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1727A - 터치 센싱 디바이스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터치 센싱 디바이스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1727A
KR20220131727A KR1020210036779A KR20210036779A KR20220131727A KR 20220131727 A KR20220131727 A KR 20220131727A KR 1020210036779 A KR1020210036779 A KR 1020210036779A KR 20210036779 A KR20210036779 A KR 20210036779A KR 20220131727 A KR20220131727 A KR 20220131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ensing
slide
touch sensing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6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계원
오희선
이창주
김종윤
이홍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6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1727A/ko
Priority to US17/382,789 priority patent/US11543906B2/en
Priority to CN202111208949.7A priority patent/CN115113757A/zh
Publication of KR20220131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17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06F3/041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using an array of force sens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71Special purpose buttons or auxiliary keyboards, e.g. retractable mini keypads, keypads or buttons that remain accessible at closed lapt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 Electron Beam Exposure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싱 디바이스는, 복수의 터치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갖는 전자 기기에 채용될 수 있는 터치 센싱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의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터치부재를 통한 터치 인가에 기초한 터치 센싱을 수행하는 복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 센싱부; 상기 터치 센싱부의 터치 센싱에 기초한 복수의 터치 센싱 신호를 생성하는 발진 회로부; 및 상기 복수의 터치 센싱 신호중 어느 하나의 신호에 기초한 터치가 슬라이드 모드 시작 터치인 경우에 슬라이드 모드를 수행하여, 상기 복수의 터치 센싱 신호에 기초해 입력되는 슬라이드 터치 패턴이 미리 설정된 슬라이드 터치 패턴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시그날 프로세서;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 센싱 디바이스 및 전자 기기{TOUCH SENSING DEVICES AND ELECTRONIAPPARATUS}
본 발명은 복수의 터치 센서를 이용해, 슬라이드 터치의 패턴을 인식할 수 있는 터치 센싱 디바이스 및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웨어러블 기기는 좀더 얇고 심플하면서 깔끔한 디자인이 선호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존 기계식 스위치가 사라지고 있다. 이는 방진, 방수 기술의 구현이 이루어짐과 더불어, 매끄러운 디자인의 일체감 있는 모델의 개발이 이루어짐에 따라 가능해지고 있다.
현재 메탈 위를 터치하는 ToM(touch On Metal) 기술, 터치 패널을 이용한 커패시터 센싱 기법, MEMS(Micro-Electro-Mechanical-System), 마이크로 스트레인 게이지(Micro Strain Gauge) 등의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에 더 나아가 포스 기능까지 개발되는 추세이다.
기존의 기계식 스위치의 경우, 스위치 기능 구현을 위해, 내부적으로 큰 사이즈와 공간이 필요하고, 외관상으로도 외부로 튀어나오는 형태나 외부 케이스와 일체화가 아닌 구조 등으로 인하여 깔끔하지 못한 디자인과 큰 공간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계식 스위치의 직접적인 접촉으로 인한 감전의 위험이 있으며, 특히 기계적 스위치의 구조상 방진 방수가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자식 터치 센싱 디바이스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기존의 전자식 터치 센싱 디바이스에서는, 연속해서 터치가 입력되는 슬라이드 터치에 대한 패턴을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KR 등록특허공보 제10-2149385호는, 슬라이드 터치를 인식하는 기술을 공개하고 있으나, 슬라이드 터치에 대한 패턴을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하이브리드 센서를 포함하는 장치에서, 슬라이드 터치에 대한 패턴 인식 기술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 KR 등록특허공보 10-2149385 (2020.08.24)
(특허문헌 2) JP 공개특허공보 2012-168747 (2012.09.06)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복수의 터치 센서를 이용해, 슬라이드 모드를 수행하여, 슬라이드 터치의 패턴을 인식할 수 있는 터치 센싱 디바이스 및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해, 복수의 터치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갖는 전자 기기에 채용될 수 있는 터치 센싱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의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터치부재를 통한 터치 인가에 기초한 터치 센싱을 수행하는 복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 센싱부; 상기 터치 센싱부의 터치 센싱에 기초한 복수의 터치 센싱 신호를 생성하는 발진 회로부; 및 상기 복수의 터치 센싱 신호중 어느 하나의 신호에 기초한 터치가 슬라이드 모드 시작 터치인 경우에 슬라이드 모드를 수행하여, 상기 복수의 터치 센싱 신호에 기초해 입력되는 슬라이드 터치 패턴이 미리 설정된 슬라이드 터치 패턴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시그날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터치 센싱 디바이스가 제안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의해, 복수의 터치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터치부재를 통한 터치 인가에 기초한 터치 센싱을 수행하는 복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 센싱부; 상기 터치 센싱부의 터치 센싱에 기초한 복수의 터치 센싱 신호를 생성하는 발진 회로부; 및 상기 복수의 터치 센싱 신호중 어느 하나의 신호에 기초한 터치가 슬라이드 모드 시작 터치인 경우에 슬라이드 모드를 수행하여, 상기 복수의 터치 센싱 신호에 기초해 입력되는 슬라이드 터치 패턴이 미리 설정된 슬라이드 터치 패턴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시그날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가 제안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복수의 터치 센서를 이용해, 슬라이드 모드를 수행하여, 슬라이드 터치의 패턴을 인식할 수 있고, 다양한 슬라이드 터치의 패턴을 인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X) 환경을 구축하여 생활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가치를 한 단계 올릴 수 있는 고 효율성을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일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일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싱 디바이스의 일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싱 디바이스의 일 예시도이다.
도 5는 시그날 프로세서의 터치 센싱 과정을 보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슬라이드 모드 진행 과정을 보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슬라이드 모드 진행을 위한 판단 설명도이다.
도 8은 슬라이드 모스 수행중 슬라이드 판단 설명도이다.
도 9는 슬라이드 터치 패턴에 대한 처리 예시도이다.
도 10은 슬라이드 터치 패턴에 대한 처리 예시도이다.
도 11 (a), 도 11 (b)는 터치부재의 배치 예시도이다.
도 12는 슬라이드 터치 패턴1 예시도이다.
도 13은 슬라이드 터치 패턴2 예시도이다.
도 14는 슬라이드 터치 패턴3 예시도이다.
도 15는 터치 센싱 디바이스의 일 예시도이다.
도 16은 터치 센싱 디바이스의 일 예시도이다.
도 17은 도 10의 슬라이드 터치 패턴에 대한 제1 활용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0의 슬라이드 터치 패턴에 대한 제2 활용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은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있어서, 하나의 예로써 설명되는 구조, 형상 및 수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서로 조합되어 여러 가지 새로운 실시 예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전반적인 내용에 비추어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일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일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10)는, 전면 디스플레이 (40) 및 하우징(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0)은, 사이드 커버(51) 및 후면 커버(5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사이드 커버(51)는 외부에서 내부로 연장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이드 커버(51)는 메탈과 같은 도체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후면 커버(52)는 글래스와 같은 절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50)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터치부재(TM1) 및 제2 터치부재(TM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부재(TM1) 및 제2 터치부재(TM2)는, 사이드 커버(51) 및 후면 커버(52)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기기(10)는, 하우징(50)의 사이드 커버(51)에 배치된 제1 터치부재(TM1) 및 제2 터치부재(TM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기기(10)는, 하우징(50)의 사이드 커버(51)에 배치된 제1 터치부재(TM1), 제2 터치부재(TM2), 제3 터치부재(TM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기기(10)는, 2개 이상의 터치부재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터치부재는 도 1 및 도 2에서 사이드 커버(51)에 배치된 예시로 보여져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우징(50)의 사이드 커버(51) 및 후면 커버(52)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서, X축은 전자 기기(10)의 길이방향이고, Y축은 전자 기기(10)의 폭방향이고, Z축은 전자 기기(10)의 두께방향이 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10)는, 상기 복수의 터치부재(TM1,TM2,…)의 내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터치부재 각각에 대응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 센싱 디바이스(100, 도 3 및 도 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싱 디바이스(100, 도 3 및 도 4)에 대하서는 도 3 및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서류에서, 터치(touch)는 포스(force)를 동반하지 않는 접촉-터치(contact-touch)와 포스(force)를 동반하는 포스-터치(force-touch)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도면에 대해, 동일한 부호 및 동일한 기능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가능한 불필요한 중복 설명은 생략될 수 있고, 각 도면에 대해 가능한 차이점에 대한 사항이 설명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싱 디바이스의 일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싱 디바이스의 일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10)는, 하우징(50)과 터치 센싱 디바이스(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싱 디바이스(100)는 상기 하우징(50)에 배치된 사이드 커버(51)의 외측 커버(51a)와 내측 프레임(51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0)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같이, 적어도 제1 및 제2 터치부재(TM1,TM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 디바이스(100)는, 터치 센싱부(300), 발진 회로부(500) 및 시그날 프로세서(700)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싱부(300)는, 상기 전자 기기(10)의 하우징(50)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터치부재(TM1,TM2,…)를 통한 터치 인가에 기초한 터치 센싱을 수행하는 복수의 터치 센서(300-1,300-2,…)를 포함할 수 있다.
발진 회로부(500)는, 상기 터치 센싱부(300)의 터치 센싱에 기초한 복수의 터치 센싱 신호(SS1,SS2,…)를 생성할 수 있다.
시그날 프로세서(700)는, 상기 복수의 터치 센싱 신호(SS1,SS2,…)중 어느 하나의 신호에 기초한 터치가 슬라이드 모드 시작 터치인 경우에 슬라이드 모드를 수행하여, 상기 복수의 터치 센싱 신호(SS1,SS2,…)에 기초해 입력되는 슬라이드 터치 패턴이 미리 설정된 슬라이드 터치 패턴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고, 슬라이드 터치 패턴 신호(SSP)를 출력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터치 센싱부(300)는, 상기 복수의 터치부재를 통한 터치 인가에 기초한 커패시티브 센싱과 인덕티브 센싱을 수행하는 하이브리드 센서일 수 있고, 제1 및 제2 터치 센서(300-1,300-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터치 센싱부(300)는, 상기 복수의 터치부재를 통한 터치 인가에 기초한 커패시티브 센싱과 인덕티브 센싱을 수행하는 하이브리드 센서일 수 있고, 제1, 제2 및 제3 터치 센서(300-1, 300-2, 300-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치 센서(300-1)는, 상기 전자 기기(10)의 하우징(50)의 내측에 배치되어, 제1 터치부재(TM1)를 통한 터치 인가에 기초한 커패시티브 센싱과 인덕티브 센싱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터치 센서(300-2)는, 상기 전자 기기(10)의 하우징(50)의 내측에 배치되어, 제2 터치부재(TM2)를 통한 터치 인가에 기초한 커패시티브 센싱과 인덕티브 센싱을 수행할 수 있다.
제3 터치 센서(300-3)는, 상기 전자 기기(10)의 하우징(50)의 내측에 배치되어, 제3 터치부재(TM3)를 통한 터치 인가에 기초한 커패시티브 센싱과 인덕티브 센싱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제1, 제2, 제3 터치 센서(300-1, 300-2, 300-3)은 커패시티브 센싱과 인덕티브 센싱을 모두 수행하는 하이브리드 터치 센서가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접촉 센서일 수 있고, 포스 센서일 수 있고, 하이브리드 터치 센서 일 수 있다.
상기 발진 회로부(500)는, 적어도 제1 발진회로(500-1) 및 제2 발진회로(500-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발진 회로부(500)는, 적어도 제1 발진회로(500-1), 제2 발진회로(500-2) 및 제3 발진회로(500-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발진회로(500-1)는, 상기 터치 센싱부(300)에 포함된 제1 터치 센서(300-1)의 커패시티브 센싱에 기초한 제1 접촉 센싱 신호(ST1)와 상기 제1 터치 센서(300-1)의 인덕티브 센싱에 기초한 제1 포스 센싱 신호(SF1)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발진회로(500-2)는, 상기 터치 센싱부(300)에 포함된 제2 터치 센서(300-2)의 커패시티브 센싱에 기초한 제2 접촉 센싱 신호(ST2)와 상기 제2 터치 센서(300-2)의 인덕티브 센싱에 기초한 제2 포스 센싱 신호(SF2)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3 발진회로(500-3)는, 상기 터치 센싱부(300)에 포함된 제3 터치 센서(300-3)의 커패시티브 센싱에 기초한 제3 접촉 센싱 신호(ST3)와 상기 제3 터치 센서(300-3)의 인덕티브 센싱에 기초한 제3 포스 센싱 신호(SF3)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터치 센서가 하이브리드 터치 센서인 경우, 상기 복수의 터치 센싱 신호(SS1,SS2,…)에서, 제1 터치 센싱 신호(SS1)는, 커패시티브 센싱에 기초한 제1 접촉 센싱 신호(ST1)와 인덕티브 센싱에 기초한 제1 포스 센싱 신호(SF1)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터치 센싱 신호(SS2)는, 커패시티브 센싱에 기초한 제2 접촉 센싱 신호(ST2)와 인덕티브 센싱에 기초한 제2 포스 센싱 신호(SF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터치 센싱 신호(SS3)는, 커패시티브 센싱에 기초한 제3 접촉 센싱 신호(ST3)와 인덕티브 센싱에 기초한 제3 포스 센싱 신호(SF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터치 센서가 하이브리드 터치 센서가 아닌 경우, 상기 복수의 터치 센싱 신호(SS1,SS2,…)에서, 제1 터치 센싱 신호(SS1)는, 제1 접촉 센싱 신호(ST1)와 제1 포스 센싱 신호(SF1)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터치 센싱 신호(SS2)는, 제2 접촉 센싱 신호(ST2)와 2 포스 센싱 신호(SF2)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터치 센싱 신호(SS3)는, 제3 접촉 센싱 신호(ST3)와 제3 포스 센싱 신호(SF3)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은 시그날 프로세서의 터치 센싱 과정을 보이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시그날 프로세서(700)는, 커패시티브 센싱을 수행하여 접촉 센싱 신호(ST)를 생성하고(S51), 접촉 센싱 신호(ST)의 크기가 개별 접촉 임계치(TH-T)를 초과하면(S52), 인덕티브 센싱을 수행하여 포스 센싱 신호(SF)를 생성할 수 있고(S53), 또한 포스 센싱 신호(SF)의 크기가 개별 포스 임계치(TH-F)를 초과하면(S54) 터치온으로 인식하여, 정상적으로 터치가 인가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도 6은 슬라이드 모드 진행 과정을 보이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터치 센서(300-1.300-2,…)가 하이브리드 터치 센서인 경우, 상기 시그날 프로세서(700)는, 상기 복수의 포스 센싱 신호(SF1,SF2,…)중 어느 하나의 신호의 크기가 슬라이드 모드 임계치(TH-SLD)를 초과하면(S61), 입력되는 포스-터치가 슬라이드 모드 시작 터치로 판단할 수 있다(S62).
이와 달리, 슬라이드 모드 임계치(TH-SLD)를 초과하는 터치인가가 없으면 슬라이드 모드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슬라이드 모드 임계치(|TH-SLD|, |TH-SLD|는 TH-SLD의 절대치)는, 보다 안정된 슬라이드 터치 동작을 보장하기 위해, 개별 포스 임계치(|TH-F|, |TH-F|는 TH-F의 절대치)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슬라이드 모드 진행을 위한 판단 설명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터치 센서(300-1.300-2,…)가 접촉 터치 센서 또는 하이브리드 센서인 경우, 상기 시그날 프로세서(700)는, 보다 더 안정된 슬라이드 터치 동작을 보장하기 위해, 해당 포스 센싱 신호가, 상기 슬라이드 모드 임계치(TH-SLD)를 초과하는 유지시간(△TL)이 유지 기준시간(Tref_L)을 초과하면, 입력되는 터치가 슬라이드 모드 시작 터치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슬라이드 모드 임계치(TH-SLD)는 개별 접촉 임계치(TH-T) 또는 개별 포스 임계치(TH-F)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채용되는 복수의 터치 센서가 하이브리드 센서인 경우에, 슬라이드 모드로의 진입에 대한 보다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하기 2가지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경우에 슬라이드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1) 포스 센싱 신호의 크기가 상기 슬라이드 모드 임계치(|TH-SLD|, |TH-SLD|는 TH-SLD의 절대치)를 초과하는 경우
(2) 상기 슬라이드 모드 임계치(TH-SLD)를 초과하는 유지시간(△TL)이 유지 기준시간(Tref_L)을 초과하는 경우.
도 8은 슬라이드 모스 수행중 슬라이드 판단 설명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시그날 프로세서(700)는, 상기 슬라이드 모드를 수행하는 동안에, 연속되는 2번의 터치간의 시간(△TD)이 슬라이드 터치 기준시간(Tref_D) 이내이면 상기 슬라이드 터치로 인식할 수 있다.
도 9는 슬라이드 터치 패턴에 대한 처리 예시도고, 도 10은 슬라이드 터치 패턴에 대한 처리 예시도이다.
도 9 및 도 10를 참조하면, 상기 시그날 프로세서(700)는, 상기 슬라이드 모드를 수행하는 동안에, 상기 슬라이드 터치 패턴이 기 설정된 슬라이드 터치 패턴이면(S91,S110), 해당 슬라이드 터치 패턴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S92,S120). 예를 들어, 해당 슬라이드 터치 패턴에 대응되는 기능은, 접촉-터치에 관련된 동작을 디스에이블하는 기능, 위급 상황에 대한 비상 구조 기능, 특정 앱(App)을 수행하는 기능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드 터치 패턴이 기 설정된 슬라이드 터치 패턴에 매칭된 앱(App)을 수행하는 경우(S120), 포스 센싱 신호(SF)의 크기가 개별 포스 임계치(TH-F) 초과하면(S130) 해당 앱의 내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S140).
일 예로, 상기 수행되는 앱이 카메라 앱이 될 수 있고, 이 경우에, 카메라 앱이 실행되는 동안에는 접촉-터치에 따른 센싱 동작이 디스에이블될 수 있고, 포스-터치 인가에 따라 카메라 내부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1 (a), 도 11 (b)는 터치부재의 배치 예시도이다.
도 11 (a)는 복수의 터치부재(TM1~TM6)에 대한 일 배치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11 (a)를 참조하면, 제1 터치부재(TM1), 제2 터치부재(TM2), 제3 터치부재(TM3)는, 하우징(50)의 사이드 커버(51)에 배치될 수 있고, 제4 터치부재(TM4), 제5 터치부재(TM5), 제6 터치부재(TM6)는, 하우징(50)의 후면 커버(52)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1 (a)에서, 슬라이드 터치 패턴은, 제1 터치부재(TM1), 제2 터치부재(TM2), 제3 터치부재(TM3)가 하나의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터치되는 제1 방향의 슬라이드 터치와, 제4 터치부재(TM4), 제5 터치부재(TM5), 제6 터치부재(TM6)가 다른 하나의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터치되는 제2 방향의 슬라이드 터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 (b)는 복수의 터치부재(TM1~TM5)에 대한 일 배치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11 (b)를 참조하면, 제1 터치부재(TM1), 제2 터치부재(TM2), 제3 터치부재(TM3)는, 하우징(50)의 후면 커버(52)에 일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제4 터치부재(TM4), 제5 터치부재(TM5)는, 하우징(50)의 후면 커버(52)에 다른 일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1 (b)에서, 슬라이드 터치 패턴은, 제1 터치부재(TM1), 제2 터치부재(TM2), 제3 터치부재(TM3)가 하나의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터치되는 제1 방향의 슬라이드 터치와, 제4 터치부재(TM4), 제5 터치부재(TM5)가 다른 하나의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터치되는 제2 방향의 슬라이드 터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슬라이드 터치 패턴1 예시도이고, 도 13은 슬라이드 터치 패턴2 예시도이며, 도 14는 슬라이드 터치 패턴3 예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 예로, 제1 터치부재(TM1), 제2 터치부재(TM2), 제3 터치부재(TM3)가 순차적으로 터치 되는 슬라이드 터치 패턴1에 의해서, 제1 터치 센싱 신호(SS1), 제2 터치 센싱 신호(SS2), 제3 터치 센싱 신호(SS3)가 순차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일 예로, 제3 터치부재(TM3), 제2 터치부재(TM2), 제1 터치부재(TM1)가 순차적으로 터치 되는 슬라이드 터치 패턴2에 의해서, 제3 터치 센싱 신호(SS3), 제2 터치 센싱 신호(SS2), 제1 터치 센싱 신호(SS1)가 순차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일 예로, 제1 터치부재(TM1), 제2 터치부재(TM2), 제3 터치부재(TM3), 제2 터치부재(TM2), 제1 터치부재(TM1)가 순차적으로 터치 되는 슬라이드 터치 패턴3에 의해서, 제1 터치 센싱 신호(SS1), 제2 터치 센싱 신호(SS2), 제3 터치 센싱 신호(SS3), 제2 터치 센싱 신호(SS2), 제1 터치 센싱 신호(SS1)가 순차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터치 패턴3은, 제1 터치부재(TM1), 제2 터치부재(TM2), 제3 터치부재(TM3)가 하나의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터치되는 제1 방향의 슬라이드 터치와, 제3 터치부재(TM3), 제2 터치부재(TM2), 제1 터치부재(TM1)가 다른 하나의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터치되는 제2 방향의 슬라이드 터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 설정된 슬라이드 터치의 패턴은, 적어도 2개의 터치 센싱을 포함하는 제1 방향의 슬라이드 터치와, 적어도 2개의 터치 센싱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의 슬라이드 터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터치 센싱 디바이스의 일 예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 센싱 디바이스(100), 도 3 및 도 4)는 복수의 터치 센서(300-1,30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터치 센서(300-1,300-2,…) 각각은, 절연부재(330), 커패시티브 패드(340), 센싱코일(350) 및 도체부재(360)를 포함할 수 있다.
절연부재(330)는, 상기 하우징(5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커패시티브 패드(340)는, 상기 복수의 터치부재(TM1,TM2,…)를 통한 접촉-터치를 센싱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50)에 대향하는 상기 절연부재(330)의 일측에 배치된 제1 기판(321)에 실장될 수 있다.
센싱코일(350)은, 상기 복수의 터치부재(TM1,TM2,…)를 통한 포스-터치를 센싱하기 위해, 상기 절연부재(330)의 타측에 배치된 제2 기판(322)에 실장되고, 상기 제2 기판(322)은 상기 제1 기판(3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기판(321)과 제2 기판(322)는 별로의 기판으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상기 제1 기판(321)과 제2 기판(322)이 하나의 기판(320)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기판(320)은 일반적으로 주지된 PCB 기판중에 하나가 이용될 수 있으며, 특정 기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체부재(360)는, 상기 센싱코일(350)을 통한 포스 센싱을 위해, 상기 센싱코일(350)에 소정간격(d1) 이격될 수 있다.
도 15에서, 먼저, 상기 복수의 터치부재(TM1,TM2,…)를 통한 접촉-터치를 센싱하는 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복수의 터치부재(TM1,TM2,…)중 어느 하나가 접촉-터치 되면, 커패시티브 패드(340)와 접촉-터치되는 인체 사이에 커패시턴스가, 기판(321)에 실장된 커패시터 부품의 커패시턴스와 병렬로 형성되어 전체 커패시턴스 값은 증가되어 제1 공진회로(500-11)의 공진주파수는 감소하게 되어, 공진주파수가 감소된 제1 접촉 센싱 신호(ST1)가 생성될 수 있다.
다음, 상기 복수의 터치부재(TM1,TM2,…)를 통한 포스-터치를 센싱하는 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복수의 터치부재(TM1,TM2,…)중 어느 하나가 포스-터치 되면, 센싱코일(350)과 도체부재(360) 사이의 소정간격(d1)이 가변되어 센싱코일(350)과 도체부재(360) 사이의 와전류(Eddy current)에 의한 영향으로, 기판(322)에 실장된 센싱코일(350)의 인덕턴스 값이 감소되어 제2 공진회로(500-12)의 공진주파수는 증가하게 되어, 공진주파수가 증가된 제1 포스 센싱 신호(SF1)가 생성될 수 있다.
도 16은 터치 센싱 디바이스의 일 예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터치 센싱 디바이스(100), 도 3 및 도 4)는 복수의 터치 센서(300-1,30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터치 센서(300-1,300-2,…) 각각은, 절연부재(330), 커패시티브 패드(340), 도체부재(380), 및 센싱코일(350)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부재(330)는, 상기 하우징(50)의 내측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50)의 내측에 대향하는 일면을 포함할 수 있다.
커패시티브 패드(340)는, 상기 복수의 터치부재(TM1,TM2,…)를 통한 접촉-터치를 센싱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50)의 내측면에 배치된 제1 기판(323)에 실장되고, 상기 제1 기판(323)과 상기 절연부재(3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체부재(380)는, 상기 절연부재(330)의 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센싱코일(350)은, 상기 복수의 터치부재(TM1,TM2,…)를 통한 포스-터치를 센싱하기 위해, 상기 도체부재(380)와 소정간격(d2) 이격되어 제2 기판(324)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기판(322)은 상기 제1 기판(3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6에서, 먼저, 상기 복수의 터치부재(TM1,TM2,…)를 통한 접촉-터치를 센싱하는 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복수의 터치부재(TM1,TM2,…)중 어느 하나가 접촉-터치 되면, 커패시티브 패드(340)와 접촉-터치되는 인체 사이에 커패시턴스가, 기판(321)에 실장된 커패시터 부품의 커패시턴스와 병렬로 형성되어 전체 커패시턴스 값이 증가되어 제1 공진회로(500-11)의 공진주파수는 감소하게 되어, 공진주파수가 감소된 제1 접촉 센싱 신호(ST1)가 생성될 수 있다.
다음, 상기 복수의 터치부재(TM1,TM2,…)를 통한 포스-터치를 센싱하는 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복수의 터치부재(TM1,TM2,…)중 어느 하나가 포스-터치 되면, 센싱코일(350)과 도체부재(360) 사이의 소정간격(d1)이 가변되어 센싱코일(350)과 도체부재(360) 사이의 와전류(Eddy current)에 의한 영향으로, 기판(322)에 실장된 센싱코일(350)의 인덕턴스 값이 감소되어 제2 공진회로(500-12)의 공진주파수는 증가하게 되어, 공진주파수가 증가된 제1 포스 센싱 신호(SF1)가 생성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터치 센서가 하이브리드 터치 센서인 경우에 대한 예시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7은 도 10의 슬라이드 터치 패턴에 대한 제1 활용 예를 보이는 도면이고, 도 18은 도 10의 슬라이드 터치 패턴에 대한 제2 활용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전자 기기(10-2)가 복수의 제1 내지 제6 터치부재(TM1,TM2,…,TM6)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제1 내지 제6 터치부재(TM1,TM2,…,TM6) 각각에 대응되는 터치 센싱 디바이스(10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싱 디바이스(100-2)는, 제1,제2,제3 터치부재(TM1,TM2,TM3)(예, 볼륨업, 볼륨다우느 전원)를 순차적으로 터치함에 의한 슬라이드 터치 패턴이 기 설정된 카메라 모드에 해당되는 경우, 해당 카메라 앱(App)의 수행을 처리할 수 있고, 이 경우, 제4 터치부재(TM4)를 통한 플래쉬 기능을 처리할 수 있고, 제5 터치부재(TM5)를 통해 줌 기능을 처리할 수 있고, 제6 터치부재(TM6)를 통해 카메라 셔터 기능을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줌기능 및 카메라 셔터기능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인덕티브 센싱중 인덕턴스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오토 포커싱 기능 반샷 기능을 구현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전자 기기(10-3)가 복수의 제1 내지 제6 터치부재(TM1,TM2,…,TM6)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제1 내지 제6 터치부재(TM1,TM2,…,TM6) 각각에 대응되는 터치 센싱 디바이스(10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싱 디바이스(100-3)는, 제1,제2,제3 터치부재(TM1,TM2,TM3)(예, 볼륨업, 볼륨다운 전원)를 순차적으로 터치함에 의한 슬라이드 터치 패턴이 기 설정된 게임 모드에 해당되는 경우, 해당 게임 앱(App)의 수행을 처리할 수 있고, 이 경우, 복수의 제1 내지 제6 터치부재(TM1,TM2,…,TM6) 각각을 통한 해당 게임버튼1 내지 게임버튼6 각각에 대응되는 기능을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싱 디바이스의 발진회로 및 시그날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회로부는, 프로세서(예: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 메모리(예: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입력 디바이스(예: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디바이스, 터치 입력 디바이스, 적외선 카메라, 비디오 입력 디바이스 등), 출력 디바이스(예: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등) 및 통신접속장치(예: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 적외선 포트, USB 접속장치 등)이 서로 상호접속(예: 주변 구성요소 상호접속(PCI), USB, 펌웨어(IEEE 1394), 광학적 버스 구조, 네트워크 등)된 컴퓨팅 환경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팅 환경은 개인 컴퓨터, 서버 컴퓨터, 핸드헬드 또는 랩탑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폰, PDA, 미디어 플레이어 등),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소비자 전자기기, 미니 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임의의 전술된 시스템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분산 컴퓨팅 환경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M1,TM2,TM3: 제1,제2,제3 터치부재
50: 하우징
300: 터치 센싱부
300-1,300-2,300-3: 제1, 제2, 제3 터치 센서
320,321.322: 기판
330: 절연부재
340: 커패시티브 패드
350: 센싱코일
360: 도체부재
ST1,ST2, ST3: 제1,제2, 제3 접촉 센싱 신호
SF1,SF2, SF3: 포스 센싱 신호
500: 발진 회로부
500-1, 500-2, 500-3: 제1, 제2, 제3 발진회로
700: 시그날 프로세서

Claims (20)

  1. 복수의 터치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갖는 전자 기기에 채용될 수 있는 터치 센싱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의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터치부재를 통한 터치 인가에 기초한 터치 센싱을 수행하는 복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 센싱부;
    상기 터치 센싱부의 터치 센싱에 기초한 복수의 터치 센싱 신호를 생성하는 발진 회로부; 및
    상기 복수의 터치 센싱 신호중 어느 하나의 신호에 기초한 터치가 슬라이드 모드 시작 터치인 경우에 슬라이드 모드를 수행하여, 상기 복수의 터치 센싱 신호에 기초해 입력되는 슬라이드 터치 패턴이 미리 설정된 슬라이드 터치 패턴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시그날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터치 센싱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싱부는, 상기 복수의 터치부재를 통한 터치 인가에 기초한 커패시티브 센싱과 인덕티브 센싱을 수행하고,
    상기 발진 회로부는, 상기 터치 센싱부의 커패시티브 센싱에 기초한 복수의 접촉 센싱 신호와, 상기 터치 센싱부의 인덕티브 센싱에 기초한 복수의 포스 센싱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시그날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포스 센싱 신호중 어느 하나의 신호의 크기가 슬라이드 모드 임계치를 초과하면, 입력되는 포스-터치가 슬라이드 모드 시작 터치로 판단하는
    터치 센싱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 회로부는,
    적어도 제1 발진회로 및 제2 발진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발진회로는,
    상기 터치 센싱부에 포함된 제1 터치 센서의 커패시티브 센싱에 기초한 제1 접촉 센싱 신호와 상기 제1 터치 센서의 인덕티브 센싱에 기초한 제1 포스 센싱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발진회로는,
    상기 터치 센싱부에 포함된 제2 터치 센서의 커패시티브 센싱에 기초한 제2 접촉 센싱 신호와 상기 제2 터치 센서의 인덕티브 센싱에 기초한 제2 포스 센싱 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센싱 디바이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모드 임계치는,
    개별 포스 임계치보다 높게 설정한
    터치 센싱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날 프로세서는,
    입력받은 터치 센싱 신호가, 슬라이드 모드 임계치를 초과하는 유지시간이 유지 기준시간을 초과하면, 입력되는 터치가 슬라이드 모드 시작 터치로 판단하는
    터치 센싱 디바이스.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날 프로세서는,
    상기 슬라이드 모드를 수행하는 동안에, 상기 슬라이드 터치 패턴이 기 설정된 슬라이드 터치 패턴이면, 해당 슬라이드 터치 패턴에 매칭된 기능을 수행하는
    터치 센싱 디바이스.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싱 디바이스는,
    상기 슬라이드 모드를 수행하는 동안에, 상기 슬라이드 터치 패턴이 기 설정된 카메라 모드에 해당되면, 해당 카메라 앱의 수행을 처리하고, 복수의 터치 부재중 일부를 이용한 터치에 따라 카메라 기능인 플래쉬 기능, 줌 기능, 카메라 셔터기능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하는
    터치 센싱 디바이스.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싱 디바이스는,
    상기 슬라이드 모드를 수행하는 동안에, 상기 슬라이드 터치 패턴이 기 설정된 게임모드에 해당되면, 해당 게임 앱의 수행을 처리하고, 복수의 터치 부재중 일부를 이용한 터치에 따라 해당 게임의 대응 기능을 처리하는
    터치 센싱 디바이스.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 센서 각각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된 절연부재;
    상기 하우징에 대향하는 상기 절연부재의 일측에 배치된 제1 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복수의 터치부재를 통한 접촉-터치를 센싱하기 위한 커패시티브 패드;
    상기 절연부재의 타측에 배치된 제2 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제1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터치부재를 통한 포스-터치를 센싱하기 위한 센싱코일; 및
    상기 센싱코일을 통한 포스 센싱을 위해, 상기 센싱코일에 소정간격 이격된 도체부재;
    을 포함하는 터치 센싱 디바이스.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 센서 각각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대향하는 일면을 포함하는 절연부재;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배치된 제1 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절연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터치부재를 통한 접촉-터치를 센싱하기 위한 커패시티브 패드;
    상기 절연부재의 타면에 배치된 도체부재; 및
    상기 도체부재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제2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제1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터치부재를 통한 포스-터치를 센싱하기 위한 센싱코일;
    를 포함하는 터치 센싱 디바이스.
  11. 복수의 터치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터치부재를 통한 터치 인가에 기초한 터치 센싱을 수행하는 복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 센싱부;
    상기 터치 센싱부의 터치 센싱에 기초한 복수의 터치 센싱 신호를 생성하는 발진 회로부; 및
    상기 복수의 터치 센싱 신호중 어느 하나의 신호에 기초한 터치가 슬라이드 모드 시작 터치인 경우에 슬라이드 모드를 수행하여, 상기 복수의 터치 센싱 신호에 기초해 입력되는 슬라이드 터치 패턴이 미리 설정된 슬라이드 터치 패턴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시그날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싱부는, 상기 복수의 터치부재를 통한 터치 인가에 기초한 커패시티브 센싱과 인덕티브 센싱을 수행하고,
    상기 발진 회로부는, 상기 터치 센싱부의 커패시티브 센싱에 기초한 복수의 접촉 센싱 신호와, 상기 터치 센싱부의 인덕티브 센싱에 기초한 복수의 포스 센싱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시그날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포스 센싱 신호중 어느 하나의 신호의 크기가 슬라이드 모드 임계치를 초과하면, 입력되는 포스-터치가 슬라이드 모드 시작 터치로 판단하는
    전자 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 회로부는,
    적어도 제1 발진회로 및 제2 발진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발진회로는,
    상기 터치 센싱부에 포함된 제1 터치 센서의 커패시티브 센싱에 기초한 제1 접촉 센싱 신호와 상기 제1 터치 센서의 인덕티브 센싱에 기초한 제1 포스 센싱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발진회로는,
    상기 터치 센싱부에 포함된 제2 터치 센서의 커패시티브 센싱에 기초한 제2 접촉 센싱 신호와 상기 제2 터치 센서의 인덕티브 센싱에 기초한 제2 포스 센싱 신호를 생성하는
    전자 기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모드 임계치는,
    개별 포스 임계치보다 높게 설정한
    전자 기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날 프로세서는,
    입력받은 터치 센싱 신호가, 슬라이드 모드 임계치를 초과하는 유지시간이 유지 기준시간을 초과하면, 입력되는 터치가 슬라이드 모드 시작 터치로 판단하는
    전자 기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날 프로세서는,
    상기 슬라이드 모드를 수행하는 동안에, 상기 슬라이드 터치 패턴이 기 설정된 슬라이드 터치 패턴이면, 해당 슬라이드 터치 패턴에 매칭된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싱 디바이스는,
    상기 슬라이드 모드를 수행하는 동안에, 상기 슬라이드 터치 패턴이 기 설정된 카메라 모드에 해당되면, 해당 카메라 앱의 수행을 처리하고, 복수의 터치 부재중 일부를 이용한 터치에 따라 카메라 기능인 플래쉬 기능, 줌 기능, 카메라 셔터기능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하는
    전자 기기.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싱 디바이스는,
    상기 슬라이드 모드를 수행하는 동안에, 상기 슬라이드 터치 패턴이 기 설정된 게임모드에 해당되면, 해당 게임 앱의 수행을 처리하고, 복수의 터치 부재중 일부를 이용한 터치에 따라 해당 게임의 대응 기능을 처리하는
    전자 기기.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 센서 각각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된 절연부재;
    상기 하우징에 대향하는 상기 절연부재의 일측에 배치된 제1 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복수의 터치부재를 통한 접촉-터치를 센싱하기 위한 커패시티브 패드;
    상기 절연부재의 타측에 배치된 제2 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제1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터치부재를 통한 포스-터치를 센싱하기 위한 센싱코일; 및
    상기 센싱코일을 통한 포스 센싱을 위해, 상기 센싱코일에 소정간격 이격된 도체부재;
    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 센서 각각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대향하는 일면을 포함하는 절연부재;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배치된 제1 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절연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터치부재를 통한 접촉-터치를 센싱하기 위한 커패시티브 패드;
    상기 절연부재의 타면에 배치된 도체부재; 및
    상기 도체부재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제2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제1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터치부재를 통한 포스-터치를 센싱하기 위한 센싱코일;
    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1020210036779A 2021-03-22 2021-03-22 터치 센싱 디바이스 및 전자 기기 KR2022013172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779A KR20220131727A (ko) 2021-03-22 2021-03-22 터치 센싱 디바이스 및 전자 기기
US17/382,789 US11543906B2 (en) 2021-03-22 2021-07-22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sensing devices
CN202111208949.7A CN115113757A (zh) 2021-03-22 2021-10-18 触摸感测装置及电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779A KR20220131727A (ko) 2021-03-22 2021-03-22 터치 센싱 디바이스 및 전자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1727A true KR20220131727A (ko) 2022-09-29

Family

ID=83284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6779A KR20220131727A (ko) 2021-03-22 2021-03-22 터치 센싱 디바이스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543906B2 (ko)
KR (1) KR20220131727A (ko)
CN (1) CN115113757A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40340B1 (en) * 2009-07-31 2017-08-22 Amazon Technologies, Inc. Visually consistent arrays including conductive mesh
US8441460B2 (en) * 2009-11-24 2013-05-14 Mediatek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ide touch panel as part of man-machine interface (MMI)
JP5651036B2 (ja) 2011-02-15 2015-01-07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操作検出装置
KR20210010285A (ko) * 2019-07-18 2021-01-27 삼성전기주식회사 일체형 하우징 표면상의 터치영역 식별 가능한 스위칭 조작 센싱 장치
KR102149385B1 (ko) * 2019-09-20 2020-08-31 삼성전기주식회사 슬라이드 검출 기능을 갖는 터치 센싱 장치 및 전기 기기
KR102393218B1 (ko) * 2020-07-07 2022-05-02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 센싱 방법 및 그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KR20220032449A (ko) 2020-09-07 2022-03-15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 센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00133A1 (en) 2022-09-22
CN115113757A (zh) 2022-09-27
US11543906B2 (en) 202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5678B2 (en) Sensor device provided with a circuit for detection of single or multiple events for generating corresponding interrupt signals
KR20170072904A (ko) 터치 신호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의 조작을 실현하는 방법, 시스템 및 이동 단말기
TWI581139B (zh) 觸控顯示裝置及觸控顯示裝置的控制系統
JP7329150B2 (ja) タッチボタン、制御方法及び電子機器
CN108008859B (zh) 一种屏幕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108595044B (zh) 一种触摸屏的控制方法及终端
CN108646948B (zh) 触控按键灵敏度的调节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KR20220145383A (ko) 회로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30010769A (ko) 인터페이스 회로 및 전자 기기
JP6360367B2 (ja) 携帯電子機器、携帯電子機器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057036B2 (en) Switching operation sensing device that distinguishes touch regions on surface of integrated housing
KR20220131727A (ko) 터치 센싱 디바이스 및 전자 기기
CN109791457B (zh) 传感装置和电子设备
EP4195887A1 (en)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air vent
WO2022048623A1 (zh)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和控制装置
KR101655427B1 (ko) 3차원 터치 스크린 패널
US20210018388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orce key structure
KR20220087762A (ko) 전기적 스트레스를 제거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인쇄 회로 기판
CN112752179A (zh) 一种耳机控制方法、手柄模块及耳机
TW201740253A (zh) 觸碰感測裝置
CN113076008A (zh) 临近检测方法及临近检测键盘
CN216291387U (zh) 一种按键结构、耳机充电盒及耳机
KR102393220B1 (ko) 기준신호 업데이트 기능을 갖는 터치 센싱 디바이스 및 전자 기기
CN107734192B (zh) 一种参数调整方法及移动终端
TW201310297A (zh) 駐極體輸入裝置及其操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