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9183A - DB 프록시를 이용한 IoT 기기의 데이터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DB 프록시를 이용한 IoT 기기의 데이터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9183A
KR20220129183A KR1020210033725A KR20210033725A KR20220129183A KR 20220129183 A KR20220129183 A KR 20220129183A KR 1020210033725 A KR1020210033725 A KR 1020210033725A KR 20210033725 A KR20210033725 A KR 20210033725A KR 20220129183 A KR20220129183 A KR 20220129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xy
data
iot
iot device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3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인에스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인에스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인에스엔에스
Priority to KR1020210033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9183A/ko
Publication of KR20220129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91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1Design, administration or maintenance of databases
    • G06F16/215Improving data quality; Data cleansing, e.g. de-duplication, removing invalid entries or correcting typographical err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7Details of further file system functions
    • G06F16/174Redundancy elimination performed by the file system
    • G06F16/1748De-duplication implemented within the file system, e.g. based on file seg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5Integrating or interfacing systems involving database management systems
    • G06F16/254Extract, transform and load [ETL] procedures, e.g. ETL data flows in data warehou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B 프록시를 이용한 IoT 기기의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IoT 기기기들로부터 측정된 센싱값을 수집하고 이를 활용할 때, 무의미한 반복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제거한 후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저장장치 공간을 절약하고 데이터 검색 속도를 향상시킬 수할 수 있는 DB 프록시를 이용한 IoT 기기의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DB 프록시를 이용한 IoT 기기의 데이터 관리 시스템 {Data management system of IoT device using DB proxy}
본 발명은 DB 프록시를 이용한 IoT 기기의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IoT 기기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이를 활용한 서비스의 제공 성능 및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DB 프록시를 이용한 IoT 기기의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다양한 IoT 센서 디바이스들이 등장하고, 그만큼 다양한 공간에 보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IoT 센서 디바이스는 1개 이상의 센서를 탑재하고 있으며, 센서를 통해서 측정된 센싱값들을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서버에서는 수집된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자에게 제공하며, 이들을 수집된 데이터들을 분석/가공하여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들에게 서비스에 맞게 원격 모니터링 또는 특정 이벤트 발생 여부 알람 등으로 제공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많은 수의 IoT 기기가 보급되고, 그만큼 사용자가 늘어나기 때문에, 데이터의 크기가 커지게 되고 이를 처리할 서버의 부담이 증가하는 것은 당연하며, 수집 데이터들에 대한 가공/분석 역시도 많은 시간이 요구됨으로써, 신속한 서비스 제공에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관련해서, 국내 공개 특허 제10-2017-0141928호("데이터 플랫폼에 기반한 IoT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에서는 하나 이상의 IoT 기기로부터 센싱 데이터(sensing data)를 수신하고, 수신한 센싱 데이터를 융합할 수 있는 데이터 플랫폼을 이용하여, IoT 서비스의 사용성과 가용성을 최대화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7-0141928호 (공개일자 2017.12.27.)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IoT 기기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이를 활용한 서비스의 제공 성능 및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DB 프록시를 이용한 IoT 기기의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B 프록시를 이용한 IoT 기기의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IoT 기기들로부터 수신된 센싱값들을 순차적으로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기, 상기 센싱값들을 순차적으로 전송받아, 기설정된 소정 조건에 따라 직전 수신 데이터와 현재 수신 데이터 간의 차이값을 분석하는 DB 프록시, 상기 DB 프록시의 분석 결과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경우, 상기 센싱값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DB 및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제공을 위한 조건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DB 프록시로 전송하는 서비스 처리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DB 프록시는 상기 서비스 처리기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조건 정보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전송되는 상기 센싱값들을 분석하여, 상기 조건 정보에 매칭되는 센싱값이 전송될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기설정된 발생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B 프록시를 이용한 IoT 기기의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IoT 기기기들로부터 측정된 센싱값을 수집하고 이를 활용할 때, 무의미한 반복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제거한 후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저장장치 공간을 절약하고 데이터 검색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서, DB 데이터를 활용한 서비스 제공시, 데이터 분석과 분석에 의한 후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서비스 이용자에게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IoT 기기와 사용자의 수가 늘어나더라도, 데이터베이스를 직접 액세스하는 것이 아니라 DB 프록시를 이용함으로써, 비교적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DB 프록시를 이용한 IoT 기기의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DB 프록시를 이용한 IoT 기기의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 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B 프록시를 이용한 IoT 기기의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수집기, DB 프록시, DB 및 서비스 처리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하나 이상의 IoT 기기들로부터 수신된 센싱값들을 수집/분석/처리하여 연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 발생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데이터 수집기, DB 프록시, DB 및 서비스 처리기는 하나의 연산처리수단이나 서버 등에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구성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자면,
상기 데이터 수집기는 IoT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설치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IoT 기기들로부터 수신된 센싱값들을 순차적으로 수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센싱 데이터로는 IoT 기기의 고유 번호, 데이터, 센싱 시간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DB 프록시는 상기 데이터 수집기로 수집되는 상기 센싱값들을 각 IoT 기기 별로 시계열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전송받아, 미리 설정된 소정 조건에 따라 직전 수신 데이터와 현재 수신 데이터 간의 차이값을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미리 설정된 소정 조건이란, 제공하는 IoT 서비스, 그리고 이에 따라 설치되어 있는 IoT 기기에 포함되어 있는 센서를 통해서 측정하는 센싱값의 특성을 반영하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를 들자면, 온도를 측정할 경우, 1℃를 차이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소비전력을 측정할 경우, 정부에서 정한 전력 사용 구간으로 차이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DB는 상기 DB 프록시의 분석 결과에 따라, 직전 수신 데이터와 현재 수신 데이터 간의 차이값이 발생할 경우, 현재 수신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에는 모든 수신 데이터들을 일일이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였으나, 이 경우, 데이터의 양이 방대하기 때문에 데이터 관리 자체에 큰 에너지가 발생할 뿐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이벤트 발생 여부를 분석하는 것 역시도 많은 에너지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반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B 프록시를 이용한 IoT 기기의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상기 DB 프록시를 이용하여, 직전 수신 데이터와 현재 수신 데이터 간의 차이값을 분석한 후, 차이가 발생한 경우에만 현재 수신 데이터를 저장하고, 차이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에는 현재 수신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의 양이 줄어서 분석/처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자면, 온도를 측정하는 IoT 기기가 1분 간격으로 데이터 수집기로 현재 센싱 온도를 전송할 경우, DB 프록시는 해당 IoT 기기로부터 현재 수신된 데이터와 직전 수신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1℃ 이상의 차이가 발생한 경우에만, 현재 수신된 데이터를 DB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도록 하며, 1℃ 미만의 차이가 발생한 경우에는 현재 수신된 데이터를 폐기하여 데이터베이스화되는 센싱값의 양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론, 센싱 시간 상으로는 최신의 데이터가 아니지만, 센싱 데이터가 직접 데이터와의 비교를 통해서 항상 최신의 데이터로 유지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요청이 있거나, 사용자가 미리 입력한 이벤트 발생 조건에 해당하는 사용자에게 수신 데이터를 전송하더라도, 최신의 데이터를 제공한 것과 동일한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상기 서비스 처리기는 IoT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해당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등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제공을 위한 원하는 조건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상기 DB 프록시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를 들자면, 상기 서비스 처리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온도가 33℃ 이상일 경우, 알람 발생하는 것을 상기 조건 정보로 입력받을 경우, 이를 상기 DB 프록시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DB 프록시는 상기 서비스 처리기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조건 정보를 이용하여, 시계열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전송되는 상기 센싱값들을 분석하여, 상기 조건 정보에 매칭되는 센싱값이 전송될 경우, 다시 말하자면, 해당 IoT 기기로부터 현재 수신된 데이터가 33℃ 센싱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을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미리 설정된 발생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발생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포함되어 있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서비스 처리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현재 IoT 기기의 상태 정보의 전송을 입력받을 경우, 이를 상기 DB 프록시로 전송하고, 상기 DB 프록시는 상기 서비스 처리기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전송 조건을 이용하여, 해당 IoT 기기에 대해서 상기 DB에서 저장 및 관리하고 있는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해당 IoT 기기에 대해서 상기 DB에서 저장 및 관리하고 있는 데이터는 비록 최근의 데이터가 아닐지라도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 수신된 데이터와 직전 수신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차이가 있을 경우에는 신속하게 최신의 데이터인 현재 수신된 데이터로 교체 저장한 데이터이기 때문에, 해당 IoT 기기의 현재 상태에 해당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B 프록시를 이용한 IoT 기기의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IoT 기기들로부터 전송되는 센싱값들을 수집하고 저장하며, 이를 통한 IoT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DB 프록시를 이용하여 무의미한 반복 데이터를 제거하여 최소화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서 효율적으로 Io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 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

  1. 하나 이상의 IoT 기기들로부터 수신된 센싱값들을 순차적으로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기;
    상기 센싱값들을 순차적으로 전송받아, 기설정된 소정 조건에 따라 직전 수신 데이터와 현재 수신 데이터 간의 차이값을 분석하는 DB 프록시;
    상기 DB 프록시의 분석 결과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경우, 상기 센싱값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DB; 및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제공을 위한 조건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DB 프록시로 전송하는 서비스 처리기;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DB 프록시는
    상기 서비스 처리기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조건 정보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전송되는 상기 센싱값들을 분석하여, 상기 조건 정보에 매칭되는 센싱값이 전송될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기설정된 발생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B 프록시를 이용한 IoT 기기의 데이터 관리 시스템.
KR1020210033725A 2021-03-16 2021-03-16 DB 프록시를 이용한 IoT 기기의 데이터 관리 시스템 KR202201291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725A KR20220129183A (ko) 2021-03-16 2021-03-16 DB 프록시를 이용한 IoT 기기의 데이터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725A KR20220129183A (ko) 2021-03-16 2021-03-16 DB 프록시를 이용한 IoT 기기의 데이터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183A true KR20220129183A (ko) 2022-09-23

Family

ID=83445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725A KR20220129183A (ko) 2021-03-16 2021-03-16 DB 프록시를 이용한 IoT 기기의 데이터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918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1928A (ko) 2016-06-16 2017-12-2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데이터 플랫폼에 기반한 IoT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1928A (ko) 2016-06-16 2017-12-2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데이터 플랫폼에 기반한 IoT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5641B2 (en) Automatic correlation of dynamic system events within computing devices
CN101997925A (zh) 具有预警功能的服务器监控方法及其系统
US10275476B2 (en) Machine to machine data aggregator
CN108228322B (zh) 一种分布式链路跟踪、分析方法及服务器、全局调度器
CN111881011A (zh) 日志管理方法、平台、服务器及存储介质
CN112965879A (zh) 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07204875A (zh) 数据上报链路监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2632129A (zh) 一种码流数据管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2506755A (zh) 日志采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2732663A (zh) 一种日志信息处理方法及装置
CN112417050A (zh) 数据同步方法和装置、系统、存储介质及电子装置
KR20220129183A (ko) DB 프록시를 이용한 IoT 기기의 데이터 관리 시스템
CN111130882A (zh) 网络设备的监控系统及方法
KR20210000041A (ko) 로그 데이터의 실시간 분석 방법 및 그 장치
CN110543509A (zh) 用户访问数据的监控系统、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1190858B (zh) 软件信息存储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4756301A (zh) 日志处理方法、装置和系统
KR20230025200A (ko) 국가간 뉴스정보 영향력 전파특성 분석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정보분석 시스템
CN115114316A (zh) 一种高并发数据的处理方法、装置、集群和存储介质
KR20170094480A (ko) 데이터 관리 장치 및 데이터 관리 장치의 감시 방법
CN113590047B (zh) 数据库的筛查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2291209B (zh) 一种前端设备目录获取方法及装置
WO2022257392A1 (zh) 数据检索预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介质
KR101956882B1 (ko) 비트맵 기반의 분산 네트워크 빈발 이벤트 수집 장치 및 방법,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CN116049126A (zh) 日志完整性检测方法、日志生成方法、介质及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