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3965A -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 Google Patents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3965A
KR20220123965A KR1020210027580A KR20210027580A KR20220123965A KR 20220123965 A KR20220123965 A KR 20220123965A KR 1020210027580 A KR1020210027580 A KR 1020210027580A KR 20210027580 A KR20210027580 A KR 20210027580A KR 20220123965 A KR20220123965 A KR 20220123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ver part
closing unit
insertion spac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75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79818B1 (en
Inventor
김태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210027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9818B1/en
Publication of KR20220123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39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9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98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disclo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es: a body; a cartridge having a container for storing liquid a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a cap covering the body and the cartridge and having a first opening facing the container; and an opening/closing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opening.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DEVICE FOR GENERATING AEROSOL}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본 개시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에어로졸을 통해 매질 또는 물질로부터 일정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매질은 다양한 성분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매질에 포함되는 물질은 다양한 성분의 향미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매질에 포함되는 물질은 니코틴 성분, 허브 성분 및/또는 커피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An aerosol generator is for extracting a certain component from a medium or substance through an aerosol. The medium may contain materials of various components. Substances included in the medium may be flavor substances of various components. For example, the substance contained in the medium may include a nicotine component, an herbal component and/or a coffee component, and the like. Recently, many studies on such aerosol generating devices have been made.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disclosure aims to solve the above and other problems.

또 다른 목적은 에어로졸 생성장치 미사용시,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컨테이너와 컨테이너에 저장된 액체를 외부환경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Another object may be to prevent exposure of the container and the liquid stored in the container to the external environment whe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not used or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또 다른 목적은 에어로졸 생성장치 사용시,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컨테이너에 저장된 액체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Another object may be to check the remaining amount of the liquid stored in the container when using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r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또 다른 목적은 컨테이너 내부에 저장된 액체가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Another object may be to prevent the liquid stored inside the container from being deteriorated.

또 다른 목적은 에어로졸 생성장치 미사용시, 삽입공간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Another object may be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insertion space whe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not used.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바디; 액체를 저장하는 컨테이너를 구비하고, 상기 바디의 일측에 결합되는 카트리지; 상기 바디와 상기 카트리지를 덮는 캡으로서, 상기 컨테이너를 마주하는 제1 오프닝이 형성된 캡; 및 상기 제1 오프닝을 개폐하는 개폐유닛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ody; a cartridge having a container for storing a liquid a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a cap covering the body and the cartridge, the cap having a first opening facing the container; And it provides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n opening and closing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opening.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에어로졸 생성장치 미사용시,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컨테이너와 컨테이너에 저장된 액체를 외부환경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ainer and the liquid stored in the container may not be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whe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not in use or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에어로졸 생성장치 사용시,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컨테이너에 저장된 액체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remaining amount of the liquid stored in the container may be checked whe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used or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컨테이너 내부에 저장된 액체가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quid stored in the container from being changed.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에어로졸 생성장치 미사용시, 삽입공간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not used,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insertion space.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urther scope of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given by way of example only,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 내지 도 16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1 to 16 are diagrams illustrating examples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by themselves.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spirit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is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 도면에 도시된 좌표계를 기준으로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방향을 정의한다. Hereinafter, the direc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is defined based on the coordinate system shown in the drawings.

좌표계에서 x축 방향은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전후방향이라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원점을 기준으로 +x를 향하는 방향은 전측방향, -x를 향하는 방향은 후측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The x-axis direction in the coordinate system may be defined as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 In this case, a direction toward +x with respect to the origin may mean a front direction, and a direction toward -x may mean a rearward direction.

좌표계에서 y축 방향은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좌우방향이라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원점을 기준으로 +y를 향하는 방향은 우측방향, -y를 향하는 방향은 좌측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The y-axis direction in the coordinate system may be defined as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 In this case, a direction toward +y with respect to the origin may mean a right direction, and a direction toward -y may mean a left direction.

좌표계에서 z축 방향은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상하방향이라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원점을 기준으로 +z를 향하는 방향은 상측방향, -y를 향하는 방향은 하측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The z-axis direction in the coordinate system may be defined as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 In this case, a direction toward +z with respect to the origin may indicate an upward direction, and a direction toward -y may indicate a downward direc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배터리(10), 제어부(20), 히터(30) 및 카트리지(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0), 제어부(20), 히터(30) 및 카트리지(40) 중 적어도 하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바디(1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1 and 2 ,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attery 10 , a control unit 20 , a heater 30 , and a cartridge 40 . At least one of the battery 10 , the controller 20 , the heater 30 , and the cartridge 40 may be disposed inside the body 110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

바디(110)는 스틱(200)이 삽입 가능한 삽입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스틱(200)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은 히터(30)의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110 may have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the stick 200 can be inserted.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the stick 200 can be inserted may be formed around the heater 30 .

도 1을 참조하면, 배터리(10), 제어부(20), 카트리지(40) 및 히터(30)가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카트리지(40) 및 히터(30)가 서로 마주하도록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내부 구조는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1 , the battery 10 , the controller 20 , the cartridge 40 , and the heater 30 may be arranged in a line. Referring to FIG. 2 , the cartridge 40 and the heater 30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to face each other.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배터리(10)는, 제어부(20), 히터(30) 및 카트리지(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동작하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0)는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센서, 모터 등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The battery 10 may supply power to operate at least one of the controller 20 , the heater 30 , and the cartridge 40 . The battery 10 may supply power required to operate a display, a sensor, a motor, etc. install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

제어부(20)는 에어로졸 생성장치(10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배터리(10), 히터(20) 및 카트리지(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센서, 모터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구성들 각각의 상태를 확인하여, 에어로졸 생성장치(100)가 동작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 The controller 2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battery 10 , the heater 20 , and the cartridge 40 . The controller 2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a display, a sensor, a motor, etc. install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 The control unit 20 may determine whether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is in an operable state by checking the state of each of the components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

히터(30)는 배터리(10)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발열할 수 있다. 히터(30)는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에 삽입된 스틱(40)을 가열할 수 있다.The heater 30 may generate heat by electric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10 . The heater 30 may heat the stick 40 inserted in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

카트리지(40)는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카트리지(40)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에 삽입된 스틱(200)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Cartridge 40 may generate an aerosol. The aerosol generated by the cartridge 40 may be delivered to the user through the stick 200 insert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

도 3을 참조하면, 바디(110)는 하부바디(110a)와 상부바디(110b)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바디(110a)는 배터리(10), 제어부(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용할 수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상부바디(110b)는 하부바디(110a)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body 110 may include a lower body 110a and an upper body 110b. The lower body 110a may accommodate at least one of the battery 10 and the controller 20 (see FIGS. 1 and 2 ). The upper body 110b may be disposed above the lower body 110a.

상부바디(110b)는 스틱(200)이 삽입가능한 삽입공간(114)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공간(114)은 상부바디(110b)의 상벽(112)이 개구되고, 상벽(112)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삽입공간(114)은 상하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삽입공간(114)은 상부바디(110b)의 측벽(111)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The upper body 110b may include an insertion space 114 into which the stick 200 can be inserted. The insertion space 114 may be formed by opening the upper wall 112 of the upper body 110b an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wall 112 . The insertion space 114 may have a long shap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insertion space 114 may be surrounded by the side wall 111 of the upper body 110b.

상부바디(110b)는 제1 히터(30)를 수용할 수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제1 히터(30)는 삽입공간(114)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The upper body 110b may accommodate the first heater 30 (see FIGS. 1 and 2 ). The first heater 30 may be disposed around the insertion space 114 .

카트리지(40)는 액체를 저장하는 컨테이너(41)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40)는 컨테이너(41)의 하부에 배치되는 베이스(42)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41)에 저장된 액체는 베이스(42)에 공급될 수 있다. 심지(44) 및 히터(45)는 베이스(42)에 수용될 수 있다(도 4 참조). 에어로졸은 베이스(42)에서 형성되어 배출될 수 있다. The cartridge 40 may include a container 41 for storing liquid. The cartridge 40 may include a base 42 disposed under the container 41 . The liquid stored in the container 41 may be supplied to the base 42 . The wick 44 and the heater 45 may be accommodated in the base 42 (see FIG. 4 ). The aerosol may be formed and discharged from the base 42 .

카트리지(40)는 바디(11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카트리지(40)는 상부바디(110b)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cartridge 40 may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110 . The cartridge 4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body 110b.

상부바디(110b)는 상부바디(110b)의 측벽(111)의 하부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된 지지면(118)을 구비할 수 있다. 상부바디(110b)는 상부바디(110b)의 측벽(111) 중 일부와 지지면(118)을 마주하는 탈착공간(S)을 구비할 수 있다. 카트리지(40)는 탈착공간(S)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카트리지(40)의 하부는 지지면(118)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카트리지(40)는 지지면(118)에 접촉되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 내부의 다른 구성요소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upper body 110b may include a support surface 118 exten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idewall 111 of the upper body 110b to one side. The upper body 110b may have a detachable space S facing a part of the sidewall 111 of the upper body 110b and the support surface 118 . The cartridge 40 may be detachably disposed in the detachable space (S). The lower portion of the cartridge 40 may be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118 . The cartridge 40 may be in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118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other components insid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

카트리지(40)가 바디(110)에 결합되면, 카트리지(40)의 일측은 상부바디(110b)의 측벽(111)을 마주할 수 있다. 카트리지(40)가 바디(110)에 결합되면, 카트리지(40)의 타측은 카트리지(40)는 상부바디(110b)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부바디(110b)의 외부로 드러날 수 있다. 카트리지(40)가 바디(110)에 결합되면, 컨테이너(41)의 타측은 상부바디(110b)의 외부로 드러날 수 있다. 컨테이너(41)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cartridge 40 is coupled to the body 110, one side of the cartridge 40 may face the side wall 111 of the upper body 110b. When the cartridge 40 is coupled to the body 110, the other side of the cartridge 4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body 110b by being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body 110b. When the cartridge 40 is coupled to the body 110, the other side of the container 41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body 110b. The container 41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유입구(116)는 상부바디(110b)의 측벽(111)에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116)는 베이스(41)에 형성된 제2 챔버(C2)와 연결될 수 있다(도 5 참조). 연결유로(115)는 유입구(116) 및 삽입공간(114) 사이에 배치되어, 유입구(116) 및 삽입공간(114)을 연결할 수 있다. The inlet 116 may be formed in the sidewall 111 of the upper body 110b. The inlet 116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chamber C2 formed in the base 41 (see FIG. 5 ). The connection passage 115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nlet 116 and the insertion space 114 to connect the inlet 116 and the insertion space 114 .

이에 따라, 카트리지(40)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은 유입구(116)로 유입되어 삽입공간(114)을 향해 유동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aerosol generated from the cartridge 40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let 116 and flow toward the insertion space 114 .

캡(120)은 상부바디(110b)의 외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캡(120)은 상부바디(110b) 및 상부바디(110b)에 결합된 카트리지(40)를 덮을 수 있다.The cap 12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body 110b. The cap 120 may cover the upper body 110b and the cartridge 40 coupled to the upper body 110b.

제1 오프닝(123)은 캡(120)의 측벽(121)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오프닝(123)은 카트리지(40)가 배치된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40) 및 캡(120)이 바디(110)에 결합되면, 컨테이너(41)의 일부는 제1 오프닝(123)과 마주할 수 있다. 컨테이너(41)의 일부는 제1 오프닝(123)을 통해 외부에 드러날 수 있다. 제1 오프닝(123)에는 투명한 재질의 필름이 배치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제1 오프닝(123)을 통해 컨테이너(41) 내에 저장된 액체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다. The first opening 123 may be formed by opening the sidewall 121 of the cap 120 . The first opening 123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osition where the cartridge 40 is disposed. When the cartridge 40 and the cap 120 are coupled to the body 110 , a portion of the container 41 may face the first opening 123 . A portion of the container 41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opening 123 . A film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opening 123 . The user may observe the state of the liquid stored in the container 41 through the first opening 123 .

제2 오프닝(124)은 캡(120)의 상벽(122)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오프닝(124)은 삽입공간(114)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캡(120)이 바디(110)에 결합되면, 제2 오프닝(124)과 삽입공간(114)은 연결될 수 있다. 제2 오프닝(124)의 둘레는 삽입공간(114)의 둘레와 동일하거나 더 클 수 있다.The second opening 124 may be formed by opening the upper wall 122 of the cap 120 . The second opening 124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space 114 . When the cap 120 is coupled to the body 110 , the second opening 124 and the insertion space 114 may be connected.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opening 124 may be the same as or larger than the circumference of the insertion space 114 .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 오프닝(124')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오프닝(124')은 삽입공간(114)에 대응되는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오프닝(124')은 캡(120)의 상벽(122)에서, 삽입공간(114)으로부터 제1 오프닝(113)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오프닝(124')은 삽입공간(114)과 연결될 수 있다.4 and 5 , the second opening 124 ′ may have a shape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second opening 124 ′ may extend forward from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space 114 . The second opening 124 ′ may extend from the upper wall 122 of the cap 120 in a direction from the insertion space 114 toward the first opening 113 . The second opening 124 ′ may be connected to the insertion space 114 .

개폐유닛(50)은 카트리지(40) 및 캡(120)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개폐유닛(50)은 바디(110) 및 캡(120)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개폐유닛(50)은 캡(120)의 외벽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개폐유닛(50)은 캡(120)의 측벽(121)을 따라 이동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The opening/closing unit 50 may be movably disposed between the cartridge 40 and the cap 120 . The opening/closing unit 50 may be movably disposed between the body 110 and the cap 120 . The opening/closing unit 5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outer wall of the cap 120 . The opening/closing unit 50 may include a portion that moves along the sidewall 121 of the cap 120 .

컨테이너(41)는 내부에 액체를 저장하는 제1 챔버(C1)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챔버(C1)는 컨테이너(41)의 외벽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컨테이너(41)의 측벽은 제1 챔버(C1)의 측면을 둘러쌀 수 있다. 컨테이너(41)의 상벽은 제1 챔버(C1)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다. 컨테이너(41)의 측벽과 상벽은 컨테이너(41)의 외벽을 구성할 수 있다. 컨테이너(41)의 하부는 제2 챔버(C2)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The container 41 may include a first chamber C1 for storing a liquid therein. The first chamber C1 may be surrounded by an outer wall of the container 41 . The sidewall of the container 41 may surround the sidewall of the first chamber C1 . The upper wall of the container 41 may cover the upper part of the first chamber C1 . The side wall and the upper wall of the container 41 may constitute an outer wall of the container 41 . A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41 may be opened toward the second chamber C2 .

베이스(42)는 컨테이너(4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42)는 내부에 제1 챔버(C2)와 연결되는 제2 챔버(C2)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챔버(C2)는 제1 챔버(C1)로부터 액체를 공급받을 수 있다. 제2 챔버(C2)는 베이스(42)의 외벽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베이스(42)의 측벽은 제2 챔버(C2)의 측면을 둘러쌀 수 있다. 베이스(42)의 하벽은 제2 챔버(C2)의 하부를 커버할 수 있다. 베이스(42)의 상부는 제1 챔버(C1)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The base 42 may be disposed under the container 41 . The base 42 may include a second chamber C2 connected to the first chamber C2 therein. The second chamber C2 may receive a liquid from the first chamber C1 . The second chamber C2 may be surrounded by an outer wall of the base 42 . The sidewall of the base 42 may surround the sidewall of the second chamber C2 . A lower wall of the base 42 may cover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hamber C2 .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42 may be opened toward the first chamber C1 .

플레이트(43)는 컨테이너(41)와 베이스(42)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플레이트(43)는 제1 챔버(C1)와 제2 챔버(C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43)는 평평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43)는 제1 챔버(C1)와 제2 챔버(C2)가 구분되도록 제1 챔버(C1)와 제2 챔버(C2)를 구획할 수 있다. 플레이트(43)는 제1 챔버(C1)와 제2 챔버(C2)를 연결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late 43 may be disposed and fixed between the container 41 and the base 42 . The plate 4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chamber C1 and the second chamber C2 . The plate 43 may include a flat shape. The plate 43 may partition the first chamber C1 and the second chamber C2 into the first chamber C1 and the second chamber C2 . The plate 43 may include a hole connecting the first chamber C1 and the second chamber C2 .

심지(44)는 제2 챔버(C2)에 배치될 수 있다. 심지(44)는 플레이트(43)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제1 챔버(C1)로부터 액체를 공급받을 수 있다.The wick 44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chamber C2 . The wick 44 may receive a liquid from the first chamber C1 through a hole formed in the plate 43 .

히터(45)는 제2 챔버(C2)에 배치될 수 있다. 히터(45)는 심지(44)를 가열할 수 있다. 히터(45)는 심지를 복수회 권선할 수 있다. 히터(45)는 전력을 공급받아 발열될 수 있다. 히터(45)는 액체를 공급받은 심지(44)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바디(110)에 배치된 히터(30)는 제1 히터(30, 도 1 및 도 2 참조), 제2 챔버(C2)에 배치된 히터(45)는 제2 히터(45)라 명명될 수 있다.The heater 45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chamber C2 . The heater 45 may heat the wick 44 . The heater 45 may wind the wick a plurality of times. The heater 45 may receive power to generate heat. The heater 45 may generate an aerosol by heating the wick 44 supplied with the liquid. The heater 30 disposed in the body 110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heater 30 (see FIGS. 1 and 2 ), and the heater 45 disposed in the second chamber C2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heater 45 . have.

연결유로(115)는 바디(11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유로(115)는 삽입공간(114) 및 제2 챔버(C2)의 사이에 배치되며, 삽입공간(114)과 제2 챔버(C2)를 연결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passage 115 may be formed inside the body 110 . The connection passage 115 is disposed between the insertion space 114 and the second chamber C2 , and may connect the insertion space 114 and the second chamber C2 .

이에 따라, 제2 챔버(C2)에서 형성된 에어로졸은 연결유로(115)를 통해 삽입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aerosol formed in the second chamber C2 may be supplied to the insertion space through the connection passage 115 .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개폐유닛(50)은 제1 커버파트(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파트(5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커버파트(51)는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버파트(51)는 제1 오프닝(123)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버파트(51)는 제1 오프닝(123)이 형성된 평면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커버파트(51)는 빛이 투과되지 않도록 투명하지 않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5 and 6 , the opening/closing unit 50 may include a first cover part 51 . The first cover part 51 may have a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cover part 51 may be formed to be flat. The first cover part 51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first opening 123 . The first cover part 51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plane on which the first opening 123 is formed. The first cover part 51 may be formed of a non-transparent material so that light is not transmitted.

제3 오프닝(53)은 제1 커버파트(51)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3 오프닝(53)는 제1 커버파트(51)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오프닝(53)은 제1 오프닝(51)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소정의 위치에서, 제3 오프닝(53)은 제1 오프닝(51)을 마주할 수 있다. 제3 오프닝(53)은 제1 커버파트(51)와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이동할 수 있다.The third opening 53 may be formed by opening the first cover part 51 . The third opening 53 may be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s the first cover part 51 . The third opening 53 may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first opening 51 .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third opening 53 may face the first opening 51 . The third opening 53 may move together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cover part 51 .

개폐유닛(50)은 제2 커버파트(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커버파트(52)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커버파트(52)는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커버파트(52)는 제2 오프닝(124')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커버파트(52)는 제1 커버파트(51)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커버파트(52)는 제1 커버파트(51)로부터, 제1 커버파트(51)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벤딩되어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커버파트(52)는 제1 커버파트(51)와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unit 50 may include a second cover part 52 . The second cover part 52 may have a shape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second cover part 52 may be formed to be flat. The second cover part 52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second opening 124 ′. The second cover part 52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ver part 51 . The second cover part 52 may have a shape extending from the first cover part 51 by being bent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cover part 51 . The second cover part 52 may b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first cover part 51 .

제2 커버파트(52)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오프닝(124')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캡(12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캡(120)의 외부로 노출된 제2 커버파트(52)를 손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cover part 52 may be disposed above the second opening 124 ′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p 120 . The user may move the second cover part 52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p 120 by hand.

제2 커버파트(52)는 제1 돌출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부(54)는 제2 커버파트(52)로부터 상하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돌출부(54)는 제2 커버파트(52)로부터 제2 오프닝(124')을 통과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출부(54)는 삽입공간(114)의 단면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출부(54)는 제2 오프닝(124')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1 돌출부(54)는 제2 오프닝(124')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The second cover part 52 may include a first protrusion 54 . The first protrusion 54 may protrude vertically from the second cover part 52 . The first protrusion 54 may protrude from the second cover part 52 to pass through the second opening 124 ′. The first protrusion 54 may be formed in the same size as or similar to the cross-section of the insertion space 114 . The first protrusion 54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opening 124 ′. The first protrusion 54 may protrude further outward than the second opening 124 ′.

제1 돌출부(54)는 제2 커버파트(52)와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제1 돌출부(54)는 제2 오프닝(124')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 오프닝(124')을 둘러싸는 캡(120)의 상벽(122)은, 제1 돌출부(54)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2 오프닝(124')을 둘러싸는 캡(120)의 상벽(122)은, 제1 돌출부(54)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The first protrusion 54 may move together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econd cover part 52 . The first protrusion 54 may move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second opening 124 ′. The upper wall 122 of the cap 120 surrounding the second opening 124 ′ may guide the movement of the first protrusion 54 . The upper wall 122 of the cap 120 surrounding the second opening 124 ′ may limit a movement range of the first protrusion 54 .

개폐유닛(50)은 샤프트(55)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55)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샤프트(55)는 제1 커버파트(51) 및 제2 커버파트(5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촉할 수 있다. 개폐유닛(50)은 샤프트(55)와 접촉되며, 샤프트(55)와 접촉되는 지점에서 벤딩될 수 있다. The opening/closing unit 50 may include a shaft 55 . The shaft 55 may exten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shaft 55 may contact at least one of the first cover part 51 and the second cover part 52 . The opening/closing unit 50 is in contact with the shaft 55 , and may be bent at a point in contact with the shaft 55 .

샤프트(55)는 캡(120)의 측벽(121)과 상벽(122)이 접촉하는 모서리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커버파트(51)는 샤프트(55)와 캡(120)의 측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커버파트(52)는 샤프트(55)와 캡(120)의 상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haft 55 may be disposed adjacent to an edge where the side wall 121 and the upper wall 122 of the cap 120 contact each other. The first cover part 5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haft 55 and the side of the cap 120 . The second cover part 5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haft 55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cap 120 .

샤프트(55)는 좌우방향을 축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샤프트(55)는 개폐유닛(50)이 이동함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The shaft 55 may be rotat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as an axis. The shaft 55 may be rotated as the opening/closing unit 50 moves.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샤프트(55)를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터(55)는 바디(110)의 상벽(112)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샤프트(55)는 모터(미도시)에 의하여 회전되어, 개폐유닛(5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20)는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motor (not shown) for rotating the shaft 55 . The motor 55 may be disposed around the upper wall 112 of the body 110 . The shaft 55 may be rotated by a motor (not shown) to move the opening/closing unit 50 . The controller 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to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tor.

제1 커버파트(51)와 제2 커버파트(52)는 샤프트(55)를 기준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샤프트(55)를 기준으로, 일측은 제1 커버파트(51), 타측은 제2 커버파트(52)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커버파트(51)와 제2 커버파트(52)는, 개폐유닛(50)의 위치에 따라서 정의되는 길이가 변화될 수 있다.The first cover part 51 and the second cover part 52 may be divided based on the shaft 55 . Based on the shaft 55 , one side may be divided into a first cover part 51 , and the other side may be divided into a second cover part 52 . The length of the first cover part 51 and the second cover part 52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opening/closing unit 50 .

개폐유닛(50)은 캡(120)의 측벽(12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개폐유닛(50)은 캡(120)의 측벽(121)을 따라 이동 가능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개폐유닛(50)은 캡(120)의 상벽(122)을 따라 이동 가능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파트(51)는 캡(120)의 측벽(12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2 커버파트(52)는 캡(120)의 상벽(12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1 커버파트(51)는 캡(120)의 측벽(121) 내에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2 커버파트(52)는 캡(120)의 상벽(122) 내에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개폐유닛(50)은 연질 재료용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unit 50 may be movably disposed along the side wall 121 of the cap 120 . The opening/closing unit 50 may include a movable part along the side wall 121 of the cap 120 . The opening/closing unit 50 may include a movable part along the upper wall 122 of the cap 120 . The first cover part 51 may move along the sidewall 121 of the cap 120 . The second cover part 52 may move along the upper wall 122 of the cap 120 . The first cover part 51 may be inserted into the sidewall 121 of the cap 120 and installed to be movable. The second cover part 52 may be inserted into the upper wall 122 of the cap 120 and installed to be movable. The opening/closing unit 50 may be made of a composition for a soft material.

제2 돌출부(56)는 제1 커버파트(51)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돌출부(56)는 제1 커버파트(51)로부터 돌출되어 제1 오프닝(123)을 통과할 수 있다. 제2 돌출부(56)는 제1 오프닝(123)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2 돌출부(56)는 제1 오프닝(123)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돌출부(56)는 좌우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돌출부(56)는 제1 오프닝(123)을 따라 제1 커버파트(51)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제2 돌출부(56)는 제1 오프닝(123)을 형성하는 캡(120)의 측벽(121)에 접촉되어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The second protrusion 56 may protrude outward from the first cover part 51 . The second protrusion 56 may protrude from the first cover part 51 and pass through the first opening 123 . The second protrusion 56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opening 123 . The second protrusion 56 may protrude more outward than the first opening 123 . The second protrusion 56 may extend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second protrusion 56 may move along with the first cover part 51 along the first opening 123 . The second protrusion 56 may be in contact with the sidewall 121 of the cap 120 forming the first opening 123 to limit movement.

개폐유닛(50)이 제1 위치를 향해 이동하면, 제1 커버파트(51)는 상측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커버파트(52)는 후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샤프트(55)는 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 위치는, 개폐유닛(50)이 제1 오프닝(123) 및/또는 삽입공간(114)을 폐쇄하는 위치로 정의될 수 있다. 개폐유닛(50)이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 제3 오프닝(53)은 벤딩될 수 있다.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50 moves toward the first position, the first cover part 51 may move in an upward direction, and the second cover part 52 may move in a rearward direction. At this time, the shaft 55 may be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first position may be defined as a position where the opening/closing unit 50 closes the first opening 123 and/or the insertion space 114 .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50 is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the third opening 53 may be bent.

개폐유닛(50)이 제2 위치를 향해 이동하면, 제1 커버파트(51)는 하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제2 커버파트(52)는 전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샤프트(55)는 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2 방향은 개폐유닛(50)이 제1 오프닝(123) 및/또는 삽입공간(114)을 개방하는 위치로 정의될 수 있다.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50 moves toward the second position, when the first cover part 51 moves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second cover part 52 may move in the front direction. At this time, the shaft 55 may be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The second direction may be defined as a position where the opening/closing unit 50 opens the first opening 123 and/or the insertion space 114 .

도 7은, 개폐유닛(50)이 제1 위치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개폐유닛(50)이 제2 위치에 위치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7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opening/closing unit 50 is located in the first position, and FIG. 8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opening/closing unit 50 is located in the second position.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개폐유닛(50)은 제1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도 7 참조). 개폐유닛(50)이 제1 위치에 위치하면, 제1 커버파트(51)는 제1 오프닝(123)을 폐쇄할 수 있다. 개폐유닛(50)이 제1 위치에 위치하면, 제3 오프닝(53)은 제1 오프닝(123)을 마주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오프닝(123)이 폐쇄되면, 컨테이너(41)는 제1 오프닝(123)을 통해 외부로 드러나지 않을 수 있다. 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7 and 8 , the opening/closing unit 50 may be located at a first position (see FIG. 7 ).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50 is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the first cover part 51 may close the first opening 123 .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50 is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the third opening 53 may not face the first opening 123 . When the first opening 123 is closed, the container 41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opening 123 .

개폐유닛(50)이 제1 위치에 위치하면, 제2 커버파트(52)는 삽입공간(114)을 폐쇄할 수 있다. 개폐유닛(50)이 제1 위치에 위치하면, 제2 커버파트(52)는 삽입공간(114)의 상단을 덮을 수 있다. 개폐유닛(50)이 제1 위치에 위치하면, 제1 돌출부(54)는 삽입공간(114)이 배치된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삽입공간(114)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개폐유닛(50)이 제1 위치에 위치하면, 제1 돌출부(54)는 제2 오프닝(124)의 후단에 접촉될 수 있다. 제2 오프닝(124)은 제1 돌출부(54)와 접촉되어 개폐유닛(50)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When the opening/closing unit 50 is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the second cover part 52 may close the insertion space 114 .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50 is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the second cover part 52 may cover the upper end of the insertion space 114 .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50 is located at the first position, the first protrusion 54 may be disposed above the insertion space 114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at which the insertion space 114 is disposed.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50 is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the first protrusion 54 may contact the rear end of the second opening 124 . The second opening 124 may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protrusion 54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opening/closing unit 50 .

개폐유닛(50)은 제2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도 8 참조). 개폐유닛(50)이 제2 위치에 위치하면, 제1 커버파트(51)는 제1 오프닝(123)을 개방할 수 있다. 개폐유닛(50)이 제2 위치에 위치하면, 제3 오프닝(53)은 제1 오프닝(123)을 마주하여, 제1 오프닝(123)을 개방할 수 있다. 제1 오프닝(123)이 개방되면, 컨테이너(41)는 제1 오프닝(123)을 통해 외부로 드러날 수 있다. The opening/closing unit 50 may be located at the second position (see FIG. 8 ).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50 is positioned at the second position, the first cover part 51 may open the first opening 123 .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50 is positioned at the second position, the third opening 53 may face the first opening 123 to open the first opening 123 . When the first opening 123 is opened, the container 41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opening 123 .

개폐유닛(50)이 제2 위치에 위치하면, 제2 커버파트(52)는 삽입공간(114)을 개방할 수 있다. 개폐유닛(50)이 제2 위치에 위치하면, 제1 돌출부(54)는 삽입공간(114)의 상측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개폐유닛(50)이 제2 위치에 위치하면, 제1 돌출부(54)는 제2 오프닝(124)의 전단에 접촉될 수 있다. 삽입공간(114)이 개방되면, 스틱(200)은 삽입공간(114)에 삽입될 수 있다.When the opening/closing unit 50 is positioned at the second position, the second cover part 52 may open the insertion space 114 .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50 is positioned at the second position, the first protrusion 54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insertion space 114 .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50 is positioned at the second position, the first protrusion 54 may contact the front end of the second opening 124 . When the insertion space 114 is opened, the stick 200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114 .

사용자는, 임의로 개폐유닛(50)을 제1 위치 혹은 제2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돌출부(54)를 제2 오프닝(124)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켜, 개폐유닛(50)을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로 위치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제어부(20)가 모터(미도시)를 회전시켜 개폐유닛(50)을 이동시키도록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부(20)에 명령을 전달할 수도 있다.The user may arbitrarily position the opening/closing unit 50 at the first position or the second position. The user may position the opening/closing unit 50 to the first position or the second position by moving the first protrusion 54 forward or backward along the second opening 124 . The user may transmit a command to the control unit 20 through the interface so that the control unit 20 rotates a motor (not shown) to move the opening/closing unit 50 .

이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장치(100) 미사용시, 컨테이너(41)와, 컨테이너(41) 내부에 저장된 액체는 외부로 드러나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is not used, the container 41 and the liquid stored in the container 41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이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장치(100) 미사용시, 컨테이너(41) 내부에 저장된 액체가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is not us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quid stored in the container 41 from being altered.

이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장치(100) 미사용시, 삽입공간(114)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is not used,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insertion space 114 .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캡(120)의 측벽(121)은 반경 외측방향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진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오프닝(123)은 반경 외측방향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진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9 and 10 , the sidewall 121 of the cap 120 may have a convexly rounded shape in a radially outward direction. The first opening 123 may have a convexly rounded shape in a radially outward direction.

개폐유닛(60)은 카트리지(40) 및 캡(120)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개폐유닛(60)은 바디(110)와 캡(120)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개폐유닛(60)은 캡(120)의 외벽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개폐유닛(60)은 캡(120)의 측벽(121)을 따라 이동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unit 60 may be movably disposed between the cartridge 40 and the cap 120 . The opening/closing unit 60 may be movably disposed between the body 110 and the cap 120 . The opening/closing unit 6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outer wall of the cap 120 . The opening/closing unit 60 may include a portion that moves along the sidewall 121 of the cap 120 .

개폐유닛(60)은 제1 커버파트(6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파트(61)는, 피봇축(65)을 중심으로 캡(120)의 측벽(121)을 따라 피봇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피봇축(65)은 상하방향일 수 있다. 제1 커버파트(61)는 상하방향의 피봇축(65)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피봇될 수 있다. 제1 커버파트(61)는 피봇축(65)으로부터 반경 외측방향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진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커버파트(6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커버파트(61)는 제1 오프닝(123)을 개폐할 수 있다. 제1 커버파트(61)는 연질 재료용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unit 60 may include a first cover part 61 . The first cover part 61 may be pivotably disposed along the side wall 121 of the cap 120 with respect to the pivot shaft 65 . The pivot shaft 65 may be in an up-down direction. The first cover part 61 may be pivot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bout the pivot shaft 65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cover part 61 may have a convexly rounded plate shape in a radially outward direction from the pivot shaft 65 . The first cover part 61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cover part 61 may open and close the first opening 123 . The first cover part 61 may be made of a composition for a soft material.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피봇축(65)을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터는 바디(110)의 상벽(112)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는 개폐유닛(60)을 피봇시킬 수 있다. 피봇축(65)은 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개폐유닛(6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20)는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motor (not shown) for rotating the pivot shaft 65 . The motor may be disposed around the upper wall 112 of the body 110 . The motor may pivot the opening/closing unit 60 . The pivot shaft 65 may be rotated by a motor to move the opening/closing unit 60 . The controller 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to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tor.

개폐유닛(60)은 제2 커버파트(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커버파트(62)는 제1 커버파트(61)와 직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커버파트(62)는 상하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커버파트(62)는 피봇축(65)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커버파트(62)는 피봇축(65)을 중심으로 피봇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커버파트(62)와 제1 커버파트(61)는, 피봇축(65)을 중심으로 함께 피봇될 수 있다. 제2 커버파트(62)와 제1 커버파트(61)는 동일한 방향으로 피봇될 수 있다. The opening/closing unit 60 may include a second cover part 62 . The second cover part 62 may be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cover part 61 . The second cover part 62 may ext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cover part 62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pivot shaft 65 . The second cover part 62 may be pivotably disposed about the pivot shaft 65 . The second cover part 62 and the first cover part 61 may be pivoted together about the pivot shaft 65 . The second cover part 62 and the first cover part 61 may pivot in the same direction.

제2 커버파트(62)는 소정의 위치에서 삽입공간(114)의 상단을 덮을 수 있다. 제2 커버파트(62)는 삽입공간(114)을 개폐할 수 있다. 제2 커버파트(62)는 삽입공간(114)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커버파트(62)는 제2 오프닝(124)을 개폐할 수 있다. 제2 커버파트(62)는 제2 오프닝(124)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cover part 62 may cover the upper end of the insertion space 114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second cover part 62 may open and close the insertion space 114 . The second cover part 62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cross-section of the insertion space 114 . The second cover part 62 may open and close the second opening 124 . The second cover part 62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a cross-section of the second opening 124 .

제2 커버파트(62)는 바디(110)의 상벽(112)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커버파트(62)는 캡(120)의 상벽(122)에 대하여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커버파트(62)는 캡(120)의 상벽(122)을 따라 피봇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커버파트(62)는 캡(120)의 상벽(122)이 형성된 평면에 대하여 나란하게 이동될 수 있다. 제2 커버파트(62)는 바디(110)의 상벽(112)을 따라 피봇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커버파트(62)는 바디(110)의 상벽(112)이 형성된 평면에 대하여 나란하게 이동될 수 있다. The second cover part 62 may be formed parallel to the upper wall 112 of the body 110 . The second cover part 62 may be formed to be flat with respect to the upper wall 122 of the cap 120 . The second cover part 62 may be pivotably disposed along the upper wall 122 of the cap 120 . The second cover part 62 may move in parallel with the plane on which the upper wall 122 of the cap 120 is formed. The second cover part 62 may be pivotably disposed along the upper wall 112 of the body 110 . The second cover part 62 may move in parallel with respect to the plane on which the upper wall 112 of the body 110 is formed.

커넥팅파트(63)는 제1 커버파트(61)와 제2 커버파트(62)의 사이에 배치되며, 제1 커버파트(61) 및 제2 커버파트(62)를 연결할 수 있다. 커넥팅파트(63)는 제2 커버파트(62)로부터 제1 커버파트(61)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커넥팅파트(63)는 제2 커버파트(62)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커넥팅파트(63)는 제2 커버파트(62)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커넥팅파트(63)는 제2 커버파트(62)로부터 벤딩되어 연장될 수 있다. 피봇축(65)은 제2 커버파트(62) 및 커넥팅파트(63)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커넥팅파트(63)는 제1 커버파트(61) 및 제2 커버파트(62)와 동일한 방향으로 피봇될 수 있다. The connecting part 63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ver part 61 and the second cover part 62 , and may connect the first cover part 61 and the second cover part 62 . The connecting part 63 may extend from the second cover part 62 toward the first cover part 61 . The connecting part 63 may b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second cover part 62 . The connecting part 63 may be disposed on the same plane as the second cover part 62 . The connecting part 63 may be bent and extended from the second cover part 62 . The pivot shaft 65 may be formed between the second cover part 62 and the connecting part 63 . The connecting part 63 may pivot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cover part 61 and the second cover part 62 .

제2 돌출부(64)는 제1 커버파트(61)로부터 반경 외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돌출부(64)는 제1 커버파트(61)로부터 돌출되어 제1 오프닝(123)을 통과할 수 있다. 제2 돌출부(64)는 제1 오프닝(123)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2 돌출부(64)는 제1 오프닝(123)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돌출부(64)는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돌출부(64)는 제1 오프닝(123)을 따라 제1 커버파트(61)와 함께 원주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돌출부(64)는 제1 오프닝(123)을 형성하는 캡(120)의 측벽(121)에 접촉되어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The second protrusion 64 may protrude radially outward from the first cover part 61 . The second protrusion 64 may protrude from the first cover part 61 and pass through the first opening 123 . The second protrusion 64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opening 123 . The second protrusion 64 may protrude further outward than the first opening 123 . The second protrusion 64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protrusion 64 may move along the first opening 123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cover part 61 . The second protrusion 64 may be in contact with the sidewall 121 of the cap 120 forming the first opening 123 to limit movement.

도 11은, 개폐유닛(60)이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 12는, 개폐유닛(60)이 제2 위치에 위치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11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opening/closing unit 60 is located in the first position, and FIG. 12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opening/closing unit 60 is located in the second position.

이하, 도 11 및 12를 참조하면, 개폐유닛(60)은 제1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도 11 참조). 개폐유닛(60)이 제1 위치에 위치하면, 제1 커버파트(61)는 제1 오프닝(123)을 폐쇄할 수 있다. 제1 오프닝(123)이 폐쇄되면, 컨테이너(41)는 제1 오프닝(123)을 통해 외부로 드러나지 않을 수 있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11 and 12 , the opening/closing unit 60 may be located at a first position (see FIG. 11 ).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60 is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the first cover part 61 may close the first opening 123 . When the first opening 123 is closed, the container 41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opening 123 .

개폐유닛(60)이 제1 위치에 위치하면, 제2 커버파트(62)는 삽입공간(114)을 폐쇄할 수 있다. 개폐유닛(60)이 제1 위치에 위치하면, 제2 커버파트(62)는 삽입공간(114)의 상단을 덮을 수 있다. 개폐유닛(60)이 제1 위치에 위치하면, 제2 커버파트(62)는 제2 오프닝(124)을 폐쇄할 수 있다.When the opening/closing unit 60 is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the second cover part 62 may close the insertion space 114 .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60 is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the second cover part 62 may cover the upper end of the insertion space 114 .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60 is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the second cover part 62 may close the second opening 124 .

개폐유닛(60)은 제2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도 10 참조). 개폐유닛(60)이 제2 위치에 위치하면, 제1 커버파트(61)는 제1 오프닝(123)을 개방할 수 있다. 제2 오프닝(123)이 개방되면, 컨테이너(41)는 제1 오프닝(123)을 통해 외부로 드러날 수 있다. 사용자는, 제어부(20)가 모터(미도시)를 회전시켜 개폐유닛(60)을 이동시키도록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부(20)에 명령을 전달할 수도 있다.The opening/closing unit 60 may be located at the second position (see FIG. 10 ).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60 is positioned at the second position, the first cover part 61 may open the first opening 123 . When the second opening 123 is opened, the container 41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opening 123 . The user may transmit a command to the control unit 20 through the interface so that the control unit 20 rotates a motor (not shown) to move the opening/closing unit 60 .

개폐유닛(60)이 제2 위치에 위치하면, 제2 커버파트(62)는 삽입공간(114)을 개방할 수 있다. 개폐유닛(60)이 제2 위치에 위치하면, 제2 커버파트(62)는 삽입공간(114)의 상단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개폐유닛(60)이 제2 위치에 위치하면, 제2 커버파트(62)는 제2 오프닝(124)을 개방할 수 있다. 삽입공간(114) 및 제2 오프닝(124)이 개방되면, 스틱(200)은 삽입공간(114)에 삽입될 수 있다.When the opening/closing unit 60 is positioned at the second position, the second cover part 62 may open the insertion space 114 .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60 is positioned at the second position, the second cover part 6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of the insertion space 114 .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60 is positioned at the second position, the second cover part 62 may open the second opening 124 . When the insertion space 114 and the second opening 124 are opened, the stick 200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114 .

사용자는, 임의로 개폐유닛(60)을 제1 위치 혹은 제2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돌출부(64)를 제1 오프닝(123)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이동시켜, 개폐유닛(60)을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로 위치시킬 수 있다.The user may arbitrarily position the opening/closing unit 60 at the first position or the second position. The user may position the opening/closing unit 60 to the first position or the second position by moving the second protrusion 64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first opening 123 .

이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장치(100) 미사용시, 컨테이너(41)와, 컨테이너(41) 내부에 저장된 액체는 외부로 드러나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is not used, the container 41 and the liquid stored in the container 41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이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장치(100) 미사용시, 컨테이너(41) 내부에 저장된 액체가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is not us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quid stored in the container 41 from being altered.

이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장치(100) 미사용시, 삽입공간(114)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is not used,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insertion space 114 .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캡(120)의 측벽(121)은 반경 외측방향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진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오프닝(123)은 반경 외측방향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진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13 and 14 , the sidewall 121 of the cap 120 may include a convexly rounded shape in a radially outward direction. The first opening 123 may have a convexly rounded shape in a radially outward direction.

개폐유닛(70)은 카트리지(40) 및 캡(120)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개폐유닛(70)은 바디(110)와 캡(120)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개폐유닛(70)은 캡(120)의 외벽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개폐유닛(70)은 캡(120)의 측벽(121)을 따라 이동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unit 70 may be movably disposed between the cartridge 40 and the cap 120 . The opening/closing unit 70 may be movably disposed between the body 110 and the cap 120 . The opening/closing unit 7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outer wall of the cap 120 . The opening/closing unit 70 may include a portion that moves along the side wall 121 of the cap 120 .

개폐유닛(70)은 제1 커버파트(7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파트(71)는 캡(120)의 측벽(121)을 따라 피봇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반경 외측방향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진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커버파트(7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커버파트(71)는 제1 오프닝(123)을 개폐할 수 있다. 제1 커버파트(71)는 연질 재료욜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unit 70 may include a first cover part 71 . The first cover part 71 may be pivotably disposed along the sidewall 121 of the cap 120 . It may have a plate shape that is convexly rounded in a radially outward direction. The first cover part 71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cover part 71 may open and close the first opening 123 . The first cover part 71 may be made of a soft material composition.

제1 커버파트(71)는, 제1 커버파트(71)로부터 반경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기어치(713)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치(713)는 제1 커버파트(71)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기어치(713)는 바디(110)의 상벽(112)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기어치(713)는 바디(110)의 상벽(112)에 걸쳐질 수 있다. The first cover part 71 may include gear teeth 713 protruding radially inward from the first cover part 71 . The gear teeth 713 may protrude inwar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ver part 71 . The gear teeth 713 may be disposed above the upper wall 112 of the body 110 . The gear teeth 713 may span the upper wall 112 of the body 110 .

제2 돌출부(714)는 제1 커버파트(71)로부터 반경 외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돌출부(714)는 제1 커버파트(71)로부터 돌출되어 제1 오프닝(123)을 통과할 수 있다. 제2 돌출부(714)는 제1 오프닝(123)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2 돌출부(714)는 제1 오프닝(123)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돌출부(714)는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돌출부(714)는 제1 오프닝(123)을 따라 제1 커버파트(71)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제2 돌출부(714)는 제1 오프닝(123)을 형성하는 캡(120)의 측벽(121)에 접촉되어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The second protrusion 714 may protrude radially outward from the first cover part 71 . The second protrusion 714 may protrude from the first cover part 71 and pass through the first opening 123 . The second protrusion 714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opening 123 . The second protrusion 714 may protrude more outward than the first opening 123 . The second protrusion 714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protrusion 714 may move together with the first cover part 71 along the first opening 123 . The second protrusion 714 may be in contact with the sidewall 121 of the cap 120 forming the first opening 123 to limit movement.

개폐유닛(70)은 기어장치(72)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장치(72)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축(735, 745)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기어장치(72)는 카트리지(4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기어장치(72)는 바디(110)의 상벽(11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기어장치(72)는 캡(120)의 상벽(122)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기어장치(72)는 바디(110)의 상벽(112)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기어장치(72)는 캡(120)의 상벽(122)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opening/closing unit 70 may include a gear device 72 . The gear device 72 may rotate around rotation shafts 735 and 745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Gear device 72 may be disposed adjacent cartridge 40 . The gear device 72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upper wall 110 of the body 110 . The gear device 72 may be installed inside the upper wall 122 of the cap 120 . The gear device 72 may be formed parallel to the upper wall 112 of the body 110 . The gear device 72 may be formed parallel to the upper wall 122 of the cap 120 .

기어장치(72)는 제1 기어(7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어(73)는 일측에 제1 커버파트(71)와 직간접적으로 맞물려 회전하는 기어파트(730)가 형성될 수 있다. 기어파트(730)는, 기어바디(731)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기어치(7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어(73)의 회전축(735)은 기어바디(731)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어(73)의 회전축(735)은 상하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어(73)는 제1 기어(73)의 회전축(735)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The gear device 72 may include a first gear 73 . The first gear 73 may be formed with a gear part 730 that rotates in direct or indirect engagement with the first cover part 71 on one side. The gear part 730 may include gear teeth 733 protruding radially out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ear body 731 . The rotation shaft 735 of the first gear 73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gear body 731 . The rotation shaft 735 of the first gear 73 may b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gear 73 may rotat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bout the rotation shaft 735 of the first gear 73 .

제1 기어(73)의 타측에는 제2 커버파트(734)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커버파트(734)는 기어파트(730)의 기어바디(731)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기어파트(730)가 회전하면, 제2 커버파트(734)는 기어파트(730)와 함께 움직일 수 있다. 제2 커버파트(734)와 기어파트(730)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A second cover part 734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gear 73 . The second cover part 734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gear body 731 of the gear part 730 . When the gear part 730 rotates, the second cover part 734 may move together with the gear part 730 . The second cover part 734 and the gear part 730 may b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제2 커버파트(734)는 소정의 위치에서 삽입공간(114)의 상단을 덮을 수 있다. 제2 커버파트(734)는 삽입공간(114)을 개폐할 수 있다. 제2 커버파트(74)는 삽입공간(114)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커버파트(74)는 제2 오프닝(124)을 개폐할 수 있다. 제2 커버파트(74)는 제2 오프닝(124)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cover part 734 may cover the upper end of the insertion space 114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second cover part 734 may open and close the insertion space 114 . The second cover part 74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cross section of the insertion space 114 . The second cover part 74 may open and close the second opening 124 . The second cover part 74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a cross-section of the second opening 124 .

기어장치(72)는 제2 기어(7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어(74)는 제1 기어파트(71) 및 기어파트(7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기어(74)는 제1 기어(71) 및 기어파트(730)와 맞물려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커버파트(71)의 피봇 방향과 제2 커버파트(734)의 피봇 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일 수 있다.The gear device 72 may include a second gear 74 . The second gear 74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gear part 71 and the gear part 730 . The second gear 74 may be rotated by meshing with the first gear 71 and the gear part 730 . Accordingly, the pivoting direction of the first cover part 71 and the pivoting direction of the second cover part 734 may be opposite to each other.

제2 기어(74)는, 제2 기어(74)의 기어바디(741)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기어치(7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파트(71)의 기어치(713)와 제2 기어(74)의 기어치(743)는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커버파트(71)의 기어치(713)와 제2 기어(74)의 기어치(743)는 서로 맞물릴 수 있다. 제1 기어(74)의 기어치(733)와 제2 기어(74)의 기어치(743)는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어(74)의 기어치(733)와 제2 기어(74)의 기어치(743)는 서로 맞물릴 수 있다.The second gear 74 may include gear teeth 743 protruding radially out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ear body 741 of the second gear 74 . The gear teeth 713 of the first cover part 71 and the gear teeth 743 of the second gear 74 may be disposed on the same plane. The gear teeth 713 of the first cover part 71 and the gear teeth 743 of the second gear 74 may be meshed with each other. The gear teeth 733 of the first gear 74 and the gear teeth 743 of the second gear 74 may be disposed on the same plane. The gear teeth 733 of the first gear 74 and the gear teeth 743 of the second gear 74 may mesh with each other.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회전축(735, 745)을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터는 바디(110)의 상벽(112)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는 개폐유닛(70)을 피봇시킬 수 있다. 회전축(735, 745)은 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개폐유닛(7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20)는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motor (not shown) for rotating the rotating shafts 735 and 745 . The motor may be disposed around the upper wall 112 of the body 110 . The motor may pivot the opening/closing unit 70 . The rotating shafts 735 and 745 may be rotated by a motor to move the opening/closing unit 70 . The controller 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to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tor.

도 16은, 개폐유닛(70)이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 17은, 개폐유닛(70)이 제2 위치에 위치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FIG. 16 shows a case in which the opening/closing unit 70 is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and FIG. 17 shows a case in which the opening/closing unit 70 is positioned at the second position.

이하,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개폐유닛(70)은 제1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도 61 참조). 개폐유닛(70)이 제1 위치에 위치하면, 제1 커버파트(71)는 제1 오프닝(123)을 폐쇄할 수 있다. 제1 오프닝(123)이 폐쇄되면, 컨테이너(41)는 제1 오프닝(123)을 통해 외부로 드러나지 않을 수 있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16 and 17 , the opening/closing unit 70 may be located at a first position (see FIG. 61 ).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70 is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the first cover part 71 may close the first opening 123 . When the first opening 123 is closed, the container 41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opening 123 .

개폐유닛(70)이 제1 위치에 위치하면, 제2 커버파트(734)는 삽입공간(114)을 폐쇄할 수 있다. 개폐유닛(70)이 제1 위치에 위치하면, 제2 커버파트(734)는 삽입공간(114)의 상단을 덮을 수 있다. 개폐유닛(70)이 제1 위치에 위치하면, 제2 커버파트(734)는 제2 오프닝(124)을 폐쇄할 수 있다.When the opening/closing unit 70 is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the second cover part 734 may close the insertion space 114 .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70 is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the second cover part 734 may cover the upper end of the insertion space 114 .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70 is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the second cover part 734 may close the second opening 124 .

개폐유닛(70)은 제2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도 17 참조). 개폐유닛(70)이 제2 위치에 위치하면, 제1 커버파트(71)는 제1 오프닝(123)을 개방할 수 있다. 제2 오프닝(123)이 개방되면, 컨테이너(41)는 제1 오프닝(123)을 통해 외부로 드러날 수 있다. The opening/closing unit 70 may be located at the second position (see FIG. 17 ).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70 is positioned at the second position, the first cover part 71 may open the first opening 123 . When the second opening 123 is opened, the container 41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opening 123 .

개폐유닛(70)이 제2 위치에 위치하면, 제2 커버파트(734)는 삽입공간(114)을 개방할 수 있다. 개폐유닛(60)이 제2 위치에 위치하면, 제2 커버파트(734)는 삽입공간(114)의 상단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개폐유닛(60)이 제2 위치에 위치하면, 제2 커버파트(734)는 제2 오프닝(124)을 개방할 수 있다. 삽입공간(114) 및 제2 오프닝(124)이 개방되면, 스틱(200)은 삽입공간(114)에 삽입될 수 있다.When the opening/closing unit 70 is positioned at the second position, the second cover part 734 may open the insertion space 114 .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60 is positioned at the second position, the second cover part 734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of the insertion space 114 .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60 is positioned at the second position, the second cover part 734 may open the second opening 124 . When the insertion space 114 and the second opening 124 are opened, the stick 200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114 .

사용자는, 임의로 개폐유닛(70)을 제1 위치 혹은 제2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돌출부(714)를 제1 오프닝(123)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이동시켜, 개폐유닛(70)을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로 위치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제어부(20)가 모터(미도시)를 회전시켜 개폐유닛(70)을 이동시키도록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부(20)에 명령을 전달할 수도 있다.The user may arbitrarily position the opening/closing unit 70 at the first position or the second position. The user may position the opening/closing unit 70 to the first position or the second position by moving the second protrusion 714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first opening 123 . The user may transmit a command to the control unit 20 through the interface so that the control unit 20 rotates a motor (not shown) to move the opening/closing unit 70 .

이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장치(100) 미사용시, 컨테이너(41)와, 컨테이너(41) 내부에 저장된 액체는 외부로 드러나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is not used, the container 41 and the liquid stored in the container 41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이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장치(100) 미사용시, 컨테이너(41) 내부에 저장된 액체가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is not us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quid stored in the container 41 from being altered.

이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장치(100) 미사용시, 삽입공간(114)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is not used,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insertion space 114 .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바디(110); 액체를 저장하는 컨테이너(41)를 구비하고, 상기 바디(1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카트리지(40); 상기 바디(110) 및 상기 카트리지(40)를 덮는 캡(120)으로써, 측벽(121)에 상기 컨테이너(41) 마주하는 제1 오프닝(123)이 형성된 캡(120); 및 상기 제1 오프닝(123)을 개폐하는 개폐유닛(50, 60, 70)을 포함할 수 있다.1 to 16 ,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body 110 ; a cartridge 40 having a container 41 for storing a liquid, a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110; a cap 120 for covering the body 110 and the cartridge 40, wherein a first opening 123 facing the container 41 is formed on a side wall 121 of the cap 120; and opening/closing units 50 , 60 , and 7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opening 123 .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개폐유닛(50)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오프닝(123)을 개폐하는 제1 커버파트(51)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opening/closing unit 50 may include a first cover part 51 that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open and close the first opening 123 .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바디(110)는, 스틱(200)이 삽입가능한 삽입공간(114)을 포함하고, 상기 캡(120)은, 상기 캡(120)의 상벽(122)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간(114)과 연통되는 제2 오프닝(124, 124')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유닛(50)은, 상기 제1 커버파트(51)와 연결되며,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삽입공간(114)을 개폐하는 제2 커버파트(52)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body 110 includes an insertion space 114 into which the stick 200 can be inserted, and the cap 120 includes an upper wall ( 122), and includes second openings 124 and 124' communicating with the insertion space 114, and the opening/closing unit 5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ver part 51, in the front-rear direction It may include a second cover part 52 that moves to open and close the insertion space 114 .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커버파트(5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오프닝(124')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캡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cover part 52 may be disposed above the second opening 124 ′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p.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개폐유닛(50)은, 상기 제1 커버파트(51) 및 상기 제2 커버파트(52)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되며, 좌우방향을 축으로 회전하는 샤프트(55)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opening/closing unit 50 is in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first cover part 51 and the second cover part 52, and rotates in the left-right direction as an axis. It may include a shaft 55 that does.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상기 샤프트(55)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motor for rotating the shaft 55 .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개폐유닛(50)은, 상기 제1 커버파트(51)가 개방되어 형성된 제3 오프닝(53)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유닛(50)이 제1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제3 오프닝(53)은 상기 제1 오프닝(123)을 마주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opening/closing unit 50 includes a third opening 53 formed by opening the first cover part 51, and the opening/closing unit 50 is When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the third opening 53 may face the first opening 123 .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개폐유닛(50)은, 연질 재료용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opening/closing unit 50 may be made of a composition for a soft material.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개폐유닛(60, 70)은, 피봇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오프닝(123)을 개폐하는 제1 커버파트(61, 71)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opening and closing units 60 and 70 may include first cover parts 61 and 7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opening 123, which are pivotably arranged. can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바디(110)는, 스틱(120)이 삽입가능한 삽입공간(114)을 포함하고, 상기 캡(120)은, 상기 캡(120)의 상벽(122)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간(114)과 연통되는 제2 오프닝(124)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유닛(60)은, 상기 제1 커버파트(61)와 연결되며,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피봇축(65)을 중심으로 피봇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삽입공간(114)을 개폐하는 제2 커버파트(62)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body 110 includes an insertion space 114 into which the stick 120 can be inserted, and the cap 120 includes an upper wall ( 122) and includes a second opening 124 communicating with the insertion space 114, and the opening/closing unit 6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ver part 61 and is a pivot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econd cover part 62 which is pivotably disposed about the axis 65 and opens and closes the insertion space 114 may be included.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개폐유닛(70)은,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축(735, 745)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기어장치(72); 및 상기 기어장치(72)와 맞물려 피봇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오프닝(123)을 개폐하는 제1 커버파트(71)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opening/closing unit 70 includes: a gear device 72 rotating about rotation shafts 735 and 745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first cover part 71 that is pivotably disposed in engagement with the gear device 72 and opens and closes the first opening 123 .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바디(110)는, 스틱(200)이 삽입가능한 삽입공간(114)을 포함하고, 상기 캡(120)은, 상기 캡(120)의 상벽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간(114)과 연통되는 제2 오프닝(124)을 포함하고, 상기 기어장치(72)는, 일측에 상기 제1 커버파트(71)와 맞물려 회전하는 기어파트(730)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기어파트(730)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삽입공간(114)을 개폐하는 제2 커버파트(734)가 형성된 제1 기어(72)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body 110 includes an insertion space 114 into which the stick 200 can be inserted, and the cap 120 is on the upper wall of the cap 120 . It is formed and includes a second opening 124 communicating with the insertion space 114, and the gear device 72 has a gear part 730 that rotates in engagement with the first cover part 71 on one side. It may include a first gear 72 formed on the other side, extending from the gear part 730 and having a second cover part 734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sertion space 114 .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기어장치(72)는, 상기 제1 커버파트(71) 및 상기 기어파트(73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커버파트(71) 및 상기 기어파트(730)와 맞물려 회전되는 제2 기어(74)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gear device 72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ver part 71 and the gear part 730, and the first cover part 71 and the It may include a second gear 74 that is rotated in engagement with the gear part 730 .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바디(110)의 상벽(112)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개폐유닛(60, 70)을 피봇시키는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lso,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motor disposed around the upper wall 112 of the body 110 may further include a motor for pivoting the opening/closing units 60 and 70 .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개폐유닛(50, 60, 70)은, 상기 제1 커버파트(51, 61, 71)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오프닝(123)을 통해 노출되는 제2 돌출부(56, 64, 714)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opening/closing unit (50, 60, 70) protrudes from the first cover part (51, 61, 71) and is exposed through the first opening (123). It may include second protrusions 56 , 64 , 714 .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개폐유닛(50, 60, 70)이 제1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제1 커버파트(51, 61, 71)는 상기 제1 오프닝(123)을 폐쇄하고, 상기 제2 커버파트(52, 62, 734)는 상기 삽입공간(114)을 폐쇄하고, 상기 개폐유닛(50, 60, 70)이 제2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제1 커버파트(51, 61, 71)는 상기 제1 오프닝(123)을 개방하고, 상기 제2 커버파트(52, 62, 734)는, 상기 삽입공간(114)을 개방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50, 60, 70) is located in the first position, the first cover part (51, 61, 71) is the first opening (123) and the second cover parts 52, 62, 734 close the insertion space 114, and when the opening/closing units 50, 60, and 70 are located in the second position, the first cover part Reference numerals 51 , 61 , and 71 may open the first opening 123 , and the second cover parts 52 , 62 , and 734 may open the insertion space 114 .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with another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Any or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with another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For example, it means that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a specific embodiment and/or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other embodiments and/or drawings. That is, even if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it means that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for the case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modification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Claims (16)

바디;
액체를 저장하는 컨테이너를 구비하고, 상기 바디의 일측에 결합되는 카트리지;
상기 바디와 상기 카트리지를 덮는 캡으로서, 상기 컨테이너를 마주하는 제1 오프닝이 형성된 캡; 및
상기 제1 오프닝을 개폐하는 개폐유닛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body;
a cartridge having a container for storing a liquid a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a cap covering the body and the cartridge, the cap having a first opening facing the container;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n opening and closing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opening.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닛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오프닝을 개폐하는 제1 커버파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first cover part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open and close the first opening.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스틱이 삽입가능한 삽입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캡은,
상기 캡의 상벽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간과 연통되는 제2 오프닝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제1 커버파트와 연결되며,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삽입공간을 개폐하는 제2 커버파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body is
Including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the stick can be inserted,
The cap is
a second opening formed on the upper wall of the cap and communicating with the insertion space;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ing a second cover part connected to the first cover part and mov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to open and close the insertion spac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파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오프닝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캡의 외부로 노출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cover part,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disposed above the second opening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p.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제1 커버파트 및 상기 제2 커버파트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되며, 좌우방향을 축으로 회전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shaft that is in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first cover part and the second cover part, and rotates in the left-right direction.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erosol generat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motor for rotating the shaft.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제1 커버파트가 개방되어 형성된 제3 오프닝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유닛이 제1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제3 오프닝은 상기 제1 오프닝을 마주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and a third opening formed by opening the first cover part,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is positioned in the first position, the third opening faces the first opening.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닛은,
연질 재료용 조성물로 제조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made of a composition for a soft materia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캡의 측벽을 따라 피봇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오프닝을 개폐하는 제1 커버파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ing a first cover part pivotably disposed along a sidewall of the cap and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first opening.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스틱이 삽입가능한 삽입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캡은,
상기 캡의 상벽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간과 연통되는 제2 오프닝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제1 커버파트와 연결되며,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피봇축을 중심으로 피봇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삽입공간을 개폐하는 제2 커버파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body is
Including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the stick can be inserted,
The cap is
a second opening formed on the upper wall of the cap and communicating with the insertion space;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ing a second cover part connected to the first cover part, pivotably disposed about a pivot ax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opening and closing the insertion space.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닛은,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기어장치; 및
상기 기어장치와 맞물려 피봇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오프닝을 개폐하는 제1 커버파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a gear device rotating about a rotation shaft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first cover part that is pivotably disposed in engagement with the gear device, and opens and closes the first opening.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스틱이 삽입가능한 삽입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캡은,
상기 캡의 상벽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간과 연통되는 제2 오프닝을 포함하고,
상기 기어장치는,
일측에 상기 제1 커버파트와 맞물려 회전하는 기어파트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기어파트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삽입공간을 개폐하는 제2 커버파트가 형성된 제1 기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body is
Including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the stick can be inserted,
The cap is
a second opening formed on the upper wall of the cap and communicating with the insertion space;
The gear device is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first gear having a gear part rotating in engagement with the first cover part on one side, extending from the gear part on the other side, and having a second cover par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sertion space.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장치는,
상기 제1 커버파트 및 상기 기어파트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커버파트 및 상기 기어파트와 맞물려 회전되는 제2 기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gear device is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ver part and the gear part, and comprising a second gear that is rotated in engagement with the first cover part and the gear part.
제9 및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상벽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개폐유닛을 피봇시키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2.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9 and 11,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disposed around the upper wall of the body, further comprising a motor for pivoting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제2 항 및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제1 커버파트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오프닝을 통해 노출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0.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2 and 9,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and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first cover part and exposed through the first opening.
제3 항, 제10 항 및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닛이 제1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제1 커버파트는 상기 제1 오프닝을 폐쇄하고, 상기 제2 커버파트는 상기 삽입공간을 폐쇄하고,
상기 개폐유닛이 제2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제1 커버파트는 상기 제1 오프닝을 개방하고, 상기 제2 커버파트는, 상기 삽입공간을 개방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3.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3, 10 and 12,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is located in the first position, the first cover part closes the first opening, the second cover part closes the insertion space,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is positioned at the second position, the first cover part opens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cover part opens the insertion space.
KR1020210027580A 2021-03-02 2021-03-02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KR1025798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580A KR102579818B1 (en) 2021-03-02 2021-03-02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580A KR102579818B1 (en) 2021-03-02 2021-03-02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3965A true KR20220123965A (en) 2022-09-13
KR102579818B1 KR102579818B1 (en) 2023-09-15

Family

ID=83286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7580A KR102579818B1 (en) 2021-03-02 2021-03-02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981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4045A1 (en) * 2022-05-06 2023-11-09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Aerosol provision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774B1 (en) * 2010-12-13 2011-08-19 신종수 Electronic cigarette
CN205512351U (en) * 2016-01-25 2016-08-31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Electronic cigarette case
KR20190051787A (en) * 2017-11-06 2019-05-1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Cartridge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10003152A (en) * 2018-04-17 2021-01-11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Aerosol generating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774B1 (en) * 2010-12-13 2011-08-19 신종수 Electronic cigarette
CN205512351U (en) * 2016-01-25 2016-08-31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Electronic cigarette case
KR20190051787A (en) * 2017-11-06 2019-05-1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Cartridge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10003152A (en) * 2018-04-17 2021-01-11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Aerosol generating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4045A1 (en) * 2022-05-06 2023-11-09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Aerosol provis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9818B1 (en) 2023-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23965A (en)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EP2868988B1 (en) Humidifier
JP2010508957A5 (en)
KR102133070B1 (en) Grain transilluminating device
JP6055060B1 (en) Electronics
JP2010020722A (en) Electronic device
JP5440041B2 (en) Electronic pen
JP5117525B2 (en) Mist generator and beauty device
JP6011843B2 (en) Mist generator and beauty device
KR20140145861A (en) Washing Machine
CN106164628A (en) Fuel level sensing device and supporting structure thereof
CN209345351U (en) Earphone charging cabin
CN108474169A (en) Device for clothing processing
JP6901232B2 (en) Washing machine
KR102545839B1 (en)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CN210630636U (en) Cigarette electric heating device attached with hidden charging interface
CN218276137U (en) Charging device
JP2023541428A (en) Aerosol generator
JP6461674B2 (en) Containment
KR102525007B1 (en) Cartridge and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comprising the same
CN217609605U (en) Cigarette bullet and electronic atomization device of built-in children's lock
KR20200029808A (en) Wire reel cover and welding machine having the same
JP2017218108A (en) Information display unit, and wind direction adjustment device for vehicle
KR102261612B1 (en) Cosmetics dispenser having skin diagnostor
JP2016222491A (en) Chlorine dioxide gen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