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4139A - Touch input device - Google Patents

Touch inpu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4139A
KR20220134139A KR1020210039402A KR20210039402A KR20220134139A KR 20220134139 A KR20220134139 A KR 20220134139A KR 1020210039402 A KR1020210039402 A KR 1020210039402A KR 20210039402 A KR20210039402 A KR 20210039402A KR 20220134139 A KR20220134139 A KR 20220134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patterns
control unit
stylus
inpu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94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26571B1 (en
Inventor
김세엽
김본기
고범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딥
Priority to KR1020210039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6571B1/en
Priority to JP2023558949A priority patent/JP2024511467A/en
Priority to EP22776171.5A priority patent/EP4318191A1/en
Priority to PCT/KR2022/004265 priority patent/WO2022203471A1/en
Publication of KR20220134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4139A/en
Priority to KR1020240004967A priority patent/KR202400100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riority to KR1020240008732A priority patent/KR20240013265A/en
Publication of KR102626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571B1/en
Priority to JP2024010766A priority patent/JP202404204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2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xchanging data with external devices, e.g. smart pens, via the digitiser sensing hardwa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3Peripheral electrode pattern in resistive digitisers, i.e. electrodes at the periphery of the resistive sheet are shaped in patterns enhancing linearity of induced fie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touch input device capable of detecting a touch position, driving a stylus pen, and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stylus pen. The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ensor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ensor unit. The sensor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patterns. The plurality of patterns includes a first pattern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 second pattern disposed inside the first pattern, a third pattern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a fourth pattern disposed inside the third pattern.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first pattern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other ends of the third pattern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Description

터치 입력 장치{TOUCH INPUT DEVICE}Touch input device {TOUCH INPUT DEVICE}

본 발명은 터치 위치를 검출하고, 스타일러스 펜을 구동시키며,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다기능의 터치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touch input device capable of detecting a touch position, driving a stylus pen, and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stylus pen.

도 1은 종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서 스타일러스 펜(10)의 위치에 따라 CVA(Capacitor Voltage Amplitude)의 출력전압(Vout)이 달라지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at the output voltage (Vout) of the CVA (Capacitor Voltage Amplitud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tylus pen 10 on the conventional flexible display panel.

도 1을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펜(10)의 위치에 따라 CVA의 출력이 다르게 나오는 원인은, 감지 라인 상에서 펜(10)을 중심으로 한 양쪽의 임피던스(impedance) 비율이 달라짐에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reason that the CVA output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pen 10 on the flexible display panel is that the impedance ratio of both sides of the pen 10 centered on the sensing line is different.

종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장축 기준으로, 메탈메쉬(Metal Mesh) 터치 센서의 저항(R)은 대략 1.2k (ohm)이고, 커패시터(C)는 대략 250pF이다.Based on the long axis of the conventional flexible display panel, the resistance (R) of the metal mesh touch sensor is about 1.2k (ohm), and the capacitor (C) is about 250pF.

10개의 분산 모델(distributed model) 기준으로, 구동주파수 300kHz에서는 커패시터(capacitor)의 임피던스(impedance)가 저항보다 대략 200배(120 (ohm) vs. 1/(2ð*300k*25pF) = 21k (ohm)) 더 크다. 따라서, 커패시터(capacitor)가 주요한 원인이다.Based on 10 distributed models, at a driving frequency of 300 kHz, the impedance of a capacitor is approximately 200 times that of a resistor (120 (ohm) vs. 1/(2ð*300k*25pF) = 21k (ohm) )) larger. Therefore, the capacitor (capacitor) is the main cause.

도 2는 도 1에서 펜(10)의 위치에 따라 CVA의 출력전압(Vout1, Vout2)이 다르다는 것을 전류 센싱(current sensing)을 통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서 펜(10)의 위치에 따라 CVA의 출력전압(Vout1, Vout2)이 다르다는 것을 전압 센싱(voltage sensing)을 통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rough current sensing that the output voltages Vout1 and Vout2 of the CVA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pen 10 in FIG. 1 , and FIG. 3 is the pen 10 in FIG. 1 . It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rough voltage sensing that the output voltages Vout1 and Vout2 of the CVA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CVA.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감지 라인 상에서 펜(10)의 위치에 따라, CVA의 출력전압이 다르다. 즉, 감지 회로부(50) 측에 펜(10)이 가까울수록 CVA의 출력전압이 크고, 감지 회로부(50) 측으로부터 멀어질수록 CVA의 출력전압이 작아진다.2 and 3 , the output voltage of the CVA varie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en 10 on the sensing line. That is, the closer the pen 10 is to the sensing circuit unit 50, the greater the CVA output voltage, and the farther it is from the sensing circuit unit 50, the smaller the CVA output voltag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터치 위치를 검출하고, 스타일러스 펜을 구동시키며,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다기능의 터치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touch input device capable of detecting a touch position, driving a stylus pen, and detecting a position of the stylus pen.

또한,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에 따라 감지 회로부의 출력전압이 달라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터치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re is provided a touch input device capable of solving a problem that an output voltage of a sensing circuit unit varies according to a position of a stylus pen.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다수의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패턴들은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패턴, 상기 제1 패턴 내부에 배치된 제2 패턴,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3 패턴, 상기 제3 패턴 내부에 배치된 제4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제1 패턴들의 타 단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3 패턴들의 타 단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A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ensor, wherein the sensor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patterns, wherein the plurality of patterns extend in a first direction a pattern, a second pattern disposed inside the first pattern, a third pattern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a fourth pattern disposed inside the third pattern, Other ends of the first pattern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other ends of the third pattern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를 사용하면, 터치 위치를 검출하고, 스타일러스 펜을 구동시키며,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When the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re is an advantage of detecting the touch position, driving the stylus pen, and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stylus pen.

또한,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에 따라 감지 회로부의 출력전압이 달라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output voltage of the sensing circuit unit varie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tylus pen.

도 1은 종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서 스타일러스 펜(10)의 위치에 따라 CVA(Capacitor Voltage Amplitude)의 출력전압(Vout)이 달라지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펜(10)의 위치에 따라 CVA의 출력전압(Vout1, Vout2)이 다르다는 것을 전류 센싱(current sensing)을 통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 펜(10)의 위치에 따라 CVA의 출력전압(Vout1, Vout2)이 다르다는 것을 전압 센싱(voltage sensing)을 통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터치 입력 장치가 터치 센싱 모드(또는 2D 센싱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터치 입력 장치가 안테나 구동 모드(또는 스타일러스 구동 모드, 또는 스타일러스 업링크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터치 입력 장치가 스타일러스 센싱 모드(또는 스타일러스 다운링크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의 (a) 내지 (e)는 도 7의 스타일러스 센싱 모드의 동작 원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터치 입력 장치가 터치 센싱 모드(또는 2D 센싱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터치 입력 장치가 안테나 구동 모드(또는 스타일러스 구동 모드, 또는 스타일러스 업링크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터치 입력 장치가 스타일러스 센싱 모드(또는 스타일러스 다운링크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터치 입력 장치가 터치 센싱 모드(또는 2D 센싱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터치 입력 장치가 안테나 구동 모드(또는 스타일러스 구동 모드, 또는 스타일러스 업링크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3에 도시된 터치 입력 장치가 스타일러스 센싱 모드(또는 스타일러스 다운링크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4, 도 9 및 도 13에 도시된 여러 실시 형태들의 특성을 비교한 표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at the output voltage (Vout) of the CVA (Capacitor Voltage Amplitud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tylus pen 10 on the conventional flexible display panel.
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rough current sensing that the output voltages Vout1 and Vout2 of the CVA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en 10 in FIG. 1 .
FIG.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rough voltage sensing that the output voltages Vout1 and Vout2 of the CVA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en 10 in FIG. 1 .
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touch input device illustrated in FIG. 4 operates in a touch sensing mode (or a 2D sensing mode).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touch input device illustrated in FIG. 4 operates in an antenna driving mode (or a stylus driving mode, or a stylus uplink mode).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touch input device illustrated in FIG. 4 operates in a stylus sensing mode (or a stylus downlink mode).
8A to 8E are diagrams for schematically explaining an operation principle of the stylus sensing mode of FIG. 7 .
9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touch input device shown in FIG. 9 operates in a touch sensing mode (or a 2D sensing mode).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touch input device illustrated in FIG. 9 operates in an antenna driving mode (or a stylus driving mode, or a stylus uplink mode).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touch input device illustrated in FIG. 9 operates in a stylus sensing mode (or a stylus downlink mode).
1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touch input device illustrated in FIG. 13 operates in a touch sensing mode (or a 2D sensing mode).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touch input device illustrated in FIG. 13 operates in an antenna driving mode (or a stylus driving mode, or a stylus uplink mode).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touch input device illustrated in FIG. 13 operates in a stylus sensing mode (or a stylus downlink mode).
17 is a table comparing characteristics of various embodiments shown in FIGS. 4, 9 and 13 .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형태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형태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형태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형태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형태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10]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10]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Reference is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show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with respect to one embodiment.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proper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scope equivalents to those claimed.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various aspects.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형태들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는, 전자 디바이스로서,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예: 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n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a smartphone, a tablet personal computer (PC), a vehicle display device, a mobile phone, a video phon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e-book reader, a laptop personal computer, a netbook computer, a mobile medical device, a camera, or a wearable device. Here, the wearable device may be an accessory type (eg, watch, ring, bracelet, anklet, necklace, eyeglasses, contact lens, or head-mounted-device (HMD)), a textile or an integrated garment (eg, electronic garment). ), a body attachable type (eg, a skin pad or a tattoo), or a bioimplantable type (eg, an implantable circuit).

이하에서는 여러 실시 형태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개략도이다.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는 센서부(100)와 제어부(5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 the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100 and a control unit 500 .

센서부(100)는 다수의 패턴(또는 다수의 전극)을 포함한다. The sensor unit 100 includes a plurality of patterns (or a plurality of electrodes).

센서부(100)는 다수의 제1 내지 제4 패턴(101, 102, 103, 104)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or unit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to fourth patterns 101 , 102 , 103 , and 104 .

제1 패턴(101)은 제1 방향(또는 장축)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갖는다. The first pattern 101 has a shape extending along the first direction (or long axis).

제1 패턴(101)은 다수의 다이아몬드 패턴부와, 다수의 다이아몬드 패턴부 중에서 서로 인접한 2개의 다이아몬드 패턴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패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pattern 101 may include a plurality of diamond pattern portions and a connection pattern portion connecting two diamond pattern portions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diamond pattern portions.

제1 패턴(101)은 내부에 제2 패턴(102)이 배치되는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The first pattern 101 may have an opening in which the second pattern 102 is disposed.

제1 패턴(101)은 제2 패턴(102)를 둘러싸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패턴(101)은 제2 패턴(102)로부터 소정 간격 떨어져 배치된다. 이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다.The first pattern 101 may have a structure surrounding the second pattern 102 . The first pattern 101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cond pattern 102 . In this way, they are electrically isolated from each other.

제2 패턴(102)은 제1 패턴(101) 내부에 배치된다.The second pattern 102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pattern 101 .

제2 패턴(102)는 다수의 다이아몬드 패턴부와, 다수의 다이아몬드 패턴부 중에서 서로 인접한 2개의 다이아몬드 패턴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패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pattern 102 may include a plurality of diamond pattern portions and a connection pattern portion connecting two diamond pattern portions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diamond pattern portions.

제1 패턴(101)과 제2 패턴(102)이 다수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A plurality of the first pattern 101 and the second pattern 102 ar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다수의 제1 패턴(101)들의 일 단들은 제어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 단들은 전기적으로 오픈(open)된다.One ends of the plurality of first patterns 101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00, and the other ends are electrically open.

다수의 제2 패턴(102)들의 일 단들은 제어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 단들은 전도성 트레이스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타 단들은 접지될 수도 있다. 다수의 제2 패턴(102)들의 타 단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각 제2 패턴(102) 별 커패시턴스가 더해지므로 전체 임피던스는 줄어들게 되고, 다수의 제2 패턴(102)들의 타 단들이 접지된 것과 유사한 효과를 갖게 된다.One end of the plurality of second patterns 10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500, and the other end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nductive trace. Here, the other 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may be grounded. When the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second patterns 10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capacitance for each second pattern 102 is added, so that the overall impedance is reduced, and the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second patterns 102 are grounded. will have a similar effect to

제1 패턴(101)과 제2 패턴(102)은 동일층에 배치될 수 있다. 메탈 메쉬(metal mesh)를 이용하여 제1 패턴(101)과 제2 패턴(102)을 동일층에 형성시킬 수 있다.The first pattern 101 and the second pattern 102 may be disposed on the same layer. The first pattern 101 and the second pattern 102 may be formed on the same layer by using a metal mesh.

제3 패턴(103)은 제2 방향(또는 단축)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갖는다. The third pattern 103 has a shape extending along the second direction (or minor axis).

제3 패턴(103)은 다수의 다이아몬드 패턴부와, 다수의 다이아몬드 패턴부 중에서 서로 인접한 2개의 다이아몬드 패턴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패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pattern 103 may include a plurality of diamond pattern portions and a connection pattern portion connecting two diamond pattern portions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diamond pattern portions.

제3 패턴(103)은 내부에 제4 패턴(104)이 배치되는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The third pattern 103 may have an opening in which the fourth pattern 104 is disposed.

제3 패턴(103)은 제4 패턴(104)를 둘러싸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3 패턴(103)은 제4 패턴(104)로부터 소정 간격 떨어져 배치된다. 이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다.The third pattern 103 may have a structure surrounding the fourth pattern 104 . The third pattern 103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ourth pattern 104 . In this way, they are electrically isolated from each other.

제4 패턴(104)은 제3 패턴(103) 내부에 배치된다.The fourth pattern 104 is disposed inside the third pattern 103 .

제4 패턴(104)는 다수의 다이아몬드 패턴부와, 다수의 다이아몬드 패턴부 중에서 서로 인접한 2개의 다이아몬드 패턴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패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ourth pattern 104 may include a plurality of diamond pattern portions and a connection pattern portion connecting two diamond pattern portions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diamond pattern portions.

제3 패턴(103)과 제4 패턴(104)이 다수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A plurality of third patterns 103 and fourth patterns 104 ar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다수의 제3 패턴(103)들의 일 단들은 제어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 단들은 전기적으로 오픈(open)된다.One end of the plurality of third patterns 10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00, and the other ends are electrically open.

다수의 제4 패턴(104)들의 일 단들은 전기적으로 오픈(open)연결되고, 타 단들은 전도성 트레이스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타 단들은 접지될 수도 있다. 다수의 제4 패턴(104)들의 타 단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각 제4 패턴(104) 별 커패시턴스가 더해지므로 전체 임피던스는 줄어들게 되고, 다수의 제4 패턴(104)들의 타 단들이 접지된 것과 유사한 효과를 갖게 된다.One ends of the plurality of fourth patterns 104 are electrically openly connected, and the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fourth patterns 104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conductive traces. Here, the other 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may be grounded. When the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fourth patterns 104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capacitance for each fourth pattern 104 is added, so that the overall impedance is reduced, and the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fourth patterns 104 are grounded. will have a similar effect to

제3 패턴(103)과 제4 패턴(104)은 동일층에 배치될 수 있다. 메탈 메쉬(metal mesh)를 이용하여 제3 패턴(103)과 제4 패턴(104)을 동일층에 형성시킬 수 있다.The third pattern 103 and the fourth pattern 104 may be disposed on the same layer. The third pattern 103 and the fourth pattern 104 may be formed on the same layer by using a metal mesh.

제1 패턴(101)과 제2 패턴(102)은 제1 층에 배치되고, 제3 패턴(103)과 제4 패턴(104)은 제1 층과 다른 제2 층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pattern 101 and the second pattern 102 may be disposed on a first layer, and the third pattern 103 and the fourth pattern 104 may be disposed on a second layer different from the first layer.

제어부(500)는 센서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센서부(100)를 제어한다. 제어부(500)와 센서부(100)의 연결은 전도성 트레이스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5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100 and controls the sensor unit 100 . The control unit 500 and the sensor unit 1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conductive traces.

제어부(500)는 다수의 구동 회로부와 다수의 감지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5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driving circuit units and a plurality of sensing circuit units.

다수의 구동 회로부는 터치 센싱을 위한 구동 회로부와 스타일러스 구동을 위한 구동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driving circuit units may include a driving circuit unit for sensing a touch and a driving circuit unit for driving the stylus.

다수의 감지 회로부는 터치 센싱을 위한 감지 회로부와 스타일러스 센싱을 위한 감지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감지 회로부 중 일부의 감지 회로부는 터치 센싱도 수행하고, 스타일러스 센싱도 수행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sensing circuit units may include a sensing circuit unit for sensing a touch and a sensing circuit unit for sensing a stylus. Here, some of the sensing circuit units may also perform touch sensing and stylus sensing.

제어부(500)는 센서부(100)를 터치 센싱 모드, 안테나 구동 모드 및 스타일러스 센싱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500 may control the sensor unit 100 to operate in any one of a touch sensing mode, an antenna driving mode, and a stylus sensing mode.

제어부(500)는 각 모드에 따라 다수의 구동/감지 회로부를 센서부(100)와 연결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500)는 다수의 구동/감지 회로부와 센서부(10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다수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500 may connect a plurality of driving/sensing circuit units to the sensor unit 100 according to each mode.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5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witche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driving/sensing circuit units and the sensor unit 100 .

이하, 각 모드를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m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터치 입력 장치가 터치 센싱 모드(또는 2D 센싱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touch input device illustrated in FIG. 4 operates in a touch sensing mode (or a 2D sensing mode).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터치 센싱 모드 시, 제어부(500)는 터치 센싱을 위한 구동 회로부를 센서부(100)의 제1 패턴(101)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다수의 제1 패턴(101) 각각에 하나의 구동 회로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4 and 5 , in the touch sensing mode, the control unit 500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driving circuit unit for touch sensing to the first pattern 101 of the sensor unit 100 . One driving circuit un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atterns 101 .

또한, 제어부(500)는 터치 센싱을 위한 감지 회로부를 센서부(100)의 제3 패턴(103)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다수의 제3 패턴(103) 각각에 하나의 감지 회로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lso, the controller 500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sensing circuit unit for touch sensing to the third pattern 103 of the sensor unit 100 . One sensing circuit un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third patterns 103 .

터치 센싱 모드에서, 제어부(500)는 다수의 제1 패턴(101)으로 터치 센싱을 위한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다수의 제3 패턴(103)으로부터 수신되는 감지 신호를 수신한다. 다수의 제3 패턴(103)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500)의 감지 회로부는 입력되는 감지 신호에 포함된 커패시턴스 변화량 정보를 소정의 전압값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출력된 전압값을 처리하여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In the touch sensing mode, the controller 500 applies a driving signal for touch sensing to the plurality of first patterns 101 and receives sensing signals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third patterns 103 . The sensing circuit unit of the control unit 50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third patterns 103 may output capacitance change amount information included in an input sensing signal to a predetermined voltage value. The controller 500 may detect the touch position by processing the output voltage value.

도 5에서는 제어부(500)가 다수의 제2 패턴(102)과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았지만, 제1 패턴(101)과 제2 패턴(102) 사이의 커패시티브 커플링(capacitive coupling)이 발생되지 않도록, 각 제2 패턴(102)에 하나의 구동 회로부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 때, 제어부(500)는 다수의 제1 패턴(101)과 다수의 제2 패턴(102)으로 동일한 구동 신호가 인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500)는 다수의 제2 패턴(102)으로 기준전위가 인가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In FIG. 5 , the control unit 500 is no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patterns 102 , but capacitive coupling occurs between the first pattern 101 and the second pattern 102 . To prevent this from happening, one driving circuit unit may be connected to each second pattern 102 .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500 may control so that the same driving signal is applied to the plurality of first patterns 101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atterns 102 . Alternatively, the controller 500 may control the reference potential to be appli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patterns 102 .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터치 입력 장치가 안테나 구동 모드(또는 스타일러스 구동 모드, 또는 스타일러스 업링크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touch input device illustrated in FIG. 4 operates in an antenna driving mode (or a stylus driving mode, or a stylus uplink mode).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안테나 구동 모드 시, 제어부(500)는 안테나 구동을 위한 구동 회로부를 센서부(100)의 제2 패턴(102)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다수의 제2 패턴(102) 각각에 하나의 구동 회로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4 and 6 , in the antenna driving mode, the control unit 500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driving circuit unit for driving the antenna to the second pattern 102 of the sensor unit 100 . One driving circuit un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patterns 102 .

제어부(500)는 다수의 제2 패턴(102)에 연결된 각 구동 회로부에서 출력되는 구동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제1 구동 회로부에서 소정 주파수의 펄스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제2 구동 회로부에서 어떠한 펄스 신호도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제3 구동 회로부에서 제1 구동 회로부에서 출력되는 펄스 신호와 상반되는 펄스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구동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패턴(102)과 제3 구동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패턴으로 전류 루프가 형성된다. 형성된 전류 루프에 의해 자기장이 발생되고, 자기장에 의해 근접한 스타일러스 펜이 공진되어 구동될 수 있다. The controller 500 may control a driving signal output from each driving circuit unit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patterns 102 .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500 controls the pulse signal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to be output from the first driving circuit unit, controls so that no pulse signal is output from the second driving circuit unit, and controls the third driving circuit unit to output a pulse signal from the first driving circuit unit. A pulse signal opposite to the output pulse signal may be controlled to be output. In this case, a current loop is formed of the second pattern 102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circuit unit and the second patter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driving circuit unit. A magnetic field is generated by the formed current loop, and a stylus pen adjacent thereto may be resonated and driven by the magnetic field.

제어부(500)는 다수의 제2 패턴(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구동 회로부 중에서 임의의 2개의 구동 회로부에서 서로 상반된 펄스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500)는 전류 루프의 크기나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가 근접한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검출한 경우에는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 주변의 2개의 제2 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 회로부에서 서로 상반된 펄스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검출하지 못한 경우에는 다수의 제2 패턴(102) 중 양측 최외곽에 위치한 2개의 제2 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 회로부에서 서로 상반된 펄스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500 may control to output opposite pulse signals from any two driving circuit units among the plurality of driving circuit unit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patterns 102 . Accordingly, the controller 500 may change and set the size or position of the current loop in various ways. For example, when the control unit 500 detects the position of the stylus pen that is close to it, the driving circuit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wo second patterns around the position of the stylus pen can control to output opposite pulse signals, When the position of the stylus pen is not detected, the driving circuit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wo second pattern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plurality of second patterns 102 may be controlled to output opposite pulse signals.

한편,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어부(500)는 다수의 제1 패턴(101) 또는 다수의 제3 패턴(103)에 구동 신호가 인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체 채널 수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illustrated in a separate drawing, the controller 500 may control the driving signal to be applied to the plurality of first patterns 101 or the plurality of third patterns 103 . 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total number of channels can be reduced.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터치 입력 장치가 스타일러스 센싱 모드(또는 스타일러스 다운링크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touch input device illustrated in FIG. 4 operates in a stylus sensing mode (or a stylus downlink mode).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스타일러스 센싱 모드 시, 제어부(500)는 스타일러스 센싱을 위한 감지 회로부를 센서부(100)의 제1 패턴(101) 및 제3 패턴(103)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4 and 7 , in the stylus sensing mode, the control unit 500 electrically connects the sensing circuit unit for stylus sensing to the first pattern 101 and the third pattern 103 of the sensor unit 100, respectively. can do it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는 스타일러스 센싱 모드에서 센서부(100) 상의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에 따라 감지 회로부의 출력전압 값이 거의 변경되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원리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output voltage value of the sensing circuit unit hardly change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tylus pen on the sensor unit 100 in the stylus sensing mode. A specific principle for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

도 8의 (a) 내지 (e)는 도 7의 스타일러스 센싱 모드의 동작 원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8A to 8E are diagrams for schematically explaining an operation principle of the stylus sensing mode of FIG. 7 .

도 8의 (a)는 임의의 제1 패턴(101)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고, 도 8의 (b)는 상기 임의의 제1 패턴(101)에 가장 인접한 제2 패턴(102)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다.8 (a) is a circuit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rbitrary first pattern 101, and FIG. 8 (b)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econd pattern 102 closest to the arbitrary first pattern 101. It is a circuit diagram shown as

도 8의 (c)는 도 8의 (a)의 회로도에서의 전압 분포 그래프이고, 도 8의 (d)는 도 8의 (b)의 회로도에서의 전압 분포 그래프이다. FIG. 8(c) is a voltage distribution graph in the circuit diagram of FIG. 8(a), and FIG. 8(d) is a voltage distribution graph in the circuit diagram of FIG. 8(b).

도 8의 (a) 및 (c)를 참조하면, 제1 패턴(101) 상에서 감지 회로부로부터 가능한 멀리 떨어진 임의의 A 지점에 스타일러스 펜이 근접하면, 해당 A 지점에 스타일러스 펜에서 방출되는 신호에 의해 유기되는 전압(Vemf, 이하, '유기 전압'이라 함.)이 발생된다.Referring to (a) and (c) of FIG. 8 , when the stylus pen approaches any point A as far away from the sensing circuit as possible on the first pattern 101, the signal emitted from the stylus pen at the point A An induced voltage (Vemf,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nduced voltage') is generated.

A 지점에 유기 전압(Vemf)이 발생되면, 제1 패턴(101)의 등가 커패시터(C)의 임피던스가 크기 때문에, 유기 전압(Vemf)은 등가 커패시터(C)의 양단에 거의 대부분 걸린다. 따라서, A 지점의 우측은 거의 0(V)에 가까운 전압이 걸려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게 되고, A 지점의 좌측은 -Vemf 가 걸린다. 게다가, A 지점의 우측의 거의 0(V)에 가까운 전압은 제1 패턴(101)의 등가 저항(1.2K(ohm))에 의해 점점 떨어져 감지 회로부의 입력단에는 전압이 거의 걸리지 않는다.When the induced voltage Vemf is generated at the point A, since the impedance of the equivalent capacitor C of the first pattern 101 is large, the induced voltage Vemf is mostly applied to both ends of the equivalent capacitor C. Accordingly, a voltage close to 0 (V) is applied to the right side of point A, so that almost no current flows, and -Vemf is applied to the left side of point A. In addition, the voltage close to 0 (V) on the right side of the point A gradually drops by the equivalent resistance (1.2 K (ohm)) of the first pattern 101, so that almost no voltage is appli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sensing circuit part.

도 8의 (b) 및 (d)를 참조하면, A 지점에 유기 전압(Vemf)이 발생되면, A 지점의 좌측은 제2 패턴(102)들의 타 단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임피던스가 거의 0에 가까워지므로 0(V)가 걸리고, A 지점의 우측은 Vemf가 걸린다. A 지점의 우측에 걸린 Vemf는 제2 패턴(102)의 등가 저항(1.2K(ohm))에 의해 점점 떨어진다.Referring to (b) and (d) of FIG. 8 , when the induced voltage Vemf is generated at the point A, the other ends of the second patterns 10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on the left side of the point A, so that the impedance is almost zero. As it gets closer to , 0(V) is applied, and Vemf is applied to the right of point A. Vemf hung on the right side of point A gradually drops by the equivalent resistance (1.2K (ohm)) of the second pattern 102 .

도 8의 (c)와 (d)를 비교해보면, 제1 패턴(101)과 제2 패턴(102) 사이는 어느 위치에서도 Vemf 만큼의 전위차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다. 제1 패턴(101)과 제2 패턴(102) 사이의 Vemf의 전위차는 제1 패턴(101)과 제2 패턴(102) 사이의 커패시티브 커플링을 야기시키고, 상기 커패시티브 커플링에 의해, 도 8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패턴(102)에서 유도되는 전류가 제1 패턴(101)으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가 감지 회로부로부터 멀리 떨어진 경우에는 제1 패턴(101) 자체에서 발생되는 전류가 작지만, 제2 패턴(102)으로부터의 전류가 더해지기 때문에, 제어부(500)는 제1 패턴(10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감지 회로부를 통해서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센싱할 수 있다. Comparing (c) and (d) of FIG. 8 , it can be confirmed that a potential difference as much as Vemf exists between the first pattern 101 and the second pattern 102 at any position. The potential difference of Vemf between the first pattern 101 and the second pattern 102 causes a capacitive coupling between the first pattern 101 and the second pattern 102, and Accordingly, as shown in (e) of FIG. 8 , the current induced in the second pattern 102 flows to the first pattern 101 . Accordingly, when the position of the stylus pen is far from the sensing circuit unit, the current generated in the first pattern 101 itself is small, but since the current from the second pattern 102 is added, the controller 500 controls the first pattern The position of the stylus pen may be sensed through a sensing circuit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101 .

그리고, 도 8의 (a) 내지 (e)를 통해 알 수 있듯이, A 지점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더라도 제1 패턴(101)과 제2 패턴(102) 사이의 전위차는 Vemf로서 일정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센서부(100) 상에서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가 어디든 상관없이, 제어부(500)는 감지 회로부로부터 출력되는 일정한 신호로부터 스타일러스 펜을 센싱할 수 있다. And, as can be seen from (a) to (e) of Figure 8, even if point A moves to the left or right, it can be seen that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pattern 101 and the second pattern 102 is constant as Vemf. can Accordingly,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stylus pen on the sensor unit 100 , the controller 500 may sense the stylus pen from a constant signal output from the sensing circuit unit.

본 발명자들은 도 8의 (b)에서 B 지점을 오픈(open) 하더라도, 제2 패턴(102)에서 제1 패턴(101)으로 흐르는 전류는 동일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도 8의 (b)에서 B 지점에 해당되는 부분을 오픈(open)하면, 제2 패턴(102)의 등가 저항(1.2K(ohm))과 무관하게 A 지점으로부터 B 지점은 Vemf로 일정하게 전압이 유지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징은 도 4의 실시 형태에서 제2 패턴(102)들 각각의 일 단을 오픈시킨 것과 대응된다.The present inventors confirmed that the current flowing from the second pattern 102 to the first pattern 101 is the same even when the point B is opened in (b) of FIG. 8 . This means that when the part corresponding to point B in FIG. 8(b) is opened, the point B from point A is constant as Vemf regardless of the equivalent resistance (1.2K(ohm)) of the second pattern 102 . This is because the voltage is maintained. This characteristic corresponds to opening one end of each of the second patterns 102 in the embodiment of FIG. 4 .

도 8의 (e)의 설명에서 제2 패턴(102)에서 제1 패턴(101)으로 유입되는 전류가 커패시티브 커플링에 의한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패턴(102)에서 제1 패턴(101)으로 유입되는 전류는 마그네티브 커플링(자기장 커플링)에 의해서도 가능하다.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current flowing from the second pattern 102 to the first pattern 101 is due to capacitive coupling in the description of FIG. 8E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current flowing from the second pattern 102 to the first pattern 101 is also possible by magnetic coupling (magnetic field coupling).

다시,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스타일러스 센싱 모드에서, 센서부(100)의 임의의 위치에 스타일러스 펜이 근접하면,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소정의 신호가 출력되고,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제1 내지 제4 패턴(101, 102, 103, 104)에 유기 전압이 발생된다. Again, referring to FIGS. 4 and 7 , in the stylus sensing mode, when the stylus pen approaches an arbitrary position of the sensor unit 100, a predetermined signal is output from the stylus pen, and the first to first An induced voltage is generated in the fourth patterns 101 , 102 , 103 , and 104 .

스타일러스 펜이 제어부(500)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된 경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방출된 신호에 의한 유기 전압에 의해, 제1 패턴(101) 자체에서는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지만, 제2 패턴(102)으로부터 제1 패턴(101)으로 전류가 유입되므로, 제어부(500)는 제1 패턴(10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감지 회로부를 통해서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패턴(102)에서 제1 패턴(101)으로 전류가 유입되는 것은, 제1 패턴(101)과 제2 패턴(102) 사이에 상기 유기 전압만큼의 전위차가 발생되고, 발생된 전위차에 의해 제1 패턴(101)과 제2 패턴(102) 사이의 커패시티브 커플링에 의한 것이다.When the stylus pen is located far from the control unit 500 , little current flows in the first pattern 101 itself, but the second pattern 102 Since the current flows into the first pattern 101 , the controller 500 may detect the position of the stylus pen through the sensing circuit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pattern 101 . Here, when the current flows from the second pattern 102 to the first pattern 101 , a potential difference equal to the induced voltage is generated between the first pattern 101 and the second pattern 102 , and the generated potential difference This is due to capacitive coupling between the first pattern 101 and the second pattern 102 .

마찬가지로, 제3 패턴(103) 자체에서는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지만, 제4 패턴(104)으로부터 제3 패턴(103)으로 전류가 유입되므로, 제어부(500)는 제3 패턴(10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감지 회로부를 통해서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Similarly, although little current flows in the third pattern 103 itself, current flows from the fourth pattern 104 to the third pattern 103 , so the controller 5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pattern 103 . The position of the stylus pen may be detected through the sensing circuit unit.

한편,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7과 달리, 제어부(500)는 감지 회로부들을 다수의 제2 패턴(102) 또는 다수의 제4 패턴(104)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검출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unlike FIG. 7 , the control unit 500 electrically connects the sensing circuit units to the plurality of second patterns 102 or the plurality of fourth patterns 104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stylus pen. You may.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개략도이다.9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는 센서부(100')와 제어부(5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9 , a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100 ′ and a control unit 500 ′.

센서부(100')는, 다수의 패턴들을 포함한다. 다수의 패턴들은 제1a 패턴(101a), 제1b 패턴(101b), 제2a 패턴(102a), 제2b 패턴(102b), 제3 패턴(103), 제4 패턴(10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패턴(103)과 제4 패턴(104)는 도 4에 도시된 센서부(100)의 제3 및 제4 패턴부(103, 104)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ensor unit 100' includes a plurality of patterns. The plurality of patterns may include a 1a pattern 101a , a 1b pattern 101b , a 2a pattern 102a , a 2b pattern 102b , a third pattern 103 , and a fourth pattern 104 . . Here, the third pattern 103 and the fourth pattern 104 have the same configuration of the third and fourth pattern units 103 and 104 of the sensor unit 100 shown in FIG. 4 , and thus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do.

제1a 패턴(101a)은 제1 방향(또는 장축)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갖는다.The 1a pattern 101a has a shape extending along the first direction (or long axis).

제1a 패턴(101a)은 역삼각 패턴부, 삼각 패턴부 및 역삼각 패턴부와 삼각 패턴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패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1a pattern 101a may include an inverted triangle pattern part, a triangular pattern part, and a connection pattern part connecting the inverted triangle pattern part and the triangular pattern part.

제1a 패턴(101a)은 내부에 제2a 패턴(102a)이 배치되는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The 1a pattern 101a may have an opening in which the 2a pattern 102a is disposed.

제1a 패턴(101a)은 제2a 패턴(102a)를 둘러싸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a 패턴(101a)은 제2a 패턴(102a)로부터 소정 간격 떨어져 배치된다. 이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다.The 1a pattern 101a may have a structure surrounding the 2a pattern 102a. The 1a pattern 101a is spaced apart from the 2a pattern 102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is way, they are electrically isolated from each other.

제2a 패턴(102a)은 제1a 패턴(101a) 내부에 배치된다.The second a pattern 102a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a pattern 101a.

제2a 패턴(102a)는 역삼각 패턴부, 삼각 패턴부 및 역삼각 패턴부와 삼각 패턴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패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2a pattern 102a may include an inverted triangle pattern part, a triangular pattern part, and a connection pattern part connecting the inverted triangle pattern part and the triangular pattern part.

제1b 패턴(101b)은 제1 방향(또는 장축)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갖는다.The 1b pattern 101b has a shape extending along the first direction (or long axis).

제1b 패턴(101b)은 역삼각 패턴부, 삼각 패턴부 및 역삼각 패턴부와 삼각 패턴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패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1b pattern 101b may include an inverted triangle pattern part, a triangular pattern part, and a connection pattern part connecting the inverted triangle pattern part and the triangular pattern part.

제1b 패턴(101b)은 내부에 제2b 패턴(102b)이 배치되는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The 1b pattern 101b may have an opening in which the 2b pattern 102b is disposed.

제1b 패턴(101b)은 제2b 패턴(102b)를 둘러싸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b 패턴(101b)은 제2b 패턴(102b)로부터 소정 간격 떨어져 배치된다. 이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다.The first b pattern 101b may have a structure surrounding the second b pattern 102b. The first b pattern 101b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cond b pattern 102b. In this way, they are electrically isolated from each other.

제2b 패턴(102b)은 제1b 패턴(101b) 내부에 배치된다.The 2b pattern 102b is disposed inside the 1b pattern 101b.

제2b 패턴(102b)는 역삼각 패턴부, 삼각 패턴부 및 역삼각 패턴부와 삼각 패턴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패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b pattern 102b may include an inverted triangular pattern unit, a triangular pattern unit, and a connection pattern unit connecting the inverted triangular pattern unit and the triangular pattern unit.

다수의 제1a 패턴(101a)들과 다수의 제1b 패턴(101b)들은 제1 방향을 따라 교번하여 배치되고, 다수의 제1a 패턴(101a)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다수의 제1b 패턴(101b)들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plurality of 1a patterns 101a and the plurality of 1b patterns 101b are alternately disposed along the first direction, the plurality of 1a patterns 101a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plurality of 1b patterns ( 101b) are also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다수의 제1a 패턴(101a)들 중 일 단에 위치한 제1a 패턴(101a)은 제어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1a pattern 101a located at one end of the plurality of 1a patterns 101a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500 ′.

다수의 제1b 패턴(101b)들 중 일 단에 위치한 제1b 패턴(101b)은 제어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1b pattern 101b located at one end of the plurality of 1b patterns 101b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500 ′.

다수의 제2a 패턴(102a)들과 다수의 제2b 패턴(102b)들은 제1 방향을 따라 교번하여 배치되고,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수의 제2a 패턴(102a)들과 다수의 제2b 패턴(102b)들 중에서 일 단에 위치한 제2b 패턴(102b)은 제어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 단에 위치한 제2a 패턴(102a)은 인접한 다른 제2a 패턴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타 단에 위치한 제2a 패턴(102a)과 인접한 다른 제2a 패턴들은 접치될 수도 있다.The plurality of 2a patterns 102a and the plurality of 2b patterns 102b are alternately disposed along the first directio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2a patterns 102a and the plurality of 2b patterns 102b, a 2b pattern 102b located at one e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00, and a second 2a pattern 102a located at the other end. )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other adjacent 2a patterns. Here, the other 2a patterns adjacent to the 2a pattern 102a located at the other end may be adjacent to each other.

제1a 패턴(101a), 제1b 패턴(101b), 제2a 패턴(102a), 제2b 패턴(102b)은 동일층에 배치될 수 있다. 메탈 메쉬(metal mesh)를 이용하여 제1a 패턴(101a), 제1b 패턴(101b), 제2a 패턴(102a), 제2b 패턴(102b)을 동일층에 형성시킬 수 있다.The 1a pattern 101a, the 1b pattern 101b, the 2a pattern 102a, and the 2b pattern 102b may be disposed on the same layer. The 1a pattern 101a, the 1b pattern 101b, the 2a pattern 102a, and the 2b pattern 102b may be formed on the same layer by using a metal mesh.

제어부(500')는 도 4에 도시된 제어부(500)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The control unit 500 ′ has the same function as the control unit 500 illustrated in FIG. 4 .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터치 입력 장치가 터치 센싱 모드(또는 2D 센싱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touch input device shown in FIG. 9 operates in a touch sensing mode (or a 2D sensing mode).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터치 센싱 모드 시, 제어부(500')는 터치 센싱을 위한 구동 회로부를 센서부(100')의 제3 패턴(103)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다수의 제3 패턴(103) 각각에 하나의 구동 회로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9 and 10 , in the touch sensing mode, the controller 500 ′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driving circuit for touch sensing to the third pattern 103 of the sensor unit 100 ′. One driving circuit un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third patterns 103 .

또한, 제어부(500')는 터치 센싱을 위한 감지 회로부를 센서부(100')의 제1a 및 제1b 패턴(101a, 101b)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Also, the controller 500 ′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sensing circuit unit for sensing a touch to the first a and first b patterns 101a and 101b of the sensor unit 100 ′.

터치 센싱 모드에서, 제어부(500')는 다수의 제3 패턴(103)으로 터치 센싱을 위한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다수의 제1a 및 제1b 패턴(101a, 101b)으로부터 수신되는 감지 신호를 수신한다. 다수의 제1a 및 제1b 패턴(101a, 101b)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500')의 감지 회로부는 입력되는 감지 신호에 포함된 커패시턴스 변화량 정보를 소정의 전압값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출력된 전압값을 처리하여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500')는 제1a 패턴(101a)으로부터 수신되는 감지 신호에서, 제1b 패턴(101b)으로부터 수신되는 감지 신호를 차감함으로서 디스플레이 노이즈 및 LGM 노이즈를 상쇄시킬 수 있다.In the touch sensing mode, the controller 500 ′ applies a driving signal for touch sensing to the plurality of third patterns 103 , and receives sensing signals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first and first patterns 101a and 101b. do. The sensing circuit unit of the controller 500 ′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1a and 1b patterns 101a and 101b may output capacitance change amount information included in an input sensing signal to a predetermined voltage value. The controller 500 ′ may detect the touch position by processing the output voltage value. Here, the controller 500 ′ may cancel the display noise and LGM noise by subtracting the detec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1b pattern 101b from the detec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1a pattern 101a .

여기서, 제3 패턴(103)과 제4 패턴(104) 사이의 커패시티브 커플링(capacitive coupling)이 발생되지 않도록, 제어부(500')는 다수의 제3 패턴(103)과 다수의 제4 패턴(104)으로 동일한 구동 신호가 인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500')는 다수의 제4 패턴(104)으로 기준전위가 인가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Here, so that capacitive coupling between the third pattern 103 and the fourth pattern 104 does not occur, the controller 500 ′ controls the plurality of third patterns 103 and the plurality of fourth patterns. The same driving signal may be applied to the pattern 104 . Alternatively, the controller 500 ′ may control the reference potential to be applied to the plurality of fourth patterns 104 .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터치 입력 장치가 안테나 구동 모드(또는 스타일러스 구동 모드, 또는 스타일러스 업링크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touch input device illustrated in FIG. 9 operates in an antenna driving mode (or a stylus driving mode, or a stylus uplink mode).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면, 안테나 구동 모드 시, 제어부(500')는 안테나 구동을 위한 구동 회로부를 센서부(100')의 제2a 및 제2b 패턴(102a, 102b)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9 and 11 , in the antenna driving mode, the control unit 500 ′ electrically connects the driving circuit unit for driving the antenna to the second a and second b patterns 102a and 102b of the sensor unit 100 ′. can

제어부(500')는 다수의 제2a 및 제2b 패턴(102a, 102b)에 연결된 각 구동 회로부에서 출력되는 구동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제1 구동 회로부에서 소정 주파수의 펄스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제2 구동 회로부에서 어떠한 펄스 신호도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제3 구동 회로부에서 제1 구동 회로부에서 출력되는 펄스 신호와 상반되는 펄스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구동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a 및 제2b 패턴(102a, 102b)과 제3 구동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a 및 제2b 패턴으로 전류 루프가 형성된다. 형성된 전류 루프에 의해 자기장이 발생되고, 자기장에 의해 근접한 스타일러스 펜이 공진되어 구동될 수 있다. The controller 500 ′ may control a driving signal output from each driving circuit unit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conda and secondb patterns 102a and 102b.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500 ′ controls the pulse signal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to be output from the first driving circuit unit, controls that no pulse signal is output from the second driving circuit unit, and controls the third driving circuit unit to output the first driving circuit unit. It is possible to control so that a pulse signal opposite to the pulse signal output from is output. In this case, a current loop is formed of the second a and second b patterns 102a and 102b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circuit unit and the second a and second b pattern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driving circuit unit. A magnetic field is generated by the formed current loop, and a stylus pen adjacent thereto may be resonated and driven by the magnetic field.

제어부(500')는 다수의 제2a 및 제2b 패턴(102a, 102b)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구동 회로부 중에서 임의의 2개의 구동 회로부에 서로 상반된 펄스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500')는 전류 루프의 크기나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가 근접한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검출한 경우에는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 주변의 2개의 제2 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 회로부에서 서로 상반된 펄스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검출하지 못한 경우에는 다수의 제2a 및 제2b 패턴(102a, 102b) 중 양측 최외곽에 위치한 2개의 제2a 및 제2b 패턴(102a, 102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 회로부에서 서로 상반된 펄스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500 ′ may control to output opposite pulse signals to any two driving circuit units among a plurality of driving circuit unit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a and second b patterns 102a and 102b. Accordingly, the controller 500 ′ may change and set the size or position of the current loop in various ways. For example, when the control unit 500 ′ detects the position of the stylus pen that is close to it, the driving circuit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wo second patterns around the position of the stylus pen can control to output opposite pulse signals, and , when the position of the stylus pen is not detected, the driving circuit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wo second a and second b patterns 102a and 102b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plurality of second a and second b patterns 102a and 102b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so that pulse signals opposite to each other are output.

한편,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어부(500')는 다수의 제1a 패턴(101a), 또는 제1b 패턴(101b), 또는 제3 패턴(103)에 구동 신호가 인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체 채널 수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a separate drawing, the controller 500 ′ may control the driving signal to be applied to the plurality of first a pattern 101a , or the first b pattern 101b , or the third pattern 103 . . 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total number of channels can be reduced.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터치 입력 장치가 스타일러스 센싱 모드(또는 스타일러스 다운링크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touch input device illustrated in FIG. 9 operates in a stylus sensing mode (or a stylus downlink mode).

도 9 및 도 12를 참조하면, 스타일러스 센싱 모드 시, 제어부(500')는 스타일러스 센싱을 위한 감지 회로부를 센서부(100')의 제1a 및 제1b 패턴(101a, 101b) 및 제3 패턴(103)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9 and 12 , in the stylus sensing mode, the control unit 500 ′ includes the sensing circuit unit for stylus sensing of the first and second patterns 101a and 101b and the third pattern ( 103)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스타일러스 센싱 모드에서, 도 8을 통해 설명한 원리와 동일하게, 센서부(100')의 임의의 위치에 스타일러스 펜이 근접하면,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소정의 신호가 출력되고,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제1a, 제1b, 제2a, 제2b, 제3, 제4 패턴(101a, 101b, 102a, 102b, 103, 104)에 유기 전압이 발생된다. In the stylus sensing mode, when the stylus pen approaches an arbitrary position of the sensor unit 100', a predetermined signal is outputted from the stylus pen, An induced voltage is generated in the first, second, second, third, and fourth patterns 101a, 101b, 102a, 102b, 103, and 104 .

여기서, 스타일러스 펜이 제어부(500')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한 경우, 유기 전압의 발생에 의해, 다수의 제1a 패턴(101a)들 자체에서는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지만, 다수의 제2a 패턴(102a)들로부터 전류가 유입되므로, 제어부(500')는 다수의 제1a 패턴(101a)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감지 회로부를 통해서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2a 패턴(102a)에서 제1a 패턴(101a)으로 전류가 유입되는 것은, 제1a 패턴(101a)과 제2a 패턴(102a) 사이에 상기 유기 전압만큼의 전위차가 발생되고, 발생된 전위차에 의한 제1a 패턴(101a)과 제2a 패턴(102a) 사이의 커패시티브 커플링에 의한 것이다.Here, when the stylus pen is located far from the control unit 500 ′, little current flows in the plurality of first a patterns 101a itself due to the generation of an induced voltage, but the plurality of second a patterns 102a Since current flows from the , the controller 500 ′ may detect the position of the stylus pen through a sensing circuit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a patterns 101a. Here, when the current flows from the 2a pattern 102a to the 1a pattern 101a, a potential difference equal to the induced voltage is generated between the 1a pattern 101a and the 2a pattern 102a, and the generated potential difference This is due to the capacitive coupling between the 1a pattern 101a and the 2a pattern 102a by

마찬가지로, 다수의 제1b 패턴(101b)들 자체에서는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지만, 다수의 제2b 패턴(102b)들로부터 전류가 유입되므로, 제어부(500')는 다수의 제1b 패턴(101b)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감지 회로부를 통해서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Similarly, little current flows in the plurality of first b patterns 101b itself, but current flows from the plurality of second b patterns 102b, so that the controller 500 ′ operates with the plurality of first b patterns 101b and The position of the stylus pen may be detected through the electrically connected sensing circuit unit.

마찬가지로, 제3 패턴(103) 자체에서는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지만, 제4 패턴(104)으로부터 전류가 유입되므로, 제어부(500')는 제3 패턴(10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감지 회로부를 통해서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Similarly, little current flows in the third pattern 103 itself, but current flows from the fourth pattern 104 , so the controller 500 ′ controls the stylus pen through a sensing circu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pattern 103 . position can be detected.

한편,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12와 달리, 제어부(500')는 감지 회로부들을 다수의 제2a 패턴(102a), 또는 제2b 패턴(102b), 또는 제4 패턴(104)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검출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unlike in FIG. 12 , the control unit 500 ′ electrically connects the sensing circuit units to the plurality of second a pattern 102a , or the second b pattern 102b , or the fourth pattern 104 .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stylus pen.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개략도이다.1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에 도시된 터치 입력 장치의 센서부(100'')는, 도 9에 도시된 센서부(100'')와 비교하여, 제1a, 제1b, 제2a, 제2b, 제3, 제4 패턴의 구조는 동일하다. 다른 점은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제1b 패턴(101b)들 중 일 측(아래측)에 위치한 제1b 패턴이 전도성 트레이스를 통해 제어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제1a 패턴(101a)들 중 타 측(상측)에 위치한 제1a 패턴(101a)이 제어부(500'')와 전도성 트레이스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는 점이다.The sensor unit 100 ″ of the touch input device illustrated in FIG. 13 , compared to the sensor unit 100 ″ illustrated in FIG. 9 , 1a, 1b, 2a, 2b, third, and third The structure of the 4 patterns is the same. The difference is that the 1b pattern located on one side (lower side) of the plurality of 1b patterns 101b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long the first direc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00'' through a conductive trace, The point is that the 1a pattern 101a located on the other side (upper side) among the plurality of 1a patterns 101a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long the first direc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500'' through a conductive trace. .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터치 입력 장치가 터치 센싱 모드(또는 2D 센싱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touch input device illustrated in FIG. 13 operates in a touch sensing mode (or a 2D sensing mode).

터치 센싱 모드의 설명은, 도 10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touch sensing mode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 it will be omitted.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터치 입력 장치가 안테나 구동 모드(또는 스타일러스 구동 모드, 또는 스타일러스 업링크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touch input device illustrated in FIG. 13 operates in an antenna driving mode (or a stylus driving mode, or a stylus uplink mode).

안테나 구동 모드의 설명은, 도 1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The description of the antenna driving mode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and thus is omitted.

도 16은 도 13에 도시된 터치 입력 장치가 스타일러스 센싱 모드(또는 스타일러스 다운링크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touch input device illustrated in FIG. 13 operates in a stylus sensing mode (or a stylus downlink mode).

도 16의 스타일러스 센싱 모드는, 도 14의 스타일러스 센싱 모드와 비교하여 차이가 있다.The stylus sensing mode of FIG. 16 is different from the stylus sensing mode of FIG. 14 .

센서부(100'') 상의 임의의 위치에 스타일러스 펜이 근접한 후 구동되어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신호가 방출되면,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소정의 신호가 출력되고,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제1a, 제1b, 제2a, 제2b, 제3, 제4 패턴(101a, 101b, 102a, 102b, 103, 104)에 유기 전압이 발생된다.When the stylus pen approaches an arbitrary position on the sensor unit 100'' and then is driven and a signal is emitted from the stylus pen, a predetermined signal is output from the stylus pen, and 1a, 1b, and 2a , 2b, third, and fourth patterns 101a, 101b, 102a, 102b, 103, and 104 are induced voltages.

여기서, 스타일러스 펜이 제어부(500')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한 경우, 유기 전압의 발생에 의해, 다수의 제1b 패턴(101b)들 자체에서는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지만, 다수의 제2b 패턴(102b)들 뿐만 아니라 다수의 제1a 패턴(101a)들로부터도 전류가 유입되므로, 제어부(500')는 다수의 제1b 패턴(101b)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감지 회로부를 통해서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2b 패턴(102b)과 제1a 패턴(101a)들에서 제1b 패턴(101b)으로 전류가 유입되는 것은, 제1b 패턴(101b)과 제2b 패턴(102b) 사이 및 제1b 패턴(101b)과 제1a 패턴(101a) 사이에 상기 유기 전압만큼의 전위차가 발생되고, 발생된 전위차에 의한 제1b 패턴(101b)과 제2b 패턴(102b) 사이의 커패시티브 커플링과 및 제1b 패턴(101b)과 제1a 패턴(101a) 사이의 커패시티브 커플링에 의한 것이다.Here, when the stylus pen is located far from the controller 500 ′, little current flows in the plurality of first b patterns 101b itself due to the generation of an induced voltage, but the plurality of second b patterns 102b In addition, since current flows from the plurality of 1a patterns 101a, the control unit 500' can detect the position of the stylus pen through a sensing circuit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1b patterns 101b. . Here, the current flowing from the 2b pattern 102b and the 1a patterns 101a to the 1b pattern 101b is between the 1b pattern 101b and the 2b pattern 102b and the 1b pattern 101b. ) and the 1a pattern 101a, a potential difference equal to the induced voltage is generated, and capacitive coupling between the 1b pattern 101b and the 2b pattern 102b and the 1b pattern by the generated potential difference This is due to capacitive coupling between 101b and the 1a pattern 101a.

여기서, 제1a 패턴(101a)으로부터 제1b 패턴(101b)으로 전류가 유입되는 이유는, 도 12와는 달리, 다수의 제1a 패턴(101a)들 자체에서는 상대적으로 전류가 많이 흐르기 때문이다. 이는 다수의 제1a 패턴(101a)들에 연결된 전도성 트레이스의 방향을 다수의 제1b 패턴(101b)들에 연결된 전도성 트레이스 방향과 정반대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스타일러스 펜이 다수의 제1b 패턴(101b)과 연결되는 감지 회로부와 멀리 떨어져 위치한 경우, 해당 스타일러스 펜은 다수의 제1a 패턴(101a)과 연결되는 감지 회로부와는 더 가깝게 위치하게 되는 특성 때문이다.Here, the reason the current flows from the 1a pattern 101a to the 1b pattern 101b is that, unlike FIG. 12 ,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current flows in the plurality of 1a patterns 101a themselves. This is because the direction of the conductive trace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1a patterns 101a is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conductive trace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1b patterns 101b. In other words, when the stylus pen is positioned far from the sensing circuit unit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b patterns 101b, the corresponding stylus pen is positioned closer to the sensing circuit unit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patterns 101a. Because.

마찬가지로, 제3 패턴(103) 자체에서는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지만, 제4 패턴(104)으로부터 전류가 유입되므로, 제어부(500')는 제3 패턴(10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감지 회로부를 통해서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Similarly, little current flows in the third pattern 103 itself, but current flows from the fourth pattern 104 , so the controller 500 ′ controls the stylus pen through a sensing circu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pattern 103 . position can be detected.

한편,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16과 달리, 제어부(500'')는 감지 회로부들을 다수의 제2a 패턴(102a), 또는 제2b 패턴(102b), 또는 제4 패턴(104)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검출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unlike in FIG. 16 , the control unit 500 ″ electrically connects the sensing circuit units with a plurality of second a pattern 102a , second b pattern 102b , or fourth pattern 104 . It can also be connected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stylus pen.

도 17은 도 4, 도 9 및 도 13에 도시된 여러 실시 형태들의 특성을 비교한 표이다.17 is a table comparing characteristics of various embodiments shown in FIGS. 4, 9 and 13 .

도 17을 참조하면, 도 4의 실시 형태는 전체 70~80개의 채널 구성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터치 센싱 모드에서 사용되는 구동 전극(TX)는 20 채널, 수신 전극(RX)는 40 채널, 그리고 안테나 구동 모드에서 사용되는 안테나 구동 전극(TX)는 10~20 채널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안테나 구동 모드가 10개 채널로 구성되는 경우는 서로 인접한 2개의 채널을 병렬로 연결한 것을 의미한다. Referring to FIG. 17 , in the embodiment of FIG. 4 , a total of 70 to 80 channels can be configured. Specifically, the driving electrode TX used in the touch sensing mode may be configured with 20 channels, the receiving electrode RX may be configured with 40 channels, and the antenna driving electrode TX used in the antenna driving mode may be configured with 10 to 20 channels. Here, when the antenna driving mode consists of 10 channels, it means that two channels adjacent to each other are connected in parallel.

또한, 도 4의 실시 형태는 제2 방향(단축)을 따라, 좌측 전도성 트레이스는 20개로 우측 트레이스는 20개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입력 장치의 베젤의 폭을 기존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FIG. 4 , 20 left conductive traces and 20 right traces may be configur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short axis). Accordingly, the width of the bezel of the touch input device may be maintained as before.

도 9의 실시 형태는 전체 90~100개의 채널 구성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터치 센싱 모드에서 사용되는 구동 전극(TX)는 40 채널, 수신 전극(RX)는 40 채널, 그리고 안테나 구동 모드에서 사용되는 안테나 구동 전극(TX)는 10~20 채널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안테나 구동 모드가 10개 채널로 구성되는 경우는 서로 인접한 2개의 채널을 병렬로 연결한 것을 의미한다. 9, a total of 90 to 100 channels can be configured. Specifically, the driving electrode TX used in the touch sensing mode may be configured with 40 channels, the receiving electrode RX may be configured with 40 channels, and the antenna driving electrode TX used in the antenna driving mode may be configured with 10 to 20 channels. Here, when the antenna driving mode consists of 10 channels, it means that two channels adjacent to each other are connected in parallel.

또한, 도 9의 실시 형태는 제2 방향(단축)을 따라, 좌측 전도성 트레이스는 20개로 우측 트레이스는 20개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입력 장치의 베젤의 폭을 기존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Also, in the embodiment of FIG. 9 , 20 left conductive traces and 20 right traces may be configur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short axis). Accordingly, the width of the bezel of the touch input device may be maintained as before.

도 13의 실시 형태는 전체 90~100개의 채널 구성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터치 센싱 모드에서 사용되는 구동 전극(TX)는 40 채널, 수신 전극(RX)는 40 채널, 그리고 안테나 구동 모드에서 사용되는 안테나 구동 전극(TX)는 10~20 채널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안테나 구동 모드가 10개 채널로 구성되는 경우는 서로 인접한 2개의 채널을 병렬로 연결한 것을 의미한다. In the embodiment of FIG. 13 , a total of 90 to 100 channels can be configured. Specifically, the driving electrode TX used in the touch sensing mode may be configured with 40 channels, the receiving electrode RX may be configured with 40 channels, and the antenna driving electrode TX used in the antenna driving mode may be configured with 10 to 20 channels. Here, when the antenna driving mode consists of 10 channels, it means that two channels adjacent to each other are connected in parallel.

또한, 도 13의 실시 형태는 제2 방향(단축)을 따라, 좌측 전도성 트레이스는 30개로 우측 트레이스는 30개로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FIG. 13 , 30 left conductive traces and 30 right traces may be configur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short axis).

이상에서 실시 형태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형태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형태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형태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Features, structures, effects, etc.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one embodiment. Furthermore, 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etc. illustrated in each embodiment can be combined or modified for other embodiments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Accordingly, the contents related to such combinations and modification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상에서 실시 형태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형태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형태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embodiment has been mainly described in the above, this is only an example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n the range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not illustrated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by deformation|transformation. And the differences related to these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Claims (11)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패턴;
상기 제1 패턴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 패턴;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3 패턴; 및
상기 제3 패턴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4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패턴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다수로 배열되고,
상기 제3 및 제4 패턴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다수로 배열되고,
상기 다수의 제1 및 제3 패턴들의 일 단들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 단들은 전기적으로 오픈되고,
상기 다수의 제2 패턴들의 타 단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제4 패턴들의 타 단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터치 입력 장치.
sensor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ensor unit;
The sensor unit,
a first pattern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 second pattern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pattern and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 third pattern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and
and a fourth pattern disposed adjacent to the third pattern and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The first and second patterns are arranged in plurality along the second direction,
The third and fourth patterns are arranged in plurality along the first direction,
One ends of the plurality of first and third pattern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the other ends are electrically open,
The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second pattern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fourth pattern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ouch input device.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제1 방향을 따라 교번하며 배열된 제1a 및 제1b 패턴들을 포함하는 제1 패턴;
상기 제1 패턴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2 패턴;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3 패턴; 및
상기 제3 패턴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4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a 패턴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1b 패턴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패턴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다수로 배열되고,
상기 제3 및 제4 패턴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다수로 배열되고,
상기 다수의 제1 및 제3 패턴들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 단들은 전기적으로 오픈되고,
상기 다수의 제2 패턴들의 타 단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제4 패턴들의 타 단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터치 입력 장치.
sensor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ensor unit;
The sensor unit,
a first pattern including first a and first b patterns alternately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a second pattern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pattern;
a third pattern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and
and a fourth pattern disposed adjacent to the third pattern and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The 1a pattern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1b pattern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patterns are arranged in plurality along the second direction,
The third and fourth patterns are arranged in plurality along the first direction,
The plurality of first and third pattern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the other ends are electrically open,
The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second pattern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fourth pattern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ouch input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a 패턴들과 상기 제1b 패턴들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터치 센싱 모드로 동작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센싱 모드에서 상기 제1a 패턴들로부터 수신된 제1 감지신호와 상기 제1b 패턴들로부터 수신된 제2 감지신호를 서로 차감한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위치를 감지하는, 터치 입력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1a patterns and the 1b patterns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ensor unit to operate in a touch sensing mode,
The control unit detects a touch position based on a signal obtained by subtracting a first detec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a patterns and a second detec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b patterns in the touch sensing mode, a touch input device .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된 상기 제1a 패턴들 중 상기 제어부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제1a 패턴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된 상기 제1b 패턴들 중 상기 제어부로부터 가장 가까이 배치된 제1b 패턴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터치 입력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Among the 1a patterns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a 1a pattern furthest from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 touch input device, wherein a 1b pattern disposed closest to the control unit among the 1b patterns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은 내부에 상기 제2 패턴이 배치되는 개구부를 갖고,
상기 제3 패턴은 내부에 상기 제4 패턴이 배치되는 개구부를 갖는, 터치 입력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irst pattern has an opening in which the second pattern is disposed,
The third pattern has an opening in which the fourth pattern is disposed.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터치 센싱 모드, 스타일러스 구동 모드 및 스타일러스 센싱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터치 입력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ensor unit to operate in any one of a touch sensing mode, a stylus driving mode, and a stylus sensing mode, a touch input devi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2 패턴들의 일 단들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스타일러스 구동 모드에서 상기 다수의 제2 패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턴으로 스타일러스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터치 입력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One ends of the plurality of second patterns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applies a stylus driving signal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patterns in a stylus driving mode of the sensor unit, the touch input devi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2 패턴들의 일 단들은 전기적으로 오픈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스타일러스 구동 모드에서 상기 다수의 제1 패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턴으로 스타일러스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터치 입력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One ends of the plurality of second patterns are electrically open,
The control unit applies a stylus driving signal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patterns in a stylus driving mode of the sensor unit, the touch input devi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2 및 제4 패턴들의 일 단들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스타일러스 센싱 모드에서 상기 다수의 제2 및 제4 패턴들을 통해 수신되는 스타일러스 센싱 신호로부터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감지하는, 터치 입력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One ends of the plurality of second and fourth patterns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position of the stylus pen from the stylus sensing signal received through the plurality of second and fourth patterns in the stylus sensing mode of the sensor unit, the touch input devi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2 및 제4 패턴들의 일 단들은 전기적으로 오픈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스타일러스 센싱 모드에서 상기 다수의 제1 및 제3 패턴들을 통해 수신되는 스타일러스 센싱 신호로부터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감지하는, 터치 입력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One ends of the plurality of second and fourth patterns are electrically open,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position of the stylus pen from the stylus sensing signal received through the plurality of first and third patterns in the stylus sensing mode of the sensor unit, the touch input devic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 및 제2 패턴들은, 상기 다수의 제3 및 제4 패턴들과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된. 터치 입력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patterns are disposed on different layers from the plurality of third and fourth patterns. touch input device.
KR1020210039402A 2021-03-26 2021-03-26 Touch input device KR1026265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402A KR102626571B1 (en) 2021-03-26 2021-03-26 Touch input device
JP2023558949A JP2024511467A (en) 2021-03-26 2022-03-25 touch input device
EP22776171.5A EP4318191A1 (en) 2021-03-26 2022-03-25 Touch input device
PCT/KR2022/004265 WO2022203471A1 (en) 2021-03-26 2022-03-25 Touch input device
KR1020240004967A KR20240010076A (en) 2021-03-26 2024-01-11 Touch input device
KR1020240008732A KR20240013265A (en) 2021-03-26 2024-01-19 Touch input device
JP2024010766A JP2024042042A (en) 2021-03-26 2024-01-29 Touch Inpu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402A KR102626571B1 (en) 2021-03-26 2021-03-26 Touch input devic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04967A Division KR20240010076A (en) 2021-03-26 2024-01-11 Touch input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139A true KR20220134139A (en) 2022-10-05
KR102626571B1 KR102626571B1 (en) 2024-01-19

Family

ID=8359666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9402A KR102626571B1 (en) 2021-03-26 2021-03-26 Touch input device
KR1020240004967A KR20240010076A (en) 2021-03-26 2024-01-11 Touch input device
KR1020240008732A KR20240013265A (en) 2021-03-26 2024-01-19 Touch input device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04967A KR20240010076A (en) 2021-03-26 2024-01-11 Touch input device
KR1020240008732A KR20240013265A (en) 2021-03-26 2024-01-19 Touch input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626571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2695A (en) * 2008-02-27 2009-09-01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Display panel
KR20130035763A (en) * 2011-09-30 2013-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Touch screen panel
KR20150002326A (en) * 2013-06-28 2015-01-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ouch sens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20180122761A (en) * 2017-05-02 2018-11-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ouch sensor and method of driving the touch sensor
KR20200116655A (en) * 2019-04-02 2020-10-13 주식회사 하이딥 Touch input device
KR20210029862A (en) * 2019-09-06 2021-03-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Input senso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2695A (en) * 2008-02-27 2009-09-01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Display panel
KR20130035763A (en) * 2011-09-30 2013-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Touch screen panel
KR20150002326A (en) * 2013-06-28 2015-01-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ouch sens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20180122761A (en) * 2017-05-02 2018-11-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ouch sensor and method of driving the touch sensor
KR20200116655A (en) * 2019-04-02 2020-10-13 주식회사 하이딥 Touch input device
KR20210029862A (en) * 2019-09-06 2021-03-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Input senso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0076A (en) 2024-01-23
KR102626571B1 (en) 2024-01-19
KR20240013265A (en) 2024-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8118B2 (en) Touch sensor detector system and method
KR101432988B1 (en) A capacitive touch screen for integrated of fingerprint recognition
KR102028783B1 (en) Device for capacitive detection with arrangement of linking tracks, and method implementing such a device
KR101474733B1 (en) A capacitive touch screen for integrated of fingerprint recognition having improved pattern structure
US8487905B2 (en) Electrode arrangement for display device
KR20190057233A (en)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nd mobile device
JP5846930B2 (en) Touch pane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11003275B2 (en) Touch sensing and force sensing sensor, touch sensing device including the sensor, and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touch sensing device
CN107765931B (en) Display screen gesture control circuit and control method based on capacitance sensing
JP6062022B2 (en) Touch pane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20220134139A (en) Touch input device
KR102453102B1 (en) Sensors, input devices and electronics
US20240184382A1 (en) Touch input device
KR20190080997A (en) Pen Input Device Supporting Heterogeneous Input Device
EP4318191A1 (en) Touch input device
US20170060277A1 (en) Magnetic switch assembly and stylus having the same
JP6243506B2 (en) Touch pane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20220141418A (en) Touch input device
KR102526461B1 (en) Touch sensor and touch input device thereof
KR20220145666A (en) Touch input device
KR20230082923A (en) Touch input device
US11983373B1 (en) Filter in a capacitance measuring circuit
US11782517B2 (en) High-distance directional proximity sensor
KR20220139285A (en) Touch sensor and touch input device thereof
JP6908043B2 (en) Sensors and electron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