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3546A -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3546A
KR20220133546A KR1020210038797A KR20210038797A KR20220133546A KR 20220133546 A KR20220133546 A KR 20220133546A KR 1020210038797 A KR1020210038797 A KR 1020210038797A KR 20210038797 A KR20210038797 A KR 20210038797A KR 20220133546 A KR20220133546 A KR 20220133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riving
driving signal
moving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8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욱
김민성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8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3546A/ko
Publication of KR20220133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35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14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using Hall-effect devices
    • G01D5/145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using Hall-effect devices influenced by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Hall device and magnetic fiel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2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 H04N5/2253
    • H04N5/2254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1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piezoelectric actu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카메라 엑추에이터는 광학 부재 또는 렌즈 어셈블리에 연결되고, 구동 신호에 따라 상기 광학 부재 또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주변 온도를 감지하여 온도 데이터를 획득하는 온도 감지부; 상기 구동부의 이동 위치를 감지하여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는 위치 센서부; 및 상기 온도 데이터에 따라 미리 정해진 주기 또는 피크 전압을 갖는 제1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구동 신호를 상기 구동부에 1차 인가한 후 상기 위치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1 구동 신호의 듀티비를 변경하여 제2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구동 신호를 상기 구동부에 2차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CAMERA ACTUATOR AND CAMERA DEVICE COMPRISING THE SAME}
실시예는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는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장치이며, 휴대용 디바이스, 드론, 차량 등에 장착되고 있다. 카메라 장치는 영상의 품질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한 이미지의 흔들림을 보정하거나 방지하는 영상 안정화(Image Stabilization, IS) 기능, 이미지 센서와 렌즈 사이의 간격을 자동 조절하여 렌즈의 초점거리를 정렬하는 오토포커싱(Auto Focusing, AF) 기능, 줌 렌즈(zoom lens)를 통해 원거리의 피사체의 배율을 증가 또는 감소시켜 촬영하는 주밍(zooming)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이미지센서는 고화소로 갈수록 해상도가 높아져 화소(Pixel)의 크기가 작아지게 되는데, 화소가 작아질수록 동일한 시간 동안 받아들이는 빛의 양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고화소 카메라일수록 어두운 환경에서 셔터속도가 느려지면서 나타나는 손떨림에 의한 이미지의 흔들림 현상이 더욱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 영상 안정화(IS) 기술 중 대표적인 것으로 빛의 경로를 변화시킴으로써 움직임을 보정하는 기술인 광학식 영상 안정화(optical image stabilizer, OIS) 기술이 있다.
일반적인 OIS 기술에 따르면, 자이로 센서(gyrosensor) 등을 통해 카메라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된 움직임을 바탕으로 렌즈를 틸팅 또는 이동시키거나 렌즈와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틸팅 또는 이동시킬 수 있다. 렌즈 또는 렌즈와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이 OIS를 위하여 틸팅 또는 이동할 경우, 렌즈 또는 카메라 모듈 주변에 틸팅 또는 이동을 위한 공간이 추가적으로 확보될 필요가 있다.
한편, OIS를 위한 엑추에이터는 렌즈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OIS를 위한 엑추에이터는 광축 Z에 대하여 수직하는 두 축, 즉 X축 틸팅을 담당하는 엑추에이터와 Y축 틸팅을 담당하는 엑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초슬림 및 초소형의 카메라 장치의 니즈에 따라 OIS를 위한 엑추에이터를 배치하기 위한 공간 상의 제약이 크며, 렌즈 또는 렌즈와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자체가 OIS를 위하여 틸팅 또는 이동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보장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고화소 카메라일수록 수광되는 빛의 양을 늘리기 위해 렌즈의 사이즈가 커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OIS를 위한 엑추에이터가 차지하는 공간으로 인하여 렌즈의 사이즈를 키우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장치 내에 주밍 기능, AF 기능 및 OIS 기능이 모두 포함되는 경우, 마그넷과 코일을 이용한 자기장에 의한 엑추에이터는 OIS용 마그넷과 AF용 또는 Zoom용 마그넷이 서로 근접하게 배치되어 자계 간섭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압전에 의한 카메라 엑추에이터도 온도에 의한 성능 변화가 발생하는 문제가 존재한다.
실시예는,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엑추에이터는 광학 부재 또는 렌즈 어셈블리에 연결되고, 구동 신호에 따라 상기 광학 부재 또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주변 온도를 감지하여 온도 데이터를 획득하는 온도 감지부; 상기 구동부의 이동 위치를 감지하여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는 위치 센서부; 및 상기 온도 데이터에 따라 미리 정해진 주기 또는 피크 전압을 갖는 제1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구동 신호를 상기 구동부에 1차 인가한 후 상기 위치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1 구동 신호의 듀티비를 변경하여 제2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구동 신호를 상기 구동부에 2차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 온도가 상승할수록 상기 제1 구동 신호의 상기 주기를 길어지도록 설정하거나 상기 피크 전압을 작아지도록 설정하고, 상기 주변 온도가 하강할수록 상기 제1 구동 신호의 상기 주기를 짧아지도록 설정하거나 상기 피크 전압을 커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 온도가 상승하거나 하강하더라도 상기 구동부의 이동 속도가 일정해지도록 상기 제1 구동 신호의 주기 또는 상기 피크 전압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의 양면에 부착된 압전 소자를 포함하는 압전부, 상기 압전부에 결합되어 상기 압전부의 변위에 따라 이동하는 링크부, 상기 링크부에 삽입 결합되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센서부는 상기 이동부 또는 상기 이동부에 연결된 상기 광학 부재 또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의 이동 위치를 감지하여 위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센서부는 상기 이동부 또는 상기 이동부에 연결된 상기 광학 부재 또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에 장착된 마그넷과 상기 마그넷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상기 이동 위치를 감지하는 MR(Magnetoresistive)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구동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부의 이동 위치가 타겟 위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의 감속 구간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제1 구동 신호의 듀티비를 변경하여 상기 제2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구동 신호의 듀티비가 증가하도록 변경하여 제2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의 이동 위치가 상기 감속 구간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의 이동 속도가 감소되도록 상기 제1 구동 신호의 듀티비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 신호와 상기 제2 구동 신호는 PWM 신호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온도 변화에 따라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구동 신호의 주기 또는 피크 전압을 가변시키기 때문에, 온도 변화에 따른 구동 속도의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온도 변화에 따라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구동 신호의 주기를 가변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 기기에 적용이 유리할 수도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는 도 1에서 AA'로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8a는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제1 구동부의 사시도이고,
도 8b는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제1 구동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c는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제1 가동부의 측면도이고,
도 9a는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제2 구동부의 사시도이고,
도 9b는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제2 구동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c는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제1 가동부의 사시도이고,
도 9d는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제1 가동부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제1 기판부 및 위치 센서부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회전부 및 광학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회전부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회전부의 정면도이고,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15는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회전부 및 광학 부재를 제거한 정면도이고,
도 16a 및 도 16b는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제1 구동부에 의한 전진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7a 및 도 17b는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제1 구동부에 의한 후진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8은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에서 EE’로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20은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리니어 모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1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2는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모터의 온도별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3은 온도 변화에 따른 초음파 모터의 구동 속도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a 내지 도 24c는 구동 신호의 주기를 가변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5a 내지 도 25c는 구동 신호의 크기를 가변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모터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7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 적용된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28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 적용된 차량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온도 변화에 따라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구동 신호의 주기 또는 피크 전압을 가변시키되, 온도가 증가하면 구동 신호의 주기 또는 피크 전압을 감소시키고, 온도가 감소하면 구동 신호의 주기 또는 피크 전압을 증가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카메라 엑추에이터로는 초음파 리니어 모터가 사용될 수 있는데, 초음파 리니어 모터는 기존에 폭넓게 활용되고 있는 전자 모터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속도에서 높은 토크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감속 장치가 불필요하고, 단위 중량당 발생되는 기계적 출력이 높으며, 기동 및 정지 시 속용성을 갖고, 소형 및 경량화가 가능하고, 자계와 무관하기 때문에 전자 유도 등의 장애가 없고, 사용시 정속성을 보이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고 있어 현재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최근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 줌 배율 경쟁이 가속화되면서 카메라에 적용하기 위한 회전형, 선형 등 다양한 컨셉의 초음파 모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는 도 1에서 AA'로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은 커버(CV),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1100),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 및 회로 기판(130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1100)는 제1 엑추에이터로,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는 제2 엑추에이터로 혼용될 수 있다.
커버(CV)는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1100) 및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를 덮을 수 있다. 커버(CV)에 의해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1100)와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 간의 결합력이 개선될 수 있다.
나아가, 커버(CV)는 전자파 차단을 수행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커버(CV) 내의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1100)와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를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1100)는 OIS(OP1tical Image Stabilizer) 엑추에이터일 수 있다.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1100)는 소정의 경통(미도시)에 배치된 고정 초점거리 렌즈(fixed focal length les)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초점거리 렌즈(fixed focal length les)는"단일 초점거리 렌즈" 또는 "단(單) 렌즈"로 칭해질 수도 있다.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1100)는 광의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실시예로,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1100)는 내부의 광학 부재(예컨대, 미러)를 통해 광 경로를 수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의 두께가 감소하더라도 광 경로의 변경을 통해 이동 단말기의 두께보다 큰 렌즈 구성이 이동 단말기 내에 배치되어 배율, 오토 포커싱(AF) 및 OIS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는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1100) 후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는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1100)와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호 간의 결합은 다양한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는 줌(Zoom) 엑추에이터 또는 AF(Auto Focus) 엑추에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렌즈를 지지하며 소정의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렌즈를 움직여 오토 포커싱 기능 또는 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회로 기판(1300)은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 후단에 배치될 수 있다. 회로 기판(1300)은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 및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1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회로 기판(1300)은 복수 개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단일 또는 복수의 카메라 모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컨대, 복수의 카메라 모듈은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카메라 모듈은 단일 또는 복수의 엑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 모듈은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1100)와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카메라 모듈은 소정의 하우징(미도시)에 배치되고, 렌즈 어셈블리를 구동할 수 있는 엑추에이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엑추에이터는 초음파 리니어 모터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카메라 엑추에이터는 엑추에이터 등으로 언급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카메라 모듈로 이루어진 카메라 모듈은 이동 단말기 등 다양한 전자 기기 내에 실장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OIS 기능을 하는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1100) 및 주밍(zooming) 기능 및 AF 기능을 하는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를 포함할 수 있다.
광은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1100)의 상면에 위치한 개구 영역을 통해 카메라 모듈 내로 입사될 수 있다. 즉, 광은 광축 방향(예컨대, X축 방향)을 따라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1100)의 내부로 입사되고, 광학 부재를 통해 광경로가 수직 방향(예컨대, Z축 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광은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를 통과하고,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의 일단에 위치하는 이미지 센서(IS)로 입사될 수 있다(PATH).
본 명세서에서, 저면은 제1 방향에서 일측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1 방향은 도면 상 X축 방향이다. 제2 방향은 도면 상 Y축 방향이다.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수직한 방향이다. 또한, 제3 방향은 도면 상 Z축 방향이다.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모두 수직한 방향이다. 여기서, 제3 방향(Z축 방향)은 광축의 방향에 대응하며, 제1 방향(X축 방향)과 제2 방향(Y축 방향)은 광축에 수직한 방향이며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에 의해 틸팅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또한, 이하에서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에 대한 설명에서 광축 방향은 제3 방향(Z축 방향)이며 이를 기준으로 이하 설명한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광의 경로를 변경하여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공간적 한계를 개선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광의 경로 변경에 대응하여 카메라 모듈의 두께가 최소화하면서 광 경로를 확장할 수 있다. 나아가,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는 확장된 광 경로에서 초점 등을 제어하여 높은 범위의 배율을 제공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에 의해 광경로의 제어를 통해 OIS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센터(decent)나 틸트(tilt) 현상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최상의 광학적 특성을 낼 수 있다.
나아가,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는 광학계와 렌즈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는 제1 렌즈 어셈블리, 제2 렌즈 어셈블리, 제3 렌즈 어셈블리 및 가이드 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는 AF 기능 및 주밍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렌즈 어셈블리와 제2 렌즈 어셈블리는 가이드 핀을 통해 이동하는 이동 렌즈(moving lens)일 수 있으며, 제3 렌즈 어셈블리는 고정 렌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3 렌즈 어셈블리는 광을 특정 위치에 결상하는 집광자(focator)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제1 렌즈 어셈블리는 집광자인 제3 렌즈 어셈블리에서 결상된 상을 다른 곳에 재결상시키는 변배자(variator)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렌즈 어셈블리에서는 피사체와의 거리 또는 상 거리가 많이 바뀌어서 배율변화가 큰 상태일 수 있으며, 변배자인 제1 렌즈 어셈블리는 광학계의 초점거리 또는 배율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변배자인 제1 렌즈 어셈블리에서 결상되는 상점은 위치에 따라 약간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에 제2 렌즈 어셈블리는 변배자에 의해 결상된 상에 대한 위치 보상 기능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렌즈 어셈블리는 변배자인 제1 렌즈 어셈블리에서 결상된 상점을 실제 이미지 센서 위치에 정확히 결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보상자(compensator)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후술하는 렌즈 어셈블리에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1100)는 홀더(1110), 브라켓(1120), 제1,2 구동부(1130, 1140), 제1 기판부(1150), 위치 센서부(1160), 회전부(1170) 및 광학 부재(118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홀더(1110)는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1100)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홀더(1110)는 브라켓(1120), 제1,2 구동부(1130, 1140), 제1 기판부(1150), 위치 센서부(1160), 회전부(1170) 및 광학 부재(1180)를 지지할 수 있다.
브라켓(1120)은 홀더(111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브라켓(1120)은 제1 구동부(1130)를 지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브라켓(1120)은 제1,2 구동부(1130, 1140)의 제1 링크부 및 제2 링크부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브라켓(1120)은 상부에 안착한 추가 기판 및 위치 센서부(1160)의 복수의 MR 센서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MR 센서뿐 아니라 홀 센서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브라켓(1120)은 일체로 제1 구동부와 제2 구동부를 지지하여 링크부의 이동 및 하중에 따른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제1,2 구동부(1130, 1140)는 회전부(1170)를 요(Yaw) 축을 기준으로 틸트 또는 요(Yaw) 틸트(또는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1,2 구동부(1130, 1140)는 회전부(1170)를 피치(Pitch) 축을 기준으로 틸트 또는 피치(Pitch) 틸트(또는 회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요(Yaw) 방향은 제1 축에 대응하며 요(Yaw) 틸트는 요(Yaw) 방향을 중심축으로한 회전이다. 또한, 피치(Pitch) 방향은 제2 축에 대응하며 피치(Pitch) 틸트는 피치(Pitch) 방향을 중심축으로한 회전이다. 그리고 요(Yaw) 방향은 경사진 회전부의 세로 방향으로 평면(XZ) 상의 일 방향이며, 피치(Pitch) 방향은 경사진 회전부의 가로 방향으로 평면(YZ) 상의 일 방향이다.
실시예로, 제1 구동부(1130)는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링크부를 통해 제1 이동부와 제1 가동부의 위치를 이동시켜 회전부(1170)를 요(Yaw) 틸트할 수 있다. 또한, 제2 구동부(1140)는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링크부를 통해 제2 이동부와 제2 가동부를 이동시켜 회전부(1170)를 피치(Pitch) 틸트할 수 있다.
제1 기판부(1150)는 홀더(1110) 상에 안착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기판부(1150)는 제1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구동부에 의해 제1 압전부 및 제2 압전부의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길이를 변경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기판부(1150)를 통해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예로, 전압)는 제1 압전부와 제2 압전부를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신장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부(1150)는 경성 인쇄 회로 기판(Rigid PCB), 연성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CB), 경연성 인쇄 회로 기판(RigidFlexible PCB) 등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배선 패턴이 있는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위치 센서부(1160)는 제1 MR 센서, 제2 MR 센서, 제1 마그넷 및 제2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MR 센서 및 제1 마그넷 중 어느 하나는 제1 가동부와 접할 수 있다. 또한, 제1 MR 센서 및 제1 마그넷 중 다른 하나는 브라켓(1120)과 접할 수 있다. 또는 제1 MR 센서 및 제1 마그넷 중 다른 하나는 브라켓(1120) 상의 추가 기판과 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마그넷은 제1 가동부와 접하고, 제1 MR 센서는 브라켓(1120)과 접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에 따라, 제1 가동부와 접한 제1 마그넷은 제1 가동부의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에 대응하여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MR 센서는 이러한 제1 마그넷의 이동에 따른 자기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MR 센서 및 제2 마그넷 중 어느 하나는 제2 가동부와 접할 수 있다. 또한, 제2 MR 센서 및 제2 마그넷 중 다른 하나는 브라켓(1120)과 접할 수 있다. 또는 제2 MR 센서 및 제2 마그넷 중 다른 하나는 브라켓(1120) 상의 추가 기판과 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 마그넷은 제2 가동부와 접하고, 제2 MR 센서는 브라켓(1120)과 접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제2 가동부와 접한 제2 마그넷은 제2 가동부의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에 대응하여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MR 센서는 이러한 제2 마그넷의 이동에 따른 자기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회전부(1170)는 홀더(1110) 상에 위치하여, 홀더(11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부(1170)는 광학 부재(1180)를 지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회전부(1170)는 광학 부재(1180)가 안착할 수 있다.
실시예로, 회전부(1170)는 일부 영역이 제1 구동부에 의해 요(Yaw) 틸트할 수 있다. 또한, 회전부(1170)는 일부 영역이 제2 구동부에 의해 피치(Pitch) 틸트 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부(1170)의 회전(요/피치 틸트)에 대응하여 광학 부재(1180)도 요(Yaw) 틸트 또는 피치(Pitch) 틸트할 수 있다.
회전부(1170)는 제1 구동부에 의한 가압 및 결합력으로 요(Yaw) 틸트하고, 제2 구동부에 의한 가압 및 결합력으로 (Pitch) 틸트할 수 있다.
광학 부재(1180)는 프리즘(prism) 또는 미러(mirror) 등의 반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부재(1180)는 상기 반사부재의 앞 또는 뒤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광학 부재(1180)는 회전부(1170)의 회전에 대응하여 요(Yaw) 틸트 또는 피치(Pitch) 틸트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광축(Z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광 경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는 손떨림 보정(OIS)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홀더(1110)는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에서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로, 홀더(1110)는 측벽부(1111), 제1 하측부(1112), 제2 하측부(1113) 및 회전 지지부(1114)를 포함할 수 있다.
측벽부(1111)는 홀더(1110)에서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측벽부(1111)는 제1 기판부와 접할 수 있다.
제1 하측부(1112)는 측벽부(1111)와 수직으로 접할 수 있다. 제1 하측부(1112)는 측벽부(1111)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 하측부(1112)는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에서 최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하측부(1112)는 제1 기판부를 지지할 수 있다.
제2 하측부(1113)는 제1 하측부(1112)와 접할 수 있다. 제2 하측부(1113)는 제1 하측부(1112)에서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이 때, 제2 하측부(1113)와 제1 하측부(1112)는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하측부(1113) 상에는 회전부(1170)가 위치할 수 있다.
회전 지지부(1114)는 제2 하측부(1113)와 접할 수 있다. 회전 지지부(1114)는 제2 하측부(1113)의 측면에 접하며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회전 지지부(1114)는 평면(YZ)에 대해 기울어진 경사면(1114a)을 가질 수 있다. 경사면(1114a)은 평면(YZ)에 대해 제1 기울기(θa)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경사면(1114a)에는 회전부가 안착할 수 있다. 이에, 회전부도 평면(YZ)에 대해 제1 기울기(θa)를 가질 수 있다.
즉, 회전 지지부(1114)는 회전부를 지지하면서 회전부를 소정의 각도(예로, 제1 기울기)로 기울어지게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를 통해 입사된 광이 기울어진 광학 부재에 의해 반사될 수 있다. 이로써,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는 동시에 광 경로의 변경을 수행하여 두께(예로, 제1 방향으로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고 광 경로 상의 렌즈 자유도를 향상시켜 광학 성능도 개선할 수 있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브라켓(1120)은 브라켓 지지부(1121), 제1 돌출부(1122), 제2 돌출부(1123) 및 제3 돌출부(1124)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 지지부(1121)는 브라켓(112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브라켓 지지부(1121)는 상술한 홀더(1110)의 제1 하측부 및 제2 하측부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브라켓 지지부(1121)는 제1 하측부 및 제2 하측부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제1 돌출부(1122), 제2 돌출부(1123) 및 제3 돌출부(1124)는 브라켓 지지부(1121)의 가장자리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돌출부(1122)는 브라켓 지지부(1121)의 상면에 위치하고,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돌출부(1122)는 브라켓 지지부(1121)에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출부(1122)는 브라켓 지지부(1121)의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돌출부(1122)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마주하는 일면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돌출부(1122)는 제1 홀(112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홀(1122a)은 제1 돌출부(1122)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홀(1122a)에는 제2 링크부가 안착할 수 있다.
제2 돌출부(1123)는 브라켓 지지부(1121의 상면에 위치하고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돌출부(1123)는 브라켓 지지부(1121)에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출부(1123)는 브라켓 지지부(1121)의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돌출부(1123)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마주하는 면에 인접하는 타면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로, 제2 돌출부(1123)는 제1 돌출부(1122)와 제1 방향(X축 방향) 및 제3 방향(Z축 방향)에 대해 대칭으로 위치할 수 있다.
제2 돌출부(1123)는 제2 홀(1123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홀(1123a)은 제2 돌출부(1123)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홀(1123a)에는 제1 링크부가 안착할 수 있다.
또한, 제2 홀(1123a)은 제3 돌출부의 제4 홀(1123b)과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홀(1123a)은 제4 홀(1123b)과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대칭으로 배치도리 수 있다. 이에, 제1 링크부는 제2 홀(1123a)과 제4 홀(1123b)을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제1 링크부는 제2 홀(1123a)과 제4 홀(1123b)에 의해 지지되고, 제1 링크부가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링크부에 마찰력을 가할 수 있다.
제3 돌출부(1124)는 브라켓 지지부(1121)의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돌출부(1124)는 제1 돌출부(1122) 및 제2 돌출부(1123)와 마주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3 돌출부(1124)는 제1 돌출부(1122)와 제1 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대응되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3 돌출부(1124)는 제2 돌출부(1123)와 제1 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대응되게 위치할 수 있다.
제3 돌출부(1124)는 제3 홀(1124a) 및 제4 홀(1124b)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홀(1124a) 및 제4 홀(1124b)은 제3 돌출부(1124)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홀(1124a)은 제1 홀(1122a)과 대응되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4 홀(1124b)은 제2 홀(1123b)에 대응되게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로, 제3 홀(1124a)은 제1 홀(1122a)과 제1 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마주보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4 홀(1124b)은 제2 홀(1123b)과 제1 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마주보게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제2 링크부는 제1 홀(1122a) 및 제3 홀(1124a)을 관통하여, 제1 돌출부(1122) 및 제3 돌출부(112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링크부는 제2 홀(1123a)과 제4 홀(1124b)을 관통하여 제2 돌출부(1123) 및 제3 돌출부(112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3 돌출부(1124)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길이가 제1 돌출부(1122) 또는 제2 돌출부(1123)의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길이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제1 돌출부(1122)와 제2 돌출부(1123)는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3 돌출부(1124)에 의해 제1 링크부 및 제2 링크부에 대한 지지력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제1 돌출부(1122)와 제2 돌출부(1123) 사이에 이격 공간을 두어 제1 구동부의 배치 공간이 용이하게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제1 돌출부(1122), 제2 돌출부(1123) 및 제3 돌출부(1124)는 브라켓 지지부(112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a는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제1 구동부의 사시도이고, 도 8b는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제1 구동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c는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제1 가동부의 측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b를 참조하면,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제1 구동부(1130)는 제1 압전부(1131), 제1 링크부(1132), 제1 이동부(1133), 제1 가동부(1134) 및 제1 흡인부(11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압전부(1131)는 압전 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로, 제1 압전부(1131)는 세라믹 재질의 압전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로, 제1 압전부(1131)는 전압 인가로 인해 전계가 형성되며 길이가 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압전부(1131)는 양이온과 음이온이 탄성적으로 연결된 결정격자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에, 제1 압전부(1131)는 전계가 형성되면 양이온과 음이온이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양이온은 전계 방향으로 음이온은 전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이동 또는 힘에 대응하는 응력이 발생하며, 결정격자가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압전부(1131)는 다결정체일 수 있고, 결정 격자는 일반적으로 분극 방향이 다른 몇 개의 분극으로 나누어져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분극 상태에서 전체로의 분극이 상쇄된 상태일 수 있다. 이 때, 제1 압전부(1131)는 전계를 가하면 결정내부의 분극 방향이 전계 방향에 따라 분극하고 동시에 결정립의 길이가 전계방향으로 늘어날 수 있다. 반대로, 전계를 제거하면 전체가 분극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압전부(1131)는 전압에 따라 각각의 결정체가 늘어난 상태인 신장 상태 또는 결정체가 줄어든 상태인 축소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압전부(1131)는 전압 등의 전기 신호가 인가되면 기계적 변형(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신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는 전자적인 간섭이 없고 형태의 영향이 적어 신뢰성이 높고 향상된 에너지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링크부(1132)는 제1 압전부(1131)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제1 링크부(1132)는 제1 압전부(1131)의 신축에 대응하여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링크부(1132)는 샤프트(shaft)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링크부(113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홀과 제4 홀을 관통할 수 있다. 이에, 제1 링크부(1132)는 브라켓(11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1 이동부(1133)는 제1 링크부(1132)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이동부(1133)는 제1 링크부(1132)를 커버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이동부(1133)는 제1 가동부(1134)와 접할 수 있다. 실시예로, 제1 이동부(1133)는 일측이 제1 링크부(1132)와 접하고, 타측이 제1 가동부(1134)와 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1 이동부(1133)는 제1 링크부(1132)의 이동에 대응하여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만, 제1 이동부(1133)는 제1 링크부(1132)와 소정의 마찰력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이동부(1133)는 제1 링크부(1132)가 소정의 속도 이상으로 이동하는 경우 관성력에 의해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이동부(1133)는 제1 링크부(1132)에 대해 상대적으로 위치가 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이동부(1133)는 제1 링크부(1132)에 대해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이동부(1133)는 제1 링크부(1132)가 소정의 속도보다 낮은 속도로 이동하는 경우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이동부(1133)는 제1 링크부(1132)에 대해 상대적으로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제1 이동부(1133)는 타측에서 결합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홀은 제1 가동부(1134)와 접할 수 있다. 결합홀에는 접합 부재가 도포될 수 있다 이에, 제1 가동부(1134)와 제1 이동부(1133)는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제1 가동부(1134)는 제1 가동 지지부(1134a), 제1 가동 연장부(1134b), 제1 안착부(1134c) 및 제1 가압부(1134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동 지지부(1134a)는 제1 링크부(1132)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가동 지지부(1134a)는 제1 이동부(1133)와 적어도 일부 접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가동 지지부(1134a)는 제1 이동부(1133)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중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가동 지지부(1134a)의 저면(1134as)은 제1 이동부(1133)와 결합할 수 있다.
제1 가동 연장부(1134b)는 제1 가동 지지부(1134a)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가동 연장부(1134b)는 제1 가동 지지부(1134a)의 하부에서 제1 링크부(1132)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즉, 제1 가동 연장부(1134b)는 제1 링크부(1132)와 제1 가동 지지부(1134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안착부(1134c)는 제1 가동 지지부(1134a)와 연결되고, 상면이 평면(ZY)에 대해 제2 기울기(θb)로 경사질 수 있다. 제1 안착부(1134c)에는 제1 흡인부(1135)가 안착할 수 있다.
실시예로, 제1 안착부(1134c)는 제1 안착홈(1134h)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착홈(1134h)도 평면(ZY)에 대해 제2 기울기(θb)로 경사질 수 있다. 제2 기울기(θb)는 제1 기울기와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회전부와 제1 흡인부에 의한 흡인력이 균일하게 제공되어 요(Yaw) 틸트가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다.
제1 가압부(1134d)는 제1 안착부(1134c)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가압부(1134d)는 제1 안착부(1134c)와 접할 수 있다. 제1 가압부(1134d)는 제1 안착부(1134c)와 회전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제1 가압부(1134d)는 제1 안착부(1134c)대비 회전부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1 가압부(1134d)는 요(Yaw) 틸트하도록 회전부를 가압할 수 있다. 제1 가압부(1134d)는 회전부와 접촉하는 제1 접촉면(1134ds)을 가질 수 있다. 제1 접촉면(1134ds)도 평면(ZY)에 대해 제3 기울기(θc)로 경사질 수 있다. 제3 기울기(θc)는 제2 기울기(θb)와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1 가압부는 회전부를 균일하게 가압하게 되므로, 요(Yaw) 틸트가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안착부(1134c)는 제1 흡인부(1135)를 통해 회전부가 요(Yaw) 틸트하도록 흡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가압부(1134d)가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회전부를 가압하여 요(Yaw) 틸트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1 가압부(1134d)가 제3 방향(Z축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제1 흡인부(1135)에 의해 회전부가 제1 가압부(1134d)와 접촉을 유지하므로 요(Yaw) 틸트가 수행될 수 있다.
제1 흡인부(1135)는 제1 안착홈(1134h)에 안착할 수 있다. 제1 흡인부(1135)는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흡인부(1135)는 자석일 수 있으며, 금속 재질의 회전부와 인력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가압부(1134d)가 제3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더라도 제1 흡인부(1135)에 의해 회전부와 제1 가압부(1134d) 간의 접촉이 유지되어 회전부의 요(Yaw) 틸트가 수행될 수 있다.
도 9a는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제2 구동부의 사시도이고, 도 9b는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제2 구동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c는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제1 가동부의 사시도이고, 도 9d는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제1 가동부의 측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d를 참조하면,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제2 구동부(1140)는 제2 압전부(1141), 제2 링크부(1142), 제2 이동부(1143), 제2 가동부(1144) 및 제2 흡인부(11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압전부(1141)는 제1 압전부(1131)와 마찬가지로 압전 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로, 제2 압전부(1141)는 세라믹 재질의 압전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압전부(1141)는 전압 인가로 인해 전계가 형성되며 길이가 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압전부(1141)는 전압에 따라 각각의 결정체가 늘어난 상태인 신장 상태 또는 결정체가 줄어든 상태인 축소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압전부(1141)는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는 전자적인 간섭이 없고 형태의 영향이 적어 신뢰성이 높고 향상된 에너지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링크부(1142)는 제2 압전부(1141)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제2 링크부(1142)는 제2 압전부(1141)의 신축에 대응하여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 링크부(1142)는 샤프트(shaft)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링크부(114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홀과 제3 홀을 관통할 수 있다. 이에, 제2 링크부(1142)는 브라켓(11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1 링크부 및 제2 링크부(1142)와 브라켓(1120)의 제1 홀 내지 제4 홀 간에 소정의 마찰력 및 결합력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1 홀 내지 제4 홀에는 마찰력을 갖는 결합부재가 위치할 수 있다.
제2 이동부(1143)는 제2 링크부(1142)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이동부(1143)는 제2 링크부(1142)를 감싸도록 위치할 수 있다. 나아가, 제2 이동부(1143)는 제2 가동부(1144)와 접할 수 있다. 실시예로, 제2 이동부(1143)는 일측이 제2 링크부(1142)와 접하고, 타측이 제2 가동부(1144)와 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2 이동부(1143)는 제2 링크부(1142)의 이동에 대응하여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만, 제2 이동부(1143)는 제2 링크부(1142)와 소정의 마찰력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2 이동부(1143)는 제2 링크부(1142)가 소정의 속도 이상으로 이동하는 경우 관성력에 의해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2 이동부(1143)는 제2 링크부(1142)에 대해 상대적으로 위치가 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이동부(1143)는 제2 링크부(1142)에 대해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 이동부(1143)는 제2 링크부(1142)가 소정의 속도보다 낮은 속도로 이동하는 경우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2 이동부(1143)는 제2 링크부(1142)에 대해 상대적으로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제2 이동부(1143)는 타측에서 결합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홀은 제2 가동부(1144)와 접할 수 있다. 결합홀에는 접합 부재가 도포될 수 있다 이에, 제2 가동부(1144)와 제2 이동부(1143)는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제2 가동부(1144)는 제2 가동 지지부(1144a), 제2 가동 연장부(1144b), 제2 안착부(1144c) 및 제2 가압부(1144d)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동 지지부(1144a)는 제2 링크부(1142)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가동 지지부(1144a)는 제2 이동부(1143)와 적어도 일부 접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가동 지지부(1144a)는 제2 이동부(1143)와 제2 방향(X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중첩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가동 지지부(1144a)의 저면(1144as)은 제2 이동부(1143)와 결합할 수 있다.
제2 가동 연장부(1144b)는 제2 가동 지지부(1144a)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가동 연장부(1144b)는 제2 가동 지지부(1144a)의 하부에서 제1 링크부(1132)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또는 제2 가동 연장부(1144b)는 제2 가동 지지부(1144a)의 하부에서 제1-1 구동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즉, 제2 가동 연장부(1144b)는 제1 링크부(1132)와 제2 가동 지지부(1144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정의 공간 내에 제1 가동부와 제2 가동부를 모두 배치하여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기기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2 안착부(1144c)는 제2 가동 지지부(1144a)와 연결되고, 상면이 평면(ZY)에 대해 제4 기울기(θd)로 경사질 수 있다. 제2 안착부(1144c)에는 제2 흡인부(1145)가 안착할 수 있다.
실시예로, 제2 안착부(1144c)는 제2 안착홈(1144h)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안착홈(1144h)도 평면(ZY)에 대해 제4 기울기(θd)로 경사질 수 있다. 제4 기울기(θd)는 제1 기울기 또는 회전부가 평면(ZY)에 기울어진 각도와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회전부와 제2 흡인부에 의한 흡인력이 균일하게 제공되어 피치(Pitch) 틸트가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다.
제2 가압부(1144d)는 제2 안착부(1144c)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가압부(1144d)는 제2 안착부(1144c)와 접할 수 있다. 제2 가압부(1144d)는 제2 안착부(1144c)와 회전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제2 가압부(1144d)는 제2 안착부(1144c) 대비 회전부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2 가압부(1144d)는 피치(Pitch) 틸트하도록 회전부를 가압할 수 있다. 제2 가압부(1144d)는 회전부와 접촉하는 제2 접촉면(1144ds)을 가질 수 있다. 제2 접촉면(1144ds)도 평면(ZY)에 대해 제5 기울기(θe)로 경사질 수 있다. 제5 기울기(θe)는 제4 기울기(θd)와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2 가압부는 회전부를 균일하게 가압하게 되므로, 피치(Pitch) 틸트가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다.
나아가, 제2 안착부(1144c)는 제2 흡인부(1145)를 통해 회전부가 피치(Pitch) 틸트하도록 흡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가압부(1144d)가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회전부를 가압하여 피치(Pitch) 틸트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2 가압부(1144d)가 제3 방향(Z축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제2 흡인부(1145)에 의해 회전부가 제2 가압부(1144d)와 접촉을 유지하므로 피치(Pitch) 틸트가 수행될 수 있다.
제2 흡인부(1145)는 제2 안착홈(1144h)에 안착할 수 있다. 제2 흡인부(1145)는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2 흡인부(1145)는 자석일 수 있으며, 금속 재질의 회전부와 인력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가압부(1144d)가 제3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더라도 제2 흡인부(1145)에 의해 회전부와 제2 가압부(1144d) 간의 접촉이 유지되어 회전부의 피치(Pitch) 틸트가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제1 기판부 및 위치 센서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는 제1 기판부(1150) 및 위치 센서부(1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기판부(1150)는 홀더(1110) 상에 안착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기판부(1150)는 제1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구동부에 의해 제1 압전부 및 제2 압전부의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길이를 변경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기판부(1150)를 통해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예로, 전압)는 제1 압전부와 제2 압전부를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신장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부(1150)는 경성 인쇄 회로 기판(Rigid PCB), 연성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CB), 경연성 인쇄 회로 기판(RigidFlexible PCB) 등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배선 패턴이 있는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위치 센서부(1160)는 제1 MR 센서(1161b), 제2 MR 센서(1162b), 제1 마그넷(1161a) 및 제2 마그넷(1162a)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로, 제1 마그넷(1161a)은 제1 가동부와 결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마그넷(1161a)은 제1 가동부의 제1 가동 지지부(1134a)의 저면(1134as)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마그넷(1162a)은 제2 가동부와 결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마그넷(1162a)은 제2 가동부의 제2 가동 지지부(1144a)의 저면(1144as)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MR 센서(1161b) 및 제2 MR 센서(1162b)는 브라켓(1120) 또는 브라켓 상의 추가 기판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마그넷(1161a)은 제1 가동부의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에 대응하여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MR 센서(1161b)는 이러한 제1 마그넷(1161a)의 이동에 따른 자기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가동부와 접한 제2 마그넷(1162a)은 제2 가동부의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에 대응하여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MR 센서(1162b)는 이러한 제2 마그넷(1162a)의 이동에 따른 자기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마그넷(1161a) 및 제2 마그넷(11262a)은 각각이 제1 가동 지지부(1134a) 및 저면(1134as) 및 제2 가동 지지부(1144a)의 저면(1144as)에 접하므로 상술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회전부 및 광학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회전부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회전부의 정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회전부(1170)에는 광학 부재(1180)가 안착할 수 있다. 광학 부재(118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프리즘(prism) 또는 미러(mirror) 등의 반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학 부재(1180)는 상기 반사부재의 앞 또는 뒤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로, 회전부(1170)는 제1 회전 플레이트(1171), 제2 회전 플레이트(1172), 고정 플레이트(1173), 제1 브릿지(BR1) 및 제2 브릿지(BR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 플레이트(1171)는 회전부(1170)에서 최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회전 플레이트(1171)는 광학 부재(1180)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회전 플레이트(1171)는 면적이 광학 부재(1180)의 면적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1 회전 플레이트의 회전에 대응하여 광학 부재(1180)도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다.
제2 회전 플레이트(1172)는 제1 회전 플레이트(1171)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회전 플레이트(1172)는 내측이 개구된 형태일 수 있으며, 제2 회전 플레이트(1172)의 내측에는 제1 회전 플레이트(1171)가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회전 플레이트(1172)는 폐루프 또는 개루프 형태일 수 있다.
제2 회전 플레이트(1172)는 제1 회전 플레이트(1171)를 커버할 수 있다. 제2 회전 플레이트(1172)는 제1 회전 플레이트(1172)와 독립 또는 종속하여 회전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회전 플레이트(1171)만 회전할 수 있다(예로, 요(Yaw) 틸트). 또는, 제1 회전 플레이트(1171) 및 제2 회전 플레이트(1172)는 모두 회전할 수 있다(예로, 피치(Pitch) 틸트).
제1 브릿지(BR1)는 제1 회전 플레이트(1171)와 제2 회전 플레이트(117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브릿지(BR1)는 제1-1 브릿지(BR1a)와 제1-2 브릿지(BR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브릿지(BR1a)는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2 브릿지(BR1b)는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1 브릿지(BR1a)와 제1-2 브릿지(BR1b)는 제1 회전 플레이트(1171)와 제2 회전 플레이트(1172) 사이에서 피치(Pitch) 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요(Yaw) 방향은 상술한 바와 같이 평면(XZ)에서 일 방향으로, 회전부를 평면으로할 때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피치(Pitch) 방향은 상술한 바와 같이 평면(YZ)에서 일 방향으로, 회전부를 평면으로할 때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제1-1 브릿지(BR1a)와 제1-2 브릿지(BR1b)는 요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1-1 브릿지(BR1a)와 제1-2 브릿지(BR1b)를 기준으로 내측의 제1 회전 플레이트(1171)의 회전(요 틸트)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1173)는 회전부(1170)에서 최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1173)는 회전 지지부(1114)의 경사면(1114a)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고정 플레이트(1173)는 회전 지지부(1114)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1173)는 제1 회전 플레이트(1171)와 제2 회전 플레이트(1172) 외측에서 제2 회전 플레이트(1172)와 제2 브릿지(BR2)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제2 브릿지(BR2)는 제2-1 브릿지(BR2a)와 제2-2 브릿지(BR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 브릿지(BR2a)와 제2-2 브릿지(BR2b)는 피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2-1 브릿지(BR2a)와 제2-2 브릿지(BR2b)를 기준으로 내측의 제1 회전 플레이트(1171)와 제2 회전 플레이트(1172)의 회전(피치 틸트)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1 브릿지(BR2a)와 제2-2 브릿지(BR2b)는 피치 방향으로 회전부를 이등분하는 제1 가상선(CV1)과 나란하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1 브릿지(BR1a)와 제1-2 브릿지(BR1b)는 요 방향으로 회전부를 이등분하는 제2 가상선(CV2)과 나란하게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가상선(CV1)은 피치 방향과 평행하고, 제2 가상선(CV2)은 요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실시예로, 제1 회전 플레이트(1171)는 상술한 제1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요 틸트할 수 있다. 이 때, 제1 회전 플레이트(1171)와 제1 구동부의 접촉 지점(CP1, CP2)은 제1 회전 플레이트(1171)의 가장자리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적은 전압으로도 요 틸트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즉,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는 향상된 전력 효율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회전 플레이트(1171)의 접촉 지점(CP1, CP2)은 점/포인트 또는 영역일 수 있다. 예컨대, 점(예컨대, 제1 포인트(CP1))인 경우 제1 가상선(CV1) 상에 또는 제1 회전 플레이트(1171)의 세로 방향으로 이등분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영역(예컨대, 제1 영역(CP2))인 경우에 제1 가상선(CV1)에 대칭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가압 및 흡인력에 따른 회전부의 회전이 일측에 집중되지 않고 회전부의 요 틸트가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2 회전 플레이트(1172)는 제2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제1 회전 플레이트(1171)와 함께 피치 틸트할 수 있다. 이 때, 제2 회전 플레이트(1172)와 제2 구동부의 접촉 지점(CP3, CP4)은 제2 회전 플레이트(1172)의 가장자리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피치 틸트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제2 회전 플레이트(1172)의 접촉 지점(CP3, CP4)은 점/포인트 또는 영역일 수 있다. 예컨대, 점(예컨대, 제2 포인트(CP3))인 경우 제2 가상선(CV2) 상에 또는 제2 회전 플레이트(1172)의 세로 방향으로 이등분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영역(예컨대, 제2 영역(CP4))인 경우에 제2 가상선(CV2)에 대칭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가압 및 흡인력에 따른 회전부의 회전이 일측에 집중되지 않고 회전부의 피치 틸트가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15는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회전부 및 광학 부재를 제거한 정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에서 제1 구동부(1130)에 의해 회전부(1170)의 제1 회전 플레이트(1171)가 요 틸트할 수 있다. 이 때, 제1 구동부(1130)에서 제1 링크부, 제1 연결부, 제1 가동부 및 제1 흡인부가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링크부, 제1 연결부, 제1 가동부 및 제1 흡인부는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신장 수축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링크부, 제1 연결부 및 제1 가동부는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하여(F1a) 회전부를 가압(F1b)할 수 있다. 또한, 제1 링크부, 제1 연결부 및 제1 가동부는 제3 방향(Z축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흡인부의 흡인력 의해(F1c) 회전부와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또는 제1 흡인부와 회전부 간의 소정 거리가 유지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에서 제2 구동부(1140)에 의해 회전부(1170)의 제2 회전 플레이트(1172) 및 제1 회전 플레이트(1171)가 피치 틸트할 수 있다. 이 때, 제2 구동부(1140)에서 제2 링크부, 제2 연결부, 제2 가동부 및 제2 흡인부가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F2a). 제2 링크부, 제2 연결부, 제2 가동부 및 제2 흡인부는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신장 수축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링크부, 제2 연결부 및 제2 가동부는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회전부를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제2 링크부, 제2 연결부 및 제2 가동부는 제3 방향(Z축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2 흡인부의 흡인력에 의해(F2c) 회전부와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또는 소정 거리가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MR 센서(1161b)는 제1 마그넷(1161a)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동이 없는 경우, 제1 MR 센서(1161b)는 제1 마그넷(1161a)과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중첩하게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MR 센서(1162b)는 제2 마그넷(1162a)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동이 없는 경우, 제2 MR 센서(1162b)는 제2 마그넷(1162a)과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중첩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는 제1 가동부와 제2 가동부의 위치 이동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는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제1 구동부에 의한 전진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7a 및 도 17b는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제1 구동부에 의한 후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압전부(상기 제1,2 압전부에 대응)는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신축할 수 있다. 예컨대, 압전부는 전압이 인가된 전압이 증가하면 신장하고(F1aa, 도 16b) 전압이 감소하면 축소(F1ab, 도 17b)될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면, 제1 구동 신호(PS1)에 따라 압전부의 신축이 조절되며, 이동부(제1,2 이동부에 대응)는 링크부(제1,2 링크부에 대응)에서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전압이 소정의 시간(t0에서 t1)동안 인가되고 가압부와 링크부가 소정의 속도 이하로 신장되면 이동부는 링크부에서 위치가 동일할 수 있다. 즉, 이동부와 가압부 간의 거리가 유지될 수 있다(d1).
다만, 전압이 소정의 시간(t1에서 t2)동안 인가되고 가압부와 링크부가 소정의 속도보다 큰 속도로 축소되면 이동부는 링크부에서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시간(t1 내지 t2)동안 인가된 전체 전압(ST2)은 시간(t0 내지 t1)동안 인가된 전체 전압(ST1)과 동일할 수 있다. 예컨대, 전압의 크기는 시간(t0 내지 t1)보다 시간(t1 내지 t2)에서 더 클 수 있다. 이는 압전부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압이 압전부에 인가되면 압전부의 길이는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신장되고, -전압이 압전부에 인가되면 압전부의 길이는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축소된다.
이에 따라, 이동부는 관성에 의해 위치가 유지되어 링크부에서 상대적인 위치가 신장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즉, 이동부와 가압부 간의 거리가 증가할 수 있다(d1에서 d2로 증가). 즉, 최종적으로 제1 구동 신호(PS1)의 인가로 압전부의 길이는 동일하더라도 압전부와 이동부 간의 위치가 증가하여 가동부 및 흡인부가 제3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구동 신호(PS1)는 소정의 시간동안 수회 반복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구동 신호는 초당 100회로 반복하여 압전부로 인가될 수 있다. 이에, 1 주기의 제1 구동 신호는 제1 이동부를 제3 방향으로 이동시켜 회전부를 가압하고 요 틸트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7a 및 도 17b를 참조하면, 제2 구동 신호(PS1')에 따라 압전부의 신축이 조절되며, 이동부(제1,2 이동부에 대응)는 링크부(제1,2 링크부에 대응)에서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전압이 소정의 시간(t0'에서 t1')동안 인가되고 가압부와 링크부가 소정의 속도 이하로 축소되면 이동부는 링크부에서 위치가 동일할 수 있다. 즉, 이동부와 가압부 간의 거리가 유지될 수 있다(d3).
다만, 전압이 소정의 시간(t1'에서 t2')동안 인가되고 가압부와 링크부가 소정의 속도보다 큰 속도로 신장되면 이동부는 링크부에서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시간(t1' 내지 t2')동안 인가된 전체 전압(ST2')은 시간(t0' 내지 t1')동안 인가된 전체 전압(ST1')과 동일할 수 있다. 예컨대, 전압의 크기는 시간(t0' 내지 t1')보다 시간(t1 내지 t2')에서 더 클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압전부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부는 관성에 의해 위치가 유지되어 링크부에서 상대적인 위치가 신장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즉, 이동부와 가압부 간의 거리가 감소할 수 있다(d3에서 d4로 감소). 즉, 최종적으로 제2 구동 신호(PS1')의 인가로 압전부의 길이는 동일하더라도 압전부와 이동부 간의 위치가 감소하여 가동부 및 흡인부가 제3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구동 신호(PS1')는 소정의 시간동안 수회 반복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구동 신호는 초당 100회로 반복하여 압전부로 인가될 수 있다. 이에, 1 주기의 제2 구동 신호는 제1 이동부를 제3 방향으로 이동시켜 회전부를 가압하고 요 틸트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8은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에서 EE’로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18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는 제1 렌즈 어셈블리(1210), 제2 렌즈 어셈블리(1220), 제2 하우징(1230), 제3 구동부(1250), 제4 구동부(1260), 베이스부(미도시됨) 및 제2 기판부(미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는 제2 쉴드 캔(미도시됨), 탄성부(미도시됨) 및 접합 부재(미도시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는 이미지 센서(I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쉴드 캔(미도시됨)은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의 일 영역(예컨대, 최외측)에 위치하여, 후술하는 구성요소(제1 렌즈 어셈블리(1210), 제2 렌즈 어셈블리(1220), 제2 하우징(1230), 탄성부(미도시됨), 제3 구동부(1250), 제4 구동부(1260), 베이스부(미도시됨), 제2 기판부(미도시됨) 및 이미지 센서(IS))를 감싸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쉴드 캔(미도시됨)은 외부에서 발생한 전자기파를 차단 또는 저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구동부(1250)에서 오작동의 발생이 감소할 수 있다.
제1 렌즈 어셈블리(1210)와 제2 렌즈 어셈블리(1220)는 제2 쉴드 캔(미도시됨)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렌즈 어셈블리(1210)와 제2 렌즈 어셈블리(1220)는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AF 기능 및 주밍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제1 렌즈 어셈블리(1210)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렌즈 어셈블리(1210)는 Z축 방향으로 이동되어 오토 포커스(auto focus)를 수행하거나 주밍(zooming)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핀(1270)은 제1 렌즈 어셈블리(121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구동부(1250)는 초음파 모터로 제1 렌즈 어셈블리(121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구봉부(1250)는 제1 렌즈 어셈블리(1210)를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렌즈 어셈블리(1220)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렌즈 어셈블리(1220)는 Z축 방향으로 이동되어 오토 포커스(auto focus)를 수행하거나 주밍(zooming)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핀(1280)은 제2 렌즈 어셈블리(122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2 구동부(1260)는 초음파 모터로 제2 렌즈 어셈블리(122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구봉부(1260)는 제2 렌즈 어셈블리(1220)를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베이스부(미도시됨)는 제2 렌즈 어셈블리(1220)와 이미지 센서(IS)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부(미도시됨)는 필터 등의 구성요소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미도시됨)는 이미지 센서(IS)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이미지 센서(IS)는 이물질 등으로부터 자유로워지므로, 소자의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IS)는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의 내측에 또는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로는, 도시한 바와 같이 이미지 센서(IS)가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IS)는 광을 수신하고, 수광된 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센서(IS)는 복수 개의 픽셀이 어레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센서(IS)는 광축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0은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리니어 모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초음파 리니어 모터는 제1 구동부와 제2 구동부에 해당하는 것으로 동일하여 제1 구동부를 예로 설명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리니어 모터(1250)는 탄성체(1251a)와 압전소자(1251b)로 구성된 압전부(1251), 링크부(1252), 이동부(1253)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체(1251a)의 양면에는 압전소자(1251b)가 부착될 수 있다. 탄성체(1251a)의 양면에 압전소자가 부착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탄성체(1251a)의 일면에 압전소자가 부착될 수 있다.
압전소자(1252b)는 탄성체(1251a)의 일면에 부착되는 제1 압전소자(1252b1)와 탄성체(1251a)의 타면에 부착되는 제2 압전소자(1251b2)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체(1251a)와 압전소자(1251b)는 접착제 예컨대, 전도성 에폭시에 의해 접착 결합될 수 있다.
압전소자(1251b)의 양면에는 전극이 소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극은 Ag 전극일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나의 압전소자(1251b)의 두께는 탄성체(1251a)의 두께보다 얇게 설계되고, 두개의 압전소자(1251b)의 총 두께는 탄성체(1251)의 두께보다 두껍게 설계될 수 있다.
링크부(1252)는 압전부(1251)의 중앙에는 결합될 수 있다.
이동부(1253)는 링크부(1252)에 마찰 삽입되고 링크부(1252)의 선형 운동에 따라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링크부(1252) 상에서 이동 즉,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다. 이때, 이동부(1253)와 링크부(1252)를 연결해주는 기계적 결합체가 존재할 수 있는데, 기계적 결합체는 이동부가 링크부에 물리적인 압력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1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엑추에이터는 온도 감지부(100), 위치 센서부(200), 제어부(300), 메모리(400), 구동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 엑추에이터는 OIS용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 AF용 및 Zoom용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온도 감지부(100)는 구동부의 주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온도 감지부(100)는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온도 감지부(100)는 온도 센서(110)와 ADC(Analog Digital Converter)(120)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110)는 아날로그 형태의 온도값을 측정하여 출력하고, ADC(120)는 아날로그 형태의 온도값을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위치 센서부(200)는 이동부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위치 센서부(200)는 MR(Magnetoresistive) 센서(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위치 센서부는 마그넷(210)과 MR(Magnetoresistive) 센서(220)를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넷(210)은 이동부 또는 이동부에 결합된 렌즈 어셈블리에 장착되고, 이동부 또는 이동부에 연결된 렌즈 어셈블리에 장착된 마그넷(210)의 자기력 변화를 MR 센서(220)가 감지하여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구동부의 온도에 따라 미리 정해진 주기 또는 피크 전압을 갖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구동 신호로 구동부를 구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주변의 온도에 따라 구동부 예컨대, 초음파 모터의 구동 속도가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실시예에서는 구동 신호의 주기 또는 피크 전압을 온도에 따라 가변시킴으로써 초음파 모터의 구동 속도를 가변시키고자 한다.
그 일예로, 제어부(300)는 온도에 따라 미리 정해진 주기를 갖는 제1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1 구동 신호를 구동부(5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제1 구동 신호에 의해 이동한 이동부가 타겟 위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의 감속 구간에 진입하는 경우 제1 구동 신호의 듀티비를 조절하여 제2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생성된 제2 구동 신호를 구동부(5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2 구동 주파수의 듀티비는 제1 구동 주파수와 듀티비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300)는 온도에 따라 미리 정해진 피크 전압을 갖는 제1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1 구동 신호를 구동부(5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제1 구동 신호에 의해 이동한 이동부가 타겟 위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의 감속 구간에 진입하는 경우 제1 구동 신호의 듀티비를 조절하여 제2 구동 주파수를 생성하여 생성된 제2 구동 주파수를 구동부(500)에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400)는 온도에 따라 미리 정해진 주기 또는 피크 전압을 갖는 구동 주파수가 설정된 테이블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구동 주파수는 공진 주파수와 반공진 주파수 사이에서 설정될 수 있는데, 공진 주파수와 일치하지 않고 가깝게 설정될 수 있다. 구동 주파수와 공진 주파수가 일치하게 되면 진동이 크게 증폭되기 때문이다.
구동부(500)는 제공받은 구동 신호에 의해 변형되어 광학 부재 또는 렌즈 어셈블리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600)는 예컨대, 초음파 리니어 모터일 수 있다.
도 22는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모터의 온도별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3은 온도 변화에 따른 초음파 모터의 구동 속도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초음파 모터에 인가되는 구동 주파수는 공진 주파수(fr)와 반공진 주파수(fa)의 사이일 수 있는데, 공진 주파수와 반공진 주파수는 온도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예컨대, -20도에서 80도의 온도 구간에서 온도가 상승할수록 공진 주파수와 반공진 주파수는 하강하고, 온도가 하강할수록 공진 주파수와 반공진 주파수는 상승할 수 있다. 온도에 따른 공진 주파수와 반공진 주파수는 다음의 표1과 같다.
온도(℃) 주파수(kHz)
공진 주파수(fr) 반공진 주파수(fa) Δf(fa-fr)
-20 92 96.2 4.2
-10 91 96 5
0 90.7 95.2 4.5
10 90 95.2 5.2
25(상온) 89.2 94.5 5.3
45 86.2 92.2 6
60 84.7 92.2 7.5
70 83.3 90 6.7
80 75 83.2 8.2
상기 표1을 참조하면 전체 온도 구간에서 70도 이후 주파수가 급격하게 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예컨대, 0도 ~ 70도의 온도 구간에서 공진 주파수의 변화량은 7.4kHz 정도이나 70도 ~ 80도의 온도 구간에서 공진 주파수의 변화량은 8.3kHz이다.즉, -20도 ~ 70도의 온도 구간에서는 선형성을 가지고 변하지만 70도 이후의 온도 구간에서는 급격하게 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는 탄성체에 압전소자를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접착제의 온도 특성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온도에 따라 공진 주파수가 변화되는 상황에서 동일한 구동 주파수로 초음파 모터를 구동하게 되면 초음파 모터의 구동 속도가 일정하지 않고 변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온도 변화에 따라 초음파 모터의 구동 속도가 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온도가 증가할수록 초음파 모터의 구동 속도는 증가하고, 온도가 감소할수록 초음파 모터의 구동 속도는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 모터의 구동 속도는 구동 신호의 크기 즉, 피크 전압 12V, 14V, 16V, 18V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피크 전압이 커질수록 초음파 모터의 구동 속도는 증가하고, 피크 전압이 작아질수록 초음파 모터의 구동 속도는 감소할 수 있다.
도 24a 내지 도 24c는 구동 신호의 주기를 가변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a를 참조하면, 상온인 경우, 실시예에 따른 구동 신호는 제1 주기를 갖는 파형일 수 있다. 정(+)의 전압이 소정의 시간(t0에서 t1)동안 인가되어 압전부와 링크부가 소정의 속도 이하로 신장된 후 -전압이 소정의 시간(t1에서 t2)동안 인가되어 압전부와 링크부가 소정의 속도보다 큰 속도로 축소되면 이동부는 링크부에서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이동부는 링크부 상에서 전진할 수 있다.
반대로, 부(-)의 전압이 소정의 시간(t0’에서 t1’)동안 인가되어 압전부와 링크부가 소정의 속도 이하로 축소된 후 부(-)의 전압이 소정의 시간(t1’에서 t2’)동안 인가되어 압전부와 링크부가 소정의 속도보다 큰 속도로 신장되면 이동부는 링크부에서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이동부는 링크부 상에서 후진할 수 있다.
도 24b를 참조하면, 고온인 경우, 초음파 모터의 구동 속도는 증가하기 때문에, 제1 주기보다 긴 제2 주기를 갖는 파형의 구동 신호를 압전부에 인가하여 압전부의 변형에 따라 이동부를 링크부 상에서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정(+)의 전압 신호와 부(-)의 전압 신호에 의해 형성된 구동 신호가 인가되면 이동부를 링크부 상에서 전진시키게 되고, 부(-)의 전압 신호와 정(+)의 전압 신호에 의해 형성된 구동 신호가 인가되면 이동부를 링크부 상에서 후진시키게 된다.
도 24c를 참조하면, 저온인 경우, 초음파 모터의 구동 속도는 감소하기 때문에, 제1 주기보다 짧은 제3 주기를 갖는 파형의 구동 신호를 압전부에 인가하여 압전부의 변형에 따라 이동부를 링크부 상에서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다.
도 25a 내지 도 25c는 구동 신호의 크기를 가변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a를 참조하면, 상온인 경우, 실시예에 따른 구동 신호는 제1 피크 전압을 갖는 파형일 수 있다. 정(+)의 전압이 소정의 시간(t0에서 t1)동안 인가되어 압전부와 링크부가 소정의 속도 이하로 신장된 후 부(-)의 전압이 소정의 시간(t1에서 t2)동안 인가되어 압전부와 링크부가 소정의 속도보다 큰 속도로 축소되면 이동부는 링크부에서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이동부는 링크부 상에서 전진할 수 있다.
반대로, 부(-)의 전압이 소정의 시간(t0’에서 t1’)동안 인가되어 압전부와 링크부가 소정의 속도 이하로 축소된 후 정(+)의 전압이 소정의 시간(t1’에서 t2’)동안 인가되어 압전부와 링크부가 소정의 속도보다 큰 속도로 신장되면 이동부는 링크부에서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이동부는 링크부 상에서 후진할 수 있다.
도 25b를 참조하면, 고온인 경우, 초음파 모터의 구동 속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제1 피크 전압보다 작은 제2 피크 전압을 갖는 파형의 구동 신호를 압전부에 인가하여 압전부의 변형에 따라 이동부를 링크부 상에서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정(+)의 전압 신호와 부(-)의 전압 신호에 의해 형성된 구동 신호가 인가되면 이동부를 링크부 상에서 전진시키게 되고, 부(-)의 전압 신호와 정(+)의 전압 신호에 의해 형성된 구동 신호가 인가되면 이동부를 링크부 상에서 후진시키게 된다.
도 25c를 참조하면, 저온인 경우, 초음파 모터의 구동 속도가 감소하기 때문에, 제1 피크 전압보다 큰 제3 피크 전압을 갖는 파형의 구동 신호를 압전부에 인가하여 압전부의 변형에 따라 이동부를 링크부 상에서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모터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구동부 주변의 온도를 측정한 온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2601). 이때, 제1 센서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구동부의 주변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온도 데이터를 제어부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주파수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온도 데이터에 따른 피크 전압 또는 주기를 갖는 구동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S2602).
그 일예로, 구동 주파수는 주기가 일정하되, 온도에 따라 서로 다른 피크 전압을 갖는 구동 주파수일 수 있다. 예컨대, 구동 주파수는 상온에서 제1 피크 전압의 구동 주파수이고, 고온에서 제1 피크 전압보다 작은 제2 피크 전압을 갖는 구동 주파수이고, 저온에서 제1 피크 전압보다 큰 제3 피크 전압을 갖는 구동 주파수일 수 있다.
다른 예로, 구동 주파수는 피크 전압이 일정하되, 온도에 따라 서로 다른 주기를 갖는 구동 주파수일 수 있다. 예컨대, 구동 주파수는 상온에서 제1 주기를 갖는 구동 주파수이고, 고온에서 제1 주기보다 긴 제2 주기를 갖는 구동 주파수이고, 저온에서 제1 주기보다 짧은 제3 주기를 갖는 구동 주파수일 수 있다.
제어부는 결정된 구동 주파수의 제1 구동 신호 또는 제1 구동 펄스를 생성할 수 있다(S2603)하고, 생성된 제1 구동 신호를 초음파 모터에 인가할 수 있다(S2604). 여기서, 제1 구동 신호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펄스일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구동 신호가 인가된 초음파 모터 내 이동부의 위치를 검출한 위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2605). 이때, 제2 센서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구동부 내 이동부의 위치를 검출하여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위치 데이터를 제어부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는 수신된 위치 데이터를 기초로 이동부의 위치가 타겟 위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의 감속 구간에 진입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2606).
제어부는 이동부의 위치가 감속 구간에 진입한 경우, 구동부 내 이동부를 감속하기 위한 제2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S2607) 생성된 제2 구동 신호를 구동부에 인가할 수 있다(S2608). 이때, 제2 구동 신호는 제1 구동 신호의 제1 듀티비를 미리 정해진 제2 듀티비로 변경한 구동 신호로 제2 듀티비는 제1 듀티비보다 크게 설정된다.
예컨대, 제1 듀티비가 50%인 경우, 제2 듀티비는 75%로 설정되거나 제1 듀티비가 75%인 경우 제2 듀티비는 90%로 설정될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는 이동부의 위치가 타겟 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2609). 이동부의 위치가 타겟 위치에 도달하였다는 것은 이동부의 위치가 타겟 위치와 일치하거나 미리 정해진 허용 범위 이내로 거의 일치하였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이동부의 위치가 타겟 위치에 도달한 경우, 제2 구동 신호를 차단할 수 있다(S2610).
도 27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 적용된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이동단말기(1500)는 후면에 제공된 카메라 모듈(1000), 플래쉬모듈(1530), 자동초점장치(151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0)은 이미지 촬영 기능 및 자동 초점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카메라 모듈(1000)은 이미지를 이용한 자동 초점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0)은 촬영 모드 또는 화상 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소정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도 카메라(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00)은 제1 카메라 모듈(1000)과 제2 카메라 모듈(1000)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카메라 모듈(1000A)에 의해 AF 또는 줌 기능과 함께 OIS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플래쉬모듈(1530)은 내부에 광을 발광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래쉬모듈(1530)은 이동단말기의 카메라 작동 또는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자동초점장치(1510)는 발광부로서 표면 광 방출 레이저 소자의 패키지 중의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초점장치(1510)는 레이저를 이용한 자동 초점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자동초점장치(1510)는 카메라 모듈(1000)의 이미지를 이용한 자동 초점 기능이 저하되는 조건, 예컨대 10m 이하의 근접 또는 어두운 환경에서 주로 사용될 수 있다.
자동초점장치(1510)는 수직 캐비티 표면 방출 레이저(VCSEL)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부와, 포토 다이오드와 같은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8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 적용된 차량의 사시도이다.
예를들어, 도 28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이 적용된 차량 운전 보조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외관도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차량(700)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13FL, 13FR), 소정의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센서는 카메라센서(200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카메라(2000)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이 적용된 카메라 센서일 수 있다. 실시예의 차량(700)은, 전방 영상 또는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센서(2000)를 통해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차선 미식별 상황을 판단하고 미식별시 가상 차선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센서(2000)는 차량(700)의 전방을 촬영하여 전방 영상을 획득하고, 프로세서(미도시)는 이러한 전방 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분석하여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센서(2000)가 촬영한 영상에 차선, 인접차량, 주행방해물, 및 간접 도로 표시물에 해당하는 중앙 분리대, 연석, 가로수 등의 오브젝트가 촬영된 경우, 프로세서는 이러한 오브젝트를 검출하여 영상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는 카메라센서(2000)를 통해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여, 영상 정보를 더 보완할 수 있다.
영상 정보는 영상에 촬영된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센서(2000)는 이미지 센서와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센서(2000)는 이미지 센서(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영상 처리 모듈은 이미지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프로세서에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카메라센서(2000)는 오브젝트의 측정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차량(700)과 오브젝트와의 거리 등의 정보를 더 확보할 수 있도록 스테레오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온도 감지부
200: 위치 센서부
300: 제어부
400: 메모리
500: 구동부

Claims (10)

  1. 광학 부재 또는 렌즈 어셈블리에 연결되고, 구동 신호에 따라 상기 광학 부재 또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주변 온도를 감지하여 온도 데이터를 획득하는 온도 감지부;
    상기 구동부의 이동 위치를 감지하여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는 위치 센서부; 및
    상기 온도 데이터에 따라 미리 정해진 주기 또는 피크 전압을 갖는 제1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구동 신호를 상기 구동부에 1차 인가한 후 상기 위치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1 구동 신호의 듀티비를 변경하여 제2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구동 신호를 상기 구동부에 2차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엑추에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 온도가 상승할수록 상기 제1 구동 신호의 상기 주기를 길어지도록 설정하거나 상기 피크 전압을 작아지도록 설정하고,
    상기 주변 온도가 하강할수록 상기 제1 구동 신호의 상기 주기를 짧아지도록 설정하거나 상기 피크 전압을 커지도록 설정하는, 카메라 엑추에이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 온도가 상승하거나 하강하더라도 상기 구동부의 이동 속도가 일정해지도록 상기 제1 구동 신호의 주기 또는 상기 피크 전압을 설정하는, 카메라 엑추에이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의 양면에 부착된 압전 소자를 포함하는 압전부, 상기 압전부에 결합되어 상기 압전부의 변위에 따라 이동하는 링크부, 상기 링크부에 삽입 결합되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센서부는 상기 이동부 또는 상기 이동부에 연결된 상기 광학 부재 또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의 이동 위치를 감지하여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메라 엑추에이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센서부는,
    상기 이동부 또는 상기 이동부에 연결된 상기 광학 부재 또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에 장착된 마그넷과 상기 마그넷의 자기력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이동 위치를 감지하는 MR(Magnetoresistive) 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 엑추에이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구동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부의 이동 위치가 타겟 위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의 감속 구간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제1 구동 신호의 듀티비를 변경하여 상기 제2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카메라 엑추에이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구동 신호의 듀티비가 증가하도록 변경하여 제2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카메라 엑추에이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의 이동 위치가 상기 감속 구간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의 이동 속도가 감소되도록 상기 제1 구동 신호의 듀티비를 변경하는, 카메라 엑추에이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신호와 상기 제2 구동 신호는 PWM 신호인, 카메라 엑추에이터.
  10.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광학 부재와 렌즈 어셈블리;
    상기 광학 부재를 이동시키는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상기 렌즈 어셈블리를 이동시키는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와 상기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청구항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카메라 엑추에이터로 구현된, 카메라 장치.
KR1020210038797A 2021-03-25 2021-03-25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KR202201335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797A KR20220133546A (ko) 2021-03-25 2021-03-25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797A KR20220133546A (ko) 2021-03-25 2021-03-25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3546A true KR20220133546A (ko) 2022-10-05

Family

ID=83596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8797A KR20220133546A (ko) 2021-03-25 2021-03-25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354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371232A1 (en) Anti-shake compensation structure for auto-focus
JP2019502940A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EP4068751A1 (en)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CN101251706A (zh) 一种光学模组、照相机及移动终端设备
US9063389B2 (en) Camera module
US20220014653A1 (en) Camera module
KR20190137657A (ko) 듀얼 카메라 모듈
US11650393B2 (en) Camera module having axial assembling structures and electronic device
US12007681B2 (en)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US20230269453A1 (en) Camera actuator and camera device comprising same
KR20220133546A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KR20210078103A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KR20210054716A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EP4156672A1 (en) Camera actuator and camera device comprising same
KR20130037560A (ko) 카메라 모듈
KR20220011519A (ko)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20023194A (ko)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20133564A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US20240036436A1 (en) Camera actuator
US20230161225A1 (en)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US20230168565A1 (en) Camera actuator and camera device including same
EP4134735A1 (en)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KR20230022599A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CN217932225U (zh) 镜头模组、摄像头模组以及电子设备
US20230161229A1 (en)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