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6968A - 실내용 자전거 - Google Patents

실내용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6968A
KR20220126968A KR1020210031358A KR20210031358A KR20220126968A KR 20220126968 A KR20220126968 A KR 20220126968A KR 1020210031358 A KR1020210031358 A KR 1020210031358A KR 20210031358 A KR20210031358 A KR 20210031358A KR 20220126968 A KR20220126968 A KR 20220126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support ring
ring body
rear rotating
sad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1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3704B1 (ko
Inventor
이용안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이용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안 filed Critical 이용안
Priority to KR1020210031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3704B1/ko
Publication of KR20220126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6968A/ko
Priority to KR1020230018275A priority patent/KR1025544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7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by rotating cycl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용 자전거에 있어서, 바닥에 지지되는 베이스(10); 좌우로 관통된 원형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단이 상기 베이스(10)에 고정된 지지링체(20); 하단이 상기 지지링체(20)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에는 핸들(37)이 구비된 전방회전몸체(30); 하단이 상기 지지링체(20)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전방회전몸체(30)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단에는 안장(48)이 구비된 후방회전몸체(40); 상기 지지링체(2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안장(48)에 착석한 사용자가 발로 밟을 수 있는 페달(51)이 구비된 페달구동부(50); 상기 전방회전몸체(30)를 지지링체(20)에서 위치조절하는 제1위치조절수단(60); 및 상기 후방회전몸체(40)를 지지링체(20)에서 위치조절하는 제2위치조절수단(70);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회전몸체(30)와 후방회전몸체(40)가 지지링체(20)에서 각각 개별적으로 회전됨에 따라 핸들(37)과 안장(48)의 상대적 위치관계 변화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의 라이딩 자세가 가능한 실내용 자전거이다.

Description

실내용 자전거{Indoor bicycle}
본 발명은 실내용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이나 헬스장 등 실내에서 운동용으로 사용되는 실내용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를 타면 하체가 튼튼해지고 허리 및 상체의 유연성이 길러지는데, 실내에서도 상기의 효과를 얻기 위해 바퀴를 제거하고 페달에 일정 마찰력을 부여한 실내용 자전거가 헬스장 뿐 아니라 가정에도 많이 보급되고 있다. 더욱이, 최근에 코로나 집단감염으로 인해 집에서 운동을 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어 가정에서 실내용 자전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실내용 자전거는 사람이 앉아서 운동을 할 수 있는 안장과, 상기 안장의 하부에 안장 파이프에 의해 연결되는 자전거바디와, 상기 자전거바디의 하측에 고정되어 상기 자전거바디를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자전거바디의 일측 상부에 일정한 각도를 이루며 부착된 핸들파이프와, 상기 핸들파이프의 상측에 고정되는 핸들과, 상기 자전거 바디의 중앙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페달로 구성된다.
그런데 자전거는 운동자세에 따라 싸이클, 시티, MTB 등 다양한 형태의 운동이 가능한 반면, 종래의 실내용 자전거는 운동자세가 입식과 좌식으로 거의 정해져 있어 다양한 형태의 운동을 경험하고 싶은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특히, 다양한 취향을 갖고 다양한 연령대의 구성원이 함께 살고 있는 가정에서는 종래의 실내용 자전거만으로는 각 개인이 원하는 취향의 운동을 할 수가 없고, 운동자세에 따라 운동부위가 달라지는데 연령대마다 요구되는 운동부위 등이 다르므로, 결국 개인의 취향과 원하는 운동부위를 위한 운동을 하려는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9982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자전거가 안장과 핸들의 상대적 위치가 다양하게 변경되면서 입식, 좌식 뿐 아니라 싸이클, 시티, MTB 등 좀 더 다양한 운동자세를 제공할 수 있어 다양한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고 특히, 다양한 연령대의 구성원이 살고 있는 가정에서 여러 대의 자전거를 구비하지 않고도 모든 구성원들이 만족할만한 운동을 할 수 있어 비용이 절감되고 공간도 적게 차지하여 공간활용도가 향상되는 실내용 자전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실내용 자전거에 있어서, 바닥에 지지되는 베이스(10); 좌우로 관통된 원형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단이 상기 베이스(10)에 고정된 지지링체(20); 하단이 상기 지지링체(20)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에는 핸들(37)이 구비된 전방회전몸체(30); 하단이 상기 지지링체(20)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전방회전몸체(30)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단에는 안장(48)이 구비된 후방회전몸체(40); 상기 지지링체(2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안장(48)에 착석한 사용자가 발로 밟을 수 있는 페달(51)이 구비된 페달구동부(50); 상기 전방회전몸체(30)를 지지링체(20)에서 위치조절하는 제1위치조절수단(60); 및 상기 후방회전몸체(40)를 지지링체(20)에서 위치조절하는 제2위치조절수단(70);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회전몸체(30)와 후방회전몸체(40)가 지지링체(20)에서 각각 개별적으로 회전됨에 따라 핸들(37)과 안장(48)의 상대적 위치관계 변화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의 라이딩 자세가 가능한 실내용 자전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전방회전몸체(30)에는 지지링체(20)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삽입공(35)이 이격 형성되고, 상기 후방회전몸체(40)의 일측에는 상기 전방회전몸체(30)의 복수개의 삽입공(35)과 정렬되는 하나 이상의 보조삽입공(46)이 형성되며, 상기 제1위치조절수단(60)은 전방회전몸체(30)의 복수개의 삽입공(35) 중 어느 하나의 삽입공(35)과 후방회전몸체(40)의 보조삽입공(46)에 끼워지는 삽입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자전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위치조절수단(70)은 베이스(10)에 좌우로 형성된 회전축(7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실린더(71)와, 이 실린더(71)에서 신축되며 단부가 후방회전몸체(4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후방회전몸체(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피스톤로드(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자전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후방회전몸체(40)에는 장공(45)이 상단에서 하단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위치조절수단(70)은 하단이 베이스(10)에 좌우로 형성된 회전축(7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지지암(76)과, 이 회전지지암(76)의 상단에 구비되며 후방회전몸체(40)의 장공(45)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돌기(74)와, 이 가이드돌기(74)를 후방회전몸체(40)의 장공(45)의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7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자전거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단에 핸들(37)이 구비된 전방회전몸체(30)와 상단에 안장(48)이 구비된 후방회전몸체(40)가 페달구동부(50)가 구비된 지지링체(20)에서 개별적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 실내용 자전거를 제공함으로써, 핸들(37)과 안장(48)의 상대적 위치가 다양하게 변경되므로, 사용자의 라이딩 자세에 따라 구별되는 입식, 좌식, 사이클, 시티, MTB 등 좀 더 세밀하고 다양한 라이딩 자세로 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라이딩 자세에 따라 운동되는 부위가 다르므로 사용자는 단일의 자전거를 이용하여 다양한 신체부위를 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실내용 자전거를 이용하여 좀 더 다양한 형태의 운동자세로 운동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연령대의 구성원이 함께 살고 있는 가정에서 하나의 실내용 자전거를 이용하여 자신에게 적합한 운동을 할 있어, 각자에게 맞는 형태의 실내용 자전거를 구입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용이 절감되며 여러 대의 실내용 자전거를 설치하지 않기 때문에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아서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전방회전몸체(30)를 지지링체(20)에서 위치를 조절하는 제1위치조절수단(60)이 전방회전몸체(30)에 형성된 복수개의 삽입공(35)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삽입핀으로 이루어져서,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면서도 전방회전몸체(30)를 간단하게 위치조절할 수 있다. 또한 후방회전몸체(40)를 지지링체(20)에서 위치를 조절하는 제2위치조절수단(70)이 실린더(71)나 회전지지암(76)으로 이루어져서,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면서도 후방회전몸체(40)를 간단하게 위치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전방회전몸체(30)와 후방회전몸체(40)에 서로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지지링체(20)와 동일한 곡률을 갖는 가이드곡면(36)과 보조가이드곡면(47)이 각각 서로 접촉되므로, 전방회전몸체(30)와 후방회전몸체(40)가 지지링체(20)에서 상대적으로 보다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구조적으로 견고하여 내구성이 향상되고 안정적으로 작동하여 사용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자전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일요부를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3 내지 도 6은 상기 실시예의 작동 및 그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운동자세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자전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상기 다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자전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자전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자전거는 베이스(10), 지지링체(20), 전방회전몸체(30), 후방회전몸체(40), 페달구동부(50), 제1위치조절수단(60) 및 제2위치조절수단(7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10)는 바닥에 지지된다. 도 3과 같이, 베이스(10)는 전후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10)에는 이동용 바퀴(11)가 구비될 수 있어 원하는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고,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토퍼(12)가 구비되어 이동시킨 후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링체(20)는 좌우로 관통된 원형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단이 베이스(10)에 고정된다.
상기 전방회전몸체(30)는 하단이 지지링체(2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2와 같이, 전방회전몸체(30)는 하단에 지지링체(20)가 끼워지는 끼움공 또는 끼움홈(34)이 형성된 좌측 및 우측전방회전몸체(31,32)와, 이 좌측 및 우측전방회전몸체(31,32) 사이에 개재되는 중앙전방회전몸체(33)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였다. 도 2와 같이, 전방회전몸체(30)는 상단으로 갈수록 지지링체(20)의 반경방향을 따라 일측으로 휘어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중앙전방회전몸체(33)에는 끼움공 또는 끼움홈(34)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후방회전몸체(40)와 상대적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지지링체(20)의 곡률과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가이드곡면(36)이 형성된다. 도 2와 같이, 좌측 및 우측전방회전몸체(31,32)에는 복수개의 삽입공(35)이 지지링체(2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된다. 한편, 전방회전몸체(30)의 상단에는 핸들(37)이 구비되며, 또한 휴대폰 등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3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방회전몸체(40)는 하단이 지지링체(2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도 1과 같이 전방회전몸체(40)보다 후방에 위치된다. 도 2와 같이, 후방회전몸체(40)는 하단에 지지링체(20)가 끼워지는 끼움홈 또는 끼움공(44)이 형성된 좌측 및 우측후방회전몸체(41,42)와, 이 좌측 및 우측후방회전몸체(41,42) 사이에 개재되는 중앙후방회전몸체(43)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였다. 후방회전몸체(40)는 상단으로 갈수록 지지링체(20)의 반경방향을 따라 일측으로 휘어지는데, 도 3과 같이 전방회전몸체(30)와 근접되도록 휘어진 형상으로 이루어질 있다. 후방회전몸체(40)의 상하길이가 전방회전몸체(30)의 상하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자전거는 도 2와 같이 중앙후방회전몸체(43)에는 좌측 및 우측후방회전몸체(41,42)보다 지지링체(2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방회전몸체(30)의 중앙전방회전몸체(33)의 가이드곡면(36)과 근접되며 그 단면은 지지링체(20)의 곡률과 대응되는 곡률로 이루어진 보조가이드곡면(47)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중앙전방회전몸체(33)의 가이드곡면(36)과 중앙후방회전몸체(43)의 보조가이드곡면(47)이 근접배치되어, 전방회전몸체(30) 및 후방회전몸체(40)가 상호 가이드하면서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앙후방회전몸체(43)의 돌출된 부분에는 전방회전몸체(30)의 복수개의 삽입공(35)과 선택적으로 정렬되는 보조삽입공(46)이 형성된다. 전방회전몸체(30) 또는 후방회전몸체(40)가 지지링체(20)를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삽입공(35) 중 어느 하나가 보조삽입공(46)과 정렬될 수 있고, 상기 제1위치조절수단(60)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보조삽입공(46)도 복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한편, 후방회전몸체(40)의 상단에는 안장(48)이 구비된다. 도 3과 같이, 안장(48)은 후방회전몸체(40)에서 승강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안장(48)은 저면에 안장승강봉(49)이 하향돌출되며, 이 안장승강봉(49)이 좌측 및 우측후방회전몸체(41,42) 사이에 형성되는 승강가이드홈(43a) 내부로 승강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안장승강봉(49)에는 복수개의 통공(49a)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되고, 좌측 및 우측후방회전몸체(41,42)의 상단부에는 안장승강봉(49)의 통공(49a)과 정렬되는 통공이 형성되며, 안장고정핀(80)이 후방회전몸체(40)의 통공과 안장승강봉(49)의 통공(49a)에 결합되어 안장(48)을 위치조절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와 같이 안장(48)은 안장승강봉(49)에 힌지축(48a)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후방회전몸체(40)의 회전에 따라 바뀌는 안장(48)의 위치에 따라 안장(48)을 수평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한편, 지지링체(20), 전방회전몸체(30) 및 후방회전몸체(40)는 금속, 플라스틱, 목재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페달구동부(50)는 지지링체(20)의 내부에 장착되며, 후방회전몸체(40)의 안장(48)에 착석한 사용자의 발이 올려지는 페달(51)이 좌우 양측으로 돌출된다. 페달구동부(50)는 주지된 바와 같이 페달(51)의 회전에 마찰력을 부여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위치조절수단(60)은 전방회전몸체(30)를 지지링체(20)에서 위치를 조절하여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자전거는 제1위치조절수단(60)이 전방회전몸체(30)의 복수개의 삽입공(35) 중 어느 하나의 삽입공(35)과 후방회전몸체(40)의 보조삽입공(46)에 끼워지는 삽입핀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다. 이에 따라, 전방회전몸체(30) 또는 후방회전몸체(40)를 지지링체(20)에서 회전시켜 제1위치조절수단(60)으로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위치조절수단(70)은 후방회전몸체(40)를 지지링체(20)에서 위치를 조절하여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자전거는 제2위치조절수단(70)이 베이스(10)에 설치된 실린더(71)와, 이 실린더(71)에서 신축되며 단부에는 후방회전몸체(40)의 장공(45)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돌기(74)가 구비된 피스톤로드(7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실린더(71)는 하단이 베이스(10)에 좌우로 형성된 회전축(7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피스톤로드(73)의 가이드돌기(74)에는 가이드돌기(74)가 후방회전몸체(40)의 장공(45)을 따라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부재(75)가 구비된다. 이때, 후방회전몸체(40)의 장공(45)의 둘레부에 마찰홈(45a)이 구비되고, 고정부재(75)는 탄성레버 타입으로 이루어져서 가이드돌기(74)의 단부가 마찰홈(45a)과 마찰력에 의해 가이드돌기(74)를 위치고정시킬 수 있는 형태를 예시하였으나, 가이드돌기(74)를 후방회전몸체(40)의 장공(45)의 임의의 위치에서 위치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자전거는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전방회전몸체(30)를 지지링체(20)에서 회전시켜 임의의 위치에서 제1위치조절수단(60)으로 고정시키고, 후방회전몸체(40)를 지지링체(20)에서 회전시켜 임의의 위치에서 제2위치조절수단(70)으로 고정시킨다.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전방회전몸체(30)와 후방회전몸체(40)가 지지링체(20)에서 개별적으로 회전되므로, 전방회전몸체(30)의 상단에 구비된 핸들(37)과 후방회전몸체(40)의 상단에 구비된 안장(48)의 상대적 위치가 다양하게 바뀔 수 있어, 입식, 좌식, 싸이클, 로드, 시티, MTB 등 다양한 라이딩 자세가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도 3과 같이 핸들(37)이 안장(48)과 거의 높이가 같은 MTB 라이딩 자세, 도 4와 같이 핸들(37)이 안장(48)보다 높이(d)가 낮은 로드 라이딩 자세, 도 5 및 도 6과 같이 안장(48)이 핸들(37)보다 높이가 낮은 좌식 라이딩 자세 등이 가능해진다. 이때, 도 6과 같이 후방회전몸체(40)에 복수개의 보조삽입공(46)이 형성되어 전방회전몸체(30) 또는 후방회전몸체(40)의 회전에 따라 전방회전몸체(30)의 삽입공(35)과 후방회전몸체(40)의 보조삽입공(46)이 용이하게 정렬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자전거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위치조절수단(70)은 하단이 베이스(10)에 좌우로 형성된 회전축(7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에는 후방회전몸체(40)의 장공(45)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돌기(74)가 구비된 회전지지암(76)과, 이 회전지지암(76)의 가이드돌기(74)를 후방회전몸체(40)에 위치고정시키는 고정부재(7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후방회전몸체(40)의 장공(45)의 둘레부에 마찰홈(45a)이 구비되고, 고정부재(75)는 탄성레버 타입으로 이루어져서 가이드돌기(74)와 마찰홈(45a)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지지암(76)의 가이드돌기(74)를 위치고정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자전거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회전몸체(40)에 장공(45)이 형성되지 않고, 제2위치조절수단(70)인 실린더(71)의 피스톤로드(73)가 후방회전몸체(40)에 직접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를 예시하였다.
이와 같이, 제2위치조절수단(70)은 상단에 사용자가 착석하는 안장(48)이 구비된 후방회전몸체(40)를 좀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후방회전몸체(40)는 사용자의 체중이 집중되므로, 제2위치조절수단(70)은 제1위치조절수단(60)에 비해 후방회전몸체(40)를 좀 더 견고하게 지지해 줄 필요가 있다. 미설명 부호 90은 페달구동부(50)를 외부로부터 은폐시키는 마감부재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 베이스 20 : 지지링체
30 : 전방회동몸체 37 : 핸들
40 : 후방회동몸체 48 : 안장
50 : 페달구동부 60 : 제1위치조절수단
70 : 제2위치조절수단 80 : 안장고정핀

Claims (4)

  1. 실내용 자전거에 있어서,
    바닥에 지지되는 베이스(10);
    좌우로 관통된 원형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단이 상기 베이스(10)에 고정된 지지링체(20);
    하단이 상기 지지링체(20)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에는 핸들(37)이 구비된 전방회전몸체(30);
    하단이 상기 지지링체(20)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전방회전몸체(30)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단에는 안장(48)이 구비된 후방회전몸체(40);
    상기 지지링체(2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안장(48)에 착석한 사용자가 발로 밟을 수 있는 페달(51)이 구비된 페달구동부(50);
    상기 전방회전몸체(30)를 지지링체(20)에서 위치조절하는 제1위치조절수단(60); 및
    상기 후방회전몸체(40)를 지지링체(20)에서 위치조절하는 제2위치조절수단(70);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회전몸체(30)와 후방회전몸체(40)가 지지링체(20)에서 각각 개별적으로 회전됨에 따라 핸들(37)과 안장(48)의 상대적 위치관계 변화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의 라이딩 자세가 가능한 실내용 자전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회전몸체(30)에는 지지링체(20)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삽입공(35)이 이격 형성되고, 상기 후방회전몸체(40)의 일측에는 상기 전방회전몸체(30)의 복수개의 삽입공(35)과 정렬되는 하나 이상의 보조삽입공(46)이 형성되며, 상기 제1위치조절수단(60)은 전방회전몸체(30)의 복수개의 삽입공(35) 중 어느 하나의 삽입공(35)과 후방회전몸체(40)의 보조삽입공(46)에 끼워지는 삽입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자전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위치조절수단(70)은 베이스(10)에 좌우로 형성된 회전축(7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실린더(71)와, 이 실린더(71)에서 신축되며 단부가 후방회전몸체(4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후방회전몸체(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피스톤로드(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자전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회전몸체(40)에는 장공(45)이 상단에서 하단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위치조절수단(70)은 하단이 베이스(10)에 좌우로 형성된 회전축(7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지지암(76)과, 이 회전지지암(76)의 상단에 구비되며 후방회전몸체(40)의 장공(45)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돌기(74)와, 이 가이드돌기(74)를 후방회전몸체(40)의 장공(45)의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7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자전거.
KR1020210031358A 2021-03-10 2021-03-10 실내용 자전거 KR102503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358A KR102503704B1 (ko) 2021-03-10 2021-03-10 실내용 자전거
KR1020230018275A KR102554462B1 (ko) 2021-03-10 2023-02-10 실내용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358A KR102503704B1 (ko) 2021-03-10 2021-03-10 실내용 자전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8275A Division KR102554462B1 (ko) 2021-03-10 2023-02-10 실내용 자전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6968A true KR20220126968A (ko) 2022-09-19
KR102503704B1 KR102503704B1 (ko) 2023-02-23

Family

ID=8346081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358A KR102503704B1 (ko) 2021-03-10 2021-03-10 실내용 자전거
KR1020230018275A KR102554462B1 (ko) 2021-03-10 2023-02-10 실내용 자전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8275A KR102554462B1 (ko) 2021-03-10 2023-02-10 실내용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0370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38995A (zh) * 2007-11-22 2009-05-27 财团法人自行车暨健康科技工业研究发展中心 多功能复健健身车
KR20140122451A (ko) * 2013-04-10 2014-10-20 와이티엔티 주식회사 복합형 실내자전거
KR101499823B1 (ko) 2014-07-31 2015-03-10 김재범 입식 및 좌식 겸용 헬스자전거
KR20190133504A (ko) * 2018-05-23 2019-12-03 문희열 자전거 기울기 구현이 가능한 가상현실 자전거 시뮬레이션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38995A (zh) * 2007-11-22 2009-05-27 财团法人自行车暨健康科技工业研究发展中心 多功能复健健身车
KR20140122451A (ko) * 2013-04-10 2014-10-20 와이티엔티 주식회사 복합형 실내자전거
KR101499823B1 (ko) 2014-07-31 2015-03-10 김재범 입식 및 좌식 겸용 헬스자전거
KR20190133504A (ko) * 2018-05-23 2019-12-03 문희열 자전거 기울기 구현이 가능한 가상현실 자전거 시뮬레이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5832A (ko) 2023-02-23
KR102554462B1 (ko) 2023-07-10
KR102503704B1 (ko) 2023-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2563A (en) Rowing exercise machine
US20160346595A1 (en) Exercise Machine with Upright and Recumbent Cycling Modes
US5531658A (en) Exercise device for building and rehabilitating waist
US5676626A (en) Rocking exerciser
US4733858A (en) Multi-purpose exerciser
US5250013A (en) Exercise machine
US5299992A (en) Combination stationary bicycle and step/stair climber exercise device
US8944973B2 (en) Lower body exercise
US5139255A (en) Exercise machine
WO2013124930A1 (ja) 運動補助装置
US6964636B2 (en) Exercise device
KR20120130662A (ko) 커브기능을 가진 실내 사이클 머신
US20040259704A1 (en) Multi-angle achilles tendon stretching pedaled trainer
JP2007296080A (ja) 身体鍛錬器
KR20220126968A (ko) 실내용 자전거
KR101160587B1 (ko) 좌식운동 기능을 갖는 바이크용 안장
JP5213086B1 (ja) 運動補助装置
CN111514523B (zh) 运动器材
EP1848512A1 (en) Orbital resistance-adjustable sphere exercising apparatus
KR200213014Y1 (ko) 마승식 자전거
US6663541B1 (en) Exercise machine provided with means to enable a user thereof to assume interchangeably a seated position and an inverted position
KR101873523B1 (ko) 그네
CN109045583B (zh) 健身用踏步机
US9440108B2 (en) Multipurpose exercise stool
KR102479547B1 (ko) 전신파도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