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8802A -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8802A
KR20220128802A KR1020210033385A KR20210033385A KR20220128802A KR 20220128802 A KR20220128802 A KR 20220128802A KR 1020210033385 A KR1020210033385 A KR 1020210033385A KR 20210033385 A KR20210033385 A KR 20210033385A KR 20220128802 A KR20220128802 A KR 20220128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e
fixing part
foot
fixing
corr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33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선호
황정혁
Original Assignee
황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선호 filed Critical 황선호
Priority to KR1020210033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8802A/en
Publication of KR20220128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880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9Toe correcting or sprea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manufacturing process
    • B29C33/3842Manufacturing moulds, e.g. shaping the mould surface by mach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02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1/08Coating a former, core or other substrate by spraying or fluidisation, e.g. spraying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3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1/38Moulds, cores or other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3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1/42Removing articles from moulds, cores or other substr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2005/0197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with spr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A toe corre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oot fixing part made of a hard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surrounding the sole and instep to fix a foot; a first toe fixing part formed integrally with the foot fixing part, and extending from the foot fixing part to fix a big toe; a second toe fixing part extending from the foot fixing part and fixing the remaining toes; and a gap maintaining part extended by forming a curved surface toward the foot fixing part from the first toe fixing part and the second toe fixing part, and maintaining a gap between the first toe fixing part and the second toe fixing part. The toe correction apparatus is manufactured to fit the shape of the foot of a user to effectively correct the deformed toe shape.

Description

발가락 교정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Toe corr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발가락 교정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발 형상에 맞게 제작되어 변형된 발가락 모양을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는 발가락 교정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e correcto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e corrector that is manufactured to fit the shape of a user's foot and can effectively correct a deformed toe shap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무지외반증(拇趾外反症, hallux valgus)이라 함은, 엄지발가락의 뿌리부분인 중족지관절이 튀어나와 엄지발가락이 중앙쪽으로 굽어져 발의 형태가 변형된 질병을 의미한다. 무지외반증은 선천적으로 발생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뒷굽이 높고 앞 부분의 폭이 좁은 신발을 반복적으로 착용하면서 엄지발가락이 신발 안에서 밀리는 원인에 의해 후천적으로 발생한다. 뒷굽이 높고 앞 부분의 폭이 좁은 신발을 착용한 상태로 장시간 동안 걷거나 서 있게 되면, 높은 뒷굽으로 인해 신체의 하중이 발의 앞쪽으로 쏠리게 되고, 그로 인해, 발의 앞 부분이나 발가락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지게 되어 발과 발가락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신발 앞 부분의 폭이 좁으면, 발의 양 측면과 상측에서 가하는 압력이 증가하게 되므로 발과 발가락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무지외반증이 발병하면, 엄지발가락의 뿌리 부분이 신발과 지속적으로 접촉하게 되므로 피부가 두터워지고 피부와 골 사이에 점액낭염이 발생하는 건막류(bunion)가 동반되며, 건막류는 일종의 염증이므로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무지외반증이 발병하면, 보행 시 추진력을 주어야 하는 엄지발가락이 본연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므로, 나머지 발가락과 발바닥에도 굳은살이 생기게 되어 염증과 통증이 유발될 뿐만 아니라, 신발의 착용 시 발가락들 사이가 접촉되어 무좀이나 습진 등의 피부질환을 유발하기도 한다. 따라서, 엄지발가락과 두번째 발가락 사이를 강제로 이격시키는 다양한 발가락 교정기구가 제안되었으나, 종래의 교정기구는 기성품(旣成品)이어서 사용자의 변형된 발의 형태에 맞는 교정력을 제공하지 못해 교정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general, hallux valgus refers to a disease in which the metatarsophalangeal joint, which is the root part of the big toe, protrudes and the big toe is bent toward the center, and the shape of the foot is deformed. Hallux valgus may occur congenitally, but most of it is acquired due to the fact that the big toe is pushed in the shoe while repeatedly wearing shoes with high heels and narrow fronts. When you walk or stand for long periods of time in high heeled, narrow toe shoes, the high heel shifts the load on your body to the front of your foot, which in turn puts an excessive load on the front of your foot or your toes. This can change the shape of the feet and toes. In addition, when the width of the front part of the shoe is narrow, the pressure applied from both sides and the upper side of the foot increases, so that the shape of the foot and toes may be deformed. When such hallux valgus occurs, the root of the big toe is in continuous contact with the shoe, so the skin thickens and a bunion that causes bursitis between the skin and bone is accompanied. will cause In addition, when hallux valgus occurs, the big toe, which should provide propulsion during walking, does not perform its original role, so calluses are formed on the remaining toes and soles of the feet, causing inflammation and pain. It can also cause skin diseases such as athlete's foot or eczema. Therefore, various toe corrective devices for forcibly spaced apart between the big toe and the second toe have been proposed, but the conventional orthodontic instruments are ready-made products and thus do not provide corrective force suitable for the user's deformed foot shape, resulting in poor correction effect. There is this.

이에, 사용자의 발 형상에 맞게 제작되어 변형된 발가락 모양을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device that is manufactured to fit the shape of the user's foot and can effectively correct the deformed toe shape.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91978호 (2020. 07. 09.)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91978 (2020. 07. 09.)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발 형상에 맞게 제작되어 변형된 발가락 모양을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는 발가락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e corrector that is manufactured to fit the shape of a user's foot and can effectively correct a deformed toe shap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발 형상에 맞게 제작되어 변형된 발가락 모양을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는 발가락 교정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object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oe corrector that is manufactured to fit the shape of a user's foot and can effectively correct a deformed toe shape.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교정장치는, 탄성을 갖는 경질재로 이루어져 발바닥과 발등을 둘러싸며 발을 고정하는 발고정부와, 상기 발고정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발고정부로부터 연장되어 엄지발가락을 고정하는 제1 발가락고정부와, 상기 발고정부로부터 연장되어 나머지 발가락을 고정하는 제2 발가락고정부, 및 상기 제1 발가락고정부와 상기 제2 발가락고정부로부터 상기 발고정부를 향하여 만곡면을 형성하며 연장되어, 상기 제1 발가락고정부와 상기 제2 발가락고정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부를 포함한다.The to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made of a hard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surrounding the sole and the back of the foot and fixing the foot, and the foot fixing par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oot height A first toe fixing part extending from the top of the toe to fix the big toe, a second toe fixing part extending from the toe fixing part to fix the remaining toes, and the feet from the first toe fixing part and the second toe fixing part It extends to form a curved surface toward the top, and includes a spacing maintaining portion for maintaining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toe fixing portion and the second toe fixing portion.

상기 발고정부, 상기 제1 발가락고정부, 상기 제2 발가락고정부, 및 상기 간격유지부는, 복수 개의 수지층으로 이루어진 캡(cap) 형성되어 발의 전단부에 씌워질 수 있다.The foot fixing part, the first toe fixing part, the second toe fixing part, and the spacing maintaining part may be formed with a cap made of a plurality of resin layers and covered with the front end of the foot.

상기 제1 발가락고정부는, 상기 엄지발가락 전체를 감싸며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The first toe fixing part may be accommodated therein while surrounding the entire big toe.

상기 제2 발가락고정부는, 끝단부가 개방되어 상기 나머지 발가락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The second toe fixing part, the end is open, the remaining toes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발고정부, 상기 제1 발가락고정부, 및 상기 제2 발가락고정부 중 적어도 하나에 관통 형성되는 통기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oot fixing portion, the first toe fixing portion, and may further include a ventilation hole formed through at least one of the second toe fixing portion.

상기 발고정부는, 발가락이 출입하는 입구부가 상기 발바닥과 상기 발등을 고정하는 고정부보다 유연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foot fixing unit may be formed more flexibly than the fixing unit for fixing the inlet part to which the toes enter and exit the sole of the foot and the back of the foot.

상기 입구부와 상기 고정부는 발과 접하는 면이 동일 수지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입구부보다 더 많은 수지층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inlet portion and the fixing portion may be formed of the same resin layer on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oot, and the fixing portion may be formed by stacking more resin layers than the inlet portion.

상기 입구부는 상기 발바닥과 접하는 내측면에 슬립방지부가 결합될 수 있다.The inlet portion may be coupled to the anti-slip portion on the inn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ole.

상기 간격유지부에 삽입되어 상기 간격유지부의 탄성변형 범위를 제한하는 교정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corrector that is inserted into the interval maintaining unit to limit the elastic deformation range of the interval maintaining unit.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교정장치의 제조방법은, 엄지발가락과 나머지 발가락을 정렬한 후, 발가락을 포함하는 발의 전단부에 몰드원료를 응고시켜 몰드를 제작하는 (A) 단계와, 상기 몰드에 석고를 주입하여 석고 모형을 제작하는 (B) 단계와, 상기 석고 모형에 파라핀을 코팅하는 (C) 단계와, 상기 파라핀이 코팅된 상기 석고 모형에 액상 수지를 코팅하고 경화시켜 교정장치 원형을 제조하는 (D) 단계, 및 상기 교정장치 원형이 형성된 상기 석고 모형을 온수에 담가 상기 파라핀을 제거하여 상기 교정장치 원형을 분리하는 (E) 단계를 포함한다.After aligning the big toe and the remaining toes,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to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ther technical problem is to solidify the mold raw material on the front end of the foot including the toe to produce a mold (A) step, (B) step of producing a gypsum model by injecting gypsum into the mold, (C) coating the gypsum model with paraffin, and adding a liquid resin to the paraffin-coated gypsum model (D) of manufacturing a prototype of the orthodontic appliance by coating and curing, and (E) of removing the paraffin by immersing the plaster model on which the original orthodontic appliance is formed in warm water to separate the original orthodontic appliance.

상기 (D) 단계는, 상기 액상수지를 코팅하고 경화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교정장치 원형을 복수 개의 수지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In the step (D), the process of coating and curing the liquid resin may be repeated to form the prototype of the orthodontic device in a plurality of resin layers.

상기 (D) 단계는, 상기 교정장치 원형에서 발바닥과 발등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발가락이 출입하는 입구보다 상기 액상수지를 코팅하고 경화시키는 과정을 더 많이 반복할 수 있다.In the step (D), the process of coating and curing the liquid resin can be repeated more than the entrance through which the toes enter and exit the fixing part for fixing the sole and the back of the foot in the original orthodontic device.

상기 (D) 단계 이후에, 상기 입구부에 상기 액상수지보다 더 연질의 재료를 코팅할 수 있다.After step (D), the inlet portion may be coated with a material softer than the liquid resin.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석고 모형에 코팅되는 상기 파라핀의 두께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발과 상기 교정장치 원형 사이의 유격을 조절할 수 있다.By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paraffin coated on the gypsum model in step (C), the clearance between the user's foot and the original orthodontic device can be adjusted.

상기 발가락 교정장치의 제조방법은, 상기 (E) 단계 이후에, 상기 교정장치 원형에 적어도 하나의 통기홀을 형성하는 (F)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toe correction device, after the step (E),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F) of forming at least one ventilation hole in the circle of the orthodontic device.

상기 (B) 단계는, 상기 석고 모형의 나머지 발가락 부분 사이에 추가로 석고를 주입하고 응고시키는 단계와, 상기 석고 모형의 나머지 발가락 부분의 끝 마디 부분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B) may include additionally injecting and solidifying gypsum between the remaining toes of the gypsum model, and cutting the tip of the remaining toes of the gypsum model.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발 형상에 맞게 맞춤 제작되므로, 사용자마다 변형된 발의 형태에 대응되는 교정력을 제공할 수 있어 발가락 교정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custom-made to fit the shape of the user's foo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rrective forc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deformed foot for each user, thereby maximizing the toe correction effect.

또한, 발가락 교정장치가 복수 개의 수지층으로 이루어진 캡(cap) 형태로 형성되어 발의 전단부에 씌워지므로, 착용한 상태에서 편하게 걸을 수 있고, 착용 후 신발을 신을 수도 있어 지속적인 교정이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toe correction device is formed in the form of a cap made of a plurality of resin layers and covered on the front end of the foot, it is possible to walk comfortably while wearing it, and to wear shoes after wearing it, so that continuous correction is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교정장치가 사용자의 발에 착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발가락 교정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발고정부의 종 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교정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교정구에 의해 간격유지부의 탄성변형 범위가 가변되는 모습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교정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발가락 교정장치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석고 모형의 제작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o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on a user's foo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toe correction device of Figure 1.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foot.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foot fixing part.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to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ope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elastic deformation range of the gap maintaining unit is varied by the corrector.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to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oe correction device.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anufacturing step of the gypsum model.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교정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to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교정장치가 사용자의 발에 착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oe corr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on a user's foo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교정장치(1)는 엄지발가락과 나머지 발가락 사이를 강제로 이격시켜 무지외반증에 의한 발가락의 변형을 교정하는 장치이다.The toe correction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correcting the deformation of the toes due to hallux valgus by forcibly spaced apart between the big toe and the other toes.

발가락 교정장치(1)는 사용자의 발 형상에 맞게 맞춤 제작되므로, 사용자마다 변형된 발의 형태에 대응되는 교정력을 제공할 수 있어 발가락 교정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발가락 교정장치가 복수 개의 수지층으로 이루어진 캡(cap) 형태로 형성되어 발의 전단부에 씌워지므로, 착용한 상태에서 편하게 걸을 수 있고, 착용 후 신발을 신을 수도 있어 지속적인 교정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Since the toe corrector 1 is custom-made to fit the shape of the user's foot, it is possible to provide corrective forc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deformed foot for each user, thereby maximizing the toe correction effect. In addition, since the toe correction device is formed in the form of a cap made of a plurality of resin layers and covered on the front end of the foot, it is possible to walk comfortably while wearing it, and to wear shoes after wearing, so that continuous correction is possible. .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발가락 교정장치(1)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toe correction device (1).

도 2는 도 1의 발가락 교정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발고정부의 종 방향 단면도이다.Figure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toe correction device of Figure 1, Figure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foot, Figure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foot fixing part.

본 발명에 따른 발가락 교정장치(1)는 발고정부(10)와, 제1 발가락고정부(20)와, 제2 발가락고정부(30), 및 간격유지부(40)를 포함한다.The toe correc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ot fixing part 10 , a first toe fixing part 20 , a second toe fixing part 30 , and a spacing maintaining part 40 .

발고정부(10)는 발바닥과 발등을 둘러싸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발을 고정하는 부분으로, 탄성을 갖는 경질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발고정부(10)는 우레탄, 탄소섬유강화수지(보조제), 실리콘, 기타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고정부(10)는 우레탄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우레탄에 탄소섬유강화수지가 보조제)로 혼합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우레탄과 실리콘이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발고정부(10)가 두 물질이 혼합되어 형성되는 경우, 각 물질의 혼합 비율에 따라 발고정부(10)가 경질재를 이룰 수도 있고 반 경질재를 이룰 수도 있다. 발고정부(10)가 탄성을 갖는 경질재로 형성됨으로써, 외형(外形)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외력(外力)이 가해지면 탄성 변형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 복원될 수 있다.The foot fixing part 10 is formed in a ring shape surrounding the sole and the back of the foot to fix the foot, and may be made of a hard material having elasticity. More specifically, the foot fixing part 10 may be made of a resin including at least one of urethane, carbon fiber reinforced resin (auxiliary agent), silicone, and other resins. For example, the foot fixing part 10 may be formed of urethane, or formed by mixing urethane with a carbon fiber-reinforced resin as an auxiliary agent), or may be formed by mixing urethane and silicone. When the fixing part 10 is formed by mixing two materials, the fixing part 10 may form a hard material or a semi-hard material depending on the mixing ratio of each material. Since the foot fixing part 10 is formed of a hard material having elasticity, it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while maintaining the external shape, and can be elastically restore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발고정부(10)는 발가락이 출입하는 입구부(10a)와, 발바닥과 발등을 고정하는 고정부(10b)로 구성되며, 입구부(10a)는 고정부(10b)보다 유연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구부(10a)와 고정부(10b)는 발과 접하는 면이 동일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되, 고정부(10b)가 입구부(10a)보다 더 많은 수지층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입구부(10a)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0b)를 이루는 수지층과 단차진 부분이 빈 상태로 유지되어 고정부(10b)보다 유연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0b)를 이루는 수지층과 단차진 부분에 별도의 연질재(11)가 적층되어 고정부(10b)보다 유연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입구부(10a)가 고정부(10b)보다 유연하게 형성됨으로써, 발고정부(10)를 발에 씌우고 벗는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발에 착용한 상태에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입구부(10a)는 발바닥과 접하는 내측면에 슬립방지부(60)가 결합되므로, 발에 착용한 상태에서 미끄러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슬립방지부(60)의 재질은 한정될 것은 아니나, 우레탄, 실리콘 등 마찰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발고정부(10)에는 제1 발가락고정부(20)와 제2 발가락고정부(30)가 각각 연장된다.The foot fixing part 10 is composed of an entrance part 10a through which the toes enter and exit, and a fixing part 10b for fixing the sole and the back of the foot, and the entrance part 10a may be formed more flexible than the fixing part 10b. . For example, the inlet portion 10a and the fixing portion 10b are made of the same resin layer on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oot, and the fixing portion 10b may be formed by stacking more resin layers than the inlet portion 10a. have. At this time, as shown in (a) of FIG. 4 , the inlet portion 10a is formed to be more flexible than the fixed portion 10b by keeping the step portion and the resin layer constituting the fixed portion 10b in an empty state. Alternatively, as shown in (b) of FIG. 4 , a separate soft material 11 is laminated on the stepped portion and the resin layer constituting the fixed portion 10b to be formed more flexible than the fixed portion 10b. have. Since the inlet portion 10a is formed to be more flexible than the fixing portion 10b, the operation of putting the foot fixing portion 10 on and taking off the foot can be easily performed, and discomfort can be minimized in a state of being worn on the foot. Since the inlet portion 10a is coupled with the anti-slip portion 60 to the inn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ole, slipping can be minimized while worn on the foot. The material of the slip prevention part 60 is not limited, but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friction, such as urethane or silicone. The foot fixing part 10 has a first toe fixing part 20 and a second toe fixing part 30 extending respectively.

제1 발가락고정부(20)는 발고정부(10)로부터 연장되어 엄지발가락을 고정하는 부분으로, 발고정부(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발고정부(10)와 제1 발가락고정부(20)를 구분하여 설명하나, 발고정부(10)와 제1 발가락고정부(20)는 서로 일체 구조로써, 발가락 교정장치(1)의 각 영역이 구획된 것일 수 있다. 제1 발가락고정부(20)는 끝단이 폐쇄되어 엄지발가락 전체를 감싸며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제1 발가락고정부(20)가 엄지발가락 전체를 감싸며 내부에 수용함으로써, 변형된 엄지발가락에 적절한 교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튀어나온 엄지발가락의 뿌리부분, 즉, 중족지관절에는 내측으로 외력을 가하고, 동시에, 중앙쪽으로 굽어진 엄지발가락에는 외측으로 외력을 가하여 엄지발가락의 위치를 교정할 수 있다.The first toe fixing part 20 is a part extending from the foot fixing part 10 to fix the big toe,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oot fixing part 10 . That i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oot fixing part 10 and the first toe fixing part 20 are separately described, but the foot fixing part 10 and the first toe fixing part 20 are an integral structure with each other, toe correction Each area of the device 1 may be partitioned. The first toe fixing part 20 is closed at the end to surround the entire big toe and can be accommodated therein. By accommodating the first toe fixing part 20 inside the entire big to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ppropriate corrective force to the deformed big toe. In other words, as shown in (a) of FIG. 3,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inward to the root part of the big toe protruding outward, that is, the metatarsophalangeal joint, and at the same time,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big toe bent toward the center. The position of the big toe can be corrected.

제2 발가락고정부(30)는 발고정부(10)로부터 연장되어 나머지 발가락을 고정하는 부분으로, 발고정부(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발고정부(10)와 제2 발가락고정부(30)를 구분하여 설명하나, 발고정부(10)와 제2 발가락고정부(30) 역시 서로 일체 구조로써, 발가락 교정장치(1)의 각 영역이 구획된 것일 수 있다. 제2 발가락고정부(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나머지 발가락 전체를 감싸며 내부에 수용할 수도 있고, 끝단이 개방되어 나머지 네 발가락의 끝 부분의 한마디 이상이 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다.The second toe fixing part 30 is a part extending from the foot fixing part 10 to fix the remaining toes,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oot fixing part 10 . That i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oot fixing part 10 and the second toe fixing part 30 are separately described, but the foot fixing part 10 and the second toe fixing part 30 are also integral structures with each other, and toe correction. Each area of the device 1 may be partitioned. As shown, the second toe fixing part 30 may be accommodated inside while surrounding the entire remaining toes, and the ends may be opened so that one or more of the tips of the remaining four toes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이러한 제1 발가락고정부(20)와 제2 발가락고정부(30) 사이에는 간격유지부(40)가 형성될 수 있다. 간격유지부(40)는 제1 발가락고정부(20)와 제2 발가락고정부(3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으로, 제1 발가락고정부(20)와 제2 발가락고정부(30)로부터 발고정부(10)를 향하여 만곡면(40a)을 형성하며 연장될 수 있다. 제1 발가락고정부(20)와 제2 발가락고정부(30) 사이에 간격유지부(40)가 형성됨으로써, 엄지발가락과 나머지 발가락 사이가 강제 이격되어 엄지발가락의 위치가 교정될 수 있다.Between the first toe fixing part 20 and the second toe fixing part 30, a gap maintaining part 40 may be formed. The interval maintaining part 40 is to maintain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toe fixing part 20 and the second toe fixing part 30, from the first toe fixing part 20 and the second toe fixing part 30 It may be extended to form a curved surface (40a) toward the foot fixing portion (10). By forming the gap maintaining part 40 between the first toe fixing part 20 and the second toe fixing part 30, the big toe and the remaining toes are forcibly spaced apart so that the position of the big toe can be corrected.

이러한 발고정부(10), 제1 발가락고정부(20), 제2 발가락고정부(30), 및 간격유지부(40)는 복수 개의 수지층으로 이루어진 캡(cap) 형태로 형성되어 발의 전단부에 씌워질 수 있다. 여기서, 발의 전단부라 함은,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가락 끝단(A)으로부터 연장되어 발가락 관절(B)을 덮는 전방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발고정부(10), 제1 발가락고정부(20), 제2 발가락고정부(30), 및 간격유지부(40)가 복수 개의 수지층으로 이루어진 캡 형태로 형성되어 발의 전단부에 씌워짐으로써, 착용한 상태에서 편하게 걸을 수 있음은 물론 착용 후 신발을 신을 수도 있어 지속적인 교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발가락 관절(B) 외측으로 돌출되는 발고정부(10)의 길이가 길수록 착용감이 저하되므로, 발가락 관절(B) 외측으로 돌출되는 발고정부(10)의 길이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oot fixing part 10, the first toe fixing part 20, the second toe fixing part 30, and the spacing maintaining part 40 are formed in the form of a cap made of a plurality of resin layers to form the front end of the foot. can be covered on Here, the front end of the foot may refer to a front portion extending from the toe end (A) and covering the toe joint (B), as shown in (b) of FIG. 3 . The foot fixing part 10, the first toe fixing part 20, the second toe fixing part 30, and the spacing maintaining part 40 are formed in a cap shape made of a plurality of resin layers and covered by the front end of the foot. ,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walk comfortably while wearing it, as well as wearing shoes after wearing it, so that continuous correction is possible. On the other hand, since the longer the length of the foot fixing part 10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toe joint (B), the lower the fit, it is preferable to minimize the length of the foot fixing part 10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toe joint (B).

또한, 발고정부(10), 제1 발가락고정부(20), 및 제2 발가락고정부(30)에는 다수의 통기홀(50)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발고정부(10), 제1 발가락고정부(20), 및 제2 발가락고정부(30)에 다수의 통기홀(50)이 관통 형성됨으로써, 발가락 교정장치(1)가 캡 형태로 형성되어 발의 전단부에 씌워지더라도 통풍이 용이하여 습기로 인해 무좀, 습진 등의 피부질환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발고정부(10)의 상면에 3개의 통기홀(50)이 관통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통기홀(50)의 개수 및 배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50 may be formed through the foot fixing part 10 , the first toe fixing part 20 , and the second toe fixing part 30 . By forming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50 through the foot fixing portion 10, the first toe fixing portion 20, and the second toe fixing portion 30, the toe correcting device 1 is formed in the form of a cap, so that the feet Even if it is covered with the front end, ventilation is easy, so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skin diseases such as athlete's foot and eczema due to moisture. Although the drawing shows that three ventilation holes 50 are form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foot fixing part 10,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ventilation holes 50 may be variously modified.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교정장치(1)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toe corrector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교정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교정구에 의해 간격유지부의 탄성변형 범위가 가변되는 모습을 도시한 작동도이다.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toe corr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opera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astic deformation range of the spacing maintaining unit is varied by the correcto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교정장치(1)는 간격유지부(40)에 교정구(70)가 삽입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교정장치(1)는 간격유지부(40)에 교정구(70)가 삽입되는 것을 제외하면,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를 중점적으로 설명하되,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나머지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사항으로 대신한다.Toe correction device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orrector 70 is inserted into the gap maintaining portion (40). The toe corrector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except that the corrector 70 is inserted into the gap maintaining unit 40 . Therefore, it is mainly described, but unless otherwise stated, the description of the remaining components is replaced with the above-mentioned matters.

간격유지부(40)에는 교정구(70)가 삽입될 수 있다. 교정구(70)는 간격유지부(40)의 탄성변형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간격유지부(40)에 삽입되어 만곡면(40a)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교정구(70)의 재질은 한정될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실리콘, 플라스틱 등 발고정부(10)보다 단단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간격유지부(40)에 교정구(70)가 삽입되지 않는 경우,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유지부(40)의 탄성 변형 범위(H1)가 길어지므로 발가락을 고정하는 힘의 크기가 작아져 발가락의 위치 교정 효과가 저하됨은 물론, 엄지발가락이 굽어진 상태로 유지되어 발의 피로도가 증가할 수 있다. 간격유지부(40)에 교정구(70)가 삽입되는 경우,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유지부(40)의 탄성 변형 범위(H2)가 짧아지므로 발가락을 고정하는 힘의 크기가 커져 발가락의 위치 교정 효과가 증대됨은 물론, 엄지발가락이 펴진 상태로 유지되어 발의 피로도가 감소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교정구(70)가 간격유지부(40)의 형상에 대응되어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교정구(7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A corrector 70 may be inserted into the gap maintaining unit 40 . The corrector 70 is for limiting the elastic deformation range of the interval maintaining unit 40, it may be inserted into the interval maintaining unit 40 to be fixedly coupled to the curved surface (40a). The material of the corrector 70 is not limited, but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material harder than the foot fixing unit 10 such as silicone, plastic, or the like. When the corrector 70 is not inserted into the gap maintaining part 40, as shown in (a) of FIG. 6, the elastic deformation range (H1) of the gap maintaining part 40 becomes longer, so that the toes are fixed As the magnitude of the force is reduced, the effect of 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toe is reduced, and, of course, the big toe is maintained in a bent state, thereby increasing the fatigue of the foot. When the corrector 70 is inserted into the gap maintaining part 40, as shown in (b) of FIG. 6, the elastic deformation range (H2) of the gap maintaining part 40 is shortened, so the force of fixing the toes As the size of the toe increases, the effect of 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toes is increased, and the fatigue of the feet can be reduced because the big toe is kept in an extended state. Although the figure shows that the corrector 7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gap maintaining unit 40,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hape of the corrector 70 may be variously modified.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교정장치(1)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7,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toe corrector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교정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to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교정장치(1)는 제2 발가락고정부(30)의 끝단부가 개방되어 나머지 발가락이 외부로 노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교정장치(1)는 제2 발가락고정부(30)의 끝단부가 개방되어 나머지 발가락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제외하면,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를 중점적으로 설명하되,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나머지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사항으로 대신한다.In the toe correction device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of the second toe fixing part 30 is opened so that the remaining toes are exposed to the outside. The toe correction device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except that the end of the second toe fixing part 30 is opened and the remaining toes are exposed to the outside. Therefore, it is mainly described, but unless otherwise stated, the description of the remaining components is replaced with the above-mentioned matters.

제2 발가락고정부(30)는 끝단부가 개방되어 나머지 네 발가락의 끝 부분의 한마디 이상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2 발가락고정부(30)의 끝단부가 개방되어 나머지 발가락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통풍이 보다 용이하여 습기로 인한 피부질환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제2 발가락고정부(30)의 끝단부가 전체적으로 개방되어 나머지 발가락이 모두 외부로 노출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제2 발가락고정부(30)의 끝단부 중 일부만 개방되고 나머지 일부는 폐쇄되어 나머지 발가락 중 일부만 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다.The second toe fixing part 30 has an open end so that one or more of the tips of the remaining four toes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The end of the second toe fixing part 30 is opened and the remaining toes are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ventilation is easier, and thus the occurrence of skin diseases due to moisture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In the drawing, the end of the second toe fixing unit 30 is fully opened and all of the remaining toes are exposed to the outsid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nly some of the ends of the second toe fixing unit 30 are opened and the rest. Some of the toes may be closed and only some of the remaining toes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발가락 교정장치(1)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toe correction device (1).

도 8은 발가락 교정장치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9는 석고 모형의 제작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oe corrector, and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manufacturing step of a plaster model.

본 발명에 따른 발가락 교정장치의 제조방법은 발가락을 정렬한 후 발의 전단부에 몰드원료를 응고시켜 몰드를 제작하는 (A) 단계와, 몰드에 석고를 주입하여 석고 모형을 제작하는 (B) 단계와, 석고 모형에 파라핀을 코팅하는 (C) 단계와, 파라핀 코팅된 석고 모형에 액상 수지를 코팅하고 경화시켜 교정장치 원형을 제조하는 (D) 단계, 및 교정장치 원형이 형성된 석고 모형에서 파라핀을 제거하여 교정장치 원형을 분리하는 (E) 단계를 포함한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to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manufacturing a mold by solidifying a mold raw material at the front end of the foot after aligning the toes, and (B) step of producing a plaster model by injecting gypsum into the mold And, (C) step of coating paraffin on the gypsum model, (D) step of coating and curing the liquid resin on the paraffin-coated gypsum model to prepare a prototype of the orthodontic device, and paraffin from the gypsum model on which the prototype of the orthodontic device is formed (E) of removing the orthodontic device prototype.

먼저, 엄지발가락과 나머지 발가락을 정렬한 후, 발가락을 포함하는 발의 전단부에 몰드원료를 응고시켜 몰드를 제작한다((A) 단계). 예를 들어, 중앙쪽으로 굽어진 엄지발가락에 고무줄 등의 부재를 걸고 외측으로 당겨 엄지발가락이 나머지 발가락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엄지발가락을 정렬할 수 있으며, 정렬된 엄지발가락과 나머지 발가락을 포함하는 발의 전단부에 알지네이트(alginate), 실리콘, 러버(rubber) 등의 인상재(impression materials, 印象材)인 몰드원료를 응고시켜 몰드를 제작할 수 있다.First, after aligning the big toe and the remaining toes, the mold material is solidified at the front end of the foot including the toes to manufacture a mold (step (A)). For example, a member such as a rubber band is hung on the big toe bent toward the center and pulled outward to align the big toe so that the big toe is spaced from the other toes, and the front end of the foot including the aligned big toe and the remaining toes A mold can be manufactured by solidifying a mold raw material, which is an impression material, such as alginate, silicone, or rubber.

몰드가 제작되면, 몰드 내부에 석고를 주입하고 응고시켜 사용자의 발 형상에 대응하는 석고 모형을 제작한다((B) 단계).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발 형상에 대응하는 석고 모형을 제작한 후,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고 모형의 나머지 발가락 부분 사이에 추가로 석고를 주입 및 응고시켜 나머지 발가락 부분을 일체로 형성한다. 석고 모형의 나머지 발가락 부분이 일체가 되면,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머지 발가락 부분의 끝 마디 부분을 절단한다. 나머지 발가락 부분의 끝 마디 부분이 절단됨에 따라 도 9의 (c)와 같은 형상의 석고 모형이 제작될 수 있다.When the mold is manufactured, the plaster is injected into the mold and solidified to produce a plaster model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user's foot (step (B)). Referring to FIG. 9 in more detail, first, after manufacturing a plaster model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oot, as shown in FIG. 9 (a), additional plaster is injected between the remaining toes of the plaster model. and solidified to integrally form the remaining toe parts. When the remaining toe parts of the plaster model are integrated, as shown in FIG. As the tip of the remaining toe part is cut, a plaster model of the shape as shown in FIG. 9(c) may be manufactured.

석고 모형이 제작되면, 석고 모형 외측에 파라핀을 코팅하는데((C) 단계), 파라핀을 석고 모형 외측에 부어서 코팅할 수도 있고, 파라핀에 석고 모형을 담가 코팅할 수도 있다. 이 때, 석고 모형에 코팅되는 파라핀의 두께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발과 최종 완성된 교정장치 원형 사이의 유격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석고 모형에 코팅되는 파라핀의 두께를 두껍게 할 경우, 사용자의 발과 교정장치 원형 사이의 유격이 커져 교정장치 원형이 발에 다소 헐겁게 맞을 수 있으며, 반대로, 석고 모형에 코팅되는 파라핀의 두께를 얇게 할 경우, 사용자의 발과 교정장치 원형 사이의 유격이 작아져 교정장치 원형이 발에 다소 꽉 끼게 맞을 수 있다. 사용자의 발과 교정장치 원형 사이의 유격 조절이 가능함으로써,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제작할 수 있어 착용감 및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When the gypsum model is produced, paraffin is coated on the outside of the gypsum model (step (C)), and the paraffin can be poured and coated on the outside of the gypsum model, or the gypsum model can be dipped in paraffin and coated. At this time, by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paraffin coated on the gypsum model,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clearance between the user's foot and the final completed orthodontic device prototype. For example, if the thickness of paraffin coated on the gypsum model is increased, the gap between the user's foot and the prototype of the brace increases, so that the prototype of the brace may fit slightly loosely on the foot. If the thickness is made thin, the clearance between the user's foot and the original orthodontic device is reduced, so that the original orthodontic device may fit somewhat tightly to the foo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clearance between the user's foot and the original orthodontic device, so that it can b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thereby improving the fit and satisfaction.

파라핀이 코팅되면, 파라핀이 코팅된 석고 모형에 액상 수지를 코팅하고 경화시켜 교정장치 원형을 제조한다((D) 단계). 이 때, 액상 수지를 코팅하고 경화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교정장치 원형을 복수 개의 수지층으로 이루어진 캡(cap)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수지층의 두께는 사용자 요구에 맞게 가변될 수 있으며, 수지층의 두께 조절을 통해 교정장치 원형의 탄성 및 경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교정장치 원형에서 발바닥과 발등을 고정하는 고정부(10b)를 발가락이 출입하는 입구부(10a)보다 액상수지를 코팅하고 경화시키는 과정을 더 많이 반복하여 입구부(10a)가 고정부(10b)보다 유연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액상 수지의 코팅 후에, 입구부(10a)에 액상 수지보다 더 연질의 재료를 코팅하여 입구부(10a)가 보다 유연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입구부(10a)가 고정부(10b)보다 유연하게 형성됨으로써, 교정장치 원형을 발에 씌우고 벗는 동작이 용이하고 발에 착용한 상태에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When the paraffin is coated, a liquid resin is coated on the paraffin-coated gypsum model and cured to prepare a prototype of the orthodontic device (step (D)). At this time, the process of coating and curing the liquid resin may be repeated to form a prototype of the orthodontic device in the form of a cap composed of a plurality of resin layers. The thickness of the resin layer can be varied according to user needs, and the elasticity and hardness of the orthodontic device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resin layer. In addition, in the circular orthodontic device, the process of coating and curing the liquid resin is repeated more than the inlet part 10a through which the toes enter the fixed part 10b for fixing the sole and the instep of the foot, so that the inlet part 10a is fixed to the fixed part ( 10b) can be made more flexible. If necessary, after coating the liquid resin, the inlet portion 10a may be coated with a material softer than the liquid resin to make the inlet portion 10a more flexible. Since the inlet portion 10a is formed more flexible than the fixed portion 10b, it is easy to put on and take off the circular orthodontic device on the foot, an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iscomfort in the state of being worn on the foot.

교정장치 원형이 제조되면, 교정장치 원형이 형성된 석고 모형을 온수에 담가 파라핀을 제거하여 교정장치 원형을 분리한다((E) 단계). 교정장치 원형이 형성된 석고 모형을 약 45~65℃의 온수에 담글 경우, 파라핀이 녹아 석고 모형과 교정장치 원형 사이에 유격이 형성되므로, 교정장치 원형이 석고 모형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When the original orthodontic appliance is manufactured, the original orthodontic appliance is separated by removing the paraffin by immersing the gypsum model on which the orthodontic original is formed in warm water (step (E)). If the gypsum model with the original orthodontic device is immersed in hot water at about 45~65℃, the paraffin melts and a gap is formed between the gypsum model and the original orthodontic device, so the original orthodontic device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gypsum model.

교정장치 원형이 석고 모형으로부터 분리되면, 교정장치 원형에 다수의 통기홀(50)을 형성할 수 있다. 통기홀(50)을 형성하면 통풍이 용이하므로 습기로 인해 무좀, 습진 등의 피부질환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교정장치 원형의 입구부(10a) 내측면에 마찰이 있는 재질로 형성된 슬립방지부(60)를 결합하여, 착용 시 미끄러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엄지발가락을 고정하는 제1 발가락고정부(20)와 나머지 발가락을 고정하는 제2 발가락고정부(30) 사이에 형성된 간격유지부(40)에 교정구(70)를 삽입 및 결합하여, 간격유지부(40)의 탄성변형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간격유지부(40)의 탄성변형 범위가 제한되면, 발가락을 고정하는 힘의 크기가 커져 발가락의 위치 교정 효과가 증대됨은 물론, 엄지발가락이 펴진 상태로 유지되어 발의 피로도가 감소할 수 있다.When the original orthodontic appliance is separated from the plaster model,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50 may be formed in the original orthodontic appliance. When the ventilation hole 50 is forme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skin diseases such as athlete's foot and eczema due to moisture because ventilation is easy. In addition, by combining the anti-slip portion 60 formed of a material having fric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let portion 10a of the circular shape of the orthodontic device, it is possible to minimize slippage when worn. In addition, by inserting and combining the corrector 70 in the gap maintaining part 40 formed between the first toe fixing part 20 for fixing the big toe and the second toe fixing part 30 for fixing the remaining toes, It is possible to limit the elastic deformation range of the gap maintaining unit 40 . When the elastic deformation range of the gap maintaining unit 40 is limited, the magnitude of the force for fixing the toes is increased, so that the position correction effect of the toes is increased, and the big toe is maintained in an extended state, thereby reducing the fatigue of the foot.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realiz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 발가락 교정장치
10: 발고정부 10a: 입구부
10b: 고정부 20: 제1 발가락고정부
30: 제2 발가락고정부 40: 간격유지부
40a: 만곡면 50: 통기홀
60: 슬립방지부 70: 교정구
1: Toe Corrector
10: an outgoing part 10a: an inlet part
10b: fixing part 20: first toe fixing part
30: second toe fixing part 40: gap maintaining part
40a: curved surface 50: ventilation hole
60: anti-slip part 70: corrector

Claims (16)

탄성을 갖는 경질재로 이루어져 발바닥과 발등을 둘러싸며 발을 고정하는 발고정부;
상기 발고정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발고정부로부터 연장되어 엄지발가락을 고정하는 제1 발가락고정부;
상기 발고정부로부터 연장되어 나머지 발가락을 고정하는 제2 발가락고정부, 및
상기 제1 발가락고정부와 상기 제2 발가락고정부로부터 상기 발고정부를 향하여 만곡면을 형성하며 연장되어, 상기 제1 발가락고정부와 상기 제2 발가락고정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부를 포함하는 발가락 교정장치.
a foot fixing part made of a hard material having elasticity to surround the sole and the back of the foot and fixing the foot;
a first toe fixing part formed integrally with the foot fixing part and extending from the foot fixing part to fix the big toe;
A second toe fixing part extending from the foot fixing part to fix the remaining toes, and
The first toe fixing part and the second toe fixing part from the toe fixing part to form a curved surface and extending, including a gap maintaining part for maintain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toe fixing part and the second toe fixing part toe correcto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고정부, 상기 제1 발가락고정부, 상기 제2 발가락고정부, 및 상기 간격유지부는,
복수 개의 수지층으로 이루어진 캡(cap) 형성되어 발의 전단부에 씌워지는 발가락 교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oot fixing part, the first toe fixing part, the second toe fixing part, and the spacing maintaining part,
A toe correction device that is formed with a cap made of a plurality of resin layers and is covered on the front end of the foot.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가락고정부는, 상기 엄지발가락 전체를 감싸며 내부에 수용하는 발가락 교정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toe fixing unit, a toe correction device for accommodating the inside while surrounding the entire big to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가락고정부는, 끝단부가 개방되어 상기 나머지 발가락이 외부로 노출되는 발가락 교정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toe fixing unit is a toe correction device in which the end is opened and the remaining toes are exposed to the outsid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고정부, 상기 제1 발가락고정부, 및 상기 제2 발가락고정부 중 적어도 하나에 관통 형성되는 통기홀을 더 포함하는 발가락 교정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toe correc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a ventilation hole formed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oot fixing part, the first toe fixing part, and the second toe fixing par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고정부는, 발가락이 출입하는 입구부가 상기 발바닥과 상기 발등을 고정하는 고정부보다 유연하게 형성되는 발가락 교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oot fixing unit, the toe correction device that is formed more flexible than the fixing unit for fixing the inlet part of the toe in and out of the sole and the back of the foot.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와 상기 고정부는 발과 접하는 면이 동일 수지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입구부보다 더 많은 수지층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발가락 교정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inlet part and the fixing part are made of the same resin layer on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oot, and the fixing part is a toe correction device formed by stacking more resin layers than the inlet part.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는 상기 발바닥과 접하는 내측면에 슬립방지부가 결합되는 발가락 교정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inlet part is a toe correction device that is coupled to the anti-slip part on the inn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ol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에 삽입되어 상기 간격유지부의 탄성변형 범위를 제한하는 교정구를 더 포함하는 발가락 교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oe correc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a corrector that is inserted into the interval maintaining unit to limit the elastic deformation range of the interval maintaining unit.
엄지발가락과 나머지 발가락을 정렬한 후, 발가락을 포함하는 발의 전단부에 몰드원료를 응고시켜 몰드를 제작하는 (A) 단계;
상기 몰드에 석고를 주입하여 석고 모형을 제작하는 (B) 단계;
상기 석고 모형에 파라핀을 코팅하는 (C) 단계;
상기 파라핀이 코팅된 상기 석고 모형에 액상 수지를 코팅하고 경화시켜 교정장치 원형을 제조하는 (D) 단계, 및
상기 교정장치 원형이 형성된 상기 석고 모형을 온수에 담가 상기 파라핀을 제거하여 상기 교정장치 원형을 분리하는 (E) 단계를 포함하는 발가락 교정장치의 제조방법.
(A) step of aligning the big toe and the remaining toes, and solidifying the mold raw material on the front end of the foot including the toes to produce a mold;
(B) step of injecting gypsum into the mold to produce a gypsum model;
(C) coating the gypsum model with paraffin;
(D) to prepare a prototype of the orthodontic device by coating and curing a liquid resin on the paraffin-coated gypsum mod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toe orthodontic device comprising the step (E) of removing the paraffin by immersing the gypsum model on which the orthodontic device prototype is formed in warm water to separate the orthodontic device prototype.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액상수지를 코팅하고 경화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교정장치 원형을 복수 개의 수지층으로 형성하는 발가락 교정장치의 제조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D) step,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oe orthodontic device for repeating the process of coating and curing the liquid resin to form the original orthodontic device with a plurality of resin layers.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교정장치 원형에서 발바닥과 발등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발가락이 출입하는 입구보다 상기 액상수지를 코팅하고 경화시키는 과정을 더 많이 반복하는 발가락 교정장치의 제조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D) step,
Method of manufacturing a toe orthodontic device that repeats the process of coating and curing the liquid resin more than the entrance through which the toe enters and exits the fixing part for fixing the sole and the back of the foot in the circular shape of the orthodontic device.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에,
상기 입구부에 상기 액상수지보다 더 연질의 재료를 코팅하는 발가락 교정장치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after step (D),
Method of manufacturing a toe correction device for coating a material softer than the liquid resin in the inlet portion.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석고 모형에 코팅되는 상기 파라핀의 두께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발과 상기 교정장치 원형 사이의 유격을 조절하는 발가락 교정장치의 제조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oe corrector for controlling the gap between the user's foot and the original form of the corrector by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paraffin coated on the gypsum model in the step (C).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이후에,
상기 교정장치 원형에 적어도 하나의 통기홀을 형성하는 (F)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발가락 교정장치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after step (E),
Method of manufacturing a toe orthodontic devic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F) forming at least one ventilation hole in the circular shape of the orthodontic device.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석고 모형의 나머지 발가락 부분 사이에 추가로 석고를 주입하고 응고시키는 단계와,
상기 석고 모형의 나머지 발가락 부분의 끝 마디 부분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가락 교정장치의 제조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B) step,
Further injecting and coagulating plaster between the remaining toes of the plaster model;
Method of manufacturing a toe correction device comprising the step of cutting the tip of the remaining toe portion of the plaster model.
KR1020210033385A 2021-03-15 2021-03-15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2012880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385A KR20220128802A (en) 2021-03-15 2021-03-15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385A KR20220128802A (en) 2021-03-15 2021-03-15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802A true KR20220128802A (en) 2022-09-22

Family

ID=83445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385A KR20220128802A (en) 2021-03-15 2021-03-15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8802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978Y1 (en) 2019-11-27 2020-07-09 임화목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pressure imple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978Y1 (en) 2019-11-27 2020-07-09 임화목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pressure impl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94396B2 (en) Foot orthosis support device method and apparatus
KR0173096B1 (en) Insole
US20120198723A1 (en) Therapeutic shoe
FI108608B (en) Orthopedic insole
US20050022421A1 (en) Ballet pointe shoe
US6523206B2 (en) Custom orthotic sandal and process for constructing
CN107771068B (en) Unloading type high leg support
US2924849A (en) Tray for making a corrective footmolded appliance
CN109219363A (en) Therapeutic shoes with multiple outer bottom protrusions
US9192504B2 (en) Total contact cast
US20050251081A1 (en) Orthotic foot care and platform method and apparatus
US7017218B2 (en) Customized orthopedic sole-insert and method for making
US20210274881A1 (en) Toe Guider Device for Footwear
JP2024039656A (en) Insole and shoes equipped with it
KR20220128802A (en)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2055594A (en) Footwear
KR200437328Y1 (en) Corrective Shoes for Hallux Valgus
US20070277400A1 (en) Improved orthotic shell for orthopedic sole insert
JP2009050491A (en) Toe anti-slip structure in shoe
KR200378623Y1 (en) hallux valgus reformer
KR102288536B1 (en) A walking support apparatus for prevention of foot drop
KR100237419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boot insole
JPH0716321Y2 (en) Shoe sole
JP2020199245A (en) Customized orthopedic inso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H01218446A (en) Extrovert big toe remedying device and form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