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7018A - Water leak detection system for a block containing multiple customers - Google Patents

Water leak detection system for a block containing multiple custom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7018A
KR20220127018A KR1020210031507A KR20210031507A KR20220127018A KR 20220127018 A KR20220127018 A KR 20220127018A KR 1020210031507 A KR1020210031507 A KR 1020210031507A KR 20210031507 A KR20210031507 A KR 20210031507A KR 20220127018 A KR20220127018 A KR 20220127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water
usage
consumers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15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18570B1 (en
Inventor
권종호
Original Assignee
니브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브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니브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1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8570B1/en
Publication of KR20220127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70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8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5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 G01M3/2807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4/00Tariff metering apparatus
    • G01D4/002Remote reading of utility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6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 G01F15/061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for remote ind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problem of increased waste of water caused by a water leak by immediately responding to a water leak even if water leaks in the water supply. A water leak detection system for a block including a plurality of customers is implemented in a computing device including one or more processors and one or more memories stor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processors, and comprises: a flow data receiving unit receiving generated flow data from a first flow sensor when the first flow sensor measures the accumulated flow of water supplied to the block to generate the flow data based on the measured accumulated flow of water; a usage data receiving unit receiving usage data from remote readers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customers when the remote readers generate the usage data based on the usage of water used by the plurality of customers and measured by water meters; a preprocessing data conversion unit normalizing time intervals of the received flow data and the usage data to convert the flow data and the usage data into preprocessing data of an analyzable form; a data analysis unit starting an analysis process on the preprocessing data through a plurality of previously stored algorithms when a predesignated trigger is generated from the outside; and a result output unit outputting result data based on determination results through an output means when whether water leaks for the block is determined based on results of the analysis process started by the data analysis unit. Various other embodiments identified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Description

복수의 수용가를 포함하는 블록에 대한 상수도 누수 검출 시스템{WATER LEAK DETECTION SYSTEM FOR A BLOCK CONTAINING MULTIPLE CUSTOMERS}WATER LEAK DETECTION SYSTEM FOR A BLOCK CONTAINING MULTIPLE CUSTOMERS

본 발명은 복수의 수용가를 포함하는 블록에 대한 상수도 누수 검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센서에서 실시간으로 계측된 데이터(유량 데이터 및 사용량 데이터)를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블록에 대한 상수도의 누수 여부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수신된 데이터의 시간 간격을 정규화하여, 분석 프로세스를 진행하므로 상수도의 누수 발생 시점 및 누수 발생 지점을 정확하게 파악함으로써, 누수에 대한 대응을 신속하게 진행하여 물의 낭비를 최소한으로 저감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supply leak detection system for a block including a plurality of consumers, and more specifically, data (flow data and usage data) measured in real time by a sensor is received from an external server, and based on the received data It relates to a technology for detecting water leaks in blocks in real time. In addition, since the time interval of the received data is normalized and the analysis process is carried out, the time of occurrence of water leakage and the point of occurrence of water leakage are accurately identified, thereby promptly responding to leakage and reducing water waste to a minimum. It's about technology.

상수도 보급률이 6%였던 1970년대와 달리 현재 한국의 상수도 보급률은 99.3%로 높은 보급률을 자랑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급률과 달리 상수도의 유지 보수 기술이 다른 선진국에 대비해 미흡하여, 연간 6130억원 규모에 달하는 누수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누수의 원인은 관로의 결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일반적으로, 누수 발생 여부 판단은 유수율 및 누수율을 통해 판단하는데, 수용가가 누수의 발생을 감지하여 누수 신고를 하는 경우에는 이미 상당 량의 물이 누수되고 있고, 상수도 수리인이 누수 지점을 파악하여 누수에 대응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상수도의 누수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Unlike the 1970s when the water supply penetration rate was 6%, the current water supply penetration rate in Korea is 99.3%, boasting a high penetration rate. However, unlike this penetration rate, water supply maintenance technology is insufficient compared to other developed countries, resulting in annual leakage of 613 billion won. In particular, most of the causes of leaks are caused by defects in pipelines. In general,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a leak occurs is based on the flow rate and the leak rate. If a customer detects a leak and reports a leak, a significant amount of water is already leaking, and the waterworks repairer identifies the leak point. There was a problem that it took a long time to respond to the leak. Accordingly, various technologies are being developed for checking whether water supply is leaking in real time.

일 예로서, 한국공개특허 10-2004-0072327(누수 차단 및 유수량 무선 검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는 유량계의 검침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수도관의 누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상수도관의 밸브를 원격지에서 제어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As an example,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04-0072327 (Leakage blocking and flow rate wireless meter read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detects a water leak in a water supply pipe based on meter reading data of a flow meter, and prevents the detected water leak. A technique for remotely controlling a valve in a tube is disclosed.

그러나, 상술한 선행기술은 단순히 상수도의 누수가 감지되면, 상수도 밸브를 폐쇄하는 정도일 뿐, 복수의 수용가를 포함하는 블록에 대한 유수율 및 누수율을 획득할 수 없고, 누수 발생 시 정확한 누수 지점 및 누수 범위를 파악하는 기술은 개시되어 있지 않아,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when a water leak is simply detected, the water supply valve is closed, and it is not possible to obtain the water flow rate and the water leak rate for a block including a plurality of consumers, and when a leak occurs, the exact leak point and leak A technology for identifying a range has not been disclosed, and the need for a technology capable of solving the problem is emerging.

이에 본 발명은, 복수의 수용가를 포함하는 블록에 대한 상수도 누수 검출 시스템을 통해 복수의 수용가 각각 또는 블록에 대한 유수율 및 누수율을 획득하고, 획득된 유수율 및 누수율을 기반으로, 정확한 누수 시점, 누수 지점 및 누수 범위를 실시간으로 파악 가능하므로, 상수도에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즉각적으로 대응하여 누수로 인한 물의 낭비가 증가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obtains the water flow rate and leak rate for each or block of a plurality of consumers through a water supply leak detection system for a block including a plurality of consumers, and based on the obtained water flow rate and leak rate, the exact time of leakage, Since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leak point and the leak range in real time, the purpose is to prevent the problem of increasing water wastage due to the leak by responding immediately even if a leak occurs in the water supply.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복수의 수용가를 포함하는 블록에 대한 상수도 누수 검출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유량 센서가 상기 블록에 공급되는 물의 적산유량을 계측하여, 상기 계측된 물의 적산유량에 기반한 유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제1 유량 센서부터 상기 생성된 유량 데이터를 수신하는 유량 데이터 수신부; 수도 미터에 의해 계측된 상기 복수의 수용가 각각이 사용한 물의 사용량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수용가 각각에 설치된 원격 검침기가 사용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원격 검침기로부터 상기 사용량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량 데이터 수신부; 상기 수신된 유량 데이터 및 상기 사용량 데이터의 시간 간격을 정규화하여, 상기 유량 데이터 및 상기 사용량 데이터를 분석 가능한 형태의 전처리 데이터로 변환하는 전처리 데이터 변환부; 외부로부터 기 지정된 트리거가 발생하는 경우, 기 저장된 복수의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전처리 데이터에 대한 분석 프로세스를 시작하는 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데이터 분석부에서 시작된 분석 프로세스의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블록에 대한 상수도의 누수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상기 판단 결과에 기반한 결과 데이터를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결과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water supply leak detection system for a block including a plurality of receivers implemented as a computing device including one or more processors and one or more memories for stor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processor, the first flow sensor is supplied to the block a flow rate data receiv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generated flow data from the first flow sensor when measuring the integrated flow rate of water and generating flow data based on the measured integrated flow rate of water; a usage data receiv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usage data from the remote meter reader when a remote meter reader install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onsumers generates usage data based on the amount of water used by each of the plurality of consumers measured by a water meter; a pre-processing data conversion unit that normalizes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received flow data and the usage data, and converts the flow data and the usage data into pre-processing data in a form that can be analyzed; a data analysis unit that starts an analysis process for the pre-processed data through a plurality of pre-stored algorithms when a predetermined trigger is generated from the outside; and a result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result data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through an output means when determining whether the water supply is leaking for the block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process started by the data analysis unit characterized.

상기 사용량 데이터 수신부는, 상기 원격 검침기로부터 상기 사용량 데이터의 수신이 불가능하여 검침원이 상기 복수의 수용가 각각을 방문하여 확인한 물의 사용량을 요금 서버에 입력하면, 상기 입력된 물의 사용량을 기반으로 생성된 요금 데이터를 상기 요금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sage data receiving unit may include, when it is impossible to receive the usage data from the remote meter reader and the meter reader visits each of the plurality of consumers and inputs the checked water usage to the fee server, the fee data generated based on the input water usage is preferably received from the fee server.

상기 요금 데이터는, 상기 검침원에 의해 상기 확인된 물의 사용량이 상기 요금 서버에 입력되는 경우, 상기 요금 서버에 기 저장된 요금 테이블 및 상기 입력된 물의 사용량에 기반하여 생성되되, 상기 전처리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사용량 데이터 수신부가 상기 요금 서버로부터 상기 요금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전처리 데이터 생성 시, 요금 데이터를 반영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fee data is generated based on a fee table pre-stored in the fee server and the input water usage when the usage of water confirmed by the meter reading source is input to the fee server, wherein the pre-processing data conversion unit includes: When the usage data receiving unit receives the fee data from the fee server, it is possible to reflect the fee data when generating the pre-processing data.

상기 전처리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유량 데이터 및 상기 사용량 데이터의 시간 간격을 정규화한 상태에서, 상기 시간 간격에 포함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시각을 기준으로 상기 유량 데이터에 포함된 유량 정보와 상기 사용량 데이터에 포함된 사용량 정보를 매칭시키는 정보 매칭부; 및 상기 정보 매칭부에 의해 상기 유량 정보와 상기 사용량 정보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사용량 정보와 매칭되지 않은 유량 정보를 추가로 가산된 유량 정보로 판단하여, 상기 추가로 가산된 유량 정보를 필터링하는 유량 필터링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processing data conversion unit is included in the flow rate information and the usage data included in the flow rate data based on at least one time included in the time interval in a state in which the time intervals of the flow data and the usage data are normalized. an information matching unit for matching the used usage information; and when the flow rate information and the usage information are matched by the information matching unit, the flow rate information that does not match the usage information is determined as additionally added flow rate information, and the flow rate for filtering the additionally added flow rate informa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filtering unit.

상기 기 저장된 트리거는, 지정된 시간의 경과, 외부로부터 수신된 분석 결과 요청, 새로운 전처리 데이터의 획득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pre-stored trigger may include the lapse of a specified time, a request for an analysis result received from the outside, and acquisition of new pre-processing data.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기 지정된 트리거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유량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블록에 공급된 물의 공급량을 확인하며, 상기 사용량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수용가 각각이 사용한 물의 사용량을 확인하는 용량 확인부; 및 상기 용량 확인부에 의해 상기 물의 공급량 및 상기 물의 사용량의 확인이 완료된 경우, 상기 물의 공급량 및 상기 물의 사용량을 기반으로, 유수율 및 누수율 중 적어도 하나를 계산하는 용량 계산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data analysis unit, when the predetermined trigger occurs, confirms the supply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block based on the flow rate information, and checks the amount of water used by each of the plurality of consumers based on the usage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and a capacity calculation unit configured to calculate at least one of a water flow rate and a water leakage rate based on the water supply amount and the water usage amount when the confirmation of the water supply amount and the water usage amount is completed by the capacity confirmation unit; do.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계산된 누수율을 기반으로 상기 상수도에 누수가 발생한 것을 판단하는 경우, 기 저장된 복수의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전처리 데이터로부터 특이점을 검출하여, 상기 상수도에 발생된 누수의 발생 시점 및 발생 지점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data analysis unit, when determining that a leak has occurred in the water supply based on the calculated leak rate, detects a singularity from the pre-processed data through a plurality of pre-stored algorithms, and the occurrence time and occurrence of the leak in the water supply It is possible to check the points.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전처리 데이터의 데이터 량이 상기 분석 프로세스에 필요한 분석 기준 데이터 량 미만인 경우, 상기 기 저장된 복수의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분석 프로세스에 필요한 전처리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분석 프로세스에 필요한 전처리 데이터를 상기 결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ata analysis unit, when the amount of data of the pre-processing data is less than the amount of analysis reference data required for the analysis process, analyzes the pre-processing data required for the analysis process through the plurality of pre-stored algorithms to obtain the pre-processing data required for the analysis process It is preferable to output the result through the output unit.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전처리 데이터에 대한 분석 프로세스를 시작하는 경우, 시간 순서에 따른 전처리 데이터에 대한 연관 관계를 분석하여 상기 기 저장된 복수의 알고리즘을 갱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data analysis unit starts the analysis process for the pre-processing data,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pre-stored algorithms are updated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with respect to the pre-processing data according to the time sequence.

유량 데이터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수용가 각각에 설치된 제2 유량 센서가 상기 복수의 수용가 각각에 공급되는 물의 적산유량을 계측하여, 상기 계측된 물의 적산유량에 기반한 수용가 유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제2 유량 센서로부터 상기 생성된 수용가 유량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low data receiving unit, when the second flow sensor install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onsumers measures the integrated flow rate of water su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nsumers, and generates customer flow data based on the measured integrated flow rate of water, the first 2 It is preferable to receive the generated consumer flow data from a flow sensor.

본 발명의 복수의 수용가를 포함하는 블록에 대한 상수도 누수 검출 시스템은 제1 유량 센서로부터 수신한 유량 데이터 및 원격 검침기로부터 수신한 사용량 데이터를 전처리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처리 데이터에 대한 분석 프로세서를 진행하여, 블록에 대한 상수도 누수 여부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누수로 인한 피해를 최소한으로 저감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leak detection system for a block including a plurality of consumer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the flow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flow sensor and the usage data received from the remote meter reader into pre-processing data, and an analysis processor for the converted pre-processing data By proceeding,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amage caused by water leakage to a minimum by detecting whether water supply leaks to the block in real time.

또한, 요금 서버가 검침원에 의해 입력된 물 사용량 정보 및 요금 테이블을 기반으로 요금 데이터를 생성하여, 복수의 수용가를 포함하는 블록에 대한 상수도 누수 검출 시스템에 전송함으로써, 시스템은 원격 검침기로부터 사용량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더라도 요금 데이터를 통해 블록에 대한 상수도 누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ee server generates fee data based on the water usage information and fee table input by the meter reader and transmits it to the water supply leak detection system for a block including a plurality of consumers, so that the system collects the usage data from the remote meter reader Even if it is not receive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water supply for the block is leaking through the rate data.

또한, 복수의 수용가를 포함하는 블록에 대한 상수도 누수 검출 시스템은, 시간 간격이 정규화된 전처리 데이터를 통해 분석 프로세스를 진행함으로써, 누수 발생 시, 누수 발생 시점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ter supply leak detection system for a block including a plurality of consumers can accurately identify the leakage point when a leak occurs by performing an analysis process through preprocessing data with normalized time intervals.

또한, 복수의 수용가를 포함하는 블록에 대한 상수도 누수 검출 시스템은 전처리 데이터를 통해 누수율이 계산된 경우, 기 저장된 복수의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전처리 데이터로부터 특이점을 검출하고, 검출된 특이점을 기반으로 누수 발생 지점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supply leak detection system for a block including a plurality of consumers detects a singularity from the pre-processing data through a plurality of pre-stored algorithms when the leak rate is calculated through the pre-processing data, and leakage occurs based on the detected singularity point can be accurately identified.

또한, 복수의 수용가를 포함하는 블록에 대한 상수도 누수 검출 시스템은 기 저장된 복수의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분석 프로세스에 필요한 전처리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분석 프로세스에 필요한 전처리 데이터를 탐색하므로 분석 프로세스에 필요한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supply leak detection system for a block including a plurality of consumers analyzes the pre-processing data required for the analysis process through a plurality of pre-stored algorithms, and searches for the pre-processing data required for the analysis process. It can be received from outside.

또한, 복수의 수용가를 포함하는 블록에 대한 상수도 누수 검출 시스템은 복수의 수용가 각각에 설치된 제2 유량 센서로부터 복수의 수용가 각각에 공급되는 적산유량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블록 단위뿐만 아니라 수용가 각각에 대한 세부적인 누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supply leak detection system for a block including a plurality of consumers receives the accumulated flow information su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nsumers from the second flow sensor install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onsumers, so that not only the block unit but also the details for each of the consumer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leak or no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수용가를 포함하는 블록에 대한 상수도 누수 검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수용가를 포함하는 블록에 대한 상수도 누수 검출 시스템의 사용량 데이터 수신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수용가를 포함하는 블록에 대한 상수도 누수 검출 시스템의 전처리 데이터 변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수용가를 포함하는 블록에 대한 상수도 누수 검출 시스템의 분석 프로세스의 결과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수용가를 포함하는 블록에 대한 상수도 누수 검출 시스템의 분석 프로세스의 결과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수용가를 포함하는 블록에 대한 상수도 누수 검출 시스템을 통해 분석된 복수의 수용가에 대한 결과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수용가를 포함하는 블록에 대한 상수도 누수 검출 시스템을 통해 수행되는 분석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water leak detection system for a block including a plurality of consum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usage data receiving unit of the water leak detection system for a block including a plurality of consum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e-processing data conversion unit of the water leak detection system for a block including a plurality of consum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result screen of the analysis process of the water leak detection system for a block including a plurality of consum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other view for explaining the result screen of the analysis process of the water leak detection system for a block including a plurality of consum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result screen for a plurality of consumers analyzed through the water supply leak detection system for a block including a plurality of consum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nalysis process performed through a water leak detection system for a block including a plurality of consum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and/or aspects are disclos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purposes of explanation, numer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one or more aspects. However, it will also be recognize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such aspect(s)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set forth in detail certain illustrative aspects of one or more aspects. These aspects are illustrative, however, and some of the various methods in principles of various aspects may be employed, and the descriptions set forth are intended to include all such aspects and their equivalent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As used herein, “embodiment”, “example”, “aspect”, “exemplary”, etc. may not be construed as an advantage or advantage in any aspect or design described above over other aspects or designs. .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lso, the terms "comprises" and/or "comprising" mean that the feature and/or element is present, but excludes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elements and/or groups thereof. should be understood as not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Also, 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1st, 2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are thos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have the same meaning.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is not interpreted a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수용가를 포함하는 블록에 대한 상수도 누수 검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water leak detection system for a block including a plurality of consum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수용가를 포함하는 블록에 대한 상수도 누수 검출 시스템(100)은 유량 데이터 수신부(111), 사용량 데이터 수신부(113), 전처리 데이터 변환부(115), 데이터 분석부(117) 및 결과 출력부(119)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water supply leak detection system 100 for a block including a consumer includes a flow data receiving unit 111 , a usage data receiving unit 113 , a pre-processing data converting unit 115 , a data analyzing unit 117 and A result output unit 119 may be includ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량 데이터 수신부(111)는, 제1 유량 센서(130)가 상기 블록에 공급되는 물의 적산유량을 계측하여, 계측된 적산유량에 기반한 유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 제1 유량 센서(130)로부터 상기 유량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량 센서(130)는 상기 유량 데이터 수신부(111)와 연동될 수 있고, 별도의 유량 수집 서버와 연동될 수 있다. 상기 유량 수집 서버는 상기 제1 유량 센서(130)에 의해 획득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상기 적산유량은 상기 블록에 공급되는 물의 총량을 의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low data receiving unit 111, when the first flow sensor 130 measures the integrated flow rate of water supplied to the block, and generates flow data based on the measured integrated flow rate, the first The flow rate data may be received from the flow rate sensor 130 . The first flow rate sensor 130 may be interlocked with the flow data receiving unit 111 and may be interlocked with a separate flow rate collection server. The flow rate collection server may be a server that manages data acquired by the first flow rate sensor 130 . The integrated flow rate may mean the total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block.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량 데이터 수신부(111)는 상기 복수의 수용가 각각에 설치된 제2 유량 센서가 상기 복수의 수용가 각각에 공급되는 물의 적산유량을 계측하여, 상기 계측된 물의 적산유량에 기반한 수용가 유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제2 유량 센서로부터 상기 수용가 유량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low data receiving unit 111 is a second flow sensor install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onsumers to measure the integrated flow rate of water su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nsumers, the customer based on the measured integrated flow rate of water When generating flow data, the customer flow data may be received from the second flow senso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량 데이터 수신부(113)는 수도 미터에 의해 계측된 상기 복수의 수용가 각각이 사용한 물의 사용량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수용가 각각에 설치된 원격 검침기(150)가 사용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원격 검침기(150)로부터 상기 사용량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 검침기(150)는 원격 검침 수집 서버와 연동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사용량 데이터 수신부(113)는 상기 원격 검침 수집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량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원격 검침 수집 서버는 상기 사용량 데이터를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usage data receiving unit 113 generates usage data by the remote meter reader 150 install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onsumers based on the amount of water used by each of the plurality of consumers measured by a water meter. In this case, the usage data may be received from the remote meter reader 150 . Also, the remote meter reader 150 may be in a state of being linked with a remote meter reading collection server. The usage data receiving unit 113 may receive the usage data from the remote meter reading collection server. The remote meter reading collection server may be a server managing the usage data.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량 데이터 수신부(113)는 상기 원격 검침기(150)로부터 상기 사용량 데이터의 수신이 불가능하여 검침원이 상기 복수의 수용가 각각을 방문하여 확인한 물의 사용량을 요금 서버에 입력하는 경우, 상기 요금 서버로부터 요금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요금 서버는 상기 검침원에 의해 복수의 수용가 각각이 사용한 물의 사용량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기 저장된 요금 테이블 및 물의 사용량 정보에 기반하여 요금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usage data receiving unit 113 cannot receive the usage data from the remote meter reader 150, the meter reader visits each of the plurality of consumers and inputs the checked water usage to the fee server, Charge data may be received from the charge server. When the water usage information used by each of the plurality of consumers is input by the meter reading source, the fee server may generate fee data based on a pre-stored fee table and water usage informa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처리 데이터 변환부(115)는 상기 수신된 유량 데이터 및 상기 사용량 데이터의 시간 간격을 정규화하여, 상기 유량 데이터 및 상기 사용량 데이터를 분석 가능한 형태의 전처리 데이터(예: 제1 전처리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e-processing data conversion unit 115 normalizes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received flow data and the usage data to analyze the flow data and the usage data. preprocessed data).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처리 데이터 변환부(115)는 정보 매칭부(미도시) 및 유량 필터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매칭부는 상기 유량 데이터 및 상기 사용량 데이터의 시간 간격을 정규화한 상태에서, 상기 시간 간격에 포함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시각을 기준으로 상기 유량 데이터에 포함된 유량 정보와 상기 사용량 데이터에 포함된 사용량 정보를 매칭할 수 있다. 상기 유량 정보는 상기 기준으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시각에서 계측된 적산 유량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사용량 정보는 상기 기준으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시각에서 계측된 복수의 수용가에서 사용된 물의 사용량을 의미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e-processing data conversion unit 115 may include an information matching unit (not shown) and a flow rate filtering unit (not shown). The information matching unit in a state in which the time interval of the flow data and the usage data is normalized, the flow rat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low rate data and the usage amount included in the usage data based on at least one time included in the time interval information can be matched. The flow rate information may mean an integrated flow rate measured at any one time selected as the reference. The usage information may mean usage of water used in a plurality of consumers measured at any one time selected as the reference.

예를 들어, 상기 정보 매칭부는 13:30 분에 획득된 유량 데이터의 유량 정보와 13:30분에 획득된 사용량 데이터의 사용량 정보를 매칭하여, 전처리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정보 매칭부는 동일한 시간에 획득된 유량 데이터의 유량 정보와 사용량 데이터의 사용량 정보를 매칭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formation matching unit may match the flow rate information of the flow data acquired at 13:30 and the usage information of the usage data acquired at 13:30 to generate the pre-processing data. That is, the information matching unit may match the flow rate information of the flow data acquired at the same time and the usage information of the usage data.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량 필터링부는 상기 정보 매칭부에 의해 상기 유량 정보와 상기 사용량 정보가 매칭될 시, 사용량 정보와 매칭되지 않은 유량 정보를 추가로 가산된 유량 정보로 판단하여 추가로 가산된 유량 정보를 필터링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적산유량과 같이 시간에 흐름에 따라 증가할 수 없는 유량 데이터와 상기 제1 유량 센서의 스펙 및 상기 상수도가 처한 상황(예: 수압 기기의 고장) 상 획득할 수 없는 데이터(예: 한계 값을 초과하거나 미만인 경우의 데이터)에 포함된 유량 정보는 사용량 정보와 매칭되지 않는 경우, 필터링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flow rate information and the usage information are matched by the information matching unit, the flow rate filtering unit determines the flow rate information that does not match the usage information as the additionally added flow rate information. Flow information can be filtered. In more detail, flow data that cannot be increased over time, such as integrated flow, and data that cannot be acquired due to the specification of the first flow sensor and the situation of the water supply (eg, failure of hydraulic equipment) If the flow rat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ata in the case of exceeding or less than the value) does not match the usage information, it may be filter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처리 데이터 변환부(115)는 상기 사용량 데이터 수신부(113)가 상기 요금 서버로부터 상기 요금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전처리 데이터 생성 시, 요금 데이터를 반영하여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처리 데이터 변환부(115)는 상기 원격 검침기(150)로부터 상기 사용량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더라도 상기 사용량 데이터 수신부(113)를 통해 상기 요금 서버로부터 요금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분석 프로세스에 필요한 전처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usage data receiving unit 113 receives the fee data from the fee server, the pre-processing data conversion unit 115 may generate the pre-processing data by reflecting the fee data when generating the pre-processing data. That is, the preprocessing data conversion unit 115 receives the fee data from the fee server through the usage data receiving unit 113 even if it fails to receive the usage data from the remote meter reader 150 , thereby preprocessing necessary for the analysis process. data can be generat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처리 데이터 변환부(115)는 상기 사용량 데이터 수신부(113)를 통해 상기 요금 서버로부터 요금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요금 서버에 기 저장된 요금 테이블도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전처리 데이터 변환부(115)는 상기 유량 데이터에 포함된 유량 정보를 상기 기 저장된 요금 테이블에 기반하여, 기준 요금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전처리 데이터 변환부(115)는 상기 요금 데이터 및 기준 요금 데이터를 요금과 관련된 전처리 데이터(예: 제2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처리 데이터 변환부(115)는 상기 수신된 요금 데이터 및 상기 기준 요금 데이터의 시간 간격을 정규화할 수 있다. 즉, 시간 간격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시각 중 하나를 기준으로 하여, 기준이 된 시각의 요금 정보(요금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와 기준 요금 정보(기준 요금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는 상기 정보 매칭부에 의해 매칭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e-processing data conversion unit 115 may also receive a rate table pre-stored in the rate server when receiving the rate data from the rate server through the usage data receiving unit 113 . The pre-processing data conversion unit 115 may convert the flow rat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low rate data into reference rate data based on the pre-stored rate table. The pre-processing data conversion unit 115 may convert the rate data and the reference rate data into pre-processing data related to rates (eg, second data). In this case, the pre-processing data conversion unit 115 may normalize a time interval between the received rate data and the reference rate data. That is, based on one of the times included in the time interval, the rate inform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ate data) and the reference rate inform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ference rate data) of the time that became the standard match the information. It can be matched by wealth.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처리 데이터 변환부(115)는, 상기 유량 데이터 수신부(111)가 상기 제1 유량 센서(130)로부터 수용가 유량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수용가 유량 데이터와 상기 사용량 데이터의 시간 간격을 정규화하여, 복수의 수용가 각각에 대한 전처리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e-processing data conversion unit 115, when the flow data receiving unit 111 receives the consumer flow data from the first flow sensor 130, the received consumer flow data and the usage amount By normalizing the time interval of the data, it can be converted into preprocessed data for each of a plurality of consumer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분석부(117)는 외부로부터 기 저장된 트리거가 발생하는 경우, 기 저장된 복수의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전처리 데이터에 대한 분석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다. 상기 기 저장된 트리거는 지정된 시간의 경과, 외부로부터 수신된 분석 결과의 요청, 새로운 전처리 데이터의 획득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정된 시간이 14:00인 경우, 상기 데이터 분석부(117)는 14:00가 경과되면, 상기 분석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다. 상기 분석 프로세스는 상기 전처리 데이터를 통해 상기 블록에 대한 유수율 및 누수율을 확인하는 프로세스일 수 있으며, 상기 블록에 대한 상수도의 누수 여부를 판단하는 프로세스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 pre-stored trigger occurs from the outside, the data analysis unit 117 may start an analysis process for the pre-processed data through a plurality of pre-stored algorithms. The pre-stored trigger may include the lapse of a specified time, a request for an analysis result received from the outside, and acquisition of new pre-processing data. For example, when the designated time is 14:00, the data analysis unit 117 may start the analysis process when 14:00 has elapsed. The analysis process may be a process of confirming a water flow rate and a leak rate for the block through the pre-processing data, and may be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water supply is leaking for the block.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분석부(117)는 용량 확인부(미도시) 및 용량 계산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량 확인부는 상기 기 지정된 트리거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전처리 데이터에 포함된 유량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블록에 공급된 물의 공급량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용량 확인부는 상기 기 지정된 트리거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전처리 데이터에 포함된 사용량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수용가 각각이 사용한 물의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100)은 상기 용량 확인부에 의해 확인된 물의 사용량을 통해 상기 블록이 사용한 물의 총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ata analysis unit 117 may include a capacity check unit (not shown) and a capacity calculator (not shown). When the predetermined trigger occurs, the capacity check unit may check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block based on the flow rat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re-processing data. When the predetermined trigger occurs, the capacity check unit may check the amount of water used by each of the plurality of consumers based on the usag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re-processing data. The system 100 may check the total amount of water used by the block through the amount of water used by the capacity check unit.

예를 들어, 상기 용량 확인부는 상기 전처리 데이터를 통해 16:00시에 계측된 유량 데이터의 유량 정보와 사용량 데이터 사용량 정보를 확인하여, 16:00시에 블록에 공급된 적수유량과 복수의 수용가 각각이 사용한 물의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100)은 상기 확인된 물의 사용량을 기반으로, 16:00시에 사용된 물의 총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apacity check unit confirms the flow rate information and the usage data usage information of the flow data measured at 16:00 through the pre-processing data, You can check the amount of water used. The system 100 may check the total amount of water used at 16:00 based on the confirmed water usag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용량 계산부는 상기 용량 확인부에 의해 확인된 물의 적산유량(예: 물의 공급량) 및 물의 사용량(예: 물의 급수량)을 기반으로, 유수율 및 누수율 중 적어도 하나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유수율은 물의 적산유량(예: 물의 유수수량)을 상기 물의 사용량(예: 물의 급수량)으로 나눈 것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으로, 정수장에서 생산하여 상기 블록 또는 상기 복수의 수용가에 공급된 물의 총 송수량 중에서 요금 수입으로 받아 들여진 수량의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누수율은 상기 유수율에 포함되지 않은 비율로 관로의 결함 등으로 인해 땅으로 스며들어 누수된 수량의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apacity calculation unit can calculate at least one of the flow rate and the leakage rate based on the integrated flow rate of water (eg, water supply) and the amount of water used (eg, water supply) confirmed by the capacity confirmation unit. have. The flow rate is expressed as a percentage (%) obtained by dividing the accumulated flow rate of water (eg, water flow rate) by the amount of water used (eg, water supply amount). It may mean the ratio of the quantity accepted as fee income among the total number of transmissions. The water leakage rate is a rate not included in the water flow rate, and may mean a rate of water leaking into the ground due to defects in pipelines, etc.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용량 계산부는 제2 전처리 데이터에 포함된 요금 정보와 기준 요금 정보를 기반으로, 유수율 및 누수율 중 적어도 하나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요금 정보에 해당되는 기준 요금이 10,0000원인 경우, 상기 요금 정보에 해당되는 요금이 10,0000원으로 확인되면 유수율이 100%이고, 누수율이 0%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요금이 90,000원인 경우, 유수율이 90%이고, 누수율이 10%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apacity calculator may calculate at least one of a water flow rate and a water leakage rate based on rate information and reference rat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cond preprocessing data. For example, if the standard rate corresponding to the standard rate information is 10,0000 won, if the rate corresponding to the rate information is confirmed as 10,0000 won,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water flow rate is 100% and the leakage rate is 0%. have. As another example, when the fee is 90,000 won,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water flow rate is 90% and the water leak rate is 1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분석부(117)는 상기 용량 계산부를 통해 상기 유수율 및 누수율 중 적어도 하나를 계산하여, 누수율이 1% 이상인 경우 상수도에 누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분석부(117)는 상기 확인된 물의 적산유량이 100,000L이고, 상기 확인된 물의 사용량이 97,000L인 경우, 97%의 유수율과 3%의 누수율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분석부(117)는 3%의 누수율의 계산되면, 상기 상수도에 누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ata analysis unit 117 may calculate at least one of the water flow rate and the water leakage rate through the capacity calculation unit, and when the leakage rate is 1% or more, it may be determined that water leakage has occurred. For example, the data analysis unit 117 may calculate a flow rate of 97% and a leak rate of 3% when the confirmed accumulated flow rate of water is 100,000L and the confirmed water usage amount is 97,000L. When the data analysis unit 117 calculates the leak rate of 3%,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water leak has occurred in the water supply.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분석부(117)는 상기 누수가 발생한 것을 판단한 경우, 기 저장된 복수의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전처리 데이터로부터 특이점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기 저장된 복수의 알고리즘은 상기 전처리 데이터를 회귀 분석, 이동 평균 분석, 트랜드 분석, 변화율 분석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전처리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알고리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분석부(117)는 상기 전처리 데이터(예: 제1 전처리 데이터)뿐만 아니라 제2 전처리 데이터를 상기 기 저장된 복수의 알고리즘을 통해 특이점을 검출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eak has occurred, the data analysis unit 117 may detect a singularity from the pre-processed data through a plurality of pre-stored algorithms. The plurality of pre-stored algorithms may be algorithms for analyzing the pre-processing data through at least one of a regression analysis, a moving average analysis, a trend analysis, and a change rate analysis on the pre-processing data. In addition, the data analyzer 117 may detect a singularity point using a plurality of pre-stored algorithms in the pre-processing data (eg, the first pre-processing data) as well as the second pre-processing data.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분석부(117)는 상기 검출된 특이점을 기반으로, 상기 상수도에 발생된 누수의 발생 시점 및 발생 지점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분석부(117)는 상기 회귀 분석을 통해 분석 프로세스를 진행할 시, 전처리 데이터에 포함된 유량 데이터 및 사용량 데이터 사이의 모형을 3차원 공간에 구현한 뒤, 적합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분석부(117) 상기 측정된 적합도에서 검출된 특이점을 기반으로, 상기 상수도에 발생된 누수의 발생 시점(예: 16:30분에 누수 발생) 및 발생 지점(예: B 블록에서 누수 발생)을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ata analysis unit 117 may determine the occurrence time and occurrence point of the leak occurring in the water supply based on the detected singularity. For example, when performing the analysis process through the regression analysis, the data analysis unit 117 implements a model between the flow data and usage data included in the pre-processing data in a three-dimensional space, and then measures the fit. have. Based on the singularity detected in the measured fit of the data analysis unit 117, the leakage point (eg, leakage occurs at 16:30) and the occurrence point (eg, leakage occurs in block B) in the water supply )can confirm.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분석부(117)는 상기 전처리 데이터 변환부(115)에서 변환된 복수의 수용가 각각에 대한 전처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블록 내에 포함된 복수의 수용가에 대한 상수도의 누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분석부(117)는 기 저장된 복수의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복수의 수용가 각각에 대한 전처리 데이터를 분석하여, 누수 발생 시점 및 누수 발생 지점을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ata analysis unit 117 is based on the pre-processing data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onsumers converted by the pre-processing data conversion unit 115, whether or not water leaks to the plurality of consumers included in the block can be judged In addition, the data analysis unit 117 may analyze the pre-processing data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onsumers through a plurality of pre-stored algorithms to determine the leakage point and the leakage poin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분석부(117)는 상기 분석 프로세스 진행 시, 상기 전처리 데이터의 데이터 량이 상기 분석 프로세스에 필요한 분석 기준 데이터 량 미만인 경우, 상기 기 저장된 복수의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분석 프로세스에 필요한 전처리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분석부(117)는 상기 기 저장된 복수의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분석 프로세스를 진행할 시, 상기 전처리 데이터에서 분석에 필요한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전처리 데이터의 데이터 량이 분석 기준 데이터 량 미만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분석부(117)는 상기 분석 프로세스에 필요한 전처리 데이터의 데이터 량이 분석 기준 데이터 량 미만인 경우, 상기 결과 출력부(119)를 통해 분석 프로세스에 필요한 전처리 데이터를 외부에 요구하거나 공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data analysis unit 117 performs the analysis process, when the amount of data of the pre-processing data is less than the analysis reference data amount required for the analysis process, the data analysis unit 117 performs the analysis process through a plurality of pre-stored algorithms. The necessary preprocessing data can be analyzed. For example, when the data analysis unit 117 performs the analysis process through the plurality of pre-stored algorithms, if there is no data required for analysis in the pre-processing data, the amount of data of the pre-processing data is the analysis reference data can be considered to be less than the amount. When the data amount of the pre-processing data required for the analysis process is less than the analysis reference data amount, the data analysis unit 117 may request or announce the pre-processing data required for the analysis process to the outside through the result output unit 119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분석부(117)는 상기 분석 프로세스를 시작 시, 시간 순서에 따른 전처리 데이터에 대한 연관 관계를 분석하여 상기 기 저장된 복수의 알고리즘을 갱신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데이터 분석부(117)는 시간 간격이 정규화된 유량 데이터 및 사용량 데이터 간의 연관 관계를 분석하여 상기 기 저장된 복수의 알고리즘을 갱신할 수 있다. 상기 연관 관계는 시간 기준, 최소 값 기준, 최대 값 기준, 평균 값 기준을 기반으로 연관되는 관계일 수 있다. 즉, 상기 데이터 분석부(117)는 서로 다른 기준마다 연관 관계가 다를 수 있으므로, 상기 연관 관계를 분석하여 기 저장된 복수의 알고리즘을 갱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starting the analysis process, the data analysis unit 117 may update the plurality of pre-stored algorithms by analyzing correlations with respect to the preprocessed data according to time sequence. In more detail, the data analysis unit 117 may update the plurality of pre-stored algorithms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low rate data and the usage data for which the time interval is normalized. The relation may be a relation based on a time criterion, a minimum value criterion, a maximum value criterion, and an average value criterion. That is, the data analysis unit 117 may update the plurality of pre-stored algorithms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since the correlation may be different for each different criterion.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분석부(117)는, 상기 시스템(100)이 상기 적산유량과 같이 시간에 흐름에 따라 증가할 수 없는 유량 데이터와 상기 제1 유량 센서의 스펙 및 상기 상수도가 처한 상황(예: 수압 기기의 고장) 상 획득할 수 없는 데이터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를 이상 데이터로 판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data analysis unit 117, the system 100, flow data that cannot increase with time, such as the integrated flow rate, the specification of the first flow sensor, and the water supply When data that cannot be acquired due to a situation (eg, a failure of a hydraulic device) is acquired, the data may be determined as abnormal data.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분석부(117)는 상기 이상 데이터가 획득되는 경우, 이상 데이터의 발생 시점의 수압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압의 변화 정도를 통해 상기 블록에 대한 누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수압 데이터는, 수압 센서가 획득하는 데이터로서, 상기 복수의 수용가를 포함하는 블록의 일부 영역마다 설치되어, 상기 블록 내에서 이동되는 물의 압력을 실시간으로 측정해 상기 시스템(1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분석부(117)는 상기 이상 데이터를 획득 시, 상기 수압 센서를 통해 이상 데이터 획득 시점을 포함하는 지정된 기간 내의 수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분석부(117)는 상기 획득된 수압 데이터를 시간 순서에 기반해 확인하여, 이상 데이터 획득 시점의 수압이 낮아진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누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n the abnormal data is obtained, the data analysis unit 117 may determine whether the block is leaking through the degree of change in water pressure based on the hydraulic pressure data at the time of occurrence of the abnormal data. . The water pressure data is data acquired by the water pressure sensor, which is installed in each partial area of the block including the plurality of consumers, and can measure the pressure of water moving in the block in real time and transmit it to the system 100 . . For example, when acquiring the abnormal data, the data analysis unit 117 may acquire hydraulic pressure data within a specified period including an abnormal data acquisition time through the hydraulic pressure sensor. The data analysis unit 117 may determine that a water leak has occurre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water pressure at the time of acquiring the abnormal data is lowered by checking the obtained water pressure data based on the time sequence.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분석부(117)는 상기 전처리 데이터를 통해 야간 최소 유량 및 배경 누수량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야간 최소 유량은 24시간 중 가장 적은 시간(1시간 단위)에서의 물의 공급량을 의미하며, 야간 최소 유량 발생 시점에 수용가에서 사용하는 ’R의 사용량이 최소화되어, 공급량의 대부분을 누수량이 차지하게 되는데, 이러한 누수량을 배경 누수량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분석부(117)는 상기 전처리 데이터를 통해 확인한 야간 최소 유량에서 상기 수용가에서 상기 최소 유량 발생 시점에 사용한 물의 사용량을 차감하여, 배경 누수량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분석부(117)는 배경 누수량에 24시간을 곱해 일별 누수량을 예측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data analysis unit 117 may check the minimum flow rate at night and the background leakage amount through the pre-processing data. The minimum flow rate at night means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at the smallest time (in units of one hour) out of 24 hours, and the amount of R used by the consumer at the time of the minimum flow rate at night is minimized, so that the majority of the supply is water leakage. However, this amount of leakage can be understood as the amount of background leakage. The data analysis unit 117 may obtain a background leakage amount by subtracting the amount of water used at the time of generation of the minimum flow by the consumer from the minimum flow rate at night confirmed through the pre-processing data. The data analysis unit 117 may predict the daily leakage amount by multiplying the background leakage amount by 24 hours.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분석부(117)는 회귀 분석 및 통계 분석을 통해 유수율을 분석하여 누수율 추이를 예측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분석부(117)는 회귀 분석을 통해 지정된 기간 내의 유수율을 확인하여, 유수율 선형각도가 변화되는 경우, 미세 누수가 발생되어 장기적으로 누수율이 증가될 것이라는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분석부(117)는 통계 분석을 통해 지정된 기간 내의 유수율, 야간 최소 유량 및 배경 누수 수치를 일별 또는 시간 별로 확인하여 이전에 확인한 수치보다 악화되는 경우, 장기적으로 누수율이 증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data analysis unit 117 may predict a change in the leakage rate by analyzing the water flow rate through regression analysis and statistical analysis. The data analysis unit 117 may check the water flow rate within a specified perio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and when the linear angle of the water flow rate is changed, micro-leakage may occur and a result that the water-leakage rate will increase in the long term may be obtained. The data analysis unit 117 checks the water flow rate, the minimum night flow rate, and the background leakage level within a specified perio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by day or hour to confirm that the water leakage rate is increasing in the long term if it is worse than the previously confirmed value ca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과 출력부(119)는 상기 데이터 분석부(117)에서 시작된 분석 프로세스의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블록에 대한 상수도의 누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결과 출력부(119)는 상기 판단 결과에 기반한 결과 데이터를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과 출력부(119)는 상기 시스템(100)에 접속한 유저 계정 또는 관리자 계정에게 상기 결과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 계정은 상기 시스템(100)을 관리하는 계정일 수 있으며, 상기 유저 계정은 상기 시스템(100)에 등록된 복수의 수용가 각각이 관리하는 계정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esult output unit 119 may determine whether the water supply for the block is leaking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process started by the data analysis unit 117 . The result output unit 119 may output result data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through an output unit. For example, the result output unit 119 may output the result data to a user account or an administrator account connected to the system 100 . The manager account may be an account managing the system 100 , and the user account may be an account managed by each of a plurality of customers registered in the system 100 .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과 출력부(119)는 상기 유저 계정 및 상기 관리자 계정에 상기 결과 데이터를 출력하면서, 상기 관리자 계정에게 해당 누수에 대한 공학적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공학적 정보는 누수에 대한 책임을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아파트에서 윗층 세대와 아랫층 세대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누수에 대한 책임이 어느 세대에게 있는지 구분하기는 일반인 입장에서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누수에 대한 책임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관리자 계정은 결과 데이터를 통해 누수에 대한 공학적 정보를 상기 시스템(100)에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result output unit 119 may request engineering information about the leak from the manager account while outputting the result data to the user account and the manager account. The engineering information may be used as inform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e leak. For example, if a water leak occurs between an upstairs household and a downstairs household in an apartment, it can be difficult for the general public to determine which household is responsible for the leak. Accordingly, in order to clarify responsibility for the leak, the administrator account may provide engineering information about the leak to the system 100 through the result data.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과 출력부(119)는 상기 누수에 대한 공학적 정보를 상기 유저 계정에게 제공하면서, 별도의 법률 분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별도의 법률 분쟁 서비스는 상기 시스템(100)에 가입된 변호인 계정을 상기 유저 계정에게 중개하거나, 기 등록된 사례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result output unit 119 may provide a separate legal dispute service while providing engineering information about the leak to the user account. The separate legal dispute service may be a service that brokers a lawyer account subscribed to the system 100 to the user account or provides pre-registered case inform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수용가를 포함하는 블록에 대한 상수도 누수 검출 시스템의 사용량 데이터 수신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usage data receiving unit of the water leak detection system for a block including a plurality of consum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량 데이터 수신부(201)(예: 도 1의 사용량 데이터 수신부(113))는 수도 미터에 의해 계측된 복수의 수용가 각각이 사용한 물의 사용량(예: 물의 급수량)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수용가 각각에 설치된 원격 검침기가 사용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원격 검침기로부터 상기 사용량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사용량 데이터 수신부(201)는 지형 및 환경적 특성으로 인해 상기 원격 검침기로부터 상기 사용량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usage data receiving unit 201 (eg, the usage data receiving unit 113 of FIG. 1 ) is based on the amount of water used by each of a plurality of consumers measured by a water meter (eg,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 when a remote meter reader install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onsumers generates usage data, the usage data may be received from the remote meter reader. However, the usage data receiver 201 may not receive the usage data from the remote meter reader due to terrain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상기와 같이, 상기 사용량 데이터 수신부(201)가 상기 원격 검침기로부터 상기 사용량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수용가에 직접 검침원이 방문하여, 복수의 수용가 각각에 설치된 검침기를 확인하여야 한다. 검침원은 수용가를 방문하여 획득한 물의 사용량을 요금 서버(203)에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요금 서버(203)는 검침원에 입력된 물의 사용량 정보와 기 저장된 요금 테이블을 기반으로, 요금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age data receiving unit 201 fails to receive the usage data from the remote meter reader, the meter reader should directly visit the plurality of consumers and check the meter readers install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onsumers. The meter reading person may visit the consumer and input the amount of water used in the fee server 203 . The fee server 203 may generate fee data based on the water usage information input to the meter reading source and a pre-stored fee tabl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요금 서버(203)는 상기 생성된 요금 데이터를 상기 사용량 데이터 수신부(201)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사용량 데이터 수신부(201)는 상기 수신된 요금 데이터를 전처리 데이터 변환부(예: 도 1의 전처리 데이터 변환부(115))에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ee server 203 may transmit the generated fee data to the usage data receiver 201 . The usage data receiving unit 201 may transmit the received charge data to a pre-processing data converting unit (eg, the pre-processing data converting unit 115 of FIG. 1 ).

즉, 상기 사용량 데이터 수신부(201)는 상기 원격 검침기로부터 상기 사용량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더라도, 상기 요금 서버(203)를 통해 요금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어, 상기 복수의 수용가를 포함하는 블록에 대한 상수도 누수 검출 시스템(예: 도 1의 복수의 수용가를 포함하는 블록에 대한 상수도 누수 검출 시스템(100))이 유수율 및 누수율을 계산하고,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에 누수 발생 시점 및 누수 발생 지점을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even if the usage data receiving unit 201 does not receive the usage data from the remote meter reader, it can receive the fee data through the fee server 203, so that the water supply for the block including the plurality of consumers The leak detection system (eg, the water supply leak detection system 100 for a block including a plurality of consumers in FIG. 1) calculates the water flow rate and the water leak rate, and if a leak occurs, the leakage point and the leakage point are identified can do it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수용가를 포함하는 블록에 대한 상수도 누수 검출 시스템의 전처리 데이터 변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e-processing data conversion unit of the water leak detection system for a block including a plurality of consum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전처리 데이터 변환부(300)(예: 도 1의 전처리 데이터 변환부(115))는, 유량 데이터 수신부(예: 도 1의 유량 데이터 수신부(111))가 제1 유량 센서(예: 도 1의 제1 유량 센서(130))로부터 수신한 유량 데이터와 사용량 데이터 수신부(예: 도 1의 사용량 데이터 수신부(113))가 원격 검침기(예: 도 1의 원격 검침기(150))로부터 수신한 사용량 데이터를 전처리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pre-processing data converting unit 300 (eg, the pre-processing data converting unit 115 of FIG. 1 ) includes a flow data receiving unit (eg, the flow data receiving unit 111 of FIG. 1 ) of the first flow rate. The flow data received from the sensor (eg, the first flow sensor 130 of FIG. 1 ) and the usage data receiving unit (eg, the usage data receiving unit 113 of FIG. 1 ) receive a remote meter reader (eg, the remote meter reader 150 of FIG. 1 ) ))), can be converted into pre-processing data.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처리 데이터 변환부(300)는 정보 매칭부(301) 및 유량 필터링부(3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매칭부(301)는 상기 유량 데이터 및 상기 사용량 데이터의 시간 간격을 정규화할 수 있다. 상기 정보 매칭부(301)는 상기 유량 데이터 및 상기 사용량 데이터의 시간 간격을 정규화한 상태에서, 상기 시간 간격에 포함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시각을 기준으로 상기 유량 데이터에 포함된 유량 정보(305)와 상기 사용량 데이터에 포함된 사용량 정보(307)를 매칭할 수 있다. 상기 유량 정보(305)는 상기 기준으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시각에서 계측된 적산 유량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사용량 정보(307)는 상기 기준으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시각에서 계측된 복수의 수용가에서 사용된 물의 사용량을 의미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e-processing data conversion unit 300 may include an information matching unit 301 and a flow rate filtering unit 303 . The information matching unit 301 may normalize a time interval between the flow rate data and the usage data data. In a state in which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flow rate data and the usage data is normalized, the information matching unit 301 includes the flow rate information 305 included in the flow rate data based on at least one time included in the time interval and The usage information 307 included in the usage data may be matched. The flow rate information 305 may mean an integrated flow rate measured at any one time selected as the reference. The usage information 307 may mean the usage of water used by a plurality of consumers measured at any one time selected as the reference.

예를 들어, 상기 정보 매칭부(301)는 15:00 시에 획득된 유량 데이터의 유량 정보(305)와 15:00 시에 획득된 사용량 데이터의 사용량 정보(307)를 매칭하여, 전처리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정보 매칭부(301)는 동일한 시간에 획득된 유량 데이터의 유량 정보(305)와 사용량 데이터의 사용량 정보(307)를 매칭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formation matching unit 301 matches the flow rate information 305 of the flow data acquired at 15:00 with the usage information 307 of the usage data acquired at 15:00, and uses it as pre-processing data. can create That is, the information matching unit 301 may match the flow rate information 305 of the flow data acquired at the same time and the usage information 307 of the usage data.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보 매칭부(301)는 상기 유량 정보(305) 및 상기 사용량 정보(307)뿐만 아니라, 동일한 시간에 획득된 요금 데이터에 포함된 요금 정보와 기준 요금 데이터에 포함된 기준 요금 정보를 매칭할 수 있다. 상기 요금 데이터 및 상기 기준 요금 데이터와 관련된 설명은 도 1을 참고하도록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nformation matching unit 301 includes not only the flow rate information 305 and the usage information 307, but also the rat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ate data acquired at the same time and the standard included in the standard rate data. Charge information can be matched. For a description of the rate data and the reference rate data, refer to FIG. 1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량 필터링부(303)는 상기 정보 매칭부(301)에 의해 상기 유량 정보(305)와 상기 사용량 정보(307)가 매칭될 시, 사용량 정보(307)와 매칭되지 않은 유량 정보(305)를 추가로 가산된 유량 정보로 판단하여 추가로 가산된 유량 정보를 필터링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적산유량과 같이 시간에 흐름에 따라 증가할 수 없는 유량 데이터와 상기 제1 유량 센서의 스펙 및 상기 상수도가 처한 상황(예: 수압 기기의 고장) 상 획득할 수 없는 데이터(예: 한계 값을 초과하거나 미만인 경우의 데이터)에 포함된 유량 정보는 사용량 정보와 매칭되지 않는 경우, 필터링될 수 있다. 상기 이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경우, 누수 여부를 판단하는 자세한 설명은 도 1을 참고하도록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flow rate information 305 and the usage information 307 are matched by the information matching unit 301, the flow rate filtering unit 303 is not matched with the usage information 307. By determining the flow rate information 305 as the additionally added flow rate information, the additionally added flow rate information may be filtered. In more detail, flow data that cannot be increased over time, such as integrated flow, and data that cannot be acquired due to the specification of the first flow sensor and the situation of the water supply (eg, failure of hydraulic equipment) If the flow rat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ata in the case of exceeding or less than the value) does not match the usage information, it may be filtered. In the case of acquiring the abnormal data, refer to FIG. 1 for a detailed description of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leak.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처리 데이터 변환부(300)는 상기 유량 데이터 및 상기 사용량 데이터의 시간 간격뿐만 아니라 시간 간격에 따른 데이터(시간의 흐름에 따라 획득하는 데이터)도 전처리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처리 데이터 변환부(300)는 상기 유량 데이터 및 사용량 데이터의 누적 값(시간의 흐름에 따라 획득하는 데이터들(유량 데이터 및 사용량 데이터)의 누적 값)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블록에서 이동되는 물의 흐름이 존재하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처리 데이터 변환부(300)는 전처리 데이터를 생성할 때, 상기 감지되는 누적 값을 반영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pre-processing data conversion unit 300 may convert not only the time interval of the flow data and the usage data, but also data according to the time interval (data acquired over time) into pre-processing data. . For example, when the pre-processing data conversion unit 300 detects the cumulative value of the flow data and usage data (the cumulative value of data (flow data and usage data) acquired over time), the block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re is a flow of water moving in Accordingly, the pre-processing data conversion unit 300 may reflect the sensed accumulated value when generating the pre-processing data.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처리 데이터 변환부(300)는 상기 누적 값을 상기 전처리 데이터에 반영하여, 선형 보간 기법, 이동 평균 기법, 과거 데이터 통계, 학습 데이터 기반 예측 등을 통해 누적 값을 임의로 도출하여, 전처리 데이터 생성 시 반영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pre-processing data conversion unit 300 reflects the accumulated value in the pre-processing data, and arbitrarily derives the accumulated value through a linear interpolation method, a moving average method, past data statistics, prediction based on learning data, etc. Therefore, it can be reflected when generating pre-processing data.

예를 들어, 상기 전처리 데이터 변환부(300)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수치(유량 수치 또는 사용량 수치)를 하나의 선으로 연결하여, 연결된 선 사이의 임의의 수치(누적 값)를 도출하는 선형 보간 기법을 통해 누적 값을 획득하여, 전처리 데이터를 생성할 때 반영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e-processing data conversion unit 300 connects at least two or more numerical values (flow figures or usage figures)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with a single line, and converts arbitrary numerical values (accumulated values) between the connected lines. Accumulated values can be obtained through the derived linear interpolation technique and reflected when generating preprocessed data.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전처리 데이터 변환부(300)는 시간 구간마다 각 수치의 평균 값을 구하고 각 평균 값을 연결해 경향선을 도출하여, 경향선을 통해 임의의 값(누적 값)을 도출하는 이동 평균 기법을 통해 누적 값을 획득하여, 전처리 데이터를 생성할 때 반영할 수 있다.For another example, the pre-processing data conversion unit 300 obtains the average value of each numerical value for each time section, connects each average value to derive a trend line, and moves to derive a random value (cumulative value) through the trend line Accumulated values can be obtained through the averaging technique and reflected when generating preprocessed data.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전처리 데이터 변환부(300)는 공간적(특정 지역), 계절적(온도, 날씨), 시간적(예: 시간), 사회적(예: 평일, 휴일)인 성격에 따라 획득된 과거 데이터의 통계 값을 통해 임의의 값(누적 값)을 도출하는 과거 데이터 통계 분석 기법을 통해 누적 값을 획득하여, 전처리 데이터를 생성할 때 반영할 수 있다.For another example, the pre-processing data conversion unit 300 may include historical data obtained according to spatial (specific region), seasonal (temperature, weather), temporal (eg, time), and social (eg, weekday, holiday) characteristics. Accumulated values can be obtain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of past data that derives arbitrary values (cumulative values) through statistical values of , and reflected when generating preprocessed data.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전처리 데이터 변환부(300)는 학습 알고리즘을 통해 이전에 획득한 과거 데이터를 학습하여 임의의 값(누적 값)을 예측하는 학습 데이터 기반 예측 기법을 통해 누적 값을 획득하여, 전처리 데이터를 생성할 때 반영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pre-processing data conversion unit 300 acquires an accumulated value through a learning data-based prediction technique that predicts an arbitrary value (accumulated value) by learning the past data previously obtained through a learning algorithm, It can be reflected when generating preprocessing data.

즉, 상기 전처리 데이터 변환부(300)는 선형 보간 기법 및 이동 평균 기법과 같이 시간의 흐름에 기반하여, 전처리 데이터를 생성하는것 뿐만 아니라, 과거 데이터 통계 분석 기법 및 학습 데이터 기반 예측 기법과 같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획득한 데이터들 중 이전에 획득한 데이터를 분석 또는 학습하여 전처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법들은 전처리 데이터 생성 시에 사용될 수 있으며, 전처리 데이터에 누적 값을 반영하기 위해서만 사용되지는 않는다.That is, the pre-processing data conversion unit 300 not only generates pre-processing data based on the passage of time, such as a linear interpolation technique and a moving average technique, but also generates pre-processing data based on historical data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s and learning data-based prediction techniques. Pre-processing data may be generated by analyzing or learning previously acquired data among data acquired according to the flow. In addition, the above techniques may be used when generating the pre-processing data, and are not used only to reflect the accumulated value in the pre-processing data.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수용가를 포함하는 블록에 대한 상수도 누수 검출 시스템의 분석 프로세스의 결과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result screen of the analysis process of the water leak detection system for a block including a plurality of consum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수용가를 포함하는 블록에 대한 상수도 누수 검출 시스템에 포함된 결과 출력부(예: 도 1의 결과 출력부(119))는 출력 수단을 통해 분석 프로세스에 대한 분석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출력 수단은 관리자 계정이 로그인된 전자 장치 및 유저 계정이 로그인된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데스크 탑, 스마트 폰 및 랩 탑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시스템을 구동할 수 있으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4 , the result output unit (eg, the result output unit 119 in FIG. 1 ) included in the water supply leak detection system for a block including a plurality of consumers outputs the analysis result for the analysis process through an output means. can be printed out. The output means may be an electronic device in which an administrator account is logged in and an electronic device in which a user account is logged in. The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a desktop, a smart phone, a laptop,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s long as it can drive the system.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과 출력부는 상기 출력 수단을 통해 분석 결과 화면(401)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분석 결과 화면(401) 내에는 분석 결과에 기반한 분석 결과 정보(403)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분석 결과 정보는 블록에 공급된 적산유량 정보, 복수의 수용가 각각이 사용한 물의 사용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분석 프로세스에 의해 도출되는 분석 결과이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분석 결과 화면(401) 내에는 복수의 수용가를 포함하는 블록에 공급된 물의 적산유량인 100,000L가 표시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esult output unit may output the analysis result screen 401 through the output means. Analysis result information 403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may be output in the analysis result screen 401 . The analysis result information may include integrated flow information supplied to the block and water usage information used by each of a plurality of consumers, and is not limited thereto as long as it is an analysis result derived by an analysis process. For example, in the analysis result screen 401, 100,000L, which is the accumulated flow rate of water supplied to a block including a plurality of consumers, may be display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과 출력부는 상기 분석 결과 화면(401) 내에 상기 분석 결과 정보에 기반하여 계산된 해당 블록의 유수율 정보(405) 및 누수율 정보(407)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유수율 정보(405) 및 상기 누수율 정보(407)는 복수의 수용가를 포함하는 블록에 대한 상수도 누수 검출 시스템에 포함된 데이터 분석부(예: 도 1의 데이터 분석부(111))에 의해 계산되는 수치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esult output unit may display the water flow rate information 405 and the water leakage rate information 407 of the corresponding block calculat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information in the analysis result screen 401 . The water flow rate information 405 and the leak rate information 407 are calculated by a data analysis unit (eg, the data analysis unit 111 in FIG. 1 ) included in the water supply leak detection system for a block including a plurality of consumers. It can be a number that is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과 출력부는 상기 분석 결과 화면(401) 내에 복수의 수용가 각각에 공급된 물의 적산유량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수용가 각각에 공급된 물의 적산유량은 상기 복수의 수용가 각각에 설치된 제2 유량 센서에 의해 계측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량 센서에 의해 계측된 복수의 수용가 각각에 공급된 물의 적산유량 정보는 블록에 대한 상수도 누수 검출 시스템에 포함된 유량 데이터 수신부(예: 도 1의 유량 데이터 수신부(111))가 수신할 수 있다. 즉, 블록에 대한 상수도 누수 검출 시스템은 분석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복수의 수용가 각각에 공급된 물의 적산유량 정보와 복수의 수용가 각각의 물의 사용량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수용가 각각에 대한 유수율 및 누수율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블록에 대한 상수도 누수 검출 시스템은, 상기 분석 프로세스를 통해 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수용가 중 적어도 하나의 수용가에 대해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 누수가 발생된 수용가와 누수 발생 시점을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result output unit may display information on the accumulated flow rate of water supplied to each of a plurality of consumers in the analysis result screen 401 . The integrated flow rate of the water su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accommodators may be measured by a second flow sensor install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accommodators. The accumulated flow information of the water su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nsumers measured by the second flow sensor is received by the flow data receiving unit (eg, the flow data receiving unit 111 in FIG. 1 ) included in the water supply leak detection system for the block. can That is, the waterworks leak detection system for the block is based on the accumulated flow information of the water su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nsumers through the analysis processor and the usage inform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nsumers, the water flow rate and the leak rat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onsumers can be calculated In addition, the water supply leak detection system for the block, when a leak occurs for at least one consumer among a plurality of consumers included in the block through the analysis process, it is possible to check the leaked consumer and the leakage point.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수용가를 포함하는 블록에 대한 상수도 누수 검출 시스템의 분석 프로세스의 결과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5 is another view for explaining the result screen of the analysis process of the water leak detection system for a block including a plurality of consum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수용가를 포함하는 블록에 대한 상수도 누수 검출 시스템에 포함된 결과 출력부(예: 도 1의 결과 출력부(119))는 출력 수단을 통해 특정 블록에 대한 유수율 정보 및 누수율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출력 수단(501)은 관리자 계정이 로그인된 전자 장치 및 유저 계정이 로그인된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데스크 탑, 스마트 폰 및 랩 탑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시스템을 구동할 수 있으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5 , the result output unit (eg, the result output unit 119 in FIG. 1 ) included in the waterworks leak detection system for a block including a plurality of consumers (eg, the result output unit 119 in FIG. 1) provides information on the flow rate for a specific block through an output means. And it is possible to output the leak rate information. The output means 501 may be an electronic device in which an administrator account is logged in and an electronic device in which a user account is logged in. The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a desktop, a smart phone, a laptop,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s long as it can drive the system.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과 출력부는 분석 결과 화면(503) 내에 유수율 정보의 수치 및 누수율 정보의 수치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표시되는 유수율 정보의 수치 및 누수율 정보의 수치는 특정 블록(예: A블록)에 대한 수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결과 출력부는 상기 특정 블록에 대한 수치뿐만 아니라 특정 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수용가 각각에 대한 유수율 정보의 수치 및 누수율 정보의 수치를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esult output unit may display the numerical value of the water flow rate information and the numerical value of the water leakage rate information in the analysis result screen 503 . At this time, the numerical value of the displayed water flow rate information and the numerical value of the leak rate information may be numerical values for a specific block (eg, block A). In addition, the result output unit may display the numerical value of the specific block as well as the numerical value of the water flow rate information and the numerical value of the leak rate information for each of a plurality of consumers included in the specific block.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과 출력부는 상기 분석 결과 화면(401) 내에 상기 유수율 정보의 수치 및 누수율 정보의 수치를 표시하면서, 누수 발생 시점 정보(505) 및 누수 발생 지점 정보(507)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누수 발생 시점 정보(505) 및 상기 누수 발생 지점 정보(509)는 상기 시스템에 포함된 데이터 분석부(예: 도 1의 데이터 분석부(117))에 의해 확인되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누수 발생 시점 정보(505)는 시간 간격으로 정규화된 전처리 데이터를 분석하여, 도출된 정보로써, 누수 규모 정보를 예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수 발생 지점 정보(507)는 기 저장된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된 전처리 데이터의 특이점을 기반으로 도출된 정보일 수 있으며, 누수 발생 지점 정보(507)는 특정 블록뿐만 아니라, 특정 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수용가 중 누수가 발생된 수용가 범위까지 포함할 수 있으며, 누수가 발생된 수용가의 위치, 주소, 상기 누수 규모 정보에 기반한 피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수 규모 정보에 기반한 피해 정보는 상기 누수가 발생된 수용가가 평균적으로 사용하는 물의 사용량에 대비하여 얼마만큼의 물을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esult output unit displays the water leak occurrence time information 505 and the water leak occurrence point information 507 while displaying the numerical value of the water flow rate information and the numerical value of the leak rate information in the analysis result screen 401 . can do. The leak occurrence point information 505 and the leak occurrence point information 509 may be information identified by a data analyzer (eg, the data analyzer 117 of FIG. 1 ) included in the system. The leak occurrence time information 505 is information derived by analyzing pre-processing data normalized to time intervals, and may be used to predict leak size information. In addition, the leak occurrence point information 507 may be information derived based on a singularity of pre-processing data analyzed through a pre-stored algorithm, and the leak occurrence point information 507 includes not only a specific block but also a specific block. It may include up to the range of consumers in which the leak has occurred among a plurality of consumers, and may include the location, address, and damage information of the leaked consumer based on the leak size information. The damage information based on the leak scale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indicating how much water the leaked consumer is not using compared to the average amount of water us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수용가를 포함하는 블록에 대한 상수도 누수 검출 시스템을 통해 분석된 복수의 수용가에 대한 결과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a result screen for a plurality of consumers analyzed through the water supply leak detection system for a block including a plurality of consum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복수의 수용가를 포함하는 블록에 대한 상수도 누수 검출 시스템에 포함된 결과 출력부(예: 도 1의 결과 출력부(119))는 출력 수단을 통해 특정 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수용가 각각에 대한 유수율 정보 및 누수율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출력 수단은 관리자 계정이 로그인된 전자 장치 및 유저 계정이 로그인된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데스크 탑, 스마트 폰 및 랩 탑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시스템을 구동할 수 있으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6 , a result output unit (eg, the result output unit 119 in FIG. 1 ) included in the water supply leak detection system for a block including a plurality of consumers may include a plurality of units included in a specific block through an output means. It is possible to output the water flow rate information and the water leakage rate information for each customer. The output means may be an electronic device in which an administrator account is logged in and an electronic device in which a user account is logged in. The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a desktop, a smart phone, a laptop,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s long as it can drive the system.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과 출력부는 상기 출력 수단(601)을 통해 분석 결과 화면(603)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분석 결과 화면(603) 내에는 특정 블록에 공급된 적산유량 정보(603a)와 복수의 수용가 유량 정보(603b)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수용가 유량 정보(603b)는 복수의 수용가 각각에 공급된 적산유량 정보 및 복수의 수용가 각각이 사용한 물 사용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esult output unit may display the analysis result screen 603 through the output means 601 . In the analysis result screen 603 , the integrated flow rate information 603a and the plurality of customer flow rate information 603b supplied to a specific block may be displayed. The plurality of consumers flow rate information 603b may include integrated flow rate information su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nsumers and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water used by each of the plurality of consumer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과 출력부는 상기 분석 결과 화면(603) 내에서 상기 적산유량 정보(603a)를 표시하는 경우, 해당 적산유량이 계측된 계측 시간 정보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계측 시간 정보가 상기 적산유량 정보와 함께 표시됨에 따라, 관리자 계정 또는 유저 계정의 사용자는 시간 별로 특정 블록에 대한 누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result output unit displays the integrated flow rate information 603a in the analysis result screen 603 , it may also display measurement time information for which the corresponding integrated flow rate is measured. That is, as the measurement time information is displayed together with the accumulated flow information, a user of an administrator account or a user account can check whether a specific block is leaked by tim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과 출력부는 상기 분석 결과 화면(603) 내에서 상기 적산유량 정보(603a)를 표시하는 동안 복수의 수용가 유량 정보(603b)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결과 출력부는 분석 결과 화면(603)을 통해 특정 시각에서 특정 블록에 공급된 적산유량에 대비하여 특정 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수용가 각각의 적산유량 및 물 사용량을 표시함으로써, 관리자 계정 또는 유저 계정의 사용자가 특정 블록 또는 복수의 수용가에 발생된 누수 여부를 손쉽게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결과 출력부는 상기 분석 결과 화면(603)을 통해 누수 발생 시점 정보 및 누수 발생 지점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esult output unit may display a plurality of customer flow rate information 603b together while displaying the integrated flow rate information 603a in the analysis result screen 603 . The result output unit displays the accumulated flow rate and water usage of each of a plurality of consumers included in the specific block in comparison with the accumulated flow supplied to the specific block at a specific time through the analysis result screen 603,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administrator accounts or user accounts. A user can easily check whether a leak has occurred in a specific block or a plurality of consumers. That is, the result output unit may provide the leak occurrence time information and the leak occurrence point information to the user through the analysis result screen 603 .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수용가를 포함하는 블록에 대한 상수도 누수 검출 시스템을 통해 수행되는 분석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nalysis process performed through a water leak detection system for a block including a plurality of consum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복수의 수용가를 포함하는 블록에 대한 상수도 누수 검출 시스템에 포함된 결과 출력부(예: 도 1의 결과 출력부(119))는 출력 수단을 통해 분석 프로세스에 필요한 전처리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요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result output unit (eg, the result output unit 119 of FIG. 1 ) included in the water supply leak detection system for a block including a plurality of consumers uses the output means to output preprocessed data required for the analysis process. It can be requested from outside.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수용가를 포함하는 블록에 대한 상수도 누수 검출 시스템에 포함된 데이터 분석부(예: 도 1의 데이터 분석부(117))는 상기 분석 프로세스 진행 시, 상기 전처리 데이터의 데이터 량이 상기 분석 프로세스에 필요한 분석 기준 데이터 량 미만인 경우, 상기 기 저장된 복수의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분석 프로세스에 필요한 전처리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기 저장된 복수의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분석 프로세스를 진행할 시, 상기 전처리 데이터에서 분석에 필요한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전처리 데이터의 데이터 량이 분석 기준 데이터 량 미만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ata analysis unit (eg, the data analysis unit 117 of FIG. 1 ) included in the water supply leak detection system for a block including a plurality of consumers (eg, the data analysis unit 117 of FIG. 1 ) is the data of the pre-processing data when the analysis process proceeds. When the amount is less than the amount of analysis reference data required for the analysis process, the pre-processing data required for the analysis process may be analyzed through the plurality of pre-stored algorithms. For example, when the data analysis unit performs the analysis process through the plurality of pre-stored algorithms, if there is no data required for analysis in the pre-processing data, it is determined that the data amount of the pre-processing data is less than the analysis reference data amount can do.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과 출력부는 상기 분석 프로세스에 필요한 전처리 데이터의 데이터 량이 분석 기준 데이터 량 미만인 경우, 출력 수단(701)의 공지 화면(703)을 통해 분석 프로세스에 필요한 전처리 데이터를 외부에 요구하거나 공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data amount of the pre-processing data required for the analysis process is less than the analysis reference data amount, the result output unit requests the pre-processing data required for the analysis process externally through the notification screen 703 of the output means 701 or may be announce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7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8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descriptions of unnecessary embodiments that overlap with those of FIGS. 1 to 7 will be omitted. do it with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8, the computing device 10000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11100, a memory 11200, a peripheral interface 11300, an input/output subsystem ( It may include at least an I/O subsystem) 11400 , a power circuit 11500 , and a communication circuit 11600 . In this case, the computing device 10000 may correspond to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tactile interface device (A) or the aforementioned computing device (B).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11200 may include, for example, a 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a magnetic disk, an SRAM, a DRAM, a ROM, a flash memory, or a non-volatile memory. have. The memory 11200 may include a software module, an instruction set, or other various data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computing device 10000 .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In this case, access to the memory 11200 from other components such as the processor 11100 or the peripheral device interface 11300 may be controlled by the processor 11100 .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0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Peripheral interface 11300 may couple input and/or output peripherals of computing device 10000 to processor 11100 and memory 11200 . The processor 11100 may execute a software module or an instruction set stored in the memory 11200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for the computing device 10000 and process data.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The input/output subsystem 11400 may couple various input/output peripherals to the peripheral interface 11300 . For example, the input/output subsystem 11400 may include a controller for coupling peripheral devices such as a monitor, keyboard, mouse, printer, or a touch screen or sensor as needed to the peripheral interface 11300 .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put/output peripherals may be coupled to peripheral interface 11300 without going through input/output subsystem 11400 .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circuit 11500 may supply power to all or some of the components of the terminal. For example, the power circuit 11500 may include a power management system, one or more power sources such as batteries or alternating current (AC), a charging system, a 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a power converter or inverter, a power status indicator, or a power source. It may include any other components for creation, management, and distribution.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circuit 11600 may enable communication with another computing device using at least one external port.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s described above, if necessary, the communication circuit 11600 may include an RF circuit to transmit and receive an RF signal, also known as an electromagnetic signal, to enable communication with other computing devices.

이러한 도 8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8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8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8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is embodiment of FIG. 8 is only an example of the computing device 10000, and the computing device 11000 may omit some components shown in FIG. 8 or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not shown in FIG. 8, or 2 It may have a configuration or arrangement that combines two or more components. For example, a computing device for a communication terminal in a mobile environment may further include a touch screen or a sensor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shown in FIG. 8 , and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WiFi, 3G, LTE) in the communication circuit 1160 , Bluetooth, NFC, Zigbee, etc.) may include a circuit for RF communication. Component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computing device 10000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both hardware and software including an integrated circuit specialized for one or more signal processing or application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Meth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ing device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In particular,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as a PC-based program or an application dedicated to a mobile terminal. The applic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may be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through a file provided by the file distribution system. For example, the file distribution system may include a file transmission unit (not shown) that transmits the file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or a combination of the hardware component and the software component. For example, the device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It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or more general purpose or special purpose computers, such as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The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the software.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lthough one processing device is sometimes described as being used,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process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or a plurality of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may include For example, the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such as parallel processors.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Software may compris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thereof, which configures a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is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processed You can command the device. The software and/or data may be any kind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to be interpreted by or to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the processing device.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y in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ing device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i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such as floppy disks. - include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or the described components of the system, structure, apparatus,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Or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may achieve an appropriate result. 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10)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복수의 수용가를 포함하는 블록에 대한 상수도 누수 검출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유량 센서가 상기 블록에 공급되는 물의 적산유량을 계측하여, 상기 계측된 물의 적산유량에 기반한 유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제1 유량 센서부터 상기 생성된 유량 데이터를 수신하는 유량 데이터 수신부;
수도 미터에 의해 계측된 상기 복수의 수용가 각각이 사용한 물의 사용량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수용가 각각에 설치된 원격 검침기가 사용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원격 검침기로부터 상기 사용량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량 데이터 수신부;
상기 수신된 유량 데이터 및 상기 사용량 데이터의 시간 간격을 정규화하여, 상기 유량 데이터 및 상기 사용량 데이터를 분석 가능한 형태의 전처리 데이터로 변환하는 전처리 데이터 변환부;
외부로부터 기 지정된 트리거가 발생하는 경우, 기 저장된 복수의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전처리 데이터에 대한 분석 프로세스를 시작하는 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데이터 분석부에서 시작된 분석 프로세스의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블록에 대한 상수도의 누수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상기 판단 결과에 기반한 결과 데이터를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결과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수용가를 포함하는 블록에 대한 상수도 누수 검출 시스템.
In the water supply leak detection system for a block comprising a plurality of receivers implemented as a computing device including one or more processors and one or more memories for storing instructions executable in the processor,
a flow data receiv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generated flow data from the first flow sensor when the first flow sensor measures the integrated flow rate of water supplied to the block and generates flow data based on the measured integrated flow rate of water;
a usage data receiv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usage data from the remote meter reader when a remote meter reader install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onsumers generates usage data based on the amount of water used by each of the plurality of consumers measured by a water meter;
a pre-processing data conversion unit that normalizes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received flow data and the usage data, and converts the flow data and the usage data into pre-processing data in a form that can be analyzed;
a data analysis unit that starts an analysis process for the pre-processed data through a plurality of pre-stored algorithms when a predetermined trigger is generated from the outside; and
and a result output unit for outputting result data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through an output means when determining whether the water supply leaks to the block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process started by the data analysis unit A water leak detection system for a block including a plurality of consum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량 데이터 수신부는,
상기 원격 검침기로부터 상기 사용량 데이터의 수신이 불가능하여 검침원이 상기 복수의 수용가 각각을 방문하여 확인한 물의 사용량을 요금 서버에 입력하면, 상기 입력된 물의 사용량을 기반으로 생성된 요금 데이터를 상기 요금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수용가를 포함하는 블록에 대한 상수도 누수 검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usage data receiving unit,
When it is impossible to receive the usage data from the remote meter reader and the meter reader visits each of the plurality of consumers and inputs the checked water usage to the fee server, the fee data generated based on the input water usage is received from the fee server Water leak detection system for a block comprising a plurality of consumers, characterized in tha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금 데이터는,
상기 검침원에 의해 상기 확인된 물의 사용량이 상기 요금 서버에 입력되는 경우, 상기 요금 서버에 기 저장된 요금 테이블 및 상기 입력된 물의 사용량에 기반하여 생성되되,
상기 전처리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사용량 데이터 수신부가 상기 요금 서버로부터 상기 요금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전처리 데이터 생성 시, 요금 데이터를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수용가를 포함하는 블록에 대한 상수도 누수 검출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ee data is
When the usage of water confirmed by the meter reading source is input to the fee server, it is generated based on a fee table pre-stored in the fee server and the input water usage,
The pre-processing data conversion unit,
When the usage data receiving unit receives the rate data from the rate server, when generating the pre-processing data, the rate data is refle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유량 데이터 및 상기 사용량 데이터의 시간 간격을 정규화한 상태에서, 상기 시간 간격에 포함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시각을 기준으로 상기 유량 데이터에 포함된 유량 정보와 상기 사용량 데이터에 포함된 사용량 정보를 매칭시키는 정보 매칭부; 및
상기 정보 매칭부에 의해 상기 유량 정보와 상기 사용량 정보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사용량 정보와 매칭되지 않은 유량 정보를 추가로 가산된 유량 정보로 판단하여, 상기 추가로 가산된 유량 정보를 필터링하는 유량 필터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수용가를 포함하는 블록에 대한 상수도 누수 검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pre-processing data conversion unit,
In a state in which the time interval of the flow data and the usage data is normalized, the flow rat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low data and the usag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sage data are matched based on at least one time included in the time interval information matching unit; and
When the flow rate information and the usage information are matched by the information matching unit, the flow rate information that does not match the usage information is determined as the additionally added flow rate information, and the flow rate filtering for filtering the additionally added flow rate information A water leak detection system for a block comprising a plurality of consumer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저장된 트리거는,
지정된 시간의 경과, 외부로부터 수신된 분석 결과 요청, 새로운 전처리 데이터의 획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수용가를 포함하는 블록에 대한 상수도 누수 검출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re-stored trigger is,
A water supply leak detection system for a block including a plurality of consumer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the lapse of a specified time, a request for analysis result received from the outside, and acquisition of new pre-processing dat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기 지정된 트리거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유량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블록에 공급된 물의 공급량을 확인하며, 상기 사용량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수용가 각각이 사용한 물의 사용량을 확인하는 용량 확인부; 및
상기 용량 확인부에 의해 상기 물의 공급량 및 상기 물의 사용량의 확인이 완료된 경우, 상기 물의 공급량 및 상기 물의 사용량을 기반으로, 유수율 및 누수율 중 적어도 하나를 계산하는 용량 계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수용가를 포함하는 블록에 대한 상수도 누수 검출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data analysis unit,
When the predetermined trigger occurs, a capacity check unit for checking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block based on the flow rate information, and for checking the amount of water used by each of the plurality of consumers based on the usage information; and
When the confirmation of the amount of water supply and the amount of water used by the capacity check unit is completed, a capacity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t least one of a flow rate and a water leak rate based on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and the amount of water used; A water leak detection system for a block comprising a plurality of consumer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계산된 누수율을 기반으로 상기 상수도에 누수가 발생한 것을 판단하는 경우, 기 저장된 복수의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전처리 데이터로부터 특이점을 검출하여, 상기 상수도에 발생된 누수의 발생 시점 및 발생 지점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수용가를 포함하는 블록에 대한 상수도 누수 검출 시스템.
7. The method of claim 6,
The data analysis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leak has occurred in the water supply based on the calculated leak rate, a singular point is detected from the pre-processing data through a plurality of pre-stored algorithms, and the occurrence time and occurrence point of the leak occurring in the water supply are identified. A water leak detection system for a block comprising a plurality of consumers,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전처리 데이터의 데이터 량이 상기 분석 프로세스에 필요한 분석 기준 데이터 량 미만인 경우, 상기 기 저장된 복수의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분석 프로세스에 필요한 전처리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분석 프로세스에 필요한 전처리 데이터를 상기 결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수용가를 포함하는 블록에 대한 상수도 누수 검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data analysis unit,
When the amount of data of the pre-processing data is less than the amount of analysis reference data required for the analysis process, the pre-processing data required for the analysis process is analyzed through the plurality of pre-stored algorithms, and the pre-processing data required for the analysis process is transmitted through the result output unit. Water leak detection system for a block comprising a plurality of consum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전처리 데이터에 대한 분석 프로세스를 시작하는 경우, 시간 순서에 따른 전처리 데이터에 대한 연관 관계를 분석하여 상기 기 저장된 복수의 알고리즘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수용가를 포함하는 블록에 대한 상수도 누수 검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data analysis unit,
When the analysis process for the pre-processing data is started, tap water leak detection for a block including a plurality of consum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pre-stored algorithms are updated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to the pre-processing data according to the time sequence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유량 데이터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수용가 각각에 설치된 제2 유량 센서가 상기 복수의 수용가 각각에 공급되는 물의 적산유량을 계측하여, 상기 계측된 물의 적산유량에 기반한 수용가 유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제2 유량 센서로부터 상기 생성된 수용가 유량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수용가를 포함하는 블록에 대한 상수도 누수 검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flow data receiving unit,
When a second flow sensor install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onsumers measures the integrated flow rate of water su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nsumers and generates flow data for the consumer based on the measured integrated flow rate of water, the second flow rate sensor A water leak detection system for a block comprising a plurality of consumers, characterized in that receiving the generated consumer flow data.
KR1020210031507A 2021-03-10 2021-03-10 Water leak detection system for a block containing multiple customers KR1026185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507A KR102618570B1 (en) 2021-03-10 2021-03-10 Water leak detection system for a block containing multiple custom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507A KR102618570B1 (en) 2021-03-10 2021-03-10 Water leak detection system for a block containing multiple custom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7018A true KR20220127018A (en) 2022-09-19
KR102618570B1 KR102618570B1 (en) 2023-12-27

Family

ID=83460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507A KR102618570B1 (en) 2021-03-10 2021-03-10 Water leak detection system for a block containing multiple custom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857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4639B1 (en) * 2023-06-21 2024-02-07 (주)아이티브레인 Smart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system capable of checking leakage type and leakage amount based on cluster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304B1 (en) * 2009-12-28 2011-06-17 (주) 한일네트워크엔지니어링 The system to improve revenue water ratio in connection with billing management system
KR101556590B1 (en) * 2015-06-29 2015-10-13 주식회사 한화건설 Method for Analysis Water leakage of Water Pipe Network Using Remote Metering Data of Water Supply Customer and System thereof
KR101687636B1 (en) * 2016-04-06 2016-12-20 주식회사 한미엔텍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managing water distribution
KR102031714B1 (en) * 2018-10-25 2019-10-14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leakage detection based on hydraulic analysis in water supply network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304B1 (en) * 2009-12-28 2011-06-17 (주) 한일네트워크엔지니어링 The system to improve revenue water ratio in connection with billing management system
KR101556590B1 (en) * 2015-06-29 2015-10-13 주식회사 한화건설 Method for Analysis Water leakage of Water Pipe Network Using Remote Metering Data of Water Supply Customer and System thereof
KR101687636B1 (en) * 2016-04-06 2016-12-20 주식회사 한미엔텍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managing water distribution
KR102031714B1 (en) * 2018-10-25 2019-10-14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leakage detection based on hydraulic analysis in water supply network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4639B1 (en) * 2023-06-21 2024-02-07 (주)아이티브레인 Smart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system capable of checking leakage type and leakage amount based on cluste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8570B1 (en) 2023-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0983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resources in a water utility network
US20110050395A1 (en) Utility monitoring system
JP7252291B2 (en) Computer system and computer-implemented method utilizing sensor-driven dynamically adjustable feedback loops to manage equipment-based risk to asset-specific levels of energy data usage
US20240159615A1 (en) Fuel leak determination via predictive modeling
KR102618570B1 (en) Water leak detection system for a block containing multiple customers
KR20140109596A (en) Apparatus method for predicting and correcting meter reading data in a range not reading
WO2016174958A1 (en) Water leak occurence position estim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US9699525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residual consumption
CN114235108B (en) Abnormal state detection method and device for gas flowmeter based on data analysis
US117090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accuracy of detecting meter removal or physical tampering
US1130093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water pressure and flow monitoring
Nahid et al. Simpler Design for Liquid Supply Line Leakage Monitoring
US201703008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 time monitoring and budgeting for utilities consumption
KR102662242B1 (en) Digital water meter and water leak detection method using it
KR101324038B1 (en) Power monitoring apparatus
KR20230077294A (en) Real-time monitoring system of home appliances sold by region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WO2021236601A1 (en) Automated algorithm and real-time system to detect multiphase flowmeter preventive maintenance activities
US10949923B1 (en) Home device sensing
AU20112213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resources in a water utility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