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2619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2619A
KR20220132619A KR1020227029652A KR20227029652A KR20220132619A KR 20220132619 A KR20220132619 A KR 20220132619A KR 1020227029652 A KR1020227029652 A KR 1020227029652A KR 20227029652 A KR20227029652 A KR 20227029652A KR 20220132619 A KR20220132619 A KR 20220132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od
curved portion
elastic memb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9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예다한
홍상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132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26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05C19/04Ball or roller c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1French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 공간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상면을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상부 힌지; 상기 도어의 하면을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하부 힌지; 및 상기 도어의 하면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 힌지를 가압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를 위한 추가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개폐 보조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 보조 장치는, 상기 도어 하면에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출입되며, 상기 도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하부힌지의 둘레면과 접촉상태로 이동되는 로드;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로드를 탄성 지지하며, 상기 로드가 상기 하부 힌지의 둘레면을 가압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의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에너지 효율 등을 고려한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일 예로, 냉장고를 개폐하는 도어의 개폐조작시 도어의 개폐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한편, 사용자가 도어를 닫게 될 때 상기 도어가 완전히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냉기의 누설을 방지하는 냉장고가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2-0053286호에는 냉장고 본체에 인장 스프링과 완충수단이 구비되고, 힌지 레버의 일단은 냉장고 도어의 힌지축과 떨어진 일측의 축에 연결되고 힌지 레버의 다른 일측은 인장 스프링과 연결되어, 냉장고 도어가 일정 이상 회전된 상태에서 도어의 닫힘력을 강하게 하여 도어가 자동으로 닫힐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같은 구조는 힌지 레버가 외부로 노출되어 간섭될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인장 스프링을 비롯한 완충수단이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야 하므로 설치 작업이 불편하고 본체의 공간 제약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 예는 도어의 개폐 조작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 예는 도어의 개폐 조작감을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 예는 도어 개폐를 보조하기 위한 장치의 설치 및 조립이 용이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 예는 도어 개폐를 보조하기 위한 장치의 설치 공간의 제약이 발생하지 않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 공간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상면을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상부 힌지; 상기 도어의 하면을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하부 힌지; 및 상기 도어의 하면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 힌지를 가압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를 위한 추가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개폐 보조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 보조 장치는, 상기 도어 하면에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출입되며, 상기 도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하부힌지의 둘레면과 접촉상태로 이동되는 로드;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로드를 탄성 지지하며, 상기 로드가 상기 하부 힌지의 둘레면을 가압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힌지는,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도어의 하면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 축이 되는 하부 힌지축을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부의 둘레면에는 상기 로드의 단부가 접촉상태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곡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곡면부는 상기 로드와 마주보는 일부 구간에 형성되며,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설정 각도로 회전되어 개방된 상태까지 상기 로드와 접촉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설정 각도는 상기 캐비닛의 전면과 상기 도어가 이루는 각도가 40˚일 수 있다.
상기 로드는 상기 도어가 설정 각도 이상 닫힌 상태에서 상기 곡면부와 접촉을 시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드의 단부에는 상기 곡면부와 접하여 회전되는 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곡면부는, 상기 도어가 닫히게 될 때 상기 로드의 단부와의 접촉이 시작되며,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되는 방향으로 상기 로드를 이동시키는 제 1 곡면부와; 상기 제 1 곡면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 1 곡면부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탄성부재가 인장되는 방향으로 상기 로드를 이동시키는 제 2 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곡면부와 제 2 곡면부는 경사 또는 라운드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곡면부는, 상기 제 2 곡면부보다 더 상기 탄성부재를 인장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로드를 이동시키는 제 3 곡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로드가 상기 상기 제 3 곡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도어는 상기 저장 공간을 완전히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제 3 곡면부는 상기 제 2 곡면부의 연장방향으로 더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곡면부는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는 복수의 구간으로 구성되며, 상기 로드와 가압 접촉되어 상기 도어가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력이 제공되는 제 1 구간과; 상기 로드와 가압 접초고디어 상기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력이 제공되는 제 2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폐 보조 장치는 상기 도어의 하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로드가 상기 도어의 좌우 측면 중 상기 힌지가 장착된 일측단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전면을 포함한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 배면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 상기 아웃 케이스 및 도어 라이너와 결합되어 하면을 형성하는 로어 캡데코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로어 켑데코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드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서포트 파트와; 상기 서포트 파트의 일 면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탄성부재를 관통하는 제 1 연장부; 상기 서포트 파트의 반대 면에서 상기 제 1 연장부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 2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파트를 기준으로 상기 탄성부재와 반대 방향에 배치되며, 상기 서포트 파트와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가 인장되는 방향으로 상기 로드가 이동되면 압축되는 서브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파트의 일면에는 상기 제 2 연장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 3 연장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제 3 연장부는 상기 서브 탄성부재를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부는 상기 서포트 파트의 중앙에 위치되며, 상기 제 2 연장부와 제 3 연장부는 상기 서포트 파트의 중앙에서 벗어난 위치에서 나란히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서브 탄성부재는 상기 로드가 상기 플레이트부와 떨어지게 되면 압축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파트에는 양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함몰된 로드 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로드 가이드는 상기 로드가 왕복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하방으로 개구되며,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하면에는 상기 탄성부재와 로드가 수용된 상기 하우징의 수용 공간을 차폐하는 커버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개폐 보조 장치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도어를 설정 각도이상으로 개방하게 되면, 상기 개폐 보조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 상기 도어가 보다 쉽게 개방될 수 있고, 상기 도어를 설정 각도 이하가 되도록 닫게 되면 상기 개폐 보조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 상기 도어가 보다 쉽게 각힐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도어를 닫을 때에 일정 각도 이상으로 닫게 되면, 상기 개폐 보조 장치에 의해 부가되는 회전력에 의해 상기 도어가 자동으로 닫힐 수 있게 되어 상기 도어가 사용자의 의도와 다르게 미세하게 닫히지 않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키고 냉기 누설을 방지하여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개폐 조작하게 될 때 상기 개폐 보조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회전력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가 개방 또는 닫히는 과정 중에 있음을 인지하고 동작 수행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 보조 장치는 상기 도어의 하면에 장착되며, 상기 하부 힌지와의 접촉에 의해 회전력을 부가할 수 있게 됨으로서 상기 개폐 보조 장치의 구성을 간결하게 하고 조립 및 유지 보수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개폐 보조 장치는 상기 도어의 하면을 구성하는 로어 캡데코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어 상기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한편, 구성을 간결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개패 보조 장치는 상기 도어 및 캐비닛의 공간과 관계없이 도어의 하면에 구비되므로 설치 공간의 제약이 발생하지 않게 되며, 설치 형태와 냉장고의 종류에 관계없이 다양하게 적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 보조 장치는 로드가 출입되면서 상기 하부 힌지를 가압하고, 상기 로드의 단부에는 구름 운동하는 롤러가 구비되므로 장시간 사용하게 되더라도 상기 개폐 보조 장치가 마모 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일정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 일부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도어의 지지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은 상기 도어의 하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도어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 힌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개폐 보조 장치가 장착된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개폐 보조 장치의 하우징과 커버가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개폐 보조 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가 제거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상기 도어, 하부 힌지 및 개폐 보조 장치의 결합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개폐 보조 장치의 주요 구성인 로드와 스프링 및 커버의 구조를 상세하게 보인 도면이다.
도 11은 도 4의 11-11'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상기 도어가 제 1 내지 제 3 설정 각도로 개방되었을 때의 상기 개폐 보조 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개폐 보조 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그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방향을 정의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냉장고(1)가 설치되는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바닥면을 향하는 방향을 하방, 그와 반대되는 상기 캐비닛(10)의 높은 면을 향하는 방향을 상방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 그리고 상기 도어(20)를 기준으로 캐비닛(10) 내측을 향하는 방향을 후방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정의되지 않는 방향을 이야기 하고자 할 때에는 각 도면을 기준으로 방향을 정의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 일부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도어의 지지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캐비닛(10)은 베리어(11)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며, 상부에 냉장실(12)이 형성되고, 하부에 냉동실(13)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저장 공간의 배치 및 상기 도어의 배치와 조합은 냉장고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되는 도어가 구비되는 다양한 종류의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냉장실(12)과 냉동실(13)의 내부에는 서랍, 선반, 바스켓 등의 수납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2)을 차폐하는 냉장실 도어(21)와, 상기 냉동실(13)을 차폐하는 냉동실 도어(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1)는 상방에 위치되므로 상부 도어(21)라 부를 수 있고, 상기 냉동실 도어(22)는 하방에 위치되므로 하부 도어(22)라 부를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1)는 좌우측 한쌍의 도어로 구성되며, 회동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22) 또한 좌우측 한쌍의 도어로 구성되며, 회동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 냉장실 도어(21) 및 냉동실 도어(22)에 모두 적용 가능할 수 있으며, 그 적용 구조는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냉장실 도어(21)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상기 냉장실 도어(21)를 도어라 부르도록 한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도어(20)의 전면을 포함한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23)와, 상기 도어(20)의 후면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2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아웃 케이스(23)와 도어 라이너(24)의 사이에는 단열재(미도시)가 채워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는 상기 도어(20)의 상면 및 하면을 형성하는 어퍼 캡데코(25) 및 로어 캡데코(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부 힌지(14)와 하부 힌지(1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20)의 일측단 상단과 하단은 축결합되도록 장착되며, 동일 연장선상에 위치되는 상기 상부 힌지(14)와 하부 힌지(15)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할 수 있다.
상세히, 캐비닛(10)의 상면 좌우 양측에는 상부 힌지(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힌지(14)는 상기 도어(20) 상단에 축결합되며, 상부 힌지 케이스(141)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힌지(14)는 판상의 금속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캐비닛(10)에 고정되는 상부 플레이트(142)와, 상기 캐비닛(10)의 전방으로 돌출된 상부 플레이트(142)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도어(20) 상단에 축결합되는 상부 힌지축(14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의 상면 즉, 상기 어퍼 캡데코(25)에는 하방으로 함몰된 힌지 장착부(25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힌지 장착부(251)에 상기 상부 힌지축(143)이 삽입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장고(1)를 전방에서 바라 볼 때, 상기 상부 힌지(14)가 가려져 보이지 않게 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힌지(15)는 상기 캐비닛(10)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힌지(15)는 상기 상부 도어(21)와 하부 도어(22)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 도어(21)의 상단과 하부 도어(22)의 하단을 동시에 지지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힌지(15)는 중간 힌지라 부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힌지(15)는 적어도 일부가 베리어(11)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힌지(15)는 무거운 상기 도어(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금소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0)에 고정되는 고정부(251)와, 상기 고정부(251)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부(152)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부(152)에서 연장되어 상기 도어(20)의 하면에 축결합되는 하부 힌지축(153)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하부 힌지(15) 및 하부 힌지(15)의 결합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은 상기 도어의 하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도어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 힌지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개폐 보조 장치가 장착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하부 힌지(15)는 상기 고정부(251)와 상기 플레이트부(152) 및 하부 힌지축(1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51)는 상기 하부 힌지(15)가 상기 캐비닛(10)에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251)는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에 장착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베리어(11)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부(251)에는 다수의 고정 홀(151a)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 홀(151a)을 관통하는 스크류가 상기 캐비닛(10)에 체결되어 상기 하부 힌지(15)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부(152)는 상기 고정부(251)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부(152)는 상기 도어(20)의 하면과 나란한 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51)와 플레이트부(152)는 각각 성형된 후에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고정부(251)와 플레이트부(152)는 하나의 금속 판재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플레이트부(152)에는 하부 힌지축(15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힌지축(153)은 상기 도어(20)의 회전 축이 되는 것으로, 상기 플레이트부(152)의 상면을 기준으로 상기 플레이트부(152)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힌지축(153)은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도어(20)의 하면을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힌지축(153)은 상기 플레이트부(152)를 관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플레이트부(152)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상기 하부 힌지축(153)은 상기 하부 도어(22)의 상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하부 힌지축(153)은 상기 상부 도어(21)와 하부 도어(22)가 상하 배치되는 경우 상기 상부 도어(21)와 하부 도어(22)의 사이에서 상기 상부 도어(21)와 하부 도어(22) 각각의 회전 축이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힌지축(153)에는 힌지 부싱(153a)이 삽입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힌지 부싱(153a)은 스토퍼(37)에 형성되는 스토퍼 홀(373)을 관통하여 상기 도어 하단의 힌지 홀(261)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부(152)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부(152)의 둘레면 중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개폐 보조 장치(30)를 바라보는 측면에는 상기 개폐 보조 장치(30)와 접하는 곡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곡면부는 플레이트부(152)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 중 일측면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도어(20)의 회전 축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 중 상기 캐비닛(10)의 측면으로부터 더 먼 일측(도 5에서 좌측)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곡면부는 상기 도어(20)가 설정 각도 이하로 회전 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 보조 장치(30)의 롤러(32)와 접촉될 수 있으며 가압되는 롤러(32)는 상기 곡면부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도어(20)의 개방이 보다 용이하게 되거나 상기 도어(20)가 보다 용이하게 닫히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20)의 개방에 따라 상기 개폐 보조 장치(30) 또한 함께 회전되며, 상기 개폐 보조 장치(30)를 구성하는 로드(31)의 중심축을 연장한 연장선(LR)과 상기 캐비닛(10) 전면의 연장선(LC) 사이의 각도가 변화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각도를 도어 개방 각도라 정의하며, 상기 도어 개방 각도가 설정 각도 이하게 되면 상기 롤러(32)는 상기 곡면부와 접촉을 시작하게 되고, 상기 도어(20)가 닫히게 되어 상기 도어 개방 각도가 줄어드는 과정에서 상기 곡면부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하부 힌지(15)측으로 힘을 가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를 보조할 수 있다.
상기 곡면부는 제 1 곡면부(154)와 제 2 곡면부(155) 그리고 제 3 곡면부(156)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곡면부(154)와 제 2 곡면부(155) 및 제 3 곡면부(156)는 연속적으로 형성되되 서로 다른 기울기와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곡면부(154)는 상기 도어 개방 각도가 제 1 설정 각도(α1)와 제 2 설정 각도(α2) 사이가 되도록 회전되는 상태에서 상기 개폐 보조 장치(30)의 롤러(32)와 와 접촉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곡면부(154)는 상기 롤러(32)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될수록 상기 롤러(32)가 상기 플레이트부(152)를 가압하도록 경사 또는 라운드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롤러(32)가 상기 제 1 곡면부(154)가 형성된 제 1 구간(S1)을 지나는 동안에는 상기 도어(2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수 있으며, 상기 도어(2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한층 더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곡면부(155)는 상기 도어 개방 각도가 제 2 설정 각도(α2)와 제 3 설정 각도(α3) 사이가 되도록 회전되는 상태에서 상기 개폐 보조 장치(30)와 접촉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제 2 곡면부(155)는 으로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상기 롤러에 가해지는 압력이 낮아지도록 경사 또는 라운드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곡면부(154)와는 반대 방향으로 경사 또는 라운드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롤러(32)가 상기 제 2 곡면부(155)가 형성된 제 2 구간(S2)을 지나는 동안에는 상기 도어(20)가 닫히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수 있으며, 상기 도어(20)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한층 더 용이하게 되고, 상기 도어(20)가 보다 용이하게 닫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3 곡면부(156)는 상기 도어 개방 각도가 상기 제 3 설정 각도(α3)와 상기 도어가 완전히 닫히게 되는 상태 사이의 상태에서 상기 개폐 보조 장치(30)와 접촉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제 3 곡면부(156)는 상기 제 2 곡면부(155)보다 더 함몰된 향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롤러(32)가 상기 제 2 곡면부(155)를 지나 제 3 곡면부(156)에 진입되면 상기 도어(20)가 닫히는 방향으로 보다 힘이 가해질 수 있으며, 상기 롤러가 상기 제 3 구간(S3)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20)가 완전히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부(152)의 측방에는 개폐 보조 장치(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폐 보조 장치(30)는 상기 도어(20)의 하면 즉 로어 캡데코(26)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폐 보조 장치(30)는 상기 도어(20)가 회전될 때 상기 플레이트부(152)의 곡면부와 접촉될 수 있으며, 상기 곡면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도어(20)가 보다 용이하게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20)가 열리는 방향 또는 닫히는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 보조 장치(30)는 상기 도어(20) 하단의 가로 방향(도 3에서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개폐 보조 장치(30)는 상기 곡면부와 접촉 상태로 구름 운동하는 롤러(32)와, 상기 롤러(32)가 장착되며 가로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로드(31)를 포함하여 상기 개폐 보조 장치(30)가 상기 곡면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가하는 압력에 의해 상기 도어(20)의 회전을 보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어 개폐장치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상기 개폐 보조 장치의 하우징과 커버가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상기 개폐 보조 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가 제거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9는 상기 도어, 하부 힌지 및 개폐 보조 장치의 결합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상기 개폐 보조 장치의 주요 구성인 로드와 스프링 및 커버의 구조를 상세하게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1은 도 4의 11-11' 단면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로어 캡데코(26)의 일측에는 스토퍼(3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37)는 상기 도어(20)가 닫히는 방향으로 과도하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상기 하부 힌지(15)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37)는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로어 캡데코(26)에 고정 장착되는 스토퍼 장착부(371)와 상기 스토퍼 장착부(371)의 단부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하부 힌지(15)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핑부(3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장착부(371)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로어 캡데코(26)에 밀착되도록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스토퍼 장착부(371)를 관통하는 스크류에 의해 상기 로어 캡데코(26)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핑부(372)는 상기 스토퍼 장착부(371)의 전단에서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부(152)와 마주보는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스토핑부(372)는 상기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플레이트부(152)의 단부와 이격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도어(20)가 이미 닫힌 상태에서 닫히는 방향으로 더 회전하게 될 때 상기 스토핑부(372)와 플레이트부(152)는 서로 접촉되어 상기 도어(20)가 더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로어 캡데코(26)에는 사용자가 손을 넣어서 상기 도어(20)를 회전 시킬 수 있는 손잡이(26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261)는 상기 도어(20) 하단에서 상방을 향하여 함몰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어 캡데코(26)에는 상기 개폐 보조 장치(30)가 장착되는 하우징(2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7)은 상기 로어 캡데코(26)의 성형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개폐 보조 장치(30)의 외관 일부를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27)은 상기 로어 캡데코(26)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7)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로어 캡데코(26)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하우징(27)은 별도로 성형된 후 상기 로어 캡데코(26)의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하우징(27)은 아래에서 설명할 로드(31)가 삽입되는 수용 공간(27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270)은 하방으로 개구될 수 있으며, 내측에 상기 로드(31)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7)은 하우징 테두리(2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테두리(271)는 상기 수용 공간(270)의 양측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하방으로 개구된 상기 수용 공간(27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테두리(271)는 상기 수용공간의 전면과 후면을 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테두리(271)는 테두리 좌측면(273)과 테두리 우측면(27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두리 좌측면(273)은 상기 수용 공간(270)의 좌측면을 형성하며 탄성부재(33)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 우측면(272)은 상기 수용 공간(270)의 우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 우측면(272)은 상기 로드(31)가 통과되도록 로드 홀(272a)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 테두리(271)의 전면과 후면에는 상기 로드(31)의 왕복 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로드 가이드(27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드 가이드(271a)는 상기 테두리 우측면(272)에서 좌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 테두리(271)의 단부에서 함몰되거나 절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 테두리(271)의 높이와 상기 로드 가이드(271a)의 높이차는 상기 로드(31)의 가이드 돌기(311a) 두께와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 좌측면(273)에는 상기 테두리 우측면(272)을 향하여 연장되는 수용부 가이드(27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 가이드(275)는 아래에서 설명할 탄성부재(33)의 내경과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며, 상기 탄성부재(33)의 개구된 좌측단을 통해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33)는 상기 수용부 가이드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상기 수용 공간(270)의 내측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 가이드(275)는 상기 로드(31)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된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드(31)는 상기 수용 공간(27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로드(31)의 단부가 상기 수용부 가이드(275)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드(31)가 가로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게 될 때 상기 로드(31)의 단부는 상기 수용부 가이드(275) 내측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며, 따라서 상기 로드(31)는 상기 수용 공간(270) 내에서 안정적인 왕복 운동이 보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테두리 좌측면(273)에는 보강 리브(273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리브(273a)는 상기 테두리 좌측면(273)과 상기 로어 캡데코(26)의 하면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탄성부재(33)의 압축시 상기 테두리 좌측면(273)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강 리브(373a)는 상기 테두리 좌측면(273)에 한쌍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 우측면(272)에도 보강 리브(272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리브(272b)는 상기 테두리 우측면(272)과 상기 로어 캡데코(26)의 하면 사이를 연결하며, 아래에서 설명할 서브 탄성부재(34)의 압축시 상기 테두리 우측면(272)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강 리브(272b)는 상기 테두리 우측면(272)에 한쌍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테두리(271)의 외측에는 다수의 커버 결합 보스(27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결합 보스(274)는 상기 하우징(27)의 하면을 차폐하는 커버(35)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 상기 커버 결합부(354)를 관통하는 스크류(36)가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결합 보스(274)는 상기 커버 결합부(354)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 테두리(271)의 외측의 상기 로어 캡데코(26) 하면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결합 보스(274)는 상기 테두리 좌측면(273)과 인접한 위치에 하나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테두리 우측면(272)과 인접한 위치에 한쌍이 서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27)의 수용 공간의 내측에는 로드(31)와 탄성부재(33) 및 서브 탄성부재(34)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로드(31)는 상기 수용 공간(270)에 장착되며, 상기 탄성부재(33)에 의해 지지되어 직선 왕복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드(31)의 이동 방향은 상기 도어(20)의 가로 방향 연장 방향을 따라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드(31)의 일부는 상기 하우징(27)의 내측에 탄성 지지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하우징(27)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플레이트부(152)의 곡면부와 접촉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로드(31)는 전체적으로, 상기 탄성부재(33)에 의해 지지되는 서포트 파트(311)와, 상기 서포트 파트(311)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312) 그리고, 상기 서포트 파트(311)로부터 상기 제 1 연장부(312)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서포트 파트(311)는 상기 하우징(27)에 수용 가능한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 파트(311)는 상기 하우징 테두리(271)의 좌측면 및 우측면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파트(311)의 양측면은 상기 제 1 연장부(312)와 제 2 연장부(314)가 연장되며, 양측면은 각각 상기 탄성부재(33) 및 메인 탄성부재(3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 파트(311)의 양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31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311a)는 상기 하우징 테두리(271)에 형성된 로드 가이드(271a)에 안착될 수 있도록 각각 전후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서포트 파트(311)는 상기 하우징(27) 내측의 수용 공간(270)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3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 파트(311)는 상기 로드(31)가 왕복 운동시 측방향 유동되지 않고 직선 운동 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돌기(311a)가 상기 로드 가이드(271a)를 따라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부(312)는 상기 서포트 파트(311)의 중앙에서 좌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부(312)는 상기 수용부 가이드(275)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연장부(312)는 상기 로드(31)의 이동시 상기 제 1 연장부(312)의 단부가 상기 수용부 가이드(275)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에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연장부(312)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 1 연장부(312)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장부 리브(31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 리브(312a)는 상기 탄성부재(33)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돌출되며, 상기 제 1 연장부(312)의 둘레를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돌출되어 상기 탄성부재(33)의 압축시 상기 탄성부재(33)와 상기 로드(31)가 안정적인 상태로 압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탄성부재(33)는 코일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연장부(312)에 의해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3)는 상기 수용 공간(27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으며, 일단은 상기 서포트 파트(311)에 접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 테두리(271)의 좌측면에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33)는 상기 로드(31)가 상기 하부 힌지(15)와 접촉될 수 있도록 탄성을 제공하게 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33)에 의해 상기 로드(31)는 상기 플레이트부(152)의 곡면부와 접촉된 상태에서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33)는 상기 도어(20)가 설정된 각도만큼 열린 상태에서 가장 압축될 수 있으며, 상기 로드(31)의 단부 즉, 상기 롤러(32)가 상기 곡면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도어(20)가 설정 각도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자동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도어(20)가 이미 닫힌 상태에서도 상기 탄성부재(33)는 다소 압축상태가 되어 상기 로드(31)가 상기 곡면부를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도어(20)가 닫혀 고내를 기밀시키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2 연장부(314)는 상기 서포트 파트(311)의 우측면에서 상기 하부 힌지(15)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장부(314)는 상기 제 1 연장부(312)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 테두리(271)의 우측면의 로드 홀(272a)을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27)의 외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연장부(314)의 연장된 단부에는 롤러(32)가 장착되는 롤러 장착부(3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롤러(32)는 상기 롤러 장착부(315) 내측에 위치되며, 롤러 회전축(321)에 의해 관통되어 회전 가능하게 된다.
상기 롤러(32)는 상기 롤러 장착부(315)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플레이트부(152)의 곡면부와 접하여 구름 운동하게 된다. 상기 롤러(32)의 둘레면이 상기 플레이트부(152)의 측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로드(31)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롤러(32)는 상기 곡면부를 따라 구름 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서포트 파트(311)에는 제 3 연장부(31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연장부(314)는 서브 탄성부재(34)의 장착을 위한 것으로, 상기 제 2 연장부(314)와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3 연장부(314)는 상기 하우징(27)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서포터 파트(311)에서 상기 하우징 테두리(271)의 우측면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연장부(314) 및 제 3 연장부(314)는 모두 상기 서포터 파트(311)의 중앙에 위치되지 않고 다소 편심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포터 파트(311)의 중앙에서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탄성부재(34) 및 상기 제 2 연장부(314)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서포터 파트(311)가 기울어지거나 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로드(31)의 안정적인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잇다.
한편, 상기 서브 탄성부재(34)는 압축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일단에 상기 제 3 연장부(314)가 삽입되고 상기 서포터 파트(31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탄성부재(34)의 타단은 상기 하우징 테두리(271)의 우측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탄성부재(34)는 상기 로드(31)가 상기 하부 힌지(15)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때, 급속하게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충격 및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서브 탄성부재(34)는 상기 메인 탄성부재(33)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와 탄성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로드(31)와 상기 탄성부재(33) 및 서브 탄성부재(34)가 상기 수용 공간(270)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35)가 상기 하우징(27)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 공간(270)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커버(35)가 장착되면 상기 로드(31)와 상기 탄성부재(33) 및 서브 탄성부재(34)는 상기 하우징(27)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커버(35)는 상기 하우징(27)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커버(35)의 내측에는 상기 로드(31)와 탄성부재(33)를 수용 할 수 있도록 함몰된 수용홈(35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351)은 상기 탄성부재(33) 및 상기 로드(31)의 서포터 파트(311)와 간섭되지 않도록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351)의 연장방향 양측을 따라서 커버 테두리(35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테두리(352)는 상기 커버(35)가 상기 하우징(27)에 결합될 때 상기 커버(35)의 내측에 상기 로드(31)와 탄성부재(33) 및 서브 탄성부재(34)가 수용되는 공간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좌우 양측의 상기 커버 테두리(352)에는 상기 커버(35)의 연장 방향으로 함몰된 사이드 홈(352a)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홈(352a)은 상기 로드 가이드(271a)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35)가 상기 하우징(27)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로드(31)가 왕복 이동하게 될 때 상기 가이드 돌기(311a)는 상기 로드 가이드(271a)와 사이드 홈(352a)이 형성하는 공간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수용홈(351)의 일측단에는 상기 커버 테두리(352)에 의해 연장부 가이드(35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 가이드(353)는 상기 커버(35)의 일단을 관통하여 연장되며, 상기 하부 힌지(15)를 향하여 개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드(31)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연장부(314)가 상기 연장부 가이드(353)를 관통하여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 가이드(353)는 상기 로드 홀(272a)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커버(35)에는 커버 결합부(35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결합부(354)는 상기 커버 결합 보스(274)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 결합부(354)를 관통하는 스크류(36)를 상기 커버 결합부(354)에 체결하여 상기 커버(35)가 상기 하우징(27)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커버(35)는 상기 하우징(27) 내부에 구비되는 로드(31)와 상기 탄성부재(33) 및 서브 탄성부재(34)를 모두 차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20)의 하방으로 노출되는 구성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커버(35)의 개폐를 통해 상기 하우징(27) 내부의 구성들을 분리 장착할 수 있으며, 조립 및 정비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개폐 보조 장치(30)의 동작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 내지 도 14는 상기 도어가 제 1 내지 제 3 설정 각도로 개방되었을 때의 상기 개폐 보조 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5는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개폐 보조 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상기 도어 개방 각도가 상기 제 1 설정 각도(α1)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도어(20)가 개방되거나 닫히도록 회전 할 때 상기 도어 개방 각도가 상기 제 1 설정 각도(α1)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롤러(32)가 상기 하부 힌지(15)의 플레이트부 즉, 상기 곡면부의 단부와 접촉하게 된다. 일 예로, 상기 제 1 설정 각도(α1)는 40˚일 수 있다.
만약 상기 도어(20)가 열리는 과정이라면, 도 12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20)가 더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롤러(32)는 상기 플레이트부(152)와 떨어진 상태가 되며, 상기 도어(20)는 상기 개폐 보조 장치(30)의 영향을 받지 않고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공, 이때 상기 탄성부재(33)의 길이는 최대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가 열리는 상황에서는 도 13에서 도 12와 같은 순서로 상기 도어(20)가 회전하게 되며, 이때에는 상기 롤러(32)가 상기 곡면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33)가 인장되면서 상기 로드(31)는 상기 롤러(32)를 상기 플레이트부(152)측으로 밀어서 상기 도어(20)가 보다 쉽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도어(20)가 개방되며, 상기 롤러(32)가 제 1 구간(S1) 내에서 상기 제 1 곡면부(154)를 따라 이동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 보조 장치(30)에 의한 가압으로 상기 도어(2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개폐 보조 장치(30)에 의해 제공되는 회전력을 통해서 상기 도어(20)를 보다 쉽게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20)가 제 2 설정 각도(α2) 이상으로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 보조 장치(30)에 의해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한 자동 개방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어(20)가 닫히고 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2와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도어가 제 1 설정 각도(α1)의 상태에서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롤러(32)는 상기 제 1 곡면부(154)를 따라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도어 개방 각도는 점차 줄어들게 되며, 상기 롤러(32)는 상기 제 2 곡면부(155)의 시작 지점을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상기 롤러(32)의 이동에 따라 상기 로드(31)는 상기 도어(20)의 외측단(도 12 및 도 13에서 우측단)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탄성부재(33)를 압축시키게 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33)의 길이(L2)는 이전의 길이(L1) 보다 줄어들게 되며, 상기 탄성부재(33)에 의해 상기 로드(31)는 상기 플레이트부(152)를 점차 가압하게 된다.
상기 도어(20)가 지속적으로 닫히게 되어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도어 개방 각도가 제 2 설정 각도(α2)가 되면, 상기 롤러(32)는 상기 제 1 곡면부(154)와 제 2 곡면부(155)의 경계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일 예로, 상기 제 2 설정 각도(α2)는 20˚일 수 있다.
그리고, 도 14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20)가 더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롤러(32)는 제 2 곡면부(155)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 2 곡면부(155)는 상기 제 1 곡면부(154)의 경사 또는 라운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곡면부(155)는 후방으로 갈수록 상기 도어(20)의 외측단(도 24에서 우측)과 가까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33)의 길이(L3)는 압축 상태에서 점차 늘어나면서 상기 로드(31)가 돌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곡면부(155) 상에 상기 롤러(32)가 위치되는 경우 상기 로드(31)의 가압에 의해 상기 롤러(32)는 상기 제 2 곡면부(155)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 1 곡면부(154)의 끝과 상기 제 3 곡면부(156)의 끝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제 2 구간(S2) 내에서는 상기 개폐 보조 장치(30)의 가압에 의해 상기 도어는 더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가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도어(20)를 닫게 될 때 상기 롤러(32)가 상기 제 2 곡면부(155)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에는 상기 개폐 보조 장치(30)에서 제공하는 회전력이 부가되어 상기 도어(20)를 보다 쉽게 닫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32)가 상기 제 2 구간(S2) 내에 위치하는 상태하면 상기 개폐 보조 장치(30)에서 제공하는 회전력에 의해 상기 도어(20)는 자동으로 닫힐 수 있다.
한편, 도 14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20)가 더 회전되어 완전히 닫히게 되면 상기 도 15와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가 상기 캐비닛(10)을 차폐하도록 닫히게 되면, 상기 도어 개방 각도는 제 3 설정 각도가 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3 설정 각도는 0˚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롤러(32)는 상기 제 3 곡면부(156)로 진입하게 된다. 상기 제 3 곡면부(156)는 상기 제 2 곡면부(155)보다 더 함몰된 형상이므로, 상기 로드(31)는 상기 제 3 곡면부(156)를 따라서 더 외측(도 15에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탄성부재(33)의 길이는 이전의 길이(L3)보다 더 늘어난 길이(L4)를 가지게 된다.
상기 롤러는 상기 제 3 곡면부(156)의 함몰된 영역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로드(31)는 상기 플레이트부(152)를 설정된 힘으로 가압하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도, 상기 제 3 곡면부(156)는 상기 롤러(32)가 더 외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더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도어(20)의 배면에는 탄성 변형 가능한 가스켓(미도시)이 구비되며, 상기 가스켓이 상기 캐비닛(10)에 밀착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상기 도어(20)는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20) 개방 각도가 0˚보다 더 작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5와 같은 상태에서도 상기 개폐 보조 장치(30)는 상기 로드(31)가 제 3 곡면부(156)와 접하여 가압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도어(2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힘을 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20)의 개방시에는 전술한 과정의 역순으로 상기 도어(20)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개폐 보조 장치(30) 또한 역순으로 동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도어의 개폐 조작을 용이하게 하고, 장기간의 반복적인 사용에도 신뢰성 있는 동작을 보장하므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높다.

Claims (20)

  1.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 공간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상면을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상부 힌지;
    상기 도어의 하면을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하부 힌지; 및
    상기 도어의 하면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 힌지를 가압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를 위한 추가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개폐 보조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 보조 장치는,
    상기 도어 하면에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출입되며, 상기 도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하부힌지의 둘레면과 접촉상태로 이동되는 로드;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로드를 탄성 지지하며, 상기 로드가 상기 하부 힌지의 둘레면을 가압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힌지는,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도어의 하면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 축이 되는 하부 힌지축을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부의 둘레면에는 상기 로드의 단부가 접촉상태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곡면부가 형성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는 상기 로드와 마주보는 일부 구간에 형성되며,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설정 각도로 회전되어 개방된 상태까지 상기 로드와 접촉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각도는 상기 캐비닛의 전면과 상기 도어가 이루는 각도가 40˚인 냉장고.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상기 도어가 설정 각도 이상 닫힌 상태에서 상기 곡면부와 접촉을 시작하도록 형성되는 냉장고.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단부에는 상기 곡면부와 접하여 회전되는 롤러가 구비되는 냉장고.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는,
    상기 도어가 닫히게 될 때 상기 로드의 단부와의 접촉이 시작되며,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되는 방향으로 상기 로드를 이동시키는 제 1 곡면부와;
    상기 제 1 곡면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 1 곡면부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탄성부재가 인장되는 방향으로 상기 로드를 이동시키는 제 2 곡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곡면부와 제 2 곡면부는 경사 또는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냉장고.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는,
    상기 제 2 곡면부보다 더 상기 탄성부재를 인장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로드를 이동시키는 제 3 곡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로드가 상기 상기 제 3 곡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도어는 상기 저장 공간을 완전히 차폐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곡면부는 상기 제 2 곡면부의 연장방향으로 더 함몰 형성되는 냉장고.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는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는 복수의 구간으로 구성되며,
    상기 로드와 가압 접촉되어 상기 도어가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력이 제공되는 제 1 구간과;
    상기 로드와 가압 접초고디어 상기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력이 제공되는 제 2 구간을 포함하는 냉장고.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 보조 장치는 상기 도어의 하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로드가 상기 도어의 좌우 측면 중 상기 힌지가 장착된 일측단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냉장고.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전면을 포함한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
    배면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
    상기 아웃 케이스 및 도어 라이너와 결합되어 하면을 형성하는 로어 캡데코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로어 켑데코에 형성되는 냉장고.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서포트 파트와;
    상기 서포트 파트의 일 면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탄성부재를 관통하는 제 1 연장부;
    상기 서포트 파트의 반대 면에서 상기 제 1 연장부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 2 연장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파트를 기준으로 상기 탄성부재와 반대 방향에 배치되며,
    상기 서포트 파트와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가 인장되는 방향으로 상기 로드가 이동되면 압축되는 서브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파트의 일면에는 상기 제 2 연장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 3 연장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제 3 연장부는 상기 서브 탄성부재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냉장고.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장부는 상기 서포트 파트의 중앙에 위치되며,
    상기 제 2 연장부와 제 3 연장부는 상기 서포트 파트의 중앙에서 벗어난 위치에서 나란히 위치되는 냉장고.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탄성부재는 상기 로드가 상기 플레이트부와 떨어지게 되면 압축되는 냉장고.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파트에는 양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함몰된 로드 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로드 가이드는 상기 로드가 왕복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냉장고.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하방으로 개구되며,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하면에는 상기 탄성부재와 로드가 수용된 상기 하우징의 수용 공간을 차폐하는 커버가 결합되는 냉장고.
KR1020227029652A 2020-03-02 2020-03-02 냉장고 KR202201326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02956 WO2021177476A1 (ko) 2020-03-02 2020-03-02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619A true KR20220132619A (ko) 2022-09-30

Family

ID=77614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9652A KR20220132619A (ko) 2020-03-02 2020-03-02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132619A (ko)
WO (1) WO20211774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23803A (zh) * 2021-09-18 2023-03-21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冰箱
CN114061213B (zh) * 2021-11-04 2024-02-06 安徽康佳同创电器有限公司 一种冰箱闭门器及冰箱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9241Y1 (ko) * 1995-08-08 1999-05-15 김광호 냉장고의 도아힌지장치
KR0179720B1 (ko) * 1996-02-28 1999-02-18 팽수진 송풍관 연결장치
KR970062596A (ko) * 1996-02-28 1997-09-12 구자홍 온풍난방기의 공기배출장치
JP2006115920A (ja) * 2004-10-19 2006-05-11 Asahi Glass Co Ltd ドア構造およびこれを用いた保冷ショーケース
KR101255514B1 (ko) * 2011-11-08 2013-04-23 풍원공업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 힌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77476A1 (ko) 2021-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7681B1 (ko) 냉장고
US7228596B2 (en) Hinge assembly for refrigerator door
KR101897275B1 (ko)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US8328301B2 (en) Refrigerator
US7992257B2 (en) Mounting structure of a door-handle for refrigerator
US7712186B2 (en) Hinge device for refrigerator
KR20220132619A (ko) 냉장고
KR102245371B1 (ko)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396040B1 (ko) 냉장고
KR20220054275A (ko) 냉장고
KR20100046921A (ko) 냉장고
KR20090077391A (ko) 냉장고의 도어 개방장치
KR102120103B1 (ko) 저장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EP3168556B1 (en) Refrigerator
US11732952B2 (en) Refrigerator
KR102425367B1 (ko) 냉장고
US20220034577A1 (en) Multi-joint link hing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CN110821324A (zh) 一种冷柜
KR101176962B1 (ko) 냉장고
KR100518689B1 (ko) 터치 스위치 및 터치 스위치를 구비한 냉장고
KR102100191B1 (ko) 냉장고
US20240191933A1 (en) Refrigerator
KR102663280B1 (ko) 냉장고
US20240044569A1 (en) Refrigerator
KR20040056368A (ko) 김치저장고의 도어 개폐용 힌지조립체 및 이 힌지조립체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