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5918A - System for Ordering Foo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 Google Patents

System for Ordering Foo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5918A
KR20220125918A KR1020210029812A KR20210029812A KR20220125918A KR 20220125918 A KR20220125918 A KR 20220125918A KR 1020210029812 A KR1020210029812 A KR 1020210029812A KR 20210029812 A KR20210029812 A KR 20210029812A KR 20220125918 A KR20220125918 A KR 20220125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e
food
location information
user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98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심용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착하게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착하게푸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착하게푸드
Priority to KR1020210029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5918A/en
Publication of KR20220125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591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06Q50/2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A location information-based food ordering system searches for food truck location information and fixed type store location information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range based on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matches the searched food truck location information and fixed type store location information with map data in an icon form and displays activation indicating whether it is open for business so as to provide a convenient food ordering service.

Description

위치 정보 기반의 음식 주문 시스템{System for Ordering Foo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Food ordering system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System for Ordering Foo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음식 주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일정 반경 범위 내에 푸드트럭 위치 정보와 고정형 매장 위치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푸드트럭 위치 정보와 고정형 매장 위치 정보를 지도 데이터에 아이콘 형태로 매칭하고, 영업 유무를 나타내는 활성화 유무를 표시하여 편리한 음식 주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위치 정보 기반의 음식 주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order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search for food truck location information and fixed store location information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range based on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and search for food truck location information and fixed store location information. It relates to a location information-based food ordering system that can provide a convenient food ordering service by matching location information to map data in the form of an icon, and display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ctivation indicating whether the business is open or not.

현재 국내 판매 시스템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대형 매장에서 판매하고, 택배업체를 통해 배달하는 방법으로 운용되고 있다.Currently, the domestic sales system is operated by selling at large online and offline stores and delivering through courier companies.

유행하는 음식점 배달은 배달앱(요기요, 배달의 민족 등)을 통해 접수되고, 배달대행업체가 배달하는 구조이다.Trendy restaurant delivery is received through delivery apps (Yogiyo, Baedal Minjok, etc.) and delivered by a delivery agency.

특히,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주변 정보를 표시하는 서비스가 급증하고 있다.In particular, a ser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around a user, such as a smartphone,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is rapidly increasing.

위치 기반 서비스는 사용자 주변 지도를 표시하는 서비스와, 사용자 주변의 맛집을 검색해 주는 서비스 등이 대중적으로 이용되고 있다.As for the location-based service, a service that displays a map around the user and a service that searches restaurants around the user are popularly used.

현재의 위치 기반 서비스는 사전에 특정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맛집을 표시하는데 불과하다.The current location-based service only displays restaurants registered in a specific server in advance.

최근 먹거리 시장의 추세에 따르면, 식당이 일정한 건물에 위치하는 기존 방식의 음식점이 아닌 푸드 트럭을 이용한 음식 제공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According to the recent trend of the food market, food service using a food truck is increasing, rather than the existing type of restaurant in which the restaurant is located in a certain building.

그러나 현재의 푸드 트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거나, 관심 푸드 트럭으로 등록하여 해당 푸드 트럭이 일정 거리 내에 있는지 등을 확인할 방법이 없다.However, there is no way to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food truck or to check whether the food truck is within a certain distance by registering as a food truck of interest.

한국 등록특허번호 제10-1667483호Korea Registered Patent No. 10-1667483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일정 반경 범위 내에 푸드트럭 위치 정보와 고정형 매장 위치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푸드트럭 위치 정보와 고정형 매장 위치 정보를 지도 데이터에 아이콘 형태로 매칭하고, 영업 유무를 나타내는 활성화 유무를 표시하여 편리한 음식 주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위치 정보 기반의 음식 주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earch for food truck location information and fixed store location information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range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to display the found food truck location information and fixed store location information in the form of icons on map data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cation-information-based food ordering system that can provide a convenient food ordering service by matching and display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ctivation indicating whether the business is open or not.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위치 정보 기반의 음식 주문 시스템은,A food ordering system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매장에 설치된 판매시점 정보관리 시스템(Point-Of-Sale System)을 온시키면 내장된 제1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을 동작시켜 푸드트럭 위치 정보와 고정형 매장 위치 정보를 계산하여 전송하는 복수의 이동형 매장인 푸드 트럭과 복수의 고정형 매장;When the Point-Of-Sale System installed in the store is turned on, the built-in first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module is operated to calculate and transmit food truck location information and fixed store location information. a food truck as a store and a plurality of stationary outlets;

제2 GPS 모듈이 내장되고, 설치된 음식 주문 앱을 통해 현재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음식 주문 앱을 이용하여 음식 메뉴 검색, 매장 검색, 구매, 취소, 결제하는 음식 주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a user terminal having a built-in second GPS module, transmitt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an installed food ordering app, and providing a food ordering service for food menu search, store search, purchase, cancellation, and payment using the food ordering app; and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음식 주문 앱을 통해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현재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일정 반경 범위 내에 푸드트럭 위치 정보와 고정형 매장 위치 정보를 매장 데이터베이스부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푸드트럭 위치 정보와 고정형 매장 위치 정보를 지도 데이터에 아이콘 형태로 매칭하고, 영업 유무를 나타내는 활성화 유무를 푸드트럭 위치 정보와 고정형 매장 위치 정보에 표시한 지도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지도 데이터 생성부를 구비한 주문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ood truck location information and fixed store location information within a preset radius range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by communicating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the food ordering app are retrieved from the store database unit, and the searched food Map data that matches truck location information and fixed store location information to map data in the form of an icon, and generates map data that display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ctivation indicating business presence in food truck location information and fixed store lo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user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rder management server having a generating unit.

이러한 해결 수단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These solution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for carrying out the following inven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their ordinary and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is possible.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푸드트럭 위치 정보와 고정형 매장 위치 정보를 지도 데이터에 아이콘 형태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매장의 음식 주문을 장소와 위치에 상관없이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od truck location information and fixed store location information are displayed on map data in the form of icons, so that a user can conveniently receive a food order from a desired store regardless of location and location.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기반의 음식 주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문 관리 서버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음식 주문 앱을 통해 푸드트럭과 고정형 매장의 아이콘을 표시한 지도 데이터와, 매장 전체 보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 처리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음식 주문 앱을 통해 추천 검색어를 순위별로 표시한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음식 주문 앱을 통해 음식 메뉴의 이벤트 정보를 표시한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ood ordering system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order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map data displaying icons of a food truck and a stationary store through a food ordering app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xample of a view of the entire stor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yment process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isplaying recommended search words by rank through a food ordering app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isplaying event information of a food menu through a food ordering app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특이한 관점, 특정한 기술적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과 일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pecific aspects and specific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embodiments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is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elements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기반의 음식 주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문 관리 서버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location information-based food orde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order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기반의 음식 주문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110), 푸드트럭(120), 고정형 매장(130) 및 주문 관리 서버(140)를 포함하고, 푸드트럭 단말기와 고정형 매장 단말기는 푸드트럭(120)과 고정형 매장(130)의 개수에 따라 복수개로 구성할 수 있다.The food ordering system 100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terminal 110 , a food truck 120 , a fixed store 130 , and an order management server 140 , and a food truck terminal and The fixed store terminal may be configured in plurality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food truck 120 and the fixed store 130 .

푸드트럭 단말기는 푸드트럭(120)에 설치되거나 푸드트럭 관리자가 소지한 단말기이고, 고정형 매장 단말기는 고정형 매장(130)에 설치되거나 고정형 매장 관리자가 소지한 단말기를 나타낸다.The food truck terminal is a terminal installed in the food truck 120 or possessed by the food truck manager, and the fixed store terminal represents a terminal installed in the fixed store 130 or possessed by the fixed store manager.

푸드트럭 단말기와 고정형 매장 단말기는 주문 접수, 메뉴에 대한 결제 처리 등을 처리하여 음식 주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food truck terminal and the stationary store terminal may provide a food ordering service by processing an order reception, payment processing for a menu, and the like.

사용자 단말기(110)는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특히 인터넷 망에 접속이 가능한 PC, 모바일폰, PDA 등 다양한 디바이스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무선 통신망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단말기가 사용자 단말이 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10 is a concept encompassing terminals capable of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in particular, various devices such as a PC, a mobile phone, and a PDA capable of accessing an Internet network may be applied. For exampl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network may be a user terminal.

사용자 단말기(110)는 통신망(101)을 통해 주문 관리 서버(140) 또는 앱스토어에 액세스(Access)하여 음식 주문 앱(Application)을 다운로드하여 설치 구성한 뒤, 시스템 메모리 상에서 실행한다. 여기서, 음식 주문 앱은 안드로이드 기반의 애플리케이션과 같이 제공 가능하며, 음식 주문 서비스,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다.The user terminal 110 accesses (Access) the order management server 140 or the app store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1, downloads and configures the food ordering app (Application), and then executes it on the system memory. Here, the food ordering app can be provided like an Android-based application, and is an application that provides a food ordering service and a payment service.

사용자 단말기(110)는 음식 주문 앱을 통해 주문 관리 서버(140)와 통신하여 음식 메뉴 검색, 매장 검색, 구매, 취소, 결제 등 다양한 음식 주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10 may communicate with the order management server 140 through the food ordering app to provide various food ordering services such as food menu search, store search, purchase, cancellation, and payment.

푸드트럭(120)의 판매시점 정보관리 시스템(Point-Of-Sale System)과 고정형 매장(130)의 POS 시스템은 전원이 동작되면,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을 구동하여 인공위성에서 발사한 전파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 정보를 계산하여 통신망(101)을 통해 주문 관리 서버(140)로 전송한다.When the power is turned on, the Point-Of-Sale System of the food truck 120 and the POS system of the stationary store 130 drive the GPS (Global Position System) module to receive radio waves emitted from the satellite. Received, calculate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 it to the order management server 14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1).

사용자 단말기(110)는 GPS 모듈이 내장되어 있으며, 음식 주문 앱을 통해 주기적으로 사용자 단말기(11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통신망(101)을 통해 주문 관리 서버(140)로 전송한다.The user terminal 110 has a built-in GPS module, and periodically transmit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10 to the order management server 14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1 through the food ordering app.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문 관리 서버(140)는 앱 제공부(141), 지도 데이터 생성부(142), 배송 구역 설정부(143), 제어부(144), 무선 통신부(145), 매장 데이터베이스부(146) 및 사용자 단말기 데이터베이스부(147)를 포함한다.The order management server 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pp providing unit 141, a map data generating unit 142, a delivery area setting unit 143, a control unit 144,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5, a store database. a unit 146 and a user terminal database unit 147 .

앱 제공부(141)는 음식 주문 앱을 생성하여 무선 통신부(145)를 통해 통신망(101)을 거쳐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하고, 음식 주문 앱과 다른 형태로 푸드트럭 단말기와 고정형 매장 단말기에 필요한 주문, 결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앱을 제공한다.The app providing unit 141 creates a food ordering app and transmits it to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1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5, and in a food truck terminal and a fixed store terminal in a different form from the food ordering app. We provide an app that can perform necessary order and payment processing.

지도 데이터 생성부(142)는 이동형 매장인 푸드트럭(120)의 POS 시스템과 고정형 매장(130)의 POS 시스템으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한 매장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전자 지도 방식의 지도 데이터를 생성하고, 지도 데이터 상에 푸드트럭(120)과, 고정형 매장(130)의 위치 정보를 표시한다.When receiving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POS system of the food truck 120 that is a mobile store and the POS system of the fixed store 130, the map data generating unit 142 is an electronic map method based on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tore. Map data is generated,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ood truck 120 and the stationary store 130 is displayed on the map data.

지도 데이터 생성부(142)는 이동형 매장인 푸드트럭(120)과 고정형 매장(13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한 위치 정보의 푸드트럭(120)과 고정형 매장(130)을 영업 중임을 나타내도록 활성화한다.When the map data generating unit 142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ood truck 120 and the fixed store 130, which are mobile stores, the food truck 120 and the fixed store 130 of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are in business. Activate to show

지도 데이터 생성부(142)는 매장 데이터베이스부(146)에서 사용자 단말기(110)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일정 반경 범위 내에 푸드트럭 위치 정보와 고정형 매장 위치 정보를 매장 데이터베이스부(146)에서 검색한다.The map data generation unit 142 generates food truck location information and fixed store location information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range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10 in the store database unit 146 in the store database unit 146. Search.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 데이터 생성부(142)는 검색된 푸드트럭 위치 정보와 고정형 매장 위치 정보를 지도 데이터 상에 매칭하고, 영업 유무를 나타내는 활성화 유무를 푸드트럭 위치 정보와 고정형 매장 위치 정보에 표시한 지도 데이터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부(145)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한다.As shown in FIG. 3 , the map data generating unit 142 matches the searched food truck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fixed store location information on the map data,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activation indica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business is established between the food truck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fixed store location information. The map data displayed in ,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5 .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10)에 설치된 음식 주문 앱은 주문 관리 서버(140)로부터 전송된 푸드트럭 위치 정보와 고정형 매장 위치 정보를 지도 데이터에 아이콘 형태로 매칭하여 표시하고, 푸드트럭(120)과 고정형 매장(130)의 아이콘을 특정 색깔(노란색 등)로 표시하여 영업 중임을 나타내는 활성화된 매장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food ordering app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10 matches and displays the food truck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fixed stor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order management server 140 in the form of an icon on the map data, and the food The icons of the truck 120 and the stationary store 130 may be displayed in a specific color (yellow, etc.) to indicate activated stor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y are open.

또한, 음식 주문 앱은 화면 일측에 매장 전체 목록 표시 항목(111)이 생성된다.In addition, in the food ordering app, a list display item 111 of the entire store is created on one side of the screen.

사용자 단말기(110)는 음식 주문 앱을 통해 매장 전체 목록 표시 항목(111)의 선택 신호를 수신하여 주문 관리 서버(140)로 전송한다.The user terminal 110 receives the selection signal of the entire store list display item 111 through the food ordering app and transmits it to the order management server 140 .

매장 데이터베이스부(146)는 이동형 매장인 푸드트럭(120)과 고정형 매장(130)의 위치 정보, 각 푸드트럭(120)과 고정형 매장(130)의 판매 음식 메뉴, 업종, 행사 일정, 상품 등록, 매장 생성, 매출 관리 등 다양한 매장 관리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The store database unit 146 is a mobile store, the food truck 12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xed store 130, each food truck 120 and the fixed store 130 for sale food menu, industry, event schedule, product registration, It stores various store management data such as store creation and sales management.

매장 데이터베이스부(146)는 제어부(144)의 제어에 따라 푸드트럭(120)의 POS 시스템과 고정형 매장(130)의 POS 시스템으로부터 푸드트럭 위치 정보와 고정형 매장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각각의 매장에 현재 위치 정보와 활성화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The store database unit 146 receives the food truck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fixed stor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POS system of the food truck 120 and the POS system of the fixed store 13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44, and is currently in each store.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activation information may be matched and stored.

사용자 단말기 데이터베이스부(147)는 사용자 단말기(110)의 단말기 정보, 선호 음식 정보, 선호 매장, 이벤트 정보, 주문 정보, 결제 처리 정보 등 사용자 단말기(110)의 음식 주문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The user terminal database unit 147 stor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food ordering service of the user terminal 110 , such as terminal information, preferred food information, preferred store, event information, order information, and payment processing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10 .

제어부(144)는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매장 전체 목록 표시 항목(111)의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푸드트럭(120)과 고정형 매장(130)을 포함한 전체 매장 정보를 리스트로 표시한다. 여기서, 매장 정보는 주소, 전화번호, 전화걸기 항목, 길찾기 항목이 포함되어 있다.When the control unit 144 receives a selection signal of the all-store list display item 111 from the user terminal 110 , the control unit 144 displays all store information including the food truck 120 and the fixed store 130 as a list. Here, the store information includes an address, a phone number, a dialing item, and a directions item.

푸드트럭(120)과 고정형 매장(130)이 활성화되어 영업 중인 경우, 전화걸기 항목과 길찾기 항목이 특정 색깔(노란색 등)로 표시되고, 푸드트럭(120)과 고정형 매장(130)이 영업하지 않는 비활성화된 경우, 전화걸기 항목과 길찾기 항목이 색깔로 표시되지 않는다.When the food truck 120 and the stationary store 130 are activated and open, the dialing item and the navigation item are displayed in a specific color (yellow, etc.), and the food truck 120 and the stationary store 130 are not open. When disabled, dial and directions are not displayed in color.

배송 구역 설정부(143)는 사용자 단말기(110)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일정 반경 범위에 이동형 매장인 푸드트럭 위치 정보와 고정형 매장(130)의 위치 정보를 매장 데이터베이스부(146)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하나 이상의 매장 정보 중에서 활성화된 매장 정보를 추출하며, 활성화된 매장의 위치와 사용자 단말기(110)의 현재 위치 정보의 사이의 거리를 계산한다.The delivery area setting unit 143 searches the store database unit 146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ood truck that is a mobile stor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xed store 130 in a certain radius range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10 and , extracts activated store information from one or more searched store information, and calculates a distance between the location of the activated store and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10 .

배송 구역 설정부(143)는 활성화된 매장과 사용자 단말기(110) 간의 거리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의 매장을 우선 순위로 하여 배달 가능한 리스트를 생성하고, 무선 통신부(145)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하고, 활성화된 매장의 위치를 지도 데이터 상에 아이콘 형태로 표시하고, 활성화되지 않은 매장의 위치를 지도 데이터 상에 표시하지 않으며, 활성화된 매장과 사용자 단말기(110)의 위치를 연결선으로 연결한 후, 연결선 상에 계산된 거리 정보를 표시한다.The delivery area setting unit 143 creates a list that can be delivered by giving priority to the store closest to the distance between the activated store and the user terminal 110 , and sends it to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5 . It transmits, displays the location of the activated store in the form of an icon on the map data, does not display the location of the inactive store on the map data, and connects the activated store and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0 with a connecting line. Then, the calculated distanc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connecting line.

제어부(144)는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음식 주문 앱에 표시된 지도 데이터 상의 이동형 매장인 푸드트럭(120)과 고정형 매장(130) 중에서 특정 매장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한 특정 매장 선택 신호에 해당하는 매장을 매장 데이터베이스부(146)에서 검색하여 판매 메뉴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한다.When receiving a specific store selection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110 among the mobile food truck 120 and the fixed store 130 on the map data displayed on the food ordering app, the control unit 144 responds to the received specific store selection signal. A corresponding store is searched for in the store database unit 146 and sales menu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10 .

제어부(144)는 표시된 판매 메뉴 정보 중 선택된 메뉴 선택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메뉴 선택 정보에 대한 결제 프로세스를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한다.When receiving selected menu selection information from among the displayed sales menu information, the controller 144 transmits a payment process for the received menu selec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10 .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10)는 주문 관리 서버(140)로부터 선택한 메뉴 선택 정보에 대한 결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표시된 결제 정보 중 하나의 결제 방식(현금 결제, 모바일결제, 현장 결제, 카드 결제)을 선택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하면, 결제 완료 정보를 생성하여 주문 관리 서버(140)로 전송한다.As shown in FIG. 4 , the user terminal 110 receives and displays payment information for the selected menu selection information from the order management server 140 , and displays one of the displayed payment information payment methods (cash payment, mobile payment, When payment processing is performed by selecting on-site payment, card payment), payment comple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order management server 140 .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44)는 매장 데이터베이스부(146)를 검색하여 음식 주문 앱을 통해 가장 많이 판매되고 있거나 검색이 많이 되는 음식 키워드를 추천 검색어로 순위별로 표시하고,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선택된 검색어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검색어에 해당하는 음식 메뉴를 판매하는 매장을 매장 데이터베이스부(146)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매장 정보를 통신망(101)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한다.As shown in FIG. 5, the control unit 144 searches the store database unit 146 and displays the food keywords that are most sold or searched through the food ordering app by rank as recommended search terms, and the user terminal ( When the selected search word sel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110), the store database unit 146 searches for a store that sells a food menu corresponding to the search word, and transmits the searched stor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1. .

사용자 단말기(110)는 음식 주문 앱을 통해 주문 관리 서버(140)로부터 매장 정보를 수신하여 매장의 위치, 음식 메뉴 등을 파악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10 may receive store information from the order management server 140 through the food ordering app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store, the food menu, and the like.

배송 구역 설정부(143)는 사용자 단말기(110)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일정 반경 범위에 이동형 매장인 푸드트럭 위치와 고정형 매장(130)의 위치를 매장 데이터베이스부(146)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푸드트럭(120)이나 고정형 매장 중에서 활성화된 매장 정보를 추출하며, 주문 오더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활성화된 매장의 단말기(푸드트럭 단말기, 고정형 매장 단말기)로 전송한다.The delivery area setting unit 143 searches the store database unit 146 for the location of the food truck, which is a mobile store, and the location of the stationary store 130 in a certain radius range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10, The information on the activated store is extracted from the food truck 120 or the fixed store, and an order order request signal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food truck terminal, fixed store terminal) of the activated store.

여기서, 주문 오더 요청 신호는 활성화된 매장에서 메뉴를 주문하여 음식 조리 완료까지의 조리 예상 시간을 문의하는 신호이다.Here, the order order request signal is a signal for inquiring about the expected cooking time until the completion of food cooking by ordering a menu at the activated store.

각각의 활성화된 매장의 단말기는 주문 관리 서버(140)로부터 주문 오더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조리 예상 시간을 생성하여 통신망(101)을 통해 주문 관리 서버(140)로 전송한다.When the terminal of each activated store receives an order order request signal from the order management server 140 , it generates an estimated cooking time and transmits it to the order management server 14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1 .

배송 구역 설정부(143)는 수신한 조리 예상 시간과 활성화된 매장의 위치를 표시한 지도 데이터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부(145)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음식 주문 앱을 통해 활성화된 매장의 위치와 조리 예상 시간을 볼 수 있다. 음식 주문자는 조리 예상 시간을 고려하여 음식을 주문할 수 있는 기초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다.The delivery area setting unit 143 generates map data indicating the received estimated cooking time and the location of the activated store, and transmits the generated map data to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5 . The user terminal 110 may view the location of the activated store and the estimated cooking time through the food ordering app. The food orderer can use it as basic data to order food in consideration of the expected cooking time.

사용자 단말기(110)는 음식 주문 앱에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식을 선택하는 선호 메뉴를 포함하고, 선호 메뉴(일식, 중식 등)를 선택하여 사용자의 선호 음식을 등록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10 may include a preferred menu for selecting a food preferred by the user in the food ordering app, and may register the user's preferred food by selecting a preferred menu (Japanese food, Chinese food, etc.).

제어부(144)는 사용자 단말기(110)의 음식 주문 앱을 통해 사용자의 선호 음식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10)의 단말기 정보와 함께 선호 음식 정보를 매칭하여 사용자 단말기 데이터베이스부(147)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When receiving the user's preferred food information through the food ordering app of the user terminal 110, the control unit 144 matches the preferred food information with th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10 to the user terminal database unit 147. control to save.

제어부(144)는 음식 주문 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와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 데이터베이스부(147)와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기(110)의 선호 음식 정보를 검색하고, 사용자 단말기(110)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일정 반경 범위 내에 선호 음식 정보를 등록한 푸드트럭(120)과 고정형 매장(130)을 매장 데이터베이스부(146)에서 검색한다.When receiving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erminal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the food ordering app, the control unit 144 searches the preferred food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10 in conjunction with the user terminal database unit 147,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10, the store database unit 146 searches for the food truck 120 and the stationary store 130 in which preferred food information is register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range.

제어부(144)는 선호 음식 정보를 등록한 푸드트럭(120)과 고정형 매장(130)을 검색하여 푸드트럭 위치 정보와 고정형 매장 위치 정보에 표시한 지도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한다.The control unit 144 searches for the food truck 120 and the fixed store 130 in which the preferred food information is registered, generates map data displayed on the food truck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fixed store lo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user terminal 110. .

제어부(144)는 사용자 단말기(110)의 음식 주문 앱을 통해 '좋아요'를 일정 개수 이상으로 수신한 푸드트럭(120)과 고정형 매장(130)을 맛집 정보로 매장 데이터베이스부(146)에 등록한다.The control unit 144 registers the food truck 120 and the fixed store 130 that have received more than a certain number of 'likes' through the food ordering app of the user terminal 110 as restaurant information in the store database unit 146. .

제어부(144)는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현재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일정 반경 범위 내에 맛집 정보를 매장 데이터베이스부(146)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맛집 정보만이 표시된 지도 데이터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한다.The control unit 144 searches the store database unit 146 for restaurant information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range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10, and generates map data in which only the searched restaurant information is displayed. It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10 .

사용자 단말기(110)는 음식 주문 앱에서 선호하는 매장 정보를 등록하는 팝업 전송 메뉴를 포함하고, 팝업 전송 메뉴를 선택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하나 이상의 매장을 등록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10 may include a pop-up transmission menu for registering preferred store information in the food ordering app, and may register one or more stores preferred by the user by selecting the pop-up transmission menu.

제어부(144)는 이동형 매장인 푸드 트럭과 고정 매장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활성화되고, 팝업 전송 메뉴에 등록된 매장과 일치하는 경우, 해당 활성화된 매장 정보를 음식 주문 앱을 통해 팝업 메시지로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선호하는 매장의 오픈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4 is activated by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a food truck that is a mobile store and a fixed store, and when it matches a store registered in the pop-up transmission menu, the activated store information is sent to the user terminal as a pop-up message through the food ordering app (110).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opening of a preferred store.

매장 데이터베이스부(146)는 푸드트럭(120)의 이동 경로가 날짜별, 시간별로 등록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110)는 선호하는 푸드트럭(120)이 있는 경우, 음식 주문 앱을 통해 주문 관리 서버(140)로부터 해당 푸드트럭(120)의 이동 경로 정보를 수신하여 지도 데이터 상에 표시할 수 있다.In the store database unit 146, the movement route of the food truck 120 is registered by date and time. Therefore, when there is a preferred food truck 120, the user terminal 110 receives the movement route information of the food truck 120 from the order management server 140 through the food order app and displays it on the map data. ca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 주문 앱에는 음식 메뉴의 이벤트 정보를 표시하고, 해당 이벤트가 표시되는 매장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 the food ordering app may display event information of a food menu and display store information in which the corresponding event is displayed.

이상 본 발명을 일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음식 주문 시스템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one embodiment, this is for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food orde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erms such as "include", "compose",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embedded unless otherwise stated, so excluding other components is not recommended.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other components, an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are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has the same meaning as being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일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음식 주문 시스템
101: 통신망
110: 사용자 단말기
111: 매장 전체 목록 표시 항목
120: 푸드트럭
130: 고정형 매장
140: 주문 관리 서버
141: 앱 제공부
142: 지도 데이터 생성부
143: 배송 구역 설정부
144: 제어부
145: 무선 통신부
146: 매장 데이터베이스부
147: 사용자 단말기 데이터베이스부
100: food ordering system
101: communication network
110: user terminal
111: All Store List Display Items
120: food truck
130: fixed store
140: order management server
141: app provider
142: map data generation unit
143: delivery zone setting unit
144: control unit
145: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6: store database unit
147: user terminal database unit

Claims (6)

매장에 설치된 판매시점 정보관리 시스템(Point-Of-Sale System)을 온시키면 내장된 제1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을 동작시켜 푸드트럭 위치 정보와 고정형 매장 위치 정보를 계산하여 전송하는 복수의 이동형 매장인 푸드 트럭과 복수의 고정형 매장;
제2 GPS 모듈이 내장되고, 설치된 음식 주문 앱을 통해 현재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음식 주문 앱을 이용하여 음식 메뉴 검색, 매장 검색, 구매, 취소, 결제하는 음식 주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음식 주문 앱을 통해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현재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일정 반경 범위 내에 푸드트럭 위치 정보와 고정형 매장 위치 정보를 매장 데이터베이스부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푸드트럭 위치 정보와 고정형 매장 위치 정보를 지도 데이터에 아이콘 형태로 매칭하고, 영업 유무를 나타내는 활성화 유무를 푸드트럭 위치 정보와 고정형 매장 위치 정보에 표시한 지도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지도 데이터 생성부를 구비한 주문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기반의 음식 주문 시스템.
When the Point-Of-Sale System installed in the store is turned on, the built-in first GPS (Global Position System) module is operated to calculate and transmit food truck location information and fixed store location information. a food truck as a store and a plurality of stationary outlets;
a user terminal having a built-in second GPS module, transmitt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an installed food ordering app, and providing a food ordering service for food menu search, store search, purchase, cancellation, and payment using the food ordering app; and
The food truck location information and fixed store location information within a preset radius range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by communicating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the food ordering app are retrieved from the store database unit, and the searched food Map data that matches truck location information and fixed store location information to map data in the form of an icon, and generates map data that indicates whether or not there is an activity indicating whether there is a business in the food truck location information and fixed store lo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user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based food ordering system comprising an order management server having a generat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문 관리 서버는 상기 음식 주문 앱을 통해 상기 매장 데이터베이스부에서 검색된 상기 이동형 매장이나 상기 고정형 매장 중에서 활성화된 매장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활성화된 매장의 위치 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의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고, 가장 가까운 거리의 매장을 우선 순위로 하여 배달 가능한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기반의 음식 주문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rder management server extracts activated store information from among the mobile store or the fixed store searched in the store database unit through the food ordering app, and between the activated stor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 food ordering system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alculates the distance of , and creates a list that can be delivered by giving priority to the nearest stor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주문 관리 서버는 상기 음식 주문 앱을 통해 상기 활성화된 매장의 위치를 상기 지도 데이터 상에 아이콘 형태로 표시하고, 활성화되지 않은 매장의 위치를 상기 지도 데이터 상에 표시하지 않으며, 상기 활성화된 매장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연결선으로 연결한 후, 연결선 상에 계산된 거리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기반의 음식 주문 시스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order management server displays the location of the activated store in the form of an icon on the map data through the food ordering app, does not display the location of the store that is not activated on the map data, and the activated store and A food ordering system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after connect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with a connecting line, the calculated distanc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connecting lin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문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음식 주문 앱에 표시된 지도 데이터 상의 상기 이동형 매장인 푸드트럭과 상기 고정형 매장 중에서 특정 매장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특정 매장 선택 신호에 해당하는 매장을 상기 매장 데이터베이스부에서 검색하여 판매 메뉴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판매 메뉴 정보 중 선택된 메뉴 선택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메뉴 선택 정보에 대한 결제 프로세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기반의 음식 주문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order management server receives a specific store selection signal from among the mobile store food truck and the fixed store on the map data displayed on the food ordering app from the user terminal, the stor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store selection signal is selected from the store database. Location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rch unit transmits the sale menu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and when receiving the menu selection information selected from the sale menu information, the payment process for the received menu selec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based food ordering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문 관리 서버는 상기 매장 데이터베이스부를 검색하여 상기 음식 주문 앱을 통해 가장 많이 판매되고 있거나 검색이 많이 되는 음식 키워드를 추천 검색어로 순위별로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선택된 검색어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검색어에 해당하는 음식 메뉴를 판매하는 매장을 상기 매장 데이터베이스부에서 검색하며, 상기 검색된 매장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기반의 음식 주문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rder management server searches the store database unit and displays the food keywords most sold or searched for through the food ordering app by rank as recommended search terms, and when a selected search word sel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search word A food ordering system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re database unit searches for a store that sells a food menu corresponding to , and transmits the searched stor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문 관리 서버는 상기 검색된 푸드트럭 위치 정보와 상기 고정형 매장 중에서 활성화된 매장 정보를 상기 매장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추출하며, 조리 예상 시간을 문의하는 주문 오더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활성화된 매장의 단말기(푸드트럭 단말기, 고정형 매장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각각의 활성화된 매장의 단말기는 조리 예상 시간을 생성하여 통신망을 통해 상기 주문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조리 예상 시간과 상기 활성화된 매장의 위치를 표시한 지도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기반의 음식 주문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rder management server extracts the searched food truck location information and store information activated among the fixed stores from the store database unit, generates an order order request signal to inquire about the expected cooking time, and generates a terminal (food) of the activated store. truck terminal, stationary store terminal), and the terminal of each activated store generates an estimated cooking time and transmits it to the order management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displays the estimated cooking time and the location of the activated store A food ordering system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map data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KR1020210029812A 2021-03-08 2021-03-08 System for Ordering Foo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KR2022012591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812A KR20220125918A (en) 2021-03-08 2021-03-08 System for Ordering Foo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812A KR20220125918A (en) 2021-03-08 2021-03-08 System for Ordering Foo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5918A true KR20220125918A (en) 2022-09-15

Family

ID=83281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9812A KR20220125918A (en) 2021-03-08 2021-03-08 System for Ordering Foo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5918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483B1 (en) 2015-04-16 2016-11-01 주식회사 티피코리아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ordering food based on loc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483B1 (en) 2015-04-16 2016-11-01 주식회사 티피코리아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ordering food based on loc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3326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on-based context driven speech recognition
US11151629B2 (en) Detecting items of interest within local shops
CN100418383C (en)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ng a mobile terminal to a database
KR101606491B1 (en) A store management system using indoor positioning base service of bluetooth low energy beacon base and method thereof
US9892449B2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2013011062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ssessing excessive accessory listings in search results
US20130262223A1 (en) Indoor navigation system
US11715124B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mobile device users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at an entity location
KR20090106148A (en)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off-line product by using portable terminal
CN102110267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iscount information
US20090119183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rvice Provider Access
US20120129552A1 (en) Integrated mobile ordering system
US20160232552A1 (en)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reward to device based on position information of device, and device
KR101420369B1 (en) 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US20210152548A1 (en) Authentication system and server
KR101946817B1 (en) System for Registering And Receivung Goods Information Based On Offline Shop
KR20180014260A (en) System for real time providing in store information
KR2012007667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ng vicarious selling and user terminal
KR20220125918A (en) System for Ordering Foo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KR20130127730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hop information service having real time listing
US11049074B1 (en) System and method for anticipating mobile device user needs using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s at an entity location
US20180357707A1 (en) Method for one-click purchasing and apparatus therefor
US10503354B2 (en) System for controlling mobile information output by using multiple access icons, and method therefor
KR20200003508A (en) The Systems that connect to the server in real time
RU2754083C2 (en) Method for performing payment transaction using instant message and file exchange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