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7976A - Fume extractor - Google Patents

Fume extra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7976A
KR20220127976A KR1020210032440A KR20210032440A KR20220127976A KR 20220127976 A KR20220127976 A KR 20220127976A KR 1020210032440 A KR1020210032440 A KR 1020210032440A KR 20210032440 A KR20210032440 A KR 20210032440A KR 20220127976 A KR20220127976 A KR 20220127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take
fume collector
fume
ai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24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24179B1 (en
Inventor
김진선
김태웅
Original Assignee
(주)청파이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파이엠티 filed Critical (주)청파이엠티
Priority to KR1020210032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4179B1/en
Publication of KR20220127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79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4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41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45Means for power supply or devices using electrical power in filters or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9Means for wireless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8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temperature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6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automat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yclone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me collector, and more specifically, to a fume collector capable of purifying air in a field by collecting fume generated in a work environment including line equipment of an automated process and a user's work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ume collector includes: a main body comprising a second housing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with an open upper part and having an inner space, and a first housing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housing; a purification filter for purifying external air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ume collector according to set operating conditions.

Description

흄 포집기{FUME EXTRACTOR}Fume Collector {FUME EXTRACTOR}

본 발명은 흄 포집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화 공정의 라인 설비 및 사용자의 작업대 등을 포함하는 작업 환경에서 발생하는 흄(Fume)을 포집하여, 현장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흄 포집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me collector, and more particularly, a fume collector capable of purifying the air in the field by collecting fumes generated in a work environment including line equipment of an automated process and a user's workbench. is about

흄(Fume)은 가열이나 화학 반응 등에 의해 발생하는 고체 미립자 또는 이를 포함하는 연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담배 연기, 매연 및 유해 화학 가스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특히, 가스화된 유해 화학 물질은 인체에 치명적일 수 있으며, 라인 설비 및 실험실의 기구에도 영향을 미쳐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Fume refers to solid particulates generated by heating or chemical reaction or smoke including the same, and may include cigarette smoke, soot, and harmful chemical gases. In particular, gasified hazardous chemicals can be fatal to the human body, and can also affect line equipment and laboratory equipment, resulting in accidents.

이와 관련된 종래 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1901847호는 실내 유해가스 정화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실험실 환경에서 연구활동 종사자의 건강에 직결되는 공기를 정화하여 쾌적한 실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실험실 유해가스 정화 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발생하는 유해 물질이 작업 환경에 퍼지는 것을 완벽히 차단하기 어려우며, 자동화 라인 설비가 구비되는 작업 환경에 적용하기는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다.As a related prior art, Korean Patent No. 10-1901847 discloses an indoor harmful gas pur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is, there is provided a laboratory harmful gas purification device capable of creating a pleasant experimental environment by purifying the air that is directly related to the health of research activity workers in a laboratory environment. On the other hand,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block the generated harmful substances from spreading to the work environment, and there is also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to the work environment in which an automated line facility is provided.

한국등록특허 제10-1901847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01847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자동화된 자동화 공정의 라인 설비 및 사용자의 작업대 등을 포함하는 작업 환경에 적용 가능하고, 흄의 발생 지점에서 흄을 직접 흡입하여 공기질을 유지시킬 수 있는 흄 포집기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s applicable to a work environment including line equipment of an automated automated process and a user's workbench, etc., and can maintain air quality by directly inhaling fumes at the point where the fumes are generated. We would like to provide a fume collector with

본 발명의 흄 포집기는 자동화 공정의 라인 설비 및 사용자의 작업대를 포함하는 작업 환경에서 발생하는 흄(Fume)을 흡입하여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가 개방되는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 공간을 갖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상부와 결합되는 제1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 필터; 및 설정된 동작 조건에 따라 상기 흄 포집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ume coll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purifying air by sucking fumes generated in a work environment including line equipment of an automated process and a user's workbench. a main body comprising a second housing and a first housing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housing; a purification filter for purifying external air introduced into the body;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ume collector according to the set operating conditions.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면에는 외부 공기를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되, 상기 공기 흡입구는 상기 제1 하우징 상면에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 흡입구 각각에는 외부 공기를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공기 흡입관;이 연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n air inlet for introducing external air into the body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and a plurality of air intake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and each of the air intakes has external air An air suction pipe for guiding the to be introduced into the body; may be connect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 흡입관은 작업 환경에서 직접적으로 발생하거나 일정량 이상 발생하는 흄(Fume)을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제1 공기 흡입관; 및 작업 환경에서 간접적으로 발생하거나 일정량 이하로 발생하는 흄을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제2 공기 흡입관;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ir suction pipe may include: a first air suction pipe for guiding fume generated directly in the work environment or generated over a certain amount to be introduced into the body; and a second air intake pipe for guiding fumes indirectly generated in the working environment or generated in a predetermined amount or less to be introduced into the body.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 흡입관은 일단에 흄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온도 정보를 획득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동작 조건 및 획득한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흄 포집기의 동작을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ir intake pipe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that acquires temperature inform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fumes are generated at one end, and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fume collector based on the set operating conditions and the acquired temperature information.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일 실시예에서, 하부는 상기 공기 흡입구와 결합되고, 상부는 상기 제1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공기 흡입관과 끼움 결합되는 공기 흡입구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ower portion is coupled to the air intake, the upper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first housing, the air intake cover fitted with the air intake pipe; may further inclu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 흡입구 커버는 상부가 제1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끼움 결합되는 공기 흡입관의 종류에 따라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ir intake cover is formed so that the upper portion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first housing, it may be form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air intake pipe to be fitt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화 필터는 상기 제1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 흡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1차 정화하는 흡입구 필터; 및 서로 상이한 기능을 갖는 필터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상기 1차 정화된 외부 공기를 2차 정화하는 복합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purification filter may include: an intake filter formed inside the first housing to primarily purify external air introduced from the air intake port; and a composite filter configured by a combination of filters having different functions, and secondarily purifying the firstly purified external air.

일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구 필터는 오픈 셀(Open Cell)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공기 흡입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며, 상기 공기 흡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소정 크기 이상의 물질을 미리 필터링함으로써 상기 복합 필터의 기능을 유지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take filter is formed in an open cell structure to reduce the noise generated in the air intake pipe, and by pre-filtering substances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flowing in from the air intake port, the function of the composite filter can keep

일 실시예에서, 상기 흄 포집기를 서로 연동시키거나 또는 다른 장치와 연동시키기 위한 통신 포트; 및 페달 장치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페달 장치의 조작을 통해 상기 흄 포집기를 수동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페달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communication port for interlocking the fume collector with each other or with other devices; and a pedal terminal capable of manually operating the fume collector through manipulation of the pedal device when the pedal device is connect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로 연동된 흄 포집기를 설정된 동작 조건에 따라 통합 제어함으로써, 상기 작업 환경의 공기 정화를 자동화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automate the air purification of the work environment by controlling the fume collectors interlocked with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set operating conditions.

본 발명에 따른 흄 포집기는 흄의 발생 지점에서 흄을 포집하므로, 흄의 확산을 사전 차단하고, 작업 환경의 공기질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fume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fumes at the point where the fumes are generated, there is an effect of blocking the diffusion of fumes in advance and maintaining the air quality of the work environment at a high leve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흄 포집기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되어 통합 제어가 가능하므로, 자동화 공정에 함께 적용하여 시설의 작업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ume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rlock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o enable integrated control,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facility by applying it to the automated process togeth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흄 포집기는 흄 발생 여부를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동작하므로,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ume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automatically by detecting whether fumes are generated, there is an effect that power can be efficiently us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흄 포집기는 별도로 구비되는 흡입구 필터를 통해 흄 포집기 동작 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고, 메인 필터 역할을 하는 복합 필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fume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noise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fume collector through an inlet filter provided separately and extending the life of the composite filter serving as the main filt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흄 포집기(100)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흄 포집기(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122)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흄 포집기(100)의 활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form of a fume collec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ume collec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mposite filter 12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utilization of the fume collec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 "...unit"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s a unit for processing one or more functions or operations,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흄 포집기(100)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form of a fume collec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흄 포집기(100)는 자동화 공정의 라인 설비 및 사용자의 작업대를 포함하는 작업 환경에서 발생하는 흄(Fume)을 흡입하여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외형은 크게 상부가 개방되는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 공간을 갖는 제2 하우징(112) 및 상기 제2 하우징(112)의 상부와 결합되는 제1 하우징(111)으로 구성되는 본체(110)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 the fume collec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purifying air by inhaling fumes generated in a work environment including line equipment of an automated process and a user's workbench. , the outer shape of which is formed in the form of a hexahedron with an open upper portion, and a second housing 112 having an internal space and a body 110 consisting of a first housing 111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housing 112 . can be composed of

아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흄 포집기(1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형태를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a detailed configuration and form of the fume collec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흄 포집기(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122)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흄 포집기(100)의 활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ume collec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mposite filter 12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utilization of the fume collec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제1 하우징(111)의 상면에는 외부 공기를 상기 본체(110)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공기 흡입구(1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공기 흡입구(10)는 제1 하우징 상면(111)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 흡입구 각각(10-1, 10-2, 10-3, 10-4)에는 외부 공기를 본체(110)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공기 흡입관(20)이 연결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공기 흡입관(20)은 그 형태를 간략히 나타낸 것이며, 도 4를 참조하면, 구체적인 공기 흡입관(21, 22)의 형태에 대한 예시가 나타나 있다.1 and 2 , an air intake 10 for introducing external air into the body 11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11 . Here, a plurality of air intakes 1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11 of the first housing, and external air is supplied to each of the air intakes 10-1, 10-2, 10-3, and 10-4 to the body ( 110) An air intake pipe 20 that guides the inflow into the interior may be connected. The air intake pipe 20 shown in FIG. 2 is a schematic representation of its shape, and with reference to FIG. 4 , examples of specific shapes of the air intake pipes 21 and 22 are shown.

일 실시예에서, 공기 흡입구(10)는 제1 하우징 상면(111)에 복수 개로 형성되되, 총 4개의 공기 흡입관(20)을 연결할 수 있도록 4채널(10-1, 10-2, 10-3, 10-4)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ir intake 10 is formed in plurality on the upper surface 111 of the first housing, four channels (10-1, 10-2, 10-3) to connect a total of four air intake pipes (20) , 10-4) may be formed.

일 실시예에서, 공기 흡입관(20)은 상술한 작업 환경에서 직접적으로 발생하거나 일정량 이상 발생하는 흄을 본체(110)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제1 공기 흡입관(21) 및 상술한 작업 환경에서 간접적으로 발생하거나 일정량 이하로 발생하는 흄을 본체(110)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제2 공기 흡입관(2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공기 흡입관(21) 및 제2 공기 흡입관(22)은 유연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되어 본체(110)와 멀리 떨어진 위치가 아니라면 연장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위치 선정이 가능하다. 또한, 제1 공기 흡입관(21) 및 제2 공기 흡입관(22)의 사용 예를,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공기 흡입관(21)은 작업대(90)에서 발생하는 흄, 특히 작업 공구(91)를 이용한 작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흄을 본체(110)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제2 공기 흡입관(22)은 작업 공구(91)에 남은 잔여 물질에서 발생하는 흄을 본체(110)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공기 흡입관(22)은 작업 공구(91)를 거치하는 공구 거치대에 일단이 위치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작업 공구(91)의 잔여물에서 발생하는 흄을 처리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ir intake pipe 20 is a first air intake pipe 21 that guides the fumes generated directly in the above-described working environment or generated in excess of a certain amount to be introduced into the body 110, and indirectly in the above-described working environment. It may include a second air intake pipe 22 for guiding the fumes generated as a fumes or generated in a predetermined amount or less to be introduced into the body 110 . Here, the first air intake tube 21 and the second air intake tube 22 ar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o that the position can be freely selected within the extension limit unless the position is far from the main body 110 . In addition, when an example of use of the first air intake pipe 21 and the second air intake pipe 22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 the first air intake pipe 21 is a fume generated in the workbench 90 , particularly The fume generated in the work process using the work tool 91 may be guided to be introduced into the body 110 . In addition, the second air suction pipe 22 may be used to guide the fume generated from the residual material remaining in the work tool 91 to be introduced into the body 110 . For example, the second air suction pipe 22 is installed so that one end is positioned on a tool holder that holds the work tool 91 , so that fumes generated from the residue of the work tool 91 can be treated.

일 실시예에서, 제1 공기 흡입관(21)은 흄의 본체(110) 내부 유입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흡입 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제1 공기 흡입관(21)의 일단에는 작업 환경에서 일정량 이상 발생하는 흄을 본체(110)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시키기 위해 흡입 후드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 후드는 흄 발생 지점과 가까운 위치에서 사용해도 내구성에 문제되지 않도록 난연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air intake pipe 21 may include a suction hood for improving the inflow of fume into the body 110 .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4 , a suction hood may be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air suction pipe 21 to easily introduce fumes generated in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in the working environment into the body 110 . In addition, the suction hood may be made of a flame-retardant material so that durability is not a problem even when used in a location close to a fume generating point.

일 실시예에서, 공기 흡입관(20)은 일단에 흄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온도 정보를 획득하는 온도 센서(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공기 흡입관(21, 22)의 일단에는 흄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온도 정보를 획득하는 온도 센서(4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공기 흡입관(22)은 작업 공구(91)와 가까운 거리에 설치되는 경우 작업 공구(91)의 온도 및 작업 공구(91)와 인접한 대기 온도를 포함하는 온도 정보를 획득하여 제어부(13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제1 공기 흡입관(21)은 작업 공구(91) 등을 이용한 작업이 진행되는 지점의 대기 온도를 포함하는 온도 정보를 획득하여 제어부(130)에 전송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ir intake pipe 20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40 for acquiring temperature inform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fumes are generated at one en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mperature sensor 40 for acquiring temperature inform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fumes are generated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air intake pipes 21 and 22 . For example, when the second air suction pipe 22 is installed at a close distance to the work tool 91, the control unit obtains temperature information including the temperature of the work tool 91 and the ambient temperature adjacent to the work tool 91. may be transmitted to 130 , and the first air suction pipe 21 may acquire temperature information including the atmospheric temperature of a point at which work using the work tool 91 is performed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ler 130 .

일 실시예에서, 흄 포집기(100)는 하부는 공기 흡입구(10)와 결합되고, 상부는 제1 하우징(111)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공기 흡입관(20)과 끼움 결합되는 공기 흡입구 커버(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공기 흡입구 커버(30)는 제1 하우징(111) 상면에 형성되는 공기 흡입구(10)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공기 흡입구(10)가 4채널로 구성되는 경우, 공기 흡입구 커버(30)도 4개로 구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ume collector 100 has a lower portion coupled to the air inlet 10 , and an upper portion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first housing 111 so as to be fitted with the air intake pipe 20 and the air intake cover 30 . ) may be further included. Here, the air intake cover 30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air intakes 1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11 , for example, the air intake 10 is composed of four channels. In this case, the air intake cover 30 may also be composed of four.

일 실시예에서, 공기 흡입구 커버(30)는 상부가 제1 하우징(111)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끼움 결합되는 공기 흡입관(20)의 종류에 따라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흡입구 커버(30)의 상부는 제1 공기 흡입관(21) 및 제2 공기 흡입관(22)과 같이 사용 용도에 따라 형태가 상이하게 형성되는 공기 흡입관(20) 각각과 끼움 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ir intake cover 30 is formed so that the upper portion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first housing 111, it may be form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air intake pipe 20 to be fitted. For example, the upper portion of the air intake cover 30 is fitted with each of the air intake tubes 20 that are form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intended use, such as the first air intake tube 21 and the second air intake tube 22 . It can be formed to be possible.

일 실시예에서, 흄 포집기(100)는 본체(110)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를 방출하기 위한 공기 방출구(1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하우징(112)의 일 측면에는 본체(110)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를 방출하기 위한 공기 방출구(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 방출구(11)는 메쉬(Mesh)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fume collector 100 may include an air outlet 11 for discharging external air introduced into the body 110 . Specifically, an air outlet 11 for discharging external air introduced into the body 11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housing 112 , and the air outlet 11 may be a mesh. type can be formed.

일 실시예에서, 흄 포집기(100)는 흄 포집기(100)를 서로 연동시키거나 또는 다른 장치와 연동시키기 위한 통신 포트(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하우징(112)의 공기 방출구(11)가 형성되는 일 측면과 마주보는 측면에는 통신 포트(5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부(130)는 통신 포트(50)를 이용한 유선 통신으로 다른 흄 포집기(100) 및 다른 장치와 연동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가 다른 기기 및 장치와 연동되기 위한 방법이 유선 통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130)는 무선 통신을 통해서도 다른 기기 및 장치와 연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흄 포집기(100)는 통신 포트(50)를 통해서 와이파이, RS485, 이더넷 등을 포함하는 통신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ume collector 1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port 50 for interworking the fume collector 100 with each other or with other devices. Specifically, a communication port 50 may be formed on a side opposite to one side of the second housing 112 on which the air outlet 11 is formed. Here, the control unit 130 may be interlocked with other fume collectors 100 and other devices through wired communication using the communication port 50 . In addition, the method for the control unit 130 to interwork with other devices and devices is not limited to wired communication, and the control unit 130 may interwork with other devices and devices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s well. For example, the fume collector 100 may use a communication means including Wi-Fi, RS485, Ethernet, etc.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50 .

일 실시예에서, 흄 포집기(100)는 페달 장치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페달 장치의 조작을 통해 흄 포집기(100)를 수동으로 동작 가능하게 하는 페달 단자(5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흄 포집기(100)에 페달 단자(51)를 통해 페달 장치를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된 페달 장치를 조작하여 흄 포집기(100)를 수동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fume collector 100 may include a pedal terminal 51 that enables the fume collector 100 to be manually operated through manipulation of the pedal device when the pedal device is connected. For example, the user may connect a pedal device to the fume collector 100 through the pedal terminal 51 , and may manually operate the fume collector 100 by manipulating the connected pedal device.

일 실시예에서, 흄 포집기(100)는 전원 단자(5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단자(52)는 AC 110V 내지 240V, 50/60Hz의 사용 규격 범위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ume collector 100 may include a power terminal 52 . Specifically, the power terminal 52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tandard range of AC 110V to 240V, 50/60Hz.

일 실시예에서, 흄 포집기(100)는 흄 포집기(100)를 작업대(90) 또는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브라켓(53)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ume collector 100 may include a fixing bracket 53 for fixing the fume collector 100 to the workbench 90 or a wall surface.

일 실시예에서, 흄 포집기(100)는 흄 포집기(100)를 이동시킬 수 있는 바퀴(8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110)의 제2 하우징(112) 하부에는 흄 포집기(100)를 이동시킬 수 있는 바퀴(80)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흄 포집기(100)의 바퀴(80)는 결합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흄 포집기(100) 사용 위치 및 목적에 따라 이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바퀴(80)는 내구성 향상 및 이동 시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우레탄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ume collector 100 may include a wheel 80 that can move the fume collector 100 . Specifically, a plurality of wheels 80 capable of moving the fume collector 100 may be formed under the second housing 112 of the main body 110 . Here, the wheel 80 of the fume collector 100 is designed to be coupled and disengaged, and whether to use the fume collector 10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purpose of use. In addition, the wheel 80 may be made of a urethane material to improve durability and reduce noise during movement.

흄 포집기(100)는 설정된 동작 조건에 따라 흄 포집기(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ume collector 100 may include a controller 130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ume collector 100 according to a set operating condition.

일 실시예에서, 본체(110)의 제1 하우징(111) 전면부에는 흄 포집기(100)의 동작을 사용자가 직접 제어하거나, 동작 제어 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컨트롤러(6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컨트롤러(6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형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130)는 컨트롤러(60)를 통한 사용자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흄 포집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흄 포집기(100)는 도 1에 도시된 컨트롤러(60) 외에 흄 포집기(100)의 동작을 원격 제어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 controller 60 capable of direct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ume collector 100 or setting operation control conditions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111 of the main body 110 . Here, the controller 60 may be configured as a touch-type display capable of sensing a user's touch input, and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fume collector 100 based on the user's touch input through the controller 60 . can do. 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ume collector 100 may further include a remote controller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ume collector 100 in addition to the controller 60 shown in FIG. 1 .

일 실시예에서, 흄 포집기(100)는 컨트롤러(60) 및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동작 시의 풍량 정보 및 흄 포집기(100) 내부의 정화 필터(120)에 대한 필터 교체 시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ume collector 100 may provide information on the filter replacement time for the purification filter 120 inside the fume collector 100 and air volume information during operation through the controller 60 and the remote controller. have.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상기 설정된 동작 조건 및 획득한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흄 포집기의 동작을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40)가 작업 공구(91)의 온도 정보를 획득하여 제어부(130)에 전송하면, 제어부(130)는 상기 온도 정보를 통해 상기 설정된 동작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흄 포집기(1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온도 센서(40)에 의해 100℃ 이상의 온도가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온도 센서(40)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가 60℃ 이하가 될 때까지 흄 포집기(10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온도 센서(40)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에 기초하여 흄 포집기(100)의 풍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흄 포집기(100) 내부에는 외부 공기를 흡입 및 방출하기 위한 모터(70)가 위치할 수 있으며, 제어부(130)는 모터(7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흄 포집기(100)가 흄을 포함하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모터(70)는 흄 포집기(100)가 저전력을 소모하고, 동작 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이 감소될 수 있도록 BLDC 모터로 구현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130 may automatical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ume collector based on the set operating condition and the acquired temperature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the temperature sensor 40 acquires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work tool 91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130,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whether the set operating condition is satisfied through the temperature information, The fume collector 100 may be operated. As a specific example, when a temperature of 100° C. or higher is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40,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fume collector 100 until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40 is 60° C. or less. It can be controlled to operate, and the air volume of the fume collector 100 can be controlled based on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40 . At this time, a motor 70 for sucking and discharging external air may be located inside the fume collector 100 , and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otor 70 , so that the fume collector 100 operates the fume It can be controlled to suck in the external air containing the. Also, here, the motor 70 may be implemented as a BLDC motor so that the fume collector 100 consumes low power, and noise and vibration generated during operation can be reduced.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상기 설정된 동작 조건 및 획득한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하우징(111) 내부 및 공기 흡입구(10) 하부에 위치하는 흡입구 개폐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복수로 구성되는 공기 흡입구(20)와 연결되는 각 공기 흡입관(20)의 온도 센서(40)로부터 획득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흡입구 개폐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30)는 상기 설정된 동작 조건을 충족시키는 온도 정보를 전송하는 온도 센서(40)를 구별한 후, 해당 온도 센서(40)를 포함하는 공기 흡입관(20)과 연결되는 공기 흡입구(10)만 개방되고 다른 공기 흡입구(10)는 닫히도록 상기 흡입구 개폐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intake opening/closing valve located inside the first housing 111 and below the air intake 10 based on the set operating condition and the acquired temperature information. Specifically,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intake opening/closing valve based 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temperature sensor 40 of each air intake pipe 20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air intake ports 20 .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30 distinguishes the temperature sensor 40 that transmits temperature information satisfying the set operating condition, and then the air intake port connected to the air intake pipe 20 including the corresponding temperature sensor 40 . The inlet opening/closing valve may be controlled so that only (10) is opened and the other air inlet (10) is closed.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서로 연동된 흄 포집기(100)를 설정된 동작 조건에 따라 통합 제어함으로써, 상기 작업 환경의 공기 정화를 자동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복수의 흄 포집기(100)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동되는 경우, 복수의 흄 포집기(100) 중 하나의 컨트롤러(60)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인가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흄 포집기(100)를 통합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30 may automate the air purification of the work environment by controlling the fume collectors 100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set operating conditions. Specifically, when the plurality of fume collectors 100 are interlocked through wired/wireless communication,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one of the plurality of fume collectors 100 based on a user input applied to the controller 60 or the remote controller. Thus, the plurality of fume collectors 100 can be integrated and controlled.

일 실시예에서, 흄 포집기(100)는 자동화 공정의 라인 설비와 데이터 연동 가능한 제어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제어부(130)는 흄 포집기(100)가 상기 라인 설비와 연동되는 경우, 수신하는 상기 설비의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흄 포집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자동화 공정에 적용된 납땜 로봇의 동작 정보를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한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흄 포집기(1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화 공정이 적용되는 작업 환경의 공기 정화 과정 또한 자동화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ume collector 100 includes a control interface capable of data interworking with the line equipment of the automated process, and the control unit 130 receives the fume collector 100 when interworking with the line equipment. An operation of the fume collector 100 may be controlled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the controller 130 may receive operation information of a soldering robot applied to an automated process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operate the fume collector 100 based on the received oper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the air purification process of the work environment to which the automated process is applied can also be automated.

흄 포집기(100)는 제1 하우징(111) 및 제2 하우징(112)에 의해 수용되어, 본체(110)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 필터(1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ume collector 100 is accommodated by the first housing 111 and the second housing 112 , and may include a purification filter 120 for purifying external air flowing into the body 110 .

일 실시예에서, 정화 필터(120)는 제1 하우징(111) 내부에 형성되어, 공기 흡입구(10)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1차 정화하는 흡입구 필터(121) 및 서로 상이한 기능을 갖는 필터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상기 1차 정화된 외부 공기를 2차 정화하는 복합 필터(122)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urification filter 120 is formed inside the first housing 111, the intake filter 121 for primary purification of external air flowing in from the air intake 10, and filters having different functions from each other. Composed of a combination, it may include a composite filter 122 for secondary purification of the primary purified external air.

일 실시예에서, 흡입구 필터(121)는 오픈 셀(Open Cell) 구조로 형성되어 공기 흡입관(20)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며, 상기 공기 흡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소정 크기 이상의 물질을 미리 필터링함으로써 복합 필터(122)의 기능을 유지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흡입구 필터(121)는 오픈 셀 구조인 부직포 재질로 구성되고, 5mm 이내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하우징(111) 내부에 형성되되, 공기 흡입구(10)의 하부에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공기 흡입관(20)을 통해 흡입되는 외부 공기 마찰음 등으로 인한 소음을 저감 및 소음 공진 형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소정 크기 이상으로 형성되는 공기 중의 고형 입자 및 유증기의 기름 찌꺼기 등을 포함하는 물질을 미리 필터링하여, 복합 필터(122)의 수명을 연장 및 기능을 유지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let filter 121 is formed in an open cell structure to reduce noise generated in the air intake pipe 20, and by pre-filtering a material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introduced from the air intake port, the composite filter The function of (122) can be maintained. Here, the inlet filter 121 is made of a nonwoven material having an open cell structure, may be formed to a thickness of 5 mm or less, and is formed inside the first housing 111 , so as to be adjacent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ir inlet 10 .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duce noise caused by friction noise of external air sucked through the air intake pipe 20 and prevent a noise resonance shap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lifespan of the composite filter 122 and maintain the function by filtering in advance substances including solid particles in the air and oil residues of oil vapor that are formed over a predetermined size.

일 실시예에서, 도 3을 참조하면, 복합 필터(122)는 미디움 필터(122-1), 헤파 필터(122-2), 프리 필터(122-3), 활성탄 필터(122-4), 포스트 필터(122-5) 및 필터 보호망(122-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디움 필터(122-1)는 0.4um 이상의 미세 입자를 필터링할 수 있다. 또한, 헤파 필터(122-2), 프리 필터(122-3), 활성탄 필터(122-4) 및 포스트 필터(122-5)를 통해 0.3um 크기까지의 미세 입자를 필터링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referring to FIG. 3 , the composite filter 122 includes a medium filter 122-1, a HEPA filter 122-2, a pre-filter 122-3, an activated carbon filter 122-4, and a post filter.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lter (122-5) and a filter protection net (122-6). Specifically, the medium filter 122-1 may filter fine particles of 0.4 μm or mor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ilter fine particles up to 0.3 μm in size through the HEPA filter 122-2, the pre-filter 122-3, the activated carbon filter 122-4, and the post filter 122-5.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10: 공기 흡입구
11: 공기 방출구
20: 공기 흡입관
21: 제1 공기 흡입관
22: 제2 공기 흡입관
30: 공기 흡입구 커버
40: 온도 센서
50: 통신 포트
51: 페달 단자
52: 전원 단자
53: 고정 브라켓
60: 컨트롤러
70: 모터
80: 바퀴
90: 작업대
91: 작업 공구
100: 흄 포집기
110: 본체
111: 제1 하우징
112: 제2 하우징
120: 정화 필터
121: 흡입구 필터
122: 복합 필터
122-1: 미디움 필터
122-2: 헤파 필터
122-3: 프리 필터
122-4: 활성탄 필터
122-5: 포스트 필터
122-6: 필터 보호망
130: 제어부
10: air intake
11: air outlet
20: air intake pipe
21: first air intake pipe
22: second air intake pipe
30: air intake cover
40: temperature sensor
50: communication port
51: pedal terminal
52: power terminal
53: fixing bracket
60: controller
70: motor
80: wheel
90: workbench
91: work tool
100: fume collector
110: body
111: first housing
112: second housing
120: purification filter
121: inlet filter
122: composite filter
122-1: medium filter
122-2: HEPA filter
122-3: pre-filter
122-4: activated carbon filter
122-5: post filter
122-6: filter protection net
130: control unit

Claims (10)

자동화 공정의 라인 설비 및 사용자의 작업대를 포함하는 작업 환경에서 발생하는 흄(Fume)을 흡입하여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흄 포집기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는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 공간을 갖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상부와 결합되는 제1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 필터; 및
설정된 동작 조건에 따라 상기 흄 포집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흄 포집기.
In the fume collector for purifying air by inhaling fumes generated in the work environment including the line equipment of the automated process and the user's work table,
A body comprising: a second housing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with an open upper portion and having an inner space and a first housing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housing;
a purification filter for purifying external air introduced into the body;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ume collector according to the set operating conditions;
fume colle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면에는 외부 공기를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되,
상기 공기 흡입구는,
상기 제1 하우징 상면에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 흡입구 각각에는 외부 공기를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공기 흡입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 포집기.
According to claim 1,
An air intake port for introducing external air into the body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The air intake is
A plurality of piece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An air intake pipe for guiding external air to be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is connected to each of the air intake port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fume collect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관은,
작업 환경에서 직접적으로 발생하거나 일정량 이상 발생하는 흄(Fume)을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제1 공기 흡입관; 및
작업 환경에서 간접적으로 발생하거나 일정량 이하로 발생하는 흄을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제2 공기 흡입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 포집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ir intake pipe is
a first air intake pipe for guiding fumes generated directly in the working environment or generated over a certain amount to be introduced into the body; and
A second air intake pipe for guiding fumes indirectly generated in the working environment or generated in a predetermined amount or less to be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ume collect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관은,
일단에 흄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온도 정보를 획득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동작 조건 및 획득한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흄 포집기의 동작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 포집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ir intake pipe is
At one end, a temperature sensor for acquiring temperature inform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fumes are generated; includes,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ume collector based on the set operating conditions and the acquired temperature information,
fume collector.
제2항에 있어서,
하부는 상기 공기 흡입구와 결합되고, 상부는 상기 제1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공기 흡입관과 끼움 결합되는 공기 흡입구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 포집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lower portion is coupled to the air intake, the upper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first housing, the air intake cover is fitted with the air intake pip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fume collecto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구 커버는,
상부가 제1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끼움 결합되는 공기 흡입관의 종류에 따라서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 포집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air intake cover,
The upper part is formed to protrude out of the first hous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air intake pipe to be fitted,
fume colle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 필터는,
상기 제1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 흡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1차 정화하는 흡입구 필터; 및
서로 상이한 기능을 갖는 필터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상기 1차 정화된 외부 공기를 2차 정화하는 복합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 포집기.
According to claim 1,
The purification filter is
an inlet filter formed inside the first housing to primarily purify external air introduced from the air inlet; and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filters having different functions, the composite filter for secondary purification of the primary purified external ai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ume collecto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 필터는,
오픈 셀(Open Cell)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공기 흡입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며, 상기 공기 흡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소정 크기 이상의 물질을 미리 필터링함으로써 상기 복합 필터의 기능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 포집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inlet filter is
It is formed in an open cell structure to reduce noise generated from the air intake pipe, and to maintain the function of the composite filter by pre-filtering substances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flowing in from the air intake port,
fume collecto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흄 포집기를 서로 연동시키거나 또는 다른 장치와 연동시키기 위한 통신 포트; 및
페달 장치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페달 장치의 조작을 통해 상기 흄 포집기를 수동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페달 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 포집기.
5. The method of claim 4,
a communication port for interlocking the fume collectors with each other or with other devices; and
When a pedal device is connected, a pedal terminal capable of manually operating the fume collector through operation of the ped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fume collecto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로 연동된 흄 포집기를 설정된 동작 조건에 따라 통합 제어함으로써, 상기 작업 환경의 공기 정화를 자동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 포집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automating the air purification of the work environment by integrally controlling the fume collectors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set operating conditions,
fume collector.
KR1020210032440A 2021-03-12 2021-03-12 Fume extractor KR1026241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440A KR102624179B1 (en) 2021-03-12 2021-03-12 Fume extra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440A KR102624179B1 (en) 2021-03-12 2021-03-12 Fume extra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7976A true KR20220127976A (en) 2022-09-20
KR102624179B1 KR102624179B1 (en) 2024-01-12

Family

ID=83446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2440A KR102624179B1 (en) 2021-03-12 2021-03-12 Fume extra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4179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4838A (en) * 2001-02-07 2002-08-13 Toyota Industries Corp Dust collector
KR101434181B1 (en) * 2012-05-08 2014-08-28 주식회사 청호씨에이 Fume collector fire detection
KR101901847B1 (en) 2018-04-09 2018-09-28 (주)스마트코리아 Harmful gases purifying device
KR101983313B1 (en) * 2018-10-30 2019-05-28 주식회사 건하테크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automobile
KR20210004301A (en) * 2019-07-04 2021-01-13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of exhaust gas collector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4838A (en) * 2001-02-07 2002-08-13 Toyota Industries Corp Dust collector
KR101434181B1 (en) * 2012-05-08 2014-08-28 주식회사 청호씨에이 Fume collector fire detection
KR101901847B1 (en) 2018-04-09 2018-09-28 (주)스마트코리아 Harmful gases purifying device
KR101983313B1 (en) * 2018-10-30 2019-05-28 주식회사 건하테크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automobile
KR20210004301A (en) * 2019-07-04 2021-01-13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of exhaust gas collector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4179B1 (en) 2024-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87846B2 (en) Ductless fume hood gas monitoring and detection system
US20080278041A1 (en) Cable port for biosafety cabinet
KR20220127976A (en) Fume extractor
CN203349406U (en) Combined-type air treatment device
CN111729412B (en) Welding fume purification device for gas shielded welding
CN111618062A (en) Fume hood with simple tail gas treatment facility and tail gas treatment method
US7014674B2 (en) Biological safety cabinet
CN212419039U (en) Fume chamber with simple and easy tail gas treatment facility
KR101765226B1 (en) Air purification apparatus for inflow air
CN213728455U (en) Environment-friendly laboratory fume chamber
KR102393172B1 (en) noxious gases filtering devices having topical exhaust function
CN210522022U (en) Smoke dust treatment device
CN203323305U (en) Photocatalyst and plasma air treatment device for enclosed space
CN203323304U (en) Photocatalyst and adsorptive air treatment device for enclosed space
CN218544686U (en) Changeable engine laboratory environment air conditioning equipment
KR20110020330A (en) A depository reagent
JP2001205110A (en) Draft chamber
CN216011147U (en) Ventilation system is used in laboratory with good protectiveness
KR102149319B1 (en) Grease Filter
CN115365719A (en) Environment-friendly steel box girder welding system and welding method thereof
CN209865720U (en) Air treatment device for pathology laboratory
JP3193463U (en) Gas adsorption device and draft chamber
KR102261716B1 (en) Water supply device of air washer
CN218358053U (en) Chemical industry laboratory flue gas treatment facility
KR102541049B1 (en) Laboratory Desk with Air Purif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