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2881A - 모듈형 조명갓 - Google Patents

모듈형 조명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2881A
KR20220132881A KR1020210037983A KR20210037983A KR20220132881A KR 20220132881 A KR20220132881 A KR 20220132881A KR 1020210037983 A KR1020210037983 A KR 1020210037983A KR 20210037983 A KR20210037983 A KR 20210037983A KR 20220132881 A KR20220132881 A KR 20220132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magnet
transmission body
transmission
mod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7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1716B1 (ko
Inventor
박세웅
Original Assignee
박세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세웅 filed Critical 박세웅
Priority to KR1020210037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1716B1/ko
Publication of KR20220132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2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1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1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12Composite shades, i.e. shades being made of distinct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형 조명갓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다양한 디자인 및 크기를 가지는 조명갓을 손쉽게 제작할 수 있으면서 배송시 파손 우려가 없도록, 횡단면이 다각형을 이루면서 빛을 투과할 수 있는 투과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투과본체는, 복수 개가 마련되어 상호 일측 가장자리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내측에 광원이 수용될 수 있도록 입체 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조명갓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듈형 조명갓{Module type lamp shade}
본 발명은 모듈형 조명갓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 조명갓을 형성할 수 있는 모듈형 조명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기구는,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반사, 굴절, 투과시킴으로써 여러 가지 조명을 하거나 광원을 보호하는데 쓰이는 기구를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조명기구는 광원의 일부를 감싸고 빛을 아래 방향 또는 위 방향 등 특정한 방향으로 집광하는 반사성 및 반투과성 재료로 이루어진 조명갓(전등갓 이라고도 함)을 포함한다.
조명갓은, 이에 의해 감싸지는 광원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형태로 구성되어 판매되고 있다. 이에 사용자가 특정 조명갓을 선택하여 구매하게 되는데, 오랜 시간 사용하다보면 동일한 디자인와 동일한 크기로 된 조명갓을 보게되므로 싫증을 느끼게 된다. 이로 인해, 다른 디자인을 가진 조명갓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새로운 조명갓으로 교체하더라도 장시간 사용시 또다시 싫증을 느끼기 마련이다.
또한, 이미 특정 형태로 제작된 조명갓은, 배송하는 과정에서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많은 충격흡수재를 필요로 하며, 많은 충격흡수재로 감싸져 배송됨에도 불구하고, 자칫 잘못하면 파손된다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58056호 '형상 변화를 기반으로 하는 조명기구 조립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다양한 디자인 및 크기를 가지는 조명갓을 손쉽게 제작할 수 있으면서 배송시 파손 우려가 없는 모듈형 조명갓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모듈형 조명갓은, 횡단면이 다각형을 이루면서 빛을 투과할 수 있는 투과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투과본체는, 복수 개가 마련되어 상호 일측 가장자리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내측에 광원이 수용될 수 있도록 입체 구조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투과본체는, 상호 일측 가장자리가 자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과본체는, 각 가장자리에 독립적으로 접힘이 가능한 결합부가 연장형성되되, 상기 결합부는, 가장자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에 대응되게끔 바(bar) 형태를 이루며 상기 결합부에 고정되고 자석이 구비된 이음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과본체는 가장자리에 자석이 구비되되, 상기 자석은, 투과본체의 일측 가장자리 일단에 구비되어 외측으로 제1 극성을 가지는 제1 자석과, 투과본체의 일측 가장자리 타단에 구비되어 외측으로 제1 극성과 반대인 제2 극성을 가지는 제2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과본체는, 소정의 형태를 이루는 투과판재가 접혀져, 중심부가 가장자리보다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중심부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되면서 가장자리에 인접한 상단이 가장자리보다 상측에 위치하며 상방으로 볼록한 투과면을 가지는 입체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호 일측 가장자리가 복수 개의 투과본체를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 및 크기를 가지는 조명갓을 제작할 수 있으며, 제작하는 과정이나 제작 후 필요에 따라 결합된 투과본체를 분리시켜 다른 디자인 및 크기를 가지는 조명갓으로 용이한 변경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복수 개의 투과본체를 배송받은 후, 이를 결합시켜 조명갓을 제작할 수 있어 특정 형태를 가진 조명갓을 배송하지 않아도 되는바, 배송하는 과정에서 조명갓이 파손될 우려가 없다.
그리고 복수 개의 투과본체는 결합되어, 조명갓으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티션 등과 같은 인테리어 소품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모듈형 조명갓에 적용되는 제1 투과본체가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모듈형 조명갓에 적용되는 제1 투과본체에 이음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모듈형 조명갓에 적용되는 제1 투과본체에 이음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및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모듈형 조명갓에 적용되는 제1 투과본체에 이음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모듈형 조명갓에 적용되는 투과본체의 결합부와 이음부재가 결합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모듈형 조명갓에 적용되는 투과본체의 결합부와 이음부재가 결합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모듈형 조명갓에 적용되는 제2 투과본체에 이음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인 모듈형 조명갓에 적용되는 제2 투과본체에 이음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및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인 모듈형 조명갓에 적용되는 제1 투과본체와 제2 투과본체가 결합될 시, 이음부재 간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부분확대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인 모듈형 조명갓에 적용되는 제1 투과본체와 제2 투과본체가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인 모듈형 조명갓에 적용되는 제1 투과본체와 제2 투과본체가 연속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12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인 모듈형 조명갓에 적용되는 제1 투과본체와 제2 투과본체에 의해 다양한 입체 구조로 형성된 조명갓을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다양한 디자인 및 크기를 가지는 조명갓을 손쉽게 제작할 수 있으면서 배송시 파손 우려가 없도록, 횡단면이 다각형을 이루면서 빛을 투과할 수 있는 투과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투과본체는, 복수 개가 마련되어 상호 일측 가장자리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내측에 광원이 수용될 수 있도록 입체 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조명갓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모듈형 조명갓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18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모듈형 조명갓은,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면이 다각형을 이루면서 빛을 투과할 수 있는 투과본체(100)를 포함한다. 일 예로, 투과본체(100)는, 횡단면이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과 같은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최소한의 개수를 이용하면서도 상호 결합될 시 다양한 입체 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끔, 투과본체(100)는 횡단면이 오각형 또는 육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일 예로 투과본체(100)는, 빛의 투과가 가능한 종이재, 합성수지재 등과 같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투과본체(100)가 종이재와 같이 접힘이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투과본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형태를 이루는 판재가 접혀져 입체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때, 투과본체(100)가 이루는 입체 구조는, 일 예로 도 2, 도 3,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가 가장자리보다 하측에 위치되고, 중심부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되면서 가장자리에 인접한 상단이 가장자리보다 상측에 위치하며 상방으로 볼록한 투과면(120)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입체 구조를 이루는 투과본체(100)는 그 내측에 위치되는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빛을 볼록한 투과면(120)을 통해 굴절시키면서 광범위하게 퍼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판재가 접혀져 복수 개의 볼록한 투과면(120)을 갖는 투과본체(100)는, 복수 개가 조립되는 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투과본체(100)에 포함된 복수 개의 투과면(120)의 볼록한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인 모듈형 조명갓은, 상술한 투과본체(100)가 복수 개 마련되어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일측 가장자리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내측에 광원이 수용될 수 있는 입체 구조를 형성한다. 이때, 복수 개의 투과본체(100)는 모두 동일한 형태를 이루는 것일 수 있음은 물론, 보다 다양한 입체 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다른 형태를 이루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투과본체(100) 간의 간의 용이한 결합과, 결합시 투과본체(100)를 지나지 않고 빛이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 투과본체(100)의 모든 가장자리는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동일한 형태를 이루거나 상이한 형태를 이루는 복수 개의 투과본체(100)는 각각의 가장자리 길이가 모두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일 예로, 본 발명인 모듈형 조명갓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면이 정육각형을 이루는 제1 투과본체(100a)와, 횡단면이 정오각형을 이루면서 가장자리가 제1 투과본체(100a)의 가장자리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제2 투과본체(100b)가, 복수 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투과본체(100a)의 일측 가장자리에 제1 투과본체(100)a)가 결합되는지, 아니면 제2 투과본체(100b)가 결합되는지에 따라 상이한 입체 구조를 형성하며, 상호 결합되는 복수 개의 투과본체(100) 간이 이루는 각도에 따라서도 상이한 입체 구조를 형성한다.
즉, 본 발명인 모듈형 조명갓은, 상호 일측 가장자리가 복수 개의 투과본체(100)를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도 12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 및 크기를 가지는 조명갓을 제작할 수 있으며, 제작하는 과정이나 제작 후 필요에 따라 결합된 투과본체(100)를 분리시켜 다른 디자인 및 크기를 가지는 조명갓으로 용이한 변경이 가능하다. 그리고 사용자가 복수 개의 투과본체(100)를 배송받은 후, 이를 결합시켜 조명갓을 제작할 수 있어 특정 형태를 가진 조명갓을 배송하지 않아도 되는바, 배송하는 과정에서 조명갓이 파손될 우려가 없다.
한편, 복수 개의 투과본체(100)는, 상호 일측 가장자리가 다양한 방식으로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일 예로 결합 및 탈착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자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자력에 의한 결합을 위해, 도 2, 도 3,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과본체(100)는 가장자리에 자석(21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각 가장자리마다 하나의 자석(210)을 구비하여 결합될 수도 있으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하여 각 가장자리마다 일단과 타단에 자석(210)을 구비하여 결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자석(210)은, 투과본체(100)의 일측 가장자리 일단에 구비되어 외측으로 제1 극성을 가지는 제1 자석(211)과, 투과본체(100)의 일측 가장자리 타단에 구비되어 외측으로 제1 극성과 반대인 제2 극성을 가지는 제2 자석(21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자석(211)은 외측으로 S극이 위치하게끔 구비되고, 제2 자석(212)은 외측으로 N극이 위치하게끔 구비될 수 있다.
투과본체(100)의 일측 가장자리에 상기와 같이 배치된 제1 자석(211) 및 제2 자석(212)이, 투과본체(100)의 모든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면, 투과본체(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1 자석(211)과 제2 자석(212)이 번갈아 배치된 구조를 이루게 되며, 이는 복수 개의 투과본체(100)가 입체 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호 결합될 시 인접한 투과본체(100) 간에 인력만이 작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이다.
그리고 복수 개의 투과본체(100)는 입체 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일부 인접한 투과본체(100)가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게끔 결합될 수도 있으나, 대부분 상호 간에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구조를 이루게끔 결합된다. 따라서, 투과본체(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가장자리에 독립적으로 접힘이 가능한 결합부(110)가 연장형성될 수 있으며, 인접한 투과본체(100) 각각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결합부(110) 간에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호 결합될 시 인접한 투과본체(100) 간에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결합부(110)는, 투과본체(100) 간에 실질적인 결합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해당 부분이 클 경우 최종 형성될 조명갓 내측에 위치한 광원이 외부로 발광함에 있어, 결합부(110)로 인해 그림자가 생기거나 외부로 제대로 빛을 발산할 수 없는바,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투과본체(100)의 가장자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자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결합부(110)를 이용하여 자력에 의해 상호 결합되도록 할 시, 자석(210)이 결합부(110)에 직접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투과본체(100)가 빛이 투과되게끔 얇게 형성될 수 있으며, 운반 등의 용이성 측면에서 투과본체(100)와는 별개로 자석(210)이 마련되어, 투과본체(10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시 자석(210)이 구비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110)에 대응되게끔 바(bar) 형태를 이루어 결합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되고 자석(210)이 구비되는 이음부재(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음부재(200)는 플라스틱 등과 같이 견고한 소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광원으로부터 발광된 빛에 의해 그림자가 형성되지 않게끔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이루어져, 이음부재(200)를 통해서도 빛이 외부로 나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음부재(200)는 결합부(110)의 외측에만 위치되어 고정될 수도 있으나,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부(110)에 고정되기 위하여 결합부(110)의 내측과 외측에 위치되며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부재(200)는 결합부(110)에 대응되는 바(bar) 형태를 이루면서 결합부(11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는 제1 이음바(220)와, 결합부(110)에 대응되는 바(bar) 형태를 이루면서 결합부(110)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는 제2 이음바(2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결합부(110)를 기준으로 내측과 외측에 위치되는 제1 이음바(220)와 제2 이음바(230)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이음바(220)와 제2 이음바(230) 중 어느 하나는, 결합부(110)의 하부를 감싸게끔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안착부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110)의 내측에 위치되는 제1 이음바(220)는, 결합부(110)가 접혀지는 것을 고려하여 상부가 곡면 형태를 이루도록 하여, 결합부(110)가 접히는 과정에서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보다 큰 각도로 접힘이 가능하게끔 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이음바(220)와 제2 이음바(230)는, 이를 관통하는 자석(210)에 의해 결합부(11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이음바(220), 제2 이음바(230) 및 결합부(110)에는 자석(210)이 구비되는 지점에, 각각 자석수용홀(221, 231, 111)이 관통형성되며, 자석(210)은 자석수용홀(221, 231, 111)에 억지끼워진다. 그리고 이음부재(200)에 구비되는 자석(210)은, 이음부재(200)의 일단에 구비되어 외측으로 제1 극성을 가지는 제1 자석(211)과, 이음부재(200)의 타단에 구비되어 외측으로 제1 극성과 반대인 제2 극성을 가지는 제2 자석(21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이음바(220), 제2 이음바(230) 및 결합부(110)는, 일단과 타단에 각각 제1 자석(211)과 제2 자석(212)이 억지끼워지는 자석수용홀(221, 231, 111)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자석(210)은 이음부재(200)로부터 돌출되지 않을 정도의 길이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이음부재(200)와 결합부(1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면서, 제1 이음바(220), 제2 이음바(230)가 견고히 결합되기 위한 일 예로, 제2 이음바(230)에는 제1 이음바(220)에 관통되거나 함입 형성된 고정홀(224)에 억지 끼워지는 고정돌기(23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홀(224) 및 고정돌기(234)는, 각각 제1 이음바(220) 및 제2 이음바(230)의 일단과 타단, 그리고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돌기(234)가 관통하는 결합부(110)에는 고정돌기(234)의 폭에 대응되는 고정홀(114)이 관통형성된다. 그리고 고정홀(224)이 관통 형성된 경우, 고정돌기(234)는 고정홀(224)에 끼워질 시 제1 이음바(220)로부터 돌출되지 않을 정도의 길이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결합부(110)의 내측에 위치되는 제1 이음바(220)에는 결합시 제2 이음바(23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이음돌기(222)가 돌출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이음바(230)와 결합부(110)에서 이음돌기(222)가 관통되는 지점에는 돌기관통홀(232, 11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음돌기(222)는 제1 이음바(220)의 일단 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부(110)를 사이에 두고 제1 이음바(220)와 제2 이음바(230)가 결합시, 이음부재(20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일 예로, 두 개의 투과본체(100)가 상호 결합된다고 할 때, 일 투과본체(100)의 일측 가장자리에 고정된 이음부재(200)의 외측으로 돌출된 이음돌기(22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 투과본체(100)의 일측 가장자리에 고정된 이음부재(200)에 끼워진다. 이를 위해, 제2 이음바(230)와 결합부(110)는 타단 측에 이음돌기(222)가 관통될 수 있는 이음홀(233, 113)이 각각 관통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이음바(220)는 타단 측에 이음돌기(222)가 내측에 끼워질 수 있는 이음홈(223)이 함입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음돌기(222)를 통한 인접한 투과본체(100) 간의 결합은, 자석(210)을 통한 인접한 투과본체(100) 간의 결합을 보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복수 개의 투과본체(100) 상호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켜, 안정적으로 입체 구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투과본체(100)를 상호 결합시킴으로써, 다양한 형태를 이루는 입체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횡단면이 육각형인 횡단면이 정육각형을 이루는 제1 투과본체(100a)와, 횡단면이 정오각형을 이루는 제2 투과본체(100b)를 이용하여 도 12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입체 구조를 가진 조명갓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투과본체(100)는 결합되어, 도 12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갓으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티션 등과 같은 인테리어 소품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100 : 투과본체 100a : 제1 투과본체
100b : 제2 투과본체 110 : 결합부
111 : 자석수용홀 112 : 돌기관통홀
113 : 이음홀 114 : 고정홀
120 : 투과면
200 : 이음부재 210 : 자석
211 : 제1 자석 212 : 제2 자석
220 : 제1 이음바 221 : 자석수용홀
222 : 이음돌기 223 : 이음홀
224 : 고정홀 230 : 제2 이음바
231 : 자석수용홀 232 : 돌기관통홀
233 : 이음홀 234 : 고정돌기

Claims (5)

  1. 횡단면이 다각형을 이루면서 빛을 투과할 수 있는 투과본체(100);를 포함하되,
    상기 투과본체(100)는, 복수 개가 마련되어 상호 일측 가장자리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내측에 광원이 수용될 수 있도록 입체 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조명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투과본체(100)는, 상호 일측 가장자리가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조명갓.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본체(100)는, 각 가장자리에 독립적으로 접힘이 가능한 결합부(110)가 연장형성되되,
    상기 결합부(110)는, 가장자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110)에 대응되게끔 바(bar) 형태를 이루며 상기 결합부(110)에 고정되고 자석(210)이 구비된 이음부재(2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조명갓.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본체(100)는 가장자리에 자석(210)이 구비되되,
    상기 자석(210)은, 투과본체(100)의 일측 가장자리 일단에 구비되어 외측으로 제1 극성을 가지는 제1 자석(211)과, 투과본체(100)의 일측 가장자리 타단에 구비되어 외측으로 제1 극성과 반대인 제2 극성을 가지는 제2 자석(2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조명갓.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본체(100)는, 소정의 형태를 이루는 판재가 접혀져, 중심부가 가장자리보다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중심부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되면서 가장자리에 인접한 상단이 가장자리보다 상측에 위치하며 상방으로 볼록한 투과면(120)을 가지는 입체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조명갓.
KR1020210037983A 2021-03-24 2021-03-24 모듈형 조명갓 KR102501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983A KR102501716B1 (ko) 2021-03-24 2021-03-24 모듈형 조명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983A KR102501716B1 (ko) 2021-03-24 2021-03-24 모듈형 조명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881A true KR20220132881A (ko) 2022-10-04
KR102501716B1 KR102501716B1 (ko) 2023-02-21

Family

ID=83600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7983A KR102501716B1 (ko) 2021-03-24 2021-03-24 모듈형 조명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171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5187A (en) * 1978-10-12 1981-10-13 Shem Safe Incorporated Assemblable container
JP2006286590A (ja) * 2005-04-02 2006-10-19 Hiroshi Murata 中空状構造体の形成方法及びこの方法に基づいて設計するランプシェード
KR20090005671U (ko) * 2007-12-06 2009-06-11 조인기 조명 기구용 인테리어 전등갓
CN102478193A (zh) * 2010-11-25 2012-05-30 国立中央大学 多面体灯具
EP2873624A1 (en) * 2012-07-02 2015-05-20 Vergés Escuín, Ricardo Blank for assembling polyhedra, polyhedron and method of assembling a polyhedron
KR102058056B1 (ko) 2018-08-07 2019-12-20 주식회사 옻향 형상 변화를 기반으로 하는 조명기구 조립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5187A (en) * 1978-10-12 1981-10-13 Shem Safe Incorporated Assemblable container
JP2006286590A (ja) * 2005-04-02 2006-10-19 Hiroshi Murata 中空状構造体の形成方法及びこの方法に基づいて設計するランプシェード
KR20090005671U (ko) * 2007-12-06 2009-06-11 조인기 조명 기구용 인테리어 전등갓
CN102478193A (zh) * 2010-11-25 2012-05-30 国立中央大学 多面体灯具
EP2873624A1 (en) * 2012-07-02 2015-05-20 Vergés Escuín, Ricardo Blank for assembling polyhedra, polyhedron and method of assembling a polyhedron
KR102058056B1 (ko) 2018-08-07 2019-12-20 주식회사 옻향 형상 변화를 기반으로 하는 조명기구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1716B1 (ko) 202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5624B2 (en) Illuminated, three-dimensional modules for a magnetic toy construction kit
US7175298B2 (en) Lantern with a multiple lighting effect lens and swivel light source
US9759402B2 (en) Optical system
US5297012A (en) Pyramidal signal light
US2022029917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embling a light engine
US20060039144A1 (en) Ornamental lamp strings assembly
US6808290B2 (en) LED flashlight assembly
US6729932B2 (en) Toy with illuminated polyhedron
KR20220132881A (ko) 모듈형 조명갓
GB2391702A (en) Modular optical system
US20030099104A1 (en) Lighting fixture with image projection effects
GB2201763A (en) A collapsible lampshade structure
USD919130S1 (en) Optical module with LED emitting white-colored light
US20080030995A1 (en) Lamp shade structure
CN100498047C (zh) 一种led灯罩
US9915412B1 (en) Light fixture in one or more geometric shapes having LED illumination options through front and rear planar surfaces
US20040139638A1 (en) Notice board structure
JP2013149529A (ja) レンズ体
US20180345162A1 (en) Kit of construction elements
KR102479546B1 (ko) 절첩이 가능한 일체형 이동식 장식등
CN210740309U (zh) 板材拼装立体结构以及具有其的光影灯
JP2012252988A (ja) 直管型ledランプ
US20130142967A1 (en) Star Structure
AU2017101081A4 (en) Vehicle Turning Signal Assembly
JP6677904B2 (ja) Led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