의 블레이드(166)는, 회전축(165)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흡기구(160a)를 통해 회전축(165)의 축방향으로 유입된 공기에 원심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원심력에 의해 유입된 공기가 회전축(165)의 반경방향으로 배출되고, 팬하우징(161)의 내면(또는 내주면)을 따라 유동함으로써, 배기구(160b)로 배기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blades 166 rotate around the rotating shaft 165 so that centrifugal force acts on the air introduc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165 through the intake port 160a, so that the air introduced by the centrifugal force is rotated through the rotating shaft. It is discharg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165 , and by flowing along the inner surface (o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n housing 161 , it may be exhausted through the exhaust port 160b.

모터 따위와 같은 구동장치(167)의 구동축은 팬(160)의 구동축삽입구(161a)를 통해 회전축(165)에 결합됨으로써, 구동장치(167)의 구동에 의해 회전축(165)과 다수의 블레이드(166)는 회전축(165)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회전축(165)의 전면에 마련된 흡기구(160a)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회전축(165)의 반경방향으로 배출하고, 팬하우징(161)의 상부에 개구 형성된 배기구(160b)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The driving shaft of the driving device 167, such as a motor, is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165 through the driving shaft insertion hole 161a of the fan 160, and thereby the rotating shaft 165 and a plurality of blades ( 166 rotates about the rotation shaft 165, and discharges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take port 160a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otation shaft 165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shaft 165, and on the upper part of the fan housing 161 It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opening formed exhaust port (160b).

여기서, 팬하우징(161)은 납작한 대략 원반의 형상을 갖되, 이때 팬하우징(161)의 전방, 즉 중간덕트(152)를 향한 방향으로 회전축(165)은 편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회전축(165)의 회전에 의해 팬하우징(161) 내에서 유동하는 공기의 유로 폭이 점점 넓어지도록 회전축(165)은 편심되어, 원심력을 받은 공기는 팬하우징(161)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점차 감속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기구(160b)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또는 풍량)을 더 많이 확보함과 동시에 소음 및 진동을 줄일 수 있다.Here, the fan housing 161 has a substantially flat disk shape, in which case the rotation shaft 165 may be provided to be eccentric in the direction toward the front of the fan housing 161 , that is, the intermediate duct 152 . That is, the rotation shaft 165 is eccentric so that the flow path width of the air flowing in the fan housing 161 is gradually widen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165, and the air subjected to centrifugal force rotate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n housing 161 while The speed may be gradually reduced, and accordingly, the flow rate (or air volume)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ort 160b may be increased, and noise and vibration may be reduced at the same time.

여기서, 팬하우징(161)은 상부에 마련된 배기구(160b)의 개구된 면적은 넓게 확보하면서, 전면 흡기구(160a)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팬하우징(161)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배기구(160b)의 말단부로부터 상류측으로 갈수록 기류 폭이 좁아지도록, 해당 팬하우징(161)의 내벽에는 경사지게 마련된 와류유도판(1611)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an housing 161 ensures that the open area of the exhaust port 160b provided at the top is wide, and the air flowing in from the front intake port 160a is rotat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n housing 161, The inner wall of the fan housing 161 may include a vortex guide plate 1611 inclined so that the width of the airflow becomes narrower from the distal end of the exhaust port 160b toward the upstream side.

결국, 도 13a 및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진 와류유도판(1611)의 하측단부에서 배기구(160b)의 개구된 단면적은 와류유도판(1611)의 상측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질 수 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S. 13A and 13B , the cross-sectional area opened of the exhaust port 160b at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vortex guide plate 1611 may gradually become wider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vortex guide plate 1611 .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하우징(161)은, 하부에 응축수가 수용될 수 있는 소정 공간(1621)을 가진 응축수수용실(162)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fan housing 16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densed water accommodating chamber 162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1621 at a lower portion in which condensed water can be accommodated.

응축수수용실(162)은, 응축수를 저수하기 위하여 팬하우징(161)의 내부 공간 이외에 별도의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응축수수용실(162)은 팬하우징(161)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팬하우징(161)의 하부는 원심력을 받은 공기를 회전시키기 위해 전반적으로 라운드진 외관을 갖되, 응축수를 저수하기 위한 상자형의 응축수수용실(162) 부분은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condensed water accommodating chamber 162 may have a separate space in addition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fan housing 161 to store condensed water. The condensed water accommodating chamber 162 may be provided under the fan housing 161, and accordingly, the lower portion of the fan housing 161 has a generally rounded appearance to rotate the air subjected to centrifugal force, A portion of the box-shaped condensate accommodating chamber 162 for storing water may be formed to protrude.

또한, 팬하우징(161)의 하부에는 응축수수용실(162)이 마련되되, 이에 대향하는 팬하우징(161)의 상부에는 배기구(160b)가 마련됨으로써, 의류처리실(11)의 공기토출구(12b)로부터 의류처리실(11) 내 응축수가 유입되거나 사용자의 실수 등으로 물이 유입되는 경우, 팬하우징(161)의 내벽을 타고 응축수수용실(162) 내부의 응축수저수공간(1621)에 저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물론, 히트펌프장치(100)의 구동으로 냉매가 공기와 열교환하는 과정에서 공기 내 습기로부터 형성된 응축수가 응축수저수공간(1621)에 저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condensate receiving chamber 162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an housing 161, and an exhaust port 160b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an housing 161 opposite to the fan housing 161, so that the air outlet 12b of the laundry treatment chamber 11 is provided. When condensed water flows into the clothes treatment chamber 11 from the can do. Of course, condensed water formed from moisture in the air may be stored in the condensed water storage space 1621 while the refrigerant exchanges heat with air by driving the heat pump device 100 .

이렇게 응축수수용실(162)에 저수된 응축수는,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팬(l60)의 구동으로 제2 및 제3 유로(f2, f3)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자연 증발되어 제거될 수 있다. 흡기구(160a)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가열 및 제습된 공기로서, 제2 및 제3 유로(f2, f3)를 따라 응축수수용실(162)을 거쳐 유동함으로써, 응축수수용실(162) 내 저수된 응축수는 자연증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3b , the condensed water stored in the condensate accommodating chamber 162 is naturally evaporated and removed by the air flowing along the second and third flow paths f2 and f3 by driving the fan 160 . can be The air sucked in through the intake port 160a is heated and dehumidified air, and flows through the condensate accommodating chamber 162 along the second and third flow paths f2 and f3 to be stored in the condensate accommodating chamber 162. Condensate may evaporate spontaneously.

구체적으로, 회전축(165)을 따라 흡기구(160a)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회전축(165)의 반경방향으로 배출되어 팬하우징(161)의 내면을 따라 회전한 이후 배기구(160b)로 배기되는 제1 유로(f1)를 형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take port 160a along the rotation shaft 165 is discharg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shaft 165, rotate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fan housing 161, and then is exhausted to the exhaust port 160b. A flow path f1 may be formed.

팬하우징(161) 내에서 고압 및 고속으로 제1 유로(f1)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가 하부에 추가로 응축수수용실(162)이 마련되더라도 압력 및 속도를 유지하고, 그 중 일부를 응축수수용실(162)의 응축수저수공간(1621)으로 분기시키기 위해, 응축수수용실(162)의 상부에는 라운드진 분기판(16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ir flowing along the first flow path f1 at high pressure and high speed in the fan housing 161 maintains the pressure and speed even though the condensate accommodating chamber 162 is additionally provided at the bottom, and a part of the condensate accommodating chamber is provided. In order to branch into the condensate water storage space 1621 of the 162 , the upper portion of the condensate receiving chamber 162 may further include a rounded branch plate 1612 .

분기판(1612)은 응축수수용실(162)의 상측 개구면을 덮되, 아래로 볼록한 라운드진 형상을 가져, 응축수수용실(162)의 내면의 제1 유로(f1)를 따라 회전 이동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가이드하여, 응축수수용실(162)의 존재 여부와 무관하게 기류 변화없이 연속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ranch plate 1612 covers the upper opening surface of the condensate accommodating chamber 162, has a convex rounded shape downward, and rotates along the first flow path f1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ondensate accommodating chamber 162. It is preferable to guide the flow direction so that it can continuously move without changing the airflow regardless of the existence of the condensate accommodating chamber 162 .

이에 따라, 분기판(1612)의 상면에는 배기구(160b)를 통해 낙하하는 등의 이유로 응축수가 저류될 수 있으며, 분기판(1612)의 상면에 저류된 응축수는 제1 유로(f1)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자연증발될 수 있다.Accordingly, condensed water may be stor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anch plate 1612 for reasons such as falling through the exhaust port 160b, and the condensed water stor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anch plate 1612 flows along the first flow path f1. It can be spontaneously evaporated by air.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기판(1612)은 응축수수용실(162) 이외에 응축수가 저수될 수 있는 또 다른 공간을 마련하되, 집수된 응축수를 제1 유로(f1)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자연증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branch plate 16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other space in which condensed water can be stored in addition to the condensate receiving chamber 162, and the collected condensate flows along the first flow path f1. It can be allowed to evaporate naturally by air.

한편, 분기판(1612)은 두께가 얇은 판상으로 응축수수용실(162)의 상부에 이격 배치됨으로써, 응축수수용실(162)의 양측 상단 각각에는 이격 배치된 분기판(1612)과의 사이에 분기유입구(162a)와 분기배출구(162b)가 형성될 수 있다(도 13a 참조). 다시 말해, 제1 유로(f1)를 기준으로 한 분기판(1612)의 상류측단 및 하류측단 각각에는 팬하우징(161)의 하부 내측면과 이격됨으로써, 분기유입구(162a)와 분기배출구(162b)가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ranch plate 1612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upper part of the condensate accommodating chamber 162 in a thin plate shape, so that at each upper end of both sides of the condensate accommodating chamber 162, the branch plate 1612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 inlet 162a and a branch outlet 162b may be formed (see FIG. 13A ). In other words, each of the upstream and downstream ends of the branch plate 1612 with respect to the first flow path f1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fan housing 161, so that the branch inlet 162a and the branch outlet 162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can be formed.

이에 따라, 제1 유로(f1)를 따라 고압 및 고속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분기판(1612)의 일단부와 마주함으로써, 그 중 일부가 분기되어 분기유입구(162a)를 통해 응축수수용실(162)로 유입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air flowing at high pressure and high speed along the first flow path f1 faces one end of the branch plate 1612, and a part of it is branched through the branch inlet 162a to the condensate receiving chamber 162. can be introduced into

이때, 분기판(1612)의 양측단부는 말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테이퍼진 형상을 가짐으로써, 제1 유로(f1)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 중 일부에 대하여 제2 유로(f2)로 분기할 때 공기 저항을 낮추도록 하고, 이과 동시에, 분기판(1612)의 상면이 양측 말단부 각각에서 팬하우징(161)의 내면과 자연스러운 연속면이 형성되어, 주류(主流)인 제1 유로(f1)의 기류의 방향이 변화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분기유입구(162a)는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1 유로(f1)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에 대해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At this time, both end portions of the branch plate 1612 have a tapered shape such that the thickness becomes thinner toward the distal end, so that some of the air flowing along the first flow passage f1 branches to the second flow passage f2. Air resistance is lowered, and at the same time, the upper surface of the branch plate 1612 forms a natural continuous surface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an housing 161 at each of both end portions, so that the main air flow of the first flow path f1 direction may not be changed. That is, the branch inlet 162a is formed to have a narrow width, so that the influence on the flow of air flowing along the first flow path f1 can be minimized.

구체적으로, 분기유입구(162a)를 통과하는 제2 유로(f2)의 폭이 제1 유로(f1)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하되, 분기유입구(162a)를 통해 응축수수용실(162)로 유입된 공기가 자력으로 분기배출구(162b)로 배출되지 않고 응축수수용실(162) 내 저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the width of the second flow path f2 passing through the branch inlet 162a is formed to be relatively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flow path f1, and the condensate is introduced into the condensate receiving chamber 162 through the branch inlet 162a. It is preferable to allow the air to be stored in the condensate receiving chamber 162 without being discharged to the branch outlet 162b by force.

결국, 분기판(1612)의 상류측단에서 제1 유로(f1)로부터 분기된 공기는 분기유입구(162a)를 통해 응축수수용실(162)로 유입되는 제2 유로(f2)를 형성하되, 제2 유로(f2)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의 유속은 제1 유로(f1)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의 유속보다는 상대적으로 느려, 가열 및 제습된 공기는 제2 유로(f2)를 따라 응축수수용실(162)로 공급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air branched from the first flow path f1 at the upstream end of the branch plate 1612 forms a second flow path f2 introduced into the condensate receiving chamber 162 through the branch inlet 162a, but the second The flow velocity of the air flowing along the flow path f2 is relatively slower than the flow velocity of the air flowing along the first flow path f1, and the heated and dehumidified air flows along the second flow path f2 in the condensate accommodating chamber 162. can be supplied with

응축수수용실(162) 내 공기는, 분기판(1612)의 하류측단에서 제1 유로(f1)를 따라 고속으로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분기배출구(162b)를 통해 흡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3 유로(f3)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분기배출구(162) 주변에 형성되는 음압에 의해 응축수수용실(162) 내 공기가 제1 유로(f1)로 흡입됨으로써, 제3 유로(f3)는 형성될 수 있다.The air in the condensate accommodating chamber 162 may be sucked through the branch outlet 162b by the air flowing at high speed along the first flow path f1 at the downstream end of the branch plate 1612, and accordingly Three flow paths f3 may be formed. That is, the air in the condensate accommodating chamber 162 is sucked into the first flow path f1 by the negative pressure formed around the branch outlet 162 , so that the third flow path f3 may be formed.

한편, 응축수수용실(162)을 중심으로, 분기유입구(162a)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형성되는 제2 유로(f2)와, 분기배출구(162b)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형성되는 제3 유로(f3)가, 주류인 제1 유로(f1)로부터 분기되거나 합류될 때, 회전하는 기류의 방향을 유지하며 공기의 흐름을 원활히 하기 위해, 응축수수용실(162)의 저면에는 공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도록 제2 및 제3 유로(f2, f3)의 유동 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된 복수의 제2 가이드날개(1622)를 포함할 수 있다(도 12 참조).On the other hand, centering on the condensate accommodating chamber 162, the second flow path f2 formed by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branch inlet 162a, and the third flow path f2 formed by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branch outlet 162b. When the flow path f3 is branched or merged from the main flow path f1, in order to mainta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ng air flow and smooth the flow of air,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densate accommodating chamber 162 is provided with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guide blades 1622 protruding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second and third flow paths f2 and f3 to be guided (see FIG. 12 ).

또, 분기판(1612)은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되어 공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도록 복수의 제1 가이드날개(1613)를 포함할 수 있다(도 12 참조). 이때,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날개(1613)의 길이는 분기판(1612)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ranch plate 1612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guide blades 1613 to be protru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to induce the flow of air (see FIG. 12 ). At this tim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as shown in FIG. 12 , the length of the first guide wing 1613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branch plate 1612 .

제1 및 제2 가이드날개(1613, 1622)는 각각 분기판(1612)의 상면과 응축수수용실(162)의 저면에 같은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 개의 판 형태일 수 있으며, 제1 및 제2 가이드날개(1613, 1622)는 제1 및 제2 가이드날개(1613, 1622)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정렬하여, 팬하우징(161) 내에서 회전 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원활히 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guide blades 1613 and 1622 may be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plates elongated in the same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anch plate 1612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ondensate receiving chamber 162, respectively, and the first and second guides The blades 1613 and 1622 may align the flow of air flowing along the first and second guide blades 1613 and 1622 to facilitate the flow of air flowing in the rotational direction within the fan housing 161 . .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160)은, 팬하우징(161)에 적어도 하나의 질식방지장치(163, 164)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fan 1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choking prevention device 163 and 164 in the fan housing 161 .

도 11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팬(160)의 전면, 후면 및/또는 어느 일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질식방지장치(163, 164)가 마련되어, 질식방지장치(163, 164)에 의해 형성된 외기도입구(163a, 164a)를 통해 도입된 외기가 팬하우징(161) 내부로 유입되고, 순차로 배기구(160b), 배기덕트(153) 및 공기토출구(12b)를 거쳐, 의류처리실(11) 내부로 제공될 수 있다.11 and the like, at least one anti-suffocation device (163, 164) is provided on the front, rear, and/or any one side of the fan 160, the external airway formed by the asphyxiation device (163, 164) The outsid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s 163a and 164a flows into the fan housing 161, and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exhaust port 160b, the exhaust duct 153, and the air outlet 12b, and into the laundry treatment chamber 11. can be provided.

바람직하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질식방지장치(163, 164)는 팬하우징(161)의 일 측면에 마련되되, 제1 유로(f1) 중 배기구(160b)를 향하여 상승하는 기류 상에 마련되는 것이 좋다.Preferably, as described later, the suffocation prevention devices 163 and 164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an housing 161, and are provided on the airflow rising toward the exhaust port 160b of the first flow path f1. good night.

통상, 도어(40)가 닫힌 의류처리실(11) 내부는 밀폐되기 때문에, 어린아이나 반려동물이 의류처리실(11) 내부에 갇혔을 때, 좁은 의류처리실(11) 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져 산소 부족 등으로 인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In general, since the inside of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with the door 40 closed is sealed, when a child or a companion animal is trapped inside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narrow laundry treatment room 11 increases, resulting in insufficient oxygen, etc. There is a risk that an accident may occur.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외기를 의류처리실(11) 내부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한 방안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160)의 팬하우징(161)은 질식방지장치(163, 164)를 포함할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s a way to provide outside air to the inside of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the fan housing 161 of the fan 1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ffocation prevention device. (163, 164).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식방지장치의 종단면도이다.1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suffocation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질식방지장치(163, 164)는 팬하우징(161)의 일부 영역이 개구 형성된 개구부에 마련될 수 있다. 개구부에 상응하는 크기의 질식방지장치(163, 164)가 마련됨으로써, 외기는 팬하우징(16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되, 팬하우징(161)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팬하우징(161)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4 , the choking prevention devices 163 and 164 may be provided in an opening in which a partial area of the fan housing 161 is formed. The suffocation prevention devices 163 and 164 of sizes corresponding to the openings are provided, so that outside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fan housing 161 , but the air flowing inside the fan housing 161 is outside the fan housing 161 .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mitted.

이에 따라 질식방지장치(163, 164)는 상기 팬하우징(161)의 개구부를 중심으로 외측 및 내측 각각에서 상기 개구부를 차단하도록 외기도입판(1631, 1641)과 외기도입커버(1632, 1642)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uffocation prevention devices 163 and 164 are provided with the external introduction plates 1631 and 1641 and the external intake covers 1632 and 1642 to block the openings from the outside and the inside respectively with the opening of the fan housing 161 as the center. may include

구체적으로, 외기도입판(1631, 1641)과 외기도입커버(1632, 1642) 각각은 상기 팬하우징(161)의 개구부 하측단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개구부의 전후면을 차단하되, 이때, 외기도입판(1631, 1641)과 외기도입커버(1632, 1642)의 상측단은 자유단으로 팬하우징(161)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외기가 팬하우징(161) 내부로 도입될 수 있는 틈을 형성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each of the outside introduction plates 1631 and 1641 and the outside introduction covers 1632 and 1642 is formed to extend up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opening of the fan housing 161 to block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opening, but at this time, outside introduction The upper ends of the plates 1631 and 1641 and the outside air introduction covers 1632 and 1642 are free ends and are spaced apart from the fan housing 16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form a gap through which outside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fan housing 161. It is preferable to do

이에 따라 형성되는 외기도입구(163a, 164a)를 통해 외기는 팬하우징(161) 내부로 도입될 수 있다. 즉, 팬하우징(161)과 외기도입판(1631, 1641)의 상측단 사이의 틈으로 외기는 도입되고, 도입된 외기는 팬하우징(161)의 개구부를 경유하여 팬하우징(161)과 외기도입커버(1632, 1642)의 상측단 사이의 틈을 거쳐 팬하우징(16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External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fan housing 161 through the external airway inlet (163a, 164a) formed accordingly. That is,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gap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fan housing 161 and the outside introduction plates 1631 and 1641 , and the introduced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fan housing 161 and the outside air through the opening of the fan housing 161 . It may be introduced into the fan housing 161 through a gap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covers 1632 and 1642 .

여기서,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외기가 도입되는 틈을 형성하는 팬하우징(161)의 하단부 모서리 및/또는 외기도입판(1631, 1641)의 상단부 모서리는 비스듬하게 형성됨으로써, 비스듬한 경사면을 따라 외부에서 내부로 도입되는 외기가 하방으로 도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 lower end corners of the fan housing 161 and/or the upper end corners of the outdoor air introduction plates 1631 and 1641 forming a gap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are obliquely formed, so that along the oblique slope It is preferable to guide the outsid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so that it can be introduced downward.

팬하우징(161)의 내부에서 고속으로 유동하는 공기, 즉 주류인 제1 유로(f1)를 따라 고속으로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외기도입구(163a, 164a)로 도입된 외기는 흡입되어 제1 유로(f1)에 합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유로(f1)를 따라, 구체적으로 외기도입커버(1632, 1642)의 내측 외면을 따라 고속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팬하우징(161) 외부의 대기압보다 높은 양압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외기도입커버(1632, 1642)의 상측단 주변에는 상대적으로 음압이 형성되어 형성된 음압에 의해 외기도입구(163a, 164a)로 도입된 공기는 팬하우징(161)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By the air flowing at high speed inside the fan housing 161, that is, the air flowing at high speed along the main flow path f1, the outside air introduced into the external airway inlets 163a and 164a is sucked and the first It may be joined to the flow path f1. In other words, the air flowing at high speed along the first flow path f1, specifically along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outside air introduction covers 1632 and 1642, generates a positive pressure higher than the atmospheric pressure outside the fan housing 161, and accordingly A relatively negative pressure is formed around the upper ends of the external inlet covers 1632 and 1642, an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external inlets 163a and 164a by the formed negative pressure may be sucked into the fan housing 161.

여기서, 팬하우징(161) 내측에 마련되는 외기도입커버(1632, 1642)는 유선형의 외관을 가져, 제1 유로(f1)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가 외기도입커버(1632, 1642)의 내측 외면을 따라 유동할 때 외기도입커버(1632, 1642)에 의한 기류의 공기 저항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outside air introduction covers 1632 and 1642 provided inside the fan housing 161 have a streamlined appearance, so that the air flowing along the first flow path f1 passes the inner outer surfaces of the outside air introduction covers 1632 and 1642. It is preferable to minimize the air resistance of the airflow by the outside inlet covers 1632 and 1642 when flowing along.

구체적으로, 외기도입커버(1632, 1642)는 소정 높이에 팬하우징(161)의 내측 방향으로 볼록한 외면을 가질 수 있고, 볼록한 부분을 중심으로 외기도입커버(1632, 1642)의 상측단부와 하측단부로 갈수록 오목하게 형성되되, 외기가 도입되는 외기도입커버(1632, 1642)의 상측단부는 뾰족한 외관을 갖도록 말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얇아질 수 있다. Specifically, the outside air introduction covers 1632 and 1642 may have an outer surface convex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fan housing 161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outside air introduction covers 1632 and 1642 around the convex portion. Doedoe is formed concave toward the outside, the upper end of the outside air introduction cover (1632, 1642) into which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may have a sharp appearance, the thickness may gradually decrease toward the distal end.

제1 유로(f1)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유선형의 외기도입커버(1632, 1642) 의 내측 외면을 타고 상측 방향으로 고속 유동함으로써, 외기도입구(163a, 164a)를 통해 외기도입커버(1632, 1642)의 외측 외면으로 도입된 외기를 흡입할 수 있다.The air flowing along the first flow path (f1) rides on the inner outer surface of the streamlined external inlet cover (1632, 1642) and flows upward at high speed, through the external inlet (163a, 164a), the external inlet cover (1632, 1642) can be sucked in the outside air introduced to the outer surface.

한편, 외기도입커버(1632, 1642)의 상측단 높이(h1)는 외기도입판(1631, 1641)의 상측단 높이(h2)보다 더 높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제1 유로(f1)를 따라 외기도입커버(1632, 1642)의 상방으로 유동하는 공기가 외기도입구(163a, 164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upper end height (h1) of the outside inlet cover (1632, 1642) higher than the upper end height (h2) of the outdoor introduction plate (1631, 1641). This is to prevent the air flowing upward of the external inlet covers 1632 and 1642 along the first flow path f1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ternal inlet inlets 163a and 164a.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여러가지 이유로 팬하우징(161)의 내부에는 응축수가 있을 수 있으며, 팬하우징(161)의 내벽을 따라 아래로 흐르는 응축수는 이격하여 마련된 외기도입커버(1632, 1642)의 상측단과의 사이에 형성된 틈으로 낙하하여, 외기도입판(1631, 1641)과 외기도입커버(1632, 1642)의 사이에 저수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may be condensed water inside the fan housing 161 for various reasons, and the condensed water flowing down along the inner wall of the fan housing 161 is spaced apart from the outside air intake covers 1632 and 1642. By falling into the gap formed between the ends, water can be stored between the outside introduction plates (1631, 1641) and the outside introduction cover (1632, 1642).

외기도입판(1631, 1641)과 외기도입커버(1632, 1642) 사이에 저수된 응축수는 팬하우징(161) 내부에서 유동하는 공기와 접하지 않아 자연증발될 수 없기 때문에, 외기도입판(1631, 1641)과 외기도입커버(1632, 1642) 사이에 저수된 응축수를 제거하기 위한 일 방안으로서, 외기도입커버(1632, 1642)에 형성된 배수구(1644)를 통해 팬하우징(161) 내, 구체적으로 응축수수용실(162)로 유도케할 수 있다.Since the condensed water stored between the outside introduction plates 1631 and 1641 and the outside introduction covers 1632 and 1642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air flowing inside the fan housing 161 and cannot be evaporated naturally, the outside introduction plates 1631, 1641) and the outside inlet cover (1632, 1642) as a way to remove the stored condensate, the fan housing (161) through the drain hole (1644) formed in the outside introduction cover (1632, 1642), specifically, condensed water It can be guided to the accommodation chamber (162).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기도입커버(1632, 1642)는 하측단, 바람직하게는 하측단의 일측단부에 천공된 배수구(1644)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5 , the outside introduction covers 1632 and 1642 may include a drain hole 1644 perforated at the lower end, preferably at one end of the lower end.

이에 따라 외기도입판(1631, 1641)과 외기도입커버(1632, 1642) 사이에 저수된 응축수는 배수구(1644)를 통해 팬하우징(161) 내부로 유입되며, 라운드진 팬하우징(161)의 내벽을 따라 흘러 응축수수용실(162)의 응축수저수공간(1621)에 저수될 수 있고, 응축수저수공간(1621)에 저수된 응축수는 제2 및 제3 유로(f2, f3)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자연증발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densed water stored between the outdoor intake plates 1631 and 1641 and the outdoor intake covers 1632 and 1642 flows into the fan housing 161 through the drain hole 1644, and the inner wall of the round fan housing 161. can be stored in the condensed water storage space 1621 of the condensed water storage chamber 162, and the condensed water stored in the condensed water storage space 1621 is in the air flowing along the second and third flow paths f2 and f3. may be spontaneously evaporated.

한편, 외기도입판(1631, 1641)과 외기도입커버(1632, 1642) 사이에 저수된 응축수를 배수구(1644)로 유도하기 위해, 질식방지장치(163, 164)가 마련되는 팬하우징(161)의 개구부 저면은 배수구(1644)로 갈수록 그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된 경사면(t2)을 가질 수 있다(도 16 참조).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guide the condensed water stored between the outdoor inlet plates 1631 and 1641 and the outdoor inlet covers 1632 and 1642 to the drain 1644, the suffocation prevention devices 163 and 164 are provided in the fan housing 161. The bottom of the opening of the slit may have an inclined surface t2 that is formed to decrease in height toward the drain 1644 (refer to FIG. 16 ).

물론, 팬하우징(161)의 개구부 저면에 상응하여, 배수구(1644)를 가진 외기도입커버(1632, 1642) 역시, 하측단부(t3)가 상기 배수구(1644)를 향하여 그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Of course,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opening of the fan housing 161, the outdoor intake covers 1632 and 1642 having a drain port 1644 are also inclined so that the lower end t3 is lowered in height toward the drain port 1644. may have a form.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기도입커버가 팬하우징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1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utside introduction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fan housing.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기도입커버(1632, 1642)는 팬하우징(161)의 내측면에서 팬하우징(161)의 일부 영역에 형성된 개구부를 덮을 수 있도록 결합할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shown in FIG. 16 , the external introduction covers 1632 and 164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art of the fan housing 161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an housing 161 . It can be combined so as to cover the opening formed in the.

팬하우징(161)의 내측면에서 결합된 외기도입커버(1632, 1642)는 상측단부만 팬하우징(161)의 내벽과 이격형성되고, 나머지 외기도입커버(1632, 1642)의 양측단부 및 하측단부는 팬하우징(161)의 내벽과 밀착하도록 결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ly the upper end of the outside intake covers 1632 and 1642 coupl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an housing 161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of the fan housing 161, and both ends and lower ends of the remaining outside air introduction covers 1632 and 1642). is coupl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fan housing 161 to maintain airtightness.

즉, 외기도입커버(1632, 1642)는 상측단부로만 외기가 도입되도록 하되, 팬하우징(161) 내부의 공기는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side air introduction covers 1632 and 1642 only introduce outside air at the upper end, but the air inside the fan housing 161 does not escape to the outside.

외기도입커버(1632, 1642)를 팬하우징(161)의 일부 영역에 형성된 개구부에 결합할 수 있도록, 외기도입커버(1632, 1642)의 적어도 일측에는 결합공(1643a, 1643b)을 가진 결합편(1642a, 1642b)이 마련될 수 있다. 즉, 체결수단을 결합공(1643a, 1643b)을 통해 팬하우징(161)의 내측면에 체결함으로써, 외기도입커버(1632, 1642)는 팬하우징(161)의 일부 영역에 형성된 개구부를 덮을 수 있다.A coupling piece (1643a, 1643b) having a coupling hole (1643a, 1643b) on at least one side of the outside air introduction cover (1632, 1642) so that the outside air introduction cover (1632, 1642) can be coupled to the opening formed in a portion of the fan housing (161). 1642a, 1642b) may be provided. That is, by fastening the fastening means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an housing 161 through the coupling holes 1643a and 1643b, the outside air intake covers 1632 and 1642 can cover the opening formed in a portion of the fan housing 161. .

한편, 외기도입커버(1632, 1642)와 대향하는 외기도입판(1631, 1641)은, 상기 팬하우징(161)의 일부 영역에 형성된 개구부의 하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되, 외측 방향으로 소정 높이만큼 돌출되어, 외기도입판(1631, 1641)의 상측단부와 팬하우징(161) 사이에 외기가 도입될 수 있는 틈, 즉 외기도입구(163a, 164a)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outside introduction plates 1631 and 1641 facing the outside introduction covers 1632 and 1642 are formed to extend upwardly from the lower end of the opening formed in a partial area of the fan housing 161, and to the outside by a predetermined height. It is preferable to protrude, so that a gap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can be introduced, that is, the outside air inlet (163a, 164a) is form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external introduction plate (1631, 1641) and the fan housing (161).

외기도입판(1631, 1641) 역시, 상측단부로만 외기가 도입될 수 있도록, 외기도입판(1631, 1641)의 좌우측단부 및 하측단부는 팬하우징(161)의 외측면과 이격되지 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utside air introduction plates (1631, 1641) also, so that outside air can be introduced only at the upper end, the left and right ends and lower ends of the outside introduction plates (1631, 1641) are formed not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an housing (161). desirabl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100)는, 히트펌프장치(100)나 기계실(20)에 포함된 각종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기판(193) 및 상기 회로기판(193)을 내부 수용공간에 포함하는 기판하우징(190)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eat pump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ircuit board 193 and the circuit boar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various components included in the heat pump device 100 or the machine room 20 . It may include a substrate housing 190 including a 193 in the inner accommodation space.

여기서, 기판하우징(190)은 사각형 형태의 회로기판(193)을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가진 대략 직육면체 형태를 가진 함체일 수 있다.Here, the substrate housing 190 may be an enclosure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rectangular circuit board 193 therein.

도 1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에 기판하우징이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b는 도 17a의 기판하우징이 젖혀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7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bstrate housing is folded in the heat pum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7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bstrate housing of FIG. 17A is folded.

도 17a 및 1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하우징(190)은 기계실(20) 또는 히트펌프장치(100)의 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100a)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7A and 17B , the substrate housing 19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machine room 20 or the base plate 100a form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t pump device 100 .

구체적으로, 기판하우징(190)의 하단부는 베이스플레이트(100a)의 후방측 단부에 힌지 결합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ower end of the substrate housing 190 may be hinged to the rear end of the base plate (100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판하우징(190) 하단부의 양측면에는 돌출 형성된 돌기가 마련될 수 있고, 이에 상응하여 베이스플레이트(100a)의 후방측 단부에는 기판하우징(190)의 너비만큼 이격된 한 쌍의 결합편이 마련될 수 있다. 즉, 베이스플레이트(100a)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편에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고, 결합편의 관통공에 기판하우징(190)의 돌기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trusio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substrate housing 190 may be provided, and correspondingly, the rear end of the base plate 100a is spaced apart by the width of the substrate housing 190. A pair of coupling pieces may be provided. That is, a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the coupling piece protruding upward of the base plate 100a, and the protrusion of the substrate housing 190 may be fitt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coupling piece.

이에 따라, 베이스플레이트(100a)의 후방측 단부에, 하단부가 힌지 결합된 기판하우징(190)은, 도 1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x)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함으로써 접혀질 수도 있고, 도 1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x)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동함으로써 젖혀져 펼쳐질 수도 있다.Accordingly, at the rear end of the base plate 100a, the lower end of the substrate housing 190 hinged, as shown in FIG. 17a, may be folded by rotating upward about the rotation axis (x), As shown in FIG. 17B , it may be folded and unfolded by rotating downward around the axis of rotation (x).

기판하우징(190)이 상방으로 접혀져 세워졌을 때에는, 팬하우징(161)의 후면을 덮어, 팬(160)의 구동장치(167)나 질식방지장치(164)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반대로 기판하우징(190)이 하방으로 젖혀져 전개되었을 때에는, 팬(160)의 구동장치(167)나 질식방지장치(164)가 외부로 노출됨은 물론, 기판하우징(190)의 외면에 형성된 방열구(195) 및/또는 가이드부재(196)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When the substrate housing 190 is folded upwards, it covers the rear surface of the fan housing 161 so that the driving device 167 or the suffocation prevention device 164 of the fan 16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nd vice versa. When the housing 190 is folded downward and deployed, the driving device 167 or the suffocation prevention device 164 of the fan 160 is exposed to the outside, as well as a heat dissipation hole 195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bstrate housing 190 . And/or the guide member 196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즉, 기판하우징(190)의 일면에는 타면과 달리, 상기 방열구(195) 및/또는 가이드부재(196)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That is, the heat dissipation hole 195 and/or the guide member 196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housing 190 unlike the other surface.

도 18a 및 1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하우징이 분해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18A and 18B are views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the substrate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a 및 1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하우징(190)은 서로 대향한 제1 기판케이스(191)와 제2 기판케이스(192)가 결합함으로써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18A and 18B, the substrate housing 19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n appearance by combining the first substrate case 191 and the second substrate case 192 facing each other. have.

기판하우징(190)이 내부에 회로기판(193)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질 수 있도록, 제1 및 제2 기판케이스(191, 19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를 향한 면에 회로기판(193)의 수용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가장자리에 복수의 측벽이 마련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 cases 191 and 192 has a circuit board ( 193), a plurality of side walls may be provided at the edge to form an accommodation space.

일 예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기판케이스(192)는 제1 기판케이스(191)를 향하는 면의 가장자리에 복수의 측벽이 형성되어, 회로기판(193)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1920)을 형성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second substrate case 192 has a plurality of sidewalls formed on the edge of the surface facing the first substrate case 191, so that the circuit board 193 can be accommodated in an accommodation space. (1920) can be formed.

제1 및 제2 기판케이스(191, 192)가 서로 마주하여 결합함으로써, 내부 수용 공간에 수용된 회로기판(193)은 제1 및 제2 기판케이스(191, 192)에 의해 케이싱될 수 있다.As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 cases 191 and 192 are coupled to face each other, the circuit board 193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accommodation space may be casing by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 cases 191 and 192 .

제1 및 제2 기판케이스(191, 192)는 서로 다양한 결합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기판케이스(191, 192) 간의 결합을 위해, 제2 기판케이스(192)는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측벽의 말단부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턱(1921)이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 cases 191 and 192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various coupling method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b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 cases ( For coupling between 191 and 192 , the second substrate case 192 may be provided with a locking protrusion 1921 protruding outwardly at the distal end of the sidewall formed along the edge.

걸림턱(1921)의 외면 중 일부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결합홈(1922, 1923)이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홈(1922, 1923)의 위치에 상응하여 제1 기판케이스(191)의 어느 일 측면에는 제2 기판케이스(192)를 향하여 돌출 형성된 결합후크(1911, 1912)가 마련될 수 있다.At least one concave coupling groove 1922 , 1923 may be provided on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locking jaw 1921 , an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groove 1922 , 1923 of the first substrate case 191 . On either side, coupling hooks 1911 and 1912 protruding toward the second substrate case 192 may be provided.

결국, 제1 기판케이스(191)의 결합후크(1911, 1912)는 제2 기판케이스(192)의 결합홈(1922, 1923)에 끼워지고, 결합후크(1911, 1912)의 자유단측 말단부에 돌출 형성된 후크는 제2 기판케이스(192)의 걸림턱(1921)에 걸려 결합됨으로써, 걸림턱(1921)에 걸린 결합후크(1911, 1912)가 외력에 의해 이탈되지 않는 이상, 제2 기판케이스(192)로부터 제1 기판케이스(191)는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As a result, the coupling hooks 1911 and 1912 of the first substrate case 191 are fitted into the coupling grooves 1922 and 1923 of the second substrate case 192, and protrude from the free end end of the coupling hooks 1911 and 1912. The formed hook is engaged by being caught on the engaging projection 1921 of the second substrate case 192, so that the coupling hooks 1911 and 1912 caught on the engaging projection 1921 are not separated by external force, unless the second substrate case 192 is engaged. ) from the first substrate case 191 may not be separated.

결합후크(1911, 1912)와 걸림턱(1921) 간의 결합 이외에, 도 1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기판케이스(192)의 걸림홈(1924)과 이에 끼워지는 제1 기판케이스(191)의 걸림돌기(1913)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즉, 결합후크(1911, 1912)와 걸림턱(1921) 간의 결합과, 걸림홈(1924)과 걸림돌기(1913) 간의 결합은 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coupling between the coupling hooks 1911 and 1912 and the locking jaw 1921, as shown in FIG. 18b, the locking groove 1924 of the second substrate case 192 and the first substrate case 191 fitted thereto The locking projections 1913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hat is, the coupling between the coupling hooks 1911 and 1912 and the locking jaw 1921 and the coupling between the locking groove 1924 and the locking protrusion 1913 can be combined.

구체적으로, 제2 기판케이스(192)의 일측면(일 예로 하측면)에는 걸림홈(1924)이 형성될 수 있고, 걸림홈(1924)의 위치에 상응하여, 제1 기판케이스(191)의 일측면(일 예로 하측면)에는 걸림돌기(1913)가 하방(또는 상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제1 및 제2 기판케이스(191, 192)가 서로 결합할 때, 제2 기판케이스(192)의 걸림홈(1924)에는 제1 기판케이스(191)의 걸림돌기(1913)가 끼워질 수 있다.Specifically, a locking groove 1924 may be formed on one side (eg,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case 192 , an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locking groove 1924 , the first substrate case 191 is On one side (for example, the lower side), a locking protrusion 1913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or upward), and whe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 cases 191 and 192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second substrate case 192 . The locking protrusion 1913 of the first substrate case 191 may be fitted into the locking groove 1924 of the .

제1 및 제2 기판케이스(191, 192)는 서로 결합될 때, 제1 기판케이스(191)의 걸림돌기(1913)가 제2 기판케이스(192)의 걸림홈(1924)에 끼워진 상태에서, 끼워진 지점을 작용점(또는 지지점)으로 제1 기판케이스(191)는 제2 기판케이스(192)를 향하여 회동한 다음, 제1 기판케이스(191)의 타측에 마련되어 있는 결합후크(1911, 1912)가 제2 기판케이스(192)의 결합홈(1922, 1923)에 끼워지고 걸림턱(1921)에 걸려질 수 있다. 이때, 제1 기판케이스(191)는 제2 기판케이스(192)의 측벽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턱(1921)의 내측 부분에 안착될 수 있다.Whe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 cases 191 and 192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 engaging projection 1913 of the first substrate case 191 is fitted into the engaging groove 1924 of the second substrate case 192, The first substrate case 191 rotates toward the second substrate case 192 with the fitted point as the working point (or supporting point), and then the coupling hooks 1911 and 1912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ubstrate case 191 are It may be fitted into the coupling grooves 1922 and 1923 of the second substrate case 192 and caught on the locking protrusion 1921 . In this case, the first substrate case 191 may be seated on the inner portion of the engaging projection 1921 protruding outward along the sidewall of the second substrate case 192 .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기판하우징(190)의 내부 수용공간에 회로기판(193)이 수용될 수 있으며, 이때 제2 기판케이스(192)에 안착된 회로기판(193)이 기계실(20)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 따위로 인하여 흔들리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제2 기판케이스(192)의 적어도 어느 한 내측벽에는 기판고정돌기(1925, 1926)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circuit board 193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accommodation space of the substrate housing 190 , and at this time, the circuit board 193 seated on the second substrate case 192 is placed in the machine room 20 , etc. Substrate fixing protrusions 1925 and 1926 may protrude from at least one inner wall of the second substrate case 192 so as to be fixed without being shaken due to vibrations generated from the .

즉, 제2 기판케이스(192)의 내부 수용공간(1920)에 회로기판(193)이 안착되었을 때, 상기 기판고정돌기(1925, 1926)는 회로기판(193)의 상면을 가압하여, 회로기판(193)을 고정시킬 수 있다. 대략 'ㄱ'자 형태를 가진 기판고정돌기(1925, 1926)는, 소재 자체가 가진 강성이나 탄성으로 회로기판(193)을 가압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circuit board 193 is seated in the inner accommodation space 1920 of the second substrate case 192, the substrate fixing protrusions 1925 and 1926 press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193, and the circuit board (193) can be fixed. The substrate fixing protrusions 1925 and 1926 having an approximately 'L' shape can press the circuit board 193 with the rigidity or elasticity of the material itself.

회로기판(193)은 적어도 어느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회로소자가 실장될 수 있으며, 회로소자는 과열되지 않도록 회로소자로부터 발생하는 열이 주변으로 방출되도록 회로기판(193)의 어느 일면에는 방열판(194)이 마련될 수 있다.At least one circuit element may be mount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193, and a heat sink 194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193 so that heat generated from the circuit element is radiated to the surroundings so that the circuit element is not overheated. ) can be provided.

방연판(194)은 회로기판(193)의 어느 일면에 마련되되, 바람직하게는 방열판(194)이 제1 기판케이스(191)을 향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제2 기판케이스(192)의 내부 수용공간(1920)에 안착된 회로기판(193)의 상면에 마련된 방열판(194)에서 주변으로 방사된 열이, 방열판(194)의 주변에 마련된 제1 기판케이스(191)에 마련된 방열구(195)를 통해 기판하우징(190)의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smoke plate 194 is provided on any one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193 , preferably, the heat sink 194 is provided to face the first substrate case 191 . Because, heat radiated from the heat sink 194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193 seated in the inner accommodation space 1920 of the second substrate case 192 to the periphery of the first heat sink 194 is provided around the heat sink 194 . This is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ubstrate housing 190 through the heat dissipation hole 195 provided in the substrate case 191 .

이를 위해, 제1 기판케이스(191)의 방열구(195)는 회로기판(193)의 방열판(194)의 주변, 바람직하게는 전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To this end, the heat dissipation hole 195 of the first substrate case 191 is preferably formed so as to be located around the heat dissipation plate 194 of the circuit board 193, preferably on the front side.

통상 방열판(194)은 도 1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높이를 가진 형태이기 때문에, 제1 기판케이스(191)는 제2 기판케이스(192)를 향한 면에, 제2 기판케이스(192)와 결합시 마주하는 방열판(194)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갖도록, 방열판수용공간(1910)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판케이스(191)의 일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방열판수용공간(1910)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기판케이스(191)의 타면에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shown in FIG. 18A , since the heat sink 194 has a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the first substrate case 191 is on the surface facing the second substrate case 192 , and the second substrate case 192 and When coupled, the heat sink accommodating space 1910 may be concave so that the facing heat sink 194 has a space to be accommodate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heat sink accommodating space 1910 concavely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case 191 may be convexly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case 191 as shown in the drawing.

제1 기판케이스(191), 구체적으로 방열판수용공간(1910) 중 방열판(194)의 전면에는 방열구(195)가 위치할 수 있다.A heat sink 195 may be position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case 191 , specifically, the heat sink 194 in the heat sink accommodating space 1910 .

방열구(195)는 제1 기판케이스(191)에 방열판(194)의 크기 및 위치에 상응하도록 관통 형성되되, 도 1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둘 이상이거나, 또는 도 1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일 수 있다.The heat sink 195 is formed through the first substrate case 191 to correspond to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heat sink 194, and may be two or more as shown in FIG. 19A, or one as shown in FIG. 19B. have.

여기서, 베이스플레이트(100a)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기판하우징(190)이 접혀졌을 때, 질식방지장치(164)의 전면에 방열구(195)가 위치할 수 있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로기판(193)에 실장된 회로소자로부터 발생하는 열이 방열판(194)을 통해 외부로 방사될 때, 방열판(194)으로부터 방사되는 열은 적어도 하나의 방열구(195)를 통해 질식방지장치(164)로 유입될 수 있다(도 20 및 21 참조).Here, when the substrate housing 190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plate 100a is folded, the heat dissipation hole 195 may be position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ffocation prevention device 164 . That is,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heat generated from a circuit element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193 is radia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eat sink 194 , the heat radiated from the heat sink 194 is at least one heat sink 195 . may be introduced into the suffocation prevention device 164 through (see FIGS. 20 and 21).

도 1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9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19A is a view showing a guid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9B is a view showing a guide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a 및 1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방열구(195)에는 열이 방사되는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재(196)가 마련될 수 있고, 가이드부재(196)는 방열구(195)를 통해 방열판(194)으로부터 방사되는 열을 질식방지장치(164)로 유도할 수 있다.19A and 19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uide member 196 for guiding a direction in which heat is radiated may be provided in the heat sink 195, and the guide member 196 is Heat radiated from the heat sink 194 through the heat sink 195 may be guided to the suffocation prevention device 164 .

방열구(195)와 질식방지장치(164)는 서로 높이가 같거나,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보다 높을 수 있으나, 바람직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방열구(195)가 질식방지장치(164)의 위치보다 높은 경우, 구체적으로 방열구(195)의 상측단의 높이가 질식방지장치(164)의 외기도입판(1641) 또는 외기도입커버(1642)의 상측단에 형성된 틈보다 높은 경우, 가이드부재(196)는 전방으로 소정 각도만큼 하향 경사지게 마련된 복수의 가이드판(1961a~1961e)을 포함할 수 있다.The heat sink 195 and the suffocation prevention device 164 may have the same height as each other, or one may be higher than the other, b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sink 195 is the suffocation prevention device 164 . When higher than the position, specifically, when the height of the upper end of the heat sink 195 is higher than the gap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outdoor inlet plate 1641 or the outdoor inlet cover 1642 of the suffocation prevention device 164, the guide member ( 196 may include a plurality of guide plates 1961a to 1961e provided to be inclined downward by a predetermined angle forward.

물론, 방열구(195)는 질식방지장치(164)의 위치보다 낮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열구(195)의 상측단의 높이가 질식방지장치(164)의 외기도입판(1641) 또는 외기도입커버(1642)의 상측단에 형성된 틈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Of course, the heat sink 195 may be lower than the position of the suffocation prevention device (164). Specifically, the height of the upper end of the heat sink 195 may b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gap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outside introduction plate 1641 or the outside introduction cover 1642 of the suffocation prevention device (164).

이 경우 가이드부재(196)는 전방으로 소정 각도만큼 상향 경사지게 마련된 복수의 가이드판(1961a~1961e)을 포함할 수도 있으나, 외기 및 열이 질식방지장치(164)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방열구(195)가 질식방지장치(164)의 위치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guide member 196 may include a plurality of guide plates 1961a to 1961e provided to be inclined upward by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front, but so that the outside air and heat can easily flow into the suffocation prevention device 164, the heat sink (195) is preferably higher than the position of the suffocation prevention device (164).

여기서, 복수의 가이드판(1961a~1961e)은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고, 이웃한 두 가이드판(1961a~1961e) 사이에는 가열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plurality of guide plates 1961a to 1961e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slit through which heated air may flow may be formed between two adjacent guide plates 1961a to 1961e.

구체적으로, 방열구(195)가, 도 1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인 경우, 하향 경사지게 마련된 복수의 가이드판(1961~1965) 각각은, 슬릿 형태로 관통 형성된 복수의 방열구(1962a~1962e) 각각에 마련되되, 방열구(1962a~1962e)의 상부, 구체적으로 상측단부에 위치하여, 방열 방향을 가이드할 수도 있고, 또 다른 예로, 방열구(195)가, 도 1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인 경우, 하나의 방열구(195)에 하향 경사지게 복수의 가이드판(1963a~1963c)이 마련됨으로써 그릴 형태의 가이드부재(196)는 방열 방향을 하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9A ,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heat sinks 195 , each of the plurality of guide plates 1961 to 1965 provided to be inclined downward, each of a plurality of heat sinks 1962a to 1962e formed through a slit shape, respectively. Doedoe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heat dissipation hole (1962a ~ 1962e), specifically located at the upper end portion, may guide the heat dissipation direction, as another example, the heat sink 195, as shown in Figure 19b, when one , by providing a plurality of guide plates 1963a to 1963c inclined downward in one heat dissipation hole 195 , the guide member 196 in the form of a grill may guide the heat dissipation direction downward.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판(1961a~1961e)은 방열구(195)를 통해 방출되는 열의 방사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면, 그 형태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일 예로, 하향 경사진 면은 도 1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면일 수도 있고, 또 다른 예로, 도 1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일 수도 있다.Here, if the guide plates 1961a to 1961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 guiding the radiation direction of heat emitted through the heat sink 195, the shap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a downwardly inclined surface. may have a curved surface as shown in FIG. 19A , or as another example, may be flat as shown in FIG. 19B .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식방지장치와 기판하우징의 종단면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식방지장치 주변의 공기 흐름을 도식화한 도면이다.20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suffocation prevention device and the substrate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ir flow around the suffocation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 및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열판(194)의 전방에는 방열구(195)의 가이드부재(196)와, 질식방지장치(164)가 위치할 수 있고, 방열구(195)는 질식방지장치(164)의 높이보다 그 이상의 높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20 and 21, the guide member 196 of the heat sink 195 and the suffocation prevention device 164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heat sink 194, and the heat sink 195 is a suffocation prevention device ( 164) is preferably located at a height higher than the height.

결국, 방열판(194)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은 방열구(195)의 가이드부재(196)에 의해 질식방지장치(164)로 유도될 수 있다.As a result, heat generated from the heat sink 194 may be guided to the suffocation prevention device 164 by the guide member 196 of the heat sink 195 .

이러한 열의 유동을 형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별도의 팬이나 구동장치를 포함하지 않고, 의류처리실(11)을 중심으로 한 순환공기유로(101)를 형성하기 위해 구동하는 팬(160)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form such a heat flow,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include a separate fan or driving device, but forms a circulation air flow path 101 centered on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 It is preferable to use a fan 160 to dri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100)의 팬(160)은 기류의 상류측단이 아닌 하류측단, 즉 공기배출구(101b) 측에 마련되어, 공기유입구(101a)를 통해 흡입한 공기를 공기배출구(101b)로 배출하기 때문에, 이러한 주류를 형성하는 팬(105)의 구동에 의해 팬하우징(161)의 일면에 마련된 질식방지장치(164)의 내측에는 음압이 형성될 수 있다.The fan 160 of the heat pump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t the downstream end, that is, the air outlet 101b side, not the upstream end of the air flow, and provides air suctioned through the air inlet 101a. Since it is discharged to the air outlet 101b, a negative pressure may be formed inside the suffocation prevention device 164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an housing 161 by driving the fan 105 that forms the mainstream.

즉, 제1 유로(f1)를 따라 고속으로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팬하우징(161)의 외부의 공기는, 외기도입판(1641)의 상측단과 외기도입커버(1742)의 상측단 각각에 형성된 틈을 순차로 거쳐, 팬하우징(161)의 내부로 유입되어, 공기배출구(101b)를 거쳐 의류처리실(11)로 제공될 수 있다.That is, by the air flowing at high speed along the first flow path f1, the air outside the fan housing 161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outdoor inlet plate 1641 and the upper end of the outdoor inlet cover 1742, respectively. The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fan housing 161 through the gap sequentially and provided to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through the air outlet 101b.

팬하우징(161)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기와 함께, 질식방지장치(164)와 인접한 위치에 있는 방열구(195)를 통해 방열판(194)에서 방사된 열이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결국, 의류처리실(11)의 공기토출구(12b)를 통하여 의류처리실(11)로 도입되는 공기 중 질식방지장치(164)를 통해 낮은 온도의 외기가 도입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열 효율의 저하 문제를 보상할 수 있다.Since heat radiated from the heat sink 194 may be introduced through the heat sink 195 positioned adjacent to the suffocation prevention device 164 along with the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fan housing 161 , eventually, the laundry treatment room It is possible to compensate for a problem of a decrease in thermal efficiency that may occur due to the introduction of low-temperature outdoor air through the air suffocation prevention device 164 introduced into the laundry treatment chamber 11 through the air outlet 12b of (1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에서 공기 및 열 유동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 22에 도시하였으며, 도 2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팬(160)의 구동에 의해, 외기와 함께 팬하우징(161)의 내부 공기가 팬하우징(16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공기와 함께, 도 2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팬(160)의 구동에 의해 방열판(194)으로부터 방사된 열이 팬하우징(161)의 내부로 유입되어 공기배출구(101b)로 배출됨을 알 수 있다.A simulation result for air and heat flow in th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22 , and as shown in FIG. The internal air of 161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fan housing 161, and, together with the air, radiated from the heat sink 194 by the driving of the fan 160, as shown in FIG. 22(b). It can be seen that heat flows into the fan housing 161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outlet 101b.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scope, and equivalent concept of the claim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 의류처리장치 10: 캐비넷
11: 의류처리실 12a: 공기유입구
12b: 공기토출구 13: 스팀분사부
20: 기계실 31: 급수통
32: 배수통 40: 도어
100: 히트펌프장치 100a: 베이스플레이트
101: 순환공기유로 101a: 공기유입구
101b: 공기배출구 102: 순환냉매유로
105: 팬 110: 증발기
115: 열교환기하우징 120: 응축기
130: 압축기 140: 유량조절밸브
151: 흡입덕트 152: 중간덕트
152a: 중간덕트유입구 152b: 중간덕트배출구
153: 배기덕트 160: 팬
160a: 흡기구 160b: 배기구
161: 팬하우징 161a: 구동축삽입구
161b: 배기구상류측 1611: 와류유도판
1612: 분기판 1613: 제1 가이드날개
162: 응축수수용실 162a: 분기유입구
162b: 분기배출구 1621: 응축수저수공간
1622: 제2 가이드날개 163, 164: 질식방지장치
163a, 164a: 외기도입구 1631, 1641: 외기도입판
1632, 1642: 외기도입커버 1642a, 1642b: 결합편
1643a, 1643b: 결합공 1644: 배수구
165: 회전축 166: 블레이드
170: 물튐방지커버 171: 공기차단판
172: 결합틀 173: 차수판
f1: 제1 유로 f2: 제2 유로
f3: 제3 유로 190: 기판하우징
191: 제1 기판케이스 1910: 방열판수용공간
1911, 1912: 결합후크 1913: 걸림돌기
192: 제2 기판케이스 1920: 수용공간
1921: 걸림턱 1922, 1923: 결합홈
1924: 걸림홈 1925, 1926: 기판고정돌기
193: 회로기판 194: 방열판
195: 방열구 196: 가이드부재
1961a~1961e: 가이드판 1962a~1962e, 1964: 방열구
1: clothes processing device 10: cabinet
11: Clothing treatment room 12a: Air inlet
12b: air outlet 13: steam injection unit
20: machine room 31: water tank
32: drain container 40: door
100: heat pump device 100a: base plate
101: circulating air flow path 101a: air inlet
101b: air outlet 102: circulating refrigerant flow path
105: fan 110: evaporator
115: heat exchanger housing 120: condenser
130: compressor 140: flow control valve
151: suction duct 152: intermediate duct
152a: intermediate duct inlet 152b: intermediate duct outlet
153: exhaust duct 160: fan
160a: intake port 160b: exhaust port
161: fan housing 161a: drive shaft insert
161b: exhaust port upstream side 1611: vortex guide plate
1612: diverging plate 1613: first guide wing
162: condensate receiving chamber 162a: branch inlet
162b: branch outlet 1621: condensate water storage space
1622: second guide wing 163, 164: suffocation prevention device
163a, 164a: external airway entrance 1631, 1641: external airway entrance plate
1632, 1642: external inlet cover 1642a, 1642b: coupling piece
1643a, 1643b: coupling hole 1644: drain hole
165: axis of rotation 166: blade
170: water splash prevention cover 171: air blocking plate
172: coupling frame 173: water plate
f1: first flow path f2: second flow path
f3: third flow path 190: substrate housing
191: first substrate case 1910: heat sink accommodating space
1911, 1912: coupling hook 1913: stumbling block
192: second substrate case 1920: accommodation space
1921: jamming jaw 1922, 1923: coupling groove
1924: locking groove 1925, 1926: substrate fixing protrusion
193: circuit board 194: heat sink
195: heat sink 196: guide member
1961a~1961e: Guide plate 1962a~1962e, 1964: Heat sink

Claims (10)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처리실을 형성하는 캐비넷;
상기 의류처리실 내 마련되어, 상기 의류처리실 내부의 공기가 인출되는 공기유입구와,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의류처리실 내부로 재공급되는 공기토출구;
상기 공기유입구와 상기 공기토출구를 상호 연통시키는 순환유로 내 공기를 가열하는 히트펌프장치;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상기 의류처리실 내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구동하는 팬; 및
상기 히트펌프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회로기판이 수용된 기판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팬은, 흡기구와 배기구가 마련된 팬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팬하우징은, 어느 일 면에 마련되어 외기를 내부로 도입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질식방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하우징은, 어느 일 면에 형성된 방열구를 포함하여, 상기 회로기판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방열구를 통해 상기 질식방지장치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 cabinet forming a laundry treatment room in which clothes are accommodated;
an air inlet provided in the laundry treatment chamber through which air from the inside of the laundry treatment chamber is withdrawn, and an air outlet through which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is re-supplied into the laundry treatment chamber;
a heat pump device that heats air in a circulation passage connecting the air inlet and the air outlet to each other;
a fan driven to circulate air in the laundry treatment chamber along the circulation passage; and
a substrate housing in which a circuit boar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eat pump device is accommodated;
including,
The fan includes a fan housing provided with an intake port and an exhaust port, wherein the fan housing includes at least one anti-suffocation device provided on one surface to introduce outside air into the interior,
The substrate housing includes a heat sink formed on one surface, and the heat generated from the circuit board flows into the suffocation prevention device through the heat sin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하우징은, 상기 히트펌프장치의 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substrate housing is rotatably coupled to a base plate forming a bottom surface of the heat pump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하우징이 접혀진 경우, 상기 방열구는 상기 질식방지장치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기판하우징이 펼져져 전개된 경우, 상기 질식방지장치는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substrate housing is folded, the heat sink is located in front of the suffocation prevention device,
When the substrate housing is unfolded and deployed, the choking prevention device is exposed to the outs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적어도 하나의 회로소자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방사하는 방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ircuit board is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a heat sink for radiating heat generated from at least one circuit elemen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은, 상기 방열구 주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heat sink is disposed around the heat sin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구에는 열이 상기 질식방지장치로 가이드되도록, 상기 질식방지장치를 향하여 마련된 가이드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t sink has a guide member provided toward the suffocation preventing device so that the heat is guided to the suffocation preventing devic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a.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팬하우징의 어느 일 면에 일부 영역이 개구 형성된 개구부에 상기 질식방지장치가 마련되되,
상기 질식방지장치는, 상기 개구부를 중심으로 외측 및 내측 각각에서 상기 개구부를 차단하도록 외기도입판 및 외기도입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외기도입판 및 상기 외기도입커버의 상측단은 자유단으로 상기 팬하우징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외기가 상기 팬하우징 내부로 도입될 수 있는 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suffocation prevention device is provided in an opening in which a partial area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an housing,
The suffocation prevention device includes an external induction plate and an external introductory cover to block the opening in each of the outside and the inside around the opening,
and upper ends of the outside introduction plate and the outside introduction cover are free ends and are spaced apart from the fan housing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form a gap through which outside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fan housing.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구의 높이는 상기 질식방지장치의 높이보다 높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전방으로 소정 각도만큼 하향 경사지게 마련된 복수의 가이드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가이드판은, 서로 이격 배치되어 이웃한 두 상기 가이드판 사이에는 가열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height of the heat sink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suffocation prevention device,
The guide member includes a plurality of guide plates provided to be inclined downward by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front,
The plurality of guide plat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slit through which heated air can flow is formed between two adjacent guide plate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회전축을 따라 상기 흡기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회전축의 반경방향으로 배출되어 상기 팬하우징의 내면을 따라 회전한 이후 상기 팬하우징의 상부에 마련된 상기 배기구로 배기되는 제1 유로를 갖고,
상기 질식방지장치는, 상기 팬하우징의 일 측면에 마련되되, 상기 제1 유로 중 상기 배기구를 향하여 상승하는 기류 상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an,
A first flow path through which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take port along the rotational shaft is discharged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rotational shaft, rotate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fan housing, and then exhausted to the exhaust port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an housing;
The choking prevention devic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an housing, and is provided on an air stream rising toward the exhaust port in the first flow path.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팬의 구동으로 상기 질식방지장치 주변에 음압을 형성하여, 상기 방열구에서 상기 질식방지장치로 열을 유도하고, 상기 공기토출구를 통해 상기 의류처리실로 열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 negative pressure is formed around the suffocation prevention device by driving the fan to induce heat from the heat sink to the suffocation prevention device, and heat is supplied to the laundry treatment chamber through the air outlet.
KR1020210044023A 2021-04-05 2021-04-05 Apparatus for laundry treatment KR1025055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023A KR102505504B1 (en) 2021-04-05 2021-04-05 Apparatus for laundry treat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023A KR102505504B1 (en) 2021-04-05 2021-04-05 Apparatus for laundry treat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194A true KR20220138194A (en) 2022-10-12
KR102505504B1 KR102505504B1 (en) 2023-03-02

Family

ID=83597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4023A KR102505504B1 (en) 2021-04-05 2021-04-05 Apparatus for laundry treat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550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6316A1 (en) * 2022-10-31 2024-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Clothes treatment apparatu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1098U (en) * 1983-12-14 1985-07-10 株式会社東芝 Dryer
JP2007270714A (en) * 2006-03-31 2007-10-18 Max Co Ltd Blasting device
KR20090105085A (en) * 2008-04-01 2009-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Cloth treating apparatus
KR20100092764A (en) 2009-02-13 2010-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contorlling the door of a washing machine
KR20200017887A (en) * 2018-08-09 2020-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Clothes care apparatu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1098U (en) * 1983-12-14 1985-07-10 株式会社東芝 Dryer
JP2007270714A (en) * 2006-03-31 2007-10-18 Max Co Ltd Blasting device
KR20090105085A (en) * 2008-04-01 2009-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Cloth treating apparatus
KR20100092764A (en) 2009-02-13 2010-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contorlling the door of a washing machine
KR20200017887A (en) * 2018-08-09 2020-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Clothes care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6316A1 (en) * 2022-10-31 2024-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5504B1 (en) 2023-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0961B1 (en) Clothes care apparatus
KR100861831B1 (en) Washer dryer
KR101414635B1 (en) Cloth treating apparatus
KR101467769B1 (en) Cloth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210324566A1 (en) Clothing care system
US20110271545A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20090013947A (en) Cloth treating apparatus
BRPI1103958A2 (en) Washing machine treatment machine
KR102627701B1 (en) Clothes care apparatus
AU2007277599A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10310179A1 (en) Clothes care apparatus
US20210348320A1 (en) Air inlet assembly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505504B1 (en) Apparatus for laundry treatment
KR20090105085A (en) Cloth treating apparatus
KR20190128529A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2505485B1 (en) Apparatus for laundry treatment
KR101486358B1 (en) Cloth treating apparatus
KR102571333B1 (en) Apparatus for laundry treatment and fan of the same
KR102505479B1 (en) Apparatus for laundry treatment and fan of the same
KR102544464B1 (en) Apparatus for laundry treatment
KR102505489B1 (en) Apparatus for laundry treatment
KR102505490B1 (en) Apparatus for laundry treatment
KR102505495B1 (en) Apparatus for laundry treatment
KR20190006337A (en) A multi-functional drying and storage system
KR20220161115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