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6692A -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모듈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모듈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6692A
KR20220136692A KR1020210042645A KR20210042645A KR20220136692A KR 20220136692 A KR20220136692 A KR 20220136692A KR 1020210042645 A KR1020210042645 A KR 1020210042645A KR 20210042645 A KR20210042645 A KR 20210042645A KR 20220136692 A KR20220136692 A KR 20220136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dissipation
antenna
wireless power
power transmission
all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2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길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to KR1020210042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6692A/ko
Publication of KR20220136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66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0Met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65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iron
    • C08K2003/2275Ferroso-ferric oxide (Fe3O4)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1Conductive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전력전소용 방열 안테나는 사각형인 횡단면을 가지며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도전성 선재가 측면 간에 이격되도록 동일평면 상에 소정의 형상으로 권선된 안테나부, 및 무선전력신호 수신 시 도전성 선재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하여,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도전성 선재의 양 측면에 접하도록 도전성 선재의 선단에서 후단까지 도전성 선재의 일 측면을 따라서 배치되는 고분자 매트릭스 및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내 절연성 방열필러가 분산된 절연성 방열부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이에 의하면, 무선전력신호의 송신 또는 수신 시 코일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열의 방열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의 자기적 특성을 개선해 무선전력신호의 수신 시 신호의 집속을 향상시킴으로써 발열을 최소화하면서도 발생된 열을 보다 빠르게 방열시킬 수 있다. 나아가 안테나 패턴의 변형을 방지하여 안테나 특성의 변동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모듈 및 전자기기{Heat dissipation antenna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heat dissipation antenna module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유닛 및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휴대 기기에 내장된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하거나 전자기기를 무선으로 구동시키는 무선전력전송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며, 이를 채용한 휴대 기기가 상용화된 상태에 있다.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은 전기에너지를 전자기파, 전자기 유도 또는 전자기 공진 형태로 전달하는 기술로 전선과 같은 전력선이 없이도 무선으로 언제 어디서나 전력 공급이 가능한 기술이다. 이러한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은 전자기기 무선충전, 전기자동차 무선전원공급 및 무선충전, 원격지 무선전력공급, 유비퀴터스 무선센서 전원공급 등을 위한 핵심 기술로서 기존의 전선을 통한 전원 공급 및 충전 방식을 대체할 수 있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은 그 방식에 있어서 전자기 유도, 자기공명, 또는 마이크로파의 방사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구분되는데, 이들 방식은 무선전력 수신모듈의 수신안테나와,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에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 전력 송신모듈의 송신안테나 사이의 전력신호의 송수신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에서는 동일하다.
최근 휴대기기에 무선전력전송을 위한 구비되는 안테나 유형으로 코일 타입이 많이 채용되고 있는데, 휴대기기들의 소형화 및 박형화 추세에 맞춰서 작고 얇게 구현된 코일 안테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코일 안테나의 크기 감소는 발열의 증가로 이어지는데, 특히 고속충전을 지원하는 코일 안테나의 크기 감소는 더 큰 발열을 발생시키고, 이로 인해서 무선전력전송 효율을 저하시키며, 코일 안테나 주변의 전자부품의 기능 저하를 야기시키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9136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무선전력신호의 송신 또는 수신 시 코일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열의 방열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유닛 및 전자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테나의 자기적 특성을 개선해 무선전력신호의 수신 시 집속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발열을 최소화하면서도 발생된 열을 보다 빠르게 방열시킬 수 있는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모듈 및 전자기기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안테나 패턴의 변형을 방지하여 안테나 특성의 변동을 방지할 수 있는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유닛 및 전자기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각형인 횡단면을 가지며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도전성 선재 가 측면 간에 이격되도록 동일평면 상에 나선형으로 권선된 안테나부 및 무선전력신호 수신 시 도전성 선재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하여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도전성 선재의 양 측면에 접하도록 도전성 선재의 선단에서 후단까지 도전성 선재의 일 측면을 따라서 배치되는 고분자 매트릭스 및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내 절연성 방열필러가 분산된 절연성 방열부;를 포함하는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열경화성 고분자화합물 및 열가소성 고분자화합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성 방열필러는 탄화규소, 산화마그네슘, 이산화티타늄, 질화알루미늄, 질화규소, 질화붕소, 산화알루미늄, 실리카, 산화아연, 티탄산바륨, 티탄산스트론튬, 산화베릴륨, 산화망간, 산화지르코니아 및 산화붕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성 방열부는 상기 도전성 선재 상에 적층된 상태로 함께 권선되어 도전성 선재의 양측면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성 방열부는 절연성 방열조성물이 이격된 도전성 선재 사이를 채워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성 방열필러는 평균입경이 10㎚ 내지 60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성 방열필러는 절연성 방열부 전체 중량 기준 20 ~ 8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전성 선재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갖는 다수 개의 도전성층이 폭 방향으로 적층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 개의 도전성층 각각은 폭이 모두 동일하거나, 다수 개 도전성층 일부 또는 전부의 폭이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 개의 도전성층 중 인접하는 도전성층 사이에는 절연층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사각형인 횡단면을 가지며, 제1측면과 상기 제1측면에 마주보는 제2측면을 갖는 도전성 선재가 제1측면과 제2측면 간에 이격되도록 동일평면 상에 나선형으로 권선된 안테나부; 및 상기 안테나부로 전력신호를 집속시키며 전력신호 수신 시 도전성 선재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하여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도전성 선재의 양 측면에 접하도록 도전성 선재의 선단에서 후단까지 도전성 선재의 제1측면을 따라서 배치되며, 도전성 선재의 제1측면에 접하는 제1절연부재, 도전성 선재의 제2측면에 접하는 제2절연부재 및 상기 제1절연부재와 제2절연부재 사이에 개재되며 고분자 매트릭스 내 자성 방열필러가 분산된 방열층을 구비하는 절연성 방열부를 포함하는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자성 방열필러는 Fe-Si 합금, Fe-Si-Cr 합금, Fe-Si-Ni-Cr 합금, Fe-Al 합금, Fe-N 합금, Fe-Ni 합금, Fe-C 합금, Fe-B 합금, Fe-Co 합금, Fe-P 합금, Fe-Ni-Co 합금, Fe-Cr 합금, Fe-Mn 합금, Fe-Al-Si 합금, Fe-Si-B 합금 및 Fe-B-C-Cu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Fe계 합금, Nb-Fe-B-C-Cu 합금, Nd- Fe-B 합금 및 Sm-Co-Fe-Cu-Zr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희토류-Fe계 합금, 및 Mn-Zn 페라이트, Mn-Ni 페라이트, Ni-Zn 페라이트, Mg-Zn 페라이트, Ni-Zn-Cu 페라이트, Ni-Zn-Cu-Mg 페라이트, Ni-Zn-Cu-Co 페라이트 및 Sr-페라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페라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절연부재 및 제2절연부재는 각각 독립적으로 폴리이미드(PI; polyimid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 naphtalat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에테르이미드(PEI; polyetherimide), 및 폴리에테르술폰(PES; polyether Sulph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전성 선재는 구리, 니켈, 알루미늄, 금, 은 및 이들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의 형상은 도전성 선재가 나선형 또는 소정의 각도로 다수 회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부와 절연성 방열부는 두께가 동일하고, 폭은 서로 상이하거나 같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부와 절연성 방열부 상부에 배치되는 보호부재 및 상기 안테나부와 절연성 방열부 하부에 배치되는 접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판 및 상기 기판 상부에 구비된 제1항 또는 제8항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를 포함하는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유닛, 및 상기 기판 하부에 구비된 자기장 차폐재를 포함하는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모듈을 구비한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안테나는 무선전력신호의 송신 또는 수신 시 코일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열의 방열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의 자기적 특성을 개선해 무선전력신호의 수신 시 신호의 집속을 향상시킴으로써 발열을 최소화하면서도 발생된 열을 보다 빠르게 방열시킬 수 있다. 나아가 안테나 패턴의 변형을 방지하여 안테나 특성의 변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의 사시도 및 도 1의 X-X' 경계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의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의 사시도 및 도 4의 Y-Y' 경계선에 따른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모식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의 단면도,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모듈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100,100')는 안테나부(110) 및 절연성 방열부(120)를 포함하되, 상기 안테나부(110)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도전성 선재가 측면 간에 이격되도록 동일평면 상에 소정의 형상으로 권선되어 형성되고, 상기 절연성 방열부(120)는 도전성 선재의 선단에서부터 후단까지 도전성 선재의 일 측면을 따라서 배치됨으로써 절연성 방열부(120) 역시 안테나부(110)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형상으로 권선된 형상을 갖는다. 이때, 상기 안테나부(110)는 도전성 선재가 나선형(도 1 참조) 또는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형상(도 3 참조)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부(110)와 절연성 방열부(120)는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100)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방향으로 이들이 교호적으로 배치되되 이들 사이에 이격된 틈이 없도록 배치됨으로써 안테나부(110)에서 발생된 열이 보다 효과적으로 절연성 방열부(120)를 통해서 방열될 수 있다.
또한, 절연성 방열부(120)는 도전성 선재인 안테나부(110)의 양 측면에 일부 또는 전부가 접하도록 배치되는데, 도 1에 도시된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100)는 안테나부(110)의 양 측면 전부에 절연성 방열부(120)가 접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다르게 만일 도전성 선재인 안테나부(110)가 소정의 형상으로 권선된 중심에 가까운 최 내측에 위치할 경우 안테나부(110)의 양 측면 일부에 절연성 방열부(120)가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부(110)는 사각형인 횡단면을 가지며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도전성 선재로 형성된다. 코일형 안테나로 사용되는 도전성 선재의 횡단면 형상은 통상적으로 원형인데, 사각형인 횡단면을 갖는 것은 통상적인 코일형 안테나와는 구별되는 구조적 특징으로서 이와 같은 구조적 특징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100)의 제조방법에 기인한 것이다. 후술하는 제조방법에 대한 설명에 앞서서 간략하게 설명하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판상의 도전성 부재(110A)를 판상의 절연성 방열부재(120A)와 함께 어느 일방향으로 돌돌 감아 원통형으로 겹치게 한 뒤 말린 원통형의 판상의 도전성 부재와 판상형 절연성 방열부재를 소정의 폭(t1)만큼 높이 방향에 수직하게 절단하여 제조함에 따라서 도전성 선재의 횡단면은 사각의 형상을 갖는다. 이때, 절단 시 소정의 폭(t1)은 절단되어 구현된 무선전력전송용 방열안테나의 두께, 즉 도전성 선재의 두께에 대응한다.
또한, 상기 도전성 선재는 통상적으로 코일형 안테나를 구현하는 재질로 구현된 것일 수 있고, 일 예로 구리, 니켈, 알루미늄, 금, 은 및 이들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전성 선재의 두께는 통상적인 코일형 안테나의 직경 범위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목적에 따라서 더 얇거나 더 두껍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전성 선재는 단일의 선재로 구성되거나 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갖는 다수 개의 도전성층이 폭 방향으로 적층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수 개의 도전성층 각각은 폭이 모두 동일하거나, 다수 개 도전성층 일부 또는 전부의 폭이 상이할 수 있다. 다수 개의 도전성층에서 층의 폭을 달리할 경우 더 넓은 주파수 대역을 커버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얇은 폭을 갖는 도전성층은 더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고, 반대로 두꺼운 폭을 갖는 도전성층은 더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더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 전류는 전도체의 표면에서 표피층으로 부분적으로 한정될 수 있는데 이는 안테나의 유효 전기저항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다수 개의 도전성층을 사용하고, 이들의 폭을 적절히 조절할 경우 더 많은 표면에 전류를 분배시킬 수 있고, 이는 안테나의 유효 전기저항 증가를 최소화시키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도전성층 각각의 폭은 1㎛ 이상, 다른 일예로, 5㎛ 이상, 10㎛ 이상, 15㎛ 이상, 20㎛ 이상, 30㎛ 이상 또는 10㎛ 이상의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전성층 각각의 폭은 2000㎛이하, 1000㎛ 이하, 500㎛ 이하, 또는 250㎛ 이하의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전성 선재, 또는 도전성층의 길이는 도전성 선재, 또는 도전성층의 폭이나 두께보다 클 수 있고, 일 예로 길이는 폭 또는 두께 중 적어도 5배, 또는 적어도 10배 클 수 있다.
또한, 도전성 선재, 또는 도전성층의 폭은 두께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다수 개의 도전성층 사이에는 도전성층을 접합시키기면서 절연시키기 위한 절연층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은 후술하는 절연성 방열부(120)의 고분자 매트릭스 재질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층은 폭이 후술하는 절연성 방열부(120)의 폭보다 작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안테나부(110)는 100 ~ 350kHz에서 자기 유도 방식으로 작동하는 Qi 규격 또는 PMA 규격의 안테나일 수도 있고, 6.78MHz에서 자기공진방식으로 작동하는 A4WP 규격의 안테나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안테나부(110)의 도전성 선재 사이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안테나부(110)의 발열을 방열시키면서 수평방향으로 도전성 선재 간을 절연시키는 절연성 방열부(120)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절연성 방열부(120)는 상기 도전성 선재의 양 측면에 전부 또는 일부가 접하도록 도전성 선재의 선단에서 후단까지 도전성 선재의 일 측면을 따라서 배치되는 고분자 매트릭스 및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내 분산된 절연성 방열필러를 포함한다.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121)는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소정의 형상으로 권선된 도전성 선재 간을 절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면서 내부에 절연성 방열필러(122)를 수용하는 몸체로써 기능한다.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121)는 고분자화합물이 용해 또는 융융된 것이 고화되거나, 경화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에스테르수지, 폴리에테르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포르말 수지, 페녹시 수지, 폴리히드록시폴리에테르 수지, 아크릴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부타디엔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TPU),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의 단독, 이들 2종 이상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에폭시 수지, 요소수지, 멜라민 수지, 페놀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규소 수지 및 폴리우레탄 수지 등을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매트릭스(121)가 열경화성 수지로 형성된 경우 열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경화제, 경화촉진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경화제 또는 경화촉진제는 선택되는 열경화성 수지의 구체적 종류에 따라서 조합되는 공지의 경화제 또는 경화촉진제 중 적절한 것을 선택할 수 있음에 따라서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절연성 방열필러(122)는 도전성 선재 간의 절연성을 저해하지 않거나 최소한으로 저해하면서 방열성능을 발현하기 위한 것으로써, 공지된 절연성 방열필러의 경우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절연성 방열필러(122)는 탄화규소, 산화마그네슘, 이산화티타늄, 질화알루미늄, 질화규소, 질화붕소, 산화알루미늄, 실리카, 산화아연, 티탄산바륨, 티탄산스트론튬, 산화베릴륨, 산화망간, 산화지르코니아 및 산화붕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성 방열필러(122)는 입경이 상술한 고분자 매트릭스(121)의 부피/두께/폭 등을 고려하여 달리 선택될 수 있음에 따라서 본 발명은 이에 대하여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일예로, 상기 절연성 방열필러(122)는 평균입경이 10㎚ ~ 600㎛일 수 있다. 만일 평균입경이 600㎛를 초과하는 경우 분산성이 저하될 수 있고, 고분자 매트릭스(121) 표면으로 일부가 돌출될 수 있음에 따라서 표면품질이 저하되거나, 절연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고, 안테나부(110)의 도전성 선재의 측면과 박리될 수 있어서 방열특성도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만일 저연성 방열필러의 평균입경이 10 ㎚미만일 경우 제품단가의 상승 우려가 있고, 열저항이 증가함에 따라서 방열성능, 특히 공기 등 외부로의 방사성능 저하 우려가 있다. 또한, 표면에 묻어 나오는 절연성 방열필러의 양이 증가하여 방열성능 및 절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성 방열필러(122)의 단면 형상과 구조는 목적에 따라 달리 선택할 수 있어서 본 발명에서 이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일예로, 상기 절연성 방열필러(122)는 다공질이거나 비다공질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절연성 방열필러(122)는 카본계, 금속 등의 공지된 전도성 방열필러를 코어로 하고, 절연성 성분이 상기 코어를 둘러싸는 코어쉘 타입의 방열 필러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절연성 방열필러(122)의 경우 젖음성 등을 향상시켜 고분자 매트릭스(121)와 형성한 계면 접합특성의 향상을 위하여, 표면이 실란기, 아미노기, 아민기, 히드록시기, 카르복실기 등의 관능기로 개질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관능기는 직접 필러의 표면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고, 또는 탄소수 1 ~ 20개의 치환 또는 비치환의 지방족 탄화수소나 탄소수 6 ~ 14개의 치환 또는 비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를 매개로 필러에 간접적으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성 방열필러(122)는 절연성 방열부(120)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20 ~ 80중량%가 되도록 포함될 수 있다. 만일 절연성 방열필러가 20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목적하는 수준의 방열성능을 발현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만일 절연성 방열필러가 80중량%를 초과할 경우 절연성 방열부(120)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어 물리적 충격에 쉽게 깨지거나 부스러질 수 있다. 또한, 고분자 매트릭스(121) 표면에 돌출된 절연성 방열필러(122)의 양이 많아짐에 따라서 절연성 방열부(120)의 절연특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표면거칠기가 증가하여 표면품질이 저하될 수 있으며, 안테나부(110)의 도전성 선재의 측면과 박리될 수 있어서 방열특성도 저하될 우려가 있다. 더불어 절연성 방열필러가 더 구비되더라도 방열성능의 향상정도는 미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절연성 방열부(120)는 상술한 도전성 선재와 마찬가지로 판상의 절연성 방열부재(120A)를 판상의 도전성 부재(110A)와 함께 어느 일방향으로 말아져 원통형으로 구현된 뒤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절단해 제조되거나, 또는 판상의 도전성 부재(110A)를 어느 일방향으로 말아 원통형으로 구현한 뒤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절단하고, 절단된 도전성 선재 측면 간 사이 공간에 절연성 방열부 형성 조성물을 채우고 상기 절연성 방열 조성물을 고화 또는 경화시켜서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상술한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100)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판상의 도전성 부재(110A)와 판상의 절연성 방열부재(120A)를 적층 및 합지 후 합지된 적층체(100A)의 일단을 권취봉(10) 외주에 고정시킨 뒤 권취봉(10)을 회전시켜서 적층체(100A)가 어느 일방향으로 둘둘 말린 형태의 원통형의 적층체(100B)를 구현할 수 있다. 이후 구현된 원통형의 적층체(100B)를 높이방향에 수직하게 소정의 폭(t1)을 가지도록 절단시켜서 소정의 폭(t1)에 대응하는 두께를 갖는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100)를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판상의 도전성 부재(110A)에서 유래하는 안테나부(110)와 판상의 절연성 방열부재(120A)로부터 유래하는 절연성 방열부(120)의 두께는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안테나부(110)와 절연성 방열부(120)의 폭은 판상의 도전성 부재(110A)와 판상의 절연성 방열부재(120A) 각각의 두께에 대응하며, 안테나부(110)와 절연성 방열부(120)의 폭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층체(110A)는 판상의 도전성 부재(110A)와 판상의 절연성 방열부재(120A)를 적층 시킨 뒤 열과 압력을 가해서 이들을 융착시키거나 또는 판상의 도전성 부재(110A)와 판상의 절연성 방열부재(120A) 사이에 별도의 접착제를 개재시켜서 이들을 부착시켜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제는 필름이나 시트의 부착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접착제는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고, 기재의 양면에 접착제가 구비된 양면테이프 타입도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도전성 선재가 권선된 안테나부(110)의 형상은 권취봉(10)의 단면 형상에 따를 수 있으며, 권취봉(10)이 원형의 단면을 가질 경우 나선형을 가지도록 권선될 수 있고, 권취봉(10)이 사각형의 단면을 가질 경우 도전성 선재는 90°의 각도로 다수 회 절곡된 형상으로 권선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2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200)는 안테나부(210)와 절연성 방열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부(210)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사각형인 횡단면을 가지며, 제1측면과 상기 제1측면에 마주보는 제2측면을 갖는 도전성 선재가 제1측면과 제2측면 간에 이격되도록 동일평면 상에 소정의 형상으로 권선된 것으로써 무선전력신호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또한, 상기 도전성 선재는 구리, 니켈, 알루미늄, 금, 은 및 이들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전성 선재가 이루는 상기 소정의 형상은 나선형이거나, 90°의 각도로 다수 회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성 방열부(240)는 도전성 선재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고, 도전성 선재 간을 절연시키는 것 이외에 안테나부(210)로 전력신호를 집속시키는 기능을 더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절연성 방열부(240)는 안테나부(210)로 전력신호를 집속시키며, 도전성 선재 간을 절연시키고, 무선전력신호 수신 시 도전성 선재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하여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도전성 선재의 양 측면에 접하도록 도전성 선재의 선단에서 후단까지 도전성 선재의 제1측면을 따라서 배치되며, 도전성 선재의 제1측면에 접하는 제1절연부재(221), 도전성 선재의 제2측면에 접하는 제2절연부재(222) 및 상기 제1절연부재(221)와 제2절연부재(222) 사이에 개재되며 고분자 매트릭스(231) 내 자성 방열필러(232)가 분산된 방열층(230)을 구비한다. 달리 말하면, 도전성 선재의 제1측면에 접하는 제1절연부재(221)와 도전성 선재의 제2측면에 접하는 제2절연부재(222)를 통해서 절연기능을 달성하며, 자성 방열필러(232)를 구비한 방열층(230)을 통해서 도전성 선재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고, 안테나부(210)로 전력신호를 집속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절연부재(221)와 제2절연부재(222)는 각각 독립적으로 절연특성을 가지는 부재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일 예로 폴리이미드(PI; polyimid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 naphtalat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에테르이미드(PEI; polyetherimide), 및 폴리에테르술폰(PES; polyether Sulph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부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절연부재(221)와 제2절연부재(222)는 일예로 이들 재료로 성형되어 사각형인 횡단면을 가지며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선재일 수 있으며, 소정의 두께와 면적을 가지는 필름이 어느 일 방향으로 둘둘 말린 뒤 소정의 폭으로 절단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층(230)은 고분자 매트릭스(231) 내 자성 방열필러(232)가 분산된 형태를 가지는데,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231)는 고분자화합물이 용해 또는 융융된 것이 고화되거나, 경화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에스테르수지, 폴리에테르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포르말 수지, 페녹시 수지, 폴리히드록시폴리에테르 수지, 아크릴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부타디엔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TPU),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의 단독, 이들 2종 이상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에폭시 수지, 요소수지, 멜라민 수지, 페놀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규소 수지 및 폴리우레탄 수지 등을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매트릭스(121)가 열경화성 수지로 형성된 경우 열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경화제, 경화촉진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경화제 또는 경화촉진제는 선택되는 열경화성 수지의 구체적 종류에 따라서 조합되는 공지의 경화제 또는 경화촉진제 중 적절한 것을 선택할 수 있음에 따라서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자성 방열필러(232)는 열전도성을 가지면서 자성을 띠는 필러인 경우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고, 일 예로 연자성체 분말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Fe-Si 합금, Fe-Si-Cr 합금, Fe-Si-Ni-Cr 합금, Fe-Al 합금, Fe-N 합금, Fe-Ni 합금, Fe-C 합금, Fe-B 합금, Fe-Co 합금, Fe-P 합금, Fe-Ni-Co 합금, Fe-Cr 합금, Fe-Mn 합금, Fe-Al-Si 합금, Fe-Si-B 합금 및 Fe-B-C-Cu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Fe계 합금, Nb-Fe-B-C-Cu 합금, Nd- Fe-B 합금 및 Sm-Co-Fe-Cu-Zr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희토류-Fe계 합금, 및 Mn-Zn 페라이트, Mn-Ni 페라이트, Ni-Zn 페라이트, Mg-Zn 페라이트, Ni-Zn-Cu 페라이트, Ni-Zn-Cu-Mg 페라이트, Ni-Zn-Cu-Co 페라이트 및 Sr-페라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페라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인 연자성 분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성 방열필러(232)의 평균입경은 10 ~ 600㎛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하기에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성 방열필러(232)의 함량은 방열층(230)의 전체 중량 기준 20 ~ 80중량%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에 유리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는 안테나부(210)가 무선전력전송용 안테나(200)의 최외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절연성 방열부(240)가 최외측에 위치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200)는 도 1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100)와 동일한 제조방법 즉, 판상의 도전성 부재와 판상의 절연성 방열부재를 적층 및 합지 후 합지된 적층체의 일단을 권취봉 외주에 고정시킨 뒤 권취봉을 회전시켜서 적층체가 어느 일방향으로 둘둘 말린 형태의 원통형의 적층체를 구현하고, 이후 구현된 원통형의 적층체를 높이방향에 수직하게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절단시켜서 소정의 폭에 대응하는 두께와 판상의 도전성 부재와 판상의 절연성 방열부재의 두께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는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200)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100")는 안테나부(110)와 절연성 방열부(120) 상부에 배치되는 보호부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130)는 안테나부(11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써 공지된 보호부재의 경우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일 예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 naphtalat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에테르이미드(PEI; polyetherimide), 및 폴리에테르술폰(PES; polyether Sulph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필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부(110)와 절연성 방열부(120) 하부에 배치되는 접착부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100")를 적용시킬 다른 표면, 예를 들어 회로 기판, 자기장 차폐재 등의 표면에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140)는 공지의 접착부재의 경우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일 예로 접착제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기재의 양면에 접착제가 구비된 양면테이프일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며,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100")는 자기장 차폐재(420)와 적층되어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모듈(300)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100")는 기판(410) 상에 배치된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유닛 형태로 자기장 차폐재(420)와 모듈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기판(410)은 무선전력전송 모듈에 채용되는 공지의 회로기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기장 차폐재(420)는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100")의 안테나부가 높은 품질지수(Q인자)를 갖도록 하며, 이를 통해서 무선전력전송 효율 및 전송거리를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자기장 차폐재(420) 자성층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자성층은 무선전력전송에 사용되는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고려하여 적절한 종류의 자성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자성체는 철, 코발트, 또는 니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결정질 합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자기변형, 저항률, 투자율, 포화 유도, 보자력, 잔류 자기(remanence), 및/또는 부식과 같은 특성들을 변경하기 위해 추가적인 원소들이 선택적으로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합금의 일예로써, NiFe, NiFeMo, FeSi, FeAlSi, 및 FeCo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비정질 합금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규소 및 붕소와 같은 준금속(metalloid)과 함께 코발트 및/또는 철을 포함하는 공지된 비정질 합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나노결정질 합금과 같은 나노결정질 재료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철, 규소 및/또는 붕소를 포함하는 나노결정질 합금, 및 어닐링 시의 나노결정들의 핵화 및 성장을 제어하기 위해 추가되는 선택적인 다른 원소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합금 중 다수는 철, 규소, 붕소, 니오븀 및 구리, 또는 철, 붕소, 탄소, 니오븀, 구리, 또는 철, 붕소, 탄소 및 구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성체로 페라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페라이트는 철과 적어도 하나의 다른 금속의 산화물을 포함한다. 유용한 페라이트의 예에는 연질 입방 페라이트 재료, 예컨대 MnZn-페라이트 또는 NiZn-페라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성층은 자성체로만 이루어진 판상형의 층으로 구비되거나, 자성체가 분쇄된 분말이 고분자 매트릭스 내 분산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성체로만 이루어진 판상형의 층은 와전류 감소 등을 목적으로 플레이크 처리되어 다수 개의 조각으로 쪼개진 것일 수 있다. 또한, 다수 개의 조각으로 쪼개진 자성체 조각 사이 사이는 이격된 틈이 있을 수 있고, 상기 틈에는 와전류 저감을 위한 물질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9는 자기장 차폐재(420)가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100") 보다 더 큰 크기를 갖는 것으로 도시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100")의 면적에 대응하는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모듈(300)에는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100") 이외에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안테나가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기능은 일 예로 근거리통신(NFC)이나 마그네틱 보안 전송(MST) 기능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모듈(300)은 무선전력전송용 안테나 모듈에 채용되는 공지의 구성 예를 들어 방열부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무선전력은, 마그네틱 커플링을 통해 무선전력전송 장치로부터 무선전력수신 장치로 전달되는 에너지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은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전송용 모듈 또는 소스 디바이스(source device)와,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하는 수신용 모듈 또는 타겟 디바이스(target device)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모듈(300)은 무선전력 송신용 또는 수신용 모듈로써 채용이 가능하다.
또한, 무선전력 송신용 모듈의 경우 무선전력 수신용 모듈로 무선전력을 공급하는 디바이스를 의미하며, 디바이스는 패드, 단말, TV 등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모든 전자기기에 채용될 수 있다. 또한, 무선전력 수신용 모듈의 경우 무선전력을 공급받는 디바이스로써, 모바일 기기, 단말, TV, 자동차, 세탁기, 라디오, 전등 등 전력을 필요로 하는 모든 전자기기가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100',100",200: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110,210: 안테나부 120,240: 절연성 방열부
300: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모듈

Claims (19)

  1. 사각형인 횡단면을 가지며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도전성 선재가 측면 간에 이격되도록 동일평면 상에 소정의 형상으로 권선된 안테나부; 및
    무선전력신호 수신 시 도전성 선재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하여,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도전성 선재의 양 측면에 접하도록 도전성 선재의 선단에서 후단까지 도전성 선재의 일 측면을 따라서 배치되는 고분자 매트릭스 및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내 절연성 방열필러가 분산된 절연성 방열부;를 포함하는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열경화성 고분자화합물 및 열가소성 고분자화합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방열필러는 탄화규소, 산화마그네슘, 이산화티타늄, 질화알루미늄, 질화규소, 질화붕소, 산화알루미늄, 실리카, 산화아연, 티탄산바륨, 티탄산스트론튬, 산화베릴륨, 산화망간, 산화지르코니아 및 산화붕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하는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방열부는 상기 도전성 선재 상에 적층된 상태로 함께 권선되어 도전성 선재의 양측면에 접하도록 배치된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방열부는 절연성 방열조성물이 이격된 도전성 선재 사이를 채워서 형성된 것인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방열필러는 평균입경이 10㎚ 내지 600㎛인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방열필러는 절연성 방열부 전체 중량 기준 20 ~ 80중량%로 포함되는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8.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사각형인 횡단면을 가지며, 제1측면과 상기 제1측면에 마주보는 제2측면을 갖는 도전성 선재가 제1측면과 제2측면 간에 이격되도록 동일평면 상에 소정의 형상으로 권선된 안테나부; 및
    상기 안테나부로 전력신호를 집속시키며 전력신호 수신 시 도전성 선재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하여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도전성 선재의 양 측면에 접하도록 도전성 선재의 선단에서 후단까지 도전성 선재의 제1측면을 따라서 배치되며, 도전성 선재의 제1측면에 접하는 제1절연부재, 도전성 선재의 제2측면에 접하는 제2절연부재 및 상기 제1절연부재와 제2절연부재 사이에 개재되며 고분자 매트릭스 내 자성 방열필러가 분산된 방열층을 구비하는 절연성 방열부;를 포함하는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방열필러는 Fe-Si 합금, Fe-Si-Cr 합금, Fe-Si-Ni-Cr 합금, Fe-Al 합금, Fe-N 합금, Fe-Ni 합금, Fe-C 합금, Fe-B 합금, Fe-Co 합금, Fe-P 합금, Fe-Ni-Co 합금, Fe-Cr 합금, Fe-Mn 합금, Fe-Al-Si 합금, Fe-Si-B 합금 및 Fe-B-C-Cu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Fe계 합금,
    Nb-Fe-B-C-Cu 합금, Nd- Fe-B 합금 및 Sm-Co-Fe-Cu-Zr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희토류-Fe계 합금, 및
    Mn-Zn 페라이트, Mn-Ni 페라이트, Ni-Zn 페라이트, Mg-Zn 페라이트, Ni-Zn-Cu 페라이트, Ni-Zn-Cu-Mg 페라이트, Ni-Zn-Cu-Co 페라이트 및 Sr-페라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페라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인 연자성 분말인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부재 및 제2절연부재는 각각 독립적으로 폴리이미드(PI; polyimid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 naphtalat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에테르이미드(PEI; polyetherimide), 및 폴리에테르술폰(PES; polyether Sulph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11.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선재는 구리, 니켈, 알루미늄, 금, 은 및 이들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12.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형상은 도전성 선재가 나선형 또는 소정의 각도로 다수 회 절곡된 형상인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13.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와 절연성 방열부는 두께가 동일하고, 폭은 서로 상이하거나 같은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14.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선재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갖는 다수 개의 도전성층이 폭 방향으로 적층된 것인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도전성층 각각은 폭이 모두 동일하거나, 다수 개 도전성층 일부 또는 전부의 폭이 상이한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도전성층 중 인접하는 도전성층 사이에는 절연층이 더 구비되는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17.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와 절연성 방열부 상부에 배치되는 보호부재 및
    상기 안테나부와 절연성 방열부 하부에 배치되는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18. 기판 및 상기 기판 상부에 구비된 제1항 또는 제8항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를 포함하는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유닛; 및
    상기 기판 하부에 구비된 자기장 차폐재;를 포함하는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모듈.
  19. 제18항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모듈을 구비한 전자기기.
KR1020210042645A 2021-04-01 2021-04-01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모듈 및 전자기기 KR202201366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645A KR20220136692A (ko) 2021-04-01 2021-04-01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모듈 및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645A KR20220136692A (ko) 2021-04-01 2021-04-01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모듈 및 전자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6692A true KR20220136692A (ko) 2022-10-11

Family

ID=83598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645A KR20220136692A (ko) 2021-04-01 2021-04-01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모듈 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669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58726A (zh) * 2023-10-13 2024-01-26 北京领创医谷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电场耦合传能的发射电极
KR20240076038A (ko) 2022-11-23 2024-05-30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물결 표면 구조와 격자 기판 구조를 가지는 무선전력전송용 유연 안테나 및 이의 제작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1362A (ko) 2013-01-11 2014-07-21 주식회사 에스엔파워콤 무선충전용 수신코일과 엔에프씨 안테나가 배터리에 함께 설치된 무선충전 배터리 모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1362A (ko) 2013-01-11 2014-07-21 주식회사 에스엔파워콤 무선충전용 수신코일과 엔에프씨 안테나가 배터리에 함께 설치된 무선충전 배터리 모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76038A (ko) 2022-11-23 2024-05-30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물결 표면 구조와 격자 기판 구조를 가지는 무선전력전송용 유연 안테나 및 이의 제작 방법
CN117458726A (zh) * 2023-10-13 2024-01-26 北京领创医谷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电场耦合传能的发射电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3358B2 (en) Receiving antenna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707883B1 (ko) 하이브리드형 자기장 차폐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안테나 모듈
TWI258710B (en) Antenna for reader/recorder and reader/recorder having the antenna
US10123467B2 (en)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for a wireless charger,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receiving apparatus for a wireless charger using the sheet
US10566824B2 (en) Wireless power transfer module for vehicles
US10002704B2 (en) Coil module
US20170345555A1 (en) Heat radiation unit and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having same
KR101977254B1 (ko) 다기능 복합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
KR20150068400A (ko) 복합 코일 모듈 및 휴대 기기
KR20220136692A (ko)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전송용 방열 안테나 모듈 및 전자기기
EP3016203B1 (en) Receiving antenna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comprising same
KR102280727B1 (ko) 무선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수단
KR102085925B1 (ko) 무선충전장치
JP4673577B2 (ja) コイルアンテナ
KR102280259B1 (ko) 무선충전 패드, 무선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KR102293776B1 (ko) 무선충전 패드, 무선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KR102455473B1 (ko) 무선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수단
KR102293768B1 (ko) 무선충전 패드, 무선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KR102280257B1 (ko) 무선충전 패드, 무선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JP4656512B2 (ja) 送信コイルアンテナ装置
KR102310770B1 (ko) 복합 안테나 유닛용 차폐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전송 모듈
KR20220033933A (ko) 무선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수단
KR20200093957A (ko) 무선충전 수신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