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4457A - Smart system for stress measure and management - Google Patents

Smart system for stress measure and manag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4457A
KR20220124457A KR1020210028073A KR20210028073A KR20220124457A KR 20220124457 A KR20220124457 A KR 20220124457A KR 1020210028073 A KR1020210028073 A KR 1020210028073A KR 20210028073 A KR20210028073 A KR 20210028073A KR 20220124457 A KR20220124457 A KR 20220124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ss
management
model
data
smar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80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현경
전혜정
김대은
백준상
주수산나
이창민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28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4457A/en
Publication of KR20220124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445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Bio-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64Classification of physiological signals or data, e.g. using neural networks, statistical classifiers, expert systems or fuzzy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sychia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syc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uzzy Systems (AREA)
  • Nursing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 system for stress measurement and management, which may collect stress data, extract patterns which analyzed the stress data, generate a feedback model for a control sequence generation model of a smart device learned using the extracted data through user and sensor data collection, obtain the control sequence generation model by additional learning for individual users based on the feedback model, and detect and manage the adolescent stress early.

Description

스트레스 측정 및 관리 스마트 시스템{Smart system for stress measure and management}Stress measurement and management smart system {Smart system for stress measure and management}

본 발명은 스트레스 측정 및 관리 스마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청소년 맞춤 스트레스 측정 및 관리 스마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ess measurement and management smart system, and to a youth customized stress measurement and management smart system.

한국의 청소년기(13-24세) 학생들은 과도한 입시경쟁과 불투명한 미래에 대한 고민으로 인해 일상적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다. 청소년기 스트레스는 우울, 불안, 비행행동, 중독, 자살생각을 높이고 학교생활 적응을 낮출 뿐 아니라 이후 성인기의 신체 건강 및 정신건강에까지 종단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청소년기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것은 청소년 시기와 이후 발달을 위해 필수적이다.Korean adolescents (13-24 years old) are exposed to daily stress due to excessive competition for entrance exams and worries about an uncertain future. It is known that adolescent stress not only increases depression, anxiety, delinquency, addiction, and suicidal thoughts, but also lowers school adaptation, and has a longitudinal effect on physical and mental health in later adulthood. essential for later development.

이에 학계나 산업계에서는 스트레스를 측정하고 관리하기 위한 시도들이 이루어졌으나, 청소년기 특성이나 뇌 발달적 특성에 주목하여 신경생리학적 기제를 반영한 스트레스 측정, 관리 프로그램은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자기보고 형식의 설문지나 실험 상황에서의 측정으로 현실의 스트레스 변화 양상을 실질적으로 반영하지 못하고, 신뢰도나 타당도가 다소 결여되어 있다.Accordingly, attempts have been made in academia and industry to measure and manage stress, but stress measurement and management programs that reflect neurophysiological mechanisms by focusing on adolescent characteristics and brain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re insufficient. In addition, self-report questionnaires or measurements in experimental situations do not reflect the actual stress change pattern in reality, and reliability or validity is somewhat lacking.

반면 생체신호에 기반을 둔 스트레스 측정 기술은 주관적 인식을 넘어선 객관적 지표로서 스트레스 수준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특히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을 통한 스트레스 측정은 1) 인간의 다양한 스트레스에 관한 반응을 효율적으로 양적 모델링을 할 수 있으며 2) 이러한 데이터를 근거로 개인의 스트레스에 관한 변화 양상을 실증적으로 예측할 수 있고 3) 이를 통해 스트레스가 만성적 질환으로 악화되기 전 조기에 진단하고 그 변화 양상을 증거 기반을 통해 과학적인 예측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인공지능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청소년의 스트레스를 조기에 감지하고 관리할 수 있는 청소년 맞춤 스트레스 스마트 디바이스와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stress measurement technology based on biosignals can monitor the stress level as an objective indicator that goes beyond subjective perception. In particular, stress measurement through machine learning can 1) efficiently quantitatively model human responses to various stresses, and 2) empirically predict changes in individual stress based on these data. 3)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diagnose stress at an early stage before it worsens into a chronic disease and to make scientific predictions based on the evidence-based change patter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tress smart device and system tailored to adolescents that can detect and manage adolescent stress at an early stage by apply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machine learning algorithm.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9-0092691호 (2019.08.08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92691 (published on August 8, 2019)

본 발명의 목적은 청소년의 스트레스를 조기에 감지하고 관리할 수 있는 청소년 맞춤 스트레스 측정 및 관리 스마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mart system for measuring and managing youth customized stress that can detect and manage youth stress earl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측정 및 관리 스마트 시스템은 스트레스 데이터 수집과 이를 분석한 패턴을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된 스마트 디바이스의 제어 시퀀스 생성 모델에 대한 피드백 모델을 사용자 및 센서 데이터 수집을 통해 생성하고, 상기 피드백 모델을 기반으로 상기 제어 시퀀스 생성 모델을 개별 사용자에 대해 추가 학습하여 획득된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tress measurement and management sma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tracts the stress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pattern, and uses the extracted data to learn about the control sequence generation model of the smart device. It is obtained by generating a feedback model through user and sensor data collection, and further learning the control sequence generation model for each user based on the feedback model.

상기 스트레스 측정 및 관리 스마트 시스템은 시계열 데이터 누적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 관리 및 스트레스 스코어링 결과 생성하고, 생성된 스트레스 스코어링 결과에 따라 스트레스 만성화 및 관련 위험을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The stress measurement and management smart system may generate stress coping, management, and stress scoring results according to time series data accumulation, and may warn the user of chronic stress and related risks according to the generated stress scoring results.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측정 및 관리 스마트 시스템은 스마트 기기사용에 익숙한 청소년들이 스트레스를 일상적으로 측정하고 관리할 수 있게 도움으로써 청소년 개인의 정신건강 문제 혹은 청소년기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자해나 자살을 예방하여, 삶의 질을 증진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stress measurement and management sma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lps adolescents who are accustomed to using smart devices to measure and manage stress on a daily basis. I can prevent suicide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도 1은 스트레스 측정 및 관리 스마트 시스템 구축 방법을 나타낸다.
도 2는 스트레스를 측정할 수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시퀀스 생성 모델을 활용한 시계열 데이터 예측 예를 나타낸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입력 신호 처리를 위한 인공 신경망과 결과 생성을 위한 인공 신경망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피드백 신호를 통한 시퀀스 교정 예를 나타낸다.
1 shows a method of constructing a stress measurement and management smart system.
2 shows an example of a smart device capable of measuring stress.
3 shows an example of time series data prediction using a sequence generation model.
4 and 5 show an example of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for processing an input signal and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for generating a result, respectively.
6 shows an example of sequence calibration through a feedback signal.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describ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indicate the same member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does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meaning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In addition, terms such as "... unit", "... group", "module", and "block"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is hardware, software, or hardware. and a combination of software.

통상적으로 스트레스 관리는 심리치료사나 상담사, 의학적 클리닉 셋팅에서 마련된 센터를 클라이언트가 방문함으로써 전문가와의 1:1 만남을 통해 사회적 서비스 형태로 관리되는 전문가 모델에 기반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진은 일상생활 속에서 스트레스를 감지하고 관리하도록 하기 위해 스마트 시스템과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스트레스 감지 및 관리에 있어 시간, 공간적인 자유도를 포함하고, 무엇보다 이용자의 상태에 특화된 개별화된 스트레스 상황 판단 및 상황에 따른 피드백을 순차적으로 맞춤 제공하여야 한다. 이는 1) 일상생활에서 착용할 수 있는 센서를 탑재한 스마트 디바이스, 2) 스트레스 측정 모델 개발 및 탑재, 3) 스트레스 관리 및 대처 행동 추천 생성, 4) 피드백 기반 개별 맞춤 시퀀스 생성과 같은 네 개 부분을 포함하며,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로 시스템이 구축된다. 본 시스템은 상기 기능을 포함하여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스트레스 측정 및 스트레스 수준 알람 제공과 학습 데이터를 이용한 스트레스 대처에 관한 피드백 제공을 통한 맞춤형 스트레스 관리 솔루션 제공을 목표로 한다.In general, stress management is based on a professional model in which a client visits a center prepared in a psychotherapist, counselor, or medical clinic setting and manages it in the form of a social service through one-on-one meeting with an expert. However, this research team intends to utilize smart systems and smart devices to detect and manage stress in daily life.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include time and spatial freedom in stress detection and management, and above all, to provide personalized judgment of stress situations specialized for the user's condition and feedback according to the situation sequentially. It consists of four parts: 1) a smart device equipped with a sensor that can be worn in daily life, 2) developing and mounting a stress measurement model, 3) generating a recommendation for stress management and coping behavior, and 4) creating an individually customized sequence based on feedback. Including, the system is built with the following process. This system aims to provide a customized stress management solution through the provision of stress measurement and stress level alarm using smart devices, including the above functions, and feedback on stress coping using learning data.

도 1은 스트레스 측정 및 관리 스마트 시스템 개발 과정을 나타낸다.1 shows the process of developing a stress measurement and management smart system.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측정 및 관리 스마트 시스템은 다음의 과정을 통해 개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stress measurement and management smar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develop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1. 일상생활에서 착용할 수 있는 센서를 탑재한 스마트 디바이스1. A smart device equipped with a sensor that can be worn in daily life

도 2는 스트레스를 측정할 수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다.2 shows an example of a smart device capable of measuring stress.

도 2에 도시된 스마트 디바이스는 1) 및 2)의 구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The smart device shown in FIG. 2 can be viewed as including the configurations 1) and 2).

1) 스트레스 측정 센서를 포함한 스마트 디바이스: 스마트 디바이스가 착용하는 사람의 피부 표면 접촉을 통해 측정할 수 있는 Heart Rate Variability나 표면 온도, 맥박과 같은 스트레스 지표 측정 센서를 포함한다. 1) Smart device with stress sensor: Includes sensors that measure heart rate variability, surface temperature, and pulse, which can be measured through the wearer's skin surface contact with the smart device.

2) 신호처리시스템: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얻어지는 실시간 센서 정보를 수집하여 가공하는 부분, 지정된 모델에 따라 피드백 신호를 발생하는 부분, 이전 스트레스 정보를 기록하는 부분, 그리고 외부 시스템과의 통신부를 포함한다. 2) Signal processing system: includes a part that collects and processes real-time sensor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system, a part that generates a feedback signal according to a specified model, a part that records previous stress information, and a communication part with an external system.

2. 스트레스 측정 모델 개발 및 탑재2.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stress measurement model

위에서 선정된 스마트 시스템을 통해 스트레스에 관한 표본 데이터를 수집한다. 개인의 스트레스 상황/비 스트레스 상황에 따른 스트레스 반응 패턴을 사전에 알려진 심장 박동의 변화나 생체 반응 변화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실제 센서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여 표준데이터를 수립한다. 해당 데이터를 통해 스트레스 상황별 스트레스 반응 범위 및 강도에 따른 생체 지표 변화 패턴을 학습하고 모델화한다.Sample data on stress is collected through the smart system selected above. Standard data is established by analyzing the stress response pattern according to the individual's stressful/non-stressed situation based on previously known information on changes in heart rate or changes in biological responses using real sensors. Through the data, it learns and models the biomarker change pattern according to the stress response range and intensity for each stress situation.

3. 스트레스 관리 및 대처 행동 추천 생성3. Create Stress Management and Coping Behavior Recommendations

1) 스트레스 대처 알림: 스트레스 측정 모델은 사용자의 상태에 맞춰 초기 세팅을 진행되며, 과거의 스트레스 정보를 기록하고, 스트레스가 특정 수준 이상이 되면 적절한 대처 행동 알림을 통해 스트레스 대처 행동을 유도 및 지도한다. 이 시스템의 목적은 스트레스 감지 알람을 주는 것으로, 센싱 정보를 활용하여 정상 범주를 벗어나는 심리적 고통이나 만성적 스트레스 축적을 예방함과 동시에 생체 신호의 정상치를 벗어나는 패턴을 추출하여 해당 사용자의 문제 상황에의 경고와 직접적으로 연결 가능하다. 1) Stress Coping Reminder: The stress measurement model proceeds with initial settings according to the user's condition, records past stress information, and induces and guides stress coping behavior through notification of appropriate coping behavior when stress exceeds a certain level. . The purpose of this system is to provide a stress detection alarm. It uses the sensed information to prevent psychological pain or chronic stress accumulation outside of the normal range, and at the same time extracts a pattern that deviates from the normal value of the biosignal to alert the user to the problem situation. can be directly connected with

2) 개인별 최적화: 개인의 최초 입력 정보 및 초기 스트레스 측정 데이터와 센싱 정보를 획득하여, 개인 상태를 파악한다. 이를 토대로 스트레스 주기와 강도를 학습을 통해 관리하고, 적절한 스트레스 대처 행동을 추천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실제 수집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패턴에 따라 만족도가 높은 대처 행동 종류 및 구성 추천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2) Individual optimization: Acquire the individual's initial input information, initial stress measurement data, and sensing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individual's condition. Based on this, it includes a function to manage the stress cycle and intensity through learning and to recommend appropriate stress coping behavior.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commend the type and composition of coping behavior with high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user's pattern based on the actual collected information.

도 3은 시퀀스 생성 모델을 활용한 시계열 데이터 예측 예를 나타낸 것으로, ARIMA를 활용한 시계열 데이터 예측 예시를 나타낸다.3 shows an example of time series data prediction using a sequence generation model, and shows an example of time series data prediction using ARIMA.

주가 예측이나, 날씨 예보등 다양한 부분에서 시계열 데이터 예측은 연구되어 왔으며 회귀 모델이나 신호 분해와 같은 시도를 기반으로 전통적인 피쳐 추출, 동적 회귀, 계층화 및 확률화 등의 다양한 전통적 연구가 존재하였다. 특히 ARIMA(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ARIMA, Seasonal ARIMA 등의 모델 기반 추측 모델 연구가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ARIMA와 더불어 ETS (Error, Trend, Seasonal, Exponential Smoothing) 등이 유명하다.Time series data prediction has been studied in various fields such as stock price prediction and weather forecasting, and various traditional studies such as traditional feature extraction, dynamic regression, stratification and randomization exist based on attempts such as regression models or signal decomposition. In particular, research on model-based guessing models such as 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ARIMA), ARIMA, and Seasonal ARIMA is widely known. Also, along with ARIMA, ETS (Error, Trend, Seasonal, Exponential Smoothing) is famous.

이는 이후 데이터 분석 및 상태 전이 형태 예측으로 연구되어 Finite State Machine(FSM)과 이를 고도화 한 Hidden Markov Model(HMM)로 발전하였다.This was later studied as data analysis and state transition shape prediction, and developed into Finite State Machine (FSM) and Hidden Markov Model (HMM) that advanced it.

즉 도 3과 같이 사용자 개인별로 획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후 사용자의 이후 스트레스 상태를 예측할 수 있도록, 사용자 개개인을 위한 개별 맞춤형 스트레스 시퀀스 생성 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었다.That is, as shown in FIG. 3 , a study was conducted to construct an individually customized stress sequence generation model for each user so that the user's future stress state could be predicted based on the data obtained for each individual user.

이러한 시퀀스 생성 모델은 기존에 날씨 예측에 주로 적용되어 잘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딥러닝 기술과 결합되어, 인공 신경망으로 구현될 수 있다.Such a sequence generation model is well known because it is mainly applied to weather prediction, and recently it can be implemented as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by combining with deep learning technology.

도 4 및 도 5는 각각 입력 신호 처리를 위한 인공 신경망과 결과 생성을 위한 인공 신경망의 일 예를 나타낸다.4 and 5 show an example of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for processing an input signal and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for generating a result, respectively.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신호 처리를 위한 인공 신경망은 입력 신호 처리를 위한 CNN단, 연속 시계열 데이터 처리를 위한 순환신경망(RNN)의 결합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과 생성을 위한 인공 신경망은 최근 transformer network와 같이 attention을 통한 결과 생성 등의 기술로 LSTM-attention 모델로 구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for input signal processing may be configured as a combination of a CNN stage for input signal processing and a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for continuous time series data processing. And, as shown in Fig. 5,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for generating a result can be implemented as an LSTM-attention model with a technique such as generating a result through attention like a recent transformer network.

4. 피드백 기반 개별 맞춤 시퀀스 생성4. Create individual custom sequences based on feedback

1) 최적 시퀀스 생성: 상기 과정에서 각 프로세스의 진행은 사용자의 피드백과 센싱 정보를 활용하여 개인별 상태를 파악하고 해당 모델의 맞춤형 fine-tuning을 통해 사용자의 개별 맞춤형 시퀀스 생성 특화 모델을 별도로 구성할 수 있다. 1) Optimal sequence generation: In the above process, each process utilizes the user's feedback and sensing information to identify each individual's status, and through customized fine-tuning of the model, a customizable sequence generation specialized model can be configured separately. have.

도 6은 피드백 신호를 통한 시퀀스 교정 예를 나타낸다.6 shows an example of sequence calibration through a feedback signal.

실제 공학적 센서 정보를 시계열에서 활용하여 시퀀스를 교정하는 연구로 대표적인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SLAM)이 있다. 이는 칼만필터에 기초하여 이전에 기록된 랜드마크의 정보에 기반하여 자신의 위치를 확률적으로 갱신하는 것으로 내비게이션에 자주 이용되는 기법으로 도 6에서는 EFK SLAM의 landmark 관측과 위치 교정 예를 나타낸다.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SLAM) is a representative study for correcting sequences by using actual engineering sensor information in time series. This is a technique frequently used for navigation by probabilistically updating its location based on previously recorded landmark information based on the Kalman filter. FIG. 6 shows an example of landmark observation and location correction of EFK SLAM.

2) 다양한 정보 수집과 반영: 상기 과정에서 얻은 개인별 작동 시퀀스는 스마트 시스템이 가진 센싱 정보 및 사용자의 피드백에 의해 보정 가능하다. 본 시스템은 시퀀스 생성의 개인 최적화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정보를 추가적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2) Collection and reflection of various information: The individual operation sequence obtained in the above process can be corrected by sensing information of the smart system and user feedback. This system intends to additionally utilize the following information for personal optimization of sequence generation.

- 주관적 평가 = 스트레스 수준 및 스트레스 관리 피드백에 대한 자기 평가 - Subjective assessment = self-assessment of stress level and stress management feedback

- 스마트 디바이스 센서 값 = 접촉면을 통해 측정되는 스트레스 반응 생체지표- Smart device sensor value = stress response biomarker measured through the contact surface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스 측정 및 관리 스마트 시스템은 하기 1 내지 5 과정을 통해 구성되어, 6 및 7과 같이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stress measurement and management smar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hrough the following steps 1 to 5, and can notify the user as shown in 6 and 7.

1. 스트레스 측정 지표 선정 및 측정 시스템 설계 1. Stress measurement index selection and measurement system design

2. 스트레스 데이터 수집과 이를 분석한 패턴 추출 2. Stress data collection and pattern extraction by analyzing it

3. 해당 데이터를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의 제어 시퀀스 생성 모델 학습3. Learning a control sequence generation model of a smart device using the data

4. 사용자 및 센서 데이터 수집을 통한 피드백 모델 생성 4. Create feedback model through user and sensor data collection

5. 개별 사용자에 대한 추가 학습 진행 5. Further learning progress for individual users

6. 시계열 데이터 누적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 관리 및 스트레스 스코어링 결과 생성 6. Create stress coping, management and stress scoring results according to time series data accumulation

7. 스트레스 만성화 및 관련 위험 경고7. Stress Chronic and Associated Risk Warnings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또한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하며, ROM(판독 전용 메모리), RAM(랜덤 액세스 메모리), CD(컴팩트 디스크)-ROM, DVD(디지털 비디오 디스크)-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medium for execution by a computer. Here,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be any available medium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may include all computer storage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and read dedicated memory), RAM (Random Access Memory), CD (Compact Disk)-ROM, DVD (Digital Video Disk)-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which is only exemplar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2)

스트레스 데이터 수집과 이를 분석한 패턴을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된 스마트 디바이스의 제어 시퀀스 생성 모델에 대한 피드백 모델을 사용자 및 센서 데이터 수집을 통해 생성하고, 상기 피드백 모델을 기반으로 상기 제어 시퀀스 생성 모델을 개별 사용자에 대해 추가 학습하여 획득되는 스트레스 측정 및 관리 스마트 시스템.Stress data collection and pattern analysis are extracted, and a feedback model for a control sequence generation model of a smart device learned using the extracted data is generated through user and sensor data collection, and the control is performed based on the feedback model. Stress measurement and management smart system obtained by further training the sequence generation model for individual us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스 측정 및 관리 스마트 시스템은
시계열 데이터 누적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 관리 및 스트레스 스코어링 결과 생성하고, 생성된 스트레스 스코어링 결과에 따라 스트레스 만성화 및 관련 위험을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스트레스 측정 및 관리 스마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ress measurement and management smart system is
A stress measurement and management smart system that generates stress coping, management, and stress scoring results according to the accumulation of time series data, and warns users of chronic stress and related risks according to the generated stress scoring results.
KR1020210028073A 2021-03-03 2021-03-03 Smart system for stress measure and management KR2022012445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073A KR20220124457A (en) 2021-03-03 2021-03-03 Smart system for stress measure and manag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073A KR20220124457A (en) 2021-03-03 2021-03-03 Smart system for stress measure and manag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4457A true KR20220124457A (en) 2022-09-14

Family

ID=83279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8073A KR20220124457A (en) 2021-03-03 2021-03-03 Smart system for stress measure and manage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4457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2691A (en) 2018-01-31 2019-08-08 루씨엠(주) System for analyzing and managing a stress using pulse wav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2691A (en) 2018-01-31 2019-08-08 루씨엠(주) System for analyzing and managing a stress using pulse wa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15804B (en) Mental disease auxiliary diagnosis system based on virtual reality technology and physiological parameter detection
Egilmez et al. UStress: Understanding college student subjective stress using wrist-based passive sensing
RU2757048C1 (en) Method and system for assessing the health of the human body based on the large-volume sleep data
KR102129730B1 (en) Patient condition predicting apparatu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predicting method using the same
Arbel et al. On the utility of positive and negative feedback in a paired-associate learning task
US20160070880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dicting continous cardiac output (cco) of a patient based on physiological data
CN104246781A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neurologist's workflow on alzheimer's disease
KR102053604B1 (en) Method for sleeping analysis and device for sleeping analysis using the same
CN104185020B (en) A kind of system and method detecting stereoscopic vision fatigue strength
US20210307686A1 (en) Methods and systems to detect eating
CN107890342A (en) Perform person under inspection's measurement
Yates et al. Arousal detection for biometric data in built environments using machine learning
Basjaruddin et al. Measurement device for stress level and vital sign based on sensor fusion
CN115329818A (en) Multi-modal fusion attention assessment method, system and storage medium based on VR
US20210000405A1 (en) System for estimating a stress condition of an individual
US7097617B1 (en) Method for diagnosis of pain relief probability through medical treatment
KR20220124457A (en) Smart system for stress measure and management
CN110135357A (en) A kind of happiness real-time detection method based on long-range remote sensing
Balaji et al. A framework for pervasive and ubiquitous geriatric monitoring
RU129681U1 (en) SYSTEM FOR DETERMINING THE FUNCTIONAL CONDITION OF A GROUP OF FEEDBACK PEOPLE
TW201525924A (en) Portable mental status assessment, diagnosis and support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80053983A (en) Method for Dementia Patients
KR20160022578A (en) Apparatus for testing brainwave
US20240233913A9 (en) User analysis and predictive techniques for digital therapeutic systems
US20240136051A1 (en) User analysis and predictive techniques for digital therapeutic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