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5875A - Non-face-to-face access management system using kiosks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Non-face-to-face access management system using kiosks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5875A
KR20220135875A KR1020210042122A KR20210042122A KR20220135875A KR 20220135875 A KR20220135875 A KR 20220135875A KR 1020210042122 A KR1020210042122 A KR 1020210042122A KR 20210042122 A KR20210042122 A KR 20210042122A KR 20220135875 A KR20220135875 A KR 20220135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room
face
access
kio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21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59483B1 (en
Inventor
임채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승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승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승은
Priority to KR1020210042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9483B1/en
Publication of KR20220135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58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4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non-face-to-face access management system using kiosk and a method thereof. The non-face-to-face access management system using a kio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comprises: a kiosk which is disposed at the entrance of a room; a user terminal which generates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code information in a non-face-to-face manner to access the room, authenticates a user, and allows the user to access the room; and an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which generates an access approval signal in response to an access approval request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access approval signal to the user terminal when receiving the access approval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Description

키오스크를 이용한 비대면 출입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NON-FACE-TO-FACE ACCESS MANAGEMENT SYSTEM USING KIOSKS AND METHOD THEREOF}Non-face-to-face acces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kiosk {NON-FACE-TO-FACE ACCESS MANAGEMENT SYSTEM USING KIOSKS AND METHOD THEREOF}

아래 실시예들은 키오스크를 이용한 비대면 출입을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following embodiments relate to a technology for managing non-face-to-face access using a kiosk.

과학기술이 발달하면서 우리 생활 곳곳에서 무인화 시설들이 증가하고 있다. 무인화 시설들은 주로 24시간 동안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각종 편익을 제공하는 시설들인데 비해, 근무하는 직원 입장에서는 철야 또는 교대 근무로 인한 애로 사항이 많다는 단점도 존재한다.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unmanned facilities are increasing in every part of our lives. Unmanned facilities are facilities that provide various benefits to users who use them mainly for 24 hours, but there are also disadvantages in that there are many difficulties due to all-night or shift work from the perspective of working staff.

그 동안 무인화 숙박시설들의 단점은 근무하는 직원이 없기 때문에 각종 도난 사건이나 화재 사고 등에 신속하게 대응하지 못한다는 것과 객실 키(key) 회수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다는 점과 법제화된 일회용품 사용에 대한 비용지불이 구현되어 있지 않았다.The disadvantages of unmanned lodging facilities are that they cannot respond promptly to various thefts or fire accidents because there are no staff on duty, and that they cannot provide a plan for retrieving the key to the room. Payment was not implemented.

하지만, 현재는 CCTV, 통신장치, 경보장치, 화재감지장치와 같은 감시, 경보, 감지장치의 발달로 인해 과거에 비해 훨씬 효율적으로 무인화 시설을 구비할 수 있는 기술수준이 되었다.However, due to the development of monitoring, alarming, and detection devices such as CCTV, communication devices, alarm devices, and fire detection devices, the technology level has become much more efficient than in the past to provide unmanned facilities.

한편, 무인화 시설들의 장점은 인건비 절약과 함께 사용자들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다는 점인데, 사회가 과거에 비해 개인중심으로 변하게 되어 대중이용시설들도 대면결제를 배제하여 사용자들의 사생활 보호를 강화하는 추세이다.On the other hand, the advantage of unmanned facilities is that they can protect users' privacy as well as save labor costs. As society has become more individual-centered than in the past, public facilities also exclude face-to-face payments to strengthen users' privacy protection. to be.

더욱이, 코로나와 같은 전염병이 유행하는 때에 비대면 출입을 관리하는 기술의 중요도가 높아진다.Moreover, the importance of technology to manage non-face-to-face access increases when an epidemic such as Corona is prevalent.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KR10-2005-0044048Korean Patent Publication No. KR10-2005-0044048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KR10-2010-0118215Korean Patent Publication No. KR10-2010-011821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KR10-1773324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KR10-1773324

실시예들은 비대면 출입 절차를 통해 키오스크를 이용하여 출입여부를 자동으로 확인하고자 한다.Embodiments intend to automatically check whether or not access is made using a kiosk through a non-face-to-face access procedure.

실시예들은 QR코드 및 RFID 코드를 이용하여 본인인증을 통해 출입여부를 자동으로 확인하고 한다.Embodiments automatically check whether or not to enter through self-authentication using a QR code and an RFID code.

실시예들은 객실의 내부로부터 감지된 센서신호를 이용하여 객실의 내부를 제어하고자 한다.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ntrol the interior of the cabin using a sensor signal sensed from the interior of the cabin.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개별 손에 따른 분사액 조절을 통해 손소독 절차를 효율화하여 감염 예방 효과를 높이고자 한다.Embodiments are intended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preventing infection by streamlining the hand disinfection procedure by adjusting the spray liquid according to the user's individual hands.

일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를 이용한 비대면 출입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객실의 출입구에 배치되며, 상기 객실에 출입하는 방법에 대한 안내문이 포함된 객실정보와, 로그인 창을 상기 객실에 출입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제공하는 키오스크; 상기 객실에 출입하기 위해 비대면으로 코드정보가 포함된 사용자인증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를 인증하여 상기 객실에 출입이 허용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상용자 단말기로부터 출입승인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출입승인요청에 대응하여 출입승인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합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키오스크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 및 GUI(Graphic User Interface)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객실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로그인 창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생성된 상기 코드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리더기부; 상기 객실의 출입이 안되는 오류나 오작동이 발생하거나, 부당한 이유로 출입을 거부당하는 등의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호출버튼을 이용하여 관리자에게 호출을 요청할 수 있도록 호출신호를 생성하는 인터폰부; 사용자의 출입여부를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영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 및 관리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키오스크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사용자의 객실 출입을 관리하는 기기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non-face-to-face access management system using a kio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disposed at the doorway of the guest room, and provides room information including a guide on how to enter the room, and a login window to a user who wants to enter the room. kiosks that provide visual and audio; a user terminal that generates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code information in a non-face-to-face manner in order to access the guest room and authenticates the user, thereby allowing access to the guest room; and an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that, when receiving an access approval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generates an access approval signal in response to the access approval request and transmits it to the user terminal, wherein the kiosk includes a touch screen ) method and a display unit for providing the room information to the user using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method; a reader unit for authenticating the user by recognizing the code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a login window; an intercom unit for generating a call signal to request a call to the manager by using a call button when an error or malfunction occurs that prevents access to the room, or an event such as being denied access for an unreasonable reason occurs; a camera unit that transmits and manages image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a camera in real time whether a user enters and exits; and a device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kiosk and manages the user's access to the room.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촬영영상을 상기 키오스크로부터 수신한 경우, 상기 촬영영상을 기초로 안면 인식을 수행하고, 열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열을 추적하고 탐지하여 추적온도를 생성하고, 상기 추적온도가 기설정온도 이하일 때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객실에 출입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when receiving the captured image of the user obtained through the camera from the kiosk, performs facial recognition based on the captured image, and uses heat to recognize the user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tracking temperature by tracking and detecting the heat of the user, and allowing the user to enter and exit the room when the tracking temperatur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temperature.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리더기부는, 바코드, QR 코드, NFC 코드, RFID 코드, MST 코드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되며 두 개 이상의 복수로 적용된 상기 코드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인증이 완료될 때,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객실에 출입하는 것을 허용하는 코드정보 리더기; 및 결재대행업체와의 실시간 유효성 검증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소지하는 신용카드의 유효성이 입증될 때,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객실에 출입하는 것을 허용하는 신용카드 리더기; 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reader unit, any one of a barcode, a QR code, an NFC code, an RFID code, and an MST code is applied, and when the user authentication is completed by receiving two or more plurality of applied code information, the user a code information reader that allows access to the room; and a credit card reader that allows the user to enter and exit the guest room when the validity of the credit card possessed by the user is verified through real-time validation with a payment agency. may include.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촬영정보로부터 출입이 허용된 상기 사용자의 손에 대하여 크기 및 습도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생성된 방문정보를 상기 키오스크로부터 상기 통합관리서버가 수신받고, 수신된 상기 방문정보를 분석하여 소독정보를 생성하여 소독액 분사량을 자동으로 조절해 소독하여 인증절차를 수행하는 손소독기; 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the kiosk,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receives and receives visit information generated by extracting information on the size and humidity of the user's hand allowed access from the photographing information, from the kiosk. a hand sanitizer that generates disinfection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visit information, automatically adjusting the amount of disinfectant spraying, and disinfecting the hand sanitizer to perform an authentication procedure; may further include.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손소독기는 상기 카메라를 이용해 상기 사용자의 손을 촬영하고, 촬영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의 외형선 및 습도를 획득하고, 획득한 손의 외형선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의 크기를 획득하고, 상기 크기 및 상기 습도에 기초하여, 입력값을 생성하고, 상기 입력값을 인공 신경망에 입력하여 출력값을 획득하고, 상기 출력값에 기초하여, 소독액 분사량을 획득하고, 소독액 분사량을 다시 상기 손소독기에 전송하고, 상기 소독액 분사량은 사용자의 손의 크기를 1단계, 2단계, 3단계 및 4단계의 총 4단계로 분류하고 사용자의 습도를 1급, 2급 및 3급의 총 3급으로 분류하고, 손의 크기 및 습도를 종합한 결과에 기초하여 분사액을 분사할 총량 및 분사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hand sanitizer uses the camera to photograph the user's hand, and based on the captured result, obtains the outline and humidity of the user's hand, and based on the obtained outline of the hand to obtain the size of the user's hand, generate an input value based on the size and the humidity, input the input value to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to obtain an output value, and based on the output value, determine the amount of disinfectant spraying and transmits the disinfectant spray amount to the hand sanitizer again, and the disinfectant spray amount classifies the size of the user's hand into a total of four steps: step 1, step 2, step 3, and step 4, and sets the user's humidity level 1, 2 Classified into a total of 3 grades of grade and grade 3, and may include the total amount and spray range to spray the spray liquid based on the result of the synthesis of the size and humidity of the hand.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상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Th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controlled by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the medium to execute the method of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methods in combination with hardware.

실시예들은 비대면 출입 절차를 통해 키오스크를 이용하여 출입여부를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다.Embodiments may automatically check whether or not access is made using a kiosk through a non-face-to-face access procedure.

실시예들은 QR코드 및 RFID 코드를 이용하여 본인인증을 통해 출입여부를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다.Embodiments can automatically check whether or not the person enters through self-authentication using a QR code and an RFID code.

실시예들은 객실의 내부로부터 감지된 센서신호를 이용하여 객실의 내부를 제어할 수 있다.Embodiments may control the interior of the cabin using a sensor signal sensed from the interior of the cabin.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개별 손에 따른 분사액 조절을 통해 손소독 절차를 효율화하여 감염 예방 효과를 높일 수 있다.Embodiments can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preventing infection by streamlining the hand disinfection procedure by adjusting the spray liquid according to the user's individual hands.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출입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를 이용한 비대면 출입 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소독액 분사량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객실출입을 허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소독액 분사량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non-face-to-face access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non-face-to-face access management method using a kio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determining a spray amount of a disinfectant solu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allowing entry into a guest roo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determining the amount of disinfectant spray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ince various change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pat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for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s.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are disclo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only, and may be chang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a specific disclosure form,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Although terms such as first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terms should be interpret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ter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termed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other component may exist in between.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e examples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onl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실시예들은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텔레비전, 스마트 가전 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types of products, such as personal computers, laptop computers, tablet computers, smart phones, televisions, smart home appliances, intelligent cars, kiosks, wearable devices, and the like.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출입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non-face-to-face access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일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출입 관리 시스템은 도 1을 참조하면, 키오스크(10), 사용자 단말기(20), 객실(30) 및 통합관리서버(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non-face-to-face access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kiosk 10 , a user terminal 20 , a guest room 30 , and an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 .

본 실시예에서, 비대면 출입 관리 시스템은 대학교 기숙사의 객실(30)의 사용자 단말기(20)의 출입을 관리하는 방식을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호텔, 모텔 등의 숙박업소에 적용 가능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non-face-to-face access management system discloses a method of managing the access of the user terminal 20 of the guest room 30 of the university dormitory,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cable to accommodation establishments such as hotels and motels. have.

여기서, 키오스크(10), 사용자 단말기(20), 객실(30) 및 통합관리서버(40)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동기화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망은 다양한 원거리 통신 방식이 지원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BLE(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Zigbee), RF(Radio Frequency), LoRa(Long Range)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널리 알려진 다양한 무선통신 또는 이동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Here, the kiosk 10 , the user terminal 20 , the guest room 30 , and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 may be synchronized in real time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may support various long-distance communication methods, for example, wireless LAN (WLAN),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 (Wireless Broadband: Wibro), 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 (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 (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 (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 (Wideband CDMA) ,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Long Term Evolution (LTE), LTEA (Long Term Evolution-Advanced), broadband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WMBS), BLE (Bluetooth Low Energy), Zigbee, RF (Radio Frequency), LoRa (Long Range), etc. may be appli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well-known wireless or mobile communications method may be applied.

키오스크(10)는 객실(30)의 출입구에 배치된 무인 단말기로써,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사용자인증정보를 수신하여 객실(30)의 객실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객실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객실정보에는 객실의 사용정보, 객실번호정보, 객실위치정보, 객실온도정보, 객실전원정보, 객실상태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객실정보에는 객실요금 및 일회용품 사용요금 등의 추가적인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The kiosk 10 is an unmanned terminal disposed at the entrance of the guest room 30, and receives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 to provide room information of the guest room 30 to the user visually and audibly. can Here, the room information may include room usage information, room number information, room location information, room temperature information, room power information, room status information, and the like.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the room information may include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room rates and disposable product usage rates.

또한, 사용자인증정보에는 키오스크(10)에 로그인 가능하도록 사용자 단말기(20)에서 생성된 코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코드정보의 코드 형식은 바코드, QR 코드, NFC 코드, RFID 코드, MST 코드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되며 두 개 이상의 복수로 적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cod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user terminal 20 so as to be able to log in to the kiosk 10 . At this time, any one of a barcode, a QR code, an NFC code, an RFID code, and an MST code is applied as the code format of the code information, and two or more codes may be applied.

구체적으로, 키오스크(10)는 디스플레이부(100), 리더기부(110), 인터폰부(120), 카메라부(130) 및 기기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kiosk 10 may include a display unit 100 , a reader unit 110 , an intercom unit 120 , a camera unit 130 , and a device control unit 140 .

디스플레이부(100)는 사용자에게 객실(30)에 출입하는 방법에 대한 안내문이 포함된 객실정보와, 로그인 창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00 may display room information including a guide on how to enter and exit the guest room 30 to the user, and a login window.

로그인 창을 통해 사용자가 사용자인증이 완료된 경우, 디스플레이부(100)는 사용자에게 현재 이용 가능한 객실정보를 제공하고, 제공된 객실정보 중 어느 한 객실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선택한 객실의 이용에 따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00)는 사용자에게 객실요금 및 일회용품 사용요금 등의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When the user authentication is completed through the login window, the display unit 100 provides the currently available room information to the user, allows the user to select any one of the provided room information, and information can be provided.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100 may provide the user with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room rate and disposable product usage rate.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00)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 및 GUI(Graphic User Interface)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객실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play unit 100 is disclosed as providing room information to the user using a touch screen method and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metho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00)는 객실(30)의 이용가능 시설, 주변 관광지, 식당, 상가 정보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isplay unit 100 may display information about available facilities of the guest room 30 , a nearby tourist attraction, a restaurant, and a shopping mall.

리더기부(110)는 코드정보 리더기로써, 로그인 창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생성된 사용자인증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인증정보에는 키오스크(10)에 로그인 가능하도록 사용자 단말기(20)에서 생성된 코드정보로써, 코드정보의 코드 형식은 바코드, QR 코드, NFC 코드, RFID 코드, MST 코드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되며 두 개 이상의 복수로 적용할 수도 있다.The reader unit 110 is a code information reader, and may receive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user terminal 20 through a login window to authenticate the user. Here, the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cod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user terminal 20 so as to be able to log in to the kiosk 10, and the code format of the code information is any one of a barcode, a QR code, an NFC code, an RFID code, and an MST code. and may be applied in plural of two or more.

본 실시예에서, 리더기부(110)는 사용자 단말기(20) 중 교직원 단말기(22)로부터 RFID 코드를 수신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고, 사용자 단말기(20) 중 학생 단말기(24)로부터 QR 코드 수신하여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In this embodiment, the reader unit 110 receives the RFID code from the faculty terminal 22 of the user terminal 20 to authenticate the user, and receives the QR code from the student terminal 24 of the user terminal 20 to receive the user can be authentica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실시예에 따라, 리더기부(110)는 결재대행업체와의 실시간 유효성 검증을 통해 사용자가 소지하는 신용카드의 유효성이 입증될 때, 사용자가 출입문을 통해 객실(30)에 출입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eader donation unit 110 may allow the user to enter the guest room 30 through the door when the validity of the credit card possessed by the user is verified through real-time validation with the payment agency. have.

인터폰부(120)는 출입이 안되는 오류나 오작동이 발생하거나, 부당한 이유로 출입을 거부당하는 등의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호출버튼을 이용하여 관리자에게 호출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써, 관리자 단말기(미도시)로 호출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The intercom unit 120 is a device for requesting a call to the manager using a call button when an error or malfunction occurs, or an event such as being denied access for an unreasonable reason occurs, and a manager terminal (not shown). ) to send a call signal.

또한, 인터폰부(120)는 스피커를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객실정보를 청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com unit 120 may provide the user with room information aurally, including a speaker.

카메라부(130)는 사용자의 출입여부를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영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 및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부(130)는 열화상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30)가 열화상 카메라인 경우 영상정보와 더불어 사용자의 온도정보를 함께 측정하여 전송 및 관리할 수 있다.The camera unit 130 may transmit and manage the image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camera in real time whether the user enters or not. In this case, the camera unit 130 may include a thermal imaging camera. When the camera unit 130 is a thermal imaging camera, it is possible to measure, transmit and manage the user's temperature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image information.

기기제어부(140)는 키오스크(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써,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사용자인증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인증정보를 통합관리서버(40)로 전송하고, 사용자인증정보에 대응하여 객실정보를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제공하여 사용자의 출입을 관리할 수 있다.The device control unit 140 i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kiosk 10, and when receiving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 transmits the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 and In response, the user's access can be managed by providing room information visually and audibly.

실시예에 따라, 기기제어부(140)는 신용카드 리더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출입 후 이용한 서비스에 대한 요금 지불 시 자동으로 지불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해당 설정은 사용자가 처음 방문 시 디스플레이부(100)에서의 응답을 통해 설정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사용자가 소유한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미리 설정해둘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해당 비대면 출입 관리 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여 필요한 정보를 미리 먼저 입력해 놓아야 할 수 있다. 필요한 정보에는 자신이 보유한 카드를 비롯해, 인적 사항이나 요금 지불 여부, QR코드 자동 생성 여부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 자동으로 시스템에 온라인 이용 내역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이용을 높이기 위해 편의성을 높이거나, 다양한 쿠폰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evice controller 140 may be set to automatically pay when a user pays a fee for a service used after entering by using a credit card reader. The corresponding setting may be set through a response from the display unit 100 when the user first visits, and in addition, may be set in advance through a user portable terminal owned by the user. If the user intends to use his/her portable terminal, he/she may have to download an application of the non-face-to-face access management system and input necessary information in advance. The necessary information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personal information, whether a fee is paid, whether a QR code is automatically generated, as well as a card possessed by the user. When a user uses his/her user portable terminal, the system may automatically provide online usage history. In this case, convenience may be increased or various coupons may be provided in order to increase use through the user portable terminal.

실시예에 따라, 기기제어부(140)는 카메라부(130)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촬영영상을 통합관리서버(40)로 전송해 안면 인식을 수행하고, 열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열을 추적하고 탐지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열에 의한 온도가 기설정온도 이하일 때 사용자가 건물에 출입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용자의 열에 의한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일 때 사용자가 건물에 출입하는 거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evice control unit 140 transmits the user's captured image acquired through the camera unit 130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 to perform facial recognition, and uses the heat to track the user's heat and It is detected and displayed, and when the temperature caused by the user's heat is below the preset temperature, it is possible to allow the user to enter the building.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s heat-induced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set temperature, the user may refuse to enter the building.

실시예에 따라, 기기제어부(140)는 카메라부(130)를 통해 출입이 허용된 사용자의 손에 대하여 크기 및 습도를 측정하여 방문정보를 통합관리서버(40)에 전송하고, 통합관리서버(40)의 방문정보의 분석 결과에 따라 생성된 소독정보에 의해 소독액 분사량을 자동으로 조절해 소독하여 인증절차를 수행하는 손소독기(미도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기기제어부(140)는 카메라부(130)를 통해 전송된 사용자의 촬영영상을 내장된 인공지능을 통해 사용자를 인식 및 기록하고, 내장된 인공지능을 통해 손소독기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손의 크기 및 습도를 분석하여 소독액 분사량을 연산하고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evice control unit 140 measures the size and humidity of the user's hand allowed access through the camera unit 130 and transmits the visit information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 and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 4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hand sanitizer (not shown) that performs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by automatically adjusting the amount of disinfectant spraying according to the generated disinfe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the visit information. In addition, the device controller 140 recognizes and records the user's captured image transmitted through the camera unit 130 through the built-i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size of the user's hand transmitted from the hand sanitizer through the built-i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y analyzing the humidity, it is possible to calculate and control the amount of disinfectant spraying.

이와 같은 구조의 키오스크(10)는 사용자인증이 완료되어 사용자의 객실출입이 허용된 경우, 출입이 허용된 객실에 대응하는 객실열쇠 또는 객실카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객실열쇠 또는 객실카드는 키오스크(10)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보관함에 보관될 수 있다. 키오스크(10)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보관함에 보관되는 객실열쇠 또는 객실카드가 반출되는 경우 객실정보가 업데이트되고, 객실열쇠 또는 객실카드가 보관함으로 반입되는 경우 자동으로 객실정보가 업데이트될 수 있다.The kiosk 10 having such a structure may provide the user with a room key or a room card corresponding to the room in which the user is permitted to enter the room after user authentication is completed. At this time, the room key or the room card may be stored in a storage box formed integrally with the kiosk (10). When the room key or room card stored in the lock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kiosk 10 is taken out, the room information is updated, and when the room key or the room card is brought into the locker, the room information can be automatically updated.

사용자 단말기(20)는 키오스크(10)와 통신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하여 객실(30)을 출입할 수 있는 교직원 단말기(22) 및 학생 단말기(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20)는 키오스크(10)와 통신하기 위해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은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서버 또는 통합관리서버(40)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0 may include a faculty terminal 22 and a student terminal 24 that can enter and exit the guest room 30 by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kiosk 10 . 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20 may operate using an application program or application (application) to communicate with the kiosk 10, and such an application program is an external server or an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 40) can be downloaded from

교직원 단말기(22)는 객실(30)의 출입을 위해 사용자인증정보가 포함된 인식용 RFID 코드를 임시로 생성할 수 있다. 교직원 단말기(22)는 임시로 생성된 RFID 코드를 이용하여 키오스크(10)를 통해 사용자를 인증하여 객실의 출입이 허용될 수 있다.The faculty terminal 22 may temporarily generate an RFID code for recognition including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access to the guest room 30 . The faculty/staff terminal 22 may use the temporarily generated RFID code to authenticate the user through the kiosk 10 to allow entry into the room.

예를 들어, 교직원 단말기(22)는 키오스크(10) 또는 통합관리서버(40)에 객실(30)의 출입승인을 요청하면 기설정된 출입조건에 부합한 경우 출입승인신호를 수신하여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임시 RFID 코드를 실시간으로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taff terminal 22 requests the kiosk 10 or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 to approve the access to the guest room 30, if the preset access conditions are met, the access approval signal is received by the application program. Temporary RFID codes can be generated in real time.

이와 달리, RFID 코드는 회원가입을 통해 확정된 코드일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RFID code may be a code confirmed through membership registration.

학생 단말기(24)는 객실(30)의 출입을 위해 사용자인증정보가 포함된 인식용 QR 코드를 임시로 생성할 수 있다. 학생 단말기(24)는 임시로 생성된 QR 코드를 이용하여 키오스크(10)를 통해 사용자를 인증하여 객실의 출입이 허용될 수 있다.The student terminal 24 may temporarily generate a QR code for recognition including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access to the guest room 30 . The student terminal 24 may use the temporarily generated QR code to authenticate the user through the kiosk 10 to allow access to the room.

예를 들어, 학생 단말기(24)는 키오스크(10) 또는 통합관리서버(40)에 객실(30)의 출입승인을 요청하면 기설정된 출입조건에 부합한 경우 출입승인신호를 수신하여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임시 QR 코드를 실시간으로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tudent terminal 24 requests the kiosk 10 or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 for permission to access the guest room 30, if the preset entry conditions are met, the access approval signal is received by the application program. Temporary QR codes can be generated in real time.

이와 달리, QR 코드는 회원가입을 통해 확정된 코드일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QR code may be a code confirmed through membership registration.

또한, 사용자 단말기(20)는 임시로 사용자인증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사전에 키오스크(10) 또는 통합관리서버(40)를 이용하여 회원가입을 선 진행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Also, the user terminal 20 may pre-register for membership by using the kiosk 10 or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 in advance to temporarily generate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20)는 통합관리서버(400)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각종 휴대 가능한 전자통신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20)는 별도의 스마트 기기로써, 스마트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테블릿(Tablet),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등 포함), 각종 IoT(Internet of Things) 단말과 같은 다양한 휴대 단말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와 달리 휴대 가능하지 않는 데스크 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및 워크스테이션 컴퓨터 등의 전자통신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As such, the user terminal 20 may include various portabl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s supporting communication with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0 .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20 is a separate smart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tablet, a wearable device, a watch type terminal (Smartwatch), A desktop computer that may include various portable terminals such as a glass-type terminal (Smart Glass), HMD (Head Mounted Display), etc.), various Internet of Things (IoT) terminals, but is otherwise not portable; and It may include an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workstation computer.

객실(30)은 대학교 기숙사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20)가 사용할 수 있는 숙소일 수 있다.The guest room 30 may be an accommodation that the user terminal 20 can use, such as a university dormitory.

객실(30) 내부에는 센서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센서부(32)는 객실 외부 및 객실 내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센서부(32)를 통해 획득한 센서정보는 통합관리서버(40)로 전송되고, 선서정보에 대응하여 통합관리서버(40)는 센서부(32)를 제어할 수 있다.The inside of the cabin 30 may include a sensor unit 32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nsor unit 32 may be provided outside the cabin and inside or outside the cabin. At this time, the sensor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sensor unit 32 is transmitted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 , and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 may control the sensor unit 32 in response to the oath information.

센서부(32)는 객실(30) 내부의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 객실(30) 내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감지센서와, 객실(30) 내부의 전기사용량을 감지하는 전기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32 includes a heat sensor for detecting heat inside the cabin 30 , a motion sensor for detecting movement inside the cabin 30 , and an electric sensor for detecting the amount of electricity used inside the cabin 30 . can do.

구체적으로, 열감지센서는 객실(30)의 내부의 열을 감지하여 내부의 열이 설정 온도이상인 경우 화재로 감지하여 화재를 예방할 수 있다. 특히, 객실(30)이 빈 방인 경우, 내부의 열이 설정 온도이상인 관리자에 의해 관리하여 화재를 예방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heat sensor detects the heat inside the cabin 30, and when the heat inside the cabin 30 is higher than a set temperature, it can detect a fire and prevent a fire. In particular, when the guest room 30 is an empty room, it is possible to prevent a fire by managing the internal heat by a manager whose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set temperature.

또한, 움직임감지센서는 객실(30) 내부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객실(30)의 사용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즉, 객실(30)에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빈방으로 감지하여 객실(30)을 관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tion sensor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guest room 30 is in use by detecting a movement inside the guest room 30 . That is, when no movement is detected in the guest room 30 , the guest room 30 may be managed by detecting it as an empty room.

또한, 전기센서는 객실(30) 내부의 전기사용량을 감지하여 빈 방인 경우, 전기를 자동으로 오프하여 전기사용량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ic sensor detects the amount of electricity used inside the guest room 30 , and when the room is empty, the electricity is automatically turned off to control the amount of electricity used.

통합관리서버(40)는 키오스크(10), 사용자 단말기(20) 및 객실(3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 may transmit/receive data to and from the kiosk 10 , the user terminal 20 and the guest room 30 .

예를 들어, 통합관리서버(40)는 키오스크(10)로부터 사용자인증정보, 영상정보, 온도정보, 호출신호 등을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출입승인요청을 수신하며, 객실(30)로부터 센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 receives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temperature information, call signal, etc. from the kiosk 10 , receives an access approval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20 , and the guest room 30 . sensor information can be received from

실시예에 따라, 통합관리서버(40)는 키오스크(10)로부터 방문정보를 수신하고, 방문정보에 대응하여 소독정보를 키오스크(10)로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 may receive visit information from the kiosk 10 and transmit disinfection information to the kiosk 10 in response to the visit information.

통합관리서버(40)는 키오스크(10)로 사용자인증정보에 대응하는 객실정보를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20)로 출입승인요청에 대응하는 출입승인신호를 전송하며, 객실(30)로 센서정보에 대응하는 센서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객실정보는 출입승인신호 및 센서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 transmits room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the kiosk 10 , transmits an access approval signal corresponding to an access approval request to the user terminal 20 , and sensor information to the guest room 30 . It is possible to transmit a sensor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In this case, the room information may be updated in real time in response to the access approval signal and the sensor control signal.

또한, 통합관리서버(40)는 키오스크(10), 사용자 단말기(20) 및 객실(30)과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통합관리서버(4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통합관리서버(4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 may store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kiosk 10 , the user terminal 20 and the guest room 30 .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store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application programs or applications) driven in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 data for the operation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 and commands.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 programs may be downloaded from an external serv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실시예에 따라, 통합관리서버(40)는 객실(30)에 출입한 사용자 단말기(20)의 출입기록을 자동으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 may automatically store and manage the access record of the user terminal 20 entering the guest room 30 .

또한, 통합관리서버(40)는 키오스크(10), 사용자 단말기(20) 및 객실(30)의 동작상태 및 키오스크(10)와 사용자 단말기(20) 사이의 송수신되는 데이터 등을 화면을 통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즉, 키오스크(10), 사용자 단말기(20) 및 객실(30)의 동작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여 사용자에게 더욱 신뢰감을 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 displays the operating state of the kiosk 10, the user terminal 20 and the guest room 30, and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kiosk 10 and the user terminal 20 in real time through the screen. can be monitored. That is, by checking the operating states of the kiosk 10 , the user terminal 20 , and the guest room 30 in real time, it is possible to make the use of the user convenient and give the user more confidence.

그리고, 통합관리서버(40)는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출입승인이 요청되면, 기설정된 출입조건에 부합한 경우 출입승인신호를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기(20)가 코드정보를 생성하여 키오스크(10)를 이용하여 객실(30)에 출입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n,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 transmits an access approval signal to the user terminal 20 when an access approval is requested from the user terminal 20, if the preset access conditions are met, and the user terminal 20 transmits the code information. By creating a kiosk (10), it is possible to control access to the guest room (30).

통합관리서버(40)는 객실(30)로부터 센서신호를 수신하면, 센서신호를 비교 및 분석하여 기설정된 객실내부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센서부(32)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관리서버(40)는 센서정보로부터 획득한 객실(30)의 내부의 열이 설정 온도이상인 경우 화재로 감지하여 화재로 인식하여 관리자 단말기 호출 또는 스프링쿨러 등을 작동할 화재를 예방하거나, 객실(30) 내부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객실(30)에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빈방으로 감지하여 객실(30)을 관리하거나, 객실(30) 내부의 전기사용량을 감지하여 빈 방인 경우, 전기를 자동으로 오프하여 전기사용량을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 receives the sensor signal from the guest room 30 , it compares and analyzes the sensor signal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sensor unit 32 when it does not meet the preset conditions inside the room. For example,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 detects a fire when the internal heat of the room 30 obtained from the sensor information is above a set temperature, recognizes it as a fire, and prevents a fire that calls an administrator terminal or operates a sprinkler, etc. Or, by detecting the movement inside the guest room 30, if no movement is detected in the guest room 30, it is detected as an empty room and managed the guest room 30 Electricity consumption can be controlled by automatically turning off electricity.

실시예에 따라, 통합관리서버(40)는 키오스크(1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손에 대하여 크기 및 습도를 측정하여 생성된 방문정보를 분석하여 인공지능을 통해 사용자에 대한 인식 정보, 온도 기록, 소독액 분사량이 포함된 소독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 analyzes the visit information generated by measuring the size and humidity of the user's hand received from the kiosk 10, recognition information about the user, temperature record, Disinfec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amount of disinfectant spraying may be generated.

이와 같은 통합관리서버(40)는 하드웨어 회로(예를 들어, CMOS 기반 로직 회로),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전기적 구조의 형태로 트랜지스터, 로직게이트 및 전자회로를 활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Such an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 may be implemented by a hardware circuit (eg, CMOS-based logic circuit), firm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For example, it may be implemented using transistors, logic gates, and electronic circuits in the form of various electrical structures.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를 이용한 비대면 출입 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코드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도 3(a)는 교직원 단말기의 코드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b)는 학생 단말기의 코드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non-face-to-face access management method using a kio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generating code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3 ( 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generating code information of a faculty terminal, and FIG. 3(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code information of a student terminal.

우선, 도 2를 참조하면, 통합관리서버(40)는 객실(30)에 대한 객실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0). 여기서, 객실정보에는 객실의 사용정보, 객실번호정보, 객실위치정보, 객실온도정보, 객실전원정보, 객실상태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객실정보에는 객실요금 및 일회용품 사용요금 등의 추가적인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2 ,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 may generate room information for the guest room 30 ( S10 ). Here, the room information may include room usage information, room number information, room location information, room temperature information, room power information, room status information, and the like.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the room information may include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room rates and disposable product usage rates.

다음으로, 키오스크(10)는 통합관리서버(40)로부터 객실정보를 수신하고(S12), 수신된 객실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객실(30)에 출입하는 방법에 대한 안내문과, 로그인 창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S12).Next, the kiosk 10 receives the room information from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 (S12), and based on the received room information, a guide on how to enter and exit the room 30 to the user and a login window are displayed. It can be done (S12).

다음으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를 이용하여 통합관리서버(40)로 출입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S14).Next, the user may request access approval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 using the user terminal 20 (S14).

다음으로, 출입승인을 요청에 대응하는 출입승인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S16). 즉,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출입승인이 요청되면, 기설정된 출입조건에 부합한 경우 출입승인신호를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기(20)가 코드정보를 생성하여 키오스크(10)를 이용하여 객실(30)에 출입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Next, an access approv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20 (S16). That is, when an access approval is requested from the user terminal 20, if the preset access conditions are met, an access approva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20, and the user terminal 20 generates code information to access the kiosk 10. It is possible to control access to the guest room 30 by using it.

다음으로, 출입승인신호에 대응하여 객실(30)에 출입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를 이용하여 코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8).Next, the user who wants to enter the guest room 30 in response to the access approval signal may generate code information using the user terminal 20 (S18).

예를 들어, 도 3(a)와 같이 교직원 단말기(22)는 키오스크(10) 또는 통합관리서버(40)에 객실(30)의 출입승인을 요청하면 기설정된 출입조건에 부합한 경우 출입승인신호를 수신하여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임시 RFID 코드를 실시간으로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3(a), when the staff terminal 22 requests the kiosk 10 or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 to approve the access to the guest room 30, if the preset access conditions are met, the access approval signal can be received and a temporary RFID code can be generated by the application program in real time.

또한, 도 3(b)와 같이 학생 단말기(24)는 키오스크(10) 또는 통합관리서버(40)에 객실(30)의 출입승인을 요청하면 기설정된 출입조건에 부합한 경우 출입승인신호를 수신하여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임시 QR 코드를 실시간으로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b ), when the student terminal 24 requests the kiosk 10 or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 to approve the guest room 30 , if the preset access conditions are met, the access approval signal is received. This allows the application to generate a temporary QR code in real time.

다음으로, 키오스크(10)는 코드정보를 인식하여 사용자인증정보를 수신하고(S20), 사용자가 인증된 경우 사용자에게 객실출입을 허용할 수 있다(S22).Next, the kiosk 10 may recognize the code information and receive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S20), and when the user is authenticated, allow the user to enter the room (S22).

구체적으로, 키오스크(10)는 객실출입이 허용된 사용자에게 객실(30)의 객실정보를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객실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객실정보에는 객실의 사용정보, 객실번호정보, 객실위치정보, 객실온도정보, 객실전원정보, 객실상태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객실정보에는 객실요금 및 일회용품 사용요금 등의 추가적인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Specifically, the kiosk 10 may provide the room information of the guest room 30 visually and audibly to the user permitted to enter the room. Here, the room information may include room usage information, room number information, room location information, room temperature information, room power information, room status information, and the like.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the room information may include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room rates and disposable product usage rates.

실시예에 따라, 키오스크(10)는 객실출입이 허용된 사용자에게 객실이용에 대한 요금지불을 요청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kiosk 10 may request the user who is allowed to enter the room to pay a fee for using the room.

실시예에 따라, 키오스크(10)는 객실출입이 허용된 사용자에게 출입이 허용된 객실에 대응하는 객실열쇠 또는 객실카드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kiosk 10 may provide a room key or a room card corresponding to the room to which the user is allowed to enter the room.

다음으로, 객실(30)은 실시간으로 센서부(32)를 통해 획득한 센서정보를 통합관리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S24).Next, the guest room 30 may transmit the sensor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sensor unit 32 in real time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 (S24).

예를 들어, 센서부(32)는 복수개의 센서를 이용하여 객실(30) 내부의 열을 감지한 정보, 객실(30) 내부의 움직임을 감지한 정보, 객실(30) 내부의 전기사용량을 감지한 정보 등이 포함된 센서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nsor unit 32 detects heat inside the cabin 30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information on detecting movement inside the cabin 30, and electricity consumption inside the cabin 30 . It is possible to transmit sensor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and the like.

다음으로, 통합관리서버(40)는 수신된 센서정보를 비교 및 분석하여 기설정된 객실내부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센서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자동으로 센서부(32)를 제어하여 객실(30)을 관리할 수 있다(S26).Next,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 compares and analyzes the received sensor information to generate a sensor control signal and automatically controls the sensor unit 32 to control the cabin 30 when it does not meet the preset interior conditions of the room. can be managed (S26).

구체적으로, 통합관리서버(40)는 센서정보로부터 획득한 객실(30)의 내부의 열이 설정 온도이상인 경우 화재로 감지하여 화재로 인식하여 관리자 단말기 호출 또는 스프링쿨러 등을 작동할 화재를 예방하거나, 객실(30) 내부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객실(30)에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빈방으로 감지하여 객실(30)을 관리하거나, 객실(30) 내부의 전기사용량을 감지하여 빈 방인 경우, 전기를 자동으로 오프하여 전기사용량을 제어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 detects a fire when the heat inside the room 30 obtained from the sensor information is above a set temperature and recognizes it as a fire to prevent a fire that calls an administrator terminal or operates a sprinkler, etc. , by sensing the movement inside the guest room 30, if no movement is detected in the guest room 30, it is detected as an empty room to manage the guest room 30, or by detecting the electricity consumption inside the guest room 30, electricity can be turned off automatically to control the amount of electricity used.

마지막으로, 통합관리서버(40)는 출입승인신호 및 센서제어신호에 대응하여 객실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S28).Finally,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 may update the room information in real time in response to the access approval signal and the sensor control signal (S28).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객실출입을 허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allowing entry into a guest roo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우선, 본 실시예에서, 객실출입을 허용하는 방법을 키오스크(10)에서 수행하는 것으로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합관리서버(4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First, in the present embodiment, although the method for allowing room access is disclosed as being performed in the kiosk 10 , the method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erformed by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 .

구체적으로, 키오스크(10)는 카메라부(13)를 이용하여 촬영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S100).Specifically, the kiosk 10 may acquire a captured image using the camera unit 13 (S100).

다음으로, 키오스크(10)는 획득한 촬영영상으로부터 안면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S110).Next, the kiosk 10 may perform face recognition from the acquired image (S110).

다음으로, 키오스크(10)는 안면 인식을 수행된 촬영영상을 기초로 열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열을 추적하고 탐지하여 추적온도를 생성할 수 있다(S120).Next, the kiosk 10 may generate a tracking temperature by tracking and detecting the user's heat using heat based on the captured image on which the face recognition is performed (S120).

다음으로, 키오스크(10)는 추적온도와 기설정온도를 비교하여, 추적온도가 기설정온도 이하인 경우(S130), 사용자가 건물에 출입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S140).Next, the kiosk 10 compares the tracking temperature with the preset temperature, and when the tracking temperatur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set temperature (S130), it may allow the user to enter the building (S140).

이때, 키오스크(10)는 촬영정보로부터 출입이 허용된 사용자의 손에 대하여 크기 및 습도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방문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50).At this time, the kiosk 10 may generate visit information by extracting information on the size and humidity of the user's hand allowed to enter from the photographing information (S150).

마지막으로, 키오스크(10)는 통합관리서버(40)로부터 방문정보의 분석 결과에 따라 생성된 소독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60).Finally, the kiosk 10 may receive the disinfection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the visit information from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 (S160).

구체적으로, 키오스크(10)는 소독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손의 크기 및 습도에 대응하여 손소독기의 소독액 분사량을 연산하고 제어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kiosk 10 may calculate and control the amount of disinfectant spraying of the hand sanitizer in response to the size and humidity of the user's hand using the disinfection information.

한편, 키오스크(10)는 추적온도와 설정온도를 비교하여, 추적온도가 기설정온도 이상인 경우(S130), 사용자가 건물에 출입하는 것을 거절할 수 있다(S170).On the other hand, the kiosk 10 may compare the tracking temperature with the set temperature, and when the tracking temperatur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set temperature (S130), may reject the user from entering the building (S170).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소독액 분사량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determining the amount of disinfectant spray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일실시예에 따른 손소독기는 내장된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해 사용자의 손을 촬영할 수 있다. 손소독기는 이 과정에서 촬영된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손의 외형선(301) 및 습도(302)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손소독기에 내장된 인공지능(인공 신경망)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hand sanit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photograph the user's hand using a built-in infrared camera. The hand sanitizer may acquire the outline 301 and the humidity 302 of the user's hand based on the photographed result in this process. In this process, an artificial intelligence (artificial neural network) built into the hand sanitizer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손소독기에 내장된 인공 신경망의 경우는 1만 개의 손을 촬영한 영상과 이로부터 분석된 손의 외형선(301) 및 습도(302)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습도(302)는 습기를 표현하는 %를 단위로 손의 각 지점별로 개별적으로 측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built into the hand sanitizer may be an image of 10,000 hands and an outline 301 and humidity 302 of the hand analyzed therefrom, but is not limited thereto. Humidity 302 may be individually measured for each point of the hand as a unit of % expressing moistu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일실시예에 따르면, 손소독기는 획득한 손의 외형선(301)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손의 크기(303)를 획득할 수 있다. 손의 크기(303)는 cm2 단위의 넓이를 기준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손의 크기(303)에는 단순한 넓이뿐만 아니라 개별 손가락의 길이, 손가락을 제외한 손바닥만의 길이, 너비 및 넓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 과정에서 손소독기는 디지털 줄자나 디지털 계산기를 활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손소독기는 획득한 손의 크기(303) 및 습도(302)를 통합관리서버(40)에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hand sanitizer may acquire the size 303 of the user's hand based on the obtained outline 301 of the hand. The size 303 of the hand may be based on an area of cm 2 ,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ize 303 of the hand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the length of an individual finger, the length, width, and width of the palm excluding the fingers, as well as a simple width. In this process, the hand sanitizer may use a digital tape measure or a digital calculat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hand sanitizer may transmit the acquired hand size 303 and humidity 302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 .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합관리서버(40)는 손소독기로부터 획득한 손의 크기(303) 및 습도(302)에 기초하여, 입력값을 생성할 수 있다. 입력값은 인공 신경망(304)의 입력층 노드에 대응할 수 있다. 인공 신경망(304)은 출력값을 출력할 수 있는데, 출력값은 인공 신경망(304)의 출력층 노드에 대응할 수 있다. 인공 신경망(304)은 컨볼루션 신경망일 수 있다. 인공 신경망(304)은 특징 추출 신경망과 분류 신경망으로 구성돼있으며 특징 추출 신경망은 입력 신호를 컨볼루션 계층과 풀링 계층을 차례로 쌓아 진행할 수 있다. 컨볼루션 계층은 컨볼루션 연산, 컨볼루션 필터 및 활성함수를 포함할 수 있다. 컨볼루션 필터의 계산은 대상 입력의 행렬 크기(303)에 따라 조절되나 일반적으로 4X4 행렬을 사용할 수 있다. 활성 함수는 일반적으로 ReLU 함수, 시그모이드 함수, 및 tanh 함수 등을 사용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풀링 계층은 입력의 행렬 크기(303)를 줄이는 역할을 하는 계층으로, 특정 영역의 픽셀을 묶어 대표값을 추출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풀링 계층의 연산에는 일반적으로 평균값이나 최대값을 많이 사용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해당 연산은 정방 행렬을 사용하여 진행되는데, 일반적으로 4X4 행렬을 사용할 수 있다. 컨볼루션 계층과 풀링 계층은 해당 입력이 차이를 유지한 상태에서 충분히 작아질 때까지 번갈아 반복 진행된다. 인공 신경망(304)은 은닉층과 출력층을 가질 수 있다. 인공 신경망(304)에는 일반적으로 은닉층이 6개 이상 존재하며, 각 은닉층의 노드는 10개로 지정하나 경우에 따라 그 이상 또는 이하로 정할 수 있다. 은닉층의 활성함수는 ReLU 함수, 시그모이드 함수 및 tanh 함수 등을 사용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4 인공 신경망(304)의 출력층 노드는 총 2개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2개의 출력층 노드는 각각 손의 크기(303) 및 습도(302)를 분류한 값일 수 있다. 출력값은 해당 손의 크기(303) 및 습도(302)를 분류한 값으로부터 소독액 분사량(305)를 생성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 may generate an input value based on the hand size 303 and the humidity 302 obtained from the hand sanitizer. The input value may correspond to an input layer node of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304 .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304 may output an output value, which may correspond to an output layer node of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304 .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304 may be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304 is composed of a feature extraction neural network and a classification neural network, and the feature extraction neural network can stack the input signal by sequentially stacking a convolutional layer and a pooling layer. The convolution layer may include a convolution operation, a convolution filter, and an activation function. The calculation of the convolution filter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matrix size 303 of the target input, but in general, a 4X4 matrix can be used. The activation function generally uses, but is not limited to, a ReLU function, a sigmoid function, and a tanh function. The pooling layer is a layer that reduces the matrix size 303 of the input, and a method of extracting a representative value by tying pixels in a specific area may be used. In general, the average value or the maximum value is often used for the calculation of the pooling lay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operation is performed using a square matrix, and in general, a 4X4 matrix can be used. The convolutional layer and the pooling layer are repeated alternately until the corresponding input becomes small enough while maintaining the difference.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304 may have a hidden layer and an output layer. In general,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304 has 6 or more hidden layers, and 10 nodes of each hidden layer are designated, but more or less may be specified in some cases. The activation function of the hidden layer uses a ReLU function, a sigmoid function, and a tanh fun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number of output layer nodes of the fourth artificial neural network 304 may be a total of two,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two output layer nodes may be values obtained by classifying the hand size 303 and humidity 302 , respectively. The output value may be used to generate the disinfectant spray amount 305 from the values obtained by classifying the size 303 and the humidity 302 of the corresponding hand.

키오스크(10)는 인공 신경망(304)을 레이블들을 통해 학습할 수 있다. 이때, 통합관리서버(40)가 인공 신경망(304)을 레이블들을 통해 학습할 수 있다.The kiosk 10 may learn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304 through the labels. At this time,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 may learn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304 through the labels.

레이블들은 1만개의 손의 크기(303)들 및 습도(302)들과 이에 대응하는 소독액 분사량(305)을 결정하기 위한 손의 크기(303) 및 습도(302)를 분류한 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인공 신경망(304)은 레이블드 트레이닝 입력들을 입력해 얻은 레이블드 트레이닝 출력들을 제4 레이블들과 비교해 손실함수(loss function)를 계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손실함수는 기 알려진 평균 제곱 오차(mean squared error, MSE), 교차 엔트로피 오차(cross entropy error, C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인공 신경망(304)의 출력과 레이블 간의 편차, 오차 내지는 차이를 측정할 수 있다면, 다양한 인공 신경망 모델들에서 이용되는 손실함수들이 이용될 수 있다.The labels may include values obtained by classifying the size 303 and humidity 302 of the hand for determining 10,000 hand sizes 303 and humidity 302 and the corresponding disinfectant spray amount 305. have.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304 may be formed by calculating a loss function by comparing the labeled training outputs obtained by inputting the labeled training inputs with the fourth labels. As the loss function, a known mean squared error (MSE), cross entropy error (CEE), etc. may be us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s long as the deviation, error, or difference between the output of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304 and the label can be measured, loss functions used in various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s may be used.

다음으로, 키오스크(10)는 비교값을 기초로 인공 신경망(304)을 최적화할 수 있다. 비교값이 점점 작아지도록 인공 신경망의 노드(node)들의 웨이트(weight)를 갱신함으로써, 추론에 해당하는 인공 신경망의 출력과 정답에 해당하는 레이블을 점점 일치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인공 신경망은 정답에 가까운 추론을 출력하도록 최적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학습 장치는 비교값에 해당하는 손실함수가 최소값의 추정치에 가까워지도록 인공 신경망의 웨이트(weight)를 재설정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인공 신경망을 최적화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의 최적화를 위해 기 알려진 역전파(backpropagation) 알고리즘, 확률론적 경사하강법(stochastic gradient descent)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신경망 모델들에서 이용되는 웨이트의 최적화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다.Next, the kiosk 10 may optimize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304 based on the comparison value. By updating the weights of the nodes of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so that the comparison value becomes smaller and smaller, the output of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corresponding to inference and the label corresponding to the correct answer can be gradually matched, and through this,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can determine the correct answer. It can be optimized to output close inferences. Specifically, the learning apparatus may optimize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by repeating the process of resetting the weight of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so that the loss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mparison value approaches the estimated value of the minimum value. A known backpropagation algorithm, stochastic gradient descent, or the like may be used for optimization of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weight optimization algorithm used in various neural network models may be used.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합관리서버(40)는 출력값에 기초하여, 소독액 분사량(305)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통합관리서버(40)는 획득한 소독액 분사량(305)을 다시 손소독기에 전송할 수 있다. 소독액 분사량(305)은 사용자의 손의 크기(303)를 1단계, 2단계, 3단계 및 4단계의 4단계로 분류하고, 사용자의 손의 습도(302)를 1급, 2급 및 3급의 총 3급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손의 크기(303) 및 습도(302)를 종합한 결과에 기초하여 분사액을 분사할 총량 및 분사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 may acquire the disinfectant spray amount 305 based on the output value. In addition,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40 may transmit the obtained disinfectant spray amount 305 back to the hand sanitizer. The amount of disinfectant spraying 305 classifies the size 303 of the user's hand into 4 steps of the 1st, 2nd, 3rd, and 4th steps, and the humidity 302 of the user's hand is 1st, 2nd, and 3rd grade Classified into a total of three grades, based on the result of synthesizing the classified hand size 303 and humidity 302 may include a total amount and spray range to spray the spray liquid.

예를 들어, 손의 크기(303)를 나타내는 단계 중 1단계는 손의 넓이가 XS로 분류된 경우로 이 경우 분사할 총량은 0.3ml일 수 있으며, 분사 범위는 총 4단계로 구분된 원형의 분사 노즐 구멍 중 가장 안쪽 분사 노즐만을 사용하여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각각의 단계는 XS, S, M, L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의 크기(303)를 나타내는 단계 중 4단계는 손의 넓이가 L로 분류된 경우로, 이 경우 분사할 총량은 1ml일 수 있으며, 분사 범위는 총 4단계로 구분된 원형의 분사 노즐 구멍 모두를 사용하여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의 손이 L보다 큰 경우는 키오스크(10)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해 사용자가 한쪽 손을 먼저 소독하고, 이후 다음 손을 소독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사용자의 손의 습도(302)를 나누는 1급, 2급 및 3급에 있어서 1급은 30% 미만을 의미하고, 2급은 30% 내지 50% 미만을, 3급은 50% 이상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의 습도(302)가 1급에 해당하는 경우, 분사할 총량을 손의 크기(303)를 기준으로 한 값에서 2할만큼 줄인 값을 분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2급은 기준량만큼, 3급은 기준의 2할만큼 늘린 값을 분사하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손의 습도(302)에 대한 고려는 실제 손바닥에서 손의 소독에 작용할 수 있는 소독액의 농도를 조절하기 위함일 수 있다.For example, step 1 of the steps indicating the size of the hand 303 is a case where the hand width is classified as XS. It can be sprayed using only the innermost spray nozzle among the spray nozzle holes. Each stage can be divided into XS, S, M, and L. For example, step 4 of the steps indicating the size 303 of the hand is a case where the hand width is classified as L. In this case, the total amount to be sprayed may be 1 ml, and the spray range is a circular shape divided into 4 steps. All of the spray nozzle holes can be used to allow for spraying. If the user's hand is larger than L, the user may instruct the user to disinfect one hand first and then the next hand using the display of the kiosk 10 .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ades dividing the user's hand humidity 302, the first grade means less than 30%, the second grade means less than 30% to 50%, and the third grade means 50% or more. can For example, when the humidity 302 of the hand corresponds to the first class, the total amount to be sprayed may be sprayed with a value reduced by 20 from the value based on the size of the hand 303 . In general, the 2nd class may spray a value increased by the standard amount and the 3rd class by 20% of the standard, but is not limited thereto. Considering the humidity 302 of the hand may be to adjust the concentration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that can act on the disinfection of the hand in the actual palm.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6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401)는 프로세서(402) 및 메모리(403)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401)는 상술한 서버 또는 단말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도 1 내지 도 4를 통하여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들을 포함하거나, 도 1 내지 도 4를 통하여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403)는 상술한 방법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상술한 방법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403)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The device 40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processor 402 and a memory 403 . The device 401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the above-described server or terminal. The processo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device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 or may perform at least one method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 The memory 403 may store information related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or may store a program in which the above-described method is implemented. Memory 403 may be volatile memory or non-volatile memory.

프로세서(402)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장치(401)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402)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403)에 저장될 수 있다. 장치(401)는 입출력 장치(도면 미 표시)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The processor 402 may execute a program and control the device 401 . The code of the program executed by the processor 402 may be stored in the memory 403 . The device 401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eg, a personal computer or a network) through an input/output device (not shown) and exchange data.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by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or a combination of a hardware component and a software component. For example, the apparatus, method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gate (FPGA). array),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a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or more general purpose or special purpose computers.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The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the software.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lthough one processing device is sometimes described as being used,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process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or a plurality of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may include For example, the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such as parallel processors.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such as floppy disks. - include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software may compris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thereof, which configures a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is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processed You can command the device. The software and/or data may be any kind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to be interpreted by or to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the processing device. , or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y in a transmitted signal wave.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er system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i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apply various technical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ased on the above.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or the described components of the system, structure, apparatus,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Or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may achieve an appropriate result.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3)

키오스크를 이용한 비대면 출입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객실의 출입구에 배치되며, 상기 객실에 출입하는 방법에 대한 안내문이 포함된 객실정보와, 로그인 창을 상기 객실에 출입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제공하는 키오스크;
상기 객실에 출입하기 위해 비대면으로 코드정보가 포함된 사용자인증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를 인증하여 상기 객실에 출입이 허용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상용자 단말기로부터 출입승인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출입승인요청에 대응하여 출입승인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합관리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키오스크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 및 GUI(Graphic User Interface)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객실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로그인 창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생성된 상기 코드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리더기부;
상기 객실의 출입이 안되는 오류나 오작동이 발생하거나, 부당한 이유로 출입을 거부당하는 등의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호출버튼을 이용하여 관리자에게 호출을 요청할 수 있도록 호출신호를 생성하는 인터폰부;
사용자의 출입여부를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영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 및 관리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키오스크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사용자의 객실 출입을 관리하는 기기제어부; 를 포함하는, 키오스크를 이용한 비대면 출입 관리 시스템.
In the non-face-to-face access management system using a kiosk,
a kiosk disposed at the doorway of the guest room and visually and audibly providing room information including a guide on how to enter the room and a login window to a user who wants to enter the room;
a user terminal that generates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code information in a non-face-to-face manner in order to access the guest room and authenticates the user, thereby allowing access to the guest room; and
an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that, when receiving an access approval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generates an access approval signal in response to the access approval request and transmits it to the user terminal; including,
The kiosk is
a display unit providing the room information to the user using a touch screen method and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method;
a reader unit for authenticating the user by recognizing the code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a login window;
an intercom unit for generating a call signal to request a call to the manager by using a call button when an error or malfunction occurs, or an event such as being denied access for an unreasonable reason occurs;
a camera unit that transmits and manages image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a camera in real time whether a user enters and exits; and
a device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kiosk and managing the user's access to the room; Including, non-face-to-face access management system using a kios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촬영영상을 상기 키오스크로부터 수신한 경우, 상기 촬영영상을 기초로 안면 인식을 수행하고, 열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열을 추적하고 탐지하여 추적온도를 생성하고, 상기 추적온도가 기설정온도 이하일 때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객실에 출입하는 것을 허용하는, 키오스크를 이용한 비대면 출입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When the captured image of the user obtained through the camera is received from the kiosk, facial recogni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captured image, and the user's heat is tracked and detected using heat to generate a tracking temperature, , A non-face-to-face access management system using a kiosk that allows the user to enter and exit the guest room when the tracking temperatur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tempera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기부는,
바코드, QR 코드, NFC 코드, RFID 코드, MST 코드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되며 두 개 이상의 복수로 적용된 상기 코드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인증이 완료될 때,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객실에 출입하는 것을 허용하는 코드정보 리더기; 및
결재대행업체와의 실시간 유효성 검증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소지하는 신용카드의 유효성이 입증될 때,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객실에 출입하는 것을 허용하는 신용카드 리더기; 를 포함하는, 키오스크를 이용한 비대면 출입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reader donation unit,
Any one of barcode, QR code, NFC code, RFID code, and MST code is applied, and when user authentication is completed by receiving two or more plurality of applied code information, a code that allows the user to enter and exit the room information reader; and
a credit card reader that allows the user to enter the guest room when the validity of the credit card possessed by the user is verified through real-time validation with a payment agency; Including, non-face-to-face access management system using a kiosk.
KR1020210042122A 2021-03-31 2021-03-31 Non-face-to-face access management system using kiosks and method thereof KR1024594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122A KR102459483B1 (en) 2021-03-31 2021-03-31 Non-face-to-face access management system using kiosks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122A KR102459483B1 (en) 2021-03-31 2021-03-31 Non-face-to-face access management system using kiosks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875A true KR20220135875A (en) 2022-10-07
KR102459483B1 KR102459483B1 (en) 2022-10-26

Family

ID=83595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122A KR102459483B1 (en) 2021-03-31 2021-03-31 Non-face-to-face access management system using kiosks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9483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4048A (en) 2003-11-07 2005-05-12 최병관 Hotel automation system
KR20100118215A (en) 2009-04-28 2010-11-05 이창욱 Unmaned automatic key issue machine for lodging house
KR101773324B1 (en) 2017-03-17 2017-08-30 주식회사 승은이엔티 System for Managing Unmanned Room
KR101904841B1 (en) * 2018-02-05 2018-10-05 이승호 An unmanned accommodation's administrative control system by using interactive kiosk
KR102230756B1 (en) * 2020-07-06 2021-03-19 황관중 Access control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4048A (en) 2003-11-07 2005-05-12 최병관 Hotel automation system
KR20100118215A (en) 2009-04-28 2010-11-05 이창욱 Unmaned automatic key issue machine for lodging house
KR101773324B1 (en) 2017-03-17 2017-08-30 주식회사 승은이엔티 System for Managing Unmanned Room
KR101904841B1 (en) * 2018-02-05 2018-10-05 이승호 An unmanned accommodation's administrative control system by using interactive kiosk
KR102230756B1 (en) * 2020-07-06 2021-03-19 황관중 Access control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9483B1 (en) 2022-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5349B1 (en) Triggering a request for an authentication
US20190253414A1 (en) Proximity-Based System for Object Tracking
US9265450B1 (en) Proximity-based system for object tracking and automatic application initialization
US1172751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 fencing within a controlled environment
US11380150B2 (en) User detection
US20220036678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of collecting information via touchless technology to control access to physical spaces
KR20180087088A (en) User authentication system using face recognition and biometric authentication card, and method thereof
US11398123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operation of control access systems
CN112154384A (en) User profiles for optimized intelligent buildings
US20210160658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esence sensing reporting
KR20180137364A (en) Unmanned library system
EP3776396B1 (en) Detecting abnormal behavior in smart buildings
KR102459483B1 (en) Non-face-to-face access management system using kiosks and method thereof
CN112219385A (en) Portable user profiles for intelligent buildings
CN112237013A (en) Satisfaction measurement for smart buildings
KR102426837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managing drug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JP2023535908A (en) TOUCHPOINT DEVICE, TOUCHPOINT SYSTEM, TOUCHPOINT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12204477A (en) Mining and deploying configuration files in intelligent buildings
KR102459484B1 (en) Non-face-to-face delivery service system using robot within the service space and method thereof
KR102501646B1 (en) Admission customer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US12002315B2 (en) Virtual identification for granting secure access using varying forms of readable access codes
US11850759B2 (en)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robot
US20240127645A1 (en) Virtual identification for granting secure access using two forms of authentication
KR20220135876A (en) Non-face-to-face aeeommodation reserv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KM SMART DOOR UNLOC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