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6983A - 리튬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 Google Patents

리튬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6983A
KR20220126983A KR1020210031401A KR20210031401A KR20220126983A KR 20220126983 A KR20220126983 A KR 20220126983A KR 1020210031401 A KR1020210031401 A KR 1020210031401A KR 20210031401 A KR20210031401 A KR 20210031401A KR 20220126983 A KR20220126983 A KR 20220126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ed portion
active material
thickness
material layer
lithium seco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1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철
김기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10031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6983A/ko
Publication of KR20220126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69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451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layers of only organic material and layers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3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르면, 양극, 분리막 및 음극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가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구조의 리튬 이차전지로서,
상기 양극 및 음극은 각각, 일측에 탭을 포함하는 집전체, 및 상기 집전체 상에 형성되는 활물질층을 포함하며,
상기 양극 및 음극의 활물질층은 각각, 상기 탭의 연장 방향으로 일단측의 제1 경사부, 타단측의 제2 경사부, 및 상기 제1 경사부와 제2 경사부 사이에 위치하는 평탄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 경사부와 제2 경사부의 활물질층은 평탄부 활물질층의 두께보다 점진적으로 그 두께가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막은 상기 양극 및 음극의 제1 경사부와 제2 경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양단의 두께가 상기 평탄부에 대응되는 위치의 두께보다 두꺼운 구조를 가지는 리튬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리튬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리튬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활물질층의 경사에 맞춰 분리막, 또는 분리막 및 전지케이스의 구조를 변경시킨 리튬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에 관한 것이다.
화석연료 사용의 급격한 증가로 인하여 대체 에너지나 청정에너지의 사용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분야가 전기화학을 이용한 발전, 축전 분야이다.
현재 이러한 전기화학적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기화학 소자의 대표적인 예로 이차전지를 들 수 있으며, 점점 더 그 사용 영역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에는 휴대용 컴퓨터, 휴대용 전화기, 카메라 등의 휴대용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 이차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러한 이차전지 중에서, 높은 충방전 특성과 수명특성을 나타내고 친환경적인 리튬 이차전지에 대해 많은 연구가 행해져 왔고, 또한 상용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리튬 이차전지는 양극과 음극 및 다공성 분리막으로 이루어진 전극조립체를 전지케이스에 내장하고, 이에 리튬 비수계 전해질을 함침시켜 제조한다.
이때, 상기 양극 또는 음극의 전극은 전극 집전체 상에 전극 활물질, 도전재, 바인더 등을 함유하는 슬러리를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도포, 건조함으로써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슬러리는 유동성을 가지기 때문에 전극 단부에서 슬라이딩이 필연적으로 발생하며, 이에 따라 탭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전극 단부에는 슬러리의 도포 두께가 평탄부에 비해 낮아지는 경사부가 형성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리튬 이차전지(100)는, 양극(120)과 음극들(110) 사이에 분리막(130)이 개재되어 있는 구조의 적극조립체가 전지케이스(140)에 내장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각각의 양극(120) 및 음극들(110)은 활물질층(113)이 탭(112)을 포함하는 집전체(111) 상에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탭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단부에는 활물질층(113)이 경사를 이루며 두께가 감소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분리막(130)의 두께는 균일하고, 전지케이스(140)의 깊이도 균일하므로, 상기 전극조립체가 내장되는 경우, 탭(112)이 형성되는 전극 단부에서 전극들(110, 120)과 분리막(130) 사이, 음극들(110)과 파우치(140) 사이에 빈공간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빈공간에 리튬 이차전지(100)의 작동 중에 발생하는 가스가 트랩(trap)되고, 리튬이 석출되어 리튬 이차전지(100)의 안전성에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이차전지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리튬 이차전지의 기술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지케이스 내 빈공간을 최대한 줄여 가스 트랩 및 리튬 석출을 최소화함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리튬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는,
양극, 분리막 및 음극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가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구조의 리튬 이차전지로서,
상기 양극 및 음극은 각각, 일측에 탭을 포함하는 집전체, 및 상기 집전체 상에 형성되는 활물질층을 포함하며,
상기 양극 및 음극 중 적어도 하나의 활물질층은 각각, 상기 탭의 연장 방향으로 일단측의 제1 경사부, 타단측의 제2 경사부, 및 상기 제1 경사부와 제2 경사부 사이에 위치하는 평탄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 경사부와 제2 경사부의 활물질층은 평탄부 활물질층의 두께보다 점진적으로 그 두께가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막은 상기 제1 경사부와 제2 경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양단의 두께가 상기 평탄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두께보다 두꺼운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분리막은 폴리머 원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폴리머 원단은 상기 제1 경사부와 제2 경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양단의 두께가 두꺼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폴리머 원단은 상기 제1 경사부와 제2 경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활물질층의 두께 감소 형상과 대응되도록 양단의 두께가 단부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두꺼워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분리막은 베이스 기재 및 상기 베이스 기재의 양면에 형성되어 있는 유무기 복합 코팅층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무기 복합 코팅층은 상기 제1 경사부와 제2 경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양단의 두께가 두껍게 코팅되어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유무기 복합 코팅층은 상기 제1 경사부와 제2 경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활물질층의 두께 감소 형상과 대응되도록 양단의 두께가 단부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두껍게 코팅되어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경사부 및 제2 경사부는 탭의 연장 방향으로 양단의 5mm 내지 10mm 길이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전지케이스는 제1 상부 엣지부, 제2 상부 엣지부, 제1 하부 엣지부, 제2 하부 엣지부, 및 바디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상부 엣지부, 제2 상부 엣지부, 제1 하부 엣지부, 및 제2 하부 엣지부는 상기 제1 경사부와 제2 경사부의 활물질층의 두께 감소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깊이보다 점진적으로 그 깊이가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리튬 이차전지를 단위전지로서 포함하는 전지팩이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는 활물질층의 두께 경사에 맞춰 분리막의 단부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고, 더불어 전지케이스의 엣지부의 깊이가 점진적으로 감소된 형상의 전지케이스를 적용함으로써, 양극 또는 음극의 전극과 분리막 사이, 전극과 전지케이스 사이의 빈공간을 최소화하여, 빈공간에 가스 트랩 및 리튬 석출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전지케이스의 크랙 방지 및 리튬 이차전지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리튬 이차전지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분리막의 일 형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분리막의 또 다른 일 형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 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구성 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양극, 분리막 및 음극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가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구조의 리튬 이차전지로서,
상기 양극 및 음극은 각각, 일측에 탭을 포함하는 집전체, 및 상기 집전체 상에 형성되는 활물질층을 포함하며,
상기 양극 및 음극 중 적어도 하나의 활물질층은 각각, 상기 탭의 연장 방향으로 일단측의 제1 경사부, 타단측의 제2 경사부, 및 상기 제1 경사부와 제2 경사부 사이에 위치하는 평탄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 경사부와 제2 경사부의 활물질층은 평탄부 활물질층의 두께보다 점진적으로 그 두께가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막은 상기 제1 경사부와 제2 경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양단의 두께가 상기 평탄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두께보다 두꺼운 구조를 가지는 리튬 이차전지가 제공된다.
즉, 본 발명의 분리막은 전극의 활물질층의 경사부의 형성에 따른 분리막과 전극 사이의 빈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분리막의 양단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한 구조를 가진다.
이때, 상기 두께를 달리한 분리막의 구조는, 전극과 분리막 사이에 형성되는 빈공간을 매우는 형태라면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상세하게는, 상기 활물질층의 두께 감소 형상과 대응되도록 양단의 두께가 단부 방향으로 점짐적으로 두꺼워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예를 더욱 자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2 내지 도 3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들(200, 300)을 모식적으로 도시하였다. 모식도에서는 양극과 음극 모두 경사부를 가지는 구성을 개시하였으나, 이들 중 하나만 그러한 구조를 가지는 것도 본 발명에서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리튬 이차전지(200)은 양극(220)과 음극들(210), 및 그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230)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가 전지케이스(240)에 내장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전해질 함침 구성은 도면에서 별도로 표시하지 않았으나 전극조립체는 전해액에 함침된 형태로 전지케이스(240)에 내장되어 있다.
여기서, 양극(220)와 음극들(210)은 집전체 상에 활물질 슬러리를 기계적으로 도포하게 되므로, 경사부를 가질 수 있다. 대표적으로, 음극(210)의 구조를 보면, 음극(210)은 탭(212)을 포함하는 집전체(211) 상에 활물질층(213)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 활물질층(213)은 탭(212)의 연장 방향으로 일단측의 제1 경사부(213a), 타단측의 제2 경사부(213c), 및 제1 경사부(213a)와 제2 경사부(213c) 사이에 위치하는 평탄부(213b)로 구성된다.
상기 제1 경사부(213a)와 제2 경사부(213c)는 탭(212)의 연장 방향으로 양단의 5mm 내지 10mm 길이 부분(l)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경사부(213a)와 제2 경사부(213c)의 활물질층은 평탄부(213b)의 활물질층의 두께보다 점진적으로 그 두께가 감소하는 형상(T>t)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에서 이러한 구조는 양극과 음극에 동일하게 적용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분리막이 종래와 같이 두께가 일정한 판 형상이라면 양극(220)과 음극들 (210) 사이에서 분리막과의 공간이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분리막(230)은 양극(230)과 음극들(210)의 제1 경사부(213a)와 제2 경사부(213c)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양단의 두께(D)가 평탄부(213b)에 대응되는 위치의 두께(d)보다 두꺼운 구조(231)을 가진다. 이때, 분리막의 양단의 두께는 부리막의 폭 전체적으로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폭은 전극을 기준으로 탭의 형성방향의 수직방향으로의 길이를 의미한다. 이렇게 형성되어야 활물질층과 분리막 사이의 공간을 채울 수 있다.
한편, 상기 양단의 두께가 두꺼운 구조는,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일정한 위치에서 볼록부를 가지는 형상일 수 있고, 도 2에서는 단면이 사각형인 형상을 형성하였으나,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과 같이 점진적으로 두꺼워지는 구조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도 2와 동일하게 리튬 이차전지(300)은 양극(320)과 음극들(310), 및 그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330)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가 전지케이스(340)에 내장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양극(320)과 음극들(310)은 집전체 상에 활물질 슬러리를 기계적으로 도포하게 되므로, 경사부를 가질 수 있다. 대표적으로, 음극(310)의 구조를 보면, 음극(310)은 탭(312)을 포함하는 집전체(311) 상에 활물질층(313)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 활물질층(313)은 탭(312)의 연장 방향으로 일단측의 제1 경사부(313a), 타단측의 제2 경사부(313c), 및 제1 경사부(313a)와 제2 경사부(313c) 사이에 위치하는 평탄부(313b)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 경사부(313a)와 제2 경사부(313c)의 활물질층은 평탄부(313b)의 활물질층의 두께보다 점진적으로 그 두께가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에서 이러한 구조는 양극과 음극에 동일하게 적용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분리막(330)은 양극(330)과 음극들(310)의 제1 경사부(313a)와 제2 경사부(313c)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활물질층(313)의 두께 감소 형상과 대응되도록 중심부(332)보다 양단(331)의 두께가 단부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두꺼워지는 구조를 가진다.
이때, 분리막의 양단의 두께는 분리막의 폭 전체적으로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폭은 전극을 기준으로 탭의 형성방향의 수직방향으로의 길이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활물질층의 두께 감소 형상과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는 경우, 전극과 분리막 간의 사이를 더욱 효율적으로 채울 수 있고, 빈공간의 최소화되는 바,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이러한 도 2 및 도 3에서 개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조를 가지는 분리막은 폴리머 원단일 수 있고, 또는 베이스 기재 및 상기 베이스 기재의 양면에 형성되어 있는 유무기 복합 코팅층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분리막이 폴리머 원단인 경우에는, 폴리머 원단 자체가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분리막이 베이스 기재 및 기 베이스 기재의 양면에 형성되어 있는 유무기 복합 코팅층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유무기 복합 코팅층이 상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분리막이 베이스 기재 및 상기 베이스 기재의 양면에 형성되어 있는 유무기 복합 코팅층을 포함하는 구조일 경우를 더욱 자세히 나타내기 위해 도 4 및 도 5에 이러한 분리막만을 모식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4를 참조하면, 분리막(230')은 베이스 기재(231') 및 상기 베이스 기재(231')의 양면에 형성되어 있는 유무기 복합 코팅층(232')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무기 복합 코팅층(232')은 전극의 제1 경사부와 제2 경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양단(233')의 두께(t1)가 평탄부에 대응되는 위치(234')에서의 두께(t2)보다 두껍게 코팅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때, 상기 양단의 두께가 두꺼운 구조는, 도 2와 유사하게, 일정한 위치에서 볼록부를 가지는 형상일 수 있고, 도 4에서는 단면이 사각형인 형상을 형성하였으나,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분리막(330')은 베이스 기재(331') 및 상기 베이스 기재(331')의 양면에 형성되어 있는 유무기 복합 코팅층(332')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무기 복합 코팅층(332')은 전극의 제1 경사부와 제2 경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활물질층의 두께 감소 형상과 대응되도록 양단(333')의 두께가 평탄부에 대응되는 위치(334')에서의 두께(t5)에서 단부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두껍게 코팅되어 있는 구조(t3>t4>t5)를 가진다.
이때, 상기 양단의 두께가 두꺼운 구조는, 도 2와 유사하게, 일정한 위치에서 볼록부를 가지는 형상일 수 있고, 도 4에서는 단면이 사각형인 형상을 형성하였으나,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와 동시에, 전극의 활물질층이 경사부를 가지는 경우, 박스형의 형태로 형성되는 전지케이스와의 사이에도 빈공간이 발생할 수 있고, 이 경우, 이러한 공간에 가스 트랩 또는 리튬 석출이 발생할 수 있는 바, 이러한 문제를 모두 해결하여 안전성을 매우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전지케이스의 구조 역시 이에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지케이스는, 제1 상부 엣지부, 제2 상부 엣지부, 제1 하부 엣지부, 제2 하부 엣지부, 및 바디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상부 엣지부, 제2 상부 엣지부, 제1 하부 엣지부, 및 제2 하부 엣지부는 상기 제1 경사부와 제2 경사부의 활물질층의 두께 감소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깊이보다 점진적으로 그 깊이가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한다.
구체적으로,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전극조립체를 내장하는 전지케이스(240)는 제1 상부 엣지부(241), 제2 상부 엣지부(242), 제1 하부 엣지부(243), 제2 하부 엣지부(244), 및 바디부(245)로 구성되며, 제1 상부 엣지부(241), 제2 상부 엣지부(242), 제1 하부 엣지부(243), 및 제2 하부 엣지부(244)는 그 깊이(r)가 전극조립체의 최외각에 위치하는 음극들(210)의 제1 경사부(213a)와 제2 경사부(213c)의 활물질층(213)의 두께 감소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기 바디부(245)의 깊이(R)보다 점진적으로 그 깊이가 감소하는 형상(R>r)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여도, 전극조립체를 내장하는 전지케이스(340)는 제1 상부 엣지부(341), 제2 상부 엣지부(342), 제1 하부 엣지부(343), 제2 하부 엣지부(344), 및 바디부(345)로 구성되며, 제1 상부 엣지부(341), 제2 상부 엣지부(342), 제1 하부 엣지부(343), 및 제2 하부 엣지부(344)는 그 깊이(r')가 전극조립체의 최외각에 위치하는 음극들(310)의 제1 경사부(313a)와 제2 경사부(313c)의 활물질층(313)의 두께 감소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기 바디부(345)의 깊이(R')보다 점진적으로 그 깊이가 감소하는 형상(R'>r')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리튬 이차전지를 단위전지로서 포함하는 전지팩이 제공된다.
여기서, 전지팩의 구조는 당업계에 알려져 있는 내용이 합체되고 본 명세서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8)

  1. 양극, 분리막 및 음극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가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구조의 리튬 이차전지로서,
    상기 양극 및 음극은 각각, 일측에 탭을 포함하는 집전체, 및 상기 집전체 상에 형성되는 활물질층을 포함하며,
    상기 양극 및 음극 중 적어도 하나의 활물질층은 각각, 상기 탭의 연장 방향으로 일단측의 제1 경사부, 타단측의 제2 경사부, 및 상기 제1 경사부와 제2 경사부 사이에 위치하는 평탄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 경사부와 제2 경사부의 활물질층은 평탄부 활물질층의 두께보다 점진적으로 그 두께가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막은 상기 제1 경사부와 제2 경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양단의 두께가 상기 평탄부에 대응되는 위치의 두께보다 두꺼운 구조를 가지는 리튬 이차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은 폴리머 원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폴리머 원단은 상기 제1 경사부와 제2 경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양단의 두께가 두꺼운 구조를 가지는 리튬 이차전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원단은 상기 제1 경사부와 제2 경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활물질층의 두께 감소 형상과 대응되도록 양단의 두께가 단부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두꺼워지는 구조를 가지는 리튬 이차전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은 베이스 기재 및 상기 베이스 기재의 양면에 형성되어 있는 유무기 복합 코팅층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무기 복합 코팅층은 상기 제1 경사부와 제2 경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양단의 두께가 두껍게 코팅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는 리튬 이차전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기 복합 코팅층은 상기 제1 경사부와 제2 경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활물질층의 두께 감소 형상과 대응되도록 양단의 두께가 단부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두껍게 코팅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는 리튬 이차전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부 및 제2 경사부는 탭의 연장 방향으로 양단의 5mm 내지 10mm 길이 부분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케이스는 제1 상부 엣지부, 제2 상부 엣지부, 제1 하부 엣지부, 제2 하부 엣지부, 및 바디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상부 엣지부, 제2 상부 엣지부, 제1 하부 엣지부, 및 제2 하부 엣지부는 상기 제1 경사부와 제2 경사부의 활물질층의 두께 감소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깊이보다 점진적으로 그 깊이가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리튬 이차전지.
  8. 제1항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를 단위전지로서 포함하는 전지팩.
KR1020210031401A 2021-03-10 2021-03-10 리튬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2201269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401A KR20220126983A (ko) 2021-03-10 2021-03-10 리튬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401A KR20220126983A (ko) 2021-03-10 2021-03-10 리튬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6983A true KR20220126983A (ko) 2022-09-19

Family

ID=83460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401A KR20220126983A (ko) 2021-03-10 2021-03-10 리튬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698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5503A1 (ko) * 2022-10-21 2024-04-2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두께 보완부가 적용된 스택 앤 폴딩형 전극조립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WO2024098354A1 (zh) * 2022-11-11 2024-05-16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极组件及其制备方法、二次电池和用电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5503A1 (ko) * 2022-10-21 2024-04-2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두께 보완부가 적용된 스택 앤 폴딩형 전극조립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WO2024098354A1 (zh) * 2022-11-11 2024-05-16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极组件及其制备方法、二次电池和用电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94512B2 (en) Longitudinal constraints for energy storage devices
KR101379957B1 (ko) 단차를 갖는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전지팩 및 디바이스
EP3264489B1 (en) Secondary battery
KR101147207B1 (ko) 전극군과 이를 적용한 이차 전지
EP2586082B1 (en) Separator for lead acid battery
KR101664244B1 (ko) 전극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이 방법을 이용해 제조된 전극 및 이 전극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220126983A (ko) 리튬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EP2958177A1 (en) Electrode assembly having rounded corners
KR20180058333A (ko) 전극 보호층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US10553858B2 (en) Lithium electrode for a rechargeable lithium-ion battery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CN107251269B (zh) 堆叠-折叠型电极组件
US9786874B2 (en) Electrode having round corner
KR20210014345A (ko) 공정 비용이 저감된 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20002402A (ko) 갈바니 전지용 전도체
KR101693294B1 (ko) 이차 전지
JP2013507727A (ja) 改良された内部抵抗を有する薄型電池
KR101621591B1 (ko) 비대칭 전극판, 비대칭 전극판을 구비한 비대칭 전극 조립체, 및 비대칭 전극 조립체를 구비한 비대칭 이차전지
JP4466905B2 (ja) 扁平形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102383163B1 (ko) 이차전지
KR100858789B1 (ko) 분리막의 열융착에 의해 형성된 댐핑부를 포함하고 있는향상된 안전성의 전기화학 셀
KR101357137B1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KR20170127975A (ko) 이차전지용 전극
KR20230039403A (ko) 전지케이스의 외면에 고무 바가 형성된 이차전지
KR100366083B1 (ko) 리튬 2차 전지의 극판 조립체
KR102072745B1 (ko) 나트륨 2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