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8312A - 공공 모바일 네트워크로부터 사설 모바일 네트워크로 모바일 디바이스를 스티어링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공공 모바일 네트워크로부터 사설 모바일 네트워크로 모바일 디바이스를 스티어링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8312A
KR20220128312A KR1020220030908A KR20220030908A KR20220128312A KR 20220128312 A KR20220128312 A KR 20220128312A KR 1020220030908 A KR1020220030908 A KR 1020220030908A KR 20220030908 A KR20220030908 A KR 20220030908A KR 20220128312 A KR20220128312 A KR 20220128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mobile device
preferred
mobile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0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이웨 쉬
에드워드 야우
더량 쳰
스레니바사 간지
Original Assignee
시니버스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니버스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시니버스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20128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83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04W48/04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based on user or terminal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moving direction, sp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4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using triggered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6De-registration or deta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선호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영역이 비선호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영역과 중첩되는 시나리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설 LTE 네트워크 또는 5G 네트워크와 같은 선호 네트워크로 스티어링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네트워크 기능이 모바일 디바이스가 선호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되는 것을 검출할 경우, 네트워크 스티어링 절차가 트리거될 것이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그 현재 네트워크에서 디태치되고, 그 네트워크를 임시 금지 리스트에 위치시키고, 자동 네트워크 선택을 수행할 것이다. 모바일 디바이스가 다른 비선호 네트워크를 선택할 경우, 어태치 요청이 거부될 것이고, 모바일 디바이스는 비선호 네트워크를 임시 금지 리스트에 추가할 것이다. 이 절차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선호 네트워크에 어태치되거나 미리 정의된 지속시간이 만료할 때까지 반복된다.

Description

공공 모바일 네트워크로부터 사설 모바일 네트워크로 모바일 디바이스를 스티어링하는 방법{METHOD OF STEERING A MOBILE DEVICE FROM A PUBLIC MOBILE NETWORK TO A PRIVATE MOBILE NETWORK}
우선권 주장
본 정규 출원은 2021 년 3 월 12 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 63/160,383 호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는 그 전부가 참조로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1. 본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원격통신 네트워크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선호 네트워크 (예를 들어, 사설 LTE 또는 5G 네트워크) 의 커버리지 영역이 하나 이상의 비선호 공공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 (PLMN) (예를 들어, 공공 3G, 4G, 및 5G 네트워크) 의 커버리지 영역과 중첩하는 시나리오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가 선호 네트워크로 스티어링되도록, 모바일 네트워크 스티어링 및 트래픽 라우팅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2. 관련 기술의 간단한 설명
Syinverse Technologies, LLC 에 의해 출원된 미국 특허 제 10,827,422 호 ('422 특허) 는, 사용자 장비 (UE) 가 사설 LTE 또는 5G 네트워크가 커버리지를 갖는 지리적 위치에 진입할 때, UE 를 사설 롱 텀 에볼루션 (LTE) 및 5G 네트워크들로 스티어링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기술한다. '422 특허에 개시된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지능형 스티어링 방법/시스템은 다음을 수반할 수도 있다: 1) 중앙 집중형 네트워크 선택 엔진에 디바이스 위치 및 무선 강도를 보고하기 위한 가입자 식별 모듈 (SIM) 툴 킷 애플릿, 2) UE 가 사설 LTE/5G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네트워크 선택 엔진, 3) 선호되는 사설 LTE/5G 네트워크에 네트워크 스캐닝 및 자동 선택을 트리거하기 위해 공중 경유 (OTA) 단문 메시지 서비스 (SMS) 메시지를 UE 에 전송하는 것, 4) OTA SMS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UE 가 선호되는 사설 LTE/5G 네트워크에 어태치할 것이고, 어태치먼트 상태를 네트워크 선택 엔진에 보고할 것이다.
3GPP TS 23.122 에 설명된 바와 같이, SIM/UE가 네트워크를 재선택하기 위한 OTA 메시지를 수신한 후, SIM 은 UE 에 자동 네트워크 선택 절차를 실행하도록 요청할 것이다. 이 네트워크 선택 절차는 다음의 시퀀스: 1) 홈 공공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 (HPLMN) 또는 등가의 홈 공공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 (EHPLMN) 리스트, 2) 액세스 기술을 갖는 사용자-제어 PLMN 리스트, 3) 액세스 기술을 갖는 운영자-제어 PLMN 리스트, 4) 고품질 신호를 갖는 다른 PLMN, 5) 신호 품질을 감소시키는 다른 PLMN 에 따라 이용가능한 모바일 네트워크를 선택한다. 일부 상황들에서, UE 는 상기 네트워크-선택 시퀀스에 따라 다른, 더 높은 우선순위 네트워크의 존재로 인해 사설 LTE 또는 5G 네트워크를 선택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HPLMN 이 이용가능할 때, UE 는 그 지리적 영역에서의 선호 네트워크가 사설 LTE 네트워크일지라도, 항상 최고 우선순위 네트워크로서 HPLMN 을 선택할 것이다.
따라서, 자동 네트워크 선택 절차 동안 모바일 디바이스가 선호되는 사설 LTE 또는 5G 네트워크에 어태치하게 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자동 네트워크 선택 절차 동안 모바일 디바이스가 선호 네트워크에 어태치하게 하도록 지시하는 신규하고 명백하지 않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네트워크들의 비제한적인 예들은 사설 LTE 및 사설 5G 모바일 네트워크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초기에 비선호 네트워크에 어태치되고, 그 후에, 비선호 네트워크와 선호 네트워크 양자가 중첩하는 커버리지를 갖는 지리적 영역으로 이동하는 시나리오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가 선호 모바일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다고 결정한 후에, 스티어링 커맨드가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된다. 스티어링 커맨드는 공중 경유 (OTA) 단문 메세지 서비스 (SMS) 메시지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될 수도 있다. 스티어링 커맨드는 '리셋-리프레시' 메세지일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스티어링 커맨드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홈 네트워크에서 호스팅되는 네트워크 기능, 예를 들어, 홈 가입자 서버 (HSS) 또는 통합 데이터 관리 (UDM) 노드에 의해 트리거된다. 스티어링 커맨드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현재 어태치되어 있는 비선호 모바일 네트워크로부터 디태치하게 하고, 그 네트워크를 금지된 공공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들 (FPLMN) 의 리스트에 추가하고, FPLMN 의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다른 이용가능한 네트워크에 어태하기 위해 네트워크 선택 절차를 개시하게 한다. FPLMN 의 리스트는 가입자 식별 모듈 (SIM) 에 저장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가 다른 비선호 네트워크에 어태치하려고 시도하는 경우, 어태치 요청은 예를 들어, 'RoamingNotAllowed' 메시지로 거절될 것이다. 어태치 거절에 응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는 거절된 비선호 네트워크를 FPLMN 의 리스트에 추가하고 네트워크 선택 절차를 재개시하여 FPLMN 의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다른 이용가능한 네트워크에 어태치하도록 구성된다. 모바일 디바이스가 선호 네트워크에 어태치할 것을 요청할 때, 어태치먼트 요청이 허용되어, 모바일 디바이스가 선호 모바일 네트워크에 어태치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는 비선호 네트워크로부터 선호 네트워크로 스티어링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FPLMN 의 리스트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스티어링 커맨드를 수신한 후 제 1 의 미리 결정된 지속기간의 만료시 클리어된다. 제 1 의 미리 결정된 지속기간 동안의 타이머는 스티어링 커맨드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SIM 에 설정될 수도 있다. FPLMN 리스트가 클리어된 후, 모바일 디바이스는 선호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영역 외부의 새로운 위치로 이동할 때 비선호 네트워크에 어태치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가 비선호 네트워크에 어태치한 후에 제 2 의 미리 결정된 지속기간의 만료 시에,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새로운 위치가 선호 모바일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의 업데이트된 위치에 대해 비선호 네트워크에 질의하도록 구성된다. 모바일 디바이스가 선호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된다고 결정된다면, 스티어링 커맨드가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될 것이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가 선호 모바일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모바일 디바이스에 스티어링 커맨드를 트리거하는 단계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가입된 홈 네트워크에서 호스팅될 수도 있는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스티어링 커맨드를 전송한 후에, 비선호 네트워크들로부터의 모든 어태치먼트 요청이 거절될 미리 결정된 지속기간 동안 타이머가 설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보다 완전한 이해를 위해, 첨부 도면들과 함께 취해진, 다음의 상세한 설명이 참조되어야 한다.
도 1a 는, 2 개의 비선호 공공 LTE 네트워크 및 선호 사설 LTE 네트워크가 중첩 커버리지를 가지고, 모바일 디바이스가 오직 비선호 공공 LTE 네트워크만이 커버리지를 갖는 위치에 포지셔닝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b 는 2 개의 공공 LTE 네트워크들 및 사설 LTE 네트워크의 중첩 커버리지를 갖는 지리적 위치로 이동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공공 LTE 네트워크로부터 디태치하고 네트워크 선택 절차를 개시하게 하는 스티어링 커맨드를 수신한다.
도 1c 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제 2 공공 LTE 네트워크에 어태치하려고 시도하고 그 시도가 거절되는 것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d 는 사설 LTE 네트워크에 어태치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e 는 사설 LTE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영역 외부로 이동하고 공공 LTE 네트워크에 어태치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f 는 사설 LTE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영역 내의 위치로 복귀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고, 스티어링 절차는 사설 LTE 네트워크에 어태치하도록 모바일 디바이스를 스티어링하기 위해 개시된다.
도 2 는 도 1a 내지 도 1e 에 도시된 시나리오에 대한 예시적인 시그널링 흐름을 도시하는 시그널링 다이어그램이다.
도 3a 는, 2 개의 비선호 공공 5G 네트워크 및 선호 사설 5G 네트워크가 중첩 커버리지를 가지고, 모바일 디바이스가 오직 비선호 공공 5G 네트워크만이 커버리지를 갖는 위치에 포지셔닝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b 는 2 개의 공공 5G 네트워크들 및 사설 5G 네트워크의 중첩 커버리지를 갖는 지리적 위치로 이동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공공 5G 네트워크로부터 디태치하고 네트워크 선택 절차를 개시하게 하는 스티어링 커맨드를 수신한다.
도 3c 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제 2 공공 5G 네트워크에 어태치하려고 시도하고 그 시도가 거절되는 것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3d 는 사설 5G 네트워크에 어태치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e 는 사설 5G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영역 외부로 이동하고 공공 5G 네트워크에 어태치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f 는 사설 5G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영역 내의 위치로 복귀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고, 스티어링 절차는 사설 5G 네트워크에 어태치하도록 모바일 디바이스를 스티어링하기 위해 개시된다.
도 4 는 도 3a 내지 도 3e 에 도시된 시나리오에 대한 예시적인 시그널링 흐름을 도시하는 시그널링 다이어그램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부를 형성하고, 그 안에서 본 발명이 실시될 수도 있는 구체적인 실시형태들이 예시로서 도시된다. 다른 실시형태들이 활용될 수도 있고 변경들이 발명의 범위로부터 일탈함없이 행해질 수도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사설 LTE 네트워크/5G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영역이 공공 3G, 4G (LTE), 또는 5G 네트워크와 같은 공공 지상 모바일 네트워크 (PLMN) 의 커버리지 영역과 중첩하는 지리적 위치들에서 모바일 네트워크 스티어링 및 트래픽 라우팅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a 는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자 장비 (UE) 로도 지칭됨) (12) 가 제 1 공공 LTE 네트워크 (14) 가 커버리지를 갖는 지리적 위치 내에 초기에 포지셔닝되는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 및 "사용자 장비" 라는 용어는 전자 디바이스가 모바일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게 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 컴포넌트들을 구비한 임의의 전자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도 1a 에 도시된 시나리오에서, UE (12) 는 오직 제 1 공공 LTE 네트워크 (14) 만이 커버리지를 갖는 지리적 위치에 위치되기 때문에, UE (12) 는 초기에 제 1 공공 LTE 네트워크 (14) 에 어태치된다.
도 1b 는 UE (12) 가 새로운 지리적 위치로 이동한 것을 도시한다. 이 위치에서, 제 1 공공 LTE 네트워크 (14), 제 2 공공 LTE 네트워크 (16), 및 사설 LTE 네트워크 (18) 는 중첩 커버리지를 갖는다. 도 1b 는 UE (12) 가 가입된 홈 공공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 (HPLMN) 의 홈 가입자 서버 (HSS) (20) 가 UE (12) 의 현재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도시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이 액션은 HSS (20) 에서 호스팅되는 네트워크 스티어링 엔진 (NSE) (21) 에 의해 트리거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네트워크 스티어링 엔진" 은, (1) 컴퓨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2)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로 프로그래밍된 특수 목적 하드웨어, 또는 (3) 특수 목적 및 프로그램가능 회로의 조합의 형태일 수도 있는 네트워크 기능부를 지칭한다. 따라서, 실시형태들은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들) 를 프로그래밍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는 명령들이 저장된 머신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b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NSE (21) 는 다이어미터 IDR (Insert-Subscription-Data-Request) 및 IDA (Insert-Subscription-Data-Answer) 메시지들을 통해 UE (12) 의 위치를 취출하도록 HSS (20) 를 트리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UE (12) 의 현재 위치에 관한 HSS (20) 에 의해 획득된 정보는 UE (12) 가 사설 LTE 네트워크 (18) 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NSE (21) 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참조로 통합되는 미국 특허 제10,827,422호는 이러한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지에 따른 예시적인 방법을 개시한다.)
다음으로, UE (12) 가 사설 LTE 네트워크 (18) 가 커버리지를 갖는 지리적 위치 내에 포지셔닝된다고 결정할 시, NSE (21) 는 HSS (20) 가 '리셋-리프레시' 공중 경유 (OTA) 단문 메시지 서비스 (SMS) 를 UE (12) 에 전송하도록 트리거하고, UE (12) 는 자신의 가입자 식별 모듈 (SIM) (13) 로 통과한다. UE (12) 에 OTA SMS 를 전송할 때, NSE (21) 는 본 명세서에서 T3 타이머로 지칭되는 다른 타이머를 시작하도록 구성된다. T3 타이머는 NSE (21) 가 선호되는 사설 LTE 네트워크 (18) 가 아닌 임의의 네트워크로부터의 모든 어태치먼트 요청들을 거절하도록 HSS (20) 를 트리거하도록 구성되는, 미리 결정된 지속기간으로 설정된다.
'리셋-리프레시' 메시지 ("스티어링 커맨드" 라고도 함) 는 UE (12)/SIM (13) 에게 다음의 단계들을 실행하도록 지시한다: (1) 현재 모바일 네트워크 (제 1 공공 LTE 네트워크(14)) 로부터 접속 해제함; (2) 그 모바일 네트워크를 임시적인 금지된 공공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들 (FPLMN) 의 리스트 상에 배치함; 및 (3) 자동 네트워크 선택 절차를 수행하도록 UE (12) 를 트리거함. 또한, OTA SMS 커맨드는 (1) 사설-LTE PLMN ID, (2) 공공-LTE PLMN ID의 리스트 (SIM 은 금지된 PLMN 으로서 진입할 것임), 및 (3) T1 타이머 값 및 R1 카운터 값을 포함할 수도 있다. T1 타이머 값은 SIM (13) 이 임시 FPLMN 리스트를 클리어할 만료시 미리 결정된 지속기간이다. R1 은 자동 네트워크 선택 및 어태치먼트 시도들의 최대 사이클 수에 대한 카운터이다.
다음으로, 도 1c 는 제 1 공공 LTE 네트워크 (14) 로부터 디태치하고 이 네트워크를 임시 FPLMN 리스트 상에 배치할 시, UE (12) 가 제 2 공공 LTE 네트워크 (16) 에 어태치하려고 시도하는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T3 타이머에 설정된 미리 결정된 지속기간 동안, 제 2 공공 LTE 네트워크 (16) 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RAN)(22) 로부터 어태치먼트 요청을 수신할 시, NSE (21) 는 'RoamingNotAllowed' 메시지로 이 어태치먼트 요청을 거절하도록 HSS (20) 에 지시한다. 이러한 거절의 수신 시, UE (12) 의 SIM (13) 은 제 2 공공 LTE 네트워크 (16) 를 임시 FPLMN 리스트에 추가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비선호 네트워크들이 UE (12) 의 위치에 커버리지 영역을 갖고, UE (12) 가 이러한 비선호 네트워크들에 어태치하려고 시도한다면, HSS (20) 는 T3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이러한 요청들을 계속 거절할 것이다. SIM (13) 은 각각의 거절된 비선호 네트워크를 임시 FPLMN 리스트에 추가한다. 후속하는 자동 네트워크 선택을 수행할 때, UE (12) 는 임시 FPLMN 리스트 상의 네트워크들을 스킵하도록 구성된다.)
도 1d 는 제 1 공공 LTE (14) 및 제 2 공공 LTE (16) 양자가 임시 FPLMN 리스트 상에 배치된 후에, UE (12) 가 사설 LTE (18) (선호 네트워크) 인 이용가능한 커버리지를 갖는 유일한 나머지 네트워크에 어태치하도록 요청할 것임을 도시한다. 사설-LTE RAN (24) 으로부터 어태치먼트 요청의 수신 시, NSE (21) 는 이 어태치먼트 요청을 허용하도록 HSS (20) 에 지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UE (12) 는 선호 네트워크인 사설 LTE (18) 로 성공적으로 스티어링된다.
T1 타이머의 만료 시, SIM (13) 은 임시 FPLMN 리스트를 클리어하도록 구성되어, UE (12) 가 제 1 공공 LTE 네트워크 (12) 또는 제 2 공공 LTE 네트워크 (14) 에 후속적으로 접속하게 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HSS (20) / NSE (21) 가 T3 타이머가 활성인 동안 비선호 네트워크들로부터의 모든 어태치먼트 요청을 거절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T3 타이머가 또한 만료되었다고 가정함).
도 1e 는 UE (12) 가 사설 LTE 네트워크 (18) 의 커버리지 영역 외부의 새로운 위치로 이동한 것을 도시한다. 이 시나리오에서, T1 타이머가 만료되었고 (이는 SIM (13) 이 임시 FPLMN 리스트를 클리어했음을 의미함), T3 타이머도 만료되었다고 (이는 HSS (20) / NSE (21) 가 더 이상 비선호 네트워크들로부터의 어태치먼트 요청들을 거절하도록 구성되지 않음을 의미함) 가정된다. 따라서, UE (12) 가 사설 LTE 네트워크 (18) 에 대한 접속을 손실하고 제 1 공공 LTE 네트워크 (14) 에 접속하려고 시도할 때, HSS (20) 는 공공 LTE 네트워크 (14) 의 RAN (28) 으로부터 어태치먼트 요청을 허용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UE (12) 가 선호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영역 외부로 이동할 때 UE (12) 는 비선호 네트워크로부터 모바일 네트워크 서비스들을 수신할 수 있다.
HSS (20) 가 비선호 네트워크인 제 1 공공 LTE 네트워크 (14) 로부터의 어태치먼트 요청을 허용할 때, NSE (21) 는 미리 결정된 지속기간으로 설정된 T2 타이머를 시작하도록 구성되며, 그 만료시 NSE (21) 는 UE (12) 의 업데이트된 위치에 대해 제 1 공공 LTE 네트워크 (14) 에 질의하도록 HSS (20) 를 트리거한다. 도 1f 는, NSE (21) 가 UE (12) 는 사설 LTE 네트워크 (18) 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된다고 결정하는 경우, NSE (21) 는 '리셋-리프레시' OTA SMS 메시지를 UE (12) 에 전송하여 위에서 설명된 스티어링 프로세스를 개시하도록 HSS (20) 를 트리거할 것임을 도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NSE (21) 는 자신의 커버리지가 이용가능할 때, UE (12) 를 선호 네트워크로 스티어링하는 한편, UE (12) 가 선호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영역 밖에 있을 때, UE (12) 가 다른 비선호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NSE (21) 는 UE (12) 의 현재 위치로부터 선호 네트워크 (34) 가 커버리지를 갖는 가장 가까운 위치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선호 네트워크가 커버리지를 갖는 위치로의 UE (12) 의 예상된 도달에 기초하여 시간 T2 에 대한 타이머를 동적으로 설정할 것이다. 타이머 T2 의 만료시, NSE (21) 는 UE (12) 의 새로운 위치에 대한 위치 업데이트를 트리거한다.
도 2 는 도 1a 내지 도 1e 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한 예시적인 시그널링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단계들 (102 및 104) 에서, UE (12) 는 제 1 공공 LTE 네트워크 (14) 에 어태치한다. 단계 (106) 에서, NSE (21) 는 다이어미터 IDR (Insert Subscriber-Data Request) 을 사용하여 UE (12) 의 위치를 취출하도록 HPLMN 의 HSS (20) 를 트리거하며, 단계 (108) 에서 HSS (20) 는 제 1 공공 LTE 네트워크 (14) 로 전송한다. 단계 (110) 에서, IDR 에 응답하여, 제 1 공공 LTE 네트워크 (14) 의 이동성 관리 엔티티 (MME) 는 IDA (Insert Subscriber-Data Answer) 메시지에서 UE (12) 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리턴한다. 단계 (112) 에서, HSS (20) 는 UE (12) 의 위치 정보를 NSE (21) 에 통신한다.
단계 (114) 에서, NSE (21) 는 UE (12) 가 사설-LTE 네트워크 (18) 가 커버리지를 갖는 지리적 영역 내에 위치되는 것을 검출한다. 단계들 (116 및 118) 에서, NSE (21) 는 HSS (20) 가 '리셋-리프레시' OTA 커맨드를 SMS 를 통해 UE (12) (UE (12) 가 SIM 카드(13)로 전달함) 에 전송하도록 트리거한다. OTA SMS 커맨드는 다음을 포함한다: (1) 사설-LTE 네트워크 (18) 의 PLMN ID, (2) 공공-LTE PLMN ID 의 리스트 (SIM 은 금지된 PLMN 으로서 진입할 것임), 및 (3) T1 타이머 값 및 R1 카운터 값. 이 시점에서, 단계 (120) 에서, NSE (21) 는 미리 결정된 지속기간 동안 T3 타이머를 시작하고, 그 동안 NSE (21) 는 비선호 네트워크들로부터의 모든 어태치먼트 요청들의 거절들을 트리거할 것이다.
단계 (122) 에서, OTA SMS 를 수신하면, SIM 카드 (13) 는 3GPP TS 31.111 에 따라 UE (12) 에게 '리프레시' 커맨드 및 절차를 실행하도록 요청한다. UE (12)/SIM (13) 은 단계 (124) 에서 자신의 메모리에 저장된 '최종 어태치된 PLMN' 을 클리어하고, 임시 금지된 (FPLMN) 리스트에서 공공-LTE FPLMN ID 를 설정하고, T1 타이머를 시작한다. 단계들 (126 및 128) 에서, UE (12) 는 어태치할 네트워크를 자동으로 검색하고 선택한다. 금지된 PLMN 리스트 내의 모든 PLMN들은 스킵될 것이다.
이 예시적인 시나리오에서, 단계 (130) 에서, UE (12) 는 FPLMN 리스트에 아직 리스트되지 않은 제 2 공공 LTE 네트워크 (16) 에 어태치하려고 시도한다. 단계 (132) 에서, 제 2 공공 LTE 네트워크 (16) 는 다이어미터 ULR (Update-Location-Request) 을 HSS (20) 에 전송한다. 단계 (134) 에서, NSE (21) 는 이러한 어태치 요청을 수신한다. 단계 (136) 에서, T3 타이머는 여전히 활성이고, 따라서, NSE (21) 는 비선호 네트워크들로부터의 모든 어태치 요청들을 거절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단계들 (138 및 140) 에서, NSE (21) 는 'RoamingNotAllowed' 거절을 제 2 공공 LTE 네트워크 (16) 에 전송하도록 HSS (20) 를 트리거한다. 단계 (142) 에서, UE (12) 는 어태치 거절 메시지를 수신한다. 단계 (144) 에서, UE (12) 는 제 2 공공 LTE 네트워크 (16) 를 FPLMN 리스트에 추가한다.
다음으로, 단계 (146) 에서, UE (12) 는 제 1 공공 LTE 네트워크 (14) 및 제 2 공공 LTE 네트워크 (16) 양자가 FPLMN 리스트 상에 위치되었기 때문에 이들을 스킵하면서 다른 자동 네트워크 선택 절차를 수행할 것이다. 따라서, UE (12) 는 사설 LTE 네트워크 (18) 를 선택할 것이다. 단계 (148) 에서, UE (12) 는 사설-LTE 네트워크 (18) 에 어태치하도록 요청한다. 단계 (150) 에서, 사설 LTE 네트워크 (18) 는 HSS (20) 에 ULR 메시지를 전송한다. 단계 (152) 에서, HSS (20) 는 이 어태치먼트 요청을 NSE (21) 에 통신한다. 단계 (154) 에서, NSE (21) 는 (선호 네트워크인) 사설 LTE 네트워크 (18) 로부터 어태치 요청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단계들 (156 및 158) 에서, NSE (21) 는 ULA 메세지를 사설 LTE 네트워크 (18) 에 전송하도록 HSS (20) 를 트리거한다. 단계 (160) 에서, UE (12) 는 어태치 허용 메시지를 수신하고 사설 LTE 네트워크 (18) 에 성공적으로 어태치한다.
단계 (162) 에서, T1 타이머가 만료될 때, UE 가 네트워크에 어태치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SIM 카드 (13) 는 다음의 단계들을 실행할 것이다: (1) 그 임시 FPLMN 리스트를 클리어하는 것, 및 (2) T1 타이머를 리셋하는 것. (UE 가 임의의 네트워크에 어태치되지 않으면, SIM (13) 은 UE (12) 가 자동 네트워크 어태치먼트를 수행하도록 트리거할 것이다. UE (12) 가 여전히 임의의 네트워크에 어태치되지 않으면, 이 프로세스는 R1 카운터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될 것이다.)
단계 (172) 에서, UE (12) 는 사설 LTE 네트워크 (18) 의 커버리지 영역을 떠나거나 또는 (커버리지 없는) 사설-LTE 데드-존에 진입한다. 단계 (174) 에서, UE (12) 는 사설-LTE 네트워크 (18) 로부터 디태치할 것이다. 단계 (176) 에서, (FPLMN 리스트가 단계 (162) 에서 이미 클리어되었기 때문에) UE (12) 는 제 1 공공 LTE 네트워크 (14) 를 선택한다. 단계 (178) 에서, UE (12) 는 제 1 공공 LTE 네트워크 (14) 에 어태치 요청을 전송한다. 단계 (180) 에서, 제 1 사설 LTE 네트워크 (14) 는 HSS (20) 에 ULR 을 전송한다. 단계 (182) 에서, HSS (20) 는 이 어태치 요청을 NSE (21) 에 통신한다. T3 가 만료되었기 때문에, NSE (21) 는 더 이상 비선호 네트워크들로부터의 어태치먼트 요청들을 거절하도록 구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단계 (184) 에서, NSE (21) 는 제 1 공공 LTE 네트워크 (14) 로부터 ULR 을 허용한다. 단계들 (186 및 188) 에서, NSE (21) 는 ULA 를 제 1 공공 LTE 네트워크 (14) 에 전송하도록 HSS (20) 를 트리거한다. 단계 (190) 에서, 제 1 공공 LTE 네트워크 (14) 는 어태치 허용 메세지를 UE (12) 에 전송한다. 이 시점에서, UE (12) 는 제 1 공공 LTE 네트워크 (16) 에 어태치되고, UE (12) 가 사설 LTE (18) 의 커버리지 영역 밖에 있는 동안 그에 어태치된 채로 유지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비선호 네트워크로부터의 어태치 요청을 허용하면, NSE (21) 는 T2 타이머를 시작한다. T2 타이머의 만료 시에, NSE (21) 는 HSS (20) 가 자신의 업데이트된 위치에 대해 UE (12) 에 질의하도록 트리거할 것이다. UE (12) 의 업데이트된 위치가 사설 LTE (18) 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 경우, NSE (21) 는 UE (12) 를 사설 LTE 네트워크 (18) 로 스티어링하기 위해 UE (12) 에 다른 스티어링 커맨드 ('리셋-리프레시') 를 전송하도록 HSS (20) 를 트리거할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f 는 비선호 네트워크들이 제 1 공공 5G 네트워크 (28) 및 제 2 공공 5G 네트워크 (30) 인 다른 예시적인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이러한 비선호 네트워크들은 선호 사설 5G 네트워크 (32) 의 커버리지 영역과 중첩되는 커버리지 영역들을 갖는다. 도 3a 는 UE (12) 가 제 1 공공 5G 네트워크 (28) 만이 커버리지를 갖는 지리적 위치에 초기에 위치되는 것을 도시한다. 이 상황에서, 사설 5G 네트워크 (32) 는 UE (12) 가 포지셔닝되는 지리적 위치에서 커버리지를 갖지 않기 때문에, UE (12) 는 제 1 공공 5G 네트워크 (28) 에 어태치된다.
도 3b 는 미리 결정된 지속기간 (T2 타이머) 의 만료 시에, UE (12) 가 가입된 HPLMN 의 UDM (Unified Data Management) (34) 상에서 호스팅된 NSE (21) 가 Namf_Location_ProvideLocationInfo 요청으로 UE (12) 의 위치를 취출하도록 구성되고, 공공 5G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 (AMF) 이 Namf_Location_ProvideLocationInfo 응답 메시지에서 UE (12) 의 위치를 리턴하는 것을 도시한다. UE (12) 의 현재 위치가 사설 5G 네트워크 (32) 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으면, NSE (21) 는 '리셋-리프레시' OTA SMS 메시지를 UE (12) / SIM (13) 에 전송하도록 UDM (34) 을 트리거할 것이다.
OTA SMS 를 수신하면, SIM (13) 는 3GPP TS 31.111 에 따라 UE (12) 에게 'REFRESH' 커맨드 및 절차를 실행하도록 요청한다. UE 는 자신의 메모리에 저장된 '최종 어태치된 PLMN' 을 클리어하고, 임시 FPLMN 리스트에서 공공-5G FPLMN ID 를 설정하고, T1 타이머를 시작한다. UE (12) 는 어태치할 네트워크를 검색하고 자동으로 선택할 것이다. 금지된 PLMN 리스트 내의 모든 PLMN들은 스킵될 것이다. 도 3c 는, UE (12) 가 (FPLMN 리스트에 리스트되지 않은) 제 2 공공 5G 네트워크 (30) 에 어태치하려고 시도하는 경우, UDM (34) 내의 NSE (21) 는 또한 'RoamingNotAllowed' 로 거절할 것이고, UE (12) 는 이 제 2 공공 5G 네트워크 (30) 를 FPLMN 리스트에 추가할 것임을 도시한다.
도 3d 는 이용가능한 비선호 네트워크들을 FPLMN 리스트에 추가한 후, UE (12) 가 사설-5G 네트워크에 어태치할 것임을 도시한다.
T1 타이머가 만료될 때, UE 가 네트워크에 어태치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SIM 카드 (13) 는 다음의 단계들을 실행할 것이다: (1) 그 임시 FPLMN 리스트를 클리어하는 것, 및 (2) T1 타이머를 리셋하는 것. UE (12) 가 임의의 네트워크에 어태치되지 않으면, SIM (13) 은 UE (12) 가 자동 네트워크 어태치먼트 절차를 수행하도록 트리거할 것이다. UE (12) 가 여전히 임의의 네트워크에 어태치되지 않으면, 이 프로세스는 R1 카운터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된다.
도 3e 는 UE (12) 가 사설 5G 네트워크 (30) 의 커버리지 영역을 떠나고, 따라서 사설 5G 네트워크 (30) 로부터 디태치되는 것을 도시한다. FPLMN 리스트가 이미 클리어되었기 때문에, UE (12) 가 제 1 공공-5G 네트워크 (28) 에 어태치하려고 시도할 때, NSE (21) 는 (T3 타이머가 만료된다고 가정하여) 어태치먼트 시도를 허용하도록 UDM (34) 을 트리거할 것이다. 이 시점에서, NSE (21) 는 T2 타이머를 시작할 것이고, 그 만료 시에, NSE (21) 는 UE (12) 의 업데이트된 위치에 대해 공공 5G 네트워크 (28) 에 질의하도록 UDM (34) 을 트리거할 것이다.
도 3f 는, UE (12) 의 새로운 위치가 사설 5G 네트워크 (30) 커버리지 내에 있다는 것을 UDM (34) 내의 NSE (21) 가 검출할 때, NSE (21) 가 UE (12) 에 대한 '리셋-리프레시' OTA 커맨드를 트리거할 것이고, 따라서,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UE (12) 를 사설 5G 네트워크 (32) 로 다시 스티어링한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4 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공공-5G PLMN 으로부터 사설-5G PLMN 으로 스티어링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한 시그널링 다이어그램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도 2 에 도시된 시그널링 다이어그램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방법과 유사하다. 방법은 UE (12) 가 공공-5G PLMN에 어태치되는 것으로 시작한다. 다음으로, NSE (21) 는 UE (12) 의 위치를 취출하기 위해 제 1 공공 5G 네트워크 (28) 의 AMF 에 HTTP/2 Namf_Location_ProvideLocationInfoReq 요청을 전송하도록 UDM (34) 에 명령한다. AMF 는 HTTP/2 응답 메시지에서 셀 ID 로 응답한다.
다음으로, NSE (21) 는 UE (12) 가 사설-5G 네트워크 (32) 가 커버리지를 갖는 지리적 위치 내에 위치된다고 결정한다. NSE (21) 는 (1) 공공-2G/3G/4G/5G PLMN ID들의 리스트, (2) 사설-5G 네트워크 (32) 의 PLMN ID, (3) T1 타이머 값, 및 (4) R1 재시도 카운터 값을 포함하는 OTA SMS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UDM (34) 에 명령한다. NSE (21) 는 T3 타이머를 시작한다. UE (12) 는 SMS 콘텐츠를 SIM 카드 (13) 에 전달하고, SIM 카드 (13) 는 공공-2G/3G/4G/5G PLMN ID들의 리스트를 임시 FPLMN 리스트에 배치한다. SIM 카드 (13) 는 T1 타이머를 시작하고, UE (12) 에게 자동 네트워크 선택을 수행하도록 명령한다.
도 4 를 계속 참조하면, UE (12) 는 FPLMN 리스트 내의 공공 PLMN 으로부터 네트워크 어태치먼트를 스킵하지만, 여전히 FPLMN 리스트 상에 포함되지 않은 다른 공공 PLMN들 - 이 예에서, 제 2 공공 5G 네트워크 (30) - 에 어태치하는 것을 시도할 수도 있다. 제 2 공공 5G 네트워크 (30) 가 비선호 네트워크이고 T3 타이머가 아직 만료되지 않았기 때문에, NSE (21) 는 'RoamingNotAllowed' 로 이러한 HTTP/2 Nudm_UECM_Registration 요청을 거절하도록 UDM (34) 을 트리거할 것이다. 거절을 수신하면, UE (12) 는 제 2 공공-5G 네트워크 (30) 의 PLMN ID 를 FPLMN 리스트에 추가할 것이다. 다른 2G/3G/4G/5G 공공 PLMN들의 네트워크 어태치먼트 요청들도 동일한 방식으로 거절될 것이다.
도 4 는 UE (12) 가 사설-5G 네트워크 (32) 에 어태치하려고 시도할 때, NSE (21) 가 어태치 요청을 허용하도록 UDM (34) 을 트리거할 것임을 추가로 도시한다. 이 시점부터, UE (12) 는 사설 5G 네트워크 (32) 를 통해 인터넷에 액세스할 수 있다.
도 4 를 계속 참조하면, T1 타이머가 만료될 때, SIM 카드 (13) 는 그 임시 FPLMN 리스트를 클리어한다. T3 타이머가 만료될 때, NSE (21) 는 UDM (34) 이 공공-5G 네트워크들 (28 및 30) 로부터 네트워크 어태치먼트들을 허용하는 것을 시작하게 할 것이다.
UE (12) 가 사설-5G 커버리지 밖의 영역으로 이동할 때, UE 는 사설-5G 네트워크로부터 디태치할 것이다. UE (12) 는 공공-5G 네트워크 (28 또는 30) 에 어태치하려고 시도할 것이다. FPLMN 리스트가 T1 의 만료 시에 클리어되었기 때문에 그리고 T3 타이머가 만료되었기 때문에, NSE (21) 는 UDM (34) 에게 공공-5G 네트워크 (28 또는 30) 로부터의 HTTP/2 Nudm_UECM_Registration 요청을 허용하도록 지시할 것이다. 이 시점부터, UE (12) 는 공공 5G 네트워크 (28 또는 30) 를 통해 인터넷에 액세스할 수 있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인프라스트럭처 예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법들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또는 적절한 경우에 이들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 및 시스템들, 또는 그 소정의 양태들 또는 부분들은, 하드 드라이브, 고체 상태 드라이브, 또는 임의의 다른 머신-판독가능 저장 매체와 같은 유형의 매체들에 구현된 프로그램 코드 (즉, 명령들) 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팅 디바이스와 같은 머신에 로딩되고 이에 의해 실행될 때, 머신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가 된다. 프로그램가능 컴퓨터 상의 프로그램 코드 실행의 경우, 컴퓨팅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프로세서, 프로세서에 의해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저장 엘리먼트들을 포함), 적어도 하나의 입력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것이다. 프로그램(들)은 원하는 경우, 어셈블리 또는 머신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경우든, 언어는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일 수 있으며, 하드웨어 구현들과 조합된다.
발명은 또한 일부 송신 매체를 통해, 예컨대 전기 배선 또는 케이블을 통해, 광섬유를 통해, 또는 임의의 다른 형태의 송신을 통해 송신되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구현된 통신을 통해 실시될 수 있으며, 여기서 프로그램 코드는, EPROM, 게이트 어레이,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 (Programmable Logic Device; PLD), 클라이언트 컴퓨터 등과 같은 머신에 수신 및 로딩되고 이에 의해 실행될 때, 머신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가 된다. 범용 프로세서에서 구현될 때, 프로그램 코드는 프로세서와 조합하여 발명의 기능성을 호출하도록 동작하는 고유한 장치를 제공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과 관련하여 사용된 임의의 저장 기법들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일 수 있다.
위에 기술된 이점들, 및 전술한 개시로부터 명백해진 이점들이 효율적으로 달성된다.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기 구성에서 소정의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도 있기 때문에, 전술한 개시에 포함되거나 첨부 도면들에 나타낸 모든 사항들은 제한적인 의미가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1)

  1. 제 1 비선호 모바일 네트워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커버리지 영역을 갖는 선호 모바일 네트워크로 상기 제 1 비선호 모바일 네트워크에 어태치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스티어링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가 상기 선호 모바일 네트워크의 상기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선호 모바일 네트워크의 상기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스티어링 커맨드를 트리거하는 단계로서, 상기 스티어링 커맨드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비선호 모바일 네트워크로부터 디태치하고, 상기 제 1 비선호 모바일 네트워크를 금지된 공공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들 (FPLMN) 의 리스트 상에 배치하고, 그리고 제 1 네트워크 선택 절차를 개시하여 상기 FPLMN 의 리스트 상에 포함되지 않은 이용가능한 네트워크에 어태치하도록 지시하는, 상기 스티어링 커맨드를 트리거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선호 모바일 네트워크에 어태치하기 위한 제 1 어태치먼트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어태치먼트 허용 메시지를 트리거하고, 그에 의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선호 모바일 네트워크에 어태치할 수 있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스티어링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어태치먼트 요청 이전에 제 2 비선호 네트워크로부터의 제 2 어태치먼트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어태치먼트 거절을 트리거하는 단계로서, 상기 어태치먼트 거절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비선호 네트워크를 상기 FPLMN 의 리스트에 추가하고, 제 2 네트워크 선택 절차를 개시하여 상기 FPLMN 의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다른 이용가능한 네트워크에 어태치하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스티어링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FPLMN 의 리스트는 가입자 식별 모듈 (SIM) 에 저장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스티어링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FPLMN 의 리스트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스티어링 커맨드를 수신한 후에 제 1 미리 결정된 지속기간의 만료 후에 클리어되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스티어링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미리 결정된 지속기간 동안의 타이머가 상기 스티어링 커맨드에 응답하여 가입자 식별 모듈 (SIM) 에서 설정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스티어링하는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모바일 네트워크의 상기 커버리지 영역 외부의 제 1 의 새로운 위치로 이동할 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FPLMN 의 리스트가 클리어된 후에 상기 제 1 비선호 모바일 네트워크에 어태치하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스티어링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비선호 모바일 네트워크에 어태치한 후에 제 2 미리 결정된 지속기간의 만료 시에,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은 제 2 의 새로운 위치가 상기 선호 모바일 네트워크의 상기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 2 의 새로운 위치가 상기 선호 모바일 네트워크의 상기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상기 스티어링 커맨드를 트리거하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스티어링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선호 모바일 네트워크의 상기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스티어링 커맨드를 트리거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실행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스티어링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가입된 홈 공공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 (HPLMN) 에서 호스팅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스티어링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은 홈 가입자 서버 (HSS) 또는 통합 데이터 관리 (UDM) 노드 상에서 호스팅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스티어링하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모바일 네트워크는 롱 텀 에볼루션 (LTE) 네트워크 또는 사설 5 세대 (5G) 네트워크인, 모바일 디바이스를 스티어링하는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커맨드는 공중 경유 (OTA) 단문 메세지 서비스 (SMS) 메시지로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스티어링하는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커맨드는 상기 FPLMN 의 리스트, 상기 선호 모바일 네트워크의 식별, 또는 만료 시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FPLMN 의 리스트를 클리어할 것인 제 1 미리 결정된 지속기간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스티어링하는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커맨드는 '리셋-리프레시' 메시지인, 모바일 디바이스를 스티어링하는 방법.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커맨드 이후의 미리 결정된 지속기간 동안,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비선호 네트워크에 어태치하기 위한 상기 제 2 어태치먼트 요청은 거절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스티어링하는 방법.
  1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어태치먼트 요청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홈 공공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 (HPLMN) 로부터 제 2 비선호 모바일 네트워크로 'RoamingNotAllowed' 응답을 전송함으로써 거절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스티어링하는 방법.
  17. 명령들의 세트가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의 세트는, 컴퓨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가 어태치되는 제 1 비선호 모바일 네트워크로부터 선호 모바일 네트워크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스티어링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명령들의 세트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가 상기 선호 모바일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선호 모바일 네트워크의 상기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스티어링 커맨드를 트리거하는 것으로서, 상기 스티어링 커맨드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비선호 모바일 네트워크로부터 디태치하고, 상기 제 1 비선호 모바일 네트워크를 금지된 공공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들 (FPLMN) 의 리스트 상에 배치하고, 그리고 제 1 네트워크 선택 절차를 개시하여 상기 FPLMN 의 리스트 상에 포함되지 않은 이용가능한 네트워크에 어태치하도록 지시하는, 상기 스티어링 커맨드를 트리거하는 것;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선호 모바일 네트워크에 어태치하기 위한 제 1 어태치먼트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어태치먼트 허용 메시지를 트리거하고, 그에 의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선호 모바일 네트워크에 어태치할 수 있게 하는 것
    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어태치먼트 요청 이전에 제 2 비선호 네트워크로부터의 제 2 어태치먼트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어태치먼트 거절을 트리거하는 것으로서, 상기 어태치먼트 거절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비선호 네트워크를 상기 FPLMN 의 리스트에 추가하고, 제 2 네트워크 선택 절차를 개시하여 상기 FPLMN 의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다른 이용가능한 네트워크에 어태치하도록 구성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FPLMN 의 리스트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스티어링 커맨드를 수신한 후에 제 1 미리 결정된 지속기간의 만료 후에 클리어되고, 그에 의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선호 모바일 네트워크의 상기 커버리지 영역 외부의 새로운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또는 제 2 비선호 모바일 네트워크에 어태치할 수 있게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선호 모바일 네트워크의 상기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다고 결정하는 것에 후속하여, 비선호 네트워크들로부터의 어태치먼트 요청들이 거절되는 미리 결정된 지속기간 동안 타이머가 설정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커맨드는 공중 경유 (OTA) 단문 메세지 서비스 (SMS) 메시지로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되고, 상기 스티어링 커맨드는 상기 FPLMN 의 리스트, 상기 선호 모바일 네트워크의 식별, 또는 만료 시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FPLMN 의 리스트를 클리어할 것인 제 1 미리 결정된 지속기간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0220030908A 2021-03-12 2022-03-11 공공 모바일 네트워크로부터 사설 모바일 네트워크로 모바일 디바이스를 스티어링하는 방법 KR202201283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160383P 2021-03-12 2021-03-12
US63/160,383 2021-03-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312A true KR20220128312A (ko) 2022-09-20

Family

ID=80738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0908A KR20220128312A (ko) 2021-03-12 2022-03-11 공공 모바일 네트워크로부터 사설 모바일 네트워크로 모바일 디바이스를 스티어링하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63945B1 (ko)
EP (1) EP4057701A1 (ko)
KR (1) KR20220128312A (ko)
CN (1) CN115086989A (ko)
CA (1) CA3151958A1 (ko)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29481B2 (en) 2001-05-15 2004-12-07 Novatel Wireles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lligent inter-system handoff
GB2395867B (en) 2002-11-28 2004-11-10 Orange Personal Comm Serv Ltd Mobile communications
GB2399476B (en) 2003-03-14 2006-08-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Fast handover in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s
US7440755B2 (en) 2003-06-17 2008-10-2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7616954B2 (en) 2003-08-05 2009-11-10 Roamware,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GSMA IR. 73 SoR compliant cellular traffic redirection
JP2008500756A (ja) 2004-05-27 2008-01-10 ノキア コーポレイション マルチモード・ローミング管理携帯デバイス
FI20045288A0 (fi) 2004-08-11 2004-08-11 Nokia Corp Liityntäpistepalvelu matkaviestinkäyttäjille
US9154907B2 (en) 2005-06-21 2015-10-06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periodic location reporting in a radio access network
US8369292B2 (en) 2006-06-30 2013-02-05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ity management in communication networks
FI20075469A0 (fi) 2007-06-20 2007-06-20 Nokia Siemens Networks Oy Yksityisen tukiaseman käytettävyys
US8219090B2 (en) 2009-01-08 2012-07-10 Aeris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on of a cellular network
US8090395B2 (en) 2009-03-12 2012-01-03 Qualcomm Incorporated Scanning channels while a device is out of service
GB2485552B (en) 2010-11-17 2014-11-12 Evolved Intelligence Ltd Mobile device roaming
US8996044B2 (en) 2012-09-09 2015-03-31 Apple Inc. Conflict avoidance in a device configured to operate according to multiple cellular communication protocols
EP2863670A1 (en) 2013-10-18 2015-04-22 Gemalto SA Method for updating the FPLMN file of a security element and corresponding steering platform
US10575128B2 (en) 2017-02-20 2020-02-25 JVC Kenwood Corporation Management device, management method, and terminal device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on image and displaying image
US10924969B2 (en) 2018-07-31 2021-02-16 Qualcomm Incorporated Periodic network reselection search while receivin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s
US10827422B1 (en) * 2019-11-13 2020-11-03 Syniverse Technologies, Llc Intelligent steering method and system for private LTE and 5G telecommunication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95385A1 (en) 2022-09-15
US11463945B1 (en) 2022-10-04
CA3151958A1 (en) 2022-09-12
CN115086989A (zh) 2022-09-20
EP4057701A1 (en) 2022-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82005B2 (en) Method for managing session and SMF node
JP7176584B2 (ja) 通信システム
US11457403B2 (en)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performing access control in 5GS
US11528763B2 (en) Method of processing establishment of MA PDU session, and AMF node and SMF node
US10869244B2 (en)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fallback for voice call from 5G mobile communication to 4G
US9706530B2 (en) Communic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US10827422B1 (en) Intelligent steering method and system for private LTE and 5G telecommunication networks
CN108141741B (zh) 一种语音漫游方法,移动性管理网元及接入网网元
US9497614B1 (en) National traffic steering device for a better control of a specific wireless/LTE network
KR101680956B1 (ko) 디바이스 백오프 시의 서비스 처리
KR20200069384A (ko) Ue를 전용 코어 네트워크 노드에 리디렉트하기 위한 방법들 및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CN101500212A (zh) 分组域用户处理电路域业务的方法、装置及系统
RU2671057C2 (ru) Система связи
JP7156486B2 (ja) 方法及びuser equipment
CN113841429B (zh) 用于发起切片特定的认证和授权的通信网络组件和方法
US9226157B2 (en) Cell access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WO2020001512A1 (en) Restoring service to mobile device on home network
CN112752314A (zh) Eps回落的方法、装置、核心网设备及基站
KR20220128312A (ko) 공공 모바일 네트워크로부터 사설 모바일 네트워크로 모바일 디바이스를 스티어링하는 방법
US11792761B2 (en) Session management function registration and deregistration
EP2916594B1 (en) User equipment registration method and radio network controller
KR102209643B1 (ko) 응급 서비스 처리
KR20230047284A (ko) 음성통화 설정시간 단축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