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9259A - Virtual asset reward system based on fintech using block chain - Google Patents

Virtual asset reward system based on fintech using block cha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9259A
KR20220129259A KR1020210033919A KR20210033919A KR20220129259A KR 20220129259 A KR20220129259 A KR 20220129259A KR 1020210033919 A KR1020210033919 A KR 1020210033919A KR 20210033919 A KR20210033919 A KR 20210033919A KR 20220129259 A KR20220129259 A KR 20220129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tech
virtual asset
server
financial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39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영기
Original Assignee
(주)에이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락 filed Critical (주)에이락
Priority to KR1020210033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9259A/en
Publication of KR20220129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925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tech-based virtual asset rewarding system using a blockchain and, more specifically, to a fintech-based virtual asset rewarding system using a blockchain, which uses a blockchain network to store encrypted transaction information and reward virtual assets, thereby solving security problems and realizing the benefits of fintech operat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includes: a user terminal; a fintech platform operation server which receives a financial service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and proceeds with a financial transaction; a blockchain network which encrypts information on the financial transaction generated from the fintech platform operation server; and a virtual asset management server which extracts information on the financial transaction from the blockchain network and rewards the virtual assets.

Description

블록체인을 활용한 핀테크 기반 가상자산 리워딩 시스템{Virtual asset reward system based on fintech using block chain}Fintech-based virtual asset rewarding system based on fintech using block chain

본 발명은 블록체인을 활용한 핀테크 기반 가상자산 리워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거래정보를 저장하고 가상자산을 리워딩함에 따라 보안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동시에 핀테크 사업자의 이익을 실현할 수 있도록 된 블록체인을 활용한 핀테크 기반 가상자산 리워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tech-based virtual asset rewarding system using a block chain, and more particularly, it solves security problems by storing encrypted transaction information using a block chain network and rewarding virtual assets, At the same time, it is about a fintech-based virtual asset rewarding system using a block chain that can realize the profits of fintech operators.

일반적으로 핀테크(FinTech)는 금융(Finance)와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금융과 정보기술(IT)의 융합을 통한 금융서비스이다.In general, FinTech is a compound word of finance and technology, and it is a financial service through the convergence of finance and information technology (IT).

이러한 금융서비스의 일예로는 모바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 빅데이터 등 새로운 정보기술 등을 활용하여 기존 금융기법과 차별화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뱅킹과 앱카드 등이 있다.Examples of such financial services include mobile banking and app cards, which provide differentiated financial services from existing financial techniques using new information technologies such as mobile, social network service (SNS), and big data.

상기와 같은 핀테크 기술을 이용하여 금융서비스와 연계된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는 핀테크 사업자들이 속속 출현하고 있다.Fintech operators that provide new services related to financial services by using the above fintech technologies are emerging one after another.

이러한 핀테크 기술을 이용한 핀테크 시스템의 일예가 특허등록 제2111737호 (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An example of a fintech system using such fintech technology is disclosed in Patent Registration No. 2111737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ocument 1').

도 1은 선행기술문헌 1에 개시된 핀테크 기술을 이용한 핀테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fintech system using the fintech technology disclosed in Prior Art Document 1. Referring to FIG.

종래의 핀테크 기술을 이용한 핀테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이피아이(Av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서버(200)와 금융서버(210)로 이루어진 금융시스템(100)과, 핀테크 서비스 제공서버(230) 및 사용자 단말(220)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1, the fintech system using the conventional fintech technology provides a financial system 100 including a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server 200 and a financial server 210, and a fintech service. It consists of a server 230 and a user terminal 220 .

여기서 API 서버(200)는 다양한 핀테크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핀테크 플랫폼을 제공하며, 핀테크 플랫폼은 회원 정보의 저장 관리와 핀테크 서비스별 실계좌와 가상계좌의 맵핑 등을 제공한다.Here, the API server 200 provides a fintech platform that can support various fintech services, and the fintech platform provides storage management of member information and mapping of real accounts and virtual accounts for each fintech service.

또한 금융서버(210)는 API 서버(200)와 연결되어 은행, 카드사 또는 보험사 등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다.Also, the financial server 210 is a server connected to the API server 200 to provide financial services such as a bank, a credit card company, or an insurance company.

아울러 핀테크 서비스제공서버(230)는 핀테크 사업자의 핀테크 서비스를 제공하며, 핀테크 서비스를 위한 모든 과정을 직접 구축할 필요없이 API 서버(200)가 제공하는 핀테크 플랫폼을 이용하여 핀테크 서비스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ntech service providing server 230 provides fintech services of fintech operators, and uses the fintech platform provided by the API server 200 without the need to directly build all processes for fintech services. The service can be easily implemented.

예를 들어, 핀테크 서비스제공서버(230)는 사용자의 실계좌 등록 및 관리, 핀테크 서비스를 위한 가상계좌의 할당, 회원 정보의 등록 등을 직접 구현할 필요없이 API 서버(200)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For example, the fintech service providing server 230 can be provided through the API server 200 without having to directly implement the user's real account registration and management, allocation of virtual accounts for fintech services, and registration of member information. can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핀테크 시스템은 금융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금융서버를 운영하는 은행과 같은 금융기관에 금융거래에 대한 수수료를 지불해야 하므로 핀테크 사업자들에게는 큰 부담이 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fintech system as described above, when financial services are used, a fee for a financial transaction must be paid to a financial institution such as a bank operating a financial server, which places a great burden on fintech operators.

핀테크 사업자들이 일부 광고 수익 등을 통해 수수료를 만회하려고 하지만 광고 수익만으로 수수료를 부담하기가 여러운 실정이다.Although fintech operators are trying to make up for commissions with some advertising revenue, it is difficult to pay commissions solely from advertising revenue.

더욱이 금융거래에 대한 고객의 정보가 노출되므로 보안상의 문제점이 있다.Moreover, there is a security problem because customer information about financial transactions is exposed.

1. 국내특허등록 제2111737호(2020.05.11 등록)1. Domestic Patent Registration No. 2111737 (Registered on May 11, 2020)

따라서 본 발명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거래정보를 저장하고 가상자산을 리워딩함에 따라 보안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동시에 핀테크 사업자의 이익을 실현할 수 있도록 된 블록체인을 활용한 핀테크 기반 가상자산 리워딩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blockchain network to store encrypted transaction information and reward virtual assets, thereby solving security problems and simultaneously realizing the benefits of fintech operators. It aims to provide an asset rewarding system.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금융서비스 요청을 받아 금융거래를 진행하는 핀테크 플랫폼 운영 서버와; 상기 핀테크 플랫폼 운영 서버로부터 발생한 금융거래에 대한 정보를 암호화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금융거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가상자산을 리워딩하는 가상자산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핀테크 기반 가상자산 리워딩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terminal; a fintech platform operating server for receiving a financial service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and performing a financial transaction; a block chain network for encrypting information on financial transactions generated from the fintech platform operating server; It provides a fintech-based virtual asset rewarding system using a block chain, comprising a; a virtual asset management server that rewards virtual assets by extracting information about financial transactions from the blockchain network.

여기서 상기 핀테크 플랫폼 운영 서버의 지령에 따라 금융거래를 발생시키는 금융기관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financial institution server that generates a financial transaction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of the fintech platform operation server.

아울러 상기 가상자산 관리서버는 상기 핀테크 플랫폼 운영사에게 가상자산을 리워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virtual asset management server rewards the virtual asset to the fintech platform operator.

또한 상기 가상자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게 가상자산을 리워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virtual asset management server returns the virtual asset to the user terminal.

또한 상기 핀테크 플랫폼 운영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을 받아 상기 가맹점 단말기에 대한 결재를 진행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가상자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가맹점 단말기에 가상자산을 리워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intech platform operation server is provided to receive a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and proceed with payment for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and the virtual asset management server rewards virtual assets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do.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을 활용한 핀테크 기반 가상자산 리워딩 시스템은 암호화된 거래정보를 저장하고 가상자산을 리워딩함에 따라 보안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ntech-based virtual asset rewarding system using the block ch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security problems by storing encrypted transaction information and rewarding virtual assets.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을 활용한 핀테크 기반 가상자산 리워딩 시스템은 금융기관 서버와 연동되어 암호화폐 뿐만 아니라 일반 은행거래를 통하여 가상자산을 리워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ntech-based virtual asset rewarding system using the block ch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linked with a financial institution server to reward virtual assets through general banking as well as cryptocurrenc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을 활용한 핀테크 기반 가상자산 리워딩 시스템은 핀테크 플랫폼 운영사에게 가상자산을 리워딩하므로 핀테크 플랫폼 운영사의 이익을 실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ntech-based virtual asset rewarding system using the block ch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wards virtual assets to the fintech platform operator, so that the profit of the fintech platform operator can be realized.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을 활용한 핀테크 기반 가상자산 리워딩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에게 가상자산을 리워딩하므로 사용자 단말기의 수수료를 감면시켜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ntech-based virtual asset rewarding system using the block ch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wards virtual assets to the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fee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을 활용한 핀테크 기반 가상자산 리워딩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을 받아 가맹점 단말기에 대한 결재를 진행할 수 있으므로 가상자산을 활용하여 제품을 구매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ntech-based virtual asset rewarding system using the block ch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eive a request from a user terminal and proceed with payment for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so that the virtual asset can be used to purchase a produc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을 활용한 핀테크 기반 가상자산 리워딩 시스템은 가상자산 관리서버는 사용자 단말기와 가맹점 단말기에 가상자산을 리워딩함에 따라 거래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ntech-based virtual asset rewarding system using the block ch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transactions as the virtual asset management server rewards virtual assets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도 1은 선행기술문헌 1에 개시된 핀테크 기술을 이용한 핀테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활용한 핀테크 기반 가상자산 리워딩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fintech system using the fintech technology disclosed in Prior Art Document 1. Referring to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intech-based virtual asset rewarding system using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을 활용한 핀테크 기반 가상자산 리워딩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fintech-based virtual asset rewarding system using a block ch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활용한 핀테크 기반 가상자산 리워딩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intech-based virtual asset rewarding system using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활용한 핀테크 기반 가상자산 리워딩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10)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금융서비스 요청을 받아 금융거래를 진행하는 핀테크 플랫폼 운영 서버(120)와, 상기 핀테크 플랫폼 운영 서버(120)의 지령에 따라 금융거래를 발생시키는 금융기관 서버(130)와, 상기 핀테크 플랫폼 운영 서버(120)로부터 발생한 금융거래에 대한 정보를 암호화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40) 및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서 금융거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가상자산을 리워딩하는 가상자산 관리서버(150)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의 요청을 받은 상기 핀테크 플랫폼 운영 서버(120)가 결재를 진행할 수 있도록 구비된 가맹점 단말기(16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 a fintech-based virtual asset rewarding system using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financial service request from a user terminal 110 and the user terminal 110 and performs a financial transaction. The fintech platform operating server 120 that performs A block chain network 140 that encrypts information on financial transactions, a virtual asset management server 150 that returns virtual assets by extracting information about financial transactions from the block chain network 140, and the user terminal ( 110) includes an affiliated store terminal 160 provided so that the fintech platform operation server 120 receiving the request can proceed with payment.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는 네트워크 망(170)에 접속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데이터 입력을 위한 입력장치,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 및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연산 및 처리하여 그 처리 결과를 생성하는 연산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는 입력 데이터를 바탕으로 그 처리 결과를 생성하여 출력함으로써 이용자에게 핀테크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110)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컴퓨팅 장치,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넷북, 태블릿 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이 채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사용자 단말기(110)는 핀테크 플랫폼 운영 서버(120)가 제공하는 선불결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선불결제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은, 선불결제 방식의 결제 등 처리에 대한 요청이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핀테크 플랫폼 운영 서버(120)를 거쳐 금융기관 서버(130)의 금융 오픈 플랫폼으로 전송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10 is a means for connecting to the network 170, and generates a processing result by calculating and processing data input through an input device for data input, an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a processing result, and the input device. It may include an arithmetic unit. The user terminal 110 provides a fintech service to the user by generating and outputting the processing result based on the input data. The user terminal 110 may be a mobile computing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personal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a netbook, a tablet PC,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10 may use the prepayment service provided by the fintech platform operation server 120 .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viding a prepayment service means that a request for processing such as payment in a prepayment method is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10 to the financial open platform of the financial institution server 130 through the fintech platform operation server 120 . can mean to be

상기 핀테크 플랫폼 운영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금융서비스 요청을 받아 금융거래를 진행하는 주체로서 오픈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에 기반하여 금융기관 서버(130)에서 관리하는 선불지급결제계정(또는, 선불계정으로도 지칭됨)에 대한 금융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핀테크 플랫폼 운영 서버(120)는 금융기관 서버(130)를 통해 금융처리가 수행되지만 필요에 따라서 금융기관 서버(130)를 경유하지 않고 사용자 단말기(110)와 금융거래를 하기 위한 단말기를 직접 연결할 수도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선불계정이란, 사용자가 여기에 금액을 충전할 수 있고 그 잔액을 이용하여 결제 및 송금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선불결제수단을 지칭하며, 사용자의 실제 금융기관 계좌(또는, 모계좌로도 지칭됨)와 구별된다. 선불결제에 관련된 금융처리란 선불계정의 발급 및 조회, 선불계정에 기초한 결제 및 송금, 선불계정에 대한 정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오픈 API는 사전에 설정된 규약어를 통한 금융기간 서버와의 통신을 통하여 금융처리 결과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을 제공받고 나아가 직접 응용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도구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RSS/ATOM, RDF(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중 어느 하나에 기반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핀테크 플랫폼 운영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기(110) 상에서 선불결제 서비스를 위하여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과 금융기관 서버(130) 사이의 통신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계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 선불결제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은 사용자 선불결제 서비스를 위하여 금융기관 서버(130)와 통신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핀테크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것만을 지칭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선불결제 처리를 위한 통신은 사용자 단말기(110)와 금융기관 서버(130) 사이에 직접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110)는 핀테크 플랫폼 운영 서버(120) 또는 핀테크 서비스 사업자와 연계된 가맹점 단말기(160)에 접속하여 온라인 쇼핑을 활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물품을 구매한 후 핀테크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선불결제수단을 이용하여 구매 대금을 결제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핀테크 플랫폼 운영 서버(120)로 직접 요청이 수신되거나, 또는 가맹점과 핀테크 서비스 사업자를 연계하는 결제 모듈이 호출됨으로써 핀테크 플랫폼 운영 서버(120)로 결제 요청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핀테크 플랫폼 운영 서버(120)는, 금융기관 서버(130)에서 제공하는 오픈 API를 통하여 금융기관 서버(130)를 호출하고, 오픈 API를 통해 금융기관 서버(130)에서 관리되는 선불계정의 발급 및 조회, 선불계정에 기반한 결제 및 송금, 선불계정에 대한 정산 등을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핀테크 플랫폼 운영 서버(120)는 사용자의 계좌 정보를 보유하고 있을 필요가 없으며, 선불계정의 정보만을 이용하여 선불결제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용자의 모계좌에 대한 관리 및 선불계정과 모계좌 사이의 연동은 금융기관 서버(130)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핀테크 서비스 사업자가 사용자의 계좌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면서 금융정보 보호에 대한 리스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계좌에서 출금되어 선불결제수단에 충전된 자금을 핀테크 서비스 사업자가 관리, 운용하여 자금 운용에 대한 리스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핀테크 플랫폼 운용 서버(120)는 금융거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댓가로 가상자산을 리워딩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핀테크 플랫폼 운용 서버(150)를 운용하는 핀테크 플랫폼 사업자는 금융거래에 수반되는 수수료에 대한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The fintech platform operation server 120 receives a financial service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110 and conducts a financial transaction, and is managed by the financial institution server 130 based on an open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nd perform financial processing on an account (also referred to as a prepaid accoun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ntech platform operation server 120 performs financial processing through the financial institution server 130, but if necessary, performs financial transactions with the user terminal 110 without going through the financial institution server 130. It is also possible to directly connect a terminal for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paid account refers to a prepaid payment means through which the user can charge an amount and use the balance to perform payment and remittance, and the user's actual financial institution account (or, Also referred to as the parent account). Financial processing related to prepaid settlemen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issuance and inquiry of prepaid accounts, settlement and remittance based on prepaid accounts, and settlement of prepaid accounts. In addition, the open API refers to a tool that can receive financial processing results and user interfaces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financial backbone server through preset terms, and further develop applications and services directly. Transfer), SOAP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RSS/ATOM, and may be based on any one of RDF (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fintech platform operation server 120 may at least partially relay communication between the application executed for the prepayment service on the user terminal 110 and the financial institution server 130 . In this embodiment, the provision of the prepayment service may refer to only the fintech service provider providing an application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financial institution server 130 for the user prepayment service, and in this case, Communication may be made directly between the user terminal 110 and the financial institution server 130 .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110 may utilize the online shopping by accessing the fintech platform operation server 120 or the affiliate store terminal 160 associated with the fintech service provider. When a user purchases an item and wants to pay the purchase price using a prepayment method provided by a fintech service provider, a request is directly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10 to the fintech platform operation server 120 , or A payment request may be transmitted to the fintech platform operation server 120 by calling the payment module linking the affiliate store and the fintech service provider. In addition, the fintech platform operation server 120 calls the financial institution server 130 through the open API provided by the financial institution server 130, and the prepaid account managed by the financial institution server 130 through the open API. You can request issuance and inquiry, payment and remittance based on the prepaid account, and settlement of the prepaid account. Here,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tech platform operation server 120 does not need to hold the user's account information, and provides a prepayment service using only the information of the prepaid account. The management of the user's mother account and the linkage between the prepaid account and the mother account are performed in the financial institution server 130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isk of financial information protection from occurring while the fintech service provider stores and manages the user's account information, and the fintech service provider can use the funds withdrawn from the user's account and charged in the prepayment means. management and oper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risks to fund management. The fintech platform operation server 120 may receive virtual assets in return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financial transactions. Accordingly, the fintech platform operator operating the fintech platform operation server 150 can reduce the burden of fees accompanying financial transactions.

상기 금융기간 서버(130)는, 핀테크 플랫폼 운영 서버(120) 또는 핀테크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선불결제에 관련된 금융처리를 위한 오픈 API 기반의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금융기간 서버(130)는 수신된 요청에 응답하여 핀테크 서비스 사업자 및 사용자 각각의 선불계정을 이용하여 요청 내역에 상응하는 금융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금융처리란, 선불계정의 발급 및 조회, 선불계정에 대한 입금, 선불계정을 이용한 결제 및 송금, 선불계정에 대한 정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금융기간 서버(130)는 핀테크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연관된 선불결제수단에 대한 사용자의 충전대금 및 결제대금을 직접 관리하는 한편, 선불결제수단에 관련된 API를 핀테크 서비스 사업자에게 제공하는 금융 오픈 플랫폼의 역할을 한다. 또한 금융기간 서버(130)는 API 운용부, 선불계정 관리부 및 계좌 관리부를 포함한다. API 운용부는 핀테크 플랫폼 운영 서버(120) 또는 핀테크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선불결제에 연관된 금융처리를 위한 오픈 API 기반의 요청을 수신하고, 해당 API를 호출한 것에 대한 결과를 핀테크 플랫폼 운영 서버(120) 또는 사용자 단말기(130)에 제공한다. 또한 선불계정 관리부및 계좌 관리부는 오픈 API 기반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핀테크 서비스 사업자 및 사용자의 선불계정에 기반한 다양한 금융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부분이다. 여기서 금융기간 서버(130)를 구성하는 각각은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구성요소를 지칭하지는 않는다. 즉, API 운용부, 선불계정 관리부 및 계좌 관리부는 서로 구분되는 별개의 블록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금융기간 서버를 금융기간 서버에서 실행되는 동작에 의해 단지 기능적으로 구분한 것이다. 상기한 각 부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한 하나의 장치 내에 집적화될 수 있으며, 또는 하나 이상의 부가 다른 부와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API 운용부, 선불계정 관리부 및 계좌 관리부는 분산 컴퓨팅 환경 하에서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컴포넌트들일 수도 있다.The financial backbone server 130 receives an open API-based request for financial processing related to prepayment from the fintech platform operation server 120 or the user terminal 110 on which the application provided by the fintech service provider is executed. configured to receive In addition, the financial period server 130 is configured to perform financial processing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details using the prepaid accounts of the fintech service provider and the user, respectively, in response to the received request. Herein, the term "financial processing"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the issuance and inquiry of a prepaid account, deposit to the prepaid account, payment and remittance using the prepaid account, and settlement of the prepaid account. That is, the financial backbone server 130 directly manages the user's charging amount and payment amount for the prepaid payment means related to the service provided by the fintech service provider, and provides an API related to the prepaid payment means to the fintech service provider It serves as a financial open platform to In addition, the financial period server 130 includes an API operation unit, a prepaid account management unit, and an account management unit. The API operation unit receives an open API-based request for financial processing related to prepayment from the fintech platform operation server 120 or the user terminal 110 in which the application provided by the fintech service provider is executed, and calls the API. The result of the one is provided to the fintech platform operation server 120 or the user terminal 130 . In addition, the prepaid account manager and account manager are parts for performing various financial processing based on the prepaid accounts of fintech service providers and users in response to open API-based requests. Here, each constituting the financial period server 130 does not necessarily refer to a separate physically distinct component. That is, the API operation unit, the prepaid account management unit, and the account management unit are illustrated as separate blocks that are distinct from each other, but this is only functionally divided by the operations executed in the financial period server in the financial period server. Some or all of the above units may be integrated in the same single device, or one or more units may be implemented as separate devices physically separated from other units. For example, the API operation unit, the prepaid account management unit, and the account management unit may be component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140)는 핀테크 플랫폼 운영 서버(120)로부터 발생한 금융거래에 대한 정보를 암호화하는 네트워크이다. 여기서 블록체인(Block Chain)은 무결성을 확보하고 유지하기 위해 순서에 따라 연결된 블록들이 서비스의 이용 내역 정보를 암호화 기법과 보안기술을 이용해 협상하는 알고리즘으로 구성된 소프트웨어 요소를 활용하는 원장(ledger)의 분산 P2P (Peer to Peer)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분산 P2P 시스템은 분산 시스템의 특수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P2P 시스템은 중앙 노드의 조정 없이 네크워크의 모든 노드들이 서로에게 자원(처리 능력, 저장 공간, 데이터 또는 네트워크 대역폭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은 이용 내역 정보를 기록한 원장을 특정 기관의 중앙 서버가 아닌 P2P 네트워크에 분산하여 네트워크 내의 노드들이 공동으로 기록하고 관리하는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노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40) 내에서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노드는 특수 목적 컴퓨터(special-purpose computer), 범용 컴퓨터(general-purpose computer), 슈퍼 컴퓨터(supercomputer), 대형 컴퓨터(mainframe computer),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참여노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서 트랜잭션 처리에 참여하는 노드로서, 발생한 트랜잭션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유효성이 검증된 트랜잭션에 대한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추가하여 저장하는 노드를 의미할 수 있다. The block chain network 140 is a network that encrypts information on financial transactions generated from the fintech platform operation server 120 . Here, the block chain is a distributed ledger that utilizes a software element consisting of an algorithm in which blocks connected in order in order to secure and maintain integrity negotiate service usage history information using encryption and security technology. It may mean a P2P (Peer to Peer) system. The distributed P2P system may be a special type of distributed system. In addition, a P2P system allows all nodes in a network to provide resources (processing power, storage space, data or network bandwidth, etc.) to each other without the coordination of a central node. In addition, blockchain can refer to a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in which the ledger that records usage history information is distributed to a P2P network rather than a central server of a specific institution, and nodes in the network record and manage it jointly. Here, a node may mean a component within the blockchain network 140 . For example, a node may be a special-purpose computer, a general-purpose computer, a supercomputer, a mainframe computer, a personal computer, a smartphone, a tablet PC.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Here, the participating node is a node that participates in transaction processing in the blockchain network 140 , and may refer to a node that verifies the validity of a transaction that has occurred and stores data about the verified transaction by adding it to the block chain.

상기 가상자산 관리서버(150)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140)로부터 암호화된 거래정보를 저장하고 가상자산을 리워딩하는 서버이다. 한편 특정금융정보법에서 가상자산(Virtual Asset)은 전자적으로 거래 또는 이전될 수 있는 가치의 전자적 증표(그에 관한 일체의 권리를 포함한다)를 말하고 있지만 가상자산은 블록체인 기술을 구현한 암호화폐 또는 암호자산을 넘어 디지털자산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 가상자산은 인터넷 뱅킹을 통하여 제공하는 화폐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상자산 관리서버(15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추출된 암호화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10), 핀테크 플랫폼 운영 서버(120) 및 가맹점 단말기(160)에 가상자산을 리워딩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자산은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폐 뿐만 아니라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알리페이, 위챗페이등 가상 공간에서 결제할 수 있는 온라인 지급결제 수단 및 디지털상품권, 할인쿠폰 등 다양한 보상을 포함한다. The virtual asset management server 150 is a server that stores encrypted transaction information from the block chain network 140 and returns virtual assets. Meanwhile, in the Specific Financial Information Act, a virtual asset refers to an electronic proof of value that can be traded or transferred electronically (including all rights related thereto), but a virtual asset is a cryptocurrency or It can be a concept that includes digital assets beyond cryptographic assets. However, in this embodiment, virtual assets may also include money provided through internet banking. The virtual asset management server 150 may return virtual assets to the user terminal 110, the fintech platform operation server 120, and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160 using the encrypted information extracted through the block chain network. have. Here, virtual assets include not only cryptocurrencies such as Bitcoin, but also online payment methods that can be paid in virtual spaces such as Kakao Pay, Naver Pay, Alipay, and WeChat Pay, as well as various rewards such as digital gift certificates and discount coupons.

상기 가맹점 단말기(16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의 요청을 받은 상기 핀테크 플랫폼 운영 서버(120)로부터 결재를 진행할 수 있는 단말기이다. 이러한 가맹점 단말기(160)는 핀테크 서비스 사업자와 연계되어 사용자 단말기(160)에서 요청한 거래에 대한 결재를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사용자 단말기(160)는 상기 핀테크 플랫폼에 참여하는 댓가로 가상자산을 리워딩 받을 수 있다.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160 is a terminal that can proceed with payment from the fintech platform operation server 120 that has received a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110 . Such an affiliated store terminal 160 may be connected with a fintech service provider to proceed with payment for a transaction requested by the user terminal 160 .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60 may be rewarded with a virtual asset in return for participating in the fintech platform.

110 : 사용자 단말기
120 : 핀테크 플랫폼 운영 서버
130 : 금융기관 서버
140 : 블록체인 네트워크
150 : 가상자산 관리서버
160 : 가맹점 단말기
110: user terminal
120: Fintech platform operation server
130: financial institution server
140: Blockchain Network
150: virtual asset management server
160: Merchant terminal

Claims (5)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금융서비스 요청을 받아 금융거래를 진행하는 핀테크 플랫폼 운영 서버와;
상기 핀테크 플랫폼 운영 서버로부터 발생한 금융거래에 대한 정보를 암호화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금융거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가상자산을 리워딩하는 가상자산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핀테크 기반 가상자산 리워딩 시스템.
user terminal;
a fintech platform operating server for receiving a financial service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and performing a financial transaction;
a block chain network for encrypting information on financial transactions generated from the fintech platform operating server;
A fintech-based virtual asset rewarding system using a block chain, comprising a; a virtual asset management server that rewards virtual assets by extracting information on financial transactions from the blockchain network.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핀테크 플랫폼 운영 서버의 지령에 따라 금융거래를 발생시키는 금융기관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핀테크 기반 가상자산 리워딩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ntech-based virtual asset rewarding system using a block chai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nancial institution server that generates a financial transaction according to the command of the fintech platform operation server.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상자산 관리서버는 상기 핀테크 플랫폼 운영사에게 가상자산을 리워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핀테크 기반 가상자산 리워딩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virtual asset management server is a fintech-based virtual asset rewarding system using a block chain, characterized in that it rewards the virtual asset to the fintech platform operator.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상자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게 가상자산을 리워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핀테크 기반 가상자산 리워딩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virtual asset management server is a fintech-based virtual asset rewarding system using a block chain, characterized in that rewarding the virtual asset to the user terminal.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핀테크 플랫폼 운영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을 받아 상기 가맹점 단말기에 대한 결재를 진행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가상자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가맹점 단말기에 가상자산을 리워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핀테크 기반 가상자산 리워딩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intech platform operation server is provided to receive a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and proceed with payment for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The virtual asset management server is a fintech-based virtual asset rewarding system using a block chain, characterized in that rewarding virtual assets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KR1020210033919A 2021-03-16 2021-03-16 Virtual asset reward system based on fintech using block chain KR2022012925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919A KR20220129259A (en) 2021-03-16 2021-03-16 Virtual asset reward system based on fintech using block cha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919A KR20220129259A (en) 2021-03-16 2021-03-16 Virtual asset reward system based on fintech using block chai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259A true KR20220129259A (en) 2022-09-23

Family

ID=83445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919A KR20220129259A (en) 2021-03-16 2021-03-16 Virtual asset reward system based on fintech using block chai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9259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737B1 (en) 2019-05-16 2020-05-15 웰컴페이먼츠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FinTech service using virtual account and system theref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737B1 (en) 2019-05-16 2020-05-15 웰컴페이먼츠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FinTech service using virtual account and system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3476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a math-based currency exchange
US20070038560A1 (en) Transaction payment system and processing
US2018009631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online marketplace providing direct to consumer sales
KR102120539B1 (en) System for distributing gift certificate token based on blockchain
KR101729162B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managing advanced payment based on financial open platform
KR102182072B1 (en) Method of managing digital asset backed by real-asset and real-asset exchange system using thereof
JP7448996B2 (en) Blockchain-based virtual currency intermediation and distribution system with point redemption
KR101303300B1 (en) Secured transaction service method
KR102092953B1 (en) Blockchain based advertisement apparatus and method using advertisement module included in application
KR100545308B1 (en) System and Method of Total Payment Gateway for Electronic cash, Electronic gift-certificates and Milage points by using Credit card Number
KR102381729B1 (en)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 payment using virtual currency limit granted with cryptocurrency as collateral
DK200700136U3 (en) System for verifying a client's identity
KR20130091114A (en) Banking system and method using cyber social bank based on non cash economic activity
US20030041024A1 (en) System for managing inter-company settlement and the method therefor
KR101907624B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separated management of investor deposit in peer-to-peer banking
KR102472450B1 (en) System for providing settlement instant payment service
US2019017202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centralized Digital Currency Issuance, Secure Transfer and De-Issuance
KR20200107342A (en) System and method for issuing fixed value type crypto currency
KR20220129259A (en) Virtual asset reward system based on fintech using block chain
US20190188694A1 (en) Payment systems and methods with card-on-file tokenization
JP7308915B1 (en) Settlement agent system for electronically recorded monetary claims
KR20020078319A (en) Method for providing Electronic Pocket Service using Instant Messenger
KR20110081438A (en) System and method for circulating electronic cash, and calculating apparatus the same
TWM646894U (en) Digital payment integration server
Scraping Scaled Agile Framework (SAF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