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8163A - 오프라인 강의 운영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오프라인 강의 운영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8163A
KR20220138163A KR1020210043959A KR20210043959A KR20220138163A KR 20220138163 A KR20220138163 A KR 20220138163A KR 1020210043959 A KR1020210043959 A KR 1020210043959A KR 20210043959 A KR20210043959 A KR 20210043959A KR 20220138163 A KR20220138163 A KR 20220138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cture
content
instructor
client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3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태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래다중언어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래다중언어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래다중언어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043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8163A/ko
Publication of KR20220138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816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프라인 강의 운영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강의 콘텐츠관리 서버는 강사 클라이언트들로부터 등록한 강의 콘텐츠들을 상호 공유하도록 제공한다. 강의 콘텐츠 관리 서버는 강사 클라이언트들이 관리자로부터 허여된 강의 콘텐츠를 검색, 수정, 업데이트 및 편집하도록 제공한다.관리자 클라이언트는 강사 클라이언트들로부터 등록된 강의 콘텐츠를 관리하도록 강의 콘텐츠 관리 서버에 강사관리, 강의 배정, 학습 권한 부여 등을 설정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오프라인 콘텐츠를 모든 강사들에게 공유하고, 검색, 수정, 업데이트 및 편집하도록 제공함으로써, 강사들 간에 강의에 대한 연계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강사와 교육생들 간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차별화함으로써, 강사의 강의 메뉴얼, 동영상 등의 기타 강의 내용 자료, 메모 등을 확인하고, 강의 전체에 대한 강의 소요 시간과 강의 진행 현황이 표시되도록 처리하므로, 효율적인 강의 시간 조절 및 분배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오프라인 강의 운영관리 시스템 및 방법{Offline Lecture Operations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본 발명은 오프라인 강의 운영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좀 더 구체적으로
강사들이 오프라인 강의 콘텐츠를 편집, 등록, 업데이트 및 공유하여 공동 관리하고, 관리자가 강의 배정, 강사
관리 및 학습 권한 부여를 설정하여 오프라인 강의를 운영하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에 관한 것이
다.
사내 강사는 기업 내부에 소속된 직원으로, 각자 자신의 직무에 종사하면서 사내 직원들에게 자신의 직무와 관
련된 업무 지식이나 스킬 등을 교육하는 자를 말한다. 자신의 고유 업무를 수행하면서 추가로 사내 강의를 진행
해야 하기 때문에 업무 부담이 가중되어 사내 강사를 기피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사내 강사는 강의를 하기 위해서 강의 자료를 준비해야 하는데, 강의 자료를 본인이 직접 새로 만들 경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선배 사내 강사들이 사용한 강의 자료를 어렵게 구해 활용하더라도 강의 메뉴얼과 같은 별도
의 설명 자료 없이 타인이 만든 강의 자료 예를 들어, 프리젠테이션 자료만으로 제대로 된 강의를 진행하는 것
은 현실적으로 대단히 어려운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로 인해, 선배 사내 강사들의 현장 경험과, 이를 토대로 한 강의 내용이 후배 강사들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고 단절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선배들의 사내 직무 관련 지식과 노하우가 축적된 내용이 교
육에 제대로 반영되지 못함으로써, 사내 강사를 이용한 체계적 교육이 어렵게 되고, 결과적으로 기업의 대외 경
쟁력 강화에도 부정적으로 작용한다. 이는 개별 사내 강사들의 강의 자료가 전사적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관리되
지 못하고, 사내 강사들이 자신의 컴퓨터에 보관 하는 방법 등 개별적으로 관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선배 사내 강사들의 현장 경험과 지식을 강의한 내용이 후배 사내 강사들에게 그대로 전달되고, 여기 후
배 강사들의 현장 경험과 지식이 추가되어 그 다음 후배 강사들에게 전달되는 방식으로 사내 강사들의 경험과
지식이 지속적으로 축적되어 교육에 반영되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첫째, 사내 강사들의 강의 자료를 강사들이 개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아니고 전사적인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관리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서는 사내 강의용 콘텐츠를 강사 개인의 저장 장치(예를 들어, 노
트북, 개인용 PC 등)에 보관하지 않고, 별도의 서버 등을 이용하여 공동 관리를 할 수 있는 저장 장치에 보관해
야 하며, 콘텐츠 관리자 역시 강사가 아닌 사내 교육 담당자 등 제3자가 해야 한다.
둘째, 서버에 보관되어 관리되는 강의 자료는 단순한 프리젠테이션 슬라이드 자료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각
각의 프리젠테이션 슬라이드 자료에 대한 부가적이고 세부적인 보충 설명과 함께 보충적으로 사용되는 이미지나
동영상 자료에 대한 자세한 설명, 강의 진행 방식 등에 대한 세부 매뉴얼도 포함되어야 한다.
셋째, 강의의 효율성이 확보하기 위해서는 강사가 강의 슬라이드와 동영상, 이미지 등에 대한 세부 강의 내용과
강의 진행 방식, 강의 진행 시간 등을 즉시 확인하면서 강의를 진행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강의 콘텐츠의 활용도를 높이면서 효과적이고도 충실한 강의가 진행되기 위해서는 강사들끼리 강의 내용
의 콘텐츠를 공유할 필요성이 있고, 따라서 타 강사가 사용하는 강의 콘텐츠를 자유롭게 검색, 활용할 수 있어
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강사들이 작성한 강의용 오프라인 콘텐츠를 상호 공유 및 관리하기 위한 오프라인 강
의 콘텐츠 공동 관리 및 강의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프라인 강의 콘텐츠에 강의자의 메모나 강의 내용을 전달하는 구체적 방법을 기술한
강의메뉴얼을 부가하는 오프라인 강의 콘텐츠 공동 관리 및 강의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강의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강사에게 제공되는 출력 화면에 오프라인 콘텐
츠에 적어도 부가 정보, 설명 정보 및 강의 진행 방식, 강의소요 시간, 강의 진행 현황, 그리고 강의 콘텐츠를
검색하여 바로 활용할 수 있는 검색 기능 등의 내용을 포함시켜서 제공하는 오프라인 강의 콘텐츠 공동 관리 및
강의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오프라인 강의 콘텐츠 공동 관리 및 강의 운영 시스템은 강사로부터
등록된 강의 콘텐츠를 상호 공유, 편집 및 업데이트하도록 제공하는데 그 한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오프라인
강의 콘텐츠 공동 관리 및 강의 운영 시스템을 통하여 오프라인 강의 콘텐츠를 체계적 관리가 가능하다.
이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의 오프라인 강의 콘텐츠 공동 관리 및 강의 운영 시스템은, 네트워크와; 상기 네트워크
를 통해 오프라인 강의 콘텐츠를 생성하는 복수 개의 강사 클라이언트들과;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상기 강
사 클라이언트들에 대한 강사 정보를 관리하고, 강사 정보에 대응하여 강의를 배정하며, 상기 강사 클라이언트
의 강사에게 교육프로그램의 콘텐츠에 대해 사전 학습 권한을 설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클라이언트와; 상
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강사 클라이언트들로부터 생성되는 상기 강의 콘텐츠를 받아서 수정 또는 편집, 저장,
등록하고, 상기 강의 콘텐츠들을 상기 강사 클라이언트들 간에 상호 공유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강의 콘텐츠 관
리 서버 및;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강의 콘텐츠 관리 서버로부터 강의 콘텐츠를 받아서 교육생에게 디스플
레이하는 복수 개의 강의 콘텐츠 출력 장치를 포함한다.
이 특징의 한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강사 클라이언트는; 상기 강의 콘텐츠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강의 콘텐
츠에 대해 입력된 메타정보를 포함하는 메타태그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입력된 검색어로상기 데
이터베이스에서 메타태그를 검색하여 입력된 검색어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추출하고, 추출된 강의 콘텐츠를
수정, 업데이트 또는 편집하여 상기 강의 콘텐츠 관리 서버에 저장 등록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강의 콘텐츠 관리 서버는 상기 강사 클라이언트와 상기 강의 콘텐츠 출력 장치들로
상기 강의 콘텐츠를 출력시킬 때, 상기 강사 클라이언트와 상기 강의 콘텐츠 출력 장치가 상이한 디스플레이 화
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강사 클라이언트에는 적어도 강의 메뉴얼, 메모 사항 및 전체 강의에 대한 전
체 강의 소요 시간, 강의 진행 현황, 그리고 강의 콘텐츠를 검색하여 바로 활용할 수 있는 검색 기능 등의 내용
이 표시되도록 처리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네트워크,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강사 클라이언트, 적어도 하나
의 관리자 클라이언트 및 강의 콘텐츠 관리 서버, 그리고 복수 개의 강의 콘텐츠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오프라
인 강의 콘텐츠 관리 및 강의 운영 시스템의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이 특징에 따른 오프라인 강의 콘텐츠 관리 및 강의 운영 시스템의 처리 방법은, 상기 강의 콘텐츠 관리 서버에
다양한 강의 콘텐츠를 저장하고; 상기 관리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강의 콘텐츠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강사 및 강
의를 관리하고, 강사들 각각에 대해 교육프로그램의 콘텐츠에 대해 사전 학습 권한을 부여하거나 강의를 배정하
고; 상기 강사 클라이언트가 사전 학습 권한이 부여되거나 배정된 강의에 대한 강의 콘텐츠를 상기 강의 콘텐츠
관리 서버로 등록하고; 상기 강사 클라이언트로부터 등록된 강의 콘텐츠를 상기 강의 콘텐츠 관리 서버에 저장
하고; 상기 강의 콘텐츠 관리 서버에 저장된 강의 콘텐츠를 다른 강사 클라이언트들이 검색, 선택, 확인 및 활
용할 수 있도록 공유한다.
이 특징의 한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강사 클라이언트가, 강의 콘텐츠에 대해 입력된 메타정보를
포함하는 메타태그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입력된 검색어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메타태그를
검색하여 입력된 검색어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추출하고, 추출된 강의 콘텐츠를 수정, 업데이트 또는 편집하여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강사 클라이언트가 강의 일정에 따라 배정된 강의를 선택하면, 상기
강의 콘텐츠 관리 서버는 상기 강사 클라이언트와 상기 강의 콘텐츠 출력 장치들로 상기 강의 콘텐츠를 출력시
킬 때 상기 강사 클라이언트와 상기 강의 콘텐츠 출력 장치가 상이한 디스플레이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강사 클라이언트로 해당 강의 콘텐츠와 함께, 강의 메뉴얼, 메모 사항 및 전체 강의에 대한 강의 진행 현
황, 강의 소요시간과 현재 강의 진행시간, 그리고 강의 콘텐츠를 검색하여 바로 활용할 수 있는 검색 기능 등
이 적어도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프라인 강의 콘텐츠 공동 관리 및 강의 운영 시스템은 강의용 콘텐츠를 통합 관리함으로써, 선후배 강사들 간의 강의 콘텐츠를 공유 및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제공하여, 선배 강사의 현장 경
험과, 이를 토대로 한 강의 내용을 후배 강사들에게 제대로 전달할 수 있으므로, 선후배들 간의 직무 관련 지식
과 노하우가 축적된 내용이 교육에 제대로 반영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오프라인 강의 콘텐츠 공동 관리 및 강의 운영 시스템은 강사와 교육생들 간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차별화함으로써, 강사의 강의 메뉴얼, 동영상 등의 기타 강의 내용 자료, 메모 등을 확인하면서 강의가 가능하
고, 강의 전체에 대한 강의 소요 시간과 강의 진행 현황, 그리고 강의 콘텐츠를 검색하여 바로 활용할 수 있는
검색 기능 등의 표시되도록 처리하므로, 효율적인 강의 시간 조절 및 진행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서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
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구성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강의 콘텐츠 공동 관리 및 강의 운영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강의 콘텐츠 관리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오프라인 강의 콘텐츠 공동 관리 및 강의 운영 시스템(2)은
네트워크(4)와, 관리자 클라이언트(200)와, 복수 개의 강사 클라이언트(300), 복수 개의 강의 콘텐츠 출력 장치
(400) 및 강의 콘텐츠 관리 서버(100)를 포함한다.
네트워크(4)는 예컨대, 유무선 통신망 등을 이용하여 사내의 인트라넷, 인터넷에 연결된다. 네트워크(4)는 관리
자 클라이언트(200)와, 강사 클라이언트(300), 강의 콘텐츠 출력 장치(400) 및 강의 콘텐츠 관리 서버(100)들
간에 상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관리자 클라이언트(200)는 시스템 관리자가 구비하는 장치로, 예컨대, 퍼스널 컴퓨터, 휴대용 컴퓨터 등으로 구
비되고, 강의 콘텐츠 관리 서버(100)에 접속하여 시스템 운영 관리, 강사 관리, 강의 관리, 강의 콘텐츠 관리,
강사의 학습 권한 관리 및 강의 배정 등을 설정하거나 등록한다. 구체적으로 관리자 클라이언트(200)는 강의 콘
텐츠 관리 서버(100)에 신규 교육 프로그램을 생성, 등록, 수정 및 삭제하고, 신규 강사 등록, 강사 정보 수정
및 강사의 강의 이력을 관리한다. 또 관리자 클라이언트(200)는 강의 콘텐츠 관리 서버(100)에 강사의 학습 권
한을 부여하도록 한다. 즉, 관리자 클라이언트(200)는 등록된 강사에게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 권한을 부여
하거나, 강사 클라이언트(300)로부터 강사의 학습 권한 부여 신청이 접수되면, 이를 확인하여 승인 여부를 결정
한다. 또 관리자 클라이언트(200)는 강사에게 특정 강의 과정에 대해 강의를 배정하고, 해당 강의 과정에 배정
된 메인 강사를 보조하는 보조 강사를 배정한다. 또 관리자 클라이언트(200)는 허여된 강사들 간에 강의 콘텐츠
들을 공유할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의 학습 데이터와 강의 데이터를 복사 및 제공하고, 불필요한 강의 콘텐츠를
삭제할 수 있다.
강사 클라이언트(300)는 네트워크(4)를 통해 강의 콘텐츠 관리 서버(100)에 신규 교육 프로그램을 생성, 등록한
다. 강사 클라이언트(300)는 생성된 신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강의 콘텐츠를 강의 콘텐츠 관리 서버(100)에
등록, 저장한다. 이 때, 관리자 클라이언트(200)는 강사 클라이언트(300)로부터 생성된 신규 교육 프로그램의
승인 여부를 결정하고, 승인 여부에 따라 강사 클라이언트(300)로 하여금 강의 콘텐츠를 등록, 저장하도록
한다. 또 관리자 클라이언트(200)는 새롭게 생성, 등록된 최초 강의 콘텐츠를 강사 클라이언트(300)가 직접 수
정, 삭제하지 못하도록 관리한다.
강사 클라이언트(300)는 관리자 클라이언트(200)에게 학습 권한 부여를 신청하고, 학습 권한이 부여된 교육 프
로그램의 내용에 대하여 학습하고, 학습 과정에서 메모할 수 있다. 강사 클라이언트(300)는 자신의 강의 콘텐츠
를 강의 콘텐츠 관리 서버(100)에 등록시켜서 다른 강사에게 복사하여 제공하거나, 다른 강사가 열람할 수 있도
록 제공한다. 또 강사 클라이언트(300)는 다른 강사의 강의 콘텐츠를 복사 신청하거나, 열람할 수 있도록 열람
권한 부여를 신청한다. 또 강사 클라이언트(300)는 관리자 클라이언트(200)로부터 강의 과정이 배정되면, 해당
강의 과정을 강의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는다. 또 강사 클라이언트(300)는 기존의 강의 콘텐츠를 복사하거나
이용하여 새로운 강의 콘텐츠를 생성하고, 신규 강의 과정을 생성, 등록 및 강의 가능하다.
이러한 강사 클라이언트(300)들은 강의 콘텐츠 관리 서버(100)로부터 복수의 강사들이 보유하거나 공유한 강의
콘텐츠를 검색, 선택, 불러오기 및 확인 가능하다.
강사 클라이언트는 예를 들어, 강의 콘텐츠의 내용에 대한 메타정보를 포함하는 메타태그(Meta -Tag) 기능을 이
용하여 강의 콘텐츠를 등록, 저장하고, 이를 통해 강의 콘텐츠의 검색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 때, 메타태그
는 강의 콘텐츠들 각각의 페이지 또는 각각의 슬라이드에 대한 내용, 동영상에 대한 내용, 실습 내용 등에 따라
각각 입력된다. 따라서 강의 콘텐츠에 대한 검색 기능은 강사 클라이언트(300)가 강의 콘텐츠 관리 서버(100)에
등록된 모든 강의 콘텐츠에 대한 검색이 가능하다.
한편, 이러한 메타태그는 단일의 태그정보가 아닌 복수의 태그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타정보가 담긴 부분
의 위치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강의 콘텐츠에 다수의 강사들이 메타태그를 이용하여 메타정
보를 입력한 경우, 그 입력한 모든 메타태그 정보들이 저장된다.
또한, 메타태그는 해당 메타정보가 관련된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콘텐츠를 구성하는 일부분, 예를 들
어, 다수 페이지를 가진 텍스트 파일의 경우 특정 페이지, 동영상 파일이나 음성 파일의 경우 특정 재생 지점,
프리젠테이션 파일의 경우 특정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 파일이나 텍스트 파일에 강사가 메모나 수정을 가한 경
우 그 메모나 수정된 부분과 관련하여 강사가 입력한 메타정보가 메타태그로서 콘텐츠에 삽입될 수 있으며, 메
타태그에 대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120)에 인덱스되어 함께 저장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이러한 메타태그는 시스템 관리자나 강사가 콘텐츠에 대한 저장, 등록, 수정 및 콘텐츠를 이용한
강의 진행 시에 자유롭게 입력될 수 있다. 관리자 클라이언트(200), 강사 클라이언트(300), 강의 콘텐츠 관리
서버(100)는 시스템 관리자나 강사가 입력한 검색어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120)에서 메타태그를 검색하여 해당
검색어와 대응하는 콘텐츠를 추출함으로써, 수많은 콘텐츠들 중에서 강사나 관리자가 원하는 콘텐츠에 대한 정
보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공할수 있다.
또한, 강사 클라이언트(300)는 강의 콘텐츠 관리 서버(100)에 접속하여, 강사 클라이언트(300)에게 학습 권한이
부여되면, 강사가 학습 권한이 부여된 강의를 학습하도록 하는 학습 모드와, 강의가 배정되면, 강사가 강의를
준비하도록 하는 강의 준비 모드 및, 강사가 강의장에서 강의를 하는 상태의 강의 모드를 처리한다.
강의 콘텐츠 출력 장치(400)는 강사가 강의하는 동안에 네트워크(4)를 통하여 강의 콘텐츠 관리 서버(100)로부
터 제공되는 강의 콘텐츠를 출력한다. 강의 콘텐츠 출력 장치(400)는 강사 클라이언트(300)가 선택한 강의 과정
에 대응하여 강의가 진행되는 동안에 강의 콘텐츠를 출력하여 교육생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강의 콘텐츠에는 예
를 들어, 프리젠테이션 자료(예를 들어 파워포인트 슬라이드) 등의 문서, 동영상, 이미지 등이 포함된다. 이
때, 강의 콘텐츠 출력 장치(400)는 강사와 교육생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화면을 갖도록 강사 클라
이언트(300)와 디스플레이 화면이 다르게 구성된다. 예컨대, 강사 클라이언트(200)의 화면에는 강의 메뉴얼, 기
타 강의 내용 자료, 메모 사항 및 전체 강의에 대한 강의 진행 현황 등이 표시되지만, 강의 콘텐츠 출력 장치
(400)에는 교육자가 교육받는 강의 콘텐츠에 대한 내용만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강사는 강사 클라어언트(30
0)의 화면에 전체 강의 소요 시간을 표시하고, 해당 콘텐츠에 대한 강의 진행 시간을 표시하여 제공함으로써,
강사는 전체 강의 시간에 대한 관리 및 통제를 용이하게 확인,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강의 콘텐츠 관리 서버(100)는 관리자 클라이언트(200)와 강사 클라이언트(300)들로부터 강의 콘텐츠를 제공받아서, 저장 등록하고, 강사 클라이언트(300)들 간에 상호 강의 콘텐츠를 공유 및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
한다. 강의 콘텐츠 관리 서버(100)는 네트워크(4)를 통하여 관리자 클라이언트(200)와 연동해서 강사 관리, 강
의 관리, 학습 과정 관리 및 강의 콘텐츠의 히스토리 관리 등 교육용 오프라인 강의 콘텐츠를 통합 관리한다.
또 강의 콘텐츠 관리 서버(100)는 선후배 강사들에 모두 제공하는 강의 콘텐츠를 통합 관리하여, 강의 콘텐츠를
생성, 수정, 업데이트 및 편집 가능하도록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강의 콘텐츠 관리 서버(100)는 제어 모듈(102)과, 인터페이스 모듈(104)과, 강사
인증 모듈(106)과, 모드 처리 모듈(108)과, 출력 모듈(110) 및, 데이터베이스(120)를 포함한다.
제어 모듈(102)은 강의 콘텐츠 관리 서버(100)의 제반 동작을 제어 및 처리한다. 즉, 제어 모듈(102)은 인터페
이스 모듈(104)과, 강사 인증 모듈(106)과, 모드 처리 모듈(108)과, 출력 모듈(110) 및, 데이터베이스(120)을
제어하여, 강사 클라이언트(300)와 관리자 클라이언트(200)들로부터 제공되는 강의 콘텐츠를 통합 관리하도록
처리하고, 강의 콘텐츠 출력 장치(400)들로 강의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인터페이스 모듈(104)은 제어 모듈(102)의 제어를 받아서 네트워크(4)를 통하여 강사 클라이언트(300), 관리자
클라이언트(200) 및 강의 콘텐츠 출력 장치(400)와 상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처리한다.
강사 인증 모듈(106)은 강사 클라이언트(300)로부터 강사 정보가 등록되면, 강사 정보를 인증 처리하여 해당 강
사의 학습 과정의 권한 여부에 따라 허용된 강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모드 처리 모듈(108)은 강사 클라이언트(300)의 학습 모드, 강의 준비 모드 및 강의 모드에 따라 강사가 학습,
강의 준비 및 강의하도록 처리한다.
출력 모듈(110)은 학습 모드, 강의 준비 모드 및 강의 모드에 따라 강사 또는 교육생에게 디스플레이 되는 전체
또는 일부 화면의 구성을 달리하여 강의 콘텐츠, 메뉴얼 및 메모 콘텐츠 등이 출력되게 강의 콘텐츠 출력 장치
(400)로 제공하도록 처리한다. 또 출력 모듈(110)은 강사 클라어언트(300)의 화면에 전체 강의 소요 시간을 표
시하고, 해당 콘텐츠에 대한 강의 진행 시간을 표시하도록 처리한다.
도 6 내지 9는 강사 또는 교육생에게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 도8 및 도 9는 강사 클라이언트(300)에서 출력되는 강사 화면, 즉 강의자의 화면의 UI(User Interface)를
예시하고, 도 7은 실제 강의 시 강의 콘텐츠 출력장치(400)에서 출력되는 교육생을 위한 화면의 UI를 예시한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각 모드에서 강사 및 교육생에게 디스플레이되는 전체 또는 일부 화면의 구성이 상
이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강사 화면에서 강의 콘텐츠에 각종 내용을 기록할 수 있는 메모창과, 메타태그를
이용하여 강의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는 검색창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도 2로 되돌아가 설명하도록 한다.
데이터베이스(120)는 강사 정보 데이터베이스(122)와, 강의 정보 데이터베이스(124) 및 강의 콘텐츠 데이터베이
스(130)를 포함한다. 강사 정보 데이터베이스(122)는 강사 정보가 저장된다. 강의 정보 데이터베이스(124)는 강
의 정보가 저장된다. 강의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30)는 강의 콘텐츠에 대한 기초 데이터(132), 학습 데이터
(134), 강의 데이터(136) 및 링크 데이터(138)를 저장한다. 한편, 전술한 것처럼 각 강의 콘텐츠에는 메타태그
가 삽입될 수 있는데, 이러한 메타태그에 대한 정보도 데이터베이스(120)에 인덱스되어 함께 저장된다.
이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120)는 강의 콘텐츠와, 강사 및 강의 관리에 따른 보안을 위해 관리자와 강사들 각
각에 대해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별도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콘텐츠는 데이터를 구성하는 내용으로, 교재 콘텐츠, 슬라이드 콘텐츠, 미디어 콘텐츠, 실습 콘텐
츠, 메뉴얼 콘텐츠 및 메모 콘텐츠를 포함하고, 데이터는 강의를 구성하는 콘텐츠의 조합으로, 기초 데이터, 학
습 데이터, 강의 데이터 및 링크 데이터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기초 데이터, 학습 데이터, 강의 데이터 및 링크 데이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기초 데이터란 교육프로그램이 최초로 개설되면서 등록된 원(raw)데이터를 의미한다. 시스템 관리자가 선
배 강사로부터 콘텐츠를 받아 기초 데이터로서 등록하며, 특정 교육 프로그램의 기초 데이터는 시스템 내에 1개
만 존재한다. 기초데이터에는 콘텐츠의 내용에 대해 부가적으로 설명하고 구체적으로 강의를 진행하는 방법을
기술한 강의 매뉴얼이 포함된다. 이러한 기초 데이터는 일단 등록된 후에는 시스템 관리자만이 편집 및 수정할
권한을 가지며, 시스템 관리자가 수정할 경우 새롭게 수정된 데이터로 대체되어 저장된다.
학습 데이터란 시스템 관리자가 추후 강의를 위해 강사에게 특정 교육프로그램의 콘텐츠에 대해 사전에 학습을
하도록 학습 권한을 부여하면 기초 데이터로부터 생성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강의 데이터는 특정 교육프로그
램에 대해 학습 권한을 부여받은 강사의 수만큼 생성되며, 해당 강사만이 편집 및 수정을 수행 할 수 있는 권한
을 가진다. 강의 데이터에는 기초 데이터 외에 강사가 해당 교육프로그램의 콘텐츠를 학습하면서 메모한 내용이
추가된다.
강의 데이터란 시스템 관리자가 학습 권한을 가진 강사에게 강의를 배정하면 학습 데이터로부터 생성되는 데이
터를 의미한다. 강의 데이터는 해당 강사가 특정 교육프로그램에 대해 강의를 진행한 횟수만큼 생성된다. 이러
한 강의 데이터는 해당 강사만이 편집 및 수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학습 데이터에 포함된 메모는 강의 를 진행
하면서 메모한 내용으로 대체된다. 대체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링크 데이터란 다른 강사의 강의데이터를 링크해서 사용한 데이터를 의미한다.다른 강사의 콘텐츠를
링크하여 메타테그로 검색, 활용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전술한 것처럼, 메타태그란 각 콘텐츠에 부가되어 저장되는 데이터로서, 각 콘텐츠의 특성을 나타내는 메타정보
가 태그화된 데이터를 의미한다.
도 3a 내지 도 3d는 도 2에 도시된 각각의 데이터들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기초 데이터(132)는 신규 교육 프로그램을 최초로 개설하면서 등록된 콘텐츠 및 수정한 콘텐
츠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데이터 구분 표기 방식은 교육 프로그램명(132a), 데이터 종류명(132b), 입력 및 수정
일자(132c)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기초 데이터(132)는 비즈니스 협상, BD(Base Data), 20140325 등으로 표기
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학습 데이터(134)는 강사가 관리자나 선배 강사가 등록한 교육프로그램의 콘텐츠에 대해 강
의를 위한 사전 학습 모드에서 학습하고 메모한 데이터로, 데이터 구분 표기 방식은 교육 프로그램명(134a), 데
이터 종류명(134b), 강사명(134c), 입력 및 수정 일자(134d)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학습 데이터(134)는 비즈
니스 협상, SD(Study Data), 홍길동, 20140325 등으로 표기된다.
도 3c를 참조하면, 강의 데이터(136)는 강사가 강의에서 실제로 사용한 데이터로, 데이터 구분 표기 방식은 교
육 프로그램명(136a), 데이터 종류명(136b), 강사명(136c), 강의 과정명(136d), 강의 시작 일자(136e)로 구성된
다. 예를 들어, 강의 데이터(136)는 비즈니스 협상, LD(Lecture Data), 홍길동, 과장 진급자 과정, 20140325
등으로 표기된다.
도 3d를 참조하면, 링크 데이터(138)는 강사가 해당 과정에 대한 강의 준비 모드와 강의 모드에서 미디어
(Media)와 실습(Activity) 콘텐츠를 링크하여 사용한 내용에 대한 데이터로, 데이터 구분 표기 방식은 교육 프
로그램명(138a), 데이터 종류명(138b), 강사명(138c), 입력 및 수정 일자(138d)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링크
데이터(138)는 비즈니스 협상, LLD(Link List Data), 홍길동, 20140325 등으로 표기된다.
도 4a 내지 도 4f는 도 3에 도시된 데이터를 구성하는 콘텐츠들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교재 콘텐츠(150)는 교육생들에게 교재로 제공되는 콘텐츠로서, 예를 들어, 프리젠테이션 자
료(파일), 문서 파일 등이 포함된다. 교재 콘텐츠의 콘텐츠 구분 표기 방식은 교육 프로그램명(150a), 콘텐츠
종류(150b), 입력 및 수정 일자(150c)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교재 콘텐츠(150)는 비즈니스 협상, TC(Text
Contents), 20140325 등으로 표기된다.
도 4b를 참조하면, 슬라이드 콘텐츠(152)란 교재 콘텐츠(150)를 강의 프리젠테이션 자료나 이미지 파일로 만들
어서 강의 콘텐츠 출력 장치(400)에 출력하는 파일로서, 콘텐츠 구분 표기 방식은 교육 프로그램명(152a), 콘텐
츠 종류(152b), 입력 및 수정 일자(152c)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 콘텐츠(152)는 비즈니스 협상,
SC(Slide Contents), 20140325 등으로 표기된다.
도 4c를 참조하면, 미디어 콘텐츠(154)는 교재 콘텐츠(150)와 슬라이드 콘텐츠(152)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작한
동영상, 플래시 파일 및 음성 파일 중의 적어도 하나로서, 콘텐츠 구분 표기 방식은 미디어명(154a), 콘텐츠 종
류(154b), 입력 및 수정 일자(154c)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미디어 콘텐츠(154)는 상도인삼 거래협상,
MC(Media Contents), 20140325 등으로 표기된다.
도 4d를 참조하면, 실습 콘텐츠(156)는 실습에 사용되는 동영상, 플래시 파일로서, 콘텐츠 구분 표기 방식은 실
습명(156a), 콘텐츠 종류(156b), 입력 및 수정 일자(156c)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실습 콘텐츠(156)는 1:1 가격협상(R/P), AC(Activity Contents), 20140325 등으로 표기된다.
도 4e를 참조하면, 메뉴얼 콘텐츠(158)는 슬라이드 콘텐츠(152), 미디어 콘텐츠(154), 실습 콘텐츠(156)의 진행
에 대한 강의 메뉴얼로서, 데이터 구분 표기 방식은 콘텐츠명(158a), 콘텐츠 종류(158b), 입력 및 수정 일자
(158c)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메뉴얼 콘텐츠(158)는 비즈니스 협상 SC, MNC(Manual Contents), 20140325 또
는 상도인삼 거래협상 MC, MNC, 20140325 또는 1:1 가격협상(R/P) AC, MNC, 20140325 등으로 표기된다.
그리고 도 4f를 참조하면, 메모 콘텐츠(160)는 강사가 해당 과정에 대해 학습 모드와 강의 준비 모드에서 메모
한 내용으로, 해당 강사가 등록, 수정, 삭제 권한을 갖는다. 데이터 구분 표기 방식은 교육 프로그램명(160a),
콘텐츠 종류(160b), 강사명(160c), 입력 및 수정 일자(160d)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메모 콘텐츠(160)는 비즈
니스 협상, MMC(Memo Contents), 홍길동, 20140325 등으로 표기된다.
계속해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강의 콘텐츠 공동 관리 및 강의 운영 시스템의 처리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오프라인 강의 콘텐츠 공동 관리 및 강의 운영 시스템(2)은 단계 S170에서 강의 콘
텐츠 관리 서버(100)에 다양한 강의 콘텐츠를 저장한다. 강의 콘텐츠는 현재 시점의 이전에 선후배 강사가 등록
한 것을 포함한다.
단계 S172에서 관리자 클라이언트(200)는 강사 및 강의를 관리한다. 즉, 관리자 클라이언트(200)는 강의 콘텐츠
관리 서버(100)에 새로운 강사를 등록하거나, 기등록된 강사의 정보를 수정한다. 또 관리자 클라이언트(200)는
단계 S174에서 강사들 각각에 대해 교육프로그램의 콘텐츠에 대하여 사전에 학습 권한을 부여하도록
설정하거나, 강의를 배정한다.
단계 S176에서 강의 콘텐츠 관리 서버(100)는 관리자 클라이언트(200)에 의해 설정된 교육프로그램의 콘텐츠에
대한 사전 학습 권한이 부여된 강사, 강사별 배정된 강의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단계 S178에서 강사 클라이언트(300)는 사전 학습 권한이 부여되거나 배정된 강의에 대한 강의 콘텐츠를 강의
콘텐츠 관리 서버(100)로 등록한다. 이 때, 등록되는 강의 콘텐츠는 강사 자신이 새로이 작성한 강의 콘텐츠나,
강의 콘텐츠 관리 서버(100)에 기등록된 강의 콘텐츠를 검색, 선택하고, 이를 수정, 업데이트 또는 편집하여 등
록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단계 S180에서 강사 클라이언트(300)에서 등록되거나, 수정, 업데이트 또는 편집된 강의 콘텐츠를 강의 콘텐츠
관리 서버(100)에 저장하고, 단계 S182에서 강의 콘텐츠를 다른 강사 클라이언트(300)들이 검색, 선택, 확인 및
활용할 수 있도록 공유한다.
단계 S184에서 강사 클라이언트(300)가 강의 일정에 따라 배정된 강의를 선택하면, 단계 S186에서 강의 콘텐츠
관리 서버(100)는 강의 콘텐츠 출력 장치(400)로 해당 강의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제공하고, 단계 S188에서 강의
콘텐츠 출력 장치(400)는 강의 콘텐츠를 표시한다. 이 때, 강의 콘텐츠 출력 장치(400)에서 출력되는 강의 콘텐
츠는 교육생을 위한 강의 콘텐츠만이 표시된다. 그리고 단계 S190에서 강사 클라이언트(300)에는 강의 콘텐츠와
함께, 강의 메뉴얼, 기타 강의 내용 자료, 메모 사항 및 전체 강의에 대한 강의 진행 현황, 강의 진행 시간, 강
의 진행 현황, 그리고 강의 콘텐츠를 검색하여 바로 활용할 수 있는 검색 기능 등의 등이 표시된다.
한편, 도 5의 각 단계(S170~S190)에서 강사는 접근하고 있는 콘텐츠에 대하여 자유롭게 메타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된 메타정보는 해당 콘텐츠에 메타태그로서 삽입되는 동시에 데이터베이스(120)에 함께 저장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강의 콘텐츠 관리 및 강의 운영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한 설명과 도
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4)

  1. 사내 강의용 오프라인 강의 콘텐츠 관리 및 강의 운영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사내 강의용 오프라인 강의 콘텐츠를 생성하는 복수 개의 강사 클라이언트들과;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상기 강사 클라이언트들에 대한 강사 정보를 관리하고, 강사 정보에 대응하여 강의
    를 배정하며, 상기 강사 클라이언트의 강사에게 교육프로그램의 콘텐츠에 대해 사전 학습 권한을 설정하는 적어
    도 하나의 관리자 클라이언트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강사 클라이언트들로부터 생성되는 상기 강의 콘텐츠를 받아서 수정 또는 편집, 저
    장, 등록하고, 상기 강의 콘텐츠들을 상기 강사 클라이언트들 간에 상호 공유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강의 콘텐츠
    관리 서버 및;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강의 콘텐츠 관리 서버로부터 강의 콘텐츠를 받아서 교육생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복
    수 개의 강의 콘텐츠 출력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자 클라이언트는 등록된 강사에게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 권한을 부여하거나, 강사 클라이언트로
    부터 강사의 학습 권한 부여 신청이 접수되면, 이를 확인하여 승인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강사 클라이언트로부
    터 생성된 신규 교육 프로그램의 승인 여부를 결정하고, 승인 여부에 따라 상기 강사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강의
    콘텐츠를 등록, 저장하도록 하며, 새롭게 생성, 등록된 최초 강의 콘텐츠를 강사 클라이언트가 직접 수정, 삭제
    하지 못하도록 관리하고,
    상기 강의 콘텐츠 관리 서버는 상기 강사 클라이언트와 상기 강의 콘텐츠 출력 장치들로 상기 강의 콘텐츠를 출
    력시킬 때, 상기 강사 클라이언트와 상기 강의 콘텐츠 출력 장치가 상이한 디스플레이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
    하되;
    상기 강사 클라이언트에는 적어도 강의 메뉴얼, 메모 사항 및 전체 강의에 대한 강의 소요 시간과 강의 진행 현
    황, 그리고 강의 콘텐츠를 검색하여 바로 활용할 수 있는 검색 기능이 표시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강의 콘텐츠
    출력 장치에는 교육자가 교육받는 강의 콘텐츠의 내용만이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콘텐츠는 데이터를 구성하는 내용으로서 교재 콘텐츠, 슬라이드 콘텐츠, 미디어 콘텐츠, 실습 콘텐츠, 메
    뉴얼 콘텐츠 및 메모 콘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는 교육프로그램이 최초로 개설되면서 등록된 원(raw) 데
    이터인 기초 데이터, 시스템 관리자가 추후 강의를 위해 강사에게 특정 교육프로그램의 콘텐츠에 대해 사전에
    학습을 하도록 학습 권한을 부여하면 기초 데이터로부터 생성되는 학습 데이터, 시스템 관리자가 학습 권한을
    가진 강사에게 강의를 배정하면 학습 데이터로부터 생성되는 강의 데이터, 다른 강사의 강의 데이터를 링크해서
    사용하는 링크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내 강의용 오프라인 강의 콘텐츠 관리 및 강의 운영 시
    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사 클라이언트는;
    상기 강의 콘텐츠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강의 콘텐츠에 대해 입력된 메타정보를 포함하는 메타태그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입력된 검색어로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메타태그를 검색하여 입력된 검색어에 대응하
    는 콘텐츠를 추출하고, 추출된 강의 콘텐츠를 수정, 업데이트 또는 편집하여 상기 강의 콘텐츠 관리 서버에 저
    장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강의 콘텐츠 관리 및 강의 운영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네트워크,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강사 클라이언트, 적어도 하나
    의 관리자 클라이언트 및 강의 콘텐츠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오프라인 강의 콘텐츠 관리 및 강의 운영 시스템의
    처리 방법이고:
    상기 강의 콘텐츠 관리 서버에 다양한 강의 콘텐츠를 저장하고;
    상기 관리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강의 콘텐츠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강사 및 강의를 관리하고, 강사들 각각에 대
    해 교육프로그램의 콘텐츠에 대해 사전 학습 권한을 부여하거나 강의를 배정하고;
    상기 강사 클라이언트가 사전 학습 권한이 부여되거나 배정된 강의에 대한 강의 콘텐츠를 상기 강의 콘텐츠 관
    리 서버로 등록하고;
    상기 강사 클라이언트로부터 등록된 강의 콘텐츠를 상기 강의 콘텐츠 관리 서버에 저장하고;
    상기 강의 콘텐츠 관리 서버에 저장된 강의 콘텐츠를 다른 강사 클라이언트들이 검색, 선택, 확인 및 활용할 수
    있도록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강의 콘텐츠 관리 및 강의 운영 시스템의 처리 방법.
  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강사 클라이언트가,
    강의 콘텐츠에 대해 입력된 메타정보를 포함하는 메타태그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입력된 검색어
    로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메타태그를 검색하여 입력된 검색어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추출하고, 추출된 강의 콘텐
    츠를 수정, 업데이트 또는 편집하여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오프라인 강의 콘텐츠 관리 및 강
    의 운영 시스템의 처리 방법.
KR1020210043959A 2021-04-05 2021-04-05 오프라인 강의 운영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381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959A KR20220138163A (ko) 2021-04-05 2021-04-05 오프라인 강의 운영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959A KR20220138163A (ko) 2021-04-05 2021-04-05 오프라인 강의 운영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163A true KR20220138163A (ko) 2022-10-12

Family

ID=83597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959A KR20220138163A (ko) 2021-04-05 2021-04-05 오프라인 강의 운영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816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6674B2 (en) Professional development system and methodology for teachers
Abazi-Bexheti Development of a learning content management system
Clossen Integrating the library in 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
KR101618087B1 (ko) 사내 강사용 오프라인 강의 콘텐츠 관리 및 강의 운영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R20220138163A (ko) 오프라인 강의 운영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101768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development of competency based educational courses and curriculum
KR20230091339A (ko) 오프라인 강의를 운영하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RU2715006C1 (ru) Способ согласования содержания функциональных блоков учебных курсов
JP2002268527A (ja) 教材提供管理システム及び教材提供管理方法
RU2715152C1 (ru)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го формирования учебного курса, содержащего базовые независимые разделы
JP6384090B2 (ja) 管理システムとその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eeks Bridging the Staff Digital Divide in the Library Workplace with EDIA
KR101582561B1 (ko) 디지털 참고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Albion et al. Mapping the digital practices of teacher educators: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in changing digital landscapes
Vergara et al. Preparing for and hosting virtual regulatory and accreditation site visits
Pătruţ et al. Social media and the new academic environment: Pedagogical challenges
JP6908855B2 (ja) 情報処理装置、処理方法、プログラム
Affandi et al. DEVELOPMENT OF THE MOBILE APPLICATION FOR FINAL YEAR PROJECT (FYP) MANAGEMENT SYSTEM
van Tassell et al. Navigating a Sudden Move to an All Remote (Online and Virtual) Study During the COVID-19 Global Pandemic
Cherniltsev et al. MODELING AN UPDATABLE STRUCTURE OF E-LEARNING SITE USING UNIFIED MODELING LANGUAGE
Veeranjaneyulu Restructuring LIS Education to Meet the Emerging Digital Library and Information Technology Environment
Abazi-Bexheti et al. In House Development of a Learning Content Management System Using Modular Approach
Fletcher Developing Best Practices for Qualtrics Administration
Abdullah et al. The impact of integrating modern technology in the law curriculum as an effective teaching strategy in higher education
Abazi-Bexheti LCMS: design, development and implementing exper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