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3155A - 생리컵 - Google Patents

생리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3155A
KR20220133155A KR1020220118894A KR20220118894A KR20220133155A KR 20220133155 A KR20220133155 A KR 20220133155A KR 1020220118894 A KR1020220118894 A KR 1020220118894A KR 20220118894 A KR20220118894 A KR 20220118894A KR 20220133155 A KR20220133155 A KR 20220133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meter
handle
base body
menstrual blood
sma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8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6427B1 (ko
Inventor
심윤미
Original Assignee
루나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나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루나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8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6427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11889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66427B1/ko
Publication of KR20220133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3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6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6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A61F5/455Genital or anal receptacles for collecting urine or discharge from female member
    • A61F5/4553Genital or anal receptacles for collecting urine or discharge from female member placed in the vagina, e.g. for catamenial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1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having venting or deodorant means, e.g. filters ; having antiseptic means, e.g. bacterial barri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생리컵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생리컵은, 생리혈이 내부에 수용되는 베이스 바디; 베이스 바디의 하부에 마련되며 베이스 바디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손잡이부; 손잡이부의 하부에 마련되며 손잡이부보다 직경이 크고 베이스 바디보다 직경이 작은 확장부; 및 베이스 바디의 상부에 굴곡지게 마련되고 베이스 바디의 직경보다 크게 마련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생리컵{MENSTRAL CUP}
본 발명은, 생리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생리혈이 저장되며 쉽고 안정적으로 삽입 및 분리할 수 있는 생리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 생리용품은 패드식 생리대와 여생의 질내 삽입형 생리대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최근 패드형 생리대에 비하여 삽입형 생리대가 생리 기간 중에도 착용한 상태에서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다는 장점과 기존 패드를 처리하기 위한 환경적, 경제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장점으로 여성의 질 내에 삽입된 상태로 착용되어 배출되는 생리혈을 수용하도록 성형된 삽입형 생리컵이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삽입형 생리컵은, 컵 바디와, 여성의 질 내에 삽입되어 생리혈을 수용하는 개구부가 컵 바디의 중심부 상측에 마련되며, 컵 바디의 상부가 하부보다 작은 형상을 가진 컵 형상의 구조로 마련된다.
그러나, 시판되고 있는 종래의 생리컵은 신축성이 있어 생리혈의 수용공간이 어느 정도 확보될 수 있기는 하지만, 한계가 있으므로 수시로 생리혈을 비워줘야 한다. 생리혈이 담겨진 상태에서 생리컵을 탈착하고 비우는 과정을 수행해야하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생리혈을 엎지르거나 흘리게 되는 경우가 많아 생리컵의 사용을 기피하기도 한다.
위와 같은 생리컵은 손가락을 질 내부로 깊게 삽입하지 않고 손잡이를 손쉽게 파지하기 위해 손잡이를 길게 형성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활동시 긴 손잡이가 질 내벽을 찔러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이유로 손잡이를 짧게 형성하게 되면 손잡이를 잡기하기 위해 삽입되는 엄지와 검지 두개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하방으로 갈수록 그 폭이 확장되는 집게 손가락 구조가 질 내부로 깊숙히 삽입되면서 질 내벽을 압박함에 따라 이에 따른 통증을 크게 유발하는 문제가 발생되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97208호(홍석준) 2018. 09. 04.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생리컵을 쉽고 안정적으로 삽입 및 분리할 수 있는 생리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생리혈이 내부에 수용되는 베이스 바디; 상기 베이스 바디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 바디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손잡이부보다 직경이 크고 상기 베이스 바디보다 직경이 작은 확장부; 및 상기 베이스 바디의 상부에 굴곡지게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 바디의 직경보다 크게 마련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생리컵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바디는, 상기 손잡이부의 상단부에 연장 마련되며 내부에 생리혈이 수용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의 상단부에 연장 마련되며 내부에 생리혈이 수용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의 상단부에 연장 마련되며 내부에 생리혈이 수용되는 제3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의 최대 직경은 상기 제2 바디의 최대 직경보다 작게 마련되고, 상기 제2 바디의 최대 직경은 상기 제3 바디의 최대 직경과 같이 마련되며, 상기 제1 바디는 삼각형 단면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 바디는 하부의 직경이 상부보다 작은 항아리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3 바디는 직경이 일정한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의 외벽에는 적어도 하나의 홈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제1 바디의 하단부에서 하부로 연장 마련되며 상기 제1 바디의 직경보다 작게 마련됨과 아울러 일정한 직경을 갖는 손잡이 바디; 및 상기 손잡이 바디의 외벽에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손잡이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바디는, 상기 제3 바디에 마련되는 복수의 에어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와 상기 제3 바디의 내벽에는 생리혈이 저장되는 용량을 표시하는 용량 표시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손잡이부가 베이스 바디보다 직경이 작게 마련됨과 아울러 확장부가 손잡이부보다 직경이 크고 베이스 바디보다 직경이 작게 마련되어 본 실시 예를 삽입 및 분리시 손에서 미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테두리부가 베이스 바디의 직경보다 크게 마련됨과 아울러 굴곡지게 마련되어 본 실시예를 더 쉽고 안정적으로 삽입 및 분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리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예로써 다양한 사이즈를 갖는 생리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리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 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실시 예로써 다양한 사이즈를 갖는 생리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생리컵(1)은, 생리혈이 내부에 수용되는 베이스 바디(10)와, 베이스 바디(10)의 하부에 마련되며 베이스 바디(10)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손잡이부(20)와, 손잡이부(20)의 하부에 마련되며 손잡이부(20)보다 직경이 크고 베이스 바디(10)보다 직경이 작은 확장부(30)와, 베이스 바디(10)의 상부에 굴곡지게 마련되고 베이스 바디(10)의 직경보다 크게 마련되는 테두리부(40)를 구비한다.
베이스 바디(10)는, 생리혈이 저장되는 곳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20)의 상단부에 연장 마련되며 내부에 생리혈이 수용되는 제1 바디(11)와, 제1 바디(11)의 상단부에 연장 마련되며 내부에 생리혈이 수용되는 제2 바디(12)와, 제2 바디(12)의 상단부에 연장 마련되며 내부에 생리혈이 수용되는 제3 바디(13)와, 제2 바디(12)와 제3 바디(13)의 내벽에 마련되어 수용될 수 있고 수용된 생리혈의 용량을 표시하는 용량 표시부(14)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바디(11)의 최대 직경은 상기 제2 바디(12)의 최대 직경보다 작게 마련되고, 제2 바디(12)의 최대 직경은 제3 바디(13)의 최대 직경과 같이 마련되며, 제1 바디(11)는 삼각형 단면 형상을 가지고, 제2 바디(12)는 하부의 직경이 상부보다 작은 항아리 형상을 가지며, 제3 바디(13)는 직경이 일정한 원통형 가지므로 사용자의 질에 안정적이고 쉽게 삽입 및 분리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바디(11)의 외벽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홈부(11a)가 연속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홈부(11a)는 사용자가 본 실시 예를 질의 내부로 삽입할 수 손가락의 지지 장소로 제공되어 사용자는 미끄러짐 없이 본 실시 예를 사용자의 질 내부로 쉽게 삽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홈부(11a)의 길이(L1)는 제1 바디(11)의 벽 두께(t1)와 같게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홈부(11a)의 길이(L1)의 최소 길이는 제1 바디(11)의 벽 두께(t1)의 최소 두께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고, 한 쌍의 홈부(11a)의 길이(L1)의 최대 길이는 제1 바디(11)의 벽 두께(t1)의 최대 두께보다 두껍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3 바디(13)에는, 복수의 에어홀(13a)이 마련되어 본 실시 예의 형상을 가변 시 베이스 바디(10)의 내부에 있는 공기를 베이스 바디(1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는 제2 바디(12)의 높이가 가장 높고, 제3 바디(13)의 높이가 가장 낮게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0)의 하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손잡이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손잡이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1)의 하단부에서 하부로 연장 마련되며 제1 바디(11)의 직경보다 작게 마련됨과 아울러 일정한 직경을 갖는 손잡이 바디(21)와, 손잡이 바디(21)의 외벽에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서로 이격 배치되어 사용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복수의 손잡이 돌기(22)를 포함한다.
확장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 바디(21)의 하단부에 손잡이 바디(21)의 직경보다 크게 마련되어 사용자가 본 실시 예를 질에서 분리 시 손잡이부(20)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확장부(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 형상을 갖는 확장 바디(31)와, 확장 바디(3)의 내부에 마련되어 확장 바디(31)의 무게를 줄이는 바디홈(32)을 포함할 수 있다.
테두리부(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바디(13)의 상단부에 제3 바디(13)보다 직경이 크게 마련되며, 전체적으로 굴곡지게 마련되어 본 실시 예를 사용자의 질 내부로 삽입 또는 분리를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테두리부(40)의 높이는 제3 바디(13)의 높이의 반 정도 일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손잡이부가 베이스 바디보다 직경이 작게 마련됨과 아울러 확장부가 손잡이부보다 직경이 크고 베이스 바디보다 직경이 작게 마련되어 본 실시 예를 삽입 및 분리시 손에서 미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테두리부가 베이스 바디의 직경보다 크게 마련됨과 아울러 굴곡지게 마련되어 본 실시예를 더 쉽고 안정적으로 삽입 및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생리컵
10 : 베이스 바디 11 : 제1 바디
11a : 홈부 12 : 제2 바디
13 : 제3 바디 13a : 에어홀
14 : 용량 표시부 20 : 손잡이부
21 : 손잡이 바디 22 : 손잡이 돌기
30 : 확장부 31 : 확장 바디
32 : 바디홈 40 : 테두리부

Claims (1)

  1. 생리혈이 내부에 수용되는 베이스 바디;
    상기 베이스 바디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 바디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손잡이부보다 직경이 크고 상기 베이스 바디보다 직경이 작은 확장부; 및
    상기 베이스 바디의 상부에 굴곡지게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 바디의 직경보다 크게 마련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바디는, 상기 손잡이부의 상단부에 연장 마련되며 내부에 생리혈이 수용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의 상단부에 연장 마련되며 내부에 생리혈이 수용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의 상단부에 연장 마련되며 내부에 생리혈이 수용되는 제3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의 최대 직경은 상기 제2 바디의 최대 직경보다 작게 마련되고, 상기 제2 바디의 최대 직경은 상기 제3 바디의 최대 직경과 같이 마련되며, 상기 제1 바디는 삼각형 단면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 바디는 하부의 직경이 상부보다 작은 항아리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3 바디는 직경이 일정한 원통형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바디의 외벽에는 적어도 하나의 홈부가 마련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제1 바디의 하단부에서 하부로 연장 마련되며 상기 제1 바디의 직경보다 작게 마련됨과 아울러 일정한 직경을 갖는 손잡이 바디; 및 상기 손잡이 바디의 외벽에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손잡이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바디는, 상기 제3 바디에 마련되는 복수의 에어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와 상기 제3 바디의 내벽에는 생리혈이 저장되는 용량을 표시하는 용량 표시부가 마련되고,
    상기 확장부는 추 형상을 갖는 확장 바디 및 상기 확장 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는 바디홈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 바디의 내부는 채워지게 마련되는 생리컵.
KR1020220118894A 2022-09-20 생리컵 KR102666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8894A KR102666427B1 (ko) 2022-09-20 생리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106A KR20220010336A (ko) 2020-07-17 2020-07-17 생리컵
KR1020220118894A KR102666427B1 (ko) 2022-09-20 생리컵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9106A Division KR20220010336A (ko) 2020-07-17 2020-07-17 생리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3155A true KR20220133155A (ko) 2022-10-04
KR102666427B1 KR102666427B1 (ko) 2024-05-17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208B1 (ko) 2017-08-04 2018-10-29 홍석준 밸브 생리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208B1 (ko) 2017-08-04 2018-10-29 홍석준 밸브 생리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0336A (ko) 202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9873B2 (en) Cups for collecting catamenia
US10695230B2 (en) Ergonomic tampon applicator
US6244430B1 (en) Easily transported contact lens care kit
US20210353473A1 (en) Menstrual cup
US6976584B2 (en) Package for surgical implant
RU2407497C2 (ru) Ручка аппликатора и аппликатор тампона (варианты)
KR20220010336A (ko) 생리컵
US4772274A (en) Vaginal cleaning apparatus
RU222515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дачи салфеток
KR20220010338A (ko) 생리컵
KR102083436B1 (ko) 인출이 용이한 생리컵
CN114650798A (zh) 月经杯
KR102666427B1 (ko) 생리컵
KR102666430B1 (ko) 생리컵
KR102013062B1 (ko) 생리용기
KR20210042630A (ko) 생리컵과 생리컵 삽입 어플리케이터
KR102328099B1 (ko) 생리컵
EP4161456B1 (en) Anatomical menstrual cup
KR101927509B1 (ko) 오그제틱 구조를 포함하는 생리컵
US20220296411A1 (en) Applicator for a pessary device
CN215689415U (zh) 医用托盘
KR20190000055U (ko) 생리컵 삽입 탈착이 용이한 생리컵 어플리케이터
KR101938996B1 (ko) 삽입형 생리컵
KR20030080970A (ko) 분유통용 스푼
KR200363940Y1 (ko) 채뇨 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