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6862A - Shoes care device - Google Patents
Shoes care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36862A KR20220136862A KR1020210083302A KR20210083302A KR20220136862A KR 20220136862 A KR20220136862 A KR 20220136862A KR 1020210083302 A KR1020210083302 A KR 1020210083302A KR 20210083302 A KR20210083302 A KR 20210083302A KR 20220136862 A KR20220136862 A KR 2022013686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siccant
- flow path
- housing
- shoe
- ai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274 desicc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7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2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01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0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25
- 238000007791 dehum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0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9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1
- 229910021536 Zeo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0
- HNPSIPDUKPIQMN-UHFFFAOYSA-N dioxosilane;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Si]=O.O=[Al]O[Al]=O HNPSIPDUKPIQM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0
- 239000010457 zeo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172 regene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049 Carbon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17 carbon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909 Kieselgu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30 addi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63 ad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70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NEYBMLMFCGWSK-UHFFFAOYSA-N alumi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O-2].[O-2].[O-2].[Al+3].[Al+3] PNEYBMLMFCGWS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36 heat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29 micro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95 mi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120 nichrom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7 optim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12 sanit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41 silica 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27 silica g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04 silicate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994 synthetic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09 synthetic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0—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1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 B01J20/16—Alumino-silic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4—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408—Regenerating or reactivating of aluminosilicate molecular sie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4—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483—Regenerating or reactivating by thermal treatment not covered by groups B01J20/3441 - B01J20/3475, e.g. by heating or cool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26B21/083—Humidity by using sorbent or hygroscopic materials, e.g. chemical substances, molecular sie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발 관리기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순환 기류에 의하여 신발 관리가 이루어지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care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managing shoes by means of a circulating air flow.
신발은, 착용자의 땀이 차거나, 외부의 오염물질이 묻거나, 비나 눈 등에 의하여 젖을 수 있다.Shoes may be wet by sweat of the wearer, external contaminants, or rain or snow.
이러한 신발의 착용은 착용자를 불편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상태에서는 신발에 세균이 번식하거나 악취를 풍길 수 있다.Wearing these shoes not only makes the wearer uncomfortable, but in such a state, bacteria may grow on the shoes or give off a bad smell.
한국등록특허 제1037245호(이하, '선행문헌'이라 함)는 "신발 살균 처리 장치(Apparatus for sterilization disposal of shoes)"를 개시하며, 이에 따른 신발 살균 처리 장치는 본체, 자외선 방출 모듈, 탈취 모듈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Korean Patent No. 1037245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literature') discloses "Apparatus for sterilization disposal of shoes", and the shoe sterilization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this discloses a body, an ultraviolet emitting module, and a deodorizing module. including etc.
상기 선행문헌에 의하면, 신발을 본체의 살균 챔버 내에 위치시키고, 자외선 방출 모듈을 작동 시켜 신발의 세균 및 악취를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살균 챔버 내의 공기는 송풍관으로 흡입되고 탈취 모듈을 거쳐 배기구를 통하여 본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ior literature, the shoes are placed in the sterilization chamber of the main body, and the UV emitting module is operated to remove bacteria and odors from the shoes. Then, the air in the sterilization chamber is sucked into the blower pipe,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exhaust port through the deodorization module.
여기서 탈취 모듈은, 제올라이트, 활성탄, 및 숯 등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탈취 칼럼을 포함하고, 탈취 칼럼에 의하여, 본체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오염물질이 제거되도록 하고 있다.Here, the deodorization module includes a deodorization column made of materials such as zeolite, activated carbon, and charcoal, and by the deodorization column, contaminants are removed from the air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body to the outside.
상기 선행문헌에 의하면, 제올라이트, 활성탄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탈취 모듈에 의하여 습기가 제거된 공기를 신발 살균 처리 장치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ior literature, it is possible to discharge the air from which moisture has been removed by the deodorization module comprising zeolite, activated carbon, etc. to the outside of the shoe sterilization treatment apparatus.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에서는 신발 살균 처리 장치의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므로, 습기 또는 냄새가 충분히 제거되지 않은 공기가 신발 살균 처리 장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이러한 공기는 착용자가 거주하는 실내로 배출될 수 있다. However, in the prior document, since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hoe sterilizing device, the air from which moisture or odor has not been sufficiently removed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hoe sterilizing device, and this air is sent to the room in which the wearer resides. can be emitt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신발이 배치되는 이너캐비닛 내부의 공기를 제습제를 이용하여 제습하고 제습된 공기가 다시 이너캐비닛 내부로 공급될 수 있는 순환 기류 구조를 가지고, 제습제의 분리 및 교체가 용이한 신발 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On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humidify the air inside the inner cabinet where shoes are placed using a dehumidifying agent, and have a circulating airflow structure in which the dehumidified air can be supplied back into the inner cabinet, and separation and replacement of the dehumidifying agent It is to provide an easy-to-use shoe manag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신발을 리프레쉬(refresh)할 수 있도록 스팀 및 열풍을 제공하고 또한 제습제를 사용하여 내부의 공기의 제습이 이루어지며, 사용된 제습제의 재생이 이루어지는 신발 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On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e care device that provides steam and hot air to refresh shoes, dehumidifies the air inside using a desiccant, and regenerates the used desiccant. will do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신발 관리기의 작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응축수의 관리 및 배출이 용이한 신발 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On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e care device that facilitates management and discharge of condensed water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shoe care devic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제습제의 재생 과정에서 발생된 수분이, 건조공기가 이동하는 유로인 연결유로와 분리된 별도의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신발 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e care device in which moistur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generating a desiccant is discharged through a separate flow path separated from a connection flow path, which is a flow path through which dry air move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스팀홀에서 토출되는 스팀이 바로 흡입구로 흡입되지 않고 이너캐비닛 내부 전체로 효과적으로 분산되는 구조의 신발 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On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e manag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steam discharged from a steam hole is not directly sucked into an inlet but is effectively dispersed throughout the inner cabine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제습제블록이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도 제습제블록의 내부공간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신발 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On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e manager in which the flow rate of air supplied to the inner space of the desiccant block is stable even when the desiccant block is provided as a pai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기계실 내부에서 컨덴서가 차지하는 용적을 최소화하고, 컨덴서 내부에서 물(응축수)이 고이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신발 관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volume occupied by the condenser inside the machine room, and to provide a shoe manager that can move smoothly without water (condensate) accumulating inside the condens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제습제를 가열하는 히터의 열기가 컨덴서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구조의 신발 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e care devic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effectively blocking the transfer of heat from a heater for heating a desiccant to a condens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제습제블록의 수평방향의 길이를 확보하면서, 송풍하우징에서 송풍덕트 및 제습제블록의 내부공간(제1 유로)으로 이어지는 연결유로에서의 공기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신발 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On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while securing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desiccant block, the movement of air in the connecting flow path from the blowing housing to the internal space (first flow path) of the blowing duct and the desiccant block is performed smoothly It is to provide a shoe manag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제습제블록의 내부공간이 연결유로의 일부를 이루고, 내부공간의 공기가 제습제블록을 관통하여 이동하는 신발 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On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e manager in which the inner space of the desiccant block forms a part of the connection flow path, and the air in the inner space moves through the desiccant block.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제1 방향을 따라 제습제블록, 제1 유로 및 제2 유로의 길이를 최대한 확보하고, 제1 유로의 공기가 제습제블록을 관통하여 제2 유로로 이동하며, 제1 유로에서 제1 방향으로의 공기이동이 이루어지는 신발 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On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cure the maximum length of the desiccant block, the first flow path, and the second flow path along the first direction, and the air in the first flow path passes through the desiccant block and moves to the second flow path, To provide a shoe care device in which air moves in a first direction in a first flow path.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제습제블록의 내부공간에 히터가 위치하고, 제습제블록의 교체가 용이하며, 제습제블록의 내부 및 외부에서 제1 방향을 따라 유로가 형성되는 구조의 신발 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On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e care devic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heater is locat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desiccant block, the replacement of the desiccant block is easy, and a flow path is formed from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desiccant block along the first direction will do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제습제블록의 분리 및 교체가 가능하고, 제습제하우징에 제습제블록이 안정되게 수용되어 제2 유로의 안정적인 유지가 이루어지는, 신발 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e care device in which the desiccant block can be separated and replaced, and the desiccant block is stably accommodated in the desiccant housing to stably maintain the second flow path.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제습제블록의 형상의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제습제블록 내부에 채워지는 제습제 전체의 효율적 활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신발 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e care device in which the shape of the desiccant block is stably maintained and the entire desiccant filled in the desiccant block can be efficiently utiliz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신발 관리기의 벽면을 통하여 컨덴서의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신발 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On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e care device in which heat exchange of a condenser can be made through a wall surface of the shoe care devic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송풍하우징의 직경을 최대한 크게 형성하여 송풍장치의 두께가 얇더라도 출력을 높일 수 있는 구조의, 신발 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On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e manager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increasing the output even if the thickness of the blower is thin by forming the diameter of the blower housing as large as possibl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이너캐비닛 내부를 개방할 필요없이 제습제블록의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는 신발 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On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e care device in which the desiccant block can be replaced without the need to open the inner cabine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제습제블록의 교체가 이루어지면서도, 제습제블록의 내부 및 외부의 유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구조의 신발 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e care devic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flow paths inside and outside the desiccant block can be stably maintained while the desiccant block is replaced.
본 출원에서 기술되는 신발 관리기는, 이너캐비닛, 흡입구, 토출구, 연결유로, 히터, 송풍장치 및 제습제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shoe care device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an inner cabinet, an intake port, a discharge port, a connection passage, a heater, a blower, and a desiccant block.
상기 신발 관리기는 스팀제너레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팀제너레이터는 상기 이너캐비닛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The shoe manager may include a steam generator. The steam generator is configured to supply steam into the inner cabinet.
상기 신발 관리기는, 댐퍼, 댐퍼하우징, 섬프, 재생유로 및 컨덴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shoe manager may include a damper, a damper housing, a sump, a regeneration flow path, and a condenser.
상기 신발 관리기는 기계실, 급수통, 배수통 및 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shoe care device may include a machine room, a water supply container, a drain container, and a door.
상기 제습제블록은 제1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The desiccant block may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first direction.
상기 제1 방향은 수평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The first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parallel to a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습제블록에서 상기 토출구 쪽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The first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from the desiccant block toward the outlet.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신발 관리기의 전후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The first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shoe manager.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신발 관리기의 좌우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The first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shoe manager.
이너캐비닛은, 그 내부에 신발이 수용되도록 이루어진다.The inner cabinet is made to accommodate shoes therein.
상기 이너캐비닛의 바닥은 수평방향으로 평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bottom of the inner cabinet may be made flat in a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이너캐비닛의 바닥은 어느 한쪽으로 경사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bottom of the inner cabinet may be inclined to one side.
상기 이너캐비닛의 바닥은 앞쪽이 하향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ottom of the inner cabinet may be formed in a downwardly inclined shape in front.
상기 이너캐비닛의 바닥에는,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스팀이 배출되는 스팀홀이 형성될 수 있다.A steam hole through which steam of the steam generator is discharged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inner cabinet.
상기 이너캐비닛의 바닥에서 상기 스팀홀은, 상기 흡입구의 반대쪽에 위치하되 상기 토출구와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At the bottom of the inner cabinet, the steam hole may be located opposite the suction port but adjacent to the discharge port.
상기 기계실은 상기 이너캐비닛 아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은, 상기 연결유로, 상기 송풍장치, 상기 제습제블록(및 제습제), 상기 히터, 상기 섬프, 상기 재생유로, 상기 컨덴서, 및 상기 스팀제너레이터를 수용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계실은 상기 급수통 및 상기 배수통을 수용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machine room may be provided under the inner cabinet. The machine room may be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connection passage, the blower, the desiccant block (and the desiccant), the heater, the sump, the regeneration passage, the condenser, and the steam generator. The machine room may be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water supply tube and the drain tube.
상기 기계실에 결합되거나 수용되는 구성들은 각각, 상기 기계실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Each of the components coupled or accommodated in the machine room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machine room.
상기 기계실은 제1 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machine room may comprise a first wall.
상기 제1 벽은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거나 경사진 벽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 벽에는 교체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교체홀은, 상기 제습제블록이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인입되거나 인출되도록 관통된 구멍을 이룬다.The first wall may form a wall perpendicular to or inclined to the first direction. A replacement hole may be formed in the first wall. The replacement hole forms a hole through which the desiccant block is drawn in or drawn ou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상기 신발 관리기는 교체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shoe manager may include a replacement door.
상기 교체도어는 상기 교체홀을 개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교체도어는 상기 기계실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The replacement door may be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replacement hole. The replacement door may be hinged to the machine room.
상기 흡입구는, 상기 이너캐비닛 내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연결유로의 시작부분을 이룰 수 있다. 상기 흡입구는 상기 연결유로의 입구를 이룰 수 있다. 상기 흡입구는 상기 이너캐비닛의 바닥(캐비닛바닥판)에 형성되거나 상기 이너캐비닛의 바닥과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suction port may form a start part of a connection flow path through which air inside the inner cabinet is sucked. The suction port may form an inlet of the connection passage. The suction port may be formed in the bottom (cabinet bottom plate) of the inner cabinet or may be formed adjacent to the bottom of the inner cabinet.
상기 흡입구는, 상기 이너캐비닛의 바닥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The suction port may be formed at an edge of the bottom of the inner cabinet.
상기 흡입구는, 상기 이너캐비닛의 바닥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The suction port may be formed along the first direction at an edge of the bottom of the inner cabinet.
상기 흡입구는 상기 이너캐비닛의 바닥의 앞쪽에 위치할 수 있다.The suction port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bottom of the inner cabinet.
상기 흡입구는 상기 제2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캐비닛바닥판의 앞쪽부분 또는 뒤쪽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The suction port may be formed in a front portion or a rear portion of the cabinet bottom plate with respect to the second direction.
상기 토출구는, 상기 이너캐비닛 내부로 공기가 토출되는, 연결유로의 마지막부분을 이룰 수 있다. 상기 토출구는 상기 연결유로의 출구를 이룰 수 있다. 상기 토출구는 상기 이너캐비닛의 바닥(캐비닛바닥판)에 형성되거나 상기 이너캐비닛의 바닥과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discharge port may form the last part of the connection flow path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into the inner cabinet. The discharge port may form an exit of the connection flow path. The discharge port may be formed on a bottom (cabinet bottom plate) of the inner cabinet or may be formed adjacent to the bottom of the inner cabinet.
상기 토출구는 상기 이너캐비닛의 바닥의 뒤쪽에 위치할 수 있다.The discharge port may be located at the rear of the bottom of the inner cabinet.
상기 토출구는, 상기 이너캐비닛의 바닥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The discharge port may be formed along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t an edge of a bottom of the inner cabinet.
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토출구로 연결되는 공기의 이동 통로를 이룬다.The connection flow path forms a movement path of air connected from the suction port to the discharge port.
상기 연결유로는 제1 구간, 제2 구간 및 제3 구간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nection flow path may include a first section, a second section, and a third section.
상기 제1 구간은 상기 흡입구와 연결되는 구간일 수 있다.The first section may be a section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상기 제1 구간은 상기 흡입구와 연결되고 상기 송풍장치가 위치하는 구간일 수 있다.The first section may be a section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and in which the blower is located.
상기 제2 구간은, 상기 제1 구간에서 연결되고 상기 제습제블록이 위치하는 구간일 수 있다.The second section may be a section connected to the first section and in which the desiccant block is located.
상기 제3 구간은, 상기 제2 구간과 상기 토출구를 연결하는 구간일 수 있다.The third section may be a section connecting the second section and the discharge port.
상기 신발 관리기는 흡입덕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shoe manager may include a suction duct.
상기 흡입덕트는 상기 연결유로의 일부를 이룬다. The suction duct forms a part of the connection passage.
상기 신발 관리기는 송풍덕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shoe manager may include a blowing duct.
상기 송풍덕트는 상기 연결유로의 일부를 이룬다. The blowing duct forms a part of the connection passage.
상기 송풍덕트는 상기 기계실에 수용될 수 있다.The blowing duct may be accommodated in the machine room.
상기 히터는 상기 연결유로에 위치한다. The heater is located in the connection passage.
상기 히터는 상기 연결유로의 일부 공간의 공기를 가열하도록 이루어진다. The heater is configured to heat air in a portion of the connection passage.
상기 히터는 상기 제습제블록을 가열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히터는 상기 제습제블록을 이루는 제습제를 가열하도록 이루어진다.The heater is configured to heat the desiccant block. The heater is configured to heat the desiccant constituting the desiccant block.
상기 히터는 상기 제습제블록의 내부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The heater may be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desiccant block.
상기 히터는 자유단부 및 고정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heater may include a free end and a fixed end.
상기 자유단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The free end may be formed along the first direction.
상기 고정단부는, 상기 제1 방향의 앞쪽에서 상기 자유단부로부터 하측방향으로 굽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xed end may be bent downward from the free end at the front of the first direction.
상기 신발 관리기는 히터플랜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shoe manager may include a heater flange.
상기 히터플랜지는 금속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heater flange may be made of metal.
상기 히터플랜지는 수평판 및 수직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heater flange may include a horizontal plate and a vertical plate.
상기 수평판은 상기 고정단부가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The horizontal plate is made such that the fixed end is fixed.
상기 수직판은 상기 수평판에서 상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수직판은 상기 제습제블록의 내부공간을 차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직판은, 상기 제1 방향의 앞쪽에서 상기 제1 유로를 차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vertical plate extends upward from the horizontal plate. The vertical plate may be configured to shield the inner space of the desiccant block. The vertical plate may be configured to shield the first flow path from a front side in the first direction.
상기 흡입덕트는 상기 흡입구에서 아래쪽으로 연결된다. 상기 흡입덕트는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송풍장치로 연결된다.The suction duct is connected downward from the suction port. The suction duct is connected from the suction port to the blower.
상기 흡입덕트는 상부덕트, 중간덕트 및 하부덕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suction duct may include an upper duct, an intermediate duct and a lower duct.
상기 상부덕트는 상기 흡입구에서 아래쪽으로 연결되는 부분을 이룬다.The upper duct forms a portion connected downward from the suction port.
상기 중간덕트는, 상기 상부덕트에서 아래쪽에서 연결되고 안쪽으로 휘어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intermediate duct may be connected from the lower side in the upper duct and formed in a curved shape inward.
상기 하부덕트는, 상기 중간덕트에서 아래쪽으로 연결되는 부분을 이룬다.The lower duct forms a portion connected downward from the intermediate duct.
상기 송풍장치는, 상기 연결유로에 공기흐름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진다.The blower is configured to generate an air flow in the connection passage.
상기 송풍장치는 상기 연결유로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The blower may form a part of the connection passage.
상기 송풍장치는 상기 흡입덕트와 상기 송풍덕트를 서로 연결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blower may be configured to connect the suction duct and the blower duct to each other.
상기 송풍장치는 상기 하부덕트와 상기 송풍덕트를 서로 연결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blower may be configured to connect the lower duct and the blower duct to each other.
상기 송풍장치는 상기 흡입구 및 상기 토출구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The blower may be located below the suction port and the discharge port.
상기 송풍장치는 송풍팬 및 송풍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blower may include a blower fan and a blower housing.
상기 송풍팬은,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고 수평방향인 제2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blower fan may be configured to rotate about a rotation axis in a second direction that is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and is a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송풍하우징은, 상기 송풍팬을 수용하고 상기 연결유로의 일부를 이루며 상기 송풍덕트와 연통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blower housing may be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blower fan, form a part of the connection flow path, and communicate with the blower duct.
상기 송풍팬의 회전축은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송풍덕트보다 앞에 위치할 수 있다.The rotating shaft of the blowing fan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blowing duct in the first direction.
상기 송풍하우징은, 상기 송풍팬의 회전축 상에서 상기 흡입덕트와 연결되고, 그 테두리에서 상기 송풍덕트와 연결될 수 있다.The blowing housing may be connected to the suction duct on a rotational shaft of the blowing fan, and connected to the blowing duct at an edge thereof.
상기 송풍하우징 및 상기 송풍덕트는 서로 함께, 상기 송풍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한 나선형의 통로를 이룰 수 있다.The blowing housing and the blowing duct may form a spiral passage with each other about the rotational axis of the blowing fan.
상기 송풍하우징은, 상기 제습제블록보다 상기 제1 방향의 뒤쪽으로 더 돌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blower housing may be formed to protrude further to the rear of the desiccant block in the first direction than the desiccant block.
상기 제습제블록은 상기 연결유로에 위치한다.The desiccant block is located in the connection passage.
상기 제습제블록은 내측매쉬, 외측매쉬 및 제습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desiccant block may include an inner mesh, an outer mesh, and a desiccant.
상기 제습제블록은 제1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desiccant block may include a first frame.
상기 내측매쉬는 내부공간을 이루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측매쉬의 내부공간에 상기 히터가 수용될 수 있다.The inner mesh has a structure forming an inner space. The heater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inner mesh.
상기 외측매쉬는, 상기 내측매쉬의 외측에 위치한다.The outer mesh is located outside the inner mesh.
상기 제습제는, 상기 내측매쉬와 상기 외측매쉬 사이에 채워진다.The desiccant is filled between the inner mesh and the outer mesh.
상기 내측매쉬의 내부공간은, 상기 연결유로의 일부인 제1 유로를 이룬다. 상기 히터는 상기 제1 유로에 위치할 수 있다.The inner space of the inner mesh forms a first flow path that is a part of the connection flow path. The heater may be located in the first flow path.
상기 외측매쉬의 외부공간은, 상기 연결유로의 일부인 제2 유로를 이룬다.The outer space of the outer mesh forms a second flow path that is a part of the connection flow path.
상기 이너캐비닛의 바닥판과 상기 제습제블록 사이의 공간이 상기 제2 유로를 이룰 수 있다.A space between the bottom plate of the inner cabinet and the desiccant block may form the second flow path.
상기 내측매쉬 및 상기 외측매쉬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단면(section)이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inner mesh and the outer mesh may have a constant section along the first direction.
상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내측매쉬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고, 상기 제습제블록을 관통하면서 상기 제1 유로에서 상기 제2 유로로 흐른다.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uction port flows into the inner space of the inner mesh and flows from the first flow path to the second flow path while passing through the desiccant block.
상기 제습제는, 상기 이너캐비닛의 바닥의 아래에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The desiccant may be formed under the bottom of the inner cabinet along the first direction.
제1 유로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flow path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first direction.
상기 제1 방향이 상기 제1 유로의 길이방향일 때, 상기 제1 유로의 길이는 상기 제1 유로의 폭 및 높이보다 길게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first direction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flow path, a length of the first flow path may be longer than a width and a height of the first flow path.
상기 제습제블록은, 수평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관 또는 터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desiccant block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tube or a tunnel formed along a horizontal direction.
상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습제블록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하면서 흐를 수 있다.The air introduced into the suction port may flow while passing through the desiccant block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상기 제습제블록의 두께는, 위쪽 부분이 아래쪽 부분보다 더 두껍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desiccant block may be made thicker in the upper part than in the lower part.
상기 제습제블록은, 천장부, 제1 측벽부 및 제2 측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desiccant block may include a ceiling portion, a first sidewall portion, and a second sidewall portion.
상기 천장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The ceiling portion may be formed along the first direction.
상기 제1 측벽부는, 상기 천장부의 일측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idewall part may extend downward from one side of the ceiling part and may be formed along the first direction.
상기 제2 측벽부는, 상기 천장부의 타측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측벽부와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sidewall portion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other side of the ceiling portion and be parallel to the first sidewall portion.
상기 천장부, 상기 제1 측벽부 및 상기 제2 측벽부는 각각 상기 내측매쉬, 상기 외측매쉬, 및 상기 제습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ceiling portion, the first sidewall portion, and the second sidewall portion may each include the inner mesh, the outer mesh, and the desiccant.
상기 천장부, 상기 제1 측벽부 및 상기 제2 측벽부는 각각 상기 내측매쉬, 상기 외측매쉬, 상기 제습제 및 상기 제1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ceiling portion, the first sidewall portion, and the second sidewall portion may each include the inner mesh, the outer mesh, the desiccant, and the first frame.
상기 천장부, 상기 제1 측벽부 및 상기 제2 측벽부의 내부공간은, 상기 제1 유로를 이룰 수 있다.The interior space of the ceiling part, the first side wall part, and the second side wall part may form the first flow path.
상기 천장부, 상기 제1 측벽부 및 상기 제2 측벽부의 외부공간은, 상기 제2 유로를 이룰 수 있다.External spaces of the ceiling part, the first sidewall part, and the second sidewall part may form the second flow path.
상기 히터는 상기 천장부, 상기 제1 측벽부 및 상기 제2 측벽부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heater may be formed to be surrounded by the ceiling part, the first sidewall part, and the second sidewall part.
상기 제습제블록의 내부공간은, 상기 제1 방향의 뒤쪽 및 앞쪽이 각각 차폐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제습제블록의 내부공간의 가장 앞쪽 및 가장 뒤쪽이 각각 차폐될 수 있다.The inner space of the desiccant block may be formed such that the rear and the front in the first direction are each shielded. In the first direction, the frontmost and rearmost portions of the inner space of the desiccant block may be shielded, respectively.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제1 유로는 앞쪽 및 뒤쪽이 차폐될 수 있다.In the first direction, front and rear sides of the first flow path may be shielded.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제1 유로는 앞쪽 및 뒤쪽이 밀폐될 수 있다.In the first directi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first flow path may be sealed.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내측매쉬 및 상기 외측매쉬의 테두리를 따라 결합된다. 상기 제1 프레임에, 상기 내측매쉬와 상기 외측매쉬가 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frame is coupled along the edges of the inner mesh and the outer mesh. To the first frame, the inner mesh and the outer mesh may be fixed.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거나 경사진 면을 이룰 수 있다.The first frame may form a surface perpendicular to or inclined to the first direction.
상기 연결유로의 공기는 상기 제1 방향의 뒤쪽에서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습제블록의 상기 제1 방향의 앞쪽 면을 이룰 수 있다.Air of the connection passage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from a rear side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first frame may form a front surface of the desiccant block in the first direction.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천장부, 상기 제1 측벽부 및 상기 제2 측벽부의 앞면을 이룰 수 있다.The first frame may form front surfaces of the ceiling portion, the first sidewall portion, and the second sidewall portion in the first direction.
상기 제1 프레임은 막음부 및 개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frame may include a blocking portion and an opening.
상기 막음부는,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제습제를 차폐하도록, 상기 외측매쉬보다 상기 내측매쉬와 가까운 쪽에서 막힌 면을 이룰 수 있다.The blocking portion may form a blocked surface on a side closer to the inner mesh than the outer mesh to shield the desiccant in the first direction.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제습제를 차폐하지 않도록, 상기 내측매쉬보다 상기 외측매쉬와 가까운 쪽에서 관통된 구멍을 이룰 수 있다.The opening may form a through hole in the side closer to the outer mesh than the inner mesh so as not to shield the desiccant in the first direction.
상기 개구부는, 상기 천장부, 상기 제1 측벽부 및 상기 제2 측벽부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The opening may be formed in all of the ceiling part, the first sidewall part, and the second sidewall part.
상기 제습제블록은 제2 프레임 및 제3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desiccant block may include a second frame and a third frame.
상기 제습제블록은 제4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desiccant block may include a fourth frame.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방향의 앞쪽에서 상기 제습제블록의 내부공간을 차폐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frame may shield the inner space of the desiccant block from the front in the first direction, and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상기 제3 프레임은, 연직방향에서 상기 하우징입구와 대응되게 위치하고, 상기 천장부의 외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The third frame may b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housing inle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b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eiling part.
상기 제3 프레임은 상기 제습제블록에서 상기 제1 방향의 뒤쪽으로 치우쳐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frame may be formed to be biased backward in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desiccant block.
상기 제4 프레임은,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천장부, 상기 제1 측벽부 및 상기 제2 측벽부의 뒷면을 이룰 수 있다.The fourth frame may form a rear surface of the ceiling portion, the first sidewall portion, and the second sidewall portion in the first direction.
상기 제습제블록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습제블록은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desiccant block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The desiccant block may be provided as a pair.
상기 제습제블록은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The desiccant block may be arranged along a second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상기 신발 관리기는 제습제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shoe manager may include a desiccant housing.
상기 제습제하우징은, 하우징바닥판 및 하우징입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desiccant housing may include a housing bottom plate and a housing inlet.
상기 제습제하우징은 제습제후방벽 및 제습제전방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desiccant housing may include a desiccant rear wall and a desiccant front wall.
상기 제습제하우징은 제습제좌측벽 및 제습제우측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desiccant housing may include a left side wall of the desiccant and a right side wall of the desiccant.
상기 하우징바닥판은 상기 제습제블록이 안착되는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housing bottom plate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on which the desiccant block is seated.
상기 하우징입구는, 상기 하우징바닥판에 형성되는 구멍으로서 상기 제습제블록의 내부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를 이룬다. 상기 하우징입구는 상기 제1 유로로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를 이룬다.The housing inlet is a hole formed in the housing bottom plate and forms an inle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desiccant block. The housing inlet forms an inle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flow path.
상기 하우징입구는 상기 천장부의 저면과 마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housing inlet may be formed to face a bottom surface of the ceiling part.
상기 하우징입구는, 상기 제습제하우징에서 상기 제1 방향의 뒤쪽으로 치우쳐 형성될 수 있다.The housing inlet may be formed to be biased toward the rear of the desiccant housing in the first direction.
상기 천장부는, 상기 하우징입구와 가까운 쪽이 상기 하우징입구와 먼쪽보다 두껍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ceiling portion, a side closer to the housing inlet may be made thicker than a side farther from the housing inlet.
상기 제습제후방벽은 상기 하우징바닥판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습제후방벽은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습제블록의 뒤에 위치한다. 상기 제습제후방벽은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습제블록의 뒷면에 밀착되거나 근접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desiccant rear wall extends upwardly from the housing bottom plate. The desiccant rear barrier is positioned behind the desiccant block in the first direction. The desiccant rear barrier may be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or close to the rear surface of the desiccant block based on the first direction.
상기 제습제전방벽은 상기 하우징바닥판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습제전방벽은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습제블록의 앞에 위치한다. 상기 제습제전방벽은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습제블록 및 상기 수직판으로부터 앞쪽으로 이격된다. 상기 제습제전방벽에는, 상기 제2 유로의 공기가 이동하도록 제1 방향으로 관통된 하우징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The desiccant front wall extends upwardly from the housing bottom plate. The desiccant front wall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desiccant block in the first direction. The desiccant front wall is spaced forward from the desiccant block and the vertical plate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A housing outlet penetrating in the first direction may be formed in the front wall of the desiccant to allow the air of the second flow path to move.
상기 제습제좌측벽은,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습제블록의 좌측에서 상기 제습제후방벽과 상기 제습제전방벽을 연결한다.The left side wall of the desiccant connects the rear wall of the desiccant and the front wall of the desiccant on the left side of the desiccant block in the first direction.
상기 제습제우측벽은,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습제블록의 우측에서 상기 제습제후방벽과 상기 제습제전방벽을 연결한다.The desiccant right wall connects the desiccant rear wall and the desiccant front wall on the right side of the desiccant block in the first direction.
상기 제2 유로가 구비되도록, 상기 제습제좌측벽의 내측면은 상기 제1 측벽부의 외측면과 이격되게 마주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n inner surface of the left side wall of the desiccant may be configured to face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side wall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second flow path is provided.
상기 제2 유로가 구비되도록, 상기 제습제우측벽의 내측면은 상기 제2 측벽부의 외측면과 이격되게 마주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n inner surface of the right side wall of the desiccant may be configured to face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second flow path is provided.
상기 제습제하우징은 제1 가이드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desiccant housing may include a first guide protrusion.
상기 제1 가이드돌기는, 상기 제습제좌측벽 및 상기 제습제우측벽의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습제블록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guide protrusion may be formed to support the desiccant block by protruding inward from inner surfaces of the desiccant left wall and the desiccant right wall.
상기 제습제블록은 제2 가이드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desiccant block may include a second guide protrusion.
상기 제2 가이드돌기는, 상기 제1 측벽부 및 상기 제2 측벽부의 외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습제좌측벽 또는 상기 제습제우측벽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guide protrusion may be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 portions an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left side wall of the desiccant or the right side wall of the desiccant.
상기 송풍덕트는 상기 연결유로의 일부를 이룬다. 상기 송풍덕트는 상기 제습제로 공급되는 공기의 통로를 이룬다. 상기 송풍덕트는, 상기 송풍장치를 거친 공기가 상기 제1 유로 쪽으로 이동하는 통로를 이룬다. 상기 송풍덕트는 상기 송풍장치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입구로 연결된다. 상기 송풍덕트는 상기 송풍장치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입구로 연결될 수 있다.The blowing duct forms a part of the connection passage. The blowing duct forms a passage for air supplied to the desiccant. The blowing duct form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passing through the blower moves toward the first flow path. The blowing duct extends from the blower and is connected to the housing inlet. The blowing duct may extend upwardly from the blower and be connected to the housing inlet.
상기 송풍덕트의 출구가 상기 하우징입구에 결합될 수 있다.An outlet of the blowing duct may be coupled to the housing inlet.
상기 송풍덕트는 상기 제1 방향의 뒤쪽으로 볼록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lowing duct may have a structure convex backward in the first direction.
상기 송풍덕트는, 상기 제습제블록의 아래에서 상기 급수통과 상기 배수통 사이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blowing duct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water supply tube and the drain tube under the desiccant block.
상기 송풍덕트는, 상기 제습제블록보다 상기 제1 방향의 뒤쪽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The blowing duct may protrude further to the rear of the desiccant block in the first direction than the desiccant block.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송풍덕트의 후단 내측면은 상기 제1 유로의 후단과 같거나 더 뒤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Based on the first direc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blowing duct may be formed to be positioned at the same as or later than the rear end of the first flow path.
상기 송풍덕트는,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2 방향의 폭이 연속적으로 넓어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blowing duct may be formed such that the width in the second direction is continuously widened toward the upper side.
상기 송풍덕트는, 하부송풍덕트 및 상부송풍덕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blowing duct may include a lower blowing duct and an upper blowing duct.
상기 하부송풍덕트는 상기 송풍장치에 연결된다. 상기 하부송풍덕트는 상기 송풍장치의 송풍하우징과 연통된다.The lower blowing duct is connected to the blower. The lower blowing duct communicates with the blowing housing of the blower.
상기 상부송풍덕트는 상기 하부송풍덕트에서 상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상부송풍덕트는 상기 하우징입구에 연통되게 결합될 수 있다.The upper blowing duct extends upward from the lower blowing duct. The upper blowing duct may be coupled to communicate with the housing inlet.
상기 상부송풍덕트는 상기 제2 방향의 폭이 상기 하부송풍덕트보다 넓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upper blowing duct may have a width in the second direction wider than that of the lower blowing duct.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하부송풍덕트의 폭은 상기 상부송풍덕트의 폭보다 넓고, 상기 하부송풍덕트의 후단은 상기 상부송풍덕트의 후단보다 뒤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first direction, the width of the lower blowing duct may be wider than the width of the upper blowing duct, and the rear end of the lower blowing duct may be positioned behind the rear end of the upper blowing duct.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송풍하우징의 폭은 상기 하부송풍덕트의 폭과 같거나 좁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second direction, a width of the blowing housing may be equal to or narrower than a width of the lower blowing duct.
상기 이너캐비닛의 바닥인 캐비닛바닥판은 상기 이너캐비닛과 상기 기계실의 경계면을 이룰 수 있다. A cabinet bottom plate, which is the bottom of the inner cabinet, may form a boundary surface between the inner cabinet and the machine room.
상기 캐비닛바닥판은 수평방향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cabinet bottom plate may be formed parallel to a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캐비닛바닥판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향경사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cabinet bottom plate may be inclined upward in the first direction.
상기 캐비닛바닥판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향경사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cabinet bottom plate may be inclined upward in the second direction.
상기 신발 관리기는 제습제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shoe manager may include a desiccant cover.
상기 제습제덮개는, 상기 이너캐비닛의 바닥인 캐비닛바닥판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제습제덮개는 상기 제습제블록을 이격되게 차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습제덮개와 상기 제습제블록의 사이의 공간은 상기 제2 유로를 이룰 수 있다.The desiccant cover may form all or part of a cabinet bottom plate that is the bottom of the inner cabinet. The desiccant cover may be configured to shield the desiccant block to be spaced apart. A space between the desiccant cover and the desiccant block may form the second flow path.
상기 캐비닛바닥판에는 개구인 바닥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습제덮개는 상기 바닥홀을 개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습제덮개는 상기 이너캐비닛에 착탈될 수 있다. 상기 제습제덮개는 상기 캐비닛바닥판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A bottom hole as an opening may be formed in the cabinet bottom plate, and the desiccant cover may be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bottom hole. The desiccant cover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inner cabinet. The desiccant cover may be hinged to the cabinet bottom plate.
상기 제습제덮개는 제3 가이드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desiccant cover may include a third guide protrusion.
상기 제3 가이드돌기는, 상기 제습제덮개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습제블록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third guide protrusion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desiccant cover to support the desiccant block.
상기 섬프는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섬프는 상기 제습제보다 아래에 위치한다.The sump has a structure capable of accommodating water. The sump is located below the desiccant.
상기 섬프는, 상기 흡입덕트의 하측부분을 이룰 수 있다.The sump may form a lower portion of the suction duct.
상기 급수통은 물을 저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급수통은 상기 스팀제너레이터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급수통은 상기 기계실의 앞쪽에 위치할 수 있다. The water tank is configured to store water. The water supply container may be configured to store water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The water supply tank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machine room.
상기 급수통은, 상기 제1 벽의 외측에서 노출되도록 상기 기계실에 결합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 tank may be coupled to the machine room so as to be exposed from the outside of the first wall.
상기 배수통은 물을 저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신발 관리기 내부의 물이 상기 배수통으로 이동하여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배수통은 상기 신발 관리기 내부에서 응축된 물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배수통은 상기 섬프에서 배수된 물이 저장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수통은 상기 기계실의 앞쪽에 위치할 수 있다.The drain container is configured to store water. The water inside the shoe care machine may be stored by moving to the drain container. The drain container may store water condensed in the shoe care device. The drain container may be configured to store water drained from the sump. The drain tube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machine room.
상기 배수통은, 상기 제1 벽의 외측에서 노출되도록 상기 기계실에 결합될 수 있다.The drain tube may be coupled to the machine room so as to be exposed from the outside of the first wall.
상기 급수통과 상기 배수통은, 연직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한 면을 이루는 기준면을 중심으로 양쪽에 배치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 tube and the drain tube may be formed along a vertical direction and dispos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a reference plane forming a plane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상기 송풍덕트는 상기 기준면에 배치될 수 있다.The blowing duct may be disposed on the reference plane.
상기 제습제블록, 상기 교체홀 및 상기 교체도어는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기준면을 중심으로 양쪽에 배치되고, 상기 급수통과 상기 배수통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The desiccant block, the replacement hole, and the replacement door may be provided as a pair, dispos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lane, and disposed above the water supply container and the drain container.
상기 급수통 및 상기 배수통은, 상기 기계실에서 착탈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water supply tube and the drain tube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machine room.
상기 급수통 및 상기 배수통은 각각, 상기 제1 벽의 외측방향으로 상기 기계실에서 분리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Each of the water supply tube and the drain tube may be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the machine room in an outer direction of the first wall.
상기 도어는 상기 이너캐비닛 및/또는 상기 기계실에 연직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door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inner cabinet and/or the machine room about a rotation axis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도어는, 상기 제1 벽과 같은 쪽에서 상기 이너캐비닛을 개폐하도록 상기 이너캐비닛에 결합될 수 있다.The door may be coupled to the inner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inner cabinet on the same side as the first wall.
상기 도어는, 상기 이너캐비닛, 상기 급수통 및 상기 배수통을 노출시키거나 차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이너캐비닛, 상기 급수통 및 상기 배수통의 앞을 개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door may be configured to expose or shield the inner cabinet, the water supply container, and the drain container. The door may be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fronts of the inner cabinet, the water supply container, and the drain container.
상기 재생유로는, 상기 제습제를 거친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를 이룬다.The regeneration flow path form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desiccant moves.
상기 재생유로는 상기 연결유로에서 분기된다. 상기 재생유로는 상기 연결유로의 상기 제3 구간에서 분기될 수 있다. 상기 재생유로는 상기 섬프로 이어진다.The regeneration passage is branched from the connection passage. The regeneration passage may be branched in the third section of the connection passage. The regeneration flow path leads to the sump.
상기 재생유로는, 상기 연결유로에 연결된 지점부터 상기 섬프에 연결된 지점까지 순차적으로 낮아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regeneration flow path may be sequentially lowered from a point connected to the connection flow path to a point connected to the sump.
상기 댐퍼는, 상기 제3 구간을 차단하거나 상기 재생유로를 차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damper may be configured to block the third section or block the regeneration flow path.
상기 댐퍼하우징은, 상기 제3 구간을 이룬다. 상기 댐퍼하우징은 상기 댐퍼를 수용하도록 이루어진다.The damper housing forms the third section. The damper housing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damper.
상기 댐퍼하우징의 바닥에는, 상기 재생유로의 입구를 이루는 재생유로홀이 형성된다.A regeneration passage hole forming an inlet of the regeneration passage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damper housing.
상기 댐퍼는, 상기 댐퍼하우징의 내부 및 상기 재생유로홀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댐퍼는, 상기 댐퍼하우징의 내부 및 상기 재생유로홀을 선택적으로 밀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damper may be configured to selectively shield the inside of the damper housing and the regeneration passage hole. The damper may be configured to selectively seal the inside of the damper housing and the regeneration passage hole.
상기 컨덴서는 상기 재생유로의 일부를 이룬다.The capacitor forms a part of the regeneration flow path.
상기 컨덴서는, 상기 제습제보다 낮고 상기 섬프보다 높게 위치한다. 상기 컨덴서는 금속성으로 이루어진다.The condenser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desiccant and higher than the sump. The capacitor is made of metal.
상기 컨덴서는, 컨덴서입구, 컨덴서출구 및 컨덴서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condenser includes a condenser inlet, a condenser outlet, and a condenser flow path.
상기 컨덴서입구는 상기 연결유로쪽과 연결된다.The condenser inlet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ssage side.
상기 컨덴서출구는 상기 섬프쪽과 연결된다.The condenser outlet is connected to the sump side.
상기 컨덴서유로는, 상기 컨덴서입구와 상기 컨덴서출구를 연결한다.The condenser flow path connects the condenser inlet and the condenser outlet.
상기 컨덴서유로는, 상기 컨덴서입구에서 상기 컨덴서출구까지 순차적으로 낮아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denser flow path may be sequentially lowered from the condenser inlet to the condenser outlet.
상기 컨덴서유로는 지그재그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컨덴서유로는, 연직방향의 평면과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The capacitor flow path may be formed in a zigzag shape. The capacitor flow path may be arranged parallel to a plane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컨덴서는 상기 제3 구간 및 상기 댐퍼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다.The capacitor may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third section and the damper.
상기 흡입덕트를 기준으로 상기 컨덴서는 상기 히터의 반대쪽에 위치할 수 있다.Based on the suction duct, the capacitor may be located opposite the heater.
상기 하부덕트를 기준으로 상기 컨덴서는 상기 송풍장치의 반대쪽에 위치할 수 있다.With respect to the lower duct, the condenser may be positioned opposite to the blower.
상기 흡입덕트는 상기 히터와 상기 컨덴서를 서로 차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suction duct may be configured to shield the heater and the capacitor from each other.
상기 컨덴서는 상기 급수통 또는 상기 배수통 뒤에 위치할 수 있다.The condenser may be located behind the water supply tube or the drain tube.
상기 컨덴서는, 상기 기계실의 좌측벽 또는 우측벽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The condenser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a left or right wall of the machine room.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이너캐비닛과 기계실이 상하로 배치된다. 제습, 탈취 및 가습에 효과적인 제올라이트(제습제)가 기계실에 구비되고, 이러한 제습제를 거친 공기가 이너캐비닛 내부로 재유입되면서 연결유로를 순환하고, 또한 제올라이트의 재생시 응축수가 재생유로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제습제의 활용(공기의 제습, 제습제의 재생 등)이 우수하게 이루어지고, 신발의 관리 과정에서 사용되는 공기가 신발 관리기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며, 효과적인 신발관리가 이루어지는 신발 관리기를 제공할 수 있다.In the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cabinet and the machine room are arranged vertically. A zeolite (desiccant) effective for dehumidification, deodorization and humidification is provided in the machine room, and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desiccant is re-introduced into the inner cabinet and circulates through the connection passage, and also condensed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regeneration passage when the zeolite is regenerated. . Accordingly, the use of the dehumidifier (dehumidification of air, regeneration of the dehumidifier, etc.) is excellent, the air used in the process of managing shoes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hoe manager,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hoe manager with effective shoe management. hav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는, 제습제블록이 기계실에서 분리 및 교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신발 관리기의 구조는, 제습제블록 및 신발 관리기 전체의 유지 및 관리에 유리한 이점을 제공한다. The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desiccant block is detachable and replaceable in the machine room. The structure of such a shoe care device provides an advantageous advantage in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the desiccant block and the shoe care device as a who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흡입덕트는 흡입구의 하측으로 연장되고, 용기 구조의 흡입덕트의 하부(하부송풍덕트의 가장 아래쪽 부분)가 섬프를 이룬다. 흡입덕트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수분 또는 응축수 등이 섬프로 이동하여 집수된 후 외부로 배출되거나 스팀제너레이터 등으로 압송될 수 있으며, 응축수의 관리 및 배출이 용이한 신발 관리기를 제공할 수 있다.In the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ction duct extends to the lower side of the suction port,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uction duct (the lowermost portion of the lower blowing duct) of the container structure forms a sump. Moisture or condensed water 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uction duct moves to the sump and collected,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or pumped to a steam generator, etc.,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hoe manager that facilitates management and discharge of the condensed wat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는 연결유로, 재생유로 및 댐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제습제의 재생 시에는 제습제를 통과한 공기가 토출덕트로 송풍되지 않고 재생유로를 통하여 이동하며, 제습제의 재생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The shoe mana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ion flow path, a regeneration flow path, and a damper, and when the desiccant is regenerated,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desiccant is not blown into the discharge duct but moves through the regeneration flow path, and the desiccant is regenerated This is done effective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이너캐비닛의 바닥에서 스팀홀은, 흡입구의 반대쪽에 위치하되 토출구와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스팀홀에서 토출되는 스팀이 흡입구로 흡입되지 않고 이너캐비닛 내부 전체로 분산된다. 또한, 스팀홀이 토출구와 인접하여 위치함으로써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힘)에 의하여 더욱 강하게 이너캐비닛 내부로 토출되며, 이너캐비닛 내부의 전체 공간으로 스팀이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다.In the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am hole at the bottom of the inner cabinet may be located opposite the suction port but adjacent to the discharge port. Accordingly, the steam discharged from the steam hole is dispersed throughout the inner cabinet without being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In addition, since the steam hole is located adjacent to the discharge port, the air is discharged more strongly into the inner cabinet by the flow (forc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and steam can be uniformly supplied to the entire space inside the inner cabine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송풍덕트는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연속적으로 넓어지도록 이루어지고, 송풍덕트의 상측에 제습제하우징 및 제습제블록이 위치한다. 이에 따라, 제습제블록의 내부공간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In the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wing duct is made to continuously widen in width toward the upper side, and the desiccant housing and the desiccant block are positioned above the blowing duc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tably secure the flow rate of the air supplied to the inner space of the desiccant block.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컨덴서는 세로로 얇은 구조로 이루어지고, 컨덴서입구에서 컨덴서출구까지 그 내부 유로가 순차적으로 낮아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기계실 내부에서 차지하는 컨덴서의 용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컨덴서 내부에서 응축된 물이, 컨덴서 내부에서 고이지 않고 중력방향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In the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enser has a vertically thin structure, and its internal flow path from the condenser inlet to the condenser outlet may be sequentially lower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volume of the condenser occupying the inside of the machine room, and the water condensed inside the condenser can move smoothly along the direction of gravity without being collected inside the condens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흡입덕트를 기준으로 컨덴서는 히터의 반대쪽에 위치하고, 흡입덕트는 히터와 컨덴서를 서로 차폐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히터의 열기가 컨덴서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컨덴서 내부에서 수증기의 응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In the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enser is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heater with respect to the suction duct, and the suction duct is configured to shield the heater and the condenser from each othe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block the transfer of heat from the heater to the condenser, and condensation of water vapor in the condenser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또한, 하부덕트를 기준으로 컨덴서는 송풍장치의 반대쪽에 위치하고, 이에 따라 하부덕트의 양쪽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고, 컨덴서의 구비에 따른 기계실의 부피증가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condenser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blower with respect to the lower duct, and thus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utilize the space on both sides of the lower duct,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ncrease in the volume of the machine room due to the provision of the condens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제습제블록은 그 내부공간을 이루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공간의 공기가 제습제블록의 전체 내부면적에 걸쳐 관통하여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연결유로를 지나는 공기와 제습제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고, 제습효율을 높일 수 있다.In the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iccant block is configured to form an inner space thereof, and the air in the inner space penetrates and moves over the entire inner area of the desiccant block. Accordingly,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onnection passage and the desiccant can be increased, and the dehumidification efficiency can be increas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제습제블록 및 제1 유로는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송풍하우징, 송풍덕트 및 제1 유로는 송풍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련의 회전방향을 형성하고, 이러한 회전방향을 따라 공기가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습제블록의 제습 용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연결유로를 이동하는 공기가 제습제블록을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으며, 제습제블록을 거치는(통과하는) 공기의 유로저항이 불필요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In the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iccant block and the first flow path are formed along the first direction. In addition, the blowing housing, the blowing duct and the first flow path form a series of rotational directions around the rotational axis of the blowing fan, and air moves along this rotational direction. Therefore, the dehumidifying capacity of the desiccant block can be sufficiently secured, the air moving through the connection flow path can smoothly pass through the desiccant block, and the flow resistance of the air passing through (passing through) the desiccant block is prevented from increasing unnecessarily. be able to do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제습제블록 및 히터는 연결유로에 위치하고, 히터는 제습제블록의 내부공간인 제1 유로에 수용된다. 제습제블록은 천장부, 제1 측벽부 및 제2 측벽부로 구분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습제블록의 상측에서 제습제덮개가 캐비닛바닥판에서 착탈된다. 이에 따라, 제습제블록의 분리가 용이하고, 제습제블록에 의한 연결유로를 이동하는 공기의 제습 및 제습제블록의 재생이 모두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신발 관리기를 제공할 수 있다.In the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iccant block and the heater are located in the connection flow path, and the heater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flow path which is an internal space of the desiccant block. The desiccant block has a shape divided into a ceiling part, a first side wall part, and a second side wall part, and the desiccant cover is detachable from the cabinet bottom plate from the upper side of the desiccant block par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hoe care device in which the desiccant block can be easily separated and the desiccant block can effectively both dehumidify the air moving through the connection passage and regenerate the desiccant block.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하우징입구는, 제습제하우징에서 제1 방향의 뒤쪽으로 치우쳐 형성되고, 제1 방향에서 제1 유로의 앞쪽 및 뒤쪽은 차폐되거나 밀폐된다. 제1 유로로 유입되는 공기의 입구를 제습제블록의 아래쪽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제1 방향에서 제습제블록, 제1 유로 및 제2 유로의 길이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으며, 제습용량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하우징입구로 유입된 공기는 제1 방향을 따라 제1 유로를 이동하면서 제습제블록을 관통하며, 원활한 공기 이동 및 제습이 이루어진다.In the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entrance is formed to be biased toward the rear of the desiccant hous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first flow path in the first direction are shielded or sealed. By forming the inlet of the air flowing into the first flow path below the desiccant block, the lengths of the desiccant block, the first flow path, and the second flow path in the first direction can be secured as much as possible, and the dehumidifying capacity can be increased. In additio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inlet passes through the desiccant block while moving the first flow path along the first direction, and smooth air movement and dehumidification are perform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제습제블록은 천장부, 제1 측벽부 및 제2 측벽부를 포함하고, 히터는 자유단부 및 고정단부를 포함하며, 제습제블록 및 히터가 제습제하우징에 수용되어 제습제덮개에 의해 차폐된다. 이에 따라, 제습제블록의 내부 및 외부에서 제1 방향을 따라 유로가 형성되어 제습제블록에 의한 공기의 제습이 우수하고, 제습제의 재생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습제블록의 분리 및 교체가 용이한 구조의 신발 관리기를 제공할 수 있다.In the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iccant block includes a ceiling portion, a first sidewall portion, and a second sidewall portion, the heater includes a free end and a fixed end, and the desiccant block and the heater are accommodated in the desiccant housing to receive the desiccant shielded by a cover. Accordingly, a flow path is formed inside and outside the desiccant block along the first direction, so that the desiccant block is excellent in dehumidifying the air, the desiccant can be effectively regenerated, and the desiccant block can be easily separated and replaced. Shoe care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중력방향의 반대방향인 제3 방향을 기준으로, 제습제블록은 제1 유로의 입구인 하우징입구와 같거나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제1 유로는 제습제블록의 하단에서 그 위쪽으로 형성되며, 제2 유로는 제1 유로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면서 제습제블록의 하단에서 그 위쪽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공기의 이동방향 및 압력의 작용방향을 고려할 때, 제1 유로의 공기가 제습제블록을 관통하면서 제2 유로로 흐를 때 모든 제습제 부분을 관통하여 흐를 수 있으며, 제습제의 최대 활용이 가능하고, 제습제의 재생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third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gravity, the desiccant block is located at the same or higher position as the housing inlet, which is the inlet of the first flow path, and the first flow path is the desiccant block It is formed from the lower end of the above, and the second flow path is formed from the lower end of the desiccant block to the upper side while being formed to surround the first flow path. Therefore, considering the movement direction of air and the action direction of pressure, when the air of the first flow path flows to the second flow path while passing through the desiccant block, it can flow through all the desiccant parts, and the maximum use of the desiccant is possible, Regeneration of the desiccant can be made effective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는, 제1 가이드돌기, 제2 가이드돌기 또는 제3 가이드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제습제하우징과 제습제블록 간의 소정의 틈이 안정되게 형성되거나, 제습제덮개와 제습제블록 간의 소정의 틈이 안정되게 형성되며, 제습제하우징 내부에서 제습제블록이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고 제2 유로가 안정되게 유지된다.The shoe mana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guide protrusion, a second guide protrusion or a third guide protrusion. Accordingly, a predetermined gap between the desiccant housing and the desiccant block is stably formed, or a predetermined gap between the desiccant cover and the desiccant block is stably formed, and the desiccant block is prevented from moving inside the desiccant housing and the second flow path is stabilized. maintai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제습제블록은 제1 프레임을 포함하고, 제1 프레임은 개구부 및 막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제습제블록의 형상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또한, 제1 유로의 공기는 제1 프레임의 개구부를 통하여 제습제블록을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제1 방향에서 제습제블록의 뒤쪽 부분 및 중간 부분 뿐만 아니라, 가장 앞쪽 부분의 효율적인 활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iccant block includes a first frame, and the first frame includes an opening and a blocking part. Accordingly, the shape of the desiccant block is stably maintained. In addition, the air of the first flow path can move through the desiccant block through the opening of the first frame, and efficient use of the frontmost part as well as the rear and middle parts of the desiccant block in the first direction can be achiev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컨덴서는 기계실의 제2 벽 및 제3 벽의 내측면에 밀착결합될 수 있다. 제2 벽 및 제3 벽은 기계실의 좌측벽 또는 우측벽을 이룰 수 있다. 제2 벽 및 제3 벽은 열전도율이 우수한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컨덴서를 이동하는 수증기의 응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enser may be closely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wall and the third wall of the machine room. The second wall and the third wall may form a left or right wall of the machine room. The second wall and the third wall may be made of a metal having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Accordingly, condensation of water vapor moving through the condenser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송풍덕트는 제습제블록의 아래에서 급수통과 배수통 사이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기계실에서 송풍덕트가 제1 방향의 최대한 뒤쪽에 위치할 수 있고, 송풍하우징의 직경 및 송풍팬의 직경을 크게 형성할 수 있고,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더라도 출력이 충분히 큰 송풍장치를 구비하는 신발 관리기를 제공할 수 있다. In the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wing duct may be formed to be located between the water supply container and the drain container under the desiccant block. Accordingly, in the machine room, the blowing duct can be located as far back as possible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diameter of the blowing housing and the diameter of the blowing fan can be formed large, and even though the thickness is relatively thin, a blower having a sufficiently large output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hoe manager that do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는 교체홀 및 교체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교체홀을 개방하여 제습제블록을 용이하게 인출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The shoe mana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eplacement hole and a replacement door. By opening the replacement hole, the desiccant block can be easily drawn out or replaced.
또한, 제습제블록은 제1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제습제블록의 제1 유로 및 제습제블록의 교체방향이 제1 방향과 평행하게 이루어지고, 제습제블록이 제1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이동하면서 신발 관리기에 인입됨으로써, 교체홀 및 교체도어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고, 기계실 내부에서 제습제블록의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습제블록 외측의 제2 유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siccant block is formed to be long in the first direction, the replacement direction of the first flow path of the desiccant block and the desiccant block is made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desiccant block slides along the first direction, By entering, the size of the replacement hole and replacement door can be minimized, the desiccant block can be stably fixed inside the machine room, and the second flow path outside the desiccant block can be stably maintained.
또한, 교체홀 및 교체도어는 급수통 및 배수통과 함께 제1 벽에 형성됨으로써, 신발 관리기의 앞쪽에서 제습제블록의 교체, 급수통 및 배수통의 관리가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placement hole and the replacement door are formed on the first wall together with the water supply and drain tube, so that the replacement of the desiccant block and the management of the water supply and drain tube can be performed together at the front of the shoe care machin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 의해 발휘되는 더욱 상세한 효과 및 추가적인 효과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도록 한다.More detailed effects and additional effects exhibited by the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신발 관리기의 내부의 모습을 나타내기 위하여 도 1에서 도어가 제거된 신발 관리기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신발 관리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a는 도 2a의 신발 관리기에서 외부캐비닛이 제거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기계실에 구비되는 구성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2a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의 기계실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흡입덕트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2a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의 기계실의 내부 모습을 서로 반대쪽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공기의 이동 사이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a는 도 2a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의 이너캐비닛의 바닥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는 도 7a의 캐비닛바닥판에서 제습제덮개가 제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에서 제습제블록은 천장부가 삭제된 단면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8a는 도 7a의 A-A'에서의 신발 관리기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b는 도 7a의 B-B'에서의 신발 관리기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이며, 도 8c는 도 7a의 C-C'에서의 신발 관리기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a에는 송풍덕트의 단면모습이 별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9는 도 4a에 도시된 컨덴서의 내부 유로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는 도 9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덴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0b는 도 10a의 컨덴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a는 도 3b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에서 제습제하우징, 제습제블록 및 히터가 서로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b는 도 11a에서 제습제하우징, 제습제블록 및 히터가 서로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a의 제습제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제블록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c는 도 13a의 제습제블록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제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a와 도 15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제블록와 히터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6a와 도 16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제블록와 히터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7a와 도 17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제블록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a는 각각 도 3a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9b 및 도 19c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1b에 도시된 한 쌍의 제습제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a는 도 20의 제습제블록에서 제1 프레임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1b는 도 21a의 제1 프레임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2a는, 제1 프레임 주변에서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신발 관리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3, 도 24a 및 도 24b는 각각, 서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습제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4c 및 도 24d는 각각, 서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습제블록이 제습제하우징에 수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신발 관리기 내부의 모습을 나타내기 위하여 도 25에서 도어가 제거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8의 기계실에 구비되는 구성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6의 신발 관리기의 이너캐비닛의 바닥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제1 벽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29b는 도 29a에서 제1 벽을 배제한 도면이다.
도 30a 및 도 30b는 도 29b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의 기계실을 서로 반대쪽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a 및 도 31b는 도 25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2는 도 26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3a 및 도 33b는 각각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3c는 도 33a 및 도 33b의 신발 관리기에 구비되는 제습제하우징을 도시한 단면사시도이다.
도 34는 도 2a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의 공기공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5는 도 4a에서 댐퍼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6은 도 35에 도시된 댐퍼하우징에서 댐퍼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7은 도 35의 댐퍼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e mana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hoe manager with the door removed in FIG. 1 in order to show the inside of the shoe manager of FIG. 1 . Fig. 2B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hoe manager of Fig. 2A;
3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external cabinet is removed from the shoe care device of FIG. 2A.
Figure 3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ponents provided in the machine room of Figure 3a.
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machine room of the shoe care machine shown in Figure 2a. Figure 4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suction duct of Figure 4a.
5A and 5B are views illustrating an internal view of the machine room of the shoe care machine shown in FIG. 2A as viewed from opposite sides.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vement cycle of air in the shoe mana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A is a view illustrating the bottom of the inner cabinet of the shoe care device shown in FIG. 2A.
7B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esiccant cover is removed from the cabinet bottom plate of FIG. 7A. In FIG. 7B , the desiccant block is shown in a cross-sectional form in which the ceiling part is deleted.
FIG. 8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art of the shoe care device taken along line A-A' of FIG. 7A, FIG. 8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art of the shoe manager taken along line B-B' of FIG. 7A, and FIG. 8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7A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shoe care device in C-C'. 8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lowing duct is separately shown.
9 is a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flow path structure of the capacitor shown in FIG. 4A.
FIG. 10A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capaci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fferent from FIG. 9, and FIG. 10B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capacitor of FIG. 10A.
11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esiccant housing, a desiccant block, and a heater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in the shoe care device shown in FIG. 3B .
11B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esiccant housing, the desiccant block, and the heat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FIG. 11A.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desiccant housing of FIG. 11A.
13A and 13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desiccant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viewed from different directions.
13C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desiccant block of FIG. 13A.
1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esiccant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A and 15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desiccant block and a heater, respective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A and 16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desiccant block and a heater, respective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A and 17B ar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desiccant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18 and 19A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shoe care device shown in FIG. 3A , respectively.
19B and 19C are cross-sectional views each show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a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ir of desiccant blocks shown in FIG. 11B.
2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st frame separated from the desiccant block of FIG. 20 , and FIG. 21B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first frame of FIG. 21A .
22A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low of air around the first frame, and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hoe manager.
22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art of the
23, 24A, and 24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desiccant block according to different embodiments, respectively.
24C and 24D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desiccant blocks according to different embodiments are accommodated in a desiccant housing, respectively.
2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hoe mana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removed in FIG. 25 to show the inside of the shoe manager of FIG. 25 .
2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components provided in the machine room of FIG. 28 .
FIG. 28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the bottom of the inner cabinet of the shoe care device of FIG. 26 .
29A is a front view of a first wall in the shoe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29B is a view excluding the first wall in FIG. 29A.
30A and 30B are views illustrating a machine room of the shoe care machine shown in FIG. 29B as viewed from opposite sides.
31A and 31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the shoe manager shown in FIG. 25 .
3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hoe manager shown in FIG. 26 .
33A and 33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shoe mana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33C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esiccant housing provided in the shoe care device of FIGS. 33A and 33B.
3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ir supply device of the shoe manager shown in FIG. 2A.
3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damper housing in FIG. 4A.
3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amper is disposed in the damper housing shown in FIG. 35 .
3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damper of FIG. 35 in more detai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by themselv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herei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is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제1 방향(X), 제2 방향(Y) 및 제3 방향(Z)은 각각 서로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The first direction (X), the second direction (Y), and the third direction (Z) describ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rections orthogonal to each other.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은 각각 수평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고, 제3 방향(Z)은 연직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제1 방향(X)이 좌우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때 제2 방향(Y)은 전후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제1 방향(X)이 전후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때 제2 방향(Y)은 좌우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The first direction (X) and the second direction (Y) may each be a direction parallel to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third direction (Z) may be a direction parallel to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first direction X is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eft-right direction, the second direction Y may be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ront-rear direction. When the first direction X is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ront-rear direction, the second direction Y may be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eft-right dire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도 2a는 도 1의 신발 관리기(1)의 내부의 모습을 나타내기 위하여 도 1에서 도어(30)가 제거된 신발 관리기(1)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신발 관리기(1)를 도시한 정면도이다.FIG. 2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도 3a는 도 2a의 신발 관리기(1)에서 외부캐비닛(20)이 제거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3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도 3b는 도 3a의 기계실(50)에 구비되는 구성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3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ponents provided in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외부캐비닛(20), 도어(30), 이너캐비닛(40), 기계실(50) 및 제어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신발 관리기(1)는 스팀제너레이터(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신발 관리기(1)는 제습제하우징(300), 제습제블록(400) 및 히터(7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신발 관리기(1)는 흡입구(42), 토출구(43) 및 연결유로(F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신발 관리기(1)는 송풍장치(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신발 관리기(1)는 댐퍼(510), 댐퍼하우징(520), 섬프(214), 재생유로(F20) 및 컨덴서(8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신발 관리기(1)는 급수통(60) 및 배수통(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외부캐비닛(20)과 도어(30)는 신발 관리기(1)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룰 수 있다.The
신발 관리기(1)는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외부캐비닛(20)과 도어(30)가 서로 결합되고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 신발 관리기(1)의 외형은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도어(30)는 신발 관리기(1)의 내부(고내)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진다. 도어(30)는 신발 관리기(1)의 어느 한 쪽 면을 이룰 수 있다. 도어(30)는 신발 관리기(1)의 왼쪽면 또는 오른쪽면을 이룰 수 있고, 또는 신발 관리기(1)의 앞면을 이룰 수 있다. The
이하에서는, 달리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신발 관리기(1)에서 도어(30)가 형성되는 면을 신발 관리기(1)의 앞면으로 정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urface on which the
이너캐비닛(40) 및 기계실(50)은 외부캐비닛(2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외부캐비닛(20)은, 이너캐비닛(40) 및 기계실(50) 각각의 외측벽면을 이룰 수 있다. 신발 관리기(1)에서 기계실(50)을 위한 별도의 캐비닛이 구비되지 않을 때, 외부캐비닛(20)은 기계실(50)과 그 외부를 구분하는 벽을 이룰 수 있다.The
신발 관리기(1)의 내부에는, 신발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으로서 고내가 구비된다. 이너캐비닛(40)은 상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이너캐비닛(40)의 내부의 수용공간(41)이 신발 관리기(1)의 고내를 이룬다. 즉, 이너캐비닛(40)은, 그 내부에 신발(S)이 수용되도록 이루어진다.The inside of the
이너캐비닛(40)은 상하로 긴 상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복수 개의 신발(S)은 이너캐비닛(40)의 내부에서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The
이너캐비닛(40)은 어느 한쪽으로 개구된 상자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이너캐비닛(40)의 개구는 도어(30)에 의해 밀폐되거나 개방될 수 있다. 이너캐비닛(40)은 신발 관리기(1)의 앞쪽으로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신발 관리기(1) 내부에서, 이너캐비닛(40)과 기계실(50)은 서로 분리된 공간을 이룰 수 있다. 이너캐비닛(40)은 관리의 대상이 되는 대상물(신발(S))을 수용하는 공간을 이루고, 기계실(50)은 신발 관리기(1)의 작동을 위한 구성들을 수용하는 공간을 이룰 수 있다.Inside the
기계실(50)은, 연결유로(F10), 송풍장치(220), 제습제하우징(300), 제습제블록(400)(및 제습제(430)), 히터(710), 섬프(214), 재생유로(F20), 컨덴서(800), 및 스팀제너레이터(600)를 수용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기계실(50)은 급수통(60) 및 배수통(70)을 수용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기계실(50)에 결합되거나 수용되는 구성들은 각각, 기계실(50)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Components coupled to or accommodated in the
기계실(50)은 제1 벽(51)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제1 벽(51)은 기계실(50)의 어느 한쪽 벽면을 이룬다. 제1 벽(51)은 연직방향으로 세워지거나 대체로 연직방향으로 세워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벽(51)은 제1 방향(X)과 직교하거나 경사진 벽면을 이룰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벽(51)은 제2 방향(Y)과 직교하거나 경사진 벽면을 이룰 수 있다. The
제1 벽(51)은 기계실(50)의 앞쪽 벽면을 이룰 수 있고, 또는 기계실(50)의 좌측벽을 이루거나 기계실(50)의 우측벽을 이룰 수 있다.The
급수통(60) 및 배수통(70)은 각각 물을 수용하는 용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급수통(60)은 그 내부에, 신발 관리기(1) 내부로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급수통(60)은, 스팀제너레이터(600)로 공급되는 물이 내부에 저장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급수통(60)의 물을 신발 관리기(1) 내부로 공급하기 위하여, 급수통(60)에는 워터펌프(제1 워터펌프(61))가 연결될 수 있다. A water pump (first water pump 61 ) may be connected to the
배수통(70)은 그 내부에, 신발 관리기(1)에서 배출되는 물을 저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배수통(70)은 신발 관리기(1) 내부에서 응축된 물이 저장될 수 있다. 배수통(70)은 섬프(214)에서 배수된 물을 저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배수통(70)으로 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배수통(70)에는 워터펌프(제2 워터펌프(71))가 연결될 수 있다. A water pump (second water pump 71 ) may be connected to the
급수통(60)과 배수통(70)은, 기계실(50)의 어느 한쪽 벽면 외측에서 노출되도록 기계실(50)에 결합될 수 있다.The
급수통(60)과 배수통(70)은 기계실(50)의 앞쪽에 위치할 수 있다.The
급수통(60)과 배수통(70)은 제1 벽(51)과 함께 기계실(50)의 한쪽 벽면을 이룰 수 있다. 제1 벽(51)이 기계실(50)의 앞면을 이룰 때, 급수통(60)과 배수통(70)은 기계실(50)의 전방에서 노출될 수 있고, 제1 벽(51)의 외측에서 노출되도록 기계실(50)에 결합될 수 있다.The
제1 벽(51)의 외측으로 급수통(60)과 배수통(70)이 노출됨으로써 사용자는 급수통(60)에 물을 주입하거나 배수통(70)에서 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By exposing the
급수통(60) 및 배수통(70)은, 기계실(50)에서 착탈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급수통(60)과 배수통(70)을 제1 벽(51)에서 착탈될 수 있다. 급수통(60)과 배수통(70)의 착탈의 용이를 위하여, 급수통(60)의 외측면에 급수통의 손잡이(60a)가 형성될 수 있고, 배수통(70)의 외측면에 배수통의 손잡이(70a)가 형성될 수 있다.The
급수통(60) 및 배수통(70)은 각각, 제1 벽(51)의 외측방향으로 기계실(50)에서 분리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제어부(80)는, 신발 관리기(1)를 이루는 각 구성들과 연계되어 각 구성들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도어(30)는 이너캐비닛(40) 및 기계실(50)을 모두 개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신발 관리기(1)에서 도어(30)는 연직방향의 회전축(31)(rotation axis)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어(30)는 외부캐비닛(20)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도어(30)는 이너캐비닛(40) 및/또는 기계실(50)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In the
도어(30)는, 제1 벽(51)과 같은 쪽에서 이너캐비닛(40) 및 기계실(5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도어(30)가 신발 관리기(1)의 앞쪽 면을 이룰 때, 제1 벽(51)은 기계실(50)의 앞쪽 면을 이루고, 도어(30)는 제1 벽(51)의 바로 외측에 위치한다. The
도어(30)는, 이너캐비닛(40), 급수통(60) 및 배수통(70)을 노출시키거나 차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어(30)는, 이너캐비닛(40), 급수통(60) 및 배수통(70)의 앞을 개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신발 관리기(1)에서, 도어(30), 급수통(60) 및 배수통(70)은 서로 같은 쪽에서 형성되고, 도어(30)가 개방되는 경우 급수통(60) 및 배수통(70)이 노출되고 신발 관리기(1)에서 분리될 수 있다.In the shoe care machine (1), the
이와 같이 이루어짐으로써, 신발 관리기(1)의 좌우 양쪽 및 뒤쪽이 다른 물품 또는 구조물 등에 의하여 막혀 있는 경우에도, 신발 관리기(1)의 앞쪽 부분에서 도어(30)를 개방할 수 있으며, 나아가 급수통(60) 및 배수통(70)을 신발 관리기(1)에서 분리하거나 다시 결합할 수 있게 된다.By doing this, even whe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back of the
도어(30)의 외측에는 신발 관리기(1)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33)이 마련된다. 도어(30)의 내측 공간부에는 컨트롤 패널(33)과 연계되어 신발 관리기(1)의 각 구성부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제어부(80))이 구비된다. 제어부(80)는 기계실(5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A
도 1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도어(30)는 이너캐비닛(40) 및 기계실(50)을 모두 개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1 and 2A , in one embodiment, the
다른 실시예에서 도어(30)는 이너캐비닛(40)만을 개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기계실(50)은 도어(30)에 의해 차폐되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는, 상기 도어(30)와 별도로 기계실(50)을 폐쇄하도록 기계실(50)의 전용 도어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신발 관리기(1)에는, 이너캐비닛(40) 내부에 수분이 발생하도록 하는 장치로서 스팀제너레이터(600)가 구비된다. 스팀제너레이터(600)는 기계실(5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스팀제너레이터(600)는, 스팀을 생성하고, 이너캐비닛(40)의 내부로 선택적으로 수분 및 스팀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The
스팀제너레이터(600)에 의해 형성된 습한 공기(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공기'는 '습기를 포함하는 공기'일 수 있다.)가 신발 관리기(1)의 고내 쪽으로 공급되고, 습기는 고내를 순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신발에 습기가 공급될 수 있다. Humid air formed by the steam generator 600 ('air' as describ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ir containing moisture')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신발을 리프레쉬(refresh)하는 리프레셔(refresher) 장치일 수 있다.The
여기서, 리프레쉬라 함은 신발을 향해 공기(air), 열풍(heated air), 수분(water), 미스트(mist), 스팀(steam) 등을 제공하여 신발의 오물제거, 냄새제거(deodorizing), 살균(sanitizing), 정전기 제거(preventing static electricity) 또는 가열(warming) 등을 수행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term "refresh" refers to removing dirt, deodorizing, and sterilizing shoes by providing air, heated air, water, mist, steam, etc. to the shoes. (sanitizing), removing static electricity (preventing static electricity), may refer to a process of performing heating (warming), and the like.
스팀제너레이터(600)는 신발이 수용되는 이너캐비닛(40)의 수용공간(41)으로 스팀을 공급하여 신발에 대한 스팀 처리를 할 수 있으며, 나아가 고온의 스팀에 의해 살균의 효과와 함께 신발 재질의 부풀림 등에 의한 리프레쉬 효과를 발휘하기 위한 것이다.The
스팀제너레이터(600)는 내부에 물을 가열하는 별도의 히터(610)를 구비하게 되어,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여 이너캐비닛(40)의 수용공간(41)으로 공급하게 된다. The
스팀제너레이터(600)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으로는 외부의 수도꼭지 등이 사용되거나, 또는 기계실(50)의 일측에 제공되는 컨테이너(container) 타입의 급수탱크가 사용될 수 있다. 스팀제너레이터(600)는 급수통(60)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할 수 있다. As a water supply source for supplying water to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제습제블록(400)은 공기를 제습하는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In the
제습제블록(400)은 기계실(50)에 구비될 수 있다. The
제습제블록(400)은 소정의 용적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제습제블록(400)은 그 자체로 다공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습제블록(400)에는 그 용적 전체에 걸쳐 다수의 공극이 형성될 수 있고, 공기가 이러한 공극을 통하여 제습제블록(400)을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습제블록(400)이 복수 개의 제습제(430)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때, 복수 개의 제습제(430)는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고, 또는 접착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The
제습제블록(400)은 제습제(dehumidifying material)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제(430)는, 공기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습도를 낮출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습제(430)는,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거나 흡착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물질 또는 물질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제(430)는, 데시컨트(desiccant), 흡습제(absorbent) 또는 흡착제(adsorbent)로 칭하여질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제(430)는 미세 다공성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제(430)는, 실리카겔, 활성탄, 활성 알루미나(AL2O3), 규조토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제(430)는 제올라이트(zeolite)로 이루어지거나 제올라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particular, the
제올라이트는, 3~10 옹스트롬(Å)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공동(tunnel 또는 open channel)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천연 및 합성 규산염광물질로서,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하여 제습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Zeolite is a natural and synthetic silicate mineral in which cavities (tunnels or open channels) having a size of about 3 to 10 angstroms (Å) are regularly arranged, and can perform a dehumidifying function by adsorbing moisture in the air.
제올라이트를 가열하는 경우, 제올라이트에 흡착되어 있던 수분이 대량의 증기로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제올라이트의 특성에 따라,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올라이트를 가열하여 제올라이트에 흡착된 수분을 분리시킴으로써 제습 기능을 수행 가능한 상태로 제올라이트를 재생시킬 수 있다.When the zeolite is heated, moisture adsorbed on the zeolite may be separated into a large amount of vapo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zeolite, it is possible not only to perform a dehumidifying function of removing moisture from the air, but also to heat the zeolite to separate the moisture adsorbed to the zeolite, thereby regenerating the zeolite in a state capable of performing the dehumidifying func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제(430)가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전제로 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it is assumed that the
제올라이트는 수mm 내지 수십mm 정도의 크기(직경)를 가지는 작은 알갱이(또는 돌)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제습제(430)는, 이러한 알갱이들(또는 돌들)이 조합된 형태를 의미할 수 있다. 각 알갱이들(또는 돌들)은 서로 뭉쳐지거나 조합되어 하나의 구조체를 이룰 수 있다.The zeolite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small grains (or stones) having a size (diameter) of several mm to several tens of mm, and the
제습제(제올라이트)(430)의 일측에는 히터(710)가 구비되고, 히터(710)가 선택적으로 가열됨으로써, 제습제(430)에 의한 제습 또는 제습제(430)의 재생이 이루어질 수 있다.A
제습제(제올라이트)(430)와 히터(710)는 하나의 셋트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셋트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제습제 및 히터(710)로 이루어지는 셋트는 2개로 구비될 수 있다.The desiccant (zeolite) 430 and the
이러한 셋트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건조모듈로 칭하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건조모듈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고, 또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신발 관리기(1)에서 건조모듈이 한 쌍으로 구비될 때, 어느 하나의 건조모듈은 '건조모듈 A'를 이루고, 다른 하나의 건조모듈은 '건조모듈 B'를 이룰 수 있다.(도 6 참조)Such a set may be referred to as a drying module in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건조모듈 A와 건조모듈 B는 서로 다른 모드로 작동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건조모듈 A가 흡습모드(제습제가 공기 중의 습기를 흡착하는 경우)로 작동될 때, 건조모듈 B는 재생모드(제습제를 가열하여 제습제에 흡착된 습기가 분리되는 경우)로 작동될 수 있다. 반대로, 건조모듈 A가 재생모드로 작동될 때, 건조모듈 B는 흡습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In the
실시예에 따라, 건조모듈 A 및 건조모듈 B가 모두 흡습모드로 작동되거나 모두 재생모드로 작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Of cour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both the drying module A and the drying module B may be operated in the moisture absorption mode or both may be operated in the regeneration mo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제습제블록(400)이 기계실(50)에서 분리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제습제블록(400)이 기계실(50)에서 분리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신발 관리기(1)의 구조는, 제습제블록(400) 및 신발 관리기(1) 전체의 유지 및 관리에 유리한 이점을 제공한다.The
한편, 제습제블록(400)은, 재생에 의하여 반복사용될 수 있는 것이지만 사용이 반복됨에 따라 교체가 필요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제습제블록(400)의 분리 및 교체가 가능하게 이루어진다.In consideration of these points, the
도 4a는 도 2a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1)의 기계실(50)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흡입덕트(210)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4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도 5a 및 도 5b는 도 2a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1)의 기계실(50)의 내부 모습을 서로 반대쪽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5A and 5B are views illustrating the interior of th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공기의 이동 사이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ovement cycle of air in the
연결유로(F10)는, 신발 관리기(1) 내부의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한다.The connection passage F10 form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inside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신발이 배치되는 이너캐비닛(40)의 내부의 공기를 기계실 쪽으로 흡입하고 제습제(430)를 이용하여 제습하도록 이루어지고, 제습된 공기가 다시 이너캐비닛(4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는 순환 기류 구조를 갖는다.In the
연결유로(F10)는, 신발 관리기(1)에서 이러한 순환 기류 구조를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연결유로(F10)는, 그 전부 또는 일부가 파이프, 튜브, 덕트, 또는 이들의 조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nection flow path F10 may be used as a means for achieving such a circulating airflow structure in the
연결유로(F10)는 흡입구(42)로부터 토출구(43)까지 연결되는 공기의 이동 통로를 이룬다. 즉, 흡입구(42)는 연결유로(F10)의 입구를 이루고, 토출구(43)는 연결유로(F10)의 출구를 이룰 수 있다.The connection passage F10 forms a movement passage of air connected from the
흡입구(42) 및 토출구(43)는 이너캐비닛(40)에 구비되고, 흡입구(42) 및 토출구(43)를 제외한 연결유로(F10)의 대부분은 기계실(50)에 구비될 수 있다.The
이너캐비닛(40) 내부의 공기는 흡입구(42)를 통하여 연결유로(F10)로 이동하고, 연결유로(F10)를 거친 공기는 토출구(43)를 통하여 다시 이너캐비닛(40) 내부로 이동한다. 이러한 공기 흐름이 반복되면서 신발 관리기(1)에서 순환 기류가 이루어진다.The air inside the
제습제블록(400)은 연결유로(F10)에 배치된다. 연결유로(F10)를 이동하는 공기는 제습제블록(400)을 거치게 되며, 제습제블록(400)이 연결유로(F10)를 이동하는 공기 중에서 수분을 흡수함으로써 습기가 제거된 공기가 이너캐비닛(4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The
송풍장치(220)는, 기계실(50) 내부에 구비되어, 신발 관리기(1)에서 공기의 흐름이 발생되도록 한다. The
특히, 송풍장치(220)는 연결유로(F10)에서 공기의 흐름이 발생되도록 한다. 즉, 송풍장치(220)는 이너캐비닛(40) 내부의 공기가 흡입구(42)로 흡입되도록 하고, 또한 연결유로(F10) 내부의 공기가 토출구(43)를 통하여 이너캐비닛(40) 내부로 토출되도록 한다.In particular, the
송풍장치(220)에 의하여, 이너캐비닛(40)의 내부로 건조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Dry air may be supplied into the
연결유로(F10)는 제1 구간(F10a), 제2 구간(F10b) 및 제3 구간(F10c)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구간(F10a), 제2 구간(F10b) 및 제3 구간(F10c)은 순차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공기의 이동 통로를 이룬다. 연결유로(F10) 내부의 공기는 제1 구간(F10a), 제2 구간(F10b) 및 제3 구간(F10c)을 순차적으로 거쳐 이동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assage F1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section F10a, a second section F10b, and a third section F10c. The first section F10a, the second section F10b, and the third section F10c form an air movement path that is sequenti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air inside the connection passage F10 may sequentially move through the first section F10a, the second section F10b, and the third section F10c.
제1 구간(F10a)은 흡입구(42)와 연결되는, 연결유로(F10)의 상류 구간일 수 있다.The first section F10a may be an upstream section of the connection passage F10 connected to the
제1 구간(F10a)은 흡입구(42)와 연결되고 송풍장치(220)가 위치하는 구간일 수 있다.The first section F10a may be a section connected to the
제1 구간(F10a)은 다습한 공기가 이동하는 구간일 수 있다.The first section F10a may be a section in which humid air moves.
제2 구간(F10b)은, 제1 구간(F10a)에서 연결되고 제습제블록(400)이 위치하는 구간일 수 있다. 제2 구간(F10b)은 연결유로(F10)의 중류 구간일 수 있다.The second section F10b may be a section connected in the first section F10a and in which the
제2 구간(F10b)은 제습제블록(400)에 의한 공기의 제습이 이루어지는 구간일 수 있고, 또는, 제습제블록(400)(제습제(430))의 재생이 이루어지는 구간일 수 있다.The second section F10b may be a section in which air is dehumidified by the
제3 구간(F10c)은, 제2 구간(F10b)과 토출구(43)를 연결하는, 연결유로(F10)의 하류 구간일 수 있다.The third section F10c may be a section downstream of the connection flow path F10 connecting the second section F10b and the
제3 구간(F10c)은 습기가 제거된 건조한 공기가 이동하는 구간일 수 있다.The third section F10c may be a section in which dry air from which moisture has been removed moves.
연결유로(F10)는 흡입덕트(210), 송풍덕트(230) 및 토출덕트(5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흡입덕트(210), 송풍덕트(230) 및 토출덕트(525)는 기계실(50)에 수용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assage F10 may include a
흡입덕트(210)는 연결유로(F10)의 일부를 이룬다. 흡입덕트(210)는 흡입구(42)에 연결되어 이너캐비닛(40)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The
섬프(214)는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섬프(214)는 제습제(430)보다 아래에 위치한다.The
섬프(214)는 흡입덕트(210)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흡입덕트(210)의 가장 아래쪽 부분은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용기 구조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용기 구조의 흡입덕트(210) 하부(하부덕트(213)의 가장 아래쪽 부분)가 섬프(214)를 이룰 수 있다.The
섬프(214)의 외측 테두리에는, 섬프(214) 내부로 응축수가 유입되는 입구를 이루는 섬프홀(215)이 형성된다.A
흡입덕트(210)로 유입되는 공기는 신발을 리프레쉬하는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흡입덕트(210)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 일부는 흡입덕트(210) 내에서 응축될 수 있다. 또한, 공기 뿐만 아니라 이너캐비닛(40) 내부의 응축수 등이 함께 흡입덕트(210)로 흡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러한 응축수는 흡입덕트(210) 하부로 낙하하여 흡입덕트(210)와 일체로 이루어지는 섬프(214)로 이동하여 집수된 후, 배수통으로 배출되거나 외부로 배출되거나 스팀제너레이터(600) 등으로 압송될 수 있다.The air flowing into the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응축수의 관리 및 배출이 용이한 신발 관리기(1)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As such, the
송풍덕트(230)는 연결유로(F10)의 일부를 이룬다. 송풍덕트(230)는 제습제(430)로 공급되는 공기의 통로를 이룬다. 송풍덕트(230)는, 송풍장치(220)를 거친 공기가 제1 유로(F11) 쪽으로 이동하는 통로를 이룬다. 송풍덕트(230)는 송풍장치(220)에서 연장되어 하우징입구(311)로 연결된다. 송풍덕트(230)는 송풍장치(220)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하우징입구(311)로 연결될 수 있다.The blowing
송풍장치(220)는 흡입덕트(210)와 송풍덕트(230) 사이에 결합되고, 송풍장치(220) 내부에 송풍팬(221)이 구비될 수 있다. 송풍장치(220)(송풍팬(221))의 작동에 의하여 이너캐비닛(40)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고, 흡입된 공기를 송풍덕트(230)를 향하여 송풍시킬 수 있다.The
흡입덕트(210), 송풍장치(220) 및 송풍덕트(230)는 서로 함께 상기 제1 구간(F10a)을 이룰 수 있다. The
송풍덕트(230)는 제습제(430)를 수용하는 제습제하우징(3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송풍덕트(230)를 거쳐 송풍되는 공기가 제습제(430)와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습제(430)와 접촉되는 공기 중의 수분이 제거된다.The blowing
제습제하우징(300)과 제습제블록(400)은 서로 함께 상기 제2 구간(F10b)을 이룰 수 있다.The
댐퍼하우징(520)은 상기 토출덕트(525)를 형성할 수 있다.The
제습제하우징(300)을 거친 공기는, 제습제하우징(300)의 타측에 결합되는 댐퍼하우징(520)의 토출덕트(525)를 향하여 송풍될 수 있다.The air passing through the
댐퍼하우징(520) 및 토출덕트(525)는 상기 제3 구간(F10c)을 이룰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댐퍼(510)는 댐퍼 밸브(damper valve)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댐퍼(510)는, 제3 구간(F10c)을 차단하면서 재생유로(F20)를 개방하거나, 또는 재생유로(F20)를 차단하면서 제3 구간(F10c)을 개방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댐퍼하우징(520)은 댐퍼(510)를 수용하도록 이루어진다.The
댐퍼하우징(520)의 바닥에는, 재생유로(F20)의 입구를 이루는 재생유로홀(527)이 형성된다.At the bottom of the
댐퍼(510)는, 댐퍼하우징(520)의 내부 및 재생유로홀(527)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댐퍼(510)는, 댐퍼하우징(520)의 내부 및 재생유로홀(527)을 선택적으로 밀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댐퍼하우징(520)의 토출덕트(525)로 송풍된 건조공기는 토출구(43)를 통해 다시 이너캐비닛(40)의 내부로 유입되어 신발을 리프레쉬시킬 수 있다.The dry air blown through the
이처럼, 이너캐비닛(40) 내부의 공기는, 흡입구(42), 흡입덕트(210), 송풍장치(220), 송풍덕트(230), 제습제하우징(300)(및 제습제블록(400)), 댐퍼하우징(520)의 토출덕트(525), 및 토출구(43)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연결유로(F10)를 이동한다.In this way, the air inside the
댐퍼(510)는 댐퍼하우징(520) 내부에 구비되며, 제습제(430)를 거친 공기의 이동경로를 제어한다. 댐퍼(510)의 작동에 따라 제습제(430)를 거친 공기는, 토출구(43)를 통하여 이너캐비닛(40) 내부로 이동할 수 있고, 또는, 재생유로(F20)로 이동할 수 있다.The
댐퍼(510)는 토출덕트(525)와 재생유로(F20)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막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댐퍼(510)가 재생유로(F20)를 막으면서 토출덕트(525)를 개방하는 경우 제습제(430)를 거친 공기는 토출구(43)를 통하여 이너캐비닛(40) 내부로 이동할 수 있고, 댐퍼(510)가 토출덕트(525)를 막으면서 재생유로(F20)를 개방하는 경우 제습제(430)를 거친 공기는 재생유로(F20)를 통하여 이동하면서 응축될 수 있다.The
제습제의 재생 과정에서 발생된 수분은, 건조공기가 이동하는 유로인 연결유로(F10)(제3 구간(F10c))와 분리된 별도의 유로를 통해 배출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재생유로(F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제습제(제올라이트)(430)의 재생 시에는 제습제(430)를 통과한 공기가 토출덕트(525)로 송풍되지 않고 재생유로(F20)를 통하여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Moistur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generating the desiccant needs to be discharged through a separate flow path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flow path F10 (the third section F10c), which is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dry air moves. Accordingly, the
재생유로(F20)는 연결유로(F10)에서 분기된다. 재생유로(F20)는 연결유로(F10)의 제3 구간(F10c)에서 분기될 수 있다. 재생유로(F20)는 섬프(214)로 이어진다.The regeneration flow path F20 is branched from the connection flow path F10 . The regeneration flow path F20 may branch in the third section F10c of the connection flow path F10 . The regeneration flow path F20 leads to the
재생유로(F20)는, 제습제(430)의 재생시, 제습제(430)를 거친 공기 및/또는 응축된 물이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재생유로(F20)는, 그 전부 또는 일부가 파이프, 튜브, 덕트, 또는 이들의 조합된 형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regeneration passage F20 forms a passage through which air and/or condensed water passing through the
제습제(430)로부터 분리된 수분은 재생유로(F20)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와 함께 컨덴서(800)로 이동한 후 응축될 수 있다. 그리고, 컨덴서(800)에서 응축된 응축수는 재생유로(F20)를 통해 흡입덕트(210)의 하부로 이동하여 흡입덕트(210)의 하부에서 집수된 후, 배수통(70)으로 배출되거나 외부로 배출되거나 스팀제너레이터(600) 등으로 압송될 수 있다.Moisture separated from the
재생유로(F20)는, 연결유로(F10)에 연결된 지점부터 섬프(214)에 연결된 지점까지 순차적으로 낮아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regeneration flow path F20 may be formed to be sequentially lowered from a point connected to the connection flow path F10 to a point connected to the
댐퍼하우징(520)의 내부의 단면적은 재생유로홀(527)의 단면적보다 크게 이루어진다.The intern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댐퍼하우징(520)의 내부의 단면적 및 토출덕트(525)의 단면적은, 재생유로홀(527)의 단면적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댐퍼하우징(520)의 내부의 단면적 및 토출덕트(525)의 단면적은, 재생유로홀(527)의 단면적의 2배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댐퍼하우징(520)의 내부의 단면적 및 토출덕트(525)의 단면적의 상대적인 크기가 각각 10㎠인 경우 재생유로홀(527)의 단면적의 상대적인 크기는 0.5~2㎠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side of the
따라서, 댐퍼(510)가 재생유로홀(527)을 밀폐하고 댐퍼하우징(520)의 내부(토출덕트(525))를 개방하는 경우의 공기의 단위시간당 이동량이, 댐퍼(510)가 재생유로홀(527)을 개방하고 댐퍼하우징(520)의 내부(토출덕트(525))를 밀폐하는 경우의 공기의 단위시간당 이동량보다 충분히 크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이처럼, 댐퍼하우징(520)의 내부 및 토출덕트(525)의 단면적이 재생유로홀(527)의 단면적보다 충분히 크게 이루어질 때, 도 6을 참조하면, 건조모듈 A에서는 댐퍼(510)가 재생유로홀(527)을 밀폐하고 토출덕트(525)를 개방하고, 건조모듈 B에서는 댐퍼(510)가 재생유로홀(527)을 개방하고 토출덕트(525)를 밀폐하는 경우, 제2 구간(F10b)에서 공기의 대부분(예컨대 95%)은 건조모듈 A 쪽으로 흐르고, 공기의 극히 일부분(예컨대 5%)만이 건조모듈 B로 흐를 수 있다. 그리고 이때, 건조모듈 A는 흡습모드로 작동하고 건조모듈 B는 재생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As such, whe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side of the
반대로, 도 6에서, 건조모듈 A에서는 댐퍼(510)가 재생유로홀(527)을 개방하고 토출덕트(525)를 밀폐하고, 건조모듈 B에서는 댐퍼(510)가 재생유로홀(527)을 밀폐하고 토출덕트(525)를 개방하는 경우, 제2 구간(F10b)에서 공기의 대부분(예컨대 95%)은 건조모듈 B 쪽으로 흐르고, 공기의 극히 일부분(예컨대 5%)만이 건조모듈 A로 흐를 수 있다. 그리고 이때, 건조모듈 B는 흡습모드로 작동하고 건조모듈 A는 재생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Conversely, in FIG. 6 , in the drying module A, the
신발 관리기(1)는, 그 사용되는 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대체로 상하로 긴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비교적 세로로 좁은 공간에 신발 관리기(1)가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기존의 신발장과 신발 관리기(1)가 서로 자연스럽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The
이너캐비닛(40)은, 그 수용공간(41)에 신발이 위치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형태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이너캐비닛(40)(고내)의 아래쪽에 기계실(50)이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신발 관리기(1)가 대체로 상하로 긴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적합하도록 하고, 이너캐비닛(40)의 사용 편의에 유리하다.The
이너캐비닛(40)의 내측(41, 고내)에는, 신발(S)이 거치되는 거치대(47)가 마련될 수 있다. 거치대(47)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고, 각 거치대(47)가 상하로 배열될 수 있다.A
한편, 이너캐비닛(40)의 수용공간(41)으로 공급되는 건조공기 및 스팀 등은 상승하려는 성질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는 기계실(50)이 이너캐비닛(40)의 하부에 위치하며, 이에 따라, 기계실(50)로부터 이너캐비닛(40) 쪽으로, 즉, 상부를 향하여 건조공기 및 스팀이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고, 건조공기 및 스팀의 원활한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ry air and steam supplied to the receiv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는, 제습, 탈취 및 가습에 효과적인 제올라이트가 기계실(50)에 배치되고, 이러한 제올라이트를 거친 공기가 이너캐비닛(40) 내부로 재유입되면서 연결유로(F10)를 순환하고, 또한 제올라이트의 재생시 응축수가 재생유로(F20)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효과적인 신발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제습제블록(400)은 제1 방향(X)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습제블록(400)은, 제1 방향(X)의 길이(d1)가, 제2 방향(Y)의 길이(d2) 및 제3 방향(Z)의 길이(d3)보다 길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방향(X)은 제습제블록(400)의 길이방향일 수 있다.(도 13a 참조)The
제1 방향(X)은 수평방향과 평행하거나, 대체로 수평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The first direction X may be parallel to the horizontal direction or a direction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horizontal direction.
제1 방향(X)은, 제습제블록(400)에서 토출구(43) 쪽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The first direction X may be a direction from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신발 관리기(1)는 대체로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신발 관리기(1)에서 도어(30)가 형성되는 면이 신발 관리기(1)의 앞쪽면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이때, 일 실시예에서, 제1 방향(X)은 신발 관리기(1)의 앞에서 뒤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방향(X)은 신발 관리기(1)의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고, 또는 신발 관리기(1)의 우측에서 좌측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At this time, in one embodiment, the first direction (X) may be a direction toward the front of the shoe manager (1) to the back. 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direction (X) may be a left-to-right direction of the
도 7a는 도 2a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1)의 이너캐비닛(40)의 바닥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7A is a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도 7b는 도 7a의 캐비닛바닥판(45)에서 제습제덮개(46)가 제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7b에서 제습제블록(400)은 천장부(401)가 삭제된 단면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7B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이너캐비닛(40)은 그 바닥을 이루는 캐비닛바닥판(4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캐비닛바닥판(45)은 이너캐비닛(40)과 기계실(50)의 경계면을 이룰 수 있다. 캐비닛바닥판(45)은 사각형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캐비닛바닥판(45)은 수평방향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The
이와 달리, 캐비닛바닥판(45)은 어느 한쪽으로 경사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캐비닛바닥판(45)의 상부면의 물(예컨대, 응축된 물)은 경사진 방향을 따라 어느 한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Alternatively, the
일 실시예에서, 캐비닛바닥판(45)은 앞쪽이 하향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다른 실시예에서, 캐비닛바닥판(45)은 좌측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우측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캐비닛바닥판(45)은 제1 방향(X)을 따라 상향경사지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캐비닛바닥판(45)은 제2 방향(Y)을 따라 상향경사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캐비닛바닥판(45)에는, 스팀홀(44)이 형성될 수 있다. 스팀홀(44)은, 파이프, 호스, 덕트 등에 의하여 스팀제너레이터(600)와 연결되고, 스팀제너레이터(600)의 스팀이 스팀홀(44)을 통하여 이너캐비닛(40)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A
신발 관리기(1)는 제습제덮개(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제습제덮개(46)는 이너캐비닛(40)의 바닥인 캐비닛바닥판(45)의 일부를 이룬다. 그리고 제습제덮개(46)는 이너캐비닛(40)의 캐비닛바닥판(45)에서 착탈되거나, 캐비닛바닥판(45)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The desiccant cover 46 forms a part of the
제습제덮개(46)는 캐비닛바닥판(45)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The
캐비닛바닥판(45)에는, 제습제덮개(46)에 상응하는 모양 및 크기의 개구로서 바닥홀(45a)이 형성될 수 있다. 제습제덮개(46)는 이러한 바닥홀(45a)을 개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습제덮개(46)는 그 적어도 일부가 캐비닛바닥판(45)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습제덮개(46)가 캐비닛바닥판(45)에서 완전히 분리되면서 바닥홀(45a)이 개방될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 제습제덮개(46)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바닥홀(45a)이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개구인 바닥홀(45a)을 통하여 제습제블록(400)을 기계실(50) 내부로 인입하거나 외부로 인출할 수 있게 된다.In the
그리고 제습제덮개(46)가 캐비닛바닥판(45)에서 분리되면, 바닥홀(45a)을 통하여 캐비닛바닥판(45)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습제하우징(300)이 노출되게 되며, 제습제블록(400)을 제습제하우징(300) 내부에 안착시키거나 제습제하우징(300)으로부터 제습제블록(400)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And when the
제습제덮개(46)의 크기 및 모양과 바닥홀의 크기 및 모양은, 제습제블록(400)의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한 범위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진다.The size and shape of the
제습제덮개(46)는 사각형 모양의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제1 방향(X)에서 제습제덮개(46)의 길이는 제습제블록(400)의 길이와 같거나 더 크게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방향(Y)에서 제습제덮개(46)의 길이는 제습제블록(400)의 길이와 같거나 더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length of the
제습제블록(400)이 한 쌍으로 구비될 때, 제습제덮개(46)는, 각각의 제습제블록(400)을 개별적으로 차폐하거나 개방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고, 또는 한 쌍의 제습제블록(400)을 한꺼번에 차폐하거나 개방하도록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When the
제습제덮개(46)는 제습제블록(400)을 이격되게 차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습제덮개(46)와 제습제블록(400)의 사이의 공간은 제2 유로(F12)를 이룰 수 있다.The
상술한 바와 같이, 흡입구(42)는, 이너캐비닛(40) 내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구멍으로서, 연결유로(F10)의 시작 부분을 이룰 수 있다. 흡입구(42)는 이너캐비닛(40)의 바닥(캐비닛바닥판(45))에 형성되거나 이너캐비닛(40)의 바닥과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흡입구(42)에는, 격자형태, 매쉬형태 등의 망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흡입구(42)는 제1 방향(X)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흡입구(42)는 캐비닛바닥판(45)에서 제1 방향(X)을 따라 긴 장공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흡입구(42)는 제습제블록(400)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흡입구(42)는, 캐비닛바닥판(45)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The
흡입구(42)는, 캐비닛바닥판(45)의 가장자리에서, 제1 방향(X)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The
흡입구(42)는 제2 방향(Y)을 기준으로 캐비닛바닥판(45)의 앞쪽부분 또는 뒤쪽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The
흡입구(42)는 캐비닛바닥판(45)에서 상대적으로 도어(30)와 가까운 쪽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흡입구(42)는 캐비닛바닥판(45)에서 상대적으로 앞쪽에 위치할 수 있다.The
상술한 바와 같이, 토출구(43)는, 이너캐비닛(40) 내부로 공기가 토출되는 구멍으로서, 연결유로(F10)의 마지막 부분을 이룰 수 있다. 토출구(43)는 이너캐비닛(40)의 바닥(캐비닛바닥판(45))에 형성되거나 이너캐비닛(40)의 바닥과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토출구(43)는, 이너캐비닛(40)의 바닥의 가장자리에서, 제1 방향(X)과 직교하는 제2 방향(Y)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43)는 어느 한쪽 방향으로 긴 장공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토출구(43)에는, 격자형태, 매쉬형태 등의 망이 형성될 수 있다.At the
흡입구(42)가 이너캐비닛(40)의 바닥의 앞쪽에 위치할 때 토출구(43)는 이너캐비닛(40)의 바닥의 왼쪽 또는 오른쪽에 위치할 수 있다. 흡입구(42)가 이너캐비닛(40)의 바닥의 왼쪽 또는 오른쪽에 위치할 때 토출구(43)는 이너캐비닛(40)의 바닥의 뒤쪽에 위치할 수 있다.When the
이너캐비닛(40)의 바닥에서 스팀홀(44)은, 흡입구(42)의 반대쪽에 위치하되 토출구(43)와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즉, 스팀홀(44)은 흡입구(42)와는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하고 토출구(43)와는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The
흡입구(42)가 이너캐비닛(40)의 바닥의 앞쪽에 형성되고 토출구(43)가 이너캐비닛(40)의 바닥의 오른쪽에 형성될 때, 스팀홀(44)은 이너캐비닛(40)의 바닥의 뒤쪽 중 오른쪽으로 치우쳐 형성될 수 있다.(도 7a 및 도7b 참조)When the
이에 따라, 스팀홀(44)에서 토출되는 스팀이 바로 흡입구(42)로 흡입되지 않고 이너캐비닛(40) 내부 전체로 분산되어 충분히 이동할 수 있고, 특히, 토출구(43)와 인접하여 위치함으로써 토출구(43)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힘)에 의하여 더욱 강하게 이너캐비닛(40) 내부로 토출되며, 이너캐비닛(40) 내부의 전체 공간으로 스팀이 공급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team discharged from the
도 8a는 도 7a의 A-A'에서의 신발 관리기(1)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b는 도 7a의 B-B'에서의 신발 관리기(1)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이며, 도 8c는 도 7a의 C-C'에서의 신발 관리기(1)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a에는 송풍덕트(230)의 단면모습이 별도로 도시되어 있다.8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흡입덕트(210)는 흡입구(42)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흡입덕트(210)는 상부덕트(211), 중간덕트(212) 및 하부덕트(2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상부덕트(211)는 흡입덕트(210)의 가장 위쪽 부분을 이룰 수 있다. 상부덕트(211)는 흡입구(42)에서 아래쪽으로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중간덕트(212)는 상부덕트(211)의 하단에서 아래쪽으로 더 연장되는 부분을 이룬다. The
중간덕트(212)는 상부덕트(211)에서 어느 한쪽으로 휘어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간덕트(212)는 상부덕트(211)에서 신발 관리기(1)의 안쪽으로 휘어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하부덕트(213)는, 중간덕트(212)의 하단에서 아래쪽으로 더 연장되는 부분을 이룬다. 하부덕트(213)는 중간덕트(212)에서 아래쪽으로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송풍장치(220)는, 연결유로(F10)에 공기흐름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진다.The
송풍장치(220)는, 연결유로(F10)의 공기이동방향을 기준으로 흡입덕트(210)와 송풍덕트(230)의 사이에 위치하고, 흡입덕트(210)와 송풍덕트(230)를 서로 연결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송풍장치(220)는 하부덕트(213)와 송풍덕트(230)를 서로 연결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송풍장치(220)는 흡입구(42) 및 토출구(43)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The
송풍장치(220)는 송풍팬(221), 송풍하우징(225) 및 모터(2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송풍팬(221)은, 제1 방향(X)과 직교하고 수평방향인 제2 방향(Y)의 회전축(222)(rotation axis)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송풍장치(220)의 모터(227)는 송풍팬(221)을 회전시킨다.The blowing
송풍팬(221)의 회전축(222)은 제1 방향(X)에서 송풍덕트(230)보다 앞에 위치할 수 있다.The
송풍하우징(225)은 송풍팬(221)을 수용하도록 이루어진다. 송풍하우징(225)은, 송풍팬(221)의 회전축(222)을 중심으로 둥근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lowing
송풍하우징(225)은 흡입덕트(210) 및 송풍덕트(230)와 각각 연통되도록 이루어지고, 연결유로(F10)의 일부를 이룬다. The blowing
송풍하우징(225)은, 송풍팬(221)의 회전축(222) 상에서 흡입덕트(210)와 연결 및 연통되고, 그 테두리에서 송풍덕트(230)와 연결 및 연통될 수 있다.The blowing
따라서, 흡입덕트(210) 내부의 공기는 송풍팬(221)의 회전축(222) 부근에서 송풍하우징(225) 내부로 유입되고, 송풍하우징(225) 내부의 공기는 송풍팬(221)의 회전에 따라 송풍하우징(225)의 테두리쪽으로 가압되면서 송풍하우징(225)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송풍덕트(230) 쪽으로 이동한다.Accordingly, the air inside the
송풍덕트(230)는, 상측으로 갈수록 제2 방향(Y)의 폭이 연속적으로 넓어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The blowing
송풍덕트(230)는, 하부송풍덕트(231) 및 상부송풍덕트(2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blowing
하부송풍덕트(231)는 송풍장치(220)에 연결된다. 하부송풍덕트(231)는 송풍장치(220)의 송풍하우징(225)과 연통된다.The
상부송풍덕트(232)는 하부송풍덕트(231)에서 상측으로 연장된다. 상부송풍덕트(232)는 하우징입구(311)에 연통되게 결합될 수 있다.The
상부송풍덕트(232)의 제2 방향(Y)의 폭(W2)은 하부송풍덕트(231)의 제2 방향(Y)의 폭(W1) 보다 넓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송풍덕트(232)의 제2 방향(Y)의 폭(W2)은 하부송풍덕트(231)의 제2 방향(Y)의 폭(W1)의 1.5~2.5배의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width W2 of the
송풍덕트(230)가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으로써, 제습제블록(400)의 내부공간(제1 유로(F11))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고, 특히, 제습제블록(400)이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도, 제습제블록(400)로 충분한 공기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By forming the blowing
송풍팬(221)의 회전시 송풍하우징(225) 내부의 공기가 송풍덕트(230)로 자연스럽게 이동하도록, 송풍하우징(225) 및 송풍덕트(230)는 서로 함께, 송풍팬(221)의 회전축(222)을 중심으로 한 나선형의 통로를 이룰 수 있다. When the blowing
송풍팬(221)의 회전방향을 따라, 송풍팬(221)의 회전축(222)으로부터 반경방향의 거리가, 송풍하우징(225)에서 송풍덕트(230)에 걸쳐 순차적으로 증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팬(221)의 회전축(222)으로부터 송풍하우징(225) 및 송풍덕트(230)의 바깥쪽 테두리까지의 거리는 시계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증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blowing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할 때, 송풍하우징(225)의 후단 또는 송풍덕트(230)의 후단은, 제습제블록(400)의 후단보다 제1 방향(X)의 뒤쪽으로 더 돌출되거나 같은 위치에 놓이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When referenced in the first direction (X), the rear end of the blowing
이에 따라, 송풍하우징(225) 및 송풍팬(221)을 거친 공기의 흐름 방향이 제습제블록(400) 내부의 유로(제1 유로(F11))로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 방향과 대체로 맞게 이루어지거나 자연스럽게 전환될 수 있다.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팬(221)의 회전축(222)을 중심으로, 송풍하우징(225) 및 송풍덕트(230) 내부의 공기는 시계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제습제블록(400) 내부의 유로(제1 유로(F11))의 공기 또한 시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Accordingly,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따라서, 연결유로(F10)를 이동하는 공기가 제습제블록(400)을 원활하게 통과하면서도 제습제블록(400)을 거치는(통과하는) 공기의 유로저항이 불필요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while the air moving through the connection flow path F10 smoothly passes through the
도 9는 도 4a에 도시된 컨덴서(800)의 내부 유로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flow path structure of the
도 10a는 도 9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덴서(800)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0b는 도 10a의 컨덴서(800)를 도시한 평면도이다.FIG. 10A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컨덴서(800)는 재생유로(F20)의 일부를 이룬다.The
기계실(50) 내부에서 컨덴서(800)는 급수통(60) 또는 배수통(70) 뒤에 위치할 수 있다.In the
컨덴서(800)는, 제습제(430)보다 낮고 섬프(214)보다 높게 위치한다. 컨덴서(800)는 금속성으로 이루어진다. 컨덴서(800)는 열전도율이 우수한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컨덴서(800)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컨덴서(800)는, 컨덴서입구(810), 컨덴서출구(830) 및 컨덴서유로(8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컨덴서입구(810)는 연결유로(F10)쪽으로 연결된다. 컨덴서입구(810)는, 재생유로(F20)를 이루는 별도의 배관 또는 호스 등에 의하여 재생유로홀(527)로 연결된다.The
컨덴서출구(830)는 섬프(214)쪽으로 연결된다. 컨덴서출구(830)는, 재생유로(F20)를 이루는 별도의 배관 또는 호스 등에 의하여 섬프홀(215)로 연결된다.The
컨덴서유로(820)는, 컨덴서(800) 내부에 구비되는 공기(또는 물)의 이동통로로서, 컨덴서입구(810)와 컨덴서출구(830)를 연결한다.The
컨덴서유로(820)는, 컨덴서입구(810)에서 컨덴서출구(830)까지 순차적으로 낮아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컨덴서유로(820)는 지그재그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컨덴서유로(820)는, 연직방향의 평면과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The
이에 따라, 컨덴서(800)는 세로로 얇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계실(50) 내부에서 차지하는 용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컨덴서(800) 내부에서 응축된 물이, 컨덴서(800) 내부에서 고이지 않고 중력방향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컨덴서(800)는 제3 구간(F10c) 및 댐퍼(510)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다.The
흡입덕트(210)를 기준으로 컨덴서(800)는 히터(710)의 반대쪽에 위치할 수 있다. 흡입덕트(210)는 히터(710)와 컨덴서(800)를 서로 차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Based on the
이에 따라, 히터(710)의 열기가 컨덴서(80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컨덴서(800) 내부에서 수증기의 응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block the transfer of the heat from the
하부덕트(213)를 기준으로 컨덴서(800)는 송풍장치(220)의 반대쪽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덕트(213)의 양쪽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고, 컨덴서(800)의 구비에 따른 기계실(50)의 부피증가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Based on the
도 11a는 도 3b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1)에서 제습제하우징(300), 제습제블록(400) 및 히터(710)가 서로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b는 도 11a에서 제습제하우징(300), 제습제블록(400) 및 히터(710)가 서로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1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도 12는 도 11a의 제습제하우징(30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제습제하우징(300)은 제습제블록(400)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 형태로 이루어진다. The
제습제하우징(300)은 대체로 상측으로 개구된 용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제습제하우징(300)은, 제습제하우징(300)으로부터 상측으로 제습제블록(400)을 꺼내거나 집어넣을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습제하우징(300)의 상측에는 제습제덮개(46)가 결합되면서 제습제하우징(300)의 상측 개구를 차폐할 수 있다.The
제습제블록(400)은 제습제하우징(300)의 내부에 수용된다.The
제습제하우징(300)은 그 내부공간이 연결유로(F10)의 일부를 이룬다. The
히터(710)는 연결유로(F10)에 위치하고, 연결유로(F10)의 공기를 가열하도록 이루어진다. The
또한 히터(710)는 제습제블록(400)을 가열하도록 이루어진다. 히터(710)는 제습제블록(400)을 이루는 제습제(430)를 가열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히터(710)는 제습제블록(400)과 인접하여 연결유로(F10)에 배치된다.In addition, the
제습제블록(400) 및 히터(710)는 서로 함께 제습제하우징(30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The
히터(710)는, 제습제하우징(300)과 제습제블록(400)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The
제습제하우징(300) 및 히터(710)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Further description of the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제블록(400)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3A and 13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the
도 13c는 도 13a의 제습제블록(400)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13C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제블록(40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도 15a와 도 15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제블록(400)과 히터(710)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15A and 15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도 16a와 도 16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제블록(400)과 히터(710)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16A and 16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the
도 17a와 도 17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제블록(400)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17A and 17B ar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신발 관리기(1)에서 제습제블록(400)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In the
신발 관리기(1)에서 제습제블록(400)은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습제블록(400)은 제1 방향(X)과 직교하는 제2 방향(Y)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In the
제습제블록(400)은 연결유로(F10)에 위치하고, 연결유로(F10)를 지나는 공기로부터 습기를 제거하도록 이루어진다. The
제습제블록(400)은 그 내부공간(404)을 형성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공간(404)의 공기가 제습제블록(400)의 전체 면적에 걸쳐 관통하여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연결유로(F10)를 지나는 공기와 제습제(430)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게 된다.The
제습제블록(400)은 내측매쉬(410), 외측매쉬(420) 및 제습제(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습제블록(400)은 제1 프레임(4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내측매쉬(410) 및 외측매쉬(420)는 각각 매쉬(mesh)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측매쉬(410)와 외측매쉬(420)에는 각각, 전체 면적에 걸쳐 복수 개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내측매쉬(410)와 외측매쉬(420)의 이러한 각 구멍은, 제습제(430)가 이탈하지 않도록, 제습제(430)의 각 알갱이 크기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The
내측매쉬(410) 및 외측매쉬(420)는 제습제블록(400)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비교적 단단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측매쉬(410) 및 외측매쉬(420)는 각각 금속, 내열성의 합성수지 또는 합성섬유, 탄소섬유 등의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내측매쉬(410) 및 외측매쉬(420)는 각각 소정의 면적을 이루고, 각각 곡면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서로 절곡된 평면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내측매쉬(410)는 제습제블록(400)의 내부공간(404)을 이루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내측매쉬(410)의 내부공간(404)에 히터(710)가 수용될 수 있다.The
외측매쉬(420)는, 내측매쉬(410)의 외측에 위치한다.The
내측매쉬(410)는 제습제블록(400)의 내측면을 이루고, 외측매쉬(420)는 제습제블록(400)의 외측면을 이룬다.The
내측매쉬(410) 및 외측매쉬(420)는 각각, 제1 방향(X)을 따라 단면(section)이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Each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제습제(430)는 복수 개의 알갱이(또는 돌맹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내측매쉬(410)와 외측매쉬(420) 사이에 채워진다.As described above, the
제습제블록(400)은, 수평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관(pipe) 또는 터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제습제블록(400)은, 그 횡단면의 모양이,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The
제습제블록(400)은, 그 횡단면의 모양이, 일측으로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습제블록(400)에서 개구된 방향이 하측을 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The
제습제블록(400)은, 그 횡단면의 모양이 ㄷ자 또는 U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제습제블록(400)은 그 횡단면의 모양이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13c 참조) 이러한 구조의 제습제블록(400)은, 제습제(430)와 공기의 접촉면적을 넓히고, 제습제블록(400) 외측의 전체 영역에 걸쳐 제2 유로(F12)의 균일한 형성이 가능하도록 하며, 제습제블록(400)의 분리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한다.The
제습제블록(400)의 횡단면의 모양이 ┏┓모양으로 이루어질때, 내측매쉬(410)와 외측매쉬(420)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When the cross-section of the
제습제블록(400)의 횡단면의 모양이 ┏┓모양로 이루어질 때, 제습제블록(400)은, 천장부(401), 제1 측벽부(402) 및 제2 측벽부(403)로 구분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When the cross-section of the
제습제블록(400)의 내부공간(404, 내측매쉬(410)의 내부공간)은, 연결유로(F10)의 일부인 제1 유로(F11)를 이룬다. 히터(710)는 제1 유로(F11)에 위치할 수 있다.The
상술한 바와 같이, 제습제블록(400)은 제1 방향(X)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제1 방향(X)에서, 제1 유로(F11)의 길이는 제습제블록(400)의 전체 길이(d1)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제1 유로(F11)는 제1 방향(X)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유로(F11)는, 제1 방향(X)의 길이가 제2 방향(Y)의 길이(폭) 및 제3 방향(Z)의 길이(높이)보다 길게 이루어진다. 즉, 제1 유로(F11)의 길이방향이 제1 방향(X)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1 유로(F11)는, 제1 방향(X)의 길이가 제2 방향(Y)의 길이(폭) 또는 제3 방향(Z)의 길이(높이)보다 2배 이상 길게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flow path F11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irst direction X.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low path F11 has a length in the first direction (X) longer than a length (width) in the second direction (Y) and a length (height) in the third direction (Z). . That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flow path F11 may be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X. In a specific embodiment, the length of the first flow path F11 in the first direction (X) is at least twice as long as the length (width) in the second direction (Y) or the length (height) in the third direction (Z) can be done
제1 방향(X)이 제1 유로(F11)의 길이방향이고, 제2 방향(Y)이 제1 유로(F11)의 폭방향이고, 제3 방향(Z)이 제1 유로(F11)의 높이방향일 때, 제1 유로(F11)의 길이는 제1 유로(F11)의 폭 및 높이보다 길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direction (X)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flow path (F11), the second direction (Y) is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flow path (F11), and the third direction (Z) is the direction of the first flow path (F11) In the height direction, the length of the first flow path F11 may be longer than the width and height of the first flow path F11 .
흡입구(42)로 유입된 공기는, 제습제블록(400)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하면서 흐를 수 있다.The air introduced into the
제1 유로(F11)는 연결유로(F10)의 제2 구간(F10b)의 상류를 이룬다. 즉, 제1 구간(F10a)의 공기가 제2 구간(F10b)으로 진입할 때 먼저 제1 유로(F11)로 진입하게 되고, 이후 제1 유로(F11)로 유입된 공기는 제습제블록(400)을 관통하여 이동하게 된다.The first flow path F11 forms an upstream of the second section F10b of the connection flow path F10. That is, when the air of the first section F10a enters the second section F10b, it first enters the first flow path F11, and the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flow path F11 is the
제1 유로(F11)는 제습제블록(400)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유로(F11)는 제1 방향(X)을 따라 길게 이루어지며, 제1 유로(F11)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는 제습제블록(400)을 관통하는 방향(제1 방향(X)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연결유로(F10)의 공기와 각 제습제(430) 알갱이 간의 접촉면적이 충분히 넓게 이루어질 수 있고, 제습효율을 높일 수 있다.The first flow path F11 is formed in the
제습제블록(400)에서 내측매쉬(410)와 외측매쉬(420) 사이의 간격을 제습제블록(400)의 두께라고할 때, 제습제블록(400)의 두께는, 위쪽 부분이 아래쪽 부분보다 더 두껍게 이루어질 수 있다.(도 16a 및 도 16b 참조)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제1 유로(F11)를 이동하는 공기는 히터(710)에 의해 가열되면서 위쪽으로 상승하려는 성질을 가질 수 있으며, 제습제블록(400)의 위쪽 부분이 아래쪽 부분보다 더 두껍게 이루어짐으로써, 제습제블록(400)을 관통하는 공기가 많은 수의 제습제 알갱이와 접촉할 수 있으며, 제습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The air moving through the first flow path F11 may have a property of ascending upward while being heated by the
일 실시예에서, 제습제블록(400)은, 제1 방향(X)을 따라 그 두께가 일정(t1=t2)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도 17a 참조)In one embodiment, the
다른 실시예에서, 제습제블록(400)은, 제1 방향(X)을 따라 그 두께가 변형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습제블록(400)은, 제1 방향(X)의 뒤쪽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더 두껍고, 제1 방향(X)의 앞쪽을 향할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1>t2)(도 17b 참조)In another embodiment, the
특히, 제습제블록(400)의 천장부(401)는, 제1 방향(X)의 뒤쪽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더 두껍고, 제1 방향(X)을 앞쪽을 향할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1>t2) 또한, 제습제블록(400)의 천장부(401)는, 그 내측면이 제1 방향(X)의 앞쪽을 향할수록 상향 경사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particular, the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입구(311)는 제습제블록(400)의 천장부(401)의 저면과 마주하고, 이때, 하우징입구(311)는 제1 방향(X)의 뒤쪽에 치우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이 경우, 하우징입구(311)를 통하여 제1 유로(F11)로 분사된 공기는 제1 방향(X)의 뒤쪽의 천장부(401)를 향하게 되며, 제1 유로(F11)로 진입한 공기가 상대적으로 가장 두꺼운 부분의 제습제(430)와 먼저 접촉하게 됨으로써 공기와 제습제 간의 접촉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air injected into the first flow path F11 through the
또한, 제습제블록(400)의 천장부(401)의 내측면(저면)이 제1 방향(X)의 앞쪽을 향할수록 상향 경사지는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도 17b 참조), 송풍하우징(225), 송풍덕트(230) 및 제1 유로(F11)를 이동하는 공기의 자연스러운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불필요한 유동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inner surface (bottom surface) of the
도 18 및 도 19a는 각각 도 3a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1)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18 and 19A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도 19b 및 도 19c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19B and 19C are cross-sectional views each show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제습제블록(400) 및 제습제(430)는, 이너캐비닛(40)의 바닥(캐비닛바닥판(45) 및 제습제덮개(46)) 밑에 위치하고, 제습제블록(400)은 이너캐비닛(40)의 바닥과 이격될 수 있다.The
제습제블록(400)의 외부공간(외측매쉬(420)의 외부공간)은, 연결유로(F10)의 일부인 제2 유로(F12)를 이룬다.The external space of the desiccant block 400 (the external space of the outer mesh 420 ) forms a second flow path F12 that is a part of the connection flow path F10 .
제습제블록(400)의 외측면(외측매쉬(420)의 외측면)과 제습제하우징(300)의 내측면 사이의 공간이 제2 유로(F12)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A spa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desiccant block 400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mesh 420 )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이너캐비닛(40)의 캐비닛바닥판(45)과 제습제블록(400) 사이의 공간이 제2 유로(F12)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특히, 제습제덮개(46)와 제습제블록(400) 사이의 공간이 제2 유로(F12)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A space between the
흡입구(42)로 유입된 공기는 흡입덕트(210), 송풍장치(220) 및 송풍덕트(230)를 거친 후, 내측매쉬(410)의 내부공간(404)으로 유입되고, 제습제블록(400)을 관통하면서 제1 유로(F11)에서 제2 유로(F12)로 흐른다. The air introduced into the
제습제블록(400)은, 천장부(401), 제1 측벽부(402) 및 제2 측벽부(4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내측매쉬(410)와 외측매쉬(420)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The
천장부(401)는 수평방향으로 평평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제1 측벽부(402) 및 제2 측벽부(403)는 각각 수직방향으로 평평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측벽부(402)는 천장부(401)의 일측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제2 측벽부(403)는 천장부(401)의 타측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된다. 제2 측벽부(403)은 제1 측벽부(402)와 이격되고 제1 측벽부(402)와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Each of the
천장부(401), 제1 측벽부(402) 및 제2 측벽부(403)는 각각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이루어진다.The
천장부(401), 제1 측벽부(402) 및 제2 측벽부(403)는 각각 내측매쉬(410), 외측매쉬(420), 및 제습제(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천장부(401), 제1 측벽부(402) 및 제2 측벽부(403)는 각각 내측매쉬(410), 외측매쉬(420), 제습제(430) 및 제1 프레임(4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일 실시예에서, 제습제블록(400)에서 내측매쉬(410)에서 외측매쉬(420)까지의 최단거리를 제습제블록(400)의 두께라고할 때, 천장부(401), 제1 측벽부(402) 및 제2 측벽부(403)는 각각 서로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다른 실시예에서, 제습제블록(400)에서 내측매쉬(410)에서 외측매쉬(420)까지의 최단거리를 제습제블록(400)의 두께라고할 때, 천장부(401)의 두께는, 제1 측벽부(402) 또는 제2 측벽부(403)의 두께 보다 더 두껍게 이루어질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천장부(401), 제1 측벽부(402) 및 제2 측벽부(403)에 의해 둘러싸이는 내부공간(404)은 제1 유로(F11)를 이루고, 천장부(401), 제1 측벽부(402) 및 제2 측벽부(403)의 외부공간은 제2 유로(F12)를 이룬다.The
히터(710)는 천장부(401), 제1 측벽부(402) 및 제2 측벽부(403)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신발 관리기(1)에서, 제습제블록(400)의 내부공간(404)인 제1 유로(F11)는, 제1 방향(X)의 뒤쪽 및 앞쪽이 각각 차폐되거나 밀폐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방향(X)에서 제습제블록(400)의 내부공간인 제1 유로(F11)는 가장 앞쪽 및 가장 뒤쪽이 각각 차폐되거나 밀폐될 수 있다.In the
따라서, 제1 유로(F11)로 유입된 공기는 제1 방향(X)의 뒤쪽 또는 앞쪽 방향으로 제1 유로(F11)를 빠져나가지 않거나 거의 빠져나가지 않고, 전부 또는 대부분이 제습제블록(400)을 관통하여 이동하게 된다.Accordingly,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flow path F11 does not or hardly exits the first flow path F11 in the rear or front direction of the first direction X, and all or most of the
제습제하우징(300)은, 하우징바닥판(310), 제습제후방벽(320), 제습제전방벽(330), 제습제좌측벽(340a, 340b) 및 제습제우측벽(350a, 350b)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도 11b 및 도 12 참조)The
하우징바닥판(310)은 제습제블록(400)이 안착되는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바닥판(310)은 대체로 수평방향으로 평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하우징바닥판(310)에는 하우징입구(311)가 형성된다.A
하우징입구(311)는, 하우징바닥판(310)에 형성되는 구멍으로서 제습제블록(400)의 내부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를 이룬다. 하우징입구(311)는 제1 유로(F11)로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를 이룬다.The
하우징입구(311)에는, 격자형태, 매쉬형태 등의 망이 형성될 수 있다.At the
하우징입구(311)는 제습제블록(400)의 천장부(401)의 저면과 마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하우징입구(311)는, 제습제하우징(300)에서 제1 방향(X)의 뒤쪽으로 치우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입구(311)는,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하우징바닥판(310)의 후단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제습제블록(400)의 천장부(401)는, 하우징입구(311)와 가까운 쪽이 하우징입구(311)와 먼쪽보다 두껍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제습제후방벽(320), 제습제전방벽(330), 제습제좌측벽(340a, 340b) 및 제습제우측벽(350a, 350b)은 각각 연직방향으로 세워진 벽면을 이룰 수 있다.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제습제하우징(300)에서, 제습제후방벽(320)은 뒤쪽 벽면을 이루고, 제습제전방벽(330)은 앞쪽 벽면을 이루고, 제습제좌측벽(340a, 340b)은 왼쪽 벽면을 이루고, 제습제우측벽(350a, 350b)은 오른쪽 벽면을 이룰 수 있다. The desiccant
제습제후방벽(320)은 하우징바닥판(310)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다. 제습제하우징(300) 내부에 제습제블록(400)이 수용된 상태에서, 제습제후방벽(320)은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제습제블록(400)의 뒤에 위치한다. 이때, 제습제후방벽(320)은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제습제블록(400)의 뒷면에 밀착되거나 근접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The desiccant
제습제후방벽(320)이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제습제블록(400)의 뒷면에 근접할 때, 제습제후방벽(320)과 제습제블록(400) 간의 간격은 매우 작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1mm 전후, 또는 그 이하로 이루어질 수 있다. When the desiccant
제습제후방벽(320)은, 제습제블록(400)의 내부공간(404)인 제1 유로(F11)를, 제1 방향(X)의 뒤쪽에서 차폐되거나 밀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desiccant
제습제전방벽(330)은 하우징바닥판(310)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다. 제습제전방벽(330)은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제습제블록(400)의 앞에 위치한다. 제습제하우징(300) 내부에 제습제블록(400)이 수용된 상태에서, 제습제전방벽(330)은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제습제블록(400) 및 수직판(722)으루부터 앞쪽으로 이격된다. 제습제전방벽(330)에는, 제2 유로(F12)의 공기가 이동하도록 제1 방향(X)으로 관통된 하우징출구(331)가 형성될 수 있다.The desiccant
제습제좌측벽(340a, 340b)은,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제습제블록(400)의 좌측에서 제습제후방벽(320)과 제습제전방벽(330)을 연결한다.The desiccant left
제습제우측벽(350a, 350b)은,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제습제블록(400)의 우측에서 제습제후방벽(320)과 제습제전방벽(330)을 연결한다.The desiccan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제습제블록(400)이 한 쌍으로 구비될 때, 제습제하우징(300)은 한 쌍의 제습제블록(400)을 개별적인 공간에 각각 수용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이때, 제습제하우징(300)은, 하우징바닥판(310), 제습제후방벽(320), 제습제전방벽(330), 제1 제습제좌측벽(340a), 제1 제습제우측벽(350a), 제2 제습제좌측벽(340b) 및 제1 제습제우측벽(350b)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제1 제습제좌측벽(340a)과 제1 제습제우측벽(350a) 사이에 어느 하나의 제습제블록(400)이 수용되고, 제2 제습제좌측벽(340b)과 제1 제습제우측벽(350b) 사이에 다른 하나의 제습제블록(400)이 수용된다.Any on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제1 제습제우측벽(350a)과 제2 제습제좌측벽(340b)은 서로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서로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제습제블록(400)이 제습제하우징(300)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습제좌측벽(340a, 340b)의 내측면은 제1 측벽부(402)의 외측면과 이격되게 마주할 수 있다. 따라서, 제습제좌측벽(340a, 340b)과 제1 측벽부(402) 간에 소정의 틈이 형성되고, 이러한 틈이 제2 유로(F12)의 일부를 이룬다.In a state in which the
또한, 제습제블록(400)이 제습제하우징(300)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습제우측벽(350a, 350b)의 내측면은 제2 측벽부(403)의 외측면과 이격되게 마주할 수 있다. 따라서, 제습제우측벽(350a, 350b)과 제2 측벽부(403) 간에 소정의 틈이 형성되고, 이러한 틈이 제2 유로(F12)의 일부를 이룬다.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제습제덮개(46)와 제습제블록(400)의 사이에 틈이 형성되고 이러한 틈이 제2 유로(F12)를 이룬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a gap is formed between the
상기 제2 유로(F12)를 이루는 공간은 수직판(722)과 제습제전방벽(330) 사이의 공간과 연통되고, 제2 유로(F12)의 공기는 하우징출구(331)를 통하여 제1 방향(X) 앞쪽으로 이동하여 댐퍼하우징(520)의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The space forming the second flow path F12 communicates with the space between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중력방향의 반대방향인 제3 방향(Z)을 기준으로, 제습제블록(400)은 제1 유로(F11)의 입구인 하우징입구(311)와 같거나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제1 유로(F11)는 제습제블록(400)의 하단에서 그 위쪽으로 형성되며, 제2 유로(F12)는 제1 유로(F11)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면서 제습제블록(400)의 하단에서 그 위쪽으로 형성된다. In the
제1 유로(F11) 내부에서 공기는 제1 방향(X)을 따라 이동하면서 아울러 제1 방향(X)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In the first flow path F11 , the air moves along the first direction (X) and also mov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X).
제1 유로(F11)의 압력은 제2 유로(F12)의 압력보다 크게 되고, 제1 유로(F11)에서 하우징입구(311)가 형성되는 제1 방향(X)의 뒤쪽이 앞쪽보다 압력이 크게 된다. 또한, 제습제하우징(300) 내부의 압력이 댐퍼하우징(520) 내부의 압력보다 크게 된다.The pressure of the first flow path F11 is greater than the pressure of the second flow path F12, and the rear side of the first direction (X) in which the
따라서, 연결유로(F10)에서 공기의 이동방향 및 압력의 작용방향을 고려할 때, 제1 유로(F11)의 공기가 제습제블록(400)을 관통하면서 제2 유로(F12)로 흐를 때 모든 제습제(430) 부분을 관통하여 흐를 수 있으며, 제습제(430)의 최대 활용이 가능하다.Therefore, when the air in the first flow path F11 passes through the
또한, 제습제(430)의 재생시 히터(710)가 가열되는 경우 제1 유로(F11)의 공기는 중력방향의 반대방향(제3 방향(Z))으로 더 원활히 이동할 수 있으며, 제습제(430)의 재생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제습제하우징(300)은 제1 가이드돌기(3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습제하우징(300)에서 제1 가이드돌기(360)는 복수 개로 구비된다.In the
제1 가이드돌기(360)는, 제습제좌측벽(340a, 340b)의 내측면 및 제습제우측벽(350a, 350b)의 내측면에서 각각 내측으로 돌출되어 제습제블록(400)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제1 가이드돌기(360)가 형성됨으로써, 제습제좌측벽(340a, 340b)과 제1 측벽부(402) 간에 소정의 틈이 안정되게 형성되고, 또한 제습제우측벽(350a, 350b)과 제2 측벽부(403) 간에 소정의 틈이 안정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습제하우징(300) 내부에서 제습제블록(400)이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고 제2 유로(F12)가 안정되게 유지된다.As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제습제블록(400)은 제2 가이드돌기(4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습제블록(400)에서 제2 가이드돌기(480)는 복수 개로 구비된다.In the
제2 가이드돌기(480)는 제습제블록(400)의 외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가이드돌기(480)는, 제1 측벽부(402)의 외측면 및 제2 측벽부(403)의 외측면에서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일부의 제2 가이드돌기(480)는 제습제좌측벽(340a, 340b)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다른 일부의 제2 가이드돌기(480)는 제습제우측벽(350a, 350b)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The
제2 가이드돌기(480)가 형성됨으로써, 제습제좌측벽(340a, 340b)과 제1 측벽부(402) 간에 소정의 틈이 안정되게 형성되고, 또한 제습제우측벽(350a, 350b)과 제2 측벽부(403) 간에 소정의 틈이 안정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습제하우징(300) 내부에서 제습제블록(400)이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고 제2 유로(F12)가 안정되게 유지된다.As the
신발 관리기(1)에서, 제1 가이드돌기(360)와 제2 가이드돌기(480)는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함께 형성될 수 있다.I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제습제덮개(46)는 제3 가이드돌기(46a)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제3 가이드돌기(46a)는, 제습제덮개(46)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제습제블록(400)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습제덮개(46)에서 제3 가이드돌기(46a)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The
제3 가이드돌기(46a)가 형성됨으로써, 제습제덮개(46)와 천장부(401) 간에 소정의 틈이 안정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습제하우징(300) 내부에서 제습제블록(400)이 연직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고 제2 유로(F12)가 안정되게 유지된다.As the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달리, 제2 유로(F12)의 안정적인 유지를 위한 구성(제1 가이드돌기(360), 제2 가이드돌기(480) 또는 제3 가이드돌기(46a))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 제습제하우징(300) 내부에서 제습제블록(400)이 움직일 수 있게 되고, 이때, 제2 유로(F12)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못하고, 제2 유로(F12)의 어느 한 부분의 용적이 커지거나 작아질 수 있다. 이 경우, 제2 유로(F12)를 이동하는 공기 압력, 속도 등이 예상된 범위를 벗어날 수 있고, 제습제블록(400)에 의한 공기의 제습 및/또는 제습제의 재생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Unlik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figuration (the
도 20은 도 11b에 도시된 한 쌍의 제습제블록(40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2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ir of desiccant blocks 400 shown in FIG. 11B .
도 21a는 도 20의 제습제블록(400)에서 제1 프레임(440)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1b는 도 21a의 제1 프레임(440)을 도시한 정면도이다.2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도 22a는, 제1 프레임(440) 주변에서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신발 관리기(1)를 도시한 단면도이다.22A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low of air around the
도 2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22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art of the
제1 프레임(440)은 제1 방향(X)에서 제습제블록(400)의 앞쪽 면을 이룰 수 있다. 제1 프레임(440)은 비교적 단단한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금속, 합성수지, 세라믹, 탄소섬유 등의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제1 프레임(440)은, 제1 방향(X)에서 천장부(401), 제1 측벽부(402) 및 제2 측벽부(403)의 앞면을 이룰 수 있다.The
제1 프레임(440)은, 내측매쉬(410) 및 외측매쉬(420)의 테두리를 따라 결합된다. 제1 프레임(440)에, 내측매쉬(410)와 외측매쉬(420)가 고정될 수 있다.The
내측매쉬(410) 및 외측매쉬(420)가 제1 프레임(440)에 고정됨으로써, 제습제블록(400)은 전체적으로 안정된 구조를 유지할 수 있고, 제습제블록(400) 내부에 제습제(430)가 채워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Since the
제1 프레임(440)은, 제1 방향(X)과 직교하거나 경사진 면을 이룰 수 있다. 제1 프레임(440)은 제2 방향(Y) 및 제3 방향(Z)과 평행한 면을 이룰 수 있다.The
제1 프레임(440)은 막음부(441) 및 개구부(4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제1 프레임(440)에서 막음부(441)는, 공기가 이동하는 구멍이 없이 막힌 면을 이루는 부분이다. 그리고 제1 프레임(440)에서 개구부(442)는, 공기가 관통하여 이동하도록 이루어진 구멍에 해당되는 부분이다.The blocking
막음부(441)는, 제1 방향(X)에서 제습제(430)를 차폐하도록 막힌 면을 이룬다. 특히 막음부(441)는, 제1 방향(X)에서 제습제(430)를 차폐하도록, 외측매쉬(420)보다 내측매쉬(410)와 가까운 쪽에 위치하며 막힌 면을 이룬다.The blocking
개구부(442)는, 제1 방향(X)에서 제습제(430)를 차폐하지 않도록, 관통된 구멍을 이룬다. 특히 개구부(442)는, 제1 방향(X)에서 제습제(430)를 차폐하지 않도록, 내측매쉬(410)보다 외측매쉬(420)와 가까운 쪽에서 관통된 구멍을 이룬다.The opening 442 forms a through hole so as not to block the
제1 프레임(440)에서 개구부(442)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고, 개구부(442)는, 천장부(401), 제1 측벽부(402) 및 제2 측벽부(403)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In the
연결유로(F10)의 공기는 제1 방향(X)의 뒤쪽에서 제습제블록(40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고, 제1 방향(X)의 앞쪽으로 이동하면서 제습제블록(400)을 관통하게 된다.The air of the connection flow path F10 flows into the inner space of the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제습제블록(400)의 내부공간(제1 유로(F11))은, 그 뒤쪽 부분의 압력이 가장 크고 앞쪽을 향할수록 압력이 감소할 수 있다.In the inner space (the first flow path F11 ) of the
제습제블록(400)의 내부공간(제1 유로(F11))의 공기의 상당부분은, 제1 방향(X)에서 제습제블록(400)의 뒤쪽 부분(area A) 및 중간 부분(area B)을 관통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A significant portion of the air in the internal space (first flow path F11) of the
한편, 만일, 본 발명과 달리 제1 프레임(440)에 개구부(442)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를 가정하면, 제1 유로(F11)의 공기가 제1 프레임(440)과 인접한 부분(area C 및 area D)에서 제습제블록(400) 내부로 진입하더라도 그 공기는 매우 약하게 흐르거나 정체되게 되며, 이 경우 제1 프레임(440)과 인접한 부분(area C 및 area D)의 제습제(430)가 활용되지 못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unlike the present invention, assuming that the
이와 달리 본 발명에서는, 제1 프레임(440)에 개구부(442)가 형성됨으로써, 제1 유로(F11)의 공기는 개구부(442)를 통하여 제습제블록(400)을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제1 방향(X)에서 제습제블록(400)의 가장 앞쪽 부분(area C 및 area D)의 효율적인 활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contrast,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특히, 개구부(442)가 내측매쉬(410)보다 외측매쉬(420)와 가까운 쪽에 형성됨으로써, 상대적으로 안쪽 부분(area C)의 공기는 상대적으로 바깥쪽 부분(area D)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제1 방향(X)에서 제습제블록(400)의 가장 앞쪽 부분 모두(area C 및 area D)의 효과적인 활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도 23, 도 24a 및 도 24b는 각각, 서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습제블록(40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4c 및 도 24d는 각각, 서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습제블록(400)이 제습제하우징(300)에 수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23, 24A, and 24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제습제블록(400)은 제2 프레임(450) 및 제3 프레임(4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제습제블록(400)은 제4 프레임(4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제2 프레임(450)은, 제1 방향(X)의 앞쪽에서 제습제블록(400)의 내부공간(제1 유로(F11))을 차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The
제2 프레임(450)은 제1 방향(X)에서 제습제블록(400)의 앞쪽 면을 이룰 수 있다. 제2 프레임(450)은 비교적 단단한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금속,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제2 프레임(450)은 제1 프레임(440)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프레임(450)은 제1 프레임(440)과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제습제블록(400)에 제2 프레임(450)이 형성됨으로써, 제1 유로(F11)의 공기는 제1 방향(X)의 앞쪽으로 바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제습제블록(400)을 관통하여 이동하게 된다.As the
제3 프레임(460)은 평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져 제습제블록(400)의 외측매쉬(420)에 결합될 수 있다.The
제3 프레임(460)은 천장부(401)의 외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제3 프레임(460)은 제1 방향(X)의 뒤쪽으로 치우쳐 천장부(401)의 외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The
제3 프레임(460)은, 연직방향에서 하우징입구(31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제3 프레임(460)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 하우징입구(311)를 통하여 상측방향으로 제습제블록(400)의 내부공간(제1 유로(F11))에 유입된 공기는 제1 방향(X)에서 제습제블록(400)의 뒤쪽 부분(area A)을 가장 빨리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제3 프레임(460)이 형성되는 경우, 하우징입구(311)를 통하여 제습제블록(400)의 내부공간(제1 유로(F11))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1 방향(X)에서 제습제블록(400)의 뒤쪽 부분(area A)으로 유입되며 이때 제3 프레임(460)에 부딪혀 인접한 부분, 즉, 제1 방향(X)에서 제습제블록(400)의 중간 부분(area B)으로 이동한 후 제습제블록(400)을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다.When the
이처럼, 제습제블록(400)에 제3 프레임(460)이 형성되는 경우, 제1 방향(X)에서 제습제블록(400)의 뒤쪽 부분(area A)뿐 아니라 중간 부분(area B) 및 앞쪽 부분(area C 및 area D)으로 공기가 충분히 이동할 수 있으며, 제습제블록(400) 전체에 걸쳐 공기와 제습제 간의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일부 제습제의 비활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such, when the
제4 프레임(470)은 제1 방향(X)에서 제습제블록(400)의 뒤쪽 면을 이룰 수 있다. 제4 프레임(470)은 비교적 단단한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금속,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제4 프레임(470)은, 제1 방향(X)에서 천장부(401), 제1 측벽부(402) 및 제2 측벽부(403)의 뒷면을 이룰 수 있다.The
제4 프레임(470)은, 내측매쉬(410) 및 외측매쉬(420)의 테두리를 따라 결합된다. 제4 프레임(470)에, 내측매쉬(410)와 외측매쉬(420)가 고정될 수 있다.The
내측매쉬(410) 및 외측매쉬(420)가 제4 프레임(470)에 고정됨으로써, 제습제블록(400)은 전체적으로 안정된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Since the
제4 프레임(470)은, 제1 방향(X)의 뒤쪽에서 제습제블록(400)의 내부공간(404, 제1 유로(F11))을 차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도 24b 참조) The
제1 프레임(440)과 제4 프레임(470)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습제하우징(300)의 내측면에 밀착 및 지지되는 가이드돌기(제2 가이드돌기(48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술한 제2 가이드돌기(480)가 제1 프레임(440) 및/또는 제4 프레임(470)에 형성될 수 있다.On at least one of the
제1 프레임(440)과 제4 프레임(470)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돌기(490)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490)는 반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습제하우징(300)의 내측면에는 고정돌기(490)가 삽입되도록 오목한 홈인 고정홈(380)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490) 및 고정홈(380)은 각각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고, 복수 개의 고정돌기(490)(또는 고정홈(380))은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490) 및/또는 고정홈(380)은 탄성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돌기(490)의 돌출높이 및/또는 고정홈(380)의 함몰깊이는 수mm의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제습제블록(400)이 제습제하우징(300)의 내부에 수용되어 안착될 때 고정돌기(490)가 고정홈(380)에 삽입되면서 제습제블록(400)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습제하우징(300) 내부에서 제습제블록(400)이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고 제2 유로(F12)가 안정되게 유지된다.When the
히터(710)는 기계실(50)에 고정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습제블록(400)은 교체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히터(710)는 제습제(430)에 열을 공급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한 장치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히터(710)는 전기히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히터는 발열체를 포함하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에 의하여 발열체가 발열하면서 그 주변에 열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히터는 발열체로서 니크롬선(Nichrome wire)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히터(710)는 자유단부(711) 및 고정단부(7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자유단부(711)는 제1 방향(X)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히터(710)에서 자유단부(711)는 발열체로 이루어진다.The
고정단부(712)는, 제1 방향(X)의 앞쪽에서 자유단부(711)로부터 하측방향으로 굽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고정단부(712)는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고정단부(712)를 통하여 자유단부(711)에 전기에너지가 공급되면서 자유단부(711)가 발열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를 제2 방향(Y)에서 볼 때, 히터(710)는 대체로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제블록(400)은 천장부(401), 제1 측벽부(402) 및 제2 측벽부(4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서 그 횡단면이 ┏┓모양으로 이루어지므로, 제습제하우징(300) 내부에 제습제블록(400)을 안착시키는 경우 제습제블록(400)의 내부공간(404)인 제1 유로(F11)에 히터(710)가 수용된다.When the
따라서, 제습제블록(400)의 착탈이 용이하면서 제습제블록(400)의 내부공간(404)에 히터(710)가 위치하는 신발 관리기(1)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신발 관리기(1)는, 히터(710)가 고정되는 히터플랜지(7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히터플랜지(720)는 금속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히터플랜지(720)는 수평판(721) 및 수직판(7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수평판(721)은 수평방향으로 평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수평판(721)은 제1 방향(X)의 앞쪽에서 하우징바닥판(310)에 고정될 수 있다.The
그리고 히터플랜지(720)의 수평판(721)에 히터(710)의 고정단부(712)가 고정된다.And the
히터플랜지(720)의 수직판(722)은 수평판(721)에서 상측으로 연장된다. 수직판(722)은 수평판(721)에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직판(722)은 제습제블록(400)의 내부공간을 차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수직판(722)은, 제습제블록(400)의 내부공간(404)인 제1 유로(F11)를, 제1 방향(X)의 앞쪽에서 차폐하거나 밀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수직판(722)은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제습제블록(400)의 앞면에 밀착되거나 근접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The
수직판(722)이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제습제블록(400)의 앞면에서 앞쪽으로 이격되어 수직판(722)과 제습제블록(400) 사이에 틈(g)이 형성될 수 있다.(도 22b 참조) 이때, 수직판(722)과 제습제블록(400) 간의 간격(틈(g))은 매우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습제블록(400)이 제1 프레임(4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때, 수직판(722)과 제1 프레임(440) 간의 간격은 매우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The
실시예에 따라, 수직판(722)과 제습제블록(400)(또는 제1 프레임(440)) 간의 간격은 제1 유로(F11)의 폭(제1 측벽부(402)와 제2 측벽부(403) 사이의 간격)의 1/10~1/200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수직판(722)과 제습제블록(400)(또는 제1 프레임(440)) 간의 간격은 1mm 전후, 또는 그 이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히터(710)의 작동시 히터플랜지(720)는 가열될 수 있으며, 이러한 틈(g)은, 수직판(722)의 열이 제습제블록(400)(특히, 제1 프레임(440))으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1 프레임(440)이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틈을 통하여 제1 유로(F11)의 공기 중 소량의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유로(F11)의 압력이 의도하지 않은 수준으로 과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distance between the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를 도시한 사시도이다.2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도 26은 도 25의 신발 관리기(1) 내부의 모습을 나타내기 위하여 도 25에서 도어(30)가 제거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2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도 27은 도 28의 기계실(50)에 구비되는 구성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2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components provided in the
도 28은 도 26의 신발 관리기(1)의 이너캐비닛(40)의 바닥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28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bottom of the
도 29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제1 벽(51)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29b는 도 29a에서 제1 벽(51)을 배제한 도면이다.29A is a front view of the
흡입구(42)는, 제1 방향(X)을 따라 긴 장공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캐비닛바닥판(45)의 좌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거나, 또는 캐비닛바닥판(45)의 우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The
그리고 이때 토출구(43)는 캐비닛바닥판(45)의 뒤쪽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즉, 토출구(43)는 캐비닛바닥판(45)에서 상대적으로 도어(30)와 먼 쪽에 위치할 수 있다. And at this time, the
급수통(60)과 배수통(70)은, 연직방향과 평행한 면을 이루고 제1 방향(X)과 평행한 면을 이루는 기준면(RP)을 중심으로 양쪽에 배치될 수 있다.The
송풍덕트(230)는 기준면(RP)에 배치될 수 있다.The blowing
도 30a 및 도 30b는 도 29b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1)의 기계실(50)을 서로 반대쪽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30A and 30B are views illustrating the
도 31a 및 도 31b는 도 25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1)를 도시한 단면도이다.31A and 31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the
기계실(50)은 제2 벽(54) 및 제3 벽(5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벽(54)과 제3 벽(55)은 기계실(50)에서 대향되는 양쪽 벽면을 이룬다. 제2 벽(54) 및 제3 벽(55)은 연직방향으로 세워지거나 대체로 연직방향으로 세워질 수 있다.The
제1 벽(51)이 기계실(50)의 앞쪽 벽을 이룰 때, 제2 벽(54)은 기계실(50)의 좌측벽을 이루고, 제3 벽(55)은 기계실(50)의 우측벽을 이룰 수 있다.When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컨덴서(800)는, 기계실(50)의 좌측벽 또는 우측벽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즉, 컨덴서(800)는 제2 벽(54)의 내측면에 밀착되거나 제3 벽(55)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때, 제2 벽(54) 및 제3 벽(55)은 열전도율이 우수한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컨덴서(800)가 제2 벽(54)에 밀착결합될 때 제2 벽(54)은 열전도율이 우수한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컨덴서(800)가 제3 벽(55)에 밀착결합될 때 제3 벽(55)은 열전도율이 우수한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이에 따라, 컨덴서(800)를 이동하는 수증기의 응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ly, condensation of water vapor moving through the
도 32는 도 26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1)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3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송풍덕트(230)는 제1 방향(X)의 뒤쪽으로 볼록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lowing
송풍덕트(230)는, 제습제블록(400)의 아래에서 급수통(60)과 배수통(70) 사이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blowing
이에 따라, 기계실(50)에서 송풍덕트(230)가 제1 방향(X)의 최대한 뒤쪽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고, 송풍하우징(225)의 직경을 최대한 크게 형성할 수 있으며, 나아가, 송풍하우징(225)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팬(221)의 직경을 크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n the
따라서, 출력이 충분히 큰 송풍장치(220)를 형성할 수 있고,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더라도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송풍하우징(225)을 형성할 수 있으며, 연결유로(F10)를 이동하는 단위시간당 공기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그리고 연결유로(F10)의 공기가 제습제블록(400)을 관통함에 있어서 의도하지 않은 유로저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unintentional flow resistance from occurring when the air of the connection flow path F10 passes through the
또한, 송풍덕트(230)가 제습제블록(400)의 아래에서 급수통(60)과 배수통(70)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구조의 신발 관리기(1)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lowing
제1 방향(X)에서 제습제블록(400) 및 제1 유로(F11)의 길이(d1)가 길수록 제습제블록(400)의 크기 및 제1 유로(F11)의 크기가 증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제습제의 단위시간당 제습능력이 향상된다.As the length d1 of the
이에 따라 제1 방향(X)에서 제습제블록(400) 및 제1 유로(F11)의 길이는 소정의 길이 이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Accordingly, the length of the
송풍덕트(230)가 급수통(60)과 배수통(70)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제1 방향(X)에서 제습제블록(400) 및 제1 유로(F11)의 길이(d1)를 확보하면서도,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송풍덕트(230)의 후단 내측면 및/또는 송풍하우징(225)의 후단 내측면은 제1 유로(F11)의 후단과 같거나 더 뒤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blowing
그리고 이때, 송풍하우징(225), 송풍덕트(230) 및 제1 유로(F11) 순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자연스러운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습제블록(400)의 전체 길이(d1, 제1 방향(X)에서 제습제블록(400)의 길이)에 걸쳐 제1 유로(F11)의 공기가 제습제블록(400)을 효과적으로 관통할 수 있게 된다. And at this time, the natural movement of the air moving in the order of the blowing
상술한 바와 같이 송풍덕트(230)는, 하부송풍덕트(231)와 상부송풍덕트(232)로 구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lowing
제1 방향(X)에서, 하부송풍덕트(231)의 폭은 상부송풍덕트(232)의 폭보다 넓고, 하부송풍덕트(231)의 후단은 상부송풍덕트(232)의 후단보다 뒤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first direction (X), the width of the
그리고 제2 방향(Y)에서, 송풍하우징(225)의 폭은 하부송풍덕트(231)의 폭과 같거나 좁게 이루어질 수 있다.And in the second direction (Y), the width of the blowing
이에 따라, 송풍하우징(225)의 제2 방향(Y)의 폭이 좁게 형성되더라도, 송풍하우징(225) 내부의 공기의 유량이 송풍덕트(230) 내부로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송풍하우징(225), 송풍덕트(230) 및 제습제블록(400) 내부(제1 유로(F11))로 순차적으로 전달되는 공기가 송풍팬(221)의 회전방향과 부합하게 이동함으로써, 연결유로(F10)에서 안정적인 공기 흐름이 이루어지게 된다.Accordingly, even if the width in the second direction (Y) of the blowing
도 33a 및 도 33b는 각각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를 도시한 단면도이다.33A and 33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도 33c는 도 도 33a 및 도 33b의 신발 관리기(1)에 구비되는 제습제하우징(300)을 도시한 단면사시도이다.33C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제1 벽(51)에는 교체홀(52)이 형성될 수 있다. 교체홀(52)은, 제습제블록(400)이 제1 방향(X)과 평행한 방향으로 인입되거나 인출되도록, 제1 벽(51)에서 관통된 구멍을 이룬다.A
신발 관리기(1)는 교체도어(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교체도어(53)는 교체홀(52)을 개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교체도어(53)는, 교체홀(52)을 개폐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형태로 제1 벽(51)에 결합될 수 있다.The
교체도어(53)는 기계실(5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또는 교체도어(53)는 기계실(50)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The
교체도어(53)가 기계실(50)에 힌지결합될 때, 교체도어(53)의 회전축(rotation axis)은 수평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수직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제습제블록(400)이 복수 개로 구비될 때, 교체홀(52) 및 교체도어(53)는 각각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제습제블록(400)이 한 쌍으로 구비될 때, 교체홀(52) 및 교체도어(53) 또한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When the
제습제블록(400), 교체홀(52) 및 교체도어(53)는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되어 기준면(RP)을 중심으로 양쪽에 배치되고, 급수통(60)과 배수통(70)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The
신발 관리기(1)에서 교체홀(52) 및 교체도어(53)가 구비될 때, 제습제하우징(300)의 제습제후방벽(320)에는 제습제블록(400)이 이동할 수 있도록 관통된 구멍인 후방홀(321)이 형성된다.When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습제블록(400)이 제1 방향(X)과 평행한 방향으로 신발 관리기(1) 내부에 인입되고 인출될 때, 제습제블록(400)은 제1 방향(X)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제습제하우징(300)에는 스토퍼(385)가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385)는 제습제하우징(300)의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토퍼(385)는 하우징바닥판(310)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토퍼(385)는, 제습제하우징(300)에 삽입된 제습제블록(400)이 제1 방향(X)으로 이동함에 있어서 소정의 지점까지만 이동하도록 제습제블록(400)의 이동을 제한한다. 즉, 스토퍼(385)는 제습제블록(400)이 계속하여 제1 방향(X)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스토퍼(385)는, 제습제블록(400)이 제습제전방벽(330)과 이격되는 소정의 지점까지만 이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A
신발 관리기(1)에 교체홀(52) 및 교체도어(53)가 구비될 때, 상술한 제습제덮개(46)는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캐비닛바닥판(45)과 제습제블록(400)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제2 유로(F12)의 안정적인 유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또한, 신발 관리기(1)에서 제습제블록(400)의 교체가 필요할 때, 이너캐비닛(40) 내부를 개방할 필요없이 교체홀(52)을 개방하여 제습제블록(400)의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when replacement of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이너캐비닛(40), 흡입구(42), 토출구(43), 공기공급장치(10) 및 제어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이너캐비닛(40)은 신발이 수용되는 수용공간(41)이 형성되는 부분으로, 내부에 흡입구(42)와 토출구(43)가 형성될 수 있다.The
흡입구(42)는 이너캐비닛(40)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어 수용공간(41)의 공기를 흡입 가능한 부분으로, 이너캐비닛(40) 내부의 공기는 흡입구(42)를 통하여 연결유로(F10)로 이동할 수 있다.The
토출구(43)는 이너캐비닛(40)의 내부 타측에 형성되어 수용공간(41)으로 공기를 공급 가능한 부분으로, 연결유로(F10)를 거친 공기는 토출구(43)를 통하여 다시 이너캐비닛(40)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The
공기공급장치(10)는 수용공간(41)의 공기를 송풍시키고, 한 쌍의 제습제(430)가 송풍되는 공기의 경로 상에서 서로 분기되어 배치되며, 한 쌍의 제습제(430)를 각각 가열 가능한 부분이다.The
이 경우, 제습제(430)는 가열됨으로써, 제습제(430)에 흡착된 수분이 분리되어 제습 기능을 수행 가능한 상태로 제습제(430)가 재생될 수 있다In this case, as the
이를 위하여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공급장치(10)는 기계실(50) 내에 배치되는 덕트, 송풍장치(220), 제습제하우징(300), 히터(710), 댐퍼하우징(520) 및 댐퍼(5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For this purpose, as shown in FIG. 34 , the
특히, 공기공급장치(10)는 흡입구(42)와 토출구(43) 사이에서 공기가 순환되는 연결유로(F10) 및 제습제(430)를 통과하는 공기가 토출구(43) 이외의 부분으로 송풍되는 재생유로(F20)가 각각의 제습제(430)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이에 따라, 수용공간(41)의 공기는 공기공급장치(10)로 송풍되어 서로 분기된 각각의 제습제(43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연결유로(F10) 또는 재생유로(F20)로 이동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ir in the
제어부(80)는 공기공급장치(10)를 제어하는 부분으로, 각각의 제습제(430)의 가열 여부에 따라 연결유로(F10)와 재생유로(F20)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공기공급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다.The
즉, 제습제(430)가 재생되는 상태인지에 따라 제어부(80)에서 연결유로(F10)와 재생유로(F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That is,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공기공급장치(10)에 제습제(430)가 배치되어 송풍되는 공기 중의 수분 및 세균을 포집할 뿐만 아니라, 공기공급장치(10)에서 제습제(430)를 가열하여 재생할 수 있으므로, 신발 처리에 대한 성능이 항상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이너캐비닛(40) 내부에 각각 형성된 흡입구(42)와 토출구(43) 사이에서 공기가 순환되는 연결유로(F10)가 형성되므로, 신발의 제습 및 탈취에 사용된 공기가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공기공급장치(10)에 한 쌍의 제습제(430)가 배치되고 각각의 제습제(430)마다 연결유로(F10)와 재생유로(F20)가 형성되어, 흡습모드와 재생모드의 필요성에 따라 각각의 연결유로(F10)와 재생유로(F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으므로, 신발 관리기(1)가 상황에 따라 최적의 상태로 가동되어 신발의 처리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공기공급장치(10)는 챔버(15), 히터(710), 건조유로홀(529), 재생유로홀(527) 및 댐퍼(510)를 포함할 수 있고, 컨덴서(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챔버(15)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각각의 제습제(430)가 분리되어 수용되도록 연결유로(F10) 상에서 분기되어 형성되는 공간일 수 있다. 이러한 챔버(15)는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습제하우징(300)의 일부 및 댐퍼하우징(520)의 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히터(710)는 각각의 챔버(15)에 설치되어 제습제(430)를 가열 가능한 부분으로, 제습제(430)와 인접하여 연결유로(F10)에 배치될 수 있다.The
건조유로홀(529)은 각각의 챔버(15)에 형성되어 제습제(430)를 통과한 공기를 토출구(43) 방향으로 배출 가능한 부분으로,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하우징(520)의 토출덕트(525) 부분에 형성되어 댐퍼(51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The drying
재생유로홀(527)은 건조유로홀(529)과 별개로 각각의 챔버(15)에 형성되어 제습제(430)를 통과한 공기를 토출구(43) 이외의 방향으로 배출 가능한 부분으로,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하우징(520)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댐퍼(51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The
댐퍼(510)는 각각의 챔버(15)에 설치되어 건조유로홀(529)과 재생유로홀(527)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부분으로,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하우징(520) 내에 설치될 수 있다.The
이 경우, 제어부(80)는 각각의 히터(710)의 작동 여부에 따라 건조유로홀(529)과 재생유로홀(527)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댐퍼(510)를 제어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공기공급장치(10)가 챔버(15), 히터(710), 건조유로홀(529), 재생유로홀(527) 및 댐퍼(510)를 포함하므로, 제어부(80)가 댐퍼(510)를 제어하여 흡습모드와 재생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컨덴서(800)는 재생유로홀(527)과 연결되어 재생유로홀(527)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키는 부분으로서 재생유로(F20)의 일부를 이루며, 컨덴서(800)에서 응축된 응축수는 재생유로(F20)를 통해 이동될 수 있다.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공기공급장치(10)가 컨덴서(800)를 더 포함하므로, 제습제(430)의 재생 과정에서 발생된 수분을 응축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수용공간(41)으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제너레이터(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즉, 이너캐비닛(40)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여 신발에 대한 스팀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스팀의 고온에 의한 살균의 효과와 함께 신발 재질의 부풀림 등에 의한 리프레쉬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That is, since steam can be supplied to the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습제(430)를 포함하는 모듈(챔버, 제습제, 히터, 건조유로홀, 재생유로홀, 댐퍼)을 각각 건조모듈 A 및 건조모듈 B로 설정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6, the modules (chamber, desiccant, heater, drying passage hole, regeneration passage hole, damper) including a pair of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제어부(80)는 어느 하나의 제습제(430)가 가열되는 상태에서, 이에 대응되는 연결유로(F10)가 폐쇄되고 재생유로(F20)가 개방되며, 나머지 제습제(430)에 대응되는 연결유로(F10)가 개방되고 재생유로(F20)가 폐쇄되는 제1 작동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First, in the
특히, 제어부(80)는 어느 하나의 히터(710)가 작동되는 상태에서, 이에 대응되는 건조유로홀(529)이 폐쇄되고 재생유로홀(527)이 개방되며, 나머지 히터(710)에 대응되는 건조유로홀(529)이 개방되고 재생유로홀(527)이 폐쇄되도록 댐퍼(510)를 제어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a state in which any one
즉, 각각의 건조모듈 A 및 건조모듈 B는 댐퍼(510)의 개폐 방향 및 히터(710)의 작동 여부에 따라 개별적으로 흡습모드 또는 재생모드가 구현될 수 있다.That is, each of the drying module A and the drying module B may individually implement a moisture absorption mode or a regen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opening/closing direction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댐퍼(510)가 건조유로홀(529)을 개방하고 재생유로홀(527)은 폐쇄시켜, 공기가 토출덕트(525)로 송풍되는 경우, 해당 건조모듈은 흡습모드가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히터(710)는 작동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반면, 댐퍼(510)가 건조유로홀(529)을 폐쇄하고 재생유로홀(527)만을 개방시켜, 공기가 재생유로홀(527)로 송풍되는 경우, 해당 모듈은 재생모드가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히터(710)는 작동되어 제습제(430)를 가열할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이에 따라, 상황에 따른 신발 관리기(1)의 최적화 모드를 아래와 같이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optimization mode of the
우선, 건조모듈 A 및 건조모듈 B 중 어느 하나에서만 흡습모드가 구현되는 경우에도, 공기 중의 수분 제거가 가능하므로, 건조모듈 A는 흡습모드이고 건조모듈 B는 재생모드이도록 제어할 수 있다.First, even when the moisture absorption mode is implemented in only one of the drying module A and the drying module B, moisture in the air can be removed, so that the drying module A is in the moisture absorption mode and the drying module B is in the regeneration mode.
이를 위하여, 제어부(80)에서 건조모듈 A의 댐퍼(510)는 건조유로홀(529)을 개방하고 재생유로홀(527)은 폐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80)에서 건조모듈 B의 댐퍼(510)는 건조유로홀(529)을 폐쇄하고 재생유로홀(527)만을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건조모듈 B의 히터(710)가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이에 따라, 이너캐비닛(40) 내부의 공기 중 일부는 건조모듈 A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제습이 이루어지고, 이처럼 제습된 공기는 다시 댐퍼(510)를 통과하여 이너캐비닛(40)의 내부로 재공급될 수 있다.Accordingly, some of the air inside the
이와 동시에, 건조모듈 B에서는 제습제(430)의 재생이 이루어지고, 이너캐비닛(40) 내부의 공기 중 나머지 일부는 건조모듈 B를 통과하며 제습제(430)로부터 분리된 수분과 함께 컨덴서(800)로 이동되어 수분이 응축될 수 있다.At the same time,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한 쌍의 제습제(430) 중 어느 하나의 제습제(430)를 통하여 제습이 이루어지고, 나머지 하나의 제습제(430)에 대하여는 재생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신발 관리기(1)에서 흡습모드와 재생모드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제어부(80)는 어느 하나의 제습제(430)와 나머지 제습제(430)의 가열이 서로 교번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1 작동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특히, 제어부(80)는 어느 하나의 히터(710)와 나머지 히터(710)의 작동이 서로 교번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즉, 상술한 과정을 통해 건조모듈 A에서는 제습이 이루어지고 건조모듈 B에서는 재생이 이루어지는 경우, 건조모듈 A의 제습제(430)에 수분이 흡착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제습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That is, when dehumidification is performed in the drying module A and regeneration is performed in the drying module B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moisture is adsorbed to the
이에 따라, 소정의 상태에 도달하였을 때(설정된 시간 경과 후 또는 센서 등을 통한 계측 후) 건조모듈 A는 재생모드이고 건조모듈 B는 흡습모드이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a predetermined state is reached (after a set time has elapsed or after measurement through a sensor, etc.),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rying module A to be in the regeneration mode and the drying module B to be in the moisture absorption mode.
즉, 건조모듈 A와 건조모듈 B의 댐퍼(510) 개폐방향 및 히터(710) 작동 상태를 반대로 제어할 수 있다.That is, the opening/closing direction of the
이에 따라, 이너캐비닛(40) 내부의 공기 중 일부는 건조모듈 B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제습이 이루어지고, 이처럼 제습된 공기는 다시 댐퍼(510)를 통과하여 이너캐비닛(40)의 내부로 재공급될 수 있다.Accordingly, some of the air inside the
이와 동시에, 건조모듈 A에서는 제습제(430)의 재생이 이루어지고, 이너캐비닛(40) 내부의 공기 중 나머지 일부는 건조모듈 A를 통과하며 제습제(430)로부터 분리된 수분과 함께 컨덴서(800)로 이동되어 수분이 응축될 수 있다.At the same time,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한 쌍의 제습제(430) 중 어느 하나와 나머지 하나가 서로 교번적으로 제습과 재생이 이루어지므로, 신발 관리기(1)에서 신발에 대한 리프레쉬가 중단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제어부(80)는 가열되는 제습제(430)로 송풍되는 공기량이 가열되지 않는 제습제(430)로 송풍되는 공기량보다 상대적으로 적게 분배되도록 제1 작동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In the
특히, 제어부(80)는 히터(710)가 작동되는 챔버(15)로 송풍되는 공기량이 히터(710)가 작동되지 않는 챔버(15)로 송풍되는 공기량보다 상대적으로 적게 분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즉, 이너캐비닛(40) 내부의 공기가 건조모듈 A와 건조모듈 B로 분배되는 정도는 서로 다르게 제어될 수 있다. 특히, 흡습모드로 상대적으로 더 많은 공기가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흡습모드에 해당하는 건조모듈로 공급되는 공기가 재생모드에 해당하는 건조모듈로 공급되는 공기보다 많도록 제어될 수 있다.That is, the degree to which the air inside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제습이 이루어지는 어느 하나의 제습제(430)로 송풍되는 공기량이 재생이 이루어지는 나머지 하나의 제습제(430)로 송풍되는 공기량보다 상대적으로 많으므로, 재생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도 제습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재생유로홀(527)의 개방면적은 건조유로홀(529)의 개방면적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즉, 제어부(80)를 통해 공기량의 분배 정도를 별도로 제어하지 않더라도 상술한 바와 같이 재생유로홀(527)의 크기는 건조유로홀(529)의 개방면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자연스럽게 흡습모드에 해당하는 건조모듈로 공급되는 공기가 재생모드에 해당하는 건조모듈로 공급되는 공기보다 많아질 수도 있다.That is, even if the degree of air distribution is not separately controlled through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재생유로홀(527)의 개방면적이 건조유로홀(529)의 개방면적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므로, 제어부(80)를 통해 공기량의 분배 정도를 별도로 제어하지 않더라도 재생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제습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한편, 이너캐비닛(40) 내부에 수용된 신발에 다량의 수분이 함유되어 보다 강력한 제습이 필요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re may be a case in which a large amount of moisture is contained in the shoes accommodated in the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제어부(80)는 한 쌍의 제습제(430)가 모두 가열되지 않는 상태에서, 모든 연결유로(F10)가 개방되고 모든 재생유로(F20)가 폐쇄되는 제2 작동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특히, 제어부(80)는 모든 히터(710)가 작동되지 않는 상태에서, 모든 건조유로홀(529)이 개방되고 모든 재생유로홀(527)이 폐쇄되도록 댐퍼(510)를 제어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즉, 제어부(80)에서 댐퍼(510)를 제어하여 건조모듈 A 및 건조모듈 B 모두 건조유로홀(529)을 개방하고 재생유로홀(527)은 폐쇄시킬 수 있다.That is, by controlling the
이에 따라, 이너캐비닛(40) 내부의 공기는 건조모듈 A 및 건조모듈 B 모두를 통과하며 제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습이 이루어진 공기는 다시 이너캐비닛(40)으로 재공급되어 신발을 보다 신속하게 리프레쉬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air inside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한 쌍의 제습제(430) 모두를 통하여 동시에 제습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신발 관리기(1)에서 신발을 보다 신속하게 리프레쉬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반면, 제습제(430)의 장시간 사용 또는 외부적 환경 등에 따라, 건조모듈 A 및 건조모듈 B 모두의 제습제(430)가 제습 기능이 발휘되기 어려운 경우가 있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depending on the long-term use of the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제어부(80)는 한 쌍의 제습제(430)가 모두 가열되는 상태에서, 모든 연결유로(F10)가 폐쇄되고 모든 재생유로(F20)가 개방되는 제3 작동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특히, 제어부(80)는 모든 히터(710)가 작동되는 상태에서, 모든 건조유로홀(529)이 폐쇄되고 모든 재생유로홀(527)이 개방되도록 댐퍼(510)를 제어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즉, 제어부(80)에서 댐퍼(510)를 제어하여 건조모듈 A 및 건조모듈 B 모두 건조유로홀(529)을 폐쇄하고 재생유로홀(527)만을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건조모듈 A 및 건조모듈 B 모두의 히터(710)가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at is, the
이에 따라, 건조모듈 A 및 건조모듈 B 모두에서 제습제(430)의 재생이 이루어질 수 있고, 소정의 상태에 도달하였을 때(설정된 시간 경과 후 또는 센서 등을 통한 계측 후) 건조모듈 A 및 건조모듈 B를 흡습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한 쌍의 제습제(430) 모두에 대하여 동시에 재생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신발 관리기(1)에서 제습제(430)가 제습에 적절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사용자에 의하여 작동 신호가 입력 가능한 컨트롤패널(33)을 더 포함하고, 제어부(80)는 컨트롤패널(33)에 작동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설정된 시간 동안 제3 작동모드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특히, 제어부(80)는 컨트롤패널(33)에 작동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설정된 시간 동안 모든 히터(710)가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an operation signal is input to the
이 경우, 컨트롤패널(33)에 작동 신호가 입력되는 상황은 신발 관리기(1)가 소정의 시간 동안 작동되지 않은 휴지기 이후에, 사용자가 신발 관리기(1)를 사용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situation in which the operation signal is input to the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휴지기 이후 최초의 작동 시, 설정된 시간 동안 우선적으로 모든 제습제(430)를 재생시키므로, 신발의 리프레쉬를 위한 신발 관리기(1)의 작동에 앞서 항상 제습제(430)가 제습에 적절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제습제(430)에 흡착된 수분량을 측정 가능한 센서부(90)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80)는 센서부(90)에 의해 측정되는 수분량이 설정값 이하로 될 때까지 제3 작동모드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특히, 제어부(80)는 센서부(90)에 의해 측정되는 수분량이 설정값 이하로 될 때까지 모든 히터(710)가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이 경우, 센서부(9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습제(430)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제습제(430)에 흡착된 수분량을 측정 가능한 수분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종류 및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6 ,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제습제(430)에 흡착된 수분량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기준치 이하로 될 때까지 우선적으로 모든 제습제(430)를 재생시키므로, 신발의 리프레쉬를 위한 신발 관리기(1)의 작동 중에도 항상 제습제(430)가 제습에 적절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amount of moisture adsorbed to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이너캐비닛(40), 흡입구(42), 토출구(43), 연결유로(F10), 송풍팬(221), 히터(710) 및 재생유로(F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연결유로(F10)는 흡입구(42)와 토출구(43) 사이에서 공기가 순환되는 부분으로, 흡입구(42)는 연결유로(F10)의 입구를 이루고, 토출구(43)는 연결유로(F10)의 출구를 이룰 수 있다.The connection flow path F10 is a portion through which air is circulated between the
즉, 연결유로(F10)는 이너캐비닛(40) 내부의 공기가 공기공급장치(10)로 흡입된 후 송풍되어 제습제(43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제습되며, 다시 이너캐비닛(40)의 내부로 공급되는 경로의 공기 유로일 수 있다.That is, the connection flow path F10 is dehumidified in the process where the air inside the
송풍팬(221)은 연결유로(F10) 상에 설치되어 흡입구(42)로부터 토출구(43)를 향하여 공기를 송풍시키는 부분으로, 송풍팬(221)의 작동에 의하여 이너캐비닛(40)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고, 흡입된 공기를 연결유로(F10)에서 송풍시킬 수 있다.The blowing
재생유로(F20)는 제습제(430)가 가열되는 동안 제습제(430)를 통과하는 공기가 토출구(43) 이외의 부분으로 송풍되는 부분으로, 연결유로(F10)에서 분기되어 제습제(430)를 거친 공기 및/또는 응축된 물이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The regeneration flow path F20 is a portion through which the air passing through the
즉, 재생유로(F20)는 제습제(430)에 수분이 과다하게 흡착되어 제습 기능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않는 경우에, 제습제(430)를 가열하여 재생시키는 과정에서 공기가 이동되는 유로일 수 있다.That is, the regeneration passage F20 may be a passage through which air moves in the process of heating and regenerating the
제습제(430)의 재생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는 공기에 대한 제습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오히려, 재생 과정에서 제습제(430)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제습제(430)를 통과하는 공기에 함유되어 습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아지게 된다.In a state in which the
따라서, 이처럼 습도가 높은 공기를 이너캐비닛(40)으로 다시 공급하는 것은 부적절하므로, 연결유로(F10)와 별도로 분리된 재생유로(F20)를 향하여 공기를 송풍시킬 필요가 있다.Therefore, since it is inappropriate to supply the high-humidity air to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공기가 이동될 수 있는 연결유로(F10)와 재생유로(F20)가 신발 관리기(1)에 형성되고, 제습제(430)가 가열되는 동안 제습제(430)를 통과하는 공기는 재생유로(F20)로 이동되므로, 흡습모드와 재생모드에 따라 각각 공기가 가장 효율적인 경로로 이동될 수 있다.As such, i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연결유로(F10) 상에 배치되어 제습제(430)가 수용되고 히터(710)가 설치되는 제습제하우징(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제습제하우징(300)은 그 내부공간이 연결유로(F10)의 일부를 이루어, 제습제(430)는 제습제하우징(3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히터(710)는 제습제(430)와 인접하여 연결유로(F10)에 배치됨으로써, 제습제(430)를 가열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제습제(430)가 수용되는 제습제하우징(300)을 더 포함하므로, 제습제(430)를 안정적으로 수용하여 그 기능이 적절하게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흡입구(42)와 상기 송풍팬(221) 사이를 연결하여 송풍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흡입덕트(210) 및 송풍팬(221)과 제습제하우징(300) 사이를 연결하여 송풍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송풍덕트(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흡입덕트(210)는 연결유로(F10)의 일부를 이룰 수 있고, 흡입덕트(210)는 흡입구(42)에 연결되어 이너캐비닛(40)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송풍덕트(230)는 제습제(430)를 수용하는 제습제하우징(3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송풍덕트(230)를 거쳐 송풍되는 공기가 제습제(430)와 접촉될 수 있다.The blowing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흡입덕트(210)와 송풍덕트(230)를 더 포함하므로, 흡입구(42)와 제습제하우징(300) 사이에서 공기의 이동이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제습제하우징(300)과 토출구(43) 사이를 연결하여 송풍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댐퍼하우징(5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댐퍼하우징(520)으로 송풍된 건조공기는 토출구(43)를 통해 다시 이너캐비닛(40)의 내부로 유입되어 신발을 리프레쉬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the dry air blown by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제습제하우징(300)과 토출구(43) 사이에 설치되는 댐퍼하우징(520)을 더 포함하므로, 제습제하우징(300)과 토출구(43) 사이에서 공기의 이동이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댐퍼하우징(520)은, 제습제(430)를 통과한 공기가 토출구(43)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건조유로홀(529) 및 제습제(430)를 통과한 공기가 토출구(43) 이외의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재생유로홀(527)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구체적으로, 건조유로홀(529)은 댐퍼하우징(520)에 형성되어 제습제(430)를 통과한 공기를 토출구(43) 방향으로 배출 가능한 부분으로,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하우징(520)의 토출덕트(525) 부분에 형성되어 댐퍼(51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rying
재생유로홀(527)은 건조유로홀(529)과 별개로 댐퍼하우징(520)에 형성되어 제습제(430)를 통과한 공기를 토출구(43) 이외의 방향으로 배출 가능한 부분으로,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하우징(520)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댐퍼(51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댐퍼하우징(520)이 건조유로홀(529) 및 재생유로홀(527)을 포함하므로, 댐퍼하우징(520)을 중심으로 연결유로(F10)와 재생유로(F20)가 적절하게 분리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댐퍼하우징(520)에 설치되어 건조유로홀(529)과 재생유로홀(527)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댐퍼(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댐퍼(510)는 공기의 송풍 경로 상에 설치되어 건조유로홀(529)과 재생유로홀(527)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부분으로,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하우징(520) 내에 설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댐퍼하우징(520)에 설치되는 댐퍼(510)를 더 포함하므로, 댐퍼(510)를 제어하여 흡습모드와 재생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이 경우, 댐퍼(510)는 제습제(430)의 가열 시 건조유로홀(529)을 폐쇄시키고 재생유로홀(527)을 개방시킬 수 있다. 즉, 제습제(430)를 가열하여 제습제(430)의 재생이 이루어질 때, 제습제(430)를 통과하는 공기는 제습제(430)로부터 분리된 수분과 함께 재생유로홀(527)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제습제(430)의 재생 시 댐퍼(510)가 건조유로홀(529)을 폐쇄시키고 재생유로홀(527)을 개방시키므로, 제습제(430)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재생유로(F2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As such, in the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재생유로홀(527)과 연결되어 재생유로홀(527)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키는 컨덴서(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즉, 컨덴서(800)는 재생유로홀(527)과 연결되어 재생유로(F20)의 일부를 이루며, 컨덴서(800)에서 응축된 응축수는 재생유로(F20)를 통해 이동될 수 있다.That is,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재생유로홀(527)과 연결되는 컨덴서(800)를 더 포함하므로, 제습제(430)의 재생 과정에서 발생된 수분을 응축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컨덴서(800)는 재생유로홀(527)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In the
즉, 재생유로홀(527)로부터 컨덴서(800)까지 높이가 낮아지도록 재생유로(F20)가 형성되므로, 응축수가 재생유로홀(527)과 컨덴서(800) 사이의 경사를 따라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regeneration passage F20 is formed so that the height from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흡입덕트(210)는, 컨덴서(800)와 연결되어 컨덴서(800)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섬프홀(215)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즉, 컨덴서(800)를 통과한 공기가 흡입덕트(210)에 형성된 섬프홀(215)을 통해 흡입덕트(210)로 재유입되므로, 재생유로(F20) 역시 순환 기류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at is, sinc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섬프홀(215)은 컨덴서(800)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In the
즉, 컨덴서(800)로부터 섬프홀(215)까지 높이가 낮아지도록 재생유로(F20)가 형성되므로, 응축수가 컨덴서(800)와 섬프홀(215) 사이의 경사를 따라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regeneration flow path F20 is formed so that the height from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흡입덕트(210)는 섬프홀(215)의 하부에서 응축수의 집수가 가능한 섬프(214)가 형성될 수 있다.In the
즉, 섬프홀(215)을 통해 흡입덕트(210)로 재유입된 공기 중의 응축수가 흡입덕트(210) 하부의 섬프(214)에 집수되므로, 재생유로(F20)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수분을 용이하게 분리 배출할 수 있다.That is, since condensed water in the air re-introduced into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제습제(430)는 연결유로(F10) 상에서 한 쌍으로 분기되어 배치되고, 히터(710)는 한 쌍의 제습제(430)를 각각 가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In the
즉, 신발 관리기(1) 내부에 한 쌍의 제습제(430)가 배치되고 각각의 제습제(430)마다 연결유로(F10)와 재생유로(F20)가 형성되므로, 신발 관리기(1)가 상황에 따라 최적의 상태로 가동되어 신발의 처리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That is, since a pair of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연결유로(F10) 상에 배치되어 각각의 제습제(430)가 분리되어 수용되고 히터(710)가 설치되는 제습제하우징(300) 및 제습제하우징(300)과 토출구(43) 사이를 연결하여 송풍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댐퍼하우징(5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또한, 댐퍼하우징(520)은, 각각의 제습제(430)를 통과한 공기가 토출구(43)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건조유로홀(529) 및 각각의 제습제(430)를 통과한 공기가 토출구(43) 이외의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재생유로홀(527)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댐퍼하우징(520)에 설치되어 각각의 제습제(430)에 대응되는 건조유로홀(529)과 재생유로홀(527)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댐퍼(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한 쌍의 재생유로홀(527)에 함께 연결되어 재생유로홀(527)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키는 컨덴서(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이너캐비닛(40), 흡입구(42), 토출구(43) 및 공기공급장치(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공기공급장치(10)는 이너캐비닛(40)의 하부에 배치되고, 수용공간(41)의 공기를 송풍시켜 흡입구(42)와 토출구(43) 사이에서 공기가 순환되는 연결유로(F10)가 형성되며, 연결유로(F10) 상에 제습제(430)가 설치될 수 있다.The
이 경우, 제습제(430)는 공기공급장치(10)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제습제(430)의 상면이 이너캐비닛(40)의 바닥부를 통해 노출 가능할 수 있다. 즉, 제습제(430)는 기계실(50)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로 제습제(430)는 상면이 이너캐비닛(40)의 바닥부에 위치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너캐비닛(40)의 수용공간(41)으로 공급되는 건조공기 및 스팀 등은 상승하려는 성질을 가지게 되므로, 기계실(50)이 이너캐비닛(40)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as described above, the dry air and steam supplied to the receiving
그리고, 기계실(50) 내부에 배치되는 공기공급장치(10)를 통해 공기에 대한 제습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제습제(430) 역시 기계실(50) 내부에 배치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since dehumidification of the air must be performed through the
또한, 제습제(430)의 재생 시 제습제(430)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재생유로(F20)를 통해 별도로 배출되는 경우, 수분이 자중에 의하여 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별도의 압송 과정 없이도 응축수가 이동되는 데 효과적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oisture separated from the
따라서, 제습제(430)는 기계실(50)에 배치되더라도 기계실(50)의 최상단부에 배치되는 것이 응축 효율면에서도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Therefore, even if the
다만, 제습제(430)는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하고 다시 재생을 통해 수분을 분리시키는 과정이 반복될수록 그 성능이 점차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이물질 등에 의한 오염 등이 발생되어 성능 저하 뿐만 아니라 악취 등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However, as the process of adsorbing moisture in the air and separating moisture through regeneration is repeated, the performance of the
따라서, 제습제(430)는 필요에 따라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으며, 사용자 입장에서는 신발 관리기(1)의 사용 과정에서 별도 전문가의 도움 없이도 제습제(430)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이 경우, 만약 제습제(430)가 단순히 기계실(50)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면, 사용자는 제습제(430)의 교체를 위해 기계실(50)을 오픈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기계실(50) 내부는 상대적으로 그 구조가 복잡하고 전문가가 아닌 사용자가 기계실(50) 내부의 각 구성을 다루는 것은 매우 어려울 수 있다.In this case, if the
이에 따라, 사용자가 기계실(50)을 오픈하지 않고서도 제습제(430)를 용이하게 교체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내부 구조가 간단한 이너캐비닛(40)을 통해 제습제(430)의 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in order for the user to easily replace the
즉, 기계실(50) 내부에 배치된 제습제(430)의 상면이 이너캐비닛(40)의 바닥부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면, 사용자는 기계실(50)을 오픈하지 않고서도 제습제(43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That is, if the upper surface of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제습제(430)는 공기공급장치(10)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제습제(430)의 상면이 이너캐비닛(40)의 바닥부를 통해 노출 가능하므로, 제습제(430)의 기능이 원활하게 발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습제(430)의 점검 및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As such, i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이너캐비닛(40)은, 수용공간(41)의 바닥면을 구획하는 캐비닛바닥판(45)을 포함하고, 캐비닛바닥판(45)은 제습제(430)의 평면 형상에 대응되게 개방될 수 있다.In the
즉, 캐비닛바닥판(45)에는 제습제(430)의 평면 형상에 대응되는 크기의 개구가 형성되도록 하여, 불필요하게 개구가 크게 형성되거나 사용하기에 불편할 정도로 개구가 작게 형성되었을 때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That is, an opening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planar shape of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이너캐비닛(40)이 제습제(430)의 평면 형상에 대응되게 개방되는 캐비닛바닥판(45)을 포함하므로, 제습제(430)의 점검 및 교체를 위해 적절한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제습제(430)는 캐비닛바닥판(45)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교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제습제(430)는 캐비닛바닥판(45)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기계실(50) 내부로 인입하거나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In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캐비닛바닥판(45)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제습제(430)를 교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기계실(50)을 오픈하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제습제(430)를 교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이너캐비닛(40)은, 캐비닛바닥판(45)의 개방된 부분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습제덮개(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즉, 제습제덮개(46)는 이너캐비닛(40)의 바닥인 캐비닛바닥판(45)의 일부를 이루고, 제습제덮개(46)는 이너캐비닛(40)의 캐비닛바닥판(45)에서 착탈될 수 있다.That is,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이너캐비닛(40)이 캐비닛바닥판(45)의 개방된 부분에 설치되는 제습제덮개(46)를 더 포함하므로, 제습제(430)를 교체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제습제(430)가 이너캐비닛(40)의 바닥부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공기공급장치(10)는, 상단부에 배치되어 제습제(430)가 수용되는 제습제하우징(300)을 포함하고, 제습제덮개(46)는 제습제하우징(30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In the
즉, 제습제덮개(46)가 캐비닛바닥판(45)에서 분리되면, 그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습제하우징(300)이 노출되게 되며, 제습제(430)를 제습제하우징(300) 내부에 안착시키거나 제습제하우징(300)으로부터 제습제(430)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제습제하우징(300)을 포함하고, 이러한 제습제하우징(300)의 상면에 제습제덮개(46)가 결합될 수 있으므로, 제습제(430)를 안정적으로 수용하여 그 기능이 적절하게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제습제하우징(300)은 횡단면적이 종단면적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될 수 있다.In the
제습제(430) 및 이를 수용하는 제습제하우징(300)이 기계실(50) 내부의 다른 구성들과 간섭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제습제(430) 및 이를 수용하는 제습제하우징(300)이 기계실(50)의 최상단부에 횡방향으로 넓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minimize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만약, 제습제하우징(300)이 종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면 기계실(50) 내부의 나머지 구성들이 제습제하우징(300)을 회피하여 배치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상대적으로 그 구조가 복잡하고 불리해질 수 있다.If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제습제하우징(300)이 횡방향으로 넓게 배치되므로, 제습제하우징(300)이 기계실(50) 내부의 다른 구성들과 간섭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As such, i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공기공급장치(10)는, 제습제(430)를 가열 가능하도록 제습제하우징(300)에 설치되는 히터(710)를 더 포함하여, 제습제(430)가 가열되는 동안 제습제(430)를 통과하는 공기가 토출구(43) 이외의 부분으로 송풍되는 재생유로(F20)가 형성될 수 있다.I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제습제(430)의 재생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는 공기는 상대적으로 습도가 높으므로 이너캐비닛(40)으로 다시 공급하지 않고, 연결유로(F10)와 별도로 분리된 재생유로(F20)를 향하여 공기를 송풍시킬 필요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a state in which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히터(710)로 제습제(430)를 가열할 수 있고, 이 때의 공기가 이동되는 재생유로(F20)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재생모드에서의 공기가 이너캐비닛(40)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such, i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제습제(430)는 연결유로(F10) 상에서 한 쌍으로 분기되어 배치될 수 있다.In the
이 경우, 공기공급장치(10)는, 상단부에 배치되어 각각의 제습제(430)가 분리되어 수용되는 제습제하우징(300) 및 한 쌍의 제습제(430)를 각각 가열 가능하도록 제습제하우징(300)에 설치되는 히터(710)를 포함하여, 제습제(430)가 가열되는 동안 제습제(430)를 통과하는 공기가 토출구(43) 이외의 부분으로 송풍되는 재생유로(F20)가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이너캐비닛(40), 흡입구(42), 토출구(43), 연결유로(F10), 송풍팬(221) 및 제습제(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이 경우, 흡입구(42)와 토출구(43)는 이너캐비닛(40)의 내부 평면상에서 서로 대향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구체적으로, 단순히 공기의 순환 효율만을 고려할 때, 이너캐비닛(4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흡입구(42) 및 토출구(43)는 평면 상에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considering only the air circulation efficiency, it may be advantageous that the
이에 따라, 의류를 중점적으로 처리하는 의류 관리기의 경우에는 흡입구 및 토출구가 평면 상에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Accordingly, in the case of a clothes manager that mainly processes clothes, the suction port and the discharge port are generally arranged side by side on a plane.
그러나, 신발을 중점적으로 처리하는 신발 관리기(1)의 경우, 의류 관리기에 비하여 이너캐비닛(40)의 내부 공간이 상대적으로 작다는 점에서, 반드시 흡입구(42) 및 토출구(43)가 평면 상에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필요가 없다고 할 수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오히려, 신발 관리기(1)에서 제습제(430)를 통한 제습 효율을 고려할 때, 흡입구(42) 및 토출구(43)가 평면 상에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은 불리할 수 있다.Rather, in consideration of the dehumidification efficiency through the
이와 관련하여, 제습제(430)를 통한 제습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수분이 함유된 공기가 제습제(430)와 최대한 긴 경로상에서 접촉 및 충돌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regard, in order to improve the dehumidification efficiency through the
따라서, 제습제(430)는 최대한 단면적이 넓게 형성되고, 유로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최대한 얇게 형성될 필요가 있다. 특히, 제습제(430)는 공기의 이동 경로를 따라 연장되는 형상으로 길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즉, 제습제하우징(300)의 일측에 형성된 하우징입구(311)와 타측에 형성된 하우징출구(331)를 서로 연결하는 형상으로 길게 제습제(430)가 배치될 필요가 있다.That is, the
이 경우, 만약 흡입구(42)와 토출구(43)를 평면 상에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하고, 이러한 흡입구(42)와 토출구(43) 사이를 연결하도록 제습제(430)가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면, 상대적으로 제습제(430)의 형성 길이가 줄어들어 제습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In this case, if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흡입구(42)와 토출구(43)는 이너캐비닛(40)의 내부 평면상에서 서로 대향되지 않게 배치되므로, 제습제(430)의 제습 효율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As such, i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제습제(430)는 제습제하우징(300)의 평면상 제1 방향(X)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으로 배치되고, 연결유로(F10) 상에서 공기는 제1 방향(X)을 따라 송풍될 수 있다.I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가 제습제(430)와 최대한 긴 경로상에서 접촉 및 충돌되도록 하는 것이 제습 효율 면에서 바람직하다. 따라서, 공기의 송풍은 제습제(430)의 연장된 길이 방향을 따라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in terms of dehumidification efficiency to allow air to contact and collide with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제습제(430)가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배치되고, 이러한 제습제(430)의 연장 방향을 따라 공기가 송풍되므로, 공기가 제습제(430)와 최대한 긴 경로상에서 접촉 및 충돌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흡입구(42)와 토출구(43) 중 어느 하나는 제1 방향(X)에 따른 제습제(430)의 일단에 배치되고, 흡입구(42)와 토출구(43) 중 나머지 하나는 제1 방향(X)에 따른 제습제(43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In the
만약, 흡입구(42)와 토출구(43)를 평면 상에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하고, 이러한 흡입구(42)와 토출구(43) 사이를 연결한 방향과 나란하게 제습제(430)가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면, 공기의 송풍 경로가 상대적으로 복잡하게 되어 이 역시 제습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If the
즉, 이러한 경우에는 제습제(430) 일단과 타단 방향에 각각 흡입덕트(210)와 토출덕트(525)가 배치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송풍덕트(230)는 제습제(430)의 일단과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That is, in this case, in that the
특히, 이러한 경우에는 댐퍼하우징(520)의 배치가 어렵고 상대적으로 구조가 복잡해질 수 밖에 없다는 점에서, 기계실(50)의 배치 상 부적절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is case, the arrangement of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제습제(430)의 일단과 측면 중 어느 하나에 흡입구(42)가 배치되고, 나머지 하나에 토출구(43)가 배치되므로, 공기의 송풍 경로를 상대적으로 단순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기계실(50)의 배치가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토출구(43)는 제1 방향(X)에 따른 제습제(430)의 후단에 배치되고, 흡입구(42)는 제1 방향(X)에 따른 제습제(43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I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흡입구(42)와 토출구(43) 중 어느 하나는 제1 방향(X)에 따른 제습제(430)의 일단에 배치되고, 흡입구(42)와 토출구(43) 중 나머지 하나는 제1 방향(X)에 따른 제습제(430)의 측면에 배치되어야 하는 경우, 공기의 순환 효율을 고려할 때 토출구(43)가 제1 방향(X)에 따른 제습제(430)의 후단에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ny one of the
제습제(430)를 통과한 공기가 신속하게 이너캐비닛(40)의 내부로 이동되어야 순환되는 공기의 흐름이 원활할 수 있다.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따라서, 제습제(430)의 연장된 길이 방향을 따라 이루어지는 공기의 송풍 시, 토출구(43)가 제습제(430)의 후단에 배치됨으로써, 제습제(430)를 통과한 공기가 신속하게 이너캐비닛(40)의 내부로 이동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air is blown along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제습제(430)의 후단에 토출구(43)가 배치되고, 제습제(430)의 측면에 흡입구(42)가 배치되므로, 토출구(43)를 통한 공기의 토출 압력이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다.As such, i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제1 방향(X)은 이너캐비닛(40)의 양측면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흡입구(42)는 제습제(430)의 측면 중 이너캐비닛(40)의 정면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In the
즉,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42)가 이너캐비닛(40)의 정면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S. 3A and 3B , the
신발 관리기(1)의 사용 과정에서는 이너캐비닛(40)의 내부에도 응축수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응축수는 이너캐비닛(40)의 내부 벽면 등을 따라 흘러내려 이너캐비닛(40)의 바닥면에 모일 수 있다.In the process of using the shoe care device (1), condensed water may also be generated inside the inner cabinet (40), and this condensed water flows down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inner cabinet (40) and collect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binet (40). can
이처럼 모여진 응축수가 이너캐비닛(40)의 외부로 누설된다면 사용자 입장에서 불편함을 느낄 수 있는 등 사용성에 문제가 될 수 있다.If the collected condensate leaks to the outside of the
특히, 이너캐비닛(40)의 정면에는 도어(30)가 설치된다는 점에서, 도어(30)의 틈새로 응축수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흡입구(42)가 이너캐비닛(40)의 정면 부분에 배치되므로, 이너캐비닛(40) 내부에서 응축되는 응축수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고 흡입구(42)를 통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제습제(430)는 연결유로(F10) 상에서 한 쌍으로 배치되고, 제습제하우징(300)은 한 쌍의 제습제(430)가 서로 분리되어 각각 제1 방향(X)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으로 수용될 수 있다.In the
이 경우, 신발 관리기(1)는 제습제하우징(300)과 토출구(43) 사이를 연결하여 송풍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댐퍼하우징(520)을 더 포함하고, 댐퍼하우징(520)은, 각각의 제습제(430)를 통과한 공기가 토출구(43)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건조유로홀(529)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또한, 토출구(43)는 한 쌍의 건조유로홀(529)에 함께 연결되어 송풍되는 공기를 수용공간(41)으로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이너캐비닛(40), 흡입구(42), 토출구(43), 연결유로(F10), 송풍팬(221), 제습제(430) 및 제습제하우징(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이 경우, 제습제(430)는 제습제하우징(300)의 평면상 제1 방향(X)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으로 배치되고, 연결유로(F10) 상에서 공기는 제1 방향(X)을 따라 송풍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구체적으로, 제습제(430)는 제습제하우징(300)에 수용될 수 있다. 즉, 기계실(50)의 상부에 제습제하우징(300)이 설치되고, 이러한 제습제하우징(300) 내에 제습제(430)가 수용되어 제습 및 재생 기능이 이루어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제습제(430)의 배치가 최적화되기 위하여 제습제하우징(300) 역시 이너캐비닛(40)의 바닥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습제하우징(300)의 상면에 제습제덮개(46)가 결합되어 제습제(430)를 커버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order to optimize the disposition of the
특히, 제습제하우징(300)은 제습제(430)가 수용되는 부분이 기계실(50)의 최상단부에 횡방향으로 넓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in the
제습제(430)를 수용한 제습제하우징(300)의 일측은 송풍덕트(230)와 연결되어 제습제(430)를 향하여 공기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One side of the
그리고, 제습제하우징(300)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는 제습제(430)와 접촉된 후 연결유로(F10) 또는 재생유로(F20)를 향하여 송풍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습제하우징(300)의 타측은 댐퍼하우징(520)과 연결되어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가 댐퍼하우징(520)을 향하여 송풍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특히, 공기가 제습제(430)와 최대한 긴 경로상에서 접촉 및 충돌되도록 하는 것이 제습 효율 면에서 바람직하다. 따라서, 공기의 송풍은 제습제(430)의 연장된 길이 방향을 따라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in terms of dehumidification efficiency to allow air to contact and collide with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제습제하우징(300)의 평면상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으로 제습제(430)가 수용되고, 이러한 제습제(430)의 연장 방향을 따라 공기가 송풍되므로, 제습제(430)를 안정적으로 수용하여 그 기능이 적절하게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제습제하우징(300)은, 제1 방향(X)에 따른 후방측에 형성되어 송풍덕트(230)가 결합되는 하우징입구(311) 및 제1 방향(X)에 따른 전방측에 형성되어 댐퍼하우징(520)이 결합되는 하우징출구(331)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제습제하우징(300)의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가 제습제(430)와 보다 많이 접촉 및 충돌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습제하우징(300)의 내부의 공기 이동 경로를 최대화할 필요가 있다.In order for the air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따라서, 하우징입구(311)와 하우징출구(331)는 제습제하우징(300)의 평면상에서 서로 반대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제습제하우징(300)이 하우징입구(311)와 하우징출구(331)를 포함하므로, 제습제(430)가 수용된 제습제하우징(300)의 내부를 공기가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As such, i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제습제하우징(300)은, 바닥면을 이루는 하우징바닥판(310), 제1 방향(X)에 따른 후방면을 이루는 제습제후방벽(320), 제1 방향(X)에 따른 전방면을 이루는 제습제전방벽(330) 및 제습제후방벽(320)과 제습제전방벽(330) 사이를 연결하는 측면을 이루는 제습제좌측벽(340a, 340b)과 제습제우측벽(350a, 350b)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제습제후방벽(320), 제습제전방벽(330), 제습제좌측벽(340a, 340b) 및 제습제우측벽(350a, 350b)은 각각 연직방향으로 세워진 벽면을 이룰 수 있다.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제습제하우징(300)에서, 제습제후방벽(320)은 뒤쪽 벽면을 이루고, 제습제전방벽(330)은 앞쪽 벽면을 이루고, 제습제좌측벽(340a, 340b)은 왼쪽 벽면을 이루고, 제습제우측벽(350a, 350b)은 오른쪽 벽면을 이룰 수 있다.The desiccant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제습제하우징(300)이 하우징바닥판(310), 제습제후방벽(320), 제습제전방벽(330), 제습제좌측벽(340a, 340b) 및 제습제우측벽(350a, 350b)을 더 포함하므로, 제습제(43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안정적으로 구획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제습제하우징(300)은 상면이 이너캐비닛(40)의 바닥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the
이 경우, 제습제덮개(46)는 제습제하우징(30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제습제하우징(300)의 상면이 이너캐비닛(40)의 바닥부에 위치하므로, 제습제(430)의 기능이 원활하게 발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습제(430)의 점검 및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하우징입구(311)는 하우징바닥판(310)에 형성되고, 하우징출구(331)는 제습제전방벽(330)에 형성될 수 있다.In the
제습제(430) 및 제습제하우징(300)은 기계실(50)의 최상단에 배치된다는 점에서, 송풍덕트(230)는 제습제하우징(300)에 연결되는 것이 송풍을 원활하게 하고 부재 간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Since the
따라서, 하우징입구(311)는 제습제하우징(300)의 일측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그리고, 제습제하우징(300)을 통과한 공기가 즉시 이너캐비닛(5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 연결유로(F10)와 재생유로(F20)로의 선택적 송풍이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하우징출구(331)는 제습제하우징(300)의 상면이 아닌 측면에 형성될 필요가 있다.And, when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따라서, 하우징출구(331)는 하우징입구(311)가 형성된 부분의 평면상 반대측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하우징바닥판(310)에 하우징입구(311)가 형성되고, 제습제전방벽(330)에 하우징출구(331)가 형성되므로, 공기의 송풍을 원활하게 하고 부재 간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제습제하우징(300)은, 상면의 일측에 형성되어 흡입구(42)가 결합 가능한 흡입구커넥터(3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이 경우, 흡입구커넥터(390)는 일면에 흡입구(42)가 결합되고, 타면에 토출덕트(525)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매개체적인 부재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제습제하우징(300)은 사출 성형이 가능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흡입구(42) 역시 이너캐비닛(40)의 바닥부에 배치된다는 점에서 제습제하우징(300)이 흡입구커넥터(390)와 결합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제습제하우징(300)이 흡입구커넥터(390)를 더 포함하므로, 기계실(50) 상부 구조가 보다 단순화되어 조립이 용이할 수 있으며, 생산성 측면에서도 유리한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As such, i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히터(710)는, 하우징바닥판(310)에 설치되는 고정단부(712) 및 고정단부(712)로부터 제1 방향(X)을 따라 연장되는 자유단부(711)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이 경우, 고정단부(712)는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고정단부(712)를 통하여 자유단부(711)에 전기에너지가 공급되면서 자유단부(711)가 발열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히터(710)가 고정단부(712) 및 자유단부(711)를 포함하므로, 제습제하우징(300)에 히터(710)를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한편, 히터(710)에 의해 제습제하우징(300)이 열변형 또는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히터(710)가 배치된 부분에는 별도의 단열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in order to prevent the
또한, 제습제(430)가 연결유로(F10) 상에서 한 쌍으로 배치되는 경우, 제습제좌측벽(340a, 340b)과 제습제우측벽(350a, 350b)은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되어, 제1 제습제좌측벽(340a)과 제1 제습제우측벽(350a) 사이에 어느 하나의 제습제(430)가 수용되고, 제2 제습제좌측벽(340b)과 제2 제습제우측벽(350b) 사이에 나머지 하나의 제습제(430)가 수용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한 쌍의 제습제(430)를 각각 가열 가능하도록 제1 제습제좌측벽(340a)과 제1 제습제우측벽(350a)의 사이 및 제2 제습제좌측벽(340b)과 제2 제습제우측벽(350b)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히터(7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이너캐비닛(40), 흡입구(42), 토출구(43), 연결유로(F10), 송풍팬(221), 제습제(430), 히터(710), 재생유로(F20) 및 댐퍼하우징(5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댐퍼하우징(520)에서 제습제(430)를 통과하는 공기를 연결유로(F10) 또는 재생유로(F20)로 가이드하므로, 연결유로(F10) 및 재생유로(F20) 각각으로의 공기의 이동이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such,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연결유로(F10) 상에 배치되어 제습제(430)가 수용되고 히터(710)가 설치되는 제습제하우징(300)을 더 포함하고, 댐퍼하우징(520)은 제습제하우징(300)과 토출구(43)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The
특히, 댐퍼하우징(520)은 제습제하우징(300)의 제1 방향(X)에 따른 전방측에 결합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구체적으로, 댐퍼하우징(520)은 제습제하우징(300)에 형성된 하우징출구(331)에 결합되어, 제습제(430)를 통과한 공기는 댐퍼하우징(520)으로 송풍될 수 있다. 그리고, 댐퍼하우징(520) 내에 설치된 댐퍼(510)의 개폐 방향에 따라 공기가 연결유로(F10) 또는 재생유로(F20)로 송풍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출구(331)가 제습제하우징(300)의 측면에 형성되므로, 하우징출구(331)와 결합되는 댐퍼하우징(520)의 일측 측면은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그리고, 댐퍼하우징(520)으로 유입된 공기가 연결유로(F10)를 따를 경우에는 토출덕트(525) 및 토출구(43)를 통해 이너캐비닛(40)의 내부로 공기가 송풍되어야 하므로, 댐퍼하우징(520)의 타측은 토출구(43)(또는 토출덕트(525))와 연결될 수 있다.And, whe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제습제(430)가 수용되는 제습제하우징(300)을 더 포함하므로, 제습제(430)를 안정적으로 수용하여 그 기능이 적절하게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댐퍼하우징(520)은, 제1 방향(X)에 따른 후방측에 형성되어 제습제하우징(300)이 결합되는 댐핑입구(521) 및 제1 방향(X)에 따른 전방측에 형성되어 토출구(43)와 연결되는 댐핑출구(5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즉, 댐핑입구(521)는 하우징출구(331)와 결합되고, 댐핑출구(522)는 토출구(43)(또는 토출덕트(525))와 결합될 수 있다.That is, the damping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댐퍼하우징(520)이 댐핑입구(521)와 댐핑출구(522)를 더 포함하므로, 제습제하우징(300)과 토출구(43) 사이의 공간을 공기가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As such, i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건조유로홀(529)은 댐핑입구(521)와 댐핑출구(522) 사이에서 댐퍼하우징(520)의 종단면에 형성되고, 재생유로홀(527)은 댐핑입구(521)와 댐핑출구(522) 사이에서 댐퍼하우징(520)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I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토출구(43)는 이너캐비닛(40)의 바닥부에 배치된다는 점에서, 토출구(43)와 결합되는 토출덕트(525)는 종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토출덕트(525)와 연결되는 댐핑출구(522)는 측면 또는 상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at the
이에 따라, 댐핑입구(521)와 댐핑출구(522) 사이에 형성되는 건조유로홀(529)은 댐퍼하우징(520)의 종단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the drying
또한, 댐퍼하우징(520)으로 유입된 공기가 재생유로(F20)를 따를 경우에는 재생유로홀(527)을 통해 컨덴서(800)로 공기가 송풍되어야 하므로, 댐핑입구(521)와 댐핑출구(522) 사이에는 재생유로홀(527)이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이 경우, 재생유로(F20) 상에 배치되는 재생유로홀(527)부터 섬프홀(215)까지의 경로는 응축수의 원활한 배수를 위하여 경로를 따라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재생유로홀(527)은 댐퍼하우징(52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path from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댐퍼하우징(520)의 종단면에 건조유로홀(529)이 형성되고, 댐퍼하우징(520)의 바닥면에 재생유로홀(527)이 형성되므로, 응축수가 재생유로 상에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한편, 댐퍼하우징(520)은 사출 성형이 가능한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댐퍼하우징(520)은 토출덕트(525) 및 재생유로홀(527)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Meanwhile,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댐퍼(510)는 힌지축(51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댐퍼하우징(520)의 종단면과 바닥면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다.In the
상기와 같이, 댐퍼하우징(520)은 일측 측면이 개방되어 제습제하우징(300)의 하우징출구(331)와 결합되고, 타측 측면 또는 상면이 개방되어 토출덕트(525)와 결합되며, 바닥면에 재생유로홀(527)이 연결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one side of the
따라서, 토출덕트(525) 방향과 재생유로홀(527) 방향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댐퍼(510)는 댐퍼하우징(520)의 타측과 바닥면 사이에 배치될 필요가 있다.Accordingly, the
이에 따라, 댐퍼(510)가 일단을 중심으로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경우, 댐퍼하우징(520)의 바닥면과 교차되는 기립 각도에 따라 토출덕트(525) 방향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즉, 댐퍼(510)가 힌지 회전하여 댐퍼하우징(520)의 바닥면과 나란한 상태인 경우, 토출덕트(525) 방향이 최대로 개방되어 공기가 연결유로(F10)를 따라 원활하게 송풍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이 경우, 댐퍼(510)가 댐퍼하우징(520)의 바닥면을 덮는 상태라면, 토출덕트(525) 방향이 최대로 개방됨과 동시에 댐퍼하우징(52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재생유로홀(527)을 폐쇄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if the
반면, 댐퍼(510)가 힌지 회전하여 댐퍼하우징(520)의 바닥면과 직교하는 상태인 경우, 토출덕트(525) 방향은 폐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이 경우, 댐퍼(510)는 댐퍼하우징(520)의 바닥면을 덮지 않으므로, 재생유로홀(527)이 개방되어 공기가 재생유로(F20)를 따라 송풍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댐퍼(510)가 힌지축(51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연결유로(F10)와 재생유로(F20)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므로, 댐퍼(510)의 구조를 보다 단순화하면서도 연결유로(F10)와 재생유로(F20)의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한편, 제습제(430)가 연결유로(F10) 상에서 한 쌍으로 배치되는 경우, 댐퍼하우징(520)은, 각각의 제습제(430)를 통과한 공기를 서로 분리시키는 댐핑분리벽(523)을 더 포함하고, 건조유로홀(529)과 재생유로홀(527)은 댐핑분리벽(523)의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이너캐비닛(40), 흡입구(42), 토출구(43), 연결유로(F10), 송풍팬(221), 제습제(430), 히터(710), 재생유로(F20), 댐퍼하우징(520) 및 댐퍼(5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댐퍼하우징(520)에 댐퍼(510)가 설치되어 연결유로(F10)와 재생유로(F20)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므로, 연결유로(F10) 및 재생유로(F20)의 선택적 개폐가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댐퍼(510)는, 일측에 형성된 힌지축(512)을 중심으로 힌지 회전 가능한 개폐판(511), 개폐판(511)의 힌지축(512)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 가능한 샤프트(513) 및 샤프트(513)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제공 가능한 액추에이터(515)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구체적으로, 댐퍼(510)는 힌지축(512)으로부터 일방향으로 돌출된 판상 구조의 개폐판(5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개폐판(511)은 댐퍼하우징(520)에 형성된 건조유로홀(529)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댐퍼(510)의 힌지 회전 시 개폐판(511)이 건조유로홀(529)을 커버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댐퍼(510)의 힌지축(512)에는 샤프트(513)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힌지축(512)의 일부분에는 체결홀이 형성되고, 이러한 체결홀에 샤프트(513)의 체결부(513b)가 맞물리게 체결될 수 있다.A
이에 따라, 샤프트(513)의 회전 시 체결부(513b)가 체결홀을 가압하여 댐퍼(510)의 힌지축(512)이 축회전할 수 있다. 한편, 샤프트(513)는 액추에이터(515)에 결합되어, 액추에이터(515)로부터 공급되는 회전력을 댐퍼(510)의 힌지축(512)으로 전달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댐퍼(510)가 개폐판(511), 샤프트(513) 및 액추에이터(515)를 포함하므로, 전기적 신호를 통한 정밀하고 효과적인 댐퍼(510)의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As such, i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재생유로홀(527)의 개방면적은 건조유로홀(529)의 개방면적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고, 개폐판(511)은 평면 형상이 건조유로홀(529)의 개방면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재생유로홀(527)은 건조유로홀(529)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건조유로홀(529)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개폐판(511)이 힌지 회전한다면 재생유로홀(527)을 커버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개폐판(511)이 건조유로홀(529)의 개방면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므로, 하나의 개폐판(511)을 통해 연결유로(F10)와 재생유로(F20)를 각각 폐쇄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As such, in the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건조유로홀(529)은 댐퍼하우징(520)의 종단면에 형성되고, 재생유로홀(527)은 댐퍼하우징(52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경우, 개폐판(511)은 힌지축(512)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일면이 건조유로홀(529)을 커버 가능하고, 타면이 재생유로홀(527)을 커버 가능할 수 있다.In particula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댐퍼(510)는, 개폐판(511)의 일면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탄성 재질의 제1 밀폐부(517) 및 개폐판(511)의 타면에서 건조유로홀(529)의 개방 면적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탄성 재질의 제2 밀폐부(5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즉, 개폐판(511)의 테두리를 따라서 제1 밀폐부(517)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 밀폐부(517)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개폐판(511)이 건조유로홀(529)을 커버할 때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at is, the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재생유로홀(527)은 건조유로홀(529)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므로, 판상 구조인 개폐판(511)의 전 면적이 고르게 재생유로홀(527)을 밀폐시키기는 어려울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따라서, 개폐판(511) 중 재생유로홀(527)의 위치에 대응되는 부분에 제2 밀폐부(519)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밀폐부(519) 역시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개폐판(511)이 재생유로홀(527)을 커버할 때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댐퍼(510)가 제1 밀폐부(517) 및 제2 밀폐부(519)를 더 포함하므로, 연결유로(F10)와 재생유로(F20) 각각에 대한 폐쇄 시 밀폐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제1 밀폐부(517)와 제2 밀폐부(519) 중 적어도 하나는 개폐판(511)과 인서트몰딩(insert molding)으로 성형될 수 있다.In the
이 경우, 인서트몰딩이란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재료를 함께 금형에 삽입하여 사출하는 공법으로서, 개폐판(511)은 사출 성형 가능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밀폐부(517)와 제2 밀폐부(519) 중 적어도 하나는 고무 또는 섬유 등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insert molding is a method of insert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together into a mold for injection. At least one of 519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or fiber.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댐퍼(510)가 인서트몰딩으로 성형되므로, 댐퍼(510)의 제작이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샤프트(513)는, 축방향 상의 일단에 형성되어 액추에이터(515)가 결합되는 액추에이터결합부(513a), 축방향 상의 타단에 형성되어 개폐판(511)의 힌지축(512)과 회전력이 구속되도록 체결되는 체결부(513b) 및 개폐판(511)의 힌지축(512)과 회전력이 구속되지 않는 상태로 액추에이터결합부(513a)와 체결부(513b)를 연결하는 변형부(513c)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이를 위해, 샤프트(513)는 체결부(513b)만이 댐퍼(510)의 체결홀에 맞물리게 체결되어 체결부(513b)만이 댐퍼(510)의 회전에 구속되고, 나머지 부분은 힌지축(512)의 회전에 구속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in the
즉, 샤프트(513)의 변형부(513c)는 힌지축(512)과 맞물리지 않는 상태로 결합되어, 힌지축(512)이 회전하는 경우에도 일정 부분 공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That is,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샤프트(513)가 액추에이터결합부(513a), 체결부(513b) 및 변형부(513c)를 포함하므로, 액추에이터(515)의 회전력을 개폐판(511)으로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As such, in the
여기서, 변형부(513c)는 뒤틀림에 대한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구체적으로, 샤프트(513)는 합성수지재와 같이 일정 부분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댐퍼(510)의 개폐판(511)이 댐퍼하우징(520) 내에서 더 이상 회전할 수 없는 상태에서도 샤프트(513)의 변형부(513c)는 일정 부분 뒤틀림되며 변형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이를 통해, 개폐판(511)의 회전이 멈춘 상태에서도 액추에이터(515)로부터 공급되는 회전력이 추가적으로 샤프트(513)에 가해질 수 있고, 이러한 과정에서 변형부(513c)가 뒤틀림되며 개폐판(511)을 추가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Through this, even when the rotation of the opening and
따라서, 댐퍼(510)의 개폐판(511)이 건조유로홀(529) 또는 재생유로홀(527)을 커버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515)로부터 공급되는 회전력이 차단되더라도, 변형부(513c)의 뒤틀림에 따른 압력이 여전히 개폐판(511)을 건조유로홀(529) 또는 재생유로홀(527)에 밀착시킬 수 있다.Therefore, even if the rotational force supplied from the
만약, 액추에이터(515)로부터 공급되는 회전력이 차단되었을 때, 반동 작용 등에 의하여 개폐판(511)과 건조유로홀(529) 또는 재생유로홀(527) 사이에 유격이 발생된다면, 이러한 유격을 통해 공기가 의도치 않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If, when the rotational force supplied from the
특히, 제습제(430)의 재생 과정에서 발생되는 수분 또는 냄새 등이 이너캐비닛(4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상기와 같은 댐퍼(510) 및 샤프트(513)의 구조를 통해 밀폐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In particular, since it is very undesirable for moisture or odor generated during the regeneration process of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변형부(513c)가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뒤틀림 변형 가능하므로, 액추에이터(515)의 작동이 중지된 상태에서도, 건조유로홀(529) 또는 재생유로홀(527)에 대한 밀착력이 일정 부분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In the foregoing,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make various changes to other specific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claims.
1 : 신발 관리기
10 : 공기공급장치
20 : 외부캐비닛
30 : 도어
40 : 이너캐비닛
41 : 이너캐비닛의 수용공간
42 : 흡입구
43 : 토출구
44 : 스팀홀
45 : 캐비닛바닥판
46 : 제습제덮개
46a : 제3 가이드돌기
47 : 거치대
50 : 기계실
51 : 제1 벽
52 : 교체홀
53 : 교체도어
54 : 제2 벽
55 : 제3 벽
60 : 급수통
61 : 제1 워터펌프
70 : 배수통
71 : 제2 워터펌프
80 : 제어부
210 : 흡입덕트
211 : 상부덕트
212 : 중간덕트
213 : 하부덕트
214 : 섬프
215 : 섬프홀
220 : 송풍장치
221 : 송풍팬
222 : 회전축
225 : 송풍하우징
227 : 송풍팬모터
230 : 송풍덕트
231 : 하부송풍덕트
232 : 상부송풍덕트
300 : 제습제하우징
310 : 하우징바닥판
311 : 하우징입구
320 : 제습제후방벽
321 : 후방홀
330 : 제습제전방벽
331 : 하우징출구
340 : 제습제좌측벽
350 : 제습제우측벽
360 : 제1 가이드돌기
400 : 제습제블록
401 : 천장부
402 : 제1 측벽부
403 : 제2 측벽부
404 : 제습제블록의 내부공간
410 : 내측매쉬
420 : 외측매쉬
430 : 제습제
440 : 제1 프레임
441 : 막음부
442 : 개구부
450 : 제2 프레임
460 : 제3 프레임
470 : 제4 프레임
480 : 제2 가이드돌기
510 : 댐퍼
520 : 댐퍼하우징
525 : 토출덕트
527 : 재생유로홀
600 : 스팀제너레이터
710 : 히터
711 : 자유단부
712 : 고정단부
720 : 히터플랜지
721 : 수평판
722 : 수직판
800 : 컨덴서
810 : 컨덴서입구
820 : 컨덴서유로
830 : 컨덴서출구
F10 : 연결유로
F10a : 제1 구간
F10b : 제2 구간
F10c : 제3 구간
F11 : 제1 유로
F12 : 제2 유로
F20 : 재생유로
X : 제1 방향
Y : 제2 방향
Z : 제3 방향1: shoe care device 10: air supply device
20: external cabinet 30: door
40: inner cabinet 41: accommodation space of the inner cabinet
42: intake port 43: discharge port
44: steam hole 45: cabinet bottom plate
46:
47: cradle 50: machine room
51: first wall 52: replacement hole
53: replacement door 54: second wall
55: third wall 60: water tank
61: first water pump 70: drain tank
71: second water pump 80: control unit
210: suction duct 211: upper duct
212: middle duct 213: lower duct
214: sump 215: sump hole
220: blower 221: blower fan
222: rotation shaft 225: blower housing
227: blow fan motor 230: blow duct
231: lower blowing duct 232: upper blowing duct
300: desiccant housing 310: housing bottom plate
311: housing entrance 320: desiccant rear barrier
321: rear hole 330: dehumidifying agent front wall
331: housing exit 340: desiccant left side wall
350: desiccant right wall 360: first guide projection
400: desiccant block 401: ceiling
402: first sidewall portion 403: second sidewall portion
404: inner space of desiccant block 410: inner mesh
420: outer mesh 430: dehumidifier
440: first frame 441: blocking portion
442: opening 450: second frame
460: third frame 470: fourth frame
480: second guide projection 510: damper
520: damper housing 525: discharge duct
527: regeneration flow hole 600: steam generator
710: heater 711: free end
712: fixed end 720: heater flange
721: horizontal plate 722: vertical plate
800: condenser 810: condenser inlet
820: condenser euro 830: condenser exit
F10: Connection passage F10a:
F10b: second section F10c: third section
F11 : 1st Euro F12 : 2nd Euro
F20: regeneration flow path X: first direction
Y: second direction Z: third direction
Claims (15)
상기 이너캐비닛 하측에 구비되는 기계실;
상기 이너캐비닛 내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
상기 이너캐비닛 내부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
상기 기계실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토출구로 연결되는 연결유로에 공기흐름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송풍장치; 및
상기 기계실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유로의 일부로서 수평방향인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내부공간인 제1 유로가 구비되고, 제습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습제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기계실은,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거나 경사진 벽면을 이루고, 상기 제습제블록이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인입되거나 인출되도록 관통된 구멍인 교체홀이 형성된 제1 벽; 및
상기 교체홀을 개폐하는 교체도어를 포함하는,
신발 관리기.an inner cabinet in which shoes are accommodated;
a machine room provided under the inner cabinet;
an inlet through which air inside the inner cabinet is sucked;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into the inner cabinet;
a blower provided in the machine room and configured to generate an air flow in a connection passage connected from the suction port to the discharge port; and
It is provided in the machine room and includes a desiccant block including a desiccant and a first flow path, which is an internal space formed along a first horizontal direction as a part of the connection flow path,
The machine room is
a first wall having a wall surface perpendicular to or inclined to the first direction and having a replacement hole formed therein through which the desiccant block is drawn in or drawn ou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and
Containing a replacement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eplacement hole,
shoe care.
상기 교체도어는 상기 기계실에 힌지결합되는,
신발 관리기.According to claim 1,
The replacement door is hinged to the machine room,
shoe care.
상기 신발 관리기는,
상기 기계실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이너캐비닛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는 스팀제너레이터;
상기 제1 벽의 외측에서 노출되도록 상기 기계실에 결합되고, 상기 스팀제너레이터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급수통; 및
상기 제1 벽의 외측에서 노출되도록 상기 기계실에 결합되고, 상기 신발 관리기 내부에서 응축된 물이 저장되는 배수통을 포함하는,
신발 관리기.According to claim 1,
The shoe manager,
a steam generator provided inside the machine room and configured to supply steam into the inner cabinet;
a water supply tank coupled to the machine room so as to be exposed from the outside of the first wall and storing water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and
It is coupled to the machine room so as to be exposed from the outside of the first wall, comprising a drain container for storing water condensed inside the shoe care machine,
shoe care.
상기 급수통과 상기 배수통은,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한 연직방향의 기준면을 중심으로 양쪽에 배치되는,
신발 관리기.4. The method of claim 3,
The water supply tube and the drain tube are dispos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a reference plane in a vertical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shoe care.
상기 제습제블록, 상기 교체홀 및 상기 교체도어는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기준면을 중심으로 양쪽에 배치되고, 상기 급수통과 상기 배수통의 위에 배치되는,
신발 관리기.5. The method of claim 4,
The desiccant block, the replacement hole, and the replacement door are each provided as a pair,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reference plane, and are disposed on the water supply tank and the drain tube,
shoe care.
상기 급수통 및 상기 배수통은 각각 , 상기 제1 벽의 외측방향으로 상기 기계실에서 분리되도록 이루어지는,
신발 관리기.4. The method of claim 3,
The water supply tube and the drain tube are each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the machine room in an outward direction of the first wall,
shoe care.
상기 신발 관리기는,
상기 제1 벽과 같은 쪽에서 상기 이너캐비닛을 개폐하도록 상기 이너캐비닛에 결합된 도어를 포함하는,
신발 관리기.According to claim 1,
The shoe manager,
and a door coupled to the inner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inner cabinet from the same side as the first wall.
shoe care.
상기 제습제블록은,
상기 제1 유로를 이루는 내측매쉬;
상기 내측매쉬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매쉬; 및
상기 내측매쉬와 상기 외측매쉬의 사이에 채워지는 상기 제습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로의 공기는 상기 제습제블록을 관통하는,
신발 관리기.According to claim 1,
The desiccant block is
an inner mesh forming the first flow path;
an outer mesh located outside the inner mesh; and
and the desiccant filled between the inner mesh and the outer mesh,
The air of the first flow path passes through the desiccant block,
shoe care.
상기 제습제블록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천장부;
상기 천장부의 일측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측벽부; 및
상기 천장부의 타측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측벽부와 평행한 제2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천장부, 상기 제1 측벽부 및 상기 제2 측벽부는 각각 상기 내측매쉬, 상기 외측매쉬 및 상기 제습제를 포함하고,
상기 천장부, 상기 제1 측벽부 및 상기 제2 측벽부의 내부공간은, 상기 제1 유로를 이루고,
상기 천장부, 상기 제1 측벽부 및 상기 제2 측벽부의 외부공간은, 상기 연결유로의 일부인 제2 유로를 이루는,
신발 관리기.9. The method of claim 8,
The desiccant block is
a ceiling portion formed along the first direction;
a first sidewall portion extending downwardly from one side of the ceiling portion and formed along the first direction; and
and a second sidewall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other side of the ceiling portion and parallel to the first sidewall portion,
The ceiling portion, the first sidewall portion, and the second sidewall portion each include the inner mesh, the outer mesh, and the desiccant,
The interior space of the ceiling part, the first side wall part, and the second side wall part forms the first flow path,
The ceiling portion, the first sidewall portion, and the outer space of the second sidewall portion form a second flow path that is a part of the connection flow path,
shoe care.
상기 이너캐비닛의 바닥판과 상기 제습제블록 사이의 공간이 상기 제2 유로를 이루는,
신발 관리기.10. The method of claim 9,
A space between the bottom plate of the inner cabinet and the desiccant block forms the second flow path,
shoe care.
상기 신발 관리기는,
상기 제1 유로에 위치하는 히터; 및
상기 제습제블록이 안착되는 하우징바닥판, 및 상기 하우징바닥판에 형성되는 구멍으로서 상기 제1 유로로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를 이루는 하우징입구를 포함하는 제습제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입구는 상기 천장부의 저면과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신발 관리기.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hoe manager,
a heater positioned in the first flow path; and
and a desiccant housing including a housing bottom plate on which the desiccant block is seated, and a housing inlet that forms an inle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flow path as a hole formed in the housing bottom plate,
The housing inlet is formed to face the bottom surface of the ceiling part,
shoe care.
상기 하우징입구는 상기 제1 방향의 뒤쪽으로 치우쳐 형성되고,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제1 유로는 앞쪽 및 뒤쪽이 차폐되는,
신발 관리기.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housing inlet is formed biased toward the rear in the first direction,
In the first direction, the first flow path is shielded in front and behind,
shoe care.
상기 히터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자유단부; 및
상기 제1 방향의 앞쪽에서 상기 자유단부로부터 하측방향으로 굽어지는 고정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발 관리기는,
상기 고정단부가 고정되는 수평판, 및 상기 수평판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의 앞쪽에서 상기 제1 유로를 차폐하는 수직판을 포함하는, 금속성의 히터플랜지를 포함하는,
신발 관리기.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heater is
a free end formed along the first direction; and
and a fixed end bent downward from the free end in the front of the first direction,
The shoe manager,
A horizontal plate to which the fixed end is fixed, and a vertical plate extending upward from the horizontal plate and shielding the first flow path from the front in the first direction, including a metallic heater flange,
shoe care.
상기 제습제하우징은,
상기 하우징바닥판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습제블록 및 상기 수직판으로부터 앞쪽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2 유로의 공기가 이동하도록 제1 방향으로 관통된 하우징출구가 형성된 제습제전방벽을 포함하는,
신발 관리기.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desiccant housing is
A desiccant extending upward from the housing bottom plate, spaced forward from the desiccant block and the vertical plate based on the first direction, and having a housing outlet penetrating in the first direction so that the air of the second flow path moves. comprising an anterior wall;
shoe care.
상기 제습제하우징은,
상기 하우징바닥판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습제블록의 뒤에 위치하며, 상기 제습제블록이 이동할 수 있도록 관통된 구멍인 후방홀이 형성된 제습제후방벽; 및
상기 제습제블록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신발 관리기.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desiccant housing is
a desiccant rear wall extending upward from the housing bottom plate, positioned behind the desiccant block in the first direction, and having a rear hole through which the desiccant block can move; and
Containing a stopper that blocks the movement of the desiccant block in the first direction,
shoe ca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2924 | 2021-04-01 | ||
KR20210042924 | 2021-04-01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36862A true KR20220136862A (en) | 2022-10-11 |
Family
ID=83599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3302A KR20220136862A (en) | 2021-04-01 | 2021-06-25 | Shoes care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136862A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7245B1 (en) | 2010-11-16 | 2011-05-26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Apparatus for sterilization disposal of shoes |
-
2021
- 2021-06-25 KR KR1020210083302A patent/KR20220136862A/en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7245B1 (en) | 2010-11-16 | 2011-05-26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Apparatus for sterilization disposal of shoe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4023137B1 (en) | Dry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 |
KR20220136857A (en) | Shoes care device | |
TWI809619B (en) | Drying apparatus | |
KR20220136866A (en) | Shoes care device | |
KR20230026120A (en) | Shoes care device | |
KR20220136862A (en) | Shoes care device | |
KR20220136860A (en) | Shoes care device | |
KR20220136858A (en) | Shoes care device | |
KR20220136859A (en) | Shoes care device | |
KR20220136861A (en) | Shoes care device | |
KR20220136867A (en) | Shoes care device | |
KR20220136865A (en) | Shoes care device | |
KR20220136863A (en) | Shoes care device | |
KR20220136864A (en) | Shoes care device | |
EP4066676B1 (en) | Shoe care device | |
EP4316334A1 (en) | Shoe care apparatus | |
US20240156324A1 (en) | Shoe care apparatus | |
EP4316335A1 (en) | Shoe care apparatus | |
EP4316333A1 (en) | Shoe management apparatus | |
KR20230026125A (en) | Shoes care device | |
KR20230026191A (en) | Shoes care device | |
KR20230026118A (en) | Shoes care device | |
KR20230026119A (en) | Shoes care device | |
KR20230026124A (en) | Shoes care device | |
KR20230026192A (en) | Shoes care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