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7985A - Vacuum cleaner including an electronic card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contact points - Google Patents

Vacuum cleaner including an electronic card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contact poi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7985A
KR20220137985A KR1020227031393A KR20227031393A KR20220137985A KR 20220137985 A KR20220137985 A KR 20220137985A KR 1020227031393 A KR1020227031393 A KR 1020227031393A KR 20227031393 A KR20227031393 A KR 20227031393A KR 20220137985 A KR20220137985 A KR 20220137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leaner
control device
user
activating
motor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13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느-마리 우자즈나
티에리 프뤼니에
에리크 푸브로
Original Assignee
세브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브 에스.아. filed Critical 세브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220137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798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91Mounting or coupling means for cyclonic chamber or dus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42Suction motors o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84Details of arrangements of batteries or their instal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2Handles for 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 팬이 수용되는 본체(3); 사용자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제어 부재(23); 사용자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활성화 부재(24); 및 제어 부재가 사용자에 의해 구동될 때 제1 작동 모드에 따라 모터 팬의 작동을 제어하고, 활성화 부재가 사용자에 의해 구동될 때 제2 작동 모드에 따라 모터 팬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제어 유닛(22)을 포함한다. 전자 제어 유닛(22)은 제1 접점 및 제2 접점이 구비된 전자 기판(25)을 포함하고, 제어 부재(23)는 제어 부재(23)가 사용자에 의해 구동될 때 제1 접점을 활성화하도록 구성되며, 활성화 부재(24)는 활성화 부재(24)가 사용자에 의해 구동될 때 제2 접점을 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3) in which the motor fan is accommodated; a control member 23 that can be actuated by a user; an activation member 24 that can be actuated by a user; and an electronic control configured to control operation of the motor fan according to the first operating mode when the control member is driven by the user, and control operation of the motor fan according to the second operating mode when the activating member is driven by the user. unit 22 . The electronic control unit 22 includes an electronic board 25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contacts, and the control member 23 is configured to activate the first contact when the control member 23 is actuated by a user. and the activating member 24 is configured to activate the second contact when the activating member 24 is actuated by a user.

Description

제1 및 제2 접점이 구비된 전자 카드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Vacuum cleaner including an electronic card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contact points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타일, 나무 조각 마루(parquet), 라미네이트, 카페트 또는 깔개일 수 있는 세정될 표면에 존재하는 작은 입자 크기의 먼지 및 폐기물을 흡입할 수 있게 하는 진공 청소기 분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vacuum cleaners making it possible to suck up dust and wastes of small particle size present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which may be, for example, a tile, a parquet, a laminate, a carpet or a rug.

알려진 방식으로 진공 청소기, 보다 상세하게 휴대용 진공 청소기는, 흡입 덕트; 흡입 덕트에 유체 연결된 폐기물 분리 디바이스; 흡입 덕트 및 폐기물 분리 디바이스를 통해 공기 유동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모터 팬을 포함하는 흡입 디바이스가 수용되는 본체; 파지 핸들; 파지 핸들 상에 배열되고 사용자에 의해 작동 가능한 제어 디바이스; 사용자에 의해 작동 가능한 활성화 디바이스; 및 제어 디바이스가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때 정상 작동 모드라고도 명명되는 제1 작동 모드에 따라 모터 팬의 작동을 제어하고, 활성화 디바이스가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때 개선된 작동 모드라고도 명명되는 제2 작동 모드에 따라 모터 팬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A vacuum cleaner, more particularly a portable vacuum cleaner, in a known manner comprises: a suction duct; a waste separation device fluidly connected to the suction duct; a body in which the suction device is housed, the body comprising a motor fan configured to create an air flow through the suction duct and the waste separation device; grip handle; a control device arranged on the grip handle and operable by a user; an activation device operable by a user;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fan according to a first operating mode, also called a normal operating mode, when the control device is operated by the user, and a second operating mode, also called an improved operating mode, when the activating device is operated by the user. and an electronic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operation of the motor fan according to

전자 제어 유닛은 보다 상세하게는 제2 작동 모드에서 모터 팬의 최대 회전 속도가 제1 작동 모드에서 모터 팬의 최대 회전 속도보다 빠르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일시적으로 진공 청소기에 증가된 흡입력을 제공하고자 할 때, 활성화 디바이스를 구동하기만 하면 된다. 이러한 증가된 흡입력은 세정될 표면에 부착된 큰 부스러기나 폐기물을 흡입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The electronic control unit is more particularly configured such that a maximum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fan in the second operating mode is higher than a maximum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fan in the first operating mode. Thus, when the user wants to temporarily provide an increased suction force to the vacuum cleaner, it is only necessary to actuate the activation device. This increased suction force can be useful for sucking in large debris or wastes adhering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공지된 방식으로, 전자 제어 유닛은, 제어 디바이스가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때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활성화되도록 구성된 제1 접점이 구비된 제1 전자 기판, 및 활성화 디바이스가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때 활성화 디바이스에 의해 활성화되도록 구성된 제2 접점이 구비된 제2 전자 기판을 포함한다. 제1 전자 기판은, 예를 들어 파지 핸들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전자 기판은, 예를 들어 본체 내에 배치될 수 있다.In a known manner, the electronic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a first electronic board provided with a first contact configured to be activated by the control device when the control device is actuated by the user, and to the activating device when the activating device is actuated by the user. and a second electronic board provided with a second contact configured to be activated by The first electronic board may be disposed, for example, within the gripping handle and the second electronic board may be disposed, for example, within the body.

전자 제어 유닛의 이러한 구성은 진공 청소기의 조립을 복잡하게 만들고, 진공 청소기의 제조 비용을 크게 증가시킨다.This configuration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complicates the assembly of the vacuum cleaner and greatly increases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ameliorate all or some of these disadvantages.

본 발명의 기저에 있는 기술적 과제는 특히 종래 기술의 진공 청소기에 비교하여 더 쉬운 조립을 가지면서 간단하고 경제적인 구조의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구성된다.The technical problem underlying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in particular in providing a vacuum cleaner of a simple and economical construction while having an easier assembly compared to vacuum cleaners of the prior art.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진공 청소기는, 흡입 덕트; 흡입 덕트에 유체 연결된 폐기물 분리 디바이스; 흡입 덕트 및 폐기물 분리 디바이스를 통해 공기 유동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모터 팬을 포함하는 흡입 디바이스가 수용되는 본체; 파지 핸들; 사용자가 작동될 수 있고 제1 파지부를 포함하는 제어 디바이스;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고 제2 파지부를 포함하는 활성화 디바이스로서, 제2 파지부는 제1 파지부로부터 일정 거리에 위치되고 제1 및 제2 파지부는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한, 활성화 디바이스; 및 제어 디바이스가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때 제1 작동 모드에 따라 모터 팬의 작동을 제어하고 활성화 디바이스가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때 제2 작동 모드에 따라 모터 팬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전자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전자 제어 유닛은 제2 작동 모드에서 모터 팬의 최대 회전 속도가 제1 작동 모드에서 모터 팬의 최대 회전 속도보다 빠르도록 구성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the vacuum cleaner comprising: a suction duct; a waste separation device fluidly connected to the suction duct; a body in which the suction device is housed, the body comprising a motor fan configured to create an air flow through the suction duct and the waste separation device; grip handle; a control device operable by a user and comprising a first gripping portion; an activation device actuated by a user and comprising a second gripping portion, wherein the second gripping portion is positioned at a distance from the first gripping por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portions are movable independently of one another; and an electronic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operation of the motor fan according to the first operating mode when the control device is actuated by the user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tor fan according to the second operating mode when the activating device is actuated by the user. and the electronic control unit is configured such that a maximum rotation speed of the motor fan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is higher than a maximum rotation speed of the motor fan in the first operation mode.

전자 제어 유닛은 제1 접점 및 제2 접점이 구비된 전자 기판을 포함하고, 제어 디바이스는 제어 디바이스가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때 제1 접점을 활성화하도록 구성되며, 활성화 디바이스는 활성화 디바이스가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때 제2 접점을 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The electronic control unit includes an electronic board provided with a first contact and a second contact, the control device is configured to activate the first contact when the control device is actuated by a user, and the activating devic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activating device is activated by the user. configured to activate the second contact when actuated.

동일한 전자 기판 상에 제1 및 제2 접점을 배열하면 전자 제어 유닛의 제조 비용이 절감되고, 또한 전자 제어 유닛의 조립, 따라서 진공 청소기의 조립을 단순화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접점의 이러한 구성은 진공 청소기의 제조 비용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Arranging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points on the same electronic substrate reduces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and also simplifies the assembly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and thus the assembly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ly, this configu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makes it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vacuum cleaner.

진공 청소기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다음 특징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가질 수 있다.The vacuum cleaner may further hav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features, alone or in combin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공 청소기는 제1 작동 모드에서 모터 팬에 전달되는 최대 전력 레벨이 제2 작동 모드에서 모터 팬에 전달되는 최대 전력 레벨보다 더 작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vacuum cleaner is configured such that the maximum power level delivered to the motor fan in the first mode of operation is less than the maximum power level delivered to the motor fan in the second mode of oper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디바이스는 파지 핸들 상에 배열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control device is arranged on the gripping hand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활성화 디바이스는 제어 디바이스 옆에 배열된다. 활성화 디바이스의 이러한 배열은 사용자가 한 손가락으로 모터 팬의 제2 작동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사용자가 활성화 디바이스에 보다 직관적으로 접근할 수 있게 하는데, 진공 청소기를 볼 필요가 없고 및/또는 사용자의 손이 활성화 디바이스에 도달하여 작동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사용자가 모터 팬의 제2 작동 모드를 쉽고 빠르게, 그리고 따라서 인체 공학적이고 직관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게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activating device is arranged next to the control device. This arrangement of the activating device allows the user to activate the second operating mode of the motor fan with one finger, and also allows the user to access the activating device more intuitively, without the need to look at the vacuum cleaner and/or This is because the user's hand does not need to reach and actuate the activation device. Thus,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enables the user to activate the second operating mode of the motor fan quickly and easily and thus ergonomically and intuitive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디바이스 및 활성화 디바이스는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control device and the activating device are mounted rotatably about a first axis of rotation and a second axis of rotation respective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회전축은 실질적으로 평행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axes of rotation are substantially paralle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활성화 디바이스의 제2 회전축은 파지 핸들의 중앙 길이방향 축에 대해 제어 디바이스의 제1 회전축 전방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서, 제어 디바이스의 제1 회전축은 활성화 디바이스의 제2 회전축과 파지 핸들의 중앙 길이방향 축 사이에 배열된다. 이러한 활성화 디바이스 및 제어 디바이스의 배열은 활성화 디바이스 및 제어 디바이스의 부품의 이동 경로를 진공 청소기의 케이싱 내부로 제한하고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증가된 콤팩트성을 보장할 수 있게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second axis of rotation of the activating device is arranged in front of the first axis of rotation of the control devic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longitudinal axis of the gripping handle. In other words, the first axis of rotation of the control device is arranged between the second axis of rotation of the activating device and the central longitudinal axis of the gripping handle. This arrangement of the activating device and the control device makes it possible to limit the movement path of the activating device and the parts of the control device to the inside of the casing of the vacuum cleaner and to ensure increased compactness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디바이스는 제1 회전 진폭에 따라 제1 회전축 둘레에서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활성화 디바이스는 제2 회전 진폭에 따라 제2 회전축 둘레에서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제1 회전 진폭과 제2 회전 진폭 사이의 각도 차이는 5°이하, 바람직하게는 2°이하이다. 따라서, 제어 디바이스와 활성화 디바이스의 이동 경로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이는 사용자의 경험을 개선하고 따라서 인체 공학적 이점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control device is mounted rotatably about a first axis of rotation according to a first amplitude of rotation, the activating device is mounted rotatably about a second axis of rotation according to a second amplitude of rotation, and , the angular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otation amplitude and the second rotation amplitude is 5° or less, preferably 2° or less. Accordingly, the travel paths of the controlling device and the activating device are substantially the same, which improves the user's experience and thus provides an ergonomic advanta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회전 진폭 각각은 2 내지 6°이고, 예를 들어 약 4°이다. 제어 디바이스와 활성화 디바이스의 이러한 구성은 진공 청소기의 내부 크기를 제한하고, 따라서 진공 청소기의 외부 크기를 제한한다. 실제로, 회전 진폭이 과도하게 크면 내부 디바이스의 이동 경로를 크게 만들어, 더 많은 내부 공간이 제공되어야 하므로 더 큰 본체를 초래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amplitudes is between 2 and 6°, for example about 4°. This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device and the activating device limits the internal size of the vacuum cleaner and thus the external size of the vacuum cleaner. In practice, an excessively large rotational amplitude makes the movement path of the internal device large, resulting in a larger body since more internal space must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디바이스 및 활성화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접점과 제2 접점 중에 각각의 접점과 협력하도록 구성된 복귀 아암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control device and the activating device comprises a return arm configured to cooperate with a respective one of the first contact and the second cont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활성화 디바이스는 복귀 아암을 포함하고, 복귀 아암은 제2 접점과 협력하도록 구성된 지지 부분 및 개방 통로를 획정하는 천공된 중간 부분을 포함하며, 제어 디바이스는 제어 디바이스가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때 개방 통로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유리하게는, 천공된 중간 부분은 지지 부분을 제2 파지부에 연결한다. 이러한 구성은 제어 및 활성화 디바이스 레벨에서 진공 청소기의 내부 공간을 최적화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활성화 디바이스의 복귀 아암이 진공 청소기의 중앙 길이방향 평면에 대응하는 대칭 평면에 대해 대칭이 될 수 있게 한다. 이는 특히 제2 파지부로부터 복귀 아암을 통해 제2 접점으로 전달되는 힘이 복귀 아암에서 그리고 진공 청소기의 중앙 길이방향 평면 둘레에서 대칭적으로 분포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게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activating device comprises a return arm, the return arm comprising a support portion configured to cooperate with the second contact and a perforated intermediate portion defining an open passage, the control device comprising: configured to extend at least partially through the open passageway when actuated by a user. Advantageously, the perforated intermediate portion connects the support portion to the second gripping portion. This configuration makes it possible to optimize the interior space of the vacuum cleaner at the control and activation device level, while at the same time allowing the return arm of the activation device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a plane of symmetry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longitudinal plane of the vacuum cleaner. This makes it possible in particular to ensure that the force transmitted from the second gripping part via the return arm to the second contact point is distributed symmetrically in the return arm and around the central longitudinal plane of the vacuum clean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활성화 디바이스, 바람직하게는 제어 및 활성화 디바이스는, 진공 청소기가 장착될 때, 진공 청소기의 중앙 길이방향 평면에 대응하는 대칭 평면에 대해 대칭적인 기하형상을 갖는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activating device, preferably the control and activating device, when the vacuum cleaner is mounted, has a symmetrical geometry with respect to a plane of symmetry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longitudinal plane of the vacuum clean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천공된 중간 부분은 서로 이격된 2개의 측방향 분기부를 포함하고, 분기부 사이에 제어 디바이스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perforated intermediate part comprises two lateral branch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etween which the control device is at least partially arrang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디바이스의 제1 회전축은 천공된 중간 부분의 2개의 측방향 분기부 사이에 배열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first axis of rotation of the control device is arranged between two lateral branches of the perforated intermediate pa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귀 아암은 제1 및 제2 접점 중에 각각의 접촉에 대해 복귀 아암에 의해 인가되는 힘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탄성 변형 가능한 부분을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turn arm includes an elastically deformable portion configured to limit a force applied by the return arm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 변형 가능한 부분은 활성화 디바이스가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때 제2 접점에 대해 복귀 아암에 의해 인가되는 힘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탄성 변형 가능한 부분은 더 얇은 두께의 구역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elastically deformable portion is configured to limit the force applied by the return arm against the second contact point when the activation device is actuated by the user. For example, the elastically deformable portion may be formed by a region of a thinner thicknes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디바이스는 제1 접점과 협력하도록 구성된 추가 복귀 아암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control device comprises a further return arm configured to cooperate with the first cont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가 복귀 아암은 제어 디바이스가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때 제1 접점에 대해 추가 복귀 아암에 의해 인가되는 힘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탄성 변형 가능한 부분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탄성 변형 가능한 부분은 만곡된 구역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further return arm comprises an elastically deformable portion configured to limit the force applied by the further return arm against the first contact point when the control device is actuated by the user. For example, the elastically deformable portion may be formed by a curved reg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접점 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각각은 스위치, 및 예를 들어 마이크로스위치와 같은 전기 기계적 접점이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스위치는 "푸시 버튼" 유형 또는 "레버" 유형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t least one, preferably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is a switch and an electromechanical contact, for example a microswitch. For example, a microswitch may be of a “push button” type or a “lever” typ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접점 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각각은 여러 전도성 트랙, 예를 들어 2개의 전도성 트랙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디바이스 및 활성화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각각은 전도성 재료로 제조된 패드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요소를 포함하는 추가 접점 또는 각각의 접점에 제공된 전도성 트랙과 협력하도록 구성된 추가 전도성 트랙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t least one, preferably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comprises several conductive tracks, for example two conductive track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preferably each of the control device and the activating device, comprises at least one conductive element, such as a pad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 additional contact or conductive track provided on each contact; and an additional conductive track configured to cooper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제어 유닛은 활성화 디바이스가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는 한 제2 작동 모드에 따라서만 모터 팬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electronic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tor fan only according to the second operating mode as long as the activation device is operated by the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제어 유닛은 제어 디바이스가 사용자에 의해 다시 작동되지 않는 한 제1 작동 모드에 따라 모터 팬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전자 제어 유닛은 제어 디바이스가 사용자에 의해 해제될 때 제1 작동 모드로 모터 팬의 작동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tor fan according to the first operating mode unless the control device is operated again by the user. Accordingly, the electronic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maintain operation of the motor fan in the first operating mode when the control device is released by the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디바이스는 휴지 위치와 제어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제1 구동력이 사용자에 의해 제어 디바이스에 인가될 때 제어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며, 활성화 디바이스는 비활성화 위치와 활성화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제2 구동력이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 디바이스에 인가될 때 활성화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control device is movable between a rest position and a control position and is configured to be moved to the control position when a first driving force is applied to the control device by a user, wherein the activating device is a deactivated position and an activating position is movable between positions and configured to move to the activation position when a second driving force is applied to the activation device by a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구동력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된다. 제1 및 제2 구동력의 이러한 배향은, 제어 디바이스와 활성화 디바이스가 한 손가락에 의해 구동될 때, 손가락이 제어 디바이스를 구동하든 또는 활성화 디바이스를 구동하든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인체 공학적인 이점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forces are oriented in substantially the same direction. This orien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forces is an ergonomic advantage because when the control device and the activation device are actuated by one finger, the finger moves in substantially the same direction whether the finger drives the control device or the activation device. provid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디바이스 및 활성화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파지 핸들을 잡을 때 사용자의 동일한 손가락에 의해 구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어 디바이스와 활성화 디바이스의 이러한 구성은 인체 공학적인 이점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이 가야 하는 디바이스의 위치를 덜 찾게 함으로써 2개의 디바이스 사이를 빠르게 전환하게 할 수 있다. 실제로, 예를 들어 활성화 디바이스를 활성화하기 위해, 손가락, 예를 들어 검지는 제어 디바이스의 위치에 대응하는 기준 위치로부터 활성화 디바이스로 가기 위해 이동할 것이다. 이 기준 위치는 변하지 않아, 사용자가 활성화 디바이스를 구동하기 위한 제스처의 반복성을 보장한다. 손가락을 제어 디바이스로 복귀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control device and the activation device are configured to be actuated by the same finger of the user when the user holds the grip handle. This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device and the activation device can provide ergonomic advantages, allowing the user to quickly switch between the two devices by less locating the device where the finger should go. In practice, for example to activate the activating device, a finger, eg the index finger, will move to go to the activating device from a referenc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controlling device. This reference position does not change, ensuring repeatability of the gesture for the user to actuate the activation device. The same applies when returning the finger to the control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디바이스 및 활성화 디바이스는 각각 잡아당김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된다. 제어 디바이스와 활성화 디바이스의 이러한 구성은 잡아당기는 구동이 푸시 구동보다 더 쉽기 때문에 인체 공학적인 이점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control device and the activating device are each configured to be actuated by the user by pulling. This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device and the activation device provides an ergonomic advantage because the pull actuation is easier than the push actu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디바이스는 파지 핸들을 향해 제어 디바이스를 잡아당김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되고, 및/또는 활성화 디바이스는 파지 핸들을 향해 활성화 디바이스를 잡아당김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control device is configured to be actuated by the user by pulling the control device towards the gripping handle, and/or the activating device is actuated by the user by pulling the activation device towards the gripping handle. configured to b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공 청소기는 휴지 위치를 향해 제어 디바이스를 편향시키도록 구성된 편향 요소, 및 활성화 디바이스를 비활성화 위치를 향해 편향시키도록 구성된 편향 디바이스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 vacuum cleaner comprises a biasing element configured to bias the control device towards the rest position, and a biasing device configured to bias the activating device towards the deactivated posi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편향 요소는 제어 디바이스 상에 제공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탭에 의해 형성된다. 예를 들어, 탄성 변형 가능한 탭은 본체에 대해 놓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탄성 변형 가능한 탭은 제1 파지부로부터 연장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biasing element is formed by an elastically deformable tab provided on the control device. For example, the elastically deformable tab may be configured to rest against the body. Advantageously, the elastically deformable tab extends from the first gripping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편향 디바이스는 편향 스프링에 의해 형성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biasing device is formed by a biasing spr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활성화 디바이스의 복귀 아암은 편향 스프링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수용 하우징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return arm of the activating device comprises a receiving housing in which the biasing spring is at least partially receiv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디바이스 및 활성화 디바이스는 흡입 덕트의 길이방향 축 및 파지 핸들의 중앙 길이방향 축에 의해 획정되는 기준 평면에 실질적으로 위치된다. 따라서, 제어 디바이스와 활성화 디바이스는 진공 청소기의 중앙에 위치되어, 사용자가 왼손과 오른손 모두 하나의 손가락으로 작동하게 한다. 따라서, 활성화 디바이스의 이러한 배열은 사용자가 오른손잡이 이든 왼손잡이 이든 한 손가락으로 모터 팬의 제1 및 제2 작동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게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control device and the activating device are positioned substantially in a reference plane defined by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uction duct and the central longitudinal axis of the gripping handle. Thus, the control device and the activation device ar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vacuum cleaner, allowing the user to operate both the left and right hands with one finger. Thus, this arrangement of the activating device allows the user, whether right-handed or left-handed, to activate the first and second operating modes of the motor fan with one fing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준 평면이 수직이고 흡입 덕트의 길이방향 축이 수평일 때 제1 및 제2 접점은 서로 아래위로 수직으로 오프셋된다. 제1 및 제2 접점의 이러한 배열은 제1 및 제2 파지부로부터 제1 및 제2 접점까지 제어 및 활성화 디바이스의 대칭을 획득할 수 있게 하여, 오른손잡이 또는 왼손잡이에 의해 진공이 사용될 수 있는 동시에, 제1 및 제2 파지부에 인가되는 힘을 진공 청소기의 중앙 길이방향 평면 둘레에 대칭적으로 분포된 제1 및 제2 접점으로 전달하는 것을 보장하여, 활성화 및 제어 구성요소의 수명을 증가시킨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points are vertically offset from each other up and down when the reference plane is vertical and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uction duct is horizontal. This arrang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makes it possible to obtain a symmetry of the control and activation device from the first and second grippers to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so that the vacuum can be used by right-handed or left-handed people at the same time. , ensure that the force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grippers is transmit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symmetrically distributed around the central longitudinal plane of the vacuum cleaner, increasing the life of the activation and control components.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준 평면은 진공 청소기의 중앙 길이방향 평면을 형성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reference plane forms a central longitudinal plane of the vacuum clean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디바이스는 파지 핸들의 상부 부분에 위치된다. 제어 디바이스의 이러한 배열은, 검지로 제어 디바이스 및 활성화 디바이스의 구동을 허용하기 때문에, 인체 공학적인 이점을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control device is loc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gripping handle. This arrangement of the control device provides an ergonomic advantage, as it allows actuation of the control device and the activation device with the index fing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지 핸들의 중앙 길이방향 축은 흡입 덕트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틸트되어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central longitudinal axis of the gripping handle is tilte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uction du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파지부 및 제2 파지부는 파지 핸들의 중앙 길이방향 축에 직교하는 동일한 평면에 의해 절단되도록 구성된다. 제1 및 제2 파지부의 이러한 구성은, 활성화 디바이스가 제어 디바이스를 구동할 수 있는 사용자의 손가락(검지)의 해부학적 연장 구역에 유지되기 때문에, 활성화 디바이스를 구동시키려는 사용자가 활성화 디바이스에 용이하고 인체 공학적으로 접근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흡입 도관의 길이방향 축에 대한 파지 핸들의 틸트와 조합된 제1 및 제2 파지부의 이러한 구성은, 제어 및 활성화 디바이스가 자연스럽게 접근 가능하기 때문에, 제어 디바이스, 활성화 디바이스, 및 파지 핸들의 파지 구역의 매우 인체 공학적인 배열을 제공한다. 그 결과,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가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gripping portion and the second gripping portion are configured to be cut by the same plane orthogonal to the central longitudinal axis of the gripping handle. This configu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portions makes it easy for a user to drive the activation device and to the activation device because the activation device is held in the region of anatomical extension of the user's finger (index finger) capable of driving the control device. Make it ergonomically accessible. Also, this configu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grippers in combination with the tilt of the gripping handle relative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uction conduit allows for the control and activation of the control device, the activation device, and the gripping handle to be naturally accessible. It provides a very ergonomic arrangement of the gripping area. As a result, the user's convenience is increa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디바이스 및 활성화 디바이스는 모터 팬이 수용되는 본체에 가깝게 그 아래에 위치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control device and the activating device are located close to and below the body in which the motor fan is hou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공 청소기는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가 수용되는 배터리 하우징을 포함하고, 파지 핸들은 배터리 하우징과 본체 사이에서 연장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cuum cleaner includes a battery housing in which a rechargeable battery is received, and a gripping handle extends between the battery housing and the bod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기판은 파지 핸들에 배열된다. 전자 기판의 이러한 배열은, 특히 흡입 디바이스를 수용하는 본체와 배터리 하우징 사이에 파지 핸들이 위치될 때 진공 청소기의 내부 공간을 최적화할 수 있게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electronic substrate is arranged on the gripping handle. This arrangement of the electronic board makes it possible to optimize the interior space of the vacuum cleaner, especially when the gripping handle is positioned between the battery housing and the body housing the suction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활성화 디바이스는 본체와 본체에 연결되고 파지 핸들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지지부의 교차점에 실질적으로 배열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activating device is arranged substantially at the intersection of the body and the support connected to the body an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gripping hand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는 본체와 배터리 하우징 사이에서 연장되고, 본체를 배터리 하우징에 연결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ortion extends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battery housing, and connects the main body to the battery hous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활성화 디바이스는 파지 구멍을 포함한다. 활성화 디바이스의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에 의한 활성화 디바이스의 구동을 용이하게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증가된 인체 공학적인 사용을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activating device comprises a gripping hole. This configuration of the activation device facilitates actuation of the activation device by the user, providing increased ergonomic use to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지 구멍은 타원형이다. 파지 구멍의 이러한 구성은, 활성화 디바이스가 손가락을 삽입하기 위해 파지 구멍의 위치를 정확하게 찾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활성화 디바이스를 조작하는 것을 훨씬 더 쉽게 만든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ping hole is elliptical. This configuration of the gripping hole makes it much easier for the user to manipulate the activation device since the activation device does not need to accurately locate the gripping hole to insert a fing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공 청소기는 제어 디바이스의 이동 경로를 제어 위치로 제한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파지 핸들 상에 제공되는 제1 정지부, 및 활성화 디바이스의 이동 경로를 활성화 위치로 제한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본체에 연결된 지지부 상에 제공되는 제2 정지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vacuum cleaner comprises a first stop, for example provided on a gripping handle, configured to limit the path of movement of the control device to the control position, and to limit the path of movement of the activating device to the activation position. and a second stop, for example provided on a support connected to the body, configured to do s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파지부와 제2 파지부는, 제어 디바이스와 활성화 디바이스가 각각 휴지 위치와 비활성화 위치를 차지할 때 6 cm 미만, 유리하게는 4 cm 미만의 거리만큼 서로 이격되어 있다. 그러한 거리는, 하나의 제어로부터 다른 제어로 이동할 때 파지 핸들을 해제하지 않고 그리고 손가락을 불편한 위치로 뻗지 않고도 제어 디바이스로부터 활성화 디바이스로 또는 그 반대로 전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first gripping part and the second gripping par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of less than 6 cm, advantageously less than 4 cm, when the control device and the activating device respectively occupy the rest position and the inactive position. have. Such a distance makes it possible to switch from a controlling device to an activating device and vice versa when moving from one control to another without releasing the gripping handle and without extending the finger to an uncomfortable posi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디바이스는 제어 트리거 또는 제어 버튼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control device is a control trigger or a control butt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활성화 디바이스는 활성화 트리거 또는 활성화 버튼이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activation device is an activation trigger or an activation butt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폐기물 분리 디바이스는 제1 연장축을 따라 연장되고 모터 팬은 제1 연장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2 연장축을 따라 연장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te separation device extends along a first axis of extension and the motor fan extends along a second axis of extension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first axis of extens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폐기물 분리 디바이스는 사이클론이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waste separation device is a cyclon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 디바이스는 모터 팬이 배치되는 모터 케이싱을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suction device comprises a motor casing in which a motor fan is arrang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공 청소기는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이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cuum cleaner is a handheld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이 진공 청소기의 일 실시예를 비제한적인 예로서 도시하는 첨부된 개략도를 참조하여 아래의 설명의 도움으로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의 제어 디바이스, 활성화 디바이스 및 전자 제어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의 부분 절취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세부 사항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1의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의 부분 절취 사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etter understood with the aid of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by way of non-limiting example one embodiment of this vacuum cleaner.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andheld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the handheld vacuum cleaner of FIG. 1 ;
Fig.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handheld vacuum cleaner of Fig. 1;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rol device, an activating device and an electronic control unit of the handheld vacuum cleaner of FIG. 1 ;
FIG. 5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handheld vacuum cleaner of FIG. 1 ;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details of Fig. 3;
FIG. 7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handheld vacuum cleaner of FIG. 1 ;

도 1 내지 도 7은 휴대용이고, 본체(3), 본체(3)에 연결된 파지 핸들(4), 본체(3) 상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폐기물 분리 디바이스(5), 및 본체(3) 내에 수용된 흡입 디바이스(6)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2)를 도시한다.1 to 7 are portable and include a body 3 , a gripping handle 4 connected to the body 3 , a waste separation device 5 removably mounted on the body 3 , and within the body 3 . It shows a vacuum cleaner 2 comprising a suction device 6 housed therein.

폐기물 분리 디바이스(5)는 유리하게는 사이클론이고, 특히 폐기물 저장 용기(7), 및 폐기물 저장 용기(7) 내에 수용된 분리기 필터(도면에서 보이지 않음)를 포함한다. 폐기물 저장 용기(7)는, 특히 공기 입구 개구 및 공기 출구 개구를 갖는다.The waste separation device 5 is advantageously a cyclone and comprises in particular a waste storage container 7 and a separator filter (not visible in the figure) housed in the waste storage container 7 . The waste storage container 7 has in particular an air inlet opening and an air outlet opening.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디바이스(6)는 모터 케이싱(12) 및 모터 케이싱(12) 내에 배열된 모터 팬(13)을 포함한다. 공지된 방식으로, 모터 팬(13)은 팬(13.1) 및 팬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전기 모터(13.2)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7 , the suction device 6 comprises a motor casing 12 and a motor fan 13 arranged in the motor casing 12 . In a known manner, the motor fan 13 comprises a fan 13.1 and an electric motor 13.2 configured to rotate the fan.

흡입 디바이스(6)는 유리하게는 모터 케이싱(12) 상에 제공되는 공기 입구 포트(14) 및 하나 이상의 공기 배출 포트(15)를 더 포함한다. 흡입 디바이스(6)의 공기 입구 포트(14)는 폐기물 분리 디바이스(5)의 공기 출구 개구에 직접 연결되거나 연결 파이프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The suction device 6 advantageously further comprises an air inlet port 14 and at least one air outlet port 15 provided on the motor casing 12 . The air inlet port 14 of the suction device 6 may be connected directly to the air outlet opening of the waste separation device 5 or may be connected via a connecting pipe.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폐기물 분리 디바이스(5)는 제1 연장축(A)을 따라 연장되고, 모터 팬(13)은 제1 연장축(A)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제1 연장축(A)과 혼동될 수 있는 제2 연장축(B)을 따라 연장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figure, the waste separation device 5 extends along a first axis of extension A, and the motor fan 13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first axis of extension A and extends along the first axis of extension. It extends along a second extension axis (B), which may be confused with (A).

진공 청소기(2)는 모터 팬(13)에 전기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16)를 더 포함한다.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16)는 바람직하게는 파지 핸들(4), 더 구체적으로 파지 핸들(4)의 하부 부분에 연결된 배터리 하우징(17) 내에 수용된다. 유리하게는, 진공 청소기(2)는 파지 핸들(4)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배터리 하우징(17)을 본체(3)에 연결하는 지지부(18)를 포함한다.The vacuum cleaner 2 further comprises a rechargeable battery 16 configured to electrically power the motor fan 13 . The rechargeable battery 16 is preferably housed in a battery housing 17 connected to the gripping handle 4 , more particularly to the lower part of the gripping handle 4 . Advantageously, the vacuum cleaner 2 comprises a support 18 extending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gripping handle 4 and connecting the battery housing 17 to the body 3 .

진공 청소기(2)는 폐기물 분리 디바이스(5)의 공기 입구 개구가 유체 연결되는 흡입 덕트(19)를 더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흡입 덕트(19)는 제1 및 제2 연장축(A, B)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모터 팬(13)은 더 구체적으로 흡입 덕트(19) 및 폐기물 분리 디바이스(5)를 통해 공기 유동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The vacuum cleaner 2 further comprises a suction duct 19 to which the air inlet opening of the waste separation device 5 is fluidly connected. Advantageously, the suction duct 19 extend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first and second axes of extension A, B. The motor fan 13 is more specifically configured to create an air flow through the suction duct 19 and the waste separation device 5 .

진공 청소기(2)는 또한 흡입 덕트(19)에 유체 연결되고 흡입 튜브 노즐이 연결될 수 있는 밴드 커플러(21)를 포함하며, 이 밴드 커플러는 세정될 바닥을 향해 배향되도록 의도된 밑창이 제공된 흡입 헤드에 자체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vacuum cleaner 2 also comprises a band coupler 21 fluidly connected to the suction duct 19 and to which a suction tube nozzle can be connected, the band coupler being a suction head provided with a sole intended to be oriented towards the floor to be cleaned. can be connected to itself.

진공 청소기(2)는 전자 제어 유닛(22)을 더 포함하고, 전자 제어 유닛은 모터 팬(13)의 작동을, 정상 작동 모드로도 공지된, 제1 작동 모드 - 모터 팬(13)이 제1 회전 속도로 회전 구동됨 - 에 따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전자 제어 유닛은 모터 팬(13)의 작동을, 개선된 작동 모드로도 공지된, 제2 작동 모드 - 모터 팬(13)이 제1 회전 속도보다 빠른 제2 회전 속도로 회전 구동됨 - 에 따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2 작동 모드에 따르면, 흡입 덕트(19)에서 생성되는 부압은 모터 팬(13)이 제1 작동 모드에 따라 작동할 때의 흡입 덕트에서 생성되는 부압보다 크다.The vacuum cleaner 2 further comprises an electronic control unit 22 , the electronic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fan 13 , a first mode of operation, also known as a normal operating mode - the motor fan 13 . driven rotationally at one rotational speed, wherein the electronic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otor fan 13 according to a second mode of operation, also known as an improved mode of operation, wherein the motor fan 13 is first rotationally driven at a second rotational speed greater than the rotational speed. Thus, according to the second operating mode,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ed in the suction duct 19 is greater than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ed in the suction duct when the motor fan 13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first operating mode.

전술한 2개의 작동 모드에 따라 모터 팬(13)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진공 청소기(2)는 유리하게는 파지 핸들(4)의 상부 부분 상에 배열되고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제어 디바이스(23), 및 제어 디바이스(23)의 반대쪽에 배열되고 또한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활성화 디바이스(24)를 포함한다. 제어 디바이스(23)는, 예를 들어 제어 트리거 또는 제어 버튼일 수 있고, 활성화 디바이스(24)는, 예를 들어 활성화 트리거 또는 활성화 버튼일 수 있다.In order to be a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tor fan 13 according to the two operating modes described above, the vacuum cleaner 2 is advantageously arranged on the upper part of the gripping handle 4 and can be operated by the user. a control device 23 , which is located opposite to the control device 23 , and an activation device 24 which is also actuable by a user. The control device 23 can be, for example, a control trigger or a control button, and the activation device 24 can be, for example, an activation trigger or an activation button.

제어 디바이스(23)는 휴지 위치와 제어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제1 구동력이 사용자에 의해 제어 디바이스(23)에 인가될 때 제어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며, 활성화 디바이스(24)는 비활성화 위치와 활성화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제2 구동력이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 디바이스(24)에 인가될 때 활성화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The control device 23 is movable between the rest position and the control position and is configured to be moved to the control position when a first driving force is applied to the control device 23 by a user, the activating device 24 activating the inactive position and the activating position. It is movable between positions and is configured to move to the activation position when a second driving force is applied to the activation device 24 by a user.

전자 제어 유닛(22)은 더 구체적으로, 제어 디바이스(23)가 사용자에 의해 구동될 때, 즉, 제어 위치로 이동될 때 제1 작동 모드에 따라 모터 팬(13)의 작동을 제어하고, 활성화 디바이스(24)가 사용자에 의해 구동될 때, 즉, 활성화 위치로 이동될 때 제2 작동 모드에 따라 모터 팬(13)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The electronic control unit 22 more specifical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otor fan 13 according to the first operating mode when the control device 23 is driven by the user, ie when it is moved to the control position, and activates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tor fan 13 according to the second mode of operation when the device 24 is actuated by the user, ie when moved to the activated position.

도면에 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디바이스(23) 및 활성화 디바이스(24)는 사용자가 파지 핸들(4)을 잡을 때 사용자의 동일한 손가락에 의해 구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유리하게는, 제어 디바이스(23)는 파지 핸들(4)을 향해 제어 디바이스(23)를 잡아당김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되고, 활성화 디바이스(24)는 파지 핸들(4)을 향해 활성화 디바이스(24)를 잡아당김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어 디바이스(23) 및 활성화 디바이스(24)를 구동시키기 위해 각각 인가되는 제1 및 제2 구동력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presented in the figure, the control device 23 and the activating device 24 are configured to be actuated by the same finger of the user when the user grips the gripping handle 4 . Advantageously, the control device 23 is configured to be actuated by a user by pulling the control device 23 towards the gripping handle 4 , and the activating device 24 is directed towards the gripping handle 4 ( 24) is configured to be actuated by the user by pulling.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forces respectively applied to drive the control device 23 and the activating device 24 are oriented in substantially the same direction.

도면에 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디바이스(23) 및 활성화 디바이스(24)는 실질적으로 흡입 덕트(19)의 길이방향 축(C) 및 파지 핸들(4)의 중앙 길이방향 축(D)에 의해 획정되는 기준 평면에 위치되며, 이는 예를 들어 진공 청소기(2)의 중앙 길이방향 평면을 형성한다. 유리하게는, 제어 디바이스(23) 및 활성화 디바이스(24)는 모터 팬(13)이 수용되는 본체(3)에 가깝게 그 아래에 위치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presented in the figure, the control device 23 and the activating device 24 are substantially by way of a longitudinal axis C of the suction duct 19 and a central longitudinal axis D of the gripping handle 4 . It is located in a defined reference plane, which forms for example a central longitudinal plane of the vacuum cleaner 2 . Advantageously, the control device 23 and the activating device 24 are located close to and below the body 3 in which the motor fan 13 is accommodated.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활성화 디바이스(24)는 실질적으로 본체(3)와 배터리 하우징(17)을 본체(3)에 연결하는 지지부(18)의 교차점에 배열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figure, the activating device 24 is arranged substantially at the intersection of the body 3 and the support 18 connecting the battery housing 17 to the body 3 .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디바이스(23)는 제1 회전 진폭에 따라 제1 회전축(R1) 둘레에서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활성화 디바이스(24)는 제2 회전 진폭에 따라 제2 회전축(R2) 둘레에서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제1 및 제2 회전축(R1, R2)은 평행하고, 활성화 디바이스(24)의 제2 회전축은 파지 핸들(4)의 중앙 길이방향 축(D)에 대해 제어 디바이스(23)의 제1 회전축(R1) 전방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회전 진폭 각각은 2 내지 6°이고, 예를 들어 약 4°이며, 제1 회전 진폭과 제2 회전 진폭 사이의 각도 차이는 5°이하, 바람직하게는 2°이하이다.6 , the control device 23 is mounted rotatably movable about a first rotational axis R1 according to a first rotational amplitude and the activating device 24 is mounted on a second rotational axis R1 according to a second rotational amplitude. R2) It is mounted so as to be able to rotate around it. The first and second axes of rotation R1 , R2 are parallel and the second axis of rotation of the activating device 24 is the first axis of rotation of the control device 23 with respect to the central longitudinal axis D of the gripping handle 4 R1) is placed in fro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amplitudes is 2 to 6°, for example about 4°, and the angular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otation amplitude and the second rotation amplitude is 5° or less; Preferably it is 2 degrees or less.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제어 유닛(22)은 파지 핸들(4)에 배열되고 제1 접점(26) 및 제2 접점(27)이 장착된 전자 기판(25)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접점(26, 27)은, 기준 평면이 수직이고 흡입 덕트(19)의 길이방향 축(C)이 수평일 때 서로 아래위로 수직으로 오프셋된다. 제어 디바이스(23)는, 제어 디바이스(23)가 사용자에 의해 구동될 때, 즉, 제어 위치로 이동될 때 제1 접점(26)을 활성화하도록 구성되고, 활성화 디바이스(24)는, 활성화 디바이스(24)가 사용자에 의해 구동될 때, 즉, 활성화 위치로 이동될 때 제2 접점(27)을 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 제1 및 제2 접점(26, 27) 각각은 스위치, 예를 들어 마이크로스위치와 같은 전기 기계적 접점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figure, the electronic control unit 22 comprises an electronic board 25 arranged on the gripping handle 4 and mounted with a first contact 26 and a second contact 27 .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points 26 , 27 are vertically offset from each other up and down when the reference plane is vertical and the longitudinal axis C of the suction duct 19 is horizontal. The control device 23 is configured to activate the first contact 26 when the control device 23 is actuated by the user, ie when it is moved to the control position, the activating device 24 activating the activating device ( 24) is configured to activate the second contact 27 when actuated by the user, ie when moved to the activated positio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26 , 27 may be an electromechanical contact such as a switch, for example a microswitch.

전자 제어 유닛(22)은, 제1 접점(26)이 활성화될 때, 제1 작동 모드로 모터 팬(13)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신호를 모터 팬(13)에 송신하고, 제2 접점(27)이 활성화될 때 제2 작동 모드로 모터 팬(13)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활성화 신호를 모터 팬(13)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유리하게는, 전자 제어 유닛(22)은, 활성화 디바이스(24)가 사용자에 의해 구동되는 한, 즉, 제2 접점(27)이 활성화 디바이스(24)에 의해 활성화된 상태로 유지되는 한 제2 작동 모드에 따라서만 모터 팬(13)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제어 디바이스(23)가 사용자에 의해 다시 구동될 때까지, 즉, 제1 접점(26)이 활성화 디바이스(24)에 의해 다시 활성화될 때까지 제1 작동 모드에 따라 모터 팬(13)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전자 제어 유닛(22)은 제어 디바이스(23)가 사용자에 의해 해제될 때 모터 팬(13)의 작동을 제1 작동 모드로 유지하도록 구성된다.The electronic control unit 22 sends to the motor fan 13 a control signal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tor fan 13 in the first operating mode, when the first contact 26 is activated, and the second contact and transmit to the motor fan 13 an activation signal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tor fan 13 in the second operating mode when 27 is activated. Advantageously, the electronic control unit 22 controls the second as long as the activating device 24 is actuated by the user, ie as long as the second contact 27 remains activated by the activating device 24 . It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tor fan 13 only according to the operating mode, until the control device 23 is actuated again by the user, ie the first contact 26 is again activated by the activation device 24 .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tor fan 13 according to the first operating mode until activated. Accordingly, the electronic control unit 22 is configured to maintain the operation of the motor fan 13 in the first operating mode when the control device 23 is released by the user.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디바이스(23)는 제1 파지부(28)를 포함하고 활성화 디바이스(24)는 제1 파지부(28)로부터 일정 거리에 위치되고 제1 파지부(28)와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한 제2 파지부(29)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파지부(28)와 제2 파지부(29)는, 제어 디바이스(23)와 활성화 디바이스(24)가 각각 휴지 위치와 비활성화 위치를 차지할 때 6 cm 미만, 유리하게는 4 cm 미만의 거리만큼 서로 이격되어 있다. 유리하게는, 제2 파지부(29)는, 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또는 임의의 다른 형상일 수 있는 파지 구멍(31)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 , the control device 23 comprises a first gripping part 28 and the activating device 24 is located at a distance from the first gripping part 28 and the first gripping part 28 . and a second gripping part 29 that is movabl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gripping part 28 and the second gripping part 29 are less than 6 cm when the control device 23 and the activating device 24 occupy the rest position and the inactive position, respectively. , advantageous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of less than 4 cm. Advantageously, the second gripping portion 29 comprises a gripping hole 31 , which may for example be circular, oval or any other shape.

유리하게는, 파지 핸들(4)의 중앙 길이방향 축(D)은 흡입 덕트의 길이방향 축(C)에 대해 틸트되고, 제1 파지부(28) 및 제2 파지부(29)는 파지 핸들(4)의 중앙 길이방향 축(D)에 직교하는 동일한 평면에 의해 절단되도록 구성된다.Advantageously, the central longitudinal axis D of the gripping handle 4 is tilte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C of the suction duct, the first gripping part 28 and the second gripping part 29 being the gripping handle It is configured to be cut by the same plane orthogonal to the central longitudinal axis D of (4).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활성화 디바이스(24)는 또한 제2 파지부(29)와 일체형이고 활성화 디바이스(24)가 사용자에 의해 구동될 때 제2 접점(27)과 협력하도록 구성된 복귀 아암(32)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복귀 아암(32)은, 세장형이고 제2 접점(27)과 협력하도록 구성된 지지 부분(33), 및 지지 부분(33)을 제2 파지부(29)에 연결하는 천공된 중간 부분(34)을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figure, the activating device 24 is also integral with the second gripping portion 29 and a return arm configured to cooperate with the second contact 27 when the activating device 24 is actuated by a user. (32). Advantageously, the return arm 32 has a support portion 33 which is elongated and configured to cooperate with the second contact point 27 , and a perforated intermediate connecting the support portion 33 to the second gripper portion 29 . part 34 .

복귀 아암(32)의 지지 부분(33)은 유리하게는 활성화 디바이스(24)가 사용자에 의해 구동될 때 복귀 아암(32)에 의해 제2 접점(27)에 대해 인가되는 힘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탄성 변형 가능한 부분(35)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변형 가능한 부분(35)은 더 얇은 두께의 구역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 33 of the return arm 32 is advantageously resilient configured to limit the force applied by the return arm 32 against the second contact point 27 when the activating device 24 is actuated by a user. It may include a deformable portion 35 . For example, the elastically deformable portion 35 may be formed by a region of a thinner thickness.

천공된 중간 부분(34)은 유리하게는 제어 디바이스(23)가 사용자에 의해 구동될 때 적어도 제어 디바이스(23)가 관통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개방 통로(36)를 한정한다. 예를 들어, 천공된 중간 부분(34)은, 서로 이격되고 제어 디바이스(23)의 제1 회전축(R1)이 사이에 배열되는 2개의 측방향 분기부(37)를 포함할 수 있다.The perforated intermediate portion 34 advantageously defines an open passage 36 through which at least the control device 23 extends when the control device 23 is actuated by a user. For example, the perforated intermediate part 34 can comprise two lateral branches 37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between which the first axis of rotation R1 of the control device 23 is arranged.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디바이스(23)는, 제1 파지부(28)와 일체형이고 제1 접점(26)과 협력하도록 구성된 추가 복귀 아암(38)을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figure, the control device 23 further comprises a further return arm 38 integral with the first gripping part 28 and configured to cooperate with the first contact point 26 .

유리하게는, 추가 편향 아암(38)은 액추에이터(23)가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때 제1 접점(26)에 대해 추가 편향 아암(38)에 의해 인가되는 힘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탄성 변형 가능한 부분(39)을 포함한다. 탄성 변형 가능한 부분(39)은, 예를 들어 만곡된 영역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Advantageously, the additional biasing arm 38 is an elastically deformable portion configured to limit the force applied by the additional biasing arm 38 against the first contact 26 when the actuator 23 is actuated by a user ( 39). The elastically deformable portion 39 can be formed, for example, by a curved region.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진공 청소기(2)는 제어 디바이스(23)의 이동 경로를 작동 위치로 제한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파지 핸들(4) 상에 제공되는 제1 정지부(41), 및 활성화 디바이스(24)의 이동 경로를 활성화 위치로 제한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본체(3)에 연결된 지지부(18) 상에 제공되는 제2 정지부(42)를 갖는다. 제1 및 제2 정지부(41, 42), 탄성 변형 가능한 부분(35) 및 탄성 변형 가능한 부분(39)의 존재는, 사용자가 제1 및 제2 파지부(28, 29)에 높은 구동력을 가하는 경우에도 전자 기판(25), 추가 복귀 아암(38) 및 복귀 아암(32)의 무결성이 유지되게 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figure, the vacuum cleaner 2 has a first stop 41 , for example provided on the gripping handle 4 , configured to limit the path of movement of the control device 23 to the operating position. , and a second stop 42 provided, for example, on a support 18 connected to the body 3 , configured to limit the path of movement of the activation device 24 to the activation position. The presence of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41 , 42 , the elastically deformable portion 35 and the elastically deformable portion 39 allows the user to apply a high driving force to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portions 28 , 29 . This allows the integrity of the electronic substrate 25 , the additional return arm 38 , and the return arm 32 to be maintained even when applied.

유리하게는, 진공 청소기(2)는 제어 디바이스(23)를 휴지 위치로 편향시키도록 구성된 편향 요소(43)와, 활성화 디바이스(24)를 비활성화 위치로 편향시키도록 구성된 편향 디바이스(44)를 더 포함한다.Advantageously, the vacuum cleaner 2 further comprises a biasing element 43 configured to bias the control device 23 to the rest position and a biasing device 44 configured to bias the activating device 24 to the inactive position. include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편향 요소(43)는, 제어 디바이스(23) 상에 제공되고 제어 디바이스(23)가 제어 위치로 이동될 때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된 탄성 변형 가능한 탭에 의해 형성된다. 탄성 변형 가능한 탭은, 예를 들어 제1 파지부(28)로부터 연장되고 본체(3) 또는 모터 케이싱(12)에 대해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figure, the biasing element 43 is formed by an elastically deformable tab provided on the control device 23 and configured to elastically deform when the control device 23 is moved to the control position. do. The elastically deformable tab may, for example, extend from the first gripping portion 28 and be configured to support against the body 3 or the motor casing 12 .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편향 디바이스(44)는 압축 스프링에 의해 형성되고, 활성화 디바이스(24)의 복귀 아암(32)은 압축 스프링이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수용 리세스(45)를 갖는다. 편향 디바이스(44)는, 예를 들어 한편으로는 수용 하우징(45)의 바닥 벽에 대해 지지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본체(3) 또는 모터 케이싱(12)에 대해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figure, the biasing device 44 is formed by a compression spring and the return arm 32 of the activating device 24 has a receiving recess 45 in which the compression spring is partially received. The biasing device 44 can be configured, for example, to be supported on the one hand against the bottom wall of the receiving housing 45 and on the other hand against the body 3 or the motor casing 12 .

진공 청소기(2)의 작동을 이제 설명한다. 모터 팬(13)이 전기적으로 전력을 받을 때, 모터 팬은 특히 폐기물 분리 디바이스(5)에 진공을 생성하여 공기 및 폐기물이 흡입 덕트(19)를 통해 흡입될 수 있게 한다. 그 후, 폐기물이 가득한 공기는 폐기물 분리 디바이스(5)의 공기 입구 개구를 통해 폐기물 저장 용기(7)로 진입하는데, 공기 입구 개구는, 예를 들어 폐기물 저장 용기(7) 내로 접선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가 회전되고 폐기물은 외측으로 원심 분리되어 폐기물 저장 용기(7)에 의해 수집된다.The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2 will now be described. When the motor fan 13 is electrically powered, it in particular creates a vacuum in the waste separation device 5 so that air and waste can be sucked in via the suction duct 19 . The waste-filled air then enters the waste storage container 7 through the air inlet opening of the waste separation device 5 , which is to be opened tangentially into the waste storage container 7 , for example. can Thus, the air is rotated and the waste is centrifuged outward and collected by the waste storage container 7 .

그 다음, 공기 스트림은 폐기물 분리 디바이스(5)의 공기 출구 개구, 흡입 디바이스(6)의 공기 입구 포트(14), 및 흡입 디바이스(6)의 공기 배출 포트(들)(15)를 통해 연속적으로 유동한다. 이어서, 공기 유동은 본체(3)에 제공된 공기 배출 개구(46)를 통해 본체로부터 빠져나간다.The air stream then continuously passes through the air outlet opening of the waste separation device 5 , the air inlet port 14 of the suction device 6 , and the air outlet port(s) 15 of the suction device 6 . move The air flow then exits from the body through an air outlet opening 46 provided in the body 3 .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접점(26, 27) 중 적어도 하나, 예를 들어 각각은 스크린 인쇄 또는 인쇄에 의해 획득될 수 있는 여러 전도체 트랙, 예를 들어 2개의 전도체 트랙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디바이스(23) 및 활성화 디바이스(24) 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각각은 전도성 재료로 제조된 패드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요소를 포함하는 추가 접점 또는 각각의 접점에 제공된 전도성 트랙과 협력하도록 구성된 추가 전도성 트랙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not shown in the figures, at least one, for example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26 , 27 can be obtained by screen printing or printing several conductor tracks, for example two conductors. Includes track.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t least one, preferably each, of the control device 23 and the activating device 24 comprises at least one conductive element, such as a pad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or each of the additional contacts. and an additional conductive track configured to cooperate with the conductive track provided on the contact.

물론, 본 발명은 설명 및 예시된 실시예에 결코 제한되지 않는데, 이 실시예가 단지 예로서 제공되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보호 분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특히 다양한 요소의 구성과 관련하여 또는 동등한 기술을 대체함으로써 여전히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in no way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illustrated, since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only. Modifications can still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field of protection of the invention, particularly with regard to the construction of various elements or by substituting equivalent techniques.

Claims (19)

진공 청소기(2)이며, 흡입 덕트(19); 흡입 덕트(19)에 유체 연결되는 폐기물 분리 디바이스(5); 흡입 덕트(19) 및 폐기물 분리 디바이스(5)를 통해 공기 유동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모터 팬(13)을 포함하는 흡입 디바이스(6)가 수용되는 본체(3); 파지 핸들(4);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고 제1 파지부(28)를 포함하는 제어 디바이스(23);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고 제2 파지부(29)를 포함하는 활성화 디바이스(24)로서, 제2 파지부(29)는 제1 파지부(28)로부터 일정 거리에 위치되고 제1 및 제2 파지부(28, 29)는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한, 활성화 디바이스(24); 및 제어 디바이스(23)가 사용자에 의해 구동될 때 제1 작동 모드로 모터 팬(13)의 작동을 제어하고 활성화 디바이스(24)가 사용자에 의해 구동될 때 제2 작동 모드로 모터 팬(13)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전자 제어 유닛(22)을 포함하고, 전자 제어 유닛(22)은 제2 작동 모드에서 모터 팬(13)의 최대 회전 속도가 제1 작동 모드에서 모터 팬(13)의 최대 회전 속도보다 빠르도록 구성되며, 전자 제어 유닛(22)은 제1 접점(26) 및 제2 접점(27)이 구비된 전자 기판(25)을 포함하고, 제어 디바이스(23)는 제어 디바이스(23)가 사용자에 의해 구동될 때 제1 접점(26)을 활성화하도록 구성되며, 활성화 디바이스(24)는 활성화 디바이스(24)가 사용자에 의해 구동될 때 제2 접점(27)을 활성화하도록 구성되는,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전자 기판(25)은 파지 핸들(4) 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2).a vacuum cleaner (2), comprising: a suction duct (19); a waste separation device (5) fluidly connected to the suction duct (19); a body (3) in which a suction device (6) is housed, which includes a suction duct (19) and a motor fan (13) configured to create an air flow through the waste separation device (5); grip handle (4); a control device 23 operable by a user and comprising a first gripping portion 28; Activating device 24 operable by a user and comprising a second gripping portion 29 , the second gripping portion 29 being positioned at a distance from the first gripping portion 28 and comprising first and second The gripping portions 28 , 29 include an activating device 24 , movable independently of one another;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fan 13 in the first operating mode when the control device 23 is driven by the user and the motor fan 13 in the second operating mode when the activating device 24 is driven by the user. an electronic control unit 22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22, wherein the maximum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fan 13 in the second operating mode is the maximum of the motor fan 13 in the first operating mode. configured to be faster than the rotational speed, the electronic control unit 22 comprising an electronic board 25 provided with a first contact 26 and a second contact 27 , the control device 23 including the control device 23 ) is configured to activate the first contact 26 when actuated by the user, and the activating device 24 is configured to activate the second contact 27 when the activating device 24 is actuated by the user. Vacuum cleaner (2),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onic substrate (25) is arranged in the gripping handle (4). 제1항에 있어서, 제어 디바이스(23)는 파지 핸들(4) 상에 배열되는, 진공 청소기(2).The vacuum cleaner (2)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device (23) is arranged on the grip handle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활성화 디바이스(24)는 제어 디바이스(23)의 반대쪽에 배열되는, 진공 청소기(2).3 . The vacuum cleaner ( 2 )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activating device ( 24 ) is arranged opposite the control device ( 23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디바이스(23) 및 활성화 디바이스(24)는 제1 회전축(R1) 및 제2 회전축(R2)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는, 진공 청소기(2).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the control device (23) and the activating device (24) are mounted rotatably about a first axis of rotation (R1) and a second axis of rotation (R2) respectively. vacuum cleaner (2). 제4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회전축(R1, R2)은 실질적으로 평행한, 진공 청소기(2).5. A vacuum cleaner (2)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axes of rotation (R1, R2) are substantially parallel.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디바이스(23) 및 활성화 디바이스(24)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및 제2 접점(26, 27) 중에 각각의 접점과 협력하도록 구성된 복귀 아암(32)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2).6. A return arm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at least one of the control device (23) and the activating device (24) is configured to cooperate with a respective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26, 27). A vacuum cleaner (2) comprising (32). 제6항에 있어서, 활성화 디바이스(24)는 복귀 아암(32)을 포함하고, 복귀 아암(32)은 제2 접점(27)과 협력하도록 구성된 지지 부분(33) 및 개방 통로(36)를 획정하는 천공된 중간 부분(34)을 포함하며, 제어 디바이스(23)는 제어 디바이스(23)가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때 개방 통로(36)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진공 청소기(2).7. The activating device (24)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activating device (24) comprises a return arm (32), the return arm (32) defining an opening passage (36) and a support portion (33) configured to cooperate with the second contact point (27). the vacuum cleaner (2) comprising a perforated intermediate portion (34) that . 제7항에 있어서, 천공된 중간 부분(34)은 서로 이격된 2개의 측방향 분기부(37)를 포함하고, 분기부 사이에 제어 디바이스(23)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진공 청소기(2).8 . The vacuum cleaner ( 2 ) according to claim 7 , wherein the perforated intermediate part ( 34 ) comprises two lateral branches ( 37 )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etween which the control device ( 23 ) is at least partially arranged. ). 제4항과 조합된 제8항에 있어서, 제어 디바이스(23)의 제1 회전축(R1)은 천공된 중간 부분(34)의 2개의 측방향 분기부(37) 사이에 배열되는, 진공 청소기(2).9.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claim 8 in combination with 4, wherein the first axis of rotation (R1) of the control device (23) is arranged between two lateral branches (37) of the perforated intermediate part (34) ( 2).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귀 아암(32)은 제1 및 제2 접점(26, 27) 중에 각각의 접촉에 대해 복귀 아암(32)에 의해 인가되는 힘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탄성 변형 가능한 부분(35)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2).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9, wherein the return arm (32) is adapted to limit the force applied by the return arm (32)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26, 27). A vacuum cleaner (2) comprising a configured elastically deformable part (35).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디바이스(23)는 제1 접점(26)과 협력하도록 구성된 추가 복귀 아암(38)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2).11 . The vacuum cleaner ( 2 ) according to claim 6 , wherein the control device ( 23 ) comprises a further return arm ( 38 ) configured to cooperate with the first contact ( 26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접점(26, 27) 중 적어도 하나는 전기 기계적 접점인, 진공 청소기(2).12 . The vacuum cleaner ( 2 )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 26 , 27 ) is an electromechanical contact.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자 제어 유닛(22)은 활성화 디바이스(24)가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는 한 제2 작동 모드에 따라서만 모터 팬(13)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진공 청소기(2).13. The electronic control unit (22)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the electronic control unit (22)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tor fan (13) only according to the second operating mode as long as the activation device (24) is operated by the user. Consisting of, a vacuum cleaner (2).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자 제어 유닛(22)은 제어 디바이스(23)가 사용자에 의해 다시 작동되지 않는 한 제1 작동 모드에 따라 모터 팬(13)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진공 청소기(2).14. The electronic control unit (22)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3, wherein the electronic control unit (22)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otor fan (13) according to the first operating mode unless the control device (23) is operated again by the user. A vacuum cleaner (2), configured to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디바이스(23) 및 활성화 디바이스(24)는 사용자가 파지 핸들(4)을 잡을 때 사용자의 동일한 손가락에 의해 작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진공 청소기(2).15 .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control device ( 23 ) and the activating device ( 24 ) are configured to be operable by the same finger of the user when the user holds the grip handle ( 4 ). (2).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디바이스(23)는 파지 핸들(4)을 향해 제어 디바이스(23)를 잡아당김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되고, 및/또는 활성화 디바이스(24)는 파지 핸들(4)을 향해 활성화 디바이스(24)를 잡아당김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진공 청소기(2).16. The control device (23)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the control device (23) is configured to be actuated by a user by pulling the control device (23) towards the grip handle (4) and/or the activation device ( 24 ) is configured to be actuated by a user by pulling the activating device ( 24 ) towards the gripping handle ( 4 ).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디바이스(23) 및 활성화 디바이스(24)는 흡입 덕트(19)의 길이방향 축(C) 및 파지 핸들(4)의 중앙 길이방향 축(D)에 의해 획정되는 기준 평면에 실질적으로 위치되는, 진공 청소기(2).17. The control device (23) and the activating device (24)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the longitudinal axis (C) of the suction duct (19) and the central longitudinal axis (C) of the gripping handle (4) are The vacuum cleaner (2), which is located substantially in the reference plane defined by D). 제17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접점(26, 27)은, 기준 평면이 수직이고 흡입 덕트(19)의 길이방향 축(C)이 수평일 때 서로 아래위로 수직으로 오프셋되는, 진공 청소기(2).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claim 17 ,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 26 , 27 ) are vertically offset from each other up and down when the reference plane is vertical and the longitudinal axis (C) of the suction duct ( 19 ) is horizontal. (2).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인, 진공 청소기(2).The vacuum cleaner (2)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ich is a handheld vacuum cleaner.
KR1020227031393A 2020-02-13 2021-02-10 Vacuum cleaner including an electronic card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contact points KR20220137985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2001447A FR3107175B1 (en) 2020-02-13 2020-02-13 Vacuum cleaner comprising an electronic card equipped with first and second contacts
FR2001447 2020-02-13
PCT/EP2021/053206 WO2021160669A1 (en) 2020-02-13 2021-02-10 Vacuum cleaner comprising an electronic card equipped with first and second contac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7985A true KR20220137985A (en) 2022-10-12

Family

ID=70228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1393A KR20220137985A (en) 2020-02-13 2021-02-10 Vacuum cleaner including an electronic card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contact points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30079676A1 (en)
EP (1) EP3865040B1 (en)
JP (1) JP2023513365A (en)
KR (1) KR20220137985A (en)
CN (1) CN215305480U (en)
ES (1) ES2935188T3 (en)
FR (1) FR3107175B1 (en)
WO (1) WO2021160669A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49947B (en) * 1985-10-04 1987-06-01 Electrolux Ab DEVICE FOR A VACUUM CLEANER
US6834413B2 (en) * 2002-06-24 2004-12-28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Variable speed leaf blower
JP5937418B2 (en) * 2012-05-01 2016-06-22 株式会社マキタ Fluid device
KR102436534B1 (en) * 2017-08-09 2022-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Vacuum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vacuum cleaner
WO2019120184A1 (en) * 2017-12-19 2019-06-27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Vacuum cleaner handle and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13365A (en) 2023-03-30
WO2021160669A1 (en) 2021-08-19
US20230079676A1 (en) 2023-03-16
EP3865040A1 (en) 2021-08-18
CN215305480U (en) 2021-12-28
ES2935188T3 (en) 2023-03-02
FR3107175B1 (en) 2023-05-12
FR3107175A1 (en) 2021-08-20
EP3865040B1 (en) 2022-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37984A (en) Vacuum cleaner having an activating member for activating the boost operating mode of the motor fan
EP2040597B1 (en) A cleaning appliance
JP5884178B2 (en) Vacuum cleaner
KR20190024195A (en) Vacuum cleaner
KR20220137985A (en) Vacuum cleaner including an electronic card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contact points
KR20220137986A (en) Portable vacuum cleaner having a main housing with separate first and second housing parts
JP5547470B2 (en) Suction hose for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the same
KR20070063701A (en) A vacuum cleaner
JP2014008140A (en) Vacuum clea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