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3554A - 리튬이온배터리 팩의 방전장치 - Google Patents

리튬이온배터리 팩의 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3554A
KR20220133554A KR1020210038811A KR20210038811A KR20220133554A KR 20220133554 A KR20220133554 A KR 20220133554A KR 1020210038811 A KR1020210038811 A KR 1020210038811A KR 20210038811 A KR20210038811 A KR 20210038811A KR 20220133554 A KR20220133554 A KR 20220133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n battery
lithium
lithium ion
cradl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8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월영
박관용
김현섭
김준영
김석환
권은지
이병찬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주)솔라라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솔라라이트 filed Critical (주)솔라라이트
Priority to KR1020210038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3554A/ko
Publication of KR20220133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35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0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1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3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8End of discharge regulating meas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54Reclaiming serviceable parts of waste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8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88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9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ESS 유지보수시나 전기차량에 사용되었던 리튬이온배터리의 내부 잔량을 초고속으로 방전시킬 수 있도록 한 리튬이온배터리 팩의 방전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방전장치는 모듈단위의 방전기를 적재할 수 있도록 적재공간이 마련된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 내에 각각 적재되는 방전기, 상기 거치대에 적재된 모든 방전기의 전압, 온도, 습도를 감지하여 방전종료명령에 대한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통합 센서부, 방전 대상인 리튬이온배터리와 직접적인 연결이 되는 케이블 단자대와 접촉되는 케이블 연결부, 및 상기 리튬이온배터리의 내부 전압데이터를 전달받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을 포함하여 구성되면서, 정전류제어방식에 따라 상기 리튬이온배터리를 일정한 속도로 방전한다.

Description

리튬이온배터리 팩의 방전장치{Discharge device of lithium ion battery pack}
본 발명은 리튬이온배터리 팩의 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ESS 유지보수시나 전기차량에 사용되었던 리튬이온배터리의 내부 잔량을 초고속으로 방전시킬 수 있도록 한 리튬이온배터리 팩의 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리튬이온 이차전지(Lithium) 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다르게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로 다양하게 사용된다. 최근에는 전기 자동차(EV), 에너지 저장장치(ESS), 사물인터넷(IoT) 등 4차 산업혁명의 원동력으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계통 균형 유지 및 전력품질 확보를 위해 ESS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즉 ESS는 예비전력 뿐만 아니라 재생에너지의 출력 안정, 주파수 조정 등 전력품질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송전시설의 혼잡을 완화시키는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하다. 이러한 ESS 설치 용량의 대부분은 양수발전이 차지하고 있으나, 최근 전지기술의 발전 및 가격 하락으로 리튬이온배터리를 이용한 설치가 증가하고 있다. 또 전기차 보급률의 증가로 인하여, 전기차에 사용되는 리튬이온배터리의 수요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시간이 갈수록 리튬이온배터리의 수요가 증가하는데, 문제는 ESS장치의 유지 보수나 리튬이온배터리를 사용한 후 폐기되거나 재처리되는 배터리에 대한 관리라고 할 수 있다.
리튬이온배터리는 열에 취약하고 발화가 쉬울 뿐 아니라 유기용매와 산화금속을 함유하고 있어 소화기나 물에 의한 화재진압이 어렵고, 배터리 셀 하나에서 단락이 발생하면 연쇄폭발로 이어져 사고 규모가 커질 수 있다. 또 외부 충격에 의해 배터리 셀이 분열될 경우에 대한 안전성 확보는 현재 어려운 상황이다. 이 경우 리튬이온배터리를 사용하는 스마트폰, 변전소 및 발전소의 ESS에서도 폭발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그래서 리튬이온배터리, 특히 고밀도 리튬이온배터리를 이용한 EV 및 ESS의 시장확대에 따른 안전사고 유발을 방지하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러한 방안 중 하나로 배터리 잔량을 완전하게 방전할 필요가 있다. 리튬이온배터리를 폐기하거나 재 사용하기 위하여 리튬이온 배터리 팩 또는 배터리 셀의 수리 및 점검을 해야 하는데, 배터리 잔량이 존재할 경우에는 화재 및 폭발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리튬이온배터리의 폐기나 재처리를 위해 이송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 리튬이온배터리내의 잔여전압이 일정 수준 이상일 경우 폭발의 위험성도 있다. 이송시 요구되는 안전사항으로 배터리 충전상태(SOC)는 20% 미만이어야 하는데, 작업시간 등의 이유로 20% 이상인 상태에서 이송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리튬이온배터리를 수리 및 폐기하는 경우에 배터리 잔량을 방전하는 방법으로 기존에는 전자 부하기를 이용한 방법, 염수방전방식을 이용한 방법이 사용되었다. 전자부하기를 이용한 방법은 섬세한 전압, 전류, 저항조절이 가능하고 동작범위가 넓어 다양한 조건에서 배터리 상태에 영향을 끼치지 않으면서 유지보수처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은 방전시간이 길어질수록 방전속도가 느려지는 문제가 있다. 또 전자부하기에 사용되는 장비가 고가이며, 에러(error) 발생빈도가 적지 않고 고장 발생시 수리비용도 상당하게 발생한다. 다른 방식인 염수방전방식은 상기 전자부하기보다는 안전하게 방전시킬 수 있는 방식이다. 그러나 염수방전방식은 전해액에서 발생하는 유독가스와 환경오염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 앞으로는 지양되어야 하는 방식이라 할 수 있다. 또 배터리가 염수에 부식되는 문제도 있다.
이와 같은 리튬이온배터리의 방전은 성능평가를 위해서도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리튬이배터리의 내부 잔여량을 빠르게 방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리튬이온배터리 팩의 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종래 방전방법 대비 배터리 방전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것이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튬이온배터리를 구성하는 개별 모듈 단위로 각각 방전시킬 수 있는 리튬이온배터리 팩의 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리튬이온배터리의 모듈 및 셀 간 전압 동기화를 통해 충/방전이 가능한 상태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리튬이온배터리 팩의 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모듈단위의 방전기를 적재할 수 있도록 적재공간이 마련된 거치대; 상기 거치대 내에 각각 적재되는 방전기; 상기 거치대에 적재된 모든 방전기의 전압, 온도, 습도를 감지하여 방전종료명령에 대한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통합 센서부; 방전 대상인 리튬이온배터리와 직접적인 연결이 되는 케이블 단자대와 접촉되는 케이블 연결부; 및 상기 리튬이온배터리의 내부 전압데이터를 전달받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을 포함하며, 정전류제어방식에 따라 상기 리튬이온배터리를 일정한 속도로 방전하는 리튬이온배터리 팩의 방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방전기는, 내부 공간부를 소정 개수로 구획한 복수 개의 서브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는 리튬이온배터리의 (+) 및 (-)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 및 상기 케이스의 서브 공간마다 열전도를 위한 발열체 및 서브 공간 내의 열을 외부로 환풍시키는 쿨링팬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발열체 및 쿨링팬의 조합에 따라 상기 리튬이온배터리의 전력을 열로 전환시켜 더 방전시킨다.
상기 방전기는, 상기 (+) 단자부와 (-) 단자부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저항부, 전압계전기, 차단기(switch)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항부에는 전류 계전기가 병렬 연결되며, 상기 전압계전기에는 병렬로 연결되고 외부 전원을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쿨링팬이 연결되며, 상기 발열체는 둘 이상이 병렬 연결된다.
상기 통합 센서부는 상기 내부전압데이터에 따라 리튬이온배터리의 방전동작을 종료한다.
상기 통합 센서부는 상기 거치대 및 케이스의 온도 및 습도 값에 따라 리튬이온배터리의 방전동작을 종료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거치대에 적재되고 발열체 및 쿨링팬을 구비하는 방전기; 리튬이온배터리의 내부 전압데이터에 따라 동작하는 전압 릴레이, 상기 거치대와 방전기의 온도나 습도에 따라 동작하는 온도/습도 릴레이가 구비되며 상기 거치대의 소정 위치에 위치한 통합센서부; 상기 방전기와 통합 센서부를 연결하는 케이블 연결부; 및 상기 리튬이온배터리의 내부 전압 데이터를 전달받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를 포함하며, 방전 시작 명령에 따라 리튬이온배터리가 방전될 때, 상기 리튬이온배터리의 내부 전압데이터가 방전전압내에 도달하거나, 정해진 온도 및 습도 값에 도달하면 상기 리튬이온배터리의 방전이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배터리 팩의 방전장치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리튬이온배터리 팩의 방전장치에 따르면, 리튬이온배터리의 방전을 위한 단일한 목적을 위해 제안된 방전장치로서, ESS 유지보수 과정에서 직/간접적인 이익 창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전기에 연결된 리튬이온배터리를 정전류 제어방식에 의해 일정 속도로 방전하며, 나아가 발열체와 쿨링팬의 조합에 의해 배터리 내부의 잔여전압을 전기에너지에서 열에너지로 변환시켜 방전하고 있어, 상기 리튬이온배터리를 빠르게 방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튬이온배터리의 빠른 방전으로 인하여 내부 잔량을 충분히 소모할 수 있어, 배터리의 안전한 폐기, 이송은 물론 ESS 장치의 유지보수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튬이온배터리의 방전시 소정 조건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방전과정이 종료되기 때문에 안전하게 배터리 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튬이온배터리 팩의 방전장치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구조 예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전기 케이스 및 그 내부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전기의 내부 회로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방전기에 리튬이온배터리가 연결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온배터리 팩의 방전장치의 연결 상태를 블록도로 보여주고 있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모듈 1개와 방전기 1대 연결시의 회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튬이온배터리 팩의 방전장치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방전장치(10)는 거치대(100), 방전기(200), 통합센서부(300) 및 케이블 연결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거치대(100)는, 모듈단위의 방전기(200)를 적재할 수 있는 랙 형태로서, 방전기(200)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로서 현장 적용시 편의성을 높혔다. 거치대(100)의 구조 예는 도 2a 및 도 2b와 같다. 적재할 수 있는 방전기(200)의 개수는 다양한데, 예를 들면 1×12, 6 ×2, 4×3 등과 같이 여러가지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다만 현장(field)에서 주로 사용하는 배터리팩의 구성은 대부분이 9 ~ 12 모듈로서, 현장 상황에 맞게 적용하기 위해 본 실시 예도 최대 12개의 방전기와 거치대로 구성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물론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이보다 많거나 적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거치대(100)에는 거치대 내부 공간의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한 팬(110)이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는 방전기(200)에 마련된 쿨링팬(240)과 협력하여 내부 온도를 효율적으로 낮출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방전기(200)는 상기 거치대(100) 내에 적재되는데, 방전기(200)는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방전기 케이스 및 그 내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스(210)가 구비되며, 케이스(210)의 일면에는 배터리의 (+) 및 (-)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212)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전기(200) 내부는 케이스 내부 공간을 소정 개수로 구획한 공간이 형성되는데, 실시 예는 제1 내지 제3 공간부(220)를 형성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공간부(220)는 각각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만들어진 발열체(히터)(230) 및 쿨링팬(240)을 구비한다. 쿨링팬(240)은 외부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한다.
상기 통합 센서부(300)는, 거치대(100)에 적재된 모든 방전기(200)의 전압, 온도, 습도를 감지하여 방전동작을 위한 전원의 자동 온/오프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안정범위 이내의 전압, 온도, 습도 값을 미리 셋팅한 후, 감지된 값에 따라 방전장치(10)의 전원을 오프시키고, 정상범위로 복귀하면 전원을 온시킬 수 있다. 이러한 통합 센서부(300)는 거치대(100)의 구조에 따라 설치되는 위치는 가변적이다. 도 1에서는 거치대(100)의 상부에 장착되고 있음을 도시하고 잇지만 하부에 장착될 수 있고, 거치대(100)가 복수 열로 구성된 경우 적절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케이블 연결부(400)는, 리튬이온배터리(1000)와 직접적인 연결이 되는 케이블 단자대와 접촉되는 부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 연결부(400)는 세로방향으로 배치된 모든 방전기(200)와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만약 방전기(200)가 거치대(100)의 구조에 따라 6 ×2, 4×3 등의 형태로 적재된다면, 상기 케이블 연결부(400)도 상기 방전기(200)의 적재 형태와 대응되는 구조로 적용될 것이다. 즉 거치대(100)에 거치된 모든 방전기(200)의 단자와 연결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단일기능의 리튬이온배터리 전용의 고속방전장치(10)로서, 방전기(200)에 리튬이온배터리(1000)를 연결하면 정전류 제어방식으로 시간에 따른 리튬이온배터리(1000)의 전압차와 관계없이 일정한 속도로 리튬이온배터리(1000)의 내부 잔량을 방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230)와 쿨링팬(240)의 조합으로 리튬이온배터리(1000)의 전력을 열로 전환시켜 방전(소비)시킬 수 있다.
도 4는 방전기의 내부 회로구성도이다. 도 4에서 보듯이 방전기(200)는 리튬이온배터리(1000)가 연결되는 (+) 및 (-) 접속단자부(212), 상기 (+) 단자부와 (-) 단자부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저항부(213), 전압계전기(260), 발열체(230), 차단기(switch)(27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저항부(213)에는 전류 계전기(250)가 병렬 연결되며, 상기 전압계전기(260)에는 적어도 하나의 쿨링팬(240)이 연결된다. 여기서 전압계전기(260)는 반드시 필요한 구성은 아니다. 필요에 따라 제거가 가능하다. 쿨링팬(240)은 소정 갯수가 병렬 연결되는 구조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쿨링팬(240)은 200V 용량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체(230)는 둘 이상이 병렬 연결되는 구조이다. 도 4에서 상기 쿨링팬(240)은 AC 전원과 같은 외부전원에 의해 구동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차단기(270)는 케이블 연결부(400)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방전기(200)의 회로도에 리튬이온배터리(1000)가 연결된 예는 도 5에 도시하고 있다. 상기 방전기(200)는 랙 단위 방전기이며 ESS 배터리 랙의 모듈과 12:12로 연결되어 사용하게 된다.
상기 도 4 및 도 5의 구조에서 방전장치(10)는 (+) 및 (-) 접속단자부(212)에 리튬이온배터리(1000)의(+) 단자와 (-) 단자를 연결하고 차단기(270)를 연결하면 방전이 시작된다. 그리고 방전이 시작되면 리튬이온배터리(1000) 내부의 잔여전압은 발열체(230)를 통하여 전기에너지에서 열에너지로 변환되면서 방전되게 된다. 상기 방전장치(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쿨링팬(240)이 AC 형태로 연결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온배터리 팩의 방전장치의 연결 상태를 블록도로 보여주고 있는 구성도이다.
도 6에서 보듯이 거치대에 적재된 방전기(200)와, 거치대의 소정 위치에 위치한 통합센서부(300), 방전기(200)와 통합 센서부(300)를 연결하는 케이블 연결부(4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 연결부(400)에는 방전대상인 리튬이온배터리(1000)가 연결되며, 리튬이온배터리(1000)의 전압상태를 체크하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500)가 연결된다.
상기 방전기(200)는 발열체(230) 및 쿨링팬(2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통합 센서부(300)에는 BMS(500) 및 온도센서, 습도센서의 센싱된 값에 따라 동작하는 전압 릴레이(310), 온도/습도 릴레이(320)가 구비된다. 상기 BMS(500)은 리튬이온배터리(1000)로부터 배터리 내부 전압데이터를 전달받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 및 (-) 단자부(212)에 리튬이온배터리(1000)의(+) 단자와 (-) 단자를 연결하고 스위치(270)를 연결하여 방전을 시작하게 되는데, 리튬이온배터리(1000)의 방전은 그 리튬이온배터리(1000)의 내부 전압데이터에 따라 종료되게된다. 즉 방전이 진행되는 동안 BMS(500)는 리튬이온배터리(1000)의 내부 전압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신받게 된다. 그리고 미리 셋팅된 방전전압내에 도달하게 되면 방전을 종료하게 된다.
방전 종료의 다른 예로, 거치대(100) 및 케이스(210) 등의 온/습도 값이 미리 셋팅된 값, 예를 들면 온도 70℃, 습도 80%를 초과하면 자동 방전 종료에 대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방전을 종료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방전 종료는 차단기(270)의 연결상태를 개방시켜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모듈 1개와 방전기 1대 연결시의 실제 회로 구성도로 앞서 설명한 구성을 더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를 보면, 방전기의 접속 단자에 리튬이온배터리(DC 74.88 ~ 86V)가 연결되고, 접속단자에는 배선용 차단기(예를 들면 TD100H FTU 2P 63A)가 연결된다. 배선용 차단기에는 션트저항(100A, 50mV)이 연결되고 션트 저항에는 복수 개의 발열체 저항이 연결된다. 상기 발열체 저항들은 각각 5.6Ω 용량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션트 저항에 전류계(0~100A)가 연결되며, 발열체 저항에 전압계(0~200V)가 연결된다.
그리고 AC220V(60Hz)을 인가받는 +, - 단자에 각각 퓨즈(15A) 및 스위치로 구성된 'AC INLET SOCKET FUSE HOLDER SWITCH'가 연결되며, 버스바(BUSBAR)를 통해 쿨링팬이 연결된다. 쿨링팬은 0.08A(최대 0.15A) 용량을 가지며 상기 AC 220V을 구동전원으로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버스바에는 'AC OUTLET SOCKET'가 연결된다.
여기서 도 6에서 설명한 해당 규격을 가진 부품들은 상황에 따라 다른 소자나 용량을 가진 부품으로 교체될 수 있다. 그러나 교체 가능한 부품들 역시 본 발명이 제안하는 리튬이온배터리의 내부 잔여량을 빠르게 방전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리튬이온배터리의 잔여전압을 최대속도로 방전시킬수가 있어 ESS의 유지보수에 필요한 시간을 감소할 수 있고, 또한 리튬이온배터리의 이송시 안전사항(SOC 20% 미만)을 준수하면서 이송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방전장치
100: 거치대
200: 방전기
230: 발열체
240: 쿨링팬
300: 통합센서부
310: 전압 릴레이
320: 온/습도 릴레이
400: 케이블 연결부
500: BMS
1000: 리튬이온배터리

Claims (6)

  1. 모듈단위의 방전기를 적재할 수 있도록 적재공간이 마련된 거치대;
    상기 거치대 내에 각각 적재되는 방전기;
    상기 거치대에 적재된 모든 방전기의 전압, 온도, 습도를 감지하여 방전종료명령에 대한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통합 센서부;
    방전 대상인 리튬이온배터리와 직접적인 연결이 되는 케이블 단자대와 접촉되는 케이블 연결부; 및
    상기 리튬이온배터리의 내부 전압데이터를 전달받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을 포함하며,
    정전류제어방식에 따라 상기 리튬이온배터리를 일정한 속도로 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배터리 팩의 방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기는,
    내부 공간부를 소정 개수로 구획한 복수 개의 서브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는 리튬이온배터리의 (+) 및 (-)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 및
    상기 케이스의 서브 공간마다 열전도를 위한 발열체 및 서브 공간 내의 열을 외부로 환풍시키는 쿨링팬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발열체 및 쿨링팬의 조합에 따라 상기 리튬이온배터리의 전력을 열로 전환시켜 더 방전시키는 리튬이온배터리 팩의 방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기는,
    상기 (+) 단자부와 (-) 단자부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저항부, 전압계전기, 차단기(switch)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항부에는 전류 계전기가 병렬 연결되며, 상기 전압계전기에는 병렬로 연결되고 외부 전원을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쿨링팬이 연결되며, 상기 발열체는 둘 이상이 병렬 연결되는 리튬이온배터리 팩의 방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센서부는 상기 내부 전압데이터에 따라 리튬이온배터리의 방전동작을 종료하는 리튬이온배터리 팩의 방전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센서부는 상기 거치대 및 케이스의 온도 및 습도 값에 따라 리튬이온배터리의 방전동작을 종료하는 리튬이온배터리 팩의 방전장치.
  6. 거치대에 적재되고 발열체 및 쿨링팬을 구비하는 방전기;
    리튬이온배터리의 내부 전압데이터에 따라 동작하는 전압 릴레이, 상기 거치대와 방전기의 온도나 습도에 따라 동작하는 온도/습도 릴레이가 구비되며 상기 거치대의 소정 위치에 위치한 통합센서부;
    상기 방전기와 통합 센서부를 연결하는 케이블 연결부; 및
    상기 리튬이온배터리의 내부 전압 데이터를 전달받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를 포함하며,
    방전 시작 명령에 따라 리튬이온배터리가 방전될 때, 상기 리튬이온배터리의 내부 전압데이터가 방전전압내에 도달하거나, 정해진 온도 및 습도 값에 도달하면 상기 리튬이온배터리의 방전이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배터리 팩의 방전장치.
KR1020210038811A 2021-03-25 2021-03-25 리튬이온배터리 팩의 방전장치 KR202201335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811A KR20220133554A (ko) 2021-03-25 2021-03-25 리튬이온배터리 팩의 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811A KR20220133554A (ko) 2021-03-25 2021-03-25 리튬이온배터리 팩의 방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3554A true KR20220133554A (ko) 2022-10-05

Family

ID=83596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8811A KR20220133554A (ko) 2021-03-25 2021-03-25 리튬이온배터리 팩의 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35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8119B1 (ko) * 2023-03-15 2024-01-23 주식회사 이엠비 배터리 방전용 지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8119B1 (ko) * 2023-03-15 2024-01-23 주식회사 이엠비 배터리 방전용 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7720B2 (en) Battery pack, apparatus including battery pack, and method of managing battery pack
KR102224592B1 (ko) 매트릭스 구조의 배터리 팩을 갖는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장치
KR101047831B1 (ko) 수동적 안전장치를 이용한 배터리의 센싱 라인의 단락으로 인한 2차 사고 방지장치
KR102496642B1 (ko) 배터리의 온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60012334A1 (en) Automated battery cell shunt bypass
JP2012505628A (ja) 車両および他の大容量適用のためのLiイオン電池アレイ
US20130188283A1 (en) Protection management of super capacitators
US9276415B2 (en) Charging station having battery cell balancing system
KR20120104840A (ko) 태양광 가로등용 리튬 이차전지 팩
KR20220133554A (ko) 리튬이온배터리 팩의 방전장치
US11289921B1 (en) Energy storage system employing second-life electric vehicle batteries
US201600435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current variability between multiple energy storage devices
McDowall A guide to lithium-ion battery safety
Turgut et al. CAN communication based modular type battery management system for electric vehicles
CN111640905A (zh) 电池簇
Issa Battery management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CN116227831A (zh) 一种充电运行安全评价及作用方法
CN117121270A (zh) 具有大量并联电池单元的电网储能系统
Calinao et al. Battery management system with temperature monitoring through fuzzy logic control
CN107240734A (zh) 一种可双向温度控制的车载电池系统
Gabbar et al. Review of Battery Management Systems (BMS) Development and Industrial Standards. Technologies 2021, 9, 28
RU182710U1 (ru) Батарейный аккумуляторный модуль
KR20210126421A (ko) 배터리 모듈 및 에너지 저장 장치
CN221262524U (zh) 一种加热式储能电池包
Takahashi et al. Estimating the life of stationary lithium-ion batteries in use through charge and discharge tes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