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2721A -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2721A
KR20220132721A KR1020210037478A KR20210037478A KR20220132721A KR 20220132721 A KR20220132721 A KR 20220132721A KR 1020210037478 A KR1020210037478 A KR 1020210037478A KR 20210037478 A KR20210037478 A KR 20210037478A KR 20220132721 A KR20220132721 A KR 20220132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ensing
frequency
period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7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규
김진우
이정헌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7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2721A/ko
Priority to US17/581,377 priority patent/US20220308696A1/en
Priority to CN202210253497.2A priority patent/CN115113760A/zh
Publication of KR20220132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27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2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xchanging data with external devices, e.g. smart pens, via the digitiser sensing hardwa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ctive external devices, e.g. active pens, for receiving changes in electrical potential transmitted by the digitiser, e.g. tablet driving sig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ctive external devices, e.g. active pens, for transmitting changes in electrical potential to be received by the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전자 장치는 표시 패널, 제1 입력을 감지하는 제1 감지 모드 또는 입력 장치에 의해 제공된 제2 입력을 감지하는 제2 감지 모드로 동작하는 입력 감지층 및 입력 감지층의 동작을 제어하는 감지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감지 컨트롤러는 제1 감지 모드에서 입력 장치를 감지하기 위한 업링크 신호를 제1 주파수로 입력 장치에 송신하는 제1 모드 또는 업링크 신호를 제1 주파수보다 작은 제2 주파수로 입력 장치에 송신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하며, 감지 컨트롤러는 제2 감지 모드에서 업링크 신호를 제1 주파수로 입력 장치에 송신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입력 센싱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휴대 전화, 태블릿 컴퓨터, 네비게이션, 게임기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전자 장치들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구비한다. 전자 장치들은 버튼, 키보드, 마우스 등의 통상적인 입력 방식 외에 사용자가 손쉽게 정보 혹은 명령을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해주는 터치 기반의 입력 방식을 감지할 수 있는 입력 감지층을 구비할 수 있다.
입력 감지층은 사용자의 신체를 이용한 터치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입력 감지층은 필기구를 이용한 정보 입력이 익숙한 사용자 또는 특정 응용 프로그램(예를 들면, 스케치 또는 드로잉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세밀한 터치 입력을 할 수 있는 펜을 이용한 터치나 압력을 감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 감지층의 센싱 감도를 향상하기 위한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제1 입력을 감지하는 제1 감지 모드 또는 입력 장치에 의해 제공된 제2 입력을 감지하는 제2 감지 모드로 동작하는 입력 감지층을 포함한다. 전자 장치는 상기 입력 감지층의 동작을 제어하는 감지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컨트롤러는 상기 제1 감지 모드에서, 상기 입력 장치를 탐색하기 위한 업링크 신호를 제1 주파수로 상기 입력 감지층에 송신하는 제1 모드 또는 상기 업링크 신호를 상기 제1 주파수보다 작은 제2 주파수로 상기 입력 감지층에 송신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한다. 상기 감지 컨트롤러는 상기 제2 감지 모드에서, 상기 업링크 신호를 상기 제1 주파수로 상기 입력 감지층에 송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감지 컨트롤러의 동작을 제어하는 센싱 제어 신호를 상기 감지 컨트롤러에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센싱 제어 신호는 제1 센싱 제어 신호 및 제2 센싱 제어 신호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센싱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제2 센싱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전자 장치에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 상기 제1 센싱 제어 신호를 상기 감지 컨트롤러에 송신한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전자 장치에 제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 상기 제2 센싱 제어 신호를 상기 감지 컨트롤러에 송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입력을 제공받아 동작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이고,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입력을 제공받아 동작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입력 감지층이 상기 제2 감지 모드로 동작하는 장치 감지 구간은 동기화 구간 및 동작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컨트롤러는 상기 입력 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상기 동기화 구간동안 상기 업링크 신호를 상기 제1 주파수로 상기 입력 감지층에 송신한다. 상기 감지 컨트롤러는 상기 제2 입력을 제공받는 상기 동작 구간동안 상기 업링크 신호를 상기 제1 주파수보다 작은 주파수로 상기 입력 감지층에 송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동작 구간은 제1 동작 구간 및 제2 동작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컨트롤러는 상기 제1 동작 구간동안 상기 업링크 신호를 상기 제1 주파수보다 낮은 제3 주파수로 상기 입력 감지층에 송신한다. 상기 감지 컨트롤러는 상기 제2 동작 구간동안 상기 업링크 신호를 상기 제3 주파수보다 작은 제4 주파수로 상기 입력 감지층에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장치 감지 구간은 상기 감지 컨트롤러에서 상기 입력 감지층으로 송신하는 상기 업링크 신호의 주파수를 상기 제1 주파수에서 상기 제1 주파수보다 낮은 제3 주파수로 변경하기 위한 전이 구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전이 구간은 제1 서브 전이 구간 및 제2 서브 전이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서브 전이 구간동안 상기 업링크 신호를 상기 제1 주파수로 상기 입력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제2 서브 전이 구간동안 상기 업링크 신호를 상기 제3 주파수로 상기 입력 장치에 송신한다. 상기 전이 구간 내에서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전이 구간은 교번적으로 반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입력 감지층은 상기 제2 감지 모드에서 상기 제1 입력을 더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제1 입력을 감지하는 제1 감지 모드 또는 입력 장치에 의해 제공된 제2 입력을 감지하는 제2 감지 모드로 동작하는 입력 감지층을 포함한다. 전자 장치는 상기 입력 감지층의 동작을 제어하는 감지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감지층이 상기 제2 감지 모드로 동작하는 장치 감지 구간은 제1 동기화 구간 및 제1 동작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입력 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상기 제1 동기화 구간동안 상기 제1 입력 장치를 탐색하기 위한 제1 업링크 신호를 제1 주파수로 상기 제1 입력 장치에 송신한다. 상기 감지 컨트롤러는 상기 제2 입력을 제공받는 상기 제1 동작 구간동안 상기 업링크 신호를 상기 제1 주파수보다 작은 주파수로 상기 제1 입력 장치에 송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장치 감지 구간은, 제2 동작 구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컨트롤러는 상기 제1 동작 구간동안 상기 제1 업링크 신호를 상기 제1 주파수보다 작은 제2 주파수로 상기 입력 감지층에 송신한다. 상기 감지 컨트롤러는 상기 제2 동작 구간동안 상기 제1 업링크 신호를 상기 제2 주파수보다 작은 제3 주파수로 상기 입력 감지층에 송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장치 감지 구간은 상기 감지 컨트롤러에서 상기 입력 감지층으로 송신하는 상기 제1 업링크 신호의 주파수를 상기 제1 주파수에서 상기 제1 주파수보다 낮은 제2 주파수로 변경하기 위한 전이 구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전이 구간은 제1 서브 전이 구간 및 제2 서브 전이 구간을 포함한다. 상기 감지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서브 전이 구간동안 상기 제1 업링크 신호를 상기 제1 주파수로 상기 입력 감지층에 송신하고, 상기 제2 서브 전이 구간동안 상기 제1 업링크 신호를 상기 제2 주파수로 상기 입력 감지층에 송신한다. 상기 전이 구간 내에서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전이 구간은 교번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입력 감지층은 상기 제2 감지 모드에서 제2 입력 장치에 의해 제공된 제3 입력을 더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컨트롤러는, 상기 제1 동기화 구간 동안 상기 제1 및 제2 입력 장치를 탐색하기 위한 제2 업링크 신호를 상기 제1 주파수로 상기 입력 감지층에 송신하여 상기 제1 및 제2 입력 장치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제1 동작 구간 동안 상기 제2 및 제3 입력을 제공받고, 상기 제2 업링크 신호를 상기 제1 주파수보다 작은 주파수로 상기 입력 감지층에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입력 감지층은 상기 제1 동기화 구간 이후에 제2 입력 장치에 의해 제공된 제3 입력을 더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장치 감지 구간은 제2 동기화 구간 및 제2 동작 구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컨트롤러는 상기 제1 및 제2 입력 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상기 제2 동기화 구간동안, 상기 제1 및 제2 입력 장치를 탐색하기 위한 제2 업링크 신호를 상기 제1 주파수로 상기 입력 감지층에 송신한다. 상기 감지 컨트롤러는 상기 제1 및 제2 입력을 제공받는 상기 제2 동작 구간동안, 상기 제2 업링크 신호를 상기 제1 주파수보다 작은 제2 주파수로 상기 입력 감지층에 송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감지 컨트롤러는 상기 제1 감지 모드에서 제1 입력 감지 프레임동안 상기 입력 감지층을 통해 상기 제1 입력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 컨트롤러는 상기 제2 감지 모드에서 제2 입력 감지 프레임 동안 상기 입력 감지층을 통해 상기 제2 입력을 감지한다. 상기 제2 입력 감지 프레임은 상기 감지 컨트롤러가, 상기 입력 감지층로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제1 구간 및 상기 감지 컨트롤러가 상기 입력 감지층을 통해 상기 제1 입력 장치로부터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제2 구간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입력 감지 프레임은 상기 감지 컨트롤러가 상기 입력 감지층을 통해 상기 제2 입력을 감지하지 않는 제3 구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제1 동기화 구간에서 상기 제2 구간은, 상기 제1 입력 장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데이터 구간 및 상기 제2 입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위치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동작 구간에서 상기 제2 구간은 상기 제2 입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위치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동작 구간에서 상기 제2 구간은 상기 제1 입력 장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구간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제1 동작 구간에서의 상기 제3 구간의 폭은, 상기 제1 동기화 구간에서의 상기 제3 구간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감지 컨트롤러는 상기 제3 구간에서 상기 입력 감지층을 통해 상기 제1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신체에 의해 제공된 제1 입력 및 입력 장치에 의해 제공된 제2 입력을 감지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입력에 대한 센싱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가 외부 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업링크 신호의 송신 주기를 조절하여 제1 입력을 탐지하는 센싱 구간을 길게 확보함으로써 제1 입력의 센싱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표시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4은 도 2에 도시된 입력 감지층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감지층의 평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및 입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감지 모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감지 모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모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모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감지 구간에서의 시간에 따른 업링크 신호의 주파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0a는 도 9에 도시된 장치 감지 구간에 포함된 제1 동기화 구간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b는 도 9에 도시된 장치 감지 구간에 포함된 제1 동작 구간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c는 도 9에 도시된 장치 감지 구간에 포함된 제2 동작 구간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감지층이 제2 및 제3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이 구간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운링크 구간 내에서의 입력 감지층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요소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여기서 명시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너무 이상적이거나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ED)는 표시 장치(DD) 및 제1 입력 장치(AP)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DD)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텔레비전, 모니터 등과 같은 대형 표시 장치를 비롯하여, 휴대 전화, 태블릿, 자동차 네비게이션, 게임기 등과 같은 중소형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이것들은 단지 실시예로서 제시된 것들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은 이상 다른 전자 기기에도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표시 장치(DD)는 제1 방향(DR1)으로 장변을 갖고,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으로 단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표시 장치(DD)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의 표시 장치(DD)가 제공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 각각에 평행한 표시면(IS)에 제3 방향(DR3)을 향해 영상(IM)을 표시할 수 있다. 영상(IM)이 표시되는 표시면(IS)은 표시 장치(DD)의 전면(front surface)과 대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영상(IM)이 표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각 부재들의 전면(또는 상면)과 배면(또는 하면)이 정의된다. 전면과 배면은 제3 방향(DR3)에서 서로 대향(opposing)되고, 전면과 배면 각각의 법선 방향은 제3 방향(DR3)과 평행할 수 있다.
제3 방향(DR3)에서의 전면과 배면 사이의 이격 거리는 표시 장치(DD)의 제3 방향(DR3)에서의 두께와 대응될 수 있다. 한편,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외부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외부 입력은 표시 장치(DD)의 외부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형태의 입력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사용자(US)의 제1 입력(TC1)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US)의 제1 입력(TC1)은 사용자 신체의 일부, 광, 열, 또는 압력 등 다양한 형태의 외부 입력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조합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US)의 제1 입력(TC1)은 전면에 인가되는 사용자(US)의 손에 의한 터치 입력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US)의 제1 입력(TC1)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DD)는 표시 장치(DD)의 구조에 따라 표시 장치(DD)의 측면이나 배면에 인가되는 사용자(US)의 제1 입력(TC1)을 감지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제2 입력(TC2)을 감지할 수 있다. 제2 입력(TC2)은 사용자(US)의 손 이외에, 제1 입력 장치(AP)(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 액티브 펜, 터치 펜, 전자 펜, e-펜 등)에 의한 입력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제2 입력(TC2)은 액티브 펜에 의한 입력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표시 장치(DD)와 제1 입력 장치(AP)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제1 입력 장치(AP)로 업링크 신호(ULS, 도 6 참조)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업링크 신호(ULS)는 동기화 신호 또는 표시 장치(DD)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입력 장치(AP)는 표시 장치(DD)로 다운링크 신호(DLS, 도 6 참조)를 제공할 수 있다. 다운링크 신호(DLS)는 동기화 신호 또는 제1 입력 장치(AP)의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운링크 신호(DLS)는 제1 입력 장치(AP)의 위치 정보, 제1 입력 장치(AP)의 배터리 정보, 제1 입력 장치(AP)의 기울기 정보, 및/또는 제1 입력 장치(AP)에 저장된 다양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업링크 신호(ULS) 및 다운링크 신호(DLS)에 대해서는 도 6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표시 장치(DD)의 전면은 투과 영역(TA) 및 베젤 영역(BZA)으로 구분될 수 있다. 투과 영역(TA)은 영상(IM)이 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다. 사용자는 투과 영역(TA)을 통해 영상(IM)을 시인한다. 본 실시예에서, 투과 영역(TA)은 꼭지점들이 둥근 사각 형상으로 도시되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투과 영역(TA)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베젤 영역(BZA)은 투과 영역(TA)에 인접한다. 베젤 영역(BZA)은 소정의 컬러를 가질 수 있다. 베젤 영역(BZA)은 투과 영역(TA)을 에워쌀 수 있다. 이에 따라, 투과 영역(TA)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베젤 영역(BZA)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베젤 영역(BZA)은 투과 영역(TA)의 일 측에만 인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고,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DD)는 표시 모듈(DM) 및 표시 모듈(DM) 상에 배치된 윈도우(WM)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표시 패널(DP) 및 입력 감지층(ISP)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DP)은 발광형 표시 패널일 수 있다. 그 일 예로 표시 패널(DP)은 유기발광 표시 패널 또는 퀀텀닷(quantum dot)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유기발광 표시 패널의 발광층은 유기발광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퀀텀닷 발광 표시 패널의 발광층은 퀀텀닷, 및 퀀텀로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영상(IM)을 출력하고, 출력된 영상은 표시면(IS)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입력 감지층(ISP)는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되어 제1 입력(TC1) 및 제2 입력(TC2)을 감지할 수 있다. 입력 감지층(ISP)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윈도우(WM)는 영상(IM)을 출사할 수 있는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 사파이어,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윈도우(WM)는 단일층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복수 개의 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술한 표시 장치(DD)의 베젤 영역(BZA)은 실질적으로 윈도우(WM)의 일 영역에 소정의 컬러를 포함하는 물질이 인쇄된 영역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윈도우(WM)는 베젤 영역(BZA)을 정의하기 위한 차광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차광패턴은 유색의 유기막으로써 예컨대, 코팅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WM)는 접착 필름을 통해 표시 모듈(DM)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접착 필름은 광학투명접착필름(OCA, Optically Clear Adhesive film)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접착 필름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필름은 광학투명접착수지(OCR, Optically Clear Resin) 또는 감압접착필름(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ilm)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WM)와 표시 모듈(DM) 사이에는 반사방지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반사방지층은 윈도우(WM)의 상측으로부터 입사되는 외부광의 반사율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방지층은 위상지연자(retarder) 및 편광자(polarizer)를 포함할 수 있다. 위상지연자는 필름타입 또는 액정 코팅타입일 수 있고, λ/2위상지연자 및/또는 λ/4위상지연자를 포함할 수 있다. 편광자 역시 필름타입 또는 액정 코팅타입일 수 있다. 필름타입은 연신형 합성수지 필름을 포함하고, 액정 코팅타입은 소정의 배열로 배열된 액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위상지연자 및 편광자는 하나의 편광필름으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고, 외부 입력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유효 영역(AA) 및 비유효 영역(NAA)으로 정의될 수 있다. 유효 영역(AA)은 표시 모듈(DM)에서 제공되는 영상을 출사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유효 영역(AA)은 입력 감지층(ISP)이 외부에서 인가되는 제1 입력(TC1) 및 제2 입력(TC2)을 감지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비유효 영역(NAA)은 유효 영역(AA)에 인접한다. 예를 들어, 비유효 영역(NAA)은 유효 영역(AA)을 에워쌀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비유효 영역(NAA)은 다양한 형상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모듈(DM)의 유효 영역(AA)은 투과 영역(TA)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메인회로기판(MCB), 연성회로필름(FCB) 및 구동칩(DI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회로기판(MCB)은 연성회로필름(FCB)과 접속되어 표시 패널(DP)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성회로필름(FCB)은 표시 패널(DP)에 접속되어 표시 패널(DP)과 메인회로기판(MCB)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메인회로기판(MCB)은 복수의 구동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구동 소자는 표시 패널(DP)을 구동하기 위한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연성회로필름(FCB) 상에는 구동칩(DIC)이 실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성회로필름(FCB)은 하나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 개로 제공되어 표시 패널(DP)에 접속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구동칩(DIC)이 연성회로필름(FCB) 상에 실장된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구동칩(DIC)은 표시 패널(DP) 상에 직접 실장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패널(DP)의 구동칩(DIC)이 실장된 부분은 밴딩되어 표시 모듈(DM)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 감지층(ISP)은 연성회로필름(FCB)을 통해 메인회로기판(MC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표시 모듈(DM)은 입력 감지층(ISP)을 메인회로기판(MCB)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연성회로필름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표시 모듈(DM)을 수용하는 외부케이스(EDC)를 더 포함한다. 외부케이스(EDC)는 윈도우(WM)와 결합되어 표시 장치(DD)의 외관을 정의할 수 있다. 외부케이스(EDC)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며 표시 모듈(DM)로 침투되는 이물질/수분 등을 방지하여 외부케이스(EDC)에 수용된 구성들을 보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예로, 외부케이스(EDC)는 복수의 수납 부재들이 결합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표시 모듈(DM)을 동작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능성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모듈, 표시 장치(DD)의 전반적인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모듈, 표시 모듈(DM) 및/또는 외부케이스(EDC)와 결합되어 표시 장치(DD)의 내부 공간을 분할하는 브라켓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표시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모듈(DM)은 표시 패널(DP)과 입력 감지층(ISP)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DP)은 베이스층(BL), 베이스층(BL) 상에 배치된 회로 소자층(DP-CL), 표시 소자층(DP-OLED), 및 봉지층(TFE)을 포함한다.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표시 패널(DP)은 반사방지층, 굴절률 조절층 등과 같은 기능성층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BL)은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BL)은 플라스틱 기판, 유리 기판, 메탈 기판, 또는 유/무기 복합재료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베이스층(BL)은 플렉서블한 기판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유효 영역(AA)과 비유효 영역(NAA)은 베이스층(BL)에 동일하게 정의될 수 있다.
회로 소자층(DP-CL)은 적어도 하나의 중간 절연층과 회로 소자를 포함한다. 중간 절연층은 적어도 하나의 중간 무기층과 적어도 하나의 중간 유기층을 포함한다. 상기 회로 소자는 신호 라인들, 화소의 구동 회로 등을 포함한다.
표시 소자층(DP-OLED)은 발광 소자를 포함한다. 발광 소자는 적어도 유기발광 다이오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소자층(DP-OLED)은 화소 정의막과 같은 유기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봉지층(TFE)은 표시 소자층(DP-OLED)을 밀봉한다. 봉지층(TFE)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층을 포함한다. 봉지층(TFE)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무기층은 수분/산소로부터 표시 소자층(DP-OLED)을 보호하고, 유기층은 먼지 입자와 같은 이물질로부터 표시 소자층(DP-OLED)을 보호한다. 무기층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 옥시 나이트라이드층 및 실리콘 옥사이드층, 티타늄옥사이드층, 또는 알루미늄옥사이드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층은 아크릴 계열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입력 감지층(ISP)은 연속 공정에 의해 표시 패널(DP)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입력 감지층(ISP)과 표시 패널(DP)은 접착 필름을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입력 감지층(ISP)은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입력 감지층(ISP)은 단층 또는 다층의 절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감지층(ISP)이 연속공정에 의해 표시 패널(DP) 상에 직접 배치되는 경우, 입력 감지층(ISP)은 봉지층(TFE) 상에 직접 배치되고, 접착 필름이 입력 감지층(ISP)과 표시 패널(DP) 사이에 배치되지 않는다. 그러나, 다른 일 예로, 입력 감지층(ISP)과 표시 패널(DP) 사이에 접착 필름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 감지층(ISP)은 표시 패널(DP)과 연속공정에 의해 제조되지 않으며, 표시 패널(DP)과 별도의 공정을 통해 제조된 후, 접착 필름에 의해 표시 패널(DP)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감지층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감지층(ISP)은 제1 감지 절연층(IIL1), 제1 도전층(ICL1), 제2 감지 절연층(IIL2), 제2 도전층(ICL2) 및 제3 감지 절연층(IIL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 절연층(IIL1)은 봉지층(TFE)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감지 절연층(IIL1)은 생략될 수 있다.
제1 도전층(ICL1) 및 제2 도전층(ICL2) 각각은 복수 개의 도전패턴들을 포함한다. 도전패턴들은 복수 개의 센싱 전극들(SE1_1 내지 SE1_5 및 SE2_1 내지 SE2_4, 도 5 참조) 및 이에 연결된 복수 개의 신호 라인들(SL1_1 내지 SL1_5 및 SL2_1 내지 SL2_4, 도 5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 절연층(IIL1) 내지 제3 감지 절연층(IIL3) 각각은 무기물 또는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감지 절연층(IIL1) 및 제2 감지 절연층(IIL2)은 무기층일 수 있다. 무기층은 알루미늄 옥사이드, 티타늄 옥사이드, 실리콘 옥사이드,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지르코늄옥사이드, 및 하프늄 옥사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기층의 두께는 1000옹스트롱 내지 4000옹스트롱일 수 있다.
제3 감지 절연층(IIL3)은 유기층일 수 있다. 유기층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이소프렌,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실록산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및 페릴렌계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물질을 포함하는 제3 감지 절연층(IIL3)은 외부로부터 수분 등이 제1 도전층(ICL1) 및 제2 도전층(ICL2) 상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감지층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감지층(ISP)는 유효 영역(AA) 및 유효 영역(AA)에 인접한 비유효 영역(NAA)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센싱 전극들(SE1_1 내지 SE1_5, SE2_1 내지 SE2_4)은 유효 영역(AA) 내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신호 라인들(SL1_1 내지 SL1_5 및 SL2_1 내지 SL2_4)은 비유효 영역(NAA)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센싱 전극들(SE1_1 내지 SE1_5, SE2_1 내지 SE2_4)은, 송신 전극들(SE1_1 내지 SE1_5) 및 수신 전극들(SE2_1 내지 SE2_4)을 포함한다.
신호 라인들(SL1_1 내지 SL1_5 및 SL2_1 내지 SL2_4)은 송신 전극들(SE1_1 내지 SE1_5)과 연결된 송신 신호 라인들(SL1_1 내지 SL1_5) 및 수신 전극들(SE2_1 내지 SE2_4)과 연결된 수신 신호 라인들(SL2_1 내지 SL2_4)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전극들(SE1_1 내지 SE1_5)과 수신 전극들(SE2_1 내지 SE2_4)은 서로 교차한다. 송신 전극들(SE1_1 내지 SE1_5)은 제1 방향(DR1)으로 나열되며, 각각이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다. 수신 전극들(SE2_1 내지 SE2_4)은 제2 방향(DR2)으로 나열되며, 각각이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다.
상기한 입력 감지층(ISP)은 뮤추얼 캡(mutual-cap) 방식으로 좌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송신 전극들(SE1_1 내지 SE1_5)과 수신 전극들(SE2_1 내지 SE2_4) 사이에는 커패시턴스가 형성된다. 송신 전극들(SE1_1 내지 SE1_5)과 수신 전극들(SE2_1 내지 SE2_4) 사이의 커패시턴스는 제1 입력(TC1, 도 1 참조) 또는 제2 입력(TC2, 도 1참조)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여기서, 커패시턴스의 변화량에 따라 입력 감지층(ISP)의 센싱 감도가 결정될 수 있다. 즉, 제1 입력(TC1) 또는 제2 입력(TC2)에 의한 커패시턴스의 변화량이 크면 클수록 입력 감지층(ISP)의 센싱 감도는 향상된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입력 감지층(ISP)은 셀프 캡(self-cap) 방식으로 좌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송신 전극들(SE1_1 내지 SE1_5)과 수신 전극들(SE2_1 내지 SE2_4)은 하나의 센싱 전극으로 통합되어 제1 입력(TC1) 또는 제2 입력(TC2)을 센싱할 수도 있다.
송신 전극들(SE1_1 내지 SE1_5) 각각은 유효 영역(AA)에 배치된 제1 센서부들(SSP1) 및 제1 연결부들(CP1)을 포함한다. 수신 전극들(SE2_1 내지 SE2_4) 각각은 유효 영역(AA)에 배치된 제2 센서부들(SSP2) 및 제2 연결부들(CP2)을 포함한다.
제1 센서부들(SSP1) 중 하나의 송신 전극의 양단에 배치된 2개의 제1 센서부들은 중앙에 배치된 제1 센서부 대비 작은 크기, 예컨대 1/2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2 센서부들(SSP2) 중 하나의 수신 전극의 양단에 배치된 2개의 제2 센서부들은 중앙에 배치된 제2 센서부 대비 작은 크기, 예컨대 1/2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5에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극들(SE1_1 내지 SE1_5)과 수신 전극들(SE2_1 내지 SE2_4)을 도시하였으나, 그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송신 전극들(SE1_1 내지 SE1_5)과 수신 전극들(SE2_1 내지 SE2_4)은 센서부와 연결부의 구분이 없는 형상(예컨대 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마름모 형상의 제1 센서부들(SSP1)과 제2 센서부들(SSP2)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센서부들(SSP1)과 제2 센서부들(SSP2)은 서로 다른 다각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송신 전극 내에서 제1 센서부들(SSP1)은 제1 방향(DR1)을 따라 나열되고, 하나의 수신 전극 내에서 제2 센서부들(SSP2)은 제2 방향(DR2)을 따라 나열된다. 제1 연결부들(CP1) 각각은 인접한 제1 센서부들(SSP1)을 연결하고, 제2 연결부들(CP2) 각각은 인접한 제2 센서부들(SSP2)을 연결한다.
송신 전극들(SE1_1 내지 SE1_5) 및 수신 전극들(SE2_1 내지 SE2_4) 각각은 메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송신 전극들(SE1_1 내지 SE1_5) 및 수신 전극들(SE2_1 내지 SE2_4)이 각각이 메쉬 형상을 가짐으로써 표시 패널(DP, 도 2 참조)에 포함된 전극들과의 기생 커패시턴스가 감소될 수 있다.
메쉬 형상의 송신 전극들(SE1_1 내지 SE1_5) 및 수신 전극들(SE2_1 내지 SE2_4)은 은, 알루미늄, 구리, 크롬, 니켈, 티타늄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송신 신호 라인들(SL1_1 내지 SL1_5) 및 수신 신호 라인들(SL2_1 내지 SL2_4)은 비유효 영역(NAA)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 감지층(ISP)은 송신 신호 라인들(SL1_1 내지 SL1_5) 및 수신 신호 라인들(SL2_1 내지 SL2_4)의 일 단으로부터 연장되고, 비유효 영역(NAA)에 배치된 입력 패드들(I_PD)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패드들(I_PD)은 송신 신호 라인들(SL1_1 내지 SL1_5) 및 수신 신호 라인들(SL2_1 내지 SL2_4)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입력 패드들(I_PD)은 송신 신호 라인들(SL1_1 내지 SL1_5)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송신 입력 패드(I_PD1) 및 수신 신호 라인들(SL2_1 내지 SL2_4)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신 입력 패드(I_PD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입력 패드들(I_PD)이 배치된 패드 영역(PLD)은 비유효 영역(NAA)내에 포함될 수 있다. 입력 패드들(I_PD)은 회로 소자층(DP_CL, 도 3 참조)에 배치된 회로 소자 중 일부가 회로 소자층(DP_CL)에 포함된 중간 절연층으로부터 노출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패드 영역(PLD)에는 연성회로필름(FCB, 도 2 참조)을 표시 패널(DP, 도 2 참조)에 연결시키기 위한 화소 패드들(D_PD)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및 입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감지 모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감지 모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표시 패널(DP), 입력 감지층(ISP), 메인 컨트롤러(1000), 패널 컨트롤러(2000) 및 감지 컨트롤러(300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감지층(ISP)은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되어, 외부에서 인가되는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입력 감지층(ISP)은 사용자(US, 도 1 참조)에 의한 제1 입력(TC1, 도 1 참조)과 제1 입력 장치(AP)에 의한 제2 입력(TC2, 도 1 참조)을 감지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1000)는 전자 장치(ED)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메인 컨트롤러(1000)는 패널 컨트롤러(2000) 및 감지 컨트롤러(30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패널 컨트롤러(2000)는 메인 컨트롤러(1000)로부터 영상 데이터(RGB) 및 제어 신호(D_CS)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신호(D_CS)는 다양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신호(D_CS)는 수직동기신호, 수평동기신호, 메인 클럭,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 컨트롤러(2000)는 제어 신호(D_CS)을 근거로 표시 패널(DP)에 신호를 제공하는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수직개시신호 및 수평개시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감지 컨트롤러(3000)는 입력 감지층(ISP)를 제어할 수 있다. 감지 컨트롤러(3000)는 메인 컨트롤러(1000)로부터 센싱 제어 신호들(I_CS1, I_CS2)을 수신할 수 있다. 센싱 제어 신호(I_CS1, I_CS2)는 제1 센싱 제어 신호(I_CS1) 및 제2 센싱 제어 신호(I_CS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센싱 제어 신호들(I_CS1, I_CS2)은 후술될 입력 감지층(ISP)의 제1 감지 모드에서의 감지 컨트롤러(3000)의 구동 모드를 결정하는 모드 결정신호 및 클럭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센싱 제어 신호들(I_CS1, I_CS2)에 대한 설명은 도 8a 및 도 8b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감지 컨트롤러(3000)는 입력 감지층(ISP)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근거하여 제1 입력(TC1) 또는 제2 입력(TC2)의 좌표정보를 산출하고, 좌표정보를 갖는 좌표 신호(I_SS)를 메인 컨트롤러(1000)에 제공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1000)는 좌표 신호(I_SS)에 근거하여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시킨다. 예를 들어, 메인 컨트롤러(1000)는 좌표 신호(I_SS)에 근거하여 표시 패널(DP)에 새로운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패널 컨트롤러(20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제1 입력 장치(AP)는 통신 모듈(100), 펜 컨트롤러(200), 전원 공급 모듈(300), 하우징(400) 및 펜 전극(5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1 입력 장치(AP)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이 상기 나열된 구성 요소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입력 장치(AP)는 신호 송신 모드 또는 신호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전극 스위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 소정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또는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하우징(400)은 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400) 내부에 정의된 수용 공간에는 전원 공급 모듈(300), 펜 컨트롤러(200), 통신 모듈(100), 및 펜 전극(500)이 수납될 수 있다.
전원 공급 모듈(300)은 제1 입력 장치(AP) 내부의 펜 컨트롤러(200), 통신 모듈(100)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공급 모듈(300)은 배터리 또는 고용량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펜 컨트롤러(200)는 제1 입력 장치(AP)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펜 컨트롤러(200)는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일 수 있다. 펜 컨트롤러(200)는 설계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100)은 송신 회로(110) 및 수신 회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회로(120)는 입력 감지층(ISP)로부터 제공되는 업링크 신호(ULS)를 수신할 수 있다. 송신 회로(110)는 업링크 신호(ULS)에 응답하는 응답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DLS)를 입력 감지층(ISP)으로 출력할 수 있다. 다운링크 신호(DLS)는 제2 입력(TC2)의 좌표 정보, 제2 입력(TC2)의 세기, 제1 입력 장치(AP)의 기울기 및 제1 입력 장치(AP)의 배터리 잔량, 동작 상태 및 제1 입력 장치(AP)의 인식 ID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 회로(110)는 펜 컨트롤러(200)로부터 제공된 신호를 수신하여 입력 감지층(ISP)에 의해 센싱 가능한 신호로 변조하고, 수신 회로(120)는 입력 감지층(ISP)로부터 제공된 신호를 펜 컨트롤러(200)에 의해 처리 가능한 신호로 변조할 수 있다.
펜 전극(500)은 통신 모듈(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펜 전극(500)의 일부분은 하우징(400)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또는, 제1 입력 장치(AP)는 하우징(400)으로부터 노출된 펜 전극(500)을 커버하는 커버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펜 전극(500)은 하우징(400) 내부에 내장될 수도 있다. 펜 전극(500)은 제1 입력 장치(AP)에서 입력 감지층(ISP)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일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b를 참조하면, 입력 감지층(ISP)은 하나의 감지 프레임 단위로 제1 입력(TC1) 또는 제2 입력(TC2)을 감지할 수 있다. 입력 감지층(ISP)의 동작 주파수(OF1, OF2)가 60Hz인 경우, 하나의 감지 프레임에 대응하는 시간은 대략 16.67ms일 수 있다. 입력 감지층(ISP)의 동작 주파수(OF1, OF2)가 120Hz인 경우, 하나의 감지 프레임에 대응하는 시간은 8.33ms일 수 있다.
입력 감지층(ISP)은 제1 입력 장치(AP)의 존재 유무에 따라 제1 입력(TC1)을 감지하는 제1 감지 모드로 동작하거나, 제2 입력(TC2)을 감지하는 제2 감지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입력 장치(AP)가 인식되지 않으면, 입력 감지층(ISP)은 제1 감지 모드로 동작하고, 제1 입력 장치(AP)가 인식되면 입력 감지층(ISP)은 제2 감지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예로, 입력 감지층(ISP)은 제2 감지 모드에서 제2 입력(TC2)은 물론, 제1 입력(TC1)을 감지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a를 참조하면, 제1 입력 장치(AP)가 인식되지 않으면, 입력 감지층(ISP)은 제1 감지 모드로 동작하여 제1 입력(TC1)을 감지할 수 있다. 입력 감지층(ISP)의 제1 감지 모드에서의 동작 주파수를 제1 동작 주파수(OF1)라 할 수 있다. 입력 감지층(ISP)이 제1 감지 모드로 동작할 때의 감지 프레임을 제1 감지 프레임(IF1)이라 할 수 있다. 입력 감지층(ISP)은 제1 감지 모드로 동작할 경우, 셀프캡 방식 및 뮤추얼 캡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제1 입력(TC1)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감지 프레임(IF1)은 제1 탐색 구간(SP1) 및 제1 감지 구간(DTP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입력 감지층(ISP)은 제1 탐색 구간(SP1)에서 제1 입력 장치(AP)를 탐색하고, 제1 감지 구간(DTP1)에서 셀프캡 방식 및 뮤추얼 캡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로 제1 입력(TC1)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1 감지 프레임(IF1) 내에서 제1 감지 구간(DTP1)은 제1 탐색 구간(SP1)보다 후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감지 구간(DTP1)의 폭은 제1 탐색 구간(SP1)의 폭보다 클 수 있다.
감지 컨트롤러(3000)는 제1 탐색 구간(SP1) 동안 업링크 신호(ULS)를 입력 감지층(ISP)으로 송신할 수 있다. 업링크 신호(ULS)는 제1 입력 장치(AP)를 탐색하기 위한 신호이다.
제1 감지 프레임(IF1)은 제1 탐색 구간(SP1)과 제1 감지 구간(DTP1) 사이에 배치되고, 제1 입력 장치(AP)가 업링크 신호(ULS)에 응답하여 송신한 응답 신호를 수신 또는 대기하는 제1 응답 구간(RP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감지 컨트롤러(3000)는 제1 응답 구간(RP1)동안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입력 감지층(ISP)을 제1 감지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1 탐색 구간(SP1)과 제1 응답 구간(RP1) 사이에는 제1 지연 구간(DE1)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응답 구간(RP1)은 시간상으로 제1 지연 구간(DE1)만큼 제1 탐색 구간(SP1)과 분리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b를 참조하면, 제1 입력 장치(AP)가 인식되면, 입력 감지층(ISP)은 제2 감지 모드로 동작하여 제2 입력(TC2)을 감지할 수 있다. 입력 감지층(ISP)의 제2 감지 모드에서의 동작 주파수를 제2 동작 주파수(OF2)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1 동작 주파수(OF1)와 제2 동작 주파수(OF2)는 같을 수 있다. 입력 감지층(ISP)이 제2 감지 모드로 동작할 때의 감지 프레임을 제2 감지 프레임(IF2)이라 할 수 있다. 제2 감지 프레임(IF2)은 제2 탐색 구간(SP2), 통신 구간(CP) 및 제2 감지 구간(DTP2)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 컨트롤러(3000)는 제2 탐색 구간(SP2)동안 업링크 신호(ULS)을 입력 감지층(ISP)으로 송신하고, 제1 입력 장치(AP)는 입력 감지층(ISP)을 통해 업링크 신호(ULS)을 수신할 수 있다.
감지 컨트롤러(3000)는 통신 구간(CP) 동안 입력 감지층(ISP)을 통해 제1 입력 장치(AP)로부터 다운링크 신호(DLS)를 수신할 수 있다. 감지 컨트롤러(3000)는 다운링크 신호(DLS)를 토대로 제1 입력 장치(AP)에 의해 입력되는 제2 입력(TC2)을 감지할 수 있다.
제2 감지 구간(DTP2)은 감지 컨트롤러(3000)가 입력 감지층(ISP)을 통해 제2 입력(TC2)을 감지하지 않는 구간으로 정의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예로, 감지 컨트롤러(3000)는 제2 감지 구간(DTP2)동안 입력 감지층(ISP)을 통해 제1 입력(TC1)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 컨트롤러(3000)는 제2 감지 구간(DTP2) 동안 셀프 캡 방식 및 뮤추얼 캡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제1 입력(TC1)을 감지할 수 있다. 제2 감지 구간(DTP2)동안 제1 입력(TC1)을 감지할 경우, 감지 컨트롤러(3000)는 제2 감지 모드에서 제1 입력(TC1) 및 제2 입력(TC2)을 감지할 수 있다.
제2 감지 프레임(IF2)은 제2 탐색 구간(SP2) 및 통신 구간(CP) 사이에 배치되고, 제1 입력 장치(AP)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응답 구간(RP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감지 컨트롤러(3000)는 제2 응답 구간(RP2)동안 응답 신호가 수신될 경우, 입력 감지층(ISP)을 제2 감지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2 탐색 구간(SP2)과 제2 응답 구간(RP2) 사이에는 제2 지연 구간(DE2)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응답 구간(RP2)은 시간상으로 제2 지연 구간(DE2)만큼 제2 탐색 구간(SP2)과 분리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모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모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도 7a 및 도 7b에 기재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도 6,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감지 컨트롤러(3000)는 제1 감지 모드에서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감지 컨트롤러(3000)가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 중 어느 모드로 동작할지는 전자 장치(ED)에서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장치(ED)에서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제1 입력 장치(AP)의 사용 빈도에 따라서 제1 입력 장치(AP)를 탐색하기 위한 업링크 신호(ULS)의 송신 주파수를 다르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컨트롤러(1000)는 전자 장치(ED)에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 감지 컨트롤러(3000)에 제1 센싱 제어 신호(I_CS1)를 송신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1 어플리케이션은 전자 장치(ED)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중 제1 입력 장치(AP)에 의해 제공되는 제2 입력(TC2)을 통해 특정 동작이 수행되는 빈도가 높은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1 어플리케이션은 메모장, 인터넷 브라우저, 포토샵, 드로잉 프로그램 등 제1 입력 장치(AP)에 의해 제공되는 제2 입력(TC2)을 기다리고, 제2 입력(TC2)이 감지될 경우 특정 동작이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제1 어플리케이션은 카메라 등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감지 컨트롤러(3000)가 제1 센싱 제어 신호(I_CS1)를 수신한 경우, 감지 컨트롤러(3000)는 제1 센싱 제어 신호(I_CS1)를 토대로 입력 감지층(ISP)에 업링크 신호(ULS)를 제1 주파수(F1_a)로 송신하는 제1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감지 컨트롤러(3000)는 제1 주파수(F1_a)에 대응하는 주기로 제1 입력 장치(AP)를 탐색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1000)는 전자 장치(ED)에 제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 감지 컨트롤러(3000)에 제2 센싱 제어 신호(I_CS2)를 송신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2 어플리케이션은 전자 장치(ED)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중 게임, 동영상 등 제1 입력 장치(AP)에 의해 제공되는 제2 입력(TC2)을 통해 특정 동작이 수행되는 빈도가 낮은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따라서 제2 모드에서 감지 컨트롤러(3000)는 제1 입력 장치(AP)를 탐색하기 위한 업링크 신호(ULS)를 제1 주파수(F1_a)보다 낮은 제2 주파수(F1_b)로 송신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예로, 게임 등의 어플리케이션이라도, 제1 입력 장치(AP)에 의해 제공되는 제2 입력(TC2)을 사용하는 빈도가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제1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될 수 있다. 이는 전자 장치(ED)에 기 설정된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의 구분 데이터를 변경하여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감지 컨트롤러(3000)가 제2 센싱 제어 신호(I_CS2)를 수신한 경우, 감지 컨트롤러(3000)는 제2 센싱 제어 신호(I_CS2)를 토대로 입력 감지층(ISP)에 업링크 신호(ULS)를 제2 주파수(F1_b)로 송신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감지 컨트롤러(3000)는 제2 주파수(F1_b)에 대응하는 주기로 제1 입력 장치(AP)를 탐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1 모드에서 감지 컨트롤러(3000)는 업링크 신호(ULS)를 제1 주파수(F1_a)로 입력 감지층(ISP)에 송신할 수 있다.
입력 감지층(ISP)이 제1 모드로 동작할 때, 제1 감지 프레임을 제1 모드 감지 프레임(IF1_a)으로 지칭 할 수 있다.
제1 모드 감지 프레임(IF1_a)은 제1 모드 탐색 구간(SP1_a) 및 제1 모드 감지 구간(DTP1_a)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감지층(ISP)은 제1 모드 탐색 구간(SP1_a)에서 제1 입력 장치(AP)를 탐색하고, 제1 모드 감지 구간(DTP1_a)에서 셀프캡 방식 및 뮤추얼 캡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제1 입력(TC1)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모드에서 제1 모드 탐색 구간(SP1_a)은 제1 주파수로 발생된다.
제1 모드 감지 프레임(IF1_a)는 제1 모드 지연 구간(DE1_a) 및 제1 모드 응답 구간(RP1_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2 모드에서 감지 컨트롤러(3000)는 업링크 신호(ULS)를 제2 주파수(F1_b)로 입력 감지층(ISP)에 송신할 수 있다.
입력 감지층(ISP)이 제2 모드로 동작할 때, 제1 감지 프레임을 제2 모드 감지 프레임(IF1_bc)이라 할 수 있다.
제2 모드 감지 프레임(IF1_bc)는 제1 서브 감지 프레임(IF1_b) 및 제2 서브 감지 프레임(IF1_c)을 포함한다.
제1 서브 감지 프레임(IF1_b)은 제2 모드 탐색 구간(SP1_b) 및 제1 서브 감지 구간(DTP1_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감지 프레임(IF1_b)은 제2 모드 지연 구간(DE1_b) 및 제2 모드 응답 구간(RP1_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서브 감지 프레임(IF1_c)은 제2 서브 감지 구간(DTP1_c)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서브 감지 프레임(IF1_c)에는 제2 모드 탐색 구간(SP1_b)이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2 모드에서 제2 모드 탐색 구간(SP1_b)은 제1 주파수(F1_a)보다 작은 제2 주파수(F1_b)로 발생될 수 있다.
입력 감지층(ISP)은 제2 모드 탐색 구간(SP1_b)이 포함된 제1 서브 감지 프레임(IF1_b) 및 제2 모드 탐색 구간(SP1_b)이 포함되지 않은 제2 서브 감지 프레임(IF1_c)을 반복하여 제1 입력(TC1)을 감지할 수 있다.
업링크 신호(ULS)의 전송 주파수가 제2 주파수(F1_b)로 작아지면, 제1 입력(TC1)을 감지하기 위한 제2 서브 감지 구간(DTP1_c)의 폭을 크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모드 탐색 구간(SP1_b)이 포함된 제1 서브 감지 프레임(IF1_b)에 포함된 제1 서브 감지 구간(DTP1_b)의 폭보다 제2 모드 탐색 구간(SP1_b)이 포함되지 않은 제2 서브 감지 프레임(IF1_c)에 포함된 제2 서브 감지 구간(DTP1_c)의 폭이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2 서브 감지 프레임(IF1_c)에는 제2 모드 지연 구간(DE1_b) 및 제2 모드 응답 구간(RP1_b)도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서브 감지 프레임(IF1_c)은 제2 서브 감지 구간(DTP1_c)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입력 장치(AP)가 인식되기 전까지의 제1 감지 모드에서 감지 컨트롤러(3000)는 전자 장치(ED)에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업링크 신호(ULS)의 송신 주파수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전자 장치(ED)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 감지 컨트롤러(3000)는 업링크 신호(ULS)를 제1 주파수(F1_a)로 송신하여, 제2 입력(TC2)을 제공하기 위해 접근하는 제1 입력 장치(AP)를 빠르게 탐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ED)에서 제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 감지 컨트롤러(3000)는 업링크 신호(ULS)를 제2 주파수(F1_b)로 송신하고, 제1 입력(TC1)을 감지하기 위한 구간의 폭을 크게 할 수 있다.
감지 컨트롤러(3000)가 제1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제1 입력(TC1)은 제1 모드 감지 프레임(IF1_a)에 포함된 제1 모드 감지 구간(DTP1_a)에서 감지된다. 감지 컨트롤러(3000)가 제2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제1 입력(TC1)은 제1 서브 감지 프레임(IF1_b)에 포함된 제1 서브 감지 구간(DTP1_b) 및 제2 서브 감지 프레임(IF1_c)에 포함된 제2 서브 감지 구간(DTP1_c)에서 감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서브 감지 구간들(DTP1_b, DTP1_c)의 폭의 합은 두 개의 제1 모드 감지 구간들(DTP1_a)의 폭의 합보다 크므로, 입력 감지층(ISP)의 제1 입력(TC1)의 센싱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ED)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제1 감지 모드에서의 감지 컨트롤러(3000)를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여 제1 입력 장치(AP)를 빠르게 탐지하고 제1 입력(TC1)의 센싱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감지 컨트롤러(3000)가 제1 입력 장치(AP)를 탐지한 경우,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로 동작하던 감지 컨트롤러(3000)는 제2 감지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제2 감지 모드에서, 감지 컨트롤러(3000)는 업링크 신호(ULS)를 제3 주파수(F2)으로 입력 감지층(ISP)에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1 주파수(F1_a)와 제3 주파수(F2)은 같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감지 구간에서의 시간에 따른 업링크 신호의 주파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0a는 도 9에 도시된 장치 감지 구간에 포함된 제1 동기화 구간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b는 도 9에 도시된 장치 감지 구간에 포함된 제1 동작 구간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10c는 도 9에 도시된 장치 감지 구간에 포함된 제2 동작 구간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도 7a 내지 도 8b에서 설명한 구간과 동일한 구간에 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 도 7b 및 도 9를 참조하면, 입력 감지층(ISP)은 제1 입력 장치(AP)에 의해 제공된 제2 입력(TC2)을 감지하는 제2 감지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입력 감지층(ISP)이 제2 감지 모드로 동작하는 구간을 장치 감지 구간이라고 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장치 감지 구간은 제1 동기화 구간(PD2), 제1 동작 구간(PD3), 제2 동작 구간(PD4), 제2 동기화 구간(PD5) 및 제3 동작 구간(PD6)을 포함할 수 있다.
핑거 감지 구간(PD1)은 입력 감지층(ISP)이 제1 감지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구간이다. 입력 감지층(ISP)이 제1 감지 모드로 동작하다 제1 입력 장치(AP)를 탐지한 타이밍(T1)에 입력 감지층(ISP)은 제2 감지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1 입력 장치(AP)를 탐지한 타이밍(T1)은 제1 응답 구간(RP1, 도 7a 참조)에서 감지 컨트롤러(3000)가 제1 입력 장치(AP)가 송신한 응답 신호를 수신한 타이밍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핑거 감지 구간(PD1)에서의 업링크 신호(ULS)의 전송 주파수는 제1 서브 주파수(F2_a)로 도시되었으나, 업링크 신호(ULS)는 제1 서브 주파수(F2_a)보다 작은 주파수로 송신될 수도 있다.
제1 동기화 구간(PD2)에서 감지 컨트롤러(3000)은 제1 서브 주파수(F2_a)로 업링크 신호(ULS)를 입력 감지층(ISP)으로 송신할 수 있다. 제1 동기화 구간(PD2)동안 감지 컨트롤러(3000)는 다운링크 신호(DLS)에 포함된 제1 입력 장치(AP)의 인식 ID, 배터리 잔량, 현재 동작 모드 등의 정보를 토대로 제1 입력 장치(AP)를 인식할 수 있다.
감지 컨트롤러(3000)가 다운링크 신호(DLS)를 토대로 제2 입력(TC2)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감지 컨트롤러(3000)가 제1 입력 장치(AP)를 인식한 상태여야 한다. 감지 컨트롤러(3000)가 제1 입력 장치(AP)를 인식할 때까지 감지 컨트롤러(3000)는 업링크 신호(ULS)를 제1 서브 주파수(F2_a)로 입력 감지층(ISP)을 통해 제1 입력 장치(AP)로 송신할 수 있다.
도 10a를 참조하면, 입력 감지층(ISP)이 제1 동기화 구간(PD2)에서 동작할 때, 입력 감지층(ISP)의 제2 감지 프레임을 제1 동기화 프레임(IF2_a)으로 지칭 할 수 있다.
제1 동기화 프레임(IF2_a)은 동기화 탐색 구간(SP2_a), 동기화 지연 구간(DE2_a), 동기화 응답 구간(RP2_a), 동기화 통신 구간(CP_a) 및 동기화 감지 구간(DTP2_a)을 포함한다.
입력 감지층(ISP)은 동기화 탐색 구간(SP2_a)에서 제1 입력 장치(AP)를 탐색하고, 동기화 통신 구간(CP_a)동안 제1 입력 장치(AP)로부터 다운링크 신호(DLS)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 감지층(ISP)은 동기화 감지 구간(DTP2_a)에서 셀프캡 방식 및 뮤추얼 캡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제1 입력(TC1)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동기화 구간(PD2)에서 동기화 탐색 구간(SP2_a)은 제1 서브 주파수(F2_a)로 발생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예로 감지 컨트롤러(3000)가 제1 입력 장치(AP)를 인식하는 것을 완료하기 전이라도, 감지 컨트롤러(3000)는 동기화 통신 구간(CP_a)에서 입력 감지층(ISP)을 통해 다운링크 신호(DLS)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제1 동작 구간(PD3)에서 감지 컨트롤러(3000)는 제1 서브 주파수(F2_a)보다 낮은 주파수로 업링크 신호(ULS)를 입력 감지층(ISP)으로 송신할 수 있다. 제1 동작 구간(PD3)에서 감지 컨트롤러(3000)는 제1 서브 주파수(F2_a)보다 낮은 제2 서브 주파수(F2_b)로 업링크 신호(ULS)를 입력 감지층(ISP)으로 송신할 수 있다.
제1 동작 구간(PD3)동안 감지 컨트롤러(3000)는 인식된 제1 입력 장치(AP)로부터 수신한 다운링크 신호(DLS)에 포함된 제2 입력(TC2)의 좌표 정보, 제2 입력(TC2)의 세기, 제1 입력 장치(AP)의 기울기 등의 정보를 토대로 제2 입력(TC2)을 감지한다.
도 10b를 참조하면, 입력 감지층(ISP)이 제1 동작 구간(PD3)에서 동작할 때, 입력 감지층(ISP)의 제2 감지 프레임을 제1 동작 프레임(IF2_bc)으로 지칭할 수 있다.
제1 동작 프레임(IF2_bc)은 제1 서브 동작 프레임(IF2_b) 및 제2 서브 동작 프레임(IF2_c)을 포함한다.
제1 서브 동작 프레임(IF2_b)은 제1 동작 탐색 구간(SP2_b), 제1 동작 지연 구간(DE2_b), 제1 동작 응답 구간(RP2_b), 제1 동작 통신 구간(CP_b) 및 제1 동작 감지 구간(DTP2_b)을 포함한다. 입력 감지층(ISP)은 제1 동작 탐색 구간(SP2_b)에서 제1 입력 장치(AP)를 탐색하고, 제1 동작 통신 구간(CP_b)동안 제1 입력 장치(AP)로부터 다운링크 신호(DLS)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 감지층(ISP)은 제1 동작 감지 구간(DTP2_b)에서 셀프캡 방식 및 뮤추얼 캡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제1 입력(TC1)을 감지할 수 있다.
제2 서브 동작 프레임(IF2_c)은 제2 동작 통신 구간(CP_c) 및 제2 동작 감지 구간(DTP2_c)을 포함한다. 제2 서브 동작 프레임(IF2_c)에는 제1 동작 탐색 구간(SP2_b)이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동작 구간(PD3)에서 제1 동작 탐색 구간(SP2_b)은 제1 서브 주파수(F2_a)보다 작은 제2 서브 주파수(F2_b)로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2 서브 동작 프레임(IF2_c)은 제1 동작 지연 구간(DE2_b) 및 제1 동작 응답 구간(RP2_b)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1 동작 구간(PD3)에서 업링크 신호(ULS)의 전송 주파수가 제2 서브 주파수(F2_b)로 작아지면, 제1 입력(TC1)을 감지하기 위한 제2 동작 감지 구간(DTP2_c)의 폭을 크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동작 탐색 구간(SP2_b)이 포함된 제1 서브 동작 프레임(IF2_b)에 포함된 제1 동작 감지 구간(DTP2_b)의 폭보다 제1 동작 탐색 구간(SP2_b)이 포함되지 않은 제2 서브 동작 프레임(IF2_c)에 포함된 제2 동작 감지 구간(DTP2_c)의 폭이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감지 컨트롤러(3000)는 제1 동기화 구간(PD2)에서 이미 제1 입력 장치(AP)를 인식하였기 때문에, 제1 동작 구간(PD3)에서는 제1 입력 장치(AP)를 인식하기 위한 과정 없이도 제2 입력(TC2)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동작 구간(PD3)에서는 업링크 신호(ULS)를 제2 서브 주파수(F2_b)로 송신하고, 제2 동작 감지 구간(DTP2_c)의 폭을 크게 하여 제1 입력(TC1)의 센싱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동작 구간(PD4)에서 감지 컨트롤러(3000)는 제2 서브 주파수(F2_b)보다 작은 제3 서브 주파수(F2_c)로 업링크 신호(ULS)를 입력 감지층(ISP)으로 송신할 수 있다.
도 10c를 참조하면, 입력 감지층(ISP)이 제2 동작 구간(PD4)에서 동작할 때, 입력 감지층(ISP)의 제2 감지 프레임을 제2 동작 프레임(IF2_def)으로 지칭할 수 있다.
제2 동작 프레임(IF2_def)은 제3 서브 동작 프레임(IF2_d), 제4 서브 동작 프레임(IF2_e) 및 제5 서브 동작 프레임(IF2_f)을 포함한다.
제3 서브 동작 프레임(IF2_d)은 제2 동작 탐색 구간(SP2_c), 제2 동작 지연 구간(DE2_c), 제2 동작 응답 구간(RP2_c), 제3 동작 통신 구간(CP_d) 및 제3 동작 감지 구간(DTP2_d)을 포함한다.
제4 서브 동작 프레임(IF2_e)은 제4 동작 통신 구간(CP_e) 및 제4 동작 감지 구간(DTP2_e)을 포함한다. 제5 서브 동작 프레임(IF2_f)은 제5 동작 통신 구간(CP_f) 및 제5 동작 감지 구간(DTP2_f)을 포함한다.
제4 서브 및 제5 서브 동작 프레임들(IF2_e, IF2_f)은 제2 동작 탐색 구간(SP2_c)을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2 동작 구간(PD4)에서 제2 동작 탐색 구간(SP2_c)은 제1 및 제2 서브 주파수(F2_a, F2_b)보다 작은 제3 서브 주파수(F2_c)로 발생될 수 있다.
제2 동작 구간(PD4)에서 업링크 신호(ULS)의 전송 주파수가 제3 서브 주파수(F2_c)로 작아지면, 제1 입력(TC1)을 감지하기 위한 제4 및 제5 동작 감지 구간들(DTP2_e, DTP2_f)의 폭을 크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동작 탐색 구간(SP2_c)이 포함된 제3 서브 동작 프레임(IF2_d)에 포함된 제3 동작 감지 구간(DTP2_d)의 폭보다, 제2 동작 탐색 구간(SP2_c)이 포함되지 않은 제4 서브 동작 프레임(IF2_e)에 포함된 제4 동작 감지 구간(DTP2_e)의 폭 및 제2 동작 탐색 구간(SP2_c)이 포함되지 않은 제5 서브 동작 프레임(IF2_f)에 포함된 제5 동작 감지 구간(DTP2_f)의 폭이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2 동작 구간(PD4)에서 감지 컨트롤러(3000)는 제1 서브 및 제2 서브 주파수(F2_a, F2_b)보다 작은 제3 서브 주파수(F2_c)로 업링크 신호(ULS)를 입력 감지층(ISP)에 송신하여, 제1 입력(TC1)의 센싱 감도를 제1 동작 구간(DP3)에서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동기화 구간(PD5)에서 감지 컨트롤러(3000)는 제1 서브 주파수(F2_a)로 업링크 신호(ULS)를 입력 감지층(ISP)으로 송신할 수 있다. 제1 동기화 구간(PD2) 이후에 입력 감지층(ISP)이 제2 입력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제3 입력을 더 감지하는 경우, 감지 컨트롤러(3000)는 제2 입력 장치를 인식할 때까지 업링크 신호(ULS)를 제1 서브 주파수(F2_a)로 입력 감지층(ISP)에 송신할 수 있다. 제2 동기화 구간(PD5)은 감지 컨트롤러(3000)가 제1 입력 장치(AP) 및 제2 입력 장치를 인식하는 구간일 수 있다. 이때, 업링크 신호(ULS)는 제1 입력 장치(AP) 및 제2 입력 장치를 탐지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도9 에는 제2 동기화 구간(PD5)이 제1 동작 구간(PD3) 및 제2 동작 구간(PD4)의 뒤에 배치되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2 입력 장치가 인식되는 타이밍에 따라 제2 동기화 구간(PD5)은 제1 동작 구간(PD3)과 제2 동작 구간(PD4)의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3 동작 구간(PD6)에서 감지 컨트롤러(3000)는 제2 서브 주파수(F2_b)로 업링크 신호(ULS)를 입력 감지층(ISP)으로 송신할 수 있다. 제3 동작 구간(PD6)은 입력 감지층(ISP)이 제1 입력 장치(AP)로부터 제2 입력(TC2)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제공받고, 제2 입력 장치로부터 제3 입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제공받는 구간일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감지층이 제2 및 제3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 도 6, 도 9,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로, 입력 감지층(ISP)은 장치 감지 구간에서 제1 입력 장치(AP)에 의해 제공되는 제2 입력(TC2) 및 제2 입력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제3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1a에는 입력 감지층(ISP)이 제1 입력 장치(AP) 및 제2 입력 장치를 인식하는 제1 동기화 구간(PD2a)이 도시되어 있다. 입력 감지층(ISP)이 제1 동기화 구간(PD2a)에서 동작할 때, 입력 감지층(ISP)의 제2 감지 프레임을 제1 동기화 프레임(IF2_g)으로 지칭할 수 있다.
제1 동기화 프레임(IF2_g)은 동기화 탐색 구간(SP2_d), 동기화 지연 구간(DE2_d), 제1 동기화 응답 구간(RP2_d), 제2 동기화 응답 구간(RP2_e) 및 동기화 감지 구간(DTP2_g)을 포함한다. 감지 컨트롤러(3000)는 제1 동기화 응답 구간(RP2_d)동안 제1 입력 장치(AP)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제2 동기화 응답 구간(RP2_e)동안 제2 입력 장치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 제1 동기화 프레임(IF2_g)은 감지 컨트롤러(3000)가 제1 입력 장치(AP)로부터 다운링크 신호(DLS)를 수신하는 제1 동기화 통신 구간(CP_g) 및 제2 입력 장치로부터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동기화 통신 구간(CP_h)을 포함한다.
제1 동기화 구간(PD2a)에서 감지 컨트롤러(3000)는 제1 서브 주파수(F2_d)로 업링크 신호(ULS)을 입력 감지층(ISP)으로 송신할 수 있다.
도 11b에는 입력 감지층(ISP)이 제2 입력(TC2) 및 제3 입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제공받는 제1 동작 구간(PD3a)이 도시되어 있다. 입력 감지층(ISP)이 제1 동작 구간(PD3a)에서 동작할 때, 입력 감지층(ISP)의 제2 감지 프레임을 제1 동작 프레임(IF2_hi)으로 지칭할 수 있다.
제1 동작 프레임(IF2_hi)은 제1 서브 동작 프레임(IF2_h) 및 제2 서브 동작 프레임(IF2_i)을 포함한다.
제1 서브 동작 프레임(IF2_h)은 제1 동작 탐색 구간(SP2_e), 제1 동작 지연 구간(DE2_e), 제1 동작 응답 구간(RP2_f), 제2 동작 응답 구간(RP2_g) 및 제1 동작 감지 구간(DTP2_h)을 포함한다. 제1 서브 동작 프레임(IF2_h)은 제1 동작 통신 구간(CP_i) 및 제2 동작 통신 구간(CP_j)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서브 동작 프레임(IF2_i)은 제3 동작 통신 구간(CP_k), 제4 동작 통신 구간(CP_m) 및 제2 동작 감지 구간(DTP2_i)을 포함한다. 제2 서브 동작 프레임(IF2_i)에는 제1 동작 탐색 구간(SP2_e)이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동작 구간(PD3a)에서 제1 동작 탐색 구간(SP2_e)은 제1 서브 주파수(F2_d)보다 작은 제2 서브 주파수(F2_e)로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2 서브 동작 프레임(IF2_i)은 제1 동작 지연 구간(DE2_e), 제1 동작 응답 구간(RP2_f) 및 제2 동작 응답 구간(RP2_g)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1 동작 구간(PD3a)에서 업링크 신호(ULS)의 전송 주파수가 제2 서브 주파수(F2_e)로 작아지면, 제1 입력(TC1)을 감지하기 위한 제2 동작 감지 구간(DTP2_i)의 폭을 크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동작 탐색 구간(SP2_e)이 포함된 제1 서브 동작 프레임(IF2_h)에 포함된 제1 동작 감지 구간(DTP2_h)의 폭보다, 제1 동작 탐색 구간(SP2_e)이 포함되지 않은 제2 서브 동작 프레임(IF2_i)에 포함된 제2 동작 감지 구간(DTP2_i)의 폭이 클 수 있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이 구간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도 9에서 설명한 구간과 동일한 구간에 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 및 도 12를 참조하면, 장치 감지 구간은 제2 구간(PD2_a)과 제3 구간(PD3_a) 사이에 위치한 제1 전이 구간(TS1), 제3 구간(PD3_a)과 제4 구간(PD4_a) 사이에 위치한 제2 전이 구간(TS2) 및 제4 구간(PD4_a)과 제5 구간(PD5_a) 사이에 위치한 제3 전이 구간(TS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1 전이 구간(TS1)은 감지 컨트롤러(3000)가 입력 감지층(ISP)으로 송신하는 업링크 신호(ULS)의 주파수를 제1 서브 주파수(F2_a)에서 제2 서브 주파수(F2_b)로 변경하기 위한 구간일 수 있다. 제2 전이 구간(TS2)은 감지 컨트롤러(3000)가 입력 감지층(ISP)으로 송신하는 업링크 신호(ULS)의 주파수를 제2 서브 주파수(F2_b)에서 제3 서브 주파수(F2_c)로 변경하기 위한 구간일 수 있다. 제3 전이 구간(TS3)은 감지 컨트롤러(3000)가 입력 감지층(ISP)으로 송신하는 업링크 신호(ULS)의 주파수를 제3 서브 주파수(F2_c)에서 제1 서브 주파수(F2_a)로 변경하기 위한 구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1 전이 구간(TS1)은 제1 내지 제5 서브 전이 구간들(TS1_a 내지 TS1_e)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이 구간(TS2)은 제6 내지 제 10 서브 전이 구간들(TS2_a 내지 TS2_e)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전이 구간(TS3)은 제11 내지 17 서브 전이 구간들(TS3_a 내지 TS3_g)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 컨트롤러(3000)는 제1 서브 전이 구간(TS1_a)에서 업링크 신호(ULS)를 제2 서브 주파수(F2_b)로 입력 감지층(ISP)에 송신한다. 감지 컨트롤러(3000)는 제2 서브 전이 구간(TS1_b)에서 업링크 신호(ULS)를 제1 서브 주파수(F2_a)로 입력 감지층(ISP)에 송신한다. 감지 컨트롤러(3000)는 제3 서브 전이 구간(TS1_c)에서 업링크 신호(ULS)를 제2 서브 주파수(F2_b)로 입력 감지층(ISP)에 송신한다. 감지 컨트롤러(3000)는 제4 서브 전이 구간(TS1_d)에서 업링크 신호(ULS)를 제1 서브 주파수(F2_a)로 입력 감지층(ISP)에 송신한다. 감지 컨트롤러(3000)는 제5 서브 전이 구간(TS1_e)에서 업링크 신호(ULS)를 제2 서브 주파수(F2_b)로 입력 감지층(ISP)에 송신한다.
감지 컨트롤러(3000)는 제1 전이 구간(TS1) 내에 포함된 각각의 제1 내지 제5 서브 전이 구간들(TS1_a 내지 TS1_e)에서 제1 서브 주파수(F2_a) 또는 제2 서브 주파수(F2_b)로 교번하여 입력 감지층(ISP)에 업링크 신호(ULS)를 송신할 수 있다. 감지 컨트롤러(3000)는 제2 전이 구간(TS2) 내에 포함된 각각의 제6 내지 제10 서브 전이 구간들(TS2_a 내지 TS2_e)에서 제2 서브 주파수(F2_b) 또는 제3 서브 주파수(F2_c)로 교번하여 입력 감지층(ISP)에 업링크 신호(ULS)를 송신할 수 있다. 감지 컨트롤러(3000)는 제3 전이 구간(TS3)에 포함된 각각의 제 11 내지 제 17 서브 전이 구간들(TS3_a 내지 TS3_g)에서 제3 서브 주파수(F2_c) 또는 제1 서브 주파수(F2_a)로 교번하여 입력 감지층(ISP)에 업링크 신호(ULS)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ED)의 주변에 노이즈(noise)가 존재할 경우, 감지 컨트롤러(3000)가 업링크 신호(ULS)를 특정 주파수 이하로 송신할 때 감지 컨트롤러(3000)와 입력 장치(AP)간의 통신이 불안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전이 구간(TS1, TS2, TS3)에서 감지 컨트롤러(3000)가 변경하기 전의 주파수와 변경하고자 하는 주파수로 업링크 신호(ULS)를 교번적으로 입력 감지층(ISP)으로 송신하여, 변경하고자 하는 주파수로 업링크 신호(ULS)를 송신할 경우 감지 컨트롤러(3000)와 입력 장치(AP)간의 통신이 불안정해지는지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장치(ED)의 주변에 노이즈가 존재 하더라도, 감지 컨트롤러(3000)와 입력 장치(AP)간의 통신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주파수로 업링크 신호(ULS)의 송신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운링크 구간 내에서의 입력 감지층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이하, 도 7b에서 설명한 구간과 동일한 구간에 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도 13a에는 입력 감지층(ISP)이 제1 입력 장치(AP, 도 1 참조)를 인식하는 제1 동기화 구간(PD2b)이 도시되어 있다. 입력 감지층(ISP)이 제1 동기화 구간(PD2b)에서 동작할 때, 입력 감지층(ISP)의 제2 감지 프레임을 제1 동기화 프레임(IF2_j)이라 지칭할 수 있다.
제1 동기화 프레임(IF2_j)은 동기화 탐색 구간(SP2_f), 제1 동기화 지연 구간(DE2_f), 동기화 응답 구간(RP2_h), 제2 동기화 지연 구간(DE2_g), 동기화 통신 구간(CP_n) 및 동기화 감지 구간(DTP2_j)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동기화 통신 구간(CP_n)는 제1 데이터 구간(DT1_a), 제2 데이터 구간(DT2), 제1 위치 구간(PS1_a), 제2 위치 구간(PS2_a)을 포함한다. 입력 감지층(ISP)은 제1 및 제2 데이터 구간들(DT1, DT2)동안 제1 입력 장치(AP)의 인식 ID, 배터리 잔량, 동작 상태 등의 제1 입력 장치(AP)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한다. 입력 감지층(ISP)은 제1 및 제2 위치 구간들(PS1_a, PS2_a)동안 제2 입력(TC2)의 좌표 정보, 제2 입력(TC2)의 세기, 제2 입력(TC2)을 제공하는 제1 입력 장치(AP)의 기울기 등의 제2 입력(TC2)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신호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동기화 통신 구간(CP_n)은 2개 이상의 데이터 구간들을 더 포함할 수 있고, 2개 이상의 위치 구간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동기화 통신 구간(CP_n)은 각각의 제1 및 제2 데이터 구간들(DT1, DT2) 및 제1 및 제2 위치 구간들(PS1_a, PS2_a) 사이에 통신 지연 구간들(DE2_h, DE2_i, DE2_j)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3b에는 입력 감지층(ISP)이 제2 입력(TC2, 도 1 참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제공받는 제1 동작 구간(PD3b)이 도시되어 있다. 입력 감지층(ISP)이 제1 동작 구간(PD3b)에서 동작할 때, 입력 감지층(ISP)의 제2 감지 프레임을 제1 동작 프레임(IF2_k)이라 지칭할 수 있다. 제1 동작 프레임(IF2_k)은 제1 동작 탐색 구간(SP2_g), 제1 동작 지연 구간(DE2_k), 제1 동작 응답 구간(RP2_i), 제2 동작 지연 구간(DE2_m), 제1 동작 통신 구간(CP_l) 및 제1 동작 감지 구간(DTP2_k)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1 동작 통신 구간(CP_l)은 제2 입력(TC2)의 좌표 정보, 제2 입력(TC2)의 세기, 제2 입력(TC2)을 제공하는 제1 입력 장치(AP)의 기울기 등의 제2 입력(TC2)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신호를 수신하는 제3 위치 구간(PS1_b) 및 제4 위치 구간(PS2_b)를 포함한다.
제1 동작 통신 구간(CP_l)은 제1 입력 장치(AP)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데이터 구간(DT1) 및 제2 데이터 구간(DT2)을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1 동작 통신 구간(CP_l)이 제1 및 제2 데이터 구간들(DT1, DT2)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제1 입력(TC1)을 감지하기 위한 제1 동작 감지 구간(DTP2_k)의 폭을 크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데이터 구간들(DT1, DT2)이 포함된 제1 동기화 프레임(IF2_j)에 포함된 동기화 통신 구간(CP_n)의 폭보다, 제1 및 제2 데이터 구간들(DT1, DT2)이 포함되지 않은 제1 동작 프레임(IF2_k)에 포함된 제1 동작 통신 구간(CP_l)의 폭이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동기화 프레임(IF2_j)에 포함된 동기화 감지 구간(DTP2_j)의 폭보다, 제1 동작 프레임(IF2_k)에 포함된 제1 동작 감지 구간(DTP2_k)의 폭이 클 수 있다.
제1 동기화 구간(PD2b)에서 감지 컨트롤러(3000)는 제1 입력 장치(AP)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였기 때문에, 제1 동작 구간(PD3b)에서 제1 입력 장치(AP)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지 않더라도 제1 입력 장치(AP)에 의해 제공되는 제2 입력(TC2)을 수신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예로, 제1 동작 구간(PD3b)에서도 데이터 구간이 포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동작 구간(PD3b)에 포함되는 데이터 구간의 주기는 제1 동기화 구간(PD2b)에 포함되는 제1 및 제2 데이터 구간들(DT1, DT2)의 주기보다 클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ED: 전자 장치 DD: 표시 장치
ISP: 입력 감지층 DP: 표시 패널
3000: 감지 컨트롤러 AP: 입력 장치
ULS: 업링크 신호 1000: 메인 컨트롤러
2000: 패널 컨트롤러 I_CS1/I_CS2: 제1 및 제2 센싱 제어 신호
PD2: 제1 동기화 구간 PD3: 제1 동작 구간
PD4: 제2 동작 구간 TS1 - TS3: 제1 내지 제3 전이 구간

Claims (20)

  1.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제1 입력을 감지하는 제1 감지 모드 또는 입력 장치에 의해 제공된 제2 입력을 감지하는 제2 감지 모드로 동작하는 입력 감지층; 및
    상기 입력 감지층의 동작을 제어하는 감지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 컨트롤러는,
    상기 제1 감지 모드에서,
    상기 입력 장치를 탐색하기 위한 업링크 신호를 제1 주파수로 상기 입력 감지층에 송신하는 제1 모드 또는 상기 업링크 신호를 상기 제1 주파수보다 작은 제2 주파수로 상기 입력 감지층에 송신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감지 컨트롤러는 상기 제2 감지 모드에서, 상기 업링크 신호를 상기 제1 주파수로 상기 입력 감지층에 송신하는 전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감지 컨트롤러의 동작을 제어하는 센싱 제어 신호를 상기 감지 컨트롤러에 송신하는 전자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제어 신호는 제1 센싱 제어 신호 및 제2 센싱 제어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센싱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제2 센싱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하는 전자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전자 장치에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 상기 제1 센싱 제어 신호를 상기 감지 컨트롤러에 송신하고,
    상기 전자 장치에 제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 상기 제2 센싱 제어 신호를 상기 감지 컨트롤러에 송신하는 전자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입력을 제공받아 동작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이고,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입력을 제공받아 동작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인 전자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감지층이 상기 제2 감지 모드로 동작하는 장치 감지 구간은 동기화 구간 및 동작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감지 컨트롤러는 상기 입력 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상기 동기화 구간동안 상기 업링크 신호를 상기 제1 주파수로 상기 입력 감지층에 송신하고,
    상기 제2 입력을 제공받는 상기 동작 구간동안 상기 업링크 신호를 상기 제1 주파수보다 작은 주파수로 상기 입력 감지층에 송신하는 전자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구간은,
    제1 동작 구간; 및
    제2 동작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감지 컨트롤러는,
    상기 제1 동작 구간동안 상기 업링크 신호를 상기 제1 주파수보다 낮은 제3 주파수로 상기 입력 감지층에 송신하고,
    상기 제2 동작 구간동안 상기 업링크 신호를 상기 제3 주파수보다 작은 제4 주파수로 상기 입력 감지층에 송신하는 전자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감지 구간은,
    상기 감지 컨트롤러에서 상기 입력 감지층으로 송신하는 상기 업링크 신호의 주파수를 상기 제1 주파수에서 상기 제1 주파수보다 낮은 제3 주파수로 변경하기 위한 전이 구간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구간은,
    제1 서브 전이 구간 및 제2 서브 전이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서브 전이 구간동안 상기 업링크 신호를 상기 제1 주파수로 상기 입력 감지층에 송신하고,
    상기 제2 서브 전이 구간동안 상기 업링크 신호를 상기 제3 주파수로 상기 입력 감지층에 송신하며,
    상기 전이 구간 내에서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전이 구간은 교번적으로 반복되는 전자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감지층은,
    상기 제2 감지 모드에서 상기 제1 입력을 더 감지할 수 있는 전자 장치.
  11.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제1 입력을 감지하는 제1 감지 모드 또는 제1 입력 장치에 의해 제공된 제2 입력을 감지하는 제2 감지 모드로 동작하는 입력 감지층; 및
    상기 입력 감지층의 동작을 제어하는 감지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감지층이 상기 제2 감지 모드로 동작하는 장치 감지 구간은 제1 동기화 구간 및 제1 동작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감지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입력 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상기 제1 동기화 구간동안 상기 제1 입력 장치를 탐색하기 위한 제1 업링크 신호를 제1 주파수로 상기 입력 감지층에 송신하고, 상기 제2 입력을 제공받는 상기 제1 동작 구간동안 상기 업링크 신호를 상기 제1 주파수보다 작은 주파수로 상기 입력 감지층에 송신하는 전자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감지 구간은,
    제2 동작 구간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감지 컨트롤러는,
    상기 제1 동작 구간동안 상기 제1 업링크 신호를 상기 제1 주파수보다 작은 제2 주파수로 상기 입력 감지층에 송신하고,
    상기 제2 동작 구간동안 상기 제1 업링크 신호를 상기 제2 주파수보다 작은 제3 주파수로 상기 입력 감지층에 송신하는 전자 장치.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감지 구간은,
    상기 감지 컨트롤러에서 상기 입력 감지층으로 송신하는 상기 제1 업링크 신호의 주파수를 상기 제1 주파수에서 상기 제1 주파수보다 낮은 제2 주파수로 변경하기 위한 전이 구간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구간은,
    제1 서브 전이 구간 및 제2 서브 전이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서브 전이 구간동안 상기 제1 업링크 신호를 상기 제1 주파수로 상기 입력 감지층에 송신하고,
    상기 제2 서브 전이 구간동안 상기 제1 업링크 신호를 상기 제2 주파수로 상기 입력 감지층에 송신하며,
    상기 전이 구간 내에서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전이 구간은 교번적으로 반복되는 전자 장치.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감지층은, 상기 제2 감지 모드에서 제2 입력 장치에 의해 제공된 제3 입력을 더 감지할 수 있고,
    상기 감지 컨트롤러는,
    상기 제1 동기화 구간 동안, 상기 제1 및 제2 입력 장치를 탐색하기 위한 제2 업링크 신호를 상기 제1 주파수로 상기 입력 감지층에 송신하여 상기 제1 및 제2 입력 장치를 인식하고,
    상기 제1 동작 구간 동안, 상기 제2 및 제3 입력을 제공받고, 상기 제2 업링크 신호를 상기 제1 주파수보다 작은 주파수로 상기 입력 감지층에 송신하는 전자 장치.
  16.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감지층은, 상기 제1 동기화 구간 이후에 제2 입력 장치에 의해 제공된 제3 입력을 더 감지할 수 있고,
    상기 장치 감지 구간은 제2 동기화 구간 및 제2 동작 구간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감지 컨트롤러는,
    상기 제1 및 제2 입력 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상기 제2 동기화 구간동안, 상기 제1 및 제2 입력 장치를 탐색하기 위한 제2 업링크 신호를 상기 제1 주파수로 상기 입력 감지층에 송신하고,
    상기 제1 및 제2 입력을 제공받는 상기 제2 동작 구간동안, 상기 제2 업링크 신호를 상기 제1 주파수보다 작은 제2 주파수로 상기 입력 감지층에 송신하는 전자 장치.
  17.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컨트롤러는,
    상기 제1 감지 모드에서 제1 입력 감지 프레임 동안 상기 입력 감지층을 통해 상기 제1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2 감지 모드에서, 제2 입력 감지 프레임 동안 상기 입력 감지층을 통해 상기 제2 입력을 감지하며,
    상기 제2 입력 감지 프레임은,
    상기 감지 컨트롤러가, 상기 입력 감지층으로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제1 구간;
    상기 감지 컨트롤러가 상기 입력 감지층을 통해 상기 제1 입력 장치로부터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제2 구간; 및
    상기 감지 컨트롤러가 상기 입력 감지층을 통해 상기 제2 입력을 감지하지 않는 제3 구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기화 구간에서 상기 제2 구간은,
    상기 제1 입력 장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데이터 구간 및
    상기 제2 입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위치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동작 구간에서 상기 제2 구간은,
    상기 제2 입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위치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입력 장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구간은 포함하지 않는 전자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 구간에서의 상기 제3 구간의 폭은, 상기 제1 동기화 구간에서의 상기 제3 구간의 폭보다 큰 전자 장치.
  20.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컨트롤러는.
    상기 제3 구간에서 상기 입력 감지층을 통해 상기 제1 입력을 감지하는 전자 장치.
KR1020210037478A 2021-03-23 2021-03-23 전자 장치 KR2022013272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478A KR20220132721A (ko) 2021-03-23 2021-03-23 전자 장치
US17/581,377 US20220308696A1 (en) 2021-03-23 2022-01-21 Electronic device
CN202210253497.2A CN115113760A (zh) 2021-03-23 2022-03-15 电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478A KR20220132721A (ko) 2021-03-23 2021-03-23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721A true KR20220132721A (ko) 2022-10-04

Family

ID=83324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7478A KR20220132721A (ko) 2021-03-23 2021-03-23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308696A1 (ko)
KR (1) KR20220132721A (ko)
CN (1) CN115113760A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81994B2 (en) * 2013-11-08 2021-11-23 Egalax_Empia Technology Inc. Transmitt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3098695B1 (en) * 2014-01-22 2020-10-21 Wacom Co., Ltd. Position indicator, position detection device, position detection circuit, and position detection method
JP6240530B2 (ja) * 2014-02-21 2017-11-29 株式会社ワコム 信号処理回路、信号処理方法、位置検出装置及び電子機器
EP3258352B1 (en) * 2015-02-09 2019-05-08 Wacom Co., Ltd.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system, sensor controller, and stylus
CN107077226B (zh) * 2015-03-02 2021-07-09 株式会社和冠 主动式静电触控笔、传感器控制器、具备这些的系统以及由这些执行的方法
EP3282346B1 (en) * 2015-04-09 2020-09-02 Wacom Co., Ltd. Method using active stylus and sensor controller, system, sensor controller, and active stylus
WO2018020598A1 (ja) * 2016-07-27 2018-02-01 株式会社ワコム スタイラス及びセンサコントローラ
KR102627342B1 (ko) * 2016-11-25 2024-01-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싱 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
US10877578B2 (en) * 2018-07-18 2020-12-29 Wacom Co., Ltd. Sensor controller and active pen
CN113490907B (zh) * 2019-03-01 2024-06-25 株式会社和冠 传感器控制器及笔
JP7482706B2 (ja) * 2020-07-08 2024-05-14 株式会社ワコム スタイラス及びセンサコントローラによって実行される方法、スタイラス、及びセンサコントロー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08696A1 (en) 2022-09-29
CN115113760A (zh) 202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7107B2 (en) Display unit
KR102538829B1 (ko) 전자 장치
KR20180070785A (ko) 표시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11495165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957156B1 (ko) 터치스크린 패널
KR20160039767A (ko)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2002366304A (ja) 座標入力装置
KR20230136906A (ko) 표시 장치
KR20220008998A (ko) 표시장치
US10788911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 bump member
KR20220088603A (ko) 전자 장치
KR20210109694A (ko) 표시 장치
KR20210145876A (ko) 전자장치
KR20200049321A (ko)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148535A (ko) 전자 장치
KR20220132721A (ko) 전자 장치
KR20210126802A (ko) 압력 센서, 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220132724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127295A (ko) 표시 장치
KR20210060734A (ko) 광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230280863A1 (en) Display device
KR20220030426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20230134011A (ko) 표시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20220141365A (ko) 표시 장치
KR20230159785A (ko) 입력 감지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