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7179A - 체결 신뢰성이 향상된 임플란트 조립체 - Google Patents

체결 신뢰성이 향상된 임플란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7179A
KR20220127179A KR1020220056610A KR20220056610A KR20220127179A KR 20220127179 A KR20220127179 A KR 20220127179A KR 1020220056610 A KR1020220056610 A KR 1020220056610A KR 20220056610 A KR20220056610 A KR 20220056610A KR 20220127179 A KR20220127179 A KR 20220127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crown
abutment
implant assembly
fasten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6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6349B1 (ko
Inventor
조용문
Original Assignee
조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문 filed Critical 조용문
Priority to KR1020220056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6349B1/ko
Publication of KR20220127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7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70Tooth crowns; Mak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8Pins, needles; Head structur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sitio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75Implant heads specially designed for receiving an upper 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체결 신뢰성이 향상된 임플란트 조립체는, 임플란트 조립체에 있어서, 치조골에 체결이능하도록 구비되는 픽스쳐와; 상기 픽스쳐와 체결되는 어버트먼트와; 상기 어버트먼트와 체결되도록 마련되는 크라운과; 상기 픽스쳐, 어버트먼트 및 크라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상호 체결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부재; 및 상기 어버트먼트에 일시적으로 체결되도록 구비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체결 신뢰성이 향상된 임플란트 조립체{Assembly for implants with improved fastening reliability}
본 발명은 임플란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임플란트 조립체를 구성하는 크라운의 체결 진행 시, 상기 크라운의 내부에 형성되는 체결 경로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신뢰성 있는 체결 구조를 보유한 체결 신뢰성이 향상된 임플란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인공치아 이식방법이란, 결손이 이루어진 치아나 조직에 손상을 주지 않고도 자연치아와 동일한 기능과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대표적으로는 환자의 치조골에 인공치아를 이식하는 임플란트가 있다.
이러한 임플란트는 대개, 치조골에 식립되어 인공치근의 역할을 하는 픽스츄어(fixture)와, 상기 픽스츄어(fixture)에 체결되어 환자의 잇몸 위로 올라오는 어버트먼트(abutment)와, 상기 어버트먼트(abutment)에 체결되는 인공치아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어버트먼트로는 임플란트 제작사에서 픽스츄어와 함께 제공하는 기성 어버트먼트가 많이 사용된다.
그런데, 기성 어버트먼트는 환자 개개인의 구강구조(예컨대, 주변치아 및 대합치와의 교합, 잇몸의 상태 및 잇몸 라인)의 차이를 전혀 반영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보철에 사용되는 인공치관의 크기나 형상도 반영하지 못한다.
이에 따라, 기성 어버트먼트가 지나치게 작아서 시술완료 후 인공치관을 충분히 지지하지 못하게 될 수도있고, 지나치게 커서 인공치관 설계/가공 상의 여유도가 감소하여 인공치관의 강도가 저하되는 원인이 될 수도 있다.
특히, 환자의 치조골에 픽스츄어를 식립할 때 부정확한 방향으로 식립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어버트먼트의 방향도 틀어지게 되고,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가 인공치관을 지지하지 못하여 보철물의 기능성과 심미성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이를 감안하여, 환자 개개인에게 적합하도록 환자 맞춤형 어버트먼트(커스텀 어버트먼트)를 제작하는 방법이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술한 커스텀 어버트먼트를 사용하는 경우, 크라운과 커스텀 어버트먼트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체결 부재의 사용 시, 상기 체결 부재의 체결을 위해 형성되는 체결 경로가 상기 커스텀 어버트먼트의 형상에 따라 제각기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었다.
때문에, 크라운과 커스텀 어버트먼트의 체결 진행 시, 상기 크라운에 형성되어야 하는 체결 경로를 판단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결과적으로 정확한 체결 경로의 파악이 어려워져 최종적으로 제작되는 임플란트 조립체의 체결 신뢰성 또한 저하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KR 10-2012-0076339 A "개인화된 어버트먼트 제작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체결 신뢰성이 향상된 임플란트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임플란트 조립체를 구성하는 체결부재를 통한 크라운과 어버트먼트의 상호 체결 진행 시, 상기 크라운에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체결경로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체결부재가 정확한 위치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보다 안정적인 체결 상태를 보유할 수 있는 체결 신뢰성이 향상된 임플란트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체결 신뢰성이 향상된 임플란트 조립체는, 임플란트 조립체에 있어서, 치조골에 체결되도록 구비되는 픽스쳐와; 상기 픽스쳐와 체결되는 어버트먼트와; 상기 어버트먼트와 체결되도록 마련되는 크라운과; 상기 픽스쳐, 어버트먼트 및 크라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상호 체결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부재; 및 상기 어버트먼트에 일시적으로 체결되도록 구비되는 가이드 부재(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픽스쳐와 상기 어버트먼트를 상호 체결하는 어버트먼트 체결부재; 및 상기 어버트먼트와 상기 크라운을 상호 체결하며, 상기 가이드 부재의 체결 해제 시, 상기 크라운을 관통하여 상기 어버트먼트와 체결되도록 구비되는 크라운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체결부재가 형성하는 체결경로와 동일한 경로에 형성되는 가상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크라운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크라운 체결부재의 체결경로를 결정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단에 형성되는 경로 안내부; 및 상기 경로 안내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나사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가이드 부재의 하단에 형성되면서, 소정 면적이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고 매끄러운 외주면을 보유하도록 형성되는 안착 보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안착 보조부는, 상기 안착 보조부의 외경이 상기 나사산부를 형성하는 나사산이 이루는 외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크라운 체결부재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크라운을 관통하면서 상기 어버트먼트와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크라운 내측에 안착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크라운 체결부재는, 크라운 체결부재의 하단에 형성되면서, 매끄러운 외주면을 보유하도록 형성되는 체결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체결유도부는, 상기 체결유도부의 외경이 상기 몸체부를 형성하는 나사산이 이루는 외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헤드부는, 상기 헤드부의 외주연 일부가 절삭되어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와 상기 크라운의 내벽면간에 소정의 이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체결력 향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임플란트 조립체는, 상기 어버트먼트에 형성되는 체결경로 상에 안착되면서, 상기 크라운 체결부재와 나사체결되도록 마련되는 체결보조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체결보조수단은, 외력에 의해 변형가능한 소재로 제작되며, 상기 크라운 내에 억지끼움체결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체결보조수단은, 하단 외주연 둘레를 따라 형성되면서, 상방에서 하방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테이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어버트먼트는, 상기 어버트먼트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 1 체결경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체결경로를 따라 형성되는 어버트먼트측 체결홀; 및 상기 크라운과 체결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어버트먼트 측 체결홀과 소정거리 이격된 구역에 연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보조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크라운은, 상기 크라운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 2 체결경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체결경로를 따라 상기 크라운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크라운측 관통홀; 및 상기 크라운측 관통홀 상에 충진되는 레진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크라운측 관통홀의 내측 둘레를 따라 소정 면적 형성되는 요철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크라운은, 상기 크라운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 2 체결경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체결경로를 따라 상기 크라운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크라운측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크라운측 관통홀은, 상기 크라운측 관통홀상에 충진되는 레진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 상단 직경보다 하단 직경이 넓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체결 신뢰성이 향상된 임플란트 조립체는 가이드 부재를 통해, 크라운에 형성되어 어버트먼트와의 체결을 진행하기 위한 체결경로의 정확한 위치 파악을 진행할 수 있음에 따라, 보다 명확한 조립 구조를 파악할 수 있게 되고, 결과적으로 체결 신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 가능하다.
그리고, 어버트먼트 체결부재와 크라운 체결부재를 개별적으로 마련하여, 단일 체결부재를 통한 임플란트 조립체의 조립 진행에 비해, 임플란트 조립체를 구성하는 구성요소간의 체결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 부재의 위치를 체결부재가 형성하는 체결경로와 동일한 경로에 배치시킬 수 있도록 하여, 크라운에 형성되어야 하는 체결경로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체결 신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경로 안내부를 기반으로 크라운에 대한 내부 형상의 결정을 진행할 수 있어, 상기 크라운의 내부에 형성되어야 하는 체결경로를 보다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경로 안내부의 직경을 나사산부의 직경보다 작거나 같도록 형성하여, 크라운의 형상 결정 시, 상기 경로 안내부에 의해 결정되는 체결경로의 확장 등에 의한 크라운의 전체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부재가 어버트먼트와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도록 마련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 부재를 통한 크라운의 내부 형상 결정 진행 후, 어버트먼트로부터 분리시켜, 상기 크라운과 어버트먼트의 상호 체결 진행 시, 상기 가이드 부재가 체결되었던 위치에 체결 부재가 안착되도록 체결함으로써, 체결 정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 가능하다.
그리고, 체결력 향상부의 도입을 통해, 상기 체결력 향상부에 레진의 일부 충진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크라운 체결부재의 회전을 제한하여, 체결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 가능하다.
또한, 체결보조수단을 통해, 크라운 체결부재의 직경을 감소시켜, 체결 이후 크라운에 충진되는 레진의 충진량을 저감, 크라운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 가능하다.
그리고, 체결보조수단을 통해, 크라운 체결부재의 직경을 감소시켜, 체결 이후 크라운에 충진되는 레진의 충진량을 저감, 크라운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 가능하다.
또한, 테이퍼부의 형성을 통해, 상기 어버트먼트에 형성되는 체결경로 측으로 체결을 유도하여, 보다 정확하게 상기 체결보조수단이 안착될 수 있게 되며, 상기 어버트먼트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 또한 제공 가능하다.
그리고, 크라운측 관통홀의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요철면 형성을 통해, 상기 크라운에 충진되는 레진과의 접촉면을 확장시켜, 상기 레진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어, 본 발명의 임플란트 조립체가 보다 견고한 체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단 직경보다 하단 직경이 넓도록 형성되는 크라운측 관통홀의 형성을 통해, 상기 크라운에 충진되는 레진이 최종적으로 굳어졌을 때, 상기 크라운측 관통홀로부터 상기 레진이 탈락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본 발명의 임플란트 조립체가 보다 견고한 체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조립체가 최종적으로 조립되어 시술 대상자의 치아에 식립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조립체를 구성하는 어버트먼트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조립체를 구성하는 어버트먼트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조립체를 구성하는 어버트먼트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조립체를 구성하는 어버트먼트에 가이드 부재가 체결된 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조립체가 크라운과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조립체가 크라운과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조립체를 구성하는 크라운 체결부재와, 체결보조수단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추가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조립체를 구성하는 크라운 체결부재의 평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조립체를 구성하는 크라운 의 단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조립체를 구성하는 크라운의 단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조립체가 최종적으로 조립되어 시술 대상자의 치아에 식립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조립체를 구성하는 어버트먼트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조립체를 구성하는 어버트먼트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조립체를 구성하는 어버트먼트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조립체를 구성하는 어버트먼트에 가이드 부재가 체결된 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임플란트 조립체는, 픽스쳐(100), 어버트먼트(200), 크라운(300), 체결부재(400) 및 가이드 부재(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픽스쳐(100)는 임플란트 시술이 필요한 시술 대상자의 치조골에 체결되며, 상기 시술 대상자의 치조골 및 잇몸의 상태에 따라, 연직방향으로 식립되지 않고, 경사진 체결각을 가지도록 비스듬하게 상기 치조골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픽스쳐(100)는 상기 어버트먼트(200)와의 체결 진행을 위해, 내부에 상기 체결부재(4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 깊이의 체결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픽스쳐(100)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체결부재(400)는 상기 픽스쳐와 상기 어버트먼트를 상호 체결하며, 일단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어버트먼트 체결부재(410)를 포함하며, 상기 픽스쳐(100)와 상기 어버트먼트(200)간의 체결 진행을 위해, 상기 어버트먼트 체결부재(410)가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어버트먼트(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치조골에 비스듬하게 체결된 픽스쳐(100)와의 체결이 진행된다.
여기서, 상기 어버트먼트(20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성 어버트먼트 및 상기 시술 대상자의 잇몸 형상에 대응되어 제작되는 커스텀 어버트먼트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커스텀 어버트먼트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크라운(300)은 체결부재(400)를 통해, 상기 어버트먼트(200)의 상단에 안착된 상태로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400)는 상기 어버트먼트(200)와 상기 크라운(300)을 상호 체결하며, 일단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크라운 체결부재(420)를 포함하며, 상기 어버트먼트(200)와 상기 크라운(300)간의 체결 진행을 위해, 상기 크라운 체결부재(420)가 사용된다.
그리고,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버트먼트(200)는 내부에 상기 어버트먼트 체결부재(410)의 일부를 관통시켜 상기 안착홈 측으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어버트먼트(200)의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안착홈(110)과 동일한 연장선상에 제 1 체결경로(PL1)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어버트먼트(200)의 상단에는 상술한 체결부재(400)의 삽입 및 체결을 진행하기 위한 체결홀(H)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홀(H)의 내주연에는 상기 크라운 체결부재(420)와의 나사체결을 진행하기 위해, 상기 크라운 체결부재(420)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대응되는 형상을 보유한 소정 면적의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크라운(300)은 상기 어버트먼트(200)의 상단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크라운 체결부재(420)를 통해 상호 체결이 진행된다.
이때, 상기 크라운(300) 내부에는, 상기 크라운(300) 내부에 상기 크라운 체결부재(420)가 삽입가능하도록 하방을 향해 제 2 체결경로(PL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크라운(300)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 2 체결경로(PL2)는 후술할 가이드부재를 기반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2 체결경로(PL2)는 앞에서 언급한 상기 어버트먼트(200)내부에 형성되는 제 1 체결경로(PL1)와 동일한 연장선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덧붙여,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조립체를 구성하는 어버트먼트(200)는 보조 체결부(S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체결부(SC)는, 상기 어버트먼트(200)와 크라운(300)과의 체결 편의성을 위해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상술한 상기 제 1 체결경로(PL1)의 상단에 형성되는 체결홀(H)과 소정거리 이격된 구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체결부(SC)를 통해, 상기 어버트먼트(200)와 크라운(300)을 상호 체결하는 체결 부재가 안착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보조 체결부(SC)는 연직방향을 향해 일정구간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어버트먼트(200)와 크라운(300)과의 체결 진행 시, 상기 체결 부재를 연직방향으로 진입시켜 체결할 수 있게 되고, 연직방향으로 진입시킨 상태에서 체결을 진행할 수 있음에 따라, 보다 향상된 체결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체결경로(PL1)의 형성과정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홀(H)은 상기 어버트먼트(200)의 중심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어버트먼트(200) 내부에 형성되는 체결경로(미도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홀(H)에 가이드 부재(500)가 일시적으로 체결되는데, 상기 가이드 부재(500)를 상기 어버트먼트(200)의 체결홀(H) 상에 체결한 이후, 인상재(I)를 이용하여 어버트먼트의 형상을 수득하는 과정을 거쳐, 상기 제 2 체결경로(PL2)의 일부가 형성된 크라운을 디자인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가이드 부재(500)의 위치를 어버트먼트(200) 내부에 형성되는 제 1 체결경로(PL1)와 동일한 경로에 배치시킬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크라운 내부에 형성되어야 하는 체결경로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체결 신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부재(500)는 상기 어버트먼트(200)의 상단에 체결되되, 상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유지한 상태로 상술한 인상재를 이용한 상기 어버트먼트의 형상을 수득하게 되며, 수득한 어버트먼트(200)의 형상을 기반으로 상기 크라운(300)의 형상에 대한 디자인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5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 중 크라운 체결부재가 안착되는 경로이면서, 상기 크라운 내부에 형성되는 크라운측 관통홀의 연장 경로인 체결경로를 결정하며, 상기 어버트먼트와 분리가능하도록 구비된다.
특히, 상기 가이드 부재(500)는 상기 체결경로와 동일한 경로에 형성되는 가상의 연장선상(VL)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부재(500)는 경로 안내부(510), 나사산부(520) 및 안착 보조부(5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경로 안내부(510)는 크라운 체결부재의 체결경로를 결정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500)의 상단에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경로 안내부(510)를 기반으로 크라운에 대한 내부 형상의 결정을 진행할 수 있어, 상기 크라운의 내부에 형성되어야 하는 체결경로를 보다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나사산부(520)는 상기 경로 안내부(510)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어버트먼트(200)의 상단에 체결되도록 마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앞서 설명한 상기 어버트먼트(200)의 상단에 형성되는 체결홀에 상기 크라운의 형상이 최종적으로 결정된 이후 상기 크라운(미도시)과 어버트먼트(200)간의 체결이 진행되기 전까지 일시적으로 안착되어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 부재(500)가 어버트먼트와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도록 마련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 부재(500)를 통한 크라운의 내부 형상 결정 진행 후, 어버트먼트로부터 분리시켜, 상기 크라운과 어버트먼트의 상호 체결 진행 시, 상기 가이드 부재(500)가 체결되었던 위치에 체결 부재가 안착되도록 체결함으로써, 체결 정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 가능하다.
한편, 상기 경로 안내부(510)의 직경은 상기 나사산부(520)의 직경과는 무관하게 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안착 보조부(530)는 상기 가이드 부재(500)의 하단에 형성되면서, 소정 면적이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고 매끄러운 외주면을 보유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안착 보조부(530)의 외경은 상기 나사산부(520)를 형성하는 나사산이 이루는 외경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 보조부(530)는 상기 나사산부(520)를 형성하는 나사골에서부터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안착 보조부(530)의 외경은 상기 나사산부(520)를 형성하는 나사산 보다 작은 직경을 보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 보조부(530)는 상기 나사산부(520)를 형성하는 나사산의 최외곽에서부터 형성되거나, 나사산과 나사골 사이의 구역에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착 보조부(530)의 직경은, 상기 나사산의 외경보다 작은 직경을 보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형상을 보유한 안착 보조부(530)를 통해, 상기 가이드 부재(500)를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상술한 어버트먼트에 체결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조립체를 구성하는 체결부재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조립체가 크라운과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400)는 어버트먼트 체결부재(410) 및 크라운 체결부재(42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어버트먼트 체결부재(4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픽스쳐(100)와 상기 어버트먼트(200)를 상호 체결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크라운 체결부재(420)는 앞서 설명한 가이드부재(미도시)가 상기 어버트먼트(200)로부터 체결 해제 시, 상기 크라운(300)을 관통하여 상기 어버트먼트(200)와 체결되도록 구비된다.
특히, 상기 크라운 체결부재(420)는, 몸체부(421) 및 헤드부(4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몸체부(421)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크라운을 관통하면서 상기 어버트먼트와 체결되도록 형성된다.
덧붙여, 상기 몸체부(421)의 하단에는 소정 면적이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고 매끄러운 외주면을 보유하도록 형성되는 체결 유도부(423)가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 유도부(423)의 형성을 진행함으로써, 상기 크라운 체결부재(420)를 통한 상기 크라운(300)과 어버트먼트(200)간의 체결을 보다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조립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체결 유도부(423)의 외경은 상기 몸체부(421)에 형성되는 나사산이 이루는 외경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 유도부(423)는 상기 몸체부(421)에 형성된 나사산의 나사골에서부터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 유도부(423)의 외경은 상기 몸체부(421)에 형성된 나사산 보다 작은 직경을 보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 유도부(423)는 상기 몸체부(421)에 형성된 나사산의 최외곽에서부터 형성되거나, 상기 몸체부(421)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골 사이의 구역에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 유도부(423)의 직경은, 상기 나사산이 이루는 외경보다 작은 직경을 보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형상을 보유한 체결 유도부(423)를 통해, 상기 크라운 체결부재(420)를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크라운과 어버트먼트간의 체결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422)는 상기 몸체부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크라운 내측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헤드부(422)는, 그 두께가 0.1mm 내지 5mm 범위 내에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헤드부(422)의 두께가 0.1mm 미만인 경우, 상기 크라운 체결부재(420)에 외력을 가하는 경우 상기 헤드부의 변형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헤드부(422)의 두께가 5mm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크라운 체결부재(420)가 상기 크라운(300)의 외부를 향해 노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헤드부(422)는 상술한 범위 내의 두께를 보유하도록 마련된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체결부재 및 체결보조수단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조립체가 크라운과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조립체를 구성하는 크라운 체결부재와, 체결보조수단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임플란트 조립체는 체결보조수단(6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보조수단(600)은, 상술한 크라운에 형성되어야 하는 관통공의 크기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면서도, 어버트먼트와 크라운간의 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크라운 체결부재(420)가 삽입되며, 상기 크라운 체결부재(420)와 상호 나사체결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특히, 상기 체결보조수단(600)은 상기 크라운(30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 2 체결경로(PL2)에 안착되면서, 상기 크라운 체결부재(420)와 나사체결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체결보조수단(600)은, 외력에 의해 변형가능하면서, 티타늄을 포함하는 금속, 비금속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소재로 제작되며, 상기 크라운 내에 억지끼움 체결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도면에는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다양한 형상을 보유하도록 제작되는 어버트먼트(200) 또는 크라운(300)의 형상에 따라 그 직경이 가변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때, 상기 체결보조수단(600)의 내경은 동일하도록 유지하면서, 외경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하여, 즉 상기 체결보조수단(600)과 나사체결 가능하도록 제작되는 1종의 크라운 체결부재(420), 즉, 동일한 규격의 크라운 체결부재(420)를 사용하면서도, 다양한 형상을 보유하도록 맞춤형으로 제작되는 어버트먼트(200) 또는 크라운(300)을 상호 체결시킬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상기 체결보조수단(600)을 통해, 상기 크라운 체결부재(420)의 직경을 감소시켜, 체결 이후 크라운에 충진되는 레진의 충진량을 저감시킬 수 있고, 상기 크라운 체결부재의 직경이 감소되더라도, 억지끼움 체결되는 상기 체결보조수단(600)의 체결 구조를 통해, 상기 크라운(300)의 체결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 가능하다.
한편, 상기 체결보조수단(600)은, 상기 어버트먼트(300)에 형성되는 체결경로 측으로의 초기 삽입을 유도하기 위해 형성되는 테이퍼부(61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테이퍼부(610)는 상기 체결보조수단(600)의 하단 외주연 둘레를 따라 형성되면서, 상방에서 하방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상기 테이퍼부(610)의 형성을 통해, 상기 어버트먼트(300)에 형성되는 체결경로 측으로의 삽입을 유도하여, 보다 정확하게 상기 체결보조수단이 안착될 수 있게 되며, 억지끼움 체결시, 상기 어버트먼트(300)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 또한 제공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추가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조립체의 크라운 체결부재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추가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조립체를 구성하는 크라운 체결부재의 평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라운(300)의 체결을 진행하도록 마련되는 크라운 체결부재(420)는 외주연에 체결력 향상부(422a)가 형성된 헤드부(42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체결력 향상부(422a)는 상기 헤드부(422)의 외주연 일부가 절삭가공되어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422)와 상기 크라운(300)의 내벽면간에 소정의 이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마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체결력 향상부(422a)는, 상기 체결력 향상부(422a)의 형성을 통해 생성된 소정면적의 상기 이격 공간 상에 레진을 포함하는 충진물이 충진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체결력 향상부(422a)의 도입을 통해, 상기 체결력 향상부(422a)에 레진의 일부 충진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크라운 체결부재(420)의 회전을 제한하여, 체결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조립체를 구성하는 크라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조립체를 구성하는 크라운 의 단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라운(300)은 크라운측 관통홀(310)과 요철면(3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크라운측 관통홀(310)은 앞서 설명한 상기 크라운의 내부를 연직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 2 체결경로를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크라운 체결부재가 삽입되면서, 상기 크라운 체결부재의 삽입 이후, 소정량의 레진(R)이 충진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요철면(320)은 상기 크라운측 관통홀(310)상에 충진된 레진(R)이 소정시간 이후 굳은 뒤에 상기 레진이 상기 크라운(300)으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요철면(320)은 상기 크라운측 관통홀(310)의 내측 둘레를 따라 소정 면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요철면(320)의 형성을 통해, 상기 크라운(300)에 충진되는 레진(R)과의 접촉면을 확장시켜, 상기 레진(R)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어, 본 발명의 임플란트 조립체가 보다 견고한 체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조립체를 구성하는 크라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추가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조립체를 구성하는 크라운의 단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라운(300)은 소정 형상의 단면형상을 보유한 크라운측 관통홀(3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또 다른 추가 실시예에 따른 상기 크라운측 관통홀(310)은 앞서 설명한 상기 크라운의 내부를 연직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 2 체결경로를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크라운 체결부재가 삽입되면서, 상기 크라운 체결부재의 삽입 이후, 소정량의 레진(R)이 충진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크라운측 관통홀(310)은, 상기 크라운측 관통홀(310)상에 충진되는 레진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 상단 직경(D1)보다 하단 직경(D2)이 넓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크라운 체결부재(420)가 상기 크라운측 관통홀(310)내로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크라운 체결부재(420)의 상단 직경(D3)은 상기 크라운측 관통홀(310)의 상단 직경(D1)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이처럼, 상단 직경(D1)보다 하단 직경(D2)이 넓도록 형성되는 크라운측 관통홀(310)의 형성을 통해, 상기 크라운(300)에 충진되는 레진(R)이 최종적으로 굳어졌을 때, 상기 크라운측 관통홀(310)로부터 상기 레진(R)이 탈락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본 발명의 임플란트 조립체가 보다 견고한 체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 픽스쳐
200 : 어버트먼트
300 : 크라운
310 : 크라운측 관통홀
320 : 요철면
400 : 체결부재
410 : 어버트먼트 체결부재
420 : 크라운 체결부재
421 : 몸체부
422 : 헤드부
422a : 체결력 향상부
423 : 체결 유도부
500 : 가이드 부재
510 : 경로 안내부
520 : 나사산부
530 : 안착 보조부
600 : 체결보조수단
610 : 테이퍼부
PL1 : 제 1 체결경로
PL2 : 제 2 체결경로
H : 체결홀
I : 인상재
SC : 보조 체결부

Claims (3)

  1. 임플란트 조립체에 있어서,
    치조골에 체결되도록 구비되는 픽스쳐(100);
    상기 픽스쳐와 체결되는 어버트먼트(200);
    상기 어버트먼트와 체결되도록 마련되는 크라운(300);
    상기 픽스쳐, 어버트먼트 및 크라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상호 체결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부재(400);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재(400)는,
    상기 어버트먼트와 상기 크라운을 상호 체결하는 크라운 체결부재(420);를 포함하고,
    상기 임플란트 조립체는,
    상기 어버트먼트에 형성되는 체결경로 상에 안착되면서, 상기 크라운 체결부재(420)와 나사체결되도록 마련되는 체결보조수단(6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신뢰성이 향상된 임플란트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보조수단(600)은,
    외력에 의해 변형가능한 소재로 제작되며, 상기 크라운 내에 억지끼움체결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신뢰성이 향상된 임플란트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보조수단(600)은,
    하단 외주연 둘레를 따라 형성되면서, 상방에서 하방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테이퍼부(6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신뢰성이 향상된 임플란트 조립체.
KR1020220056610A 2021-03-10 2022-05-09 체결 신뢰성이 향상된 임플란트 조립체 KR102446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610A KR102446349B1 (ko) 2021-03-10 2022-05-09 체결 신뢰성이 향상된 임플란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613A KR102397305B1 (ko) 2021-03-10 2021-03-10 체결 신뢰성이 향상된 임플란트 조립체
KR1020220056610A KR102446349B1 (ko) 2021-03-10 2022-05-09 체결 신뢰성이 향상된 임플란트 조립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613A Division KR102397305B1 (ko) 2021-03-10 2021-03-10 체결 신뢰성이 향상된 임플란트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7179A true KR20220127179A (ko) 2022-09-19
KR102446349B1 KR102446349B1 (ko) 2022-09-21

Family

ID=8159071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613A KR102397305B1 (ko) 2021-03-10 2021-03-10 체결 신뢰성이 향상된 임플란트 조립체
KR1020220056610A KR102446349B1 (ko) 2021-03-10 2022-05-09 체결 신뢰성이 향상된 임플란트 조립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613A KR102397305B1 (ko) 2021-03-10 2021-03-10 체결 신뢰성이 향상된 임플란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9730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24329A1 (en) * 2002-06-04 2003-12-04 Joseph Carlton Dental implant
KR20110015496A (ko) * 2010-12-06 2011-02-16 조광식 치과용 임플란트 및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방법
KR20120076339A (ko) 2009-11-20 2012-07-0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알루미늄 합금
KR20160029875A (ko) * 2014-09-05 2016-03-16 장은수 치과용 임플란트 장치 및 치과용 풀림방지부재
KR101669577B1 (ko) * 2015-12-08 2016-10-26 정창주 임플란트 조립장치
KR102068525B1 (ko) * 2017-11-20 2020-01-21 김주식 환자 맞춤형 임플란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186B1 (ko) * 2018-12-06 2021-09-09 문현규 호환용 잇몸보호 어버트먼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24329A1 (en) * 2002-06-04 2003-12-04 Joseph Carlton Dental implant
KR20120076339A (ko) 2009-11-20 2012-07-0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알루미늄 합금
KR20110015496A (ko) * 2010-12-06 2011-02-16 조광식 치과용 임플란트 및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방법
KR20160029875A (ko) * 2014-09-05 2016-03-16 장은수 치과용 임플란트 장치 및 치과용 풀림방지부재
KR101669577B1 (ko) * 2015-12-08 2016-10-26 정창주 임플란트 조립장치
KR102068525B1 (ko) * 2017-11-20 2020-01-21 김주식 환자 맞춤형 임플란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7305B1 (ko) 2022-05-12
KR102446349B1 (ko) 2022-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4073A (en) Impression coping
KR100928655B1 (ko) 개량된 인상 제작용 컴포넌트
US9999510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template to adapt the shape of a bone defect in a jaw to a bone superstructure
BR112012018070B1 (pt) pilar para um implante dentário e combinação de um implante dentário e de um pilar
US4588381A (en) Universal pin for oral implantoprosthesis
KR20010076313A (ko) 최종 보철의 지지용 정밀 영구 포스트를 제조하기 위한예비 덮개 및 그 제조 방법
KR101296741B1 (ko) 힐링 어버트먼트
KR100993666B1 (ko) 정밀유도 식립을 위한 임플란트용 스텐트 제작에 사용되는 고정핀 어셈블리
KR102181295B1 (ko)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
KR102470652B1 (ko) 향상된 체결구조를 갖는 임플란트용 임프레션 코핑
KR20120017951A (ko) 멀티 어버트먼트 장치
KR102551331B1 (ko) 어버트먼트 어셈블리
KR20210076401A (ko) 임플란트 크라운의 회전을 방지하는 지대주
US20240148476A1 (en) Dental Prosthesis
KR101089069B1 (ko)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KR102446349B1 (ko) 체결 신뢰성이 향상된 임플란트 조립체
KR20200014558A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KR101091350B1 (ko)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 및 이를 이용한 인상 채득 방법
KR102080241B1 (ko) 임플란트용 실린더장치
KR100977908B1 (ko) 정밀유도식립을 위한 임플란트용 스텐트의 고정체
KR102119932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치유지대주 및 인상용캡 복합체
US20180263739A1 (en) Dental modeling system and method with direct implant analog and thread retention
KR102283471B1 (ko) 임플란트 시술용 픽스츄어 가이드 커버
US20180353273A1 (en) Implant analogs and methods
KR102599230B1 (ko) 미세 홈을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