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6115A - Exercise machine - Google Patents

Exercise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6115A
KR20220126115A KR1020210030337A KR20210030337A KR20220126115A KR 20220126115 A KR20220126115 A KR 20220126115A KR 1020210030337 A KR1020210030337 A KR 1020210030337A KR 20210030337 A KR20210030337 A KR 20210030337A KR 20220126115 A KR20220126115 A KR 20220126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height adjustment
adjustment rod
fixing
fla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03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원석
우세영
노정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0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6115A/en
Priority to PCT/KR2022/000996 priority patent/WO2022191415A1/en
Publication of KR20220126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611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46Details of the support elements or their connection to the exercising apparatus, e.g. adjustment of size or ori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ercise machine. The exercis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frame having a driving unit that generates an exercise load therein, wherein a side frame is disposed in the main frame to be able to be received or drawn out. A height adjusting rod (40)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frame. In the height adjusting rod 40, a flat portion (42) and a curved portion (41) are continuously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ross section on the height adjusting rod (40), wherein the flat portion (42) may have a plurality of fixing holes (45). A handle device (100) can be moved up and down along the height adjusting rod (40), and a fixing pin (130) of the handle device (100) i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fixing holes (45) to fix the height. Therefore, the handle device (100) can be moved up and down along a certain vertical path (the flat portion (42)) formed on the height-adjusting column and when moved up or down, the handle device (100) can move up or down along a certain path without being turned or arbitrarily rotated. Accordingly, an arm system of the exercise machine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height-fixing hole.

Description

운동기구{Exercise machine}exercise machine {Exercise machine}

본 발명은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부가 회전하면서 형태가 가변될 수 있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ercis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xercise device whose shape can be changed while a part is rotated.

일반적으로, 근력운동을 위해 사용되는 기구는 정해진 단위의 무게를 가진 중량추와 연결된 레버를 밀거나 당기면서 근육의 이완 및 수축을 반복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근력 운동을 위한 기구 중에는, 이두근 운동을 위한 암컬(ARM CURL)기구, 대흉근 등 가슴운동을 위한 체스트 프레스(CHEST PRESS) 또는 버터플라이(BUTTERFLY)기구, 등 근육의 운동을 위한 풀업(PULL UP)기구 다양한 운동기구가 존재한다.In general, a device used for strength exercise is designed to repeat muscle relaxation and contraction while pushing or pulling a lever connected to a weight having a predetermined unit weight. Among the devices for strength training, ARM CURL device for biceps exercise, chest press or butterfly device for chest exercise such as pectoralis major, and pull-up for back muscle exercise Equipment There are various types of exercise equipment.

특히, 최근에는 사용자들이 휘트니스 센터를 방문하지 않고 가정에서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홈 트레이닝 기구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앞서 예시한 근력 운동을 위한 기구들은 부피가 매우 커서 설치공간을 많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홈 트레이닝 기구로 활용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home training devices that allow users to exercise at home without visiting a fitness center have been widely used. However, since the previously exemplified devices for strength training have a very large volume and require a lot of installation spa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y are difficult to be used as home training devices.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운동기구의 일부를 접거나 회전시켜 사용하지 않을 때는 운동기구의 부피를 줄이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 공개특허 US2020/0047027(선행특허1)과, US2019/0262652(선행특허2)에는 운동기구의 일부를 회전시켜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접을 수 있는 구조가 공개되어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technologies for reducing the volume of the exercise equipment when not in use by folding or rotating a part of the exercise equipment are being developed. For example, US Patent Publication US2020/0047027 (Prior Patent 1) and US2019/0262652 (Prior Patent 2) disclose a structure that can be folded when not in use by rotating a part of the exercise device.

상기한 선행기술들은 암구조와 같은 부품의 높이를 변경하면서 다양한 운동각도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런데, 이처럼 운동기구의 높이 변경을 위해서, 선행특허1의 경우에는 암(arm, 206)전체를 회전시켜야 하므로 큰 회전반경이 필요하고, 선행특허2는 슬라이더(403)의 높이를 락핀으로 고정하는 구조가 매우 복잡한 단점이 있다.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can provide various angles of motion while changing the height of a component such as an arm structure. However, in order to change the height of the exercise device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Prior Patent 1, a large rotation radius is required because the entire arm 206 must be rotated, and in Prior Patent 2, the height of the slider 403 is fixed with a lock pin. The disadvantage is that the structure is very complicated.

물론, 높이조절기둥을 따라 승강되는 운동기구를 핀으로 고정하는 단순한 방식의 기술들도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홈 트레이닝 기구는 접이구조를 위해서 높이조절기둥이 회전가능한 구조인 경우가 많고, 이를 위해서 높이조절기둥을 원기둥구조로 만들게 되는데, 운동기구(예를 들어 암구조)가 원기둥을 중심으로 쉽게 회전될 수 있어서 핀을 고정홀에 정확하게 끼우기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Of course, techniques of a simple method of fixing the exercise equipment to be lifted along the height adjustment pole with pins are also used. However, for home training equipment, the height adjustment pole is often rotatable for a folding structure, and for this purpose, the height adjustment pole is made into a cylindrical structur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not easy to insert the pin into the fixing hole accurately.

미국 공개특허 US2020/0047027(선행특허1)US Patent Publication US2020/0047027 (Prior Patent 1) 미국 공개특허 US2019/0262652(선행특허2)US Patent Publication US2019/0262652 (Prior Patent 2)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운동기구의 암시스템(핸들장치)이 높이조절기둥의 일정한 경로를 따라 승강하면서 높이고정홀에 쉽게 끼워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arm system (handle device) of the exercise equipment can be easily fitted into the height fixing hole while ascending and descending along a predetermined path of the height adjustment column. is to b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암시스템이 높이조절기둥에 대해 상대회전하더라도 또 다른 경로를 따라 승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arm system to move up and down along another path even when the arm system rotates relative to the height adjusting column.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운동 부하를 발생시키는 구동부가 구비된 메인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사이드프레임이 수납되거나 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프레임에는 높이조절봉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봉에는 횡단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평면부와 곡면부가 연속되게 배치되고, 상기 평면부에는 다수개의 고정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봉을 따라 핸들장치가 승강될 수 있는데, 상기 핸들장치의 고정핀이 상기 고정홀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높이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핸들장치는 높이조절기둥에 형성된 일정한 승강경로(평면부)를 따라 승강될 수 있고, 상기 핸들장치가 승강할 때 방향이 틀어지거나 임의로 회전되지 않고 일정한 경로를 따라 승강될 수 있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frame having a driving unit for generating an exercise load therein, and the main frame may be provided to accommodate or withdraw a side frame. have. And a height adjustment rod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frame. A flat portion and a curved portion are continuously disposed on the height adjustment ro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a cross section, and a plurality of fixing holes may be formed in the flat portion. The handle device may be raised and lowered along the height adjusting rod, and a fixing pin of the handle device may be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fixing holes to be fixed in height. Accordingly, the handle device can be raised and lowered along a certain elevating path (planar portion) formed on the height adjusting column, and when the handle device is elevating, the direction is not changed or arbitrarily rotated, and the handle device can be elevated along a constant path.

그리고, 상기 평면부와 상기 곡면부는 각각 상기 높이조절봉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상기 높이조절봉에는 다수개의 상기 평면부들이 배치되고, 상기 평면부들의 사이에는 상기 곡면부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핸들장치는 상기 곡면부와 면접촉하여 상기 높이조정봉과 상대회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lat portion and the curved portion may extend along a height direc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rod, respectively, a plurality of the flat portions may be disposed on the height adjustment rod, and the curved portion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lat portions. . Accordingly, the handle device can be rotated relative to the height adjustment rod in surface contact with the curved portion.

또한, 상기 평면부들은 상기 높이조절봉의 횡단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평면부들을 구성하는 제1평면부에 형성된 고정홀의 높이와, 상기 제1평면부에 이웃한 제2평면부에 형성된 고정홀의 높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렇게 되면, 각 고정홀들의 높이 간격이 촘촘하게 배치되어 보다 세밀한 핸들장치의 높이조정이 가능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flat portions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ross sec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rod, and the height of the fixing hole formed in the first flat portion constituting the flat portion, and the first flat portion adjacent to the The height of the fixing hole formed in the second planar portion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is way, the height interval of each fixing hole is closely arranged, so tha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handle device more precisely.

그리고, 상기 평면부는 상기 곡면부 보다 상기 높이조절봉의 중심을 향해 함몰될 수 있고, 상기 평면부의 좌우폭은 상기 평면부에 밀착되는 상기 고정핀의 전면부 보다 폭이 크거나 같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평면부 외측으로 벗어나지 않고 일정한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lat portion may be depressed toward the center of the height control rod than the curved portion, and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flat portion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width of the front portion of the fixing pin in close contact with the flat portion. Accordingly, the fixing pin can move along a predetermined path without departing from the outside of the planar part.

또한, 상기 높이조절봉에는 다수개의 상기 곡면부들이 배치되고, 상기 곡면부들은 상기 높이조절봉의 횡단면 중심을 원의 중심으로 하는 정원형상의 일부를 각각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핸들장치가 상기 높이조절봉을 감싼 상태로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 curved surface portions are disposed on the height adjustment rod, and the curved surface portions may each constitute a portion of a circular shape having a center of a cross sec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rod as a center of a circle. Therefore, the handle device can be smoothly rotated while the height adjusting rod is wrapped.

그리고, 상기 핸들장치에는 상기 높이조절봉을 감싸고, 상기 높이조절봉에 대해 상대회전가능한 연결바디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바디에는 핸들바가 결합되고, 상기 핸들바는 상기 연결바디와 평행하게 세워지거나 또는 상기 연결바디와 직교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바디에는 고정핀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고정핀은 상기 평면부 방향으로 직선이동하면서 상기 고정홀에 삽입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andle device may include a connection body that surrounds the height adjustment rod and is rotatable relative to the height adjustment rod. A handle bar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body, and the handle bar may stand parallel to the connection body or rotat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nnection body. In this case, a fixing pin may be disposed on the connection body, and the fixing pin may be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while moving in a straight line in the direction of the flat portion.

또한, 상기 고정핀은 외부로 노출된 고정레버와, 상기 고정레버에 연결되는 핀바디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핀바디는 상기 고정홀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핀에는 상기 핀바디에 상기 평면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고정스프링이 구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fixing pin may include a fixing lever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pin body connected to the fixing lever, and the pin body may be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In addition, the fixing pin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spring that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pin body in the direction of the flat portion.

그리고, 상기 핸들장치에는 상기 핸들바의 일부를 걸어 상기 핸들바가 상기 연결바디에 직교한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바잠금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andle device may be provided with a bar locking device for hanging a portion of the handle bar to maintain a state in which the handle bar is rot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nnection body.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운동기구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exercise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alvag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서 운동기구의 핸들장치는 높이조절기둥을 따라 승강하면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는데, 핸들장치는 높이조절기둥에 형성된 일정한 승강경로(평면부)를 따라 승강될 수 있다. 핸들장치가 승강할 때 방향이 틀어지거나 임의로 회전되지 않고 일정한 경로를 따라 승강되므로, 핸들장치의 고정핀이 고정홀에 쉽게 끼워질 수 있고, 따라서 운동기구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device of the exercise device can be adjusted in height while ascending and descending along the height adjusting column, and the handle device can be raised and lowered along a certain elevating path (planar part) formed on the height adjusting column. When the handle device is raised and lowered, the direction is not changed or arbitrarily rotated, but it goes up and down along a predetermined path, so that the fixing pin of the handle device can be easily fitted into the fixing hole, and thus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exercise device is improved.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높이조절기둥의 외주면을 둘러 다수개의 승강경로(평면부)들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핸들장치가 높이조절기둥에 대해 상대회전하면 또 다른 승강경로를 따라 승강할 수 있다. 핸들장치가 높이조절기둥에 대해 다양한 상대각도를 가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보다 다양한 각도로 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elevating paths (planar parts) may be arrang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ight adjustment column. Accordingly, when the handle device is rotated relative to the height adjusting column, it can ascend and descend along another ascending and descending path. Since the handle device can have a variety of relative angles with respect to the height adjustment pole, the user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exercise at more various angles.

또한, 본 발명에서는 높이조절기둥의 원주방향을 따라 평면부와 곡면부가 연속되게 배치된다. 곡면부는 핸들장치의 회전을 부드럽게 해주고, 평면부는 고정핀의 일정한 승강경로를 만들 수 있다. 따라서, 핸들장치가 높이조절기둥과 상대회전하더라도, 높이고정을 위한 고정핀은 항상 쉽게 고정홀에 끼워질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t portion and the curved portion are continuously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column. The curved part makes the rotation of the handle device smooth, and the flat part can make a constant elevating path of the fixing pin. Therefore, even if the handle device is rotated relative to the height adjusting column, the fixing pin for high fixing can always be easily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그리고, 본 발명에서 서로 다른 두 평면부에는 각각 고정홀들이 배치되는데, 고정홀들은 인접한 다른 평면부의 고정홀들과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전체 고정홀들의 간격이 촘촘하게 배치될 수 있고, 따라서 핸들장치의 높이를 보다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fixing holes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two different planar parts, and the fixing holes may be disposed at different heights from the fixing holes of other adjacent planar parts. In this way, the spacing of the entire fixing holes can be arranged closely, and thu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height of the handle device can be adjusted more precisely.

또한, 본 발명에서 높이조절기둥의 평면부는 높이조절봉의 중심을 향해 함몰된 형상일 수 있다. 고정핀은 함몰된 평면부 안에서 승강되므로, 평면부 바깥쪽으로 이탈하지 않고 일정한 경로를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운동기구의 조작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t por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column may be in a shape recessed toward the center of the height adjustment rod. Since the fixing pin is raised and lowered in the recessed flat portion, it can be stably moved along a predetermined path without departing from the outside of the flat portion.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operability of the exercise equipment is improved.

그리고, 본 발명에서 고정핀은 핸들장치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므로 사용자가 쉽게 고정핀을 조작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고정핀이 핸들장치의 하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고정핀이 핸들장치에 가려 외부로 드러나는 부분이 적어지게 되고, 따라서 운동기구의 미감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And, since the fixing pin in the present invention protrud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handle device, the user can easily manipulate the fixing pin. At the same time, since the fixing pin is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handle device, the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fixing pin is covered by the handle device is reduced, and thus,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aesthetics of the exercise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운동기구의 일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사이드프레임이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프레임잠금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높이조절봉에 핸들장치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높이조절봉의 일부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높이조절봉의 횡단면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운동기구를 구성하는 높이조절봉의 다른 실시례의 횡단면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높이조절봉을 따라 고정핀이 이동하는 모습을 표현한 개념도.
도 9는 도 4의 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핸들장치가 세워진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핸들장치가 회전하여 사용상태가 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바잠금장치가 핸들장치의 회전을 잠그기 전/후 상태를 각각 보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운동기구를 구성하는 핸들장치의 다른 실시례가 높이조절봉에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운동기구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사이드프레임과 핸들장치를 고정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순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ide frame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Figure 1 is drawn forward.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rame locking devic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dle device is coupled to the height adjustment rod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 structure of the height adjustment rod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height adjustment rod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height adjustment rod constituting th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xing pin moves along a height adjustment rod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4;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dle devic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rected.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andle devic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and used.
12 and 13 are cross-sectional views each showing a state before and after the locking ba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ocks the rotation of the handle device.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other embodiment of the handle device constituting th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height adjusting rod.
15 is an operation flowchart sequentially showing the process of fixing the side frame and the handle devic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between each component another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본 발명은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다수의 부품이 가변될 수 있는 형태의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가변이란, 일부 부품이 회전되거나 슬라이딩 동작되면서 운동기구의 전체 형태가 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가변구조를 통해서 사용자는 운동기구를 접어서 보관할 수 있고, 다양한 각도, 길이 또는 높이에서 운동기구를 사용할 수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ercise device, a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ype of exercise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parts can be varied. Here, the variable may mean that the overall shape of the exercise device is changed while some parts are rotated or slidably operated. Through this variable structure, the user can fold and store the exercise equipment, and can use the exercise equipment at various angles, lengths or heights.

본 발명의 운동기구에는 핸들장치(100)가 포함되는데, 상기 핸들장치(100)는 높이조절봉(40)을 따라 승강하면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높이로 핸들장치(100)를 고정하고, 핸들장치(100)를 이용하여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핸들장치(100)의 승강과 고정구조를 중심으로 하여 본 발명의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The exercis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ndle device 100 , and the handle device 100 can be adjusted in height while ascending and descending along the height adjusting rod 40 . A user may fix the handle device 100 to a desired height and perform an exercise using the handle device 100 .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a focus on the lifting and fixing structure of the handle device 100 .

도 1과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운동기구의 일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는 운동기구를 구성하는 사이드프레임(30A,30B)이 메인프레임(10)에 수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사이드프레임(30A,30B)이 메인프레임(10)에서 인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1 and 2 show an embodiment of a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shows a state in which the side frames 30A and 30B constituting the exercise equipment are accommodated in the main frame 10 , and in FIG. 2 , the side frames 30A and 30B are drawn out from the main frame 10 . is shown.

상기 메인프레임(10)은 설치장소에 고정된 것이고, 상기 사이드프레임(30A,30B)은 상기 메인프레임(10)에서 직선이동하여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프레임(30A,30B)은 상기 메인프레임(10)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운동기구를 사용할 때에는 (i) 상기 사이드프레임(30A,30B)은 상기 메인프레임(10)에 수납되는 방향으로 직선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되어야 하고, 또한 (ii) 상기 사이드프레임(30A,30B)이 상기 메인프레임(10)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되어야 한다. 상기 사이드프레임(30A,30B)의 회전동작은 아래에서 설명될 프레임잠금장치(50)가 잠글 수 있다. The main frame 10 is fixed to an installation place, and the side frames 30A and 30B can be drawn out by linear movement from the main frame 10 . In addition, the side frames 30A and 30B may rotate while being drawn out from the main frame 10 . Therefore, when the user uses the exercise equipment (i) the side frames 30A and 30B must be fixed so as not to move linearly in the direction accommodated in the main frame 10, and (ii) the side frames 30A and 30B ) should be fixed so as not 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main frame 10 .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side frames 30A and 30B may be locked by a frame locking device 50 to be described below.

참고로, 이하에서 '잠김'은 사이드프레임(30A,30B) 또는 핸들장치(100)가 회전하거나 승강하지 않도록 고정된 것을 의미하고, '풀림'은 사이드프레임(30A,30B) 또는 핸들장치(100)가 회전하거나 승강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For reference, in the following, 'locked' means that the side frames 30A and 30B or the handle device 100 is fixed so as not to rotate or lift, and 'unlock' means the side frames 30A and 30B or the handle device 100. ) means that it is in a state where it can rotate or ascend and descend.

상기 메인프레임(10)은 벽체(W)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에는 벽체(W)의 모서리 부분에 메인프레임(10)이 설치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상부플레이트(11)와 하부플레이트(13)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플레이트(11)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3)는 판상구조이고, 그 사이에는 전면플레이트(12)가 구비될 수 있다. The main frame 10 may be fixed to the wall (W). In FIG. 1 , it can be seen that the main frame 10 is installed at the corner of the wall W. As shown in FIG. An upper plate 11 and a lower plate 13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ain frame 10 , respectively. The upper plate 11 and the lower plate 13 have a plate-like structure, and a front plate 12 may be provided therebetween.

여기서, 상기 전면플레이트(12)는 사용자가 마주보게 되는 부분으로, 거울로 구성되거나 상기 전면플레이트(12)에 디스플레이(17)가 설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전면플레이트(12)의 상부에는 디스플레이(17)가 구비되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Here, the front plate 12 is a portion facing the user, and may be configured as a mirror or the display 17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plate 12 . In this embodiment, a display 17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plate 12 to provide various screens to the user.

본 실시례에서 상기 메인프레임(10)은 내부에 설치공간을 갖는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10)은 직각 이등변 삼각형 형태의 단면을 갖는 삼각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10)은 직각 이등변 삼각형에서 직각을 이루는 부분이 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실내 공간에 운동기구를 배치할 때, 설치장소의 모서리 부분에 상기 메인프레임(10)의 후면이 위치하도록 배치하면,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main frame 10 may have a shape having an installation space therein.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main frame 10 may have a triangular prism shape having a cross section in the form of a right isosceles triangle. The main frame 10 may be disposed such that a portion forming a right angle in an isosceles right triangle is located at the rear. When arranging the exercise equipment in the indoor space, if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frame 10 is positioned at the corner of the installation place, the usability of the space can be increased.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설치공간에는 다양한 부품을 내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프레임(10)을 운동기구의 본체부로 볼 수도 있다. 상기 설치공간에는 무거운 부품이 내장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0)은 운동기구가 전도(顚倒)하지 않도록 무게중심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프레임(10)의 내부에는 운동 부하를 발생시키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는 예를 들어 모터, 감속기 및 구동부의 운동부하를 전달하기 위한 풀리 등과 같은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 감속기 및 풀리는 주로 금속으로 형성되어 비교적 중량이 있는 부품이므로 상기 메인프레임(10)의 내부에 배치하여 무게중심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다.Various parts may be embedded in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main frame 10 . Accordingly, the main frame 10 may be viewed as a body portion of the exercise device. Heavy parts are built in the installation space, and the main frame 10 may serve as a center of gravity so that the exercise equipment does not fall. For example, a driving unit (not shown) for generating an exercise load may be included in the main frame 10 .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parts such as a motor, a speed reducer, and a pulley for transmitting a motion load of the driving unit. Since the motor, the reducer and the pulley are mainly made of metal and have relatively heavy weight, they may be disposed inside the main frame 10 to serve as a center of gravity.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메인프레임(10)의 하부에는 고정풋(1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풋(14)은 상기 하부플레이트(13)에서 아래쪽, 즉 설치면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풋(14)이 상기 운동기구를 지지해줄 수 있다. 상기 고정풋(14)은 레벨러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풋(14)이 상기 설치면으로 돌출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2 , a fixed foot 14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frame 10 . The fixing foot 14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plate 13 , that is, toward the installation surface. Accordingly, the fixed foot 14 may support the exercise device. The fixed foot 14 may be configured as a leveler, and the height at which the fixed foot 14 protrudes toward the installation surface may be adjusted.

상기 메인프레임(10)에는 사이드프레임(30A,30B)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프레임(30A,30B)은 상기 메인프레임(10)에서 인출되거나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프레임(30A,30B)이 상기 메인프레임(10)에 수납되면 운동기구의 전체 부피가 줄어들어, 운동기구를 사용하지 않을 때 운동기구가 차지하는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사이드프레임(30A,30B)이 상기 메인프레임(10)으로부터 인출되면 사이드프레임(30A,30B)에 결합된 핸들장치(100)가 돌출되는 길이가 길어져 사용자는 보다 다양한 운동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Side frames 30A and 30B may be installed on the main frame 10 . The side frames 30A and 30B may be drawn out or accommodated in the main frame 10 . When the side frames 30A and 30B are accommodated in the main frame 10, the overall volume of the exercise equipment is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volume occupied by the exercise equipment when not in use. Conversely, when the side frames 30A and 30B are withdrawn from the main frame 10, the length in which the handle device 100 coupled to the side frames 30A and 30B protrudes becomes longer, so that the user can utilize more various exercise functions. have.

본 실시례에서 상기 사이드프레임(30A,30B)은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사이드프레임(30A,30B)은 제1사이드프레임(30A)과 제2사이드프레임(3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분을 위해서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의 사이드프레임(30A,30B)을 제1사이드프레임(30A)으로 칭하고 우측의 사이드프레임(30A,30B)을 제2사이드프레임(30B)으로 칭하기로 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side frames 30A and 30B may be configured as a pair. That is, the side frames 30A and 30B may include a first side frame 30A and a second side frame 30B. For classification, the left side frames 30A and 30B will be referred to as a first side frame 30A and the right side frames 30A and 30B will be referred to as a second side frame 30B, based on the drawings.

상기 제1사이드프레임(30A) 및 제2사이드프레임(30B)은 메인프레임(10)에서 수납되거나 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사이드프레임(30A)과 상기 제2사이드프레임(30B)은 메인프레임(10)를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사이드프레임(30A)과 상기 제2사이드프레임(30B)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해당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사이드프레임(30A)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first side frame 30A and the second side frame 30B may be arranged to be accommodated in or withdrawn from the main frame 10 . The first side frame 30A and the second side frame 30B may be disposed to be symmetrical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main frame 10 .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rst side frame 30A and the second side frame 30B have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made based on the first side frame 30A.

상기 제1사이드프레임(30A)은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좌측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며 수납되거나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메인프레임(10)의 설치공간에 제1사이드프레임(30A)은 수납되어 있을 수 있다. 반대로 도 2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10) 정면의 좌측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상기 제1사이드프레임(30A)이 돌출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메인프레임(10)의 내부에 설치된 LM가이드를 따라 상기 제1사이드프레임(30A)이 슬라이딩될 수 있다. The first side frame 30A may be accommodated or protruded while sliding along the left side of the main frame 10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 the first side frame 30A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main frame 10 . Conversely, as shown in FIG. 2 , the first side frame 30A may protrude from the left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main frame 10 in a diagonal direction. Although not shown, the first side frame 30A may slide along the LM guide installed inside the main frame 10 .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사이드프레임(30A)과 상기 제2사이드프레임(30B)은 메인프레임(10)에서 돌출된 후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상하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10)로부터 돌출된 제1사이드프레임(30A)과 제2사이드프레임(30B)은 서로 가까워지도록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사이드프레임(30A)이 제2사이드프레임(30B)과 가까워지도록 회전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 구조에 맞추어 제1사이드프레임(30A)의 핸들장치(100)와 상기 제2사이드프레임(30B)의 핸들장치(100)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ide frame 30A and the second side frame 30B may protrude from the main frame 10 and then rotate with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main frame 10 as a rotation axi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 the first side frame 30A and the second side frame 30B protruding from the main frame 10 may rotate to approach each other. And by rotating the first side frame 30A to be closer to the second side frame 30B, the user can adjust the handle device 100 of the first side frame 30A and the second side frame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tructure. The handle device 100 of the 30B may be brought closer to each other.

상기 제1사이드프레임(30A)의 구조를 보면, 상기 제1사이드프레임(30A)의 상부에는 상부바디(31a)가 배치되고, 하부에는 하부바디(31b)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바디(31a)와 하부바디(31b)는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나란하게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바디(31a)는 사용자가 풀업(Pull Up)과 같은 운동을 할 수 있는 풀업바의 일부가 될 수도 있다.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first side frame 30A, an upper body 31a may be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side frame 30A, and a lower body 31b may be disposed on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side frame 30A. The upper body 31a and the lower body 31b may protrude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t different heights. In this case, the upper body 31a may be a part of a pull-up bar through which a user can exercise such as a pull-up.

상기 상부바디(31a)와 상기 하부바디(31b)의 사이는 연결되어 상기 제1사이드프레임(30A)은 대략 사각형상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바디(31a)와 상기 하부바디(31b)의 앞단 사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높이조절봉(40)으로 연결될 수 있고, 후단 사이는 상기 제1사이드프레임(30A)의 회전축이 되는 축부(미도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바디(31a)와 상기 하부바디(31b)의 사이에는 거울 등이 설치되는 설치플레이트(35, 도 3참조) 등이 설치될 수도 있다. The upper body 31a and the lower body 31b may be connected so that the first side frame 30A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Here, between the front ends of the upper body (31a) and the lower body (31b) may be connected by a height adjustment rod 40 to be described below, and between the rear ends of the shaft portion ( not shown) can be connected. In addition, between the upper body 31a and the lower body 31b, an installation plate 35 (refer to FIG. 3) on which a mirror or the like is installed may be installed.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는 잠금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제1사이드프레임(30A)이 다시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안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제1사이드프레임(30A)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걸쇠로 구성되어 상기 제1사이드프레임(30A)의 슬라이드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잠금수단이 생략되고, 아래에서 설명될 프레임잠금장치(50)가 상기 제1사이드프레임(30A)의 회전 뿐 아니라 슬라이딩 이동까지 제한 할 수도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ocking means is provided to prevent the first side frame 30A from sliding back into the main frame 10 . For example, the locking means may be configured as a latch that slides vertically on the first side frame 30A to prevent the sliding movement of the first side frame 30A. Alternatively, the locking means may be omitted, and the frame locking device 50 to be described below may limit not only the rotation of the first side frame 30A but also the sliding movement.

상기 제1사이드프레임(30A)과 상기 제2사이드프레임(30B)에는 각각 핸들장치(1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핸들장치(100)는 사용자가 운동을 할 때 사용자를 향해 돌출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상기 핸들장치(100)는 상기 핸들장치(100)를 상기 제1사이드프레임(30A)의 높이조절봉(40)에 고정하기 위한 연결바디(101)와, 상기 연결바디(101)에 의해 상기 높이조절봉(40)에 고정되는 핸들바(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A handle device 100 may be installed in each of the first side frame 30A and the second side frame 30B. The handle device 100 may be a portion that protrudes toward the user when the user exercises. The handle device 100 includes a connection body 101 for fixing the handle device 100 to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of the first side frame 30A, and the height by the connection body 101 . It may include a handle bar 110 fixed to the control rod (40).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handle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again below.

한편, 상기 핸들바(110)의 내부에는 와이어(미도시)가 내장되고, 와이어의 한쪽 끝 부분에는 파지부(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파지부를 당기면, 상기 파지부에 연결된 와이어가 상기 핸들바(11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고, 사용자가 파지부를 당기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파지부와 와이어는 다시 상기 핸들바(110)의 끝 부분으로 돌아갈 수 있다. Meanwhile, a wire (not shown) may be embedded in the handlebar 110 , and a gripper (not shown)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wire. When the user pulls the gripper, the wire connected to the gripper extends from the inside of the handlebar 110 to the outside, and when the user removes the force pulling the gripper, the gripper and the wire are again connected to the handlebar ( 110) can be returned to the end.

이러한 와이어의 복귀는 상기 메인프레임(10)에 설치된 부하공급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부하공급부는 모터 및 감속기 등으로 구성되고, 상기 와이어가 원위치, 즉 상기 핸들바(110)의 안쪽으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와이어에 부하를 공급해줄 수 있다. The return of the wire may be made by a load supply unit installed in the main frame 10 . The load supply unit may include a motor and a speed reducer, and may supply a load to the wir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wire is inserted into the original position, that is, the handlebar 110 .

그리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메인프레임(10), 상기 제1사이드프레임(30A) 및 상기 핸들바(110) 내부를 연속적으로 통과하되, 한쪽 끝은 파지부에 연결되고 반대쪽 끝은 상기 부하공급부에 감길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프레임(10), 상기 제1사이드프레임(30A) 및 상기 핸들바(110) 내부에는 다수개의 풀리(123, 도 4참조)가 배치되어 와이어가 안정적으로 풀리거나 감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와이어의 전부 또는 일부는 운동기구의 바깥쪽으로 노출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Then, the wire passes continuously through the main frame 10, the first side frame 30A, and the inside of the handle bar 110, one end is connected to the gripper and the other end is wound on the load supply unit. can At this time, a plurality of pulleys 123 (refer to FIG. 4 ) are disposed inside the main frame 10, the first side frame 30A, and the handlebar 110 so that the wire can be stably unwound or wound. have. Alternatively, all or part of the wire may be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exercise device.

도 2를 보면, 상기 높이조절봉(40)은 상기 제1사이드프레임(30A)과 제2사이드프레임(30B)의 전단에 상하방향으로 세워지고, 상기 높이조절봉(40)에는 앞서 설명한 핸들장치(10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핸들장치(100)의 연결바디(101)가 상기 높이조절봉(40)에 결합되는데, 상기 연결바디(101)가 상기 높이조절봉(40)을 따라 승강되면 상기 핸들장치(100)의 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is vertically erected at the front ends of the first side frame 30A and the second side frame 30B, and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has the handle device described above. (100) may be installed. That is, the connection body 101 of the handle device 100 is coupled to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 and when the connection body 101 moves up and down along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 the handle apparatus 100 . height can be varied.

먼저 상기 높이조절봉(40)의 구조를 보면, 상기 높이조절봉(40)은 속이 빈 파이프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봉(40)의 내부공간(43)에는 앞서 설명한 와이어가 수납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봉(40)은 상기 핸들장치(10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축이 될 수 있다. First,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may be in the form of a hollow pipe. The wire described above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43 of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may be a shaft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handle device 100 .

제1사이드프레임(30A)에 설치된 높이조절봉(40)을 보면, 상기 높이조절봉(40)은 상단 및 하단이 각각 상기 제1사이드프레임(30A)의 상부바디(31a)와 하부바디(31b)에 각각 고정되는데, 회전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높이조절봉(40)은 세워진 방향, 즉 높이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높이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상하방향이 될 수 있다. Looking at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installed on the first side frame 30A,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has upper and lower ends of the upper body 31a and the lower body 31b of the first side frame 30A, respectively. ), which are fixed to each other, and may be in a rotatable state. Therefore,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can be rotated with a rotation shaft formed in the erected direction, that is, in the height direction. Here, the height direction may be a vertical direction when view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

상기 높이조절봉(40)이 회전하면, 상기 높이조절봉(40)에 설치된 상기 핸들장치(100)도 함께 회전하면서 다양한 운동각도를 만들어낼 수 있다. 다만, 상기 핸들장치(100)가 사용자가 원하는 운동각도로 회전된 후에는 잠김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잠김은 고정핀(130)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별도의 잠금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When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rotates, the handle device 100 installed on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also rotates together to create various movement angles. However, after the handle device 100 is rotated to a movement angle desired by the user, it needs to be locked. Such locking may be accomplished by the fixing pin 130 or by a separate locking means.

도 4와 도 5를 보면, 상기 높이조절봉(40)의 구조가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상기 높이조절봉(40)은 세워지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세워지는 방향이란, 도면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이고, 중력방향이라고 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봉(40)의 높이 방향으로 상기 높이조절봉(40)이 상기 상부바디(31a)와 하부바디(31b)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4 and 5, the structure of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is shown in detail.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may extend long in a direction in which it is erected. Here, the erected direction is an up-down direction based on the drawing, and it can also be seen as a direction of gravity. In addition,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upper body 31a and the lower body 31b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

상기 높이조절봉(40)에는 높이조절봉(40)의 횡단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평면부(42)와 곡면부(41)가 연속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평면부(42)에는 다수개의 고정홀(45)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홀(45)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핀(130)의 핀바디(135)가 삽입되어 고정핀(130)이 걸릴 수 있다. A flat portion 42 and a curved portion 41 may be continuously disposed on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ross sec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 In addition, a plurality of fixing holes 45 may be formed in the flat portion 42 . A pin body 135 of a fixing pin 130 to be described below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45 so that the fixing pin 130 can be caught.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높이조절봉(40)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내부공간(4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봉(40)의 내부공간(43)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높이조절봉(4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모듈 등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높이조절봉(40)의 내부공간(43)은 상기 높이조절봉(40)의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따라서 상기 높이조절봉(40)의 상단과 하단은 각각 개방된 상태일 수 있다. Looking more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FIG. 5 , an inner space 43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formed in the height adjusting rod 40 . Although not shown, a fixing module for preventing rota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may b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43 of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 The inner space 43 of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extend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and therefore,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may be in an open state, respectively.

상기 높이조절봉(40)의 표면에는 곡면부(41)와 평면부(4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곡면부(41)는 소정의 반경을 갖는 원호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평면부(42)는 상기 곡면부(41)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평면구조일 수 있다. (i) 상기 곡면부(41)는 상기 높이조절봉(40)을 감싸는 핸들장치(100)의 상기 연결바디(101)가 상기 높이조절봉(40)에 대해 원활하게 상대회전할 수 있게 해줄 수 있고, (ii) 상기 평면부(42)는 상기 고정핀(130)의 핀바디(135)가 승강되는 경로가 될 수 있다. A curved portion 41 and a flat portion 42 may be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 The curved portion 41 may have an arc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In addition, the flat portion 42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curved portion 41 and may have a planar structure. (i) the curved portion 41 may allow the connection body 101 of the handle device 100 surrounding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to smoothly rotate relative to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and (ii) the flat portion 42 may be a path through which the pin body 135 of the fixing pin 130 is lifted.

상기 곡면부(41)와 상기 평면부(42)는 각각 상기 높이조절봉(40)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홀(45)을 제외한다면, 상기 높이조절봉(40)의 횡단면 형상은 상기 높이조절봉(4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곡면부(41)가 상기 높이조절봉(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연결바디(101)는 어떤 높이에서도 상기 곡면부(41)와 면접촉하면서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핀바디(135)는 상기 평면부(42)에 의해 일정한 경로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The curved portion 41 and the flat portion 42 may each extend continuously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 Accordingly, except for the fixing hole 45 ,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may be the sam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 Since the curved portion 41 is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the connection body 101 can rotate smoothly while making surface contact with the curved portion 41 at any height. . In addition, the pin body 135 may be moved along a predetermined path by the flat portion 42 .

본 실시례에서 상기 높이조절봉(40)에는 다수개의 상기 평면부(42)들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평면부(42)들의 사이에는 상기 곡면부(41)가 배치될 수 있다. 도 5와 도 6을 보면, 상기 곡면부(41)는 제1곡면부(41a), 제2곡면부(41b) 및 제3곡면부(41c)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평면부(42)는 제1평면부(42a), 제2평면부(42b) 및 제3평면부(42c)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은 서로 번갈아 배치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the flat portions 42 may be disposed on the height adjusting rod 40 , and the curved portion 4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lat portions 42 . 5 and 6 , the curved portion 41 may include a first curved portion 41a, a second curved portion 41b, and a third curved portion 41c, and the flat portion 42 may be composed of a first flat portion 42a, a second flat portion 42b, and a third flat portion 42c. And, they may be alternately arranged with each other.

도 6을 보면, 상기 평면부(42)는 상기 곡면부(41)의 일부가 생략되어 형성된 부분으로 볼 수도 있다. 즉, 도 6의 A선은 상기 제1곡면부(41a)와 제3곡면부(41c) 사이를 연결하는 가상의 곡선이고, A선의 안쪽으로 함몰된 위치에 제3평면부(42c)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곡면부(41)들의 사이에서 함몰되어 상기 평면부(42)가 형성된다고 볼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6 , the flat portion 42 may be viewed as a portion formed by omitting a portion of the curved portion 41 . That is, the line A of FIG. 6 is an imaginary curve connecting the first curved portion 41a and the third curved portion 41c, and the third flat portion 42c is formed at a position recessed inward of the A line. can be 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the flat portion 42 is formed by being depressed between the curved portions 41 .

달리 말하면, 상기 높이조절봉(40)에는 다수개의 상기 곡면부(41)들이 배치되고, 상기 곡면부(41)들은 상기 높이조절봉(40)의 횡단면 중심을 원의 중심으로 하는 정원형상의 일부를 각각 구성한다고 볼 수도 있다. In other words, a plurality of the curved portions 41 are disposed on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 and the curved portions 41 have a circular shape with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as the center of a circle. It can be seen that each constitutes

이에 따라, 도 6에서 보듯이, 상기 평면부(42)는 상기 곡면부(41) 보다 상기 높이조절봉(40)의 중심을 향해 상대적으로 함몰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평면부(42)가 이웃한 곡면부(41) 보다 함몰된 구조가 되면, 상기 고정핀(130)의 핀바디(135)가 상기 평면부(42)에서 벗어나지 않고, 상기 평면부(42)가 형성하는 일정한 경로를 따라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6 , the flat portion 42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relatively depressed toward the center of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than the curved portion 41 . When the flat portion 42 has a recessed structure than the adjacent curved portion 41 , the pin body 135 of the fixing pin 130 does not deviate from the flat portion 42 , and the flat portion 42 . It can be stably ascended and descended along a certain path formed by the

상기 평면부(42)들은 상기 높이조절봉(40)의 횡단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평면부(42)들은 상기 높이조절봉(40)의 횡단면 중심을 기준으로 90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평면부(42)들은 상기 높이조절봉(40)의 횡단면 중심을 기준으로 30도나 60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평면부(42)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면, 상기 핸들장치(100)가 연장되는 방향도 일정하게 변경될 수 있다. The flat portions 42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ross-sec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 For example, the flat portions 42 may be arranged at intervals of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ross-sec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 Alternatively, the flat portions 42 may be arranged at intervals of 30 degrees or 60 degrees based on the center of the cross-sec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 When the planar parts 42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handle device 100 may also be constantly changed.

본 실시례에서 상기 곡면부(41)와 상기 평면부(42)는 각각 3개씩으로 구성되지만, 이와 달리 상기 곡면부(41)와 상기 평면부(42)는 2개 이하 또는 4개 이상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7을 보면, 상기 곡면부(41)는 제1곡면부 내지 제4곡면부(41a~41d)로 구성되고, 상기 평면부(42)도 상기 제1평면부 내지 제4평면부(42b~42d)로 구성된 것을 볼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urved portion 41 and the flat portion 42 are each composed of three, but unlike this, the number of the curved portion 41 and the flat portion 42 may be two or less or four or more. .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7 , the curved portion 41 includes first to fourth curved portions 41a to 41d, and the flat portion 42 is also the first to fourth flat portions. (42b~42d) can be seen.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높이조절봉(40)의 표면은 상기 곡면부(41)가 생략되고 상기 평면부(42)들로만 구성될 수도 있다. 다수개의 평면부(42)들이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면, 상기 높이조절봉(40)의 횡단면은 다각형상이 될 수 있다. Alternatively, although not shown, the surface of the height control rod 40 may be composed of only the flat portions 42 omitting the curved portion 41 . When the plurality of flat portions 42 are continuous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ross-sec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may be a polygonal shape.

상기 평면부(42)의 좌우폭은 상기 평면부(42)에 밀착되는 상기 고정핀(130)의 핀바디(135)의 전면부 보다 폭이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핀바디(135)의 전면부는 상기 평면부(42)의 내부에서 벗어나지 않고, 상기 평면부(42)를 따라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다. 상기 평면부(42)에는 고정홀(45)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홀(45)은 상기 평면부(42)를 관통하여 형성된 구멍구조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고정홀(45)은 상기 평면부(42)에 형성된 원형의 구멍이나, 이와 달리 다양한 형상의 구멍이거나, 또는 구멍이 아니라 평면부(42)의 표면이 함몰된 구조일 수도 있다.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flat portion 42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width of the front portion of the pin body 135 of the fixing pin 130 in close contact with the flat portion 42 . In this way, the front portion of the pin body 135 can be stably raised and lowered along the flat portion 42 without departing from the inside of the flat portion 42 . Fixing holes 45 may be formed in the flat portion 42 . The fixing hole 45 may have a hole structure formed through the flat portion 42 . In this embodiment, the fixing hole 45 may be a circular hole formed in the flat portion 42, or a hole of various shapes, or a structure in which the surface of the flat portion 42 is recessed instead of a hole. .

상기 고정홀(45)들은 상기 평면부(42)를 따라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홀(45)들 중 어느 고정홀(45)에 상기 핸들장치(100)의 핀바디(135)가 삽입되는지에 따라 상기 핸들장치(100)의 높이가 결정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the fixing holes 45 may be disposed along the planar portion 42 . The height of the handle device 10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which fixing hole 45 among the fixing holes 45 is inserted into the pin body 135 of the handle device 100 .

이때, 상기 평면부(42)들을 구성하는 제1평면부(42a)에 형성된 고정홀(45)의 높이와, 상기 제1평면부(42a)에 이웃한 제3평면부(42c)에 형성된 고정홀(45)의 높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보면, 상기 제1평면부(42a)에 형성된 고정홀(45)들과 상기 제3평면부(42c)에 형성된 고정홀(45)들이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평면부(42)들을 구성하는 제1평면부(42a)에 형성된 고정홀(45)의 높이와, 상기 제2평면부(42b)에 이웃한 제3평면부(42c)에 형성된 고정홀(45)의 높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높이조절봉(40)에 형성된 전체 고정홀(45)들의 높이 간격이 촘촘하게 배치될 수 있고, 따라서 핸들장치(100)의 높이를 보다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fixing hole 45 formed in the first flat portion 42a constituting the flat portion 42 and the fixing formed in the third flat portion 42c adjacent to the first flat portion 42a The height of the hole 45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Referring to FIG. 5 , it can be seen that the fixing holes 45 formed in the first flat portion 42a and the fixing holes 45 formed in the third flat portion 42c have different heights from each other. Also, referring to FIG. 8 , the height of the fixing hole 45 formed in the first planar part 42a constituting the planar parts 42 and the third planar part adjacent to the second planar part 42b The height of the fixing hole 45 formed in the 42c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the height interval of all the fixing holes 45 formed in the height adjusting rod 40 can be arranged closely, and thus the height of the handle device 100 can be adjusted more precisely.

도 8에는 상기 높이조절봉(40)을 펼친 전개도가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K1과 K2는 실제로 연속되게 이어진 부분으로, 상기 높이조절봉(40)의 양단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8에는 상기 높이조절봉(40)에 형성된 다수개의 평면부(42)들을 따라 상기 고정핀(130)의 핀바디(135)(도 8에는 생략되어 있음)가 이동하는 경로가 표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평면부(42)들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홀(45)들에 상기 핀바디(135)가 꽂힐 수 있다. 상기 핀바디(135)는 제1평면부(42a)에 형성된 고정홀(45)들 중 가장 상부에 있는 고정홀(45, ①)에서 벗어나, 상기 제1평면부(42a)를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아래쪽에 위치한 고정홀(45, ②)에 삽입될 수도 있다. 8 is an unfolded view of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is shown. For reference, K1 and K2 are actually continuous portions, indicating both ends of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 And, in FIG. 8, the path along which the pin body 135 (omitted in FIG. 8) of the fixing pin 130 moves along the plurality of flat parts 42 formed on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is displayed. have. As shown, the pin body 135 may be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fixing holes 45 formed in each of the planar parts 42 . The pin body 135 moves downward along the first flat portion 42a, away from the uppermost fixing holes 45 and ① among the fixing holes 45 formed in the first flat portion 42a. Thus, it may be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s (45, ②) located below.

또한, 상기 핀바디(135)는 이웃한 제2평면부(42b)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핀바디(135)는 상기 제1곡면부(41a)를 거쳐 상기 제2평면부(42b)로 이동할 수 있고, 제2평면부(42b)에 형성된 고정홀(45, ③)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곡면부(41a)는 표면이 곡면형상이므로, 상기 핀바디(135)는 큰 저항 없이 상기 제1곡면부(41a)를 따라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in body 135 may move to the adjacent second flat portion 42b. At this time, the pin body 135 can move to the second flat portion 42b through the first curved portion 41a, and be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s 45 and 3 formed in the second flat portion 42b. can Since the first curved portion 41a has a curved surface, the pin body 135 can move naturally along the first curved portion 41a without a large resistance.

그리고, 상기 핀바디(135)는 다시 제3평면부(42c)로 이동할 수도 있다. 상기 제2평면부(42b)에 형성된 고정홀(45, ③)에서 벗어난 상기 핀바디(135)는 상기 제2곡면부(41b), 제1평면부(42a) 및 상기 제3곡면부(41c)를 순서대로 지나 상기 제3평면부(42c)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아래쪽으로 이동한 상기 핀바디(135)는 제3평면부(42c)의 하부에 배치된 상기 고정홀(45, ④)에 삽입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in body 135 may move to the third flat portion 42c again. The pin body 135 deviated from the fixing holes 45 and 3 formed in the second flat portion 42b is the second curved portion 41b, the first flat portion 42a, and the third curved portion 41c. ) and may be located in the third flat portion 42c. And, the pin body 135 that has moved downward may be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s 45 and ④ disposed under the third planar part 42c.

상기 핀바디(135)의 이동은 상기 핀바디(135)를 포함하는 상기 핸들장치(100) 전체가 상기 높이조절봉(40)에 대해 상대회전 및 승강하면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핸들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The movement of the pin body 135 is performed while the entire handle device 100 including the pin body 135 rotates relative to the height adjusting rod 40 and ascends and descends.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handle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again below.

도 3을 보면, 상기 제1사이드프레임(30A)의 하부에는 프레임잠금장치(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잠금장치(50)는 상기 제1사이드프레임(30A)이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제1사이드프레임(30A)를 잠김상태로 만들거나, 반대로 회전할 수 있는 풀림상태로 만들 수 있다. 상기 프레임잠금장치(50)는 상기 제1사이드프레임(30A)의 하부에 설치되는데,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제1사이드프레임(30A)의 가장 돌출된 전단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a frame locking device 50 may be installed under the first side frame 30A. The frame locking device 50 may make the first side frame 30A in a locked state so that the first side frame 30A does not rotate, or may make the first side frame 30A in an unlocked state that can be rotated in reverse. The frame locking device 50 is installed under the first side frame 30A, and may be provided under the most protruding front end of the first side frame 30A, as shown in FIG. 2 .

상기 프레임잠금장치(50)는 회전레버(53)의 회전에 연동된 안착레그(55)가 직선이동하면서 설치면(지면)에 밀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안착레그(55)가 설치면에 밀착되면, 상기 제1사이드프레임(30A)과 설치면 사이의 이격된 공간이 없어지고, 상기 제1사이드프레임(30A)은 설치면에 강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사이드프레임(30A)이 상기 프레임잠금장치(50)에 의해 설치면에 고정되면, 상기 제1사이드프레임(30A)은 회전되지 못하는 잠김상태가 될 수 있다. The frame locking device 5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seating leg 55 linked to the rotation of the rotary lever 53 moves in a straight line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tallation surface (ground). When the seating leg 55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tallation surface,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first side frame 30A and the installation surface disappears, and the first side frame 30A can be strongly fixed to the installation surface. . When the first side frame 30A is fixed to the installation surface by the frame locking device 50, the first side frame 30A may be in a locked state that cannot be rotated.

여기서, 상기 회전레버(53)는 회전운동을 하고, 상기 안착레그(55)는 상기 회전레버(53)에 연동하여 상하방향으로 직선이동할 수 있다. 상기 회전레버(53)와 안착레그(55) 사이에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주는 변환링크(52,54)가 있다. Here, the rotary lever 53 rotates, and the seating leg 55 can move linearly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rotary lever 53 . Between the rotary lever 53 and the seating leg 55, there are conversion links 52 and 54 for converting the rotary motion into a linear motion.

상기 프레임잠금장치(50)의 구조를 자세히 보면, 상기 프레임잠금장치(50)에는 브라켓(5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51)은 상기 하부바디(31b)에서 절곡된 형상의 설치부(31c)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설치부(31c)는 안착레그(55)가 승강되는 상하방향으로 구비되고, 그 표면에 상기 브라켓(51)이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브라켓(51)은 평판구조이고, 상기 설치부(31c)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 부분이다.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frame locking device 50 in detail, the frame locking device 50 may be provided with a bracket 51 . The bracket 51 may be fixed to the installation part 31c bent in the lower body 31b. The installation part 31c is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which the seating leg 55 is raised and lowered, and the bracket 51 can be fixed to the surface thereof. The bracket 51 has a flat plate structure and is fixed to the installation part 31c and does not move.

상기 브라켓(51)에는 회전레버(53)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레버(53)는 사용자가 파지하고 회전시키는 부분으로, 도 3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사이드프레임(30A)을 잠김 상태로 만들 수 있고,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사이드프레임(30A)을 풀림 상태로 만들 수 있다. 도 3에는 상기 회전레버(53)가 잠김 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A rotary lever 53 may be connected to the bracket 51 . The rotary lever 53 is a part gripped and rotated by the user. When it rotates counterclockwise with reference to FIG. 3, the first side frame 30A can be locked, and when rotated clockwise, the first side frame 30A can be rotated clockwise. One side frame (30A) can be made in the unlocked state.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rotary lever 53 is rotated in the locking direction.

참고로, 도면부호 31d는 스토핑부로, 상기 회전레버(53)가 풀림방향으로 회전할 때 최대회전각을 제한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레버(53)가 상기 스토핑부(31d)에 닿으면 더 이상 풀림방향으로 회전될 수 없게 된다. For reference, reference numeral 31d denotes a stopping part, and may be a part that limits the maximum rotation angle when the rotary lever 53 rotates in the release direction. That is, when the rotary lever 53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topping part 31d, it can no longer rotate in the release direction.

상기 회전레버(53)와 상기 브라켓(51)의 사이에는 변환링크(52,5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변환링크(52,54)는 상기 회전레버(53)의 회전운동을 안착레그(55)의 직선운동으로 바꾸어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변환링크(52,54)에는 상기 브라켓(51)과 회전레버(53) 뿐 아니라, 상기 안착레그(55)도 연결될 수 있다.Conversion links 52 and 54 may be provided between the rotary lever 53 and the bracket 51 . The conversion links 52 and 54 convert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rotary lever 53 into a linear movement of the seating leg 55 . To this end, not only the bracket 51 and the rotation lever 53 but also the seating leg 55 may be connected to the conversion links 52 and 54 .

상기 변환링크(52,54)는 제1링크(52)와 제2링크(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52)는 상기 브라켓(51)에 제1축(H1)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또한 상기 제1링크(52)에는 상기 회전레버(53)가 고정형태로 조립될 수 있다. 상기 회전레버(53)는 체결구(53a)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레버(53)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1링크(52)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제1링크(52)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한 쌍의 제1링크(52) 사이에 상기 제2링크(54)가 배치될 수 있다. The conversion links 52 and 54 may include a first link 52 and a second link 54 . The first link 52 may be rotatably fixed to the bracket 51 on a first axis H1 , and the rotation lever 53 may be assembled to the first link 52 in a fixed form. . The rotary lever 53 may be fixed with a fastener 53a. Therefore, when the rotary lever 53 is rotated, the first link 52 is rotated together. As shown in FIG. 3 , the first link 52 may be configured as a pair, and the second link 54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first links 52 .

상기 제1링크(52)에는 상기 제2링크(54)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링크(54)는 상기 제1링크(5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상기 제2링크(54)는 제2축(H2)으로 상기 제1링크(52)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링크(54)에는 안착레그(55)가 제3축(H3)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링크(54)가 회전할 때 승강될 수 있다. The second link 54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link 52 . The second link 54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link 52 , and the second link 54 is to be rotatably assembled to the first link 52 with a second axis H2 . can In addition, a seating leg 55 is connected to the second link 54 by a third shaft H3 so that the second link 54 can be raised and lowered when the second link 54 rotates.

이때, 상기 제1링크(52)는 고정된 제1축(H1)을 회전축으로 회전되지만, 상기 제2링크(54)의 회전축인 제2축(H2)은 회전되는 몸체인 제1링크(52)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링크(54)의 회전축은 제1링크(52)의 회전에 따라 함께 움직이는 축이 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link 52 rotates about the fixed first axis H1 as a rotation axis, but the second axis H2 which is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link 54 rotates the first link 52 as a body. ) so that the axis of rotation of the second link 54 may be an axis that moves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first link 52 .

상기 안착레그(55)는 상기 회전레버(53)의 회전에 연동하여서 상기 제2링크(54)를 따라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안착레그(55)가 하강하면 설치면에 안착되어 상기 제1사이드프레임(30A)이 회전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안착레그(55)의 하단에는 안착풋(55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풋(55a)은 상기 안착레그(55) 보다 큰 폭을 갖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안착풋(55a)은 원기둥형이다. 상기 안착풋(55a) 전체 또는 상기 안착풋(55a)의 표면은 고무재질과 같이 마찰력이 높은 재질로 만들어져 상기 안착레그(55) 전체가 미끌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The seating leg 55 may be raised and lowered along the second link 54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ry lever 53 . When the seating leg 55 descends, it can be seat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to support the first side frame 30A so that it does not rotate. A seating foot 55a may b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seating leg 55 . The seating foot 55a has a greater width than the seating leg 55, and in this embodiment, the seating foot 55a has a cylindrical shape. The entire seating foot 55a or the surface of the seating foot 55a may be made of a material with high frictional force, such as a rubber material, to prevent the entire seating leg 55 from sliding.

다음으로 상기 핸들장치(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핸들장치(100)는 사용자가 운동을 할 때 사용자를 향해 돌출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핸들장치(100)는 상기 높이조절봉(40)에 대해 상대회전될 수 있고, 상기 높이조절봉(40)을 따라 승강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핸들장치(100)는 상기 높이조절봉(40)에 대해 상대회전하지는 못하고 승강만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Next, the handle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The handle device 100 may be a portion that protrudes toward the user when the user exercises. In this embodiment, the handle device 100 may be rotated relative to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 and may be raised and lowered along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 Alternatively, the handle device 100 may not be rotated relative to the height adjusting rod 40 and may be configured to only elevate.

도 4에서 화살표 A는 상기 핸들장치(100)가 상기 높이조절봉(40)의 높이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높이조절봉(40)에 대해 상대회전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고, 화살표 B는 상기 핸들장치(100)가 상기 높이조절봉(40)으로부터 펴지거나 접히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상기 핸들장치(100)는 상기 높이조절봉(40)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이 상태를 '펴진 상태'로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핸들장치(100)가 회전하여 상기 높이조절봉(40)과 평행하게 연장되면 '접힌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처럼 접힌 상태는 도 10과 도 15에 잘 도시되어 있다. In FIG. 4, an arrow A indicates a direction in which the handle device 100 is rotated relative to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with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as a rotation axis, and an arrow B indicates the handle apparatus (100) indicates the direction of unfolding or folding from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In this case, the handle device 100 may exten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 and this state may be referred to as an 'unfolded state'. Alternatively, when the handle device 100 rotates and extends parallel to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it may be in a 'folded state'. This folded state is well illustrated in FIGS. 10 and 15 .

상기 핸들장치(100)는 사용자가 운동을 하기 전에는 접힌 상태로 유지되다가, 사용자가 운동을 할 때 상기 핸들장치(100)를 회전시켜 상기 높이조절봉(40)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게 할 수 있다. The handle device 100 is maintained in a folded state before the user exercises, and rotates the handle device 100 when the user exercises so that it extend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can

도 4를 보면, 상기 핸들장치(100)는 상기 높이조절봉(40)을 따라 승강되고, 상기 높이조절봉(40)의 고정홀(45)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높이가 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조정된 핸들장치(100)는 조정된 높이에서 고정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handle device 100 is raised and lowered along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 and i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fixing holes 45 of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so that the height can be fixed. . The handle device 100 adjusted to a height desired by the user may be used in a fixed state at the adjusted height.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핸들장치(100)에는 상기 높이조절봉(40)을 감싸는 연결바디(101)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바디(101)는 상기 핸들장치(100)는 상기 높이조절봉(40)에 고정하기 위한 일종의 브라켓으로 볼 수도 있다. 상기 연결바디(101)는 원통형상이고, 중심에 관통된 삽입공간(101a)에 상기 높이조절봉(40)이 삽입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handle device 100 may include a connection body 101 surrounding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 The connection body 101 may be viewed as a kind of bracket for fixing the handle device 100 to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 The connection body 101 has a cylindrical shape, and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101a penetrated in the center.

상기 연결바디(101)에는 바서포트(10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서포트(105)는 상기 연결바디(101)에서 연장되는 판상구조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바서포트(105)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바서포트(105)와 상기 연결바디(101) 사이에는 서포트블록(102)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바디(101)에는 서포트블록(102)이 돌출되고, 상기 서포트블록(102)에 상기 바서포트(105)가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연결바디(101), 상기 서포트블록(102) 및 상기 바서포트(105)는 서로 연결된 하나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부호 103은 연결바디(101)의 고정력을 위한 체결구일 수 있다. The connecting body 101 may be provided with a bar support 105 . The bar support 105 may have a plate-like structure extending from the connection body 101 . In this embodiment, the bar support 105 is configured as a pair, and the support block 10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ar support 105 and the connecting body 101 . That is, the support block 102 protrudes from the connection body 101 , and the bar support 105 can be connected to the support block 102 . Of course, the connection body 101, the support block 102, and the bar support 105 may be configured as one part connected to each other. Reference numeral 103 may be a fastener for fixing force of the connection body 101 .

상기 바서포트(105) 보다 아래쪽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핀하우징(10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핀하우징(107)은 상기 연결바디(101)에서 돌출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핀하우징(107)은 상기 연결바디(101)에서 상기 연결바디(101)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핀하우징(107)은 상기 핸들장치(100)가 펴진 상태일 때 핸들바(110)와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된다. A pin housing 107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bar support 105 . The pin housing 107 may have a structure protruding from the connection body 101 . The pin housing 107 may protrude from the connection body 101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body 101 . In this embodiment, the pin housing 107 protrude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handle bar 110 when the handle device 100 is in an unfolded state.

상기 핀하우징(107)은 원통형상의 구조이고, 내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핀하우징(107)에는 상기 고정핀(130)을 구성하는 고정레버(131)와 핀바디(135)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핀하우징(107)은 상기 핸들바(110) 보다 아래쪽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핸들바(110)에 가려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적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핀(130)의 설치방향이 상기 핸들바(110)의 펴진 방향과 같아서 사용자는 상기 고정핀(130)을 보다 쉽게 조작할 수도 있다. The pin housing 107 has a cylindrical structure, and an empty space may be formed therein. A fixing lever 131 and a pin body 135 constituting the fixing pin 130 may be installed in the pin housing 107 .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pin housing 107 is disposed below the handle bar 110 , a portion covered by the handle bar 110 and exposed to the outside may be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fixing pin 130 is the same as the unfolding direction of the handle bar 110 , the user may operate the fixing pin 130 more easily.

상기 바서포트(105)에는 핸들바(11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핸들바(110)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봉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핸들바(110)의 내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빈 공간을 통해서 와이어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는 상기 핸들바(110)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핸들바(110)의 끝부분에 배치된 풀리부(120)를 통해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는 별도의 파지부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풀리부(120)로부터 이격되거나 밀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파지부가 생략되고 상기 풀리부(120) 자체가 파지부가 될 수도 있다. A handle bar 110 may be connected to the bar support 105 . The handlebar 110 may have a rod shape extending long in one direction. An empty space is formed in the handlebar 110 , and a wire may extend through the empty space. The wire may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handle bar 110 and exten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ulley part 120 disposed at the end of the handle bar 110 . As described above, the wire may be fixed to a separate gripping part, and the gripping part may be spaced apart from or in close contact with the pulley part 120 . Alternatively, the grip part may be omitted and the pulley part 120 itself may be a grip part.

상기 핸들바(110)의 한쪽 끝에는 상기 바서포트(105)와 연결되는 결합편(11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편(112)은 바연결축(115)에 의해 상기 바서포트(105)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바연결축(115)이 상기 핸들바(110)의 회전축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결합편(112)은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고, 각각 상기 바서포트(105)의 바깥쪽에 겹치는 형태로 상기 바서포트(105)와 연결될 수 있다. A coupling piece 112 connected to the bar support 105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handle bar 110 . The coupling piece 112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r support 105 by a bar connection shaft 115 . That is, the bar connection shaft 115 may be a rotation shaft of the handle bar 110 . The coupling piece 112 may be configured as a pair, and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bar support 105 in a form overlapping the outside of the bar support 105 .

상기 핸들바(110)의 반대쪽 끝에는 풀리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풀리부(120)는 상기 핸들바(110)의 내부를 통해 연장되는 와이어가 외부로 원활하게 인출되었다가 다시 인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풀리부(120)를 구성하는 풀리하우징(121) 내부에는 한 쌍의 풀리(123)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풀리들 사이의 배출공간(125)으로 와이어가 배출될 수 있다. A pulley part 120 may be provided at the opposite end of the handle bar 110 . The pulley part 120 may allow the wire extend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handle bar 110 to be smoothly drawn out and then re-entered. To this end, a pair of pulleys 123 may be provided inside the pulley housing 121 constituting the pulley part 120 . And, the wire may b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space 125 between the pair of pulleys.

상기 풀리부(120)는 회전될 수도 있다. 상기 풀리부(120)는 상기 핸들바(110)에 대해 상대회전가능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풀리부(120)는 도 4의 화살표 C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풀리부(120) 및 핸들바(110)에 가해지는 부하를 줄일 수 있고, 다양한 방향으로 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The pulley part 120 may be rotated. The pulley part 120 may be relatively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handle bar 110 . The pulley part 120 can reduce the load applied to the pulley part 120 and the handlebar 110 while rotating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C of FIG. 4 , and may allow movement in various directions.

상기 핸들장치(100)에는 고정핀(1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핀(130)은 상기 핸들장치(100)의 높이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핀(130)은 앞서 설명한 상기 연결바디(101)에서 연장되는 핀하우징(107)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핀(130)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상기 고정핀(130)을 조작하여 상기 핸들장치(100)의 높이와 방향을 고정하거나, 고정된 상태를 풀 수도 있다. The handle device 100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pin 130 . The fixing pin 130 is for fixing the height of the handle device 100 . The fixing pin 130 may be installed in the pin housing 107 extending from the connection body 101 described above. The fixing pin 130 may be manipulated by a user, and the user may manipulate the fixing pin 130 to fix the height and direction of the handle device 100 or release the fixed state.

상기 고정핀(130)에는 상기 핀하우징(107)의 외부로 노출된 고정레버(131)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정레버(131)는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파지하게 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고정레버(131)는 상기 핀하우징(107)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고정레버(131)를 당길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핀하우징(107)의 내부에는 고정스프링이 구비되어서, 상기 고정레버(131)가 상기 핀하우징(107) 방향으로 당겨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The fixing pin 130 may include a fixing lever 131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in housing 107 . The fixing lever 131 may be a portion substantially gripped by the user. The fixing lever 131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in housing 107 , so that a user can pull the fixing lever 131 . Although not shown, a fixing spring is provided inside the pin housing 107 to provide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xing lever 131 is pulled toward the pin housing 107 .

상기 고정핀(130)에는 핀바디(135)가 연결될 수 있다. 단면도인 도 9를 보면, 상기 핀바디(135)가 상기 높이조절봉(40)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핀바디(135)는 상기 고정레버(131)에 연결되어 함께 이동될 수 있고, 상기 고정스프링에 의해 상기 고정홀(45)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을 수 있다. A pin body 135 may be connected to the fixing pin 130 . Referring to FIG. 9 , which is a cross-sectional view, the pin body 135 is shown in a state in which it is inserted into the height adjusting rod 40 . Although not shown, the pin body 135 may be connected to the fixing lever 131 to move together, and may receive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to be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45 by the fixing spring.

본 실시례에서 상기 핀바디(135)의 앞부분은 곡면형상일 수 있다. 상기 핀바디(135)의 앞부분이 곡면형상이면, 상기 평면부(42)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마찰을 줄일 수 있고, 상기 고정홀(45)에 보다 쉽게 삽입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핀바디(135)는 도 8의 화살표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핸들장치(100)가 다양한 방향 및 높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ront portion of the pin body 135 may have a curved shape. If the front portion of the pin body 135 has a curved shape, friction may be reduced in the process of moving along the flat portion 42 , and may be more easily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45 . As described above, the pin body 135 may move along the arrow path of FIG. 8 so that the handle device 100 can be fixed in various directions and heights.

한편, 상기 핸들장치(100)에는 상기 핸들바(110)가 펴진 상태로 고정시켜주기 위한 바잠금장치(15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에는 상기 바잠금장치(150)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바잠금장치(150)는 상기 핸들바(110)의 일부를 걸어 상기 핸들바(110)가 상기 연결바디(101)에 직교한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장치라고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handle device 100 may be provided with a bar locking device 150 for fixing the handle bar 110 in an unfolded state. 10 to 13 show the structure of the bar locking device 150 . The bar locking device 150 may be a device for maintaining a state in which the handlebar 110 is rot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nnection body 101 by hanging a part of the handlebar 110 .

본 실시례에서 상기 바잠금장치(150)는 상기 핸들바(1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바잠금장치(150)는 상기 높이조절봉(40)의 높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승강되면서 상기 핸들바(110)의 일부를 걸어 고정시킬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바잠금장치(150)가 상기 핸들바(110)의 하부에 배치되면, 상기 바잠금장치(150)도 상기 핸들바(110)에 의해 가려져 외부로 노출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잠금장치(150)는 상기 고정핀(130)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다 쉽게 접근하고 조작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bar locking device 150 is disposed under the handlebar 110 , and the bar locking device 150 is raised and lower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 and the A part of the handlebar 110 may be hung and fixed. As such, when the bar locking device 150 is disposed under the handlebar 110 , the bar locking device 150 is also covered by the handlebar 110 so that exposure to the outside can be minimized. In addition, since the bar locking device 150 is dispos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fixing pin 130 , a user may more easily access and operate it.

도 10을 보면, 상기 바잠금장치(150)는 상기 바서포트(105)의 하부에 배치된 잠금바디(117)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잠금바디(117)에는 승강가능한 방향으로 바잠금장치(1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바잠금장치(150)에는 잠금레버(151)가 돌출되어 있는데, 상기 잠금레버(151)는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부분이다. Referring to FIG. 10 , the bar locking device 150 may be installed on the locking body 117 disposed under the bar support 105 . A bar locking device 150 may be installed in the locking body 117 in an elevating direction. A lock lever 151 is protruded from the bar locking device 150, and the lock lever 151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is a part that can be gripped by a user.

도 12를 보면, 상기 잠금레버(151)에는 잠금핀(155)이 연결된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잠금핀(155)에는 폭을 넓히는 방향으로 스토퍼(156)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스토퍼(156)에는 잠금스프링(157)의 일단부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잠금스프링(157)은 항상 상기 잠금핀(155)이 상부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해줄 수 있다. 12 , it can be seen that a lock pin 155 is connected to the lock lever 151 . A stopper 156 may be provided on the locking pin 155 in a direction to widen the width, and one end of the locking spring 157 may be fixed to the stopper 156 . Therefore, the lock spring 157 can always provide an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ck pin 155 protrudes upward.

상기 핸들바(110)에는 잠금블록(11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잠금블록(118)은 상기 잠금핀(155)에 걸릴 수 있는 부분으로, 상기 핸들바(110)의 하부로 돌출된 구조일 수 있다. 도 12에서는 상기 핸들바(110)가 접힌 상태로 있기 때문에 아직 상기 잠금블록(118)의 잠금홀(118a)에 상기 잠금핀(155)이 삽입되기 전의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A lock block 118 may be provided on the handle bar 110 . The locking block 118 is a portion that can be caught by the locking pin 155 , and may have a structure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lebar 110 . In FIG. 12 , since the handlebar 110 is in a folded state, it is still shown in a state before the locking pin 155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 118a of the locking block 118 .

이 상태에서 상기 핸들바(1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펴지면, 도 13과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잠금블록(118)의 잠금홀(118a)에 상기 바잠금장치(150)의 잠금핀(155)이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핸들바(110)는 펴진 상태에서 다시 접힌 상태로 임의로 돌아갈 수 없게 된다. 사용자가 잠금스프링(157)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잠금레버(151)를 당기면 상기 잠금핀(155)이 상기 잠금홀(118a)에서 벗어나게 되고, 이 상태에서 핸들바(110)를 회전시키면 상기 핸들바(110)는 접힌 상태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핸들바(110)가 펴진 상태로 회전할 때는 사용자가 상기 잠금레버(151)를 당기지 않더라도 상기 잠금핀(155)의 곡면형상을 통해서 상기 잠금핀(155)이 상기 잠금홀(118a)에 자연스럽게 끼워질 수도 있다. In this state, when the handlebar 110 is rotated clockwise and unfolded, the state shown in FIG. 13 may be obtained. That is, the locking pin 155 of the bar locking device 150 may be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 118a of the locking block 118 . Accordingly, the handlebar 110 cannot arbitrarily return from the unfolded state to the folded state. When the user pulls the lock lever 151 while overcoming the elastic force of the lock spring 157, the lock pin 155 comes out of the lock hole 118a. In this state, when the handle bar 110 is rotated, the handle The bar 110 may be in a folded state. For reference, when the handlebar 110 rotates in an unfolded state, even if the user does not pull the lock lever 151 , the lock pin 155 passes through the lock hole 118a through the curved shape of the lock pin 155 . ) can be incorporated naturally.

도 14에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핸들장치(100)의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핸들장치(200)에는 핸들바가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핸들장치(200)에는 핸들바가 생략되고, 풀리부(220)만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풀리부(220)는 앞선 실시례의 풀리부(120)와 마찬가지로, 와이어가 외부로 원활하게 인출되었다가 다시 인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풀리부(220)를 구성하는 풀리하우징(221) 내부에는 한 쌍의 풀리(223)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풀리들(223) 사이의 배출공간(225)으로 와이어가 배출될 수 있다. 14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handle device 100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As can be seen, the handle bar may be omitted from the handle device 200 . The handle device 200 may be provided with only the pulley part 220 omitting the handle bar. The pulley part 220 may allow the wire to be smoothly drawn out and then re-introduced, similarly to the pulley part 120 of the previous embodiment. To this end, a pair of pulleys 223 may be provided inside the pulley housing 221 constituting the pulley part 220 . And, the wire may b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space 225 between the pair of pulleys 223 .

상기 풀리부(220)에는 연결바디(201)가 바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풀리부(220)는 상기 연결바디(201)에 대해 상대회전될 수도 있다. 상기 풀리부(220)는 상기 높이조절봉(40)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도면부호 201a는 상기 연결바디(101)에 형성된 삽입공간을 나타낸 것이다. The connection body 201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pulley part 220 , and the pulley part 220 may be rotated relative to the connection body 201 . The pulley part 220 may be rot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a rotation axis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as a rotation center. Reference numeral 201a denotes an insertion space formed in the connection body 101 .

도 14에 도시된 실시례에서도 상기 핸들장치(20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230)이 구비될 수 있고, 그 구조는 앞서 설명한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실시례에서는 핸들바가 생략되므로, 핸들바의 회전을 잠그기 위한 바잠금장치(150)도 역시 생략될 수 있다. 도면부호 209는 상기 손잡이부로, 상기 고정핀(230)의 고정레버(231)를 당길 때 활용하거나, 상기 핸들장치(200)이 높이를 조절할 때 파지할 수도 있는 부분이다. 또한 도면부호 207은 고정핀(230)의 설치를 위한 핀하우징(207)을 나타낸 것이다. Also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4 , a fixing pin 230 for fixing the handle device 200 may be provided, and the structure may be the same as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since the handlebar is omitted in this embodiment, the bar locking device 150 for locking the rotation of the handlebar may also be omitted. Reference numeral 209 denotes the handle, which is used when pulling the fixing lever 231 of the fixing pin 230 or can be gripped when the handle device 200 adjusts the height. In addition, reference numeral 207 denotes a pin housing 207 for installing the fixing pin 230 .

다음으로,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Next, a process of using th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5 .

사용자는 먼저 상기 제1사이드프레임(30A)을 상기 메인프레임(10)으로부터 인출하고, 상기 높이조절봉(4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운동기구가 수납상태일 때, 상기 높이조절봉(40)에 구비된 상기 핸들장치(100)는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안쪽을 향해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0)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1사이드프레임(30A)을 꺼낸 후에 상기 높이조절봉(40)을 회전시켜서 상기 핸들장치(100)가 전방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15(a)에 도시되어 있다. The user may first withdraw the first side frame 30A from the main frame 10 and rotate the height adjusting rod 40 . When the exercise device is in a storage state, the handle device 100 provided on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faces the inside of the main frame 10 so that it can be accommodated in the main frame 10 . Therefore, the user can rotate the height adjusting rod 40 after taking out the first side frame 30A so that the handle device 100 faces forward. Such a state is shown in Fig. 15 (a).

이때, 만약 고정레버(131)가 잠김상태라면, 이를 먼저 풀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회전레버(53)를 화살표 ①'방향으로 들어올리면 상기 제1사이드프레임(30A) 전체가 좌우로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15(b)에 도시되어 있다. At this time, if the fixing lever 131 is in a locked state, it must first be released. To this end, when the rotary lever 53 is lif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①', the entire first side frame 30A may be in a state in which it can rotate left and right. Such a state is shown in Fig. 15(b).

사용자가 상기 회전레버(53)를 들어올리면, 상기 회전레버(53)는 회전하면서 상기 변환링크(52,54)를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변환링크(52,54)는 회전과 동시에 상기 안착레그(55)를 위쪽으로 올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사이드프레임(30A)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므로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When the user lifts the rotary lever 53, the rotary lever 53 rotates while rotating the conversion links 52 and 54. And the conversion links 52 and 54 can raise the seating leg 55 upward at the same time as rotation. Therefore, the first side frame 30A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nd can be rotated.

이어서, 사용자는 상기 높이조절봉(40)을 회전시켜, 상기 핸들장치(100)를 원하는 방향으로 맞출 수 있다. 도 15(b)의 화살표X 방향으로 높이조절봉(40)을 회전시키면 사용자는 상기 핸들장치(100)를 원하는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Then, the user may rotate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to adjust the handle device 100 in a desired direction. When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X of FIG. 15( b ), the user can adjust the handle device 100 in a desired direction.

또한, 사용자는 상기 핸들장치(100)의 높이를 조정할 수도 있다. 상기 핸들장치(10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고정핀(130)을 해제해야 한다. 사용자가 상기 고정레버(131)를 파지하고, 상기 핀하우징(107)의 내부에 있는 고정스프링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고정레버(131)를 당기면, 상기 핀바디(135)가 상기 높이조절봉(40)의 고정홀(45)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may adjust the height of the handle device 100 . In order to adjust the height of the handle device 100, the fixing pin 130 must first be released. When the user grips the fixing lever 131 and pulls the fixing lever 131 while overcoming the elastic force of the fixing spring inside the pin housing 107, the pin body 135 moves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 can come out of the fixing hole (45).

이렇게 되면 상기 핸들장치(100)가 상기 높이조절봉(40)에 고정된 상태가 해제되므로, 상기 핸들장치(100)를 상기 높이조절봉(40)에 대해 상대회전시키거나 또는 승강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봉(40)의 상기 평면부(42)는 상기 곡면부(41) 보다 상기 높이조절봉(40)의 중심을 향해 상대적으로 함몰된 구조일 수 있으므로, 상기 고정핀(130)의 핀바디(135)가 상기 평면부(42)에서 벗어나지 않고, 상기 평면부(42)가 형성하는 일정한 경로를 따라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다. In this case, since the fixed state of the handle device 100 to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is released, the handle apparatus 100 can be rotated relative to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or raised or lower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lat portion 42 of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relatively depressed toward the center of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than the curved portion 41, the fixing pin The pin body 135 of 130 does not deviate from the flat portion 42 , and can be stably moved up and down along a predetermined path formed by the flat portion 42 .

구체적으로 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핀바디(135)는 제1평면부(42a)에 형성된 고정홀(45)들 중 가장 상부에 있는 고정홀(45, ①)에서 벗어나, 상기 제1평면부(42a)를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아래쪽에 위치한 고정홀(45, ②)에 삽입될 수도 있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8 , the pin body 135 deviates from the uppermost fixing holes 45 and ① among the fixing holes 45 formed in the first flat portion 42a, and the It may move downward along the first flat portion 42a and be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s 45 and ② located below.

또한, 상기 핀바디(135)는 이웃한 제2평면부(42b)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핀바디(135)는 상기 제1곡면부(41a)를 거쳐 상기 제2평면부(42b)로 이동할 수 있고, 제2평면부(42b)에 형성된 고정홀(45, ③)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곡면부(41a)는 표면이 곡면형상이므로, 상기 핀바디(135)는 큰 저항 없이 상기 제1곡면부(41a)를 따라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in body 135 may move to the adjacent second flat portion 42b. At this time, the pin body 135 can move to the second flat portion 42b through the first curved portion 41a, and be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s 45 and 3 formed in the second flat portion 42b. can Since the first curved portion 41a has a curved surface, the pin body 135 can move naturally along the first curved portion 41a without a large resistance.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상기 핸들장치(100)의 높이와 방향을 자유롭게 설정하되, 그 과정에서 고정핀(130)이 일정한 경로를 따라 이동될 수 있어서 조작성이 개선될 수 있다. Through this process, the user can freely set the height and direction of the handle device 100, but in the process, the fixing pin 130 can be moved along a predetermined path, so that operability can be improved.

그리고, 도 15(c)에서 보듯이 상기 회전레버(53)를 화살표 ①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안착레그(55)가 하강하여 설치면에 지지되므로, 결국 프레임고정장치(50)가 상기 제1사이드프레임(30A)의 회전도 잠그게 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레버(53)의 잠금동작은 상기 핸들장치(100)의 높이조절 보다 먼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회전레버(53)에 연동하여 상기 높이조절봉(40)의 회전도 함께 잠길 수도 있다. And, as shown in Fig. 15 (c), when the rotation lever 53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①, the seating leg 55 is lowered and support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so that the frame fixing device 50 is eventually installed on the first side. The rotation of the frame 30A is also locked. The locking operation of the rotary lever 53 may be performed prior to height adjustment of the handle device 100 . 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the rota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rod 40 may be locked together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lever 53 .

마지막으로 사용자는 상기 핸들장치(100)를 펴진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상기 핸들장치(100)가 도 15(c)의 Y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핸들장치(100)가 펴지고, 그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핸들장치(100)가 펴진 상태로 고정되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잠금장치(15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Finally, the user can make the handle device 100 in an unfolded state. When the handle device 100 is rotated in the Y direction of FIG. 15(c), the handle device 100 may be unfolded and fixed in that state. Fixing the handle device 100 in an unfolded state may be accomplished by the bar locking device 150 described above.

상기 핸들바(110)가 펴지는 방향(Y방향)으로 회전하여 펴지면, 도 13과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잠금블록(118)의 잠금홀(118a)에 상기 바잠금장치(150)의 잠금핀(155)이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핸들바(110)는 펴진 상태에서 다시 접힌 상태로 임의로 돌아갈 수 없게 된다. 사용자가 잠금스프링(157)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잠금레버(151)를 당기면 상기 잠금핀(155)이 상기 잠금홀(118a)에서 벗어나게 되고, 이 상태에서 핸들바(110)를 회전시키면 상기 핸들바(110)는 접힌 상태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핸들바(110)가 펴진 상태로 회전할 때는 사용자가 상기 잠금레버(151)를 당기지 않더라도 상기 잠금핀(155)의 곡면형상을 통해서 상기 잠금핀(155)이 상기 잠금홀(118a)에 자연스럽게 끼워질 수도 있다. When the handlebar 110 is rotated and unfolded in the unfolding direction (Y direction), it may be in a state as shown in FIG. 13 . That is, the locking pin 155 of the bar locking device 150 may be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 118a of the locking block 118 . Accordingly, the handlebar 110 cannot arbitrarily return from the unfolded state to the folded state. When the user pulls the lock lever 151 while overcoming the elastic force of the lock spring 157, the lock pin 155 comes out of the lock hole 118a. In this state, when the handle bar 110 is rotated, the handle The bar 110 may be in a folded state. For reference, when the handlebar 110 is rotated in an unfolded state, even if the user does not pull the lock lever 151 , the lock pin 155 passes through the lock hole 118a through the curved shape of the lock pin 155 . ) can be incorporated naturally.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e above, even though al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in combination as on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components may operate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s", "comprises"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herent unless otherwise stated, so excluding other components Rather,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include other components further.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commonly used,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 메인프레임 11: 상부플레이트
13: 하부플레이트 17: 디스플레이
30A: 제1사이드프레임 30B: 제2사이드프레임
40: 높이조절봉 41: 곡면부
42: 평면부 45: 고정홀
50: 프레임고정장치 100: 핸들장치
101: 연결바디 110: 핸들바
120: 풀리부 130: 고정핀
131: 고정레버 135: 핀바디
150: 바잠금장치
10: mainframe 11: top plate
13: lower plate 17: display
30A: first side frame 30B: second side frame
40: height adjustment bar 41: curved part
42: flat portion 45: fixing hole
50: frame fixing device 100: handle device
101: connection body 110: handle bar
120: pulley 130: fixing pin
131: fixed lever 135: pin body
150: bar lock

Claims (19)

내부에 운동 부하를 발생시키는 구동부가 구비된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에 수납되거나 인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해 회전가능한 사이드프레임;
상기 사이드프레임에 설치되고,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횡단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평면부와 곡면부가 연속되게 배치되고, 상기 평면부에는 다수개의 고정홀들이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높이조절봉;
상기 높이조절봉을 따라 승강되고, 상기 고정홀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높이가 고정되는 고정핀이 구비되는 핸들장치;를 포함하는 운동기구.
a main frame provided with a driving unit for generating an exercise load therein;
a side frame provided to be accommodated in or withdrawn from the main frame and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main frame in a state with which it is drawn out from the main frame;
Installed on the side frame, rotatable about a rotational shaft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the flat portion and the curved portion are continuously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ross section, and a plurality of fixing holes are disposed in the flat portion along the height direction height adjustment rod;
Exercise equipment including; a handle device that is lifted along the height adjustment rod and provided with a fixing pin that i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fixing holes to have a fixed heigh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와 상기 곡면부는 각각 상기 높이조절봉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운동기구.
Th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at portion and the curved portion extend along a height direc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rod, respectivel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봉에는 다수개의 상기 평면부들이 배치되고, 상기 평면부들의 사이에는 상기 곡면부가 배치되는 운동기구.
Th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the flat parts are disposed on the height adjusting rod, and the curved part is disposed between the flat parts.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들은 상기 높이조절봉의 횡단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운동기구.
Th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flat parts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ross-section of the height control rod.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들을 구성하는 제1평면부에 형성된 고정홀의 높이와, 상기 제1평면부에 이웃한 제2평면부에 형성된 고정홀의 높이는 서로 다른 운동기구.
Th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a height of the fixing hole formed in the first flat portion constituting the flat portions is different from a height of the fixing hole formed in a second flat portion adjacent to the first flat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는 상기 곡면부 보다 상기 높이조절봉의 중심을 향해 함몰된 운동기구.
Th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at portion is recessed toward the center of the height adjustment rod rather than the curved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의 좌우폭은 상기 평면부에 밀착되는 상기 고정핀의 전면부 보다 폭이 크거나 같은 운동기구.
Th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flat portion ar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width of the front portion of the fixing pin in close contact with the flat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봉에는 다수개의 상기 곡면부들이 배치되고, 상기 곡면부들은 상기 높이조절봉의 횡단면 중심을 원의 중심으로 하는 정원형상의 일부를 각각 구성하는 운동기구.
Th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the curved portions are disposed on the height adjustment rod, and the curved portions each constitute a portion of a circular shape with a center of a cross sec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rod as a center of a circ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핸들장치에는 상기 고정핀을 상기 평면부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운동기구.
Th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andle device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fixing pin in the direction of the flat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핸들장치의 핸들바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는 운동기구.
Th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ing pin protrud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handle bar of the handle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핸들장치는
상기 높이조절봉을 감싸는 연결바디;
상기 연결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바디와 평행하게 세워지거나 또는 상기 연결바디와 직교한 방향으로 펼쳐지는 핸들바;와
상기 연결바디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평면부 방향으로 직선이동되면서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운동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andle device
a connection body surrounding the height adjustment rod;
A handle bar coupled to the connecting body, standing in parallel with the connecting body or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nnecting body; and
and a fixing pin disposed on the connection body,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linearly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plane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핸들바 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운동기구.
Th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fixing pin is disposed below the handle bar.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외부로 노출된 고정레버;
상기 고정레버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핀바디;와
상기 핀바디에 상기 평면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고정스프링;을 포함하는 운동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fixing pin is
Fixed lever exposed to the outside;
A pin body connected to the fixing lever and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and
Exercise device including a; fixing spring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flat portion to the pin body.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을 향한 상기 핀바디의 표면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운동기구.
Th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a surface of the pin body facing the fixing hole is formed in a curved surface.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핸들장치에는 상기 핸들바의 일부를 걸어 상기 핸들바가 상기 연결바디에 직교한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키는 바잠금장치가 구비되는 운동기구.
Th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handle device is provided with a bar locking device that hangs a part of the handle bar to keep the handle bar unfold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nnection body.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바잠금장치는 상기 핸들바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바잠금장치는 상기 높이조절봉의 높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승강되면서 상기 핸들바의 일부를 걸어 고정시키는 운동기구.
Th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the bar locking device is disposed under the handlebar, and the bar locking device hangs and fixes a part of the handlebar while ascending and desc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ro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봉은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전단부를 형성하는 운동기구.
Th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ight adjustment rod forms a front end of the side frame.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봉의 상단은 상기 사이드프레임을 구성하는 상부바디에 고정되고, 상기 높이조절봉의 하단은 상기 사이드프레임을 구성하는 하부바디에 고정되며, 상기 높이조절봉은 상기 상부바디 및 상기 하부바디와 함께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해 상대회전될 수 있는 운동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7, wherein the upper end of the height adjustment rod is fixed to the upper body constituting the side frame, the lower end of the height adjustment rod is fixed to the lower body constituting the side frame, the height adjustment rod is the upper body and the An exercise device that can be rotated relative to the main frame together with the lower body.
내부에 운동 부하를 발생시키는 구동부가 구비된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에 수납되거나 인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해 회전가능한 사이드프레임;
상기 사이드프레임에 세워지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원형의 횡단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평면부가 포함되며, 상기 평면부에는 다수개의 고정홀들이 형성되는 높이조절봉;
상기 높이조절봉을 따라 승강되고, 상기 고정홀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높이가 고정되는 고정핀이 구비되는 핸들장치;를 포함하는 운동기구.
a main frame provided with a driving unit for generating an exercise load therein;
a side frame provided to be accommodated in or withdrawn from the main frame and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main frame in a state with which it is drawn out from the main frame;
a height adjustment rod installed in a direction erected on the side frame, at least a portion of a circular cross section includes a flat portion, and a plurality of fixing holes are formed in the flat portion;
Exercise equipment including; a handle device that is lifted along the height adjustment rod and provided with a fixing pin that i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fixing holes to have a fixed height.
KR1020210030337A 2021-03-08 2021-03-08 Exercise machine KR20220126115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337A KR20220126115A (en) 2021-03-08 2021-03-08 Exercise machine
PCT/KR2022/000996 WO2022191415A1 (en) 2021-03-08 2022-01-19 Exercis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337A KR20220126115A (en) 2021-03-08 2021-03-08 Exercise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6115A true KR20220126115A (en) 2022-09-15

Family

ID=83226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0337A KR20220126115A (en) 2021-03-08 2021-03-08 Exercise machin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126115A (en)
WO (1) WO2022191415A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62652A1 (en) 2017-10-02 2019-08-29 Tonal Systems, Inc. Exercise machine with pancake motor
US20200047027A1 (en) 2018-08-07 2020-02-13 Interactive Strength, Inc. User interface system for an interactive exercise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91043A1 (en) * 2000-12-20 2002-07-11 Rexach Marco L. Space efficient multi-use exercise apparatus
KR100626477B1 (en) * 2005-01-13 2006-09-20 김태수 The auxiliary apparatus for swimming
AU2010366377A1 (en) * 2010-12-30 2013-07-18 Andres Julio Zabala Scharpp Compact set of configurable golf clubs
US11097148B2 (en) * 2017-07-13 2021-08-24 Flexline Fitness, Inc. Fitness machi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62652A1 (en) 2017-10-02 2019-08-29 Tonal Systems, Inc. Exercise machine with pancake motor
US20200047027A1 (en) 2018-08-07 2020-02-13 Interactive Strength, Inc. User interface system for an interactive exercise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91415A1 (en) 2022-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42899A (en) Exercise device
JP6661209B2 (en) Weight distribution ratio device for weight machines
US10046193B1 (en) Pilates exercise machine
US7601105B1 (en) Cable crossover exercise apparatus with lateral arm movement
EP1212122B1 (en) Cable crossover exercise apparatus
US20030176261A1 (en) Cable crossover exercise apparatus
JP2004520897A (en) Space-efficient and versatile exercise equipment
WO2001068191A1 (en) Adjustable-load unitary multi-position bench exercise unit
AU2019384518A1 (en) Weight ratio arrangement for a weight machine
CN218076153U (en) Comprehensive strength training equipment
KR20220126115A (en) Exercise machine
KR20220073311A (en) Exercise machine
US8715142B1 (en) User-adjustable resistance mechanisms and exercise apparatuses employing the same
KR100855179B1 (en) Weight control device of the device's weight training device
KR101873869B1 (en) Barbell laying type-safety health equipment
CN214286482U (en) Body-building apparatus
KR200469503Y1 (en) Slope moving stepping health apparatus
CN212698122U (en) Video conference table
KR101943260B1 (en) Exercise equipment for shoulder
US20240009512A1 (en) Convertible exercise machine
KR20220157702A (en) Exercise machine
EP4088786A1 (en) Variable exercise apparatus
CN217567272U (en) Cable tension training device
CN117861168A (en) Body-building device
CN216456716U (en) Folding runn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