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4553A - Steel frame for pallets and pallet for small coils including the frame - Google Patents

Steel frame for pallets and pallet for small coils including the fr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4553A
KR20220124553A KR1020210028367A KR20210028367A KR20220124553A KR 20220124553 A KR20220124553 A KR 20220124553A KR 1020210028367 A KR1020210028367 A KR 1020210028367A KR 20210028367 A KR20210028367 A KR 20210028367A KR 20220124553 A KR20220124553 A KR 20220124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allet
support frame
portions
pall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83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기세
Original Assignee
안기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기세 filed Critical 안기세
Priority to KR1020210028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4553A/en
Publication of KR20220124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455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004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 B65D19/0006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 B65D19/0008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 B65D19/002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the base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6Pallets comprising a flexible load carrier extending between guide elements, e.g. guide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0Elements for spacing platforms from support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frame for pallets and a pallet includ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upper and lower frames (100, 200) and column members (300) therebetween are formed, and parts thereof adjacent to each other are welded and integral to form a steel frame (10). The steel frame (10) is used to form a pallet for loading small coils. The pallet can have durability equal or similar to that of as a conventional pallet made of wood and formed as angled pipes, can increase economic efficiency by reducing raw materials while being further made light, and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column members (300) and other upper and lower frames (100, 200) provided in the right location (parts to which pressure is substantially applied during transportation), to further increase durability when the pallet is formed.

Description

파렛트용 철재 프레임 및 그 프레임을 포함하는 소형 코일용 파렛트{Steel frame for pallets and pallet for small coils including the frame}Steel frame for pallets and pallets for small coils including the frame {Steel frame for pallets and pallet for small coils including the frame}

본 발명은 파렛트용 철재 프레임 및 그 프레임을 포함하는 소형 코일용 파렛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기둥부재를 이용하여 상호 결합시키되,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에 다수개의 기둥부재를 구성하여 철재 프레임의 전체적인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철재 프레임을 경량화하여 소형코일을 적재하여 보관, 운반 및 작업상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파렛트용 철재 프레임 및 그 프레임을 포함하는 소형 코일용 파렛트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frame for a pallet and a pallet for a small coil including the frame, and more particularly, to mutually combine an upper frame and a lower frame using a column member, a plurality of pieces between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A steel frame for pallets and its frame that can improve the overall strength of the steel frame by configuring the column member, and reduce the weight of the steel frame and load small coil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storage, transportation and work. It is a technology related to pallets for small coils.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파렛트(pallet)는 각종 적재물(소형 코일 등)이 지면에 긁히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보관용 받침대로 사용되고, 적재물이 적재된 상태에서 지게차로 운반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Pallets generally used in industrial sites are used as storage pedestals to prevent various loads (small coils, etc.) from being scratched or damaged on the ground, and have a structure that can be transported by a forklift while the loads are loaded.

이러한 파렛트는 용도에 따라 목재, 합성수지 및 금속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져 사용되고 있다. These pallets ar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wood, synthetic resin, and metal, depending on the use.

한편, 근래에는 파렛트에 적재물(소형 코일 등)이 적재될 시에 상기 적재물(소형 코일 등)의 무게에 대비하여 파렛트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철재 프레임 및 그 철재 프레임이 포함된 파렛트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구조 또한 다양하게 가변되어 사용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when a load (small coil, etc.) is loaded on a pallet, a steel frame that can improve the strength of the pallet in preparation for the weight of the load (small coil, etc.), and pallets including the steel frame It is being developed, and its structure is also varied and used in various ways.

우선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번호 제 10-1598550호(특) 다수개의 상판과, 상판의 하부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에 상판과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하판으로 이루어진 스틸 가드 우드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내측으로 상판이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

Figure pat00001
"자 형상의 제1보강부재와, 상기 하판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내측으로 하판이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
Figure pat00002
"자 형상의 제3보강부재와, 다수 개의 지지부재 중 양측 끝단부에 위치한 지지부재의 외측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부와 상,하부를 커버함으로써 상판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ㄷ"자 형상의 제2보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판과 하판은 양측 끝단부가 각각 제1,3보강부재의 양측 끝단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제1,3보강부재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외부 충격 발생시 돌출된 상판과 하판의 양측 끝단부가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양측 끝단부가 제2보강부재의 양측 끝단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제2보강부재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외부 충격 발생시 돌출된 지지부재의 양측 끝단부가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상판과 하판 중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상판 및 하판의 외측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3보강부재는 상판과 하판의 경사면에 대응되게 일측부가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며, 상기 제1,3보강부재의 서로 대응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의 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보강부재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다수 개의 돌기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폭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 중 중앙부에 위치하는 지지부재는 "Ⅰ"자 형상으로 형성된 제4보강부재의 양측부에 지지부재가 끼워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 가드 우드 파렛트에 관한 것이다.First, looking at the prior art, Registration No. 10-1598550 (special) A plurality of upper plates,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the upper plate, and a plurality of lower plate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member to correspond to the upper plate. In the steel guard wood pallet made of, it is installed so that the upper plate is inserted into the inner so that it is positioned under the upper plate.
Figure pat00001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in the shape of a ruler and the lower plate are installed so that the lower plate is inserted into the lower plate to be positioned under the lower plate"
Figure pat00002
A "c" shape that improves the support force of the upper plate by being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shape-shaped third reinforcing member and the support member located at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to cover the outer side and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upport memb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reinforcing member in the shape of, and the upper and lower plates are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and third reinforcing members so that both ends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opposite ends of the first and third reinforcing members, respectively, when an external shock occurs Both end portions of the protruding upper and lower plates are configured to act as a buffer, and the support member is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so that both end portions protrude outward from both ends of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Both end portions of the protruding support member are configured to act as a buffer, and inclined surfaces are formed on the outer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plates located at both edges among the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plates, and the first and third reinforcing members are the upper and lower plates. One side is inclinedly bent to correspond to the inclined surface of Steel guard wood, characterized in that a seating groove to be seated i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support member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support member is installed to fit the support member on both sides of the fourth reinforcing member formed in an “I” shape. It's about pallets.

상기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상판의 하부에 구비된 다수개의 지지부재에 보강부재를 구비하여 파렛트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중심적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상기 지지부재가 각파이프와 같은 솔리드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파렛트의 전체적인 무게가 증가할 수밖에 없으며, 제조 단가 상승 및 작업상의 효율성이 저하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Looking at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it is centrally described that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provided under the upper plate are provided with a reinforcing member to improve the rigidity of the pallet, but the support member has a solid shape such as a square pipe. As it is composed of , the overall weight of the pallet is inevitably increas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and the efficiency in operation is lowered.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상부프레임의 하부와 상기 상부프레임의 길이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하부프레임의 상부를 상호 마주하게 배치하고, 그 사이에 다수의 기둥부재를 구성한 후, 상기 상, 하부프레임과 기둥부재가 인접하는 부분을 용접하여 하나의 모듈화된 파렛트용 철재 프레임을 구성하여 철재임과 같은 내구성을 가질 수 있음과 동시에, 무게를 경량화 및 원재료를 절감시켜 경제적 효율성을 높이며 재활용이 가능한 파렛트용 철재 프레임 및 그 프레임을 포함하는 소형 코일용 파렛트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upper frame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upper part of the lower fram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length of the upper frame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After configuring a plurality of column members i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rames and the adjacent portions of the column members are welded to form one modular pallet steel frame, so that it can have the same durability as steel, and at the same time reduce the weight This was accomplished as a technical task with an emphasis on providing a steel frame for pallets that can be reused and reduced in weight and raw materials to increase economic efficiency and a small coil pallet including the frame.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베이스부(110, 210)와, 상기 베이스부(110, 210)의 양측 단부에 일측방향으로 각각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1절곡부(120, 220)로 구성되어 내측이 상호 마주하게 배치되는 상, 하부프레임(100, 200);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상기 상, 하부프레임(100, 200)의 사이에 상호 이격되게 다수개로 배치되며 인접하는 부분이 고정되게 구성되는 기둥부재(300); 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ase portions 110 and 210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upper side, and the both ends of the base portions 110 and 210 are bent in one direction to extend, respectively. Upper and lower frames (100, 200) which are formed of first bent portions (120, 220) and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 pillar member 300 having one side formed to be open and arranged in plurality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rames 100 and 200 and configured to have adjacent portions fix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technical feature.

상기 베이스(110, 210)에는 일정간격 이격되는 홈부(111, 211)가 형성되고, 상기 상, 하부프레임(100, 200)에는, 상기 각각의 제1절곡부(120, 220) 끝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2절곡부(130, 230)가 형성되되, 상기 제2절곡부(130, 230)가 상호 마주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기둥부재(300)는 전면의 상부 및 하부 일측에 상기 요부(111, 211)에 대응되는 홈부(311)가 각각 형성되는 몸체부(310)와, 상기 몸체부(310)의 양측단부로부터 각각 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1연장부(320)와, 상기 각각의 제1연장부(320) 끝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2연장부(330)가 형성되며 후면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상기 상, 하부프레임(100, 200)의 사이에 상호 이격되게 다수개로 배치되며 인접하는 부분이 용접되어 고정 구성되는 기둥부재(300); 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The bases 110 and 210 are formed with grooves 111 and 21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n the upper and lower frames 100 and 200 , the first bent portions 120 and 220, respectively, are formed inside from the ends. The second bent parts 130 and 230 formed to extend by bending are formed, and the second bent parts 130 and 230 are configur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pillar member 300 has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ront surface. A body portion 310 in which groove portions 311 corresponding to the recesses 111 and 211 are formed, respectively, and a first extension portion formed to extend by bending backward from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310, respectively ( 320)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330 formed to be bent inwardly and extended from the end of each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s 320 is formed and the rear surface is opened to form the upper and lower frames 100, A plurality of pillar members 300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configured to be fixed by welding adjacent portion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technical feature.

상기 요부(111, 211)와 홈부(311)는, 서로 마주하는 면이 직선 또는 곡선으로 형성되거나, 직선과 곡선의 조합으로 형성되고, 상기 요부(111, 211)는 하나 또는 다수개로 형성될 수가 있으며, 상기 홈부(311)는 상기 요부(211, 211)의 개수와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110, 210)에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부(110, 210)에서 내측으로 연장되게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굴곡지게 형성된 상, 하부에 상기 요부(111, 211)가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The recesses 111 and 211 and the groove 311 may be formed with a straight line or a curved line, or a combination of a straight line and a curved line, and the recessed portions 111 and 211 may be formed in one or multiple numbers. and the groove portion 311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the recess portions 211 and 211, and is formed in the base portions 110 and 210 in the vertical and vertical directions, and extends inward from the base portions 110 and 210. It is formed to be curved, and it is technically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ssed portions 111 and 211 are formed on the curved upper and lower portions.

상기 기둥부재(300)는, 각각의 상기 제1연장부(320)의 내측에는 하나 이상 다수의 굴곡부(321)가 형성되고, 상기 상, 하부프레임(100, 200)의 제2연장부(130, 230)는 마주하는 면이 상호 맞닿지 않게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In the pillar member 300 , one or more plurality of bent portions 321 are formed inside each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s 320 ,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s 130 of the upper and lower frames 100 and 200 are formed. , 230) is a technical feature that the facing surfaces are formed so as not to contact each other.

상기 파렛트용 철재 프레임을 이용한 파렛트로써, 한 쌍의 파렛트용 철재 프레임이 상호 이격되며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1지지프레임(1)이 구성되고, 다른 한 쌍의 파렛트용 철재 프레임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되 상기 제1지지프레임(1)과 다른방향으로 평행을 이루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1)의 상, 하부프레임(100, 200)과 각각의 기둥부재(300) 사이에 형성된 중공(j)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지지프레임(1)의 상부프레임(100) 하부와 인접되는 부분이 용접되어 고정되는 제2지지프레임(2)을 구성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As a pallet using the iron frame for the pallet, the first support frame (1) arranged so that a pair of iron frames for the palle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e parallel to each other is configured, and the other pair of Pallet steel frames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parallel to the first support frame (1) in a different direction, and the upper and lower frames (100, 200) of the first support frame (1) and each of the pillar members ( 300) is disposed in the hollow j formed between, and the portion adjacent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frame 100 of the first support frame 1 is welded to constitute a second support frame 2 fixed thereto. do it with

상기 제1지지프레임(1)을 구성하는 파렛트용 철재 프레임이 상호 마주하는 면 사이에는, 상기 제2지지프레임과 동일한 방향으로 평행을 이루는 한 쌍의 하부프레임(200)이 구성되되, 양측면이 상기 파렛트용 철재 프레임과 인접하는 부분이 용접되어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A pair of lower frames 200 that are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econd support frame are configured between the surfaces of the iron frame for pallet constituting the first support frame 1 which face each other, both sides of which are the It is technically characterized in that the part adjacent to the steel frame for the pallet is welded.

상기 제2지지프레임(2)의 상부 양측에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1)과 동일한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상부프레임(100)이 구성되며, 상기 상부프레임(100)의 상측이 제2지지프레임(2)에 구성된 상부프레임(100)의 상측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One or more upper frames 100 are configured on both upper sides of the second support frame 2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support frame 1, and the upper side of the upper frame 100 is a second support frame ( It is technicall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side of the upper frame 100 configured in 2).

상기 제1지지프레임(1)에 구성되는 기둥부재(300)는, 상기 제2지지프레임(2)에 구성된 기둥부재(300) 보다 상, 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The pillar member 300 configured in the first support frame 1 is technically characterized in that upper and lower lengths are longer than those of the pillar member 300 configured in the second support frame 2 .

상기 제2지지프레임(2)을 구성하는 파렛트용 철재 프레임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1)의 사이에 위치되는 기둥부재(300)보다 상기 제1지지프레임(1)의 외측에 위치되는 기둥부재(300)의 개수를 더 증가시켜 구성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The iron frame for pallet constituting the second support frame (2) is a column member positioned outside the first support frame (1) rather than the column member (300)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upport frames (1). It is a technical feature to configure by further increasing the number of (300).

본 발명에 따른 파렛트용 철재 프레임 및 그 프레임을 포함하는 소형 코일용 파렛트에 의하면, 파렛트의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파렛트를 구성하는 철재 프레임의 구조에 있어서 종래의 각파이프와 같이 완전히 일체형으로 형성되지 않고 상, 하부프레임과 그 사이에 다수의 기둥부재를 구성한 후 용접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각파이프로 구성된 프레임과 유사 또는 나무재질의 파렛트와 동일한 또는 더 뛰어난 내구성을 가질 수가 있어 장기간 사용 및 재활용이 가능함은 물론, 파렛트를 구성할 시, 각파이프를 사용하지 않고 프레임을 구성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할 수가 있어 경제적 효율성이 높은 유용한 발명이다.According to the steel frame for palle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allet for small coils including the frame, the original purpose of the pallet is maintained as it is, and at the same time, in the structure of the steel frame constituting the pallet, it is completely integrated as in the conventional square pipe. By constructing the upper and lower frames and a plurality of pillar members therebetween and then welding them, it is possible to have the same or superior durability to the frame composed of the square pipe or to a pallet made of wood material, so that i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and recycled. Of course, this is a useful invention with high economic efficiency because cost can be reduced by configuring the frame without using each pipe when constructing the pallet.

도 1은 본 발명의 파렛트용 철재 프레임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둥부재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파렛트용 철재 프레임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파렛트용 철재프레임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도 4의 a-a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둥부재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기둥부재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파렛트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지지프레임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지지프레임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확대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teel frame for palle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lumn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teel frame for palle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nlarged view
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teel frame for palle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a of FIG. 4 ;
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illar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illar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alle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irst support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an enlarged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econd support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 및 기둥부재(300)를 이용하여 상호 용접으로 결합시키되, 상기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 사이에 다수개의 기둥부재(300)를 구성하여 철재 프레임(10)의 전체적인 강도(내구성)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철재 프레임(10)을 종래의 각파이프로 구성된 프레임보다 경량화하여 소형 코일을 적재하여, 보관, 운반 및 작업상의 효율성을 향상 및 원료절감을 하여 경제적 효율성이 높은 파렛트용 철재 프레임 및 그 프레임을 포함하는 소형 코일용 파렛트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upper frame 100 and the lower frame 200 and the column member 300 to be coupled by welding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column members 300 between the upper frame 100 and the lower frame 200 . to improve the overall strength (durability) of the steel frame 10 by configuring the steel frame 10, and to make the steel frame 10 lighter than the conventional frame composed of each pipe to load small coils, storage, transport and operational efficiency Provided is a steel frame for pallets with high economic efficiency by improving and reducing raw materials, and a pallet for small coils including the frame.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preferred configurations and a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성을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상부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요부(111, 211)가 형성되는 베이스부(110, 210)와, 상기 베이스부(110, 210)의 양측 단부에 일측방향으로 각각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1절곡부(120, 220)와, 상기 각각의 제1절곡부(120, 220) 끝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2절곡부(130, 230)가 형성되되, 상기 제2절곡부(130, 230)가 상호 마주하도록 구성되는 상, 하부프레임(100, 200); 전면의 상부 및 하부 일측에 상기 요부(111, 211)에 대응되는 홈부(311)가 각각 형성되는 몸체부(310)와, 상기 몸체부(310)의 양측단부로부터 각각 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1연장부(320)와, 상기 각각의 제1연장부(320) 끝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2연장부(330)가 형성되며 후면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상기 상, 하부프레임(100, 200)의 사이에 상호 이격되게 다수개로 배치되며 인접하는 부분이 용접되어 고정 구성되는 기둥부재(300); 로 구성된다. First, before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1 to 5 for its configuration, the base portions 110 and 210 in which recesses 111 and 211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upper side, and the base portion ( The first bent portions 120 and 220 are respectively bent to extend in one direction at both ends of the 110 and 210, and the first bent portions 120 and 220 are bent inward from the ends to extend. Upper and lower frames 100 and 200 in which second bent portions 130 and 230 are formed, the second bent portions 130 and 230 are configured to face each other; A body portion 310 in which groove portions 311 corresponding to the recesses 111 and 211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ront, respectively, and formed to be bent backward from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310 to extend backward, respectively A first extension portion 320 which becomes the first extension portion 320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330 formed to be bent and extended inwardly from an end of each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s 320 are formed, and the rear surface is formed to be open, the upper surface , The lower frame (100, 200)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plurality, the adjacent portion is welded to the fixed configuration of the pillar member (300); is composed of

즉, 본 발명은 종래의 나무재질로 형성된 파렛트 또는 각파이프로 형성된 프레임과 동일 또는 유사한 내구성을 가질 수가 있으면서도, 나무 또는 금속재질의 프레임보다 무게를 경량화시키고, 원가를 절감시킬 수가 있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the same or similar durability as a frame formed of a conventional wooden pallet or square pipe, and can reduce weight and reduce cost compared to a wooden or metal frame.

상기 상, 하부프레임(100, 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100)의 하부와 하부프레임(200)의 상부가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되되,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절곡부(130, 230)이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구성되고, 그 사이에 상기 기둥부재(30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 구성하되, 상측과 하측이 상기 상, 하부프레임(100, 200)의 베이스부(110, 210)와 맞닿게 배치되고, 양측면이 상기 제2절곡부(130, 230)와 끝단과 맞닿게 배치된 후, 상기 제2절곡부(130, 230)와 기둥부재(300)의 인접한 부분을 선택적으로 용접하여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일체화된다. The upper and lower frames 100 and 200 are arranged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frame 10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200 face each other, more preferably, the second bending The parts 130 and 230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nd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lumn member 300 therebetween, and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frames 100 and 200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fter being placed in contact with the base portions 110 and 210, both sides of which are placed in contact with the second bent portions 130 and 230 and the ends, the second bent portions 130 and 230 and the pillar member 300) It is configured and integrated to be fixed by selectively welding adjacent parts of the

여기서, 상, 하부프레임(100, 200)의 베이스부(110, 210)에는 상부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요부(111, 211)가 형성되는데, 상기 요부(111, 211)는 기둥부재(300)의 홈부(311)와 대응되게 형성된다. Here, in the base portions 110 and 210 of the upper and lower frames 100 and 200 , recesses 111 and 211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recesses 111 and 211 are the pillar members 300 . It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groove portion 311 of the.

이때,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부(111, 211)와 홈부(311)는, 서로 마주하는 면이 직선 또는 곡선으로 형성되거나, 직선과 곡선의 조합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110, 210)에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부(110, 210)에서 내측으로 연장되게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굴곡지게 형성된 상, 하부에 상기 요부(111, 211)가 형성된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2 to 4 , the recessed portions 111 and 211 and the groove portion 311 are formed with a straight line or a curved line, or a combination of a straight line and a curved line, and the base. The parts 110 and 210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re curved to extend inwardly from the base parts 110 and 210, and the recessed parts 111 and 211 ar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urved portions.

다시 말해, 상기 요부(111, 211)가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시, 상기 홈부(311)도 그와 대응되게 형성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부(111, 211)가 반원호 형상이 아닌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시, 상기 홈부(311)도 그와 대응되게 형성된다. In other words, when the recesses 111 and 211 are formed in a semicircular arc shape, the groove 311 is also formed to correspond thereto, and as shown in FIG. 7 , the recesses 111 and 211 have a semicircular arc shape. When formed in a shape other than this, the groove portion 311 is also formed to correspond thereto.

이러한 요부(111, 211)와 홈부(311)의 맞물려지는 구조는 상기 상,하부프레임(100, 200)의 사이에 기둥부재(300)가 끼워짐에 있어서 안정적인 고정력을 가질 수가 있음과 더불어, 상기 요부(111, 211)를 형성함으로써, 상, 하부프레임(100, 200)에 자체적인 내구성을 가질 수가 있게 된다. The structure in which the recesses 111 and 211 and the groove 311 are engaged can have a stable fixing force when the column member 300 is fit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rames 100 and 200, and the By forming the recesses 111 and 211, the upper and lower frames 100 and 200 can have their own durability.

또한, 상기 요부(111, 211)는 하나 또는 다수개로 형성될 수가 있고, 상기 홈부(311)는 상기 요부(211, 211)의 개수와 대응되게 형성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요부(111, 211)와 홈부(311)가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시 두개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고, 상기 요부(111, 211)와 홈부(311)가 반원호형상이 아닐 시, 하나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며, 필요에 따라서 삼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써 한정짓지 아니한다. In addition, the recesses 111 and 211 may be formed in one or a plurality, and the groove 311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the recesses 211 and 211,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sses 111 and 211 are formed. and the groove 311 are shown to be formed in two when formed in a semi-circular arc shape, and when the recesses 111 and 211 and the groove 311 are not in a semi-circular arc shape, they are shown to be formed as one, and if necessary Therefore, it is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triangular shape, and is not limited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기둥부재(3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 하부프레임(100, 200) 사이에 형성되고 전면 상, 하부에 상기 상, 하부프레임(100, 200)의 요부(111, 211)와 맞닿으며 끼워지는 홈부(311)이 형성되는 베이스부(110)가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부(110)의 양측에서 후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1연장부(320)와, 상기 제1연장부(320)의 끝단에서 내측방향으로 꺾임되어 연장되는 제2연장부(330)가 형성되어, 상, 하부프레임(100, 200)의 사이에 배치 구성된다. The pillar member 300 is form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rames 100 and 200, and is form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rames 100 and 200, and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frames 100 and 200 as shown in FIGS. 2 to 4 . A first extension portion 320 formed to extend in the rear direction from both sides of the base portion 110 is constituted by a base portion 110 in which a groove portion 311 to be fitt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111 and 211 is formed, and , a second extension portion 330 extending by being bent inward from the end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320 is formed, and dis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rames 100 and 200 .

이때, 상기 기둥부재(300)가 사이에 구성되어 하나의 철재프레임(10)을 구성할 시,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 하부프레임(100, 200)의 제2절곡부(130, 230)는 사로 맞닿지 않고 이격되게 형성되어 공간이 마련되는데, 상기 공간의 경우 추후 용접의 편리성을 위한 구조이다. At this time, when the pillar member 300 is interposed to constitute one iron frame 10, as shown in FIG. 3 or FIG. 4, the second bending of the upper and lower frames 100 and 200 The parts 130 and 230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out being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provide a space, which is a structure for the convenience of welding later.

또한, 상기 상, 하부프레임(100, 200)의 제2절곡부(130, 230)는 본 발명에서는 전체적으로 서로 맞닿지 않고 상하부로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 상기 제2절곡부(130, 230)의 전체적으로 맞닿게 형성하여, 제2절곡부(130, 230)가 인접하는 부분을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용접할 수가 있으며, 제2절곡부(130, 230)의 일부분만 맞닿게 형성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써 한정짓지 아니한다. In addition, although the second bent portions 130 and 230 of the upper and lower frames 100 and 200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as being dispos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without being in contact with each other as a whole in the present invention, if necessary, the second bent portions By forming the (130, 230) in full contact, the adjacent portions of the second bent portions (130, 230) can be welded in whole or in part, and only a portion of the second bent portions (130, 230) are formed in contact. may b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둥부재(300)는, 각각의 상기 제1연장부(320)의 내측에는 하나 이상 다수의 굴곡부(321)가 형성되고, 상기 상, 하부프레임(100, 200)의 제2연장부(130, 230)는 마주하는 면이 상호 맞닿지 않게 형성된다. Here, as shown in FIG. 6 , in the pillar member 300 , one or more plurality of bent portions 321 are formed inside each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s 320 , and the upper and lower frames 100 , 200) of the second extension (130, 230) is formed so that the facing surfaces do not contact each other.

이러한 상기 굴곡부(321)는 기둥부재(300)의 전체적인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The bent portion 321 can further improve the overall durability of the pillar member 300 .

또한, 상기 기둥부재(300)는 제2절곡부(330)의 끝단이 서로 마주하되 그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기둥부재(300)의 후방에 자연스레 개방된 형태를 취하고 있는데 이렇나 기둥부재(300)의 구조는 내부공간과 더불어 일측을 절개하여 상, 하부프레임(100, 200)의 안정적 지지와 더불어 무게 경량화와 원재료 절감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이다. In addition, the pillar member 300 has the ends of the second bent portion 330 facing each other, but a space is formed therebetween to take a naturally open shape at the rear of the pillar member 300 . The structure of 300 is a structure for stably supporting the upper and lower frames 100 and 200 by cutting one side together with the inner space, as well as reducing weight and reducing raw materials.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철재 프레임(10)을 이용하여 파렛트를 구성할 수가 있는데, 그 구성을 보면, 도 8 내지 도 10를 참고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pallet can be configured using the iron fram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th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0 as follows.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파렛트용 철재 프레임이 상호 이격되며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1지지프레임(1)이 구성되고, 다른 한 쌍의 파렛트용 철재 프레임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되 상기 제1지지프레임(1)과 다른방향으로 평행을 이루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1)의 상, 하부프레임(100, 200)과 각각의 기둥부재(300) 사이에 형성된 중공(j)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지지프레임(1)의 상부프레임(100) 하부와 인접되는 부분이 용접되어 고정되는 제2지지프레임(2)을 구성된다. First, as shown in FIG. 8, the first support frame 1 is configured such that a pair of iron frames for pallet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ranged to be parallel, and the other pair of iron frames for pallets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hollow j form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rames 100 and 200 of the first support frame 1 and each of the pillar members 300 parallel to the first support frame 1 in a different direction. and a second support frame 2 to which a portion adjacent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frame 100 of the first support frame 1 is welded and fixed.

즉, 다수의 철재 프레임(10)을 이용하여 코일을 적재한 후, 운반, 보관 시 사용하는 파렛트를 구성하며, 종래의 나무재질의 파렛트 또는 각파이프로 구성된 파렛트와 동일 또는 유사한 내구성을 가짐과 아울러, 무게를 경량화시킬 수가 있으며, 원재료 절감을 도모하여 경제적 효율성을 높임과 아울러, 재활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That is, after loading the coil using a plurality of steel frames 10, it constitutes a pallet used for transport and storage, and has the same or similar durability as a conventional wooden pallet or a pallet composed of each pipe. , the weight can be reduced, and the economic efficiency is increased by reducing raw materials, a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recycled.

여기서, 도 8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프레임(1)을 구성하는 파렛트용 철재 프레임이 상호 마주하는 면 사이에는, 상기 제2지지프레임과 동일한 방향으로 평행을 이루는 한 쌍의 하부프레임(200)이 구성되되, 양측면이 상기 파렛트용 철재 프레임과 인접하는 부분이 용접되어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1지지프레임(1)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다. Here, as shown in FIG. 8 or FIG. 9 , between the surfaces of the pallet steel frames constituting the first support frame 1 facing each other, a pair of parallel to the second support fram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econd support frame. of the lower frame 200 is configured, by welding both sides of which are adjacent to the iron frame for the pallet, the durability of the first support frame 1 can be further improved.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프레임(2)의 상부 양측에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1)과 동일한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상부프레임(100)이 구성되어, 소형 코일이 제1지지프레임(1)에 맞닿지 않는 다른 부분이 상기 제2지지프레임(2)의 상부프레임(100)에 맞닿도록 하여 적재 후 운반 중 흔들림으로부터 안정성을 확보할 수가 있으며, 실질적으로 운반 시 상기 상부프레임(100)이 구성된 제2지지프레임(2)의 하부 양측에 맞닿아 들어올려짐으로써, 그 부분의 내구성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0, on both upper sides of the second support frame 2, one or more upper frames 100 are configur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support frame 1, so that a small coil is produced. It is possible to secure stability from shaking during transportation after loading by making the other part that does not contact the first support frame 1 contact the upper frame 100 of the second support frame 2, and substantially the upper portion during transportation. By raising the frame 100 in contact with the lower both sides of the configured second support frame 2,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portion.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100)의 상측이 제2지지프레임(2)에 구성된 상부프레임(100)의 상측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파렛트의 상부에 적재되는 소형 코일의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안정적인 적재를 도모할 수가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frame 100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side of the upper frame 100 configured in the second support frame 2, so that the small coil loaded on the upper part of the pallet can be leveled. This makes it possible to achieve stable loading.

여기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프레임(1)에 구성되는 기둥부재(300)는, 상기 제2지지프레임(2)에 구성된 기둥부재(300) 보다 상, 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제2지지프레임(2)이 원활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하여 다수의 철재 프레임(10)을 이용하여 팔렛트를 형성할 시, 편리성을 부여할 수가 있다. Here, as shown in FIG. 10 , the column member 300 configured in the first support frame 1 has upper and lower lengths longer than the column member 300 configured in the second support frame 2 . It is formed to be long, so that the second support frame 2 can be smoothly drawn in,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when forming a pallet using a plurality of iron frames 10 .

또한, 도 10에 도시된 봐와 같이 상기 제2지지프레임(2)을 구성하는 파렛트용 철재 프레임(10)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1)의 사이에 위치되는 기둥부재(300)보다 상기 제1지지프레임(1)의 외측에 위치되는 기둥부재(300)의 개수를 더 증가시켜 구성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지지프레임(2)의 양측의 하부가 들어올려짐에 따라 상기 상부프레임(100)과 더불어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다수의 기둥부재(300)들이 좁은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성하거나, 다수의 기둥부재(300)를 서로 맞닿게 배치 구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 the iron frame 10 for pallet constituting the second support frame 2 is higher than the column member 300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upport frames 1 . By further increasing the number of pillar members 300 position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support frame 1, the upper frame ( 100) together with a plurality of pillar members 300 to be spaced apart at a narrow interval to increase durability, or a plurality of pillar members 300 may be arranged and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used.

본 발명에 따른 파렛트용 철재 프레임 및 그 프레임을 포함하는 코일용 파렛트에 의하면, 파렛트의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파렛트를 구성하는 철재 프레임의 구조에 있어서 종래의 각파이프와 같이 완전히 일체형으로 형성되지 않고 상, 하부프레임과 그 사이에 다수의 기둥부재를 구성한 후 용접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각파이프로 구성된 프레임과 유사 또는 나무재질의 파렛트와 동일한 또는 더 뛰어난 내구성을 가질 수가 있어 장기간 사용 및 재활용이 가능함은 물론, 파렛트를 구성할 시, 각파이프를 사용하지 않고 프레임을 구성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할 수가 있어 경제적 효율성이 높은 유용한 발명이다.According to the steel frame for palle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allet for coils including the frame, the original purpose of the pallet is maintained as it is, and at the same time, in the structure of the steel frame constituting the pallet, it is formed in a completely integrated form like the conventional square pipe. By constructing the upper and lower frames and a plurality of column members between them and then welding them, it can have the same or superior durability as the frame composed of the square pipe or the same or superior to that of a wooden pallet, so that long-term use and recycling is possible. Of course, when constructing a pallet, by constructing a frame without using each pipe, the cost can be reduced, which is a useful invention with high economic efficiency.

1 : 제1지지프레임 2 : 제2지지프레임
10 : 파렛트용 철재 프레임
100 : 상부프레임
110 : 베이스부 111 : 요부
120 : 제1절곡부 130 : 제2절골부
200 : 하부프레임
210 : 베이스부 211 : 요부
220 : 제1절곡부 230 : 제2절골부
300 : 기둥부재
310 : 몸체부 311 : 홈부
320 : 제1연장부 321 : 절곡부
330 : 제2연장부 j : 중공
1: first support frame 2: second support frame
10: Pallet steel frame
100: upper frame
110: base part 111: recessed part
120: first bent part 130: second bent part
200: lower frame
210: base portion 211: recess
220: first bent part 230: second bent part
300: column member
310: body portion 311: groove portion
320: first extension 321: bent part
330: second extension j: hollow

Claims (9)

상부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베이스부(110, 210)와, 상기 베이스부(110, 210)의 양측 단부에 일측방향으로 각각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1절곡부(120, 220)로 구성되어 내측이 상호 마주하게 배치되는 상, 하부프레임(100, 200);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상기 상, 하부프레임(100, 200)의 사이에 상호 이격되게 다수개로 배치되며 인접하는 부분이 고정되게 구성되는 기둥부재(30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용 철재 프레임.
The base portions 110 and 210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and the first bent portions 120 and 220 are respectively bent in one direction at both ends of the base portions 110 and 210 to extend. The upper and lower frames 100 and 200 are configured to face each other;
a pillar member 300 having one side formed to be open and arranged in plurality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rames 100 and 200 and configured to have adjacent portions fixed; A steel frame for pallet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10, 210)에는 일정간격 이격되는 홈부(111, 211)가 형성되고,
상기 상, 하부프레임(100, 200)에는, 상기 각각의 제1절곡부(120, 220) 끝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2절곡부(130, 230)가 형성되되, 상기 제2절곡부(130, 230)가 상호 마주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기둥부재(300)는 전면의 상부 및 하부 일측에 상기 요부(111, 211)에 대응되는 홈부(311)가 각각 형성되는 몸체부(310)와, 상기 몸체부(310)의 양측단부로부터 각각 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1연장부(320)와, 상기 각각의 제1연장부(320) 끝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2연장부(330)가 형성되며 후면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상기 상, 하부프레임(100, 200)의 사이에 상호 이격되게 다수개로 배치되며 인접하는 부분이 용접되어 고정 구성되는 기둥부재(30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용 철재 프레임.
The method of claim 1,
The bases (110, 210) are formed with grooves (111, 21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upper and lower frames 100 and 200, second bent portions 130 and 230 formed to extend inwardly from the ends of the respective first bent portions 120 and 220 are formed. The two bent portions 130 and 230 are configured to face each other,
The pillar member 300 has a body portion 310 in which groove portions 311 corresponding to the recesses 111 and 211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ront, respectively, and from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310 , respectively. A first extension portion 320 formed to be bent and extended backwards,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330 formed to be bent and extended inwardly from an end of each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s 320 are formed, and the rear surface is The pillar member 300 is formed to be open and is arranged in a plurality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rames 100 and 200, and the adjacent portions are welded to be fixed; A steel frame for pallet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요부(111, 211)와 홈부(311)는,
서로 마주하는 면이 직선 또는 곡선으로 형성되거나, 직선과 곡선의 조합으로 형성되고,
상기 요부(111, 211)는 하나 또는 다수개로 형성될 수가 있으며,
상기 홈부(311)는 상기 요부(211, 211)의 개수와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110, 210)에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부(110, 210)에서 내측으로 연장되게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굴곡지게 형성된 상, 하부에 상기 요부(111, 2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용 철재 프레임.
3. The method of claim 2,
The recesses 111 and 211 and the groove 311 are,
Faces facing each other are formed by a straight line or a curved line, or a combination of a straight line and a curved line,
The recesses (111, 211) may be formed in one or a plurality,
The groove portion 311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the recessed portions 211 and 211,
The base portions 110 and 210 are formed in the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to extend inwardly from the base portions 110 and 210 and are curved, and the recessed portions 111 and 211 are formed on the curved upper and lower portions. A steel frame for pallets, characterized in that it become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재(300)는,
각각의 상기 제1연장부(320)의 내측에는 하나 이상 다수의 굴곡부(321)가 형성되고,
상기 상, 하부프레임(100, 200)의 제2연장부(130, 230)는 마주하는 면이 상호 맞닿지 않게 형성되는 파렛트용 철재 프레임.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illar member 300,
One or more plurality of bent portions 321 are formed on the inside of each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s 320,
The second extension (130, 230) of the upper and lower frames (100, 200) is an iron frame for pallets which are formed so that the facing surfaces do not contact each other.
한 쌍의 파렛트용 철재 프레임이 상호 이격되며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1지지프레임(1)이 구성되고,
다른 한 쌍의 파렛트용 철재 프레임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되 상기 제1지지프레임(1)과 다른방향으로 평행을 이루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1)의 상, 하부프레임(100, 200)과 각각의 기둥부재(300) 사이에 형성된 중공(j)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지지프레임(1)의 상부프레임(100) 하부와 인접되는 부분이 용접되어 고정되는 제2지지프레임(2)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용 철재 프레임이 포함된 파렛트.
A pair of pallet steel fram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first support frame (1) arranged to be parallel is configured,
Another pair of pallet steel frames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parallel to the first support frame 1 in a different direction, respectively, with the upper and lower frames 100 and 200 of the first support frame 1 , respectively. It is disposed in the hollow j formed between the pillar members 300 of the first support frame 1, and a portion adjacent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frame 100 of the first support frame 1 is welded to form a second support frame 2 fixed thereto. Pallet with a steel frame for pallets, characterized in that.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1)을 구성하는 파렛트용 철재 프레임이 상호 마주하는 면 사이에는,
상기 제2지지프레임과 동일한 방향으로 평행을 이루는 한 쌍의 하부프레임(200)이 구성되되, 양측면이 상기 파렛트용 철재 프레임과 인접하는 부분이 용접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용 철재 프레임을 포함하는 소형 코일용 파렛트.
6. The method of claim 5,
Between the surfaces facing each other the iron frame for pallet constituting the first support frame (1),
A pair of lower frames 200 that are parallel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econd support frame are configured, and both sides of the iron frame for pallets are welded and adjacent to the steel frame for pallet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Pallet for small coils to do.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프레임(2)의 상부 양측에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1)과 동일한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상부프레임(100)이 구성되며,
상기 상부프레임(100)의 상측이 제2지지프레임(2)에 구성된 상부프레임(100)의 상측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용 철재 프레임을 포함하는 소형 코일용 파렛트.
6. The method of claim 5,
On both upper sides of the second support frame (2),
One or more upper frames 100 are configur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support frame 1,
The upper side of the upper frame 100 is a small coil pallet including a steel frame for pallet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ide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side of the upper frame 100 configured in the second support frame (2).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1)에 구성되는 기둥부재(300)는,
상기 제2지지프레임(2)에 구성된 기둥부재(300) 보다 상, 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용 철재 프레임을 포함하는 소형 코일용 파렛트.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illar member 300 configured in the first support frame 1 is,
A small-sized coil pallet including a steel frame for pallet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and lower lengths are longer than the column members 300 configured in the second support frame (2).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프레임(2)을 구성하는 파렛트용 철재 프레임(10)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1)의 사이에 위치되는 기둥부재(300)보다 상기 제1지지프레임(1)의 외측에 위치되는 기둥부재(300)의 개수를 더 증가시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용 철재 프레임을 포함하는 소형 코일용 파렛트.


6. The method of claim 5,
The iron frame 10 for pallets constituting the second support frame 2,
Pallet,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the column members 300 position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support frame (1) is further increased than the column members (300)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upport frames (1) Pallet for small coils with steel frame for use.


KR1020210028367A 2021-03-03 2021-03-03 Steel frame for pallets and pallet for small coils including the frame KR2022012455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367A KR20220124553A (en) 2021-03-03 2021-03-03 Steel frame for pallets and pallet for small coils including the fr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367A KR20220124553A (en) 2021-03-03 2021-03-03 Steel frame for pallets and pallet for small coils including the fr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4553A true KR20220124553A (en) 2022-09-14

Family

ID=83279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8367A KR20220124553A (en) 2021-03-03 2021-03-03 Steel frame for pallets and pallet for small coils including the fr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455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1239B2 (en) Reinforced plastic pallet
US3610173A (en) Plastic pallet
AU687818B2 (en) Plastic pallet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311280A (en) Reversible pallet
US20060096508A1 (en) Modular pallet
US7841471B2 (en) Supporting structure for storing and handling so-called “barriques”
US2306752A (en) Sheet metal pallet construction
KR101142304B1 (en) Pallet having guard frame
KR100842801B1 (en) The pallette in kit form
KR20220124553A (en) Steel frame for pallets and pallet for small coils including the frame
KR102608135B1 (en) Large coil pallet using steel frame
JP4012555B2 (en) Stackable shelf structure
KR20220124559A (en) Steel frame for pallet
KR102536239B1 (en) Pallet with improved strength
JP5060379B2 (en) Pallet support shelf
US2109784A (en) Industrial platform
KR101680773B1 (en) Prefabricated pallet
KR102209704B1 (en) Prefab pallet with adjustable height
KR102151311B1 (en) Assembly type stacking rack
KR101610910B1 (en) Multipurpose steel pallets
US1782146A (en) Portable platform
KR100714398B1 (en) Sectional plastic pallet
JP2563753B2 (en) Transport container
KR200204124Y1 (en) Block made of steel for multi used
KR102611762B1 (en) Pallet for stacking art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