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9785A - Manufacturing method of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for application to supercapacitor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method of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for application to supercapaci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9785A
KR20220129785A KR1020210034523A KR20210034523A KR20220129785A KR 20220129785 A KR20220129785 A KR 20220129785A KR 1020210034523 A KR1020210034523 A KR 1020210034523A KR 20210034523 A KR20210034523 A KR 20210034523A KR 20220129785 A KR20220129785 A KR 20220129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material
continuous
porous carbon
skeletal porous
epoxy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45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81131B1 (en
Inventor
김정필
김광석
최두영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034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1131B1/en
Publication of KR20220129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97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1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05Preparation or purification of carbon not covered by groups C01B32/15, C01B32/20, C01B32/25, C01B32/30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30Active carbon
    • C01B32/312Prepa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6Pore diame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paration method of a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in which the structure of an epoxy resin does not collapse in a carbonization and activation process by adding nanocarbon to the epoxy resin and a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having binary pores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paration method. The continuous skeleton porous carbon material can improve electrical conductivity by the addition of nanocarbon and a continuous skeleton and can increase charge mobility by having the binary pores at the level of several to several tens of μm and several nm.

Description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의 제조방법 및 슈퍼커패시터에의 응용 {Manufacturing method of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for application to supercapacitor}Manufacturing method of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for application to supercapacitor

본 발명은 에폭시 수지에 나노탄소를 첨가함으로써 탄화 및 활성화 공정에서 에폭시 수지의 구조가 붕괴되지 않는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의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2원계 기공을 가지는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 및 슈퍼커패시터에의 응용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in which the structure of the epoxy resin does not collapse in the carbonization and activation process by adding nano-carbon to an epoxy resin, and a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having binary pores prepar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 and its application to supercapacitors.

그래핀(graphene)은 꿈의 신소재라 불리는 탄소나노입자의 일종으로, 높은 전기 전도도, 열전도율, 높은 강도 등의 우수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그래핀은 탄소 원자 6개가 모여서 육각형을 이룬 벌집 모양의 형태가 판상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다. 그래핀은 단일 층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러한 그래핀이 적층되어 이루어진 형태가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그래파이트(graphite)이다. 흑연이라고도 불리는 그래파이트는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대량의 그래핀을 얻기 위한 좋은 출발 물질이다. 그래핀은 그래파이트로부터 제조되는데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는 흑연으로부터 스카치 테이프로 떼어내는 방법이 있으며,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화학적으로 산화 시킨 그래파이트를 환원하여 얻는 방법 및 화학적기상증착 방법으로 금속 기판위에 그래핀을 성장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렇게 얻어진 그래핀은 전도성이 높기 때문에 전자소자 및 에너지 저장 소자의 소재로널리 사용되고 있다.Graphene is a kind of carbon nanoparticles called a new dream material, and has excellent properties such as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thermal conductivity, and high strength. Graphene is a structure in which 6 carbon atoms are gathered to form a hexagonal honeycomb and are connected in a plate shape. Graphene is composed of a single layer, and the form of stacked graphene is graphite, which is commonly seen around. Graphite, also called graphite, is a good starting material for obtaining large amounts of graphene because of its low price. Graphene is produced from graphite, and the simplest method is to remove it from graphite with a scotch tape, and the commonly used methods are a method of obtaining chemically oxidized graphite by reducing it and a method of chemical vapor deposition on a metal substrate. There are ways to grow fins. Graphene obtained in this way is widely used as a material for electronic devices and energy storage devices because of its high conductivity.

에폭시 수지는 강한 접착성, 높은 인장강도 및 인성, 높은 화학적/열적 안정성, 형태안정성, 우수한 크리프 특성, 용매저항성 등의 탁월한 물성으로 인해 매우 중요한 가교고분자 소재 중 하나이다. 이러한 탁월한 물성과 더불어, 우수한 공정특성 및 경제적인 가격으로 인해 다양한 전기전자제품/부품, 우주항공분야, 자동차분야, 군수분야, 스포츠용품/생활용품 분야, 토목/건축분야, 기계분야에서 접착제, 코팅제, 도료, 적층품, 주형품, 성형품 등으로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다. Epoxy resi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rosslinked polymer materials due to its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such as strong adhesion, high tensile strength and toughness, high chemical/thermal stability, morphological stability, excellent creep properties, and solvent resistance. Adhesives and coatings in various electrical and electronic products/parts, aerospace field, automobile field, military field, sporting goods/living goods field, civil engineering/construction field, machinery field due to excellent process characteristics and economical price in addition to these excellent properties , paints, laminates, castings, molded products, etc.

슈퍼커패시터 음극재와 같은 에너지 저장소재로 응용하기 위한 다공성 탄소재료는 전하저장 및 전하이동도 측면에서 각각 수 나노미터 및 수백 나노미터 내지 수 마이크로미터 수준의 기공발달이 중요하며, 전기전도도 측면에서 그래핀 첨가 및 연속적 골격을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활성탄의 경우, 코크스를 탄화 및 활성화 공정을 통해 생산되고 있는데, Top down 방식의 활성화 공정으로 기공구조가 형성되기 때문에, 수~수십 nm 수준의 기공이 형성되며, ㎛ 수준의 기공을 포함한 연속적 기공구조 제어를 달성하기 어렵다. Porous carbon materials for application as energy storage materials such as supercapacitor anode materials are important in terms of charge storage and charge mobility, respectively, in terms of pore development at the level of several nanometers and hundreds of nanometers to several micrometers, and in terms of electrical conductivity, It is advantageous to have a fin addition and a continuous backbone. In the case of activated carbon currently on the market, coke is produced through carbonization and activation processes. Since the pore structure is formed through the top-down activation process, pores at the level of several to tens of nm are formed, and pores at the micrometer level are formed. It is difficult to achieve continuous pore structure control including

이와 관련하여, 미국공개특허 제2020-0010633호에는 에폭시 수지 성분으로서 특정의 에폭시 수지 성분을 특정 범위에서 혼합시킴으로써, 성형성, 내열성이 우수하고, 인장 강도, 압축 강도 등의 기계 특성이 우수한 탄소섬유 강화 복합 재료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종래 에폭시 수지를 이용한 재료는 700℃ 이상에서 폴리머 구조가 붕괴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this regard, U.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20-0010633 discloses that by mixing a specific epoxy resin component in a specific range as an epoxy resin component, carbon fiber having excellent moldability and heat resistance and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tensile strength and compressive strength Although disclosed with respect to an epoxy resin composition suitably used for a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a conventional material using an epoxy resin has a problem in that the polymer structure collapses at 700° C. or higher.

미국공개특허 제2020-0010633호US Patent Publication No. 2020-0010633

종래 기술에서 연속적 골격 다공성 폴리머를 탄소재료로 만들기 위해서 700℃ 이상에서 탄화공정을 진행하고, 900℃에서 활성화 공정을 진행하는 경우에 폴리머 구조가 붕괴되어 탄소 구조 유지가 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하이동도에 유리한 마이크로미터 크기 수준의 기공 형성이 불가했다. In the prior art, in order to make a continuous skeletal porous polymer into a carbon material, the carbonization process is performed at 700° C. or higher, and when the activation process is performed at 900° C., the polymer structure is collapsed and the carbon structure is not maintained. In addition, it was impossible to form pores at the micrometer level, which is advantageous for charge mobility.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에폭시 수지에 나노탄소를 첨가함으로써 탄화 및 활성화 공정에서 에폭시 수지의 구조가 붕괴되지 않는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의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2원계 기공을 가지는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 및 슈퍼커패시터에의 응용을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in which the structure of the epoxy resin does not collapse in the carbonization and activation process by adding nano-carbon to the epoxy resin, and binary pores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method To provide a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with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서, 에폭시 수지 및 나노탄소를 혼합하여 탄소 전구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탄소 전구체에 공극형성제를 첨가하여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 전구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 전구체를 제1 열처리하여 탄화하는 단계; 및, 상기 탄화 후 제2 열처리하여 나노 크기의 기공을 도입하는 활성화 단계를 포함하는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 one embodiment, mixing an epoxy resin and nano-carbon to form a carbon precursor; preparing a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precursor by adding a pore former to the carbon precursor; carbonizing the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precursor by a first heat treatment; and an activation step of introducing nano-sized pores by performing a second heat treatment after the carbonization.

상기 에폭시 수지 전체 함량 대비 상기 나노탄소의 함량은 1 내지 5 wt%인 것일 수 있다.The content of the nano-carbon relative to the total content of the epoxy resin may be 1 to 5 wt%.

상기 나노탄소는 그래핀, 탄소나노튜브 및 탄소나노섬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nano-carbon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raphene, carbon nanotubes, and carbon nanofibers.

상기 공극형성제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pore former may include a thermoplastic resin.

상기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 전구체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탄소 전구체에 공극형성제를 첨가하고 가열함으로써 열경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공극형성제를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preparing of the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precursor may include adding a pore former to the carbon precursor and heat curing by heating; and removing the pore former.

상기 제1 열처리 단계는 0.5 내지 10℃/min의 승온속도로 700 내지 1,000℃까지 가열한 후 30 내지 80 분 동안 유지하는 것일 수 있다.The first heat treatment step may be to heat to 700 to 1,000 °C at a temperature increase rate of 0.5 to 10 °C / min, and then to maintain for 30 to 80 minutes.

상기 제2 열처리 단계는 5 내지 20℃/min의 승온속도로 800 내지 1,000℃까지 가열한 후 10 내지 50 분 동안 유지하는 것일 수 있다.The second heat treatment step may be heated to 800 to 1,000 °C at a temperature increase rate of 5 to 20 °C/min and then maintained for 10 to 50 minutes.

또한,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서, 에폭시 수지 및 나노탄소을 포함하는 연속적 골격을 가지며, 상기 연속적 골격 내에 기공 크기가 1 내지 10 nm인 다수의 제1 기공; 및 기공 크기가 10 내지 100 ㎛인 다수의 제2 기공을 포함하는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를 제공한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tinuous skeleton comprising an epoxy resin and nano-carbon, and a plurality of first pores having a pore size of 1 to 10 nm in the continuous skeleton; and a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pores having a pore size of 10 to 100 μm.

상기 에폭시 수지 전체 함량 대비 상기 나노탄소의 함량은 1 내지 5 wt%인 것일 수 있다.The content of the nano-carbon relative to the total content of the epoxy resin may be 1 to 5 wt%.

본 발명에 따른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의 제조방법은 에폭시 수지에 나노탄소를 첨가함으로써 700℃ 이상의 탄화 공정 및 900℃ 이상의 활성화 공정에서 에폭시 수지의 구조가 붕괴되지 않고 나노미터 수준의 기공이 도입된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를 제조할 수 있다.The method for producing a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in which the structure of the epoxy resin is not collapsed and nanometer-level pores are introduced in the carbonization process at 700° C. or higher and the activation process at 900° C. or higher by adding nano-carbon to the epoxy resin. A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can be produced.

또한,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는 나노탄소 첨가 및 연속적 골격에 의해 전기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수~수십 ㎛및 수 nm 수준의 2원계 기공을 가짐으로써 전하이동도 및 전하저장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prepared according to the above manufacturing method can improve electrical conductivity by adding nano-carbon and continuous skeleton, and by having binary pores of several to tens of μm and several nm, charge mobility an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harge storage capaci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 전구체의 제조 시 경화온도에 따른 주사전자현미경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그래핀을 0, 1, 및 3 wt% 첨가한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 및 상용활성탄의 주사전자현미경 이미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그래핀 1 wt% 첨가한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의 투과전자현미경 이미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그래핀을 0, 1, 및 3 wt% 첨가한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 및 상용활성탄의 기공분포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그래핀을 0, 1, 및 3 wt% 첨가한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 및 상용활성탄의 0에서 10 A/g까지의 전류밀도에 대한 비커패시턴스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ethod for producing a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mage according to the curing temperature during the preparation of the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precur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mage of a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and commercially available activated carbon to which 0, 1, and 3 wt% of graphene is add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image of a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to which 1 wt% of graphene is ad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graph showing the pore distribution of the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and commercially available activated carbon to which 0, 1, and 3 wt% of graphene is add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graph showing the specific capacitance measurement results for current densities from 0 to 10 A/g of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and commercially available activated carbon to which 0, 1, and 3 wt% of graphene is add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been show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발명은 나노탄소를 첨가한 에폭시 수지와 공극형성제의 상분리 현상을 이용하여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 전구체를 제조한 후, 탄화 및 활성화 공정을 통해 연속적 골격을 가지는 2원계 기공 구조 탄소재료를 제조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epares a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precursor by using the phase separation phenomenon of an epoxy resin to which nano-carbon is added and a pore former, and then through carbonization and activation processes to produce a binary-based pore-structured carbon material having a continuous skeleton. can

종래의 에폭시 수지를 활용한 탄소재료의 제조방법에 따른 탄소재료는 구조가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지 않아 전기전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연속적 골격 내부에 수~수십 ㎛,및 수 nm 수준의 기공을 동시에 형성한 2원계 기공 신규 탄소재료를 제조함으로써 슈퍼커패시터 적용시 고효율화를 나타낼 수 있다. The carbon material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of manufacturing a carbon material using an epoxy resin has a problem in that the structure is not continuously connected and thus electrical conductivity is lowered,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is problem.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how high efficiency when applying a supercapacitor by manufacturing a novel binary pore carbon material in which pores at the level of several to tens of μm and several nm are simultaneously formed inside the continuous skeleton.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은 에폭시 수지 및 나노탄소를 혼합하여 탄소 전구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탄소 전구체에 공극형성제를 첨가하여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 전구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 전구체를 제1 열처리하여 탄화하는 단계; 및, 상기 탄화 후 제2 열처리하여 나노 크기의 기공을 도입하는 활성화 단계를 포함하는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forming a carbon precursor by mixing an epoxy resin and nano-carbon; preparing a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precursor by adding a pore former to the carbon precursor; carbonizing the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precursor by a first heat treatment; and an activation step of introducing nano-sized pores by performing a second heat treatment after the carbonization.

본 발명에 따른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의 제조방법은 에폭시 수지에 나노탄소를 첨가함으로써 700℃ 이상의 탄화 공정 및 900℃ 이상의 활성화 공정에서 에폭시 수지의 구조가 붕괴되지 않고 나노미터 수준의 기공이 도입된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를 제조할 수 있다.The method for producing a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in which the structure of the epoxy resin is not collapsed and nanometer-level pores are introduced in the carbonization process at 700° C. or higher and the activation process at 900° C. or higher by adding nano-carbon to the epoxy resin. A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can be produc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ethod for producing a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의 제조방법은 우선, 에폭시 수지 및 나노탄소를 혼합하여 탄소 전구체를 형성한다. 이때, 용매로서 아세톤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것일 수 있고, 가열하여 상기 아세톤을 제거하는 것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first, an epoxy resin and nano-carbon are mixed to form a carbon precursor. In this case, acetone may be added and mixed as a solvent, and the acetone may be removed by heating.

상기 에폭시 수지 전체 함량 대비 상기 나노탄소의 함량은 1 내지 5 wt%인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폭시 수지 전체 함량 대비 상기 나노탄소의 함량은 1 내지 4 wt%, 1 내지 3 wt%, 1 내지 2 wt%, 2 내지 5 wt% 또는 2 내지 3 wt%인 것일 수 있다.The content of the nano-carbon relative to the total content of the epoxy resin may be 1 to 5 wt%. For example, the content of the nano-carbon relative to the total content of the epoxy resin may be 1 to 4 wt%, 1 to 3 wt%, 1 to 2 wt%, 2 to 5 wt%, or 2 to 3 wt%.

상기 나노탄소는 그래핀, 탄소나노튜브 및 탄소나노섬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나노탄소는 그래핀일 수 있다.The nano-carbon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raphene, carbon nanotubes, and carbon nanofibers. For example, the nano-carbon may be graphene.

상기 탄소 전구체 형성 후, 상기 탄소 전구체에 공극형성제를 첨가한다. 상기 공극형성제의 첨가 시, 에폭시 수지의 경화를 위한 경화제를 첨가하는 것일 수 있다. After the carbon precursor is formed, a pore former is added to the carbon precursor. When the pore former is added, a curing agent for curing the epoxy resin may be added.

상기 탄소 전구체와 상기 공극형성제는 고분자의 분자량이 큰 물성에 의해 두 종류 이상의 고분자를 혼합하였을 때 나타나는 상분리 현상을 이용하여 상분리시킨 후, 가열함으로써 상기 탄소 전구체의 에폭시 수지만 열경화시킨다. 이때, 상기 경화제에 의해 에폭시 수지만 열경화되며, 경화된 에폭시 수지 내에는 나노탄소이 분산되어 있고, 공극형성제는 경화되지 않고 상분리된 채로 존재할 수 있다.The carbon precursor and the pore former are phase-separated using a phase-separation phenomenon that occurs when two or more types of polymers are mixed due to the high molecular weight of the polymer, and then heat-cured only the epoxy resin of the carbon precursor by heating. At this time, only the epoxy resin is thermally cured by the curing agent, the nano-carbon is dispersed in the cured epoxy resin, and the pore former may exist without being cured and phase-separated.

상기 가열은 80 내지 200℃에서 1 내지 3 시간 동안 가열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열은 100 내지 180℃ 또는 170℃에서 가열하는 것일 수 있다.The heating may be heating at 80 to 200 ℃ for 1 to 3 hours. For example, the heating may be heating at 100 to 180 ℃ or 170 ℃.

상기 열경화시킨 후, 초순수에 넣어 초음파 처리를 함으로써 상기 공극형성제를 제거하여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 전구체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열경화 시 공극형성제는 경화되지 않고 물에 잘 녹는 물질이므로, 초순수에 녹여 냄으로써 공극형성제가 있던 자리에 공극을 형성할 수 있다. After the thermosetting, the pore former is removed by ultrasonic treatment in ultrapure water to prepare a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precursor. Since the pore former is not hardened and is readily soluble in water during thermal curing, voids may be formed at the location of the pore former by dissolving it in ultrapure water.

상기 에폭시 수지 대비 공극형성제의 몰분율이 증가할수록 상기 공극형성제의 제거 시 더 많은 부분이 제거됨으로써 공극의 크기가 증가하므로, 상기 에폭시 수지 대비 공극형성제의 몰분율에 따라 기공제어를 할 수 있다.As the mole fraction of the pore former increases compared to the epoxy resin, a larger portion is removed when the pore former is removed, thereby increasing the size of the pores. Therefore, pore control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mole fraction of the pore former compared to the epoxy resin.

상기 공극형성제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공극형성제는 물에 녹여 제거해야하는 물질이므로, 물에 잘 녹는 수용성 열가소성 수지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공극형성제는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인 것일 수 있다.The pore former may include a thermoplastic resin. Since the pore former is a material to be removed by dissolving it in water, it may be a water-soluble thermoplastic resin, for example, the pore former may be polyethylene glycol (PEG).

상기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 전구체를 탄화시키기 전에, 전구체의 열적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튜브형 전기로를 사용하여 공기 분위기에서 300 내지 350℃에서 10 내지 50분 동안 안정화 공정을 실행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안정화 공정은 310 내지 330℃ 또는 320℃에서 20 내지 40 분 또는 30 분 동안 실행하는 것일 수 있다.Before carbonizing the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precursor, in order to increase the thermal stability of the precursor, a stabilization process may be performed for 10 to 50 minutes at 300 to 350° C. in an air atmosphere using a tubular electric furnace. For example, the stabilization process may be performed at 310 to 330°C or 320°C for 20 to 40 minutes or 30 minutes.

상기 안정화 공정 후, 상기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 전구체는 제1 열처리하여 탄화시켜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를 제조할 수 있다. 연속적 골격이 열에 의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열처리 단계는 상기 안정화 공정 온도에서부터 0.5 내지 10℃/min의 승온속도로 700 내지 1,000℃까지 가열한 후 30 내지 80 분 동안 유지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열처리 단계는 0.5 내지 5℃/min, 0.5 내지 3℃/min, 0.5 내지 1℃/min, 1 내지 10℃/min, 1 내지 5℃/min 또는 1 내지 2℃/min의 승온속도로 700 내지 900℃, 700 내지 800℃, 700 내지 750℃, 800 내지 1,000℃, 800 내지 900℃, 750 내지 800℃ 또는 700℃까지 가열할 수 있고, 가열한 후 30 내지 60 분, 30 내지 50 분, 50 내지 80 분, 50 내지 70 분 또는 60분 동안 유지하는 것일 수 있다. After the stabilization process, the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precursor may be carbonized by a first heat treatment to prepare a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In order to prevent the continuous skeleton from collapsing by heat, the first heat treatment step may be to heat from the stabilization process temperature to 700 to 1,000 °C at a temperature increase rate of 0.5 to 10 °C/min, and then hold for 30 to 80 minutes. have. For example, the first heat treatment step is 0.5 to 5 °C/min, 0.5 to 3 °C/min, 0.5 to 1 °C/min, 1 to 10 °C/min, 1 to 5 °C/min, or 1 to 2 °C/min. It can be heated to 700 to 900 ° C, 700 to 800 ° C, 700 to 750 ° C, 800 to 1,000 ° C, 800 to 900 ° C, 750 to 800 ° C or 700 ° C at a temperature increase rate of min, and 30 to 60 minutes after heating , 30 to 50 minutes, 50 to 80 minutes, 50 to 70 minutes, or may be maintained for 60 minutes.

상기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는 700℃ 이상에서의 탄화 공정을 거친 후에도 나노탄소에 의해 연속적 골격 및 다공성 구조를 유지할 수 있으며, 연속적 골격 내에 수~수십 ㎛ 수준의 기공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inuous skeleton porous carbon material may maintain a continuous skeleton and porous structure by nano-carbon even after the carbonization process at 700° C. or higher, and may include pores at a level of several to tens of μm in the continuous skeleton.

상기 탄화는 비활성 기체 분위기에서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The carbonization may be performed in an inert gas atmosphere.

상기 탄화 후 탄화 전기로에서 시료를 뺀 후, 수증기를 활용하는 활성화 공정로에서 상기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를 제2 열처리하여 나노 크기의 기공을 도입하는 활성화 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제2 열처리 단계는 5 내지 20℃/min의 승온속도로 800 내지 1,000℃까지 가열한 후 10 내지 50 분 동안 유지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열처리 단계는 5 내지 15℃/min, 5 내지 10℃/min, 10 내지 20℃/min, 15 내지 20℃/min, 8 내지 15℃/min 또는 10℃/min의 승온속도로 800 내지 900℃, 850 내지 1,000℃, 850 내지 950℃ 또는 900℃까지 가열할 수 있고, 가열한 후 10 내지 50 분, 10 내지 40 분, 10 내지 30 분, 20 내지 60 분, 20 내지 40 분 또는 30분 동안 유지하는 것일 수 있다. After the sample is removed from the carbonization electric furnace after carbonization, an activation process of introducing nano-sized pores is performed by subjecting the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to a second heat treatment in an activation process furnace using water vapor. The second heat treatment step may be heated to 800 to 1,000 °C at a temperature increase rate of 5 to 20 °C/min and then maintained for 10 to 50 minutes. For example, the second heat treatment step may be performed at a rate of 5 to 15 °C/min, 5 to 10 °C/min, 10 to 20 °C/min, 15 to 20 °C/min, 8 to 15 °C/min, or 10 °C/min. It can be heated to 800 to 900°C, 850 to 1,000°C, 850 to 950°C or 900°C at a temperature increase rate, and after heating, 10 to 50 minutes, 10 to 40 minutes, 10 to 30 minutes, 20 to 60 minutes, 20 It may be maintained for 40 minutes or 30 minutes.

상기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는 900℃ 이상에서의 활성화 공정을 거친 후에도 연속적 골격 및 다공성 구조를 유지할 수 있으며, 활성화 공정을 통해 수 nm 수준의 기공이 도입되어, 연속적 골격 내에 수~수십 ㎛ 및 수 nm 수준의 2원계 기공을 포함하는 연속적 골격&2원계 다공성 탄소재료를 제조할 수 있다.The continuous skeleton porous carbon material can maintain a continuous skeleton and porous structure even after the activation process at 900° C. or higher, and pores of several nm level are introduced through the activation process, so that several to tens of μm and several nm in the continuous skeleton It is possible to prepare a continuous skeleton & binary porous carbon material containing a level of binary pore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를 제공한다. 상기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는 에폭시 수지 및 나노탄소를 포함하는 연속적 골격을 가지며, 상기 연속적 골격 내에 기공 크기가 1 내지 10 nm인 다수의 제1 기공; 및, 기공 크기가 10 내지 100 ㎛인 다수의 제2 기공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produced according to the method for producing a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The continuous skeleton porous carbon material has a continuous skeleton comprising an epoxy resin and nano-carbon, and a plurality of first pores having a pore size of 1 to 10 nm in the continuous skeleton; and a plurality of second pores having a pore size of 10 to 100 μm.

상기 에폭시 수지 전체 함량 대비 상기 나노탄소의 함량은 1 내지 5 wt%인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폭시 수지 전체 함량 대비 상기 나노탄소의 함량은 1 내지 4 wt%, 1 내지 3 wt%, 1 내지 2 wt%, 2 내지 5 wt% 또는 2 내지 3 wt%인 것일 수 있다.The content of the nano-carbon relative to the total content of the epoxy resin may be 1 to 5 wt%. For example, the content of the nano-carbon relative to the total content of the epoxy resin may be 1 to 4 wt%, 1 to 3 wt%, 1 to 2 wt%, 2 to 5 wt%, or 2 to 3 wt%.

상기 나노탄소는 그래핀, 탄소나노튜브 및 탄소나노섬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나노탄소는 그래핀일 수 있다.The nano-carbon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raphene, carbon nanotubes, and carbon nanofibers. For example, the nano-carbon may be graphene.

상기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는 나노탄소 첨가 및 연속적 골격에 의해 전기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수~수십 ㎛, 및 수 nm 수준의 2원계 기공을 가짐으로써 전하이동도 및 전하저장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The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can improve electrical conductivity by adding nano-carbon and continuous skeletal structure, and can increase charge mobility and charge storage capacity by having binary pores of several to tens of μm and several nm. have.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amples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xamples presented below.

[실시예] [Example]

제조예: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의 제조Preparation Example: Preparation of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에폭시 수지[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 에테르(Bisphenol A diglycidyl ether)] 340.42 g/mol, 에폭시 수지 경화제[비스(4-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bis(4-aminocyclohexyl)methane)] 210.37 g/mol, 공극형성제[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200 g/mol, 다층 그래핀 파우더(평균 두께: 5 nm, 평균 입자크기: 11 ㎛)를 원소재로서 사용하였다. 에폭시 수지 및 에폭시 수지 경화제는 열경화 프로세스를 통한 연속적 골격의 탄소 전구체를 만드는데 이용되며, 공극형성제는 spinodal 분해를 통한 연속적 기공의 제조에 이용된다. 그래핀은 에폭시 수지와 에폭시 수지 경화제의 혼합물에 첨가하여, 연속적 골격의 열적안정성에 기여하며, 전기전도성을 증가시키는 용도로 사용한다.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는 다음의 3단계의 제조공정에 의해 제조된다.Epoxy resin [Bisphenol A diglycidyl ether] 340.42 g/mol, Epoxy resin curing agent [bis(4-aminocyclohexyl)methane] 210.37 g/mol, 200 g/mol of a pore former [polyethylene glycol] and multilayer graphene powder (average thickness: 5 nm, average particle size: 11 µm) were used as raw materials. Epoxy resins and epoxy resin curing agents are used to make carbon precursors with a continuous skeleton through a thermal curing process, and pore formers are used to prepare continuous pores through spinodal decomposition. Graphene is added to a mixture of an epoxy resin and an epoxy resin curing agent to contribute to the thermal stability of the continuous skeleton and is used for increasing electrical conductivity. The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is produced by the following three-step manufacturing process.

1)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 전구체 제조1) Preparation of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precursor

에폭시 레진에 각각 0(그래핀 첨가 안함), 1, 3 wt%의 그래핀 파우더 및 30 wt%의 아세톤을 넣고, blade mill을 이용하여 혼합한 후, 100℃에서 가열하여 아세톤을 제거하였다(재료A). 재료A 1 g에 경화제 0.5 g, 공극형성제 3.5 g을 넣고 초음파처리를 통하여 혼합한 후, 170℃에서 2 시간 동안 가열하여 열경화시켰다(재료B). 재료B 내부의 공극형성제를 제거하기 위해 재료B를 초순수에 넣고 초음파 처리를 2 시간 동안 함으로써 공극형성제를 제거하여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 전구체를 제조하였다.0 (no graphene added), 1, 3 wt% of graphene powder and 30 wt% of acetone were added to the epoxy resin, respectively, mixed using a blade mill, and then heated at 100° C. to remove the acetone (materials A). 0.5 g of a curing agent and 3.5 g of a pore forming agent were added to 1 g of Material A, mixed through ultrasonication, and then heat-cured by heating at 170° C. for 2 hours (Material B). To remove the pore former inside the material B, the material B was placed in ultrapure water and ultrasonicated for 2 hours to remove the pore former to prepare a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precursor.

2) 탄화 공정2) Carbonization process

탄화시키기 전에, 전구체의 열적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튜브형 전기로를 사용하여 공기 분위기에서 320℃에서 30 분 동안 안정화 공정을 실시하였다. 그 후, 질소분위기에서 700℃에서 1 시간 동안 열처리하였다. 연속적 골격이 열에 의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열처리는 속도 1℃/min으로 최대한 천천히 온도를 승온시켰다. Before carboniz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thermal stability of the precursor, a stabilization process was performed at 320° C. for 30 minutes in an air atmosphere using a tubular electric furnace. Thereafter, heat treatment was performed at 700° C. for 1 hour in a nitrogen atmosphere. In order to prevent the continuous skeleton from collapsing by heat, the heat treatment was carried out as slowly as possible at a rate of 1° C./min.

3) 활성화 공정3) Activation process

수증기를 이용하여 900℃에서 30분 동안 활성화하여, 나노 크기의 기공을 도입하여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를 제조하였다. 승온속도는 10℃/min으로 지정하였다. A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was prepared by activating at 900° C. for 30 minutes using water vapor to introduce nano-sized pores. The temperature increase rate was set at 10°C/min.

실험예 1: 열경화온도에 따른 전구체 형태 실험Experimental Example 1: Precursor shape experiment according to thermosetting temperature

상기 제조된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 전구체의 열경화 온도에 따른 이미지를 도 2에 나타내었다. The image according to the thermosetting temperature of the prepared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precursor is shown in FIG. 2 .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화온도 80℃ 일때는, Connected globule structures, 110℃ 일때는 Connected macropore structures(기공 크기 5 ㎛ 이상), 140℃ 일때는 Connected macropore structures(기공 크기 2 ㎛ 이상), 및 170℃ 일때는 3D skeletal network structures를 나타내었다. 이에, 경화온도에 따라 전구체의 형태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As shown in Figure 2, when the curing temperature is 80 ℃, Connected globule structures, 110 ℃, Connected macropore structures (pore size 5 ㎛ or more), At 140 ℃, Connected macropore structures (pore size 2 ㎛ or more), and 170 At ℃, 3D skeletal network structures were shown. Accordingly, it was found that the shape of the precursor could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uring temperature.

실험예 2: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의 특성 분석Experimental Example 2: Characterization of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도 3은 상기 제조된 그래핀을 0, 1, 및 3 wt% 첨가한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 및 상용활성탄의 주사전자현미경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3 is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mage of the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and commercially available activated carbon to which 0, 1, and 3 wt% of the prepared graphene is added.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말 형태의 상용활성탄 형상 대비, 본 실시예에 따른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는 연속적 골격을 형성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래핀을 첨가하지 않은 그래핀 0 wt% 시료는 탄화 공정 시 구조가 붕괴되어 부분적으로 연속적 골격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래핀을 첨가한 그래핀 1 wt% 시료는 연속적 골격 구조가 유지되나 조금 녹아 내려 공극이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고, 그래핀 3 wt% 시료는 연속적 골격 구조가 유지 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shown in FIG. 3 , it was found that the continuous skeleton porous carbon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orms a continuous skeleton, compared to the shape of commercially available activated carbon in powder form. In the graphene 0 wt% sample without the addition of graphene, the structure collapses during the carbonization process and a partially continuous skeleton is forme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pores are small,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3 wt% graphene sample maintains a continuous skeletal structure.

도 4는 본 실시예의 그래핀 1 wt% 첨가한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의 투과전자현미경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4 shows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image of the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to which 1 wt% of graphene of this example is added.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소 골격 내부에 그래핀이 도입된 것을 알 수 있으며, 활성화 공정에 의해 수 nm 수준의 나노기공이 발달된 것을 알 수 있었다. As shown in FIG. 4 , it can be seen that graphene is introduced into the carbon skeleton, and it can be seen that nanopores of several nm level are developed by the activation process.

도 5는 본 실시예의 그래핀 0, 1, 및 3 wt% 첨가한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 및 상용활성탄의 기공분포도를 나타낸 것이다. 5 is a graph showing the pore distribution diagram of the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and commercially available activated carbon added with 0, 1, and 3 wt% of graphene of this example.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용활성탄의 나노기공은 1~2 nm 수준의 크기에 집중되어 있는 반면에,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의 나노기공은 2~3 nm 수준으로 나노기공의 사이즈가 증가하였다. As shown in FIG. 5 , the nanopores of the commercially available activated carbon were concentrated in the size of 1 to 2 nm, whereas the nanopores of the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increased in size to the level of 2 to 3 nm.

하기 표 1은 각 시료의 기공특성을 측정하여 나타낸 것이다. 상용활성탄의 비표면적은 그래핀 1 wt% 시료를 제외하고는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 보다 높으며, 기공부피 또한 상용활성탄이 더 크게 나타났다. Table 1 below shows the measured pore characteristics of each sample.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commercially available activated carbon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except for the graphene 1 wt% sample, and the pore volume of the commercially available activated carbon was also larger.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도 6은 본 실시예의 그래핀 0, 1, 및 3 wt% 첨가한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 및 상용활성탄의 0에서 10 A/g까지의 전류밀도에 대한 비커패시턴스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6 shows the specific capacitance measurement results for current densities from 0 to 10 A/g of the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and commercially available activated carbon to which 0, 1, and 3 wt% of graphene of this example were added.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표면적 및 기공부피는 상용활성탄이 더 크게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표 1 참조), 전 영역에 대해 고분자 상분리 기반 탄소소재가 상용활성탄 대비 약 30% 정도의 비커패시턴스 증가를 나타냈다. 이는, 그래핀 첨가 및 연속적 골격에 의한 전기전도도의 증가, 수~수십 ㎛의 기공 도입에 의한 전하이동도의 증가로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As shown in FIG. 6 , although the specific surface area and pore volume of the commercially available activated carbon were larger (see Table 1), the polymer phase separation-based carbon material showed a specific capacitance increase of about 30% compared to the commercially available activated carbon for the entire area. showed This is considered to be indicated by the increase in electrical conductivity due to the addition of graphene and the continuous skeleton, and the increase in charge mobility due to the introduction of pores of several to tens of μm.

Claims (9)

에폭시 수지 및 나노탄소를 혼합하여 탄소 전구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탄소 전구체에 공극형성제를 첨가하여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 전구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 전구체를 제1 열처리하여 탄화하는 단계; 및,
상기 탄화 후 제2 열처리하여 나노 크기의 기공을 도입하는 활성화 단계를 포함하는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의 제조방법.
mixing an epoxy resin and nano-carbon to form a carbon precursor;
preparing a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precursor by adding a pore former to the carbon precursor;
carbonizing the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precursor by a first heat treatment;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comprising an activation step of introducing nano-sized pores by performing a second heat treatment after the carboniz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수지 전체 함량 대비 상기 나노탄소의 함량은 1 내지 5 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method for producing a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ent of the nano-carbon relative to the total content of the epoxy resin is 1 to 5 w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탄소는 그래핀, 탄소나노튜브 및 탄소나노섬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nano-carbon is a method for producing a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raphene, carbon nanotubes and carbon nanofiber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극형성제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method for producing a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e former comprises a thermoplastic resi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 전구체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탄소 전구체에 공극형성제를 첨가하고 가열함으로써 열경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공극형성제를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preparing the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precursor,
thermosetting by adding a pore former to the carbon precursor and heating; and
Method for producing a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removing the pore form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처리 단계는 0.5 내지 10℃/min의 승온속도로 700 내지 1,000℃까지 가열한 후 30 내지 80 분 동안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heat treatment step is a method for producing a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after heating to 700 to 1,000 ℃ at a temperature increase rate of 0.5 to 10 ℃ / min and maintained for 30 to 80 minut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열처리 단계는 5 내지 20℃/min의 승온속도로 800 내지 1,000℃까지 가열한 후 10 내지 50 분 동안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heat treatment step is a method for producing a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after heating to 800 to 1,000 ℃ at a temperature increase rate of 5 to 20 ℃ / min and then maintained for 10 to 50 minutes.
에폭시 수지 및 나노탄소를 포함하는 연속적 골격을 가지며,
상기 연속적 골격 내에 기공 크기가 1 내지 10 nm인 다수의 제1 기공; 및
기공 크기가 10 내지 100 ㎛인 다수의 제2 기공을 포함하는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
It has a continuous skeleton comprising an epoxy resin and nano-carbon,
a plurality of first pores having a pore size of 1 to 10 nm in the continuous framework; and
A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ond pores having a pore size of 10 to 100 μm.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수지 전체 함량 대비 상기 나노탄소의 함량은 1 내지 5 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적 골격 다공성 탄소재료.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ent of the nano-carbon relative to the total content of the epoxy resin is 1 to 5 wt%.
KR1020210034523A 2021-03-17 2021-03-17 Manufacturing method of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for application to supercapacitor KR1024811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523A KR102481131B1 (en) 2021-03-17 2021-03-17 Manufacturing method of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for application to supercapaci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523A KR102481131B1 (en) 2021-03-17 2021-03-17 Manufacturing method of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for application to supercapaci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785A true KR20220129785A (en) 2022-09-26
KR102481131B1 KR102481131B1 (en) 2022-12-27

Family

ID=83452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523A KR102481131B1 (en) 2021-03-17 2021-03-17 Manufacturing method of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for application to supercapaci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1131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88490A (en) * 2012-10-30 2014-05-15 Nissin Kogyo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porous structure
KR20150014047A (en) * 2013-07-26 2015-02-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orous carbon materials made by polyamic acid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JP2016191014A (en) * 2015-03-31 2016-11-10 国立大学法人北海道大学 Carbon nanotube-containing functional porous body
CN109384226A (en) * 2017-08-02 2019-02-26 济南圣泉集团股份有限公司 A kind of compound porous Carbon Materials of graphene and its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KR20200010633A (en) 2018-06-25 2020-01-3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Automatic music generation system using user playlist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88490A (en) * 2012-10-30 2014-05-15 Nissin Kogyo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porous structure
KR20150014047A (en) * 2013-07-26 2015-02-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orous carbon materials made by polyamic acid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JP2016191014A (en) * 2015-03-31 2016-11-10 国立大学法人北海道大学 Carbon nanotube-containing functional porous body
CN109384226A (en) * 2017-08-02 2019-02-26 济南圣泉集团股份有限公司 A kind of compound porous Carbon Materials of graphene and its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KR20200010633A (en) 2018-06-25 2020-01-3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Automatic music generation system using user playlist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1131B1 (en) 202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79195A1 (en) Multifunctional nanocomposites reinforced with impregnated cellular carbon nanostructures
KR101140196B1 (en) Polyimide Nanocomposite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4887489B2 (en) Method for producing hollow carbon particles using resorcinol polymer as a precursor
US11167991B2 (en) Method for preparing carbon nanotube/polymer composite
US20080057303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arbon Fiber Reinforced Carbon Composite Material Suitable for Semiconductor Heat Sink
KR101321099B1 (en) Multiple film based on epoxy resin having carbon nanoparticle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Nam et al. Preparation of macroporous carbon foams using a polyurethane foam template replica method without curing step
JPH08157273A (en) Unidirectional carbon fiber reinforced carbon composite material and its production
Jiang et al. Anisotropic and lightweight carbon/graphene composite aerogels for efficient thermal insulation an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US20100055465A1 (en) Carbon-carbon composites for use in thermal management applications
EP2719661B1 (en) Method of preparing a carbon fiber-reinforced silicon carbide composite material
US20180201508A1 (en) Carbon Nanotube Foams with Controllable Architecture and Methods
Liu et al. Foam-structured carbon materials and composites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Design principles and structural evolution
KR102481131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continuous skeletal porous carbon material for application to supercapacitor
JP2007138338A (en) Composite material
CN108682835A (en) A kind of nano combined anode materials of Si/C and its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KR102492915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film type carbon material with continuous skeleton structure
CN114016286B (en) Method for modifying carbon fiber by functionalized graphene oxide electrophoretic deposition and carbon fiber composite material thereof
JP2005047763A (en) Carbon nano- and micro-meter structur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m
JP5996373B2 (en) Method for producing porous structure
JP2018098435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moelectric conversion material
CN111115628B (en) Preparation method of carbon sol for electrode material, capacitive energy storage device and application
KR20220027085A (en) glassy carbon molded body
US20200377727A1 (en) 3d-printed nanocomposites with metal diboride nanosheets
KR20210051276A (en) THREE DIMENSIONAL CARBON NANO STRUCTUR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