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5487A - Lighting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unmanned stores divided into service areas - Google Patents

Lighting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unmanned stores divided into service area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5487A
KR20220135487A KR1020210041210A KR20210041210A KR20220135487A KR 20220135487 A KR20220135487 A KR 20220135487A KR 1020210041210 A KR1020210041210 A KR 1020210041210A KR 20210041210 A KR20210041210 A KR 20210041210A KR 20220135487 A KR20220135487 A KR 20220135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service area
time
unmanned store
cont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12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20912B1 (en
Inventor
조승훈
Original Assignee
(주)엔조이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조이소프트 filed Critical (주)엔조이소프트
Priority to KR1020210041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912B1/en
Publication of KR20220135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54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9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6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tim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cessing prevention solution flow when using conflicts between users, wherein a lighting system of an unmanned sto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comprise: a usage status monitoring part that checks a current usage status for each service area of the unmanned store; a usage time calculation part that determines at least one among whether or not in usage or a remaining usage time according to a checking result of the usage status; a lighting information generation part that generates the lighting information for each service area by using at least one among the determined whether or not in usage or the remaining usage time; and a lighting control part that controls the lighting for each of the service areas based on the generated lighting informa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providing a technology that controls the time and space for the unmanned store.

Description

서비스구역으로 구분되는 무인매장의 조명시스템 및 동작 방법{Lighting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unmanned stores divided into service areas}{Lighting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unmanned stores divided into service areas}

본 발명은 사용자간 충돌 사용시 처리 방지 해결 플로우에 관한 것으로서, 공유경제와 비대면사회화 현상과 맞물려 향후 다양하게 생겨나게 될 무인매장의 서비스구역에 대해 조명을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cessing prevention solution flow when using conflicts between users, and relates to a technology for managing lighting for service areas of unmanned stores that will be created in various ways in the future in conjunction with the sharing economy and non-face-to-face socialization phenomenon.

2020년 코로나19 펜데믹의 시작으로 일상에서 많은 변화가 생겼다.With the start of the 2020 COVID-19 pandemic, many changes have occurred in our daily lives.

그 중에서 일상에서 겪을 수 있는 비대면 서비스들이 있으며, 이는 코로나 백신의 접종 이후 집단면역이 생긴 이후에도 더 발전될 가능성이 있다.Among them, there are non-face-to-face services that can be experienced in daily life, and these are likely to be further developed even after herd immunity is established after the inoculation of the corona vaccine.

특히, 공유경제와 비대면사회화 현상과 맞물려 향후 다양하게 생겨나게 될 무인매장에 대한 관리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In particular, it is time to think about the management of unmanned stores that will be created in various ways in the future in conjunction with the sharing economy and non-face-to-face socialization.

무인매장은 키오스크에서 결제한 고객이 무인매장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신개념의 점포로서, 현재 무인아이스크림, 무인도서관, 무인당구장 등과 같이 다양하게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The unmanned store is a new concept store where customers who pay at the kiosk can use the services provided by the unmanned store.

그러나, 무인매장은 말 그래도 무인으로 운영되는 매장이므로, 무인매장의 이용에 따른 고객들 간의 마찰이 발생할 수 있다.However, since an unmanned store is a store that is operated unmanned, friction between customers may occur due to the use of the unmanned store.

예를 들어, 무인매장의 서비스구역이 부정사용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 경우, 새롭게 입장한 고객의 경우 키오스크를 통해 사용되지 않은 구역으로 확인하여 결제 하더라도 해당 서비스구역에서 이미 부정선점하고 있는 고객과 마찰이 생기는 경우가 종종 발생할 수 있다.For example, service areas of unmanned stores are often misused. In this case, in the case of a newly entered customer, even if the payment is made by confirming the unused area through the kiosk, friction may often occur with the customer who is already fraudulent in the service area.

한국등록특허 제2020-0086237호 "무인매장 정보 제공 시스템"Korea Patent No. 2020-0086237 "Unmanned Store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한국공개특허 제2199751호 "무인매장의 고객 유인 시스템"Korean Patent Laid-Open Patent No. 2199751 "Customer attraction system for unmanned stores"

본 발명은 설치물 또는 인테리어 등에 대한 별도의 비용을 추가하지 않고 조명시스템을 이용하여 무인매장에 대한 시간과 공간을 제어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ology for controlling time and space for an unmanned store by using a lighting system without adding additional costs for installations or interiors.

본 발명은 무인매장의 이용자간 점유의 충돌시에 처리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ology for handling a conflict of occupation between users of an unmanned store.

본 발명은 무인매장에서 사용되지 않은 서비스구역, 부정사용 중인 서비스구역, 사용의 종료가 임박하거나, 갓 사용된 서비스구역 등을 조명을 통해 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play an unused service area, an illegally used service area, an imminent end of use, or a freshly used service area through lighting in an unmanned store.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매장의 조명시스템은 무인매장의 서비스구역별로 현재 이용상태를 확인하는 이용상태 모니터링부, 상기 이용상태의 확인 결과에 따라, 이용여부 또는 남은이용시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이용시간 산출부, 상기 결정된 이용여부 또는 남은이용시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서비스구역 각각에 대한 조명정보를 생성하는 조명정보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조명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구역 각각에 대한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ing system of the unmanned st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 use state monitoring unit that checks the current use state for each service area of the unmanned store, a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onfirmation of the use state, determines at least one of whether to use or not to use the remaining use time. Using at least one of the time calculation unit, the determined availability or the remaining usage time, a light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lighting information for each service area, and based on the generated lighting information, for each of the service areas It may include a light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조명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조명정보에 기초하되, 상기 이용여부 또는 남은이용시간에 따라, 상기 서비스구역 각각에 대한 조명의 색상, 명암, 점등패턴, 디밍패턴, 및 점멸패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The lighting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but based on the generated lighting information, depending on whether the use or the remaining use time, the color, contrast, lighting pattern, dimming pattern, and blinking pattern of the lighting for each of the service area At least one of them can be controlled.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조명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구역 각각에 대한 조명을 제어하되, 상기 서비스구역에 대한 전체 면적, 적어도 일부분의 면적, 입구, 또는 테두리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대한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The lighting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but control the lighting for each of the service areas, the total area for the service area, at least a part of the area, the entrance, or can control the lighting for at least one of the edge.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조명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구역 각각에 대한 조명을 제어하되, 현재 조사되는 조명에 동기화된 효과음을 출력 제어할 수 있다.The lighting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but control the lighting for each of the service area, it is possible to output control the sound effect synchronized with the currently irradiated lighting.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조명 제어부는, 미사용 상태의 서비스구역에 대한 조명에 대해 색도, 채도, 및 명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기준값 이하로 낮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lighting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control to lower at least one of chromaticity, saturation, and brightness to a reference value or less for lighting for a service area in an unused state.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조명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조명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서비스구역에 대한 최초 사용시 선정된 시간 동안, 종료시점 보다 선정된 시간 앞선 시점에서부터 종료시점까지, 점멸 후 점등하는 패턴의 조명을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lighting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by checking the generated lighting information, for a selected time when using the service area for the first time, from a time earlier than the end time to the end time, the pattern that lights up after blinking It can be controlled to irradiate the light.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조명 제어부는, 상기 최초 사용시에 조사되는 조명의 색상과, 상기 종료시점까지 조사되는 조명의 색상을 서로 다르게 하여 조명을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lighting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lor of the light irradiated at the time of the first use, and the color of the light irradiated until the end point of time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o control to irradiate the light.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조명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구역에 대한 서비스 종료시 선정된 시간 동안 적색등을 점등하도록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The lighting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control the lighting to turn on a red light for a selected time when the service for the service area is terminated.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용상태 모니터링부는, 키오스크에서 서비스구역에 접수된 사용요청을 감지하고, 상기 조명 제어부는 상기 사용요청을 감지함에 따라, 해당 서비스구역을 식별하기 위한 선정된 패턴의 조명을 일정시간 동안 조사할 수 있다.The usage status monitor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detects a request for use received in the service area from the kiosk, and the lighting control unit adjusts lighting of a selected pattern for identifying the service area as the light control unit detects the use request. You can investigate over time.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용상태 모니터링부는, 키오스크에서 서비스구역에 대한 사용요청을 접수를 감지하고, 해당 서비스구역이 다른 사용자에게 점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조명 제어부는 상기 점유되었다면, 경고를 위한 선정된 패턴의 조명을 해당 서비스구역에 일정시간 동안 조사할 수 있다.The usage status monitor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detects the reception of a request for use of the service area in the kiosk, determines whether the service area is occupied by other users, and the lighting control unit is occupied, if the The selected pattern of lighting can be irradiated to the service area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용상태 모니터링부는, 키오스크에서 서비스구역에 접수된 예약요청을 감지하고, 상기 조명 제어부는 상기 예약요청이 접수된 서비스구역에 선정된 패턴의 조명을 일정시간 동안 조사할 수 있다.The usage status monitor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detect a reservation request received in the service area from the kiosk, and the lighting control unit may irradiate the lighting of a selected pattern in the service area in which the reservation request is received for a predetermined time. .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매장의 조명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무인매장의 서비스구역별로 현재 이용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이용상태의 확인 결과에 따라, 이용여부 또는 남은이용시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이용여부 또는 남은이용시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서비스구역 각각에 대한 조명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조명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구역 각각에 대한 조명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operating a lighting system of an unmanned st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the steps of: checking the current usage state for each service area of the unmanned store; , by using at least one of the determined availability or remaining use time, generating lighting information for each service area, and based on the generated lighting information, controlling the lighting for each service area may include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조명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조명정보에 기초하되, 상기 이용여부 또는 남은이용시간에 따라, 상기 서비스구역 각각에 대한 조명의 색상, 명암, 점등패턴, 디밍패턴, 및 점멸패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controlling the ligh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but based on the generated ligh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whether the use or the remaining use time, the color, contrast, lighting pattern, dimming pattern of the lighting for each of the service area, and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blinking patterns.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조명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구역 각각에 대한 조명을 제어하되, 상기 서비스구역에 대한 전체 면적, 적어도 일부분의 면적, 입구, 또는 테두리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대한 조명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controlling the ligh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controlling the lighting for each of the service areas, but controlling the lighting for at least one of the total area, at least a part of the area, the entrance, or the edge for the service area. may include steps.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조명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구역 각각에 대한 조명을 제어하되, 현재 조사되는 조명에 동기화된 효과음을 출력 제어하는 단계, 미사용 상태의 서비스구역에 대한 조명에 대해 색도, 채도, 및 명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기준값 이하로 낮추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조명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서비스구역에 대한 최초 사용시 선정된 시간 동안, 종료시점 보다 선정된 시간 앞선 시점에서부터 종료시점까지, 점멸 후 점등하는 패턴의 조명을 조사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최초 사용시에 조사되는 조명의 색상과, 상기 종료시점까지 조사되는 조명의 색상을 서로 다르게 하여 조명을 조사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구역에 대한 서비스 종료시 선정된 시간 동안 적색등을 점등하도록 조명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controlling the ligh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controlling the lighting for each of the service areas, but outputting a sound effect synchronized with the currently irradiated lighting, chromaticity for the lighting for the service area in an unused state, Controlling at least one of saturation and brightness to be lowered below a reference value, checking the generated lighting information, during the first time selected for the service area, from the time before the end time to the end time , controlling to irradiate the lighting of the pattern that is lit after flickering, controlling to irradiate the lighting by differentiating the color of the lighting irradiated at the time of the first use and the color of the lighting irradiated until the end point of time, and the service It may include the step of controlling the lighting to turn on the red light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service for the zone is terminated.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무인매장의 서비스구역별로 현재 이용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는, 키오스크에서 서비스구역에 접수된 사용요청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요청을 감지함에 따라, 해당 서비스구역을 식별하기 위한 선정된 패턴의 조명을 일정시간 동안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checking the current usage state for each service area of the unmanned st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the step of detecting a use request received in the service area at the kiosk, and the step of controlling the lighting includes the use of the request. Upon detection, the method may include irradiating lighting of a selected pattern for identifying the corresponding service area for a predetermined time.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무인매장의 서비스구역별로 현재 이용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는, 키오스크에서 서비스구역에 대한 사용요청을 접수를 감지하고, 해당 서비스구역이 다른 사용자에게 점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조명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결과 점유되었다면, 경고를 위한 선정된 패턴의 조명을 해당 서비스구역에 일정시간 동안 조사할 수 있다.The step of checking the current usage status for each service area of the unmanned st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detecting reception of a request for use of the service area at the kiosk, determining whether the service area is occupied by other users, and In the step of controlling the lighting, if occupi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lighting of the selected pattern for warning may be irradiated to the service area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무인매장의 서비스구역별로 현재 이용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는, 키오스크에서 서비스구역에 접수된 예약요청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예약요청이 접수된 서비스구역에 선정된 패턴의 조명을 일정시간 동안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checking the current usage status for each service area of the unmanned st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the step of detecting a reservation request received in the service area at the kiosk, and the step of controlling the lighting includes the reservation request It may include the step of irradiating the light of the selected pattern in the received service area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일실시예에 따르면, 설치물 또는 인테리어 등에 대한 별도의 비용을 추가하지 않고 조명시스템을 이용하여 무인매장에 대한 시간과 공간을 제어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echnology for controlling time and space for an unmanned store by using a lighting system without adding additional costs for installations or interiors.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인매장의 이용자간 점유의 충돌시에 처리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echnology for handling a conflict of occupation between users of an unmanned store.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인매장에서 사용되지 않은 서비스구역, 부정사용 중인 서비스구역, 사용의 종료가 임박하거나, 갓 사용된 서비스구역 등을 조명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n unused service area, an illegally used service area, an end of use, or a freshly used service area may be displayed through lighting in an unmanned store.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매장에 설치되는 조명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체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매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verall structure including a lighting system installed in an unmanned st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unmanned st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a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herein are on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and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Sinc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the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disclosed forms, and includes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righ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s a second component,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is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for example, “between” and “between” or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describ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exists, and includes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in advanc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does not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cope of the pat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figure indicate like elements.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매장에 설치되는 조명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10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ntire system 100 including a lighting system installed in an unmanned st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무인매장은 키오스크(110)를 통해 이용할 수 있는 실내외 공간으로서, 복수의 서비스구역들로 구분되어 관리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서비스구역들은 조명시스템(130)을 통해 관리되는 조명으로 밝기가 제어될 수 있다.The unmanned store is an indoor and outdoor space that can be used through the kiosk 110 , and can be managed by being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rvice areas. In addition, the brightness of the plurality of service areas may be controlled by lighting managed through the lighting system 130 .

일례로, 무인매장은 무인노래방, 스터디카페, 만화카페, 보드게임방, 시간제부페, 시간제이용시설, 룸형의 무인점포, 또는 공간형의 무인점포 등으로서 해석될 수 있고, 이 밖에 무인으로 관리되는 매장으로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다.For example, an unmanned store can be interpreted as an unmanned karaoke room, a study cafe, a cartoon cafe, a board game room, a time-limited buffet, a time-use facility, a room-type unmanned store, or a space-type unmanned store, and other unmanned stores can be interpreted in various ways.

전체 시스템(100)은 무인매장을 운영하기 위한 키오스크(110)와 무인매장 내의 서비스구역에 대한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시스템(130), 그리고, 키오스크(110)와 통신하는 원격지의 서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ntire system 100 includes a kiosk 110 for operating an unmanned store, a lighting system 130 for controlling lighting for a service area in an unmanned store, and a remote server 120 that communicates with the kiosk 110. may include

원격지의 서버(120)는 결제서버로 해석될 수 있고, 고객정보나 기타 무인매장 운영에 필요한 클라우드 서버 등 다양한 형태의 서버로도 해석될 수 있다.The remote server 120 may be interpreted as a payment server, and may also be interpreted as a server of various types such as a cloud server required for customer information or other unmanned store operation.

무인매장을 이용하려는 사용자는, 입장 시 키오스크(110)를 통해 빈자리의 예약 및 결제 등을 진행할 수 있다.A user who wants to use the unmanned store may make a reservation and payment for an empty seat through the kiosk 110 upon entry.

일례로, 사용자는 키오스크(110)를 확인하여 복수의 서비스구역들 중에서 점유되지 않은 구역인 서비스구역A를 선택하고 이용에 따른 비용을 결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may check the kiosk 110 , select a service area A, which is an unoccupied area, from among a plurality of service areas, and pay for the use.

그러나, 서비스구역A에는 이미 입장한 사용자들 중에서 비용 결제를 하지 않은 사용자가 부정사용하고 있을 수 있다. 또는, 부정입장 후 부정사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서비스구역A를 선점하고 있을 수 있다.However, among users who have already entered the service area A, a user who has not paid for it may be using the service illegally. Alternatively, a user who uses illegally after entering the service area may occupy the service area A.

이를 방지하기 위해, 무인매장의 조명시스템(130)은 복수의 서비스구역들에 대해 이용여부를 고려하여 조명을 다르게 제어하거나, 남아있는 이용시간을 고려하여 서비스구역별로 조명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is, the lighting system 130 of the unmanned store may differently control lighting in consideration of whether a plurality of service zones are used, or differently control lighting for each service zone in consideration of the remaining usage time.

예를 들어, 무인매장 내에서 결제를 완료한 사용자, 즉, 고객이 자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구역은 온돌, 테이블, 룸, 칸막이 또는 의자, 부스, 평상, 썬베드, 파라솔 등이 있다.For example, service areas that users who have paid in an unmanned store, that is, customers can autonomously use, include ondol, tables, rooms, partitions or chairs, booths, benches, sunbeds, parasols, and the like.

조명시스템(130)은 해당 서비스구역에 대해 별도의 시설로 경계하기가 어렵기에 LED, 일반조명 등으로 라인 또는 영역을 발광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색상, 점등, 점멸, 디밍 등의 방식으로 사용규정을 정의할 수 있다.The lighting system 130 can be displayed by emitting lines or areas with LEDs, general lighting, etc., because it is difficult to demarcate the service area as a separate facility. can be defined

구체적인 예로, 조명시스템(130)은 미사용되는 서비스구역에 대해 소등 또는 어두운계열의 미등을 점등하도록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lighting system 130 may control lighting to turn off or turn on a dark series tail lamp for an unused service area.

또한, 고객이 서비스구역을 최초 사용하는 경우, 초록색 밝은조명이 수초간 깜빡이다가 밝게 점등하도록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조명시스템(130)은 효과음을 함께 출력하도록 스피커 수단을 함께 제어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a customer uses the service area for the first time, the light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bright green light blinks for a few seconds and then turns on brightly. For example, the lighting system 130 may control the speaker means together to output the sound effect together.

일실시예에 따르면, 조명시스템(130)은 사용중인 서비스구역에 대해 잔여 사용시간 종료 수분전에는 깜빡이는 황색조명을 점등하도록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모든 조명제어에 있어 조명시스템(130)은 효과음을 함께 출력하도록 스피커 수단을 함께 제어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lighting system 130 may control the lighting to turn on the blinking yellow light a few minutes before the end of the remaining use time for the service area in use. Similarly, in all lighting control, the lighting system 130 may control the speaker means to output sound effects together.

일실시예에 따르면, 조명시스템(130)은 사용중인 서비스구역의 종료 후 1분간 강한 적색등을 점등하도록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lighting system 130 may control the lighting to turn on a strong red light for 1 minute after the end of the service area being used.

이와 같이, 조명시스템(130)은 서비스구역의 사용, 종료, 종료임박 등에 대해서, 서비스구역을 비추는 조명을 제어함으로써, 서비스구역에 대한 부정점유를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lighting system 130 can prevent illegal occupation of the service area by controlling the lighting to illuminate the service area with respect to the use, termination, imminent termination, etc. of the service area.

한편, 조명시스템(130)은 고객이 키오스크나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해당 서비스구역에 대한 이용을 위해 결제하는 경우, 카톡 또는 sms 문자 등의 수단을 통해 알림메세지를 링크와 함께 고객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서비스구역에 대한 사용권을 발부받게 된다. 이때 고객은 모바일 문자나 영수증 전표를 수령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ustomer pays for the service area through a kiosk or a mobile device, the lighting system 130 transmits a notification message to the customer terminal together with a link through means such as KakaoTalk or sms text. You will be issued a right to use the service area. At this time, the customer can receive a mobile text message or a receipt slip.

고객이 서비스구역을 즉시 사용하지 않는 경우, 서비스구역의 조명이 켜지며 이를 통해 해당 서비스구역에 대한 사용권리를 공시하는 효과를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부정사용 중인 사용자에게 경고를 할 수 있고, 서비스구역이 어딘지 위치를 명확히 표시할 수 있다.If the customer does not use the service area immediately, the lighting of the service area is turned on, which may have the effect of disclosing the right to use the service area.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warn users who are using illegally and clearly indicate where the service area is.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시스템(130)은 상에서 IoT센서를 활용하여 미사용중인 서비스구역을 부정사용하는 고객이 있다면 적색조명 깜빡이 효과와 경고음을 발생시킴으로 부정고객이 사용하지 못하도록 통제할 수 있다.The lighting system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uses the IoT sensor to generate a red light blinking effect and a warning sound if there is a customer who illegally uses an unused service area to prevent the illegal customer from using it.

서비스구역이 만석시, 조명시스템(130)이 제어하는 키오스크나 모바일디바이스를 통해 사전 대기표 예약이 가능하며 이때, 예약한 서비스구역의 이용자에게 대기자가 있음을 조명신호를 통해 알릴 수 있다.When the service area is full, it is possible to reserve a waiting table in advance through a kiosk or a mobile device controlled by the lighting system 130.

뿐만 아니라, 조명시스템(130)은 효과음 또는 카톡, SMS 문자 등의 수단을 통해 고객에게 알릴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lighting system 130 may notify the customer through a sound effect, KakaoTalk, SMS text, or the like.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매장(20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unmanned stor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매장(200)은 복수의 서비스구역들로 구분되고, 각각의 서비스구역은 조명을 통해 구역, 구역의 라인 등이 선정된 패턴의 빛으로 조사될 수 있다.The unmanned stor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rvice areas, and each service area may be irradiated with light of a selected pattern such as a zone, a line of the zone, etc. through lighting.

일례로, 서비스구역(210)은 조명(220)에 의해서 점유 또는 사용여부에 따라서 달라지는 선정된 패턴의 빛에 의해 밝기가 조절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rvice area 210 may be occupied by the lighting 220, and the brightness may be adjusted by a light of a selected pattern that changes depending on whether it is used or not.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시스템(30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a lighting system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시스템(300)은 무인매장의 이용자간 점유의 충돌시에 처리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설치물 또는 인테리어 등에 대한 별도의 비용을 추가하지 않고 조명시스템을 이용하여 무인매장에 대한 시간과 공간을 제어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무인매장에서 사용되지 않은 서비스구역, 부정사용 중인 서비스구역, 사용의 종료가 임박하거나, 갓 사용된 서비스구역 등을 조명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The lighting system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provide a technology for handling a conflict of occupation between users of an unmanned stor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echnology for controlling time and space for an unmanned store by using a lighting system without adding additional costs for installations or interiors. In addition, unused service areas, illegally used service areas, near to the end of use, or just used service areas in unmanned stores can be displayed through lighting.

이를 위해,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시스템(300)은 이용상태 모니터링부(310), 이용시간 산출부(320), 조명정보 생성부(330), 조명 제어부(340), 및 중앙 처리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lighting system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usage state monitoring unit 310 , a usage time calculation unit 320 , a light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30 , a lighting control unit 340 ,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350 . may include.

먼저, 이용상태 모니터링부(310)는 무인매장의 서비스구역별로 현재 이용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First, the usage status monitoring unit 310 may check the current usage status for each service area of the unmanned store.

이용상태라 함은, 무인매장에 설치된 IoT 센서를 이용하여 고객이 점유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usage state may include information on whether the customer is occupied by using the IoT sensor installed in the unmanned store.

또한, 이용상태라 함은, 키오스크 또는 키오스크와 연동하는 원격지의 서버를 통해 각 서비스구역별로 확인이 가능한, 시작시간, 점유시간, 종료시간 등의 정보로 해석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age state can be interpreted as information such as start time, occupancy time, end time, etc. that can be checked for each service area through a kiosk or a remote server interworking with the kiosk.

이용시간 산출부(320)는 이용상태의 확인 결과에 따라, 이용여부 또는 남은이용시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The usage time calculator 320 may determine at least one of whether to use or not to use the remaining usage time according to a result of checking the usage state.

이용시간 산출부(320)는 이용상태에 기초하여 특정 서비스구역이 현재 이용 중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이용여부의 결정, 특정 서비스구역이 현재 이용 중이라면, 이용시간이 얼마나 남아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남은이용시간 등을 산출하여 결정할 수 있다.The usage time calculation unit 320 determines whether to use a specific service area to check whether it is currently in use based on the usage status, and if the specific service area is currently in use, the remaining usage time to check how much usage time remains. It can be determined by calculating

조명정보 생성부(330)는 결정된 이용여부 또는 남은이용시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서비스구역 각각에 대한 조명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light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330 may generate lighting information for each service area by using at least one of the determined usage or remaining usage time.

조명정보는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구체적인 정보로서, 조명 제어부(340)는 상기 생성된 조명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구역 각각에 대한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The lighting information is specific information for controlling lighting, and the lighting controller 340 may control lighting for each of the service areas based on the generated lighting information.

예를 들어, 조명정보는 조명의 색상, 명암, 점등패턴, 디밍패턴, 및 점멸패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신호를 포함한다.For example, the lighting information includes a signal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 color of lighting, a contrast, a lighting pattern, a dimming pattern, and a blinking pattern.

이에, 조명 제어부(340)는 생성된 조명정보에 기초하되, 이용여부 또는 남은이용시간에 따라, 서비스구역 각각에 대한 조명의 색상, 명암, 점등패턴, 디밍패턴, 및 점멸패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lighting control unit 340 controls at least one of a color, a contrast, a lighting pattern, a dimming pattern, and a blinking pattern of the lighting for each service area based on the generated lighting information,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use is used or the remaining use time. can do.

일례로, 조명 제어부(340)는 서비스구역 각각에 대한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조명 제어부(340)는 서비스구역에 대한 전체 면적, 적어도 일부분의 면적, 입구, 또는 테두리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대한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lighting control unit 340 may control the lighting for each service area. In particular, the lighting control unit 340 may control the lighting of at least one of the total area, at least a part of the area of the service area, an entrance, or an edge.

한편, 조명 제어부(340)는 현재 조사되는 조명에 동기화된 효과음을 출력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ighting control unit 340 may control the output of the sound effect synchronized to the currently irradiated lighting.

뿐만 아니라, 조명 제어부(340)는 미사용 상태의 서비스구역에 대한 조명에 대해 색도, 채도, 및 명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기준값 이하로 낮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ing controller 340 may control to lower at least one of chromaticity, saturation, and brightness to a reference value or less for the lighting of the service area in an unused state.

또한, 조명 제어부(340)는 생성된 조명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서비스구역에 대한 최초 사용시 선정된 시간 동안, 종료시점 보다 선정된 시간 앞선 시점에서부터 종료시점까지, 점멸 후 점등하는 패턴의 조명을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ing control unit 340 checks the generated lighting information, and during the selected time when using the service area for the first time, from the time before the end time to the end time, the lighting of the pattern that lights up after blinking is investigated. can be controlled to do so.

조명 제어부(340)는 최초 사용시에 조사되는 조명의 색상과, 종료시점까지 조사되는 조명의 색상을 서로 다르게 하여 조명을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lighting control unit 340 may control to irradiate the light by differentiating the color of the light irradiated at the time of initial use and the color of the light irradiated until the end point of time.

조명 제어부(340)는 서비스구역에 대한 서비스 종료시 선정된 시간 동안 적색등을 점등하도록 조명을 제어할 수도 있다.The lighting control unit 340 may control the lighting to turn on the red light for a selected time when the service for the service area is terminated.

예를 들어 조명 제어부(340)는 서비스구역의 미사용시 소등 또는 어두운계열의 미등을 점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lighting control unit 340 may turn off or turn on a dark series tail light when the service area is not in use.

또한, 구체적인 예로써, 조명 제어부(340)는 서비스구역의 최초 사용시 초록색 밝은조명이 수초간 깜빡이다가 밝게 점등할 수 있고, 잔여 사용시간 종료 수분전에는 깜빡이는 황색조명 점등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 specific example, the lighting control unit 340 may turn on a bright green light after blinking for a few seconds when the service area is used for the first time, and may turn on a blinking yellow light a few minutes before the end of the remaining use time.

또한, 조명 제어부(340)는 종료 후 1분간 강한 적색등 점등을 제어할 수 있고, 이때 종료효과음 함께 사용하여 효과를 강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ing control unit 340 may control the strong red light lighting for 1 minute after the end, and at this time, the effect may be emphasized by using the end effect sound together.

한편, 이용상태 모니터링부(310)는 키오스크에서 서비스구역에 접수된 사용요청을 감지하고, 조명 제어부(340)는 사용요청을 감지함에 따라, 해당 서비스구역을 식별하기 위한 선정된 패턴의 조명을 일정시간 동안 조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sage status monitoring unit 310 detects a request for use received in the service area in the kiosk, and the lighting control unit 340 detects the request for use, and sets the lighting of a selected pattern for identifying the service area. You can investigate over time.

예를 들어 조명 제어부(340)는 고객이 키오스크나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좌석을 결제하면 카톡, SMS 문자 등의 알림메세지를 링크와 함께 전송하며 해당 구역에 대한 사용권을 발부받게 된다. 이때 고객은 모바일 문자나 영수증 전표 수령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customer pays for a seat through a kiosk or a mobile device, the lighting control unit 340 transmits a notification message such as KakaoTalk or SMS text message along with a link and is issued a right to use the area. At this time, the customer can receive a mobile text message or a receipt slip.

이에, 조명 제어부(340)는 즉시 미사용중인 서비스구역의 조명을 제어하여, 해당 서비스구역의 조명이 켜지며 이를 통해 해당 구역에 대한 고객사용권리를 공시하는 효과가 발생한다.Accordingly, the lighting control unit 340 immediately controls the lighting of the unused service area, the lighting of the corresponding service area is turned on, and through this, the effect of announcing the customer use right for the corresponding area occurs.

일실시예에 따른 이용상태 모니터링부(310)는 키오스크에서 서비스구역에 대한 사용요청을 접수를 감지하고, 해당 서비스구역이 다른 사용자에게 점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usage status monitoring unit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detect reception of a request for use of the service area in the kiosk, and determine whether the corresponding service area is occupied by other users.

또한, 조명 제어부(340)는 판단결과, 해당 서비스구역이 다른 사용자에게 점유되었다면, 경고를 위한 선정된 패턴의 조명을 해당 서비스구역에 일정시간 동안 조사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corresponding service area is occupied by another user, the lighting control unit 340 may irradiate the selected pattern of lighting for a warning to the corresponding service area for a predetermined time.

예를 들어, IoT센서를 활용하여 미사용중인 서비스구역을 부정사용하는 고객이 있다면 적색조명 깜빡이 효과와 경고음을 발생시킴으로 부정고객이 사용하지 못하도록 통제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re is a customer who illegally uses an unused service area by using the IoT sensor, a red light blinking effect and a warning sound can be generated to prevent unauthorized customers from using it.

또한, 이용상태 모니터링부(310)는 키오스크에서 서비스구역에 접수된 예약요청을 감지하고, 조명 제어부(340)는 예약요청이 접수된 서비스구역에 선정된 패턴의 조명을 일정시간 동안 조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age status monitoring unit 310 detects a reservation request received in the service area from the kiosk, and the lighting control unit 340 may irradiate the lighting of the selected pattern in the service area in which the reservation request is receiv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

중앙 처리부(350)는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거나, 각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을 위한 중간 매개체로 동작할 수도 있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35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components or operate as an intermediate medium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respective components.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a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서비스구역으로 구분되는 무인매장의 조명시스템의 동작에 관한 것이다.An operation method of a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relates to an operation of a lighting system in an unmanned store divided into service areas.

이를 위해, 조명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무인매장의 서비스구역별로 현재 이용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단계 401).To this en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lighting system may check the current usage state for each service area of the unmanned store (step 401).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이용상태의 확인 결과에 따라, 이용여부 또는 남은이용시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단계 402).According to the operation method of the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t least one of whether to use or not to use or the remaining use time (step 402).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결정된 이용여부 또는 남은이용시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서비스구역 각각에 대한 조명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403).The method of operating the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generate lighting information for each service area by using at least one of the determined availability or remaining time (step 403).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생성된 조명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구역 각각에 대한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단계 404).The operation method of the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control the lighting for each of the service areas based on the generated lighting information (step 404).

일례로, 조명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생성된 조명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구역 각각에 대한 조명의 색상, 명암, 점등패턴, 디밍패턴, 및 점멸패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operation method of the lighting system may control at least one of a color, a contrast, a lighting pattern, a dimming pattern, and a blinking pattern of the lighting for each service area based on the generated lighting information.

또한, 조명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서비스구역 각각에 대한 조명을 제어하는데 있어, 서비스구역에 대한 전체 면적, 적어도 일부분의 면적, 입구, 또는 테두리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대한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ng method of the lighting system can control the lighting for at least one of the total area, at least a part of the area, the entrance, or the edge of the service area in controlling the lighting for each service area.

한편, 조명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서비스구역 각각에 대한 조명을 제어하되, 현재 조사되는 조명에 동기화된 효과음을 출력 제어하고, 미사용 상태의 서비스구역에 대한 조명에 대해 색도, 채도, 및 명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기준값 이하로 낮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조명정보를 확인하여, 서비스구역에 대한 최초 사용시 선정된 시간 동안, 종료시점 보다 선정된 시간 앞선 시점에서부터 종료시점까지, 점멸 후 점등하는 패턴의 조명을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ng method of the lighting system controls the lighting for each service area, output control of a sound effect synchronized with the currently irradiated lighting, and at least one of chromaticity, saturation, and brightness for the lighting for the service area in an unused state. can be controlled to be lowered below the reference value. In addition, by checking the generated lighting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irradiate the lighting of a pattern that is lit after blinking from a point in time prior to a time selected before an end point to an end point during a selected time when using the service area for the first time.

뿐만 아니라, 조명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최초 사용시에 조사되는 조명의 색상과, 종료시점까지 조사되는 조명의 색상을 서로 다르게 하여 조명을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서비스구역에 대한 서비스 종료시 선정된 시간 동안 적색등을 점등하도록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lighting system can be controlled to irradiate the light by differentiating the color of the light irradiated at the time of initial use and the color of the light irradiated until the end time, and for a selected time when the service for the service area is terminated. The lighting can be controlled to turn on the red light.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무인매장의 서비스구역별로 현재 이용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키오스크에서 서비스구역에 접수된 사용요청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조명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요청을 감지함에 따라, 해당 서비스구역을 식별하기 위한 선정된 패턴의 조명을 일정시간 동안 조사할 수 있다.The operation method of the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detect a use request received in the service area from the kiosk in order to check the current usage state for each service area of the unmanned store. In addition, as a request for use is sensed to control the lighting, the lighting of a selected pattern for identifying the corresponding service area may be irradia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매장의 서비스구역별로 현재 이용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키오스크에서 서비스구역에 대한 사용요청을 접수를 감지하고, 해당 서비스구역이 다른 사용자에게 점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order to check the current usage status for each service area of the unmanned st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kiosk may detect receipt of a request for use of the service area, and determine whether the corresponding service area is occupied by other users.

또한, 판단결과 점유되었다면, 경고를 위한 선정된 패턴의 조명을 해당 서비스구역에 일정시간 동안 조사할 수 있다.In addition, if it is occupied as a result of judgment, the selected pattern of lighting for warning can be irradiated to the service area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무인매장의 서비스구역별로 현재 이용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키오스크에서 서비스구역에 접수된 예약요청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조명을 제어하기 위해 조명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예약요청이 접수된 서비스구역에 선정된 패턴의 조명을 일정시간 동안 조사할 수 있다.In order to check the current usage status for each service area of the unmanned store, the kiosk can detect the reservation request received in the service area. In additio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lighting system to control the lighting may irradiate the lighting of the selected pattern in the service area in which the reservation request is receiv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결국, 본 발명을 이용하면, 설치물 또는 인테리어 등에 대한 별도의 비용을 추가하지 않고 조명시스템을 이용하여 무인매장에 대한 시간과 공간을 제어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무인매장의 이용자간 점유의 충돌시에 처리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할 수 있고, 무인매장에서 사용되지 않은 서비스구역, 부정사용 중인 서비스구역, 사용의 종료가 임박하거나, 갓 사용된 서비스구역 등을 조명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As a result, by us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echnology for controlling time and space for an unmanned store by using a lighting system without adding additional costs for installations or interior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technology for handling conflicts of occupation between users of unmanned stores, and service areas that are not used in unmanned stores, service areas that are being used illegally, service areas that are about to end or have just been used, etc. can be displayed through lighting.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or a combination of the hardware component and the software component. For example, device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array (FPA), It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or more general purpose or special purpose computers, such as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The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the software.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lthough one processing device is sometimes described as being used,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process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or a plurality of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may include For example, the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such as parallel processors.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software may compris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thereof, which configures a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is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processed You can command the device. The software and/or data may be any kind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to be interpreted by or to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the processing device. , or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y in a transmitted signal wave.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er system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i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such as floppy disks. - include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drawings as described abov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or the described components of the system, structure, apparatus,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Or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may achieve an appropriate result.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18)

서비스구역으로 구분되는 무인매장의 조명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무인매장의 서비스구역별로 현재 이용상태를 확인하는 이용상태 모니터링부;
상기 이용상태의 확인 결과에 따라, 이용여부 또는 남은이용시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이용시간 산출부;
상기 결정된 이용여부 또는 남은이용시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서비스구역 각각에 대한 조명정보를 생성하는 조명정보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조명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구역 각각에 대한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 제어부
를 포함하는 무인매장의 조명시스템.
It relates to a lighting system of an unmanned store divided into service areas,
a usage status monitoring unit that checks the current usage status for each service area of the unmanned store;
a usage time calculation unit for determining at least one of usage or remaining usage time according to a result of checking the usage status;
a light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lighting information for each service area by using at least one of the determined availability or remaining use time; and
Based on the generated lighting information, a lighting control unit to control the lighting for each of the service area
A lighting system for unmanned stores,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조명정보에 기초하되, 상기 이용여부 또는 남은이용시간에 따라, 상기 서비스구역 각각에 대한 조명의 색상, 명암, 점등패턴, 디밍패턴, 및 점멸패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무인매장의 조명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ing control unit,
Illumination of an unmanned store that controls at least one of a color, a contrast, a lighting pattern, a dimming pattern, and a blinking pattern of the lighting for each of the service areas based on the generated lighting information, depending on whether the use is made or the remaining use time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구역 각각에 대한 조명을 제어하되, 상기 서비스구역에 대한 전체 면적, 적어도 일부분의 면적, 입구, 또는 테두리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대한 조명을 제어하는 무인매장의 조명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ing control unit,
A lighting system for an unmanned store that controls lighting for each of the service areas, and controls lighting for at least one of a total area, at least a partial area, an entrance, or an edge of the service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구역 각각에 대한 조명을 제어하되, 현재 조사되는 조명에 동기화된 효과음을 출력 제어하는 무인매장의 조명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ing control unit,
A lighting system for an unmanned store that controls the lighting for each of the service areas, but outputs a sound effect synchronized with the currently irradiated light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제어부는,
미사용 상태의 서비스구역에 대한 조명에 대해 색도, 채도, 및 명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기준값 이하로 낮추도록 제어하는 무인매장의 조명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ing control unit,
A lighting system for an unmanned store that controls to lower at least one of chromaticity, chroma, and brightness below a reference value for lighting of an unused service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조명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서비스구역에 대한 최초 사용시 선정된 시간 동안, 종료시점 보다 선정된 시간 앞선 시점에서부터 종료시점까지, 점멸 후 점등하는 패턴의 조명을 조사하도록 제어하는 무인매장의 조명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ing control unit,
Illumination of an unmanned store that controls to check the generated lighting information and irradiate the lighting in a pattern that lights up after blinking from a point in time prior to a predetermined time to an end point during a selected time when using the service area for the first time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제어부는,
상기 최초 사용시에 조사되는 조명의 색상과, 상기 종료시점까지 조사되는 조명의 색상을 서로 다르게 하여 조명을 조사하도록 제어하는 무인매장의 조명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ing control unit,
The lighting system of an unmanned store for controlling to irradiate the light by differentiating the color of the light irradiated at the time of the first use and the color of the light irradiated until the end poi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구역에 대한 서비스 종료시 선정된 시간 동안 적색등을 점등하도록 조명을 제어하는 무인매장의 조명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ing control unit,
A lighting system for an unmanned store that controls lighting to turn on a red light for a selected time when the service for the service area is termin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상태 모니터링부는,
키오스크에서 서비스구역에 접수된 사용요청을 감지하고,
상기 조명 제어부는 상기 사용요청을 감지함에 따라, 해당 서비스구역을 식별하기 위한 선정된 패턴의 조명을 일정시간 동안 조사하는 무인매장의 조명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usage status monitoring unit,
The kiosk detects the use request received in the service area,
When the lighting control unit detects the use request, the lighting system of the unmanned store irradiates lighting of a selected pattern for identifying the corresponding service area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상태 모니터링부는,
키오스크에서 서비스구역에 대한 사용요청을 접수를 감지하고, 해당 서비스구역이 다른 사용자에게 점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조명 제어부는 상기 점유되었다면, 경고를 위한 선정된 패턴의 조명을 해당 서비스구역에 일정시간 동안 조사하는 무인매장의 조명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usage status monitoring unit,
Detects receipt of a request for use of the service area in the kiosk, determines whether the service area is occupied by other users,
If the lighting control unit is occupied, a lighting system of an unmanned store that irradiates a selected pattern of lighting for a warning to the service area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상태 모니터링부는,
키오스크에서 서비스구역에 접수된 예약요청을 감지하고,
상기 조명 제어부는 상기 예약요청이 접수된 서비스구역에 선정된 패턴의 조명을 일정시간 동안 조사하는 무인매장의 조명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usage status monitoring unit,
The kiosk detects the reservation request received in the service area,
The lighting control unit is a lighting system of an unmanned store that irradiates the lighting of the selected pattern in the service area in which the reservation request is receiv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서비스구역으로 구분되는 무인매장의 조명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무인매장의 서비스구역별로 현재 이용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이용상태의 확인 결과에 따라, 이용여부 또는 남은이용시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이용여부 또는 남은이용시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서비스구역 각각에 대한 조명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조명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구역 각각에 대한 조명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인매장의 조명시스템의 동작 방법.
It relates to an operation method of a lighting system in an unmanned store divided into service areas,
checking the current usage status for each service area of the unmanned store;
determining at least one of whether to use or not to use the remaining use time according to a result of checking the use state;
generating lighting information for each service area by using at least one of the determined availability or remaining time; and
Based on the generated lighting information, controlling the lighting for each of the service areas
A method of operating a lighting system in an unmanned store comprising a.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조명정보에 기초하되, 상기 이용여부 또는 남은이용시간에 따라, 상기 서비스구역 각각에 대한 조명의 색상, 명암, 점등패턴, 디밍패턴, 및 점멸패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인매장의 조명시스템의 동작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step of controlling the lighting comprises: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 color, a contrast, a lighting pattern, a dimming pattern, and a blinking pattern of the lighting for each of the service areas based on the generated lighting information, depending on whether the use or the remaining use time is used
A method of operating a lighting system in an unmanned store comprising a.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구역 각각에 대한 조명을 제어하되, 상기 서비스구역에 대한 전체 면적, 적어도 일부분의 면적, 입구, 또는 테두리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대한 조명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인매장의 조명시스템의 동작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step of controlling the lighting comprises:
Controlling the lighting for each of the service areas, controlling the lighting for at least one of the total area, at least a part of the area, the entrance, or the edge of the service area
A method of operating a lighting system in an unmanned store comprising a.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구역 각각에 대한 조명을 제어하되, 현재 조사되는 조명에 동기화된 효과음을 출력 제어하는 단계;
미사용 상태의 서비스구역에 대한 조명에 대해 색도, 채도, 및 명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기준값 이하로 낮추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조명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서비스구역에 대한 최초 사용시 선정된 시간 동안, 종료시점 보다 선정된 시간 앞선 시점에서부터 종료시점까지, 점멸 후 점등하는 패턴의 조명을 조사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최초 사용시에 조사되는 조명의 색상과, 상기 종료시점까지 조사되는 조명의 색상을 서로 다르게 하여 조명을 조사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구역에 대한 서비스 종료시 선정된 시간 동안 적색등을 점등하도록 조명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인매장의 조명시스템의 동작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step of controlling the lighting comprises:
controlling the lighting for each of the service areas, and controlling the output of sound effects synchronized with the currently irradiated lighting;
controlling at least one of chromaticity, chroma, and brightness to be lower than a reference value for lighting of a service area in an unused state;
Checking the generated lighting information, controlling to irradiate the lighting of a pattern that is lit after blinking, from a time prior to a predetermined time to an ending time, during a selected time when using the service area for the first time;
controlling the color of the light irradiated at the time of the first use and the color of the light irradiated until the end point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o irradiate the light; and
Controlling the lighting to turn on the red light for a selected time when the service for the service area is terminated
A method of operating a lighting system in an unmanned store comprising a.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매장의 서비스구역별로 현재 이용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는,
키오스크에서 서비스구역에 접수된 사용요청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요청을 감지함에 따라, 해당 서비스구역을 식별하기 위한 선정된 패턴의 조명을 일정시간 동안 조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인매장의 조명시스템의 동작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step of checking the current usage status for each service area of the unmanned store is,
Detecting the use request received in the service area at the kiosk,
The step of controlling the lighting comprises:
Upon detecting the use request, irradiating the lighting of a selected pattern for identifying the service area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 method of operating a lighting system in an unmanned store comprising a.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매장의 서비스구역별로 현재 이용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는,
키오스크에서 서비스구역에 대한 사용요청을 접수를 감지하고, 해당 서비스구역이 다른 사용자에게 점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조명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결과 점유되었다면, 경고를 위한 선정된 패턴의 조명을 해당 서비스구역에 일정시간 동안 조사하는 무인매장의 조명시스템의 동작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step of checking the current usage status for each service area of the unmanned store is,
Detects receipt of a request for use of the service area in the kiosk, determines whether the service area is occupied by other users,
The step of controlling the lighting comprises:
If it is occupi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 method of operating a lighting system in an unmanned store that irradiates a selected pattern of lighting for a warning to the service area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매장의 서비스구역별로 현재 이용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는,
키오스크에서 서비스구역에 접수된 예약요청을 감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예약요청이 접수된 서비스구역에 선정된 패턴의 조명을 일정시간 동안 조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인매장의 조명시스템의 동작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step of checking the current usage status for each service area of the unmanned store is,
Detecting the reservation request received in the service area in the kiosk
including,
The step of controlling the lighting comprises:
irradiating the lighting of the selected pattern in the service area where the reservation request is receiv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 method of operating a lighting system in an unmanned store comprising a.
KR1020210041210A 2021-03-30 2021-03-30 Lighting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unmanned stores divided into service areas KR1026209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210A KR102620912B1 (en) 2021-03-30 2021-03-30 Lighting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unmanned stores divided into service area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210A KR102620912B1 (en) 2021-03-30 2021-03-30 Lighting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unmanned stores divided into service area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487A true KR20220135487A (en) 2022-10-07
KR102620912B1 KR102620912B1 (en) 2024-01-04

Family

ID=83595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1210A KR102620912B1 (en) 2021-03-30 2021-03-30 Lighting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unmanned stores divided into service area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91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3790B1 (en) * 2023-05-30 2023-09-27 박수연 Coin Billiard Room System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3697A (en) * 2002-06-10 2004-01-1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Wireless display system
JP2016024958A (en) * 2014-07-19 2016-02-08 浜井電球工業株式会社 Led lighting device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JP2016212647A (en) * 2015-05-09 2016-12-1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Seat reservation system
KR20200086237A (en) 2020-06-25 2020-07-16 (주)이루미소프트 Clerklessstor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KR102199751B1 (en) 2018-01-29 2021-01-08 (주)이루미소프트 Costomer attracting system of clerkless store
JP7011811B2 (en) * 2018-02-15 2022-02-10 学校法人長崎総合科学大学 Fermented pellet manufacturing method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3697A (en) * 2002-06-10 2004-01-1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Wireless display system
JP2016024958A (en) * 2014-07-19 2016-02-08 浜井電球工業株式会社 Led lighting device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JP2016212647A (en) * 2015-05-09 2016-12-1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Seat reservation system
KR102199751B1 (en) 2018-01-29 2021-01-08 (주)이루미소프트 Costomer attracting system of clerkless store
JP7011811B2 (en) * 2018-02-15 2022-02-10 学校法人長崎総合科学大学 Fermented pellet manufacturing method
KR20200086237A (en) 2020-06-25 2020-07-16 (주)이루미소프트 Clerklessstor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3790B1 (en) * 2023-05-30 2023-09-27 박수연 Coin Billiard Room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0912B1 (en) 2024-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6003B2 (en) System and method for nonintrusive commissioning of elements to an indoor positioning system
US10701777B2 (en) Color-changing lighting dynamic control
JP5519496B2 (en) Lighting control system with user interface for interactively changing settings of lighting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ly changing settings of lighting system using user interface
JP5198445B2 (en) Realization and operation of autonomous limited network
KR20220135487A (en) Lighting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unmanned stores divided into service areas
US8604926B2 (en) Automatic verification of network cable connections
JP2010532079A5 (en)
US20220210882A1 (en) Navigational dynamic lighting
KR20190008818A (en) Service tool proximity detection
CN105592088A (en) Virtual machine flow monitoring method and device, and terminal
CN110414246A (en) Shared file method for managing security, devic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JP2008204423A (e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visible light communication transmission device, and visible light communication reception device
JP2015092325A (en) Simplif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admittance to place
KR20210143108A (en) Self-diagnose remote controlling method and system for emergency guidance device
US202103506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safety protocols in casino gaming floor operations
CN113219883A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entralized monitoring of content of outdoor LED light curtain wall
JP2000048969A (en) Power line carrier communication system
CN208805926U (en) A kind of network signal lamp
US9058466B1 (en) Enabling security of a computer system
CN114616927A (en) Configuring a bridge having a group after adding the bridge to a lighting system
US9881435B2 (en) Site based clustered anti-pass back security system and method
CN108886860B (en)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 lighting device arranged for providing functional and/or ambience lighting
US8258974B2 (en) Casino time control unit
KR102167099B1 (e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managing plug and play and control system of utp network device
JP6906873B2 (en) Electronic payment systems, electronic payment methods, and payment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