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1612A - 랜스 장비의 산소 토출량 조절용 밸브 홀더 - Google Patents

랜스 장비의 산소 토출량 조절용 밸브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1612A
KR20220131612A KR1020210036433A KR20210036433A KR20220131612A KR 20220131612 A KR20220131612 A KR 20220131612A KR 1020210036433 A KR1020210036433 A KR 1020210036433A KR 20210036433 A KR20210036433 A KR 20210036433A KR 20220131612 A KR20220131612 A KR 20220131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lever
stopper
valve holder
lanc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6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4414B1 (ko
Inventor
강의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비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비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비씨
Priority to KR1020210036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4414B1/ko
Priority to PCT/KR2021/018311 priority patent/WO2022203161A1/ko
Publication of KR20220131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1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4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2Opening or sealing the tap h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4Discharging devices, e.g. for sla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6Tuyé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3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9/36Arrangements of he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3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9/39Arrangements of devices for dischar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tallu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Oxygen, Ozone, And Oxides In General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랜스 장비에서 산소 토출을 제어하는 그립식 밸브 홀더와 관련되며 실시예로, 연장 튜브의 후방에 결합되며, 산소 배출량을 제어하는 밸브체를 구비하는 랜스 장비용 밸브 홀더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가 구비되는 바디. 상기 바디에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밸브체를 작동하는 작동레버, 상기 바디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레버의 선단부가 수용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커브루프 및 상기 작동레버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 이동하는 스톱퍼를 포함하며, 상기 커브루프에는 전진 이동한 스톱퍼가 걸려 상기 작동레버의 회전 각도가 고정되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는 랜스 장비의 산소 토출량 조절용 밸브 홀더를 제시한다.

Description

랜스 장비의 산소 토출량 조절용 밸브 홀더{Oxygen Emissions Control Valve Holder for Lance Equipment}
본 발명은 랜스 장비에서 산소 토출을 제어하는 그립식 밸브 홀더와 관련된다.
랜스 장비는 제철소의 연주 공정 등에서 큰 지금의 절단 작업이나 레이들 개공 작업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공급된 산소로 인하여 랜스 파이프의 끝단이 용융하면서 발생하는 고온을 이용하여 이제 막 액상에서 고체로 응고되는 강철 등을 토출 화염을 이용해 절단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랜스 장비는, 밸브 홀더, 연장 튜브, 랜스 파이프 홀더 및 랜스 파이프가 차례로 연결된 긴 봉의 형태이며, 밸브 홀더 후단에 연결되는 호스를 통해 공급된 산소를 랜스 파이프 선단부로 토출시키는 구조이다.
용광로 근처에서 산소를 사용하면서, 작업자가 직접 다루는 장비이므로 높은 안전성과 작동 신뢰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부속 대부분이 내열성이 우수한 금속으로 제작되며, 산소 이동을 제어하는 후단부의 밸브 홀더는 단순하면서 견고한 구조로 고장 확률이 낮은 구성을 채택하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밸브 홀더 중 하나로, 핸들 레버를 손에 쥐어 각도가 변경됨에 따라 산소 배출량이 비례적으로 조절되는 타입이, 미국 등록특허 제4,317,561호에 개시되어 있다.
작업 현장에서 사용 양태를 살펴보면, 작업 대상 근처에서 랜스 파이프의 선단부에 불을 붙인 후 작업 대상으로 랜스 장비를 옮겨 랜스 파이프의 선단부의 작업 위치를 맞추고 산소를 토출시켜 키운 화염으로 의도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랜스 파이프의 선단에 불을 붙이는 과정과, 불붙은 랜스 파이프를 작업 대상에 가져다 대는 과정 중에는 적절한 산소량을 유지하기 위하여 밸브 홀더를 살짝 쥐어야 한다. 이 과정 중에 산소가 많이 토출된다면 애써 붙인 불이 꺼지거나, 의도치 않은 큰 화염이 발생하기도 한다.
두꺼운 방열 장갑을 비롯한 각종 안전 기구를 착용한 상태에서, 미세한 산소 토출량을 맞추면서 랜스 장비를 다루는 데에 따른 불편함이 크다. 특히 무거운 랜스 장비를 세밀하게 다루어야 하므로 작업자의 피로가 쉽게 쌓이며, 시간이 갈수록 집중도가 떨어져 안전 사고의 위험도 커지는 문제도 뒤따른다.
미국 등록특허 제4,317,561호 (1982.03.02)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미세 산소 토출량을 유지할 수 있게 하여 랜스 장비를 다루는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연장 튜브의 후방에 결합되며, 산소 배출량을 제어하는 밸브체를 구비하는 랜스 장비용 밸브 홀더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가 구비되는 바디. 상기 바디에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밸브체를 작동하는 작동레버, 상기 바디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레버의 선단부가 수용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커브루프 및 상기 작동레버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 이동하는 스톱퍼를 포함하며, 상기 커브루프에는 전진 이동한 스톱퍼가 걸려 상기 작동레버의 회전 각도가 고정되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는 랜스 장비의 산소 토출량 조절용 밸브 홀더를 제시한다.
나아가 상기 작동레버의 길이 방향에 따라 장축이 형성되는 장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톱퍼는 상기 작동레버의 상면에 놓이는 디스크바디와, 상기 디스크바디의 배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장홀에 들어가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스톱퍼블록부,
상기 장홀의 주변부와 접하는 누름편부, 상기 누름편부를 관통하여 상기 결합부에 장착되는 고정볼트 및 상기 고정볼트의 헤드와 상기 누름편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누름편부를 상기 작동레버를 향하여 가압하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브루프에는 서로 다른 회전 각도로 상기 작동레버를 위치 고정시키는 둘 이상의 상기 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의 양 측면부를 형성하는 사이드벽에 상기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톱퍼는 작동레버의 선단부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어서, 전진 이동 시에 상기 끼움홈 안으로 진입하여 상기 끼움홈에 걸리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홈에 상기 스톱퍼가 걸리는 상기 작동레버의 고정 위치에서 상기 작동레버가 이탈될 때에 상기 스톱퍼를 후퇴시키는 탄성부여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한 번의 조작으로 랜스 장비로 소량의 산소 토출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랜스 파이프를 다루는 데에 편리함이 향상된다. 그에 따라 작업자의 피로가 줄어들어 안전 사고의 위험도 저감된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 홀더가 구비된 랜스 장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 홀더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커브루프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주요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내지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 홀더의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랜스 장비의 산소 토출량 조절용 밸브 홀더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도면들과 실시예들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기술적 의미가 동일성 범위에 있는 구성요소를 편의상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즉, 어떠한 하나의 구성은 임의적으로 '제1구성' 또는 '제2구성'으로 명명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의 견지에서 도면에 도시된 일부 또는 전부가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형상, 모양, 순서가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면,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랜스 장비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랜스 장비(200)는 산소 가스가 주입되는 호스(201)와 연결되며, 산소 토출량을 조절하는 밸브 홀더(100), 관 형태의 랜스 파이프(202)를 물어 고정하는 파이프 홀더(203) 및 파이프 홀더(203)와 밸브 홀더(100)를 연결하는 관체인 연장 튜브(204)를 포함한다. 작업자는 밸브 홀더(100)와 연장 튜브(204)를 손으로 잡아 랜스 장비(200)를 다루게 된다.
도 2 내지 도 4는 밸브홀더와 관련된다.
밸브 홀더(100)는 바디(10), 작동레버(20), 커브루프(30) 및 스톱퍼(40)를 포함한다.
바디(10)는 원통체로 전후에 산소 주입용 호스와 연장 튜브가 연결된다.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바디의 내부에는 전후로 관통한 통로와 밸브 시트가 구비되며, 밸브 시트를 개폐하는 밸브체가 구비된다. 여기서 밸브체는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평상시에는 밸브 시트를 폐쇄하고 있다가, 후술하는 작동레버의 회전에 의해 후퇴하여 밸브 시트를 개방하여 산소를 통과시킨다. 이러한 밸브체의 전후진 작동과 작동레버의 구조는 미국 등록특허 제4,317,561호 등과 같은, 공지된 기술들과 사실상 동일할 수 있다.
작동레버(20)는 바디(10)에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회전 각도에 따라 밸브체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작동레버(20)는 밸브체를 지지하는 스프링이나 회전축에 결합된 코일 스프링 등에 의해 평상시에는 바디(10)로부터 최대로 벌어지는 방향(밸브체가 통로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작동레버(20)를 누르지 않으면, 작동레버(20)는 바디(10)로부터 최대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커브루프(30)는 바디(10)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작동레버(20)의 선단부(21)를 수용하는 가이드홈(h)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는 커브루프(30)의 부분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커브루프(30)는 일정 거리를 두고 나란하게 연장된 한 쌍의 사이드벽(31)과, 양 사이드벽(31)의 일단부를 막아 'ㄷ' 자형 단면을 형성하는 연결벽(32)을 포함한다. 커브루프(30)는 작동레버가 회전하는 궤적에 맞추어 완만하게 휘어져 있다.
사이드벽(31)과 연결벽(32)의 끝단부는 마감벽(33)에 의해 막힌 벽을 형성한다.
작동레버(20)의 선단부(21)는 가이드홈(h)에 수용된다. 작동레버(20)가 바디(10)로부터 최대로 벌어진 때에 작동레버(20)의 선단부(21)가 마감벽(33)의 내벽과 간섭되어, 작동레버(20)가 더 벌어지지 아니하게 된다. 또 작동레버(20)의 선단부(21)가 사이드벽(31)의 내면과 간섭되어, 작동레버(20)가 폭 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된다.
커브루프(30)의 사이드벽(31)에는 후술하는 스톱퍼가 걸리는 끼움홈(34)이 형성된다. 끼움홈(34)은 사이드벽(31)을 깎아 형성한 것으로, 끼움홈(34)의 내측은 급한 경사의 걸림면(341)과, 걸림면과 대비하여 완만한 경사의 안내면(342)으로 구분된다.
구체적으로 바디(10)와 먼 쪽의 걸림면(341)은 작동레버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바디와 가까운 쪽의 안내면(342)은 완만한 경사면 또는 완만하게 이어지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걸림면과 안내면을 구비하는 끼움홈은, 나란한 사이드벽(31)의 같은 위치에 서로 좌우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다.
스톱퍼(40)는 작동레버(20)의 선단부(21) 근처에서 작동레버(20)의 길이 방향에 따라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스톱퍼(40)는 전진한 위치에서 끼움홈(34)의 걸림면(341)에 간섭되고, 후진한 위치에서는 끼움홈(34)에 간섭하지 아니하는 것이다. 즉 스톱퍼(40)가 전진한 상태에서 작동레버(20)가 더 이상 원래의 위치(바디로부터 최대한 벌어져 산소 토출을 막고 있는 위치)로 복원될 수 없다.
도 4에는 스톱퍼(40)의 세부 구성과 관련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스톱퍼(40)는 작동레버(20)의 선단 부분에 형성된 장홀(22)에 장착된다. 여기서 장홀(22)의 긴 축은 작동레버(20)의 길이 방향에 따라 형성된다.
스톱퍼(40)는 스톱퍼블록부(41), 누름편부(42), 고정볼트(43) 및 탄성부(44)를 포함한다.
스톱퍼블록부(41)는 대략 동전 사이즈의 디스크바디(411)와, 이 디스크바디(411)의 하면 중앙에 돌출된 결합부(412) 및 디스크바디(411)의 상면에 돌출된 돌출부(413)를 포함한다. 디스크바디(411)의 직경은 작동레버(2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선단부(21)를 향하는 디스크바디(411)의 가장자리 부분이 커브루프(30)의 끼움홈(34)에 걸리게 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디스크바디(411)는 원형이지만, 끼움홈(34)에 들어가 걸리는 형태라면 직사각형 등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결합부(412)는 장홀(22)에 들어가 장홀의 내벽면을 타고 미끄럼 이동하는 부분이다. 회전 없이 장홀(22)의 평탄한 내측면을 타고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부(412)의 양 측면부는 평면으로 형성된다.
결합부(412)의 돌출 길이는 장홀(22)이 형성된 작동레버(2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그 보다 다소 짧게 형성된다. 또한 결합부(412)의 바닥에는 고정볼트(43)가 장착되는 나사홀(412a)이 형성되어 있다.
누름편부(42)는 장홀(22)의 좁은 폭 길이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와셔 부재로, 고정볼트(43)가 통과하는 중앙홀(421)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볼트(43)는 누름편부(42)의 중앙홀(421)을 통과하고, 장홀(22)에 끼워진 결합부(412)의 나사홀(412a)에 나사 결합한다. 이때 고정볼트(43)의 헤드(431)와 누름편부(42) 사이에는 누름편부(42)를 작동레버(20)를 향하여 가압하는 탄성부(44)가 개재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탄성부(44)는 고정볼트(43)의 바디에 끼워지는 웨이브 와셔(wave washer)이다. 이러한 탄성부(44)는 코일 스프링이나 탄성 고무링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스톱퍼(40)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도 5의 확대 부분을 참고하면, 탄성부(44)에 의해 누름편부(42)가 탄성지지됨에 따라, 장홀(22) 주변부와 디스크바디(411) 또는 누름편부(42)와의 마찰력이 증가된다. 이로써 사용자가 여러 번 반복 사용하여 마찰되는 면들에서 마모가 진행되더라도 스톱퍼(40)가 중력 등 어지간한 외력에 의해 장홀(22)을 타고 이동하지 아니하게 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 홀더의 작동과 관련된다.
도 5는 작동레버(20)가 바디(10)로부터 최대로 벌어진 상태로, 밸브체가 바디의 통로를 폐쇄하여 산소 토출이 억제되는 상황이다. 이때 작동레버(20)의 선단부는 가이드홈(h)의 끝단부에까지 이르게 된다.
스톱퍼(40)는 장홀(22)에서 후퇴한 상태로, 커브루프(30)와 접촉하고 있지 아니하다. 탄성부(44)에 의해 누름편부(42)가 가압되므로, 후퇴한 스톱퍼(40)가 임의로 전진하지 아니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작동레버(20)를 쥐거나 펴서, 종래의 기술에서와 마찬가지로 작동레버를 조작할 수 있다.
도 6은 작동레버(20)를 살짝 쥐어 바디(10)를 향하여 소정 각도로 회전시킨 후 스톱퍼(40)를 전진시켜 커브루프(30)의 끼움홈에 스톱퍼(40)를 끼운 상태이다.
사용자는 스톱퍼블록부(41)의 돌출부(413)를 엄지손가락으로 밀어줌으로써 작동레버(20)를 움켜쥔 상황에서도 스톱퍼(40)를 용이하게 전진시킬 수 있다.
작동레버(20)는 가이드홈(h)의 끝단부까지 회전하려하지만, 전진 이동한 스톱퍼블록부(41)의 가장자리 부분이 양 사이드벽에 형성한 끼움홈(34)에 들어가 걸림으로써, 작동레버(20)의 회전 각도가 고정된다. 이후 사용자가 작동레버(20)에서 손을 떼어도, 작동레버의 회전 각도가 그대로 유지되어 산소가 지속적으로 토출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랜스 파이프의 선단부에 불을 붙이거나, 랜스 장비를 작업 대상물로 옮길 수 있다. 이 과정 중 작동레버를 조심스럽게 쥐고 있을 필요가 없어지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
도 7은 산소 토출량을 최대로 증대시키기 위해, 작동레버(20)가 바디(10)와 가깝게 최대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끼움홈(34)에 스톱퍼(40)가 걸린 상태(도 6 참고)에서 작동레버(20)가 바디(10)를 향해 더 회전함에 따라, 스톱퍼블록부(41)의 가장자리가 끼움홈(34)의 안내면(342)과 접촉하면서 밀려나, 스톱퍼(40)가 장홀(22)에서 후퇴 이동하게 된다.
스톱퍼(40)가 장홀(22)의 후방측으로 후퇴함에 따라 사용자가 작동레버(20)에 손을 떼면, 작동레버(20)는 바디(10)에서 최대 각도로 벌어져 산소 배출이 차단되는, 도 5의 상태로 복원된다. 이후 후퇴 이동한 스톱퍼(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부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임의로 다시 전진하지 아니하게 된다.
작동레버(20)를 바디와 가깝게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안내면에 의해 스톱퍼(40)가 자동 후퇴 이동하므로, 사용자가 스톱퍼(40)를 일부러 후퇴시키지 아니하여도, 작동레버(20)를 놓으면 산소 배출이 중단되는 폐쇄 작동이 이루어진다.
이는 사용자가 스톱퍼를 후퇴시키는 위치 조정을 잠시 놓치더라도 작동레버가 복원되면서 산소 토출이 중단되는 작동이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하여, 사용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 홀더와 관련된다.
도시한 실시예의 밸브 홀더(100)는 바디(10), 작동레버(20), 커브루프(30) 및 스톱퍼(40)를 포함하며, 이들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과 저촉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을 그대로 포함할 수 있다.
커브루프(30)에는 서로 다른 회전 각도로 작동레버(20)를 위치 고정시키는 둘 이상의 끼움홈(34)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작동레버(20)는 서로 다른 세 가지 회전 각도로 고정될 수 있도록, 그에 맞추어 사이드벽면을 따라 3개의 끼움홈(34)이 형성되어 있다.
끼움홈(34)이 복수로 구비됨에 따라 서로 다른 산소 토출량으로 작동레버(20)를 고정하게 된다.
바디(10)로부터 가장 먼 위치의 끼움홈(34)은, 랜스 파이프의 점화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산소 토출량을 미세량으로 유지시키는 데에 주요하다.
한편 바디(10)와 가장 가까운 끼움홈(34)은 최대 산소 토출량에 가깝게 산소 배출량을 유지할 때에 사용할 수 있다.
중간 거리의 끼움홈(34)은 산소 토출량을 최대 토출량보다 낮은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경이 서로 다른 랜스 파이프로 바꾸어 랜스 장비를 조립할 수 있는데, 최대 허용치보다 작은 직경의 랜스 파이프에 적합한 산소 토출량을 맞추기 위해 중간 거리의 끼움홈에 스톱퍼를 걸어둘 수 있다.
이러한 끼움홈(34)의 수와 위치는 랜스 장비에서 요구되는 산소 토출량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다.
한편 스톱퍼(40)를 후퇴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려는 탄성부여부(50)가 구비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탄성부여부(50)는 일단은 작동레버(20)에 고정되고, 타단은 스톱퍼(40)에 결합되는 인장 스프링과, 인장 스프링을 설치하기 위한 부속품들을 포함한다.
끼움홈(34)에 스톱퍼(40)가 걸린 상태에서는, 바디(10)로부터 최대 각도로 벌어지려는 작동레버(20)의 복원력과 장홀 주변부와의 마찰력 등이 스톱퍼(40)에 작용하여, 탄성부여부(50)에 의한 힘이 작용하더라도 스톱퍼(40)가 후퇴 이동하지 않게 된다. 즉 끼움홈(34)에 스톱퍼(40)가 걸려 작동레버의 회전 각도가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후 사용자가 작동레버(20)를 바디(10)에 가깝게 회전시켰을 때에, 작동레버(20)의 복원력에 의해 스톱퍼블록부를 끼움홈(34)의 걸림면으로 누르는 힘이 사라지고, 탄성부여부(50)에 의한 스톱퍼(40)의 후퇴 이동이 진행된다. 즉 탄성부여부(50)는 작동레버(20)의 복원력에 의해 스톱퍼(40)가 눌리는 힘에 대응하는 수준이거나 그보다 작은 힘으로 스톱퍼(40)를 후퇴시키도록 작용함으로써, 작동레버(20)가 눌려 끼움홈(34)에서 스톱퍼(40)의 눌림이 해소됨과 동시에 스톱퍼가 후퇴 이동하게 된다.
탄성부여부(50)가 끼움홈에 스톱퍼(40)가 걸리지 아니한 상태의 스톱퍼(40)를 적극적으로 후퇴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손을 놓았을 때에 산소 배출을 폐쇄하는 작동레버(20)의 복원이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그에 따라 사용 안전성이 더욱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밸브 홀더는 산소 토출량을 미세하게 유지하기 위해 작동레버를 살짝 쥐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한다. 무거운 랜스 장비를 지속적으로 다뤄야하는 사용자의 피로와 긴장을 경감시켜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안전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100 : 밸브 홀더
10 : 바디
20 : 작동레버 21 : 선단부 22 : 장홀
30 : 커브루프 h : 가이드홈
31 : 사이드벽 32 : 연결벽 33 : 마감벽
34 : 끼움홈 341 : 걸림면 342 : 안내면
40 : 스톱퍼
41 : 스톱퍼블록부 411 : 디스크바디 412 : 결합부
412a : 나사홀 413 : 돌출부 42 : 누름편부 421 : 중앙홀
43 : 고정볼트 431 : 헤드 44 : 탄성부
50 : 탄성부여부
200 : 랜스 장비
201 : 호스 202 : 랜스 파이프 203 : 파이프 홀더 204 : 연장 튜브

Claims (4)

  1. 연장 튜브의 후방에 결합되며, 산소 배출량을 제어하는 밸브체를 구비하는 랜스 장비용 밸브 홀더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가 구비되는 바디.
    상기 바디에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밸브체를 작동하는 작동레버,
    상기 바디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레버의 선단부가 수용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커브루프 및
    상기 작동레버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 이동하는 스톱퍼를 포함하며,
    상기 커브루프에는 전진 이동한 스톱퍼가 걸려 상기 작동레버의 회전 각도가 고정되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는
    랜스 장비의 산소 토출량 조절용 밸브 홀더.
  2. 제1항에서,
    상기 작동레버의 길이 방향에 따라 장축이 형성되는 장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톱퍼는
    상기 작동레버의 상면에 놓이는 디스크바디와, 상기 디스크바디의 배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장홀에 들어가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스톱퍼블록부,
    상기 장홀의 주변부와 접하는 누름편부,
    상기 누름편부를 관통하여 상기 결합부에 장착되는 고정볼트 및
    상기 고정볼트의 헤드와 상기 누름편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누름편부를 상기 작동레버를 향하여 가압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랜스 장비의 산소 토출량 조절용 밸브 홀더.
  3. 제1항에서,
    상기 커브루프에는 서로 다른 회전 각도로 상기 작동레버를 위치 고정시키는 둘 이상의 상기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스 장비의 산소 토출량 조절용 밸브 홀더.
  4. 제1항에서,
    상기 가이드홈의 양 측면부를 형성하는 사이드벽에 상기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톱퍼는 작동레버의 선단부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어서, 전진 이동 시에 상기 끼움홈 안으로 진입하여 상기 끼움홈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스 장비의 산소 토출량 조절용 밸브 홀더.
KR1020210036433A 2021-03-22 2021-03-22 랜스 장비의 산소 토출량 조절용 밸브 홀더 KR102454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433A KR102454414B1 (ko) 2021-03-22 2021-03-22 랜스 장비의 산소 토출량 조절용 밸브 홀더
PCT/KR2021/018311 WO2022203161A1 (ko) 2021-03-22 2021-12-06 랜스 장비의 산소 토출량 조절용 밸브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433A KR102454414B1 (ko) 2021-03-22 2021-03-22 랜스 장비의 산소 토출량 조절용 밸브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1612A true KR20220131612A (ko) 2022-09-29
KR102454414B1 KR102454414B1 (ko) 2022-10-14

Family

ID=83397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6433A KR102454414B1 (ko) 2021-03-22 2021-03-22 랜스 장비의 산소 토출량 조절용 밸브 홀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54414B1 (ko)
WO (1) WO2022203161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7561A (en) 1977-12-03 1982-03-02 Manfred Schulz Holder for an oxygen lance
KR200274414Y1 (ko) * 2001-11-05 2002-05-06 주식회사 포스코 원터치형 경사랜스 콘넥터
KR200315547Y1 (ko) * 2003-03-12 2003-06-02 문영택 가스절단 토오치의 혼합가스 개폐장치
KR20050087415A (ko) * 2004-02-26 2005-08-31 강의창 자동점화산소절약토치
US20110198523A1 (en) * 2010-02-18 2011-08-18 Reinhardt Bayer Quick-Acting Valve Having Metering Relief
KR20180094234A (ko) * 2017-02-15 2018-08-23 현대제철 주식회사 스카핑 토치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7561A (en) 1977-12-03 1982-03-02 Manfred Schulz Holder for an oxygen lance
KR200274414Y1 (ko) * 2001-11-05 2002-05-06 주식회사 포스코 원터치형 경사랜스 콘넥터
KR200315547Y1 (ko) * 2003-03-12 2003-06-02 문영택 가스절단 토오치의 혼합가스 개폐장치
KR20050087415A (ko) * 2004-02-26 2005-08-31 강의창 자동점화산소절약토치
US20110198523A1 (en) * 2010-02-18 2011-08-18 Reinhardt Bayer Quick-Acting Valve Having Metering Relief
KR20180094234A (ko) * 2017-02-15 2018-08-23 현대제철 주식회사 스카핑 토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4414B1 (ko) 2022-10-14
WO2022203161A1 (ko) 2022-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551913A (en) Retainer latch for pistol holsters
US9581401B2 (en) Firearm grip safety
US7395747B2 (en) Breechblock stops for firearm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5357939A (en) Bow string release with continuous loop wrist strap and reversible trigger mechanism
US6895951B2 (en) Adjustable back tension rope release
US5615507A (en) Fire control mechanism for a firearm
US5625971A (en) Handgun
US4662346A (en) Loaded arrow holder
FR2465184A1 (ko)
US3979850A (en) Safety system for handguns
US4833811A (en) Safety for pistols
KR102454414B1 (ko) 랜스 장비의 산소 토출량 조절용 밸브 홀더
KR20020027320A (ko) 권총
US11698236B2 (en) Grip safety interlock for firearm
US4461110A (en) Safety latch arrangement for use in a firearm
US4128957A (en) Revolver-type hand gun
US11906264B2 (en) Adjustable forend mechanism in rifles
CA2393901C (en) Safety unit for a hammer in a firearm
AU2013407398B2 (en) Valve gun for a high-pressure cleaning device
US6176398B1 (en) Effective trigger grip power device for caulk dispensing devices
US6257114B1 (en) Firing lever mechanism for firearms
US4058923A (en) Shotgun safety device
WO2020178049A1 (fr) Verrou de chargeur
US3106033A (en) Firing mechanism with sear safety indicator
EP4196737A1 (fr) Verrou de chargeu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