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9337A - 아이드로우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아이드로우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9337A
KR20220129337A KR1020210034100A KR20210034100A KR20220129337A KR 20220129337 A KR20220129337 A KR 20220129337A KR 1020210034100 A KR1020210034100 A KR 1020210034100A KR 20210034100 A KR20210034100 A KR 20210034100A KR 20220129337 A KR20220129337 A KR 20220129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user terminal
education
educational
e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4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심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심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심률
Priority to KR1020210034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9337A/ko
Publication of KR20220129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93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아이드로우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드로 서비스장치는, 연령 및 교육테마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드로잉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교육테마 중 국내외 작가와의 만남이 가능한 스페셜드로잉이 선택된 경우, 모국어로 이루어지는 작가의 드로잉 교육 관련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장치로 실시간으로 제공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이드로우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Apparatus for I-Draw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아이드로우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스스로 목적을 가지고 가치있는 것을 예술로 표현할 수 있고 자주적인 아이디어로 창의적인 큐레이션을 이룰 수 있는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전문적인 교사와의 매칭으로 대면 수업과 비대면 화상 교육이 실시되고 학습자의 욕구(needs)와 필요성에 맞춰 체계적인 프로세스를 진행시키는 아이드로우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디지털 기술이 발전하면서 이를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컴퓨터 응용기술이 발전하였고, 근래에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그림을 그리거나, 효과를 첨가하여 편집하는 등 다양한 종류의 디지털 이미지 변환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컴퓨터상에서 이미지 작업을 가능하게 했다. 그러나 이들의 프로그램은 대부분 전공자나 미술적 감각이 있는 사람들이 비즈니스용으로 작업하도록 하는 전문가용 프로그램이나, 일반 사용자들이 이미지에 대한 편집 작업만이 가능한 정도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예술을 통해 건강한 자아성찰과 창의적 인격의 성장을 도모하여 관계지향적 인재로 발돋움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연구되는 추세이다.
이에 스스로 목적을 가지고 가치 있는 것을 예술로 표현할 수 있고 자주적인 아이디어로 창의적인 큐레이션을 이룰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절실히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특2001-0015005(2001.02.26)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83040호(2013.07.23)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23415호(2016.05.17)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203573호(2021.01.11)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스로 목적을 가지고 가치있는 것을 예술로 표현할 수 있고 자주적인 아이디어로 창의적인 큐레이션을 이룰 수 있는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전문적인 교사와의 매칭으로 대면 수업과 비대면 화상 교육이 실시되고 학습자의 욕구와 필요성에 맞춰 체계적인 프로세스를 진행시키는 아이드로우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드로 서비스장치는, 연령 및 교육테마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드로잉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상기 교육테마 중 국내외 작가와의 만남이 가능한 스페셜드로잉이 선택된 경우, 모국어로 이루어지는 상기 작가의 드로잉 교육 관련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실시간으로 제공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육테마로서 그림의 기본기를 다지는 기본드로잉, 작품을 감사하는 감상드로잉, 마음의 평온과 여유를 주는 힐링드로잉에 관련되는 드로잉 교육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더 제공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미취학 어린이의 드로잉 교육을 위한 데일리드로잉 및 전문가 수준의 드로잉 교육을 위한 조이드로잉과 관련한 커리큘럼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아이드로 서비스장치는, 상기 드로잉 교육 콘텐츠를 이용해 강의를 수행하는 강사에 대한 강사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제공하는 수강 정보 및 상기 저장한 강사 정보를 근거로 1:1의 수업이 진행되도록 매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되는 메인 화면상에 온라인상으로 미술관에 방문 가능한 어린이책미술관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드로 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은,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연령 및 교육테마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드로잉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장치와 통신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상기 교육테마 중 국내외 작가와의 만남이 가능한 스페셜 드로잉이 선택된 경우, 모국어로 이루어지는 상기 작가의 드로잉 교육 관련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실시간으로 제공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본을 탄탄하게 상상과 창의를 즐겁게 그릴 수 있는 콘텐츠를 1:1 회원제로 운영함으로써 전문적인 교사와의 매칭으로 대면 수업과 비대면 화상 교육이 실시되고 학습자의 욕구와 필요성에 맞춰 체계적인 프로세스를 선보일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드로우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아이드로우 서비스장치에서 제공하는 드로잉 커리큘럼 및 교육테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아이드로우 서비스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아이드로우 서비스장치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그리고
도 5a 내지 도 5g는 도 1의 아이드로우 서비스장치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화면의 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드로우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아이드로우 서비스장치에서 제공하는 드로잉 커리큘럼 및 교육테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드로우 서비스 시스템(90)은 사용자 단말장치(100), 강사 단말장치(110), 통신망(120), 아이드로우 서비스장치(130) 및 서드파티장치(14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서드파티장치(14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시스템이 구성되거나, 아이드로우 서비스장치(13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통신망(120)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예: 네트워크장치)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도 1의 통신망(120)을 경유하여 아이드로우 서비스장치(130)에서 제공하는 드로잉 교육 서비스를 이용하는 학습자나 그 학습자의 학부모 등의 단말장치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데스크탑컴퓨터, 랩탑컴퓨터, 태블릿PC, 스마트폰, 스마트TV 등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100)를 통해 사용자, 가령 미취학 학생이나 초등생, 중·고등학생들이 드로잉 교육을 통해 학습자의 욕구와 필요성에 맞춰 체계적인 과정을 수강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드로잉 교육은 자주적인 아이디어로 창의적인 큐레이션을 이룰 수 있는 교육을 수행하려는 것이며, 큐레이션은 예술을 통해 목적을 위한 가치있고 의미있는 움직임으로 자신을 새롭게 발견하고 즐거운 만족감을 향상시키는 데 그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가령 학부모의 경우에는 자신의 아이에게 적합한 드로잉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령 서비스 메인화면에 접속하여 도 2에서와 같은 커리큘럼이나 교육테마별로 구분되는 다양한 드로잉 교육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학부모가 자신의 아이들을 위해, 또는 학습자가 직접 특정 드로잉 교육을 위한 콘텐츠를 선택할 때, 물론 교육을 위한 수강 신청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의 과정에서 강사를 선택하거나, 해당 수강 과목에 기설정되어 있는 강사가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화상 통화와 같은 형태로 수업이 진행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관찰 평가지가 작성되는 과정에 관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온라인은 학생들의 작품과 활동 모습을 캡쳐(예: 창작활동 중 촬영)하여 평가지에 삽입(또는 학생/학부모가 찍은 후 사이트에 업로드 → 다운로드 후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오프라인은 직접 촬영한 후 사진을 삽입할 수 있다.
강사 단말장치(110)는 아이드로우 서비스장치(130)에서 제공하는 드로잉 교육 콘텐츠를 온/오프라인상에서 강의하는 강사의 사용자 장치를 포함한다. 물론 강사 단말장치(11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와 마찬가지로 테스크탑컴퓨터, 랩탑컴퓨터, 태블릿PC, 스마트폰 등의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강사 단말장치(110)는 아이드로우 서비스장치(130)에 접속하여 강사 회원으로 회원 가입할 수 있으며, 회원 가입시 제공하는 강사 정보를 근거로 드로잉 교육의 특정 콘텐츠가 매칭되거나, 학습자 회원과 1:1 매칭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매칭 과정은 고정된다기보다는 가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공지능의 딥러닝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경우, 교사들의 경력 및 평가, 그리고 학습자들의 평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지속적으로 학습하면서 학습 결과에 따라 지정된 교육 콘텐츠를 변경하거나, 이를 통해 회원과의 1:1 매칭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강사 단말장치(110)에서 회원 가입시 커리큘럼에서는 대표적으로 아티스트드로잉이 포함되어 있다. 교육테마별로는 스페셜드로잉에 속하는 과정을 선택할 수 있다. 아티스트드로잉은 현재 국내외에서 활동하고 있는 작가에게 드로잉을 배우며 작품의 탄생 과정과 노하우를 배울 수 있는 실시간 온라인 드로잉 패키지 즉 온라인 서비스 상품이다. 아이드로우의 작가는 작품 및 교육 경력이 입증된 강사들을 선별하여 한층 품격 있는 수업을 영어, 중국어 등의 모국어로 이끌어간다. 따라서, 강사 단말장치(110)는 이러한 수업 진행을 위한 다양한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카메라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12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2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2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2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20) 내의 액세스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Transmissive Stat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망(120)은 액세스포인트(AP)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의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사용자 단말장치(100)나 강사 단말장치(110) 등을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사용자 단말장치(100)나 강사 단말장치(110) 등과 지그비 및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아이드로우 서비스장치(130)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된다.
아이드로우 서비스장치(130)는 연령별, 또 교육테마별로 다양한 유형의 드로잉 교육 콘텐츠를 DB(130a)에 저장할 수 있다. 연령별로는 토들러, 칠드런, 중고등학생 과정으로 분류할 수 있다. 토들러는 4~5세, 6~7세로 구분되며, 칠드런은 1~3, 4~6학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무엇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드로우 서비스장치(130)는 다양한 유형의 커리큘럼을 생성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커리큘럼은 교육테마별 분류에 포함될 수 있다.
먼저 커리큘럼으로 보면, 아이드로잉은 기본·감상·힐링·스페셜 드로잉을 경험할 수 있는 대표 커리큘럼이다. 드로잉의 기본기부터 교육 큐레이터가 선정한 미술 작품을 통해 자연스럽게 미술사를 접하고, 자신을 위한 힐링의 시간과 해외·국내의 작가에게도 직접 드로잉을 배울 수 있는 아이드로우의 대표 드로잉 패키지에 해당한다. 아티스트드로잉은 현재 뉴욕/국내에서 활동하고 있는 작가에게 드로잉을 배우며 작품의 탄생 과정과 노하우를 배울 수 있는 실시간 온라인 드로잉 패키지이다. 아이드로우의 작가는 작품 및 교육 경력이 입증된 강사들을 선별하여 한층 품격 있는 수업을 영어, 중국어, 모국어로 이끌어간다. 런치드로잉은 점심 시간에 나에게 유의미한 예술 경험과 추억을 줄 수 있는 실용적인 드로잉 패키지이다. 직장인부터 주부, 경력 단절 여성, 어린이까지 다양한 계층을 위해 특색 있는 맞춤 교육을 제공하며 실생활 예술, 예술로 즐기는 라이프 스타일을 추구한다. 데일리드로잉은 오프라인 수업으로 토들러, 칠드런이 메인 타깃인 드로잉 패키지이다. 다양한 재료의 탐색이 궁금한 미취학 어린이부터 예술로 오감을 느끼며 아이디어와 상상력을 색과 모형으로 마음껏 표현하고 싶은 어린이에게 맞춤 교육을 선보인다. 조이드로잉은 오프라인 수업으로 가족 프로그램(토들러), 교과 연계 프로그램(칠드런), 진로 프로그램(유스)으로 구성된 특강 패키지이며 프로페셔널 리스트의 큐레이션으로 색다른 드로잉을 맛볼 수 있는 과정이다.
상기의 커리큘럼을 교육 테마별로는 기본드로잉, 감상드로잉, 힐잉드로잉, 스페셜드로잉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기본드로잉은 그림의 기본기를 탄탄하게 다지고 싶을 때 다양한 조형의 요소와 균형을 통해 색, 빛, 마티에르 등을 탐미하며 예술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 감상드로잉은 국내외 미술관, 박물관의 소장품을 선별하여 작품의 숨은 이야기와 감상의 메시지를 예술로 표현하고 싶을 때 나만의 작품으로 진정한 감상을 느낄 수 있다. 힐링드로잉은 감정에게 쉴 수 있는 시간을 선물로 주고 싶을 때 마음에게 평온과 여유를 주며 예술로 자신을 정화하고 심취의 과정으로 마음을 채울 수 있다. 스페셜드로잉은 국내외 현 작가와의 만남이 궁금할 때 작가들만의 작품 노하우를 듣고 자신만의 예술적 가치관을 탐색하며 유니크한 포트폴리오를 남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드로우 서비스장치(130)는 예를 들어 아이드로잉의 경우 연령 및 교육테마별로 다양하게 커리큘럼을 구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은 또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으로 구분하여 드로잉 교육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표 1]은 아이드로잉에 대한 세부 커리큘럼을, 그리고 [표 2]는 아티스트드로잉에 대한 온라인 커리큘럼을 각각 보여주고 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물론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드로우 서비스장치(130)는 캐릭터 드로잉, 포인트미술사드로잉, 밸런스드로잉, 동화구연드로잉, 마티에르드로잉, 그림책드로잉, 해부학드로잉, 초상화드로잉, 아이워시드로잉, 궁역사드로잉, 미술관미션드로잉 등 다양한 드로잉서비스를 제공한다. 캐릭터드로잉은 액션, 움직임, 비율, 동작 등이 포함된 작품을 선별하며, 명화, 조각, 사진, 만화, 일러스트, 음악, 동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포인트미술사드로잉은 동양/서양의 미술사 중심 작품을 선별하고(근·현대 이전 이후 등) 명화, 조각, 공예, 사진, 동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마티에르드로잉은 재질, 질감, 재질감, 표면 개성이 있는 작품을 선별하고 명화, 공예, 동영상, 입체 조형물 등을 포함한다. 아이위시드로잉은 균형, 비율, 발란스 등이 포함된 작품을 선별하고, 명화, 조각, 사진, 음악, 일러스트, 공예, 동영상 등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 아이드로우 서비스장치(130)는 관찰 평가지의 생성 동작, 인공지능의 빅데이터를 이용한 강사와 회원의 최적의 매칭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관찰 평가지가 생성되는 경우에는 해당 이미지를 분석하여 관찰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생성 결과는 인공지능을 통해 분석되어 학습자나 강사의 평가를 진행할 수도 있다. 물론, 별도의 평가란을 만들어 강사의 평가를 수행할 수 있지만, 별점과 같은 평가는 강사의 평가에 대한 왜곡이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강사가 제공하는 아이디어 및 시각 자료 등을 공유하고, 이와 같은 교수 학습안을 근거로 강사의 평가를 진행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과정은 서비스 운영업체에서 평가점수를 부여할 수 있지만, 인공지능(AI)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통해 강사와 학습자의 최적의 1:1 매칭을 통해 최적의 교육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아이드로우 서비스장치(130)는 드로잉 교육 콘텐츠를 통해 학습자들의 심리 상태를 측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특정 드로잉 커리큘럼에 따라 교육을 수행한 후 평가를 진행하여 평가 결과에 따라 이와 연계되는 드로잉 과정을 추천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서드파티장치(140)는 아이드로우 서비스장치(130)에서 운영되는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제작업체의 서버나 관리자의 컴퓨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아이드로우 서비스장치(130)의 서비스를 운영하는 회사의 관리자 장치일 수도 있다. 물론 관리자 장치는 컴퓨터를 포함한다. 관리자 장치는 관리자 메뉴 주소(예: admin.XXX.co)로 접속하여 콘텐츠를 등록시키거나 삭제하는 등의 다양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아이드로우 서비스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아이드로우 서비스장치(13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제어부(310), 아이드로우처리부(320) 및 저장부(3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도 1의 통신망(120)을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장치(100), 강사 단말장치(110) 및 서드파티장치(140)와 각각 통신한다.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변/복조, 먹싱/디먹싱, 인코딩/디코딩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나 강사 단말장치(110)의 서비스 요청에 따라 서비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경우에는 특정 패키지의 서비스 상품을 구매한 후 드로잉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물론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이러한 과정에서 온라인의 경우에는 실시간으로 관련 교육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온라인상의 교육이 이루어지는 경우, 학부모 등이 자녀 즉 학습자의 모습을 촬영하여 온라인 사이트로 제공하는 사진 이미지 등을 수신하여 제어부(310)로 전달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어부(310)는 도 1의 아이드로우 서비스장치(130)를 구성하는 도 3의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아이드로우처리부(320) 및 저장부(33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담당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제어부(31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서비스 요청에 따라 아이드로우처리부(320)를 실행시켜 서비스 화면이 제공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310)는 아이드로우처리부(320)와 연계하여 강사 단말장치(110)의 동작이 있는 경우에는 이에 대한 교육 콘텐츠를 처리하여 학습자 단말장치(100)로 실시간으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아티스트드로잉이 그 좋은 예이다. 강사 단말장치(110)가 스마트폰일 수 있지만, 카메라 등을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이에 대한 콘텐츠를 학습자 단말장치(100)로 실시간으로 중개하고, 또 중개되는 콘텐츠는 강사와의 계약에 따라 녹화되어 도 1의 DB(130a)에 체계적으로 저장되어 관리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DB(130a)에 저장시키는 데이터 포맷은 아이드로우처리부(320)에서 생성될 수 있을 것이다.
아이드로우처리부(320)는 다양한 커리큘럼으로 구성되는 아이드로우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아이드로우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구매한 패키지의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고 물론 제공한 교육 콘텐츠의 최적의 강사가 매칭되어 수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러한 교육은 사전에 해당 강사가 녹화하여 제공할 수 있지만, 과외와 같이 지정된 시간에 화상 수업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표적으로 아티스트드로잉과 같은 경우에는 특정 시간에 국내의 아티스트들로부터 수업을 받을 수 있으며, 무엇보다 모국어 수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아이드로우처리부(320)는 아티스트드로잉의 경우에는 수업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하여 특정 시간에 버그가 발생하지 않도록 프로그램을 동작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버그를 아티스트드로잉의 경우에는 현지에서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해 특정 시간에 데이터 트래픽이 많다고 판단될 때, 해당 강사에게 수업 시간을 변경해 줄 것을 요청하여 시간을 변경하도록 하는 것이 대표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아이드로우처리부(320)는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해 최적의 교육 콘텐츠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여 최적의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물론, 이러한 스케줄링 정보 및 트래픽 상태 등은 인공지능을 통해 주기적으로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무엇보다 인공지능의 핵심은 다가올 상황에 대한 예측에 있으므로, 트래픽 증가로 버그가 예상되는 경우에도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자의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사양이 문제될 수 있거나, 주변 지역이 특정 시간대에 트래픽이 많은 경우에는 이러한 부분을 미리 분석하고 탐지하여 조치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아이드로우처리부(320)는 이외에도 메인화면상에 온라인상으로 미술관에 방문할 수 있는 아이콘을 생성해 제공할 수 있다. 현대어린이책미술관 등의 아이콘을 생성하여 제공하고, 해당 아이콘이 선택될 때 온라인상으로 미술관으로 사용자를 입장시킬 수 있다.
저장부(330)는 제어부(310)의 제어하에 처리되는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 후 출력할 수 있다. 가령, 제어부(310)의 제어하에 도 1의 DB(130a)로부터 드로잉 교육 콘텐츠를 가져와 저장한 후 아이드로우처리부(320)의 요청에 따라 해당 콘텐츠를 불러내어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3의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제어부(310), 아이드로우처리부(320) 및 저장부(33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310)는 CPU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원칩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CPU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및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하며, 메모리는 램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는 제어동작을, 그리고 연산부는 2진비트 정보의 연산동작을, 그리고 명령어해석부는 인터프리터나 컴파일러 등을 포함하여 고급언어를 기계어로, 또 기계어를 고급언어로 변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레지스트리는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 저장에 관여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가령 아이드로우 서비스장치(130)의 동작 초기에 아이드로우처리부(32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복사하여 메모리 즉 램(RAM)에 로딩한 후 이를 실행시킴으로써 데이터 연산 처리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아이드로우 서비스장치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4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드로우 서비스장치(130)는 연령 및 교육테마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드로잉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장치(100)와 통신한다(S400).
또한, 아이드로우 서비스장치(13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교육테마 중 국내외 작가와의 만남이 가능한 스페셜드로잉이 선택된 경우, 모국어로 이루어지는 작가의 드로잉 교육 관련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S410).
예를 들어, 아이드로우 서비스장치(130)는 스페셜드로잉 패키지의 경우에는 수업 스케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특정 작가에게 학습자들이 몰려있는 경우에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자원의 부하로 서비스 제공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아이드로우 서비스장치(130)는 해당 콘텐츠를 제공할 때 작가의 주변 상황 다시 말해 강사 단말장치(110)의 사양이나 주변 지역의 트래픽 상태, 또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경우에도 컴퓨터 사양이나 주변의 트래픽 상태를 확인하여 강사에게 수업 시간을 변경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다.
물론 아이드로우 서비스장치(130)는 강사들의 교육 콘텐츠뿐 아니라 이와 같은 주변 상황들에 대하여도 인공지능의 딥러닝 등을 적용해 드로잉 교육과 관련한 최적의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1의 아이드로우 서비스장치(13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도 5a 내지 도 5g 도 1의 아이드로우 서비스장치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5a는 아이드로우 서비스장치(130)에서 제공하는 메인 화면을 보여주고 있다. 교육(Education), 큐레이터(Curator) 및 큐레이션(Curation) 등 다양한 항목이 메인 화면의 상단에 표시된다.
도 5b는 도 5a의 메인 화면에서 화면의 하단으로 드래그하여 나타나는 화면이다. 드로잉 프로그램 이미지를 보여준다. 교육 커리큘럼으로서, 아이드로잉, 아티스트드로잉, 런치드로잉, 데일리드로잉, 조이드로잉의 제목이 나열된다.
도 5c는 도 5a에서 교육 항목을 클릭할 때 나타내는 화면이다. 교육프로그램이 지항하는 방향이나 가치 등을 화면에서 보여주고 있다.
도 5d는 도 5c의 화면에서 하단으로 드래그하여 나타는 화면이다. 전체 프로그램 화면이 나타나게 되며, 전체 수강 가능 인원과 현재 수강 중인 인원 등을 보여줄 수 있고, 또 프로그램이 온라인 수업이지, 아니면 온오프라인 연계된 수업인지 등을 보여준다.
도 5e는 도 5d의 화면에서 프로그램을 선택하면 나타나는 화면이다. 교육비와 관련한 정보를 보여주며, 지역, 필수확인, 큐레이터, 학년 등을 선택하여 신청할 수 있도록 화면이 보여진다.
도 5f는 도 5e의 화면에서 하단으로 드래그하여 진행큐레이터 항목을 클릭할 때 나타나는 화면이다. 해당 화면을 통해 가령 지역별 큐레이터들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g는 도 5a의 화면에서 큐레이터 항목을 클릭할 때 나타나는 화면이다. 해당 화면에서는 아이드로우의 우수한 큐레이터들을 보여주게 된다.
물론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시스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의 화면 구성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상기의 서비스 화면을 통해 교육 수강을 원하는 상품 패키지를 구매한 후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물론 해당 상품의 구입이 완료되면 별도의 강사 선택을 위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강사는 가령 도 1의 아이드로우 서비스장치(130)에서 강사 정보를 근거로 1:1의 최적의 매칭을 수행하여 수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장치 110: 강사 단말장치
120: 통신망 130: 아이드로우 서비스장치
140: 서드파티장치 300: 통신 인터페이스부
310: 제어부 320: 아이드로우처리부
330: 저장부

Claims (6)

  1. 연령 및 교육테마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드로잉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상기 교육테마 중 국내외 작가와의 만남이 가능한 스페셜 드로잉이 선택된 경우, 모국어로 이루어지는 상기 작가의 드로잉 교육 관련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실시간으로 제공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아이드로 서비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육테마로서 그림의 기본기를 다지는 기본드로잉, 작품을 감사하는 감상드로잉, 마음의 평온과 여유를 주는 힐링드로잉에 관련되는 드로잉 교육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더 제공 가능한 아이드로 서비스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취학 어린이의 드로잉 교육을 위한 데일리드로잉 및 전문가 수준의 드로잉 교육을 위한 조이드로잉과 관련한 커리큘럼을 더 제공하는 아이드로 서비스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잉 교육 콘텐츠를 이용해 강의를 수행하는 강사에 대한 강사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제공하는 수강 정보 및 상기 저장한 강사 정보를 근거로 1:1의 수업이 진행되도록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드로 서비스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되는 메인 화면상에 온라인상으로 미술관에 방문 가능한 어린이책미술관 아이콘을 표시하는 아이드로 서비스장치.
  6.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연령 및 교육테마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드로잉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장치와 통신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상기 교육테마 중 국내외 작가와의 만남이 가능한 스페셜 드로잉이 선택된 경우, 모국어로 이루어지는 상기 작가의 드로잉 교육 관련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실시간으로 제공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이드로 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
KR1020210034100A 2021-03-16 2021-03-16 아이드로우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201293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100A KR20220129337A (ko) 2021-03-16 2021-03-16 아이드로우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100A KR20220129337A (ko) 2021-03-16 2021-03-16 아이드로우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337A true KR20220129337A (ko) 2022-09-23

Family

ID=83445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100A KR20220129337A (ko) 2021-03-16 2021-03-16 아이드로우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9337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5005A (ko) 1999-07-05 2001-02-26 황대준 드로잉 기능 제공장치 및 그를 이용한 드로잉 방법
KR20130083040A (ko) 2011-12-28 2013-07-22 피승희 이미지 드로잉 교육 서비스 시스템과 그 시스템의 이미지드로잉 서비스 제어방법, 이미지 드로잉 온,오프라인 드로잉교재 제공방법
KR101623415B1 (ko) 2013-03-07 2016-05-23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드로잉 방법, 장치, 및 단말
KR102203573B1 (ko) 2019-03-13 2021-01-15 (주)피플인사이드 음성 인식 기능을 이용한 드로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드로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5005A (ko) 1999-07-05 2001-02-26 황대준 드로잉 기능 제공장치 및 그를 이용한 드로잉 방법
KR20130083040A (ko) 2011-12-28 2013-07-22 피승희 이미지 드로잉 교육 서비스 시스템과 그 시스템의 이미지드로잉 서비스 제어방법, 이미지 드로잉 온,오프라인 드로잉교재 제공방법
KR101623415B1 (ko) 2013-03-07 2016-05-23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드로잉 방법, 장치, 및 단말
KR102203573B1 (ko) 2019-03-13 2021-01-15 (주)피플인사이드 음성 인식 기능을 이용한 드로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드로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urchill et al. Framework for designing mobile learning environments
Ehret et al. Embodied composition in real virtualities: Adolescents' literacy practices and felt experiences moving with digital, mobile devices in school
Fabian et al. Keep taking the tablets? Assessing the use of tablet devices in learning and teaching activities in the Further Education sector
CN106463153A (zh) 向观众交互地呈现演示的系统和方法
Hoban et al. Explaining and communicating science using student-created blended media
Delello et al. New visual social media for the higher education classroom
CN107067843A (zh) 体感触控电子白板教学系统
Brailas Digital storytelling in the classroom: How to tell students to tell a story
Wohlwend Chasing literacies across action texts and augmented realities: E-books, animated apps, and Pokémon Go
Petrelli et al. Envisioning, designing, and rapid prototyping heritage installations with a tangible interaction toolkit
Herczeg et al. Ambient Learning Spaces: BYOD, Explore and Solve in Physical Contexts
Moumoutzis et al. PerFECt: a performative framework to establish and sustain onlife communities and its use to design a mobile app to extend a digital storytelling platform with new capabilities
Steane et al. Interaction design: From concept to completion
Steyn et al. Is a picture truly worth a thousand words? infographics for undergraduate teaching
Garthe The natural futures museum: Interactivity and participation as key instruments for engaging audiences
KR20220129337A (ko) 아이드로우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Barbosa et al. Supporting spontaneous museum visits by deaf people: An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and a case study
Coutinho Mobile Web 2.0: New spaces for learning
Winkler et al. Creating Augmented Realities in the Context of Lessons in Secondary Schools
López-Pernas et al. Ediphy: A modular and extensible open-source web authoring tool for the creation of interactive learning resources
Afriadi et al. Using the Canva app as a media horizontal thematic learning (art, science and language) in elementary school
Hoban Learning, explaining and communicating science with student-created blended media
Durrani What makes an image worth a thousand words? Teaching strategic visual analysis and synthesis via semiotics
Dudeney et al. Materials for mobile learning
Falade et al. Emerging technologies in edu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