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6081A - EMS base on WI-SUN network - Google Patents

EMS base on WI-SUN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6081A
KR20220126081A KR1020210030235A KR20210030235A KR20220126081A KR 20220126081 A KR20220126081 A KR 20220126081A KR 1020210030235 A KR1020210030235 A KR 1020210030235A KR 20210030235 A KR20210030235 A KR 20210030235A KR 20220126081 A KR20220126081 A KR 20220126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management
sensor
energy
wireless communication
integrated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02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성일
유찬우
Original Assignee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30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6081A/en
Publication of KR20220126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608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ergy management system based on a Wi-SUN communication network capable of transmitting measured information to an integrated controller through a Wi-SUN communication network and performing energy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ergy management system based on a Wi-SUN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es: a sensor unit installed in an energy management target facility to measure environmental evaluation factors for energy management;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transmitting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unit; and an integrated controller receiving transmiss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unit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storing and analyzing data.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s formed to transmit data in a Wi-SUN communication method.

Description

와이선 통신망 기반 에너지 관리 시스템 {EMS base on WI-SUN network}Energy management system based on WI-Sun network {EMS base on WI-SUN network}

본 발명은 와이선 통신망 기반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선 통신망을 통해 측정된 정보를 통합제어기로 전송하고, 에너지 관리를 실시할 수 있는 와이선 통신망 기반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based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based energy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transmitting information measured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an integrated controller and performing energy management. .

에너지 관리 시스템(EMS : Energy Management System)은 에너지 사용기기에 연결된 센서들을 통신망으로 연결하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에너지 사용을 최적으로 자동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Energy Management System (EMS) is a system that connects sensors connected to energy-using devices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o monitor in real time, analyze the collected information, and automatically control energy use optimally.

이러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적용되는 분야 즉, 빌딩, 집, 공장에 적용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BEMS, HEMS, FEMS 등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Such an energy management system is also expressed as BEMS, HEMS, FEMS, etc. depending on whether it is applied to a field to be applied, that is, a building, house, or factory.

이러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모니터링 대상의 건물이나 집 또는 공장에서 냉난방, 전기조명, 취사, 각종 가전제품과 기계류 사용, 통신 및 환기, 공조 등의 활동을 포함한 에너지 사용을 관리한다.Such an energy management system manages energy use, including air-conditioning, electric lighting, cooking, use of various home appliances and machinery, communication and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in a building, house or factory to be monitored.

한편, 건물의 경우 용도가 다양해짐에 따라 갈수록 다양한 에너지 소비 아이템이 생겨나고 있다. 빌딩 에너지 관리시스템은 건물에서 에너지를 사용하는 활동은 일반적으로 수집 가능한 센서로부터의 정보가 바로 건물의 에너지 사용을 계산할 수 없으므로 주변의 온도, 각 방이나 구역의 온도, 사람들의 이동 량 등의 부가적인 정보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에너지 소비를 분석 예측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buildings, as the uses diversify, various energy consumption items are being generated.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uses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ambient temperature, temperature of each room or zone, and the amount of people moving because information from sensors that can be collected cannot directly calculate the energy use of the building. Analyze and predict more accurate energy consumption using information.

빌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각종 센서, 서버, 센서-서버 통신망, 제어 설비로 일반적으로 구성된다. 빌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분석에 사용되는 센서 등의 정보는 중앙의 서버로 전달되어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어 설비를 제어하여 에너지 사용을 제어한다.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is generally composed of various sensors, servers, sensor-server communication networks, and control equipment. In the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information such as sensors used for analysis is transmitted to a central server for analysis, and based on this, the control equipment is controlled to control energy use.

현재의 빌딩자동제어시스템은 냉난방설비, 조명설비, 전력설비 등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빌딩자동제어시스템은 제어감시대상설비를 일반적으로 운전, 정지하며 환경정보를 모니터링 하는 것이 주된 역할이다.The current automatic building control system consists of heating and cooling equipment, lighting equipment, and electric power equipment, and the main role of this automatic building control system is to operate and stop equipment subject to control and monitoring and to monitor environmental information.

종래에 건물이나 분석 대상의 내부 환경 정보를 모니터링 하기 위해 각종 환경종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들을 구비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러한 센서들이 유선으로 제어기로 연결되는 경우 유선 통신망을 구성하는데 따른 많은 비용이 소요되었으며, 센서들의 설치위치가 제한적이고, 설치된 센서를 쉽게 이동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Conventionally, there have been many cases in which sensors for measuring various environmental information are provided in order to monitor the internal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a building or an analysis target.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installation positions of the sensors were limited, and the installed sensors could not be moved easily.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측정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여 저장 및 분석할 수 있는 EMS 센서들이 개발되었으나, 종래의 EMS 무선 센서들의 경우 지그비 무선통신방식이 적용되었으며, 지그비 무선통신의 경우 통신거리가 짧고,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르지 않아 다수의 중계기가 필요한 문제가 있었으며, 센서의 설치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하지 못하는 문제도 있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EMS sensors that can transmit, store and analyze measurement data wirelessly have been developed. However, in the case of conventional EMS wireless sensors, the ZigBe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s applied. In the case of ZigBee wireless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distance is short, There was a problem that a large number of repeaters were needed because the data transmission speed was not fast, and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ensor could not be moved freely.

한국등록특허 제10-2114895호 : 빌딩 내 설비의 에너지 효율을 기반으로 한 빌딩 내 설비의 노후화시기 예측을 위한 빌딩자동제어 시스템Korea Patent No. 10-2114895: Building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predicting the aging period of equipment in a building based on the energy efficiency of the equipment in the building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에너지 관리 및 분석제어를 위한 환경요인 측정센서가 와이선(Wi-SUN) 통신방식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센서의 장착 및 재배치가 용이하고 데이터 전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에너지 관리 및 분석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와이선 통신망 기반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by allowing the environmental factor measuring sensor for energy management and analysis control to transmit data through the Wi-SUN communication method, it is easy to mount and relocate the sensor, and the data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based energy management system that facilitates energy management and analysis through smooth transmission.

본 발명에 따른 와이선 통신망 기반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에너지 관리 대상 시설에 설치되어 에너지 관리를 위한 환경평가요소들을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감지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센서부의 송신정보를 수신하며 데이터를 저장 및 분석하는 통합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통신부는 와이선(Wi-SUN) 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형성된다.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based energ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n energy management target facility, a sensor unit that measures environmental evaluation factors for energy management,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at wirelessly transmits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sensor unit,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an integrated controller for receiving the transmiss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unit and storing and analyzing data,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s configured to transmit data in a Wi-SUN communication method.

상기 센서부는 에너지 관리 대상 시설의 온도와 습도 및 이산화탄소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이산화탄소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nsor unit preferably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nd a carbon dioxid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carbon dioxide of the energy management target facility.

상기 통합제어기의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클라우드 서버와, 상기 클라우드 서버와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저장데이터를 출력하거나 상기 통합제어기에서 전송되는 실시간 데이터를 출력하는 사용자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cloud server for receiving and storing data from the integrated controller, and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cloud server through an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to output stored data stored in the cloud server or output real-time data transmitted from the integrated controller It is preferable to do

상기 센서부는 에너지 관리 대상 시설에서 사용되는 에너지의 사용량과 생성되는 에너지의 생성량을 각각 측정하기 위한 에너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합제어기 또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에너지 관리 대상 시설에서 사용되거나 생산되는 에너지 정보를 통해 에너지 관리 대상 시설의 에너지 관리 플랜을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nsor unit further includes an energy sensor for measuring the amount of energy used and generated energy used in the energy management target facility, respectively, and the integrated controller or the cloud server is the energy used or produced in the energy management target facility. It is desirable to establish an energy management plan for facilities subject to energy management through information.

본 발명의 와이선 통신망 기반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와이선 통신망을 통해 센서부의 측정정보가 전송되기 때문에 각 센서들의 정보를 취합 및 처리하는 통합제어기와 센서들 사이에 별도의 데이터 중계기들이 필요하지 않아 시스템의 구성이 단순해지며, 각 센서들이 설치되는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하거나 재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 및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Since the 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sensor unit is transmitted through the Wi-ray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data repeater is not required between the integrated controller that collects and processes the information of each sensor and the sensors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based energy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figuration is simplified and the installation location where each sensor is installed can be easily changed or rearrang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efficient energy management and analysis can be mad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선 통신망 기반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와이선 통신망 기반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와이선 통신망 기반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들의 관계를 계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based energ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i-ray communication network-based energy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relationship of each component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based energy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선 통신망 기반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energy management system based on a Wi-ray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figure,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than the actual size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선 통신망 기반 에너지 관리 시스템(1)의 일실시예가 개념도, 블럭도 등으로 도시되어 있다. 1 to 3 are schematic diagrams, block diagrams, and the like, showing an embodim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based energy management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와이선 통신망 기반 에너지 관리 시스템(1)은 환경평가요소들을 측정하는 센서부(10)와, 상기 센서부(10)의 감지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20), 센서부(10)의 측정정보를 수신하고 저장 및 분석하는 통합제어기(30), 통합제어기(3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저장 및 분석하는 클라우드 서버(40), 상기 클라우드 서버(40)와 연결되어 클라우드 서버(40)에 저장되거나 수신되는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사용자단말기(5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based energy management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10) for measuring environmental evaluation factors,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0) for wirelessly transmitting sensing information of the sensor unit (10). ), the integrated controller 30 for receiving, storing and analyzing the 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sensor unit 10, the cloud server 40 connected to the integrated controller 30 to store and analyze data, the cloud server 40 and It is connected and includes a user terminal 50 capable of outputting data stored or received in the cloud server 40 .

본 발명의 와이선 통신망 기반 에너지 관리 시스템(1)은 빌딩이나 주택, 공장 등 다양한 에너지 관리 대상 시설에 적용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based energy management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various energy management target facilities such as buildings, houses, and factorie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와이선 통신망 기반 에너지 관리 시스템(1)이 빌딩의 에너지 관리에 적용되는 것을 예시로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an example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based energy management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energy management of a building.

상기 센서부(10)는 에너지 관리 및 분석을 위해 환경평가요소들을 측정한다. 측정대상의 빌딩 내부에 설치되어 온도와 습도 및 이산화탄소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온도센서(11)와 습도센서(12) 및 이산화탄소센서(13)가 포함된다. The sensor unit 10 measures environmental evaluation factors for energy management and analysis. A temperature sensor 11 , a humidity sensor 12 , and a carbon dioxide sensor 13 are included so as to be installed inside the building to be measured to measure temperature, humidity,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각 센서들은 빌딩의 층별 또는 호실별로 설치될 수 있고, 설치된 센서들의 측정정보는 무선통신부(20)를 통해 후술하는 통합제어기(30)로 전송된다. Each sensor may be installed for each floor or room of a building, and 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installed sensors is transmitted to the integrated controller 30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0 .

상기 무선통신부(20)는 센서부(10)의 측정정보를 무선통신방식으로 상기 통합제어기(30)로 전송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무선통신부(20)는 와이선(Wi-SUN) 통신방식을 이용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0 transmits the 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sensor unit 10 to the integrated controller 30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Wi-SUN communication method. use it

와이선(Wi-SUN)은 Wireless Smart Utility Network의 약자로, 특정 소전력 무선으로 일컬어지는 900 내지 920MHz 대에서 사용된다. 2.4GHz 및 5GHz 대를 사용하는 Wi-Fi에 비해 통신 속도는 느리지만, 통신 거리가 길고 장해물에도 강하여 통신이 용이하며, 저소비전력이라는 장점이 있다. Wi-Sun (Wi-SUN) is an abbreviation of Wireless Smart Utility Network, and is used in the 900 to 920 MHz band, which is referred to as a specific low-power radio. Although the communication speed is slower than Wi-Fi using 2.4GHz and 5GHz bands, the communication distance is long and it is strong against obstacles, so communication is easy, and it has the advantages of low power consumption.

그리고 통상적으로 EMS 시스템에서 무선통신방식으로 주로 적용되던 지그비 통신방식과 비교해도 데이터의 통신속도가 빠르고 통신거리가 매우 길다는 장점이 있다. Also, compared to the Zigbee communication method, which is generally applied as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 the EMS system, the data communication speed is fast and the communication distance is very long.

상술한 것처럼 와이선 통신은 통신거리가 길고 장해물에 대해서도 강한 통신능력을 갖기 때문에 다수의 센서들로부터 통합제어기(30)로 바로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으며, 중간에 별도의 중계기 또는 게이트웨이가 구비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시스템의 구성이 단순해지고, 센서들의 설치위치를 쉽게 이동하거나 변경 배치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Wi-line communication has a long communication distance and strong communication capability against obstacles, data can be directly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sensors to the integrated controller 30, and a separate repeater or gateway needs to be provided in the middle. Because there is no system, the configuration of the system is simplified,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s of sensors can be easily moved or changed.

아울러 상기 통합제어기(30)는 센서부(10)에서 측정된 환경평가요소들에 대한 감지정보를 수집하고, 이 정보들을 날짜와 시간, 측정위치별로 분리하여 저장하면서 빅데이터를 구축하며, 저장된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에너지 관리를 위한 플랜을 수립한다. In addition, the integrated controller 30 collects the detection information on the environmental evaluation elements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0, and builds big data while separating and storing the information by date, time, and measurement location to build big data, and the stored data Establish a plan for energy management based on

특히 상기 센서부(10)는 상기 환경평가요소들을 측정하는 센서들 외에도 빌딩에서 소비되는 에너지 즉, 소비전력과 지역난방을 이용하는 경우 지역난방공사에서 공급되는 온수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제1 에너지센서(14)를 포함할 수 잇다. In particular, the sensor unit 10 is a first energy that can measure the flow rate of hot water supplied by the District Heating Corporation when using energy consumed in a building, that is, power consumption and district heating, in addition to the sensors for measuring the environmental evaluation factors. A sensor 14 may be included.

그리고 빌딩에서 자체적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경우 즉, 예를 들어 빌딩 내에 태양광 발전설비나 풍력발전설비와 같이 자체적으로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생산비가 갖춰진 경우 생상되는 에너지량을 측정하기 위한 제2 에너지센서(15)를 구비할 수 있다.And a second energy sensor for measuring the amount of energy generated when the building itself produces electricity, that is, when there is a production cost that can produce energy by itself, for example, a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y or a wind power generation facility in the building (15) may be provided.

상기 제1 에너지센서(14)와 제2 에너지센서(15)는 측정정보를 통합제어기(30)로 전송하여 상기 통합제어기(30)에서 빌딩의 유지 관리를 위해 소모되는 에너지량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The first energy sensor 14 and the second energy sensor 15 transmit measurement information to the integrated controller 30 so that the integrated controller 30 can analyze the amount of energy consumed for building maintenance. do.

아울러 상기 통합제어기(30)는 빌딩의 냉난방, 환기, 조명제어 등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동제어기들과 연결되어 있어서 빌딩의 자동 제어를 실시한다. In addition, the integrated controller 30 performs automatic control of the building because it is connected to the driving controllers to perform heating, cooling, ventilation, lighting control, etc. of the building.

상기 클라우드 서버(4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기 통합제어기(30)와 연결되어 있으며, 통합제어기(30)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저장 및 분석한다. 상기 통합제어기(30)는 상기 센서부(10)에서 측정된 측정정보들을 클라우드 서버(40)로 전송하며, 클라우드 서버(40)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효율적인 빌딩의 에너지 관리를 위한 플랜을 수립하고, 플랜에 따라 에너지 관리를 실시하도록 통합제어기(30)를 컨트롤한다. The cloud server 40 is connected to the integrated controller 30 by wire or wirelessly, and stores and analyzes data transmitted from the integrated controller 30 . The integrated controller 30 transmits the measurement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0 to the cloud server 40, and establishes a plan for efficient building energy management based on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cloud server 40 and controls the integrated controller 30 to perform energy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lan.

상기 사용자단말기(50)는 빌딩의 입주자 또는 관리담당자가 휴대하는 모바일디바이스 또는 전용단말기일 수 있으며, 상기 클라우드 서버(40)와 연결되어 클라우드 서버(40)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통합제어기(30)에서 클라우드 서버(40)로 전송되는 실시간 데이터를 출력하여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관리자나 입주자가 빌딩의 에너지 관리 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거나 에너지 관리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50 may be a mobile device or a dedicated terminal carried by a building occupant or a manager in charge, and is connected to the cloud server 40 and stored in the cloud server 40 or data stored in the cloud server 30 in the cloud. Real-time data transmitted to the server 40 can be output and viewed. Through this, the manager or occupant can monitor the energy management status of the building in real time or check the energy management history.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와이선 통신망 기반 에너지 관리 시스템(1)은 에너지 관리 대상 시설에서 센서부(10)가 와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시스템의 구성이 단조로워져 유지 관리가 용이하고 센서의 설치 및 재배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Wi-ray communication network-based energy management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nsor unit 10 transmits data through Wi-line communication in an energy management target facility, the system configuration is monotonous, so maintenance is easy and the sensor can be easily installed and rearranged.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 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ed embodiments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or use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generic principles defined herein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but is to be construed in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presented herein.

1: 와이선 통신망 기반 에너지 관리 시스템
10: 센서부
11: 온도센서
12: 습도센서
13: 이산화탄소센서
14: 제1 에너지센서
15: 제2 에너지센서
20: 무선통신부
30: 통합제어기
40: 클라우드 서버
50: 사용자단말기
1: Wire-line network-based energy management system
10: sensor unit
11: temperature sensor
12: humidity sensor
13: carbon dioxide sensor
14: first energy sensor
15: second energy sensor
2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0: integrated controller
40: cloud server
50: user terminal

Claims (4)

에너지 관리 대상 시설에 설치되어 에너지 관리를 위한 환경평가요소들을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감지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센서부의 송신정보를 수신하며 데이터를 저장 및 분석하는 통합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통신부는 와이선(Wi-SUN) 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선 통신망 기반 에너지 관리 시스템.
a sensor unit installed in an energy management target facility to measure environmental evaluation factors for energy management;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sensor unit;
and an integrated controller that receives the transmiss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unit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stores and analyzes data,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data in a Wi-Sun (Wi-SUN) communication method
A wireless network-based energy management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에너지 관리 대상 시설의 온도와 습도 및 이산화탄소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이산화탄소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선 통신망 기반 에너지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or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nd a carbon dioxid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carbon dioxide of the energy management target facility
A wireless network-based energy management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제어기의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클라우드 서버와,
상기 클라우드 서버와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저장데이터를 출력하거나 상기 통합제어기에서 전송되는 실시간 데이터를 출력하는 사용자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와이선 통신망 기반 에너지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 cloud server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data of the integrated controller;
Further comprising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cloud server through an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to output the stored data stored in the cloud server or output real-time data transmitted from the integrated controller
A wireless network-based energy management system.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에너지 관리 대상 시설에서 사용되는 에너지의 사용량과 생성되는 에너지의 생성량을 각각 측정하기 위한 에너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합제어기 또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에너지 관리 대상 시설에서 사용되거나 생산되는 에너지 정보를 통해 에너지 관리 대상 시설의 에너지 관리 플랜을 수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선 통신망 기반 에너지 관리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sensor unit further includes an energy sensor for measuring the amount of energy used in the energy management target facility and the amount of energy generated, respectively,
The integrated controller or the cloud server establishes an energy management plan of the energy management target facility through energy information used or produced in the energy management target facility
A wireless network-based energy management system.
KR1020210030235A 2021-03-08 2021-03-08 EMS base on WI-SUN network KR2022012608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235A KR20220126081A (en) 2021-03-08 2021-03-08 EMS base on WI-SUN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235A KR20220126081A (en) 2021-03-08 2021-03-08 EMS base on WI-SUN net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6081A true KR20220126081A (en) 2022-09-15

Family

ID=83281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0235A KR20220126081A (en) 2021-03-08 2021-03-08 EMS base on WI-SUN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6081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895B1 (en) 2019-10-29 2020-05-25 주식회사 비앤비네트웍스 Building automatic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aging time of facilities in buildings based on energy efficiency of facilities in building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895B1 (en) 2019-10-29 2020-05-25 주식회사 비앤비네트웍스 Building automatic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aging time of facilities in buildings based on energy efficiency of facilities in building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46324B (en) A kind of Internet of things intelligent home system and method
CN101854281B (en) Internet-of-things system of building electric device
Priyadharshini et al. An IOT based smart metering development for energy management system
CN102354206A (en)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air conditioner failure based on data fusion in internet-of-things environment
CN101881944A (en) Energy consumption integrated control system and method
WO2008155288A2 (en) Resource consump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s
CN107991964A (en) A kind of indoor environment intellectual monitoring control method and the system for realizing this method
KR20150026230A (en) Self running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using bim data
KR20150099900A (en) A custom-built smart automatic power control system with sites and the method thereof
CN104332042A (en) Arduino-based wireless sensor network island parameter monitoring system
CN107076444A (en) The air handling system of connection
CN103855807A (en) System, method and execution module capable of achieving domestic intelligent power grid management
Berbakov et al. Smart energy manager for energy efficient buildings
CN209994398U (en) Large building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 based on loRa
KR20220126081A (en) EMS base on WI-SUN network
Dan et al. Intelligent agriculture greenhouse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based on the Android platform
US20200088433A1 (en) Thermo Efficiency Measurement System
Rajalakshmi Context aware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with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architecture
Määttä et al. Building intelligence—Home operating system for smart monitoring and control
RU95422U1 (en) BUILDING SAFETY SYSTEM
WO20140153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energy monitoring and control
Kalezhi et al. Using Internet of Things to regulate energy consumption in a home environment
CN204832800U (en) Intelligent household control system
CN114519478A (en) Building space energy efficiency evaluation analysis method and system
CN206572708U (en) A kind of energy-saving run regulation and control system of pharmaceutical manufacturing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