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8858A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8858A
KR20220128858A KR1020210033548A KR20210033548A KR20220128858A KR 20220128858 A KR20220128858 A KR 20220128858A KR 1020210033548 A KR1020210033548 A KR 1020210033548A KR 20210033548 A KR20210033548 A KR 20210033548A KR 20220128858 A KR20220128858 A KR 20220128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ind
unit
air condition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35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재호
김승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니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니아
Priority to KR1020210033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8858A/en
Publication of KR20220128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885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reducing an odor generated from a heat exchanger when an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operate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 device for an air conditioner comprises: an interface unit which receives a power-on command of an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 blower fan drive unit for driving a blower fan to control the air volume of the discharge wind discharged through a discharge port; an air door drive unit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discharge wind by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an air door disposed in front of the discharge por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blower fan drive unit and the air door drive unit to operate in a user setting mode after reducing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when the power-on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interface unit.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동작 시 열교환기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reducing odors generated from a heat exchanger during operation of an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서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The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to provide a more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to humans by discharging hot and cold air into the room to create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controlling the indoor temperature, and purifying the indoor air. In general, an air conditioner includes an indoor unit configured as a heat exchanger and installed indoors, and an outdoor unit configured as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and supplying refrigerant to the indoor unit.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된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된 실외기로 분리되어 제어되며, 압축기 또는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동작된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에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가 연결될 수 있으며, 요청되는 운전 상태에 따라,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여, 냉방 또는 난방모드로 운전된다.Such an air conditioner is controlled separately from an indoor unit composed of a heat exchanger and an outdoor unit composed of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and is operated by controlling power supplied to the compressor or the heat exchanger. In addition, at least one indoor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outdoor unit, and the air conditioner may be operated in a cooling or heating mode by supplying a refrigerant to the indoor unit according to a requested operating state.

공기조화기는 냉매의 흐름에 따라 냉방 운전되거나 난방 운전되는데, 냉방 운전 시 실외기의 압축기에서 실외기의 열교환기를 거쳐 고온 고압의 액체 냉매가 실내기로 공급되면 실내기의 열교환기에서 냉매가 팽창되어 기화되면서 주변공기의 온도가 내려가 실내기 팬이 회전 동작함에 따라 실내로 냉기가 토출되고, 난방운전 시 실외기의 압축 기에서 고온고압의 기체냉매가 실내기로 공급되면, 실내기의 열교환기에서 고온고압의 기체냉매가 액화되어 방출된 에너지에 의해 따뜻해진 공기가 실내기팬의 동작에 따라 실내로 토출된다.Air conditioners are operated for cooling or heating according to the flow of refrigerant. As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unit decreases and the indoor unit fan rotates, cold air is discharged into the room, and when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gas refrigerant is supplied from the outdoor unit's compressor to the indoor unit during heating operation, the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gas refrigerant is liquefied in the indoor unit's heat exchanger. Air warmed by the released energy is discharged into the room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indoor fan.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시 공기조화기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기와 열을 교환하는 과정에서 열교환기 표면과 외기의 온도차이로 인해 열교환기 표면에 응축수가 발생하여 공기조화기 내부에 습한 환경을 조성한다.In general, during the cooling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condensed water is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and the outside air in the process of exchanging heat with the heat exchanger when the air sucked into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er exchanges heat with the heat exchanger. Create a humid environment.

이렇게 공기조화기 내부에 습한 환경이 지속적으로 조성될 시 악취를 유발하여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는 경우가 발생한다. When a humid environment is continuously created inside the air conditioner in this way, a bad odor may be generated and the user may feel uncomfortable.

공기조화기의 전원을 온 시키면, 응축수에 의해 열교환기 표면에 생성된 각종 세균이 송풍기에 의해 냉기와 함께 외부로 배출된 후에 실내 공기와 혼합되어 사용자가 각종 세균을 마시게 되고, 이에 의해 사용자에게 각종 질병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When the power of the air conditioner is turned on, various bacteria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by the condensate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together with the cool air by the blower, and then mixed with the indoor air, and the user drinks various bacteria. There was a problem that caused various diseases.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2-0091670호(2002.12.06)의 '에어컨의 운전 제어방법'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Air conditioner operation control method' of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02-0091670 (2002.12.0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동작 시 열교환기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reducing odors generated from a heat exchanger during operation of an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will b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an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장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원 온(on) 명령을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 송풍팬을 구동시켜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토출바람의 풍량을 조절하는 송풍팬 구동부, 상기 토출구의 전면에 배치되는 에어도어의 개폐를 조절하여 상기 토출바람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는 에어도어 구동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전원 온(on) 명령 수신 시, 기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상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풍량을 절감시킨 후 사용자 설정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송풍팬 구동부와 상기 에어도어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erface unit that receives a power on command of an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nd a blower that drives a blower fan to control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through a discharge port A fan driving unit, an air door driving unit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discharge wind by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air door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discharge port, and when receiving a power on command from the interface unit, th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blower fan driving unit and the air door driving unit to operate in a user setting mode after reducing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from the outlet.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기의 초기 동작 시, 상기 일정시간 동안 상기 에어도어 구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토출바람의 토출방향을 측면으로 조절하여 간접풍을 생성하고, 상기 송풍팬 구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토출바람의 풍량을 약풍으로 조절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door unit is initially operated,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air door driving unit for the predetermined time to adjust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discharge wind to the side to generate an indirect wind, and operates the blower fan drive unit to operate the You can adjust the air volume of the discharge wind with a weak wind.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정시간 경과 후, 상기 에어도어 구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토출바람의 토출방향을 전면으로 조절하고, 상기 송풍팬 구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사용자 설정 모드에 따른 풍량으로 조절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after the lapse of the predetermined time, operates the air door driving unit to adjust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discharge wind to the front, and operates the blower fan driving unit to adjust the air volume according to the user setting mode. .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원이 온(on)되면, 제어부가 기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풍량을 절감시키는 단계, 상기 일정시간 경과 후, 상기 제어부가 사용자 설정 모드에 따라 상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풍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the steps of: when the power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s turned on, the control unit reduces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from the outle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fter the lapse of the predetermined time , controlling, by the control unit,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from the outlet according to a user setting mode.

본 발명은 상기 풍량을 절감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출바람의 토출방향을 측면으로 조절하여 간접풍을 생성하고, 상기 토출바람의 풍량을 약풍으로 조절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reducing the air volume,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discharge wind to the side to generate an indirect wind, and adjust the air volume of the discharge wind to a weak wind.

본 발명은 상기 풍량을 조절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정시간 경과 후, 상기 토출바람의 토출방향을 전면으로 조절하고, 상기 사용자 설정 모드에 따른 풍량으로 조절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adjusting the air volume, the control unit may adjust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discharge wind to the front after the lapse of the predetermined time, and adjust the air volume according to the user setting mo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장치 및 방법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동작 시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풍량을 절감시킨 후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풍량으로 동작시킴으로써,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동작 시 열교환기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저감할 수 있다. I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s operated, the air volume is reduc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then operated at the air volume set by a user, thereby operating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dor generated from the heat exchanger.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various effects may be included within the rang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토출바람의 토출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토출바람의 토출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discharge direction of a discharge wind i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discharge direction of a discharge wind i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Hereinafter,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토출바람의 토출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토출바람의 토출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device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ischarge direction of a wind blown from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blowing wind i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장치는, 인터페이스부(110), 송풍팬 구동부(120), 에어도어 구동부(14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terface unit 110 , a blower fan driving unit 120 , an air door driving unit 140 , and a control unit 160 . have.

인터페이스부(110)는 공기조화기 실내기(100)의 전원 온(on) 명령을 수신(또는 입력)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10 may receive (or input) a power on command of the indoor unit 100 of the air conditioner.

인터페이스부(110)는 제어부(160)에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으며, 상기 신호는 예를 들어 리모컨(미도시)에 의해 송신될 수 있거나 또는 공기조화기 외부의 별도의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입력부에 의해 신호가 송신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interface unit 110 may receive a signal input to the control unit 160, and the signal may be transmitted, for example, by a remote control (not shown) or a separate input unit (not shown) outside the air conditioner. may be provided so that a signal may be transmitted by the input unit.

송풍팬 구동부(120)는 송풍팬(130)을 구동시켜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The blowing fan driving unit 120 may drive the blowing fan 130 to control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즉, 송풍팬 구동부(120)는 송풍팬(130)의 구동속도를 조절하여 토출바람의 풍량을 터보, 강풍, 중풍, 약풍으로 조절할 수 있다.That is, the blowing fan driving unit 120 may adjust the driving speed of the blowing fan 130 to adjust the air volume of the discharge wind to turbo, strong wind, medium wind, and weak wind.

에어도어 구동부(140)는 토출구의 전면에 배치되는 에어도어(150)의 개폐를 조절하여 토출바람의 토출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The air door driving unit 140 may control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discharge wind by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air door 150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discharge port.

예를 들어, 도 2와 같은 실내기(100)의 경우,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전원 온(on) 명령이 입력되면, 에어도어 구동부(140)는 에어도어(150)를 개방(open)하고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토출바람이 측면으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런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에어도어 구동부(140)는 사용자 설정 모드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indoor unit 100 as shown in FIG. 2 , when a power on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interface unit 110 , the air door driving unit 140 opens the air door 150 and The discharge wind may be discharged to the sid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n,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air door driving unit 140 may operate according to a user setting mode.

다음으로 도 3과 같은 실내기(100)의 경우,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전원 온(on) 명령이 입력되면, 에어도어 구동부(140)는 에어도어(150)를 토출구의 내측으로 회전시키고,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토출바람이 측면으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런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에어도어 구동부(140)는 에어도어(150)를 토출구의 외측으로 회전시키고, 토출바람이 전면으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Next, in the case of the indoor unit 100 as shown in FIG. 3 , when a power on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interface unit 110 , the air door driving unit 140 rotates the air door 150 to the inside of the discharge port, The discharge wind may be discharged to the sid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n,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air door driving unit 140 may rotate the air door 150 to the outside of the discharge port, and the discharge wind may be discharged to the front side.

구체적으로, 에어도어 구동부(140)는 송풍 가이드부(102)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실내기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에어도어 구동부(140)는 실내기 본체(100)에서 토출구의 외측으로 회전 또는 토출구의 내측으로 회전되느냐에 따라 바람의 방향을 직접풍 또는 간접풍으로 구현하게 된다. 이때, 직접풍은 실내기 본체(100)에서 송풍팬(130)을 통해 송풍되는 냉방풍이 토출구를 통해 실내기 본체(100)의 전방으로 바로 토출되며, 간접풍은 냉방풍이 토출구를 통해 바로 송풍되지 않고 에어도어(150) 및 송풍 가이드부(102)와 충돌하면서 실내기 본체(100)의 양측으로 송풍 방향이 전환되면 토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실내기(100)는 에어도어(150)가 도 3의 (a)와 같이 실내기 본체(100)의 전방으로 정회전하면, 토출구가 완전하게 개방되어 직접풍이 구현되고, 에어도어(150)가 도 3의 (b)와 같이 실내기 본체(100)의 내측으로 역회전되어 토출구를 수평으로 커버하면 토출구가 실내기 본체(100)의 측면으로 간접 개방됨에 따라 간접풍을 구현하게 된다. 즉, 에어도어(150)가 토출구의 외측(정역회전) 또는 내측(역회전)으로 회전함에 따라 직접풍과 간접풍이 선택적으로 발생하므로, 직접풍과 간접풍을 간단한 구조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간접풍이라 함은, 공기의 토출 방향이 사용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그 주변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간접풍은 사용자의 피부에 찬 바람을 직접적으로 접촉시키지 않으면서 실내를 시원하게 하는 '둘레바람' 이라고 칭할 수 있다. 간접풍을 생성하기 위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인체 감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간접풍의 방향은 감지된 인체를 회피하는 방향일 수 있다. Specifically, the air door driving unit 14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indoor unit body 100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orts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blowing guide unit 102 . In addition, the air door driving unit 140 implements the direction of the wind as a direct wind or an indirect wind depending on whether the indoor unit body 100 rotates outward of the outlet or inward of the outlet. At this time, the direct wind is the cooling wind blown from the indoor unit main body 100 through the blower fan 130 is directly discharged to the front of the indoor unit body 100 through the outlet, and the indirect wind is air without the cooling wind being blown directly through the outlet. When the blowing direction is switched to both sides of the indoor unit main body 100 while colliding with the door 150 and the blowing guide unit 102 , it may be discharged. In the indoor unit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air door 150 rotates forward of the indoor unit main body 100 as shown in FIG. As shown in (b) of FIG. 3 , when the outlet 150 is reversely rotated inside the indoor unit main body 100 to horizontally cover the outlet, the outlet is indirectly opened to the side of the indoor unit main body 100 to realize indirect wind. That is, since the direct wind and the indirect wind are selectively generated as the air door 150 rotates to the outside (reverse rotation) or inside (reverse rotation) of the outlet, the direct wind and the indirect wind can be easily implemented with a simple structure. Here, the indirect wind means that the air discharge direction is such that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surroundings based on the user's location. That is, the indirect wind may be referred to as a 'circumferential wind' that cools the room without directly contacting the user's skin with the cold wind. Although not shown to generate the indirect wind, a human body sensing unit (not shown) may be further included, and the direction of the indirect wind may be a direction avoiding the sensed human body.

제어부(160)는, 인터페이스부(110)로부터 전원 온(on) 명령 수신 시,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풍량을 절감시킨 후 사용자 설정 모드로 동작하도록 송풍팬 구동부(120)와 에어도어 구동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시간은 예컨대, 1분 등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일 수 있다. 즉, 실내기(100)의 전원이 온되면, 제어부(160)는 일정시간 동안 토출바람의 토출방향을 측면으로 조절하여 간접풍을 생성하고, 토출바람의 풍량을 약풍으로 조절할 수 있다. 그런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160)는 토출바람의 토출방향을 전면으로 조절하고, 사용자 설정 모드에 따른 풍량으로 조절할 수 있다. When receiving a power-on command from the interface unit 110, the control unit 160 reduces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from the outlet for a preset period of time, and then operates the blower fan driving unit 120 and the air door to operate in a user setting mode. The driving unit 140 may be controlled. Here,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for example, a preset time such as 1 minute. That is, when the power of the indoor unit 100 is turned on, the control unit 160 may adjust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discharge wind to the side for a predetermined time to generate an indirect wind, and adjust the air volume of the discharge wind to a weak wind. Then,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control unit 160 may adjust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discharge wind to the front side and adjust the air volume according to the user setting mode.

예를 들어, 도 2와 같은 실내기(100)의 경우, 전원 온(on) 명령에 따라 실내기(100)가 초기 동작하게 되면, 제어부(160)는 에어도어 구동부(140)를 작동시켜 에어도어(150)를 개방(open)하고, 송풍팬 구동부(120)를 작동시켜 토출바람의 풍량을 약풍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간접풍을 구현하도록 에어도어 구동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160)가 약풍의 간접풍을 일정 시간 동안 동작시키면, 실내기(100) 초기 동작 시 열교환기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저감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온(on)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60)는 에어도어 구동부(140)를 작동시켜 토출바람의 토출방향을 측면으로 조절하여 간접풍을 생성하고, 송풍팬 구동부(120)를 작동시켜 토출바람의 풍량을 약풍으로 조절할 수 있다. 약풍의 간접풍이 토출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160)는 사용자 설정 모드에 따라 동작하도록 송풍팬 구동부(120)와 에어도어 구동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indoor unit 100 as shown in FIG. 2 , when the indoor unit 100 is initially operated according to a power-on command, the control unit 160 operates the air door driving unit 140 to operate the air door ( 150) is opened, and the blower fan driving unit 120 is operated to adjust the air volume of the discharge wind to a weak wind.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60 may control the air door driving unit 140 to implement an indirect wind. As such, when the controller 160 operates the indirect wind of the weak win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odor generated from the heat exchanger during the initial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100 can be reduced. Specifically, when a power-on command is input, the control unit 160 operates the air door driving unit 140 to adjust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discharge wind to the side to generate an indirect wind, and operates the blower fan driving unit 120 . By operating it, you can control the amount of air blown out by a weak wind.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indirect wind of the weak wind is discharged, the control unit 160 may control the blower fan driving unit 120 and the air door driving unit 140 to operate according to a user setting mode.

예를 들어, 도 3과 같은 실내기(100)의 경우, 전원 온(on) 명령에 따라 실내기(100)가 초기 동작하게 되면, 제어부(160)는 에어도어 구동부(140)를 작동시켜 에어도어(150)를 토출구의 내측으로 회전시켜 간접풍을 생성하고, 송풍팬 구동부(120)를 작동시켜 토출바람의 풍량을 약풍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160)가 약풍의 간접풍을 일정 시간 동안 동작시키면, 실내기(100) 초기 동작 시 열교환기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저감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온(on)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60)는 에어도어 구동부(140)를 작동시켜 토출바람의 토출방향을 측면으로 조절하여 간접풍을 생성하고, 송풍팬 구동부(120)를 작동시켜 토출바람의 풍량을 약풍으로 조절할 수 있다. 약풍의 간접풍이 토출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160)는 에어도어 구동부(140)를 동작시켜 토출바람의 토출방향을 전면으로 조절하고, 송풍팬 구동부(120)를 작동시켜 사용자 설정 모드에 따른 풍량으로 조절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indoor unit 100 as shown in FIG. 3 , when the indoor unit 100 is initially operated according to a power on command, the control unit 160 operates the air door driving unit 140 to operate the air door ( 150) to the inside of the discharge port to generate an indirect wind, and by operating the blower fan driving unit 120, the air volume of the discharge wind can be adjusted to a weak wind. As such, when the controller 160 operates the indirect wind of the weak win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odor generated from the heat exchanger during the initial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100 can be reduced. Specifically, when a power-on command is input, the control unit 160 operates the air door driving unit 140 to adjust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discharge wind to the side to generate an indirect wind, and operates the blower fan driving unit 120 . By operating it, you can control the amount of air blown out by a weak wind.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indirect wind of the weak wind is discharged, the control unit 160 operates the air door driving unit 140 to adjust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discharged wind to the front, and operates the blower fan driving unit 120 to set the user mode I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air volume.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00) 초기 작동 시, 제어부(160)는 일정시간(예컨대, 1분) 동안 풍량을 절감시킨 후 사용자가 설정한 풍량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열교환기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저감시킬 수 있다. 즉, 실내기(100)의 전원이 온(on)되면, 제어부(160)는 약풍의 간접풍을 일정 시간 동안 가동시킨 후 사용자 설정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during the initial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100 of the air conditioner, the control unit 160 reduces the air volum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eg, 1 minute) and then operates at the air volume set by the user, thereby generating odors generated from the heat exchanger. can be reduced. That is, when the power of the indoor unit 100 is turned on, the controller 160 may operate the indirect wind of the weak win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change to the user setting mod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 실내기(100)의 전원 온 명령이 입력되면(S410), 제어부(160)는 실내기(100)의 에어도어(150)를 개방(open)하고, 토출바람의 풍량을 약풍으로 조절한다(S420). 즉, 실내기(100)의 전원이 온되면, 제어부(160)는 에어도어(150)를 초기 상태로 정렬한 후, 에어도어(15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간접풍을 구현하도록 에어도어 구동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60)는 약풍의 간접풍을 일정 시간 동안 동작시킬 수 있다. 여기서, 에어도어(150)의 초기 상태는 에어도어(150)를 닫은 상태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when a power-on command of the indoor unit 100 of the air conditioner is input ( S410 ), the controller 160 opens the air door 150 of the indoor unit 100 , and the amount of air blown out of the air conditioner. is adjusted to a weak wind (S420). That is, when the power of the indoor unit 100 is turned on, the controller 160 may align the air door 150 to an initial state and then open the air door 150 .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60 may control the air door driving unit 140 to implement an indirect wind. Through this, the controller 160 may operate the indirect wind of the weak wind for a predetermined time. Here, the initial state of the air door 150 may be a state in which the air door 150 is closed.

S420 단계의 수행 후, 기 설정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S430), 제어부(160)는 설정된 풍량으로 동작시킨다(S440). 즉, 약풍의 간접풍이 일정 시간 동작한 후, 제어부(160)는 사용자 설정 모드에 따라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After performing step S420, when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S430), the control unit 160 operates at the set air volume (S440). That is, after the indirect wind of the weak wind operates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ler 160 may adjust the air volume according to the user setting mod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ir conditione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 실내기(100)의 전원 온 명령이 입력되면(S410), 제어부(160)는 실내기(100)의 에어도어(150)를 토출구의 내측으로 회전시키고, 토출바람의 풍량을 약풍으로 조절한다(S520). 즉, 실내기(100)의 전원이 온되면, 제어부(160)는 에어도어(150)를 초기 상태로 정렬한 후, 에어도어(150)를 토출구의 내측으로 회전시켜 토출바람의 방향을 간접풍으로 구현할 수 있고, 토출바람의 풍량을 약풍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에어도어(150)의 초기 상태는 간접풍 모드를 동작하도록 한 상태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when a power-on command of the indoor unit 100 of the air conditioner is input ( S410 ), the controller 160 rotates the air door 150 of the indoor unit 100 to the inside of the discharge port, and The air volume is adjusted to a weak wind (S520). That is, when the power of the indoor unit 100 is turned on, the control unit 160 aligns the air door 150 to the initial state and then rotates the air door 150 to the inside of the discharge port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wind to the indirect wind. It can be implemented, and the air volume of the discharge wind can be adjusted to a weak wind. In this case, the initial state of the air door 150 may be a state in which the indirect wind mode is operated.

S520 단계의 수행 후, 기 설정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S530), 제어부(160)는 에어도어(150)를 토출구의 외측으로 회전시키고, 설정된 풍량으로 동작시킨다(S530). 즉, 약풍의 간접풍이 일정 시간 동작한 후, 제어부(160)는 사용자 설정 모드에 따라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After performing step S520, when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S530), the controller 160 rotates the air door 150 to the outside of the outlet and operates at the set air volume (S530). That is, after the indirect wind of the weak wind operates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ler 160 may adjust the air volume according to the user setting mod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장치 및 방법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동작 시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풍량을 절감시킨 후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풍량으로 동작시킴으로써,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동작 시 열교환기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저감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s operated, the air volume is reduc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then operated at the air volume set by the user. It is possible to reduce odors generated from the heat exchanger during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0 : 실내기 110 : 인터페이스부
120 : 송풍팬 구동부 130 : 송풍팬
140 : 에어도어 구동부 150 : 에어도어
160 : 제어부
100: indoor unit 110: interface unit
120: blowing fan driving unit 130: blowing fan
140: air door driving unit 150: air door
160: control unit

Claims (6)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원 온(on) 명령을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
송풍팬을 구동시켜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토출바람의 풍량을 조절하는 송풍팬 구동부;
상기 토출구의 전면에 배치되는 에어도어의 개폐를 조절하여 상기 토출바람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는 에어도어 구동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전원 온(on) 명령 수신 시, 기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상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풍량을 절감시킨 후 사용자 설정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송풍팬 구동부와 상기 에어도어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장치.
an interface unit receiving a power-on command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 blower fan driving unit for driving a blower fan to control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an air door driving unit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air door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discharge port to adjust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discharge wi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blower fan driving unit and the air door driving unit to operate in a user setting mode after reducing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from the outle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when receiving a power on command from the interface unit
Including, the control device of the air conditio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기의 초기 동작 시, 상기 일정시간 동안 상기 에어도어 구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토출바람의 토출방향을 측면으로 조절하여 간접풍을 생성하고, 상기 송풍팬 구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토출바람의 풍량을 약풍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During the initial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the air door driving unit is operated for the predetermined time to adjust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discharge wind to the side to generate an indirect wind, and the blower fan driving unit is operated to change the air volume of the discharge wind to a weak wind. A control device for an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for regulat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정시간 경과 후, 상기 에어도어 구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토출바람의 토출방향을 전면으로 조절하고, 상기 송풍팬 구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사용자 설정 모드에 따른 풍량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is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air door driving unit is operated to control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discharge wind to the front, and the blower fan driving unit is operated to adjust the air volume according to the user setting mode. controller.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원이 온(on)되면, 제어부가 기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풍량을 절감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일정시간 경과 후, 상기 제어부가 사용자 설정 모드에 따라 상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풍량을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reducing, by the controller,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from the outle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when the power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s turned on; and
adjusting, by the control unit,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from the outlet according to a user setting mode after the lapse of the predetermined time
A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풍량을 절감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출바람의 토출방향을 측면으로 조절하여 간접풍을 생성하고, 상기 토출바람의 풍량을 약풍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In the step of reducing the air volume,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generates an indirect wind by adjusting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discharge wind to the side, and adjusts the air volume of the discharge wind to a weak win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풍량을 조절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정시간 경과 후, 상기 토출바람의 토출방향을 전면으로 조절하고, 상기 사용자 설정 모드에 따른 풍량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step of adjusting the air volume,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discharge wind to the front after the lapse of the predetermined time, and adjusts the air volume according to the user setting mode.
KR1020210033548A 2021-03-15 2021-03-15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KR2022012885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548A KR20220128858A (en) 2021-03-15 2021-03-15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548A KR20220128858A (en) 2021-03-15 2021-03-15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858A true KR20220128858A (en) 2022-09-22

Family

ID=83445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548A KR20220128858A (en) 2021-03-15 2021-03-15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885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37376A1 (en) Wall-mounted air conditioner and self-cleaning control method therefor
JP5591329B2 (en) Ventilatio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9137377A1 (en) Wall-mounted air conditioner and self-cleaning control method therefor
CN112413733A (en) Fresh air conditioner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fresh air conditioner
WO2018192385A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526338B1 (en) Dehumidification controlling method for Air conditioner
EP3686501B1 (en) Heat exchanging type ventilation system
KR200461855Y1 (en) Ventilation System
WO2024045899A1 (en) Air conditioner and cooling control method therefor
JPH0799265B2 (en) Air conditioner
KR2022012885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JP4567576B2 (en) Room pressure control system
JP2007218541A (en) Air conditioner
KR20090055071A (en)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CN113819527A (en) Double-air-guide-plate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0337687A (en) Air-conditioner
CN110736142B (en) Air conditioner and rapid dehumidification control method without cooling
CN110513769B (en) Air conditioner,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JP3942910B2 (en) Air conditioner
KR20130083553A (en) Air cinditioner with the function of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method using it
JP2789936B2 (en) Control device for air conditioner
JPH08145432A (en) Air conditioner
JPH09119666A (en) Air conditioner
KR100858533B1 (en) Up And Down Control Assembly And Method Of Vane For Air Conditioner
JPS6138777B2 (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