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7899A -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7899A
KR20220137899A KR1020227026753A KR20227026753A KR20220137899A KR 20220137899 A KR20220137899 A KR 20220137899A KR 1020227026753 A KR1020227026753 A KR 1020227026753A KR 20227026753 A KR20227026753 A KR 20227026753A KR 20220137899 A KR20220137899 A KR 20220137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dentifier
configuration information
access token
connection configuration
ident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6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 장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37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78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04W12/084Access security using delegated authorisation, e.g. open authorisation [OAuth]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7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terminal or configuration, e.g. MAC address,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or device fingerpr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물 인터넷 기술분야에 관한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사물 인터넷 기기로부터 제1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등록 요청은 접속 구성 정보 및 사물 인터넷 기기의 타깃 기기 식별자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구성기에 의해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에 제공되며, 또한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상기 구성기에 의해 사용되는 사용자 계정의 제1 액세스 토큰 및/또는 제1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한다. 즉, 여기서 구성기는 클라우드 플랫폼에 구성기 액세스 토큰 및 기기 액세스 토큰을 요청할 필요 없이 직접 상기 사용자 계정의 제1 액세스 토큰 및/또는 제1 사용자 식별자를 기반으로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결정할 수 있고, 등록을 완료하기 위해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와 타깃 기기 식별자를 연관시킴으로써, 등록 프로세스가 감소되고, 등록 효율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
본 발명은 사물 인터넷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물 인터넷 기술은 일상 생활에서 널리 적용된다. 사물 인터넷에 관련된 통신 기기는 일반적으로 사물 인터넷 기기로 지칭될 수 있는데, 그 중 동일한 근거리 통신망 내에 위치한 사물 인터넷 기기는 직접 통신할 수 있다. 그러나 동일한 근거리 통신망 내에 위치하지 않은 사물 인터넷 기기 간에는 클라우드 플랫폼을 통해 원격 통신을 수행해야 하므로 미리 클라우드 플랫폼에 사물 인터넷 기기를 등록해야 한다.
관련 기술에서, 사물 인터넷 기기에는 일반적으로 구성기가 구비되는데, 상기 구성기는 사물 인터넷 기기에 클라우드 플랫폼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구성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물 인터넷 기기가 상기 접속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클라우드 플랫폼에 등록할 수 있다. 현재에는 구성기를 사용하여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사물 인터넷 기기의 빠른 등록을 제어하는 방법이 연구 핫스팟으로 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성기를 사용하여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사물 인터넷 기기의 빠른 등록 제어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은 하기와 같다.
일 양태에 따르면,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방법으로서,
클라우드 플랫폼에 적용되고, 상기 방법은,
사물 인터넷 기기로부터 제1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등록 요청은 접속 구성 정보 및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의 타깃 기기 식별자를 구비하며,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구성기에 의해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에 제공되고,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상기 구성기에 의해 사용되는 사용자 계정의 제1 액세스 토큰 및/또는 제1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함 - ;
상기 접속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타깃 기기 식별자를 연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방법으로서,
구성기에 적용되고, 상기 방법은,
접속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상기 구성기에 의해 사용되는 사용자 계정의 제1 액세스 토큰 및/또는 제1 사용자 식별자임 - ; 및
사물 인터넷 기기에 접속 지시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접속 지시 메시지는 적어도 상기 접속 구성 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 지시 메시지는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가 상기 접속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클라우드 플랫폼에 등록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됨 - ;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장치로서,
클라우드 플랫폼에 적용되고, 상기 장치는,
사물 인터넷 기기로부터 제1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 - 상기 제1 등록 요청은 접속 구성 정보 및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의 타깃 기기 식별자를 구비하며,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구성기에 의해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에 제공되고,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상기 구성기에 의해 사용되는 사용자 계정의 제1 액세스 토큰 및/또는 제1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함 - ;
상기 접속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결정하는 결정 모듈; 및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타깃 기기 식별자를 연관시키는 연관 모듈을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장치로서,
구성기에 적용되고, 상기 장치는,
접속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 모듈 -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상기 구성기에 의해 사용되는 사용자 계정의 제1 액세스 토큰 및/또는 제1 사용자 식별자임 - ; 및
사물 인터넷 기기에 접속 지시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 모듈 - 상기 접속 지시 메시지는 적어도 상기 접속 구성 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 지시 메시지는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가 상기 접속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클라우드 플랫폼에 등록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됨 - ;을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기기로서,
상기 기기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에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상기 일 양태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방법을 구현하거나 상기 다른 양태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방법을 구현하는 기기를 제공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상기 일 양태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방법을 구현하거나 상기 다른 양태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일 양태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방법을 구현하거나 다른 양태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기술적 해결수단은 적어도 하기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포함한다.
사물 인터넷 기기로부터 제1 등록 요청을 수신하되, 상기 제1 등록 요청은 접속 구성 정보 및 사물 인터넷 기기의 타깃 기기 식별자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구성기에 의해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에 제공되며, 또한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상기 구성기에 의해 사용되는 사용자 계정의 제1 액세스 토큰 및/또는 제1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한다. 즉, 여기서 구성기는 클라우드 플랫폼에 구성기 액세스 토큰 및 기기 액세스 토큰을 요청할 필요 없이 직접 상기 사용자 계정의 제1 액세스 토큰 및/또는 제1 사용자 식별자를 기반으로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결정할 수 있고, 등록을 완료하기 위해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와 타깃 기기 식별자를 연관시킴으로써, 등록 프로세스가 감소되고, 등록 효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아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할 첨부 도면을 간단히 소개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진보성 창출에 힘쓸 필요없이 이러한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실시 환경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기기의 구조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기술적 해결수단 및 이점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방법을 상세히 소개하기 이전에,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 및 실시 환경을 간략히 소개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를 간략히 소개한다.
사물 인터넷 시나리오에서, 사물 인터넷 기기 간의 비즈니스 인터랙션은 리소스 생성, 판독, 업데이트, 삭제 또는 통지와 같은 리소스 운영 방식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리소스를 제공하는 사물 인터넷 기기를 서버단으로 지칭하고, 리소스에 액세스하는 사물 인터넷 기기를 클라이언트단으로 지칭한다. 예를 들어, 실내 환경 상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말기는 클라이언트단이고, 실내 환경 상태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는 센서 기기는 서버단이며, 인터랙션 과정에서 클라이언트단은 서버단에 리소스 운영 요청을 송신하여 서버단의 리소스를 운영할 수 있고, 서버단은 상기 리소스 운영 요청에 따라 해당 운영을 수행한 후, 클라이언트단에 리소스 운영 응답을 반환하며, 상기 리소스 운영 응답에는 온도, 습도 정보와 같은 설명 정보가 구비될 수 있으므로 사물 인터넷 기기 간의 인터랙션을 구현한다.
일부 시나리오에서, 복수의 사물 인터넷 기기가 동일한 근거리 통신망 내에 위치하지 않거나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클라우드 플랫폼을 통해 원격 통신을 구현해야 한다.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을 통해 원격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물 인터넷 기기를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에 등록해야 한다. 현재 등록 프로세스에서, 구성기는 구성기 액세스 토큰을 획득하기 위해 클라우드 플랫폼에 등록한 후, 상기 구성기 액세스 토큰을 사용하여 등록할 사물 인터넷 기기에 기기 액세스 토큰을 할당하도록 클라우드 플랫폼에 요청하고, 다음, 상기 기기 액세스 토큰을 등록할 사물 인터넷 기기에 송신하여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가 상기 기기 액세스 토큰을 기반으로 클라우드 플랫폼에 등록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구현형태에서, 구성기는 구성기 액세스 토큰을 미리 획득한 후 클라우드 플랫폼에 등록할 사물 인터넷 기기에 대한 기기 액세스 토큰을 요청해야만 후속 사물 인터넷 기기가 등록 프로세스를 계속할 수 있으므로 등록 프로세스가 복잡하고, 특히 복수의 사물 인터넷 기기를 등록해야 하는 경우, 구성기는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각각의 사물 인터넷 기기에 대한 기기 액세스 토큰을 획득해야 하므로 등록 효율이 낮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단점을 개선할 수 있는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의 구체적인 구현은 아래 각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실시 환경을 간략히 소개한다.
도 1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실시 환경의 모식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실시 환경은 주로 구성기, 사물 인터넷 기기, 클라우드 플랫폼 및 계정 서비스 기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은 구성기, 사물 인터넷 기기, 계정 서비스 기기와 각각 통신할 수 있고, 상기 구성기는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 계정 서비스 기기와 각각 통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구성기는 사물 인터넷 기기에 접속 클라우드 플랫폼의 접속 구성 정보를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일 예로서, 제품 형태의 측면에서 상기 구성기는 단말기에 장착된 APP(Application, 애플리케이션) 또는 소프트웨어 등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사물 인터넷 기기와 동일한 공급업체에 의해 제공된다.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는 서버단 또는 클라이언트단을 포함하는데, 즉, 클라우드 플랫폼을 통해 원격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서버단과 클라이언트단 모두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에 등록되어야 한다.
여기서, 상기 계정 서비스 기기는 사용자 계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계정 서비스 기기는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과 동일한 사업자에 속하거나, 상기 계정 서비스 기기는 제3자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구성기는 사물 인터넷 기기에 접속 구성 정보를 구성하기 전에 사용자 계정에 로그인하거나 Oauth 권한 부여를 수행해야 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계정 서비스 기기를 통해 사용자 계정에 로그인하거나 Oauth 권한 부여를 수행하고 성공한 후 다시 후속 단계를 수행해야 한다. 구체적인 내용은 하기를 참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은 하나의 서버일 수 있거나,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은 복수의 서버로 구성된 서버 클러스터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 및 실시 환경을 소개한 후, 이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방법을 상세히 소개한다.
도 2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방법의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방법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실시 환경에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은 하기와 같은 몇몇 구현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01에서, 구성기가 접속 구성 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상기 구성기에 의해 사용되는 사용자 계정의 제1 액세스 토큰 및/또는 제1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액세스 토큰은 상기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신원 정보 또는 권한 정보와 연관되며, 사용자 계정 및 비밀번호 대신 사용자 신원 및 사용자 권한을 검증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는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며, 일반적으로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는 사용자에 대해 은형적인 것인 바, 즉 사용자 계정에 할당된 후 계정 서비스 기기에 의해 저장 및 관리된다.
나아가, 구성기가 접속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구체적인 구현은, 상기 사용자 계정을 기반으로 계정 서비스 기기에 로그인하거나 제3자 권한 부여 및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계정 서비스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접속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과정에서, 사물 인터넷 기기를 클라우드 플랫폼에 등록하기 위해 구성기를 사용하여 사물 인터넷 기기를 구성해야 하는 경우, 예를 들어, 새로 구입한 특정 사물 인터넷 기기를 등록해야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구성기를 사용하여 계정 서비스 기기에서 사용자 계정에 로그인하거나 Oauth 권한 부여를 수행하고, 성공한 후, 상기 계정 서비스 기기는 상기 구성기에 접속 구성 정보를 반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속 구성 정보에는 상기 사용자 계정의 제1 액세스 토큰이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접속 구성 정보에는 상기 사용자 계정의 제1 사용자 식별자가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접속 구성 정보에는 상기 사용자 계정의 제1 액세스 토큰 및 제1 사용자 식별자가 포함된다.
나아가, 구성기는 사용자 계정을 사용하여 계정 서비스 기기에 로그인하기 전에, 상기 계정 서비스 기기에 등록하고, 등록에 성공한 후, 상기 계정 서비스 기기는 사용자 계정, 제1 액세스 토큰 및 제1 사용자 식별자를 대응되게 저장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제1 액세스 토큰 및 제1 사용자 식별자는 등록 과정에서 상기 계정 서비스 기기에 의해 할당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성기는 등록하여 획득한 사용자 계정을 사용하여 로그인할 수 있다.
또한, 설명해야 할 점은, 상기 제1 액세스 토큰이 유효 기간이 있는 경우, 사용자는 구성기를 통해 제1 액세스 토큰이 만료되기 전에 계정 서비스 기기의 업데이트를 요청해야 한다.
단계 202에서, 구성기가 사물 인터넷 기기에 접속 지시 메시지를 송신하되, 상기 접속 지시 메시지는 적어도 상기 접속 구성 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 지시 메시지는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가 상기 접속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클라우드 플랫폼에 등록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구성기는 사용자 계정에 로그인하거나 Oauth 권한 부여에 성공한 후, 등록할 사물 인터넷 기기에 접속 구성 정보를 구비한 접속 지시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를 클라우드 플랫폼에 등록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접속 지시 메시지에는 클라우드 플랫폼 접속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유니폼 리소스 식별자), 클라우드 플랫폼 식별자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 식별자는 하나의 클라우드 플랫폼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 접속 URI 및 클라우드 플랫폼 식별자는 사용자가 미리 구성기에 저장하거나, 상기 구성기에 의해 미리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획득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나아가, 상기 접속 구성 정보가 제3자 계정 서비스 기기에 의해 제공되는 경우, 상기 접속 지시 메시지에는 권한 부여 제공자 정보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권한 부여 제공자 정보는 권한 부여 제공자 명칭 등일 수 있다.
단계 203에서, 클라우드 플랫폼이 사물 인터넷 기기로부터 제1 등록 요청을 수신하되, 상기 제1 등록 요청에는 접속 구성 정보 및 타깃 기기 식별자가 구비되고,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구성기에 의해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에 제공되며,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상기 구성기에 의해 사용되는 사용자 계정의 제1 액세스 토큰 및/또는 제1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한다.
사물 인터넷 기기는 구성기의 접속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에 제1 등록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제1 등록 요청에 상기 접속 구성 정보 및 자체 타깃 기기 식별자를 구비한다. 일 예로서, 상기 구성기는 클라우드 플랫폼 접속 URI 및 클라우드 플랫폼 식별자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클라우드 플랫폼에 제1 등록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접속 지시 메시지에 권한 부여 제공자 정보가 더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 등록 요청에는 상기 권한 부여 제공자 정보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단계 204에서, 클라우드 플랫폼은 상기 접속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결정한다.
클라우드 플랫폼은 제1 등록 요청을 수신한 후, 상기 접속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타깃 기기 식별자와 연관시키기 위한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결정한다.
상기 접속 구성 정보가 제1 액세스 토큰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은 상기 제1 액세스 토큰을 기반으로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결정함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접속 구성 정보가 제1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은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기반으로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결정한다. 상기 접속 구성 정보가 제1 액세스 토큰 및 제1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은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 및 제1 액세스 토큰을 기반으로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결정한다.
설명해야 할 점은, 제1 등록 요청에 권한 부여 제공자 정보가 더 포함된 경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결정하기 이전에, 계정 서비스 기기에 권한 부여 제공자 정보를 검증하도록 요청하고, 검증이 통과된 후 다시 상기 단계를 수행해야 한다.
단계 205에서, 클라우드 플랫폼은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타깃 기기 식별자를 연관시킨다.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결정한 후,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타깃 기기 식별자를 연관시킨다. 이에 따라,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을 구현한다.
나아가,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은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타깃 기기 식별자를 연관시킨 후, 또한 사물 인터넷 기기에 등록 성공 통지를 반환하여 사물 인터넷 기기가 등록 성공 여부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은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에 송신할 수도 있는 바, 예를 들어, 등록 성공 통지를 통해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은 또한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에 제2 액세스 토큰을 할당하고, 할당한 제2 액세스 토큰을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에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액세스 토큰은 사물 인터넷 기기의 유효 검증에 사용될 수 있는 바, 후속 비즈니스 인터랙션 과정에서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에 대해 추가로 유효 검증을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후속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 계정에 속한 다른 사물 인터넷 기기들도 모두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와 연관시킬 수 있으며, 구체적인 구현 원리는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물 인터넷 기기로부터 제1 등록 요청을 수신하되, 상기 제1 등록 요청은 접속 구성 정보 및 사물 인터넷 기기의 타깃 기기 식별자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구성기에 의해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에 제공되며, 또한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상기 구성기에 의해 사용되는 사용자 계정의 제1 액세스 토큰 및/또는 제1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한다. 즉, 여기서 구성기는 클라우드 플랫폼에 구성기 액세스 토큰 및 기기 액세스 토큰을 요청할 필요 없이 직접 상기 사용자 계정의 제1 액세스 토큰 및/또는 제1 사용자 식별자를 기반으로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결정할 수 있고, 등록을 완료하기 위해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와 타깃 기기 식별자를 연관시킴으로써, 등록 프로세스가 감소되고, 등록 효율이 향상된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방법의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방법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실시 환경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방법은 하기와 같은 몇몇 구현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301에서, 구성기가 접속 구성 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구성기에 의해 사용되는 사용자 계정의 제1 액세스 토큰을 포함한다.
실시 과정에서, 상기 구성기는 계정 서비스 기기에서 사용자 계정에 로그인하거나 Oauth 권한 부여를 수행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구현은 상기 도 2의 실시예 중의 단계 201을 참조할 수 있다. 성공한 후, 구성기는 계정 서비스 기기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사용자 계정의 제1 액세스 토큰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상기 계정 서비스 기기는 상기 사용자 계정의 제1 사용자 식별자를 상기 구성기에 송신할 수도 있다.
설명해야 할 점은, 상기 구성기는 상기 계정 서비스 기기에서 상기 제1 액세스 토큰 및 제1 사용자 식별자를 한번에 획득하거나 두번에 걸쳐 각각 획득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 302에서, 구성기는 상기 제1 액세스 토큰 및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기반으로 클라우드 플랫폼에 등록한다.
실시 과정에서, 클라우드 플랫폼은 구성기의 제2 등록 요청을 수신하되, 상기 제2 등록 요청은 상기 제1 액세스 토큰 및 제1 사용자 식별자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액세스 토큰을 계정 서비스 기기에 송신하여 검증을 수행하고, 검증 통과 메시지가 수신되면,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생성하며, 지정된 저장 위치에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 간의 대응 관계를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지정된 저장 위치는 클라우드 플랫폼 중의 특정 저장 위치일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클라우드 플랫폼 중의 데이터베이스이거나; 또는 상기 지정된 저장 위치는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결 관계를 갖는 다른 엔티티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즉, 상기 구성기는 상기 제1 액세스 토큰을 획득한 후, 클라우드 플랫폼에 제2 등록 요청을 개시하여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등록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상기 과정에서, 상기 구성기는 계정 서비스 기기에서 획득한 제1 액세스 토큰 및 제1 사용자 식별자를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에 송신한다. 클라우드 플랫폼의 경우, 상기 제1 액세스 토큰을 계정 서비스 기기에 송신하여 검증을 수행하고, 계정 서비스 기기 검증이 통과되면, 이는 상기 제1 액세스 토큰이 유효함을 의미하며, 이때 계정 서비스 기기는 검증 통과 메시지를 반환한다. 클라우드 플랫폼은 상기 검증 통과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구성기가 등록될 수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므로,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생성하고, 이를 제1 사용자 식별자와 연관시켜 지정된 저장 위치에 저장한다. 나아가, 클라우드 플랫폼은 구성기에 등록 성공 메시지를 반환하여 구성기에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통지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점은, 상기 지정된 저장 위치에 제1 사용자 식별자와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 간의 대응 관계를 저장하는 구체적인 구현은 예시적일 뿐,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른 방식으로 지정된 저장 위치에 제1 사용자 식별자와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 간의 대응 관계를 저장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 303에서, 구성기는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에 접속 지시 메시지를 송신하되, 상기 접속 지시 메시지는 상기 접속 구성 정보를 구비한다.
나아가, 상기 접속 지시 메시지에는 클라우드 플랫폼 접속 URI 및 클라우드 플랫폼 식별자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접속 구성 정보가 제3자의 계정 서비스 기기에 의해 제공되는 경우, 상기 접속 지시 메시지에는 권한 부여 제공자 정보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권한 부여 제공자 정보는 권한 부여 제공자 명칭 등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접속 지시 메시지는 하기와 같은 내용을 포함한다.
UPDATE /oic/coapcloudconfURI
{
"at":"Aliz3DUe4vuNAlSblExfbGxmp",
"cis":"coaps+tcp://example.com:443",
"sid":"987e6543-a21f-10d1-a112-421345746237",
"apn":"github"
}
여기서, at는 제1 액세스 토큰을 나타내고, cis는 클라우드 플랫폼 접속 URI를 나타내며, sid는 클라우드 플랫폼 식별자를 나타내고, apn은 권한 부여 제공자 정보를 나타낸다.
단계 304에서, 클라우드 플랫폼은 사물 인터넷 기기로부터 제1 등록 요청을 수신하되, 상기 제1 등록 요청은 접속 구성 정보 및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의 타깃 기기 식별자를 구비한다.
사물 인터넷 기기는 구성기의 접속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에 제1 등록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제1 등록 요청에 상기 접속 구성 정보 및 자체 타깃 기기 식별자를 구비한다. 일 예로서, 상기 구성기는 클라우드 플랫폼 접속 URI 및 클라우드 플랫폼 식별자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클라우드 플랫폼에 제1 등록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접속 지시 메시지에 권한 부여 제공자 정보가 더 구비된 경우, 상기 제1 등록 요청에는 상기 권한 부여 제공자 정보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1 등록 요청은 하기와 같은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UPDATE /oic/sec/account
{
"di":"336917bc-24d4-4f05-8e7f-e27ccb4adb48",
"accesstoken":"43643ed0-4956-4b2f-4ae5-768419fc7d7f",
"apn":"github"
}
여기서, di는 타깃 기기 식별자를 나타내고, accesstoken은 제1 액세스 토큰을 나타낸다.
단계 305에서, 클라우드 플랫폼은 상기 접속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결정한다.
일 예로서, 지정된 저장 위치에는 제1 사용자 식별자와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 간의 대응 관계가 저장되고, 이 경우, 해당 단계의 구체적인 구현은, 상기 제1 액세스 토큰을 기반으로 상기 계정 서비스 기기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획득하고, 상기 지정된 저장 위치 간의 대응 관계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하는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액세스 토큰이 유효한지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클라우드 플랫폼은 상기 제1 액세스 토큰을 계정 서비스 기기에 송신하여 체크하고, 계정 서비스 기기에 상기 사용자 계정의 제1 사용자 식별자를 피드백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계정 서비스 기기는 사용자 계정, 제1 액세스 토큰 및 제1 사용자 식별자 간의 대응 관계를 로컬에 저장하므로, 계정 서비스 기기는 제1 액세스 토큰이 유효한지 여부를 검증한 후,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반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기 등록 시, 클라우드 플랫폼은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할당하고, 지정된 저장 위치에 제1 사용자 식별자 및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대응되게 저장하므로, 클라우드 플랫폼은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획득한 후, 지정된 저장 위치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하는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조회하여 존재하는 경우,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결정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점은, 제1 등록 요청에 권한 부여 제공자 정보가 더 포함되는 경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결정하기 전에, 계정 서비스 기기에 권한 부여 제공자 정보를 검증하도록 요청하고, 검증이 통과된 후 다시 상기 단계를 수행해야 한다.
단계 306에서, 클라우드 플랫폼은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타깃 기기 식별자를 연관시킨다.
이의 구체적인 구현은 상기 실시예 중의 단계 205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물 인터넷 기기로부터 제1 등록 요청을 수신하되, 상기 제1 등록 요청은 접속 구성 정보 및 사물 인터넷 기기의 타깃 기기 식별자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구성기에 의해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에 제공되고, 또한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상기 구성기에 의해 사용되는 사용자 계정의 제1 액세스 토큰 및/또는 제1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한다. 즉, 여기서 구성기는 클라우드 플랫폼에 구성기 액세스 토큰 및 기기 액세스 토큰을 요청할 필요 없이 직접 상기 사용자 계정의 제1 액세스 토큰 및/또는 제1 사용자 식별자를 기반으로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결정할 수 있고, 등록을 완료하기 위해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와 타깃 기기 식별자를 연관시킴으로써, 등록 프로세스가 감소되고, 등록 효율이 향상된다.
도 4는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방법의 흐름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방법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실시 환경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방법은 하기와 같은 몇몇 구현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401에서, 구성기가 접속 구성 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구성기에 의해 사용되는 사용자 계정의 제1 액세스 토큰 및/또는 제1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한다.
이의 구체적인 구현은 상기 도 2의 실시예 중의 단계 201을 참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정 서비스 기기는 상기 사용자 계정의 제1 사용자 식별자를 클라우드 플랫폼에 송신할 수 있다. 대응되게,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은 계정 서비스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사용자 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지정된 저장 위치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정된 저장 위치는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 중의 특정 저장 위치이거나, 또는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결 관계를 갖는 엔티티일 수도 있다.
실제로, 클라우드 플랫폼은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지정된 저장 위치에 직접 저장하며, 이에 따라 후속 과정에서 구성기를 등록할 필요가 없고, 구성기에 하나의 새로운 사용자 식별자를 할당할 필요도 없는 바, 예를 들어, 클라우드 플랫폼과 계정 서비스 기기를 동일한 공급업체가 관리하는 경우 이러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성기의 등록 프로세스가 감소되어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프로세스가 감소된다.
단계 402에서, 구성기가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에 접속 지시 메시지를 송신하되, 상기 접속 지시 메시지는 상기 접속 구성 정보를 구비한다.
나아가, 상기 접속 지시 메시지에는 클라우드 플랫폼 접속 URI, 클라우드 플랫폼 식별자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 지시 메시지에는 권한 부여 제공자 정보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구성기에 의해 사물 인터넷 기기에 송신된 접속 지시 메시지는 하기와 같은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UPDATE /oic/coapcloudconfURI
{
"uid":"336917bc-24d4-4f05-8e7f-e27ccb4adb48",
"at":"Aliz3DUe4vuNAlSblExfbGxmp",
"cis":"coaps+tcp://example.com:443",
"sid":"987e6543-a21f-10d1-a112-421345746237",
"apn":"github"
}
여기서, uid는 사용자 계정의 제1 사용자 식별자를 나타내고, at는 제1 액세스 토큰을 나타내며, cis는 클라우드 플랫폼 접속 URI를 나타내고, sid는 클라우드 플랫폼 식별자를 나타내며, apn는 권한 부여 제공자 정보를 나타낸다.
단계 403에서, 사물 인터넷 기기가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에 제1 등록 요청을 송신하되, 상기 제1 등록 요청은 접속 구성 정보 및 사물 인터넷 기기의 타깃 기기 식별자를 구비한다.
실시 과정에서,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는 클라우드 플랫폼 접속 URI 및 클라우드 플랫폼 식별자를 기반으로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에 상기 제1 등록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단계 404에서, 클라우드 플랫폼은 사물 인터넷 기기로부터 제1 등록 요청을 수신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1 등록 요청에는 하기와 같은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UPDATE /oic/sec/account
{
"uid":"336917bc-24d4-4f05-8e7f-e27ccb4adb48",
"di":"336917bc-24d4-4f05-8e7f-e27ccb4adb48",
"accesstoken":"43643ed0-4956-4b2f-4ae5-768419fc7d7f",
"apn":"github"
}
여기서, accesstoken은 제1 액세스 토큰을 나타내고, di는 타깃 기기 식별자를 나타낸다.
단계 405에서, 클라우드 플랫폼은 상기 접속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결정한다.
이러한 구현형태에서,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는 제1 사용자 식별자이고, 접속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구현은 아래 몇몇 가능한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첫번째 구현형태: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고, 지정된 저장 위치에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여 지정된 저장 위치에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로 결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는 지정된 저장 위치에 저장되므로,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은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수신한 후, 지정된 저장 위치에 직접 조회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가 조회되면, 이는 계정 서비스 기기가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미리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에 송신하였음을 의미하며, 이때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로 직접 결정할 수 있다.
두번째 구현형태: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액세스 토큰 및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액세스 토큰을 계정 서비스 기기에 송신하여 검증을 수행하며; 검증 통과 메시지가 수신되면, 지정된 저장 위치에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여 지정된 저장 위치에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로 결정한다.
즉, 상기 접속 구성 정보가 제1 액세스 토큰을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은 상기 제1 액세스 토큰을 계정 서비스 기기에 송신하여 검증을 수행하고, 검증이 통과되면, 계정 서비스 기기는 검증 통과 메시지를 반환하며, 이 경우, 클라우드 플랫폼은 지정된 저장 위치에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조회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으면, 이는 계정 서비스 기기가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에 미리 송신하였음을 의미하며, 이때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로 결정한다.
세번째 구현형태: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액세스 토큰을 포함하고, 상기 계정 서비스 기기에 식별자 획득 요청을 송신하며, 상기 식별자 획득 요청은 상기 제1 액세스 토큰을 포함하고, 상기 식별자 획득 요청은 상기 계정 서비스 기기에 상기 제1 액세스 토큰을 기반으로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식별자를 피드백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가 수신되면, 지정된 저장 위치에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지정된 저장 위치에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로 결정한다.
이러한 구현형태에서,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제1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지 않고 제1 액세스 토큰만 포함하며, 이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은 상기 제1 액세스 토큰을 기반으로 식별자 획득 요청을 생성한 후, 계정 서비스 기기에 식별자 획득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계정 서비스 기기는 상기 제1 액세스 토큰을 체크하여 체크가 통과되면 상기 사용자 계정의 제1 사용자 식별자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에 피드백한다.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은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획득한 후, 지정된 저장 위치에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음이 조회되면,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로 결정한다.
단계 406에서,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타깃 기기 식별자를 연관시킨다.
이의 구체적인 구현은 상기 실시예 중의 단계 205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물 인터넷 기기로부터 제1 등록 요청을 수신하되, 상기 제1 등록 요청은 접속 구성 정보 및 사물 인터넷 기기의 타깃 기기 식별자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구성기에 의해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에 제공되고, 또한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상기 구성기에 의해 사용되는 사용자 계정의 제1 액세스 토큰 및/또는 제1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한다. 즉, 여기서 구성기는 클라우드 플랫폼에 구성기 액세스 토큰 및 기기 액세스 토큰을 요청할 필요 없이 직접 상기 사용자 계정의 제1 액세스 토큰 및/또는 제1 사용자 식별자를 기반으로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결정할 수 있고, 등록을 완료하기 위해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와 타깃 기기 식별자를 연관시킴으로써, 등록 프로세스가 감소되고, 등록 효율이 향상된다.
다른 예로서, 본 발명은 또한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실시 환경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방법은 하기와 같은 몇몇 구현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A에서, 구성기가 접속 구성 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구성기에 의해 사용되는 사용자 계정의 제1 액세스 토큰 및/또는 제1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한다.
이의 구체적인 구현은 상기 실시예2 중의 단계 201을 참조할 수 있다.
또한, 계정 서비스 기기는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에 송신한다. 대응되게,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은 계정 서비스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기반으로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생성하며, 지정된 저장 위치에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 간의 대응 관계를 저장한다.
즉, 이러한 구현형태에서,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은 제1 사용자 식별자를 수신한 후, 대응하는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재생성하고, 지정된 저장 위치에 이들 양자를 연관되게 저장한다.
단계 B에서, 구성기가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에 접속 지시 메시지를 송신하되, 상기 접속 지시 메시지는 상기 접속 구성 정보를 구비한다.
해당 단계의 구체적인 구현은 상기 도 4의 실시예 중의 단계 402를 참조할 수 있다.
단계 C에서, 사물 인터넷 기기가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에 제1 등록 요청을 송신하되, 상기 제1 등록 요청은 접속 구성 정보 및 사물 인터넷 기기의 타깃 기기 식별자를 구비한다.
해당 단계의 구체적인 구현은 상기 도 4의 실시예 중의 단계 403을 참조할 수 있다.
단계 D에서, 클라우드 플랫폼은 사물 인터넷 기기로부터 제1 등록 요청을 수신한다.
단계 E에서, 클라우드 플랫폼은 상기 접속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결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정된 저장 위치에는 제1 사용자 식별자와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 간의 대응 관계가 저장되고, 이 경우, 상기 단계는 아래 몇몇 가능한 구현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첫번째 구현형태: 상기 접속 구성 정보가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면, 지정된 저장 위치에서 제1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하는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결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계정 서비스 기기가 제1 사용자 식별자를 클라우드 플랫폼에 송신한 후, 클라우드 플랫폼은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하는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생성하고, 지정된 저장 위치에 양자 간의 대응 관계를 저장하므로, 사물 인터넷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등록 요청을 수신한 후, 상기 제1 등록 요청이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구비하면, 지정된 저장 위치에 저장된 대응 관계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하는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조회하여 조회되면,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가 획득된 것으로 결정한다.
두번째 구현형태: 상기 접속 구성 정보가 상기 제1 액세스 토큰 및 제1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면, 상기 제1 액세스 토큰을 상기 계정 서비스 기기에 송신하여 검증을 수행하고, 검증 통과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지정된 저장 위치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하는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결정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첫번째 구현형태와 달리, 상기 접속 구성 정보가 제1 액세스 토큰을 더 포함하면, 클라우드 플랫폼은 계정 서비스 기기를 통해 상기 제1 액세스 토큰에 대해 유효 검증을 수행하여 검증이 통과된 후에만 조회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F에서,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타깃 기기 식별자를 연관시킨다.
해당 단계의 구체적인 구현은 상기 도 4의 실시예 중의 단계 406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물 인터넷 기기로부터 제1 등록 요청을 수신하되, 상기 제1 등록 요청은 접속 구성 정보 및 사물 인터넷 기기의 타깃 기기 식별자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구성기에 의해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에 제공되고, 또한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상기 구성기에 의해 사용되는 사용자 계정의 제1 액세스 토큰 및/또는 제1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한다. 즉, 여기서 구성기는 클라우드 플랫폼에 구성기 액세스 토큰 및 기기 액세스 토큰을 요청할 필요 없이 직접 상기 사용자 계정의 제1 액세스 토큰 및/또는 제1 사용자 식별자를 기반으로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결정할 수 있고, 등록을 완료하기 위해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와 타깃 기기 식별자를 연관시킴으로써, 등록 프로세스가 감소되고, 등록 효율이 향상된다.
도 5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다. 상기 장치는,
사물 인터넷 기기로부터 제1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510) - 상기 제1 등록 요청은 접속 구성 정보 및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의 타깃 기기 식별자를 구비하며,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구성기에 의해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에 제공되고,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상기 구성기에 의해 사용되는 사용자 계정의 제1 액세스 토큰 및/또는 제1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함 - ;
상기 접속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결정하는 결정 모듈(520); 및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타깃 기기 식별자를 연관시키는 연관 모듈(5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능한 구현형태에서,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액세스 토큰을 포함하고, 지정된 저장 위치에는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 간의 대응 관계가 저장되며;
상기 결정 모듈(520)은,
상기 제1 액세스 토큰을 기반으로 계정 서비스 기기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획득하고;
상기 지정된 저장 위치 간의 대응 관계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하는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가능한 구현형태에서, 상기 연관 모듈(530)은 또한,
상기 구성기의 제2 등록 요청을 수신하되, 상기 제2 등록 요청은 상기 제1 액세스 토큰 및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액세스 토큰을 상기 계정 서비스 기기에 송신하여 검증을 수행하며;
검증 통과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생성하고;
상기 지정된 저장 위치에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 간의 대응 관계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가능한 구현형태에서,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는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이고,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결정 모듈(520)은,
지정된 저장 위치에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지정된 저장 위치에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로 결정한다.
본 발명의 가능한 구현형태에서,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는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이고,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액세스 토큰 및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결정 모듈(520)은,
상기 제1 액세스 토큰을 계정 서비스 기기에 송신하여 검증을 수행하고;
검증 통과 메시지가 수신되면, 지정된 저장 위치에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지정된 저장 위치에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로 결정한다.
본 발명의 가능한 구현형태에서,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는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이고,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액세스 토큰을 포함하며;
상기 결정 모듈(520)은,
계정 서비스 기기에 식별자 획득 요청을 송신하되, 상기 식별자 획득 요청은 상기 제1 액세스 토큰을 포함하고, 상기 식별자 획득 요청은 상기 계정 서비스 기기에 상기 제1 액세스 토큰을 기반으로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식별자를 피드백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가 수신되면, 지정된 저장 위치에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지정된 저장 위치에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로 결정한다.
본 발명의 가능한 구현형태에서, 상기 연관 모듈(530)은 또한,
계정 서비스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상기 지정된 저장 위치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가능한 구현형태에서,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고, 지정된 저장 위치에는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 간의 대응 관계가 저장되며;
상기 결정 모듈(520)은,
상기 지정된 저장 위치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하는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가능한 구현형태에서,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액세스 토큰 및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고, 지정된 저장 위치에는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 간의 대응 관계가 저장되며;
상기 결정 모듈(520)은,
상기 제1 액세스 토큰을 계정 서비스 기기에 송신하여 검증을 수행하고;
검증 통과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지정된 저장 위치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하는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가능한 구현형태에서, 상기 연관 모듈(530)은 또한,
계정 서비스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기반으로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생성하며;
상기 지정된 저장 위치에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 간의 대응 관계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가능한 구현형태에서, 상기 연관 모듈(530)은 또한,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에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송신한다.
본 발명의 가능한 구현형태에서, 상기 연관 모듈(530)은 또한,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에 제2 액세스 토큰을 할당하되, 상기 제2 액세스 토큰은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의 유효 체크를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액세스 토큰을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에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물 인터넷 기기로부터 제1 등록 요청을 수신하되, 상기 제1 등록 요청은 접속 구성 정보 및 사물 인터넷 기기의 타깃 기기 식별자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구성기에 의해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에 제공되고, 또한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상기 구성기에 의해 사용되는 사용자 계정의 제1 액세스 토큰 및/또는 제1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한다. 즉, 여기서 구성기는 클라우드 플랫폼에 구성기 액세스 토큰 및 기기 액세스 토큰을 요청할 필요 없이 직접 상기 사용자 계정의 제1 액세스 토큰 및/또는 제1 사용자 식별자를 기반으로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결정할 수 있고, 등록을 완료하기 위해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와 타깃 기기 식별자를 연관시킴으로써, 등록 프로세스가 감소되고, 등록 효율이 향상된다.
도 6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장치이다. 상기 장치는,
접속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 모듈(610) -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상기 구성기에 의해 사용되는 사용자 계정의 제1 액세스 토큰 및/또는 제1 사용자 식별자임 - ; 및
사물 인터넷 기기에 접속 지시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 모듈(620) - 상기 접속 지시 메시지는 적어도 상기 접속 구성 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 지시 메시지는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가 상기 접속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클라우드 플랫폼에 등록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됨 -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능한 구현형태에서, 상기 획득 모듈(610)은,
상기 사용자 계정을 기반으로 계정 서비스 기기에 로그인하거나 제3자 권한 부여 및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계정 서비스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접속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물 인터넷 기기로부터 제1 등록 요청을 수신하되, 상기 제1 등록 요청은 접속 구성 정보 및 사물 인터넷 기기의 타깃 기기 식별자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구성기에 의해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에 제공되고, 또한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상기 구성기에 의해 사용되는 사용자 계정의 제1 액세스 토큰 및/또는 제1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한다. 즉, 여기서 구성기는 클라우드 플랫폼에 구성기 액세스 토큰 및 기기 액세스 토큰을 요청할 필요 없이 직접 상기 사용자 계정의 제1 액세스 토큰 및/또는 제1 사용자 식별자를 기반으로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결정할 수 있고, 등록을 완료하기 위해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와 타깃 기기 식별자를 연관시킴으로써, 등록 프로세스가 감소되고, 등록 효율이 향상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기기의 구조 모식도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기기는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일 수 있고, 상기 구성기일 수도 있으며, 상기 기기는 프로세서(701), 수신기(702), 송신기(703), 메모리(704) 및 버스(705)를 포함한다.
프로세서(701)는 하나 이상의 처리 코어를 포함하고, 프로세서(701)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실행하여 다양한 기능적 애플리케이션 및 정보 처리를 실행한다.
수신기(702) 및 송신기(703)는 하나의 통신 칩일 수 있는 통신 컴포넌트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704)는 버스(705)를 통해 프로세서(701)에 연결된다.
메모리(704)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하고, 프로세서(70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실행하여 상기 각 방법 실시예 중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각 단계를 구현할 수 있다.
이 밖에, 메모리(704)는 임의의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기기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기기에는 자기 또는 광 디스크,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밍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EPROM), 소거 및 프로그래밍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자기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프로그래밍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PROM)가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저장 매체에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로딩되고 실행되어 상기 각 방법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방법을 구현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경우, 컴퓨터가 상기 각 방법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당업자는 상기 실시예를 구현하는 단계의 전부 또는 일부는 하드웨어와 관련된 프로그램 명령에 의해 완료될 수 있고, 프로그램을 통해 관련 하드웨어에 명령함으로써 완료될 수도 있으며,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고, 위에서 언급한 프로그램은 판독 전용 메모리,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일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선택적인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원칙 내에서 이루어진 임의의 수정, 균등한 대체, 개선 등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30)

  1.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방법으로서,
    클라우드 플랫폼에 적용되고, 상기 방법은,
    사물 인터넷 기기로부터 제1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등록 요청은 접속 구성 정보 및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의 타깃 기기 식별자를 구비하며,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구성기에 의해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에 제공되고,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상기 구성기에 의해 사용되는 사용자 계정의 제1 액세스 토큰 및/또는 제1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함 - ;
    상기 접속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타깃 기기 식별자를 연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액세스 토큰을 포함하고, 지정된 저장 위치에는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 간의 대응 관계가 저장되며;
    상기 접속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액세스 토큰을 기반으로 계정 서비스 기기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지정된 저장 위치 간의 대응 관계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하는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구성기의 제2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등록 요청은 상기 제1 액세스 토큰 및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구비함 - ;
    상기 제1 액세스 토큰을 상기 계정 서비스 기기에 송신하여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
    검증 통과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지정된 저장 위치에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 간의 대응 관계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는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이고,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지정된 저장 위치에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지정된 저장 위치에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는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이고,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액세스 토큰 및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액세스 토큰을 계정 서비스 기기에 송신하여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
    검증 통과 메시지가 수신되면, 지정된 저장 위치에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지정된 저장 위치에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는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이고,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액세스 토큰을 포함하며;
    상기 접속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계정 서비스 기기에 식별자 획득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식별자 획득 요청은 상기 제1 액세스 토큰을 포함하고, 상기 식별자 획득 요청은 상기 계정 서비스 기기에 상기 제1 액세스 토큰을 기반으로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식별자를 피드백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됨 - ;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가 수신되면, 지정된 저장 위치에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지정된 저장 위치에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방법.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계정 서비스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상기 지정된 저장 위치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고, 지정된 저장 위치에는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 간의 대응 관계가 저장되며;
    상기 접속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지정된 저장 위치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하는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액세스 토큰 및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고, 지정된 저장 위치에는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 간의 대응 관계가 저장되며;
    상기 접속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액세스 토큰을 계정 서비스 기기에 송신하여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검증 통과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지정된 저장 위치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하는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계정 서비스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기반으로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지정된 저장 위치에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 간의 대응 관계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에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에 제2 액세스 토큰을 할당하는 단계 - 상기 제2 액세스 토큰은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의 유효 체크를 위한 것임 - ; 및
    상기 제2 액세스 토큰을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방법.
  13.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방법으로서,
    구성기에 적용되고, 상기 방법은,
    접속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상기 구성기에 의해 사용되는 사용자 계정의 제1 액세스 토큰 및/또는 제1 사용자 식별자임 - ; 및
    사물 인터넷 기기에 접속 지시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접속 지시 메시지는 적어도 상기 접속 구성 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 지시 메시지는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가 상기 접속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클라우드 플랫폼에 등록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됨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계정을 기반으로 계정 서비스 기기에 로그인하거나 제3자 권한 부여 및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계정 서비스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접속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방법.
  15.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장치로서,
    클라우드 플랫폼에 적용되고, 상기 장치는,
    사물 인터넷 기기로부터 제1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 - 상기 제1 등록 요청은 접속 구성 정보 및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의 타깃 기기 식별자를 구비하며,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구성기에 의해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에 제공되고,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상기 구성기에 의해 사용되는 사용자 계정의 제1 액세스 토큰 및/또는 제1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함 - ;
    상기 접속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결정하는 결정 모듈; 및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타깃 기기 식별자를 연관시키는 연관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액세스 토큰을 포함하고, 지정된 저장 위치에는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 간의 대응 관계가 저장되며;
    상기 결정 모듈은,
    상기 제1 액세스 토큰을 기반으로 계정 서비스 기기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획득하고;
    상기 지정된 저장 위치 간의 대응 관계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하는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모듈은 또한,
    상기 구성기의 제2 등록 요청을 수신하되, 상기 제2 등록 요청은 상기 제1 액세스 토큰 및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액세스 토큰을 상기 계정 서비스 기기에 송신하여 검증을 수행하며;
    검증 통과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생성하고;
    상기 지정된 저장 위치에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 간의 대응 관계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는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이고,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결정 모듈은,
    지정된 저장 위치에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지정된 저장 위치에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는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이고,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액세스 토큰 및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결정 모듈은,
    상기 제1 액세스 토큰을 계정 서비스 기기에 송신하여 검증을 수행하고;
    검증 통과 메시지가 수신되면, 지정된 저장 위치에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지정된 저장 위치에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는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이고,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액세스 토큰을 포함하며;
    상기 결정 모듈은,
    계정 서비스 기기에 식별자 획득 요청을 송신하되, 상기 식별자 획득 요청은 상기 제1 액세스 토큰을 포함하고, 상기 식별자 획득 요청은 상기 계정 서비스 기기에 상기 제1 액세스 토큰을 기반으로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식별자를 피드백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가 수신되면, 지정된 저장 위치에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지정된 저장 위치에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장치.
  21.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모듈은 또한,
    계정 서비스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상기 지정된 저장 위치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장치.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고, 지정된 저장 위치에는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 간의 대응 관계가 저장되며;
    상기 결정 모듈은,
    상기 지정된 저장 위치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하는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장치.
  23.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액세스 토큰 및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고, 지정된 저장 위치에는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 간의 대응 관계가 저장되며;
    상기 결정 모듈은,
    상기 제1 액세스 토큰을 계정 서비스 기기에 송신하여 검증을 수행하고;
    검증 통과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지정된 저장 위치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하는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장치.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모듈은 또한,
    계정 서비스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를 기반으로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생성하며;
    상기 지정된 저장 위치에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 간의 대응 관계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장치.
  25. 제15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모듈은 또한,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에 상기 연관될 사용자 식별자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모듈은 또한,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에 제2 액세스 토큰을 할당하되, 상기 제2 액세스 토큰은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의 유효 체크를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액세스 토큰을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장치.
  27.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장치로서,
    구성기에 적용되고, 상기 장치는,
    접속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 모듈 - 상기 접속 구성 정보는 상기 구성기에 의해 사용되는 사용자 계정의 제1 액세스 토큰 및/또는 제1 사용자 식별자임 - ; 및
    사물 인터넷 기기에 접속 지시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 모듈 - 상기 접속 지시 메시지는 적어도 상기 접속 구성 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 지시 메시지는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가 상기 접속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클라우드 플랫폼에 등록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됨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모듈은,
    상기 사용자 계정을 기반으로 계정 서비스 기기에 로그인하거나 제3자 권한 부여 및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계정 서비스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접속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장치.
  29. 기기로서,
    상기 기기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에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방법을 구현하거나 제13항 또는 제14항에 다른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30.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방법을 구현하거나 제13항 또는 제14항에 다른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227026753A 2020-02-05 2020-02-05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 KR202201378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0/074359 WO2021155515A1 (zh) 2020-02-05 2020-02-05 物联网设备的注册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7899A true KR20220137899A (ko) 2022-10-12

Family

ID=77199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6753A KR20220137899A (ko) 2020-02-05 2020-02-05 사물 인터넷 기기의 등록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377556A1 (ko)
EP (1) EP4087206A4 (ko)
JP (1) JP2023519650A (ko)
KR (1) KR20220137899A (ko)
CN (1) CN115004666A (ko)
WO (1) WO20211555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09498A (zh) * 2022-02-28 2023-09-05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及装置
WO2024040390A1 (zh) * 2022-08-22 2024-02-2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注销设备的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67596B (zh) * 2014-10-31 2018-05-22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用户终端与物联网设备绑定、通信的实现方法和装置
CN104967595B (zh) * 2014-10-31 2019-03-0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将设备在物联网平台进行注册的方法和装置
CN106960148B (zh) * 2016-01-12 2021-05-14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设备标识的分配方法和装置
US10382203B1 (en) * 2016-11-22 2019-08-13 Amazon Technologies, Inc. Associating applications with Internet-of-things (IoT) devices using three-way handshake
CN106534349B (zh) * 2016-12-09 2019-12-17 美的智慧家居科技有限公司 物联网设备与用户账号关联的方法和装置
KR101900741B1 (ko) * 2017-01-16 2018-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87206A4 (en) 2023-01-18
JP2023519650A (ja) 2023-05-12
WO2021155515A1 (zh) 2021-08-12
US20220377556A1 (en) 2022-11-24
CN115004666A (zh) 2022-09-02
EP4087206A1 (en) 2022-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8612B1 (en) Zero-touch provisioning of IoT devices with multi factor authentication
CN108337677B (zh) 网络鉴权方法及装置
CN112597472B (zh) 单点登录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7404544B (zh) 用于ip地址指派的方法和装置
US10645568B2 (en) Carrier configuration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system, and computer storage medium
US201702150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access authority for specific resour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20377556A1 (en) Internet-of-things device registration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7948203A (zh) 一种容器登录方法、应用服务器、系统及存储介质
CN110069909B (zh) 一种免密登录第三方系统的方法及装置
CN111176794B (zh) 一种容器管理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WO2014042446A2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특정 리소스에 대한 특정 권한 획득을 요청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6375442B (zh) 一种跨平台管理设备信息的方法和装置
CN104954330A (zh) 一种对数据资源进行访问的方法、装置和系统
CN111740945B (zh) 数据处理方法及装置
CN111259356B (zh) 授权方法、辅助授权组件、管理服务器和计算机可读介质
US10863345B2 (en) Technique for administrating a subscription to an administrator
CN106576239B (zh) 一种安全单元中内容管理的方法及装置
CN117093977A (zh) 用户认证方法、系统、装置、存储介质以及电子设备
CN110351719B (zh) 一种无线网络管理方法、系统及电子设备和存储介质
JP6848275B2 (ja) プログラム、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連携システム
WO2022006825A1 (zh) 物联网中的设备接入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20210037722A (ko) 인증 방법, 보조 인증 컴포넌트, 관리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CN111064675A (zh) 访问流量控制方法、装置、网络设备及存储介质
CN113992420B (zh) 一种权限管理方法、系统,电子设备和存储介质
WO2015080460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e id 할당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