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4881A - 연속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 - Google Patents

연속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4881A
KR20220124881A KR1020210028534A KR20210028534A KR20220124881A KR 20220124881 A KR20220124881 A KR 20220124881A KR 1020210028534 A KR1020210028534 A KR 1020210028534A KR 20210028534 A KR20210028534 A KR 20210028534A KR 20220124881 A KR20220124881 A KR 20220124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plunger
applicator
holder
blood gluc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8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7857B1 (ko
Inventor
채경철
최현호
류광열
왕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210028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7857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센스
Priority to EP21929306.5A priority patent/EP4285819A1/en
Priority to PCT/KR2021/016215 priority patent/WO2022186444A1/ko
Priority to US18/280,210 priority patent/US20240138716A1/en
Priority to CA3210293A priority patent/CA3210293A1/en
Priority to CN202180094832.2A priority patent/CN116887750A/zh
Priority to JP2023552530A priority patent/JP2024508142A/ja
Priority to AU2021430646A priority patent/AU2021430646A1/en
Publication of KR20220124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4881A/ko
Priority to KR1020230092025A priority patent/KR1025952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7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7857B1/ko
Priority to KR1020230141675A priority patent/KR102687887B1/ko
Priority to KR1020240091209A priority patent/KR202401122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03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invasive, e.g. introduced into the body by a catheter or needle or using implanted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969Low-profile devices which resemble patches or plasters, e.g. also allowing collection of blood samples for tes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01Details
    • A61B5/15103Piercing procedure
    • A61B5/15107Piercing being assisted by a triggering mechanism
    • A61B5/15113Manually triggered, i.e. the triggering requires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such as pressing a drive but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 or multiple sampling, e.g. at predetermined interv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6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6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delivering implantable medical measuring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는, 혈당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자의 신체에 삽입되는 센서 부재를 구비하는 신체 부착 유닛을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시키도록 작동하는 연속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에 있어서, 메인 케이스; 상기 신체 부착 유닛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신체 부착 유닛을 상기 메인 케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인 케이스 내부에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런저; 상기 센서 부재와 함께 사용자의 신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신체 부착 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늘; 및 상기 바늘을 상기 플런저의 토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바늘 분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바늘 분리 유닛은, 록킹부를 구비하고, 상기 록킹부가 상기 플런저의 일측에 맞물리는 방식으로 상기 플런저에 조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속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APPLICATOR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연속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혈당을 측정하고 측정 정보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는 신체 부착 유닛을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시키기 위한 연속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은 현대인에게 많이 발생되는 만성질환이다. 당뇨병은 비만, 스트레스, 잘못된 식습관, 선천적 유전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췌장에서 만들어지는 인슐린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거나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혈액에서 당에 대한 균형을 바로잡아주지 못함으로써 혈액 안에 당 성분이 절대적으로 많아지게 되어 발병한다.
혈액 중에는 보통 일정 농도의 포도당이 함유되어 있으며 조직 세포는 여기에서 에너지를 얻고 있다.
그러나 포도당이 필요 이상으로 증가하게 되면 간장이나 근육 또는 지방세포 등에 적절히 저장되지 못하고 혈액 속에 축적되며, 이로 인해 당뇨병 환자는 정상인보다 훨씬 높은 혈당이 유지된다. 과다한 혈당은 조직을 그대로 통과하여 소변으로 배출됨에 따라 신체의 각 조직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당분은 부족해져서 신체 각 조직에 이상을 불러일으키게 된다.
당뇨병은 초기에는 거의 자각 증상이 없는 것이 특징인데, 병이 진행되면 당뇨병 특유의 다음, 다식, 다뇨, 체중감소, 전신 권태, 피부 가려움증, 손과 발의 상처가 낫지 않고 오래가는 경우 등의 특유의 증상이 나타난다. 당뇨병이 한층 더 진행되면 시력 장애, 고혈압, 신장병, 중풍, 치주질환, 근육 경련 및 신경통, 괴저 등으로 진전되는 합병증이 나타난다.
이러한 당뇨병을 진단하고 합병증으로 진전되지 않도록 관리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혈당 측정과 치료가 병행되어야 한다.
당뇨병 환자 및 당뇨병으로 진전되지 않았으나 혈액 내에 정상보다 많은 당이 검출되는 사람들을 위하여 많은 의료기기 제조업체에서는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혈당 측정기를 제공하고 있다.
혈당 측정기는 사용자가 손가락 끝으로부터 채혈하여 혈당 측정을 1회 단위로 수행하는 방식과, 사용자의 배와 팔 등에 부착하여 혈당 측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방식이 있다.
당뇨병 환자의 경우, 일반적으로 고혈당과 저혈당 상태를 오가게 되는데, 응급 상황은 저혈당 상태에서 찾아오고, 의식을 잃거나 당분 공급 없이 저혈당 상태가 오랫동안 지속되면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따라서 저혈당 상태의 즉각적인 발견은 당뇨병 환자에게 매우 중요하나 간헐적으로 혈당을 측정하는 채혈식 혈당 측정기로는 이를 정확하게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인체 내에 삽입되어 수분 간격으로 혈당치를 측정하는 연속 혈당 측정장치(CGMS: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가 개발되고 있다. 연속 혈당 측정장치는 채혈에 따르는 사용자의 고통과 거부감을 최소화하기 위해 통증이 상대적으로 덜한 배와 팔 등의 부위에 바늘 형태의 센서를 삽입한 후 연속적으로 혈당을 측정할 수 있다.
연속 혈당 측정장치는 신체의 피부에 삽입 부착되어 체액을 추출하여 혈당을 측정하는 센서 모듈과, 센서 모듈에 의해 측정된 혈당 수치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트랜스미터와, 전송받은 혈당 수치를 출력하는 단말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센서 모듈에는 피하지방에 삽입되어 세포 간질액을 추출하도록 바늘 모양으로 형성된 센서 프로브 등이 구비된다. 센서 모듈을 신체에 삽입 부착하기 위해서는 어플리케이터가 사용된다.
이러한 연속 혈당 측정장치는 제조사마다 매우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있으며, 그 사용방식 또한 다양하게 이루어진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속 혈당 측정기들은 1회용 센서 모듈을 어플리케이터를 통해 신체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제작 유통되고 있다. 사용자는 1회용 센서 모듈의 신체 부착을 위한 어플리케이터의 작동을 위해 여러 단계의 작업을 수행해야 하며, 센서 모듈을 신체에 부착한 후, 바늘을 직접 뽑아내야 하는 등 여러가지의 후속 절차들을 수행해야 한다.
예를 들면, 1회용 센서 모듈의 포장을 벗겨내 어플리케이터에 정확하게 장착해야 하고, 센서 모듈을 어플리케이터에 삽입한 상태에서 어플리케이터를 작동시켜 센서 모듈을 피부에 부착해야 한다. 그리고 센서 모듈의 부착 후에는 별도의 기구를 이용하여 피부에 삽입된 바늘을 뽑아내는 등의 작업들을 수행해야 한다. 또한 혈당 측정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기 위해 별도의 트랜스미터를 센서 모듈에 결합시키는 등의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의 어플리케이터는 부품의 조립이 번거로워 제조 시간이 길어지고 자동화 생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20-0127097호 (2020. 11. 10.)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부품의 조립이 용이하여 제조 시간이 단축되고, 자동 생산을 통해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연속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는, 혈당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자의 신체에 삽입되는 센서 부재를 구비하는 신체 부착 유닛을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시키도록 작동하는 연속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에 있어서, 메인 케이스; 상기 신체 부착 유닛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신체 부착 유닛을 상기 메인 케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인 케이스 내부에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런저; 상기 센서 부재와 함께 사용자의 신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신체 부착 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늘; 및 상기 바늘을 상기 플런저의 토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바늘 분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바늘 분리 유닛은, 록킹부를 구비하고, 상기 록킹부가 상기 플런저의 일측에 맞물리는 방식으로 상기 플런저에 조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늘 분리 유닛은, 상기 록킹부가 구비된 지지 컬럼과, 상기 바늘의 일단과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컬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늘 홀더와, 상기 바늘 홀더에 대해 상기 바늘을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바늘 분리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 컬럼은 상기 바늘 홀더와 상기 바늘 분리 스프링과 함께 조립체를 이루어 상기 플런저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지지 컬럼은, 상기 바늘 홀더 및 상기 바늘 분리 스프링이 결합되는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부는 상기 바디부의 일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록킹부는 상기 바디부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플런저에는 상기 록킹부가 맞물릴 수 있는 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록킹부와 상기 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홈이 마련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될 수 있는 고정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 컬럼의 내측에는 상기 바늘 분리 스프링의 일단이 연결되는 지지 컬럼 후크가 구비되고, 상기 바늘 홀더에는 상기 바늘 분리 스프링의 타단이 연결되는 바늘 홀더 후크가 구비되며, 상기 바늘 분리 스프링은 상기 바늘 홀더가 상기 지지 컬럼 후크 쪽으로 당겨지도록 상기 바늘 홀더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바늘 홀더는, 상기 바늘의 일단이 결합되는 홀더 헤드와, 상기 홀더 헤드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결되는 윙 바디 및 상기 윙 바디로부터 돌출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홀더 윙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컬럼에는 상기 스토퍼가 맞물릴 수 있는 걸림턱이 마련되며, 상기 메인 케이스의 내측에는 상기 스토퍼가 상기 걸림턱에서 맞물림 해제되도록 상기 홀더 윙을 탄성 변형시킬 수 있는 가압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홀더 윙은, 상기 윙 바디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윙 바디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상기 스토퍼가 상기 윙 바디로부터 돌출된 높이보다 큰 트리거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컬럼에는 상기 트리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컬럼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릿이 마련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플런저가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중에 상기 트리거를 가압하여 상기 홀더 윙을 탄성 변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바늘 홀더의 이동 경로 중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바늘 분리 유닛은 상기 바늘 분리 스프링이 상기 바늘 홀더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도록 탄성 변형된 상태로 상기 플런저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바늘 분리 유닛은 상기 바늘 분리 스프링이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플런저에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터는 사용자의 신체에 삽입된 바늘을 분리하기 위한 바늘 분리 유닛을 구성하는 부품이 하나의 조립체를 이루어 신체 부착 유닛이 장착되는 플런저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바늘 분리 유닛을 구성하는 바늘 홀더와 바늘 분리 스프링과 같은 부품의 설치가 용이하다. 그리고 조립된 바늘 분리 유닛을 플런저에 조립하는 조립 공정의 자동화가 가능하여 제조 시간을 줄이고,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터는 바늘 분리 유닛이 조립된 상태로 플런저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제조 과정에서 작업자가 바늘 홀더와 바늘 분리 스프링이 바늘을 제거할 수 있는 상태로 설치되었지 확인하는 것이 용이하다. 따라서 어플리케이터가 작동할 수 없는 상태로 출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연속 혈당 측정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에 신체 부착 유닛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에 구비되는 슈팅 플레이트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의 플런저와 바늘 분리 유닛의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의 플런저와 바늘 분리 유닛의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에 구비되는 바늘 분리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의 플런저와 바늘 분리 유닛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1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신체 부착 유닛을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연속 혈당 측정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에 신체 부착 유닛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10)는 혈당을 측정하기 위한 신체 부착 유닛(20)을 신체(B)에 부착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신체 부착 유닛(20)은 어플리케이터(10)에 의해 신체(B)에 부착되어 신체(B)로부터 주기적으로 혈당을 측정하고 측정 데이터를 외부 단말기(40)로 무선 송신할 수 있다. 신체 부착 유닛(20)은 일부분이 신체에 삽입되는 센서 부재(21)와, 외부 단말기(40)와 무선 통신할 수 있도록 무선 통신칩과, 배터리를 포함하여 혈당을 측정하고 측정 데이터를 무선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신체 부착 유닛(20)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20-0127097호 등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10)는 신체 부착 유닛(20)이 내부에 장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어플리케이터(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작동하여 신체 부착 유닛(20)을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 신체 부착 유닛(20)은 어플리케이터(10) 내부에 장착되어 어플리케이터(10)의 작동에 따라 어플리케이터(10)로부터 토출됨으로써 신체(B)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10)는 내부에 신체 부착 유닛(20)이 장착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신체 부착 유닛(20)의 일측에는 접착 테이프(22)가 구비되어 신체 부착 유닛(20)은 접착 테이프(22)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B)에 부착될 수 있다. 신체 부착 유닛(20)은 접착 테이프(22)가 이형지로 덮인 상태로 어플리케이터(10)에 장착될 수 있다. 이형지는 어플리케이터(10)의 보호캡(200)이 메인 케이스(100)에서 분리되는 과정에서 제거될 수 있도록 일부분이 보호캡(200)에 부착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10)는 신체 부착 유닛(20)을 내부에 장착된 상태로 고정하고, 신체 부착 유닛(20)이 토출된 상태에서 신체 부착 유닛(20)에 대한 고정력을 해제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신체 부착 유닛(20)이 어플리케이터(10)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신체 부착 유닛(20)은 어플리케이터(10)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신체 부착 유닛(20)이 어플리케이터(10)에서 토출된 후 신체 부착 유닛(20)은 어플리케이터(10)에서 분리되어 사용자의 신체(B)에 부착된 상태로 남아있게 된다.
신체 부착 유닛(20)이 어플리케이터(10)로부터 토출되는 과정에서 신체 부착 유닛(20)의 센서 부재(21)가 사용자의 신체(B)에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신체 부착 유닛(20)에는 바늘(3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바늘(30)은 센서 부재(21)의 일단부가 신체(B)에 안정적으로 삽입되도록 센서 부재(21)의 일단부를 감싸며 센서 부재(21)와 함께 신체(B)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바늘(30)은 신체 부착 유닛(20)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신체 부착 유닛(20)에 결합된다. 바늘(30)의 일단은 사용자의 신체(B)의 피부를 뚫고 사용자의 신체(B) 속으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뾰족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바늘(30)의 타단에는 바늘 헤드(31)가 구비된다. 바늘(30)은 신체 부착 유닛(20)이 어플리케이터(10)로부터 토출될 때 센서 부재(21)보다 먼저 사용자의 신체(B)의 피부를 뚫고 들어가 센서 부재(21)가 안정적으로 신체(B)에 삽입되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바늘(30)은 신체 부착 유닛(20)이 사용자의 신체(B)에 부착된 후에는 어플리케이터(10)의 바늘 분리 유닛(400)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B)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10)의 세부 구성에 대해 좀더 상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10)는 일측에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되도록 가압 버튼(140)이 장착되는 메인 케이스(100)와, 신체 부착 유닛(20)을 지지하면서 메인 케이스(10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런저(300)와, 플런저(300)에 탄성력을 가하는 플런저 스프링(340)과, 신체 부착 유닛(20)에 결합된 바늘(30)을 신체 부착 유닛(20)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바늘 분리 유닛(400)을 포함한다. 플런저(300)는 메인 케이스(100) 내부의 제 1 위치(P1)에서 제 2 위치(P2)로 이동하여 신체 부착 유닛(20)을 외부 방향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메인 케이스(100)의 일단부에는 메인 케이스(100) 내부의 신체 부착 유닛(20)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캡(20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보호캡(200)은 신체 부착 유닛(20)이 플런저(3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메인 케이스(100)에 결합되어 신체 부착 유닛(2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사용자는 보호캡(200)을 분리한 이후에만 어플리케이터(10)를 작동시켜 신체 부착 유닛(20)을 신체에 부착시킬 수 있다.
보호 캡(200)은 메인 케이스(100)의 내부에 삽입된 신체 부착 유닛(20)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할 뿐만 아니라, 신체 부착 유닛(20)에 대한 지지 기능도 수행한다. 보호캡(200)은 메인 케이스(100)에 결합됨으로써 어플리케이터(10)의 전체적인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메인 케이스(100)는 일측에 가압 버튼(140)이 장착되는 외부 케이스(105)와, 외부 케이스(105)의 내부에 결합되어 플런저(300)의 직선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는 이너 케이스(110)를 포함한다. 메인 케이스(100)의 내측에는 플런저(300)와, 바늘 분리 유닛(400)과, 신체 부착 유닛(20) 등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115)이 형성된다. 수용 공간(115)은 외측으로 개방되고 신체 부착 유닛(20)의 수용 공간(115)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외측으로 토출될 수 있다. 수용 공간(115)의 개방된 부분은 보호캡(20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가압 버튼(140)은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될 수 있다. 메인 케이스(100) 내부에는 가압 버튼(140)의 누름 조작에 따라 이동하는 슈팅 플레이트(13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슈팅 플레이트(130)는 이너 케이스(110)에 안착 지지되어 이동할 수 있다. 슈팅 플레이트(130)는 가압 버튼(140)의 누름 조작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플런저(300)는 제 1 위치(P1)에서 슈팅 플레이트(130)와 맞물림되고, 슈팅 플레이트(130)의 이동에 따라 슈팅 플레이트(130)와 맞물림 해제될 수 있다. 플런저(300)는 슈팅 플레이트(130)와 맞물림 해제될 때 플런저 스프링(340)의 탄성력에 의해 제 2 위치(P2)로 이동할 수 있다.
가압 버튼(140)은 도시된 것과 같은 누름 조작 방식 이외에,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슈팅 플레이트(130)를 작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슈팅 플레이트(130)의 일측에는 플런저(300)의 맞물림 후크(310)가 맞물릴 수 있는 받침부(131)가 구비된다. 플런저(300)는 맞물림 후크(310)가 받침부(131)에 걸림으로써 제 1 위치(P1)에 고정될 수 있다. 슈팅 플레이트(130)가 가압 버튼(140)에 의해 움직이면 맞물림 후크(310)가 받침부(131)에서 걸림 해제되어 플런저(300)가 제 2 위치(P2)로 이동할 수 있다.
슈팅 플레이트(130)의 구체적인 형상이나, 슈팅 플레이트(130)와 플런저(300)의 맞물림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너 케이스(110)에는 슈팅 플레이트(13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리턴 부재(120)가 구비된다. 리턴 부재(120)는 슈팅 플레이트(130)에 대해 가압 버튼(140)에 의한 가압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슈팅 플레이트(130)는 리턴 부재(12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플런저(300)의 맞물림 후크(310)와 안정적으로 맞물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플런저(300)는 메인 케이스(100)의 내측에 설치되어 신체 부착 유닛(20)을 지지할 수 있다. 플런저(300)는 플런저 스프링(340)의 탄성력에 의해 제 1 위치(P1)에서 제 2 위치(P2)로 이동함으로써 신체 부착 유닛(20)을 메인 케이스(100)로부터 토출시킬 수 있다. 플런저(300)에는 플런저 돌기(315)가 구비된다. 플런저 돌기(315)는 플런저(30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한다. 플런저(300)가 제 2 위치(P2)로 이동할 때 플런저 돌기(315)가 이너 케이스(110)의 일측에 맞물림되는 방식으로 플런저(300)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플런저(300)는 플런저 스프링(340)의 탄성력에 의해 제 2 위치(P2)까지만 이동하여 정지하고 메인 케이스(100)를 벗어나지 않는다.
플런저(300)의 일단부에는 신체 부착 유닛(20)이 삽입되는 센서 수용부(320)가 형성된다. 신체 부착 유닛(20)은 센서 수용부(320)에 장착되어 플런저(300)와 함께 제 1 위치(P1)에서 제 2 위치(P2)로 이동할 수 있다. 플런저(300) 및 신체 부착 유닛(20)이 제 2 위치(P2)까지 이동할 때 신체 부착 유닛(20)의 센서 부재(21)가 사용자의 신체(B)에 삽입될 수 있다.
센서 수용부(320)의 가장자리에는 센서 수용부(320)에 삽입된 신체 부착 유닛(20)의 가장자리에 맞물림되어 신체 부착 유닛(20)을 고정시키는 고정 후크(325)가 구비된다. 고정 후크(325)는 플런저(3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플런저(300)가 제 1 위치(P1)에 위치한 상태에서 신체 부착 유닛(20)의 가장자리에 맞물림되어 신체 부착 유닛(20)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고정 후크(325)는 플런저(300)가 제 2 위치(P2)까지 이동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어플리케이터(10)를 사용자의 신체(B)에 부착된 신체 부착 유닛(20)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신체 부착 유닛(20)과 맞물림 해제될 수 있다.
이 밖에, 플런저(300)에는 바늘(30)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구(335)가 형성된다. 관통구(335)는 센서 수용부(320)와 연결되도록 플런저(300)의 내측에 마련된다. 바늘(30)이 관통구(335)를 통과하여 센서 수용부(320)에 장착되는 신체 부착 유닛(2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바늘 분리 유닛(400)은 신체 부착 유닛(20)이 제 1 위치(P1)에서 제 2 위치(P2)로 이동함에 따라 신체 부착 유닛(20)에 결합된 바늘(30)을 사용자의 신체(B)로부터 분리시킨다. 바늘 분리 유닛(400)은 플런저(300)에 고정되는 지지 컬럼(410)과, 지지 컬럼(4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바늘 헤드(31)와 결합되는 바늘 홀더(422)와, 바늘 홀더(422)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바늘 분리 스프링(435)을 포함한다.
지지 컬럼(410)은 바늘 홀더(422) 및 바늘 분리 스프링(435)이 수용되는 설치 공간(412)이 내측에 형성된 바디부(411)와, 바디부(411)의 일단에 구비되는 록킹부(419)를 포함한다.
바디부(411)의 양측으로는 바늘 홀더(422)를 가이드하기 위한 슬릿(413)이 형성된다. 슬릿(413)은 바디부(4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슬릿(413)의 중간 부분에는 바늘 홀더(422)의 스토퍼(431)가 삽입될 수 있는 걸림홈(414)이 형성된다. 걸림홈(414)의 안쪽에는 스토퍼(431)가 걸릴 수 있는 걸림턱(415)이 구비된다. 바디부(411)의 타단 내측에는 바늘 분리 스프링(435)이 연결되는 지지 컬럼 후크(417)가 구비된다.
록킹부(419)는 바디부(411)의 일단에 한 쌍이 서로 마주하도록 구비된다. 록킹부(419)는 탄성 변형 가능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록킹부(419)에는 결합홈(420)이 형성된다. 지지 컬럼(410)은 한 쌍의 록킹부(419)가 플런저(300)의 내측에 구비되는 고정부(330)에 맞물리는 방식으로 플런저(300)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330)는 결합홈(420)에 삽입되는 고정 돌기(331)를 구비한다.
지지 컬럼(410)은 한 쌍의 록킹부(419)가 플런저(300)의 고정부(330)와 맞물리는 방식으로 간단히 플런저(30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어플리케이터(10)의 제조 시 바늘 분리 유닛(400)은 플런저(300)의 내측으로 간단히 삽입되는 방식으로 플런저(300)에 조립될 수 있다.
록킹부(419)의 구체적인 형상이나 플런저(300)와의 결합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다른 예로, 플런저(300)의 고정부(330)에 결합홈이 마련되고, 록킹부(419)에는 플런저(300)의 결합홈에 삽입될 수 있는 고정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지지 컬럼(410)은 바디부(411)와 별도로 구비되는 록킹부(419)를 통해 플런저(300)에 결합되는 구조 이외에, 다양한 다른 방식으로 플런저(30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지지 컬럼(410)은 도시된 것과 같이 바늘 홀더(422)와 바늘 분리 스프링(435)이 수용되는 설치 공간(412)이 내측에 형성된 구조 이외에, 바늘 홀더(422)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바늘 분리 스프링(435)을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바늘 홀더(422)는 바늘 헤드(31)가 결합되는 홀더 헤드(423)와, 홀더 헤드(423)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결되는 홀더 윙(426)을 포함한다.
홀더 헤드(423)의 내측에는 바늘 헤드(31)가 삽입되는 삽입홈(424)이 형성된다. 바늘(30)은 바늘 헤드(31) 중간의 두께가 축소된 부분이 삽입홈(424)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바늘 헤드(31)에 결합될 수 있다. 바늘(30)은 바늘 헤드(31)의 일부분이 삽입홈(424)에 삽입될 때 그 일부분이 홀더 헤드(423)에 걸림으로써 홀더 헤드(423)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홀더 윙(426)은 홀더 헤드(423)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형상으로 홀더 헤드(423)이 일단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결된다. 홀더 윙(426)은 홀더 헤드(423)의 일단에 경사지게 연결된다. 즉 홀더 윙(426)은 홀더 헤드(423)로부터 멀어질수록 삽입홈(424)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중심선(C)으로부터 점진적으로 멀어지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홀더 윙(426)은 홀더 헤드(423)의 일단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결되는 윙 바디(427)와, 윙 바디(427)로부터 돌출되는 트리거(428) 및 스토퍼(431)를 포함한다.
트리거(428)는 윙 바디(427)의 일단 부분에 윙 바디(427)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트리거(428)는 지지 컬럼(410)의 슬릿(413)에 삽입되어 슬릿(413)을 따라 선형 이동할 수 있다. 트리거(428)가 슬릿(413)에 삽입되어 슬릿(413)에 의해 가이드됨으로써 바늘 홀더(422)가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 컬럼(410)에 지지된 상태로 선형 이동할 수 있다. 트리거(428)는 슬릿(413)을 통과하여 일부분이 지지 컬럼(41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지지 컬럼(410)이 플런저(300)와 함께 제 1 위치(P1)에서 제 2 위치(P2)로 이동하는 중에 트리거(428)는 이너 케이스(110)에 구비되는 가압부(125)에 접촉할 수 있다.
가압부(125)는 트리거(428)를 가압할 수 있도록 바늘 홀더(422)의 이동 경로 중에 배치된다. 바늘 분리 유닛(400)이 제 1 위치(P1)에서 제 2 위치(P2)로 이동하는 중에 가압부(125)가 트리거(428)에 접하여 트리거(428)를 지지 컬럼(410)의 안쪽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홀더 윙(426)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가압부(125)에는 트리거(428)가 접하는 가압 경사부(126)가 구비된다. 가압 경사부(126)는 바늘 분리 유닛(400)의 이동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를 갖는다.
트리거(428)에는 가압 경사부(126)에 대응하는 트리거 경사부(429)가 구비된다. 트리거 경사부(429)는 가압 경사부(126)의 경사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를 갖는다. 바늘 분리 유닛(400)이 제 1 위치(P1)에서 제 2 위치(P2)로 이동하는 중에 트리거 경사부(429)가 가압 경사부(126)에 접하여 이동함으로써 트리거(428)가 가압부(125)에 접할 때 발생하는 충격이 저감되고, 가압부(125)의 가압력이 더욱 원활하게 트리거(428)가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가압부(125)의 가압력이 트리거(428)에 안정적으로 전달됨으로써 홀더 윙(426)이 더욱 안정적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스토퍼(431)는 윙 바디(427)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다. 스토퍼(431)가 윙 바디(427)로부터 돌출된 방향은 트리거(428)가 윙 바디(427)로부터 돌출된 방향과 같다. 그리고 스토퍼(431)가 윙 바디(427)로부터 돌출된 돌출 높이는 트리거(428)가 윙 바디(427)로부터 돌출된 돌출 높이보다 작다. 스토퍼(431)는 지지 컬럼(410)의 걸림홈(414)에 삽입되어 걸림턱(415)에 걸릴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토퍼(431)가 걸림턱(415)에 걸림으로써 바늘 홀더(422)는 지지 컬럼(410)의 일단 쪽으로 하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바늘 홀더(422)에 바늘 분리 스프링(435)의 탄성력이 가해지더라도 스토퍼(431)가 걸림턱(415)에 걸려 있으므로 바늘 홀더(422)는 바늘 분리 스프링(435)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한다.
스토퍼(431)는 트리거(428)의 양측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스토퍼(431)의 설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도시된 것과 같이 홀더 윙(426)은 한 쌍이 홀더 헤드(423)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홀더 윙(426)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 밖에, 바늘 홀더(422)는 바늘 분리 스프링(435)의 타단이 연결되는 바늘 홀더 후크(433)를 갖는다. 바늘 홀더 후크(433)는 한 쌍의 홀더 윙(426) 사이에 위치하도록 홀더 헤드(423)에 연결될 수 있다.
바늘 분리 스프링(435)은 바늘 홀더(422)에 대해 바늘(30)을 신체 부착 유닛(20)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바늘 분리 스프링(435)의 일단은 지지 컬럼(410)의 지지 컬럼 후크(417)에 연결되고, 바늘 분리 스프링(435)의 타단은 바늘 홀더(422)의 바늘 홀더 후크(433)에 연결된다. 바늘 분리 스프링(435)은 인장 스프링 구조로 이루어져 바늘 홀더(422)를 지지 컬럼 후크(417) 쪽으로 당겨지도록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바늘 분리 유닛(400)은 바늘 홀더(422)와 바늘 분리 스프링(435)이 지지 컬럼(410)과 함께 하나의 조립체를 이루어 플런저(30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지지 컬럼(410)이 플런저(300)에 결합되기 전에 바늘 홀더(422)와 바늘 분리 스프링(435)이 지지 컬럼(410)에 조립되어 하나의 조립체를 이루고, 지지 컬럼(410)이 플러저(300)에 결합됨으로써 바늘 홀더(422)와 바늘 분리 스프링(435)도 지지 컬럼(410)과 함께 플런저(300)에 조립될 수 있다.
바늘(30)은 바늘 홀더(422)에 결합된 상태로 바늘 분리 유닛(400)이 플런저(300)에 결합될 때 신체 부착 유닛(20)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바늘(30)은 신체 부착 유닛(20)에 결합된 상태에서 바늘 홀더(422)와 결합될 수 있다. 이 밖에, 바늘(30)과 신체 부착 유닛(20)의 결합 순서나, 바늘(30)과 바늘 분리 유닛(400)의 결합 순서는 어플리케이터(10)의 제조 과정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10)는 바늘 분리 유닛(400)의 바늘 홀더(422)와 바늘 분리 스프링(435)이 지지 컬럼(410)과 함께 하나의 조립체를 이루어 플런저(300)에 결합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바늘 홀더(422)와 바늘 분리 스프링(435)의 설치가 용이하다. 그리고 조립된 바늘 분리 유닛(400)을 플런저(300)에 조립하는 조립 공정의 자동화가 가능하여 제조 시간을 줄이고,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10)는 바늘 분리 유닛(400)이 조립된 상태로 플런저(300)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제조 과정에서 작업자가 바늘 홀더(422)와 바늘 분리 스프링(435)이 바늘(30)을 제거할 수 있는 상태로 설치되었지 확인하는 것이 용이하다. 따라서 어플리케이터(10)가 작동할 수 없는 상태로 출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바늘 분리 유닛(400)은 두 가지 조립 상태로 플런저(30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바늘 분리 유닛(400)은 바늘 분리 스프링(435)이 바늘 홀더(422)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도록 탄성 변형된 상태로 플런저(3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늘 분리 유닛(400)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바늘 분리 스프링(435)이 연결된 바늘 홀더(422)를 지지 컬럼(410)의 일단 쪽으로 이동시켜 바늘 홀더(422)의 스토퍼(431)를 지지 컬럼(410)의 걸림홈(414)에 삽입시킬 수 있다. 이때, 스토퍼(431)가 지지 컬럼(410)의 걸림턱(415)에 걸림으로써 바늘 홀더(422)가 바늘 분리 스프링(435)을 인장시킨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바늘 분리 스프링(435)이 탄성 변형된 상태로 바늘 분리 유닛(400)을 플런저(300)에 조립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바늘 분리 유닛(400)은 바늘 분리 스프링(435)이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로 플런저(3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늘 분리 유닛(400)을 플런저(300)에 결합한 후, 별도의 지그(50) 등을 이용하여 바늘 홀더(422)를 간단히 작동 가능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지그(50) 등을 이용하여 바늘 분리 유닛(400)의 트리거(428)를 플런저(300)의 센서 수용부(320) 쪽으로 밀면 바늘 홀더(422)가 바늘 분리 스프링(435)을 인장시키면서 움직일 수 있다. 바늘 홀더(422)가 움직이는 중에 스토퍼(431)가 지지 컬럼(410)의 걸림홈(414)에 삽입되면 스토퍼(431)가 걸림턱(415)에 걸림으로써 바늘 홀더(422)가 바늘 분리 스프링(435)을 인장시킨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바늘 분리 유닛(400)이 플런저(3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지그(50) 등을 이용하여 바늘 홀더(422)를 작동 가능한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 사용자는 지그(50)의 끝단을 지지 컬럼(410)의 외측에서 지지 컬럼(410)의 슬릿(413)에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지그(50)를 슬릿(413)을 따라 움직임으로써 바늘 홀더(422)를 스토퍼(431)가 걸림턱(415)에 걸리는 위치까지 밀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10)를 이용하여 신체 부착 유닛(20)을 사용자의 신체(B)에 부착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보호캡(200)을 분리한다. 보호캡(200)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신체 부착 유닛(20)의 이형지가 보호캡(200)과 함께 분리되어 신체 부착 유닛(20)의 접착 테이프(22)가 노출될 수 있다.
이후, 도 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신체 부착 유닛(20)을 부착할 사용자의 신체(B)에 어플리케이터(10)를 위치시키고, 가압 버튼(140)을 누름 조작한다. 가압 버튼(140)이 조작되면, 슈팅 플레이트(130)가 이동함으로써 제 1 위치(P1)에 고정된 플런저(300)의 고정력이 해제된다. 슈팅 플레이트(130)에 의한 플런저(300)의 고정력이 해제되면 도 1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신체 부착 유닛(20)이 장착된 플런저(300)가 플런저 스프링(340)에 의해 제 2 위치(P2) 방향으로 이동하고, 바늘(30) 및 신체 부착 유닛(20)의 센서 부재(21)가 사용자의 피부를 뚫고 신체(B) 속으로 삽입된다.
도 14에 나타낸 것과 같이, 플런저(300)가 제 2 위치(P2)로 이동하는 중에 바늘 분리 유닛(400)의 트리거(428)가 메인 케이스(100)의 가압부(125)에 도달하면 트리거(428)의 트리거 경사부(429)가 바디부(411)의 가압 경사부(126)에 접한 상태로 사용자의 신체(B) 쪽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가압부(125)가 트리거(428)를 가압함으로써 바늘 홀더(422)의 홀더 윙(426)이 탄성 변형되어 오므려진다. 이와 같이 홀더 윙(426)이 탄성 변형됨으로써 홀더 윙(426)의 스토퍼(431)가 지지 컬럼(410)의 걸림홈(414)에서 벗어나게 된다. 스토퍼(431)가 걸림홈(414)에서 벗어나면 바늘 홀더(422)에 대한 고정력이 해제되고, 바늘 홀더(422)는 바늘 분리 스프링(435)의 탄성력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B)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진다.
바늘 홀더(422)가 바늘 분리 스프링(435)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함으로써 신체 부착 유닛(20)의 센서 부재(21)와 함께 신체(B)에 삽입되었던 바늘(30)은 바늘 홀더(422)에 의해 당겨져 신체 부착 유닛(20)으로부터 분리된다.
계속해서, 도 15에 나타낸 것과 같이, 플런저(300)는 플런저 스프링(340)의 탄성력에 의해 제 2 위치(P2)까지 이동하여 정지한다. 이때, 신체 부착 유닛(20)은 접착 테이프(22)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B)에 부착된다.
신체 부착 유닛(20)이 제 2 위치(P2)로 이동하는 중에 바늘 홀더(422)가 바늘(30)을 신체 부착 유닛(20)에서 분리하는 시점은 바늘(30)이 사용자의 신체(B)의 피부를 뚫고 센서 부재(21)를 사용자의 신체(B)에 삽입되도록 가이드한 이후의 적절한 시점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압부(125)는 바늘(30)의 길이 등에 따라 바늘 홀더(422)의 이동 경로 중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신체 부착 유닛(20)이 사용자의 신체(B)에 부착된 후, 어플리케이터(10)를 신체 부착 유닛(20)에서 분리하면 신체 부착 유닛(20)의 부착 작업이 완료된다.
이후, 신체 부착 유닛(20)은 사용자의 혈당을 측정하고 측정 정보를 외부 단말기(40)로 송신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바늘 분리 유닛(400)의 바늘 분리 스프링(435)이 인장 스프링 구조인 것으로 나타냈으나, 바늘 분리 스프링은 압축 스프링 구조로 이루어져 바늘 홀더(422)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어플리케이터 20 : 신체 부착 유닛
30 : 바늘 40 : 외부 단말기
50 : 지그 100 : 메인 케이스
105 : 외부 케이스 110 : 이너 케이스
120 : 리턴 부재 125 : 가압부
130 : 슈팅 플레이트 131 : 걸림부
140 : 가압 버튼 200 : 보호캡
300 : 플런저 310 : 맞물림 후크
315 : 플런저 돌기 320 : 센서 수용부
325 : 고정 후크 330 : 고정부
340 : 플런저 스프링 400 : 바늘 분리 유닛
410 : 지지 컬럼 411 : 바디부
412 : 설치 공간 413 : 슬릿
414 : 걸림홈 417 : 지지 컬럼 후크
419 : 록킹부 422 : 바늘 홀더
423 : 홀더 헤드 426 : 홀더 윙
427 : 윙 바디 428 : 트리거
431 : 스토퍼 433 : 바늘 홀더 후크
435 : 바늘 분리 스프링

Claims (10)

  1. 혈당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자의 신체에 삽입되는 센서 부재를 구비하는 신체 부착 유닛을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시키도록 작동하는 연속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에 있어서,
    메인 케이스;
    상기 신체 부착 유닛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신체 부착 유닛을 상기 메인 케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인 케이스 내부에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런저;
    상기 센서 부재와 함께 사용자의 신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신체 부착 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늘; 및
    상기 바늘을 상기 플런저의 토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바늘 분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바늘 분리 유닛은, 록킹부를 구비하고, 상기 록킹부가 상기 플런저의 일측에 맞물리는 방식으로 상기 플런저에 조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분리 유닛은,
    상기 록킹부가 구비된 지지 컬럼과,
    상기 바늘의 일단과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컬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늘 홀더와,
    상기 바늘 홀더에 대해 상기 바늘을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바늘 분리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 컬럼은 상기 바늘 홀더와 상기 바늘 분리 스프링과 함께 조립체를 이루어 상기 플런저에 조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컬럼은,
    상기 바늘 홀더 및 상기 바늘 분리 스프링이 결합되는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부는 상기 바디부의 일단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바디부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에는 상기 록킹부가 맞물릴 수 있는 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록킹부와 상기 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홈이 마련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될 수 있는 고정 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컬럼의 내측에는 상기 바늘 분리 스프링의 일단이 연결되는 지지 컬럼 후크가 구비되고,
    상기 바늘 홀더에는 상기 바늘 분리 스프링의 타단이 연결되는 바늘 홀더 후크가 구비되며,
    상기 바늘 분리 스프링은 상기 바늘 홀더가 상기 지지 컬럼 후크 쪽으로 당겨지도록 상기 바늘 홀더에 탄성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홀더는,
    상기 바늘의 일단이 결합되는 홀더 헤드와,
    상기 홀더 헤드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결되는 윙 바디 및 상기 윙 바디로부터 돌출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홀더 윙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컬럼에는 상기 스토퍼가 맞물릴 수 있는 걸림턱이 마련되며,
    상기 메인 케이스의 내측에는 상기 스토퍼가 상기 걸림턱에서 맞물림 해제되도록 상기 홀더 윙을 탄성 변형시킬 수 있는 가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윙은, 상기 윙 바디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윙 바디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상기 스토퍼가 상기 윙 바디로부터 돌출된 높이보다 큰 트리거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컬럼에는 상기 트리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컬럼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릿이 마련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플런저가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중에 상기 트리거를 가압하여 상기 홀더 윙을 탄성 변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바늘 홀더의 이동 경로 중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분리 유닛은 상기 바늘 분리 스프링이 상기 바늘 홀더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도록 탄성 변형된 상태로 상기 플런저에 조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분리 유닛은 상기 바늘 분리 스프링이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플런저에 조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
KR1020210028534A 2021-03-04 2021-03-04 연속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 KR102557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534A KR102557857B1 (ko) 2021-03-04 2021-03-04 연속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
PCT/KR2021/016215 WO2022186444A1 (ko) 2021-03-04 2021-11-09 연속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
US18/280,210 US20240138716A1 (en) 2021-03-04 2021-11-09 Applicator for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ement device
CA3210293A CA3210293A1 (en) 2021-03-04 2021-11-09 Applicator for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ement device
EP21929306.5A EP4285819A1 (en) 2021-03-04 2021-11-09 Applicator for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ement device
CN202180094832.2A CN116887750A (zh) 2021-03-04 2021-11-09 连续血糖测量装置用敷贴器
JP2023552530A JP2024508142A (ja) 2021-03-04 2021-11-09 連続血糖測定装置用アプリケーター
AU2021430646A AU2021430646A1 (en) 2021-03-04 2021-11-09 Applicator for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ement device
KR1020230092025A KR102595237B1 (ko) 2021-03-04 2023-07-14 연속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
KR1020230141675A KR102687887B1 (ko) 2021-03-04 2023-10-23 연속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
KR1020240091209A KR20240112241A (ko) 2021-03-04 2024-07-10 연속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534A KR102557857B1 (ko) 2021-03-04 2021-03-04 연속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2025A Division KR102595237B1 (ko) 2021-03-04 2023-07-14 연속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4881A true KR20220124881A (ko) 2022-09-14
KR102557857B1 KR102557857B1 (ko) 2023-07-24

Family

ID=83155431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8534A KR102557857B1 (ko) 2021-03-04 2021-03-04 연속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
KR1020230092025A KR102595237B1 (ko) 2021-03-04 2023-07-14 연속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
KR1020230141675A KR102687887B1 (ko) 2021-03-04 2023-10-23 연속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
KR1020240091209A KR20240112241A (ko) 2021-03-04 2024-07-10 연속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2025A KR102595237B1 (ko) 2021-03-04 2023-07-14 연속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
KR1020230141675A KR102687887B1 (ko) 2021-03-04 2023-10-23 연속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
KR1020240091209A KR20240112241A (ko) 2021-03-04 2024-07-10 연속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40138716A1 (ko)
EP (1) EP4285819A1 (ko)
JP (1) JP2024508142A (ko)
KR (4) KR102557857B1 (ko)
CN (1) CN116887750A (ko)
AU (1) AU2021430646A1 (ko)
CA (1) CA3210293A1 (ko)
WO (1) WO20221864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317736A (zh) * 2021-11-11 2024-07-09 Prp技术公司 样本采集设备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28031A (ja) * 2010-03-24 2016-07-14 アボット ダイアベティス ケア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bbott Diabetes Care Inc. 挿入器を検体モニタ装置に係合するシステムおよび挿入器を検体モニタ装置に係合する方法
KR20180132557A (ko) * 2017-06-02 2018-12-12 주식회사 아이센스 연속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US20190350527A1 (en) * 2016-04-08 2019-11-21 Medtronic Minimed, Inc. Insertion device
KR20200014156A (ko) * 2018-07-31 2020-02-10 주식회사 아이센스 연속 혈당 측정 장치
KR20200014001A (ko) * 2018-07-31 2020-02-10 주식회사 아이센스 연속 혈당 측정 장치
KR20200014002A (ko) * 2018-07-31 2020-02-10 주식회사 아이센스 연속 혈당 측정 장치
KR20200127097A (ko) 2019-04-30 2020-11-10 주식회사 아이센스 연속 혈당 측정 장치용 어플리케이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28031A (ja) * 2010-03-24 2016-07-14 アボット ダイアベティス ケア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bbott Diabetes Care Inc. 挿入器を検体モニタ装置に係合するシステムおよび挿入器を検体モニタ装置に係合する方法
US20190350527A1 (en) * 2016-04-08 2019-11-21 Medtronic Minimed, Inc. Insertion device
KR20180132557A (ko) * 2017-06-02 2018-12-12 주식회사 아이센스 연속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KR20200014156A (ko) * 2018-07-31 2020-02-10 주식회사 아이센스 연속 혈당 측정 장치
KR20200014001A (ko) * 2018-07-31 2020-02-10 주식회사 아이센스 연속 혈당 측정 장치
KR20200014002A (ko) * 2018-07-31 2020-02-10 주식회사 아이센스 연속 혈당 측정 장치
KR20200127097A (ko) 2019-04-30 2020-11-10 주식회사 아이센스 연속 혈당 측정 장치용 어플리케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210293A1 (en) 2022-09-09
KR102557857B1 (ko) 2023-07-24
KR20240112241A (ko) 2024-07-18
KR102595237B1 (ko) 2023-10-30
EP4285819A1 (en) 2023-12-06
KR102687887B1 (ko) 2024-07-25
CN116887750A (zh) 2023-10-13
KR20230110241A (ko) 2023-07-21
JP2024508142A (ja) 2024-02-22
KR20230154773A (ko) 2023-11-09
US20240138716A1 (en) 2024-05-02
WO2022186444A1 (ko) 2022-09-09
AU2021430646A1 (en) 2023-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2145B1 (ko) 연속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KR102200138B1 (ko) 연속 혈당 측정 장치
KR102222045B1 (ko) 연속 혈당 측정 장치
KR20240112241A (ko) 연속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
KR102200136B1 (ko) 연속 혈당 측정 장치
JP7132421B2 (ja) 連続血糖測定用身体付着ユニット
JP7132422B2 (ja) 連続血糖測定用身体付着ユニット
KR102197577B1 (ko) 연속 혈당 측정 장치
KR102197578B1 (ko) 연속 혈당 측정용 신체 부착 유닛
EP4344624A1 (en) Applicator for transcutaneous sensor, and applicator assembly
KR20230002013A (ko)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KR102592776B1 (ko) 경피성 센서를 삽입하기 위한 니들 및 니들 어셈블리
KR102721820B1 (ko) 경피성 센서를 삽입하기 위한 니들 및 니들 어셈블리
KR102693499B1 (ko)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KR20240107623A (ko)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US20240366119A1 (en) Transcutaneous sensor applicator and applicator assembly
KR20240107624A (ko)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