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2474A - Cleaner - Google Patents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2474A
KR20220122474A KR1020210172190A KR20210172190A KR20220122474A KR 20220122474 A KR20220122474 A KR 20220122474A KR 1020210172190 A KR1020210172190 A KR 1020210172190A KR 20210172190 A KR20210172190 A KR 20210172190A KR 20220122474 A KR20220122474 A KR 20220122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battery
cleaner
mop
module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21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재원
이영재
이민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22760117.6A priority Critical patent/EP4298975A1/en
Priority to US18/279,112 priority patent/US20240138644A1/en
Priority to PCT/KR2022/002792 priority patent/WO2022182201A1/en
Priority to TW111106939A priority patent/TWI843060B/en
Priority to AU2022227479A priority patent/AU2022227479A1/en
Publication of KR20220122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247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02Installations of electric equipment
    • A47L11/4005Arrangements of batteries or cells; Electric power supply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38Disk shaped surface tre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4Vacuuming or pick-up tools; Squeege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63Driving means; Transmission means therefor
    • A47L11/4069Driving or transmission means for the clea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75Handles; le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6Arrangements for steam 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8Supply pumps; Spraying devices; Supply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94Accessori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conventional vacuum-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t mop module of a cleaner, the wet mop module comprising a water supply nozzle that discharges water from a water tank to a mop, wherein the water supply nozzle includes a nozzle body having a water outlet discharging water to the mop at one end thereof. The wet mop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allow the water outlet to be obliquely formed, and thus is effective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condensation blocking the water outlet and preventing the water outlet from being clogged with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the condensation when the condensation having dried.

Description

청소기 {CLEANER}vacuum cleaner {CLEANER}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걸레에 물 또는 스팀을 토출시켜 청소 대상 영역의 먼지 또는 이물을 흡입하거나 닦는 청소 모듈이 착탈될 수 있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eaner in which a cleaning module for discharging water or steam to a rag to suck or wipe dust or foreign matter in an area to be cleaned is detachable.

청소기는 청소 대상 영역의 먼지나 이물을 흡입하거나 닦아 청소를 수행하는 기기이다.A vacuum cleaner is a device that performs cleaning by sucking or wiping dust or foreign matter in an area to be cleaned.

이러한 청소기는, 사용자가 직접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기 위한 수동 청소기와,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자동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Such a vacuum cleaner may be divided into a manual cleaner in which a user directly moves the cleaner to perform cleaning, and an automatic cleaner in which the user performs cleaning while driving by themselves.

또한, 수동 청소기는, 청소기의 형태에 따라, 캐니스터 타입의 청소기, 업라이트 타입의 청소기, 핸디형 청소기, 스틱형 청소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ual cleaner may be classified into a canister-type cleaner, an upright-type cleaner, a handy-type cleaner, a stick-type cleaner, and the like,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cleaner.

이중, 무선 청소기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여, 유선으로 전류를 공급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청소가 가능하여 휴대성과 청소 범위 면에서 장점이 있다. 무선 청소기에는 핸디형 청소기 및 스틱 청소기 등이 있다.Among them, the cordless vacuum cleaner has advantages in portability and cleaning range because it can be cleaned while moving freely without being supplied with electric current through a wire, including a rechargeable battery. Cordless vacuum cleaners include handheld vacuum cleaners and stick cleaners.

핸디형 청소기(Hand Vacuum Cleaner)는 휴대성을 극대화시킨 것으로, 무게가 가볍지만 길이가 짧기 때문에 앉아서 청소 영역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책상 또는 소파 위나, 자동차 안과 같이 국부적인 장소를 청소하는데 사용된다.The Hand Vacuum Cleaner maximizes portability, and since it is light in weight but short in length, there may be restrictions on the cleaning area while sitting. Therefore, it is used to clean localized places such as on a desk or sofa, or in a car.

스틱 청소기는 서서 사용할 수 있어 허리를 숙이지 않고도 청소가 가능하다. 따라서 넓은 영역을 이동하면서 청소하는데 유리하다. 핸디형 청소기가 좁은 공간의 청소를 한다면, 스틱형은 그보다는 넓은 공간 청소를 할 수 있고 손에 닿지 않는 높은 곳의 청소를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스틱 청소기를 모듈 타입으로 제공하여 다양한 대상에 능동적으로 청소기 타입을 변경하여 사용하기도 한다.The stick vacuum cleaner can be used while standing, so you can clean without bending your back. Therefore, it is advantageous for cleaning while moving a large area. If a hand-held vacuum cleaner cleans a narrow space, the stick-type vacuum cleaner can clean a wider space than that, and can clean a high place that cannot be reached by hand. Recently, a stick cleaner is provided in a module type, and the cleaner type is actively changed and used for various objects.

바닥을 청소하는 방식는 크게 건식 청소와 습식 청소로 나뉜다. 건식 청소는 먼지를 쓸어내거나 빨아들여 청소하는 방식으로, 종래의 진공청소기가 이에 해당한다. 습식 청소는 물걸레로 먼지를 닦아내 청소하는 방식이다. 이외에 습식 청소 중에는 고온의 스팀을 생성 및 분사하여 살균 및 청소를 하는 방식도 있다.There are two main types of floor cleaning: dry cleaning and wet cleaning. Dry cleaning is a method of cleaning by sweeping or sucking dust, and a conventional vacuum cleaner corresponds to this. Wet cleaning is a method of cleaning by wiping off dust with a wet cloth. In addition, there is a method of sterilizing and cleaning by generating and spraying high-temperature steam during wet cleaning.

종래에는 건식 청소를 위하여 건식 전용 청소기를 사용하였고, 습식 청소를 위하여 습식 전용 청소기를 사용하였다. 하지만, 다양한 종류의 바닥을 청소하기 위하여 두가지 종류의 청소기를 구매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나의 본체, 건식 청소모듈 및 습식 청소모듈을 구비하여, 건식 청소를 하기 위해서는 본체에 건식 청소모듈을 장착하고, 습식 청소를 하기 위해서는 본체에 습식 청소모듈을 장착하는 방식이 연구되었다.Conventionally, a dry-type cleaner was used for dry cleaning, and a wet-only cleaner was used for wet cleaning. However, there wa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purchase two types of vacuum cleaners in order to clean various types of floors.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ne main body, a dry cleaning module and a wet cleaning module are provided, and for dry cleaning, the dry cleaning module is mounted on the main body, and for wet cleaning, the wet cleaning module is mounted on the main body. method was studied.

상기 습식 청소모듈은 물을 저장하는 물통,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히터, 물 또는 스팀을 전달받아 바닥을 닦아내는 걸레 등을 포함한다. 상기 각 부품들은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하나의 어셈블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물통이나 히터가 본체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건식 청소모듈이 본체에 장착될 때 불필요한 부품으로 청소가 불편해지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청소의 용이성이나 모듈 교체의 용이성이나 공간 활용 면에서 물통이나 히터는 본체가 아닌 습식 청소모듈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et cleaning module includes a bucket for storing water, a heater for heating water to generate steam, and a mop for wiping the floor by receiving water or steam. Each of the above parts is preferably configured as one assembly in order to facilitate replacement. For example, when a water tank or a heater is disposed on the main body, there is a problem that cleaning becomes inconvenient due to unnecessary parts when the dry cleaning module is mounted on the main body.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er is disposed in the wet cleaning module rather than the main body.

한국등록실용신안 KR0489070Y1에는 청소 모듈에 메인 배터리가 구비되고, 연장관에 보조 배터리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물걸레 청소기가 개시되어 있다.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KR0489070Y1 discloses a wet mop cleaner in which a main battery is provided in a cleaning module and an auxiliary battery is detachably coupled to an extension tube.

그러나, 상기 물걸레 청소기는 먼지의 흡입이 불가능하고, 걸레의 회전에 대부분의 전력을 사용하므로, 보조 배터리를 결합시키는 것은 단순히 청소기의 사용 시간을 늘려주는 것에 불과하다.However, since the wet mop vacuum cleaner cannot inhale dust and uses most of the power to rotate the mop, combining the auxiliary battery simply increases the use time of the cleaner.

또한, 상기와 같이 걸레를 회전시켜 바닥면을 닦는 청소기는, 바닥에 이물질이 눌러 붙은 경우에는 물이 흡수된 걸레를 회전시켜 바닥을 닦더라도 여전히 이물질이 남아있을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acuum cleaner that rotates the mop to wipe the floo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oreign material is pressed to the floor, the foreign material may still remain even if the floor is cleaned by rotating the mop in which the water has been absorbed.

또한, 바닥에 미생물 등이 번식된 경우에는 물이 흡수된 걸레를 회전시켜 바닥을 닦더라도 미생물을 완전히 살균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는 한계가 있다.In addition, when microorganisms are propagated on the floor,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 microorganisms cannot be completely sterilized even if the floor is wiped by rotating the mop that has absorbed water.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걸레에 공급되는 물을 가열시키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으나, 물을 가열시키는 데에 큰 전력을 사용하는 히터를 청소 모듈에 추가로 장착하는 경우에는, 청소 모듈에 큰 전원을 공급할 필요가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a method of heating the water supplied to the mop can be considered, but when a heater that uses a large amount of power to heat water is additionally mounted to the cleaning module, it is necessary to supply a large power to the cleaning module there is

한국등록특허 KR0738478B1에는 스팀 청소 및 먼지 흡입이 가능한 청소기가 도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No. KR0738478B1 discloses a vacuum cleaner capable of steam cleaning and dust suction.

상기의 청소기는 스팀 청소기와 진공 청소기를 결합시킬 수 있고, 스팀 청소기에서 진공 청소기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The cleaner may combine a steam cleaner and a vacuum cleaner, and is configured to supply power from the steam cleaner to the vacuum cleaner.

그러나, 상기의 청소기는 대량의 전력량을 사용하는 스팀 청소기를 기준으로 전력을 공급하므로, 유선으로 전력을 공급받거나 대형 배터리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무선 핸디형 청소기에 적용이 어려운 한계가 있다.However, since the vacuum cleaner supplies power based on a steam cleaner that uses a large amount of power, it is difficult to apply power to a cordless handy-type cleaner because it needs to be supplied with power by wire or use a large battery.

따라서, 물을 가열할 경우 큰 전력을 청소 모듈에 공급하여야 하며, 그와 동시에 청소기 전체의 청소 가능 시간은 유지시킬 필요가 있다.Therefore, when water is heated, it is necessary to supply a large amount of power to the cleaning module, and at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cleaning time of the entire cleaner.

또한, 상대적으로 큰 무게를 갖는 배터리의 용량을 증가시킬 경우, 사용자가 청소기를 사용할 때 불편하지 않게 무게를 배분시킬 필요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capacity of the battery having a relatively large weight is increased, it is necessary to distribute the weight without inconvenience when the user uses the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스팀 제너레이터가 구비된 청소 모듈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무선 청소기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배터리의 총 용량을 증가시키는 청소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er that increases the total capacity of a battery, which was created to improve the problems of a wireless cleaner in which a cleaning module with a conventional steam generator as described above is detachably coupled.

또한, 걸레에 고온의 물 또는 스팀을 공급하여 살균 및 이물질 제거 효과를 증가시키는 청소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er that increases sterilization and foreign matter removal effects by supplying high-temperature water or steam to the mop.

또한, 추가적인 전력을 공급하면서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er that can be easily operated while supplying additional power.

또한, 청소 모듈에서 스팀을 발생시킬 때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er capable of stably supplying electric power when the cleaning module generates steam.

또한, 보조 배터리가 장착되면서도 청소 모듈의 부피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er capable of minimizing an increase in the volume of a cleaning module while an auxiliary battery is mounte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는, 바닥면의 이물을 청소하는 청소 모듈; 및 상기 청소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사용자가 파지하는 핸들이 구비된 청소기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청소 모듈은, 하측에 걸레가 배치되는 모듈 하우징; 상기 모듈 하우징에 결합되고,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에서 유입되는 물을 가열하는 스팀 제너레이터; 및 상기 모듈 하우징에 형성되고, 보조 배터리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보조 배터리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a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eaning module for cleaning foreign substances on a floor; and a cleaner body provided with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cleaning module and a handle gripped by a user; the cleaning module includes: a module housing in which a mop is disposed on a lower side; a water tank coupled to the module housing and storing water; a steam generator for heating the water flowing in from the water tank; and an auxiliary battery coupling unit formed in the module housing and detachably inserted and coupled to the auxiliary battery.

이때, 상기 보조 배터리 결합부는, 상기 모듈 하우징의 후측 면에 적어도 일부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uxiliary battery coupling part may be at least partially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odule housing.

그리고, 상기 보조 배터리는, 하방 경사지게 상기 보조 배터리 결합부로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battery may be inserted into the auxiliary battery coupling part to be inclined downward.

상기 보조 배터리는, 보조 배터리 본체; 및 상기 보조 배터리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보조 배터리 결합부와 후크 결합되는 결합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The auxiliary battery may include an auxiliary battery body; and a coupling button formed on the auxiliary battery body and hooked with the auxiliary battery coupling unit.

상기 결합 버튼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모듈 하우징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coupling button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dule housing.

그리고, 상기 결합 버튼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모듈 하우징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oupling button may be disposed above the module housing.

상기 보조 배터리는, 상기 배터리와 직렬 연결될 수 있다.The auxiliary battery may be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battery.

상기 보조 배터리는, 상기 배터리와 병렬 연결될 수 있다.The auxiliary battery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battery.

상기 보조 배터리는, 선택적으로 상기 배터리와 직렬 연결 또는 병렬 연결될 수 있다.The auxiliary battery may be selectively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with the battery.

상기 보조 배터리는, 상기 스팀 제너레이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auxiliary battery may supply power to the steam generator.

상기 청소 모듈은, 상기 모듈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모터 샤프트를 회전시켜 상기 걸레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걸레 구동 모터; 및 상기 모듈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고, 흡입구와 연통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청소기 본체로 안내하는 유로 형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터 샤프트의 가상의 축 방향 연장선은 상기 유로 형성부를 통과할 수 있다.The cleaning module may include: a mop driving motor disposed inside the module housing and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mop by rotating the motor shaft; and a flow path forming part formed inside the module housing and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ort to guide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port to the cleaner body, wherein the imaginary axial extension line of the motor shaft includes the flow path forming part can pass

상기 보조 배터리 결합부는, 상기 보조 배터리가 수용되는 보조 배터리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배터리 결합홈은, 상기 청소 모듈이 바닥면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모듈 하우징의 후측 면에서부터 상기 모듈 하우징의 전방을 향하여 바닥면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The auxiliary battery coupling unit includes an auxiliary battery coupling groove in which the auxiliary battery is accommodated, wherein the auxiliary battery coupling groove is forme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module housing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module housing in a state in which the cleaning module is placed on the floor surface. It may be formed along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loor surface toward the front.

상기 보조 배터리 결합홈은, 상기 청소 모듈이 바닥면에 놓인 상태에서, 바닥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어 하방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auxiliary battery coupling groove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by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floor surface while the cleaning module is placed on the floor surface.

상기 청소 모듈은, 상기 스팀 제너레이터를 통과한 수분을 상기 걸레로 토출시키는 디퓨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퓨져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leaning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diffuser discharging moistur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team generator to the mop, and the diffuser may be formed in an annular shape.

상기 걸레 구동 모터는, 환형의 상기 디퓨져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mop driving motor may be disposed inside the annular diffuse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에 의하면, 보조 배터리가 장착되어 배터리의 총 용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uxiliary battery is mounted to increase the total capacity of the battery.

또한, 히터를 통하여 걸레에 고온의 물 또는 스팀을 공급하여 살균 및 이물질 제거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ncrease the sterilization and foreign matter removal effect by supplying high-temperature water or steam to the mop through the heater.

또한, 보조 배터리를 통하여 추가적인 전력을 공급하면서도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easily operate while supplying additional power through the auxiliary battery.

또한, 보조 배터리가 히터에 추가적인 전력을 공급하여 청소 모듈이 스팀을 발생시킬 때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battery supplies additional power to the heater, thereby stably supplying power when the cleaning module generates steam.

또한, 보조 배터리가 장착되면서도 청소 모듈의 부피 증가는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ile the auxiliary battery is mount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volume increase of the cleaning module can be minimiz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본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본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모듈에서 상부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모듈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모듈의 후면을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모듈에 보조 배터리가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모듈에서 보조 배터리가 결합된 상태의 후면을 바라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모듈에서 보조 배터리가 결합된 상태의 내부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을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청소 모듈에서 보조 배터리가 결합된 상태의 후면을 바라본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청소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청소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결합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leaner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leaner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lean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4 .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housing is removed from the clean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ottom view of a clean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lean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as viewed from the rear of the clean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an auxiliary battery is coupled to a clean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as viewed from the rear in a state in which an auxiliary battery is coupled in the clean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of FIG. 11 as viewed from the side.
1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nal arrangement of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battery is coupled in the clean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view of FIG. 13 as viewed from above.
15 is a view as viewed from the rear of the cleaning modu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battery is coupled.
FIG. 16 is a view of FIG. 15 as viewed from the side.
17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leaning modu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leaning modu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may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erm “and/or” may include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can be understood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may include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may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in advanc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may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it may not be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o those with average knowledge in the art, and the shapes and siz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earer explanation.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사시도가 개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본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가 개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본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가 개시되어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leaner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cleaner body according to an example is disclosed.

본 명세서에서 "바닥면"은 거실이나 방의 바닥면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카펫 등과 같은 청소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floor” may be understood to mean a floor surface of a living room or room, as well as a cleaning surface such as a carpet.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는,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흡입 모터(140)를 구비하는 청소기 본체(100)와,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 연결되고, 바닥면의 공기 및 이물을 흡입하며, 바닥면을 닦아 청소하기 위한 청소 모듈(300) 및 청소기 본체(100)와 청소 모듈(300)을 연결하는 연장관(200)을 포함할 수 있다.1 to 3 , a clean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eaner body 100 having a suction motor 140 for generating suction force, and the cleaner body 100 . It may include a cleaning module 300 for wiping and cleaning the floor surface and sucking air and foreign substances from the floor surface, and an extension pipe 200 connecting the cleaner body 100 and the cleaning module 300 .

청소기 본체(100)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structure of the cleaner body 100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지면 위에 먼지통(170) 및 배터리 하우징(180)의 바닥면(하측 면)을 놓았을 때를 기준으로 방향을 정의할 수 있다. Meanwhi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 may be defined based on the bottom surface (lower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170 and the battery housing 180 placed on the ground.

이때, 전방이란 흡입 모터(140)를 기준으로 흡입부(120)가 배치되는 방향이고, 후방이란 핸들(160)이 배치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흡입 모터(140)에서 흡입부(120)를 바라볼 때를 기준으로 오른쪽에 배치되는 방향을 우측이라 부를 수 있고, 왼쪽에 배치되는 방향을 좌측이라 부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지면 위에 먼지통(170) 및 배터리 하우징(180)의 바닥면(하측 면)을 놓았을 때를 기준으로 지면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상측 및 하측을 정의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ront may refer to a direction in which the suction unit 120 is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suction motor 140 , and the rear may refer to a direction in which the handle 160 is disposed. In addition, a direction disposed on the right side when the suction unit 120 is viewed from the suction motor 140 may be called a right side, and a direction disposed on the left side may be called a left side. 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pper and lower sides may be defined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based on when the bottom surface (lower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170 and the battery housing 180 is placed on the ground. .

청소기(1)는 청소기 본체(100)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 본체(100)는 본체 하우징(110), 흡입부(120), 먼지 분리부(130), 흡입 모터(140), 공기 배출 커버(150), 핸들(160), 먼지통(170), 배터리 하우징(180) 및 배터리(19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eaner 1 may include a cleaner body 100 . The cleaner body 100 includes a main body housing 110 , a suction unit 120 , a dust separation unit 130 , a suction motor 140 , an air exhaust cover 150 , a handle 160 , a dust container 170 , and a battery housing. 180 and a battery 190 may be included.

본체 하우징(110)은 청소기 본체(100)의 외관을 이룰 수 있다. 본체 하우징(110)은 흡입 모터(140)와 필터(미도시)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본체 하우징(110)은 원통에 유사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body housing 110 may form the exterior of the cleaner body 100 . The body housing 110 may provide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suction motor 140 and the filter (not shown) therein. The body housing 110 may be configured in a shape similar to a cylinder.

흡입부(120)는 본체 하우징(110)에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예로, 흡입부(120)는 내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흡입부(120)는 연장관(200)과 결합될 수 있다. 흡입부(120)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이하, '흡입 유로'라고 부를 수 있다.)를 제공할 수 있다. The suction part 120 may protrude outward from the main body housing 110 . For example, the suction unit 12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inside. The suction unit 120 may be coupled to the extension pipe 200 . The suction unit 120 may provide a flow path (hereinafter, may be referred to as a 'suction flow path') through which air containing dust may flow.

먼지 분리부(130)는 흡입부(120)와 연통되며, 흡입부(120)를 통해 청소기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된 먼지를 분리하기 위해, 원심력을 이용하는 집진기의 원리를 적용한 구성이다. 먼지 분리부(130) 내부의 공간은 먼지통(170) 내부의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The dust separation unit 130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unit 120 and is configured to apply the principle of a dust collector using centrifugal force to separate dust sucked into the inside of the cleaner body 100 through the suction unit 120 . The space inside the dust separation unit 130 may communicate with the space inside the dust container 170 .

예를 들어, 먼지 분리부(130)는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 먼지를 분리할 수 있는 싸이클론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먼지 분리부(130) 내부의 공간은 상기 흡입 유로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흡입부(120)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와 먼지는 먼지 분리부(130)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먼지 분리부(130)의 내부 공간에서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ust separation unit 130 may include at least one cyclone unit capable of separating dust by cyclone flow. In addition, the space inside the dust separation unit 130 may communicate with the suction passage. Accordingly, the air and dust sucked in through the suction unit 120 helically flow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30 . Accordingly, a cyclone flow may occur in the inner space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30 .

흡입 모터(140)는 공기를 흡입시키는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흡입 모터(140)는 본체 하우징(11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흡입 모터(140)는 회전에 의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예로, 흡입 모터(140)는 원통 형태와 유사하게 구비될 수 있다. The suction motor 140 may generate a suction force for sucking air. The suction motor 140 may be accommodated in the body housing 110 . The suction motor 140 may generate suction force by rotation. For example, the suction motor 140 may be provided similarly to a cylindrical shape.

공기 배출 커버(150)는 본체 하우징(110)의 축 방향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 배출 커버(150)에는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가 수용될 수 있다. 일 예로, 공기 배출 커버(150)에는 헤파(HEPA) 필터가 수용될 수 있다. The air exhaust cover 15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housing 110 . A filter for filtering air may be accommodated in the air exhaust cover 150 . For example, a HEPA filter may be accommodated in the air exhaust cover 150 .

핸들(160)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핸들(160)은 흡입 모터(14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핸들(160)은 원기둥 형태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핸들(160)은 구부러진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핸들(160)은 본체 하우징(110) 또는 흡입 모터(140) 또는 먼지 분리부(130)와 소정 각도를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 The handle 160 may be gripped by a user. The handle 160 may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suction motor 140 . For example, the handle 160 may be formed similarly to a cylindrical shape. Alternatively, the handle 160 may be formed in a curved cylindrical shape. The handle 160 may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main housing 110 , the suction motor 140 , or the dust separation unit 130 .

핸들(160)은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기둥 형태로 형성된 파지부(161), 파지부(161)의 길이 방향(축 방향) 일측 단부에 연결되고 흡입 모터(140)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제1 연장부 및 파지부(161)의 길이 방향(축 방향) 타측 단부에 연결되고, 먼지통(170)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handle 160 is a gripper 161 formed in a pillar shape so that a user can hold it, and a first extension connected to one end of the gripper 16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xial direction) and extending toward the suction motor 140 . A second extension par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art and the grip part 16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xial direction) and extending toward the dust container 170 may be included.

핸들(160)의 상면은 청소기(1)의 상면의 일부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handle 160 may form a partial exterio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leaner 1 .

조작부(165)는 핸들(160)에 배치될 수 있다. 조작부(165)는 핸들(160)의 상부 영역에 형성되는 경사면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부(165)를 통하여 청소기(1)의 동작이나 정지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The manipulation unit 165 may be disposed on the handle 160 . The manipulation unit 165 may be disposed on an inclined surface formed in an upper region of the handle 160 . The user may input an operation or stop command of the cleaner 1 through the manipulation unit 165 .

먼지통(170)은 먼지 분리부(130)와 연통될 수 있다. 먼지통(170)은 먼지 분리부(130)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할 수 있다.The dust container 170 may communicate with the dust separator 130 . The dust container 170 may store the dust separated by the dust separator 130 .

먼지통(170)은 먼지통 본체(171)를 포함할 수 있다.The dust container 170 may include a dust container body 171 .

먼지통 본체(171)는 먼지 분리부(130)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먼지통 본체(171)는 원통 형태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dust container body 171 may provide a space for storing the dust separated by the dust separation unit 130 . For example, the dust container body 171 may be formed similarly to a cylindrical shape.

일 예로, 먼지통 본체(171)는 하측 면이 개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먼지통 본체(171)의 하측 면에는 배출 커버(172)가 구비되어, 먼지통 본체(171)의 하측 면을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ust container body 171 may be provided with an openable lower surface. In this case, a discharge cover 172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body 171 to selectively open the lower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body 171 .

한편, 실시예에 따라 먼지통(170)은 먼지통 압축 레버(173) 및 압축자(1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ustbin 170 may further include a dustbin compression lever 173 and a compressor 174 .

먼지통 압축 레버(173)는 먼지통(170) 또는 먼지 분리부(13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먼지통 압축 레버(173)는 먼지통(170) 또는 먼지 분리부(130)의 외부에 상하로 이동하게 배치될 수 있다. 먼지통 압축 레버(173)는 압축자(174)와 연결될 수 있다. 외력에 의해 먼지통 압축 레버(173)가 아래로 이동하는 경우 압축자(174)도 같이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압축자(174)와 먼지통 압축 레버(173)는 탄성 부재(미도시)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먼지통 압축 레버(173)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탄성 부재는 먼지통 압축 레버(173)와 압축자(174)를 위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dust container compression lever 173 may be disposed outside the dust container 170 or the dust separation unit 130 . The dust container compression lever 173 may be disposed to move up and down on the outside of the dust container 170 or the dust separation unit 130 . The dust container compression lever 173 may be connected to the compressor 174 . When the dust container compression lever 173 moves downward by an external force, the compressor 174 may also move downwar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ovide user convenience. The compressor 174 and the dust container compression lever 173 may be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by an elastic member (not shown). Specifically,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dustbin compression lever 173 is removed, the elastic member may move the dustbin compression lever 173 and the compressor 174 upward.

압축자(174)는 먼지통 본체(17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압축자(174)는 먼지통 본체(171)의 내부 공간을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압축자(174)는 먼지통 본체(171) 내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압축자는 먼지통 본체(171) 내의 먼지를 하방으로 압축할 수 있다. 또한, 배출 커버(172)가 먼지통 본체(171)로부터 분리되어 먼지통(170)의 하부가 개방되는 경우, 압축자(174)는 먼지통(170)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여 먼지통(170) 내의 잔여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먼지통(170) 내에 잔여 먼지가 잔존하지 않도록 하여 청소기의 흡입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먼지통(170) 내에 잔여 먼지가 잔존하지 않도록 하여 잔여물로 인해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The compressor 174 may be disposed inside the dust container body 171 . The compressor 174 may move in the inner space of the dust container body 171 . Specifically, the compressor 174 may move up and down within the dust container body 171 . Through this, the compressor may compress the dust in the dust container body 171 downward. Also, when the discharge cover 172 is separated from the dust container body 171 to open the lower part of the dust container 170 , the compressor 174 moves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of the dust container 170 , and the residual in the dust container 170 . Foreign matter such as dust can be removed. Through this, the suction power of the cleaner may be improved by preventing residual dust from remaining in the dust container 170 . In addition, by preventing residual dust from remaining in the dust container 170 , it is possible to remove odors generated by the residue.

배터리 하우징(180)에는 배터리(190)가 수용될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180)은 핸들(16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The battery 190 may be accommodated in the battery housing 180 . The battery housing 180 may be disposed below the handle 160 .

일 예로, 배터리 하우징(180)은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180)의 후면은 핸들(160)과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 하우징(180)은 하방으로 개방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배터리 하우징(180)의 수용부를 통하여 배터리(190)가 탈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battery housing 180 may have a hexahedral shape with an open bottom. A rear surface of the battery housing 180 may be connected to the handle 160 . In this case, the battery housing 180 may include a receiving part that is opened downward.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battery 190 can be detached through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battery housing 180 .

다른 예로, 배터리 하우징(180)은 내부에 배터리(190)를 수용한 상태로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battery housing 180 may be integrally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190 is accommodated therein.

배터리(190)는 청소기(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배터리(190)는 흡입 모터(14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청소기(1)에 내장된 전선을 통하여 전자 회로 및 전자 부품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0)는 청소 모듈(3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battery 190 is configured to supply power to the cleaner 1 . Specifically, the battery 190 may supply power to the suction motor 140 , and may supply power to an electronic circuit and electronic components through a wire built into the cleaner 1 . In addition, the battery 190 may supply power to the cleaning module 300 .

배터리(190)가 배터리 하우징(180)에 결합된 경우, 배터리(190)의 하면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청소기(1)를 바닥에 내려놓을 때 배터리(190)가 바닥에 놓일 수 있으므로, 배터리(190)를 배터리 하우징(180)에서 바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0)의 하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배터리(190)의 외부 공기와 직접 접촉하므로, 배터리(190)의 냉각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When the battery 190 is coupled to the battery housing 180 ,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19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Since the battery 190 can be placed on the floor when the vacuum cleaner 1 is placed on the floor, the battery 190 can be directly removed from the battery housing 180 . In addition, since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190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external air of the battery 190 , the cooling performance of the battery 190 may be improved.

한편, 배터리(190)가 배터리 하우징(180)에 일체로 고정되는 경우에는, 배터리(190)와 배터리 하우징(180)의 착탈을 위한 구조를 줄일 수 있으므로, 청소기(1)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일 수 있고, 경량화가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battery 190 is integrally fixed to the battery housing 180, the structure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battery 190 and the battery housing 180 can be reduced, so that the overall size of the cleaner 1 can be reduced. and lightweight.

청소기(1)는 연장관(20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leaner 1 may include an extension pipe 200 .

연장관(200)은 청소기 본체(100) 및 청소 모듈(300)과 결합될 수 있다. The extension pipe 200 may be coupled to the cleaner body 100 and the cleaning module 300 .

예를 들어, 연장관(200)은 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장관(200)의 내부 공간은 청소 모듈(30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연장관(200)은 청소기 본체(100)의 흡입부(120)에 형성된 흡입 유로와 연통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extension tube 200 may be formed in a long cylindrical shape. Accordingly, the inner space of the extension pipe 200 may communicate with the inner space of the cleaning module 300 . Also, the extension pipe 200 may communicate with a suction passage formed in the suction unit 120 of the cleaner body 100 .

흡입 모터(140)를 통해 흡입력을 발생되면, 흡입부(120) 및 연장관(200)을 통해 청소 모듈(300)에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 본체(100)에는 청소 모듈(300)과, 연장관(200)을 통해 외부의 먼지 및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청소 모듈(300)을 통해 유입되는 먼지 및 공기는 연장관(200)을 통과한 후 청소기 본체(100)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청소기 본체(100)로 유입되어 흡입부(120)를 통과한 먼지 및 공기는 먼지 분리부(130)에서 분리된 후 먼지는 먼지통(170)에 저장되고, 공기는 공기 배출 커버(15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When suction power is generated through the suction motor 140 , suction power may be provided to the cleaning module 300 through the suction unit 120 and the extension pipe 200 . Accordingly, external dust and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cleaner body 100 through the cleaning module 300 and the extension pipe 200 . Also, dust and air introduced through the cleaning module 300 may be introduced into the cleaner body 100 after passing through the extension pipe 200 . Then, dust and air flowing into the cleaner body 100 and passing through the suction unit 120 are separated by the dust separation unit 130 , and then the dust is stored in the dust container 170 , and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discharge cover 150 . 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한편, 연장관(200)에는 전선이 내장될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 본체(100)와 청소 모듈(300)은 연장관(200)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an electric wire may be embedded in the extension tube 200 . Accordingly, the cleaner body 100 and the cleaning module 3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extension pipe 200 .

도 4 내지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4 to 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clean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 모듈(300)은, 모듈 하우징(310)과, 모듈 하우징(310)에 움직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관(380)을 포함할 수 있다.4 to 9 , the cleaning modul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odule housing 310 and a connector 380 movably connected to the module housing 310 . have.

본 실시예의 청소 모듈(300)은, 일 예로 핸디형 청소기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The cleaning module 3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used in connection with, for example, a handy-type cleaner.

즉, 청소 모듈(300)은 청소기 본체(100) 또는 연장관(20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청소기 본체(100) 또는 연장관(200)에서 연결됨에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청소 모듈(300)을 이용하여 바닥면을 청소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청소 모듈(300)이 연결되는 청소기 본체(100)는 멀티 싸이클론 방식으로 공기 중의 먼지를 분리할 수 있다. That is, the cleaning module 300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leaner body 100 or the extension tube 200 . Accordingly, as the cleaner body 100 or the extension pipe 200 is connected, the user can clean the floor using the cleaning module 300 . At this time, the cleaner body 100 to which the cleaning module 300 is connected may separate dust in the air in a multi-cyclone method.

청소 모듈(300)은 청소기 본체(1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할 수 있다. The cleaning module 300 may operate by receiving power from the cleaner body 100 .

청소 모듈(300)이 연결되는 청소기 본체(100)는 흡입 모터(140)를 포함하므로, 흡입 모터(140)에 의해서 발생되는 흡입력이 청소 모듈(300)로 작용하여 청소 모듈(300)에서 바닥면의 이물질과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Since the cleaner body 100 to which the cleaning module 300 is connected includes the suction motor 140 ,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suction motor 140 acts as the cleaning module 300 , so that the cleaning module 300 has a floor surface in the cleaning module 300 . of foreign matter and air can be inhaled.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청소 모듈(300)은 바닥면의 이물질과 공기를 흡입하여 청소기(1)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leaning module 300 may perform a role of guiding to the cleaner 1 by sucking the foreign substances and air on the floor surface.

연결관(380)은 모듈 하우징(310)의 후측 중앙부에 연결되며, 흡입된 공기를 청소기(1)로 안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nnection pipe 380 is connect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rear side of the module housing 310 , and may guide the sucked air to the cleaner 1 ,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실시예의 방향을 정의하면, 청소 모듈(300)에서 연결관(380)이 연결되는 부분이 청소 모듈(300)의 뒷쪽(후방)이라고 할 수 있고, 연결관(380)의 반대편 부분이 청소 모듈(300)의 앞쪽(전방)이라고 할 수 있다.If the direction of this embodiment is defined to help understanding, the part to which the connector 380 is connected in the cleaning module 300 may be called the back (rear) of the cleaning module 300, and the opposite side of the connector 380 The portion may be referred to as the front (front) of the cleaning module 300 .

또한, 연결관(380)에서 흡입구(313a)를 바라볼 때를 기준으로 하여, 유로 형성부(313)의 왼쪽을 청소 모듈(300)의 왼쪽(좌측)이라 할 수 있고, 유로 형성부(313)의 오른쪽을 청소 모듈(300)의 오른쪽(우측)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측과 우측을 연결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고 부를 수 있다. 좌우 방향은 전후 방향과 수평면 상에서 서로 수직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based on when the suction port 313a is viewed from the connection pipe 380 , the left side of the flow path forming unit 313 may be referred to as the left side (left side) of the cleaning module 300 , and the flow path forming unit 313 . ) may be referred to as the right side (right side) of the cleaning module 300 . In addition, a direction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sides may be referred to as a left-right direction. The left-right direction may mean a front-rear direction and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each other on a horizontal plane.

또한, 물걸레 모듈(300)을 바닥면에 놓은 상태, 즉 걸레(350)가 바닥면에 놓여져 바닥면을 닦을 수 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바닥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을 하측 또는 하방이라 할 수 있고, 바닥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상측 또는 상방이라 할 수 있다.In addition,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wet mop module 300 is placed on the floor, that is, the mop 350 is placed on the floor and can wipe the floor, the direction closer to the floor is the lower side or downward. , the direction away from the floor can be referred to as upward or upward.

청소 모듈(300)은, 모듈 하우징(31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 청소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leaning module 300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cleaning unit 340 rotatably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module housing 310 .

일 예로, 상기 회전 청소부(34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좌우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회전 청소부(340)는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 예로 회전 청소부(340)는 제1 회전 청소부(341)와 제2 회전 청소부(342)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rotation cleaning unit 340 may be provided as a pair and arrang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is case, the pair of rotation cleaning units 340 may be rotated independently. For example, the rotation cleaning unit 340 may include a first rotation cleaning unit 341 and a second rotation cleaning unit 342 .

회전 청소부(340)는, 걸레(350)와 결합될 수 있다. 걸레(350)는 일 예로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걸레(350)는, 제1 걸레(351)와 제2 걸레(35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otary cleaning unit 340 may be combined with the mop 350 . The mop 35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disk, for example. The mop 350 may include a first mop 351 and a second mop 352 .

걸레(350)가 바닥면에 놓인 상태에서는 청소 모듈(300)의 하중에 의하여 걸레(350)가 바닥면과 밀착되므로, 걸레(350)와 바닥면 간의 마찰력이 증가된다. In a state in which the mop 350 is placed on the floor surface, the mop 35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by the load of the cleaning module 300, so that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mop 350 and the floor surface is increased.

모듈 하우징(310)은, 청소 모듈(300)의 외형을 형성하고,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313a)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313a)는 일 예로 모듈 하우징(310)의 하면 전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313a)는 모듈 하우징(310)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module housing 310 may form an external shape of the cleaning module 300 and an intake port 313a for sucking air may be formed therein. The suction port 313a may be formed, for example, at the front end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odule housing 310 . The suction port 313a may exten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rom the module housing 310 .

모듈 하우징(310)은, 하부 하우징(311)과, 하부 하우징(311)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31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odule housing 310 may include a lower housing 311 and an upper housing 312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lower housing 311 .

하부 하우징(311)은, 하측에 회전 청소부(340)가 장착되고, 청소 모듈(300)의 외형을 이룰 수 있다.The lower housing 311 may have a rotating cleaning unit 340 mounted on the lower side, and may form the exterior of the cleaning module 300 .

하부 하우징(311)에는 흡입구(313a)가 형성될 수 있다. A suction port 313a may be formed in the lower housing 311 .

하부 하우징(311)에는, 걸레 구동 모터(370)를 제어하기 위한 인쇄 회로기판기판(390)이 설치되는 기판 설치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기판 설치부는 하부 하우징(311)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후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housing 311 may be provided with a substrate mounting unit on which a printed circuit board 390 for controlling the mop driving motor 370 is installed. For example, the substrate installation part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hook extending upward from the lower housing 311 .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기판 설치부는 하부 하우징(311)에서 유로 형성부(313)의 일측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인쇄회로기판(390)은 제1 조작부(391) 및 제2 조작부(392)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390)에 설치되는 스위치가 제1 조작부(391) 및 제2 조작부(392)의 조작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Although not limited, the substrate installation unit may be located at one side of the flow path forming unit 313 in the lower housing 311 . For example, the printed circuit board 39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manipulation unit 391 and the second manipulation unit 392 . Accordingly, the switch install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390 can detect the manipulation of the first manipulation unit 391 and the second manipulation unit 392 .

하부 하우징(311)에는 디퓨져(337)이 관통하기 위한 노즐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 홀(미도시)을 통하여 스팀 제너레이터(336) 및 디퓨져(337)을 통과한 물 또는 스팀(수증기)은 걸레(350)로 공급될 수 있다.A nozzle hole (not shown) through which the diffuser 337 passes may be formed in the lower housing 311 . Water or steam (steam)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team generator 336 and the diffuser 337 through the nozzle hole (not shown) may be supplied to the mop 350 .

상부 하우징(312)은 하부 하우징(311)의 상측을 덮고, 본 발명의 청소 모듈(300)의 외형을 이룰 수 있다.The upper housing 312 may cover the upper side of the lower housing 311 and form the outer shape of the cleaning modul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모듈 하우징(310)은, 흡입구(313a)와 연통되어 흡입구(313a)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청소기 본체(100)로 유도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부(3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dule housing 310 may further include a flow path forming part 313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ort 313a to form a flow path for guiding the air introduced from the suction port 313a to the cleaner body 100 .

유로 형성부(313)는 하부 하우징(311)의 상측 중앙부에 결합될 수 있고, 단부는 연결관(380)에 연결될 수 있다. The flow path forming part 313 may be coupled to an upper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housing 311 , and an end thereof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ipe 380 .

따라서, 유로 형성부(313)의 배치에 의해서 흡입구(313a)가 전후 방향으로 대략 직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으므로, 흡입구(313a)의 길이가 최소화될 수 있어, 청소 모듈(300)에서의 유로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다. Accordingly, since the suction port 313a may extend in a substantially straight line in the front-rear direction by the arrangement of the flow path forming part 313 , the length of the suction port 313a may be minimized, so that the flow path loss in the cleaning module 300 . This can be minimized.

유로 형성부(313)의 앞쪽 부분은 흡입구(313a)의 상측을 커버할 수 있다. 유로 형성부(313)는 전단부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front portion of the flow path forming part 313 may cover the upper side of the suction port 313a. The flow path forming part 313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upward from the front end toward the rear.

따라서, 유로 형성부(313)는 앞쪽 부분의 높이가 뒷쪽 부분에 비하여 낮게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height of the front portion of the flow path forming portion 313 may be lower than that of the rear portion.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유로 형성부(313)의 앞쪽 부분의 높이가 낮으므로, 상기 청소 모듈(300) 전체 높이 중에서 앞쪽 부분의 높이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청소 모듈(300)의 높이가 낮을수록 가구나 의자 등의 하측의 좁은 공간에 인입되어 청소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진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height of the front part of the flow path forming part 313 is low,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height of the front part among the overall height of the cleaning module 300 can be reduced. The lower the height of the cleaning module 300 is, the higher the possibility that it can be cleaned by being drawn into a narrow space under the furniture or chair.

하부 하우징(311)의 하측 면에는 블로커(314)가 배치된다. 블로커(314)는 흡입구(313a)가 배치된 전방공간과 걸레(350)가 배치된 후방공간을 차폐하여, 걸레(350)에서 방출된 수분이 흡입구(313a)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로커(314)는 중앙부(314a)와 연장부(314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중앙부(314a)를 기준으로 양측 단부에 한 쌍의 연장부(314b)가 대칭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중앙부(314a)는 흡입구(313a)의 후방에 배치되어 수분이 흡입구(313a) 쪽으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부(314b)는 원형의 걸레(350)를 둘러싸도록 호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A blocker 314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311 . The blocker 314 may block the front space in which the suction port 313a is disposed and the rear space in which the mop 350 is disposed, thereby preventing the moisture emitted from the mop 350 from spreading to the suction port 313a. For example, the blocker 314 may include a central portion 314a and an extension portion 314b. In this case, a pair of extension parts 314b may be symmetrically connected to both end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art 314a. In addition, the central portion 314a may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suction port 313a to block moisture from flowing toward the suction port 313a. In addition, the extension 314b may be provided in an arc shape to surround the circular mop 350 .

하부 하우징(311)의 하측에는 청소 모듈(30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한 복수의 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A plurality of rollers for smooth movement of the cleaning module 300 may be provided under the lower housing 311 .

일 예로 하부 하우징(311)에서 걸레(315) 전방에 전방 롤러(315)가 위치될 수 있다. 전방 롤러(315)는 제1 롤러(315a) 및 제2 롤러(31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롤러(315a) 및 제2 롤러(315b)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ront roller 315 may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mop 315 in the lower housing 311 . The front roller 315 may include a first roller 315a and a second roller 315b. The first roller 315a and the second roller 315b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제1 롤러(315a) 및 제2 롤러(315b)는 각각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하부 하우징(311)의 하측에 고정될 수 있다. The first roller 315a and the second roller 315b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shaft, respectively. The shaft may be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lower housing 311 in a state in which it ext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샤프트와 하부 하우징(311)의 전단부 간의 거리는 걸레(350)와 하부 하우징(311)의 전단부 간의 최소 거리 보다 길다. The distance between the shaft and the front end of the lower housing 311 is longer than the minimum distance between the mop 350 and the front end of the lower housing 311 .

일 예로 제1 롤러(315a)의 샤프트와 제2 롤러(315b)의 샤프트 사이에 회전 청소부(340)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at least a portion of the rotation cleaning unit 34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shaft of the first roller 315a and the shaft of the second roller 315b.

이러한 배치에 의하면, 회전 청소부(340)를 흡입구(313a)에 최대한 가깝게 위치시킬 수 있고, 청소 모듈(300)이 위치하는 바닥면 중에서 회전 청소부(340)에 의해서 청소되는 면적이 증가되어, 바닥 청소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arrangement, the rotary cleaner 340 can be position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suction port 313a, and the area cleaned by the rotary cleaner 340 among the floor surfaces where the cleaning module 300 is located is increased, and the floor is cleaned Performance can be improved.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롤러(315a)와 제2 롤러(315b)가 하부 하우징(311)의 하측에 결합되므로, 청소 모듈(300)이 이동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first roller 315a and the second roller 315b ar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lower housing 311 , the mobility of the cleaning module 300 may be improved.

하부 하우징(311)의 하측에는 제3 롤러(31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롤러(315a)와 제2 롤러(315b)는 제3 롤러(316)와 함께 청소 모듈(300)을 3점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제3 롤러(316)는 걸레(350)와 간섭되지 않도록 걸레(35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A third roller 316 may be further provided below the lower housing 311 . Accordingly, the first roller 315a and the second roller 315b may support the cleaning module 300 together with the third roller 316 at three points. At this time, the third roller 316 may be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mop 35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mop 350 .

모듈 하우징(310)에는 냉각 공기 유입구(미도시)과 냉각 공기 토출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A cooling air inlet (not shown) and a cooling air outlet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module housing 310 .

예를 들어, 하부 하우징(311)에는 냉각 공기 유입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냉각 공기 유입구(미도시)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모듈 하우징(3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냉각 공기 유입구(미도시)는 하부 하우징(311)의 전방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사용자의 조작으로 청소 모듈(300)이 전진할 경우 공기의 유입량이 증가될 수 있다.For example, a cooling air inlet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lower housing 311 . External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module housing 310 through a cooling air inlet (not shown). In addition, a cooling air inlet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front sidewall of the lower housing 311 . With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cleaning module 300 moves forward by the user's manipulation, the amount of air introduced may be increased.

그리고, 상부 하우징(312)에는 냉각 공기 토출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냉각 공기 토출구(미도시)를 통하여 모듈 하우징(3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냉각 공기 토출구(미도시)는 상부 하우징(312)의 양 측면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냉각 공기 유입구(미도시)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냉각 공기 토출구(미도시)로 유동하는 과정에서 걸레 구동 모터(370)를 통과하도록 유도할 수 있고, 걸레 구동 모터(370)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 cooling air outlet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upper housing 312 . Air inside the module housing 31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 cooling air outlet (not shown). In addition, cooling air outlets (not shown) may be formed on both sidewalls of the upper housing 312 . With this configuration,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cooling air inlet (not shown) can be induced to pass through the mop drive motor 370 in the process of flowing to the cooling air outlet (not shown), and the mop drive motor 370 It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overheating.

그리고, 하부 하우징(311)이 바닥면에 놓여진 상태를 기준으로, 냉각 공기 토출구는 냉각 공기 유입구보다 지면에서 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모듈 하우징(310) 내부에서 가열된 공기가 상승하여 효과적으로 냉각 공기 토출구로 토출될 수 있다.In addition,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lower housing 311 is placed on the floor, the cooling air outlet may be disposed farther from the ground than the cooling air inlet.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heated air inside the module housing 310 rises and can be effectively discharged to the cooling air outlet.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에서 모듈 하우징(310)에는 보조 배터리 결합부(40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배터리 결합부(400)는 모듈 하우징(310)의 후측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배터리 결합부(400)에는 보조 배터리(50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clean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battery coupling unit 400 may be formed in the module housing 310 . For example, the auxiliary battery coupling unit 400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odule housing 310 . The auxiliary battery 50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auxiliary battery coupling unit 400 .

보조 배터리 결합부(4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A detailed structure of the auxiliary battery coupling unit 400 will be described later.

청소 모듈(300)은 걸레(350)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물탱크(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leaning module 300 may further include a water tank 320 to supply moisture to the mop 350 .

물탱크(320)는 모듈 하우징(31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탱크(320)는 상부 하우징(312)에 형성된 물통안착부에 장착된다. The water tank 320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module housing 310 . Specifically, the water tank 320 is mounted on the water tank seat formed in the upper housing 312 .

또한, 물탱크(320)는 스팀 제너레이터(336)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탱크(320)는 스팀 제너레이터(336)의 상부에서 스팀 제너레이터(336)와 이격되게 배치된다. 즉, 물탱크(320)는 상부하우징(112)을 사이에 두고 스팀 제너레이터(336)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Also, the water tank 320 may be disposed above the steam generator 336 . Specifically, the water tank 320 is disposed above the steam generator 336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team generator 336 . That is, the water tank 320 may be disposed above the steam generator 336 with the upper housing 112 interposed therebetween.

모듈 하우징(310)에 물탱크(320)가 장착된 상태에서, 물탱크(320)는 청소 모듈(3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In a state in which the water tank 320 is mounted on the module housing 310 , the water tank 320 may form the exterior of the cleaning module 300 .

실질적으로 물탱크(320)의 상측벽 전체가 청소 모듈(300)의 상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물탱크(320)가 모듈 하우징(310)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Substantially the entire upper wall of the water tank 320 may form the upper surface of the cleaning module 300 . Accordingly, the user can visually check whether the water tank 320 is mounted on the module housing 310 .

모듈 하우징(310)는 물탱크(320)가 모듈 하우징(310)에 장착된 상태에서, 물탱크(320)를 분리하기 위하여 조작하는 물탱크 분리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탱크 분리 버튼은 청소 모듈(300)에서 중앙부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쉽게 물탱크 분리 버튼을 인식하고, 물탱크 분리 버튼을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module housing 310 may further include a water tank separation button operated to separate the water tank 320 while the water tank 320 is mounted on the module housing 310 . For example, the water tank separation button may b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cleaning module 300 .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water tank separation button and operate the water tank separation button.

물탱크(320)가 모듈 하우징(31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물탱크(320)의 물이 걸레(350)로 공급될 수 있다. In a state in which the water tank 320 is mounted on the module housing 310 , water from the water tank 320 may be supplied to the mop 350 .

구체적으로, 물탱크(320)의 내부에는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물탱크(320)에 저장된 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호스)을 통하여 스팀 제너레이터(336)로 공급될 수 있다. 스팀 제너레이터(336)로 유입된 물은 가열될 수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스팀(수증기)으로 상변환되는 것도 가능하다. 스팀 제너레이터(336)에서 가열된 물은 디퓨져(337)을 통하여 걸레(350)로 공급될 수 있다.Specifically, a space for storing water is formed in the water tank 320 .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320 may be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336 through at least one pipe (hose).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steam generator 336 may be heated, and it is also possible to phase-change the water into steam (water vapor)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Water heated by the steam generator 336 may be supplied to the mop 350 through the diffuser 337 .

물탱크(320)는 급수구를 포함한다. 급수구는 물탱크(320)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구멍이다. 예를 들어, 급수구는 물탱크(32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The water tank 320 includes a water supply port. The water supply port is a hole through which water flows into the water tank 320 . For example, the water supply port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water tank 320 .

물탱크(320)는 배수구를 포함한다. 배수구는 물탱크(320)에 저장된 물이 배출되는 구멍이다. 배수구에서 배출된 물은 스팀 제너레이터(336)로 유동될 수 있다. 배수구는 물탱크(320)의 하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The water tank 320 includes a drain hole. The drain hole is a hole through which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320 is discharged. Water discharged from the drain may flow to the steam generator 336 . The drain hole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tank 320 .

물탱크(320)는 에어홀을 포함한다. 에어홀은 물탱크(32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구멍이다. 물탱크(320) 내부에 저장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면 물탱크(320) 내부에 압력이 하강하고, 하강한 압력을 보상하기 위하여 공기가 에어홀을 통해 물탱크(3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홀은 물탱크(32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The water tank 320 includes an air hole. The air hole is a hole through which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water tank 320 . When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3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pressure inside the water tank 320 is lowered, and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water tank 320 through the air hole to compensate for the lowered pressure. . For example, the air hole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water tank 320 .

본 발명의 청소 모듈(300)은 물탱크(320)에서 유입되는 물을 걸레(350)로 공급하는 유로가 형성된 수분 공급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leaning modul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water supply unit 330 having a flow path for supplying water flowing in from the water tank 320 to the mop 350 .

구체적으로, 수분 공급부(330)는, 물탱크(320)의 물을 모듈 하우징(310) 내부로 유입시키는 물탱크 연결부(331)와, 물탱크 연결부(331)로 유입된 물을 워터 펌프(333)로 공급하는 물 유입관(332)과, 워터 펌프(333)의 물을 T자 형의 커넥터로 공급하는 안내관(334) 및 상기 커넥터로 유입된 물을 스팀 제너레이터(336)로 공급하는 물 공급 관(335)을 포함할 수 있다(도 14 참조).Specifically, the water supply unit 330 includes a water tank connection unit 331 for introducing water from the water tank 320 into the module housing 310 and a water pump 333 for water flowing into the water tank connection unit 331 . ), a guide pipe 334 for supplying water from the water pump 333 to the T-shaped connector, and water for supplying the water flowing into the connector to the steam generator 336 It may include a feed tube 335 (see FIG. 14 ).

물탱크 연결부(331)는 물탱크(320) 내의 밸브(미도시)를 동작시킬 수 있고, 물이 유동할 수 있다. The water tank connection part 331 may operate a valve (not shown) in the water tank 320 and allow water to flow.

물탱크 연결부(331)는 상부 하우징(312)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고, 일부가 상부 하우징(312)를 관통하여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The water tank connection part 331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housing 312 , and a part may pass through the upper housing 312 and protrude upward.

상측으로 돌출된 물탱크 연결부(331)는 물탱크(320)가 상부 하우징(312)에 안착되면, 물탱크(320)의 배출구를 관통하여 물탱크(32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When the water tank 320 is seated in the upper housing 312 , the water tank connection part 331 protruding upward may pass through the outlet of the water tank 320 and be introduced into the water tank 320 .

상부 하우징(312)에는 물탱크(320)에서 배출되는 물이 물탱크 연결부(331)의 주변에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러가 구비될 수 있다. 실러는 일 예로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하우징(312)의 상측에서 상부 하우징(312)에 결합될 수 있다.A sealer for prevent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tank 320 from leaking around the water tank connection part 331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housing 312 . The sealer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rubber material, and may be coupled to the upper housing 312 from the upper side of the upper housing 312 .

상부 하우징(312)에는 물탱크(320)에서 물이 배출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워터 펌프(333)가 설치될 수 있다. A water pump 333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water from the water tank 320 may be installed in the upper housing 312 .

워터 펌프(333)는, 물의 유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워터 펌프(333)는 물 유입관(332)이 연결되는 제1 연결 포트와, 안내관(334)이 연결되는 제2 연결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워터 펌프(333)를 기준으로 제1 연결 포트는 입구이고, 제2 연결 포트는 출구일 수 있다. The water pump 333 may provide a flow force of water. The water pump 333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port to which the water inlet pipe 332 is connected, and a second connection port to which the guide pipe 334 is connected. In this case, based on the water pump 333 , the first connection port may be an inlet,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 may be an outlet.

워터 펌프(333)는, 내부의 밸브체가 작동하면서 팽창 또는 축소되어 제1 연결 포트와 제2 연결 포트를 연통시키도록 작동하는 펌프로서, 공지의 구조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water pump 333 is a pump that expands or contracts while the internal valve body operates to communicate the first connection po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 and may be implemented by a known structure, so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do it with

물 공급관(335)은 상기 커넥터와 스팀 제너레이터(336)의 물 유입구(336b)를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공급관(335)은 상기 커넥터에서 분기된 한 쌍의 관일 수 있다.The water supply pipe 335 may connect the connector and the water inlet 336b of the steam generator 336 . For example, the water supply pipe 335 may be a pair of pipes branched from the connector.

따라서, 물 유입관(332)으로 공급된 물은 워터 펌프(333) 내부로 인입된 후에, 안내관(334)으로 유동된다. 안내관(334)으로 유동된 물은 커넥터에 의해서 물 공급관(335)으로 유동된다. 그리고, 물 공급관(335)으로 유동된 물은 스팀 제너레이터(336)로 공급된다.Accordingly, after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inlet pipe 332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pump 333 , it flows into the guide pipe 334 . The water flowing to the guide pipe 334 flows to the water supply pipe 335 by the connector. Then,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335 is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336 .

스팀 제너레이터(336)는 물을 가열하는 장치이다. 스팀 제너레이터(336)는 모듈 하우징(310)의 내부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스팀 제너레이터(336)는 하부 하우징(311)의 상부면에 설치된다.The steam generator 336 is a device for heating water. The steam generator 336 is disposed inside the module housing 310 . Specifically, the steam generator 336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311 .

스팀 제너레이터(336)는 히팅 챔버(336a), 물 유입구(336b) 및 수분 토출구(336c)를 포함한다.The steam generator 336 includes a heating chamber 336a, a water inlet 336b and a water outlet 336c.

히팅 챔버(336a)의 내부에는 물탱크(320)로부터 유입된 물이 유동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히팅 챔버(336a)는 배터리(190) 및/또는 보조 배터리(500)의 전원을 공급받아 물을 가열할 수 있다. 히팅 챔버(336a)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물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히팅 챔버(336a)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물을 스팀(수증기)으로 상변화시킬 수 있다.A flow path through which water introduced from the water tank 320 can flow is formed in the heating chamber 336a. The heating chamber 336a may receive power from the battery 190 and/or the auxiliary battery 500 to heat water. The heating chamber 336a may adjust the temperature of water according to the user's control. In addition, the heating chamber 336a may change the phase of water into steam (water vapor) according to the user's control.

물 유입구(336b)는 히팅 챔버(336a)의 입구단에 형성된 홀일 수 있다. 물 유입구(336b)를 통하여, 물탱크(320)에 저장되어 있던 물이 스팀 제너레이터(336)에 유입될 수 있다. The water inlet 336b may be a hole formed at the inlet end of the heating chamber 336a.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320 may be introduced into the steam generator 336 through the water inlet 336b.

수분 토출구(336c)는 히팅 챔버(336a)의 출구단에 형성된 홀일 수 있다. 수분 토출구(336c)를 통하여, 물 또는 스팀이 스팀 제너레이터(336)로부터 토출될 수 있다. 수분 토출구(336c)는 디퓨져(337)와 연결될 수 있다.The water outlet 336c may be a hole formed at the outlet end of the heating chamber 336a. Water or steam may be discharged from the steam generator 336 through the water discharge port 336c. The water outlet 336c may be connected to the diffuser 337 .

한편, 본 발명에서 스팀 제너레이터(336)는 경사지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히팅 챔버(336a)는 지면(바닥면)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am generator 336 is inclined. Specifically, the heating chamber 336a is dispos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ground (floor surface).

예를 들어, 히팅 챔버(336a)의 후단은 히팅 챔버(336a)의 전단보다 상부에 배치된다. 즉, 스팀 제너레이터(336)는 후방-상향의 경사를 갖는다. 이에 따라, 물은 스팀 제너레이터(336)의 후방 상부에서 전방 하부로 유동하면서 가열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ar end of the heating chamber 336a is disposed above the front end of the heating chamber 336a. That is, the steam generator 336 has a backward-upward slope. Accordingly, the water may be heated while flowing from the upper rear to the lower front of the steam generator 336 .

한편, 물 유입구(336b)는 히팅 챔버(336a)의 후단에 배치되고, 수분 토출구(336c)는 히팅 챔버(336a)의 전단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하부 하우징(311)이 바닥면(지면)에 놓여진 상태를 기준으로, 물 유입구(336b)는 수분 토출구(336c)보다 바닥면(지면)으로부터 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은 중력에 의해서 물이 상부에서 하부로 유동하면서 가열되고, 물이 수증기로 상변화하여 상승하더라도 물의 유동력에 의하여 수분 토출구(336c)로 토출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water inlet 336b may be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heating chamber 336a, and the water outlet 336c may be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heating chamber 336a. That is,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lower housing 311 is placed on the floor (ground), the water inlet 336b may be disposed farther from the floor (ground) than the water outlet 336c. Accordingly, the water is heated while the water flows from the top to the bottom due to gravity, and even if the water rises through a phase change into water vapor, it can be discharged to the water outlet 336c by the flow force of the water.

디퓨져(337)은 물탱크(320)의 물을 걸레(350)로 토출하도록 구성된다.The diffuser 337 is configured to discharge the water from the water tank 320 to the mop 350 .

디퓨져(337)은 모듈 하우징(310)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디퓨져(337)는 스팀 제너레이터(336)와 연결되어 스팀 제너레이터(336)에서 가열된 수분을 걸레(350)로 토출시킬 수 있다. The diffuser 337 may be accommodated in a space formed inside the module housing 310 . The diffuser 337 may be connected to the steam generator 336 to discharge moisture heated by the steam generator 336 to the mop 350 .

디퓨져(337)은 모듈 하우징(310)에 한 쌍으로 장착되어 좌우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좌우 방향으로 배열된 한 쌍의 디퓨져(337)은 서로 대칭된 형태(거울상)로 형성될 수 있다. The diffuser 337 may be mounted in a pair on the module housing 310 and may be arranged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In addition, the pair of diffusers 337 arrang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may be formed in a shape symmetrical to each other (mirror image).

본 실시예에서 디퓨져(337)는 내부에 수분이 유동할 수 있는 확산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확산 유로를 유동한 수분이 걸레로 토출되는 노즐을 포함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diffuser 337 includes a nozzle in which a diffusion passage through which moisture can flow is formed, and the moisture flowing through the diffusion passage is discharged with a rag.

일 예로, 디퓨져(337)는 환(ring)형으로 형성되고, 노즐이 소정 간격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걸레 구동 모터(370)는, 환형의 디퓨져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디퓨져(337)는 원판 형태의 걸레(350) 전체에 대하여 빠르게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양의 수분을 유동시키는 다른 형태의 디퓨져와 비교하여 관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상하 방향 공간 확보에 유리하다. 또한, 환형의 디퓨져(337)의 중심부에 걸레 구동 모터(370)를 배치시켜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보조 배터리(500)가 모듈 하우징(310)의 내측으로 삽입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or example, the diffuser 337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and a plurality of nozzles may b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At this time, the mop driving motor 370 may be disposed inside the annular diffuser. With this configuration, the diffuser 337 can quickly supply moisture to the entire mop 350 in the form of a disk. In addition, since the thickness of the tube can be reduced compared to other types of diffusers that flow the same amount of moisture, it is advantageous for securing spac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by arranging the mop drive motor 370 in the center of the annular diffuser 337,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pace utilization.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ecure a space for the auxiliary battery 500 to be inserted into the module housing 310 .

다른 예로, 디퓨져(337)는 원호 형태로 형성되고, 노즐이 소정 간격으로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디퓨져(337)는 원판 형태의 걸레(350)에 안정적으로 수분을 공급시킬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diffuser 337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and a plurality of nozzles may be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With this configuration, the diffuser 337 can stably supply moisture to the rag 350 in the form of a disk.

디퓨져(337)에서 분사된 물은 회전 청소부(340)에 형성된 물 통과홀을 통과한 후에 걸레(350)로 공급된다. 걸레(350)는 디퓨져(337)을 통하여 공급된 물을 흡수한 상태로 회전되면서 바닥을 닦게 된다. Water sprayed from the diffuser 337 is supplied to the mop 350 af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passage hole formed in the rotary cleaning unit 340 . The mop 350 is rotated while absorbing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diffuser 337 to wipe the floor.

회전 청소부(340)는 걸레 구동 모터(37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청소부(340)는 회전판일 수 있다. 회전 청소부(340)는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면에 걸레(350)가 부착될 수 있다. The rotation cleaning unit 340 may rotate by receiving power from the mop drive motor 370 . For example, the rotating cleaning unit 340 may be a rotating plate. The rotary cleaning unit 340 may be formed in a disk shape, and a mop 350 may b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thereof.

회전 청소부(340)는 일 예로 모듈 하우징(310)의 하측에서 흡입구(313a)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The rotary cleaning unit 340 may be located, for example, at the lower side of the module housing 310 at the rear of the suction port 313a.

따라서, 청소 모듈(300)을 전진시키며 청소할 때, 흡입구(313a)에 의해서 바닥면의 이물질과 공기가 흡입된 후에 걸레(350)에 의해서 바닥면이 닦일 수 있다. Therefore, when cleaning the cleaning module 300 while moving forward, the floor surface may be wiped with the mop 350 after foreign substances and air are sucked into the floor surface by the suction port 313a.

일 예로, 회전 청소부(340)는, 제1 걸레 구동 모터(371)와 연결되고 제1 걸레(351)가 부착되는 제1 회전 청소부(341)와, 제2 걸레 구동 모터(372)와 연결되고 제2 걸레(352)가 부착되는 제2 회전 청소부(342)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otary cleaning unit 340 is connected to the first mop driving motor 371 and the first rotating cleaning unit 341 to which the first mop 351 is attached, and the second mop driving motor 372 and connected to It may include a second rotary cleaning unit 342 to which the second mop 352 is attached.

구체적으로, 회전 청소부(340)는, 원형 링 형태의 외측 바디와, 외측 바디의 중앙 영역에 위치되며 외측 바디의 내주면과 이격되는 내측 바디와, 내측 바디의 외주면과 외측 바디의 내주면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rotation cleaning unit 340 includes a circular ring-shaped outer body, an inner body position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outer body and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body,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body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body It may include a connecting rib of the.

또한, 회전 청소부(340)는, 디퓨져(337)을 통하여 토출되는 물을 걸레(350)로 공급하기 위하여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되는 물 통과홀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ry cleaning unit 3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water passage hole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order to supply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iffuser 337 to the mop 350 .

한편, 회전 청소부(340)는, 걸레(350)를 부착시키는 부착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부착수단은 벨크로(Velcro)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otary cleaning unit 340 may include an attachment means for attaching the mop (350). For example, the attachment means may be Velcro.

회전 청소부(340)는 하부 하우징(31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회전 청소부(340)는 모듈 하우징(31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The rotary cleaning unit 340 may be disposed below the lower housing 311 . That is, the rotation cleaning unit 34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module housing 310 .

또한, 회전 청소부(340)는 걸레 구동 모터(370)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청소부(3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어를 통하여 걸레 구동 모터(370)와 연결될 수 있고, 걸레 구동 모터(370)의 작동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on cleaning unit 340 may be connected to the mop drive motor 370 to receive power. For example, the rotation cleaning unit 340 may be connected to the mop drive motor 370 through at least one or more gears, and may be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mop drive motor 370 .

회전 청소부(340)는 제1 회전 청소부(341) 및 제2 회전 청소부(3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tation cleaning unit 340 may include a first rotation cleaning unit 341 and a second rotation cleaning unit 342 .

본 실시예에서 제1 회전 청소부(341)의 회전 중심과 제2 회전 청소부(342)의 회전 중심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rotation center of the first rotation cleaning unit 341 and the rotation center of the second rotation cleaning unit 342 are spaced apar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회전 청소부(340)의 회전 중심은 모듈 하우징(310)의 전후 길이를 이등분하는 중심축 보다 모듈 하우징(310)의 전단부에서 멀게 위치될 수 있다. 이는 회전 청소부(340)가 흡입구(313a)를 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The rotation center of the rotation cleaning unit 340 may be located farther from the front end of the module housing 310 than the central axis that bisects the front and rear lengths of the module housing 310 . This is to prevent the rotary cleaning unit 340 from blocking the suction port 313a.

제1 회전 청소부(341)의 회전 중심과 제2 회전 청소부(342)의 회전 중심 간의 거리는 걸레(350)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 걸레(351)와 제2 걸레(352)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서로 간섭됨에 따른 상호 마찰을 줄이고, 간섭되는 부분만큼 청소 가능한 면적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The distance between the rotation center of the first rotation cleaning unit 341 and the rotation center of the second rotation cleaning unit 342 may be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mop 350 . This is to reduce the friction between the first mop 351 and the second mop 352 as they interfere with each other in the course of rotation, and to prevent the area that can be cleaned by the interfering portion from being reduced.

걸레(350)는 회전 운동에 의하여 바닥면을 닦을 수 있다.The mop 350 may wipe the floor surface by rotational motion.

걸레(350)는 바닥면과 마주하도록 회전 청소부(34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The mop 35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rotary cleaning unit 340 to face the floor surface.

걸레(350)는 바닥을 향하는 저면이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걸레(350)는 납작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걸레(350)는, 상하 방향 높이보다 수평 방향의 폭(또는 직경)이 충분히 더 큰 형태로 이루어진다. 걸레(350)가 하부 하우징(311) 쪽에 결합됨에 있어서 걸레(350)의 저면은 바닥면과 평행할 수 있다.The mop 350 is made so that the bottom surface facing the floor has a predetermined area, and the mop 350 is made in a flat form. The mop 350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width (or diamet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sufficiently larger than the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mop 350 is coupled to the lower housing 311 side, the bottom surface of the mop 350 may be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걸레(350)의 저면은 대체로 원형을 이룰 수 있고, 걸레(350)는, 전체적으로 회전대칭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걸레(350)는 회전 청소부(340)의 저면에 탈부착 될 수 있고, 회전 청소부(340)에 결합되어 회전 청소부(34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The bottom surface of the mop 350 may form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and the mop 350 may be formed in a rotationally symmetrical shape as a whole. In addition, the mop 350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otary cleaner 340 , is coupled to the rotary cleaner 340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ry cleaner 340 .

회전 청소부(340)가 모듈 하우징(310)의 하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걸레(350)의 일부는 청소 모듈(3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청소 모듈(300)의 하방에 위치되는 바닥면 뿐만 아니라 청소 모듈(300)의 외측에 위치되는 바닥면도 청소할 수 있다. In a state in which the rotary cleaning unit 340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module housing 310 , a part of the mop 350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cleaning module 300 to clean as well as the floor surface positioned below the cleaning module 300 . The floor surface located outside the module 300 may also be cleaned.

일 예로 걸레(350)는 청소 모듈(300)의 양 측으로 돌출될 뿐만 아니라 후방으로도 돌출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mop 350 may protrude not only to both sides of the cleaning module 300 but also to the rear.

걸레(350)는 제1 회전 청소부(341)와 결합되는 제1 걸레(351) 및 제2 회전 청소부(342)와 결합되는 제2 걸레(35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회전 청소부(341)가 제1 걸레 구동 모터(371)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 제1 걸레(351)도 함께 회전되고, 제2 회전 청소부(342)가 제2 걸레 구동 모터(372)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 제2 걸레(352)도 함께 회전될 수 있다.The mop 350 may include a first mop 351 coupled to the first rotary cleaning unit 341 and a second mop 352 coupled to the second rotary cleaning unit 342 . Therefore, when the first rotation cleaning unit 341 is rotated by receiving the power of the first mop driving motor 371, the first mop 351 is also rotated, and the second rotating cleaning unit 342 is the second mop driving motor ( When the power of 372 is received and rotated, the second mop 352 may also be rotated.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실시예의 청소 모듈(300)은 발광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the cleaning module 3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light emitting module.

발광 모듈은 청소 모듈(300)의 전방에 빛을 조사하여, 청소 모듈(300)의 전방에 존재하는 이물질 또는 미생물을 확인시킬 수 있다. The light emitting module may irradiate light to the front of the cleaning module 300 to check foreign substances or microorganisms existing in front of the cleaning module 300 .

발광 모듈은 모듈 하우징(31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모듈은 하부 하우징(311)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고, 좌우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The light emitting module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module housing 310 . For example, the light emitting module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311 , and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modules may be disposed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발광 모듈은 광을 전방 또는 하부로 조사할 수 있다. 일 예로, 발광 모듈은 복수개의 LED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발광 모듈이 조사하는 빛은 가시광선일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 적외선(IR) 또는 자외선(UV)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발광 모듈이 작동될 경우 청소 모듈(300)의 전방에 이물질 또는 미생물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청소 모듈(300)의 전방에 존재하는 이물질 또는 미생물을 살균하여 위생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light emitting module may irradiate light forward or downward. For example, the light emitting module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LEDs. In this case, the light irradiated by the light emitting module may be visible light, and may be infrared (IR) or ultraviolet (UV), depending on the embodiment. With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light emitting module is operated, it is possible to check the presence of foreign substances or microorganisms in front of the cleaning module 300 as well as to sterilize foreign substances or microorganisms present in front of the cleaning module 300 to improve hygiene. It works.

한편, 청소 모듈(300)은 걸레(350) 및 회전 청소부(34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걸레 구동 모터(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leaning module 300 may further include a mop drive motor 370 that provides power to rotate the mop 350 and the rotating cleaning unit 340 .

구체적으로, 걸레 구동 모터(370)는 제1 회전 청소부(341)를 회전시키는 제1 걸레 구동 모터(371)와, 제2 회전 청소부(342)를 회전시키는 제2 걸레 구동 모터(372)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mop driving motor 370 includes a first mop driving motor 371 for rotating the first rotary cleaning unit 341 and a second mop driving motor 372 for rotating the second rotating cleaning unit 342 . can do.

이와 같이 제1 걸레 구동 모터(371)와 제2 걸레 구동 모터(372)가 개별적으로 동작하므로, 제1 걸레 구동 모터(371)와 제2 걸레 구동 모터(372) 중 어느 하나가 고장나더라도 다른 하나에 의해서 회전 청소부(340)의 회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In this way, since the first mop drive motor 371 and the second mop drive motor 372 operate individually, even if any one of the first mop drive motor 371 and the second mop drive motor 372 fails, the oth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cleaning unit 340 is possible by one.

한편, 제1 걸레 구동 모터(371)와 제2 걸레 구동 모터(372)는 모듈 하우징(310)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걸레 구동 모터(371)와 제2 걸레 구동 모터(372)는 흡입구(313a)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mop drive motor 371 and the second mop drive motor 372 may be arranged spaced apar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n the module housing (310). And, the first mop drive motor 371 and the second mop drive motor 372 may be located at the rear of the suction port (313a).

걸레 구동 모터(370)는 모듈 하우징(3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걸레 구동 모터(370)는 하부 하우징(311)의 상측에 안착되고, 상부 하우징(312)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즉, 상기 걸레 구동 모터(370)는 하부 하우징(311)과 상부 하우징(31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The mop driving motor 370 may be disposed in the module housing 310 . For example, the mop driving motor 370 may be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housing 311 and covered by the upper housing 312 . That is, the mop driving motor 37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housing 311 and the upper housing 312 .

걸레 구동 모터(370)는 모터 샤프트(371)를 포함할 수 있다. 걸레 구동 모터(370)는 모터 샤프트(371)를 회전시켜 걸레(350)에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mop drive motor 370 may include a motor shaft 371 . The mop driving motor 370 may generate a rotational force in the mop 350 by rotating the motor shaft 371 .

한편, 본 실시예에서, 모터 샤프트(371)는 청소 모듈(300)의 전후 방향을 가로 지르는 방향을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 샤프트(371)의 회전축의 가상의 연장선은 유로 형성부(313)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모터 샤프트(371)의 회전축의 가상의 연장선은 서로 교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터 샤프트(371a)의 가상의 연장선은 제2 모터 샤프트(372a)의 가상의 연장선과 서로 교차할 수 있다. 이때, 제1 모터 샤프트(371a)의 가상의 연장선과 제2 모터 샤프트(372a)의 가상의 연장선이 교차하는 지점은 모듈 하우징(310)의 내부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유로 형성부(313)의 내부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the motor shaft 371 may be arranged in a direction transverse to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cleaning module (300). For example, an imaginary extension line of the rotation shaft of the motor shaft 371 may pass through the flow path forming part 313 . In addition, virtual extension lines of the rotation shafts of the pair of motor shafts 371 may cross each other. For example, an imaginary extension line of the first motor shaft 371a may intersect with an imaginary extension line of the second motor shaft 372a. At this time, the point where the virtual extension line of the first motor shaft 371a and the virtual extension line of the second motor shaft 372a intersect may be inside the module housing 310 , preferably the flow path forming part 313 . can be inside of

이와 같은 구성으로, 모듈 하우징(310)의 내부에서 걸레 구동 모터(370)가 차지하는 전후 방향 공간을 줄일 수 있고, 모듈 하우징(310) 내부의 후측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보조 배터리(500)가 결합되더라도 모듈 하우징(310)의 전체적인 부피는 증가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With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pace in the front-rear direction occupied by the mop driving motor 370 in the inside of the module housing 310 and secure the rear space inside the module housing 310 .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auxiliary battery 500 is combined, the overall volume of the module housing 310 is not increased.

한편, 청소 모듈(300)은 청소기 본체(100) 또는 연장관(200)과 결합되는 연결관(380)을 포함한다.Meanwhile, the cleaning module 300 includes a connector 380 coupled to the cleaner body 100 or the extension tube 200 .

연결관(380)은, 유로 형성부(313)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1 연결관(381)과, 제1 연결관(38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연결관(382) 및 제1 연결관(381)과 제2 연결관(382) 내부를 연통시키는 안내관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nector 380 includes a first connector 381 connected to an end of the flow path forming part 313 , a second connector 382 , and a first connector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381 . The connector 381 and the second connector 382 may include a guide tube communicating the inside.

제1 연결관(381)은 관 형태로 형성되어 축 방향 일측 단부는 유로 형성부(313)의 단부에 연결되고, 축 방향 타측 단부는 제2 연결관(382)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관(381)은 외주면 일부가 절개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절개된 부분이 제2 연결관(382) 및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청소 모듈(300)이 지면에 놓여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팔 움직임에 따라 제2 연결관(382)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즉, 제1 연결관(381)과 제2 연결관(382)은 청소 모듈(300)과 청소기 본체(1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일종의 관절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ng pipe 381 may be formed in a tube shape, so that one end in the axial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low path forming part 313 , and the other end in the axial direction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ng pipe 382 . . In this case, the first connector 381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cut, and the cut portion may be disposed to face the second connector 382 and the upper side. With this configur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cleaning module 300 is placed on the ground, the angle between the second connector 382 and the grou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s arm. That is, the first connector 381 and the second connector 382 may serve as a kind of joint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between the cleaning module 300 and the cleaner body 100 .

제2 연결관(382)은 관 형태로 형성되어 축 방향 일측 단부는 제1 연결관(313)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축 방향 타측 단부는 청소기 본체(100) 또는 연장관(200)이 삽입되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second connecting pipe 382 is formed in the form of a tube so that one end in the axial direction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ng pipe 313, and the other end in the axial direction is the cleaner body 100 or the extension pipe 200 is inserted. detachably coupled.

한편, 제1 연결관(381) 및 제2 연결관(382)에는 전선이 내장될 수 있고, 제1 연결관(381) 및 제2 연결관(382)에 내장된 전선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청소기 본체(100)의 배터리(190)에서 인가되는 전류를 청소 모듈(300)로 보낼 수 있다.Meanwhile, electric wires may be embedded in the first connector 381 and the second connector 382 , and the electric wires embedded in the first connector 381 and the second connector 38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have. With this configuration, the current applied from the battery 190 of the cleaner body 100 may be sent to the cleaning module 300 .

한편, 안내관은 제1 연결관(381)의 내부 공간과 제2 연결관(382)의 내부 공간을 연결시킬 수 있다. 안내관은 청소 모듈(300)에서 흡입된 공기가 연장관(200) 및/또는 청소기 본체(100)로 유동되도록 내부에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안내관은 제1 연결관(381) 및 제2 연결관(382)의 회전에 따라 함께 변형될 수 있다. 일 예로, 안내관은 주름진 관(자바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guide tube may connect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connecting tube 381 and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connecting tube 382 . The guide tube may have a flow path formed therein so that air sucked from the cleaning module 300 flows to the extension tube 200 and/or the cleaner body 100 . In this case, the guide tube may be deformed together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connecting tube 381 and the second connecting tube 382 . As an example, the guide tube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orrugated tube (jabara).

한편, 제2 연결관(382)에는 연장관 분리 버튼(384)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연결관(382)이 지면과 수직하게 세워졌을 때를 기준으로 연장관 분리 버튼(384)은 제2 연결관(382)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2 연결관(382)이 지면과 나란하거나 지면과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연장관 분리 버튼(384)은 제2 연결관(38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connection pipe 382 may be provided with an extension pipe separation button 384 . The extension pipe separation button 384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second connector 382 based on when the second connector 382 is erect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lternatively,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connector 382 is parallel to the ground or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ground, the extension tube separation button 384 may be disposed above the second connector 382 .

연장관 분리 버튼(384)은 연장관(200)과 후크 결합되되, 외력이 인가되면 연장관(200)과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관 분리 버튼(384)은 길죽한 보드(board)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일측 단부(전측 단부)에는 후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장관 분리 버튼(384)의 가운데 부분에는 힌지부가 구비되어 제2 연결관(382)과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힌지부에는 토션스프링이 구비되어 연장관 분리 버튼(384)과 연장관(200)의 결합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연장관 분리 버튼(384)의 타측 단부(후측 단부)에는 사용자가 누르는 위치를 가이드하는 버튼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연장관 분리 버튼(384)의 후크는 연장관(200)과 후크 결합되고, 사용자가 버튼부를 누르면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연장관(200)과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The extension tube separation button 384 is hook-coupled to the extension tube 200 , an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connection with the extension tube 200 may be released. For example, the extension pipe release button 384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n elongated board, and a hook may be formed at one end (front end). In addition, a hinge portion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extension tube separation button 384 to be hinge-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on tube 382 . At this time, a torsion spring is provided in the hinge portion to elastically support the coupling of the extension tube separation button 384 and the extension tube 200 . In addition, the other end (rear end) of the extension tube separation button 384 may be provided with a button portion for guiding a position pressed by the user. With this configuration, the hook of the extension tube separation button 384 is hook-coupled to the extension tube 200 , and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the connection with the extension tube 200 may be released while rotating around the hinge portion.

또한, 제2 연결관(382)에는 받침 돌기(385)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연결관(382)이 지면과 수직하게 세워졌을 때를 기준으로 받침 돌기(385)는 제2 연결관(382)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2 연결관(382)이 지면과 나란하거나 지면과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받침 돌기(385)는 제2 연결관(38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pport protrusion 385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connection pipe 382 . The support protrusion 385 may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second connector 382 when the second connector 382 is erect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lternatively,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connector 382 is parallel to the ground or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ground, the support protrusion 385 may be disposed below the second connector 382 .

받침 돌기(385)는 돌출부 및 받침부를 포함한다. 돌출부는 제2 연결관(382)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받침부는 상기 돌출부에서 수직하게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upport protrusion 385 includes a protrusion and a support portion.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on pipe 382 , and the support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perpendicular to the protrusion.

청소기 본체(100)를 지면(바닥면)에 내려 놓았을 때, 상기 받침부는 지면과 접촉되어 연결관(380)을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청소기(1)를 내려 놓았을 때, 연결관(380) 및/또는 연장관(200)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고, 연결관(380) 및/또는 연장관(2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cleaner body 100 is put down on the ground (floor surface), the support part may be in contact with the ground to support the connection pipe 380 .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cleaner 1 is put down, the connection pipe 380 and/or the extension pipe 200 can be stably supported, and damage to the connection pipe 380 and/or the extension pipe 200 can be prevented. can be prevented

한편, 청소 모듈(300)은 청소 모듈(300)을 제어하는 모듈 제어부(미도시)가 배치된 인쇄회로기판(390)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90)은 전류가 인가될 수 있고, 통신선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인쇄회로기판(390)은 냉각 공기 유입구(317)로 유입되어 냉각 공기 토출구(318)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Meanwhile, the cleaning module 300 may include a printed circuit board 390 on which a module controller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cleaning module 300 is disposed. The printed circuit board 390 may be applied with current and a communication line may be disposed thereon. At this time, the printed circuit board 390 may be cooled by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ooling air inlet 317 and discharged through the cooling air outlet 318 .

한편, 모듈 하우징(310)에는 물탱크(320)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제1 조작부(39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조작부(391)는 모듈 하우징(310)의 후측에 위치될 수 있다. Meanwhile, the module housing 31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manipulation unit 391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tank 320 . For example, the first manipulation unit 391 may be located at the rear side of the module housing 310 .

제1 조작부(391)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으며, 제1 조작부(391)의 조작에 의해서 물탱크(320)에서 물이 배출되도록 하거나 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The first manipulation unit 391 may be operated by a user, and water may be discharged from the water tank 320 or water may not be discharged by the manipulation of the first manipulation unit 391 .

또는, 제1 조작부(391)에 의해서 물탱크(320)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조작부(391)를 조작함에 따라서, 물탱크(320)에서 단위 시간 당 제1 양만큼 물이 배출되도록 하거나, 단위 시간 당 제1 양 보다 많은 제2 양만큼 물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tank 320 may be adjusted by the first manipulation unit 391 . For example, as the user operates the first manipulation unit 391 ,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water tank 320 by a first amount per unit time, or water is discharged by a second amount greater than the first amount per unit time. can be expelled.

제1 조작부(391)는 모듈 하우징(310)에 좌우 방향으로 피봇되도록 구비되거나, 실시예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피봇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manipulation unit 391 may be provided to pivot in the left-right direction on the module housing 310 or may be provided to pivot in the up-down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예를 들어, 제1 조작부(391)가 중립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물 배출량은 0이고, 제1 조작부(391)의 왼쪽을 푸시하여 제1 조작부(391)가 좌측으로 피봇되도록 하면 물탱크(320)에서 단위 시간 당 제1 양만큼 물이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조작부(391)의 오른쪽을 푸시하여 제1 조작부(391)가 우측으로 피봇되도록 하면 물탱크(320)에서 단위 시간 당 제2 양만큼 물이 배출될 수 있다. 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manipulation unit 391 is positioned in the neutral position, the water discharge amount is 0, and when the left side of the first manipulation unit 391 is pushed so that the first manipulation unit 391 is pivoted to the left, the water tank ( In 320), water may be discharged by a first amount per unit time. In addition, whe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manipulation unit 391 is pushed so that the first manipulation unit 391 is pivoted to the right, a second amount of water may be discharged from the water tank 320 per unit time.

한편, 모듈 하우징(310)에는 스팀 제너레이터(336)에서 토출되는 수분의 상을 조절하기 위한 제2 조작부(39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조작부(392)는 모듈 하우징(310)의 후측에 위치될 수 있다. Meanwhile, the module housing 31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manipulation unit 392 for controlling the phase of moisture discharged from the steam generator 336 . For example, the second manipulation unit 392 may be located at the rear side of the module housing 310 .

제2 조작부(392)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으며, 제2 조작부(392)의 조작에 의하여 스팀 제너레이터(336)에서 걸레(350)로 물이 토출되도록 하거나 스팀(수증기)이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The second operation unit 392 can be operated by the user, and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operation unit 392, water can be discharged from the steam generator 336 to the mop 350 or steam (water steam) can be discharged. .

제2 조작부(392)는 모듈 하우징(310)에 회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조작부(392)는 회전식 손잡이(다이얼)일 수 있다.The second manipulation unit 392 may be provided to rotate on the module housing 310 . For example, the second manipulation unit 392 may be a rotary knob (dial).

예를 들어, 제2 조작부(392)가 회전되어 제1 위치를 가리키는 상태에서는 스팀 제너레이터(336)에서 물을 가열하지 않고, 상온의 물을 걸레(350)로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조작부(392)가 회전되어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를 가리키는 상태에서는 스팀 제너레이터(336)에서 물을 가열하여 물을 걸레(350)로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조작부(392)가 회전되어 제1 위치 및 제2 위치와 다른 제3 위치를 가리키는 상태에서는 스팀 제너레이터(336)에서 물을 가열하여 물을 스팀(수증기)으로 상변화시킨 다음 걸레(350)로 토출시킬 수 있다.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manipulation unit 392 is rotated to indicate the first position, the steam generator 336 does not heat water, and water at room temperature may be discharged to the mop 350 . 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manipulation unit 392 is rotated to indicate a second posi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position, the steam generator 336 may heat water to discharge the water to the mop 350 . 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operation unit 392 is rotated to indicate a third posi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the water is heated in the steam generator 336 to change the phase of water into steam (steam), and then a mop ( 350) can be discharged.

한편,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모듈에 보조 배터리가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모듈에서 보조 배터리가 결합된 상태의 후면을 바라본 도면이 도시되며, 도 12에는 도 11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1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모듈에서 보조 배터리가 결합된 상태의 내부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며, 도 14에는 도 13을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Meanwhile, FIG.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an auxiliary battery is coupled to a clean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diagram in which an auxiliary battery is coupled in the clean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shown a view looking at the rear of the state, FIG. 12 is a view seen from the side of FIG. 11, and FIG. 13 shows the internal arrangement of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battery is coupled in the clean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rawing for explanation is shown, and FIG. 14 is a view seen from the upper side of FIG. 13 .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모듈(300) 및 청소 모듈(300)에 형성된 보조 배터리 결합부(4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leaning module 300 and the auxiliary battery coupling unit 400 formed in the cleaning modul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4 .

보조 배터리 결합부(400)는 청소 모듈(300)에 구비되고, 보조 배터리(50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 배터리 결합부(400)는 청소 모듈(300)의 모듈 하우징(310)에 형성되고, 보조 배터리(50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The auxiliary battery coupling unit 400 is provided in the cleaning module 300 , and the auxiliary battery 500 may be detachably coupled thereto. Specifically, the auxiliary battery coupling unit 400 may be formed in the module housing 310 of the cleaning module 300 and accommodate the auxiliary battery 500 therein.

보조 배터리 결합부(400)는 보조 배터리 수용홈(410), 단자(420), 결합턱(430) 및 전원 연결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xiliary battery coupling unit 400 may include an auxiliary battery receiving groove 410 , a terminal 420 , a coupling jaw 430 , and a power connector (not shown).

보조 배터리 수용홈(410)은 모듈 하우징(310)의 후측 면에 오목하게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배터리 수용홈(410)에는 보조 배터리(500)가 탈착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The auxiliary battery receiving groove 410 may be concavely recessed in the rear surface of the module housing 310 to be formed. The auxiliary battery 500 may be detachably accommodated in the auxiliary battery receiving groove 410 .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보조 배터리 수용홈(410)은 모듈 하우징(310)의 후측 면(312a)에서 모듈 하우징(310)의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함몰된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보조 배터리 수용홈(410)이 형성되는 방향은 바닥면(지면)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Meanwhi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battery accommodating groove 41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groove recessed from the rear surface 312a of the module housing 310 toward the inside of the module housing 310 . In this case, the direction in which the auxiliary battery accommodating groove 410 is formed may be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ground).

즉, 보조 배터리 수용홈(410)은 모듈 하우징(310)의 후측 면(312a)에서부터 청소 모듈(300)의 전방을 향하여 바닥면(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조 배터리 수용홈(410)은 하부 하우징(311)의 저면의 형성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보조 배터리 수용홈(410)은 원판 형태의 회전 청소부(340)의 가상의 연장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That is, the auxiliary battery receiving groove 410 may be recess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ground) from the rear surface 312a of the module housing 310 toward the front of the cleaning module 300 .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the auxiliary battery receiving groove 410 is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ormation direc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311 .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the auxiliary battery receiving groove 410 is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virtual extension surface of the rotating cleaning unit 340 in the form of a disk.

청소 모듈(300)이 바닥면(지면)에 놓여진 상태를 기준으로, 바닥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보조 배터리(500)를 보조 배터리 결합부(400)에 삽입시켜, 보조 배터리(500)와 보조 배터리 결합부(400)를 결합시킬 수 있다(도 10 참조).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cleaning module 300 is placed on the floor (ground), the auxiliary battery 500 is inserted into the auxiliary battery coupling unit 400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loor surface, and the auxiliary battery 500 and the auxiliary battery are combined. The part 400 may be coupled (see FIG. 10 ).

이와 같은 구성으로, 청소 모듈(300) 내부에 수용되는 보조 배터리(500)의 부피를 최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보조 배터리(500)가 청소 모듈(300)에 결합된 상태에서의 청소 모듈(300)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보조 배터리(500)가 결합된 청소 모듈(300)에서, 보조 배터리(500)의 노출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volume of the auxiliary battery 500 accommodated in the cleaning module 300 can be maximized. In addition, the volume of the cleaning module 300 in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battery 500 is coupled to the cleaning module 300 may be minimized. In addition, in the cleaning module 300 to which the auxiliary battery 500 is coupled, exposure of the auxiliary battery 500 may be minimized.

보조 배터리 수용홈(410)에는 보조 배터리(500)가 수용될 수 있다. 보조 배터리 수용홈(410)은 보조 배터리 본체(510)가 끼워질 수 있도록 보조 배터리 본체(510)의 형태에 대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배터리 수용홈(410)의 전후 방향 직경은, 배터리 본체(510)의 전후 방향 직경과 같거나 클 수 있다. 또한, 보조 배터리 수용홈(410)의 좌우 방향 직경은, 배터리 본체(510)의 좌우 방향 직경과 같거나 클 수 있다. 또한, 보조 배터리 수용홈(410) 측벽의 곡률은 이와 마주보는 배터리 본체(510)의 외측 면의 곡률과 동일할 수 있다. The auxiliary battery 500 may be accommodated in the auxiliary battery receiving groove 410 . The auxiliary battery receiving groove 410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auxiliary battery body 510 so that the auxiliary battery body 510 can be inserted thereinto. For example, the front-rear diameter of the auxiliary battery receiving groove 410 may be the same as or greater than the front-rear diameter of the battery body 510 . In addition, the left-right diameter of the auxiliary battery receiving groove 410 may be the same as or greater than the left-right diameter of the battery body 510 . In addition, the curvature of the sidewall of the auxiliary battery receiving groove 410 may be the same as the curvatur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body 510 facing it.

보조 배터리 수용홈(410)에는 단자(420)가 구비될 수 있다. 단자(420)는 보조 배터리 수용홈(410) 중에서 보조 배터리(500)가 삽입되는 입구로부터 가장 먼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보조 배터리(500)가 보조 배터리 수용홈(410)에 결합되면, 단자(420)에는 보조 배터리(500)의 전기 연결부(540)에 구비된 단자가 접촉될 수 있다.A terminal 420 may be provided in the auxiliary battery receiving groove 410 . The terminal 420 may be disposed at the farthest from the entrance into which the auxiliary battery 500 is inserted among the auxiliary battery receiving grooves 410 .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auxiliary battery 500 is coupled to the auxiliary battery receiving groove 410 , the terminal 420 may be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provided in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540 of the auxiliary battery 500 .

걸림턱(430)은 보조 배터리(500)와 후크 결합될 수 있다. 걸림턱(430)은 보조 배터리 수용홈(410)의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턱(430)은 보조 배터리 수용홈(410)의 측벽 중 좌우 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430)에는 보조 배터리(500)의 결합 버튼(52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걸림턱(430)에는 결합 버튼(520)의 버튼부(521)가 걸려 지지될 수 있고, 결합 버튼(520)의 후크(522)가 후크 결합될 수 있다.The locking jaw 430 may be hook-coupled to the auxiliary battery 500 . The locking jaw 430 may be formed on the sidewall of the auxiliary battery receiving groove 410 . For example, the locking jaws 430 may be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idewall of the auxiliary battery receiving groove 41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 coupling button 520 of the auxiliary battery 500 may be coupled to the locking jaw 430 . At this time, the button portion 521 of the coupling button 520 may be hooked and supported on the locking protrusion 430 , and the hook 522 of the coupling button 520 may be hook-coupled.

전원 연결부(미도시)는 보조 배터리(500)와 청소 모듈(30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보조 배터리(500)는 청소 모듈(3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A power connector (not shown)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auxiliary battery 500 and the cleaning module 300 . With this configuration, the auxiliary battery 500 may supply power to the cleaning module 300 .

또한, 전원 연결부(미도시)는 보조 배터리(500)와 배터리(19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때, 전원 연결부(미도시)는 모듈 하우징(310)에 별도의 회로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인쇄회로기판(390) 상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a power connection unit (not shown)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auxiliary battery 500 and the battery 190 . In this case, the power connection unit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module housing 310 as a separate circuit configuration, as well as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390 .

일 예로, 전원 연결부(미도시)는 보조 배터리(500)와 배터리(190)를 직렬 연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보조 배터리(500)는 배터리(190)와 직렬 연결되어 청소 모듈(3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For example, a power connection unit (not shown) may connect the auxiliary battery 500 and the battery 190 in series. With this configuration, the auxiliary battery 500 may be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battery 190 to supply power to the cleaning module 300 .

따라서, 큰 전압의 전원이 요구될 경우, 본 발명의 청소기(1)는 보조 배터리(500)와 배터리(190)를 직렬 연결시켜 청소 모듈(300)에 큰 전압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a large voltage power source is required, the clean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upply a large voltage power supply to the cleaning module 300 by connecting the auxiliary battery 500 and the battery 190 in series.

다른 예로, 전원 연결부(미도시)는 보조 배터리(500)와 배터리(190)를 병렬 연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보조 배터리(500)는 배터리(190)와 병렬 연결되어 청소 모듈(3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power connector (not shown) may connect the auxiliary battery 500 and the battery 190 in parallel. With this configuration, the auxiliary battery 500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battery 190 to supply power to the cleaning module 300 .

따라서, 대용량의 전원이 요구될 경우, 본 발명의 청소기(1)는 보조 배터리(500)와 배터리(190)를 병렬 연결시켜 청소 모듈(300)에 대용량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a large-capacity power is required, the clean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upply a large-capacity power to the cleaning module 300 by connecting the auxiliary battery 500 and the battery 190 in parallel.

한편, 본 발명에서 전원 연결부(미도시)는 보조 배터리(500)와 배터리(190)의 직렬 연결과 병렬 연결을 전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연결부(미도시)는 보조 배터리(500)와 배터리(500) 및 청소 모듈(300)의 전기적 연결을 변경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connection unit (not shown) may switch the series connection and parallel connection between the auxiliary battery 500 and the battery 190 . Specifically, the power connection unit (not shown) may change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auxiliary battery 500 and the battery 500 and the cleaning module 300 .

한편, 실시예에 따라, 전원 연결부(미도시)는 보조 배터리(500)와 스팀 제너레이터(336)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때, 배터리(190)는 흡입 모터(140)를 포함하여 스팀 제너레이터(336)를 제외한 청소기(1)의 부품에 전원을 공급하고, 보조 배터리(500)는 스팀 제너레이터(336)에만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보조 배터리(500)가 스팀 제너레이터(336)에 직접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power connection unit (not shown) may connect the auxiliary battery 500 and the steam generator 336 . At this time, the battery 190 supplies power to the parts of the cleaner 1 except for the steam generator 336, including the suction motor 140, and the auxiliary battery 500 supplies power only to the steam generator 336. it is possible With this configuration, the auxiliary battery 500 may directly supply power to the steam generator 336 .

따라서, 상대적으로 큰 전력량이 요구되는 스팀 제너레이터(336)에 보조 배터리(500)가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uxiliary battery 500 may stably supply power to the steam generator 336 requiring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power.

한편, 보조 배터리 결합부(400)에 보조 배터리(50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보조 배터리(500)의 결합 버튼(520)은 적어도 일부가 모듈 하우징(310)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배터리 결합부(400)에 보조 배터리(50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보조 배터리(500)의 결합 버튼(520)은 적어도 일부가 모듈 하우징(310)의 후측 면(312a)보다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보조 배터리 결합부(400)에 보조 배터리(5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결합 버튼(520)을 시각적으로 인지하여 보조 배터리(500)가 결합되었다는 사실을 인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결합 버튼(520)을 파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결합 버튼(520)을 눌러 보조 배터리(500)를 청소 모듈(300)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Meanwhile, in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battery 500 is coupled to the auxiliary battery coupling unit 400 , at least a portion of the coupling button 520 of the auxiliary battery 50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dule housing 310 . 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battery 500 is coupled to the auxiliary battery coupling unit 400 , at least a portion of the coupling button 520 of the auxiliary battery 500 is greater than the rear surface 312a of the module housing 310 . It may be arranged to protrude. With such a configur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battery 500 is coupled to the auxiliary battery coupling unit 400, the user can visually recognize the coupling button 520 to recognize the fact that the auxiliary battery 500 is coupled, and , the user may hold the coupling button 520 , and 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separate the auxiliary battery 500 from the cleaning module 300 by pressing the coupling button 520 .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청소 모듈(300)의 후측 면(312a)에 보조 배터리(500)를 결합시킬 수 있고, 청소 모듈(300)에 추가적인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user may couple the auxiliary battery 500 to the rear surface 312a of the cleaning module 300 , and may supply additional power to the cleaning module 300 .

보조 배터리(500)는 청소 모듈(3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보조 배터리(500)는 보조 배터리 본체(510), 결합 버튼(520) 및 전기 연결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xiliary battery 500 may supply power to the cleaning module 300 . The auxiliary battery 500 may include an auxiliary battery body 510 , a coupling button 520 , and an electrical connection unit 530 .

보조 배터리 본체(510)는 청소기 본체(100) 또는 청소 모듈(3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보조 배터리 본체(510)는 보조 배터리(500)의 외형을 이룰 수 있고, 내부에 전기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배터리 본체(510)는 2차 전지일 수 있다.The auxiliary battery body 510 may supply power to the cleaner body 100 or the cleaning module 300 . The auxiliary battery body 510 may form an external shape of the auxiliary battery 500 and may store electrical energy therein. For example, the auxiliary battery body 510 may be a secondary battery.

결합 버튼(520)은 보조 배터리 본체(51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 버튼(520)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보조 배터리 본체(510)의 양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coupling button 520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auxiliary battery body 510 . For example, the coupling button 520 may be provided as a pair and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auxiliary battery body 510 .

결합 버튼(520)은 보조 배터리 결합부(400)의 걸림턱(430)과 후크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 버튼(520)은 버튼부(521) 및 후크(522)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부(521)의 일측 단부는 보조 배터리 본체(510)의 일 측면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버튼부(521)는 탄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후크(522)는 버튼부(521)의 타측 단부에 연결될 수 있고, 보조 배터리 본체(5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후크(522)는 걸림턱(430)에 후크 결합될 수 있다.The coupling button 520 may be hook-coupled to the engaging protrusion 430 of the auxiliary battery coupling unit 400 . For example, the coupling button 520 may include a button unit 521 and a hook 522 . One end of the button unit 521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auxiliary battery body 510 . In this case, the button part 521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In addition, the hook 522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button unit 521 , and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auxiliary battery body 510 . The hook 522 may be hook-coupled to the clasp 430 .

이러한 구성으로, 보조 배터리(500)를 보조 배터리 결합부(400)에 결합시키면, 후크(522)가 걸림턱(430)에 후크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버튼부(521)를 누르면서 보조 배터리(500)를 당기면, 보조 배터리(500)를 보조 배터리 결합부(40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auxiliary battery 500 is coupled to the auxiliary battery coupling unit 400 , the hook 522 may be hook-coupled to the clasp 430 . Also, when the user pulls the auxiliary battery 500 while pressing the button 521 , the auxiliary battery 500 may be separated from the auxiliary battery coupling unit 400 .

전기 연결부(530)는 보조 배터리 본체(510)의 하측 면에 구비될 수 있다. 보조 배터리(500)가 보조 배터리 결합부(400)에 결합된 경우, 전기 연결부(530)는 보조 배터리 결합부(400)의 단자(4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보조 배터리(500)가 보조 배터리 결합부(400)에 결합된 경우, 보조 배터리(500)에 충전된 전원을 청소기 본체(100) 또는 청소 모듈(300)로 공급할 수 있다.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530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auxiliary battery body 510 . When the auxiliary battery 500 is coupled to the auxiliary battery coupling unit 400 , the electrical connection unit 53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420 of the auxiliary battery coupling unit 400 .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auxiliary battery 500 is coupled to the auxiliary battery coupling unit 400 , the power charged in the auxiliary battery 500 may be supplied to the cleaner body 100 or the cleaning module 300 .

도 15 및 도 16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청소 모듈이 도시되어 있다.15 and 16 show a cleaning module of a clea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 및 도 1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청소 모듈(130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cleaning module 13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5 and 16 .

한편, 반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 특별히 설명하는 내용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청소 모듈(300)의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이를 원용할 수 있다.Meanwhile, in order to avoid repeated description, the configuration and effect of the cleaning modul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same except for the contents specifically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and thus, it can be used.

본 실시예에서 보조 배터리 수용홈(1410)은 모듈 하우징(1310)의 후측 면(1312a)의 적어도 일부에서부터 모듈 하우징(1310)의 내부를 향하여 하방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uxiliary battery receiving groove 141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ly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 surface 1312a of the module housing 1310 toward the inside of the module housing 1310 .

구체적으로, 보조 배터리 수용홈(1410)은 모듈 하우징(1310)의 후측 면(1312a)의 상단 및 모듈 하우징(1310)의 상측 면의 후단에서부터 하방 경사지게 함몰된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청소 모듈(1300)이 바닥면(지면)에 놓여진 상태를 기준으로, 보조 배터리 수용홈(1410)이 형성되는 방향은 바닥면(지면)과 소정 각도(θ)로 경사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보조 배터리 수용홈(1410)이 형성되는 방향은 하부 하우징(1311)의 저면이 형성된 방향과 소정 각도로 경사(θ)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보조 배터리 수용홈(1410)이 형성되는 방향은 제1 연결관(1381) 내부의 유로 형성 방향과 소정 각도(θ)로 경사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보조 배터리 수용홈(1410)이 형성된 방향은 원판 형태의 회전 청소부(340)의 가상의 연장면과 소정 각도(θ)로 경사를 이룰 수 있다.Specifically, the auxiliary battery accommodating groove 141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groove inclined downwardly from the upper end of the rear surface 1312a of the module housing 1310 and the rear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odule housing 1310 . At this time,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cleaning module 1300 is placed on the floor (grou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auxiliary battery accommodating groove 1410 is formed may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θ with the floor (ground). In addi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uxiliary battery accommodating groove 1410 is formed may form an inclination θ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1311 is formed. In addi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uxiliary battery accommodating groove 1410 is formed may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θ with the direction in which the flow path is formed inside the first connection pipe 1381 . In addi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uxiliary battery accommodating groove 1410 is formed may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θ with the virtual extension surface of the rotating cleaning unit 340 in the form of a disk.

즉, 보조 배터리 수용홈(1410)은 모듈 하우징(1310)의 후측 면(1312a)의 상단 및 모듈 하우징(1310)의 상측 면의 후단에서부터 바닥면(지면)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진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auxiliary battery receiving groove 1410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upper end of the rear surface 1312a of the module housing 1310 and the rear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odule housing 1310 to the bottom surface (ground). It may be formed by being depressed.

이와 같은 구성으로, 보조 배터리(500)는 바닥면(지면)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θ)로 하방 경사지게 보조 배터리 결합부(1400)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배터리(500)를 보조 배터리 결합부(1400)로 삽입시킬 때, 연결관(1380)에 의하여 간섭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보조 배터리(500)를 보조 배터리 결합부(1400)로부터 분리시킬 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결합 버튼(520)으로 손쉽게 접근할 수 있고, 사용자가 편안하게 결합 버튼(520)을 눌러 보조 배터리(1500)를 분리시킬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auxiliary battery 500 may be inserted into the auxiliary battery coupling unit 1400 inclined down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θ with respect to the floor (ground). Therefore, when the auxiliary battery 500 is inserted into the auxiliary battery coupling unit 1400 , interference by the connector 1380 can be avoided. In addition, when the auxiliary battery 500 is separated from the auxiliary battery coupling unit 1400, the user's finger can easily access the coupling button 520, and the user can comfortably press the coupling button 520 to the auxiliary battery ( 1500) can be separated.

한편, 보조 배터리 결합부(1400)에 보조 배터리(50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보조 배터리(500)의 결합 버튼(520)은 적어도 일부가 모듈 하우징(1310)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배터리 결합부(1400)에 보조 배터리(50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결합 버튼(520)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모듈 하우징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보조 배터리 결합부(1400)에 보조 배터리(5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결합 버튼(520)을 시각적으로 인지하여 보조 배터리(500)가 결합되었다는 사실을 인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결합 버튼(520)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결합 버튼(520)을 눌러 보조 배터리(500)를 청소 모듈(1300)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Meanwhile, in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battery 500 is coupled to the auxiliary battery coupling unit 1400 , at least a portion of the coupling button 520 of the auxiliary battery 50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dule housing 1310 . 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battery 500 is coupled to the auxiliary battery coupling unit 1400 , at least a portion of the coupling button 520 may be disposed above the module housing. With this configura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battery 500 is coupled to the auxiliary battery coupling unit 1400, the user can visually recognize the coupling button 520 to recognize the fact that the auxiliary battery 500 is coupled, and , the user can easily hold the coupling button 520 , 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press the coupling button 520 to separate the auxiliary battery 500 from the cleaning module 1300 .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청소 모듈(1300)의 후측 면(1312a)의 적어도 일부에 보조 배터리(500)를 결합시킬 수 있고, 청소 모듈(1300)에 추가적인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user may couple the auxiliary battery 500 to at least a part of the rear surface 1312a of the cleaning module 1300 , and may supply additional power to the cleaning module 1300 .

도 17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청소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결합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17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leaning modu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청소 모듈(230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17 , a cleaning module 2300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한편, 반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 특별히 설명하는 내용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청소 모듈(300)의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이를 원용할 수 있다.Meanwhile, in order to avoid repeated description, the configuration and effect of the cleaning modul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same except for the contents specifically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and thus, it can be used.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 배터리 수용홈이 모듈 하우징(2310)의 상측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보조 배터리(2500)는 모듈 하우징(2310)의 상측 면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 하우징(2310)의 상측에는 물탱크(2320)가 배치될 수 있고, 물탱크(2320)의 상측에 보조 배터리(2500)가 결합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n auxiliary battery receiving groove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dule housing 2310 .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uxiliary battery 2500 may b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odule housing 2310 . For example, the water tank 232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module housing 2310 , and the auxiliary battery 250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water tank 2320 .

이와 같은 구성으로, 청소 모듈(2300)이 지면 위에 놓여진 상태를 기준으로, 보조 배터리(2500)는 지면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삽입되어 모듈 하우징(2310)과 결합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cleaning module 2300 is placed on the ground, the auxiliary battery 2500 may be inserted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o be coupled to the module housing 2310 .

한편, 보조 배터리(2500)가 청소 모듈(2300)에 결합되고 청소 모듈(2300)이 지면에 놓인 상태를 기준으로, 본 실시예에서 보조 배터리(2500)는 전후 방향 길이 및 좌우 방향 길이가 상하 방향 높이보다 클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보조 배터리(2500)는 납작한 육면체에 가까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based on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battery 2500 is coupled to the cleaning module 2300 and the cleaning module 2300 is placed on the ground, in this embodiment, the auxiliary battery 2500 has a lengt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a leng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greater than the height.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uxiliary battery 2500 may be formed in a shape close to a flat hexahedron.

이와 같은 구성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 배터리(2500)가 청소 모듈(2300)의 상측에 결합됨에도 불구하고 청소 모듈(2300)의 전체적인 높이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ith such a configura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verall height of the cleaning module 2300 from increasing even though the auxiliary battery 2500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cleaning module 2300 .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청소 모듈(2300)이 지면에 놓여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보조 배터리(2500)를 연직 하방으로 밀어 넣을 수 있으므로, 보조 배터리(2500)의 결합에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user can push the auxiliary battery 2500 vertically downward while the cleaning module 2300 is placed on the ground, it is possible to provide ease in coupling the auxiliary battery 2500 .

도 18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청소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결합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18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leaning modu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청소 모듈(230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18 , a cleaning module 2300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한편, 반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 특별히 설명하는 내용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청소 모듈(300)의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이를 원용할 수 있다.Meanwhile, in order to avoid repeated description, the configuration and effect of the cleaning modul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same except for the contents specifically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and thus, it can be used.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 배터리 수용홈이 모듈 하우징(3310)의 상측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보조 배터리(3500)는 모듈 하우징(3310)의 상측 면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 하우징(3310)의 상측에는 물탱크(3320)가 배치될 수 있고, 물탱크(3320)의 상측에는 스팀 제너레이터(3336)가 구비될 수 있으며, 스팀 제너레이터(3336)의 상측에 보조 배터리(3500)가 결합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n auxiliary battery receiving groove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dule housing 3310 .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uxiliary battery 3500 may b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odule housing 3310 . For example, a water tank 3320 may be disposed on an upper side of the module housing 3310 , a steam generator 3336 may be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water tank 3320 , and an upper side of the steam generator 3336 . An auxiliary battery 3500 may be combined.

이와 같은 구성으로, 청소 모듈(3300)이 지면 위에 놓여진 상태를 기준으로, 보조 배터리(3500)는 지면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cleaning module 3300 is placed on the ground, the auxiliary battery 3500 may be inserted and coup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한편, 보조 배터리(3500)가 청소 모듈(3300)에 결합되고 청소 모듈(3300)이 지면에 놓인 상태를 기준으로, 본 실시예에서 보조 배터리(3500)는 전후 방향 길이 및 좌우 방향 길이가 상하 방향 높이보다 클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보조 배터리(3500)는 납작한 육면체에 가까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based on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battery 3500 is coupled to the cleaning module 3300 and the cleaning module 3300 is placed on the ground, in this embodiment, the auxiliary battery 3500 has a lengt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a leng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greater than the height.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uxiliary battery 3500 may be formed in a shape close to a flat hexahedron.

이와 같은 구성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 배터리(3500)가 청소 모듈(3300)의 상측에 결합됨에도 불구하고 청소 모듈(3300)의 전체적인 높이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ith such a configura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verall height of the cleaning module 3300 from increasing even though the auxiliary battery 3500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cleaning module 3300 .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 배터리(3500)가 스팀 제너레이터(3336)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보조 배터리(3500)는 스팀 제너레이터(3336)의 바로 상측에 결합되므로, 보조 배터리(3500)의 전원을 스팀 제너레이터(3336)로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uxiliary battery 3500 may be directl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team generator 3336 . At this time, since the auxiliary battery 3500 is coupled directly to the upper side of the steam generator 3336 ,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power of the auxiliary battery 3500 can be easily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3336 .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it is intended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clear that the transform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by the person.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All simple modifications or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de clear by the appended claims.

1 : 청소기
100 : 청소기 본체
200 : 연장관
300 : 청소 모듈
310 : 모듈 하우징
311 : 하부 하우징
312 : 상부 하우징
312a : 후측 면
313 : 유로 형성부
320 : 물탱크
330 : 수분 공급부
336 : 스팀 제너레이터
337 : 디퓨져
340 : 회전 청소부
350 : 걸레
370 : 걸레 구동 모터
380 : 연결관
381 : 제1 연결관
400 : 보조 배터리 결합부
410 : 보조 배터리 수용홈
420 : 단자
430 : 걸림턱
500 : 보조 배터리
520 : 결합 버튼
1: Cleaner
100: cleaner body
200: extension tube
300: cleaning module
310: module housing
311: lower housing
312: upper housing
312a: rear side
313: flow path forming part
320: water tank
330: moisture supply unit
336: steam generator
337: diffuser
340: rotation sweeper
350 : mop
370: mop drive motor
380: connector
381: first connector
400: auxiliary battery coupling unit
410: auxiliary battery receiving groove
420: terminal
430: jamming jaw
500: auxiliary battery
520: combine button

Claims (14)

바닥면의 이물을 청소하는 청소 모듈; 및
상기 청소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사용자가 파지하는 핸들이 구비된 청소기 본체;
를 포함하고,
상기 청소 모듈은,
하측에 걸레가 배치되는 모듈 하우징;
상기 모듈 하우징에 결합되고,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에서 유입되는 물을 가열하는 스팀 제너레이터; 및
상기 모듈 하우징에 형성되고, 보조 배터리가 삽입 결합되는 보조 배터리 결합부;
를 포함하는 청소기.
a cleaning module for cleaning foreign substances on the floor; and
a cleaner body provided with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cleaning module and a handle gripped by a user;
including,
The cleaning module,
a module housing in which a mop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a water tank coupled to the module housing and storing water;
a steam generator for heating the water flowing in from the water tank; and
an auxiliary battery coupling part formed in the module housing and into which an auxiliary battery is inserted and coupled;
A cleaner that includ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터리 결합부는,
상기 모듈 하우징의 후측 면에 적어도 일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The auxiliary battery coupling unit,
The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partially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odule hous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터리는,
하방 경사지게 상기 보조 배터리 결합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uxiliary battery is
A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erted into the auxiliary battery coupling portion inclined downw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터리는,
보조 배터리 본체; 및
상기 보조 배터리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보조 배터리 결합부와 후크 결합되는 결합 버튼;
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버튼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모듈 하우징의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The auxiliary battery is
auxiliary battery body; and
a coupling button formed on the auxiliary battery body and hooked with the auxiliary battery coupling unit;
including,
The combination button is
At least a portion of the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dule hous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버튼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모듈 하우징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mbination button is
At least a part of the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above the module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터리는,
상기 배터리와 직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The auxiliary battery is
The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batter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터리는,
상기 배터리와 병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The auxiliary battery is
The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batter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터리는,
선택적으로 상기 배터리와 직렬 연결 또는 병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The auxiliary battery is
Optionally, the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in series or parallel with the batter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터리는,
상기 스팀 제너레이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The auxiliary battery is
A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for supplying power to the steam genera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모듈은,
상기 모듈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모터 샤프트를 회전시켜 상기 걸레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걸레 구동 모터; 및
상기 모듈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고, 흡입구와 연통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청소기 본체로 안내하는 유로 형성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터 샤프트의 가상의 축 방향 연장선은 상기 유로 형성부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leaning module,
a mop driving motor disposed inside the module housing and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mop by rotating the motor shaft; and
a flow path forming part formed in the module housing and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ort to guide air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port to the cleaner body;
further comprising,
The imaginary axial extension line of the motor shaft passes through the flow path forming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터리 결합부는,
상기 보조 배터리가 수용되는 보조 배터리 결합홈;
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배터리 결합홈은,
상기 청소 모듈이 바닥면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모듈 하우징의 후측 면에서부터 상기 모듈 하우징의 전방을 향하여 바닥면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The auxiliary battery coupling unit,
an auxiliary battery coupling groove in which the auxiliary battery is accommodated;
including,
The auxiliary battery coupling groove,
In a state in which the cleaning module is placed on the floor, the cleaner is formed along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loor surfac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module housing toward the front of the module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터리 결합부는,
상기 모듈 하우징에서부터 상기 모듈 하우징의 내측을 향하여 형성되고, 상기 보조 배터리가 수용되는 보조 배터리 결합홈;
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배터리 결합홈은,
상기 청소 모듈이 바닥면에 놓인 상태에서, 바닥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어 하방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The auxiliary battery coupling unit,
an auxiliary battery coupling groove formed from the module housing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module housing and in which the auxiliary battery is accommodated;
including,
The auxiliary battery coupling groove,
In a state in which the cleaning module is placed on the floor, the cleaner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by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floor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모듈은,
상기 스팀 제너레이터를 통과한 수분을 상기 걸레로 토출시키는 디퓨져;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퓨져는,
환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leaning module,
a diffuser discharging the moistur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team generator to the mop;
further comprising,
The diffuser is
A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n annular shap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모듈은,
상기 모듈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모터 샤프트를 회전시켜 상기 걸레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걸레 구동 모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레 구동 모터는,
환형의 상기 디퓨져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cleaning module,
a mop driving motor disposed inside the module housing and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mop by rotating the motor shaft;
further comprising,
The mop drive motor,
A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inside the annular diffuser.
KR1020210172190A 2021-02-26 2021-12-03 Cleaner KR20220122474A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2760117.6A EP4298975A1 (en) 2021-02-26 2022-02-25 Cleaner
US18/279,112 US20240138644A1 (en) 2021-02-26 2022-02-25 Cleaner
PCT/KR2022/002792 WO2022182201A1 (en) 2021-02-26 2022-02-25 Cleaner
TW111106939A TWI843060B (en) 2021-02-26 2022-02-25 Cleaner
AU2022227479A AU2022227479A1 (en) 2021-02-26 2022-02-25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154269P 2021-02-26 2021-02-26
US63/154,269 2021-02-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2474A true KR20220122474A (en) 2022-09-02

Family

ID=8328066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2189A KR20220122473A (en) 2021-02-26 2021-12-03 Cleaner
KR1020210172190A KR20220122474A (en) 2021-02-26 2021-12-03 Cleaner
KR1020210172187A KR20220122472A (en) 2021-02-26 2021-12-03 Cleaner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2189A KR20220122473A (en) 2021-02-26 2021-12-03 Cleaner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2187A KR20220122472A (en) 2021-02-26 2021-12-03 Clean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3) KR20220122473A (en)
CN (2) CN116887738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4286A (en) * 2022-11-04 2024-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A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478B1 (en) 2006-06-02 2007-07-11 주식회사 크리엘 Steam and vacuum cleaner
KR200489070Y1 (en) 2017-03-08 2019-08-23 김흥길 Rotation Type Automatic Mop Sweeper Being Capable of Altering Revolution Veloc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887738A (en) 2023-10-13
KR20220122473A (en) 2022-09-02
CN116981386A (en) 2023-10-31
KR20220122472A (en) 2022-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274885B2 (en) A cleaning appliance
RU2357642C2 (en) Vacuum cleaner and unit with suction opening
US20240138644A1 (en) Cleaner
GB2426186A (en) An upright vacuum cleaner with wet and dry cleaning modes
US7281297B2 (en) Floor cleaning apparatus equipped with multiple agitators and an agitator hood with baffle
KR20220122474A (en) Cleaner
US20090217483A1 (en) Upright type cleaner
US20220022711A1 (en) Vacuum cleaner
US20240130591A1 (en) Cleaner
EP4298976A1 (en) Cleaner
KR20240001990A (en) Cleaner
CN220937931U (en) Combined cleaning equipment, combined cleaning system and power module
TW202320692A (en) Cleaner
CN219289336U (en) Vacuum cleaner and dustpan accessory thereof
KR102265663B1 (en) Backpack type vacuum cleaner
KR100800185B1 (en) Cleaner
TW202304368A (en) Cleaner
JP7326186B2 (en) Vacuum cleaner suction body and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the same
US20220322896A1 (en) Surface cleaner
KR20230153848A (en) Module of cleaner
KR20230137746A (en) Cleaner
KR20220057138A (en) Cleaner
CN117597056A (en) Dust collector
KR20230170492A (en) Module of cleaner
AU2022316717A1 (en) Mop module of cleaner