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2462A - 단말의 위치측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의 위치측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2462A
KR20220132462A KR1020220035557A KR20220035557A KR20220132462A KR 20220132462 A KR20220132462 A KR 20220132462A KR 1020220035557 A KR1020220035557 A KR 1020220035557A KR 20220035557 A KR20220035557 A KR 20220035557A KR 20220132462 A KR20220132462 A KR 20220132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arget terminal
measuring device
information
signal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5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희찬
박효순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인포씨즈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인포씨즈시스템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PCT/KR2022/00405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203385A1/ko
Publication of KR20220132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24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009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01S5/0018Transmission from mobile station to base station
    • G01S5/0036Transmission from mobile station to base station of measured values, i.e. measurement on mobile and position calculation on base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220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2205/001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01S2205/006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for emergency situ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220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2205/001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01S2205/008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using a mobile telephone networ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220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2205/01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2205/06Emergency

Abstract

본 개시는 단말의 위치측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무선 신호 수신부 및 타겟단말기가 전송하는 무선 신호를 무선 신호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하고, 무선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무선 신호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제1 무선 신호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신호측정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단말의 위치측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POSITION MEASUREMENT SYSTEM FOR MOBILE TERMINAL}
본 개시는 이동통신 시스템 내의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일반적인 단말기와 기지국의 연결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동통신 시스템은 기지국과 단말기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단말기 위치추정방식은 단말기가 전송하는 신호를 바탕으로 해당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한다. 이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단말기가 전송하는 신호가 기지국에 도달하는 데 소요되는 신호의 지연값을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단말기가 전송하는 신호가 기지국에 도달하는 채널에서 발생하는 전파감쇄의 양을 바탕으로도 기지국과 단말기 사이의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위치추정 방법은 단말기가 전송하는 신호를 기지국이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의 무선채널상의 지연, 전파감쇄 등을 바탕으로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기지국 간의 거리가 멀어 단말기의 추정된 위치가 정확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간의 거리가 도심에서는 1-3Km 수준이고, 시골이나 산악지역은 10Km 이상이 되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의 경우 단말기가 전송하는 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기지국의 수가 많지 않다는 것이 상기 단말기 위치 추정 방식의 한계이다. 일부 핸드오버 지역에 있는 단말기의 경우 두 개 정도의 기지국에서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바탕으로 하여 좀 더 정확한 위치를 측정할 수 있지만, 이는 일부 단말기에 국한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지국과 단말기 사이에 빌딩과 같은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는 전파 지연과 감쇄가 장애물이 없는 경우보다 훨씬 크게 나타날 수 있어 정확도를 떨어뜨리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상기 단말기 위치 추정 방식에서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정확도는 수백 m 의 수준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따라, 보다 정확하게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본 개시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가 전송하는 신호를 바탕으로 보다 정확한 위치추정을 할 수 있는 위치측정시스템을 제안한다.
또한, 본 개시는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데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 및 효율성 증대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일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무선 신호 수신부 및 타겟단말기가 전송하는 무선 신호를 무선 신호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하고, 무선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무선 신호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제1 무선 신호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타겟단말기에 대한 정보는, 무선 신호의 수신전력 측정값 및 무선 신호의 수신전력 측정값과 무선 신호의 수신전력 측정값의 최댓값과의 차이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측정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무선 신호 수신부 및 타겟단말기가 전송하는 무선 신호를 상기 무선 신호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하고, 무선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무선 신호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제1 무선 신호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타겟단말기에 대한 정보는, 타겟단말기의 존재 확률 정보 또는 무선 신호의 수신전력의 측정값이 등고선 형식으로 표시되는 신호측정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통신부 및 적어도 하나의 신호측정기로부터 타겟단말기가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무선 신호 관련 정보를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하고, 무선 신호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위치측정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는 신호측정기에서 단말의 위치측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타겟단말기가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무선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무선 신호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제1 무선 신호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는 위치측정서버에서 단말의 위치측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신호측정기로부터 타겟단말기가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무선 신호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무선 신호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타겟단말기가 전송하는 이동통신 상향링크 신호뿐 아니라 D2D 통신 신호, 비면허대역 통신신호 또는 초광대역통신신호를 신호측정기가 측정하여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표시하는 효율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신호측정기는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전송과 관련한 자원할당 및 전송시점 등의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바탕으로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를 측정한다. 다수의 신호측정기들을 사용하여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 전송의 수신시간, 수신전력, 수신되는 방향 등의 정보를 바탕으로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종자, 조난자의 위치를 보다 정확히 파악하여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신호측정기를 사용하는 탐색자가 보다 빠른 시간내에 타겟단말기를 탐색할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시한다.
또한, 본 개시는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데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 및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지국 기반의 위치 측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위치 측정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측정시스템의 구성 간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 대한 신호측정기와 위치측정서버와 기지국의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측정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측정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겟단말기의 수신전력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겟단말기의 수신전력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겟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겟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측정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측정기에서 단말의 위치측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측정서버에서 단말의 위치측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개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의미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은 무선 통신에서의 단말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LTE, HSPA 및 IMT-2020(5G 또는 New Radio) 등에서의 UE(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기지국 또는 셀(Cell)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gNB(gNode-B), LPN(Low Power Node), 섹터(Sector), 싸이트(Site),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포인트(예를 들어, 송신포인트, 수신포인트, 송수신포인트), 릴레이 노드(Relay Node), 메가 셀, 매크로 셀, 마이크로 셀, 피코 셀, 펨토 셀,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스몰 셀(small cell)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앞서 나열된 다양한 셀은 각 셀을 제어하는 기지국이 존재하므로 기지국은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1) 무선 영역과 관련하여 메가 셀, 매크로 셀, 마이크로 셀, 피코 셀, 펨토 셀, 스몰 셀(small cell)을 제공하는 장치 그 자체이거나, 2) 무선 영역 그 자체를 지시할 수 있다. 1)에서 소정의 무선 영역을 제공하는 장치들이 동일한 개체에 의해 제어되거나 무선 영역을 협업으로 구성하도록 상호 작용하는 모든 장치들을 모두 기지국으로 지시한다. 무선 영역의 구성 방식에 따라 포인트, 송수신 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 등은 기지국의 일 실시예가 된다. 2)에서 사용자 단말의 관점 또는 이웃하는 기지국의 입장에서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게 되는 무선 영역 그 자체를 기지국으로 지시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셀(Cell)은 송수신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또는 transmission/reception point)로부터 전송되는신호의 커버리지를 가지는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그 송수신 포인트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개시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Uplink 또는 Downlink)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에서의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장치는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단말 또는 별도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장치의 제한은 없다.
상향링크(Uplink, UL, 또는 업링크)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하향링크(Downlink, DL, 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 TDD 방식과 FDD 방식의 혼용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하향링크는 상향링크에 대한 자원할당 정보 및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주파수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하향링크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반송파 또는 반송파 쌍을 기준으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구성하여 규격을 구성한다.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등과 같은 제어 채널을 통하여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과 같은 데이터 채널로 구성되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하향링크(downlink)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에서 단말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에서 다중 송수신 포인트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PUCCH, PUSCH, PDCCH 및 PDSCH 등과 같은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되는 상황을 'PUCCH, PUSCH, PDCCH 및 PDSCH를 전송, 수신한다'는 형태로 표기하기도 한다.
한편, 이하에서 기재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High Layer Signaling)은 RRC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RRC 정보를 전송하는 RRC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기지국은 단말들로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기지국은 유니캐스트 전송(unicast transmission)을 위한 주 물리 채널인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의 수신에 필요한 스케줄링 등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 및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에서의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승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 되는 것을 해당 채널이 송수신되는 형태로 기재하기로 한다.기지국은 PDCCH를 통해서 단말기에게 자원할당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또한 기지국은 PDSCH를 통해서도 단말기에게 자원할당 및 신호전송에 대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OFDM-TDMA, OFDM-F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NOMA는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와 LDS(Low Density Spreading) 등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GSM, WCDMA, HSPA를 거쳐 LTE/LTE-Advanced, IMT-2020으로 진화하는 비동기 무선 통신과, CDMA, CDMA-2000 및 UMB로 진화하는 동기식 무선 통신 분야 등의 자원 할당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를 지원하는 단말 또는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는 단말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및/또는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기 위한 특정 카테고리로 정의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개시에서 MTC 단말은 LTE 기반의 MTC 관련 동작을 수행하는 새롭게 정의된 3GPP Release-13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UE category/type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본 개시에서 MTC 단말은 기존의 LTE coverage 대비 향상된 coverage를 지원하거나, 혹은 저전력 소모를 지원하는 기존의 3GPP Release-12 이하에서 정의된 UE category/type, 혹은 새롭게 정의된 Release-13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UE category/type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Release-14에서 정의된 further Enhanced MTC 단말을 의미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NB-IoT(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단말은 셀룰러 IoT를 위한 무선 액세스를 지원하는 단말을 의미한다. NB-IoT 기술의 목적은 향상된 인도어(Indoor) 커버리지, 대규모의 저속 단말에 대한 지원, 저지연민감도, 초저가 단말 비용, 낮은 전력 소모, 그리고 최적화된 네트워크 구조를 포함한다.
3GPP에서 최근 논의 중인 NR(New Radio)에서 대표적인 사용 시나리오(usage scenario)로서,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URLLC(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가 제기되고 있다.
본 개시에서 NR(New Radio)과 관련한 주파수, 프레임, 서브프레임, 자원, 자원블럭, 영역(region), 밴드, 서브밴드, 제어채널, 데이터채널, 동기신호, 각종 참조신호, 각종 신호, 각종 메시지는 과거 또는 현재 사용되는 의미 또는 장래 사용되는 다양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LTE 기술을 중심으로 설명하나, 5G NR에도 본 개시의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서브프레임은 NR에서의 슬롯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TTI는 하나의 스케줄링 단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NR에서의 슬롯 또는 미니슬롯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 외에도 LTE를 기준으로 설명한 내용은 3GPP에서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NR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내용은 이후에 새롭게 도입되는 통신 시스템에 대해서도 기술적 사상에 반하지 않는 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위치 측정을 위한 측위 시스템의 동작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에서는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를 획득하여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장치를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장치로 기재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용어는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 정보수집장치, 신호측정장치, 신호측정기 또는 위치측정기 등의 용어로 대체되어 설명될 수 있다. 즉, 전술한 용어들은 동일한 대상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이하 본 개시에서는 단말과 기지국 두 가지 노드를 기준으로 기술적 사상에 대해서 설명하나, 이는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단말과 단말 간에도 동일한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에서 설명하는 기지국은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하나의 노드를 예시적으로 개시하여 설명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타 단말 또는 인프라 장치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단말과 기지국 간의 통신 뿐만 아니라, 단말 간 통신(Device to Device), 사이드 링크 통신(Sidelink), 차량 통신(V2X) 등에 적용될 수도 있다. 특히, 차세대 무선 액세스 기술에서의 단말 간 통신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신호, 채널 등의 용어는 단말 간 통신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비면허대역의 통신 또는 초광대역통신 등의 다양한 통신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SS 및 SSS는 각각 단말 간 통신에서 PSSS(Primary D2D Synchronization Signal) 및 SSSS(Secondary D2D Synchronization Signal)로 용어가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PBCH와 같이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전달하는 채널은 PSBCH로, PUSCH 및 PDSCH와 같이 사이드링크에서 데이터를 전달하는 채널은 PSSCH로, PDCCH 및 PUCCH와 같이 제어정보를 전달하는 채널은 PSCCH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단말 간 통신에서는 디스커버리 신호가 필요하며, 이는 PSDCH를 통해서 송수신된다. 다만, 이러한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개시에서는 기술적 사상을 단말과 기지국 간의 통신을 예시적 기준으로 설명하되, 필요에 따라 기지국 노드가 타 단말로 대체되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는 무선통신 시스템, 특히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가 어떠한 위치에 있는지의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개시에서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하향링크 신호 수신부와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를 같이 구비한 새로운 형태의 신호측정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신호측정기는 다수의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수의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는 서로 다른 물리적인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는 기지국이 전송하는 하향링크의 신호를 분석하여 어떠한 신호가 상향링크를 통해서 단말에서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향링크 신호 수신기를 통해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상향링크의 데이터가 단말에서 기지국으로 전송되는지를 판단하고, 수신된 신호 또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단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는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타겟단말기의 자원할당 및 상향링크 전송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를 통해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단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의 관련 분야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들의 위치정보 획득 기술이다.
본 실시예들의 적용가능제품 및 방법은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한 실종자들의 위치 측정과, 재난 및 조난 발생시 인명구조를 위한 위치 추정이다.
본 실시예들과 가장 관련도가 높은 종래기술은 가장 연관성이 높은 것은 이동통신 시스템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개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한편, 이하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이동통신 시스템에는 기지국과 단말기가 신호를 주고 받는다. 본 개시는 위치를 추적하고자 하는 타겟단말기의 주변에 신호측정기를 배치하고, 신호측정기가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상향링크 신호에 대한 정보를 위치측정서버에 전송하여, 위치측정서버가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측정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는 타겟단말기가 전송하는 상향링크 신호를 포착하고 위치측정서버는 이를 바탕으로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한다.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상기 신호측정기 한 개 이상을 타겟단말기 주변에 배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는 사람이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차량 및 드론 등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개시에서 이동통신 시스템은 LTE 기반의 이동통신 시스템을 가정하여 기술하나, 다른 기술을 적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특히, 이동통신 시스템 중 서킷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인 GSM 및 W-CDMA 방식의 통신시스템에서도 단말기의 위치를 정확히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다른 이동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다양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적용이 가능하다.
본 개시의 위치측정을 위한 장치는 이동이 가능하다. 종래의 방식에서는 위치측정을 위한 장치가 고정된 위치에 존재하였지만, 본 개시에서는 이를 소지하고 이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개시의 장치는 이동이 가능하므로, 본 개시의 장치를 소지한 사람 또는 사물이 위치측정을 하려는 타겟단말기에 보다 근접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즉, 타겟단말기에 보다 가까이 갈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타겟단말기의 위치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본 개시의 장치는 고정된 위치에 설치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정확히 측정하는 데 활용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본 개시는, 일 측면에서,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으로부터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의 채널 설정 정보를 획득하고, 채널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를 통해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향링크 신호에 대한 정보(이하에서, 상향링크 신호 관련 정보로도 지칭될 수 있음)를 측정하고,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에 대한 정보를 위치측정서버에 전송하는 신호측정기와, 신호측정기로부터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측정서버를 포함하는 위치측정시스템을 제안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신호 수신부,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의 채널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제어부, 채널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상향링크 신호에 대한 정보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 및 상향링크 신호에 대한 정보를 위치측정서버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신호측정기를 제시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는 이동통신 네트워크로부터 타겟단말기의 자원할당 정보 및 상향링크의 전송과 관련된 파라미터 들을 수신하고, 상기 자원할당 정보 및 전송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수신부를 통해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향링크 신호에 대한 정보를 측정하고,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에 대한 정보를 위치측정서버에 전송하는 신호측정기와, 신호측정기로부터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측정서버를 포함하는 위치측정시스템을 제안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는 이동통신 네트워크로부터 타겟단말기의 자원할당 및 상향링크 전송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자원 할당 및 상향링크 전송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향링크 신호에 대한 정보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를 포함하고, 통신부는 타겟단말기의 식별정보 및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에 대한 정보를 위치측정서버에 전송하는 신호측정기를 제시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는 본 개시는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보다 빠른 시간내에 탐색을 가능하게 하는 신호측정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시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신호측정기 및 위치측정서버의 동작 및 구조를 제시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는 신호측정기로부터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계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위치측정서버를 제시한다.
본 개시에서는 신호측정기는 단말기가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신호를 측정하여 타겟단말기의 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전달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단말이 다른 형태의 무선신호를 전송에 사용할 때에도 공히 적용이 가능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이는 타겟단말기가 다른 단말에게 전송하는 D2D 통신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타겟단말기가 전송하는 비면허 대역 또는 초광대역통신 신호를 바탕으로 신호측정기가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위치 측정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250)과 단말기(210)가 서로 신호를 주고 받는다.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220, 230, 240)는 위치를 측정하고자 하는 단말기(이하, 타겟단말기 또는 타겟단말기로 기재)(210) 주변에 배치되어 타겟단말기(210)가 전송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위치측정서버(도시되지 않음)는 이를 바탕으로 타겟단말기(210)의 위치를 측정한다.
이 때 타겟단말기(210)가 전송하는 신호가 각 신호측정기(220, 230, 240)에 도달하는 신호의 지연과 수신 신호의 크기 등으로 바탕으로 타겟단말기(210)의 위치를 측정한다.
또한, 신호측정기는 신호가 수신되는 각도 또는 방향을 사용하여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예시로, 신호측정기는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신호측정기는 각각의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에 연결된 안테나에서 상향링크 신호가 수신된 각도 또는 방향, 수신 시점 및 수신 전력 정보를 조합하여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신호측정기는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신호측정기는 각각의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에 연결된 안테나에서 상향링크 신호가 수신된 각도 또는 방향 정보를 위치측정서버에 전송하고, 위치측정서버는 수신된 신호의 수신 각도 또는 수신 방향 정보, 수신 시점 및 수신 전력 정보를 조합하여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한 위치 측정을 위해 더 많은 수의 신호측정기를 타겟단말기(210) 주변에 배치 할 수 있다.
이러한 측정을 위해서는 기지국과 타겟단말기 사이에 링크가 형성되어 타겟단말기가 상향링크를 전송하여야 한다. 또한, 이미 기지국과 링크가 형성되어 있는 타겟단말기의 경우에도 보다 정확한 측정을 위해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신호측정기가 사전에 약속한 신호를 타겟단말기가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이렇게 기지국과 타겟단말기와의 링크를 형성하는 것과 서로 약속된 신호를 타겟단말기가 전송하도록 기지국이 설정하는 것을 측위를 위한 링크형성이라고 정의한다.
타겟단말기와 기지국간의 링크 형성요청은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가 이동통신 시스템에 직접 요청할 수도 있다. 또는, 탐색자가 상기 요청을 본 개시의 위치측정서버에 전달하면, 위치측정서버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전달하고, 이동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링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신호측정기에게 알려줄 수 있다.
상기 과정에서 타겟단말기 인근에 배치된 신호측정기 중 하나가 마스터가 되어 상기 링크형성에 대한 설정 및 해지 등의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방법으로 모든 신호측정기가 같은 권한을 가지고 상기 링크 형성에 대한 설정 및 해지 등의 요청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위치측정서버가 타겟단말기와 상기 타겟단말기에 대한 신호측정기의 위치의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동통신망에 호를 설정을 요청하거나, 상기 신호측정기에게 타겟단말기에 대한 신호측정을 명령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신호측정기(220, 230, 240)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타겟단말기(210)가 전송하는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의 크기 및 시간지연 정보를 바탕으로 타겟단말기(210)의 위치측정을 수행한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타겟단말기(210)가 신호를 전송하는 시점을 획득하기 위해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220, 230, 240)는 기지국(250)이 전송하는 신호인 하향링크 신호 수신부를 포함한다. 즉,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220, 230, 240)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송하는 하향링크 신호 수신부로 순방향 신호(하향링크 신호)를 포착하고 이를 바탕으로 역방향 링크의 신호(상향링크 신호)가 전송되는 시점을 추정한다.
이를 위해, 신호측정기는 타겟단말기가 접속한 서빙기지국 또는 상기 서빙 기지국과 시간 오프셋의 정보를 확보하는 있는 기지국의 하향링크 신호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를 검출한다. 즉, 신호측정기는 역방향 링크의 신호가 전송되는 기준시점을 획득하고 이 기준 시점 주변에 타겟단말기(210)가 전송하는 역방향 신호를 포착 및 수신한다. 상기 과정에서 신호측정기가 수신하는 하향링크 신호는, 타겟단말기에게 제어정보 또는 채널 설정 정보, 구체적으로, 자원할당 정보를 전송하는 주파수대역을 수신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신호측정기의 하향링크 신호 수신부는 타겟단말기와 호설정을 하고 있는 기지국의 신호를 수신한다. 이 과정에서 필요하다면 신호측정기에 구비되어 있는 하향링크 신호 수신부는 기지국이 전송하는 시스템 정보인 BCCH (Broadcasting Control Channel) 또는 BCH 등의 정보들을 수신하여 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파라미터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측정시스템의 구성 간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개시는 종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120)과 타겟단말기(110)가 서로 무선으로 신호를 주고 받는 것을 전제한다. 본 개시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송수신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LTE 이동통신 시스템을 대상으로 기술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해당 통신 시스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의 위치측정시스템은 타겟단말기(110)의 위치를 측정하려는 신호측정기(130)와 위치측정서버(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신호측정기(130)는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130)는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와 하향링크 신호 수신부를 통해 타겟단말기(110)와 기지국(120) 사이에 전송하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측정기(130)의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와 하향링크 신호 수신부는 상향링크 신호 또는 하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주체인 기지국(120)과 단말에 포함된 신호 수신부가 아니며, 타 통신 장비의 상향링크 신호와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타 통신 장비는 타겟단말기가 될 수 있다.
신호측정기(130)는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타겟단말기(110)의 상향링크 신호의 수신시점과 전파세기, 수신전력 또는 전파감쇄 등을 측정한다. 또한, 신호가 수신되는 방향, 각도 등도 측정할 수 있다. 신호측정기(130)는 타겟단말기(110)가 전송하는 신호를 측정하여 이를 위치측정서버(140)에 전송하고, 이를 바탕으로 위치측정서버(140)는 타겟단말기(110)의 위치를 계산하여 신호측정기(130)에게 전송한다. 이 위치정보를 수신한 신호측정기(130)는 타겟단말기(110)의 위치를 디스플레이부 등의 출력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먼저, 신호측정기(130)는 통신부를 통해 기지국(120)으로부터 타겟단말기(110)의 식별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통신부는 기지국(120) 또는 위치측정서버(140)와 같은 타 통신 장비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 또는 하향링크 신호 수신부와 별개의 구성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통신부의 수신측은 하향링크 신호 수신부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기지국(120) 또는 위치측정서버(14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신호측정기(130)는 하나의 기지국(120)이 단말기에게 할당하는 임시 ID에 해당하는 RNTI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를 타겟단말기(110)의 식별정보로 수신할 수 있다.
RNTI라 함은 한 기지국 내에서의 단말기의 임시 ID로 사용되며, 한 단말기에게 어떤 RNTI가 할당될 지 알 수 없으므로 익명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RNTI를 단말기를 식별하는 방법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하나의 기지국 또는 셀 내에서 단말기에게 임시로 할당하는 ID라면 동일한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일 실시예에서, 실종자(또는 조난자)에 대한 신고를 하게 되면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120)은 하나의 RNTI를 상기 실종자에게 할당하고, 이 RNTI 정보를 신호측정기(130)들에게 알려준다. 상기 RNTI 정보를 받은 신호측정기(130)는 해당 RNTI를 사용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기(110)의 상향링크 신호를 검출하여 이 단말기(110)의 위치를 추정한다. 상기 과정에서 기지국이 RNTI의 정보를 신호측정기에게 직접 전송할 수 있지만, 타겟단말기 정보 서버를 사용하여 기지국이 RNTI의 정보를 통신서버에게 전송하고, 이 통신서버가 신호측정기에게 RNTI 정보를 전송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호측정기가 위치추적을 하고자 하는 타겟단말기(110)의 RNTI 정보를 받을 때 또는 받은 후, 기지국(120)에서는 상기 타겟단말기(110)의 대략적인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신호측정기(130)를 타겟단말기(110)들 주변에 배치하고 위치 측정을 시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130)는 위치측정을 하려고 하는 타겟단말기(110)가 할당받은 RNTI 기반으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신호의 검출을 시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130)는 상향링크로 전송하는 타겟단말기(110)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향링크의 시간적인 동기를 획득하여야 한다. 상향링크 전송시점에 대한 시간적인 동기를 위해 신호측정기(130)들은 하향링크 신호 수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 즉,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여 시스템의 시간정보를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타겟단말기(110)가 역방향 채널로 전송하는 시간적인 동기를 확보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필요하다면 신호측정기(130)에 구비되어 있는 하향링크 신호 수신부는 기지국(120)이 전송하는 시스템 정보인 BCH, dynamic BCH 등의 정보들을 수신하여 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파라미터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이 때 상향링크로 타겟단말기(110)가 언제 신호를 전송하는 지의 정보를 신호측정기(130)가 획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일 실시예에서, 신호측정기(130)는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신호 수신부를 통해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정보 및 타겟단말기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의 자원 할당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측정기(130)는 하향링크 신호 수신부를 사용하여 하향링크에 전송되는 제어정보인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수신하여 상향링크 신호의 전송 여부와 전송되는 자원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종래의 LTE 수신부와 동작이 다른 것은 본 개시의 하향링크 신호 수신부는 타 사용자에게 전송되는 제어정보를 수신한다는 것이다. 즉, 자신에게 전송되는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아닌 다른 단말기(타겟단말기기)에게 전송되는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것이다. 이렇게 수신한 타겟사용자 제어정보를 바탕으로 신호측정기(130)는 타겟단말기(110)에게 할당된 상향링크 자원의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상향링크의 자원할당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는 추가적으로 타겟단말기(110)에게 전송되는 순방향채널의 제어채널뿐 아니라 이에 할당되어 전송되는 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의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과정을 통해 타겟단말기(110)가 상향링크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 시점과 자원에 대한 정보를 신호측정기(130)가 획득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신호측정기(130)는 타겟단말기(110)가 전송하는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신호측정기(130)가 타겟단말기의 신호를 포착하면,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의 수신 시점과 수신 전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위치측정서버(140)에 전송한다. 이 때 각 신호측정기(130)가 전송하는 타겟단말기의 신호에 대한 정보는 타겟단말기의 RNTI 정보 (또는 단말의 ID정보), 상향링크 신호의 수신 시간, 수신 전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향링크 신호의 수신 시간의 정보는 GPS 등을 기준으로 만들어진 절대적인 시점을 모든 신호측정기(130) 사이에 공유하고 이를 기준으로 하여 상대적인 수신시간의 정보를 의미한다. 즉, 모든 신호측정기들 사이의 하나의 공통된 시간의 정보가 공유되고 이 시점을 기준으로 하는 상대적인 수신시간을 의미한다. 신호측정기(130)는 상기 측정정보 이외에 타겟단말기(110)의 신호를 측정한 시간정보를 전송하여 실시간의 위치추적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수신시점의 정보로부터 타겟단말기에서부터 신호측정기까지의 상향링크 신호가 전파되는 시간의 정보가 계산될 수 있다. 특히, 여러 신호측정기가 수신시점의 정보를 획득하거나, 한 신호측정기가 여러 장소에서 수신시점의 정보를 획득하며, 이를 바탕으로 전파의 시간지연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타겟단말기와 신호측정기 사이의 거리가 계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위치측정시스템은 위치측정서버(140)를 구비할 수 있다. 위치측정서버(140)는 신호측정기(130)로부터 타겟단말기(110)의 상향링크 신호의 수신 시점과 수신 전력 정보를 수신하고, 타겟단말기(110)의 상향링크 신호의 수신 시점과 수신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단말기(110)의 위치를 계산하고, 계산된 타겟단말기(110)의 위치 정보를 신호측정기(130)에 송신한다. 또한 신호측정기는 타겟단말기의 신호를 수신한 시간의 정보를 위치측정서버에 전송하여 언제 측정이 이루어졌는지를 알릴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위치측정서버는 각기 다른 시점에 이루어진 신호측정기의 측정결과를 결합하여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위치측정서버(140)는 하나 이상의 신호측정기로부터 타겟단말기(110)의 ID 정보, 상향링크 신호의 수신 시점과 수신 전력에 대한 측정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측정서버(140)는 신호측정기들이 전송한 측정정보를 바탕으로 삼각측량과 전파감쇄 등의 정보를 바탕으로 타겟단말기(110)의 위치를 계산하고 이 정보를 신호측정기들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사용하는 위치측정방법은 기존에 많은 연구에서 사용되었던 다양한 기술들을 적용할 수 있으며, 본 개시는 이러한 위치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신호측정기 및 그 운용환경에 대한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개시에서 위치측정서버(140)는 산출된 타겟단말기(11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타겟단말기(110)의 정보를 신호측정기(130)에 전송한다. 타겟단말기(11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 신호측정기(130)는 이를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출력장치에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 일 실시예에서, 신호측정기(130)가 타겟단말기(110)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방법으로 지도 위에 타겟단말기(110)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위치측정의 정확도는 신호측정기(130)가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정확도가 달라질 수 있다. 보다 정확한 위치측정을 위해서는 신호측정기(130)의 배치를 측정오차가 감소하는 방향 또는 탐색시간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변경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측정기(130)는 신호측정기(130) 자신의 위치 정보를 위치측정서버(140)에 전송하고, 위치측정서버(140)는, 하나 이상의 신호측정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신호측정기의 위치 정보를 각각 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신호측정기와 타겟단말기 사이의 배치가 타겟단말기의 위치 측정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거나 타겟단말기의 탐색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측정기의 이동방향을 산출하고, 하나 이상의 신호측정기 각각의 이동방향 정보를 하나 이상의 신호측정기 각각에 전송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에서 위치측정서버(140)는 신호측정기(130)가 전송한 측정 데이터를 바탕으로 타겟단말기(110)의 위치를 측정할 뿐 아니라, 각 신호측정기(130)의 이동방향에 대한 정보를 신호측정기(13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도 위에 타겟단말기(110)의 위치를 표시할 뿐 아니라 신호측정기(130)의 위치를 표시하고, 측정오차를 감소하기 위해 신호측정기(130)가 이동하여야 하는 방향 또는 목적지의 정보를 화살표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130)는 자신의 위치뿐 아니라 타 신호측정기(130)의 위치정보를 지도 위에 표시하여 각 신호측정기(130) 사용자들 사이의 위치를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타겟단말기(110)의 위치, 사용하는 신호측정기(130)의 위치, 타 신호측정기(130)의 위치를 각기 다른 색 또는 모양의 표시를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 대한 신호측정기(130)와 위치측정서버(140)와 기지국(120)의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130)는 초기화 과정에서 인접한 기지국(120)의 신호를 포착하여 이에 대한 시간동기를 확보하고 기지국(120)이 하향링크로 전송하는 시스템 정보를 획득한다(S410). 또한, 신호측정기(130)는 위치를 파악하고자 하는 타겟단말기(110)의 RNTI 값을 포함한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수신한다(S420). 상기 타겟단말기(110)의 정보는 LTE 하향링크를 통해 수신할 수 있지만 다른 통신채널을 통해 입력받을 수도 있다. 전술한 초기과정에서 LTE의 시스템에 대한 동기과정과 타겟단말기(110)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순서가 변경되어도 동작에 변화가 없다. 상기 과정에서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가 신호측정기에게 타겟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직접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상기 타겟단말기의 식별정보를 별도의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가 본 신호측정기들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과정에서 타겟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신호측정기에게 전송하는 서버를 본 발명의 위치측정서버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위치측정서버는 기지국으로부터 타겟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신호측정기에게 전송하는 기능도 같이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초기과정을 거친 신호측정기(130)는 LTE 하향링크를 통해 기지국(120)이 전송하는 제어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제어정보에는 상향링크에 대한 자원할당 등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신호측정기(130)는 수신된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의 스케줄링 정보 또는 자원 할당 정보를 획득한다(S430). 신호측정기(130)는 스케쥴링 정보 또는 자원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단말기(110)가 전송하는 상향링크 신호의 검출을 시도한다(S440). 신호측정기(130)는 검출된 신호가 신호측정기(130)에 도달한 시간 및 수신 전력 등을 측정하고 이 측정정보를 위치측정서버(140)에 전송한다(S450). 일 실시예에서 신호측정기(130)는 자기의 위치정보를 측정시간, 수신전력 등 상향링크에 대한 측정정보와 함께 위치측정서버(14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스케쥴링 정보는 상향링크 채널의 주파수, 전송시간 및 주기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및 DMRS에 사용하는 시퀀스의 생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퀀스는 데이터 또는 DMRS를 스크램블링 또는 확산하여 신호를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위치측정서버(140)는 한 개 이상의 신호측정기(130)가 전송하는 측정 정보를 바탕으로 타겟단말기(110)의 위치를 계산한다(S460). 계산된 타겟단말기(110)의 위치정보는 각 신호측정기(130)에 전송되며(S470), 신호측정기(130)는 상기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출력장치로 출력한다(S480).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위치측정서버(140)가 디스플레이와 같은 출력장치를 포함하는 경우, 위치측정서버(140)의 출력장치에 타겟단말기(110)의 위치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신호측정기(130)와 위치측정서버(140)는 전술한 타겟단말기(110)의 상향링크 신호 측정 과정과 타겟단말기(110)의 위치 측정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또한, 신호측정기는 다른 신호측정기의 위치정보도 같이 신호측정기에게 전달하며,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는 타겟단말기의 위치, 탐색자가 사용하고 있는 신호측정기의 위치, 타 신호측정기의 위치를 신호측정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측정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는 이동통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신호 수신부(510)와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호측정기는 수신된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530)를 포함할 있다. 선택적으로, 신호측정기는 기지국 또는 위치측정서버 또는 타 신호측정기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540), 절대 시간과의 동기를 수행하는 GPS 수신부(570),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550), 제어부(530)에 의해 처리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5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향링크 신호 수신부(510)와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520)는 LTE 하향링크 신호 수신부 및 LTE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하향링크 신호 수신부는 타겟단말기가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주파수 대역을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설정하여 동작할 수 있다. 본 개시는 LTE 시스템을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다른 무선통신 시스템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즉, 타겟단말기의 호가 설정된 통신 시스템이 GSM 또는 W--CDMA라면, 상기 하향링크 수신부 (510), 상향링크 수신부(520)은 각각 GSM 또는 W-CDMA 시스템의 수신기로 구현된다.
상기 LTE 하향링크 신호 수신부는 초기의 LTE의 하향링크 신호를 포착하여 시스템 시간동기를 획득하고, 기지국 ID와 시스템 정보 등을 획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기지국에서 전송하는 신호를 측정하여 햐향링크의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또한, 기지국의 ID 또는 원하는 기지국의 서비스범위에 있는지의 여부를 표시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기지국의 서비스범위 내에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하향링크 수신기를 통해 BCCH 등을 수신하고 시스템의 정보를 획득한다.
또한, 하향링크 신호 수신부(510)는 기지국이 타겟단말기에 전송하는 제어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LTE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는 타겟단말기에게 할당된 상향링크 전송자원의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본 개시의 또 다른 구현의 예에서는 통신부(540)을 통해 타겟단말기의 자원할당 정보를 통신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상기 통신서버로 위치측정서버가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의 예에서는, 이동통신네트워크와 신호측정기 간에 사전에 정의한 자원과 시간에 타겟단말기의 신호를 전송하도록 설정하고 상기 자원할당 정보 및 정보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 후, 제어부(530)는 타겟단말기에 할당된 상향링크 전송자원의 정보를 바탕으로 타겟단말기의 전송신호를 검출하고 그 신호의 도달 시점과 신호 전력 등을 계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는 절대적인 시간기준을 확보하여 각 신호측정기에서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시점의 차이를 계산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GPS 수신부(570)로부터 수신한 GPS 신호를 바탕으로 신호측정기들이 시간적인 동기를 확보한다. 이 과정에서 GPS뿐 아니라 측위 또는 시간정보를 위해 사용하는 SBAS, Galileo 등의 다른 기술을 사용하거나 GPS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는 다른 형태의 신호측정기들간의 상호 간의 시간동기를 확보하거나, 도달하는 시점의 차이를 구별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밀도의 시계를 사용하고 이를 신호측정기간의 동기를 사전에 맞추어 사용하거나 상대적인 차이를 계산할 수 있다면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시간의 측정을 LTE 하향링크 신호 수신부의 특정신호가 수신된 시점과 타사용자의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한 시점과의 시간차를 바탕으로 위치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수신 시간에 대한 정보는 위치측정서버로 전송된다.
본 개시에서 위치측정서버와 통신하거나 타 신호측정기와의 직접적인 통신이 필요로 하는 경우 별도의 통신부(540)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540)는 타겟단말기의 신호를 측정하는 대역과는 서로 다른 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타겟단말기가 전송하는 상향링크 신호에 상기 통신장치가 간섭을 주지 않기 위해서이다.
도 5의 신호측정기는 사용자에게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등의 출력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을 위한 입력부(550)를 구비하는 데, 상기 입력부(550)를 통해 사용자가 현재 신호측정기의 위치의 정보를 수동으로 입력하는 등 추가적인 정보를 입력하여 위치측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만일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가 무인 드론에 설치되어 있다면, 위치측정서버가 계산한 위치정보를 신호측정기에 전송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대신 위치측정서버에서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거나 탐색자가 소지한 또 다른 형태의 터미널에 이를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의 예로 위치측정서버가 상기 위치정보를 또 다른 서버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드론을 제어하고 조정하는 사람들에게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알릴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모니터링 하는 관제실로 상기 정보를 전송하여 이를 디스플레이로 표시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위치측정서버가 신호측정기 사이에게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전송하는 기능을 끌 수 있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신호측정기의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디스플레이 하는 기능을 끌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겟단말기 및 신호측정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타겟단말기와 신호측정기들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거나 신호측정기의 위치를 제어하는 사용자들이 소지한 다른 단말기에 전송하여 해당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본 개시에서는 디스플레이, 소리, 진동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드론과 같이 이동체에 신호측정기를 장착한 경우 상기 이동체를 조정하는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기반으로 이동체를 직접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명령이 위치측정서버로 전달되고 이를 위치측정서버가 수신하여 상기 이동체에 제어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위치측정서버가 상기 이동체의 방향을 계산하여 이를 이동체에 직접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도 5의 제어부(530)는 전술한 신호측정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530)는 각 장치들과 연결되어 본 개시에서 설명한 정보수신, 측정, 통신, 입출력등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측정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신호측정기의 구성과 다른 점은, 외부 다른 장비 (위치측정서버 또는 타 신호측정기)와의 통신, 디스플레이, 입력장치 등의 기능을 외부의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과 같은 단말기(650)와 연결하여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의 부품의 수를 감소하여 구현했다는 점이다. 도 6의 신호측정기(600)는 하향링크 신호 수신부(610),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620), 제어부(630), GPS 수신부(640)를 포함하고, 타 장비와의 통신 기능, 표시 기능, 입력 기능 등은 상용 테블릿,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650)에 연결하여 구현한다. 도 6의 점선의 사각형안에 표시된 부분이 새로운 형태의 신호측정기의 구현이다. 도 6의 제어부(630)과 단말기(650) 사이의 연결은 USB와 같은 유선을 사용하여 연결할 수도 있지만, WIFI 등과 같이 유선의 연결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다른 구현으로 유선연결과, 무선연결을 모두 구비하고 상황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신호측정기에는 전원 ON/OFF, 기능설정 등을 위한 간단한 입출력장치를 점선의 사각형안의 신호측정기에 추가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정밀측정 하려는 경우,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한 종래의 측위시스템을 통해 타겟단말기의 대략적인 위치를 파악한다. 상기 종래의 측위 시스템에서의 타겟단말기의 위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타겟단말기가 존재하는 셀의 정보일 수 있다. 또한, WIFI 등의 종래 측위 시스템을 추가적으로 사용하여 특정 지점에서 일정 반경 이내에 존재한다는 정보일 수 있다.
본 개시는 종래의 타겟단말기의 위치 측정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하여 단말기의 대략적인 위치를 파악한 후, 이 정보를 바탕으로 타겟단말기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예를 들면, 종래의 조난자의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면 대략적인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대략적인 타겟단말기의 위치 부근에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를 배치한다.
이 이후에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 중 하나가 이동통신 시스템에 정밀한 위치측정을 위해 타겟단말기와 기지국간의 링크 형성을 요청한다. 또 다른 구현의 예로 타겟단말기를 찾고자 하는 사람이 위치측정서버에 직접 링크형성을 요청할 수도 있다. 이동통신 네트워크는 타겟단말기와 기지국 간의 링크를 형성하고, 이에 대한 설정정보를 본 발명의 신호측정기에게 전달한다. 상기 정보에는 타겟단말기와 기지국간에 형성된 링크가 사용하는 주파수, 다중접속에 사용되는 시간 또는 확산 부호 정보 및 채널의 전송포맷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신호측정기는 타겟단말기가 전송하는 신호를 검출 및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이동통신 네트워크가 직접 신호측정기에게 전해줄 수도 있지만, 이를 하나의 통신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통신서버가 신호측정기에게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위치측정서버가 상기 통신서버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타겟단말기와 기지국간의 링크 형성요청은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가 이동통신 시스템에 직접 요청할 수도 있다. 또는, 신호측정기가 상기 요청을 본 개시의 위치측정서버에 전달하면, 위치측정서버가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전달하고, 이동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링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신호측정기에게 알려줄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신호측정기를 통하여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신호측정기는 디스플레이,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 및 타겟단말기가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신호를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하고, 상향링크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상향링크 신호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제1 상향링크 신호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타겟단말기에 대한 정보는, 상향링크 신호의 수신전력 측정값, 상향링크 신호의 전파감쇄 측정값, 타겟단말기의 추정 위치 및 타겟단말기의 존재 확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타겟단말기에 대한 정보는, 상향링크 신호를 측정한 신호측정기의 식별정보, 측정값의 최댓값 또는 최솟값, 측정값이 측정된 시간이나 위치에 대한 정보 등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는데 요구되는 다양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타겟단말기의 위치측정을 위하여 구성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측정기에서 위치측정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본 개시의 위치측정시스템에 접속되어 타겟단말기의 위치측정이 시작될 수 있다.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신호측정기의 디스플레이 또는 신호측정기와 연결된 디스플레이에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신호측정기의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신호측정기로부터 상향링크 신호에 기초하여 획득된 제2 상향링크 신호 관련 정보를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하고, 제1 상향링크 신호 관련 정보 및 제2 상향링크 신호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신호측정기는 동일한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탐색하는 다른 신호측정기에서 획득된 제2 상향링크 신호 관련 정보를 다른 신호측정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신호측정기는 제1 상향링크 신호 관련 정보 및 제2 상향링크 신호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각 신호측정기 정보를 대응하는 측정값과 함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신호측정기는 제1 상향링크 신호 관련 정보 및 제2 상향링크 신호 관련 정보를 조합하여 산출된 타겟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신호측정기들의 위치 정보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타겟단말기의 위치 정보는 위치측정서버에서 산출되어 신호측정기로 전송되거나, 신호측정기에서 직접 산출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신호측정기의 제어부는, 상향링크 신호의 수신전력 측정값의 최댓값이 갱신되거나, 상향링크 신호의 전파감쇄 측정값의 최솟값이 갱신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이는, 상향링크 신호의 수신전력의 측정값이 기존 측정값들보다 큰 경우, 타겟단말기와 가까워진다고 볼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탐색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함이다. 해당 알람은 디스플레이 상에 소정의 인디케이터를 표시하거나, 진동 등의 출력, 또는 알람음의 출력 등 신호측정기에 구비된 장치를 이용하여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람은 소지하고 있는 신호측정기의 최댓값이 갱신될 때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신호측정기의 측정값을 포함하여 한 타겟단말기에 대해 신호를 측정하는 여러 신호측정기들이 수신된 수신전력의 최댓값이 갱신되는 경우 발생하게 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신호측정기의 제어부는, 상향링크 신호의 수신전력 측정값 또는 상향링크 신호의 전파감쇄 측정값을 측정된 순서에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표시할 수 있다. 신호측정기는 소정의 시간 간격에 따라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호측정기는 측정한 측정값을 시간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탐색자의 이동에 따라 신호측정기가 이동되는 경우, 탐색자는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측정값의 크기 변화를 보고 이동 방향을 쉽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 과정에서 언제 그러한 신호를 측정했는지 파악할 수 있게 시간정보를 일정 간격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신호측정기의 제어부는, 타겟단말기의 존재 확률 정보를 소정의 지도 또는 실내 도면 상에 등고선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측정기가 타겟단말기가 존재하는 지역의 지도 정보 또는 실내 도면 정보를 확보한 경우를 가정한다. 해당 지도 정보 또는 실내 도면 정보는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신호측정기는 신호측정기 자체의 위치와 타겟단말기의 추정된 위치 또는 다른 신호측정기의 위치를 지도 또는 실내 도면 상의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신호측정기는 측정된 상향링크 신호의 수신전력의 크기를 지도 또는 실내 도면 상에 등고선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타겟단말기의 위치 정보가 존재 확률 정보로 산출되는 경우, 신호측정기는 타겟단말기의 존재 확률 정보를 등고선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신호측정기의 이동 등에 따라 측정값이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값에 따라 표시되는 정보를 갱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신호측정기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타겟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방식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동작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술한 것과 같이, 신호측정기별 수신전력의 측정값을 표시하는 동작 모드, 수신전력의 측정값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동작 모드, 지도 또는 실내 도면 상에 등고선의 형식으로 표시하는 동작 모드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구비될 수 있다.
신호측정기의 제어부는, 복수의 동작 모드 중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되거나 위치측정서버에서 결정된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에 따라 타겟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는, 타겟단말기의 예상 위치 및 신호측정기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측정서버는 신호측정기로부터 수신된 상향링크 신호에 대한 정보 및 신호측정기의 위치 정보가 실외이고, 대응하는 지도 정보가 확보된 경우, 지도 또는 실내 도면 상에 등고선의 형식으로 표시하는 동작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위치측정서버는 신호측정기로 결정된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신호측정기는 해당 동작 모드에 따라, 지도를 표시하고, 표시된 지도 상에 등고선의 형식으로 수신전력이나 존재 확률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위치측정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경우, 신호측정기는 결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신호측정기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 등의 인디케이터를 해당 실행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데 있어서, 신호측정기를 사용하는 탐색자가 보다 빠른 시간내에 타겟단말기를 탐색할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 및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보다 빠른 타겟단말기의 탐색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신호측정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에서는, 신호측정기를 통하여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빨리 찾을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제안한다. 특히, 신호측정기가 자신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려운 경우, 지도 위에 신호측정기의 위치 또는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정확히 표시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 경우에 신호측정기의 측정결과를 신호측정기와 연결되어 있는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신호측정기는 도 5에 도시된 자체의 디스플레이 또는 도 6에 도시된 외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측정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표시되는 내용은 신호측정기가 측정한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의 수신전력 또는 그 신호의 전파감쇄의 측정값일 수 있다. 또한, 신호측정기가 측정을 시작한 후 또는 특정 시점에서부터 측정한 타겟단말기의 수신전력의 최댓값 또는 전파감쇄의 최솟값이 같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수신전력의 최댓값 또는 전파감쇄의 최솟값이 특정된 시간의 정보 또는 신호측정기의 위치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탐색자는 상기 표시된 수신전력값 또는 전파감쇄값을 바탕으로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거나 접근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는 신호측정기와 연결된 디스플레이에 동일한 타겟단말기를 탐색하고 있는 다른 신호측정기가 측정한 값이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하나의 신호측정기가 동작하는 경우에도 실시될 수 있으며, 그 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신호측정기가 더 동작하는 경우에도 실시될 수 있다. 즉, 이하의 도 7 내지 도 9의 설명에서는 복수의 신호측정기가 측정한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예로서, 해당 설명은 하나의 신호측정기가 측정한 정보에 의해서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측정될 수 있다.
또한, 같이 표시될 다른 신호측정기는 소정의 조건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신호측정기에 기 저장된 다른 신호측정기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신호측정기에서 획득된 정보가 더 이용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표시될 수 있다. 또는, 해당 신호측정기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있는 다른 신호측정기에서 획득된 정보가 더 이용되고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겟단말기의 수신전력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700)에 신호측정기들이 측정한 수신전력이 각각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 개시에서, 도면으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들은 일 예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한, 필요에 따라 다양한 모양과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700)에 3명의 탐색자들이 소지하고 있는 신호측정기의 측정결과(710, 720, 730)가 표시되어 있다.
디스플레이에는 각 신호측정기의 식별정보가 같이 표시되며, 각 신호측정기가 측정하는 현재의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의 수신전력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각 신호측정기가 측정한 최대 수신전력의 값이 같이 표시된다. 또한, 지금까지 최댓값을 측정한 신호측정기 또는 그 최대 측정값을 별도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두 번째 신호측정기의 측정 결과(720) 중 최대 측정값에 박스 모양의 인디케이터가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최댓값을 측정한 신호측정기의 ID 또는 그 최대 측정값을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소정의 인디케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각 신호측정기에서 측정된 타겟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전파의 수신전력이 기존 최댓값보다 커져서, 최댓값이 갱신되는 경우, 신호측정기는 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호측정기를 소지한 탐색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를 알리는 방법은 신호측정기에 연결된 사용자 스피커를 통해 소리를 발생하거나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신호측정기에 연결된 화면에 문자나 특정한 기호 등의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신호측정기에 일반적인 스마트폰 또는 휴대폰이 연결되어 동작하는 구성인 경우, 상기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최댓값 갱신의 알림은 신호측정기에 연결된 스마트폰 또는 휴대폰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신호측정기가 측정한 순시적인 수신전력과 일정 기간동안 측정한 최대 수신전력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최댓값이 측정된 지점을 알릴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각 신호측정기가 측정한 수신전력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겟단말기의 수신전력 정보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표시하는 구현을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800)에 신호측정기가 측정한 수신전력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해당 디스플레이에는 위치측정이 동작하는 동작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인디케이터(810)가 표시될 수 있다. 해당 인디케이터들(811, 812, 813) 중에서 현재 선택된 동작 모드(813)는 구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신호측정기별 수신전력의 측정값(820, 821, 822, 823)이 각각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측정값들 중에서, 가장 큰 신호가 측정된 측정값(821)은 소정의 색의 테두리와 같은 인디케이터로 구분되게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여러 개의 신호측정기가 측정한 수신전력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표시하여 탐색자에게 어떠한 곳에서 최대 수신전력이 측정되었는지 알릴 수 있다. 또한, 최댓값이 측정된 신호측정기를 별도의 표시를 사용하여 탐색자들에게 직관적으로 알릴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여러 신호측정기의 측정결과를 표시함에 있어, 수신된 수신전력이 아닌 전펴감쇄의 값이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값들에 일정값을 더하거나 빼거나 일정 상수를 곱하는 과정의 정규화한 값이 표시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겟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900)에 표시된 지도 위에 타겟단말기의 추정된 위치 및 신호측정기의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일 예에 따라, 각 신호측정기(920, 921, 922)는 X자 표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와 연결된 신호측정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측 상단의 X(920)는, 동일한 타겟단말기를 탐색하고 있는 다른 신호측정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다른 X(921, 922)와 구별되게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 소정의 색 등으로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로서, 각 X 표시와 함께 신호측정기의 식별정보가 같이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타겟단말기의 추정된 위치는 등고선과 같은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등고선은 동일한 수신전력의 측정값을 연결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는, 각 등고선은 동일한 타겟단말기의 존재 확률값을 연결하여 생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지도 위에 타겟단말기의 추정된 위치가 등고선의 형태로 서로 다른 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진한 색일수록 단말기의 존재 가능성이 높은 위치를 표시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신호측정기는 타겟단말기의 존재 확률분포의 값에 따라 등고선의 형태로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신호측정기는 타겟단말기로부터 그 위치에서 수신되는 상향링크 신호의 수신전력의 측정값 또는 추정값을 기준으로 등고선의 형태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정에서 타겟단말기와 그 위치와의 전파감쇄의 측정값 또는 추정값을 바탕으로 등고선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도 있다.
도 9의 지도상의 표시를 위치측정서버와 연결된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정보를 신호측정기에 전송하여 신호측정기에 연결된 디스플레이에도 표시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타겟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등고선과 같은 형태로 표시하는 경우, 그 최댓값 또는 정상의 위치를 특별한 기호를 사용하여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그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등고선을 표시함에 있어, 일정한 확률값 또는 일정한 수신전력값을 넘는 값들만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최고값과 대비하여 일정한 값 이상의 확률값 또는 수신전력값을 갖는 영역만을 표시할 수 있다. 일정 크기 이상의 값만을 등고선의 형태로 표시함에 있어,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영역만을 하나의 색으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영역과 그렇지 않은 영역으로 분리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한 영역은 원과 같이 미리 정해진 모양으로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계산된 확률 또는 측정된 수신전력에 따라, 예를 들어, 마치 아메바와 같이, 상황에 따라 가변하는 모양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양이 가변 가능하기 때문에, 표시되는 영역이 서로 다른 두 개의 이상의 분리된 영역으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존재확률의 최고값 또는 수신전력의 최댓값에 해당하는 위치를 기호로 동시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에 본 발명에서 등고선의 형태로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표시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는, 실내에 타겟단말기가 있고 실내의 평면도가 확보되어 있으며, 실내에서 탐색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000)에 실내 도면이 표시되고, 실내의 복도를 따라서 신호측정기가 이동하면서 측정한 결과를 바탕으로 예상되는 수신전력 또는 타겟단말기의 존재 확률이 등고선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타겟단말기의 위치가 가운데가 빈 심볼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현재 신호측정기의 위치가 작은 원으로 표시되어 있다. 등고선 사이의 각 색 별로 대응되는 수신전력의 크기를 설명하기 위해, 도면의 일 측에 각 색별 수신전력의 크기의 테이블이 표시되어 있다. 도 10의 실시예에서는 dBm의 단위로 신호측정기에서의 수신전력을 표시한다. 도 10에서 타겟단말기의 위치와 등고선의 정상부분의 위치가 근접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일 예에 따라, 표시된 등고선에서 가장 큰 수신전력이 측정된 위치가 별도의 심볼을 사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도 10에서는 등고선을 실내의 도면에 표시한 경우를 보였지만, 상기 등고선을 지도 위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실외의 여러 개의 건물 또는 넓은 장소에서 타겟단말기가 있는 것으로 예상되는 위치에 대한 존재 확률 또는 타겟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젼력의 등고선을 표시하여 이를 활용하여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등고선을 전체 지도 위에 표시할 수도 있지만, 지도 위의 일부 지역만을 제한하여 등고선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신호측정기를 소지한 탐색자가 지나갈 수 있는 영역 위에만 등고선이 표시될 수 있다. 실내의 경우에는 복도와 같이 탐색자가 지나갈 수 있는 곳에만 등고선을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실외에서는 차량 또는 보도로 탐색자가 지나갈 수 있는 곳에만 등고선을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실외의 경우 차량이 지나갈 수 있는 곳에만 등고선을 표시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여러 신호측정기의 측정결과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위해서는 각 신호측정기는 위치측정서버에 측정값을 전송한다. 위치측정서버는 각 신호측정기의 측정결과를 바탕으로 여러 신호측정기의 측정값을 한 데이터 패킷에 포함하여 이를 각 신호측정기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정에서 위치측정서버가 각 신호측정기별 최대 측정치, 모든 신호측정기들의 최대 측정치 들을 계산하여 이를 신호측정기들에게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측정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위치측정서버는 각 신호측정기에서 측정한 결과를 수신하여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계산한다. 위치측정서버는 타겟단말기의 위치 계산 결과 및 신호측정기들의 위치정보를 각 신호측정기들에게 전송한다. 만일 타겟단말기가 있는 주변의 지도가 확보되지 않거나 타겟단말기의 위치계산이 용이치 않은 상황이 되면, 각 신호측정기의 신호 측정결과를 각 신호측정기와 연결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위치가 계산이 가능한 상황에서도 상기 신호측정결과를 각 신호측정기와 연결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위치측정서버는, 디스플레이, 통신부 및 적어도 하나의 신호측정기로부터 타겟단말기가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신호 관련 정보를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하고, 상향링크 신호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위치측정서버(1100)는 통신장치(1110)와 연결되어 위치측정서버에서 계산하거나 수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112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위치측정서버는 상기 통신장치 없이 유선으로 디스플레이(1120)와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전술한 신호측정기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설명은, 위치측정서버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해서도, 기술적 사상에 반하지 않는 한,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해당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경우에도, 타겟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방식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동작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술한 것과 같이, 신호측정기별 수신전력의 측정값을 표시하는 동작 모드, 수신전력의 측정값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동작 모드, 지도 또는 실내 도면 상에 등고선의 형식으로 표시하는 동작 모드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구비될 수 있다.
위치측정서버의 제어부는, 복수의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를, 적어도 하나의 신호측정기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하거나, 타겟단말기의 예상 위치 및 신호측정기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위치측정서버는 신호측정기로 결정된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신호측정기는 해당 동작 모드에 따라, 지도를 표시하고, 표시된 지도 상에 등고선의 형식으로 수신전력이나 존재 확률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데 있어서, 신호측정기를 사용하는 탐색자가 보다 빠른 시간내에 타겟단말기를 탐색할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 및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보다 빠른 타겟단말기의 탐색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신호측정기 또는 위치측정서버의 디스플레이에는 지도 상에 타겟단말기의 계산된 위치, 신호측정기의 위치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각 신호측정기가 측정한 측정값들 및 그 측정값들의 최댓값, 최솟값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각 신호측정기가 측정한 타겟단말기 상향링크 신호의 측정값 및 그 최댓값이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각 신호측정기가 계산한 타겟단말기로부터의 전파감쇄 또는 그 최솟값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 도 8, 도 9 및 도 10의 화면들은 신호측정기 또는 신호측정기와 연결된 휴대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들은 위치측정서버와 연결된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위치측정 시스템은 다양한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 실외 도심 환경 (건물이나 빌딩 밀집지역), (2) 실외 교외 환경 (건물이나 빌딩이 적은 지역), (3) 실내 환경에서 실내 도면이 확보되어 있는 경우, (4) 실내 환경에서 도면이 확보되어 있지 않은 경우 등의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전술한 각 환경에 따라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효율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계산하는 데 사용하는 알고리즘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경우, (1), (2)의 실외환경에서는 지도 위에 등고선의 형태로, (3)의 환경에서는 실내 도면위의 등고선의 형태로 (4)의 환경에서는 도 7 또는 도 8과 같이 측정된 수신전력의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1)의 도심환경에서는 차량 또는 탐색자가 이동 가능한 도로 위에만 등고선이 표시될 수 있다. (2)의 교외 환경에서는 지도 전체 위에 등고선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교외환경에서도 건물 등의 위치를 제외하고 등고선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한 등고선은 타겟단말기의 대한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방법을 광범위하게 의미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정에서 타겟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종류를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여러 가지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 중 어떠한 모드인지의 정보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는 것이 타겟단말기 탐색에 도움이 된다.
상기한 여러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어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할지를 위치측정서버에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과정에서 위치측정서버는 타겟단말기의 예상되는 위치와 신호측정기를 소지한 탐색자의 위치를 바탕으로 사용할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동작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한 하나의 동작 모드는 타겟단말기의 위치 확률 또는 수신전력에 기반한 등고선을 작성하는 모드일 수 있다. 또 다른 동작 모드는 타겟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수신전력에 대한 히스토리 또는 순시 및 최대 수신전력을 계산하는 모드일 수 있다.
특히, 타겟단말기가 실내에 있는 경우라면 신호측정기를 소지한 탐색자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에 따라 동작 모드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변경될 수 있다. 초기에 타겟단말기가 위치하는 건물의 정보를 확보하는 않은 상태에서는 건물을 탐색하는 모드로 동작하여 지도위에 등고선을 표시하는 모드로 동작하다가, 타겟단말기가 위치하는 건물의 정보를 확보하였거나 하나 이상의 탐색자 또는 정해진 탐색자들이 실내로 진입한 경우, 동작 모드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실내 탐색을 위한 것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정에서 실내 탐색의 경우 실내의 도면이 있는 경우에 실내에서 신호측정기의 위치를 추적 가능한 경우에는 도면 위에 타겟단말기에 대한 위치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반면에 실내의 도면이 없거나 실냉에서 신호측정기의 위치를 파악할 수 없다면 수신전력을 표시하는 모드로 전환하고 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상기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결정하는 서버를 타겟단말기의 위치정보 및 신호측정기의 위치정보를 확보하고 있는 하나의 통신서버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서버에 측정결과를 바탕으로 타겟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계산하는 위치연산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정에서 동작모드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결정하는 것을 위치측정서버에서 결정하여 수행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동작모드를 탐색자가 결정하여 신호측정기 또는 신호측정기와 연결된 휴대폰을 포함한 통신장치를 통해 위치측정서버에 알릴 수 있다. 또한, 위치측정서버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통해 외부에서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과정에서 동작모드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결정을 마스터에 해당하는 신호측정기를 소지한 사용자가 통신장치를 사용하여 위치측정서버에 그 동작모드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알릴 수 있다. 상기한 마스터라 함은 신호측정기 중에서 같은 타겟단말기를 탐색하는 팀 중에서 리더와 같은 역할을 하여 측위용 호의 설정 및 종료, 타 신호측정기의 추가 등을 관리하는 관리자를 의미 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하나의 타겟단말기를 탐색하는 탐색자 중 일부 탐색자에만 상기 동작모드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정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다. 상기 일부 탐색자가 마스터의 역할을 하는 탐색자가 되게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정에서 타겟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동작모드를 위치측정서버에서 우선적으로 결정하여 상기 정보로 동작하거나 탐색자에게 추천하고, 이를 탐색자가 통신장치를 통해 변경하거나 승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통신장치는 신호측정기에 포함되어 있거나 신호측정기와 같이 이동하는 디바이스에 장착된 통신장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단말의 위치측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내용과 관련하여, 전술한 설명 중 중복 기재를 피하기 위하여 생략된 설명의 경우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측정기에서 단말의 위치측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신호측정기는 타겟단말기가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S100)하고, 무선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무선 신호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10).
제1 무선 신호 관련 정보는, 무선 신호를 측정하여 획득되는 무선 신호의 수신전력 측정값, 무선 신호의 전파감쇄 측정값, 무선 신호 수신 시간, 무선 신호 수신 위치, 무선 신호의 도달각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무선 신호는, 타겟단말기가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무선 신호는, D2D 통신 신호, 비면허대역 통신신호 또는 초광대역통신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전제로 기재된 실시예들의 경우, 기술적 사상에 모순되지 않는 한, 다른 무선 신호인 D2D 통신 신호, 비면허대역 통신신호 또는 초광대역통신신호 등에 대해서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외의 신호측정기의 동작은 도 2 내지 도 4에 대한 설명에서 전술하였으므로, 구체적인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시 도 12를 참조하면, 신호측정기는 제1 무선 신호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S120).
이 경우, 타겟단말기에 대한 정보는, 무선 신호의 수신전력 측정값, 무선 신호의 전파감쇄 측정값, 타겟단말기의 추정 위치 및 타겟단말기의 존재 확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신호측정기는 획득된 제1 무선 신호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신호의 수신전력 측정값 또는 무선 신호의 전파감쇄 측정값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신호측정기는 제1 무선 신호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단말기의 추정 위치 및 타겟단말기의 존재 확률 정보를 산출하고, 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신호측정기는 제1 무선 신호 관련 정보를 위치측정서버로 전송하고, 위치측정서버로부터 타겟단말기의 추정 위치 및 타겟단말기의 존재 확률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타겟단말기에 대한 정보는, 무선 신호를 측정한 신호측정기의 식별정보, 측정값의 최댓값 또는 최솟값, 측정값이 측정된 시간이나 위치에 대한 정보 등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는데 요구되는 다양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타겟단말기의 위치측정을 위하여 구성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측정기에서 위치측정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본 개시의 위치측정시스템에 접속되어 타겟단말기의 위치측정이 시작될 수 있다.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신호측정기의 디스플레이 또는 신호측정기와 연결된 디스플레이에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신호측정기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신호측정기로부터 무선 신호에 기초하여 획득된 제2 무선 신호 관련 정보를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하고, 제1 무선 신호 관련 정보 및 제2 무선 신호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신호측정기는, 스스로 측정한 제1 무선 신호 관련 정보만을 이용하여 타겟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다른 신호측정기에서 측정된 제2 무선 신호 관련 정보를 더 이용하여 타겟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신호측정기는 동일한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탐색하는 다른 신호측정기에서 획득된 제2 무선 신호 관련 정보를 다른 신호측정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신호측정기는 제1 무선 신호 관련 정보 및 제2 무선 신호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각 신호측정기 정보를 대응하는 측정값과 함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신호측정기는 제1 무선 신호 관련 정보 및 제2 무선 신호 관련 정보를 조합하여 산출된 타겟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신호측정기들의 위치 정보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타겟단말기의 위치 정보는 위치측정서버에서 산출되어 신호측정기로 전송되거나, 신호측정기에서 직접 산출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신호측정기는, 무선 신호의 수신전력 측정값의 최댓값이 갱신되거나, 무선 신호의 전파감쇄 측정값의 최솟값이 갱신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이는, 무선 신호의 수신전력의 측정값이 기존 측정값들보다 큰 경우, 타겟단말기와 가까워진다고 볼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탐색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함이다. 해당 알람은 디스플레이 상에 소정의 인디케이터를 표시하거나, 진동 등의 출력, 또는 알람음의 출력 등 신호측정기에 구비된 장치를 이용하여 출력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신호측정기는, 무선 신호의 수신전력 측정값 또는 무선 신호의 전파감쇄 측정값을 측정된 순서에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표시할 수 있다. 신호측정기는 소정의 시간 간격에 따라 타겟단말기의 무선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측정값들의 일정한 간격마다 측정한 시간 정보를 표시하여 탐색자가 언제 측정했는지를 파악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호측정기는 측정한 측정값을 시간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탐색자의 이동에 따라 신호측정기가 이동되는 경우, 탐색자는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측정값의 크기 변화를 보고 이동 방향을 쉽게 변경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신호측정기는, 타겟단말기의 존재 확률 정보를 소정의 지도 또는 실내 도면 상에 등고선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측정기가 타겟단말기가 존재하는 지역의 지도 정보 또는 실내 도면 정보를 확보한 경우를 가정한다. 해당 지도 정보 또는 실내 도면 정보는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신호측정기는 신호측정기 자체의 위치와 타겟단말기의 추정된 위치 또는 다른 신호측정기의 위치를 지도 또는 실내 도면 상의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신호측정기는 측정된 무선 신호의 수신전력의 크기를 지도 또는 실내 도면 상에 등고선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타겟단말기의 위치 정보가 존재 확률 정보로 산출되는 경우, 신호측정기는 타겟단말기의 존재 확률 정보를 등고선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신호측정기의 이동 등에 따라 측정값이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값에 따라 표시되는 정보를 갱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한 등고선은 신호측정기가 측정한 타겟단말기의 무선 신호세기에 기반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신호측정기는 등고선에 타겟단말기의 존재 확률 정보의 최댓값 또는 무선 신호의 수신전력의 최댓값에 해당하는 위치를 소정의 기호를 사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신호측정기는, 타겟단말기의 존재 확률 정보 또는 무선 신호의 수신전력값이 일정 값 이상인 영역에 대해서만 등고선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신호측정기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타겟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방식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동작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술한 것과 같이, 신호측정기별 수신전력의 측정값을 표시하는 동작 모드, 수신전력의 측정값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동작 모드, 지도 또는 실내 도면 상에 등고선의 형식으로 표시하는 동작 모드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구비될 수 있다.
신호측정기는, 복수의 동작 모드 중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되거나 위치측정서버에서 결정된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에 따라 타겟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는, 타겟단말기의 예상 위치 및 신호측정기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해당 위치가 실내인지 또는 실외인지 여부 등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가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위치측정서버는 신호측정기로 결정된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는, 타겟단말기의 예상 위치 또는 신호측정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 또는 실내 도면의 획득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동작 모드는, 해당 위치가 실내인지 또는 실외인지 여부에 더하여,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실내 도면 또는 지도가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또는 외부에서 수신될 수 있는지 여부가 더 고려되어, 결정될 수 있다.
신호측정기는 해당 동작 모드에 따라, 지도를 표시하고, 표시된 지도 상에 등고선의 형식으로 수신전력이나 존재 확률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위치측정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경우, 신호측정기는 결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신호측정기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 등의 인디케이터를 해당 실행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데 있어서, 신호측정기를 사용하는 탐색자가 보다 빠른 시간내에 타겟단말기를 탐색할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 및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보다 빠른 타겟단말기의 탐색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측정서버에서 단말의 위치측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위치측정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측정기로부터 타겟단말기가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무선 신호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200).
이와 관련된 위치측정서버의 동작은 도 2 내지 도 4에 대한 설명에서 전술하였으므로, 구체적인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위치측정서버는 무선 신호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S210).
전술한 신호측정기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설명은, 위치측정서버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해서도, 기술적 사상에 반하지 않는 한,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해당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경우에도, 타겟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방식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동작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술한 것과 같이, 신호측정기별 수신전력의 측정값을 표시하는 동작 모드, 수신전력의 측정값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동작 모드, 지도 또는 실내 도면 상에 등고선의 형식으로 표시하는 동작 모드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구비될 수 있다.
위치측정서버는, 복수의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를, 적어도 하나의 신호측정기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하거나, 타겟단말기의 예상 위치 및 신호측정기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즉, 해당 위치가 실내인지 또는 실외인지 여부 등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가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위치측정서버는 신호측정기로 결정된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는, 타겟단말기의 예상 위치 또는 신호측정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 또는 실내 도면의 획득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동작 모드는, 해당 위치가 실내인지 또는 실외인지 여부에 더하여,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실내 도면 또는 지도가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또는 외부에서 수신될 수 있는지 여부가 더 고려되어, 결정될 수 있다. 신호측정기는 해당 동작 모드에 따라, 지도를 표시하고, 표시된 지도 상에 등고선의 형식으로 수신전력이나 존재 확률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데 있어서, 신호측정기를 사용하는 탐색자가 보다 빠른 시간내에 타겟단말기를 탐색할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 및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보다 빠른 타겟단말기의 탐색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신호측정기는 단말기가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무선 신호를 측정하여 타겟단말기의 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단말이 전송하는 다른 형태의 무선신호를 사용할 경우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이 경우, 다른 형태의 무선신호는, 타겟단말기가 다른 단말에게 전송하는 D2D 통신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타겟단말기가 전송하는 비면허 대역 또는 초광대역통신 신호를 바탕으로 신호측정기가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프로세서", "컨트롤러", "컴포넌트", "모듈", "인터페이스", "모델", "유닛" 등의 용어는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중인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구성요소는 프로세서에 의해서 구동되는 프로세스, 프로세서, 컨트롤러, 제어 프로세서, 개체,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 또는 프로세서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과 컨트롤러 또는 프로세서가 모두 구성 요소가 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가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있을 수 있으며 구성 요소는 한 시스템에 위치하거나 두 대 이상의 시스템에 배포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언급한 표준내용 또는 표준문서들은 명세서의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생략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위 표준내용 및 표준문서들의 일부의 내용을 본 명세서에 추가하거나 청구범위에 기재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디스플레이;
    무선 신호 수신부; 및
    타겟단말기가 전송하는 무선 신호를 상기 무선 신호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무선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무선 신호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무선 신호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타겟단말기에 대한 정보는,
    상기 무선 신호의 수신전력 측정값 및 상기 무선 신호의 수신전력 측정값과 상기 무선 신호의 수신전력 측정값의 최댓값과의 차이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측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단말기에 대한 정보는,
    상기 무선 신호의 전파감쇄 측정값, 상기 타겟단말기의 추정 위치 및 상기 타겟단말기의 존재 확률 정보를 더 포함하는 신호측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는,
    상기 타겟단말기가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측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신호측정기로부터 상기 무선 신호에 기초하여 획득된 제2 무선 신호 관련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제1 무선 신호 관련 정보 및 상기 제2 무선 신호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공하는 신호측정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신호의 수신전력 측정값의 최댓값이 갱신되거나, 상기 무선 신호의 전파감쇄 측정값의 최솟값이 갱신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알람을 출력하는 신호측정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신호의 수신전력 측정값 또는 상기 무선 신호의 전파감쇄 측정값을 측정된 순서에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표시하는 신호측정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타겟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방식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동작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동작 모드 중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되거나 위치측정서버에서 결정된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타겟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신호측정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는,
    상기 타겟단말기의 예상 위치 및 상기 신호측정기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신호측정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는,
    상기 타겟단말기의 예상 위치 또는 상기 신호측정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 또는 실내 도면의 획득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신호측정기.
  10. 디스플레이;
    무선 신호 수신부; 및
    타겟단말기가 전송하는 무선 신호를 상기 무선 신호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무선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무선 신호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무선 신호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타겟단말기에 대한 정보는,
    상기 타겟단말기의 존재 확률 정보 또는 상기 무선 신호의 수신전력의 측정값이 등고선 형식으로 표시되는 신호측정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등고선에 상기 타겟단말기의 존재 확률 정보의 최댓값 또는 상기 무선 신호의 수신전력의 최댓값에 해당하는 위치를 소정의 기호를 사용하여 표시하는 신호측정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겟단말기의 존재 확률 정보 또는 상기 무선 신호의 수신전력값이 일정 값 이상인 영역에 대해서만 상기 등고선을 표시하는 신호측정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는,
    상기 타겟단말기가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측정기.
  14. 디스플레이;
    통신부; 및
    적어도 하나의 신호측정기로부터 타겟단말기가 전송하는 무선 신호 관련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무선 신호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위치측정서버.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타겟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방식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동작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측정기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하거나, 상기 타겟단말기의 예상 위치 및 상기 신호측정기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위치측정서버.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는,
    상기 타겟단말기의 예상 위치 또는 상기 신호측정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 또는 실내 도면의 획득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신호측정기.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를 상기 타겟단말기의 예상 위치 및 상기 신호측정기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측정기로 상기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위치측정서버.
KR1020220035557A 2021-03-23 2022-03-22 단말의 위치측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201324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04055 WO2022203385A1 (ko) 2021-03-23 2022-03-23 단말의 위치측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37643 2021-03-23
KR1020210037643 2021-03-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462A true KR20220132462A (ko) 2022-09-30

Family

ID=83451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5557A KR20220132462A (ko) 2021-03-23 2022-03-22 단말의 위치측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246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8263B2 (en) Electronic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JP6652138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電子機器及び無線通信方法
WO2020119727A1 (zh) 一种测量上报的方法及装置
US9986373B2 (en) LTE-A systems and method of DRS based positioning
US9692584B2 (en) Methods of radio communications using different subframe configurations and related radio and/or network nodes
KR102439942B1 (ko) 이동 단말기의 위치측정시스템
KR20190092548A (ko) 포지셔닝 방법 및 시스템, 및 관련 디바이스
CN106465328B (zh) 用于估计至少两个用户设备之间的地理距离或地理距离的范围的方法和系统、移动通信网络和用户设备
KR102463766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타겟 단말기의 위치측정을 위한 위치측정기 및 그 위치측정방법
KR10249333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측정을 위한 링크 신호 설정 방법
JP7480946B2 (ja) 位置測定器、位置測定サーバ、及び位置測定方法
KR20210084406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정보 수집장치의 상향링크 간섭제어 방법 및 장치
JP2022544963A (ja) オンデマンド位置決め関連アプリケーションデータのための方法及びデバイス
KR20220132462A (ko) 단말의 위치측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347447B1 (ko) 단말기의 위치측정을 위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985570B2 (en) Position measurement system for mobile terminal
KR102617098B1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단말기의 위치 측정 방법 및 장치
WO2024034452A1 (en) Method, user equipment and access network node
KR20220031531A (ko) 단말의 위치 측정을 위한 통신 방식 및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073691A (ko) 단말의 위치 측정을 위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