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5051A - 스마트 안전모를 이용한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안전모를 이용한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5051A
KR20220135051A KR1020210040547A KR20210040547A KR20220135051A KR 20220135051 A KR20220135051 A KR 20220135051A KR 1020210040547 A KR1020210040547 A KR 1020210040547A KR 20210040547 A KR20210040547 A KR 20210040547A KR 20220135051 A KR20220135051 A KR 20220135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temperature
eeg
information
worker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0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형섭
한용석
송경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에이치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에이치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에이치에스
Priority to KR1020210040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5051A/ko
Publication of KR20220135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50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06ECG or EEG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08Temperature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372Analysis of electroencephal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3Head-worn items, e.g. helmets, masks, headphones or gogg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20Work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안전모를 이용한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세하게는 뇌파 및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스마트 안전모를 이용하여 안전사고 위험을 최소화하고, 재해 발생 시 작업자 구난 활동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스마트 안전모를 이용한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산업 현장 내에서 작업자의 뇌파 및 체온을 감지하여 건강 및 안전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스마트 안전모를 이용한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모에 마련되어 무선통신 방식으로 일정 영역 내의 상기 작업자의 위치를 감지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감지부와, 상기 안전모에 마련되며 상기 작업자의 두부에 접촉하여 뇌파를 감지하고 뇌파정보를 생성하는 뇌파감지부와, 상기 안전모에 마련되어 상기 작업자의 귀 뒤편에 접촉하여 체온을 감지하고 체온정보를 생성하는 체온감지부 및 상기 위치정보, 뇌파정보 및 체온정보를 전송받아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작업자의 안전상태를 판단하는 서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안전모를 이용한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System for safety management of field using smart helmet}
본 발명은 스마트 안전모를 이용한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뇌파 및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스마트 안전모를 이용하여 안전사고 위험을 최소화하고, 재해 발생 시 작업자 구난 활동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스마트 안전모를 이용한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작업 현장의 안전 관리는 주로 작업 감독자에 의해 인위적으로 이루어졌다. 그리고 안전 관리 시스템을 갖춘 경우에도 현장 관리실에서 관리자가 CCTV 등을 통해 영상으로 작업 현장을 관찰하고 관리하는 수준이었으며, 만약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작업 현장의 스피커 또는 무전기나 휴대폰 등을 통해 작업자에게 알려주는 수준이었다.
산업 현장의 작업자들은 외부와 멀리 떨어져 소수의 인원만이 함께 일하는 경우가 많으며, 위험에 처하였음에도 타인이 인지하지 못하여 구조가 어려운 상황에 처할 수 있다.
이러한 현장 환경에서는 실시간으로 작업자의 위험 지역 출입 여부를 판단하고, 작업자의 건강 상태가 악화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가 쉽지 않았다.
한편, 안전모는 건설현장과 같은 산업 현장 등에서 사용하는 보호용구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작업자의 두부를 보호한다. 또한, 산업 현장을 출입하는 자는 반드시 안전모를 착용하도록 법제화되어 있으므로 두부에 착용하는 안전모를 활용하여 안전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기 용이하다.
이러한 안전모를 활용하는 방안으로 뇌파 측정을 통한 작업자의 건강 상태 파악을 들 수 있다. 뇌파는 물리적·정신적 상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므로 뇌의 활동상황을 측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지표이다. 뇌파의 파형에 따라 졸음여부, 위험여부 등을 판별할 수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뇌파분석을 이용하고 있다.
또한, 작업자에게서 건강상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하였을 시, 가장 빠르게 나타나는 신체 변화 중 하나는 체온이다.
특히, 재난을 당해 출혈이 발생할 경우, 체온이 비정상적으로 저하된다. 따라서 체온은 작업자의 생명과 건강이 급격히 악화되고 있는 것을 파악할 수 있는 주요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체온 측정은 작업자에게 발생하는 열사병을 파악하는 주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열사병은 심할 경우 사망에 이를 정도로 위험한 만큼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체온을 실시간 감지하여 열사병의 위험을 예방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또한 체온을 감지하는 기술은, 발열 증상을 보이는 감염병의 감염 여부를 판단하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전염병의 경우, 다른 작업자를 감염시켜 집단 감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한 체온의 감지 및 조처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38383호에서는, 스마트 안전모 및 스마트 안전모 시스템이 제시된다. 머리에 착용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외부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 상기 무선 통신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본체가 상기 착용자의 머리에 고정되도록 상기 본체의 양측에서 턱을 감싸 지지하는 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무선 통신 모듈과 연결되어 외부와 무선 통신에 의해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는 마이크로폰과 이어폰이 각각 형성되는 착용끈의 구성을 개시하고 있으나, 뇌파분석을 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38383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위험 구역 진입 여부를 판단하고 경고를 실시할 수 있는 스마트 안전모를 이용한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자의 뇌파를 측정하여 작업자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체크하고 응급상황을 판단할 수 있는 스마트 안전모를 이용한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작업자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체크하고 응급상황을 판단할 수 있는 스마트 안전모를 이용한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모를 이용한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은, 산업 현장 내에서 작업자의 뇌파 및 체온을 감지하여 건강 및 안전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스마트 안전모를 이용한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모에 마련되어 무선통신 방식으로 일정 영역 내의 상기 작업자의 위치를 감지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감지부와, 상기 안전모에 마련되며 상기 작업자의 두부에 접촉하여 뇌파를 감지하고 뇌파정보를 생성하는 뇌파감지부와, 상기 안전모에 마련되어 상기 작업자의 귀 뒤편에 접촉하여 체온을 감지하고 체온정보를 생성하는 체온감지부 및 상기 위치정보, 뇌파정보 및 체온정보를 전송받아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작업자의 안전상태를 판단하는 서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버부는 상기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작업자가 기 설정된 위험 구역에 진입여부를 판단하는 위치판단모듈과, 상기 뇌파정보에 따라 상기 작업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는 뇌파판단모듈 및 상기 체온정보가 기 설정된 체온 범위를 벗어나는지 판단하는 체온판단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뇌파판단모듈은 상기 뇌파정보를 밴드패스 필터(bandpass filter)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유효구간을 벗어날 경우 노이즈로 취급하여 노이즈 구간을 삭제하는 노이즈제거모듈 및 상기 노이즈제거모듈에 의해 노이즈가 제거된 상기 뇌파정보를 스펙트럼 분석 기반으로 델타파, 세타파, 알파파, 베타파 및 감마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뇌파값을 실시간으로 구하는 뇌파분석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안전모를 이용한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은, 위치감지부와 위치판단모듈을 통해 작업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위험 구역 진입 여부를 판단하여 경고를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안전모를 이용한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은, 뇌파감지부와 뇌파판단모듈의 구성을 통해 작업자의 뇌파를 측정하여 작업자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체크하고 응급상황을 판단할 수 있는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안전모를 이용한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은, 체온감지부와 체온판단모듈의 구성을 통해 작업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작업자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체크하고 응급상황을 판단할 수 있는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안전모를 이용한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체구성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안전모를 이용한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부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를 이용한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감지부를 통한 응급상황 판단 진행 과정을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를 이용한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파감지부를 통한 응급상황 판단 진행 과정을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를 이용한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온감지부를 통한 응급상황 판단 진행 과정을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안전모를 이용한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은, 산업 현장 내에서 작업자의 뇌파 및 체온을 감지하여 건강 및 안전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스마트 안전모를 이용한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모(2)에 마련되어 무선통신 방식으로 일정 영역 내의 상기 작업자의 위치를 감지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감지부(21)와, 상기 안전모(2)에 마련되며 상기 작업자의 두부에 접촉하여 뇌파를 감지하고 뇌파정보를 생성하는 뇌파감지부(22)와, 상기 안전모(2)에 마련되어 상기 작업자의 귀 뒤편에 접촉하여 체온을 감지하고 체온정보를 생성하는 체온감지부(23) 및 상기 위치정보, 뇌파정보 및 체온정보를 전송받아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작업자의 안전상태를 판단하는 서버부(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감지부(21)는 상기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모(2)에 마련되어 무선통신 방식으로 일정 영역 내의 상기 작업자의 위치를 감지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위치감지부(21)는 GPS를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위치감지부(21)는 GPS 상에 나타나 있는 현재 위치를 토대로 상기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장 내에는 상기 위치감지부(21)와 무선으로 통신가능하여 상기 위치감지부(21)가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체크포인트장치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체크포인트장치는 상기 위치감지부(21)와 블루투스, nfc 또는 와이파이로 통신하고, 상기 위치감지부(21)는 상기 체크포인트장치와 통신하여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크포인트장치는 작업장 내에서 기 설정된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작업자가 작업장에 진입한 깊이 또는 위치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상기 체크포인트장치는 작업장 내에서 기 설정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위험 구역으로 설정된 장소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작업자가 위험 구역에 진입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감지부(21)는 상기 작업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와 연결되어 상기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 단말기는 GPS 및 와이파이 모듈을 통해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위치감지부(21)는 상기 작업자 단말기와 통신하여 상기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뇌파감지부(22)는 상기 안전모(2)에 마련되어 상기 작업자의 두부에 접촉하여 뇌파를 감지하고 뇌파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뇌파감지부(22)는 상기 작업자의 뇌파를 측정하기 위해 복수 개의 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온감지부(23)는 상기 안전모(2)에 마련되어 상기 작업자의 귀 뒤편에 접촉하여 체온을 감지하고 체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체온감지부(23)는 상기 안전모(2)에서 연장되는 패치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작업자의 귀 뒤편에 부착되고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귀 뒤편은 상기 작업자의 움직임에 방해를 주지 않고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신체부위 예 중의 하나로, 후두부 또는 목뒷편 등 상기 작업자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고 체온 측정이 용이한 위치라면 어느 위치에 온도측정 패치가 부착되어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상기 서버부(1)는 상기 위치정보, 뇌파정보 및 체온정보를 전송받아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작업자의 안전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버부(1)는 위치판단모듈(11), 뇌파판단모듈(12), 체온판단모듈(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판단모듈(11)은 상기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작업자가 기 설정된 위험 구역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뇌파판단모듈(12)은 상기 뇌파정보에 따라 상기 작업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온판단모듈(13)은 상기 체온정보가 기 설정된 체온 범위를 벗어나는지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뇌파판단모듈(12)은 노이즈제거모듈(121) 및 뇌파분석모듈(12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노이즈제거모듈(121)은 상기 뇌파정보를 밴드패스 필터(bandpass filter)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유효구간을 벗어날 경우 노이즈로 취급하여 노이즈 구간을 삭제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노이즈제거모듈(121)은 상기 뇌파감지부(22)로부터 취득된 뇌파를 밴드패스 필터(bandpass filter)를 이용하여 유효구간 범위로 필터하고, 착용자의 목과 얼굴의 심한 움직임으로 인하여 발생된 근전도 노이즈가 소정 값 이상 발생되어 뇌파에 희석되는 경우 해당 시간의 뇌파신호 정보 전체를 노이즈로 취급하여 삭제하고, 착용자의 심한 움직임으로 상기 뇌파감지부(22)의 전극이 일시적으로 탈착되거나 접촉이 불량한 경우, 일시적 전극 탈착으로 해석하여 해당 시간의 뇌파신호 정보 전체를 노이즈로 취급하여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이즈제거모듈(121)은 착용자의 움직임으로 인해 상기 뇌파정보에 노이즈가 발생하여 뇌파 판단이 불가능할 경우, 정상뇌파 복귀 여부에 따라 피드백이 제공될 수 있다. 정상뇌파로 복귀 시, 뇌파 판단이 불가한 구간의 정보를 삭제할 수 있고, 소정 시간동안 정상뇌파로 복귀하지 않을 시, 상기 서버부(1)에 해당 뇌파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이즈제거모듈(121)은 착용자의 과도한 움직임에 의해 근전도 노이즈가 소정 값 이상 발생되어 뇌파에 희석되는 경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놓을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근전도 노이즈가 뇌파를 희석하는 경우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기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뇌파분석모듈(122)은 상기 노이즈제거모듈(121)에 의해 노이즈가 제거된 상기 뇌파정보를 스펙트럼 분석 기반으로 델타파, 세타파, 알파파, 베타파 및 감마파 중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뇌파값을 실시간으로 구할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상기 뇌파분석모듈(122)에서 구한 뇌파값으로 계산한 하기의 A값이 하기의 B값에 비해 소정값 이상 높아지고 그 상태가 소정 시간 지속되면 상기 서버부(1)에 뇌파값을 전송할 수 있다.
A = 알파파/(알파파+베타파)
B = 베타파/(알파파+베타파)
상기 소정값은 1.1 내지 3배 범위내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소정 시간은 2초 내지 60초 범위내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버부(1)는 응급판단모듈(1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응급판단모듈(14)은 상기 위치판단모듈(11)의 판단결과가 위험 구역인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작업자 단말기와 관리자용 단말기를 비롯한 기 지정된 단말기에 응급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급판단모듈(14)은 상기 뇌파판단모듈(12)의 판단결과가 소정의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작업자가 응급상황에 처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작업자 단말기와 관리자용 단말기를 비롯한 기 지정된 단말기에 응급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급판단모듈(14)은 상기 체온판단모듈(13)의 판단결과가 소정의 체온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작업자가 응급상황에 처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작업자 단말기와 관리자용 단말기를 비롯한 기 지정된 단말기에 응급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버부(1)에는 빅데이터분석모듈(15)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빅데이터분석모듈(15)은 기존의 건강하고 안정적인 사람의 뇌파값과 체온값을 수집하고, 각 작업 상황에 따른 정상적인 변화 범주를 통계내어 상기 응급판단모듈(14)에 전송하며, 상기 응급판단모듈(14)은 상기 빅데이터모듈이 전송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응급상황 여부 및 내용을 구체적으로 판단하여 응급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고,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안전모(2)를 이용한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적절한 적용예는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안전모(2)에는 상기 위치감지부(21), 뇌파감지부(22) 및 체온감지부(23)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안전모(2)는 상기 서버부(1)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이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감지부(21), 뇌파감지부(22) 및 체온감지부(23)에 의해서 위치정보, 뇌파정보, 체온정보가 각각 생성되고 상기 서버부(1)에 전송된다.
상기 서버부(1)에 마련되는 상기 위치판단모듈(11)은 상기 작업자의 현재 작업 위치의 위험도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뇌파판단모듈(12)은 상기 작업자의 현재 뇌파 안정도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체온판단모듈(13)은 상기 작업자의 체온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는지 판단한다.
상기 위치판단모듈(11), 뇌파판단모듈(12), 체온판단모듈(13)의 판단결과는 상기 응급판단모듈(14)로 전송되고, 각 판단 결과가 소정의 안정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응급판단모듈(14)은 상기 작업자 단말기와 관리자 단말기에게 응급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응급판단모듈(14)은 응급신호를 긴급의료센터, 119 등에 전송하여 상기 작업자의 위험을 알리고 구조를 요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서버부
11 : 위치판단모듈
12 : 뇌파판단모듈
121 : 노이즈제거모듈
122 : 뇌파분석모듈
13 : 체온판단모듈
14 : 응급판단모듈
15 : 빅데이터분석모듈
2 : 안전모
21 : 위치감지부
22 : 뇌파감지부
23 : 체온감지부

Claims (3)

  1. 산업 현장 내에서 작업자의 뇌파 및 체온을 감지하여 건강 및 안전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스마트 안전모를 이용한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모에 마련되어 무선통신 방식으로 일정 영역 내의 상기 작업자의 위치를 감지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감지부;
    상기 안전모에 마련되며 상기 작업자의 두부에 접촉하여 뇌파를 감지하고 뇌파정보를 생성하는 뇌파감지부;
    상기 안전모에 마련되어 상기 작업자의 귀 뒤편에 접촉하여 체온을 감지하고 체온정보를 생성하는 체온감지부; 및
    상기 위치정보, 뇌파정보 및 체온정보를 전송받아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작업자의 안전상태를 판단하는 서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모를 이용한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부는,
    상기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작업자가 기 설정된 위험 구역에 진입여부를 판단하는 위치판단모듈;
    상기 뇌파정보에 따라 상기 작업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는 뇌파판단모듈; 및
    상기 체온정보가 기 설정된 체온 범위를 벗어나는지 판단하는 체온판단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모를 이용한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뇌파판단모듈은,
    상기 뇌파정보를 밴드패스 필터(bandpass filter)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유효구간을 벗어날 경우 노이즈로 취급하여 노이즈 구간을 삭제하는 노이즈제거모듈; 및
    상기 노이즈제거모듈에 의해 노이즈가 제거된 상기 뇌파정보를 스펙트럼 분석 기반으로 델타파, 세타파, 알파파, 베타파 및 감마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뇌파값을 실시간으로 구하는 뇌파분석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모를 이용한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KR1020210040547A 2021-03-29 2021-03-29 스마트 안전모를 이용한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KR202201350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547A KR20220135051A (ko) 2021-03-29 2021-03-29 스마트 안전모를 이용한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547A KR20220135051A (ko) 2021-03-29 2021-03-29 스마트 안전모를 이용한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051A true KR20220135051A (ko) 2022-10-06

Family

ID=83597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547A KR20220135051A (ko) 2021-03-29 2021-03-29 스마트 안전모를 이용한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505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43449A (zh) * 2023-02-09 2023-06-27 清华大学 施工现场的安全监测预警方法、装置及系统
KR102672175B1 (ko) * 2023-02-07 2024-06-07 엑셀로 주식회사 작업자의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8383B1 (ko) 2016-06-08 2018-03-13 강동락 스마트 안전모 및 스마트 안전모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8383B1 (ko) 2016-06-08 2018-03-13 강동락 스마트 안전모 및 스마트 안전모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2175B1 (ko) * 2023-02-07 2024-06-07 엑셀로 주식회사 작업자의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
CN116343449A (zh) * 2023-02-09 2023-06-27 清华大学 施工现场的安全监测预警方法、装置及系统
CN116343449B (zh) * 2023-02-09 2024-02-06 清华大学 施工现场的安全监测预警方法、装置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7209A (ko) 개인 안전을 제공하기 위한 자동화 시스템 및 프로세스
KR101485925B1 (ko) 현장작업자 안전감시시스템
KR102185224B1 (ko) 작업자와 작업환경의 모니터링이 가능한 헬멧 및 이를 이용한 작업현장 모니터링 시스템
KR20220135051A (ko) 스마트 안전모를 이용한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KR102156703B1 (ko)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포함하는 산업안전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KR102103832B1 (ko) 뇌파기반 스마트 안전모 및 관리 시스템
WO2008085511A1 (en) Helmet and system for monitoring persons engaged in hazardous activity
US20170156667A1 (en) Team participant awareness indicator and indicative notification
KR101690494B1 (ko) 신체정보를 이용한 건설근로자 안전 및 생산성 관리 시스템
KR102359204B1 (ko) 근로자의 근무상태 및 건강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JP2012187127A (ja) 熱中症予防システム
KR102088458B1 (ko) 작업자 관리 시스템
KR20180092130A (ko)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근로자 건강관리 방법
KR20180092123A (ko) 생체신호 기반의 안전관리 작업복을 이용한 근로자 건강관리 모니터링 방법
GB2571118A (en) Eye wear-attachable safety communication apparatus, safety insurance method and a system
CN112270806A (zh) 一种健康安全状况监测系统
KR102047341B1 (ko) 사용자 위기상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CN207587139U (zh) 穿戴式预警救援设备及预警救援系统
CN116194968A (zh) 用于检测装备的移除和其他状态条件的个人防护装备系统和方法
KR20200073825A (ko) 공기 중 위험상황 감지를 위한 웨어러블 가스 측정 시스템
KR20090123041A (ko) 헬멧 형 유비쿼터스 안전관리 시스템 및 서비스
KR20160117934A (ko) 뇌파를 이용한 건설근로자 안전관리 시스템
KR102164508B1 (ko) 안전보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361837B1 (ko) 스마트 헬멧용 뇌파 감지장치
KR20220108339A (ko) 뇌파 감지장치를 이용한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