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7016A - The multi function device - Google Patents

The multi func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7016A
KR20220127016A KR1020210031505A KR20210031505A KR20220127016A KR 20220127016 A KR20220127016 A KR 20220127016A KR 1020210031505 A KR1020210031505 A KR 1020210031505A KR 20210031505 A KR20210031505 A KR 20210031505A KR 20220127016 A KR20220127016 A KR 20220127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circuit
magnet
circuit module
vibrato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15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72158B1 (en
Inventor
이선욱
이채현
Original Assignee
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1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2158B1/en
Publication of KR20220127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70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1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1Centering
    • H04R9/043Inner suspension or damper, e.g. spider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brator which includes: a suspension; a magnetic circuit module which is inserted into the suspension, to oscillate along an oscillation axis, and forms a magnetic gap; and a voice coil module which is disposed in the magnetic gap of the magnetic circuit module. The magnetic circuit modules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a plane of symmetry perpendicular to the oscillation axis. Accordingly, vibration and sound performance of the vibrator in both directions can be equally implemented.

Description

진동자{THE MULTI FUNCTION DEVICE}Oscillator {THE MULTI FUNCTION DEVICE}

본 발명은 진동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진동자의 양 방향으로 동일한 진동 및 음향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진동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b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ibrator capable of implementing the same vibration and sound performance in both directions of the vibrator.

진동자는 패널 등의 피착물에 부착된다. 진동자는 영구자석과 보이스코일의 상호 작용에 따라 진동과 음향을 생성한다. The vibrator is attached to an adherend such as a panel. The vibrator generates vibration and sound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ermanent magnet and the voice coil.

종래 기술에 따른 진동자는 자계를 형성하는 자기회로와 전기적 신호를 받아들이는 보이스코일, 및 진동을 전달하는 서스펜션을 포함한다. 자기회로의 자계와 보이스코일에 흐르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진동이 발생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진동자의 경우, 보이스코일과 자기회로의 구조로 진동자의 일 방향에 대한 진동에 집중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진동자의 일 방향과 이에 반대인 타 방향에 대해 진동 특성이 차이가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진동자의 일 방향으로의 진동을 위한 공간 확보가 필요한 문제가 있다.A vibr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cludes a magnetic circuit forming a magnetic field, a voice coil receiving an electrical signal, and a suspension transmitting vibration. Vibration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magnetic field of the magnetic circuit and the electrical signal flowing through the voice coil. However, in the case of the vibr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structure of the voice coil and the magnetic circuit concentrates the vibration in one direction of the vibrator.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vibration characteristics are different in one direction of the vibrator and the other direction opposite thereto.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ecessary to secure a space for vibration in one direction of the vibrator.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진동자의 양 방향으로 동일한 진동 및 음향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진동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vibrator capable of implementing the same vibration and sound performance in both directions of the vibrato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자는, 서스펜션, 서스펜션의 내측에 삽입되어 진동축을 따라 진동하고, 자기갭을 형성하는 자기 회로 모듈, 및 자기 회로 모듈의 자기갭에 배치된 보이스코일 모듈을 포함하며, 자기 회로 모듈은 진동축에 수직한 대칭면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vib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spension, a magnetic circuit module that is inserted into the suspension to vibrate along an oscillation axis, and forms a magnetic gap, and the magnetism of the magnetic circuit module. It includes a voice coil module disposed in the gap, characterized in that the magnetic circuit module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a plane of symmetry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vibration.

또한, 자기갭은, 자기 회로 모듈의 상측에 형성된 제1자기갭과 자기 회로 모듈의 하측에 형성된 제2자기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gnetic gap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irst magnetic gap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gnetic circuit module and a second magnetic gap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gnetic circuit module.

또한, 보이스코일 모듈은, 제1자기갭에 배치되는 제1보이스코일, 및 제2자기갭에 배치되는 제2보이스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voice coil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irst voice coil disposed in the first magnetic gap, and a second voice coil disposed in the second magnetic gap.

또한, 자기 회로 모듈은, 서스펜션에 의해 지지되는 요크, 요크에 의해 지지되는 마그넷, 마그넷의 일측에 배치된 제1폴피스, 및 마그넷의 타측에 배치된 제2폴피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gnetic circuit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yoke supported by the suspension, a magnet supported by the yoke, a first pole piec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agnet, and a second pole piec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gnet. .

또한, 요크는, 마그넷을 감싸는 요크 바디, 및 요크 바디의 내주면에 배치되며, 마그넷의 외주면에 결합된 요크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yoke is dispos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yoke body and the yoke body surrounding the magne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yoke projection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gnet.

또한, 마그넷은 요크 돌기에 대응하는 삽입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gne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insertion groove corresponding to the yoke projection.

또한, 마그넷은, 제1폴피스에 접하는 제1마그넷, 및 제1마그넷과 제2폴피스의 사이에 배치된 제2마그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gne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irst magnet in contact with the first pole piece, and a second magnet disposed between the first magnet and the second pole piece.

또한, 서스펜션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서스펜션은, 프레임에 결합된 프레임결합부, 자기 회로 모듈에 결합된 자기회로결합부, 및 프레임결합부와 자기회로결합부에 연결된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further comprises a frame for supporting the suspension, the suspension comprising a frame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frame, a magnetic circuit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magnetic circuit module, and an elastic part connected to the frame coupling part and the magnetic circuit coupling part characterized.

또한, 자기 회로 모듈의 상측에 배치된 상측 커버, 및 자기 회로 모듈의 하측에 배치된 하측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upper cover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gnetic circuit module, and a lower cover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gnetic circuit module.

또한, 서스펜션은 고분자 재료 또는 금속 재료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spen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polymer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또한, 상측 커버와 하측 커버는 관통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ar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through hole.

본 발명에 따르면, 진동자의 양 방향으로 동일한 진동 및 음향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same vibration and acoustic performance in both directions of the vibrator.

또한, 진동자의 양 방향으로 충분한 진동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a sufficient vibration distance can be secured in both directions of the vibrator.

또한, 진동자가 부착되는 패널(피착물) 등의 형상에 따른 공간적 제약에도 불구하고, 최대한의 진동 면적을 확보하여 최대 진동 및 음향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alize maximum vibration and acoustic performance by securing a maximum vibration area despite spatial restrictions depending on the shape of a panel (adhering object) to which the vibrator is attach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진동자의 일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기 회로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보이스코일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진동자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진동자에 대한 주파수 특성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자에 대한 주파수 특성 그래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vib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ibrator shown in FIG. 1 .
FIG. 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magnetic circuit module shown in FIG. 2 .
FIG. 4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voice coil module shown in FIG. 2 .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vibrator shown in FIG. 2 .
6 is a frequency characteristic graph for a vibr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7 is a frequency characteristic graph of a vib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적 목적으로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provided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to help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구성 요소는 동일 참조 부호로 지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Since the shapes, sizes, proportions, angles, numbers,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atters shown in the drawings. Like elements may be referred to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라는 표현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가 단수로 표현된 경우,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한다. 또한,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When 'includes', 'have', 'consists of', etc.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the expression 'only' is used. When a component is expressed in the singular, the plural is includ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ddition, in interpreting the components, it is interpreted as including an error range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explicit description.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라는 표현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whe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wo parts is described as 'on', 'on', 'on', 'beside', etc., 'right' Alternatively, unless the expression 'directly' is used, one or more other parts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two parts.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beneath)", "하부 (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예시적인 용어인 "위" 또는 "상"은 위와 아래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The spatially relative terms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etc. are one element or component as shown in the drawings. and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the correlation with other devices o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as terms including different orientations of the device during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orientation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when an element shown in the figures is turned over, an element described as "beneath" or "beneath" another element may be placed "above" the other element. Accordingly, the exemplary term “below” may include both directions below and above. Likewise, the exemplary terms “above” or “on” may include both directions above and below.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라는 표현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a temporal relationship, for example, 'immediately' or 'directly' when a temporal relationship is described as 'after', 'following', 'after', 'before', etc. It may include cases that are not continuous unless the expression "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3 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 항목, 제2 항목 또는 제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The term “at least one”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possible combinations from one or more related items. For example, the meaning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items” means each of the first, second, or third items as well as two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items. It may mean a combination of all items that can be presented from more than one.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될 수도 있다.Each feature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artially or wholly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technically various interlocking and driving are possible, and each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r may be implemented together in a related relationship. may b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자(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진동자(1)의 일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ibra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ibrator 1 shown in FIG. 1 .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자(1)는 그 일측과일측의 반대인 타측에서 생성되는 진동 및 음향의 주파수 특성을 동일하게 구현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진동 및 음향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1 and 2, the vibra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the sam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vibration and sound generat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Thereby, vibration and acoustic performance can be maximiz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자(1)는 서스펜션(10), 자기 회로 모듈(20) 및 보이스코일 모듈(30)을 포함한다. 서스펜션(10)은 자기 회로 모듈(20)의 진동을 지지한다. 자기 회로 모듈(20)은 서스펜션(10)의 내측에 삽입되어 서스펜션(10)에 의해 지지된다. 자기 회로 모듈(20)은 진동축(A)을 따라 진동하며, 자기갭을 형성한다. 보이스코일 모듈(30)은 자기 회로 모듈(20)의 자기갭에 배치된다. 여기서, 자기 회로 모듈(20)은 진동축(A)에 수직한 대칭면(P)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된다. 이에 의해, 자기 회로 모듈(20)은 진동축(A)을 따라 상방향과 하방향으로 대칭적인 진폭이 가능하다.The vibra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spension 10 , a magnetic circuit module 20 , and a voice coil module 30 . The suspension 10 supports the vibration of the magnetic circuit module 20 . The magnetic circuit module 20 is inserted into the suspension 10 and supported by the suspension 10 . The magnetic circuit module 20 vibrates along the oscillation axis A and forms a magnetic gap. The voice coil module 30 is disposed in the magnetic gap of the magnetic circuit module 20 . Here, the magnetic circuit module 20 is symmetrically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symmetry plane P perpendicular to the vibration axis A. Accordingly, the magnetic circuit module 20 is capable of symmetrical amplitude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along the oscillation axis (A).

일 실시 예로, 자기갭은 제1자기갭(G1)과 제2자기갭(G2)을 포함한다. 제1자기갭(G1)은 자기 회로 모듈(20)의 상측에 형성된다. 제2자기갭(G2)은 자기 회로 모듈(20)의 하측에 형성된다. 제1자기갭(G1)과 제2자기갭(G2)은 대칭면(P)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된다. In an embodiment, the magnetic gap includes a first magnetic gap G1 and a second magnetic gap G2. The first magnetic gap G1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gnetic circuit module 20 . The second magnetic gap G2 is formed under the magnetic circuit module 20 . The first magnetic gap G1 and the second magnetic gap G2 are symmetrically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symmetry plane P.

보이스코일 모듈(30)은 제1보이스코일(300)과 제2보이스코일(310)을 포함한다. 제1보이스코일(300)은 제1자기갭(G1)에 배치된다. 제2보이스코일(310)은 제2자기갭(G2)에 배치된다. 제1보이스코일(300)과 제2보이스코일(310)은 대칭면(P)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된다. 제1보이스코일(300)과 제2보이스코일(310)의 각각은 보빈과 보이스코일을 포함한다. 보이스코일은 보빈에 권취된다. The voice coil module 30 includes a first voice coil 300 and a second voice coil 310 . The first voice coil 300 is disposed in the first magnetic gap G1. The second voice coil 310 is disposed in the second magnetic gap G2. The first voice coil 300 and the second voice coil 310 are symmetrically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symmetry plane P. Each of the first voice coil 300 and the second voice coil 310 includes a bobbin and a voice coil. The voice coil is wound on a bobbin.

자기 회로 모듈(20)은 요크(200), 마그넷(210) 및 폴피스(220, 230)를 포함한다. 요크(200)는 서스펜션(10)에 의해 지지된다. 마그넷(210)은 요크(200)에 의해 지지된다. 폴피스는 제1폴피스(220)와 제2폴피스(230)를 포함한다. 제1폴피스(220)는 마그넷(210)의 일측에 배치된다. 제2폴피스(230)는 마그넷(210)의 타측에 배치된다. 예컨대, 제1폴피스(220)와 제2폴피스(230)는 마그넷(2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요크(200)와 제1폴피스(220)의 사이에 자기장이 집중되는 제1자기갭(G1)이 형성된다. 또한, 요크(200)와 제2폴피스(230)의 사이에 자기장이 집중되는 제2자기갭(G2)이 형성된다.The magnetic circuit module 20 includes a yoke 200 , a magnet 210 , and pole pieces 220 and 230 . The yoke 200 is supported by a suspension 10 . The magnet 210 is supported by the yoke 200 . The pole piece includes a first pole piece 220 and a second pole piece 230 . The first pole piece 22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agnet 210 . The second pole piece 230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gnet 210 . For example, the first pole piece 220 and the second pole piece 230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magnet 210 interposed therebetween. A first magnetic gap G1 in which a magnetic field is concentrated is formed between the yoke 200 and the first pole piece 220 . Also, a second magnetic gap G2 in which a magnetic field is concentrated is formed between the yoke 200 and the second pole piece 230 .

마그넷(210)은 대칭면(P)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폴피스(220)와 제2폴피스(230)는 대칭면(P)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요크(200)도 대칭면(P)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magnet 210 may be vertical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symmetry plane P. The first pole piece 220 and the second pole piece 230 may be vertical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symmetry plane P. In addition, the yoke 200 may also be arranged vertically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symmetry plane P.

일 실시 예로, 요크(200)는 요크 바디(201)와 요크 돌기(202)를 포함할 수 있다. 요크 바디(201)는 마그넷(210)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어 마그넷(210)을 감싼다. 요크 바디(201)는 마그넷(210)의 외주면으로부터 대칭면(P)상 이격된다. 요크 돌기(202)는 요크 바디(201)의 내주면에 배치되어 마그넷(210)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요크 돌기(202)는 마그넷(210)의 외주면에 접착물질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요크 돌기(202)의 단부는 마그넷(210)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접착물질이 요크 돌기(202)의 단부는 마그넷(210)의 외주면의 사이에 충분히 주입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yoke 200 may include a yoke body 201 and a yoke protrusion 202 . The yoke body 201 extend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gnet 210 to surround the magnet 210 . The yoke body 201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gnet 210 on a symmetrical plane (P). The yoke protrusion 202 is dispos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yoke body 201 and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gnet 210 . The yoke protrusion 202 may be fix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gnet 210 by an adhesive material. The end of the yoke protrusion 20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gnet 210 . Accordingly, the adhesive material can be sufficiently injected between the end of the yoke protrusion 202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gnet 210 .

요크 돌기(202)는 마그넷(210)의 상하 대칭면(P)상에 위치한 마그넷(210)의 외주면을 지지한다. 즉, 요크 돌기(202)는 대칭면(P)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요크 돌기(202)의 상측으로 제1자기갭(G1)이 형성되고, 요크 돌기(202)의 하측으로 제1자기갭(G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자기 회로 모듈(20)이 요크 돌기(202)의 상측과 하측에서 강하게 진동할 수 있는 진동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자기 회로 모듈(20)이 요크 바디(201)의 내측에서 진동하므로, 진동자(1)의 두께를 박형화할 수 있다.The yoke protrusion 202 support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gnet 210 positioned on the vertical symmetry plane P of the magnet 210 . That is, the yoke protrusion 202 is vertical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symmetry plane P. Accordingly, the first magnetic gap G1 may be formed above the yoke protrusion 202 , and the first magnetic gap G2 may be formed below the yoke protrusion 202 . Thereby, it is possible to secure a vibration distance at which the magnetic circuit module 20 can vibrate strongly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yoke protrusion 202 . In addition, since the magnetic circuit module 20 vibrates inside the yoke body 201 , the thickness of the vibrator 1 can be reduced.

한편, 요크 바디(201)의 외주면은 서스펜션(10)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감싸진다. 일 실시 예로, 요크 바디(201)와 서스펜션(10)은 인서트 사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요크 바디(201)는 서스펜션(10)에 인서트되어 접착물질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요크 바디(201)의 외주면과 서스펜션(10)의 내주면이 밀착되어 결합되므로, 자기 회로 모듈(20)의 진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특히, 진동축(A)의 상하 방향에 대해 자기 회로 모듈(20)의 진동의 대칭성을 확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yoke body 201 is wrapped in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spension (10). In one embodiment, the yoke body 201 and the suspension 10 may be manufactured by insert injection. In addition, the yoke body 201 may be inserted into the suspension 10 and coupled by an adhesive material. Sinc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yoke body 201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spension 10 are closely coupled, the vibration of the magnetic circuit module 20 can be stably supporte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symmetry of the vibration of the magnetic circuit module 20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vibration axis (A).

본 발명에 따른 진동자(1)는 프레임(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서스펜션(10)은 프레임결합부(100), 자기회로결합부(110) 및 탄성부(120)를 포함한다. 프레임결합부(100)는 프레임(40)에 결합된다. 자기회로결합부(110)는 자기 회로 모듈(20)에 결합된다. 탄성부(120)는 프레임결합부(100)와 자기회로결합부(110)에 연결되어 진동을 지지한다. 탄성부(120)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다. 서스펜션(10)은 대칭면(P)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서스펜션은 고분자 재료 또는 금속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The vibra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rame 40 . Meanwhile, the suspension 10 includes a frame coupling part 100 , a magnetic circuit coupling part 110 , and an elastic part 120 . The frame coupling part 100 is coupled to the frame 40 . The magnetic circuit coupling unit 110 is coupled to the magnetic circuit module 20 . The elastic part 120 is connected to the frame coupling part 100 and the magnetic circuit coupling part 110 to support vibration. The elastic part 120 is elastically deformable. The suspension 10 may be vertical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symmetry plane P. The suspension may be made of a polymeric material or a metallic material.

자기회로결합부(110)는 요크 바디(201)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된다. 자기회로결합부(110)의 내주면은 요크 바디(201)의 외주면에 밀착 접촉되어 결합된다. 요크 바디(201)와 자기회로결합부(110)는 인서트 사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요크 바디(201)는 자기회로결합부(110)에 인서트되어 접착물질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결합부(100)는 프레임(40)에 적어도 일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The magnetic circuit coupling part 110 extends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yoke body 201 .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gnetic circuit coupling unit 110 is coup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yoke body 201 . The yoke body 201 and the magnetic circuit coupling part 110 may be manufactured by insert injection molding. In addition, the yoke body 201 may be inserted into the magnetic circuit coupling unit 110 and coupled by an adhesive material. The frame coupling part 100 may be fix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frame 40 at least partially.

본 발명에 따른 진동자(1)는 상측 커버(50)와 하측 커버(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측 커버(50)는 자기 회로 모듈(20)의 상측에 배치된다. 하측 커버(60)는 자기 회로 모듈(20)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측 커버(50)와 하측 커버(60)는 자기 회로 모듈(20)을 덮어 보호할 수 있다. The vibra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cover 50 and a lower cover 60 . The upper cover 50 is disposed above the magnetic circuit module 20 . The lower cover 60 is disposed below the magnetic circuit module 20 . The upper cover 50 and the lower cover 60 may cover and protect the magnetic circuit module 20 .

상측 커버(50)와 하측 커버(60)의 각각은 관통홀(H)을 가진다. 관통홀(H)은 진동축(A)을 중심축으로 가질 수 있다. 관통홀(H)은 자기 회로 모듈(20)의 진동에 의해 생성된 음향이 송출되게 한다. 또한, 상측 커버(50)와 하측 커버(60)는 피착물에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상측 커버(50)와 하측 커버(60)는 피착물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기 회로 모듈(20)에 의한 진동은 프레임(40)을 거쳐 상측 커버(50)와 하측 커버(60)에 전달될 수 있다.Each of the upper cover 50 and the lower cover 60 has a through hole (H). The through hole (H) may have the vibration axis (A) as a central axis. The through hole (H) allows the sound generated by the vibration of the magnetic circuit module 20 to be transmitted. In addition, the upper cover 50 and the lower cover 60 may be in contact with the adherend. At this time, the upper cover 50 and the lower cover 60 may transmit vibration to the adherend. Specifically, the vibration by the magnetic circuit module 20 may be transmitted to the upper cover 50 and the lower cover 60 through the frame 40 .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기 회로 모듈(2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보이스코일 모듈(3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agnetic circuit module 20 shown in FIG. 2 , and FIG. 4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voice coil module 30 shown in FIG. 2 .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자기 회로 모듈(20)과 보이스코일 모듈(30)은 원형, 사각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자기 회로 모듈(20)은 진동축(A)과 수직한 수직면상 직교좌표를 기준으로 장축(X)과 단축(Y)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보이스코일 모듈(30)은 진동축(A)과 수직한 수직면상 직교좌표를 기준으로 장축(X)과 단축(Y)을 가질 수 있다. 즉, 자기 회로 모듈(20)과 보이스코일 모듈(30)은 일 방향으로 길고, 일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짧을 수 있다. 상측 또는 하측 커버(50, 60)에 부착되는 피착물(미도시)은 다양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기 회로 모듈(20)이 장축(X)과 단축(Y)을 가지므로 피착물의 면적에 대응하여 최대한 접촉되게 하여 진동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직교좌표의 중심은 평면상 진동축(A)과 동일하다.2 to 4 , the magnetic circuit module 20 and the voice coil module 30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le, a square, and an oval. In an embodiment, the magnetic circuit module 20 may have a major axis (X) and a minor axis (Y) based on a Cartesian coordinate on a vertical plane perpendicular to the vibration axis (A). In addition, the voice coil module 30 may have a major axis (X) and a minor axis (Y) based on a Cartesian coordinate on a vertical plane perpendicular to the vibration axis (A). That is, the magnetic circuit module 20 and the voice coil module 30 may be long in one direction and shor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ne direction. An adherend (not shown) attached to the upper or lower covers 50 and 60 may have various area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agnetic circuit module 20 has a major axis (X) and a minor axis (Y), the vibration area can be increased by maximally contacting the magnetic circuit module according to the area of the adherend. Here, the center of the Cartesian coordinates is the same as the planar vibration axis (A).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진동자(1)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vibrator 1 shown in FIG.

도 5를 참조하면, 마그넷(210)은 요크 돌기(202)에 대응하는 삽입홈을 가질 수 있다. 마그넷(210)의 삽입홈은 마그넷(210)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요크 돌기(202)의 적어도 일부는 마그넷(210)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요크(200)가 진동하는 마그넷(2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마그넷(210)의 진동에도 불구하고 마그넷(2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삽입홈은 대칭면(P)을 기준으로 상하로 대칭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magnet 210 may have an insertion groove corresponding to the yoke protrusion 202 . The insertion groove of the magnet 210 may exten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gnet 210 . At least a portion of the yoke protrusion 202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of the magnet 210 to be coupled. Thereby, the yoke 200 stably supports the vibrating magnet 210 , and is not separated from the magnet 210 despite the vibration of the magnet 210 . The insertion groove may be vertical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symmetry plane (P).

한편, 마그넷(210)은 제1마그넷(211)과 제2마그넷(2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마그넷(211)은 제1폴피스(220)에 접한다. 제2마그넷(212)은 제1마그넷(211)과 제2폴피스(230)의 사이에 배치된다. 즉, 제1마그넷(211)과 제2마그넷(212)은 대칭면(P)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된다. 따라서, 제1마그넷(211)과 제2마그넷(212)의 접촉면은 대칭면(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마그넷(211)과 제2마그넷(212)이 요크 돌기(202)에 상하로 조립되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자기 회로 모듈(20)의 조립이 용이하다.Meanwhile, the magnet 210 may include a first magnet 211 and a second magnet 212 . The first magnet 211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pole piece 220 . The second magnet 212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magnet 211 and the second pole piece 230 . That is, the first magnet 211 and the second magnet 212 are vertical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symmetry plane P. Accordingly, the contact surface of the first magnet 211 and the second magnet 212 may be disposed on the symmetrical surface (P). In this case, the first magnet 211 and the second magnet 212 may be vertically assembled and coupled to the yoke protrusion 202 . Therefore, assembly of the magnetic circuit module 20 is easy.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진동자에 대한 주파수 특성 그래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자에 대한 주파수 특성 그래프이다.6 is a frequency characteristic graph of the vibr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7 is a frequency characteristic graph of the vib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도 6에서 실선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진동자가 피착물에 부착된 제1면 방향으로의 진동에 대한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점선은 제1면에 반대 방향인 제2면 방향으로의 진동에 대한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다. 이에 따르면, 종래 기술에 따른 진동자의 경우, 제1면 방향과 그 반대인 제2면 방향에 대한 진동의 주파수 특성이 차이가 난다.Referring to FIG. 6 , a solid line in FIG. 6 indicates a frequency characteristic for vibration in a direction of a first surface where a vibrato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attached to an adherend. In addition, the dotted line indicates a frequency characteristic for vibratio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According to this, in the case of the vibr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vibration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second surface are different.

반면에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자는 피착물에 부착된 제1면 방향과 그 반대인 제2면 방향 모두에 대해 동일한 주파수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도 7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자의 제1면 및 제2면 방향 모두 동일한 실선으로 표현되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종래 진동자가 가진 피착물 장착 방향에 따른 성능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이스틱 등과 같이 입체 터치 및 진동이 필요한 분야에 폭 넓게 적용 가능하다. 예컨대, VR/AR 시장에서 사용이 되는 경우로 제품의 한쪽 면 이외의 다수의 면을 활용해야 하는 제품(분야)에 적합한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 7 , the vib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frequency characteristics in both the direction of the first surface attached to the adherend and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second surface. Accordingly, in FIG. 7 , both direc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of the vib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represented by the same solid lin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overcome the performance limitation of the conventional vibrator according to the mounting direction of the adheren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widely applicable to fields requiring three-dimensional touch and vibration, such as a joystick. For example, when used in the VR/AR market, performance suitable for a product (field) that needs to utilize multiple sides other than one side of the product can be implemented.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lthough the invention made by the present inventors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진동자
10 : 서스펜션
100 : 프레임결합부
110 : 자기회로결합부
120 : 탄성부
20 : 자기 회로 모듈
200 : 요크
201 : 요크 바디
202 : 요크 돌기
210 : 마그넷
211 : 제1마그넷
212 : 제2마그넷
220 : 제1폴피스
230 : 제2폴피스
30 : 보이스코일 모듈
300 : 제1보이스코일
310 : 제2보이스코일
40 : 프레임
50 : 상측 커버
60 : 하측 커버
1: vibrator
10: suspension
100: frame coupling part
110: magnetic circuit coupling part
120: elastic part
20: magnetic circuit module
200: York
201: yoke body
202: yoke protrusion
210: magnet
211: first magnet
212: second magnet
220: first pole piece
230: second pole piece
30: voice coil module
300: first voice coil
310: 2nd voice coil
40 : frame
50: upper cover
60: lower cover

Claims (11)

서스펜션;
서스펜션의 내측에 삽입되어 진동축을 따라 진동하고, 자기갭을 형성하는 자기 회로 모듈; 및
자기 회로 모듈의 자기갭에 배치된 보이스코일 모듈을 포함하며,
자기 회로 모듈은 진동축에 수직한 대칭면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진동자.
suspension;
a magnetic circuit module inserted into the suspension to vibrate along an oscillation axis and form a magnetic gap; and
A voice coil module disposed in the magnetic gap of the magnetic circuit module,
The magnetic circuit module is an oscillator that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a plane of symmetry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oscill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자기갭은,
자기 회로 모듈의 상측에 형성된 제1자기갭과
자기 회로 모듈의 하측에 형성된 제2자기갭을 포함하는 진동자.
The method of claim 1,
The magnetic gap is
a first magnetic gap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gnetic circuit module;
A vibrator including a second magnetic gap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gnetic circuit module.
제 2 항에 있어서,
보이스코일 모듈은,
제1자기갭에 배치되는 제1보이스코일; 및
제2자기갭에 배치되는 제2보이스코일을 포함하는 진동자.
3. The method of claim 2,
The voice coil module is
a first voice coil disposed in the first magnetic gap; and
A vibrator including a second voice coil disposed in a second magnetic gap.
제 1 항에 있어서,
자기 회로 모듈은,
서스펜션에 의해 지지되는 요크;
요크에 의해 지지되는 마그넷;
마그넷의 일측에 배치된 제1폴피스; 및
마그넷의 타측에 배치된 제2폴피스를 포함하는 진동자.
The method of claim 1,
Magnetic circuit module,
a yoke supported by a suspension;
a magnet supported by the yoke;
a first pole piec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agnet; and
A vibrator including a second pole piec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gnet.
제 4 항에 있어서,
요크는,
마그넷을 감싸는 요크 바디; 및
요크 바디의 내주면에 배치되며, 마그넷의 외주면에 결합된 요크 돌기를 포함하는 진동자.
5. The method of claim 4,
York is,
yoke body wrapped around magnet; and
A vibrator dispos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yoke body and including a yoke protrusion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gnet.
제 5 항에 있어서,
마그넷은 요크 돌기에 대응하는 삽입홈을 가지는 진동자.
6. The method of claim 5,
The magnet is a vibrator having an insertion groove corresponding to the yoke protrusion.
제 4 항에 있어서,
마그넷은,
제1폴피스에 접하는 제1마그넷; 및
제1마그넷과 제2폴피스의 사이에 배치된 제2마그넷을 포함하는 진동자.
5. The method of claim 4,
the magnet,
a first magnet in contact with the first pole piece; and
A vibrator including a second magnet disposed between the first magnet and the second pole piece.
제 1 항에 있어서,
서스펜션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서스펜션은,
프레임에 결합된 프레임결합부;
자기 회로 모듈에 결합된 자기회로결합부; 및
프레임결합부와 자기회로결합부에 연결된 탄성부를 포함하는 진동자.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rame for supporting the suspension,
Suspension is
a frame coupling unit coupled to the frame;
a magnetic circuit coupling unit coupled to the magnetic circuit module; and
A vibrator including an elastic part connected to the frame coupling part and the magnetic circuit coupling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자기 회로 모듈의 상측에 배치된 상측 커버; 및
자기 회로 모듈의 하측에 배치된 하측 커버를 더 포함하는 진동자.
The method of claim 1,
an upper cover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gnetic circuit module; and
The vibrator further comprising a lower cover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gnetic circuit module.
제 8 항에 있어서,
서스펜션은 고분자 재료 또는 금속 재료로 제조된 진동자.
9. The method of claim 8,
Suspension is a vibrator made of a polymer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제 8 항에 있어서,
상측 커버와 하측 커버는 관통홀을 가지는 진동자.
9. The method of claim 8,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are vibrators having through holes.
KR1020210031505A 2021-03-10 2021-03-10 The multi function device KR1024721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505A KR102472158B1 (en) 2021-03-10 2021-03-10 The multi func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505A KR102472158B1 (en) 2021-03-10 2021-03-10 The multi func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7016A true KR20220127016A (en) 2022-09-19
KR102472158B1 KR102472158B1 (en) 2022-11-29

Family

ID=83460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505A KR102472158B1 (en) 2021-03-10 2021-03-10 The multi func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215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6259B2 (en) * 1996-07-30 2006-03-15 フオスター電機株式会社 Headphone driver
KR20140091365A (en) * 2013-01-11 2014-07-21 주식회사 블루콤 Speaker module and non-directional slim type speaker having the same
KR20190132066A (en) * 2018-05-18 2019-11-27 주식회사 이엠텍 Actuator having a elastic injection molded frame
KR20200143790A (en) * 2019-06-17 2020-12-28 에스텍 주식회사 The multi function device with non circular typ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6259B2 (en) * 1996-07-30 2006-03-15 フオスター電機株式会社 Headphone driver
KR20140091365A (en) * 2013-01-11 2014-07-21 주식회사 블루콤 Speaker module and non-directional slim type speaker having the same
KR20190132066A (en) * 2018-05-18 2019-11-27 주식회사 이엠텍 Actuator having a elastic injection molded frame
KR20200143790A (en) * 2019-06-17 2020-12-28 에스텍 주식회사 The multi function device with non circular ty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2158B1 (en) 202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6494B2 (en) Linear vibrator
KR100533716B1 (en) Plate type speaker using horizontal vibration voice coil
US8577075B2 (en) Speaker
US9473837B2 (en) Sound transducer with ventilation structure
EP2317776A2 (en) Speaker damper and speaker including the same
KR101467500B1 (en) Sensory signal output apparatus
KR101514677B1 (en) Bone conduction output apparatus
JP6010080B2 (en) Linear vibration motor
US9510087B2 (en) Acoustic device
US20120177244A1 (en) Speaker
US20140140543A1 (en) Micro-electroacoustic Device
US9706310B2 (en) Acoustic device
US10484788B1 (en) Acoustic transducer with passive diaphragm spatially integrated with active diaphragm
US20130099603A1 (en) Linear vibrator
KR100932755B1 (en) Multifunction speaker
KR20160067344A (en) Multi-Function Microspeaker
KR20120121284A (en) Vertical vibration type rectangular linear motor
KR20220127016A (en) The multi function device
JP3708281B2 (en) Vibration generator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vibration generator
US9706309B2 (en) Acoustic device
KR102240554B1 (en) The multi function device with non circular type
CN114363778B (en) Sound producing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JP4553278B2 (en) Multifunctional sounding bod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2130920B1 (en) Transducer
KR100987464B1 (en) Directivity type spe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