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0685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브로드캐스트와 유니캐스트 전송 간의 빠른 전환을 위한 보조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브로드캐스트와 유니캐스트 전송 간의 빠른 전환을 위한 보조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0685A
KR20220130685A KR1020227023187A KR20227023187A KR20220130685A KR 20220130685 A KR20220130685 A KR 20220130685A KR 1020227023187 A KR1020227023187 A KR 1020227023187A KR 20227023187 A KR20227023187 A KR 20227023187A KR 20220130685 A KR20220130685 A KR 20220130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broadcast
multicast
wireless devic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3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원
정성훈
변대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130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06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8Migration or transfer of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04W72/00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브로드캐스트와 유니캐스트 전송 사이의 빠른 전환을 위한 보조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무선 장치는 네트워크로부터 유니캐스트를 통해 서비스를 수신한다. 유니캐스트를 통해 서비스를 수신하는 동안, 무선 장치는 멀티캐스트 및/또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서비스의 수신을 감지한다. 무선 장치는 멀티캐스트 및/또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서비스의 수신을 네트워크에 알린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브로드캐스트와 유니캐스트 전송 간의 빠른 전환을 위한 보조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브로드캐스트와 유니캐스트 전송 사이의 빠른 전환을 위한 보조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Term Evolution)는 고속 패킷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기술이다. LTE 목표인 사용자와 사업자의 비용 절감, 서비스 품질 향상, 커버리지 확장 및 시스템 용량 증대를 위해 많은 방식이 제안되었다. 3GPP LTE는 상위 레벨 필요조건으로서 비트당 비용 절감, 서비스 유용성 향상, 주파수 밴드의 유연한 사용, 간단한 구조, 개방형 인터페이스 및 단말의 적절한 전력 소비를 요구한다.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및 3GPP에서 NR(New Radio) 시스템에 대한 요구 사항 및 사양을 개발하는 작업이 시작되었다. 3GPP는 긴급한 시장 요구와 ITU-R(ITU Radio Communication Sector)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s)-2020 프로세스가 제시하는 보다 장기적인 요구 사항을 모두 적시에 만족시키는 NR을 성공적으로 표준화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 구성 요소를 식별하고 개발해야 한다. 또한, NR은 먼 미래에도 무선 통신을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적어도 100 GHz에 이르는 임의의 스펙트럼 대역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NR은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mMTC(massive Machine Type-Communications), URLLC(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등을 포함하는 모든 배치 시나리오, 사용 시나리오, 요구 사항을 다루는 단일 기술 프레임 워크를 대상으로 한다. NR은 본질적으로 순방향 호환성이 있어야 한다.
NR은 LTE에 비해 매우 광대역에서 동작하는 기술이다. 유연한 광대역 운용을 지원하기 위해 NR은 광대역 지원 측면에서 LTE와 다른 다음과 같은 설계 원칙을 가지고 있다.
- 대역폭을 지원하는 네트워크와 사용자 장비(UE)의 능력은 다를 수 있다.
- 단말이 지원하는 하향링크와 상향링크의 대역폭 능력(bandwidth capabilities)은 다를 수 있다.
- 단말마다 지원하는 대역폭의 능력이 다를 수 있으므로, 서로 다른 대역폭을 지원하는 단말이 하나의 네트워크 주파수 대역 내에서 공존할 수 있다.
- 단말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단말의 트래픽 부하 상태 등에 따라 단말은 다른 대역폭으로 설정될 수 있다.
NR은 위와 같은 설계 원칙을 만족시키기 위해 기존 LTE의 CA(Carrier Aggregation)에 부분 대역폭 (BWP, Bandwidth Part)라는 개념을 새롭게 도입했다.
무선 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사용자 수에 따라 유니캐스트와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사이에서 전송 모드를 빠르게 전환해야 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무선 장치의 수가 임계값 미만인 경우 네트워크는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각각의 UE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이한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무선 기기의 수가 임계값보다 많다면, 네트워크는 상이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무선 자원을 줄이기 위해 상이한 서비스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특정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사용자의 수가 증가하여 임계값보다 높아지면, 네트워크는 해당 서비스에 대한 브로드캐스트를 시작한다. 이 경우, UE가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수신하기 전에 유니캐스트 전송이 종료되어서는 안 되므로, 네트워크는 서비스의 브로드캐스트가 시작된 후 잠시 동안 서비스의 유니캐스트 전송을 유지해야 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는 UE가 언제 브로드캐스트 수신에 성공했는지 알지 못한다. 네트워크는 충분히 긴 시간 동안 유니캐스트 전송과 서비스를 위한 브로드캐스트를 병렬로 수행해야 될 수 있다. 이는 무선 자원의 막대한 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브로드캐스트와 유니캐스트 전송 사이의 빠른 전환을 위한 보조 정보 전송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일 양태에 있어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이 제공된다. 무선 장치는 네트워크로부터 유니캐스트를 통해 서비스를 수신한다. 유니캐스트를 통해 서비스를 수신하는 동안, 무선 장치는 멀티캐스트 및/또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서비스의 수신을 감지한다. 무선 장치는 멀티캐스트 및/또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서비스의 수신을 네트워크에 알린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상기 방법을 구현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본 개시는 다양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장치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서비스의 성공적인 수신을 네트워크에 알림으로써, 브로드캐스트와 유니캐스트 전송 사이의 빠른 전환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무선 장치로부터의 보조 정보를 이용하여 브로드캐스트와 유니캐스트 전송 사이의 빠른 전환을 위한 방법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에 대한 전송 모드가 유니캐스트에서 브로드캐스트로 전환되는 경우, 네트워크는 네트워크가 서비스에 대한 브로드캐스트와 병렬로 유니캐스트 전송을 수행해야 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유니캐스트 전송에 낭비되는 무선 리소스를 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구체적인 예시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나열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관련된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related art)가 본 명세서로부터 이해하거나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적 효과가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의 구체적인 효과는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기재된 것에 제한되지 않고, 본 명세서의 기술적 특징으로부터 이해되거나 유도될 수 있는 다양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구현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의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구현이 적용되는 무선 장치의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구현이 적용되는 무선 장치의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구현이 적용되는 무선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구현이 적용되는 UE의 예를 나타낸다.
도 6 및 도 7은 본 명세서의 구현이 적용되는 3GPP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프로토콜 스택의 예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구현이 적용되는 3GPP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구현이 적용되는 3GPP NR 시스템에서 데이터 흐름의 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개시의 구현이 적용되는 부분 대역폭(BWP)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구현이 적용되는 연속 BWP 및 비연속 BWP의 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구현들이 적용되는 다중 BWP들의 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브로드캐스트와 유니캐스트 전송 간의 빠른 전환을 위한 보조 정보 전송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브로드캐스트와 유니캐스트 전송 간의 빠른 전환을 위한 보조 정보 전송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브로드캐스트와 유니캐스트 전송 사이의 빠른 전환을 위한 MRB (MBMS Point to Multipoint Radio Bearer) 아키텍처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브로드캐스트와 유니캐스트 전송 간의 빠른 전환을 위한 보조 정보 전송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유리한 효과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한다.
다음의 기법, 장치 및 시스템은 다양한 무선 다중 접속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다중 접속 시스템의 예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시스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MC-FDMA(Multi-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을 포함한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또는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또는 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또는 E-UTRA(Evolved UTRA)와 같은 무선 기술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Term Evolution)는 E-UTRA를 이용한 E-UMTS(Evolved UMTS)의 일부이다. 3GPP LTE는 하향링크(DL; Downlink)에서 OFDMA를, 상향링크(UL; Uplink)에서 SC-FDMA를 사용한다. LTE-A는 3GPP LTE의 진화된 버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명세서의 구현은 주로 3GPP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그러나 본 명세서의 기술적 특성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3GPP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응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상세한 설명이 제공되지만, 3GPP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에 국한되지 않는 본 명세서의 측면은 다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와 기술 중 구체적으로 기술되지 않은 용어와 기술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 이전에 발행된 무선 통신 표준 문서를 참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A or B)"는 "오직 A", "오직 B" 또는 "A와 B 모두"를 의미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A or B)"는 "A 및/또는 B(A and/or B)"으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A, B 또는 C(A, B or C)"는 "오직 A", "오직 B", "오직 C", 또는 "A, B 및 C의 임의의 모든 조합(any combination of A, B and C)"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슬래쉬(/)나 쉼표(comma)는 "및/또는(and/or)"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B"는 "A 및/또는 B"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A/B"는 "오직 A", "오직 B", 또는 "A와 B 모두"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B, C"는 "A, B 또는 C"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A 및 B의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 A and B)"는, "오직 A", "오직 B" 또는 "A와 B 모두"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의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 A or B)"나 "A 및/또는 B의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 A and/or B)"라는 표현은 "A 및 B의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 A and B)"와 동일하게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A, B 및 C의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 A, B and C)"는, "오직 A", "오직 B", "오직 C", 또는 "A, B 및 C의 임의의 모든 조합(any combination of A, B and C)"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A, B 또는 C의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 A, B or C)"나 "A, B 및/또는 C의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 A, B and/or C)"는 "A, B 및 C의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 A, B and C)"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괄호는 "예를 들어(for example)"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정보(PDCCH)"로 표시된 경우, "제어 정보"의 일례로 "PDCCH"가 제안된 것일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본 명세서의 "제어 정보"는 "PDCCH"로 제한(limit)되지 않고, "PDCCH"가 "제어 정보"의 일례로 제안될 것일 수 있다. 또한, "제어 정보(즉, PDCCH)"로 표시된 경우에도, "제어 정보"의 일례로 "PDCCH"가 제안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도면 내에서 개별적으로 설명되는 기술적 특징은,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동시에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에 국한되지는 않지만,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다양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흐름도는 기기 간 무선 통신 및/또는 연결(예: 5G)이 요구되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다음의 도면 및/또는 설명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달리 표시하지 않는 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하드웨어 블록, 소프트웨어 블록 및/또는 기능 블록을 참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구현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의 예를 나타낸다.
도 1에 표시된 5G 사용 시나리오는 본보기일 뿐이며, 본 명세서의 기술적 특징은 도 1에 나와 있지 않은 다른 5G 사용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다.
5G에 대한 세 가지 주요 요구사항 범주는 (1) 향상된 모바일 광대역(eMBB; enhanced Mobile BroadBand) 범주, (2) 거대 기계 유형 통신(m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범주 및 (3) 초고신뢰 저지연 통신(URLLC;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범주이다.
부분적인 사용 예는 최적화를 위해 복수의 범주를 요구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 예는 하나의 KPI(Key Performance Indicator)에만 초점을 맞출 수 있다. 5G는 유연하고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을 사용하여 이러한 다양한 사용 예를 지원한다.
eMBB는 기본적인 모바일 인터넷 접속을 훨씬 능가하며 클라우드와 증강 현실에서 풍부한 양방향 작업 및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애플리케이션을 커버한다. 데이터는 5G 핵심 동력의 하나이며, 5G 시대에는 처음으로 전용 음성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5G에서는 통신 시스템이 제공하는 데이터 연결을 활용한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음성 처리가 단순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트래픽 증가의 주요 원인은 콘텐츠의 크기 증가와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를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증가 때문이다. 더 많은 장치가 인터넷에 연결됨에 따라 스트리밍 서비스(오디오와 비디오), 대화 비디오, 모바일 인터넷 접속이 더 널리 사용될 것이다. 이러한 많은 응용 프로그램은 사용자를 위한 실시간 정보와 경보를 푸시(push)하기 위해 항상 켜져 있는 상태의 연결을 요구한다. 클라우드 스토리지(cloud storage)와 응용 프로그램은 모바일 통신 플랫폼에서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업무와 엔터테인먼트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클라우드 스토리지는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속도의 증가를 가속화하는 특수 활용 사례이다. 5G는 클라우드의 원격 작업에도 사용된다. 촉각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때, 5G는 사용자의 양호한 경험을 유지하기 위해 훨씬 낮은 종단 간(end-to-end) 지연 시간을 요구한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게임 및 비디오 스트리밍과 같은 엔터테인먼트는 모바일 광대역 기능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키는 또 다른 핵심 요소이다. 기차, 차량, 비행기 등 이동성이 높은 환경을 포함한 모든 장소에서 스마트폰과 태블릿은 엔터테인먼트가 필수적이다. 다른 사용 예로는 엔터테인먼트 및 정보 검색을 위한 증강 현실이다. 이 경우 증강 현실은 매우 낮은 지연 시간과 순간 데이터 볼륨을 필요로 한다.
또한 가장 기대되는 5G 사용 예 중 하나는 모든 분야에서 임베디드 센서(embedded sensor)를 원활하게 연결할 수 있는 기능, 즉 mMTC와 관련이 있다. 잠재적으로 IoT(Internet-Of-Things) 기기 수는 2020년까지 2억4천만 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 IoT는 5G를 통해 스마트 시티, 자산 추적, 스마트 유틸리티, 농업, 보안 인프라를 가능하게 하는 주요 역할 중 하나이다.
URLLC는 주 인프라의 원격 제어를 통해 업계를 변화시킬 새로운 서비스와 자율주행 차량 등 초고신뢰성의 저지연 링크를 포함하고 있다. 스마트 그리드를 제어하고, 산업을 자동화하며, 로봇 공학을 달성하고, 드론을 제어하고 조정하기 위해서는 신뢰성과 지연 시간이 필수적이다.
5G는 초당 수백 메가 비트로 평가된 스트리밍을 초당 기가비트에 제공하는 수단이며, FTTH(Fiber-To-The-Home)와 케이블 기반 광대역(또는 DOCSIS)을 보완할 수 있다. 가상 현실과 증강 현실뿐만 아니라 4K 이상(6K, 8K 이상) 해상도의 TV를 전달하려면 이 같은 빠른 속도가 필요하다. 가상 현실(VR; Virtual Reality) 및 증강 현실(AR; Augmented Reality) 애플리케이션에는 몰입도가 높은 스포츠 게임이 포함되어 있다. 특정 응용 프로그램에는 특수 네트워크 구성이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R 게임의 경우 게임 회사는 대기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코어 서버를 네트워크 운영자의 에지 네트워크 서버에 통합해야 한다.
자동차는 차량용 이동 통신의 많은 사용 예와 함께 5G에서 새로운 중요한 동기 부여의 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예를 들어, 승객을 위한 오락은 높은 동시 용량과 이동성이 높은 광대역 이동 통신을 요구한다. 향후 이용자들이 위치와 속도에 관계 없이 고품질 연결을 계속 기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자동차 분야의 또 다른 사용 예는 AR 대시보드(dashboard)이다. AR 대시보드는 운전자가 전면 창에서 보이는 물체 외에 어두운 곳에서 물체를 식별하게 하고, 운전자에게 정보 전달을 오버랩(overlap)하여 물체와의 거리 및 물체의 움직임을 표시한다. 미래에는 무선 모듈이 차량 간의 통신, 차량과 지원 인프라 간의 정보 교환, 차량과 기타 연결된 장치(예: 보행자가 동반하는 장치) 간의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안전 시스템은 운전자가 보다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행동의 대체 과정을 안내하여 사고의 위험을 낮춘다. 다음 단계는 원격으로 제어되거나 자율 주행하는 차량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서로 다른 자율주행 차량 간의, 그리고 차량과 인프라 간의 매우 높은 신뢰성과 매우 빠른 통신이 필요하다. 앞으로는 자율주행 차량이 모든 주행 활동을 수행하고 운전자는 차량이 식별할 수 없는 이상 트래픽에만 집중하게 될 것이다. 자율주행 차량의 기술 요구사항은 인간이 달성할 수 없는 수준으로 교통 안전이 높아지도록 초저지연과 초고신뢰를 요구한다.
스마트 사회로 언급된 스마트 시티와 스마트 홈/빌딩이 고밀도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 내장될 것이다. 지능형 센서의 분산 네트워크는 도시 또는 주택의 비용 및 에너지 효율적인 유지 보수에 대한 조건을 식별할 것이다. 각 가정에 대해서도 유사한 구성을 수행할 수 있다. 모든 온도 센서, 창문과 난방 컨트롤러, 도난 경보기, 가전 제품이 무선으로 연결될 것이다. 이러한 센서 중 다수는 일반적으로 데이터 전송 속도, 전력 및 비용이 낮다. 그러나 모니터링을 위하여 실시간 HD 비디오가 특정 유형의 장치에 의해 요구될 수 있다.
열이나 가스를 포함한 에너지 소비와 분배를 보다 높은 수준으로 분산시켜 분배 센서 네트워크에 대한 자동화된 제어가 요구된다. 스마트 그리드는 디지털 정보와 통신 기술을 이용해 정보를 수집하고 센서를 서로 연결하여 수집된 정보에 따라 동작하도록 한다. 이 정보는 공급 회사 및 소비자의 행동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스마트 그리드는 효율성, 신뢰성, 경제성, 생산 지속 가능성, 자동화 등의 방법으로 전기와 같은 연료의 분배를 개선할 수 있다. 스마트 그리드는 지연 시간이 짧은 또 다른 센서 네트워크로 간주될 수도 있다.
미션 크리티컬 애플리케이션(예: e-health)은 5G 사용 시나리오 중 하나이다. 건강 부분에는 이동 통신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많은 응용 프로그램들이 포함되어 있다. 통신 시스템은 먼 곳에서 임상 치료를 제공하는 원격 진료를 지원할 수 있다. 원격 진료는 거리에 대한 장벽을 줄이고 먼 시골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없는 의료 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원격 진료는 또한 응급 상황에서 중요한 치료를 수행하고 생명을 구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동 통신 기반의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심박수 및 혈압과 같은 파라미터에 대한 원격 모니터링 및 센서를 제공할 수 있다.
무선과 이동 통신은 산업 응용 분야에서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배선은 설치 및 유지 관리 비용이 높다. 따라서 케이블을 재구성 가능한 무선 링크로 교체할 가능성은 많은 산업 분야에서 매력적인 기회이다. 그러나 이러한 교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케이블과 유사한 지연 시간, 신뢰성 및 용량을 가진 무선 연결이 구축되어야 하며 무선 연결의 관리를 단순화할 필요가 있다. 5G 연결이 필요할 때 대기 시간이 짧고 오류 가능성이 매우 낮은 것이 새로운 요구 사항이다.
물류 및 화물 추적은 위치 기반 정보 시스템을 사용하여 어디서든 인벤토리 및 패키지 추적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 통신의 중요한 사용 예이다. 물류와 화물의 이용 예는 일반적으로 낮은 데이터 속도를 요구하지만 넓은 범위와 신뢰성을 갖춘 위치 정보가 필요하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은 무선 장치(100a~100f), 기지국(BS; 200) 및 네트워크(300)을 포함한다. 도 1은 통신 시스템(1)의 네트워크의 예로 5G 네트워크를 설명하지만, 본 명세서의 구현은 5G 시스템에 국한되지 않으며, 5G 시스템을 넘어 미래의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기지국(200)과 네트워크(300)는 무선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특정 무선 장치는 다른 무선 장치와 관련하여 기지국/네트워크 노드로 동작할 수 있다.
무선 장치(100a~100f)는 무선 접속 기술(RAT; Radio Access Technology) (예: 5G NR 또는 LTE)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를 나타내며, 통신/무선/5G 장치라고도 할 수 있다. 무선 장치(100a~100f)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로봇(100a), 차량(100b-1 및 100b-2), 확장 현실(XR; eXtended Reality) 장치(100c), 휴대용 장치(100d), 가전 제품(100e), IoT(Internet-Of-Things) 장치(100f) 및 인공 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장치/서버(40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에는 무선 통신 기능이 있는 차량, 자율주행 차량 및 차량 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이 포함될 수 있다. 차량에는 무인 항공기(UAV; Unmanned Aerial Vehicle)(예: 드론)가 포함될 수 있다. XR 장치는 AR(Augmented Reality)/VR(Virtual Reality)/MR(Mixed Realty)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차량, 텔레비전, 스마트폰, 컴퓨터, 웨어러블 장치, 가전 제품, 디지털 표지판, 차량, 로봇 등에 장착된 HMD(Head-Mounted Device), HUD(Head-Up Display)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휴대용 장치에는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웨어러블 장치(예: 스마트 시계 또는 스마트 안경) 및 컴퓨터(예: 노트북)가 포함될 수 있다. 가전 제품에는 TV, 냉장고, 세탁기가 포함될 수 있다. IoT 장치에는 센서와 스마트 미터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무선 장치(100a~100f)는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라고 부를 수 있다. UE는 예를 들어, 휴대 전화,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 방송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시스템, 슬레이트 PC, 태블릿 PC, 울트라북, 차량, 자율주행 기능이 있는 차량, 연결된 자동차, UAV, AI 모듈, 로봇, AR 장치, VR 장치, MR 장치, 홀로그램 장치, 공공 안전 장치, MTC 장치, IoT 장치, 의료 장치, 핀테크 장치(또는 금융 장치), 보안 장치, 날씨/환경 장치, 5G 서비스 관련 장치 또는 4차 산업 혁명 관련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AV는 사람이 탑승하지 않고 무선 제어 신호에 의해 항행되는 항공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VR 장치는 가상 환경의 객체 또는 배경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R 장치는 가상 세계의 객체나 배경을 실제 세계의 객체나 배경에 연결하여 구현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R 장치는 객체나 가상 세계의 배경을 객체나 실제 세계의 배경으로 병합하여 구현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로그램 장치는, 홀로그램이라 불리는 두 개의 레이저 조명이 만났을 때 발생하는 빛의 간섭 현상을 이용하여, 입체 정보를 기록 및 재생하여 360도 입체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가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공 안전 장치는 사용자 몸에 착용할 수 있는 이미지 중계 장치 또는 이미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TC 장치와 IoT 장치는 인간의 직접적인 개입이나 조작이 필요하지 않은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MTC 장치와 IoT 장치는 스마트 미터, 자동 판매기, 온도계, 스마트 전구, 도어락 또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장치는 질병의 진단, 처리, 완화, 치료 또는 예방 목적으로 사용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장치는 부상이나 손상을 진단, 처리, 완화 또는 교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장치는 구조나 기능을 검사, 교체 또는 수정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장치는 임신 조정 목적으로 사용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장치는 치료용 장치, 운전용 장치, (체외)진단 장치, 보청기 또는 시술용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안 장치는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하고 안전을 유지하기 위해 설치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안 장치는 카메라, 폐쇄 회로 TV(CCTV), 녹음기 또는 블랙박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핀테크 장치는 모바일 결제와 같은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핀테크 장치는 지불 장치 또는 POS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날씨/환경 장치는 날씨/환경을 모니터링 하거나 예측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장치(100a~100f)는 기지국(200)을 통해 네트워크(300)와 연결될 수 있다. 무선 장치(100a~100f)에는 AI 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며, 무선 장치(100a~100f)는 네트워크(300)를 통해 AI 서버(400)와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300)는 3G 네트워크, 4G(예: LTE) 네트워크, 5G(예: NR) 네트워크 및 5G 이후의 네트워크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장치(100a~100f)는 기지국(200)/네트워크(300)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도 있지만, 기지국(200)/네트워크(300)를 통하지 않고 직접 통신(예: 사이드링크 통신(sidelink communication))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b-1, 100b-2)은 직접 통신(예: V2V(Vehicle-to-Vehicle)/V2X(Vehicle-to-everything)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IoT 기기(예: 센서)는 다른 IoT 기기(예: 센서) 또는 다른 무선 장치(100a~100f)와 직접 통신을 할 수 있다.
무선 장치(100a~100f) 간 및/또는 무선 장치(100a~100f)와 기지국(200) 간 및/또는 기지국(200) 간에 무선 통신/연결(150a, 150b, 150c)이 확립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연결은 상향/하향링크 통신(150a), 사이드링크 통신(150b)(또는, D2D(Device-To-Device) 통신), 기지국 간 통신(150c)(예: 중계, IAB(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등과 같이 다양한 RAT(예: 5G NR)을 통해 확립될 수 있다. 무선 통신/연결(150a, 150b, 150c)을 통해 무선 장치(100a~100f)와 기지국(200)은 서로 무선 신호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연결(150a, 150b, 150c)은 다양한 물리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명세서의 다양한 제안에 기반하여, 무선 신호의 송신/수신을 위한 다양한 구성 정보 설정 과정, 다양한 신호 처리 과정(예: 채널 인코딩/디코딩, 변조/복조, 자원 맵핑/디맵핑 등), 및 자원 할당 과정 등 중 적어도 일부가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무선 장치에 구현되는 무선통신 기술은 LTE, NR, 6G 뿐만 아니라 저전력 통신을 위한 협대역 사물 인터넷(NB-IoT)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B-IoT 기술은 저전력 LPWAN(Low Power Wide Area Network) 기술의 한 예일 수 있으며, LTE Cat NB1 및/또는 LTE Cat NB2와 같은 표준(specification)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위에서 언급한 이름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및/또는 대안적으로, 본 개시 내용에서 무선 장치들에서 구현되는 무선 통신 기술들은 LTE-M 기술에 기초하여 통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LTE-M 기술은 LPWAN 기술의 한 예일 수 있으며, eMTC(Enhanced Machine Type Communication)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릴 수 있다. 예를 들어, LTE-M 기술은, 1) LTE Cat 0, 2) LTE Cat M1, 3) LTE Cat M2, 4) LTE non-bandwidth limited (non-BL), 5) LTE-MTC, 6) LTE Machine Type Communication, 및/또는 7 ) LTE M 과 같은, 다양한 표준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술한 명칭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및/또는 대안적으로, 본 개시에서 무선 장치에서 구현되는 무선 통신 기술은 저전력 통신을 고려한 ZigBee, Bluetooth 및/또는 LPWA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명칭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ZigBee 기술은 IEEE 802.15.4와 같은 다양한 사양을 기반으로 소형/저전력 디지털 통신과 관련된 PAN(Personal Area Network)을 생성할 수 있으며 다양한 명칭으로 불릴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구현이 적용되는 무선 장치의 예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무선 장치(100)와 제2 무선 장치(200)는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예: LTE, NR)을 통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2에서, {제1 무선 장치(100) 및 제2 무선 장치(200)}는 도 1의 {무선 장치(100a~100f) 및 기지국(200)}, {무선 장치(100a~100f) 및 무선 장치(100a~100f)} 및/또는 {기지국(200) 및 기지국(200)}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무선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및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무선 장치(100)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메모리(104) 및/또는 송수신기(106)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흐름도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2)는 메모리(104) 내의 정보를 처리하여 제1 정보/신호를 생성한 뒤, 송수신기(106)를 통해 제1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2)는 송수신기(106)를 통해 제2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한 뒤, 제2 정보/신호를 처리하여 얻은 정보를 메모리(104)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04)는 프로세서(102)와 연결될 수 있고, 프로세서(102)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04)는 프로세서(102)에 의해 제어되는 프로세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거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흐름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02)와 메모리(104)는 RAT(예: LTE, NR)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통신 모뎀/회로/칩의 일부일 수 있다. 송수신기(106)는 프로세서(102)와 연결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기(106)는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106)는 RF(Radio Frequency) 유닛과 혼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무선 장치(100)는 통신 모뎀/회로/칩을 의미할 수도 있다.
제2 무선 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02) 및 하나 이상의 메모리(20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무선 장치(200)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206)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2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02)는 메모리(204) 및/또는 송수신기(206)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0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흐름도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2)는 메모리(204) 내의 정보를 처리하여 제3 정보/신호를 생성한 뒤, 송수신기(206)를 통해 제3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02)는 송수신기(206)를 통해 제4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한 뒤, 제4 정보/신호를 처리하여 얻은 정보를 메모리(204)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04)는 프로세서(202)와 연결될 수 있고, 프로세서(202)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04)는 프로세서(202)에 의해 제어되는 프로세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거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흐름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02)와 메모리(204)는 RAT(예: LTE, NR)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통신 모뎀/회로/칩의 일부일 수 있다. 송수신기(206)는 프로세서(202)와 연결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안테나(208)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기(206)는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206)는 RF 유닛과 혼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2 무선 장치(200)는 통신 모뎀/회로/칩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하, 무선 장치(100, 200)의 하드웨어 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 계층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나 이상의 계층(예: PHY(physical), MAC(Media Access Control), RLC(Radio Link Control),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RRC(Radio Resource Control), SDAP(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와 같은 기능적 계층)을 구현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흐름도에 따라 하나 이상의 PDU(Protocol Data Unit) 및/또는 하나 이상의 SDU(Service Data Unit)를 생성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흐름도에 따라 메시지, 제어 정보, 데이터 또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흐름도에 따라 PDU, SDU, 메시지, 제어 정보, 데이터 또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예: 베이스밴드 신호)를 생성하여,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로부터 신호(예: 베이스밴드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흐름도에 따라 PDU, SDU, 메시지, 제어 정보, 데이터 또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또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지칭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하나 이상의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하나 이상의 DSP(Digital Signal Processor), 하나 이상의 DSPD(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하나 이상의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및/또는 하나 이상의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흐름도는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는 모듈, 절차, 기능 등을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흐름도를 수행하도록 설정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에 포함되거나,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에 저장되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흐름도는 코드, 명령어 및/또는 명령어의 집합 형태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와 연결될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신호, 메시지, 정보, 프로그램, 코드, 지시 및/또는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컴퓨터 판독 저장 매체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는 유선 또는 무선 연결과 같은 다양한 기술을 통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와 연결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에게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흐름도 등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전송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로부터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흐름도 등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와 연결될 수 있고,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가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에게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가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로부터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 208)와 연결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 208)를 통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흐름도 등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송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수신된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를 이용하여 처리하기 위해, 수신된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RF 밴드 신호에서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를 이용하여 처리된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베이스밴드 신호에서 RF 밴드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아날로그) 발진기(oscillator) 및/또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의 제어 하에 (아날로그) 발진기 및/또는 필터를 통해 OFDM 베이스밴드 신호를 OFDM 신호로 상향 변환(up-convert)하고, 상향 변환된 OFDM 신호를 반송파 주파수에서 전송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반송파 주파수에서 OFDM 신호를 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의 제어 하에 (아날로그) 발진기 및/또는 필터를 통해 OFDM 신호를 OFDM 베이스밴드 신호로 하향 변환(down-convert)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구현에서, UE는 상향링크(UL; Uplink)에서 송신 장치로, 하향링크(DL; Downlink)에서 수신 장치로 작동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구현에서, 기지국은 UL에서 수신 장치로, DL에서 송신 장치로 동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 기술 상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무선 장치(100)는 UE로, 제2 무선 장치(200)는 기지국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주로 가정한다. 예를 들어, 제1 무선 장치(100)에 연결, 탑재 또는 출시된 프로세서(102)는 본 명세서의 구현에 따라 UE 동작을 수행하거나 본 명세서의 구현에 따라 UE 동작을 수행하도록 송수신기(106)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무선 장치(200)에 연결, 탑재 또는 출시된 프로세서(202)는 본 명세서의 구현에 따른 기지국 동작을 수행하거나 본 명세서의 구현에 따른 기지국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송수신기(206)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은 노드 B(Node B), eNode B(eNB), gNB로 불릴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구현이 적용되는 무선 장치의 예를 나타낸다.
무선 장치는 사용 예/서비스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도 1 참조).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장치(100, 200)는 도 2의 무선 장치(100, 200)에 대응할 수 있으며, 다양한 구성 요소, 장치/부분 및/또는 모듈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무선 장치(100, 200)는 통신 장치(110), 제어 장치(120), 메모리 장치(130) 및 추가 구성 요소(1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110)는 통신 회로(112) 및 송수신기(11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회로(112)는 도 2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 및/또는 도 2의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수신기(114)는 도 2의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 및/또는 도 2의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 208)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120)는 통신 장치(110), 메모리 장치(130), 추가 구성 요소(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각 무선 장치(100, 200)의 전체 작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120)는 메모리 장치(130)에 저장된 프로그램/코드/명령/정보를 기반으로 각 무선 장치(100, 200)의 전기/기계적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장치(120)는 메모리 장치(130)에 저장된 정보를 무선/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 장치(110)를 거쳐 외부(예: 기타 통신 장치)로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 장치(110)를 거쳐 외부(예: 기타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메모리 장치(130)에 저장할 수 있다.
추가 구성 요소(140)는 무선 장치(100, 200)의 유형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 구성 요소(140)는 동력 장치/배터리, 입출력(I/O) 장치(예: 오디오 I/O 포트, 비디오 I/O 포트), 구동 장치 및 컴퓨팅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장치(100, 200)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로봇(도 1의 100a), 차량(도 1의 100b-1 및 100b-2), XR 장치(도 1의 100c), 휴대용 장치(도 1의 100d), 가전 제품(도 1의 100e), IoT 장치(도 1의 100f), 디지털 방송 단말, 홀로그램 장치, 공공 안전 장치, MTC 장치, 의료 장치, 핀테크 장치(또는 금융 장치), 보안 장치, 기후/환경 장치, AI 서버/장치(도 1의 400), 기지국(도 1의 200), 네트워크 노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장치(100, 200)는 사용 예/서비스에 따라 이동 또는 고정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다.
도 3에서, 무선 장치(100, 200)의 다양한 구성 요소, 장치/부분 및/또는 모듈의 전체는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연결되거나, 적어도 일부가 통신 장치(110)를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무선 장치(100, 200)에서, 제어 장치(120)와 통신 장치(110)는 유선으로 연결되고, 제어 장치(120)와 제1 장치(예: 130과 140)는 통신 장치(110)를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무선 장치(100, 200) 내의 각 구성 요소, 장치/부분 및/또는 모듈은 하나 이상의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12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집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 장치(120)는 통신 제어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 전자 제어 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 그래픽 처리 장치 및 메모리 제어 프로세서의 집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메모리 장치(130)는 RAM, DRAM(Dynamic RAM), ROM, 플래시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구현이 적용되는 무선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 장치(100, 200)는 도 2의 무선 장치(100, 200)에 대응할 수 있고, 다양한 구성 요소, 장치/부분 및/또는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무선 장치(100)는 송수신기(106)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 및 프로세싱 칩(101)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칩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칩(101)은 프로세서(102)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104)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04)는 프로세서(102)에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104)는 다양한 유형의 정보 및/또는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04)는 프로세서(102)에 의해 실행될 때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흐름도를 수행하는 명령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코드(105)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코드(105)는 프로세서(102)에 의해 실행될 때,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흐름도를 수행하는 명령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코드(105)는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세서(102)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코드(105)는 하나 이상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계층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세서(102)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무선 장치(200)는 송수신기(206)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 및 프로세싱 칩(201)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칩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칩(201)은 프로세서(202)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204)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04)는 프로세서(202)에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204)는 다양한 유형의 정보 및/또는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04)는 프로세서(202)에 의해 실행될 때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흐름도를 수행하는 명령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코드(205)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코드(205)는 프로세서(202)에 의해 실행될 때,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흐름도를 수행하는 명령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코드(205)는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세서(202)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코드(205)는 하나 이상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계층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세서(202)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구현이 적용되는 UE의 예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UE(100)는 도 2의 제1 무선 장치(100) 및/또는 도 4의 무선 장치(100)에 대응할 수 있다.
UE(100)는 프로세서(102), 메모리(104), 송수신기(106),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 전원 관리 모듈(110), 배터리(112), 디스플레이(114), 키패드(116),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118), 스피커(120), 마이크(122)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0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작동 흐름도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작동 흐름도를 구현하도록 UE(100)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은 프로세서(102)에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ASIC, 기타 칩셋,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일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s Processing Unit), 모뎀(변조 및 복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의 예는 Qualcomm®에서 만든 SNAPDRAGONTM 시리즈 프로세서, Samsung®에서 만든 EXYNOSTM 시리즈 프로세서, Apple®에서 만든 A 시리즈 프로세서, MediaTek®에서 만든 HELIOTM 시리즈 프로세서, Intel®에서 만든 ATOMTM 시리즈 프로세서 또는 대응하는 차세대 프로세서에서 찾을 수 있다.
메모리(104)는 프로세서(102)와 동작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프로세서(102)를 작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04)는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기타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가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될 때, 여기에 설명된 기술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작동 흐름도를 수행하는 모듈(예: 절차, 기능 등)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104)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02)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104)는 프로세서(102) 내에 또는 프로세서(102) 외부에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기술에서 알려진 다양한 방법을 통해 프로세서(102)와 통신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송수신기(106)는 프로세서(102)와 동작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무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한다. 송수신기(106)는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한다. 송수신기(106)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베이스밴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106)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를 제어하여 무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한다.
전원 관리 모듈(110)은 프로세서(102) 및/또는 송수신기(106)의 전원을 관리한다. 배터리(112)는 전원 관리 모듈(110)에 전원을 공급한다.
디스플레이(114)는 프로세서(102)에 의해 처리된 결과를 출력한다. 키패드(116)는 프로세서(102)에서 사용할 입력을 수신한다. 키패드(116)는 디스플레이(114)에 표시될 수 있다.
SIM 카드(118)는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와 관련 키를 안전하게 저장하기 위한 집적 회로이며, 휴대 전화나 컴퓨터와 같은 휴대 전화 장치에서 가입자를 식별하고 인증하는 데에 사용된다. 또한, 많은 SIM 카드에 연락처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스피커(120)는 프로세서(102)에서 처리한 사운드 관련 결과를 출력한다. 마이크(122)는 프로세서(102)에서 사용할 사운드 관련 입력을 수신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명세서의 구현이 적용되는 3GPP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프로토콜 스택의 예를 나타낸다.
특히, 도 6은 UE와 BS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스택의 일 예를 도시하며, 도 7은 UE와 BS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제어 평면 프로토콜 스택의 일 예를 도시한다. 제어 평면은 UE와 네트워크가 호(call)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제어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로를 의미한다. 사용자 평면은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생성된 데이터,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나 인터넷 패킷 데이터가 전달되는 경로를 의미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스택은 계층 1(즉, PHY 계층)과 계층 2로 구분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 평면 프로토콜 스택은 계층 1(즉, PHY 계층), 계층 2, 계층 3(예: RRC 계층) 및 NAS(Non-Access Stratum) 계층으로 구분될 수 있다. 계층 1, 계층 2 및 계층 3을 AS(Access Stratum)이라 한다.
3GPP LTE 시스템에서 계층 2는 MAC, RLC, PDCP의 부계층으로 나뉜다. 3GPP NR 시스템에서 계층 2는 MAC, RLC, PDCP 및 SDAP의 부계층으로 나뉜다. PHY 계층은 MAC 부계층에 전송 채널을 제공하고, MAC 부계층은 RLC 부계층에 논리 채널을, RLC 부계층은 PDCP 부계층에 RLC 채널을, PDCP 부계층은 SDAP 부계층에 무선 베어러를 제공한다. SDAP 부계층은 5G 핵심 네트워크에 QoS(Quality Of Service) 흐름을 제공한다.
3GPP NR 시스템에서 MAC 부계층의 주요 서비스 및 기능은, 논리 채널과 전송 채널 간의 맵핑; 하나 또는 다른 논리 채널에 속하는 MAC SDU를 전송 채널 상에서 물리 계층으로/로부터 전달되는 전송 블록(TB; Transport Block)으로/로부터 다중화/역다중화하는 단계; 스케줄링 정보 보고;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를 통한 오류 정정(CA(Carrier Aggregation)의 경우 셀 당 하나의 HARQ 개체); 동적 스케줄링에 의한 UE 간의 우선순위 처리; 논리 채널 우선 순위 지정에 의한 하나의 UE의 논리 채널 간의 우선 순위 처리; 패딩을 포함한다. 단일 MAC 개체는 복수의 뉴머럴로지(numerology), 전송 타이밍 및 셀을 지원할 수 있다. 논리 채널 우선 순위 지정의 맵핑 제한은 논리 채널이 사용할 수 있는 뉴머럴로지, 셀 및 전송 타이밍을 제어한다.
MAC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다른 종류의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수용하기 위해, 여러 유형의 논리 채널이 정의된다. 즉, 각각의 논리 채널은 특정 유형의 정보 전송을 지원한다. 각 논리 채널 유형은 전송되는 정보 유형에 따라 정의된다. 논리 채널은 제어 채널과 트래픽 채널의 두 그룹으로 분류된다. 제어 채널은 제어 평면 정보의 전송에만 사용되며, 트래픽 채널은 사용자 평면 정보의 전송에만 사용된다. BCCH(Broadcast Control Channel)은 시스템 제어 정보의 방송을 위한 하향링크 논리 채널이다. PCCH(Paging Control Channel)은 페이징 정보, 시스템 정보 변경 알림 및 진행 중인 공공 경고 서비스(PWS; Public Warning Service) 방송의 표시를 전송하는 하향링크 논리 채널이다. CCCH(Common Control Channel)은 UE와 네트워크 사이에서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논리 채널로서 네트워크와 RRC 연결이 없는 UE를 위해 사용된다. DCCH(Dedicated Control Channel)은 UE와 네트워크 간에 전용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점대점 양방향 논리 채널이며, RRC 연결을 갖는 UE에 의해 사용된다. DTCH(Dedicated Traffic Channel)는 사용자 정보 전송을 위해 하나의 UE 전용인 점대점 논리 채널이다. DTCH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모두에 존재할 수 있다. 하향링크에서 논리 채널과 전송 채널 사이에 다음 연결이 존재한다. BCCH는 BCH(Broadcast Channel)에 맵핑될 수 있고, BCCH는 DL-SCH(Downlink Shared Channel)에 맵핑될 수 있고, PCCH는 PCH(Paging Channel)에 맵핑될 수 있고, CCCH는 DL-SCH에 맵핑될 수 있고, DCCH는 DL-SCH에 맵핑될 수 있고, DTCH는 DL-SCH에 맵핑될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논리 채널과 전송 채널 사이에 다음 연결이 존재한다. CCCH는 UL-SCH(Uplink Shared Channel)에 맵핑될 수 있고, DCCH는 UL-SCH에 매핑될 수 있고, 및 DTCH는 UL-SCH에 맵핑될 수 있다.
RLC 부계층은 TM(Transparent Mode), UM(Unacknowledged Mode), AM(Acknowledged Mode)의 3가지 전송 모드를 지원한다. RLC 설정은 뉴머럴로지 및/또는 전송 기간에 의존하지 않는 논리 채널 별로 이루어진다. 3GPP NR 시스템에서 RLC 부계층의 주요 서비스 및 기능은 전송 모드에 따라 달라지며, 상위 계층 PDU의 전송; PDCP에 있는 것과 독립적인 시퀀스 번호 지정(UM 및 AM); ARQ를 통한 오류 수정(AM만) RLC SDU의 분할(AM 및 UM) 및 재분할(AM만); SDU의 재조립(AM 및 UM); 중복 감지(AM만); RLC SDU 폐기(AM 및 UM); RLC 재수립; 프로토콜 오류 감지(AM만)을 포함한다.
3GPP NR 시스템에서, 사용자 평면에 대한 PDCP 부계층의 주요 서비스 및 기능은, 시퀀스 넘버링; ROHC(Robust Header Compression)를 사용한 헤더 압축 및 압축 해제; 사용자 데이터 전송; 재정렬 및 중복 감지; 순서에 따른 전달(in-order delivery); PDCP PDU 라우팅(분할 베어러의 경우); PDCP SDU의 재전송; 암호화, 해독 및 무결성 보호; PDCP SDU 폐기; RLC AM을 위한 PDCP 재수립 및 데이터 복구; RLC AM을 위한 PDCP 상태 보고; PDCP PDU의 복제 및 하위 계층으로의 복제 폐기 표시를 포함한다. 제어 평면에 대한 PDCP 부계층의 주요 서비스 및 기능은, 시퀀스 넘버링; 암호화, 해독 및 무결성 보호; 제어 평면 데이터 전송; 재정렬 및 중복 감지; 순서에 따른 전달; PDCP PDU의 복제 및 하위 계층으로의 복제 폐기 표시를 포함한다.
3GPP NR 시스템에서 SDAP의 주요 서비스 및 기능은, QoS 흐름과 데이터 무선 베어러 간의 맵핑; DL 및 UL 패킷 모두에 QoS 흐름 ID(QFI; Qos Flow ID)의 표시를 포함한다. SDAP의 단일 프로토콜 개체는 각 개별 PDU 세션에 대해 설정된다.
3GPP NR 시스템에서, RRC 부계층의 주요 서비스 및 기능은, AS 및 NAS와 관련된 시스템 정보의 방송; 5GC 또는 NG-RAN에 의해 시작된 페이징; UE와 NG-RAN 사이의 RRC 연결의 설정, 유지 및 해제; 키 관리를 포함한 보안 기능;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RB; Signaling Radio Bearer) 및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 Data Radio Bearer)의 설정, 구성, 유지 및 해제; 이동성 기능(핸드오버 및 컨텍스트 전송, UE 셀 선택 및 재선택 및 셀 선택 및 재선택의 제어, RAT 간 이동성을 포함함); QoS 관리 기능; UE 측정 보고 및 보고 제어; 무선 링크 실패의 감지 및 복구; UE에서/로 NAS로/에서 NAS 메시지 전송을 포함한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구현이 적용되는 3GPP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도 8에 도시된 프레임 구조는 순전히 예시적인 것이며, 서브프레임의 수, 슬롯의 수 및/또는 프레임 내 심볼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3GPP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의 UE에 대해 집성된 복수의 셀들 사이에 OFDM 뉴머럴로지(예: SCS(Sub-Carrier Spacing),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기간)가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가 집성된 셀에 대해 서로 다른 SCS로 설정되는 경우, 동일한 수의 심볼을 포함하는 시간 자원(예: 서브프레임, 슬롯 또는 TTI)의 (절대 시간) 지속 시간이 집성된 셀 사이에 서로 다를 수 있다. 여기서, 심볼은 OFDM 심볼(또는 CP-OFDM 심볼), SC-FDMA 심볼(또는 DFT-s-OFDM(Discrete Fourier Transform-Spread-OFDM)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전송은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각 프레임은 Tf = 10ms 지속 시간을 갖는다. 각 프레임은 2개의 반 프레임(half-frame)으로 나뉘며, 각 반 프레임의 지속 시간은 5ms이다. 각 반 프레임은 5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서브프레임당 지속 시간 Tsf는 1ms이다. 각 서브프레임은 슬롯으로 나뉘며, 서브프레임의 슬롯의 수는 부반송파 간격에 따라 달라진다. 각 슬롯은 CP(Cyclic Prefix)를 기반으로 14개 또는 12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일반 CP에서, 각 슬롯은 14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확장 CP에서 각 슬롯은 12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뉴머럴로지는 기하급수적으로 확장 가능한 부반송파 간격 △f = 2u * 15kHz를 기반으로 한다.
표 1은 부반송파 간격 △f = 2u * 15kHz에 따라, 일반 CP에 대한 슬롯 당 OFDM 심볼의 수 Nslot symb, 프레임 당 슬롯의 수 Nframe,u slot 및 서브프레임 당 슬롯의 수 Nsubframe,u slot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표 2는 부반송파 간격 △f = 2u * 15kHz에 따라, 확장 CP에 대한 슬롯 당 OFDM 심볼의 수 Nslot symb, 프레임 당 슬롯의 수 Nframe,u slot 및 서브프레임 당 슬롯의 수 Nsubframe,u slot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심볼(예: 14개 또는 12 심볼)을 포함한다. 각 뉴머럴로지(예: 부반송파 간격) 및 반송파에 대해,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 RRC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공통 자원 블록(CRB; Common Resource Block) Nstart,u grid에서 시작하는 Nsize,u grid,x * NRB sc 부반송파 및 Nsubframe,u symb OFDM 심볼의 자원 그리드가 정의된다. 여기서, Nsize,u grid,x는 자원 그리드에서 자원 블록(RB; Resource Block)의 수이고 첨자 x는 하향링크의 경우 DL이고 상향링크의 경우 UL이다. NRB sc는 RB 당 부반송파의 수이다. 3GPP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NRB sc는 일반적으로 12이다. 주어진 안테나 포트 p, 부반송파 간격 설정 u 및 전송 방향(DL 또는 UL)에 대해 하나의 자원 그리드가 있다. 부반송파 간격 설정 u에 대한 반송파 대역폭 Nsize,u grid는 상위 계층 파라미터(예: RRC 파랄미터)에 의해 주어진다. 안테나 포트 p 및 부반송파 간격 설정 u에 대한 자원 그리드의 각 요소를 자원 요소(RE; Resource Element)라고 하며, 각 RE에 하나의 복소 심볼이 맵핑될 수 있다. 자원 그리드의 각 RE는 주파수 영역에서 인덱스 k와 시간 영역에서 기준점에 대한 심볼 위치를 나타내는 인덱스 l에 의해 고유하게 식별된다. 3GPP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RB는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되는 12개의 부반송파로 정의된다.
3GPP NR 시스템에서, RB는 CRB와 PRB(Physical Resource Block)로 구분된다. CRB는 부반송파 간격 설정 u에 대해 주파수 영역에서 0부터 증가하는 방향으로 번호가 지정된다. 부반송파 간격 설정 u에 대한 CRB 0의 부반송파 0의 중심은 자원 블록 그리드에 대한 공통 기준점 역할을 하는 '포인트 A'와 일치한다. 3GPP NR 시스템에서, PRB는 부분 대역폭(BWP; BandWidth Part) 내에서 정의되고 0에서 Nsize BWP,i-1까지 번호가 지정된다. 여기서 i는 BWP 번호이다. BWP i의 PRB nPRB와 CRB nCRB 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nPRB = nCRB + Nsize BWP,i, 여기서 Nsize BWP,i는 BWP가 CRB 0을 기준으로 시작하는 CRB이다. BWP는 복수의 연속적인 RB를 포함한다. 반송파는 최대 N(예: 5) BWP를 포함할 수 있다. UE는 주어진 요소 반송파 상에서 하나 이상의 BWP로 설정될 수 있다. UE에 설정된 BWP 중 한 번에 하나의 BWP만 활성화될 수 있다. 활성 BWP는 셀의 동작 대역폭 내에서 UE의 동작 대역폭을 정의한다.
NR 주파수 대역은 2가지 타입(FR1, FR2)의 주파수 범위(Frequency Range)로 정의될 수 있다. 주파수 범위의 수치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가지 타입(FR1, FR2)의 주파수 범위는 아래 표 3과 같을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NR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범위 중 FR1은 "sub 6GHz range"를 의미할 수 있고, FR2는 "above 6GHz range"를 의미할 수 있고 밀리미터 웨이브(MilliMeter Wave, mmW)로 불릴 수 있다.
Figure pct00003
상술한 바와 같이, NR 시스템의 주파수 범위의 수치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FR1은 아래 표 4와 같이 410MHz 내지 7125MHz의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즉, FR1은 6GHz (또는 5850, 5900, 5925 MHz 등)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R1 내에서 포함되는 6GHz (또는 5850, 5900, 5925 MHz 등) 이상의 주파수 대역은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을 포함할 수 있다. 비면허 대역은 다양한 용도, 예를 들어 차량을 위한 통신(예: 자율 주행)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Figure pct00004
본 개시에서 "셀"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노드가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지리적 영역을 의미하거나, 또는 무선 자원을 의미할 수 있다. 지리적 영역으로서의 "셀"은 노드가 반송파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커버리지로 이해될 수 있고, 무선 자원(예: 시간-주파수 자원)의로서의 "셀"은 반송파에 의해 설정된 주파수 범위인 대역폭과 연관된다. 무선 자원과 연관된 "셀"은 하향링크 자원과 상향링크 자원의 조합, 예를 들어 DL CC(Component Carrier)와 UL CC의 조합으로 정의된다. 셀은 하향링크 자원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하향링크 자원과 상향링크 자원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노드가 유효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범위인 DL 커버리지와 UE로부터 유효한 신호를 노드가 수신할 수 있는 범위인 UL 커버리지는 신호를 나르는 반송파에 의존하기 때문에, 노드의 커버리지는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무선 자원의 "셀"의 커버리지와 연관될 수 있다. 따라서, "셀"이라는 용어는 때때로 노드의 서비스 커버리지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며, 다른 때에는 무선 자원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며, 또는 다른 때에는 무선 자원을 사용하는 신호가 유효한 세기로 도달할 수 있는 범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CA에서는 2개 이상의 CC가 집성된다. UE는 자신의 능력에 따라 하나 또는 여러 CC에서 동시에 수신하거나 전송할 수 있다. CA는 연속 및 비연속 CC 모두에 대해 지원된다. CA가 설정되면, UE는 네트워크와 하나의 RRC 연결만 가진다. RRC 연결 수립/재수립/핸드오버 시 하나의 서빙 셀이 NAS 이동성 정보를 제공하고, RRC 연결 재수립/핸드오버 시 하나의 서빙 셀이 보안 입력을 제공한다. 이 셀을 PCell(Primary Cell)이라고 한다. PCell은 UE가 초기 연결 수립 절차를 수행하거나 연결 재수립 절차를 시작하는 1차(primary) 주파수에서 작동하는 셀이다. UE 능력에 따라, PCell과 함께 서빙 셀의 집합을 형성하도록 SCell(Secondary Cell)이 설정될 수 있다. SCell은 특수 셀(SpCell) 위에 추가적인 무선 자원을 제공하는 셀이다. 따라서 UE에 대해 설정된 서빙 셀 집합은 항상 하나의 PCell과 하나 이상의 SCell로 구성된다. 이중 연결(DC; Dual Connectivity) 동작의 경우, SpCell이라는 용어는 마스터 셀 그룹(MCG; Master Cell Group)의 PCell 또는 세컨더리 셀 그룹(SCG; Secondary Cell Group)의 1차 SCell(PSCell)을 의미한다. SpCell은 PUCCH 전송 및 경쟁 기반 임의 접속을 지원하며, 항상 활성화된다. MCG는 SpCell(PCell) 및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SCell로 구성된 마스터 노드와 관련된 서빙 셀의 그룹이다. SCG는 DC로 구성된 UE에 대해 PSCell 및 0개 이상의 SCell로 구성된 세컨더리 노드와 관련된 서빙 셀의 그룹이다. CA/DC로 설정되지 않은 RRC_CONNECTED에 있는 UE의 경우, PCell로 구성된 하나의 서빙 셀만 존재한다. CA/DC로 설정된 RRC_CONNECTED의 UE에 대해, "서빙 셀"이라는 용어는 SpCell(들) 및 모든 SCell로 구성된 셀 집합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DC에서 두 개의 MAC 개체가 UE에 구성된다. 하나는 MCG를 위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SCG를 위한 것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구현이 적용되는 3GPP NR 시스템에서 데이터 흐름의 예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RB"는 무선 베어러를 나타내고, "H"는 헤더를 나타낸다. 무선 베어러는 사용자 평면 데이터를 위한 DRB와 제어 평면 데이터를 위한 SRB의 두 그룹으로 분류된다. MAC PDU는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PHY 계층을 통해 외부 장치와 송수신된다. MAC PDU는 전송 블록의 형태로 PHY 계층에 도착한다.
PHY 계층에서 상향링크 전송 채널 UL-SCH 및 RACH(Random Access Channel)는 각각 물리 채널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및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에 맵핑되고 하향링크 전송 채널 DL-SCH, BCH 및 PCH는 각각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 및 PDSCH에 맵핑된다. PHY 계층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UCI; Uplink Control Information)는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에 맵핑되고,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에 맵핑된다. UL-SCH와 관련된 MAC PDU는 UL 그랜트를 기반으로 PUSCH를 통해 UE에 의해 전송되고, DL-SCH와 관련된 MAC PDU는 DL 할당을 기반으로 PDSCH를 통해 BS에 의해 전송된다.
이하 MBMS에 대해 설명한다. 3GPP TS 3GPP TS 36.331 v15.7.0의 섹션 5.8이 참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MBMS를 지원하는 단말에만 해당되는 제어 정보는 유니캐스트 제어 정보와 최대한 분리된다. 대부분의 MBMS 제어 정보는 MBMS 공통 제어 정보에 대한 특정 논리 채널인 MCCH에서 제공된다. E-UTRA는 MBSFN 영역당 하나의 MCCH 논리 채널을 사용한다. 네트워크가 다중 MBSFN 영역을 구성하는 경우, UE는 수신하려는 서비스가 진행 중인지를 식별하기 휘애, 설정된 MCCH로부터 MBMS 제어 정보를 획득한다. UE가 MBMS와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동시에 수신할 수 없을 때, 적용할 수 있는 조치는 UE 구현에 달려 있다. 표준의 이번 릴리스에서, MBMS 가능 UE는 한 번에 단일 MBMS 서비스의 수신을 지원하기만 하면 되며, 둘 이상의 MBMS 서비스를 병렬로 수신하는 것(또한 하나 이상의 MBSFN 영역에서 가능)은 UE 구현을 위해 남겨둔다. MCCH는 MBSFNAreaConfiguration 메시지를 전달하며, 이는 진행 중인 MBMS 세션과 (해당) 무선 자원 구성을 나타낸다. MCCH는 또한 E-UTRAN이 하나 이상의 특정 MBMS 서비스를 수신 중이거나, 수신하는 데 관심이 있는 RRC_CONNECTED 내의 UE의 수를 카운트하기를 원할 때 MBMSCountingRequest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BCCH에는 제한된 양의 MBMS 제어 정보가 제공된다. 이것은 주로 MCCH를 획득하는 데 필요한 정보와 관련된다. 이 정보는 단일 MBMS 특정 SystemInformationBlock: SystemInformationBlockType13을 통해 전달된다. MBSFN 영역은 SystemInformationBlockType13의 mbsfn-AreaId로만 식별된다. 이동성(mobility)에서, UE는 소스 셀과 타겟 셀이 mbsfn-AreaId에서 동일한 값을 브로드캐스트할 때 MBSFN 영역이 연속적인 것으로 간주한다.
MCCH 정보는 구성 가능한 반복 주기를 사용하여 주기적으로 전송된다. MCCH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는 제공되지 않는다. 즉,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과 하위 계층 구성 모두 SystemInformationBlockType13에 정의된 대로 반정적(semi-statically)으로 설정된다.
MTCH 논리 채널에 의해 운반되는 MBMS 사용자 데이터의 경우, E-UTRAN은 하위 계층(MAC)에서 MCH 스케줄링 정보(MSI)를 주기적으로 제공한다. 이 MCH 정보는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에만 관련된다. 즉, 주파수 도메인 스케줄링 및 하위 계층 구성은 반정적으로 설정된다. MSI의 주기성은 MCH 스케줄링 주기에 의해 설정 및 정의된다.
MCCH 정보의 변경은 특정 무선 프레임에서만 발생한다. 즉, 수정 기간(modification period)이라는 개념이 사용된다. 수정 기간 내에서, 동일한 MCCH 정보는 (반복 주기를 기반으로 하는) 스케줄링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여러 번 전송될 수 있다. 수정 기간 경계는 SFN mod m = 0인 SFN 값으로 정의되며, 여기서 m은 수정 기간를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의 수이다. 수정 기간는 SystemInformationBlockType13을 통해 구성된다.
네트워크가 (일부) MCCH 정보를 변경하면 첫 번째 수정 기간 동안 변경 사항을 UE에 알린다. 다음 수정 기간에 네트워크는 업데이트된 MCCH 정보를 전송한다. 변경 알림을 수신하면 MBMS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UE는 다음 수정 기간이 시작되는 즉시 새로운 MCCH 정보를 획득한다. UE는 새로운 MCCH 정보를 획득할 때까지 이전에 획득한 MCCH 정보를 적용한다.
MBMS 특정 RNTI의 지시인 M-RNTI는 PDCCH에서 RRC_IDLE의 UE와 RRC_CONNECTED의 UE에게 MCCH 정보 변경을 알리는 데 사용된다. MCCH 정보 변경 통지를 수신할 때, UE는 MCCH 정보가 다음 수정 기간 경계에서 변경될 것임을 알고 있다. PDCCH에 대한 알림은 8비트 비트맵을 통해 수행되는 MCCH 중 어떤 것이 변경될 것인지를 나타낸다. 이 비트맵 내에서 필드 notificationIndicator에 의해 표시된 위치의 비트는 해당 MBSFN 영역에 대한 변경 사항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비트가 "1"로 설정되면 해당 MCCH가 변경된다. 예를 들어, 어떤 MCCH 정보가 변경될지에 관한, 추가 세부사항은 제공되지 않는다. MCCH 정보 변경 알림은 세션 시작 시 또는 MBMS 카운팅 시작 시 MCCH 정보 변경을 UE에게 알리는 데 사용된다.
PDCCH에 대한 MCCH 정보 변경 알림은 주기적으로 전송되며, 이는 비-MBSFN 서브프레임에서 MCCH 정보 변경이 제공되는 MBMS 전용 셀 또는 FeMBMS/유니캐스트 혼합 셀을 제외하고 MBSFN 서브프레임에서만 전달된다. 이러한 MCCH 정보 변경 통지 경우는 구성된 모든 MCCH에 공통적이며, SystemInformationBlockType13에 포함된 매개변수(반복 계수, 무선 프레임 오프셋 및 서브프레임 인덱스)에 의해 구성 가능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알림 경우는 가장 짧은 수정 기간을 갖는 MCCH를 기반으로 한다.
E-UTRAN은 BCCH를 통해 전달되는 MBMS 구성 정보를 업데이트함과 동시에 MCCH에 제공된 MBMS 구성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BCCH에 새로운 MCCH가 설정되어 있음을 감지한 경우, 하나 이상의 MBMS 서비스를 수신하려는 UE는 자신이 관심 있는 서비스가 해당 MBSFN 영역에서 제공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지 못하는 한 MCCH를 획득해야 한다.
MRB를 통해 MBMS 서비스를 받고 있는 UE는 각 수정 기간의 시작부터 MCCH 정보를 획득해야 한다. MasterInformationBlock에 포함된 dl-Bandwidth가 n6으로 설정된 캐리어로부터 MBMS를 수신하고자 하는 UE는 매 MCCH 수정 주기마다 적어도 한 번 MCCH 정보를 획득해야 한다. MRB를 통해 MBMS 서비스를 받고 있지 않은 UE 뿐만 아니라, MRB를 통해 MBMS 서비스를 받고 있지만 - MasterInformationBlock에 포함된 dl-Bandwidth가 n6이 아닌- 캐리어로부터 다른 MBSFN 영역에서 아직 시작되지 않은 다른 서비스를 수신하는 데 잠재적으로 관심이 있는 UE들은, MCCH 정보 변경 알림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해당 MCCH(들)의 수정 기간 동안 MCCH 정보 변경 알림을 찾으려고 시도하여 저장된 MCCH 정보가 유효한지 확인해야 한다.
UE가 수신하고자 하는 서비스(들)에 대해 어떤 MCCH(들)을 E-UTRAN을 사용하는지 알고 있는 경우, UE는 상기에서 '적용 가능한 MCCH(들)'로 지칭되는 구성된 MCCH의 서브세트에 대한 변경 통지만을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UE는 MCCH 정보 획득 절차를 적용하여 E-UTRAN에 의해 방송되는 MBMS 제어 정보를 획득한다. 절차는 RRC_IDLE 또는 RRC_CONNECTED에 있는 MBMS 가능 UE에 적용된다.
MBMS 서비스 수신에 관심이 있는 UE는 해당 MBSFN 영역에 진입할 때(예를 들어, 전원이 켜진 후, UE가 이동하는 때) 및 MCCH 정보가 변경되었다는 알림을 수신할 때, MCCH 정보 획득 절차를 적용해야 한다. MBMS 서비스를 받고 있는 UE는 각 수정 주기의 시작에서, 수신 중인 서비스에 해당하는 MCCH를 획득하기 위해 MCCH 정보 획득 절차를 적용해야 한다.
절차 사양에서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MCCH 정보 획득 절차는 저장된 MCCH 정보를 덮어쓴다. 즉, 델타 구성은 MCCH 정보에 적용할 수 없으며 UE는 달리 명시적으로 지정되지 않는 한 MCCH 정보에 없는 경우 필드 사용을 중단한다.
MBMS PTM 무선 베어러 구성 절차는 MRB를 수신하기 위해 시작 및/또는 중지할 때 RLC, MAC 및 물리 계층을 구성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된다. 상기 절차는 하나 이상의 MBMS 서비스를 수신하는 데 관심이 있는 UE에 적용된다.
UE가 능력 제한으로 인해 MBMS 서비스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 상위 계층은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낮은 우선 순위의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종료할 수 있다.
UE는 관심 있는 서비스의 세션 수신을 시작하기 위해 MRB 설정 절차를 적용된다. 예를 들어, MBMS 세션 시작 시, 해당 MBSFN 서비스 지역의 (재)진입 시, MBMS 서비스에 관심을 갖게 된 후, 관련 서비스의 수신을 금지하는 UE 능력 제한이 제거되는 때, 상기 절차가 개시될 수 있다.
UE는 세션 수신을 중단하기 위해 MRB 해제 절차를 적용한다. 예를 들어, MBMS 세션이 중지는 때, 해당 MBSFN 서비스 지역을 떠날 때, MBMS 서비스에 대한 흥미를 잃은 때, 관련 서비스의 수신을 금지하는 기능 제한이 시작될 때, 상기 절차가 시작될 수 있다.
이 절차의 목적은 UE가 MRB 또는 SC-MRB를 통해 MBMS 서비스(들)를 수신 중이거나 수신하는 데 관심이 있음을 E-UTRAN에 알리고, 이 경우, E-UTRAN에게 MBMS 대 유니캐스트 수신 또는 수신 전용 모드에서의 MBMS 서비스(들) 수신의 우선순위를 알리기 위함이다.
RRC_CONNECTED의 MBMS 또는 SC-PTM 가능 UE는, 성공적인 연결 설정 시, 서비스 지역에 들어가거나 나올 때, 세션 시작 또는 중지 시, 관심 변경 시, MBMS 수신과 유니캐스트 수신 사이의 우선순위가 변경되는 때, SystemInformationBlockType15을 브로드캐스트하는 PCell이 변경되는 때, 수신 전용 모드에서 MBMS 서비스 시작 및 중지 시, 수신 전용 모드 주파수, 대역폭 또는 수신 전용 모드에서 MBMS 서비스(들)의 부반송파 간격 변경되는 때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절차를 시작할 수 있다.
상기 절차를 시작하면 UE는 다음을 수행해야 한다.
1> SystemInformationBlockType15가 PCell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되는 경우; 또는
1> mbms-ROM-ServiceIndication이 PCell로부터 SystemInformationBlockType2로 수신된 경우:
2> 존재하는 경우 PCell에 대해 유효한 버전의 SystemInformationBlockType15가 있는지 확인한다.
2> UE가 RRC_CONNECTED 상태에 마지막으로 진입한 이후로 MBMSInterestIndication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은 경우; 또는
2> UE가 마지막으로 MBMSInterestIndication 메시지를 전송한 이후로 PCell에 연결된 UE가 SystemInformationBlockType15를 브로드캐스팅하지 않고 SystemInformationBlockType2에 mbms-ROM-ServiceIndication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3> 관심 있는 MBMS 주파수 세트가 비어 있지 않은 경우:
4> MBMSInterestIndication 메시지의 전송을 시작한다.
2> 기타:
3> MBMSInterestIndication 메시지의 마지막 전송 이후 관심 있는 MBMS 주파수 세트가 변경된 경우; 또는
3> MBMSInterestIndication 메시지의 마지막 전송 이후 관심 있는 수신 전용 모드 MBMS 주파수의 부반송파 간격 또는 대역폭 매개변수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된 경우; 또는
3> MBMSInterestIndication 메시지의 마지막 전송 이후 설정된 유니캐스트 베어러의 수신과 비교하여 표시된 모든 MBMS 주파수 수신의 우선순위가 변경된 경우:
4> MBMSInterestIndication 메시지의 전송을 시작한다.
UE는 관심 있는 MBMS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는 경우에도, 즉 네트워크가 MBMS 수신을 금지하는 구성을 할당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MBMSInterestIndication을 보낼 수 있다.
3> 그렇지 않으면 SystemInformationBlockType20이 PCell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되는 경우:
4> UE가 MBMSInterestIndication 메시지를 마지막으로 전송한 이후로, UE가 SystemInformationBlockType20을 브로드캐스팅하지 않는 PCell에 연결된 경우; 또는
4> 관심 있는 MBMS 서비스 세트가 MBMSInterestIndication 메시지의 마지막 전송에 포함된 mbms-Services와 다른 경우;
5> MBMSInterestIndication 메시지 전송 시작한다.
관심 MBMS 주파수를 결정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UE는 다음 동작을 수행해야 한다.
1> 다음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주파수를 관심 MBMS 주파수의 일부로 간주한다:
2> UE가 수신 중이거나, MRB 또는 SC-MRB를 통해 수신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MBMS 세션이 진행 중이거나 시작하려고 하는 경우; 및
UE는 USD(User Service Description)에 표시된 시작 및 중지 시간부터 세션이 진행 중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2> 이러한 MBMS 세션 중 하나 이상에 대해, PCell에서 획득한 SystemInformationBlockType15가 이 세션에 대해 USD에 표시된 대로 관련 주파수에 대해 하나 이상의 MBMS SAI를 포함하거나, 이 세션은 수신 전용 모드인 경우; 및
UE는 E-UTRAN이 (일시적으로) 관련 세션에 대해 MRB 또는 SC-MRB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파수를 관심 MBMS 주파수의 일부로 간주한다. 즉. UE는 세션이 (SC-)MCCH에 표시되는지 확인하지 않는다.
UE는 동기화 상태와 무관하게 관심 주파수를 고려한다.
2> UE는, 주파수 각각에 서빙 셀이 구성되어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MRB를 동시에 수신할 가능 및/또는 관심 있는 MBMS 주파수 세트에서 SC-MRB를 동시에 가능할 수 있다; 및
2> UE-EUTRA-Capability에 포함된 supportedBandCombination는 관심 있는 MBMS 주파수 세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역 조합을 포함한다.;
주파수를 표시한다는 것은 UE가 관련 주파수에 대해 SystemInformationBlockType13 또는 SystemInformationBlockType20 획득을 지원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상기 표시는 해당 주파수에 서빙 셀이 구성되었는지 여부와 무관해야 한다.
동시에 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를 평가할 때 UE는 현재 구성된 서빙 주파수를 고려하지 않는다. 즉, 수신에 관심있는 MBMS 주파수만 고려한다.
관심 있는 MBMS 주파수 세트에는 주어진 물리적 주파수에 대해 최대 하나의 주파수가 포함된다. UE는 SystemInformationBlockType1(서빙 주파수용) 또는 SystemInformationBlockType15(주변(neighbouring) 주파수용)에서, 이 물리적 주파수에 대해 표시된 대역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경우에만, 물리적 주파수를 관심 MBMS 주파수의 일부로 간주한다. 이 경우, E-UTRAN은 UE가 지원하는 임의의 대역(즉, supportedBandCombination에 따라)에서 UE가 MBMS 수신을 지원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관심 MBMS 서비스(MBMS services of interest)를 결정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UE는 아래 동작을 수행해야 한다:
1> 다음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MBMS 서비스를 관심 있는 MBMS 서비스의 일부로 고려한다:
2> UE가 SC-PTM 가능인 경우; 및
2> UE가 SC-MRB를 통해 이 서비스를 수신하거나 수신하는 데 관심이 있는 경우; 및
2> 이 서비스의 한 세션이 진행 중이거나 시작하려고 하는 경우; 및
2> 이 서비스에 대한 USD의 하나 이상의 MBMS SAI가, 관심 MBMS 주파수 세트에 속하는 주파수에 대한 PCell로부터 획득한, SystemInformationBlockType15에 포함되는 경우.
MBMSInterestIndication 메시지 전송과 관련된 동작이 설명된다.
UE는 MBMSInterestIndication 메시지의 내용을 다음과 같이 설정해야 한다.
1> 관심 있는 MBMS 주파수 세트가 비어 있지 않은 경우:
2> mbms-FreqList를 포함하고, SystemInformationBlockType1(서빙 주파수용)에 포함된 freqBandIndicator에 해당하는 EARFCN을 사용하여 (만약, 해당되는 경우, SystemInformationBlockType15에 포함된 EARFCN(neighbouring 주파수용)를 사용하여), 관심이 있는 순서대로 정렬된 관심 MBMS 주파수를 포함하도록 mbms-FreqList를 설정한다.
mbms-FreqList에 포함된 EARFCN은 단지 UE가 수신하고자 하는 물리적 주파수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즉, UE는 포함된 EARFCN에 해당하는 대역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해당 물리적 주파수에 대한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에 표시된 대역 중 적어도 하나는 지원한다).
2> UE가 임의의 유니캐스트 베어러의 수신보다 표시된 모든 MBMS 주파수의 수신을 우선시하는 경우, mbms-Priority를 포함한다;
2> SystemInformationBlockType20이 PCell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되는 경우:
3> mbms-Services를 포함하고, 결정된 관심 MBMS 서비스 세트를 나타내도록 mbms-Services를 설정한다.
UE가 MBMS 수신을 우선시하고 MBMS 캐리어(들)의 혼잡으로 인해 유니캐스트 데이터를 지원할 수 없는 경우, E-UTRAN은 유니캐스트 베어러의 해제를 시작할 수 있다. 모든 베어러 또는 GBR 베어러만 해제되는지 여부는 E-UTRAN 구현에 달려 있다. E-UTRAN은, 혼잡이 완화된 때, 해제된 유니캐스트 베어러의 재설정을 시작하지 않는다.
1> 만약, UE가 수신 전용 모드에서 MBMS 서비스를 수신하는 경우:
2> UE-EUTRA-Capability에 포함된 UE의 supportedBandCombination이 mbms-ROM-Freq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역 조합을 포함하는 경우:
3> mbms-ROM-Freq, mbms-ROM-SubcarrierSpacing 및 mbms-Bandwidth를 포함한다.
mbms-ROM-Freq에 포함된 EARFCN은 UE가 수신 전용 모드에서 MBMS 서비스를 수신하는 데 관심이 있는 물리적 주파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UE 구현에 따라 결정된다.
UE는 전송을 위해 하위 계층에 MBMSInterestIndication 메시지를 제출해야 한다.
SC-PTM가 설명된다.
SC-PTM 제어 정보는 특정 논리 채널인 SC-MCCH에서 제공된다. SC-MCCH는 진행 중인 MBMS 세션을 나타내는 SCPTMConfiguration 메시지와 각 세션이 언제 스케줄링될 수 있는지, 즉 스케줄링 기간, 스케줄링 창 및 시작 오프셋에 대한 (해당) 정보를 전달한다. SCPTMConfiguration 메시지는 현재 셀에서 진행 중인 MBMS 세션을 전송하는 인접 셀에 대한 정보도 제공한다. 이번 릴리스 표준에서, SC-PTM 가능 UE는 한 번에 단일 MBMS 서비스의 수신을 지원하기만 하면 되며, 둘 이상의 MBMS 서비스를 병렬로 수신하는 것은 UE 구현을 위해 남겨둔다.
제한된 양의 SC-PTM 제어 정보가 BCCH 또는 BR-BCCH를 통해 제공된다. 이것은 주로 SC-MCCH를 획득하는 데 필요한 정보와 관련된다.
SC-MCCH 정보(즉, SC-MCCH를 통해 전송된 메시지에서 전송되는 정보)는 설정 가능한 반복 주기를 사용하여 주기적으로 전송된다. SC-MCCH 전송(및 관련 무선 자원 및 MCS)은 PDCCH에 표시된다.
UE는 SC-MCCH 정보 획득 절차를 적용하여, E-UTRAN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되는 SC-PTM 제어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절차는 EDT 절차를 수행하는 BL UE, CE에 있는 UE, 및 NB-IoT UE를 제외한, RRC_IDLE에 있는 SC-PTM 가능 UE에 적용된다. 상기 절차는 BL UE, CE에 있는 UE들, 또는 NB-IoT UE를 제외한 RRC_CONNECTED에 있는 SC-PTM 가능 UE에도 적용된다.
SC-PTM 무선 베어러 구성 절차는, SC-MTCH를 통해 전송된 SC-MRB를 수신하기 위해 시작 및/또는 중지할 때 RLC, MAC 및 물리 계층을 구성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된다. 이 절차는, SC-MRB를 통해 하나 이상의 MBMS 서비스를 수신하는 데 관심이 있는 UE들 중, RRC_IDLE에 있는 SC-PTM 가능 UE 그리고, - BL UE, CE에 있는 UE, 또는 RRC_CONNECTED의 NB-IoT UE가 아니며- SC-PTM 가능 UE에 적용된다.
이하, 브로드캐스트 정보 수신이 설명된다. 3GPP TS 3GPP TS 36.304 v15.4.0의 섹션 6이 참조될 수 있다.
셀 선택 및 재선택으로 인해 수신된 NAS 시스템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NAS는 이를 알게 된다.
UE는 RRC_IDLE에서 시스템 정보 변경 알림을 수신하기 위해 PO(Paging Occasion)를 모니터링해야 한다. 시스템 정보의 변경은 MPDCCH 및 NPDCCH에 대한 Paging 메시지 또는 Direct Indication 정보를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의해 각각 표시된다. 페이징 메시지 또는 직접 표시 정보가 시스템 정보 변경을 나타낼 때 UE는 관련 시스템 정보를 다시 획득해야 한다.
BL UE 또는 Enhanced Coverage에 있는 또는 NB-IoT UE를 제외한, MBSFN 전송을 사용하여 제공되는 MBMS 서비스를 수신하고자 하는 UE는, 해당 MBSFN 영역에 진입시 및 MCCH 정보가 변경되었다는 통지를 수신한 때, MCCH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MCCH 정보 획득 절차를 적용해야 한다. MBSFN 전송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MBMS 서비스를 수신하고자 하는 UE는 MCCH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하고자 하는 서비스가 시작되었는지 또는 진행 중인지 식별하고, 그리고 나서 식별된 서비스에 대응하는 MTCH를 수신한다.
SC-PTM 전송을 사용하여 제공되는 MBMS 서비스를 수신하려는 UE는, 새 셀에 들어갈 때 및 SC-MCCH 정보가 변경되었다는 통지를 수신할 때, SC-MCCH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SC-MCCH 정보 획득 절차를 적용해야 한다. SC-PTM 전송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MBMS 서비스를 수신하고자 하는 UE는 SC-MCCH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수신하고자 하는 서비스가 시작 또는 진행 중인지 식별하고, 그런 다음 SC-MRB 설정 절차 및 DL-SCH 수신 및 SC-PTM DRX 절차를 사용하여 구성된 SC-MTCH를 수신한다.
SC-PTM 전송을 사용하여 제공되는 MBMS 서비스를 수신하고자 하는 BL UE 또는 향상된 커버리지(Enhanced Coverage)의 UE 또는 NB-IoT UE의 경우,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Mobile Terminated Call 및 Mobile Originated Signaling에 대한 페이징 수신 또는 RRC 연결 설정은 SC-PTM 수신보다 우선한다.
이하, 파형, 숫자학, 및 프레임 구조에 대해 설명된다. 3GPP TS 38.300 v15.7.0의 섹션 5.1이 참조될 수 있다.
하향링크 전송 파형은 Cyclic Prefix를 사용하는 기존 OFDM 방식이다. 업링크 전송 파형은 비활성화 또는 활성화될 수 있는 DFT 확산을 수행하는 변환 프리코딩 기능과 함께 순환 프리픽스를 사용하는 기존 OFDM이다.
수비학은 PSS, SSS 및 PBCH에 대해 u={0,1,3,4}이고, 다른 채널의 경우 u={0,1,2,3}이며, 지수 확장 가능한 부반송파 간격 △f = 2u*15kHz를 기반으로 한다. 일반 CP는 모든 부반송파 간격에 대해 지원되고, 확장 CP는 u=2에 대해 지원된다.
12개의 연속적인 부반송파가 PRB(Physical Resource Block)를 형성한다. 캐리어에서 최대 275개의 PRB가 지원된다.
표 5는 지원되는 전송 숫자학을 보여준다.
Figure pct00005
UE는 주어진 컴포넌트 캐리어 상의 하나 이상의 부분 대역폭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중 각각 한 번에 하나만 활성화될 수 있다. 활성 부분 대역폭은 셀의 작동 대역폭 내에서 UE의 작동 대역폭을 정의한다. 초기 접속을 위해, 그리고 셀에서 UE의 설정이 수신될 때까지, 시스템 정보에서 검출된 초기 부분 대역폭이 사용된다. 다운링크 및 업링크 전송은 10ms 기간에서 10개의 1ms 서브프레임을 갖는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각 프레임은 각각 5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 2개의 동일한 크기의 하프 프레임으로 나뉜다. 슬롯 지속기간은 일반 CP의 경우 14개 심볼이고 확장된 CP의 경우 12개이며, 서브프레임에 슬롯의 정수가 항상 있도록 사용된 서브캐리어 간격의 함수로 시간이 조정된다.
Timing Advance TA는 다운링크 프레임 타이밍에 대한 업링크 프레임 타이밍을 조정하는 데 사용된다.
이하, 부분 대역폭에 대해 설명한다. 3GPP TS 38.211 V15.7.0의 섹션 4.4.5가 참조될 수 있다.
부분 대역폭은 주어진 캐리어의 부분 대역폭에서 주어진 숫자학(numerology)에 대한 인접한(contiguous) 공통 자원 블록의 하위 집합이다.
UE는 주어진 시간에 활성인 단일 다운링크 부분 대역폭과 함께 다운링크에서 최대 4개의 부분 대역폭이 구성될 수 있다. UE는 활성 부분 대역폭 외부에서 PDSCH, PDCCH 또는 CSI-RS(RRM 제외)를 수신할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다.
UE는 주어진 시간에 활성인 단일 업링크 부분 대역폭과 함께 업링크에서 최대 4개의 부분 대역폭으로 구성될 수 있다. UE에 보충 상향 링크(supplementary uplink)가 구성되는 경우, UE는 주어진 시간에 활성인 단일 보충 업링크 부분 대역폭과 함께 보충 업링크에서 최대 4개의 부분 대역폭으로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UE는 활성 부분 대역폭 외부에서 PUSCH 또는 PUCCH를 전송하지 않아야 한다. 활성 셀의 경우 UE는 활성 부분 대역폭 외부에서 SRS를 전송하지 않아야 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구현이 적용되는 부분 대역폭(BWP)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BWP는 인접한 물리적 자원 블록(PRB)의 그룹으로 구성된다. BWP의 대역폭(BW)은 UE에 대해 구성된 구성 반송파(CC, component carrier) BW를 초과할 수 없다. BWP의 BW는 적어도 하나의 SS(Synchronization Signal) 블록 BW만큼 커야 하지만 BWP는 SS 블록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각 BWP는 특정 숫자학, 즉, 부반송파 간격(SCS) 및 CP (cyclic prefix) 유형과 연관된다. 따라서 BWP는 특정 숫자학으로 UE를 재구성하는 수단이기도 한다.
도 10의 우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는 주파수가 겹칠 수 있는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을 통해 UE에 대한 다중 BWP를 구성할 수 있다. BWP 구성의 세분성(granularity)은 하나의 PRB이다. 각 서빙 셀에 대해 DL 및 UL BWP는 페어링된 스펙트럼에 대해 개별적이고 독립적으로 구성되며 DL 및 UL에 대해 각각 최대 4개의 BWP를 구성할 수 있다. 페어링되지 않은 스펙트럼의 경우 DL BWP와 UL BWP를 함께 쌍으로 구성하며 최대 4쌍까지 구성할 수 있다. 보충 상향 링크 (SUL, Supplemental UL)에 대해서도 최대 4개의 UL BWP가 설정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구현이 적용되는 연속 BWP 및 비연속 BWP의 예를 도시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서빙 셀 측정을 위해, UE는 연속적으로 또는 비연속적으로 다중 BWP로 설정될 수 있다. 서빙 셀의 품질을 도출하기 위해, UE는 서빙 셀에 속한 모든 BWP가 아니라 구성된 BWP만을 측정한다.
구성된 각각의 DL BWP에는 USS(UE-specific search space)가 있는 CORESET(제어 자원 세트)이 하나 이상 포함된다. USS는 UE를 목적지로 하는 제어 정보의 수신 가능성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검색 공간이다. 기본 캐리어에서 구성된 DL BWP 중 하나 이상에는 CSS(공통 검색 공간)가 있는 하나의 CORESET이 포함된다. CSS는 모든 UE에 공통적이거나 특정 UE로 향하는 제어 정보의 수신 가능성을 UE가 모니터링하기 위한 검색 공간이다. 활성 DL BWP의 CORESET이 CSS로 구성되지 않은 경우 UE는 이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없다. UE는 관련된 숫자학을 사용하여 활성 BWP에 대해 구성된 주파수 범위 내에서만 수신 및 전송해야 한다. 그러나 예외가 있다. UE는 RRM(Radio Resource Management) 측정을 수행하거나 측정 갭을 통해 활성 BWP 외부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SRS)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구현들이 적용되는 다중 BWP들의 예를 도시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3개의 BWP가 설정될 수 있다. 제1 BWP는 40MHz 대역에 걸쳐 있을 수 있고, 15kHz의 부반송파 간격이 적용될 수 있다. 제2 BWP는 10MHz 대역에 걸쳐 있을 수 있고, 15kHz의 부반송파 간격이 적용될 수 있다. 제3 BWP는 20MHz 대역에 걸쳐 있을 수 있고 60kHz의 부반송파 간격이 적용될 수 있다. UE는 3개의 BWP 중 적어도 하나의 BWP를 활성 BWP로 설정하고, 활성 BWP를 통해 UL 및/또는 DL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BWP는 또한 UE의 작동 숫자학을 전환하는 도구이다. DL BWP 구성의 숫자학은 적어도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및 해당 복조 RS(DMRS)에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UL BWP 구성의 숫자학은 적어도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및 해당 DMRS에 사용된다. 한편, 최소한 NR의 초기 버전에서는 숫자학의 구성에 제약이 있음이 지적될 수 있다. 즉, DL과 UL을 모두 포함하는 동일한 PUCCH 그룹 내에서 동일한 숫자학이 사용되어야 할 수 있다.
BA(Bandwidth Adaptation)를 사용하면 UE의 수신 및 전송 대역폭이 셀의 대역폭만큼 클 필요가 없으며 다음과 같이 조정할 수 있다: 너비를 변경하도록 주문할 수 있다 (예: 전력을 절약하기 위해 활동이 적은 기간 동안 축소); 위치는 주파수 영역에서 이동할 수 있다 (예: 스케줄링 유연성 증가); 부반송파 간격은 변경하도록 명령될 수 있다 (예: 다른 서비스를 허용하기 위해). 셀의 전체 셀 대역폭의 하위 집합을 부분 대역폭(BWP)이라고 하며, BA는 BWP(들)로 UE를 구성하고, 구성된 BWP 중 현재 활성화된 BWP를 UE에게 알려줌으로써 달성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3가지 다른 BWP가 구성되어 있다.
- 40MHz의 폭과 15kHz의 부반송파 간격을 갖는 BWP1;
- 10MHz의 폭과 15kHz의 부반송파 간격을 갖는 BWP2;
- 20MHz의 폭과 60kHz의 부반송파 간격을 갖는 BWP3.
한편, 무선 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사용자 수에 따라 유니캐스트와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사이에서 전송 모드를 빠르게 전환해야 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1을 수신하고자 하는 UE의 수가 임계값 미만인 경우, 네트워크는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각 UE에게 서비스를 전송할 것이다.
반대로, 서비스 #2를 받고자 하는 UE의 수가 임계값보다 많으면 네트워크는 서비스 #2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무선 자원을 줄이기 위해 서비스 #2를 브로드캐스트할 것이다.
특정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사용자의 수가 증가하여 임계값보다 높아지면, 네트워크는 해당 서비스에 대한 브로드캐스트를 시작한다. 이 경우, UE가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수신하기 전에 유니캐스트 전송이 종료되어서는 안 되므로, 네트워크는 서비스의 브로드캐스트가 시작된 후 잠시 동안 서비스의 유니캐스트 전송을 유지해야 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는 UE가 언제 브로드캐스트 수신에 성공했는지 알지 못하기 때문에, 네트워크는 충분히 긴 시간 동안 유니캐스트 전송과 서비스를 위한 브로드캐스트를 병렬로 수행해야 하며, 이는 막대한 무선 자원의 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브로드캐스트와 유니캐스트 전송 사이의 빠른 전환을 위한 보조 정보 전송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하,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브로드캐스트와 유니캐스트 전송 사이의 빠른 전환을 위한 보조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기 도면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생성된 것이다. 도면에 나타난 특정 장치의 명칭 또는 특정 신호/메시지/필드의 명칭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하기 도면에서 사용되는 특정 명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무선 장치는 UE(user equipment)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브로드캐스트와 유니캐스트 전송 간의 빠른 전환을 위한 보조 정보 전송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특히, 도 13은 무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다.
단계 S1301에서, 무선 장치는 네트워크로부터 유니캐스트를 통해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는 MBS(Multicast-Broadcast Services)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장치는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서비스에 대한 관심 표시를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관심 표시를 수신하면 유니캐스트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1302에서, 무선 장치는 유니캐스트를 통해 서비스를 수신하는 동안 멀티캐스트 및/또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서비스의 수신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장치는 유니캐스트를 통해 서비스를 수신하면서 서비스가 브로드캐스트 및/또는 멀티캐스트를 통해 제공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장치는 무선 장치의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이 무선 장치의 상위 계층으로부터 서비스에 대한 알림(notification)를 수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서비스가 멀티캐스트 및/또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성공적으로 수신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위 계층은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계층 또는 NAS(Non-Access Stratum) 계층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장치는 서비스에 대응하는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에 의해 어드레스되는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검출하는 것에 기초하여, 멀티캐스트 및/또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서비스가 성공적으로 수신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이한 서비스는 상이한 RNTI에 매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로드캐스트 채널은 (1) 브로드캐스트 및/또는 멀티캐스트를 위한 제어 채널 또는 (2) 브로드캐스트 및/또는 멀티캐스트를 위한 데이터 채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로드캐스트 채널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또는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일 수 있다.
단계 S1303에서, 무선 장치는 멀티캐스트 및/또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서비스의 수신을 네트워크에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캐스트 및/또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서비스의 수신을 네트워크에 알린 후, 유니캐스트를 통해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장치의 AS 계층은 유니캐스트를 통한 서비스 수신 여부에 관계없이, 멀티캐스트 및/또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서비스의 수신을 네트워크에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장치는 유니캐스트를 통해 서비스를 수신하는 동안 멀티캐스트 및/또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서비스의 성공적인 수신을 알리는 보조 정보를 네트워크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장치는 서비스의 식별자를 네트워크에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정보는 서비스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장치는 유니캐스트를 통한 서비스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고 네트워크에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정보는 유니캐스트를 통한 서비스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음을 알리는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장치는 무선 장치 이외의 사용자 장비, 네트워크, 또는 자율 차량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브로드캐스트와 유니캐스트 전송 간의 빠른 전환을 위한 보조 정보 전송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1 무선 장치, 제2 무선 장치, 및 RAN(Radio Access Network)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401에서, 제1 무선 장치 및 제2 무선 장치는 RAN 노드로부터 유니캐스트를 통해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 즉, RAN 노드는 유니캐스트를 통해 제1 무선 장치 및 제2 무선 장치 각각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무선 장치 및 제2 무선 장치는 서비스에 관심이 있을 수 있지만, 서비스는 브로드캐스트되지 않을 수 있다.
단계 S1402에서, RAN 노드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제1 무선 장치 및 제2 무선 장치 각각은 유니캐스트를 통해 서비스를 수신한다.
단계 S1403에서, 제1 무선 장치는 제1 무선 장치가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RAN 노드로부터 서비스를 수신함을 알리는 지시를 RAN 노드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무선 장치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서비스의 성공적인 수신과 관련된 보조 정보를 RAN 노드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1404에서, RAN 노드는 제1 무선 장치에 대해 유니캐스트를 통한 서비스 제공을 중단할 수 있다.
이 경우, RAN 노드는 여전히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제1 무선 장치 및 제2 무선 장치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유니캐스트를 통해 제2 무선 장치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1405에서, 제2 무선 장치는 제2 무선 장치가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RAN 노드로부터 서비스를 수신함을 알리는 지시를 RAN 노드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무선 장치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서비스의 성공적인 수신과 관련된 보조 정보를 RAN 노드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1406에서, RAN 노드는 유니캐스트를 통한 제2 무선 장치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중단할 수 있다.
이 경우, RAN 노드는 여전히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제1 무선 장치 및 제2 무선 장치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브로드캐스트와 유니캐스트 전송 사이의 빠른 전환을 위한 MRB (MBMS Point to Multipoint Radio Bearer) 아키텍처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5에서, MRB를 위한 공통 PDCP는 분할 아키텍처를 갖는 동적 전환을 위한 앵커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DCP는 유니캐스트(예를 들어, PTP (Point-to-Point) 전송)를 위한 제1 RLC 및 브로드캐스트 및/또는 멀티캐스트(예를 들어, PTM (Point-to-Multipoint) 전송)를 위한 제2 RLC와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공통 PDCP를 갖는 분할 아키텍처에서, 무선 장치는 MBS 서비스를 위한 2개의 레그, 즉 PTP를 위한 레그와 PTM을 위한 레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BS 서비스를 위한 두 개의 RLC 레그가 있는 무선 장치는 동적 PTP/PTM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TP/PTM 전환은 RRC 시그널링 없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장치는 PTP에 대해 C-RNTI(Common-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장치는 PTM에 대해 G-RNTI (Group-RNTI)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장치는 PTP용 RLC와 PTM용 RLC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무선 장치는 PTM용 RLC를 사용하여 멀티캐스트 및/또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서비스를 수신하는 반면 PTP용 RLC를 사용하여 유니캐스트를 통해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브로드캐스트와 유니캐스트 전송 간의 빠른 전환을 위한 보조 정보 전송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UE는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서비스를 수신하다가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서비스의 성공적인 수신을 감지한 경우,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특정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다는 것을 네트워크에 알릴 수 있다.
단계 S1601에서, UE는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특정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는 특정 서비스에 관심이 있지만, 서비스가 브로드캐스트되지 않는다. 그러면, UE는 네트워크로부터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1602에서, UE는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서비스를 수신하면서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서비스의 성공적인 수신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가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서비스를 수신하는 동안, UE는 서비스가 브로드캐스트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는 UE의 RRC 계층이 상위 계층,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계층 또는 NAS 계층으로부터 서비스에 대한 알림을 수신한 경우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방식의 서비스 수신이 성공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가 서비스에 대응하는 특정 RNTI에 의해 어드레스되는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검출하는 경우, UE는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방식의 서비스 수신이 성공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 경우, UE는 서로 다른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서로 다른 RNTI를 사용할 수 있다. 브로드캐스트 채널은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를 위한 제어 채널(예를 들어, PDCCH) 또는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를 위한 데이터 채널(예를 들어, PDSCH)일 수 있다.
예를 들어, UE가 이미 서비스에 대한 관심을 네트워크에 알렸지만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서비스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UE는 UE가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서비스를 수신하고 있다고 간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의 AS 계층(예를 들어, RRC 계층)은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서비스가 수신되고 있는지 여부를 알지 못할 수 있지만, AS 계층은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서비스의 성공적인 수신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UE의 AS 계층은 UE가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서비스를 받고 있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전송의 성공적인 수신을 네트워크에 알릴 수 있다.
단계 S1603에서, UE는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서비스의 성공적인 수신을 네트워크에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UE는 UE가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서비스를 수신하는 동안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서비스의 성공적인 수신을 검출한 경우,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서비스의 성공적인 수신을 지시하기 위해 네트워크에 표시를 전송할 수 있다. 표시는 서비스 ID, 예를 들어 TMGI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는 표시에 포함된 서비스에 대한 유니캐스트 전송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음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가 UE로부터 서비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지시를 수신하면, 네트워크는 서비스의 유니캐스트 전송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고 간주하고 UE에 대한 서비스의 유니캐스트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UE는 유니캐스트 전송을 통해 서비스 #1 및 서비스 #2를 수신할 수 있다. UE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서비스 #1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이후, UE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서비스 #1의 성공적인 수신을 알리는 표시를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네트워크는 UE로의 서비스 #1의 유니캐스트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브로드캐스트와 유니캐스트 전송 사이의 빠른 전환을 위한 보조 정보 전송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장치는 도 2, 3, 및 5 무선 장치(100 또는 20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장치는 도 13, 15, 및 도 16에서 설명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간략화 또는 생략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무선 장치(100)는 프로세서(102), 메모리(104), 및 트랜시버(10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02)는 메모리(104) 및 트랜시버(106)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네트워크로부터 유니캐스트를 통해 서비스를 수신하도록 트랜시버(106)를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유니캐스트를 통해 서비스를 수신하는 동안 멀티캐스트 및/또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서비스의 수신을 검출하도록 트랜시버(106)를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멀티캐스트 및/또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서비스의 수신을 네트워크에 알리도록 트랜시버(106)를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는 MBS(Multicast-Broadcast Services)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캐스트 및/또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서비스 수신을 네트워크에 알린 후, 서비스가 유니캐스트를 통해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2)는 유니캐스트를 통해 서비스를 수신하는 동안, 서비스가 브로드캐스트 및/또는 멀티캐스트를 통해 제공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02)는 무선 장치의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이 무선 장치의 상위 계층으로부터 서비스에 대한 통지를 수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서비스가 멀티캐스트 및/또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성공적으로 수신된 것으로 간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위 계층은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계층 또는 NAS(Non-Access Stratum) 계층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02)는 서비스에 대응하는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에 의해 어드레싱된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검출하는 것에 기초하여, 서비스가 멀티캐스트 및/또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성공적으로 수신된 것으로 간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로드캐스트 채널은 (1) 브로드캐스트 및/또는 멀티캐스트를 위한 제어 채널 또는 (2) 브로드캐스트 및/또는 멀티캐스트를 위한 데이터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02)는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서비스에 대한 관심 표시를 네트워크에 전송하도록 트랜시버(106)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니캐스트를 통한 서비스는 관심 표시로 전송한 후 네트워크에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캐스트 및/또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서비스의 수신을 네트워크에 알리는 단계는, 유니캐스트를 통한 서비스 수신 여부와 상관없이, 무선 장치의 AS 계층이 멀티캐스트 및/또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서비스의 수신을 네트워크에 알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캐스트 및/또는 상기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상기 서비스의 수신을 네트워크에 알리는 단계는, 상기 유니캐스트를 통해 상기 서비스를 수신하는 동안, 상기 멀티캐스트 및/또는 상기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상기 서비스의 성공적인 수신을 나타내는 보조 정보(assistant information)를 상기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캐스트 및/또는 상기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상기 서비스의 수신을 상기 네트워크에 알리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의 식별자(identity)를 상기 네트워크에 알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캐스트 및/또는 상기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상기 서비스의 수신을 상기 네트워크에 알리는 단계는, 상기 유니캐스트를 통한 상기 서비스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음을 상기 네트워크에 알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02)는 무선 장치 이외의 사용자 장비, 네트워크, 또는 자율 차량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브로드캐스트와 유니캐스트 전송 사이의 빠른 전환을 위한 보조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 장치의 프로세서에 대해 설명한다.
프로세서는 네트워크로부터 유니캐스트를 통해 서비스를 수신하도록 무선 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유니캐스트를 통해 서비스를 수신하는 동안 멀티캐스트 및/또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서비스의 수신을 검출하도록 무선 디바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멀티캐스트 및/또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서비스의 수신을 네트워크에 알리도록 무선 디바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는 MBS(Multicast-Broadcast Services)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캐스트 및/또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서비스 수신을 네트워크에 알린 후, 유니캐스트를 통해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유니캐스트를 통해 서비스를 수신하는 동안 서비스가 브로드캐스트 및/또는 멀티캐스트를 통해 제공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도록 무선 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무선 장치의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이 무선 장치의 상위 계층으로부터 서비스에 대한 알림을 수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서비스가 멀티캐스트 및/또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성공적으로 수신된 것으로 간주하도록 무선 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위 계층은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계층 또는 NAS(Non-Access Stratum) 계층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서비스에 대응하는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에 의해 어드레싱되는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검출하는 것에 기초하여, 서비스가 멀티캐스트 및/또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성공적으로 수신된 것으로 간주하도록 무선 디바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로드캐스트 채널은 (1) 브로드캐스트 및/또는 멀티캐스트를 위한 제어 채널 또는 (2) 브로드캐스트 및/또는 멀티캐스트를 위한 데이터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서비스를 수신할 서비스에 대한 관심 표시를 네트워크에 전송하도록 무선 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니캐스트를 통한 서비스는, 관심 표시를 전송한 후, 네트워크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캐스트 및/또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서비스의 수신을 네트워크에 알리는 단계는, 유니캐스트를 통한 서비스 수신 여부와 상관없이, 무선 장치의 AS 계층이 멀티캐스트 및/또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서비스의 수신을 네트워크에 알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캐스트 및/또는 상기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상기 서비스의 수신을 네트워크에 알리는 단계는, 상기 유니캐스트를 통해 상기 서비스를 수신하는 동안, 상기 멀티캐스트 및/또는 상기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상기 서비스의 성공적인 수신을 나타내는 보조 정보(assistant information)를 상기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캐스트 및/또는 상기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상기 서비스의 수신을 상기 네트워크에 알리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의 식별자(identity)를 상기 네트워크에 알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캐스트 및/또는 상기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상기 서비스의 수신을 상기 네트워크에 알리는 단계는, 상기 유니캐스트를 통한 상기 서비스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음을 상기 네트워크에 알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무선 장치가 무선 장치 이외의 사용자 장비, 네트워크, 또는 자율 차량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하도록 제어하게끔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브로드캐스트와 유니캐스트 전송 간의 빠른 전환을 위한 보조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명령어가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에서 무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는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기타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저장 매체의 몇몇 예들은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읽을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연결된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에 상주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와 저장 매체는 별개의 구성 요소로 존재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유형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일시적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는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DRAM), 읽기 전용 메모리(ROM),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NVRAM), 전기적으로 지울 수 있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EEPROM), 플래시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저장 매체, 또는 명령 또는 데이터 구조를 저장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기타 매체와 같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은 명령 또는 데이터 구조와 같은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읽기 및/또는 실행될 수 있는 것의 형태로 코드를 전달하거나 통신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통신 매체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실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는 복수의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다. 저장된 복수의 명령어는 무선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저장된 복수의 명령어는 무선 장치가 네트워크로부터 유니캐스트를 통해 서비스를 수신하게 할 수 있다. 저장된 복수의 명령은 무선 장치가 유니캐스트를 통해 서비스를 수신하는 동안 멀티캐스트 및/또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서비스의 수신을 검출하게 할 수 있다. 저장된 복수의 명령은 무선 장치가 멀티캐스트 및/또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서비스의 수신을 네트워크에 알리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는 MBS(Multicast-Broadcast Services)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캐스트 및/또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서비스 수신을 네트워크에 알린 후, 유니캐스트를 통해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된 복수의 명령은 무선 장치가 유니캐스트를 통해 서비스를 수신하는 동안 서비스가 브로드캐스트 및/또는 멀티캐스트를 통해 제공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된 복수의 명령어는 무선 장치의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이 무선 장치의 상위 계층으로부터 서비스에 대한 통지를 수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무선 장치가 멀티캐스트 및/또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서비스가 성공적으로 수신된 것으로 간주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위 계층은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계층 또는 NAS(Non-Access Stratum) 계층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된 복수의 명령은 서비스에 대응하는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에 의해 어드레싱된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검출하는 것에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가 서비스가 멀티캐스트 및/또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성공적으로 수신된 것으로 간주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로드캐스트 채널은 (1) 브로드캐스트 및/또는 멀티캐스트를 위한 제어 채널 또는 (2) 브로드캐스트 및/또는 멀티캐스트를 위한 데이터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된 복수의 명령은 무선 장치가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서비스에 대한 관심 표시를 네트워크에 전송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니캐스트를 통한 서비스는 관심 표시로 전송한 후 네트워크에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캐스트 및/또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서비스의 수신을 네트워크에 알리는 단계는, 유니캐스트를 통한 서비스 수신 여부와 상관없이, 무선 장치의 AS 계층이 멀티캐스트 및/또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서비스의 수신을 네트워크에 알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캐스트 및/또는 상기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상기 서비스의 수신을 네트워크에 알리는 단계는, 상기 유니캐스트를 통해 상기 서비스를 수신하는 동안, 상기 멀티캐스트 및/또는 상기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상기 서비스의 성공적인 수신을 나타내는 보조 정보(assistant information)를 상기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캐스트 및/또는 상기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상기 서비스의 수신을 상기 네트워크에 알리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의 식별자(identity)를 상기 네트워크에 알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캐스트 및/또는 상기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상기 서비스의 수신을 상기 네트워크에 알리는 단계는, 상기 유니캐스트를 통한 상기 서비스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음을 상기 네트워크에 알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된 복수의 명령은 무선 장치가 사용자 장비, 네트워크, 또는 무선 장치 이외의 자율 차량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BS)이 브로드캐스트와 유니캐스트 전송 사이의 빠른 전환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기지국은 (1) 유니캐스트 및 (2) 브로드캐스트 및/또는 멀티캐스트 모두를 통해 서비스를 무선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기지국은 상기 무선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브로드캐스트 및/또는 상기 멀티캐스트를 통해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을 알리는 보조 정보(assistant information)를 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은 상기 브로드캐스트 및/또는 상기 멀티캐스트만을 통해 상기 서비스를 상기 무선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상기 보조 정보 수신 시, 상기 유니캐스트를 통한 상기 서비스 제공을 중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상기 무선 장치로부터, 상기 서비스에 대한 관심 표시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관심 표시를 수신 시, 상기 유니캐스트를 통한 상기 무선 장치로의 상기 서비스 제공을 개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브로드캐스트와 유니캐스트 전송 사이의 빠른 전환을 위한 기지국(BS)에 대해 설명한다.
기지국은 트랜시버, 메모리, 및 트랜시버 및 메모리에 동작 가능하게으로 결합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1) 유니캐스트 및 (2) 브로드캐스트 및/또는 멀티캐스트 모두를 통해 서비스를 무선 장치로 제공하도록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브로드캐스트 및/또는 상기 멀티캐스트를 통해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을 알리는 보조 정보(assistant information)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상기 브로드캐스트 및/또는 상기 멀티캐스트만을 통해 상기 서비스를 상기 무선 장치에 제공하도록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보조 정보를 수신하면 유니캐스트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중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무선 장치로부터 서비스에 대한 관심 표시를 수신하고, 관심 표시를 수신 시, 유니캐스트를 통해 무선 장치에 서비스의 제공을 개시하도록 트랜시버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는 다양한 유익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장치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서비스의 성공적인 수신을 네트워크에 알림으로써, 브로드캐스트와 유니캐스트 전송 사이의 빠른 전환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무선 장치로부터의 보조 정보를 이용하여 브로드캐스트와 유니캐스트 전송 사이의 빠른 전환을 위한 방법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에 대한 전송 모드가 유니캐스트에서 브로드캐스트로 전환되는 경우, 네트워크는 네트워크가 서비스에 대한 브로드캐스트와 병렬로 유니캐스트 전송을 수행해야 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유니캐스트 전송에 낭비되는 무선 리소스를 줄일 수 있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유리한 효과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한다.
도 17에서, 네트워크는 (1) 유니캐스트 전송만, (2) 유니캐스트 전송과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전송 모두, 또는 (3) 브로드캐스트 전송만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무선 장치(예를 들어, UE)에 특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무선 장치가 유니캐스트 전송을 통해 서비스를 수신하는 동안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전송을 통해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수신하는 경우, 무선 장치는 네트워크로 수신 성공 지시를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가 특정 무선 장치로부터 성공적인 수신 지시를 수신하면, 네트워크는 (1) 유니캐스트 전송을 통한 서비스 제공을 중단하고, (2)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전송을 통해서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유니캐스트 전송과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전송 모두를 통해 특정 무선 장치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무선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구체적인 예시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나열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관련된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related art)가 본 명세서로부터 이해하거나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적 효과가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의 구체적인 효과는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기재된 것에 제한되지 않고, 본 명세서의 기술적 특징으로부터 이해되거나 유도될 수 있는 다양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청구항은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방법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이 조합되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명세서의 장치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이 조합되어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방법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과 장치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이 조합되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명세서의 방법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과 장치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이 조합되어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구현은 다음과 같은 청구 범위 내에 있다.

Claims (34)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네트워크로부터, 유니캐스트를 통해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유니캐스트를 통해 상기 서비스를 수신하는 동안, 멀티캐스트 및/또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상기 서비스의 수신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캐스트 및/또는 상기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상기 서비스의 수신을 상기 네트워크에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는 MBS(Multicast-Broadcast Service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캐스트 및/또는 상기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상기 서비스 수신을 상기 네트워크에 알린 뒤에, 상기 서비스가 상기 유니캐스트를 통해 제공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캐스트를 통해 서비스를 수신하는 동안, 상기 서비스가 브로드캐스트 및/또는 멀티캐스트를 통해 제공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장치의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이 상기 무선 장치의 상위 계층으로부터 상기 서비스에 대한 알림을 수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가 멀티캐스트 및/또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성공적으로 수신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계층은 상기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계층 또는 NAS(Non-Access Stratum) 계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에 대응하는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에 의해 어드레싱되는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검출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가 멀티캐스트 및/또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성공적으로 수신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캐스트 채널은 (1) 브로드캐스트 및/또는 멀티캐스트를 위한 제어 채널 또는 (2) 브로드캐스트 및/또는 멀티캐스트를 위한 데이터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로, 상기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에 대한 관심 표시(interest indication)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유니캐스트를 통한 상기 서비스는 상기 관심 표시를 전송한 후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캐스트 및/또는 상기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상기 서비스의 수신을 상기 네트워크에 알리는 단계는,
    상기 유니캐스트를 통한 상기 서비스의 수신 여부와 상관없이, 상기 무선 장치의 AS 계층에 의해, 상기 멀티캐스트 및/또는 상기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상기 서비스의 수신을 상기 네트워크에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캐스트 및/또는 상기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상기 서비스의 수신을 네트워크에 알리는 단계는,
    상기 유니캐스트를 통해 상기 서비스를 수신하는 동안, 상기 멀티캐스트 및/또는 상기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상기 서비스의 성공적인 수신을 나타내는 보조 정보(assistant information)를 상기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캐스트 및/또는 상기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상기 서비스의 수신을 상기 네트워크에 알리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의 식별자(identity)를 상기 네트워크에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캐스트 및/또는 상기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상기 서비스의 수신을 상기 네트워크에 알리는 단계는,
    상기 유니캐스트를 통한 상기 서비스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음을 상기 네트워크에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장치는 상기 무선 장치와는 다른 이동 장치, 네트워크 및/또는 자율 주행 차량과 통신 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장치에 있어서,
    송수신기;
    메모리; 및
    상기 송수신기 및 상기 메모리와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네트워크로부터, 유니캐스트를 통해 서비스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는 단계1;
    상기 유니캐스트를 통해 상기 서비스를 수신하는 동안, 멀티캐스트 및/또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상기 서비스의 수신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캐스트 및/또는 상기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상기 서비스의 수신을 상기 네트워크에 알리도록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는 MBS(Multicast-Broadcast Service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캐스트 및/또는 상기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상기 서비스 수신을 상기 네트워크에 알린 뒤에, 상기 서비스가 상기 유니캐스트를 통해 제공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유니캐스트를 통해 서비스를 수신하는 동안, 상기 서비스가 브로드캐스트 및/또는 멀티캐스트를 통해 제공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장치의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이 상기 무선 장치의 상위 계층으로부터 상기 서비스에 대한 알림을 수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가 멀티캐스트 및/또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성공적으로 수신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계층은 상기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계층 또는 NAS(Non-Access Stratum) 계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서비스에 대응하는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에 의해 어드레싱되는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검출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가 멀티캐스트 및/또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성공적으로 수신된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캐스트 채널은 (1) 브로드캐스트 및/또는 멀티캐스트를 위한 제어 채널 또는 (2) 브로드캐스트 및/또는 멀티캐스트를 위한 데이터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23.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네트워크로, 상기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에 대한 관심 표시(interest indication)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도록 설정되며,
    유니캐스트를 통한 상기 서비스는 상기 관심 표시를 전송한 후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24.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캐스트 및/또는 상기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상기 서비스의 수신을 상기 네트워크에 알리는 단계는,
    상기 유니캐스트를 통한 상기 서비스의 수신 여부와 상관없이, 상기 무선 장치의 AS 계층에 의해, 상기 멀티캐스트 및/또는 상기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상기 서비스의 수신을 상기 네트워크에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25.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캐스트 및/또는 상기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상기 서비스의 수신을 상기 네트워크에 알리는 단계는,
    상기 유니캐스트를 통해 상기 서비스를 수신하는 동안, 상기 멀티캐스트 및/또는 상기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상기 서비스의 성공적인 수신을 나타내는 보조 정보(assistant information)를 상기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2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캐스트 및/또는 상기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상기 서비스의 수신을 상기 네트워크에 알리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의 식별자(identity)를 상기 네트워크에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2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캐스트 및/또는 상기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상기 서비스의 수신을 상기 네트워크에 알리는 단계는,
    상기 유니캐스트를 통한 상기 서비스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음을 상기 네트워크에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2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장치와는 다른 이동 장치, 네트워크 및/또는 자율 주행 차량과 통신 중에 있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2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장치를 위한 프로세서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네트워크로부터, 유니캐스트를 통해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유니캐스트를 통해 상기 서비스를 수신하는 동안, 멀티캐스트 및/또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상기 서비스의 수신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캐스트 및/또는 상기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상기 서비스의 수신을 상기 네트워크에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들이 상기 무선 장치에 의해 수행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서.
  30. 무선 장치의 프로세서(processor)에 의해 실행됨을 기초로 하는 명령어(instruction)를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computer readable medium)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는 상기 무선 장치가,
    네트워크로부터, 유니캐스트를 통해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유니캐스트를 통해 상기 서비스를 수신하는 동안, 멀티캐스트 및/또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상기 서비스의 수신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캐스트 및/또는 상기 브로드캐스트를 통한 상기 서비스의 수신을 상기 네트워크에 알리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야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3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base station)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유니캐스트 및 (2) 브로드캐스트 및/또는 멀티캐스트 모두를 통해 서비스를 무선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무선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브로드캐스트 및/또는 상기 멀티캐스트를 통해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을 알리는 보조 정보(assistant information)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브로드캐스트 및/또는 상기 멀티캐스트만을 통해 상기 서비스를 상기 무선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정보 수신 시, 상기 유니캐스트를 통한 상기 서비스 제공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장치로부터, 상기 서비스에 대한 관심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관심 표시를 수신 시, 상기 유니캐스트를 통한 상기 무선 장치로의 상기 서비스 제공을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base station)에 있어서,
    송수신기;
    메모리; 및
    상기 송수신기 및 상기 메모리와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유니캐스트 및 (2) 브로드캐스트 및/또는 멀티캐스트 모두를 통해 서비스를 무선 장치로 제공하도록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무선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브로드캐스트 및/또는 상기 멀티캐스트를 통해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을 알리는 보조 정보(assistant information)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브로드캐스트 및/또는 상기 멀티캐스트만을 통해 상기 서비스를 상기 무선 장치에 제공하도록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KR1020227023187A 2020-01-22 2021-01-1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브로드캐스트와 유니캐스트 전송 간의 빠른 전환을 위한 보조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2201306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8907 2020-01-22
KR1020200008907 2020-01-22
PCT/KR2021/000675 WO2021149986A1 (en) 2020-01-22 2021-01-18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ssistant information for a quick switch between broadcast and unicast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0685A true KR20220130685A (ko) 2022-09-27

Family

ID=76992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3187A KR20220130685A (ko) 2020-01-22 2021-01-1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브로드캐스트와 유니캐스트 전송 간의 빠른 전환을 위한 보조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030347A1 (ko)
EP (1) EP4094457A4 (ko)
KR (1) KR20220130685A (ko)
WO (1) WO2021149986A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55493A1 (en) * 2011-12-20 2014-12-04 Huaning Niu Multicast service using unicast subframe
US9030988B2 (en) * 2012-06-29 2015-05-12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between multicast/broadcast and unicast ser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94457A4 (en) 2023-06-28
WO2021149986A1 (en) 2021-07-29
US20230030347A1 (en) 2023-02-02
EP4094457A1 (en) 2022-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838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sidelink radio link fail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277880B2 (en) Sidelink connection suspension or release based on different target qualities of different services
US2023008398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st small data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0650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o switch between unicast and multicas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2033820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based on qos requir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445477B2 (en) Flexible resource configuration for NR V2X unicast
US20220103298A1 (en) Dynamic configuration of maximum number of sidelink retransmissions for data unit
US20220022094A1 (en) Reconstruction of data unit
US202202482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cells during a conditional pcell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2000482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조건부 pcell 핸드오버 도중 측정 보고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2202795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bwp switching based on priorit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224086B2 (en) Multiple accesses for fast connection reestablishment
US20220046437A1 (en) Multiple carrier transmissions for recovery of sidelink connection
KR10264566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bs 세션을 위한 데이터 비활성 타이머 처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2300538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cast transmission with separation of cp and up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20256568A1 (en) Completion mechanism for transmission using preconfigured uplink resource
US202300490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ositioning information in sidelink communication system
US20220117017A1 (en) Identification of sidelink connection associated with multiple sessions
US2022015964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change of capability information for sidelink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20038097A (ko) 사이드링크 전송을 위한 하위 및 상위 식별자 할당
KR10264347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그룹 페이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2303285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 early measur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736908B2 (en) Switching between unicast and multicast by considering degraded user experie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201509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changing sidelink configuration between wireless devi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03034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ssistant information for a quick switch between broadcast and unicast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