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0361A - 다회용 듀얼 마스크 - Google Patents

다회용 듀얼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0361A
KR20220130361A KR1020210035140A KR20210035140A KR20220130361A KR 20220130361 A KR20220130361 A KR 20220130361A KR 1020210035140 A KR1020210035140 A KR 1020210035140A KR 20210035140 A KR20210035140 A KR 20210035140A KR 20220130361 A KR20220130361 A KR 20220130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inner mask
breathing
use dual
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5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광오
손상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팩플러스
손광오
손상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팩플러스, 손광오, 손상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팩플러스
Priority to KR1020210035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0361A/ko
Publication of KR20220130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03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econdary Cell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를 아웃터 마스크(outer mask)와 이너마스크(inner mask)의 두 겹으로 하여 안쪽의 이너마스크에 다수 형성된 공기분산홀(Air dispersion hole)을 통해 호흡을 분산하여 편안한 호흡 및 안경 김 서림을 방지하는 새로운 형태의 다회용 듀얼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아웃터 마스크와 이너마스크의 두 겹으로 형성되는 듀얼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마스크와 이너마스크는 외관 둘레를 접합하여 일체화하되, 아웃터 마스크와 이너마스크의 하부는 미 접합으로 서로 분리되게 하여 호흡(숨)이 밑으로 방출되도록 개방단부를 형성하고, 상기 아웃터 마스크와 이너마스크는 중앙에 궁형으로 접합 형성된 세로중앙부가 형성되고, 이 세로중앙부를 기준으로 좌, 우 마스크부 및 귀걸이 구멍이 대칭으로 접합 형성되며, 상기 이너마스크에는 호흡 시 숨의 일부가 이너마스크와 아웃터 마스크 사이로 분산될 수 있는 다수의 공기분산홀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회용 듀얼 마스크{reusable dual mask}
본 발명은 재사용이 가능한 다회용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스크를 아웃터 마스크(outer mask)와 이너마스크(inner mask)의 두 겹으로 하여 안쪽의 이너마스크에 다수 형성된 공기분산홀(Air dispersion hole)을 통해 호흡을 분산하여 편안한 호흡 및 안경 김 서림을 방지하는 새로운 형태의 다회용 듀얼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코로나 19와 같은 감염병 예방을 위해 마스크의 착용이 일상화되었다. 또한,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로 인한 마스크 착용 의무화가 연장되면서 마스크 착용의 중요성과 함께 마스크 착용에 대해 다양한 정보들이 쏟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예컨대, 미국에선 '수술용 마스크에 천 마스크를 덧대어 쓰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는 뉴스'가 있었다.
2021.01.26일자 아시아경제 기사를 발췌하면,
『미국서 유행하는 '두 겹 마스크' 파우치 "더 효율적인 건 상식"
NBC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취임식에서 몇몇 사람들이 마스크를 겹쳐 썼고, 앤서니 파우치 미국 국립알레르기 전염병 연구소 소장까지 "더 효율적일 것 같다."라는 견해를 밝혔다고 보도했다. 이날 파우치 소장은 NBC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마스크를 겹쳐 쓰는 건 '상식'이라면서 "물리적으로 한 겹 위에 또 한 겹을 놓으면 상식적으로 생각해도 더 효율적이다" 라고 말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20-0032887(2020.03.27.)의 '미세먼지 방지용 이중마스크'는 "사용자 얼굴의 입 및 코 부분에 위치하는 면부에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단 내측에는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와이어가 설치되며, 사용자 얼굴의 볼 부분의 내측단에는 돌기부가 구비되고, 양측단에는 사용자의 귀에 걸려지는 고리부가 형성된 마스크본체와; 상기 마스크본체의 돌기부에 착탈되도록 양측단에 걸림공이 형성되고, 사용자얼굴의 볼 부분 위치하는 면부에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제 2 마스크와; 상기 마스크본체와 제 2 마스크 사이에는 마스크본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제 2 마스크 내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방지용 이중마스크"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이중마스크를 구성하는 요소가 복잡하여 생산단가 및 생산성이 저하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20-0032887(2020.03.2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972465(2019.04.25.) 미국 특허공보 4,419,993(1983.12.13.) 미국 특허공보 3,890,966(1975.06.2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미세한 기공이 분포되어 통기성과 필터링 기능을 및 탄성 복원성을 갖는 두 겹의 아웃터 마스크와 이너마스크를 일체형으로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미세한 침방울과 먼지를 효율적으로 차단하고, 상기 이너마스크에 다수의 공기분산홀을 형성함으로써 호흡 분산 효과로 인한 편안한 호흡 및 안경 김 서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다회용 듀얼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아웃터 마스크와 이너마스크의 두 겹으로 형성되는 듀얼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마스크와 이너마스크는 외관 둘레를 접합하여 일체화하되, 아웃터 마스크와 이너마스크의 하부는 미 접합으로 서로 분리되게 하여 호흡(숨)이 밑으로 방출되도록 개방단부를 형성하고, 상기 아웃터 마스크와 이너마스크는 중앙에 궁형으로 접합 형성된 세로중앙부가 형성되고, 이 세로중앙부를 기준으로 좌, 우 마스크부 및 귀걸이 구멍이 대칭으로 접합 형성되며, 상기 이너마스크에는 호흡 시 숨의 일부가 이너마스크와 아웃터 마스크 사이로 분산될 수 있는 다수의 공기분산홀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웃터 마스크와 이너마스크의 상부에는 횡 방향으로 접합하여 호흡한 숨이 이너마스크의 공기분산홀을 통해 아웃터 마스크 사이로 들어가 상 방향으로 향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라인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웃터 마스크와 이너마스크는 미세한 기공이 분포되어 있어 통기성과 필터링 기능 및 탄성 복원성을 갖추고 있는 폴리우레탄 폼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재사용이 가능한 듀얼 마스크에 의하면, 아웃터 마스크와 이너마스크를 일체형으로 하고 상기 이너마스크에 다수의 공기분산홀을 형성함으로써 호흡 분산 효과로 인한 편안한 호흡 및 안경 김 서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스크를 두 겹으로 형성함으로써 먼지 등의 필터링 차단 효과를 높일 수 있고, 피부 보온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회용 듀얼 마스크의 사시 사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 사진이다.
도 3은 도 2의 평면 사진이다.
도 4는 도 2의 배면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회용 듀얼 마스크의 착용 상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회용 듀얼 마스크의 사시 사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 사진이며, 도 3은 도 2의 평면 사진이고, 도 4는 도 2의 배면 사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회용 듀얼 마스크의 착용 상태 사진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회용 듀얼 마스크(10)는 아웃터 마스크(20)와 이너마스크(30)의 두 겹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아웃터 마스크(20)와 이너마스크(30)는 외관 둘레(22)(32)를 접합하여 일체화하되, 하부는 아웃터 마스크(20)와 이너마스크(30)가 미 접합으로 서로 분리되게 개방단부(34)를 형성하고, 상기 아웃터 마스크(20)와 이너마스크(30)는 중앙에 궁형으로 접합 형성된 세로중앙부(24)가 형성되고, 이 세로중앙부(24)를 기준으로 좌, 우 마스크부(26) 및 귀걸이 구멍(28)이 대칭으로 접합 형성되며, 상기 이너마스크(30)에는 호흡 시 숨의 일부가 이너마스크(30)와 아웃터 마스크(20) 사이로 분산될 수 있는 다수의 공기분산홀(36)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에서 개방단부(34)는 이너마스크(30)의 공기분산홀(36)을 통해 아웃터 마스크(20) 사이로 들어간 호흡(숨)이 밑으로 빠져 방출되도록 하기 위함이고, 나아가 아웃터 마스크(20)와 이너마스크(30) 사이를 벌림 가능하게 하여 이물질 배출 및 세탁 시 세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아웃터 마스크(20)와 이너마스크(30)의 상부에는 횡방향으로 접합하여 호흡한 숨이 이너마스크(30)와 아웃터 마스크(20) 사이로 분산되어 상방향으로 향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라인(29)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에서 차단라인(29)은 두 줄로 접합한 형태로 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한 줄로 접합해도 동등한 효과를 얻는다.
상기 아웃터 마스크(20)와 이너마스크(30)는 미세한 기공이 분포되어 있어 통기성과 필터링 기능 및 탄성 복원성을 갖추고 있는 폴리우레탄 폼 소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통기성이 있음으로 인해 피부와 접촉시 땀 흡수로 인해 피부 트러블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된 외관 둘레(22)(32), 세로중앙부(24), 귀걸이 구멍(28)의 둘레, 차단라인(29)의 접합은 열접합 또는 고주파 접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회용 듀얼 마스크(10)는 세로중앙부(24)가 궁형으로 형성되어 얼굴에 착용하면 입체적으로 되어 내부 공간이 확보되고, 이 상태에서 호흡을 하게 되면 일부의 호흡(숨)은 이너마스크(30)와 피부 사이에 분포되고, 일부 호흡(숨)은 이너마스크(30)에 다수 형성된 공기분산홀(36)을 통해 이너마스크(30)와 아웃터 마스크(20) 사이로 들어가 분포되어 결국 상기 공기분산홀(36)에 의해 호흡이 양쪽으로 분산됨으로써 편안 호흡과 동시에 안경 김 서림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차단라인(29)에 의해 이너마스크(30)와 아웃터 마스크(20) 사이로 들어간 호흡(숨)이 상방향으로 올라가는 것을 차단해 줌과 함께 개방단부(34)를 통해 밑으로 빠져 방출됨으로써 안경 김 서림 방지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회용 듀얼 마스크(10)는 아웃터 마스크(20)와 이너마스크(30)가 외관 둘레(22)(32) 및 귀걸이 구멍(28)이 접합으로 일체화됨으로써 귀걸이 구멍(28)의 끊어짐 강성을 확보하여 사용수명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의 침방울, 먼지가 1차적으로 아웃터 마스크(20)가 차단하고 2차적으로 이너마스크(30)가 차단하게 되어 차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동시에 다회용 듀얼 마스크(10)가 전체적으로 두꺼워진 만큼 피부 보호 및 보온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재사용이 가능한 다회용 듀얼 마스크에 의하면, 두 겹에 의한 높은 차단 효과와 이너마스크에 형성된 공기분산홀에 의해 호흡이 분산되어 편안한 호흡과 함께 안경 김 서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10 : 다회용 듀얼 마스크
20 : 아웃터 마스크
22, 32 : 외관 둘레
24 : 세로중앙부
26 : 좌, 우 마스크부
28 : 귀걸이 구멍
29 : 차단라인
30 : 이너마스크
34 : 개방단부
36 : 공기분산홀

Claims (3)

  1. 아웃터 마스크와 이너마스크의 두 겹으로 형성되는 듀얼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마스크와 이너마스크는 외관 둘레를 접합하여 일체화하되, 아웃터 마스크와 이너마스크의 하부는 미 접합으로 서로 분리되게 하여 호흡이 밑으로 방출되도록 개방단부를 형성하고, 상기 아웃터 마스크와 이너마스크는 중앙에 궁형으로 접합 형성된 세로중앙부가 형성되고, 이 세로중앙부를 기준으로 좌, 우 마스크부 및 귀걸이 구멍이 대칭으로 접합 형성되며, 상기 이너마스크에는 호흡 시 숨의 일부가 이너마스크와 아웃터 마스크 사이로 분산될 수 있는 다수의 공기분산홀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회용 듀얼 마스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마스크와 이너마스크의 상부에는 횡 방향으로 접합하여 호흡한 숨이 이너마스크의 공기분산홀을 통해 아웃터 마스크 사이로 들어가 상 방향으로 향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라인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회용 듀얼 마스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마스크와 이너마스크는 미세한 기공이 분포되어 있어 통기성과 필터링 기능 및 탄성 복원성을 갖추고 있는 폴리우레탄 폼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회용 듀얼 마스크.
KR1020210035140A 2021-03-18 2021-03-18 다회용 듀얼 마스크 KR202201303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140A KR20220130361A (ko) 2021-03-18 2021-03-18 다회용 듀얼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140A KR20220130361A (ko) 2021-03-18 2021-03-18 다회용 듀얼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0361A true KR20220130361A (ko) 2022-09-27

Family

ID=83451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5140A KR20220130361A (ko) 2021-03-18 2021-03-18 다회용 듀얼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0361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0966A (en) 1973-11-01 1975-06-24 Johnson & Johnson Anti-fog surgical face mask with slits
US4419993A (en) 1981-12-10 1983-12-13 Minnesota Mining & Manufacturing Company Anti-fogging surgical mask
KR101972465B1 (ko) 2017-07-06 2019-04-25 주식회사 퓨어코코 아로마를 이용한 1회용 이중마스크
KR20200032887A (ko) 2018-09-19 2020-03-27 (주)레피오 미세먼지 방지용 이중마스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0966A (en) 1973-11-01 1975-06-24 Johnson & Johnson Anti-fog surgical face mask with slits
US4419993A (en) 1981-12-10 1983-12-13 Minnesota Mining & Manufacturing Company Anti-fogging surgical mask
KR101972465B1 (ko) 2017-07-06 2019-04-25 주식회사 퓨어코코 아로마를 이용한 1회용 이중마스크
KR20200032887A (ko) 2018-09-19 2020-03-27 (주)레피오 미세먼지 방지용 이중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3164U (ko) 마스크
KR101720674B1 (ko) 마스크
KR101787486B1 (ko) 밀폐성이 개선된 안면부 여과식 마스크
KR102027058B1 (ko) 착용이 편안한 방진 마스크
KR20160111349A (ko) 습기배출밸브를 구비한 스포츠용 미세먼지 여과 마스크
CN111227383A (zh) 一种透明口罩
KR102218972B1 (ko) 마스크
KR102231415B1 (ko) 코,입 분리형 마스크
KR200494166Y1 (ko) 마스크
KR101530869B1 (ko) 일상 생활용 마스크
KR102388276B1 (ko) 마스크
KR20220130361A (ko) 다회용 듀얼 마스크
KR20170115830A (ko) 마스크
KR102379644B1 (ko) 코,입 분리형 마스크
KR102170501B1 (ko) 위생 마스크
KR20190123919A (ko) 미세먼지 방지용 마스크
KR20210000416U (ko) 페이스 실드 마스크
KR20210145569A (ko) 마스크
KR20170095647A (ko) 마스크
TWM594967U (zh) 可調整大小之多層口罩
KR102390655B1 (ko) 기능성 마스크
KR200495531Y1 (ko) 마스크
KR102331656B1 (ko) 내부 공간의 선택적 블로킹을 통한 에어 믹싱 방지용 마스크 시스템
KR102349712B1 (ko) 통기성이 향상된 안면 마스크
US11998774B2 (en) Face mask with improved face se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