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3970A - 음향장치 - Google Patents

음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3970A
KR20220133970A KR1020227029798A KR20227029798A KR20220133970A KR 20220133970 A KR20220133970 A KR 20220133970A KR 1020227029798 A KR1020227029798 A KR 1020227029798A KR 20227029798 A KR20227029798 A KR 20227029798A KR 20220133970 A KR20220133970 A KR 20220133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vibration
user
vibrating
vibrating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9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이 장
신 치
쥔장 푸
젠 왕
리웨이 왕
Original Assignee
썬전 샥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썬전 샥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썬전 샥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33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39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3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4Structural combinations of separate transducers or of two parts of the same transducer and responsive respectively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3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using a passive diaphragm
    • H04R1/2834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using a passive diaphragm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4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 H04R1/345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1/00Transducers of moving-armature or moving-core type
    • H04R11/02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04R25/604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acoustic or vibrational transducers
    • H04R25/606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acoustic or vibrational transducers acting directly on the eardrum, the ossicles or the skull, e.g. mastoid, tooth, maxillary or mandibular bone, or mechanically stimulating the cochlea, e.g. at the oval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Neurosurge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ultimedia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Paper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음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음향장치는 진동 스피커, 상기 진동 스피커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전달 메커니즘, 및 상기 전달 메커니즘을 통해 상기 진동 스피커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스피커는 전기신호에 따라서 소리를 표시하는 진동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전달 메커니즘은 상기 전달 메커니즘의 접촉부를 통해 유저와 접촉할 수 있고, 상기 진동신호를 상기 접촉부를 통해 상기 유저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달 메커니즘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진동 스피커로부터 멀리 떨어지고 진동 강도가 상기 진동 스피커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전달 메커니즘을 지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향장치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중국 특허출원(출원번호: 202010247338.2, 출원일자: 2020년 3월 31일)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선출원의 내용은 참고하여 본 출원에 포함되어 있다.
본 개시는 음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전달 메커니즘을 구비하는 음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진동 스피커는 전기신호를 기계적 진동신호로 변환시키고, 상기 기계적 진동신호를 인체 조직 및/또는 골격을 통해 유저에게 전송할 수 있어 상기 유저는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진동 스피커가 유저와의 직접 접촉을 통해 저주파수 진동신호를 상기 유저에게 출력하는 경우, 상기 유저는 강한 진동감을 느낄수 있으며, 이는 유저에게 불쾌한 체험을 줄 수 있다. 따라서 풍부한 저주파수 신호를 가지고 있으며 유저의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진동 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한 양태에 의하면, 음향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음향장치는 전기신호에 근거하여 소리를 표시하는 진동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진동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장치는 상기 진동 스피커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전달 메커니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달 메커니즘은 상기 전달 메커니즘의 접촉부를 통해 유저와 접촉하고 상기 진동신호를 상기 접촉부를 통해 상기 유저에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전달 메커니즘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진동 스피커로부터 멀리 떨어지고 진동 강도가 상기 진동 스피커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음향장치는 상기 전달 메커니즘을 통해 상기 진동 스피커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전달 메커니즘을 지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달 메커니즘은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호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호형부의 제1 단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호형부의 제2 단부는 직접 또는 연결부를 통해 상기 진동 스피커에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달 메커니즘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호형부에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진동 스피커는 상기 진동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접촉부 주위에서 진동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달 메커니즘과 상기 유저 사이의 접촉면적은 상기 진동신호에 반응하여 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달 메커니즘은 연결유닛, 진동판, 및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스피커는 상기 연결유닛의 제1 단부에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진동판은 상기 연결유닛의 제2 단부제2 단부에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연결유닛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진동 스피커는 상기 진동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탄성부재 사이의 연결점 주위에서 진동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저가 상기 음향장치를 착용했을 때 상기 진동 스피커의 일면은 상기 유저의 귓구멍에 마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진동 스피커는 상기 진동 스피커의 하우징내에서 생성된 공기전도파를 상기 유저에게 전송하도룩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구멍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구멍들은 상기 유저가 상기 음향장치를 착용했을 때 상기 유저의 귓구멍을 향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음향장치는 상기 진동 스피커에 직접 연결된 보조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지지부재는 상기 진동 스피커를 지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달 메커니즘과 상기 유저의 피부가 위치하는 평면 사이의 각도는 0° 내지 90°, 또는 0° 내지 70°, 또는 5° 내지 50°, 또는 5° 내지 50°, 또는 5° 내지 30°의 각도 범위내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상기 진동 스피커의 최저 공진피크는 90 Hz보다 낮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진동 스피커는 자기회로부재, 진동부재, 및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스피커의 상기 최저 공진피크는 상기 진동 스피커의 상기 진동부재의 탄성률과 관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부재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는 U 형상 또는 C 형상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부재는 중공 내부를 구비하는 껍데기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중공 내부에는 적어도 배터리, 블루투스 장치, 또는 회로판를 수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타 양태에 따르면, 전자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전자장치는 음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장치는 전기신호에 따라서 소리를 표시하는 진동신호를 생성하는 진동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장치는 상기 진동 스피커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전달 메커니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달 메커니즘은 상기 전달 메커니즘의 접촉부를 통해 유저와 접촉하고 상기 진동신호를 상기 접촉부를 통해 상기 유저에게 전송한다. 상기 전달 메커니즘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진동 스피커로부터 멀리 떨어지고 진동 강도가 상기 진동 스피커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음향장치는 상기 전달 메커니즘을 통해 상기 진동 스피커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전달 메커니즘을 지지할 수 있다.
추가적인 특징들은 후술하는 설명에서 부분적으로 설명될 것이며, 일부는 하기와 첨부된 도면의 검토에 의해 본 분야의 기술자에게 명백해지거나 실시예의 제조 또는 운용에 의해 학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특징은 아래에서 논의된 상세한 실시예에서 제시된 방법, 수단 및 조합의 다양한 측면을 연습하거나 사용함으로써 실현되고 달성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더 설명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비한정적인 예시적인 실시예들로써, 여기서 유사한 참조부호가 여러 도면에서 유사한 구조를 나타낸다.
도 1 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음향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음향장치가 진동신호(들을)를 유저에게 전달하는 과정과 관련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음향장치가 진동신호(들을)를 유저에게 전달하는 과정과 관련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은 본 분야의 기술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을 만들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시되며, 특정 출원 및 그 요구 사항의 맥락에서 제공된다. 개시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형은 본 분야의 기술자에게 용이할 것이며,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명세서에 정의되는 일반적인 원칙들은 다른 실시예들 및 응용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개시는 도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항과 일치하는 가장 넓은 범위를 부여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특정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 형태 "하나", "일" 및 "상기"는 문맥에서 달리 명확하게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형태도 포함함을 의도로 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용어 "포함한다" "" "포함하는" 및/또는 "함유하는"은 명시된 특징, 정수, 단계, 조작, 요소 및/또는 구성요소의 존재를 명시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 조작, 요소,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개시의 상술한 특징 및 기타 특징들, 및 특성들, 및 구조의 관련 요소들의 조작 방법 및 기능들, 및 부품들과 제조 경제의 조합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설명을 고려하여 보다 명확해질 수 있으며, 이는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다만, 도면은 예시 및 설명을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라는 것을 명확히 이해해야 한다. 상기 도면들은 비례에 따라 그려진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 "제2 ", "제3 " 등의 용어는 다양한 요소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요소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용어는 한 요소를 다른 요소와 구별하는데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제1 요소는 제2 요소로 칭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제2 요소는 제1 요소로 칭할 수 있다.
요소들 간의 공간적 및 기능적 관계는 "연결", "부착", "장착"을 포함한 다양한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된다. "직접"이라고 명백하게 기술되지 않는 한, 본 개시에서 제1 요소와 제2 요소 사이의 관계를 기재한 경우, 제1 요소와 제2 요소 사이에 다른 개입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직접적 관계 및 제1 요소와 제2 요소 사이에 하나 이상의 개입 요소가 존재(공간적으로 또는 기능적으로)하는 간접적 관계를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요소가 다른 요소에 "직접" 연결, 부착 또는 위치하는 경우, 간섭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다. 요소들 사이의 관계를 묘사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른 단어들은 유사한 방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예를 들면 "사이" 대 "사이에 직접 ", "인접" 대 "직접 인접").
또한 "상면", "아래면", "상부", "하부", "세로", "가로", "위", "아래", "위로", "아래로", "좌측", "우측", "좌", "우", “수평” 및 기타 공간 참조 용어와 같은 용어는 상대적인 의미로 사용되어 음향장치가 정상적인 작동위치에 있는 경우 및 음향장치의 위치 또는 방향이 변할때 변하는 경우의 상기 음향장치의 기타 이러한 특징에 관하여 음향장치의 모 표면/부분/요소의 위치 또는 방향을 설명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의 한 양태는 음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음향장치는 진동 스피커, 전달 메커니즘, 및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스피커는 전기신호에 따라서 소리를 표시하는 진동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전달 메커니즘은 상기 진동 스피커에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달 메커니즘은 상기 전달 메커니즘의 접촉부를 통해 유저와 접촉하고 상기 진동신호를 상기 접촉부를 통해 상기 유저에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전달 메커니즘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진동 스피커로부터 멀리 떨어지고 진동 강도가 상기 진동 스피커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전달 메커니즘을 통해 상기 진동 스피커에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전달 메커니즘을 지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달 메커니즘의 상기 접촉부와 상기 유저 사이의 접촉면적은 상기 진동신호에 반응하여 변할 수 있다. 진동신호의 전달 과정 동안, 상기 진동 스피커가 상기 유저를 향해 진동할 때, 상기 전달 메커니즘의 상기 접촉부와 상기 유저(또는 유저의 피부) 사이의 상기 접촉면적은 점차 작아질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진동 스피커가 직접 상기 유저에 정상적으로 접촉할 때보다 더 작을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유저의 진동감을 더 약화시킨다. 또한, 상기 전달 메커니즘의 상기 접촉부가 상기 진동 스피커보다 작은 진동 강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전달 메커니즘에 의해 상기 유저에게 전달되는 상기 진동신호의 진동 강도는 약해질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유저의 진동감을 더 약화시킨다.
일부 대안적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달 메커니즘은 호형부를 구비하는 탄성부재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전달 메커니즘의 상기 접촉부와 상기 유저 사이의 접촉면적은 상기 진동신호에 반응하여 변하지 않을 수 있다(또는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는다). 진동신호의 전달 과정에서, 상기 진동 스피커가 상기 유저를 향해 진동할 때, 상기 진동 스피커에 의해 생성되는 진동신호의 일부분은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변형으로 변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저의 진동감은 상기 진동 스피커가 상기 유저에 접촉할 때의 상기 유저의 진동감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 스피커는 상기 진동 스피커의 일면이 상기 유저의 귓구멍에 마주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진동 스피커가 상기 유저를 향해 진동할 때, 상기 진동 스피커는 상기 진동 스피커 주위의 공기를 진동시키고 소리 신호(들을)를 공기를 통해 상기 유저에게 전달하며, 따라서 유저에게 전송되는 소리 강도를 높일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진동 스피커는 저주파수 범위의 소리 에너지가 더 풍부해지도록 더 깊은 저주파수 신호를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저주파수 신호에서의 소리(예를 들어, 음악)에 대한 유저의 감각을 강화하고, 상기 유저가 더 많은 저주파수 효과를 감수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음향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예를 들면, 상기 음향장치(100)는 예를 들면 이어폰, 헤드폰, 가상현실 안경, 증강현실 안경 등과 같은 전자장치의 음향장치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향장치(100)는 진동 스피커(110), 전달 메커니즘(120), 및 지지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스피커(110)는 상기 전달 메커니즘(120)을 통해 상기 지지부재(13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진동 스피커(110)는 전기신호(들)에 따라서 소리를 표시하는 진동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전기신호(들은)는 소리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리정보는 특정 데이터 형식의 비디오 파일 또는 오디오 파일을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특정 접근 방식을 통해 나중에 소리로 변환될 수 있는 일반 데이터 또는 파일을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전기신호(들은)는 마이크로폰, 컴퓨터,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신호원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폰은 음원으로부터 소리 신호(들을)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마이크로폰은 수신한 소리 신호(들을)를 상기 전기신호(들)로 변환시키고 상기 전기신호(들을)를 상기 진동 스피커(11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진동 스피커(110)는 MP3 플레이어과 연결되거나 통신할 수 있고, 상기 MP3 플레이어는 상기 전기신호(들을)를 직접 상기 진동 스피커(110)에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진동 스피커(110)는 유선 연결, 무선 연결, 또는 이것들의 조합을 통해 상기 신호원과 연결되고 및/또는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유선 연결은 예를 들면 전기케이블, 광케이블, 전화선 등 또는 이것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접속은 Bluetooth™ 네트워크,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NFC) 네트워크, ZigBee™ 네트워크 등 또는 이것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진동 스피커(110)는 골전도 스피커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진동 스피커(110)는 복합 스피커일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진동 스피커(110)는 이를 착용한 유저가 감지할 수 있는 골전도파와 공기전도파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스피커(110)는 전자기형(예를 들어, 가동 코일형, 가동 철편형 등), 압전형, 반전 압전형, 정전형,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일 수 있으며 본 개시에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전달 메커니즘(120)은 상기 진동 스피커(110)에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달 메커니즘(120)은 상기 진동 스피커(110)로부터 진동신호(들을)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음향장치(100가 유저에게 착용되었을 때, 상기 전달 메커니즘(120)과 상기 유저 사이에 각도가 형성된다. 여기서 사용한 바와 같이, 상기 전달 메커니즘(120)과 상기 유저 사이의 각도는 상기 전달 메커니즘(120)의 장축과 상기 유저의 피부가 위치하는 평면 사이의 각도를 가르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도는 0 내지90°, 또는 0° 내지 70°, 또는 5° 내지 50°, 또는 10° 내지 50°, 또는 10° 내지 30° 등의 각도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전달 메커니즘(120)은 상기 전달 메커니즘(120)의 접촉부를 통해 유저와 연결되고 상기 수신한 진동신호(들을)를 상기 접촉부를 통해 상기 유저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달 메커니즘(120)과 상기 유저(예를 들어, 유저의 피부) 사이의 접촉면적은 상기 진동신호(들)에 반응하여 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달 메커니즘(120)의 상기 접촉부가 위치하는 및/또는 접촉되는 상기 유저의 신체 구역은 이마, 목(예를 들어, 목), 얼굴(예를 들어, 입, 턱의 주변 구역), 정수리, 유방, 귀 주변, 태양혈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달 메커니즘(120)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진동 스피커(110)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진동 스피커(110)는 상기 전달 메커니즘(120)의 상기 접촉부 부근의 회전축 주위에서 진동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전달 메커니즘(120)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진동 스피커(110)보다 상기 회전축에 더 가까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달 메커니즘(120)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진동 스피커(110)보다 더 약한 진동 강도를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유저에 전송되는 진동을 감소시킨다. 예를 들면, 상기 전달 메커니즘(120)는 적어도 하나의 호형부를 가지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달 메커니즘(120)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호형부의 볼록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스피커(110)는 상기 진동신호(들)에 반응하여 상기 접촉부 주위에서 진동할 수 있다. 상기 호형부에 관한 더 많은 기재는 본 개시(예를 들어, 도 3 및 그에 대한 기재)의 기타 부분에서 찾을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전달 메커니즘(120)은 연결유닛, 진동판, 및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스피커(110)는 상기 연결유닛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진동판은 상기 연결유닛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달 메커니즘(120)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진동판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30)는 상기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연결유닛 또는 상기 진동판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진동 스피커(110)는 상기 진동신호(들)에 반응하여 상기 지지부재(130)와 상기 탄성부재 사이의 연결점 주위에서 진동할 수 있다. 연결유닛, 하나의 진동판, 및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상기 전달 메커니즘에 관한 더 많은 설명은 본 개시(예를 들어, 도 2 및 그에 대한 기재)의 기타 부분에서 찾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달 메커니즘(120)의 상기 접촉부는 귀 주위 구역에 위치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진동 스피커(110)는 상기 진동 스피커(110)의 일면이 상기 유저의 귓구멍에 마주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진동 스피커가 진동할 때, 상기 진동 스피커(110)는 상기 진동 스피커 주위의 공기를 진동시켜 공기전도파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공기전도파는 공기를 통해 귀에 전송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유저에게 전달되는 소리 강도를 높일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유저는 상기 전달 메커니즘(120)의 상기 접촉부의 진동에 의해 생성된 상기 골전도파를 들을 수 있을뿐만 아니라, 상기 진동 스피커(110)가 주위 공기를 진동시켜 생성된 상기 골전도파도 들을 수 있다.
일부 대안적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진동 스피커(110)의 하우징은 이를테면 상기 하우징의 측벽 또는 상기 유저의 귓구멍에 마주하는 측에 하나 이상의 구멍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진동 스피커(110)가 진동할 때, 상기 진동 스피커(110)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내의 진동부재의 진동에 의하여)의 상기 하우징내에서 생성된 공기전도파는 상기 하나 이상의 구멍들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유저의 귀에까지 전송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진동 스피커(110)의 상기 하나 이상의 구멍들은 유저가 상기 음향장치(100)를 착용할 때 상기 귓구멍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유저는 상기 진동 스피커(110)의 상기 하나 이상의 구멍들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공기전도파를 더 들을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유저가 듣는 소리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30)는 상기 전달 메커니즘(120)을 통해 상기 진동 스피커(110)에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30)는 상기 전달 메커니즘(120) 및/또는 상기 진동 스피커(110)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전달 메커니즘(120)이 상기 유저의 피부에 접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부재(130)는 상기 음향장치(100)가 상기 유저에게 더 잘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상기 유저가 사용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부는, 예를 들면, U형상, C형상, 원형 고리 형상, 타원 형상, 반원형 등 인체의 일부(예를 들어, 상기 귀, 상기 머리, 상기 목)에 적합한 임의의 형상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음향장치(100)는 단독으로 상기 유저의 신체에 착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지지부재(130)의 상기 고정부의 형상은 사람 귓바퀴의 형상에 매칭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음향장치(100)는 유저의 귀에 착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지지부재(130)의 고정부의 형상은 상기 사람 머리에 매칭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130)는 유저의 머리에 걸려 상기 음향장치(100)가 쉽게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부재(130)는 중공 내부를 구비하는 껍데기구조일 수 있다. 상기 중공 내부에는 배터리, 회로판, 블루투스 장치, 등 또는 이것들의 임의의 조합을 구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부재(130)는 금속 재료(예를 들어, 알루미늄, 금, 동 등), 합금 재료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 티타늄 합금, 등), 플라스틱 재료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폭시 수지, 나일론 등), 섬유 재료 (예를 들어, 아세테이트 섬유, 프로피온산 섬유, 탄소 섬유 등), 등 다양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부재(130)는 피복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피복은 일정한 탄성을 구비하는 예를 들면 부드러운 실리카겔, 고무 등 유저에게 더 양호한 접촉감을 줄 수 있는 부드러운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음향장치(100)에 관한 기재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지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 당업자라면 본 개시의 교시에 따라서 여러가지 변형과 수정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형과 수정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음향장치(100)의 임의의 두 요소(예를 들어, 상기 진동 스피커(110), 상기 전달 메커니즘(120), 및 상기 지지부재(130)) 사이의 연결은 접착, 리벳팅, 나사산 연결, 일체 성형, 흡입 연결, 또는 이와 유사한 연결, 또는 이것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음향장치(100)는 상기 지지부재(130)를 보조하여 상기 유저에 접촉하여 상기 진동 스피커(110)를 지지하는 보조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지지부재는 막대기 같은 구조를 가지며, 상기 보조지지부재의 일단은 상기 진동 스피커(11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유저가 상기 음향장치(100)를 착용할 때, 상기 보조지지부재는 상기 유저 및 상기 진동 스피커(110)와 접촉하며, 따라서 상기 진동 스피커(110)는 상기 진동신호(들)의 일부분을 상기 보조지지부재를 통해 상기 유저에게 전송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유저가 듣는 소리의 강도를 더 높인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음향장치가 진동신호(들을)를 유저에게 전달하는 과정과 관련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2 (예를 들어, 도면 2a)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음향장치(200)는 진동 스피커(210), 전달 메커니즘(220) (점선 프레임(220)내의 부재들), 및 지지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스피커(210)는 상기 전달 메커니즘(220)을 통해 상기 지지부재(23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진동 스피커(210)는 전기신호(들)에 근거하여 소리를 표시하는 진동신호(들을)를 생성할 수 있다. 단지 예로써, 상기 진동 스피커(210)는 자기회로부재, 진동부재, 및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기회로부재는 자기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진동부재는 상기 진동부재에 입력되는 전기신호를 자기장에서의 기계적 진동신호로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인체측을 향한 패널과 상기 패널 반대편의 등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진동부재를 수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진동부재는 상기 패널과 상기 등판을 진동시킬 수 있다. 상기 진동 스피커(210)는 다양한 공진피크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진동 스피커(210)는 500 Hz보다 낮은 주파수 범위내, 800 Hz보다 낮은 주파수 범위내, 1000 Hz보다 낮은 주파수 범위내에서 하나 이상의 저주파수 공진피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저주파수 공진피크(들)은 상기 진동부재의 탄성률에 관련될 수 있다. 상기 진동부재의 탄성률이 작을수록 상기 진동 스피커(210)의 상기 저주파수 공진피크는 낮을 수 있다.
상기 전달 메커니즘(220)는 상기 유저에게 접촉하여 상기 진동신호(들을)를 유저(예를 들어, 상기 유저의 달팽이관)에게 전달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달 메커니즘(220)는 연결유닛(222), 동판(224), 및 탄성부재(2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저에 접촉하는 상기 전달 메커니즘(220)의 접촉부는 상기 진동판(224)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유닛(222)은 양단(예를 들어, 제1 단부(E1) 및 제2 단부(E2))을 구비하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결유닛(222)는은 막대기 같은 구조, 판 같은 구조 등 양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스피커(210)는 상기 연결유닛(222)을 통해 상기 진동판(224)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진동 스피커(210)의 측벽(예를 들어, 상기 하부 측벽)은 상기 연결유닛(222)의 측벽(예를 들어, 상기 상부 측벽)에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진동 스피커(210)는 상기 상측에 설치되었거나 상기 연결유닛(222)의 상기 제1 단부(E1)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결유닛(222)은 직사각형 막대기인 경우, 상기 진동 스피커(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유닛(222)의 상부 측벽에 설치될 수 있다. 간략하게 말하자면, 상기 연결유닛(222)의 상측은 상기 연결유닛(222)의 상기 유저의 피부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측을 표시하고, 상기 연결유닛(222)의 하측은 상기 연결유닛(222)의 상기 유저의 피부를 향한 측을 표시한다. 유사하게, 상기 진동 스피커(210)의 상측은 상기 진동 스피커(210)의 상기 유저의 피부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측을 표시하고, 상기 진동 스피커(210)의 하측은 상기 진동 스피커(210)의 상기 유저의 피부를 향한 측을 표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유닛(222)이 막대기 구조인 경우, 상기 막대기의 단면은 직사각형, 삼각형, 원, 타원, 정육각형, 불규칙적인 형상 등과 같은 임의의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유닛(222)이 시트인 경우, 상기 시트의 형상은 직사각형, 타원형, 불규칙한 형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판(224)은 상기 연결유닛(222)의 하측의 제2 단부(E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진동판(224), 및 상기 전달 메커니즘(220)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진동 스피커(210)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진동판(224)은 상기 유저(도 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점선(240)는 대략 상기 유저의 피부로 간주할 수 있다)와 접촉되어 상기 진동신호(들을)를 상기 유저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진동판(224)은 쐐기형 블록과 같은 블록일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진동 스피커(210)가 유저의 피부 위에 하며, 따라서 상기 연결유닛(222)의 상면 또는 하면과 상기 유저의 피부의 표면 사이에 각도(예를 들어, 도 2의 도면 2a에서 θ)를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유닛(222)의 상면 또는 하면과 상기 유저의 피부의 표면 사이의 각도는 0내지90°, 또는 0° 내지 70°, 또는 5° 내지 50°, 또는 10° 내지 50°, 또는10° 내지 30° 등의 범위내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유닛(222)의 상면 또는 하면과 상기 유저의 피부의 표면 사이의 각도는 상기 전달 메커니즘(220)과 상기 유저의 피부(240)(또는 상기 유저의 피부가 위치하는 평면) 사이의 각도를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탄성부재(226)와 상기 진동판(224)은 예를 들면 상기 연결유닛(222)의 동일한 단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226)는 상기 연결유닛(222)의 제2 단부(E2)에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진동판(224)의 상면은 볼록 구조(228)(도 2에 표시된 바와 같이)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탄성부재(226)의 양단은 각각 상기 연결유닛(222)의 상기 볼록 구조(228)와 상기 제2 단부(E2)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부재(226)는 일정한 탄성을 구비하는 시트 같은 구조 또는 막대기 같은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30)의 제1 단부는 상기 탄성부재(226)의 임의의 점(예를 들어, 중심점)에서 상기 탄성부재(226)와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부재(230)의 제1 단부는 직접 또는 연결부재(232)를 통해 상기 탄성부재(226)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지지부재(230)의 제1 단부는 직접 또는 연결부재(232)를 통해 상기 탄성부재(226)의 중심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음향장치(200)가 상기 유저의 몸에 고정적으로 착용된 경우, 상기 지지부재(230)는 상기 유저에 상대적으로 정지되며, 이런 경우, 상기 진동 스피커(210)는 상기 진동신호(들)에 반응하여 상기 연결유닛(222)과 상기 진동판(224)를 구동시켜 상기 지지부재(230)와 상기 탄성부재(226) 사이의 특정된 연결점(250)(예를 들어, 상기 탄성부재(226)의 중심점)를 에워싸고 회전시킬 수 있다.
도 2에서의 도면2a와 2b에 의하면, 도면 2a는 진동신호의 전달 과정 동안, 상기 음향장치(200)의 최초 상태를 표시하고, 도면 2b는 상기 진동신호를 전달하는 과정에서의 상기 음향장치(200)의 중간 상태를 표시한다. 화살표시 A는 상기 진동 스피커(210)의 진동방향를 표시하고 화살표시 A의 길이는 상기 진동 강도를 표시한다.
상기 음향장치(200)가 상기 최초 상태(도면 2a)인 경우, 상기 전달 메커니즘(220)과 상기 유저의 피부(240) 사이의 각도는 와 같은 값을 가지며, 이때, 상기 진동판(224)와 상기 유저의 피부(240) 사이의 접촉면적은 상기 진동신호의 전달 과정에서 가장 크다. 상기 음향장치(200)가 상기 중간 상태(도면 2b)인 경우, 상기 전달 메커니즘(220)와 상기 유저의 피부(240) 사이의 각도는 상기 음향장치(200)의 최초 상태에서의 상기 전달 메커니즘(220)와 상기 유저의 피부(240) 사이의 각도보다 작을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전달 메커니즘(220)와 상기 유저의 피부(240) 사이의 접촉면적은 상기 진동신호(들)에 반응하여 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진동 스피커(210)가 상기 유저의 피부(240)를 향한 상기 특정된 연결점(250) 주위에서 진동하는 과정 동안, 상기 전달 메커니즘(220)와 상기 유저의 피부(240) 사이의 각도는 점차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이를 테면 도면 2b에서 θ’<θ). 이런 경우, 상기 음향장치(200)의 상기 중간 상태에서 상기 진동판(224)과 상기 유저의 피부(240) 사이의 접촉면적은 상기 음향장치(200)의 상기 최초 상태에서 상기 진동판(224)와 상기 유저의 피부(240) 사이의 접촉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진동 스피커(210)가 진동신호(들을)를 상기 유저에게 전달하는 과정에서, 상기 유저의 진동감은 약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판(224)은 상기 진동 스피커(210)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있고, 상기 진동판(224)으로부터 상기 특정된 연결점(250)까지의 거리는 상기 진동 스피커(210)로부터 상기 특정된 연결점(250)까지의 거리보다 작기 ‹š문에, 상기 진동신호의 전달 과정 동안, 상기 진동판(224)는 상기 진동 스피커(210)보다 작은 진동 강도를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유저의 진동감을 더 약화시킨다. 단지 예로써, 화살표시 B는 상기 접촉부상의 점의 진동을 표시하고, 상기 화살표시B의 길이는 상기 점의 진동 강도를 표시한다. 상기 특정된 연결점(250)으로부터 화살표시 B까지의 수직거리가 상기 특정된 연결점(250)으로부터 화살표시 A까지의 수직거리보다 작기 때문에, 화살표시 A(예를 들어, 화살표시 A의 길이)의 진동강도는 화살표시 B(예를 들어, 화살표시B의 길이)의 진동강도보다 클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전달 메커니즘(220)을 사용하므로써, 상기 진동 스피커(210)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작아져서 상기 유저가 저주파수 범위의 불쾌한 진동감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기초로 해서, 상기 진동 스피커(210)의 주파수 반응은 상이한 필요에 적응되도록 더 융통성 있게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진동 스피커(210)의 상기 최저 공진피크는 저주파수 범위로 이동하여 더 풍부한 저주파수 신호를 상기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진동 스피커(210)의 상기 최저 공진피크는 상기 진동 스피커(210)의 상기 진동부재의 탄성률을 변경하여 조절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진동 스피커(210)의 상기 진동부재의 탄성률은 상기 진동 스피커(210)의 상기 최저 공진피크가 2500 Hz보다 낮거나, 또는 2000 Hz보다 낮거나, 또는 1500 Hz보다 낮거나, 또는 1200 Hz보다 낮거나, 또는 1000 Hz보다 낮거나, 또는 800 Hz보다 낮거나, 또는 500 Hz보다 낮거나, 또는 300 Hz보다 낮거나, 또는 200 Hz보다 낮거나, 또는 100 Hz보다 낮거나, 또는 90 Hz보다 낮거나, 또는 50 Hz보다 낮게 설계될 수 있다.
상기 기재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지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 당업자라면 본 개시의 교시에 따라서 여러가지 변형과 수정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형과 수정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진동 스피커(210)는 직접 상기 진동판(224)에 연결될 수 있으며, 즉, 상기 연결유닛(222)은 생략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탄성부재(226)는 상기 진동 스피커(21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음향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부재, 예를 들면 보조지지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전히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전달 메커니즘(220)의 상기 접촉부는 귀 주위 구역에 위치할 수 있으며, 거기서 상기 진동 스피커(210)는 상기 진동 스피커(210)의 일면이 상기 유저의 귓구멍에 마주하여 공기전도파를 귀에 더 잘 전송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음향장치(200)의 임의의 2개의 부재(예를 들어, 상기 진동 스피커(210), 상기 연결유닛(222), 상기 진동판(224), 상기 지지부재(230), 등) 사이의 연결은 접착, 리벳팅, 나사산 연결, 일체 성형, 흡입 연결, 또는 이와 유사한 연결, 또는 이것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음향장치가 진동신호(들을)를 유저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관련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장치(300)는 도2에 도시된 상기 음향장치(200와 유사할 수 있다. 상기 음향장치(300)는 진동 스피커(310), 전달 메커니즘(320), 및 지지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스피커(310)는 상기 전달 메커니즘(320)을 통해 상기 지지부재(33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진동 스피커(310)는 전기신호(들)에 근거하여 소리를 표시하는 진동신호(들을)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스피커(310)는 도2에 도시된 상기 진동 스피커(210)와 유사하거나 동일 할 수 있다.
상기 전달 메커니즘(320)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연결부(322)와 호형부(32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322)의 제1 단부는 상기 호형부(324)의 제1 단부(E3)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부재(예를 들어, 상기 연결부(322) 및/또는 상기 호형부(324))는 금속 재료(예를 들어, 알루미늄, 금, 동 등), 합금 재료(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 티타늄 합금, 등), 플라스틱 재료(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폭시 수지, 나일론 등), 섬유 재료(예를 들어, 아세테이트 섬유, 프로피온산 섬유, 탄소 섬유 등) 등 다양한 탄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진동 스피커(310)은 상기 연결부(322)에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결부(322)가 시트 같은 구조인 경우, 상기 진동 스피커(310)는 상기 연결부(322)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연결부(322)가 막대기 같은 구조인 경우, 상기 진동 스피커(310)는 상기 연결부(322)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진동 스피커(310)의 측벽은 상기 연결부(322)의 제2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호형부(324)의 볼록부는 상기 유저의 피부(340)에 접촉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진동 스피커(310)는 상기 전달 메커니즘(320)을 통해 상기 진동신호(들)를 상기 유저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호형부(324)와 상기 유저의 피부(340) 사이의 접촉면적은 도 2에 도시된 상기 전달 메커니즘(220)의 상기 접촉부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전달 메커니즘(320)와 상기 유저의 피부(340) 사이의 상기 접촉면적은 상기 진동신호(들)에 반응하여 거의 변화가 없을 수 있다. 상기 진동 스피커(310)는 상기 유저의 피부에 현수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322)와 상기 유저의 피부(340)의 표면 사이에는 각도(예를 들어, 도 3의 도면 3a에서 )가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부(322)와 상기 유저의 피부(340)의 표면 사이의 각도는 0내지90°, 또는 0° 내지 70°, 또는 5° 내지 50°, 또는10° 내지 50°, 또는 10° 내지 30° 등의 범위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부(322)와 상기 유저의 피부(340)의 표면 사이의 각도는 상기 전달 메커니즘(320)와 상기 유저의 피부(340) (또는 상기 유저의 피부가 위치하는 평면) 사이의 각도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저의 피부(340)에 접촉하는 상기 호형부(324)의 볼록부는 상기 전달 메커니즘(320)의 접촉부(350)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전달 메커니즘(320)의 상기 접촉부(350)는 상기 진동 스피커(310)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호형부(324)의 제2 단부(E4)는 상기 지지부재(330)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음향장치(300)가 상기 유저에게 고정적으로 착용된 경우, 상기 지지부재(330)는 상기 유저와 상대적으로 정지되어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진동 스피커(310)는 상기 진동신호(들)에 반등하여 상기 전달 메커니즘(320) (예를 들어, 상기 탄성부재 연결부(322)와 상기 호형부(324))를 구동하여 진동하거나 또는 상기 접촉부(350)를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호형부(324)의 제2 단부(E4)는 연결부재(332)를 통해 상기 지지부재(33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에서 도면 3a에 의하면, 도면 3a는 진동신호의 전송 과정에서 상기 음향장치(300)의 최초 상태를 표시하며, 도면 3b는 진동신호의 전송 과정에서 상기 음향장치(300)의 중간 상태를 표시한다. 화살표시 B는 상기 진동 스피커(310)의 진동방향을 표시하고 상기 화살표시 B의 길이는 상기 진동 강도를 표시한다.
상기 진동신호의 전달 과정 동안, 상기 호형부(324)와 상기 유저의 피부(340) 사이의 접촉면적이 매우 작기 때문에, 상기 진동 스피커(310)가 생성한 진동신호(들)은 부분적으로 상기 전달 메커니즘(320)(예를 들어, 상기 연결부(322) 및/또는 상기 호형부(324))의 탄성 변형으로 변환될 수 있으며, 상기 유저의 진동감은 상기 진동 스피커(310)가 상기 유저의 피부(340)에 직접 접촉하는 경우의 상기 유저의 진동감보다 약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350)가 상기 진동 스피커(310)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진동신호의 전달 과정 동안, 상기 접촉부(350)는 상기 진동 스피커(310)보다 작은 진동 강도를 구비하며, 따라서 상기 유저의 진동감을 더 약화시킨다. 단지 예로써, 화살표시 B는 상기 접촉부(350)에 가까운 점의 진동을 표시하고 상기 화살표시의 길이는 B는 상기 점의 상기 진동 강도를 표시한다. 상기 접촉부(350)로부터 화살표시 B까지의 수직 거리가 상기 접촉부(350)부터 화살표시 A까지의 수직 거리보다 작기 때문에, 화살표시 A(예를 들어, 화살표시 A의 길이)의 진동 강도는 화살표시 B(예를 들어, 화살표시 B의 길이)의 진동 강도보다 클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전달 메커니즘(320)을 이용하므로써, 상기 진동 스피커(310)가 생성한 진동은 약해질 수 있으며, 상기 유저가 저주파수 범위에서 불쾌한 진동감을 받지 않게 한다. 이를 기초로 해서, 상기 진동 스피커(310)의 주파수 반응은 상이한 요구에 적응되도록 더 융통성 있게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진동 스피커(310)의 상기 최저 공진피크는 저주파수 범위로 이동하여 더 풍부한 저주파수 신호를 상기 유저에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진동 스피커(310)의 상기 최저 공진피크는 상기 진동 스피커(310)의 진동부재의 탄성률을 변경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진동 스피커(310)의 상기 진동부재의 탄성률은 상기 진동 스피커(310)의 상기 최저 공진피크가 2500 Hz보다 낮거나, 또는 2000 Hz보다 낮거나, 또는 1500 Hz보다 낮거나, 또는 1200 Hz보다 낮거나, 또는 1000 Hz보다 낮거나, 또는 800 Hz보다 낮거나, 또는 500 Hz보다 낮거나, 또는 300 Hz보다 낮거나, 또는 200 Hz보다 낮거나, 또는 100 Hz보다 낮거나, 또는 90 Hz보다 낮거나, 또는 50 Hz보다 낮게 설계될 수 있다.
단지 설명의 목적에 의하여, 상기 음향장치(300)에서 하나의 탄성부재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개시에서 상기 음향장치(300)는 복수의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진동신호(들)은 상기 복수의 탄성부재들에 의해 공동으로 전송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부재(320)는 복수의 호형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진동신호(들)은 상기 복수의 호형부들에 의해 공동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호형부들은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상술한 기재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지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 당업자라면 본 개시의 제시하에 여러가지 변형과 수정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형과 수정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호형부(324)는 상기 진동 스피커(310)에 직접 연결될 수 있으며, 즉 상기 연결부(322)는 생략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음향장치(300)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부재, 예를 들면 보조지지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전히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전달 메커니즘(320)의 상기 접촉부(350) 는 귀 주위 구역에 위치할 수 있으며, 거기서 상기 진동 스피커(310)는 상기 진동 스피커(310)의 표면이 상기 유저의 귓구멍에 마주하여 공기전도파를 귀에 더 잘 전송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음향장치(300)의 임의의 2개의 부재들(예를 들어, 상기 진동 스피커(310), 상기 호형부(324), 상기 연결부(322), 상기 지지부재(330), 등) 사이의 연결은 접착, 리벳팅, 나사산 연결, 일체 성형, 흡입 연결, 또는 이와 유사한 연결방식, 또는 이것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본 개념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본 분야의 기술자들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을 열독한 후 이 상세설명은 예를 제시하는 목적뿐이고 한정적이 아님을 명확할 것이다. 여기에서 명기하지 않았지만 본 분야의 기술자들에 있어서 다양한 변화, 개진, 또는 수정은 가능하며 또한 이를 추구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의하여 이러한 변화, 개진, 또는 수정은 제시를 주기 위함이고, 이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지와 범위내에 있는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된 용어 이를테면 “하나의 실시예”, “실시예”, 및/또는 “일부 실시예”는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한 상세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은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어의 여러 부분에서 기술한 2개 이상의 “실시예”, “한 실시예”, 또는 “하나의 변형 실시예”는 전부 동일한 실시예로 참고할 필요가 없음을 강조하고 인정한다. 그리고 구체적인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적당히 조합될 수 있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양태가 임의의 새롭고 유용한 프로세스, 기계, 제조 또는 물질의 조성 또는 이에 대한 새롭고 유용한 개선 사항을 포함하는 다수의 특허 가능한 분류 또는 맥락에서 예시 및 설명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상응하게 본 개시의 각 양태는 전체적으로 하드웨어, 전체적으로 소프트웨어(펌웨어, 상주 소프트웨어, 마이크로 코드 등)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조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그 조합 도구는 일반적으로 “블록”, “모듈”, “엔진”, “유닛”, “부재”, 또는 “시스템”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각 양태들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내장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식을 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신호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되는 전파되는 데이터 신호가 포함된 예를 들면 기저대 또는 반송파의 일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파되는 신호는 전자기, 광학 또는 이들의 유사 형식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당한 조합의 임의의 여러가지 방식을 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신호 매체는 임의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서 이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가 아니고, 이용을 위하여 통신, 전파, 또는 전송이 가능하거나 지시집행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가능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신호 매체 상의 프로그램 코드는 무선, 유선, 광섬유 케이블, RF 또는 그 유사물 또는 이들의 적당한 조합을 포함한 임의의 적당한 매체를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각 양태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자바, 스칼라, 스몰토크, 에펠, JADE, 에메랄드, C++, C#, VB.NET, 파이썬 또는 이들과 유사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C 프로그래밍 언어, 비주얼 베이직, 포트란 1703, 펄, 코볼 1702, PHP, ABAP와 같은 상규적인 프로그래밍 언어; 파이썬, 루비, 그루비 같은 동적 프로그래밍 언어; 또는 기타 프로그래밍 언어와 같은 언어를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 언어의 임의의 조합으로 작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코드는 전체적으로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일부가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독립 실행형 소프트웨어 패키지로써, 일부는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일부는 원격 컴퓨터에서 또는 전체적으로 원격 컴퓨터나 서버에서 실행될 수 있다. 후자의 상황에서 원격 컴퓨터는 LAN(Local Area Network) 또는 WAN(Wide Area Network)을 포함한 임의의 유형의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의 컴퓨터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연결은 외부 컴퓨터(예를 들면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를 사용하는 인터넷을 통해) 또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이나 또는 서비스로서의 소프트웨어(SaaS) 와 같은 서비스의 형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처리 요소 또는 순서, 또는 숫자, 문자 또는 기타 명칭의 사용은 청구범위에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고 주장된 프로세스 및 방법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상기 개시는 상기 개시의 여러 다양한 유용한 실시예를 통해 현재 본 개시의 다양한 유용한 실시예로 간주되는 것이 무엇인지를 논의하지만, 이러한 상세내용은 오로지 그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청구범위들이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반대로, 수정과 개시된 실시예들의 요지와 범위내에 있는 방안과 동등한 방안을 포괄하기 위한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한 다양한 구성 요소의 구현이 하드웨어 장치에 구현될 수 있지만, 소프트웨어 전용 솔루션(예를 들면 기존 서버나 모바일 장치에 설치하는)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한 상기 설명에서,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이해를 돕는 개시를 간단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어떤 경우 다양한 특징들이 하나의 실시예, 도면 또는 설명에 집중되어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개시의 방법은 청구된 요지가 각 청구항들에서 명시적으로 인용되는 것보다 더 많은 특징을 요구한다는 취지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오히려, 청구된 요지는 상술한 하나의 개시된 실시예의 모든 특징들보다 적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출원의 어떤 실시예를 기술하고 주장하는데 사용된 수량 또는 성질을 표시하는 수자는 일부 상황에서 용어 “약”, “유사”, 또는 “기본상” 등으로 수정하여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별도의 설명이 없는 경우 “약”, “유사” 또는 “기본상”은 그 묘사하는 값이 ±20%의 변화가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방안에서 서면 기술과 청구범위에서 열거한 수치 계수는 유사치이며, 특정된 실시방안에서 얻으려는 성질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일부 실시방안에서 수치 계수는 보고된 유효 수자의 수량에 의거하여 일반적인 사사오입 기술에 따라 해석해야 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방안에서 광범위의 수치 범위와 계수는 유사치이지만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정확한 수치를 될수록 제공했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한 각 특허, 특허출원, 특허출원의 출판물과 기타자료, 예를 들면 문장, 서적, 명세서, 출판물, 서류, 물품 및 그 유사물 등은 인용되어 그 전부가 본 명세서에 결합되어 모든 목적에 사용되나 인용되는 자료에 관련되는 임의의 소송 역사, 본 명세서와 불일치하거나 상호 충돌되는 인용자료, 또는 현재 또는 금후 본 명세서와 관련되어 청구범위의 최대 범위에 대하여 한정적 영향이 있는 인용서류는 제외된다. 예를 들면, 임의의 합병된 자료와 관련되는 용어의 기술, 정의 및/또는 사용이 본 명세서와의 사이에서 임의의 불일치 또는 충돌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때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의 기술, 정의 및/또는 사용을 기준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여기에서 개시된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원칙들을 예시하는 것임을 이해할 수 있다. 기타 수정은 본 출원의 범위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비한정적인 대안 형태는 여기에서 주는 암시에 따라 이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보여주고 묘사된대로 정확하게 한정된 것이 아니다.

Claims (20)

  1. 음향장치로서,
    전기신호에 따라서 소리를 표시하는 진동신호를 생성하는 진동 스피커;
    상기 진동 스피커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전달 메커니즘; 및
    상기 전달 메커니즘을 통해 상기 진동 스피커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 메커니즘은 상기 전달 메커니즘의 접촉부를 통해 유저와 접촉하고 상기 진동신호를 상기 접촉부를 통해 상기 유저에게 전송하고, 상기 전달 메커니즘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진동 스피커로부터 멀리 떨어지고 진동 강도가 상기 진동 스피커보다 작으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전달 메커니즘을 지지하는, 음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메커니즘은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호형부를 포함하는, 음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호형부의 제1 단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기계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호형부의 제2 단부는 직접 또는 연결부를 통해 상기 진동 스피커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달 메커니즘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호형부에 있고, 상기 진동 스피커는 상기 진동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접촉부 주위에서 진동하는, 음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메커니즘과 상기 유저 사이의 접촉면적은 상기 진동신호에 반응하여 변하는, 음향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메커니즘은,
    제1 단부에 상기 진동 스피커가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연결유닛;
    상기 연결유닛의 제2 단부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진동판; 및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연결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진동 스피커는 상기 진동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탄성부재 사이의 연결점 주위에서 진동하는, 음향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가 상기 음향장치를 착용했을 때 상기 진동 스피커의 일면은 상기 유저의 귓구멍에 마주하는, 음향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스피커는 상기 진동 스피커의 하우징 내에서 생성된 공기전도파를 상기 유저에게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구멍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구멍들은 상기 유저가 상기 음향장치를 착용했을 때 상기 유저의 귓구멍을 향하도록 배열되는, 음향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스피커에 직접 연결된 보조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지지부재는 상기 진동 스피커를 지지하는, 음향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메커니즘과 상기 유저의 피부가 위치하는 평면 사이의 각도는 0° 내지 90°, 또는 0° 내지 70°, 또는 5° 내지 50°, 또는 10° 내지 50°, 또는 10° 내지 30°의 각도 범위내인, 음향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스피커의 최저 공진피크는 90 Hz보다 낮은, 음향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스피커는 자기회로부재, 진동부재, 및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 스피커의 상기 최저 공진피크는 상기 진동 스피커의 상기 진동부재의 탄성률과 관련되는, 음향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는 U 형상 또는 C 형상인, 음향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중공 내부를 구비하는 껍데기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 내부에는 배터리, 블루투스 장치, 또는 회로판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는, 음향장치.
  14. 음향장치를 포함하는 전자장치로서,
    상기 음향장치는,
    전기신호에 근거하여 소리를 표시하는 진동신호를 생성하는 진동 스피커;
    상기 진동 스피커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전달 메커니즘; 및
    상기 전달 메커니즘을 통해 상기 진동 스피커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 메커니즘은 상기 전달 메커니즘의 접촉부를 통해 유저와 접촉하고 상기 진동신호를 상기 접촉부를 통해 상기 유저에게 전달하고, 상기 전달 메커니즘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진동 스피커로부터 멀리 떨어지고 진동 강도가 상기 진동 스피커보다 작으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전달 메커니즘을 지지하는, 전자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메커니즘은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호형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호형부의 제1 단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기계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호형부의 제2 단부는 상기 진동 스피커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달 메커니즘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호형부에 있고, 상기 진동 스피커는 상기 진동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접촉부 주위에서 진동하는, 전자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메커니즘과 상기 유저 사이의 접촉은 상기 진동신호에 반응하여 변하는, 전자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메커니즘은,
    제1 단부에 상기 진동스피커가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연결유닛;
    상기 연결유닛의 제2 단부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진동판; 및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연결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진동 스피커는 상기 진동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탄성부재 사이의 연결점 주위에서 진동하는, 전자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스피커의 최저 공진피크는 90 Hz보다 낮은, 전자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스피커는 자기회로부재, 진동부재, 및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 스피커의 상기 최저 공진피크는 상기 진동 스피커의 상기 진동부재의 탄성률과 관련되는, 전자장치.
KR1020227029798A 2020-03-31 2020-11-13 음향장치 KR202201339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247338.2 2020-03-31
CN202010247338 2020-03-31
PCT/CN2020/128525 WO2021196626A1 (en) 2020-03-31 2020-11-13 Acoustic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3970A true KR20220133970A (ko) 2022-10-05

Family

ID=7792690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3182A KR20220146570A (ko) 2020-03-31 2020-11-11 음향출력장치
KR1020227029798A KR20220133970A (ko) 2020-03-31 2020-11-13 음향장치
KR1020227029627A KR20220133268A (ko) 2020-03-31 2020-12-30 음향출력 시스템, 음향출력방법 및 음향출력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3182A KR20220146570A (ko) 2020-03-31 2020-11-11 음향출력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9627A KR20220133268A (ko) 2020-03-31 2020-12-30 음향출력 시스템, 음향출력방법 및 음향출력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3) US20220386011A1 (ko)
EP (3) EP4091336A4 (ko)
JP (4) JP2023520434A (ko)
KR (3) KR20220146570A (ko)
CN (3) CN115066911A (ko)
AU (2) AU2020440893B2 (ko)
BR (3) BR112022017897A2 (ko)
CA (2) CA3176100A1 (ko)
CL (2) CL2022002433A1 (ko)
CO (2) CO2022013075A2 (ko)
MX (2) MX2022011993A (ko)
PE (2) PE20221843A1 (ko)
WO (3) WO20211966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22584A1 (en) * 2021-07-22 2023-01-26 Bose Corporation Hearing aids and related devices and methods
USD1015299S1 (en) * 2022-01-18 2024-02-20 Shenzhen Antexin Technology Co., Ltd. Neck hanging headphone
CN217216874U (zh) 2022-03-04 2022-08-16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扬声器装置及电子设备
CN114615592A (zh) * 2022-03-10 2022-06-1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BR112023011239A2 (pt) * 2022-04-27 2024-01-09 Shenzhen Shokz Co Ltd Dispositivos de saída acústica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410A (ko) * 1997-08-19 1998-10-07 양승택 골도 및 기도 청각 겸용의 수화갑이 구비된 전화기
KR100390003B1 (en) * 2002-10-02 2003-07-04 Joo Bae Kim Bone-conduction speaker using vibration plate and mobile telephone using the same
JP2005348193A (ja) * 2004-06-04 2005-12-15 Nec Tokin Corp 受話器
KR100687208B1 (ko) * 2006-01-17 2007-02-26 주식회사 벨류텔 음향 및 진동발생용 마이크로스피커
US20090290730A1 (en) * 2006-09-07 2009-11-26 Temco Japan Co., Ltd. Bone conduction speaker
US7991178B2 (en) * 2006-11-01 2011-08-02 Plan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noise control in a headset
JP4401396B2 (ja) 2007-01-16 2010-01-2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音出力装置
US8433080B2 (en) * 2007-08-22 2013-04-30 Sonitus Medical, Inc. Bone conduction hearing device with open-ear microphone
KR101039090B1 (ko) * 2008-05-21 2011-06-20 박의봉 스피커장치
US8700111B2 (en) * 2009-02-25 2014-04-15 Valencell, Inc. Light-guiding devices and monitoring devices incorporating same
CN102014328A (zh) * 2010-12-24 2011-04-13 金在善 骨传导耳机
US9020168B2 (en) * 2011-08-30 2015-04-28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udio delivery with different sound conduction transducers
US20130343562A1 (en) * 2012-06-21 2013-12-26 Aab Co. Limited Earring set with an audio speaker integrated therein
CN202721792U (zh) * 2012-08-02 2013-02-06 北京美尔斯通科技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骨气组合无线耳机
US10469935B2 (en) * 2012-12-28 2019-11-05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Bone conduction speaker and bone conduction headphone device
US9554223B2 (en) * 2013-08-28 2017-01-24 Cochlear Limited Devices for enhancing transmissions of stimuli in auditory prostheses
CN104581557B (zh) * 2013-10-28 2019-08-16 宁波升亚电子有限公司 点音源模组扬声器及其制造方法
US20150156594A1 (en) * 2013-11-29 2015-06-04 Cochlear Limited Medical device having an impulse force-resistant component
JP2015136091A (ja) * 2013-12-21 2015-07-27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透光性カバー部材
CN106470371B (zh) 2014-01-06 2018-02-27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能够抑制漏音的骨传导扬声器
US9402126B2 (en) * 2014-04-17 2016-07-26 Merry Electronics (Shenzhen) Co., Ltd. Earphone with passive radiator
JP6100730B2 (ja) * 2014-04-22 2017-03-22 京セラ株式会社 イヤホン
CN204031403U (zh) * 2014-06-20 2014-12-17 唐双庆 骨传导和空气传导组合耳机
AU2015282183A1 (en) 2014-06-26 2016-02-18 Temco Japan Co., Ltd. Bone conduction speaker
KR20160020921A (ko) * 2014-08-14 2016-02-24 이인호 체감진동형 복합 음향리시버
CN111035364A (zh) * 2014-09-24 2020-04-21 泰克宣技术有限公司 用于向用户的皮肤施加运动的设备
KR101506216B1 (ko) * 2014-11-03 2015-03-26 (주)테라다인 진동발생장치 및 체감진동 음향 리시버
US10334366B2 (en) * 2014-10-20 2019-06-25 Sony Corporation Audio playback device
JPWO2016103983A1 (ja) * 2014-12-24 2017-10-05 株式会社テムコジャパン 骨伝導ヘッドホン
WO2016204045A1 (ja) * 2015-06-17 2016-12-22 第一精工株式会社 イヤホン
CN106954151B (zh) * 2015-08-13 2019-09-06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骨传导扬声器
WO2017168903A1 (ja) * 2016-03-29 2017-10-05 ソニー株式会社 音響再生装置
US10743094B2 (en) * 2016-10-04 2020-08-11 Jonathan Jan Helmet having dual mode headphone and method therefor
TW201820891A (zh) * 2016-10-26 2018-06-01 日商特摩柯日本股份有限公司 骨傳導喇叭
CN206674151U (zh) * 2016-12-30 2017-11-24 余旭明 一种可减小振动负载的骨传导耳机
CN110022503A (zh) * 2018-01-08 2019-07-16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骨传导发声装置
CN117395572A (zh) * 2018-01-08 2024-01-12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骨传导扬声器
US10757501B2 (en) * 2018-05-01 2020-08-25 Facebook Technologies, Llc Hybrid audio system for eyewear devices
CN116996820A (zh) * 2018-06-15 2023-11-03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骨传导扬声器及骨传导耳机
BR112020025564A2 (pt) * 2018-06-15 2021-03-16 Shenzhen Voxtech Co., Ltd. Alto-falante e fone de ouvido de condução óssea
CN208798151U (zh) * 2018-07-24 2019-04-26 张�浩 防泄音骨传导耳机
CN109068248B (zh) * 2018-09-18 2021-02-26 中山奥凯华泰电子有限公司 骨传导扬声器
CN109547891A (zh) * 2019-01-22 2019-03-29 海商电子(深圳)有限公司 新型组合式耳机
CN110493679A (zh) * 2019-08-26 2019-11-22 成都法兰特科技有限公司 耳机发声的控制方法及耳机
CN114902693A (zh) * 2019-12-13 2022-08-12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声音输出装置
CN111954142A (zh) * 2020-08-29 2020-11-17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听力辅助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570A (ko) 2022-11-01
PE20221677A1 (es) 2022-10-27
JP2023520434A (ja) 2023-05-17
EP4059228A4 (en) 2023-02-15
AU2020440893A1 (en) 2022-10-27
CA3171893A1 (en) 2021-10-07
CN115152246A (zh) 2022-10-04
MX2022011993A (es) 2022-10-20
JP2023517634A (ja) 2023-04-26
JP7387019B2 (ja) 2023-11-27
CO2022013075A2 (es) 2022-12-09
WO2021196795A1 (en) 2021-10-07
CA3176100A1 (en) 2021-10-07
EP4059228A1 (en) 2022-09-21
AU2020439803B2 (en) 2023-11-09
CN115066911A (zh) 2022-09-16
US20220312108A1 (en) 2022-09-29
CN115280793A (zh) 2022-11-01
JP2023517554A (ja) 2023-04-26
EP4091336A1 (en) 2022-11-23
BR112022012429A2 (pt) 2022-10-11
JP2024038015A (ja) 2024-03-19
EP4062655A4 (en) 2023-05-10
PE20221843A1 (es) 2022-11-30
EP4062655A1 (en) 2022-09-28
AU2020439803A1 (en) 2022-09-08
BR112022017897A2 (pt) 2022-11-01
KR20220133268A (ko) 2022-10-04
WO2021196626A1 (en) 2021-10-07
MX2022011172A (es) 2022-10-18
AU2020440893B2 (en) 2024-01-04
EP4091336A4 (en) 2023-05-24
CL2022002433A1 (es) 2023-02-10
BR112022013213A2 (pt) 2022-10-18
CL2022002653A1 (es) 2023-03-24
CO2022013931A2 (es) 2022-10-21
WO2021196624A1 (en) 2021-10-07
US20220386011A1 (en) 2022-12-01
US20220386021A1 (en) 202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33970A (ko) 음향장치
US11977275B2 (en) Glasses
US20210076123A1 (en) Loudspeaker apparatus
EP4009660A1 (en) Acoustic output device
US9992594B2 (en) Ear model unit, artificial head, and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using said ear model unit and artificial head
US8989410B2 (en) Compact bone conduction audio transducer
US10133358B1 (en) Fitting detection for a bone conduction transducer (BCT) using an inertial measurement unit (IMU) sensor
CN116671125A (zh) 一种振动传感器
RU2800594C1 (ru) Акус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JP2023538562A (ja) 音響出力装置
CN220457587U (zh) 一种骨传导发声装置及可穿戴设备
US11968506B1 (en) Speakers
US20230353926A1 (en) Acoustic output device and wearable device
US20240147161A1 (en) Speakers
KR20230091147A (ko) 진동센서
TW202344070A (zh) 一種可穿戴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